KR20220129436A - 헤어 브러쉬 - Google Patents

헤어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436A
KR20220129436A KR1020210079512A KR20210079512A KR20220129436A KR 20220129436 A KR20220129436 A KR 20220129436A KR 1020210079512 A KR1020210079512 A KR 1020210079512A KR 20210079512 A KR20210079512 A KR 20210079512A KR 20220129436 A KR20220129436 A KR 2022012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hair
brush
portions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354B1 (ko
Inventor
방서진
Original Assignee
방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서진 filed Critical 방서진
Publication of KR2022012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45D24/10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 A45D24/18Multi-part combs combined with additional devices the additional devices being only operable when the comb-part is in a non-operabl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6Brushes with heads on opposite sides or ends of a handle not intended for simultaneous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6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where the surface of the brush body or carrier is not in one plane, e.g. not flat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머리카락의 방향을 결정하는 복수개의 빗살들로 이루어진 빗살수단과, 상기 바디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빗살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구성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살수단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빗살부들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헤어 브러쉬{Hair brush}
본 발명은 헤어 브러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카락을 효과적으로 잡아주면서 볼륨이나 컬링을 원하는 부위에 정확히 연출할 수 있는 헤어 브러쉬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 손질을 위해 다양한 빗 또는 헤어 브러쉬들이 사용되고 있고, 긴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머리카락의 볼륨을 살리기 위한 열펌이나 컬링 등을 하여 연출을 하는바, 이러한 보륨을 위한 머리카락의 손질시 원형의 몸체 둘레에 많은 수의 빗살로 이루어진 브러시가 심어진 헤어 브러쉬를 사용한다.
헤어 브러쉬는 엉킨 머리카락이나 열펌, 컬링 등을 하기 위해 미용실에서 뿐만 아니라 개인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헤어 브러쉬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감은 상태에서 헤어 드라이어의 열을 이용하여 원하는 머리카락의 모양을 만드는 핫 컬링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헤어 브러쉬를 이용하여 머리카락을 감거나 또는 감은 상태에서 제공되는 헤어 드라이어의 뜨거운 열풍은 주로 외면의 머리카락에만 작용하여 핫 컬링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 등록 제0452837호에서는 헤어 브러쉬의 빗살이 설치되고 나무나 합성수지재로 주 몸체를 형성한 후, 주 몸체 바깥쪽에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을 잘 전달하는 소재의 보조 몸체(파이프)를 별도로 만들고 상기 주 몸체 위에 보조 몸체 간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보조 몸체에는 주 몸체에 설치되는 빗살의 통과를 위한 제1 관통공과 그리고 헤어 드라이어로부터의 열풍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 관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헤어 드라이어의 열풍이 제2 관통로를 통해 공간부 내측으로 유입되어 보조 몸체를 데우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핫 컬링을 보다 원할히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보조 몸체에도 다수의 빗살이 위치하고 핫 컬링시에 보조 몸체에 많은 머리카락이 감기기 때문에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한 열풍의 유입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리고 주 몸체와 보조 몸체를 별도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보조 몸체와 제1 관통로를 통해 빗살을 설치하기도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장 내측에 열전도율이 떨어지는 나무나 합성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주 몸체가 위치하기 때문에 헤어 드라이어의 열풍이 주 몸체 내측으로 유입된다 하더라고 헤어 드라이어의 열이 보조 몸체에 용이하게 전달되기 어렵고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드라이어의 열이 머리카락에 골고루 전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모근의 볼륨을 유도하기 어려웠다.
특히, 모근쪽 모발의 건조가 늦거나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열전달이 잘되는 재질의 손잡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뜨거워져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헤어 브러쉬는 나일론이나 합성수지재의 솔 또는 빗살로 이루어진 브러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브러시는 머리카락을 잘 잡아주지 못하여 머리 연출이 어렵고, 모발의 표면만 매끄럽게 정리해주는 기능밖에 없어, 브러쉬의 주기능 중 모근 볼륨각을 연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타일링을 원하는 부위의 머리카락을 효과적으로 잡아주면서 원하는 커브를 다양하게 부여하여 모근쪽의 빠른 건조와 높은 볼륨을 빠르게 연출할 수 있는 헤어 브러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머리카락의 방향을 결정하는 복수개의 빗살들로 이루어진 빗살수단과, 상기 바디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빗살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구성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살수단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빗살부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빗살수단은, 제 1 빗살부와, 상기 제 1 빗살부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제 2 빗살부와, 상기 제 2 빗살부들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제 3 빗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빗살부 내지 제 3 빗살부가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의 면적과, 상기 브러쉬부가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의 면적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빗살부들에 의한 머리카락을 효과적으로 잡아주면서 볼륨각을 크게 연출할 수 있다. 즉, 빗살부를 갖는 헤어 브러쉬의 구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모근까지 잡아주면서 큰 볼륨각으로 원하는 부위를 손쉽게 스타일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의 헤어 브러쉬를 이용하여 모발에 높은 볼륨각을 부여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시험 사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의 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헤어 브러쉬(10)의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11)와, 상기 바디부(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2)와, 상기 바디부(11)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머리카락의 방향을 결정하는 빗살수단과, 상기 바디부(11)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빗살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구성되는 브러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빗살수단은, 제 1 내지 제 3 빗살부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바디부(11)를 단면으로 보았을때 외주면의 1/2 영역에는 상기 빗살수단이 구성되고, 나머지 1/2 영역에는 머리카락의 컬링을 위한 브러쉬부(140)가 구성된다.
상기 빗살수단 중 제 1 빗살부(110)를 중심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2개의 제 2 빗살부(120,220)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제 2 빗살부(120,220)들로부터 동일한 간격을 두고 제 3 빗살부(130,230)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빗살부들은 사용자가 머리 손질을 할때 머리카락을 순차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머리카락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머리카락의 방향을 가리키는 모류를 형성 또는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의 헤어 브러쉬를 이용하여 모발에 높은 볼륨각을 부여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시험 사진이다.
이들 도면들과 함께, 빗살부의 역할과 동작을 설명하여 본다.
상세히, 제 1 빗살부(110)는 스타일링하고자 하는 머리카락 다발을 잡아 끌어올려주며 점차 조금씩 불륨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고, 제 1 빗살부(110)의 회전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 2 빗살부(120)와 제 3 빗살부(130)가 들어올려진 머리카락에 컬링을 부여하여 볼륨감, 머리카락이 두피와 이루는 각도를 더욱 크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높은 볼륨각을 형성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두피에 붙어있는 머리카락의 각도가 0도라고 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빗살부(110)가 회전하면서 0도 각도에서의 머리카락이 점차 끌어올려지면서 45도와 같이 높은 각도로 점차 볼륨감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빗살부(110)의 회전에 의해 점차 볼륨감이 형성된 머리카락 다발은 제 2 빗살부(120)와 만나게 되고, 제 2 빗살부(120)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진 머리카락에 컬링이 더욱 부여되어 머리카락과 두피가 이루는 각도가 더욱 크게 형성되면서, 그 다음 이어지는 제 3 빗살부(130)에 의해 더 큰 각도의 컬링이 추가적으로 부여됨으로써, 60도, 70도, 90도와 같이 더 큰 각도의 컬링 연출이 가능해진다.
사용자는 손잡이부(12)를 서서치 돌리면서 순차적으로 빗살부들이 머리카락을 지나가는 위치에 따라 볼륨각이 점차적으로 형성되어 높은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빗살부(110)에 의한 볼륨 형성 영역(A)과, 상기 제 1 빗살부(110)에 이어서 볼륨감을 부여하는 제 2 빗살부(120)에 의한 볼륨 형성 영역(B)이 뚜렷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빗살부(110)가 머리카락으로 들어가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C커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2)를 돌리는 방향에 따라 제 2 빗살부들중 어느 하나의 제 2 빗살부가 추가적인 C커브 형성과, 나아가 제 3 빗살부에 의한 C커브의 형성이 순차적으로 가능해져, 머리카락을 효과적으로 잡아주어 원하는 많은 머리카락을 손질할 수 있으며, 높은 볼륨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쌍의 제 2 빗살부(120,220)와 한쌍의 제 3 빗살부(130,230)는 각각 제 1 빗살부(110)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며, 이것은 사용자가 손잡이부(12)를 회전시키는 방향이 다르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각각의 빗살부들은, 모두 복수개의 빗살들(112,122,132)들로 구성되며, 각 빗살부들은 빗살들의 일측에 배치되어 두꺼운 두께와 간격을 갖는 한쌍의 빗살 클립들(111,121,131)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빗살 클립들은 두피 특정 부위의 머리카락을 들어올리거나 머리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들어올릴 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러쉬부(140)에 형성된 각각의 브러쉬살을 이용해서 머리카락의 볼륨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쉬부(140)는 다수개의 브러쉬살이 결합 및 고정되어 있고, 브러쉬살은 돈모와 가시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의 측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부(11) 외주면에서 제 1 내지 제 3 빗살부가 차지하는 면적과, 브러쉬부(140)가 차지하는 면적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살부들은 제 1 빗살부(110)를 중심으로 한쌍의 제 2 빗살부(120,220)가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 3 빗살부(130,230) 역시 상기 제 2 빗살부(120,220)들 각각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한쌍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빗살부(110)와 제 2 빗살부(120,220) 사이의 각도(A)와, 제 2 빗살부(120,220)와 제 3 빗살부(130,230) 사이의 각도(B)는 동일한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부(12)의 회전방향을 서로 다르게 사용하더라도 빗살부들에 의한 머리카락의 커브 형성이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위치의 머리카락들을 손질할 때에 손잡이부(12) 회전 방향에 따라 의도치 않게 커브의 모양이 달라지지 않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빗살부(110)와 제 2 빗살부(120)가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빗살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제 1 빗살부들(110a,110b)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다양한 실시예들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며,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빗살부들에 의해 헤어 브러쉬의 회전으로 다양한 볼륨들과 볼륨각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면서 머리카락의 방향을 결정하는 복수개의 빗살들로 이루어진 빗살수단과,
    상기 바디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빗살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구성되는 브러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빗살수단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빗살부들로 이루어진 헤어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수단은, 제 1 빗살부와, 상기 제 1 빗살부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제 2 빗살부와, 상기 제 2 빗살부들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한쌍의 제 3 빗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브러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빗살부 내지 제 3 빗살부가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의 면적과, 상기 브러쉬부가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의 면적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브러쉬.
KR1020210079512A 2021-03-16 2021-06-18 헤어 브러쉬 KR102502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4328 2021-03-16
KR1020210034328 2021-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36A true KR20220129436A (ko) 2022-09-23
KR102502354B1 KR102502354B1 (ko) 2023-02-23

Family

ID=8344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9512A KR102502354B1 (ko) 2021-03-16 2021-06-18 헤어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3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8585A2 (en) * 1999-08-27 2001-02-28 Tetsugi Nakamura Hairbrush
WO2005094627A1 (fr) * 2004-03-31 2005-10-13 Margaryan Khachatur Vaginakovi Peigne a elements de brossage durs et mous 'brosse-peigne' (variant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78585A2 (en) * 1999-08-27 2001-02-28 Tetsugi Nakamura Hairbrush
WO2005094627A1 (fr) * 2004-03-31 2005-10-13 Margaryan Khachatur Vaginakovi Peigne a elements de brossage durs et mous 'brosse-peigne' (varian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2354B1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814U (ja) 開閉型ヘアーアイロンブラシ
US20110056505A1 (en) Hair brush
US11051599B2 (en) Hairstyling apparatus and kit
US5765571A (en) Foundation for a hair dressing
US6823874B2 (en) Hair curling comb device
US6438785B1 (en) Styling brush
JP3211862U (ja) ヘアーブラシ
KR20220129436A (ko) 헤어 브러쉬
JP3213090U (ja) ヘアーアイロン
JP3213989U (ja) ヘアーブラシ
US5906023A (en) Pivotable hairbrush
KR20130123114A (ko) 헤어브러쉬
KR20210031252A (ko) 카트리지형태의 왁스 유닛이 교체되는 헤어 브러쉬
US5799670A (en) Roller-set styling hairbrush
CN211608449U (zh) 边缘带梳槽的扭纹干湿直发器
TWM636430U (zh) 乾濕兩用熱風造型梳
KR20180063668A (ko) 머리빗
JP3093796U (ja) ヘアーブラシ
KR20110031870A (ko) 헤어 웨이브 롤
KR102090330B1 (ko) 헤어 스타일링 기구
US20220346536A1 (en) High Definition Curl Brush
TWM635811U (zh) 燙捲美髮器
JP2006255349A (ja) ヘアブラシアイロン
JP3068706U (ja) ヘアアイロン
JPH0531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