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422A -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422A
KR20220129422A KR1020210034332A KR20210034332A KR20220129422A KR 20220129422 A KR20220129422 A KR 20220129422A KR 1020210034332 A KR1020210034332 A KR 1020210034332A KR 20210034332 A KR20210034332 A KR 20210034332A KR 20220129422 A KR20220129422 A KR 20220129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elt
hook
exercise
vertical pos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희
Original Assignee
남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용희 filed Critical 남용희
Priority to KR102021003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9422A/ko
Publication of KR20220129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1Abdomen moving torso with immobilized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63B23/0216Abdomen moving lower limbs with immobilized tors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닥 면에 지지되며 일정한 높이를 갖춘 수직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 장착되며 인체의 허리를 받쳐주는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인체의 발목을 끼워 지지하는 발목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에는 두 갈래로 양분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 제1 손잡이가 형성된 제1 고무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 또는 제2 걸고리에는 두 갈래로 양분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 손잡이 또는 발걸이의 기능을 하는 제2 손잡이가 형성된 제2 고무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the sporting goods using the rubber belt}
본 발명은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윗몸 일으키기 운동뿐만 아니라 팔다리를 벌렸다가 접는 동작, 팔다리를 휘젓는 유산소 운동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 다변화, 다기능화를 추구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고 또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운동을 게을리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운동량이 부족하다 보니 현대병, 즉, 당뇨, 고혈압, 고지혈 및 만병의 근원이라 하는 비만 등의 질병에 의해 현대인들이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또 이와 같은 현대인들의 문제점은 도시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집중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집에서 쉽게 운동을 접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현대인들은 주거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운동하고 있다.
상기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목적을 갖고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특히 복부비만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운동기구의 일 예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를 들 수 있다.
상기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발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보드에 누워 윗몸을 눕혔다가 일으키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허리와 복부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건강증진과 다이어트를 위해 이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운동 목적이 한정되다 보니 자연스럽게 제품의 기능이 단순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없는, 즉, 호환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몸을 눕힐 수 있는 보드와 발목을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 등 한정된 기능에 의한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품을 기꺼이 구매하고 싶어하는 품목에서 제외된 제품, 즉, 제품의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것의 일 예로, 벤치 프레스 운동과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운동 기구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벤치 프레스 겸용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는 가격이 고가일뿐만 아니라 가정의 실내에 비치할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최근에 알려진 바로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은 유산소 운동이 아닌 복근운동에 속하므로 근력 기르는 것에는 도움이 되지만 뱃살은 뺄 수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었고, 해부학적으로 봤을 때 척추에 무리를 주는 동작이므로 척추뼈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바도 있었다.
KR 20-2015-0002360 U KR 20-0334044 Y1 KR 20-0175992 Y1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윗몸을 일으키는 일반적인 방법은 물론 다양한 방법으로 전신운동을 하며 뱃살을 줄일 수 있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윗몸 일으키기 운동뿐만 아니라 팔다리를 휘저으며 유산소 운동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 다변화, 다기능화를 기대할 수 있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로감을 느끼거나 지루함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하게 전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동종 업계의 타사 제품과도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바닥 면에 지지되며 일정한 높이를 갖춘 수직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 장착되며 인체의 허리를 받쳐주는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인체의 발목을 끼워 지지하는 발목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에는 두 갈래로 양분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 제1 손잡이가 형성된 제1 고무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 또는 제2 걸고리에는 두 갈래로 양분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 손잡이 또는 발걸이의 기능을 하는 제2 손잡이가 형성된 제2 고무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제1, 2 고무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원통 형상 또는 단면상 다각 형상의 벨트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제2 고무 벨트는 한 쪽 끝단 부가 상기 걸고리 또는 제2 걸고리에 결속되며 다른 쪽 끝단 부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윗몸을 일으키는 방법은 물론 다양한 방법으로 전신운동을 하며 팔다리의 근육 발달은 물론이고 뱃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윗몸 일으키기 운동뿐만 아니라 팔다리를 벌렸다가 접는 동작, 팔다리를 휘젓는 유산소 운동을 겸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다양화, 다변화, 다기능화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효과도 있다.
셋째, 윗몸 일으키기 운동 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피로감을 느끼거나 지루함을 느끼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하게 전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됨은 물론, 동종 업계의 타사 제품과도 경쟁력에서도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상태의 제1 예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상태의 제2 예를 보인 참고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로 운동하는 상태의 제3 예를 보인 참고 사시도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바닥 면에 지지되며 일정한 높이를 갖춘 수직 포스트(10)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10)는 바닥 면에 지지되는 수평 프레임(11)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10)와 수평 프레임(11)은 보관 및 운반을 고려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분리,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포스트(10)의 하측에는 인체의 허리를 받쳐주는 보드(2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한 보드(20) 역시 상기 수직 포스트(10)의 하측에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드(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직 포스트(10)의 하측에 결합되는 보드 프레임(21)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상기 수직 포스트(10)의 하측에는 인체의 발목을 끼워 지지하는 발목 고정부(12)가 구비되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일반적인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와 대동소이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지배적인 특징부는, 상기 수직 포스트(10)의 상측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걸고리(13)가 구비되고, 상기 걸고리(13)에는 제1,2 고무 벨트(30)(40)가 결속된다는 점이다.
상기 제1 고무 벨트(30)는 양쪽 길이가 동일하도록 두 갈래로 양분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 제1 손잡이(31)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2 고무 벨트(40)는 상기 제1 고무 벨트(30)와 마찬가지로 상기 걸고리(13) 또는 상기 걸고리(13)와 인접하며 설치된 제2 걸고리에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는 손잡이 또는 발걸이의 기능을 하는 제2 손잡이(41)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상기 제1, 2 고무 벨트(30)(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강도를 고려하여 신축력은 다소 약한 원통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의 고무로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상기 제2 고무 벨트(40)는 한 쪽 끝단 부가 상기 걸고리(13) 또는 제2 걸고리에 결속되며 다른 쪽 끝단 부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보드(20)에 엎드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목은 상기 발목 고정부(12)에 고정하고 사용자의 손은 상기 제2 고무 벨트(40)에 구비된 제2 손잡이(41)를 잡는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숙이며 팔을 뻗어 제2 고무 벨트(40)를 잡아당기거나, 역동작으로 허리를 뒤로 젖히며 팔을 뻗어 제2 고무 벨트(40)를 잡아당기며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운동하면 사용자의 팔의 근력이 향상되며 허리, 즉, 척추를 바로 잡으며 척추 근력을 강화해주며, 척추를 지탱해주는 허리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이 된다.
또 도 3과 같이 사용자가 보드(20)에 누운 상태에서 양 팔은 상기 제1 고무 벨트(30)의 제1 손잡이(31)를 잡아당겼다 놨다를 반복하며 양 발목은 상기 제2 고무 벨트(40)의 제2 손잡이(41)에 걸은 상태에서 하측으로 펼쳤다가 상측으로 올리는 동작을 반복하며 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이 운동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1 고무 벨트(30)를 양팔로 당기며 느슨하게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팔의 근육을 강화시키게 되고, 제2 고무 벨트(40)를 양발로 당기며 느슨하게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다리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 효과를 가져온다.
또 상기 제2 손잡이(41)에 걸은 양 발목을 모은 상태에서 하측으로 뻗는 동작을 할 때 상기 제2 고무 벨트(40)는 신장되고 이때 사용자의 복부와 하복부에 힘이 들어가게 되며 복부 지방을 분해시키는 운동 효과를 가져온다.
또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보드(20)에 누운 상태에서 양 팔은 상기 제1 고무 벨트(30)의 제1 손잡이(31)를 잡고, 사용자의 양 발목은 상기 제2 고무 벨트(40)의 제2 손잡이(41)에 걸은 상태에서 팔다리를 양측으로 벌렸다 오무렸다 동작을 반복하며 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이 운동을 하게 되면 사용자는 제1 고무 벨트(30)를 양 팔을 벌려서 당기며 느슨하게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팔의 근육을 강화시키게 되고, 제2 고무 벨트(40)를 양 발을 벌려서 당기며 느슨하게 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다리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 효과를 가져온다.
또 상기 제2 손잡이(41)에 걸은 양 발을 벌리는 동작을 할 때 상기 제2 고무 벨트(40)는 신장되고 이때 사용자의 복부와 하복부에 힘이 들어가게 되며 복부 지방을 분해시키는 운동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 팔로 제1 손잡이(31)를 잡고 양 발을 제2 손잡이(41)에 걸은 상태에서 양 팔다리를 펼쳤다 접었다 하는 유산소 운동을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별도의 도면 표현은 생략하였지만 상기 제1 손잡이(31)를 양손으로 잡고 양발은 상기 제2 손잡이(41)에 걸은 상태에서 상기 보드(20)에 엎드린 자세로 운동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의 사용 예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지만 상게 제1,2 벨트(30)(40)에 구비된 제1,2 손잡이(31)(41)를 손으로 잡고 발목을 걸은 상태에서 다양하게 응용하며 운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직 포스트 11 ; 수평 프레임
12 ; 발목 고정부 13 ; 걸고리
20 ; 보드 21 ; 보드 프레임
30, 40 ; 제1,2 벨트 31, 41 ; 제1,2 손잡이

Claims (3)

  1. 바닥 면에 지지되며 일정한 높이를 갖춘 수직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에 일측이 고정되며 타측에 장착되며 인체의 허리를 받쳐주는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측에 배치되며 인체의 발목을 끼워 지지하는 발목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걸고리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에는 두 갈래로 양분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 제1 손잡이가 형성된 제1 고무 벨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고리 또는 제2 걸고리에는 두 갈래로 양분 결속되며 양쪽 끝단부에 손잡이 또는 발걸이의 기능을 하는 제2 손잡이가 형성된 제2 고무 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고무 벨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원통 형상 또는 단면상 다각 형상의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 벨트는 한 쪽 끝단 부가 상기 걸고리 또는 제2 걸고리에 결속되며 다른 쪽 끝단 부는 양측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 기구.
KR1020210034332A 2021-03-16 2021-03-16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KR20220129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32A KR20220129422A (ko) 2021-03-16 2021-03-16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332A KR20220129422A (ko) 2021-03-16 2021-03-16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422A true KR20220129422A (ko) 2022-09-23

Family

ID=8344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332A KR20220129422A (ko) 2021-03-16 2021-03-16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942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92Y1 (ko) 1999-10-18 2000-03-15 장석중 윗몸일으키기 겸용 벤치 프레스
KR200334044Y1 (ko) 2003-08-18 2003-11-20 권오석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50002360U (ko) 2013-12-09 2015-06-19 정상철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92Y1 (ko) 1999-10-18 2000-03-15 장석중 윗몸일으키기 겸용 벤치 프레스
KR200334044Y1 (ko) 2003-08-18 2003-11-20 권오석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R20150002360U (ko) 2013-12-09 2015-06-19 정상철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2240B2 (en) Resist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KR101952162B1 (ko) 요가용 어셈블리
CN103977533B (zh) 多功能水平电动滑行健身器
WO20171277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contracting body core
US20070249971A1 (en) Portable physiotherapy apparatus for providing resistive exercise mov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RU14006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ок
JP4523988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CN110812026A (zh) 一种临床医学用康复医疗床
KR20220129422A (ko) 고무 벨트를 이용한 운동기구
TW201729872A (zh) 蹲立健身器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CN108939426B (zh) 一种俯背运动器
CN114377354A (zh) 一种护理康复锻炼装置
CN210992810U (zh) 一种舞蹈训练用身体柔韧度训练装置
KR200450114Y1 (ko)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RU2342966C2 (ru) Качели яловицына
KR101059834B1 (ko) 다기능 운동기구
CN208319801U (zh) 一种体育健身用拉伸器
CN111773624A (zh) 便携式仰卧起坐辅助装置
CN2707218Y (zh) 颈椎运动康复多功能健身器
RU20196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ок
KR200282779Y1 (ko) 하체 근육 이완장치
CN216456769U (zh) 一种适用于运动医学科的恢复适应训练装置
CN201912685U (zh) 弹性蹦跳板
WO2022197003A1 (ko)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