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97003A1 -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97003A1
WO2022197003A1 PCT/KR2022/003266 KR2022003266W WO2022197003A1 WO 2022197003 A1 WO2022197003 A1 WO 2022197003A1 KR 2022003266 W KR2022003266 W KR 2022003266W WO 2022197003 A1 WO2022197003 A1 WO 20221970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ercise
frame
abdominal
present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32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용희
Original Assignee
남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3328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28762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2462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27040A/ko
Application filed by 남용희 filed Critical 남용희
Publication of WO20221970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970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Abstract

본 발명은,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눕혔을 때 "T" 자 형상으로 면 또는 3점으로 바닥 면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제1,2 프레임을 포함하고; 90도 회전하여 세웠을 때 상기 제2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며 바닥 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3 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일 측이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제3 프레임을 매개로 장착되며 페달이 구비되되 자동/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한 구동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핸들을 갖춘 핸들 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본 발명은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운동기구인 자전거형 운동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운동기구를 눕힌 상태에서 누워서 자전거 운동을 하며 복부 운동과 다리 운동을 하고 세운 상태에서 자전거 운동을 하며 하체 운동을 할 수 있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생활에 의해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고 또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운동을 게을리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운동량이 부족하다 보니 현대병, 즉, 당뇨, 고혈압, 고지혈 및 만병의 근원이라 하는 비만 등의 질병에 의해 현대인들이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또 이와 같은 현대인들의 문제점은 도시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욱 집중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집에서 쉽게 운동을 접할 수 있는 실내용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현대인들은 주거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실내용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운동하고 있다.
상기한 실내용 운동기구는 다양한 기능과 다양한 목적을 갖고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특히 널리 알려진 운동기구의 일 예로, 활동량이 많고 유산소 운동의 효과가 있는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전거형 운동기구는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페달을 반복적으로 밟으며 운동하므로 허벅지와 종아리 부분, 즉, 하체 부분으로 운동효과가 집중되지만 상체 부분에는 운동효과가 미약하여 비대칭 운동이라는 문제점과 전신 운동 효과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자전거형 운동기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바닥 면으로 전달되므로 층간소음이 유발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운동량이 부족한 현대인들의 증상은 대부분 복부 비만이 외형적으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복부 비만이 원인이 되어 쉽게 유발되는 질병이 당뇨, 고혈압, 고지혈 등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실내 운동기구, 특히, 안장에 앉아서 사용하는 자전거형 운동기구로는 효과적으로 뱃살을 뺄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물론, 복부운동에 의해 뱃살을 빼기 위한 운동기구가 간헐적으로 제안되고 있었지만, 대부분 고정체에 고정된 밴드에 발목을 끼워 고정하거나, 발목 상, 하측을 지지할 수 있는 롤러 형상의 홀더에 발목을 고정한 상태에서 윗몸 일으키기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에 불과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최근에 알려진 바로는 윗몸 일으키기 운동은 유산소 운동이 아닌 복부운동에 속하므로 근력 기르는 것에는 도움이 되지만 뱃살은 뺄 수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었고, 해부학적으로 봤을 때 척추에 무리를 주는 동작이므로 척추뼈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된 바도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운동기구를 눕히거나 세운 상태에서 호환하며 각각 다른 신체 운동을 할 수 있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누워서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자전거 운동을 하며 복부와 다리의 근력 운동을 하거나, 앉아서 자전거 운동을 하며 하체 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있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무릎 재활운동이 필요한 환자들이 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누워서 자전거 페달을 밟는 동작에 의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눕혔을 때 "T" 자 형상으로 면 또는 3점으로 바닥 면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제1,2 프레임을 포함하고; 90도 회전하여 세웠을 때 상기 제2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며 바닥 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3 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일 측이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제3 프레임을 매개로 장착되며 페달이 구비되되 자동/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한 구동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핸들을 갖춘 핸들 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안장 또는 허리 지지용 보드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안장 또는 상기 보드는 상기 제1 프레임을 매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운동기구를 눕힌 상태에서 누워서 자전거 운동을 하거나 세운 상태에서 앉아서 자전거 운동을 하며 운동기구를 호환하며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무릎 재활운동이 필요한 환자들이 무릎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누워서 자전거 페달을 밟는 동작에 의한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누워서 자전거 운동을 하며 뱃살을 줄이며 복부 근력을 강화하거나 앉아서 자전거 운동을 하며 하체 근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복부 운동을 하는 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 4는 하체 운동을 하는 상태를 보인 참고도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의 특징부는 복부 운동을 할 때에는 눕혀서 사용하고, 하체 운동을 할 때에는 세워서 사용한다.
즉, 복부 운동을 하기 위해 운동기구를 눕혔을 때 바닥 면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제1,2 프레임(10)(20)이 구비된다.
상기 제1,2 프레임(10)(20)은 바닥 면에 눕혔을 때 "T" 자 형상으로 면으로 지지되거나 3점으로 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세 개의 점을 선으로 연결했을 때 삼각형을 형성하며 세 개의 점은 꼭지점이 된다.
또 하체 운동을 하기 위해 운동기구를 90도 회전하여 세웠을 때 상기 제2 프레임(20)과 평행을 이루며 바닥 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3 프레임(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3 프레임(20)(3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결 프레임(40)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10)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연결 프레임(50)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2,3 프레임(10)(20)(30)과 상기 제1,2 연결 프레임(40)(50)은 강도를 고려하여 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제1,2 연결 프레임(40)(50)은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크고 작은 내경의 관체가 결합된 후 핀이나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0)의 타측과 상기 제3 프레임(30)을 매개로 구동부(60)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60)의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자전거 운동기구의 구동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60)에는 상기 제1 프레임(1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1)와 핸들(72)을 갖춘 핸들 바(70)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72)도 상기한 제1,2 연결 프레임(40)(50)과 같은 구조로 설치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71)는, 후술하는 운동시 칼로리의 소모량, 운동시간, 페달 동작 횟수 등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1 프레임(10)의 타측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안장 또는 허리 지지용 보드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안장 또는 상기 보드는 상기한 제1,2 연결 프레임(40)(50)과 마찬가지로 운동기구를 눕힌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10)을 매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운동기구를 세운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10)을 매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는 도 3 및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를 눕힌 상태에서 사용하는 일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눕힌 상태에서 사용자의 신장에 비례하여 제1 프레임(10)에 결합된 보드(80)의 길이를 조절하고, 또 제2 연결 프레임(50)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보드(80)에 등을 맞대고 누운 상태에서 자전거를 타듯이 페달을 번갈아 구르며 운동한다.
이때 사용자가 보드(80)에 누웠을 경우 사용자의 등은 곡률을 갖고 형성된 보드(8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며 지지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핸들을 잡고 페달을 번갈아 밟아서 회전시키며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보드에 누워서 반복적으로 페달을 밟아 회전시키게되면 양쪽 무릎은 접혀졌다, 펼쳐졌다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사용자의 복부 부분의 근육이 수축 및 이완되고 그에 따른 충격에 의해 복부운동을 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때, 상기 제어부(71)의 제어에 의해 수동으로 페달을 회전시킬 수 있지만 자동으로 페달을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무릎 재활치료가 필요한 환자들 또는 장기간 침상에 누워서 생활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페달에 발을 기댄 상태에서 제어부(71)를 조작하여 페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며 자동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복부 근력과 하체 근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를 세워서 사용할 때에는 도 4와 같이 제1 프레임(10)에 안장을 결합한 후 일반적인 자전거 운동기구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다리운동을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단일의 운동기구로 복부 근력 운동과 하체 근력 운동을 호환하며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눕혔을 때 "T" 자 형상으로 면 또는 3점으로 바닥 면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제1,2 프레임을 포함하고;
    90도 회전하여 세웠을 때 상기 제2 프레임과 평행을 이루며 바닥 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3 프레임을 연결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일 측이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제3 프레임을 매개로 장착되며 페달이 구비되되 자동/수동으로 전환이 가능한 구동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같은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핸들을 갖춘 핸들 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타측에는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안장 또는 허리 지지용 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 또는 상기 보드는 상기 제1 프레임을 매개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PCT/KR2022/003266 2021-03-15 2022-03-08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WO202219700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288A KR20220128762A (ko) 2021-03-15 2021-03-15 페달 동작 운동기구
KR10-2021-0033288 2021-03-15
KR1020220024623A KR20230127040A (ko) 2022-02-24 2022-02-24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KR10-2022-0024623 2022-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7003A1 true WO2022197003A1 (ko) 2022-09-22

Family

ID=8332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3266 WO2022197003A1 (ko) 2021-03-15 2022-03-08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19700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9110A1 (en) * 2001-10-04 2003-04-10 Chung-Yhi Chang Exercise bike
KR20120100613A (ko) * 2011-03-04 2012-09-12 지디메디칼 주식회사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US20130017930A1 (en) * 2011-07-11 2013-01-17 Walton Christopher E Supine cycling exercise machine with a user repositionable crankarm and method of use
KR101572153B1 (ko) * 2014-10-27 2015-11-26 강호성 하늘자전거 페달 운동기구
US20200324163A1 (en) * 2019-04-12 2020-10-15 James Berry Abdominal exercise cycl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69110A1 (en) * 2001-10-04 2003-04-10 Chung-Yhi Chang Exercise bike
KR20120100613A (ko) * 2011-03-04 2012-09-12 지디메디칼 주식회사 척추재활 및 교정을 위한 척추근육 운동기구
US20130017930A1 (en) * 2011-07-11 2013-01-17 Walton Christopher E Supine cycling exercise machine with a user repositionable crankarm and method of use
KR101572153B1 (ko) * 2014-10-27 2015-11-26 강호성 하늘자전거 페달 운동기구
US20200324163A1 (en) * 2019-04-12 2020-10-15 James Berry Abdominal exercise cycl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466B2 (ja) 腹臥位式爬行運動器具
US5941800A (en) Rehabilitation exercise machine
US7494450B2 (en) Variable unweighting and resistance training and stretching apparatus for use with a cardiovascular or other exercise device
JP2010274117A (ja) 多目的運動器具
US7134989B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JP4523988B2 (ja) トレーニング装置
WO2022197003A1 (ko)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WO2010140808A2 (ko) 다목적 운동기구
RU23052U1 (ru) Тренажер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CN112190883A (zh) 一种用于引体向上训练的组装式训练架及安装方式
KR20230127040A (ko) 복부 운동과 하체 운동을 겸비한 운동기구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CN201431737Y (zh) 一种运动健身器
KR20020025307A (ko) 전신 운동기구
CN218187792U (zh) 一种陆地蛙泳腿部训练装置
RU2803379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реабилитации и укрепления рук и туловища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211635105U (zh) 一种逆向健身车
CN202802654U (zh) 一种仰卧起坐健身器
KR200351859Y1 (ko) 전신 운동용 트위스트 머신
RU2802147C1 (ru) Тренажер для укрепления верхних и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и туловища ВЕЛОСИПЕДИСТ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217091944U (zh) 一种健身综合训练器
WO2002036210A2 (en) Rotational exercise system, device and method
KR20220128762A (ko) 페달 동작 운동기구
KR200434032Y1 (ko) 전신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716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716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