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9050A -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 - Google Patents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050A
KR20220129050A KR1020227028499A KR20227028499A KR20220129050A KR 20220129050 A KR20220129050 A KR 20220129050A KR 1020227028499 A KR1020227028499 A KR 1020227028499A KR 20227028499 A KR20227028499 A KR 20227028499A KR 20220129050 A KR20220129050 A KR 20220129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isposed
annular member
battery cover
assemb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샤오샤 왕
Original Assignee
센젠 하이넷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하이넷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하이넷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9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50/188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the sealing members being arranged between the lid and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3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button or coi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7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조립 유닛은 케이싱, 밀봉 링 및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되, 케이싱에는 수용 캐비티가 구비되고, 케이싱은 환형의 지지 부재 및 지지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된 위치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는 수용 캐비티의 외측에 슬리빙되며 캐비티의 입구단에 배치되고, 위치제한 부재는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용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되고; 밀봉 링은 지지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환형 부재를 포함하고, 배터리 커버는 제1 환형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재에는 배터리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곡가능부가 구비된다. 상기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은,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최적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며 케이싱의 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
본 발명은 배터리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이 가능한 전원인 배터리는 다양한 경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종래의 버튼형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는 배터리 커버, 밀봉 링 및 배터리 케이스를 포함한다. 밀봉 방법은, (1) 밀봉 링이 배터리 케이스의 입구부 외벽에 끼워지고; (2) 배터리 커버가 밀봉 링의 외벽에 씌워져, 전용장치에 의해 배터리 커버로 입구부를 봉하는 것이다.
종래의 버튼형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는 구조가 합리적이지 않아 제조원가를 낮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최적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며 케이싱의 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케이싱, 밀봉 링 및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선조립 유닛으로서, 케이싱에는 수용 캐비티가 구비되고, 케이싱은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 및 지지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된 위치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는 수용 캐비티의 외측에 슬리빙되며 수용 캐비티의 입구단에 배치되고, 위치제한 부재는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용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되고; 밀봉 링은 지지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환형 부재를 포함하고, 배터리 커버는 제1 환형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재에는 배터리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곡가능부가 구비된 것인, 선조립 유닛을 제공한다.
상술한 선조립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케이싱의 입구단에 지지 부재와 위치제한 부재를 형성한 후, 성형완료된 밀봉 링을 지지 부재 상에 안착시키거나 밀봉제를 지지 부재 상에 도포하여 밀봉 링을 형성한 후, 배터리 커버를 밀봉 링 상에 배치하고, 이때, 위치제한 부재의 절곡가능부를 절곡하기만 하면 배터리 커버를 지지 부재 상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밀봉 링을 이용하여 배터리 커버가 수용 캐비티를 밀봉함으로써, 배터리 재료를 수용 캐비티에 밀봉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밀봉 구조체는 수용 캐비티의 입구단에 배치되므로, 배터리 재료는 수용 캐비티에 직접 투입될 수 있으며, 밀봉할 때 절곡가능부만 절곡하면 밀봉이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공정이 간소화된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밀봉 링은 수용 캐비티의 측벽과 밀착되도록 수용 캐비티 내로 많이 연장되지 않고도, 배터리 커버와 조합하여 밀봉할 수 있으므로, 수용 캐비티를 충분히 이용하여 배터리 재료를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선조립 유닛은 동일한 조건에서 보다 많은 배터리 재료를 미리 탑재할 수 있어 배터리 성능의 향상에 유리하다.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와 수용 캐비티의 입구단 사이에는 제1 호형 전이부가 구비되고, 제1 환형 부재에는 제1 호형 전이부와 정합되는 제1 결합면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환형 부재에 배터리 커버를 향하여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보상 돌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배터리 커버에 제1 환형 부재를 향하여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돌기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링은 위치제한 부재와 정합되는 제2 환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환형 부재와 제1 환형 부재는 고정 연결되어 "L"자 형상을 이루며, 제2 환형 부재의 일부는 배터리 커버 위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커버와 제2 환형 부재는 맞닿아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와 위치제한 부재 사이에는 제2 호형 전이부가 구비되고, 제1 환형 부재와 제2 환형 부재 사이에는 제2 호형 전이부와 정합되는 제2 결합면이 구비되며, 제2 환형 부재와 위치제한 부재는 서로 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환형 부재에 배터리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배터리 커버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보상 돌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배터리 커버의 외측에 제2 환형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돌기가 구비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선조립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로서, 절곡가능부는 절곡되어 배터리 커버를 가압하기 위한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인,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더 제공한다.
이러한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는 상술한 선조립 유닛을 적용함으로써, 케이싱의 입구단에 지지 부재와 위치제한 부재를 형성한 후, 성형완료된 밀봉 링을 지지 부재 상에 안착시키거나 밀봉제를 지지 부재 상에 도포하여 밀봉 링을 형성한 후, 배터리 커버를 밀봉 링 상에 배치하고, 이때, 위치제한 부재의 절곡가능부를 절곡하여 압착부를 형성하기만 하면 배터리 커버를 지지 부재 상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밀봉 링을 이용하여 배터리 커버가 수용 캐비티를 밀봉함으로써, 배터리 재료를 수용 캐비티에 밀봉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밀봉 구조체는 수용 캐비티의 입구단에 배치되므로, 배터리 재료는 수용 캐비티에 직접 투입될 수 있으며, 밀봉할 때 절곡가능부만 절곡하면 밀봉이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공정이 간소화된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밀봉 링은 수용 캐비티 내로 많이 연장되어 수용 캐비티의 측벽과 밀착될 필요가 없어, 수용 캐비티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수용 캐비티를 충분히 이용하여 배터리 재료를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는 동일한 조건에서 보다 많은 배터리 재료를 밀봉할 수 있어 배터리 성능의 향상에 유리하다.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밀봉 링은 위치제한 부재와 정합되는 제2 환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2 환형 부재와 제1 환형 부재는 고정 연결되어 "L"자 형상을 이루며, 제2 환형 부재의 일부는 배터리 커버 위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제2 환형 부재는 압착부에 의해 압착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포함하는 버튼형 배터리를 더 제공한다.
상기 버튼형 배터리는 전술한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채택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케이싱의 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조립 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영역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밀봉 링을 부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밀봉 링과 배터리 커버 사이의 결합을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선조립 유닛에 의해 형성된 배터리 밀봉 구조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영역을 확대하여 제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고정", “배치”, "고정되어 배치" 또는 "장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요소는 다른 요소 위에 직접 존재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요소가 다른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그 요소는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중간에 또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고정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두 요소는 착탈 가능한 연결 방식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착탈 불가한 연결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알려진 슬리빙 연결, 걸림 연결, 일체형 고정, 용접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요소와 다른 요소가 서로 수직되거나 거의 수직되는 것으로 지칭되는 경우, 두 요소의 이상적인 상태는 수직이지만, 제조 및 조립의 영향으로 인해 어느 정도의 수직 오차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수직”, “수평”, "좌", "우”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유일한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항목에 대한 임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구체적인 수량 및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명칭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형 배터리의 제조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관련 부품 및 재료는 사전 조립되어 마지막에 하나로 패키징된다. 종래의 버튼형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에는 단점이 존재하고 합리적이지 못하여, 개선이 필요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를 제조하기 위한 밀봉 구조체의 선조립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선조립 유닛은 케이싱(100), 밀봉 링(200) 및 배터리 커버(300)를 포함하되, 케이싱(100)에는 수용 캐비티(110)가 구비되고, 케이싱(100)은 환형의 지지 부재(120) 및 지지 부재(120)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된 위치제한 부재(130)를 포함하며, 지지 부재(120)는 수용 캐비티(110)의 외측에 슬리빙되며 캐비티(110)의 입구단에 배치되고, 위치제한 부재(130)는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용 캐비티(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밀봉 링(200)은 지지 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환형 부재(210)를 포함하고, 배터리 커버(300)는 제1 환형 부재(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재(130)에는 배터리 커버(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곡가능부가 구비된다.
상술한 선조립 유닛을 사용하는 경우, 케이싱(100)의 입구단에 지지 부재(120)와 위치제한 부재(130)를 형성한 후, 성형완료된 밀봉 링(200)을 지지 부재(120) 상에 안착시키거나 밀봉제를 지지 부재(120) 상에 도포하여 밀봉 링(200)을 형성한 후, 배터리 커버(300)를 밀봉 링(200) 상에 배치하고, 이때, 위치제한 부재(130)의 절곡가능부를 절곡하기만 하면 배터리 커버(300)를 지지 부재(120) 상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밀봉 링(200)을 이용하여 배터리 커버(300)가 수용 캐비티(110)를 밀봉함으로써, 배터리 재료를 수용 캐비티(110)에 밀봉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의 밀봉 구조체는 수용 캐비티(110)의 입구단에 배치되므로, 배터리 재료는 수용 캐비티(110)에 직접 투입될 수 있으며, 밀봉할 때 절곡가능부만 절곡하면 밀봉이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공정이 간소화된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밀봉 링(200)은 수용 캐비티(110) 내로 많이 연장되어 수용 캐비티(110)의 측벽과 밀착되지 않고도, 배터리 커버(300)와 조합하여 밀봉할 수 있으므로, 수용 캐비티(110)를 충분히 이용하여 배터리 재료를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선조립 유닛은 동일한 조건에서 보다 많은 배터리 재료를 미리 탑재할 수 있어 배터리 성능의 향상에 유리하다.
"절곡가능부"는 위치제한 부재(130)의 일부로서, 배터리 커버(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그 구조는 절곡되어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의 압착부(134)(즉, 밀봉구)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절곡가능부”의 구체적인 구조는 필요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가능부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 링(200)은 사출 성형되거나, 밀봉제를 이용하여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커버(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본 출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것이라면 다양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커버(300)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20)와 수용 캐비티(110)의 입구단 사이에는 제1 호형 전이부(140)가 구비되고, 제1 환형 부재(210)에는 제1 호형 전이부(140)와 정합되는 제1 결합면(212)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 호형 전이부(140)와 제1 결합면(212)의 조합을 통해 지지 부재(120)와 밀봉 링(200) 사이의 접촉 면적은 확장될 수 있고, 압착된 후 지지 부재(120)와 밀봉 링(200) 사이의 밀봉 효과는 보다 향상되고, 지지 부재(120)와 밀봉 링(200)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되고 틈이 없기 때문에, 배터리 커버(300)와 밀봉 링(200)은 보다 잘 밀착되므로, 지지 부재(120)와 밀봉 링(200) 사이, 또는 배터리 커버와 밀봉 링(200) 사이로부터 배터리 재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환형 부재(210)에는 제1 보상 돌기(214)가 구비되고, 제1 보상 돌기(214)는 배터리 커버(300)를 향하여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재(130)에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배터리 커버(300)에는 제1 환형 부재(210)를 향하여 배치되며 위치제한 부재(130)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돌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제1 보상 돌기(214)를 이용하여 절곡가능부(132)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밀봉 링(200)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한 해당 부위의 소재 소실을 채움으로써, 지지 부재(120)와 배터리 커버(300) 사이에 밀봉 재료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하여,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 사이의 밀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돌기를 이용하여 절곡가능부(132)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밀봉 링(200)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한 해당 부위의 소재 소실에 따른 간극에 삽입함으로써, 지지 부재(120)와 배터리 커버(300) 사이에 밀봉 재료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하여,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 사이의 밀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밀봉 링(200)은 위치제한 부재(130)와 정합되는 제2 환형 부재(220)를 더 포함하고, 제2 환형 부재(220)와 제1 환형 부재(210)는 고정 연결되어 "L"자 형상을 이루며, 제2 환형 부재(220)의 일부는 배터리 커버(300) 위로 돌출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환형 부재(210)와 제2 환형 부재(220)를 이용하여 배터리 커버(300)를 감싸고, 지지 부재와 배터리 커버(300)를 이용하여 제1 밀봉을 형성한 다음, 절곡가능부와 배터리 커버(300)를 이용하여 제2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 사이의 밀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방식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버튼형 배터리의 밀봉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버튼형 배터리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커버(300)와 제2 환형 부재(220)는 맞닿아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커버(300)의 측면과 위치제한 부재(130)를 이용하여 제3 밀봉을 더 형성함으로써,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 사이의 밀봉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배터리 커버(300)는 밀봉 링(200)에 의해 감싸지고, 케이싱(100)의 지지 부재(120)와 위치제한 부재(130)에 의해 압착됨으로써,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 사이에 치밀한 밀봉구가 형성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밀봉 링(200)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20)와 위치제한 부재(130) 사이에는 제2 호형 전이부(150)가 구비되고, 제1 환형 부재(210)와 제2 환형 부재(220) 사이에는 제2 호형 전이부(150)와 정합되는 제2 결합면(230)이 구비되며, 제2 환형 부재(220)와 위치제한 부재(130)는 서로 밀착된다. 이와 같이, 제2 호형 전이부(150)와 제2 결합면(230)의 조합을 이용하여, 케이싱(100)과 밀봉 링(200)이 밀접하게 정합되도록 함으로써, 입구부를 밀봉하는 공정에서 신뢰성이 보다 높은 밀봉 구조체를 형성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밀봉 링(200)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일 실시예에서, 제2 환형 부재(220)에는 제2 보상 돌기(미도시)가 구비되고, 제2 보상 돌기는 배터리 커버(300)의 상부에 배치되며 배터리 커버(300)에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배터리 커버(300)의 외측에는 제2 돌기(미도시)가 구비되고, 제2 돌기는 제2 환형 부재(22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보상 돌기를 이용하여 절곡가능부(132)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제2 환형 부재(220)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한 해당 부위의 소재 소실을 채움으로써, 위치제한 부재(130)와 배터리 커버(300) 사이에 밀봉 재료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하여,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 사이의 밀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2 돌기를 이용하여 절곡가능부(132)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제2 환형 부재(220)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한 해당 부위의 소재 소실에 따른 간극에 삽입함으로써, 위치제한 부재(130)와 배터리 커버(300) 사이에 밀봉 재료가 충분히 충진되도록 하여,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 사이의 밀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선조립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더 제공하고, 절곡가능부는 절곡되어 배터리 커버(300)를 가압하기 위한 압착부(134)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는 상술한 선조립 유닛을 적용함으로써, 케이싱(100)의 입구단에 지지 부재(120)와 위치제한 부재(130)를 형성한 후, 성형완료된 밀봉 링(200)을 지지 부재(120) 상에 안착시키거나 밀봉제를 지지 부재(120) 상에 도포하여 밀봉 링(200)을 형성한 후, 배터리 커버(300)를 밀봉 링(200) 상에 배치하고, 이때, 위치제한 부재(130)의 절곡가능부를 절곡하여 압착부(134)를 형성하기만 하면 배터리 커버(300)를 지지 부재(120) 상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도 2 및 도 6 참조), 밀봉 링(200)을 이용하여 배터리 커버(300)가 수용 캐비티(110)를 밀봉함으로써, 배터리 재료를 수용 캐비티(110)에 밀봉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00)의 밀봉 구조체는 수용 캐비티(110)의 입구단에 배치되므로, 배터리 재료는 수용 캐비티(110)에 직접 투입될 수 있으며, 밀봉할 때 절곡가능부만 절곡하면 밀봉이 실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 공정이 간소화된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밀봉 링(200)은 수용 캐비티(110) 내로 많이 연장되어 수용 캐비티(110)의 측벽과 밀착될 필요가 없어, 수용 캐비티(110)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수용 캐비티(110)를 충분히 이용하여 배터리 재료를 저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는 동일한 조건에서 보다 많은 배터리 재료를 밀봉할 수 있어 배터리 성능의 향상에 유리하다.
상기 지지 부재(120)는 수용 캐비티(11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클램핑과 같은 압착을 위한 동작의 수행이 용이하고, 압착부(134)와 지지 부재(120) 사이에 안정적인 클램핑 구조가 형성되어,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는 사이의 밀봉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클램핑 압착의 구현이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절감에 유리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밀봉 링(200)은 위치제한 부재(130)와 정합되는 제2 환형 부재(220)를 더 포함하고, 제2 환형 부재(220)와 제1 환형 부재(210)는 고정 연결되어 "L"자 형상을 이루며, 제2 환형 부재(220)의 일부는 배터리 커버(300) 위로 돌출되어 배치되며, 제2 환형 부재(220)는 압착부(134)에 의해 압착된다. 이와 같이, 제1 환형 부재(210)와 제2 환형 부재(220)를 이용하여 배터리 커버(300)를 감싸고, 지지 부재와 배터리 커버(300)를 이용하여 제1 밀봉을 형성한 다음, 압착부(134)와 배터리 커버(300)를 이용하여 제2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싱(100)과 배터리 커버(300) 사이의 밀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상기 방식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버튼형 배터리의 밀봉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버튼형 배터리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다른 측면에서, 본 출원은 상술한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포함하는 버튼형 배터리를 더 제공한다.
상기 버튼형 배터리는 전술한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채택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케이싱(100)의 공간 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구성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으며,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상기 실시예의 각 기술적 구성에 대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기술적 구성의 조합에 모순이 존재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명세서의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설명은 보다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및 개선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100: 케이싱, 110: 수용 캐비티, 120: 지지 부재, 130: 위치제한 부재, 132: 절곡가능부, 134: 압착부, 140: 제1 호형 전이부, 150: 제2 호형 전이부, 200: 밀봉 링, 210: 제1 환형 부재, 212: 제1 결합면, 214: 제1 보상 돌기, 220: 제2 환형 부재, 230: 제2 결합면, 300: 배터리 커버.

Claims (10)

  1. 수용 캐비티가 구비된 케이싱, 밀봉 링 및 배터리 커버를 포함하는 선조립 유닛으로서,
    상기 케이싱은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된 위치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수용 캐비티의 외측에 슬리빙되며 상기 수용 캐비티의 입구단에 배치되고, 상기 위치제한 부재는 환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 캐비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지지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환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제1 환형 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위치제한 부재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절곡가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수용 캐비티의 입구단 사이에는 제1 호형 전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환형 부재에는 상기 제1 호형 전이부와 정합되는 제1 결합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부재에 상기 배터리 커버를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위치제한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보상 돌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커버에 상기 제1 환형 부재를 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위치제한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유닛.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위치제한 부재와 정합되는 제2 환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환형 부재와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고정 연결되어 "L"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일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 위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와 상기 제2 환형 부재는 맞닿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위치제한 부재 사이에는 제2 호형 전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환형 부재와 상기 제2 환형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2 호형 전이부와 정합되는 제2 결합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와 상기 위치제한 부재는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커버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보상 돌기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외측에 상기 제2 환형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유닛.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조립 유닛을 포함하는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로서,
    상기 절곡가능부는 절곡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를 가압하기 위한 압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링은 상기 위치제한 부재와 정합되는 제2 환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환형 부재와 상기 제1 환형 부재는 고정 연결되어 "L"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2 환형 부재의 일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 위로 돌출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환형 부재는 상기 압착부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형 배터리.
KR1020227028499A 2020-02-10 2020-11-11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 KR202201290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083979.9A CN111162204A (zh) 2020-02-10 2020-02-10 纽扣电池、电池的密封结构及预装配单元
CN202010083979.9 2020-02-10
PCT/CN2020/128204 WO2021159791A1 (zh) 2020-02-10 2020-11-11 纽扣电池、电池的密封结构及预装配单元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050A true KR20220129050A (ko) 2022-09-22

Family

ID=7056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499A KR20220129050A (ko) 2020-02-10 2020-11-11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89548A1 (ko)
EP (1) EP4095992A1 (ko)
JP (1) JP2023513335A (ko)
KR (1) KR20220129050A (ko)
CN (1) CN111162204A (ko)
WO (1) WO2021159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2204A (zh) * 2020-02-10 2020-05-15 深圳市合壹新能技术有限公司 纽扣电池、电池的密封结构及预装配单元
CN112290131A (zh) * 2020-11-18 2021-01-29 江门市元熙科技有限公司 一种扣式电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1057B2 (ja) * 1995-06-09 2001-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電池
JP2002245987A (ja) * 2001-02-21 2002-08-30 Hitachi Maxell Ltd 密閉型の電池
JP5669369B2 (ja) * 2009-06-04 2015-02-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密閉型電池
CN202585607U (zh) * 2012-05-22 2012-12-05 因迪能源(苏州)有限公司 锂离子电池组合盖帽
CN204885334U (zh) * 2015-07-29 2015-12-16 东莞市金辉电源科技有限公司 低成本扣式镍氢电池
CN105226209B (zh) * 2015-10-20 2017-10-20 常州市武进中瑞电子有限公司 锂电池超薄动力组合盖帽
CN205645912U (zh) * 2016-05-19 2016-10-12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新型密封圈的圆柱型锂离子电池
CN211404535U (zh) * 2020-02-10 2020-09-01 深圳市合壹新能技术有限公司 纽扣电池、电池的密封结构及预装配单元
CN111162204A (zh) * 2020-02-10 2020-05-15 深圳市合壹新能技术有限公司 纽扣电池、电池的密封结构及预装配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95992A1 (en) 2022-11-30
WO2021159791A1 (zh) 2021-08-19
CN111162204A (zh) 2020-05-15
JP2023513335A (ja) 2023-03-30
US20230089548A1 (en)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9050A (ko) 버튼형 배터리, 배터리의 밀봉 구조체 및 선조립 유닛
KR101012871B1 (ko) 방수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KR101856334B1 (ko) 기밀한 노즐 구조를 갖는 복합재 용기
KR101678535B1 (ko) 밀폐케이스
CN104067430B (zh) 燃料电池堆
CN103392246A (zh) 扁平形电池
CN211404535U (zh) 纽扣电池、电池的密封结构及预装配单元
CN102221735B (zh) 光缆接头盒
CN103190834B (zh) 一种发热元件的密封结构
JP4250779B2 (ja) 密閉型電池
CN218118984U (zh) 一种分体式的水管法兰
CN213242680U (zh) 电池封口结构及纽扣电池
CN210012012U (zh) 可拼接式周转箱
CN209041549U (zh) 一种端面密封结构以及采用该结构的机油泵
CN209433075U (zh) 一种带独立密封通道的光缆接头盒缆口密封结构
CN108987622A (zh) 一种蓄电池及其防溢液腐蚀电池盖
CN105857916A (zh) 一种硅片运输装置
CN217426481U (zh) 一种点火器高压包
CN211820735U (zh) 一种高效机械密封件
CN208752742U (zh) Pos机密封安装组件
CN217115578U (zh) 一种接线盒
CN204942811U (zh) 一体密封式进水接头
JP4049594B2 (ja) 通信ケーブル等接続部用気密性収納容器及びガスケット
CN215061242U (zh) 一种高压氢气缓冲罐
CN208764318U (zh) 一种安装稳定型内燃机防水密封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