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707A -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707A
KR20220128707A KR1020210033145A KR20210033145A KR20220128707A KR 20220128707 A KR20220128707 A KR 20220128707A KR 1020210033145 A KR1020210033145 A KR 1020210033145A KR 20210033145 A KR20210033145 A KR 20210033145A KR 20220128707 A KR20220128707 A KR 20220128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ley
water
seeds
hours
barley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디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디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디앤티
Priority to KR102021003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8707A/ko
Publication of KR2022012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보리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리 종자를 깨끗한 물에 세척한 후 25℃의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단계; 상기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를 수분 퍼텐셜이 조정된 20℃의 무기염류 수용액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가 완료된 보리 종자를 5분동안 물로 무기염류를 세척하고, 이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보리 종자를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보리 종자에 저주파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저주파 진동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저주파 진동이 완료된 보리 종자를 25℃ 대기조건에서 침지상태를 유지하여 2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보리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METHOD FOR CULTIVATING BARLEY SPROUT}
본 발명은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아력과 유근 생장력을 증대하여 높은 생산성을 갖는 새싹보리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새싹보리는 보리의 어린 잎으로, 보리 순이라고도 하며, 영양가가 높고 효능이 다양한 건강푸드로 인식되어 있다. 새싹 보리는 종자를 침지, 파종, 생육 과정을 거쳐서 14일 전후의 15℃ 이하에서 자라기 때문에 박테리아나 병해충에 안전하여 살충제 등의 농약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무공해 식물이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새싹은 최근 새싹보리, 밀순 등 많은 종류의 새로운 새싹용 소재들이 고기능성과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웰빙 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새싹보리가 가지고 있는 많은 영양소 중에서 비타민, 미네랄,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강한 항산화력을 가지는데, 이는 우리 몸을 라디칼로부터 보호해주고, 면역 시스템을 증가시키며, 산화적 스트레스를 줄이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을 줄여주고, 수용성 섬유질은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하여 심장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이 있다. 또한, 새싹보리는 폴리페놀, 폴리코사놀, 사포나린 등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물질뿐만 아니라 고지혈증, 당뇨병 및 숙취 해소와 알코올성 지방간, 과체중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새싹보리는 원료 상태, 재배방식, 자라는 환경에 따라서 영양가 등 품질이 달라지는데, 재배방식으로는 대표적으로 노지재배와 수경재배가 있다.
노지 재배는 자연의 흙에 심어 흙 속의 양분을 먹고 장기간에 거쳐 자라나게 하는 방식으로 자라는 시간이 길고 자연 속 영양분을 먹고 자라며, 화학비료를 사용 또는 미사용하여 재배한다. 수경재배는 실내에서 물을 뿌려주어 키우는 방식으로 영양을 많이 가지고 있는 토양과는 다르게 물로만 재배된다. 성장속도는 노지 재배시보다 빠르고, 튼튼하게 자라지 못하고 영양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뿌리까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굳이 분리하지 않고 같이 갈아내는 경우가 많다.
노지 재배는 봄과 가을 연간 2회 생육기간으로 수확량이 한정되고, 일조량 및 기온 변화에 취약하여 생산량 변화를 피할 수 없으며, 오염 및 이물질 포함으로 인한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수경 재배시는 시설 재배의 하나로 연간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생육에 필요한 배양액을 별도로 확보하여야 안정적 수확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곰팡이 문제가 치명적이며, 이를 위한 수처리 시설 확보가 반 드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농가 보급 시 수경재배 기술에 대한 연수와 교육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선행특허문헌으로서, 한국등록특허 10-1710992호는 습도조절이 가능한 새싹보리 발아장치로서, 발아실의 내부 습도의 측정이 가능하게 하되 과도한 습도가 발생시 그 습도를 효과적으로 제거 및 적정 습도로의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과도한 습도로 인해 발아되는 새싹보리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 발아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새싹보리 발아장치를 제공하며, 한국등록특허 10-2121034호는 새싹보리 재배방법으로서, 보리의 발아 및 생육과정에서 기능성 상토 및 기능성 수용액을 사용하여 유효한 성분을 포함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본 발명의 무기염류 수용액 침지단계 및 저주파 부여 단계를 이용하는 재배방법과 근본적으로 차이점을 갖는 방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새싹보리의 발아력과 유근 생장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종자 전처리 방법을 도입한 새싹보리의 재배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새싹보리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리 종자를 깨끗한 물에 세척한 후 25℃의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단계; 상기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를 수분 퍼텐셜이 조정된 20℃의 무기염류 수용액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가 완료된 보리 종자를 5분동안 물로 무기염류를 세척하고, 이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보리 종자를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보리 종자에 저주파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저주파 진동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저주파 진동이 완료된 보리 종자를 25℃ 대기조건에서 침지상태를 유지하여 2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보리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기염류 수용액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LE GLYCOL), 염화나트륨(NaCl), 질산칼륨(KNO3), 인산칼륨(K3PO4), 인산칼륨(KH2PO4), 황산마그네슘(MgSO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선택되어지는 무기염류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LE GLYCOL)은, 분자량이 6000 내지 8000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수분 퍼텐셜은, -0.5 내지 -1.5 MPa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저주파 진동수단은, 음파 진동으로서 주파수 범위가 10 ㎐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보리 제조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발아전 새싹보리 종자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종자 발아력 및 유근 생장력을 증대할 수 있고, 나아가 새싹 보리의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새싹보리 종자의 우수한 발아력으로 인하여 병충해 또는 다른 재해에 대하여 내성이 우수한 새싹 보리를 재배할 수 있으며, 새싹 보리 특유의 영양적 특성이 우수하고, 식재료로서 기호성을 갖춘 새싹 보리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새싹보리 재배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보리 종자의 균일한 발아력 및 왕성한 초기 생육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아과정에서 필요한 수분 및 온도를 제어하고, 보리 종자의 생육활성을 증대하기 위한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종자의 발아는 종자가 적당한 환경조건에서 종피를 뚫고 유근 또는 어린 잎이 나오는 과정을 말한다. 환경조건에는 수분, 온도, 산소, 광 등이 관여한다.
일반적으로 종자의 발아과정은 종자가 일정량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고 적덩한 온도 조건에서 종자내 대사활동이 시작되어 유근 및 떡잎이 출현하고, 이어 어린 잎이 출현 생장하는 과정이다.
발아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수분의 흡수(Phase of water uptake) 과정은 흡수된 물은 세포를 팽창시키고 나아가 종자의 전체 부피가 커지며 종피는 더 많은 효소와 이산화탄소가 유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자가 부풀어 커짐에 따라 종피가 파열이 되고 물이나 가스의 흡수가 더욱 가속화 되며 나아가 배의 생장점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후 과정으로서 생리적인 활성 및 발아(Phase of physiological activation or germination) 과정이 나타나는데, 흡수된 수분을 이용하여 생화학적인 활성을 일으키는 단계로서 효소가 활성을 띠어 저장조직을 분해하고 자엽이나 배유의 저장조직에서 영양분을 생장점으로 전류시켜 새로운 성분을 합성하는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이후 생육단계(Phase of growth)로 이어지면서, 발아를 한 이후 유아와 유근이 출현하게 되며 세포의 신장에 의해서 생육이 진행이 되면서 수분함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종자의 발아과정을 종자내 수분함량으로 나타내면, 수분의 흡수(Phase of water uptake) 단계에서는 수분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구간이며, 이후 생리적인 활성 및 발아(Phase of physiological activation or germination)에서는 종자내 수분함량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생육단계(Phase of growth)에서는 발아 이후 생장과정의 진행을 위하여 종자 및 식물 생체내 수분 함량이 다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발아과정에서의 종자내 수분 함량 변화를 이용하여, 종자의 발아활력을 극대화하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보다 낮은 수분을 흡수시켜 내적으로 발아에 필요한 생리적인 단계를 진전시켜 종자 발아의 균일성 및 우수한 생장성을 확보하려는 기술이 보급되고 있다.
종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아제한 요소는 종피의 삼투성 및 산소투과성, 파이토크롬(Phytochrome)과 발아억제물질의 존재, 배의 생리적 불안정 등에 연관된 휴면, 종자의 충실도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요인들을 제거, 타파 및 억제시키기 위하여 생장조절물질 및 무기물질 등을 종자에 인위적으로 처리하여, 발아시간 단축, 발아율 향상, 생산성 향상 등을 도모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보리 종자의 발아 및 새싹 생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로서, 보리 종자에 대한 무기염류 수용액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보리 종자에 대하여 저주파 진동 부여 단계를 포함한다.
무기염류 수용액 처리 단계는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물에 잘 용해되는 물질을 물과 혼합하여 수분퍼텐셜을 낮게 한 후 종자와 혼합하여 일정 온도와 기간 동안 처리하는 과정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종자 발아과정중 생리적인 활성 및 발아(Phase of physiological activation or germination) 과정을 지속하여 발아 대상 전체 종자의 균일한 발아력을 확보하고, 종자내부 생리활성 상태를 높이는 과정이다.
저주파 진동 부여 단계는 종자에 기계적인 자극을 부여하여 생리활성을 높이는 과정이다. 또한, 기계적 진동을 통하여 종실과 종피간의 부착력을 약화시키고, 종피의 수분 침투성을 시킨다.
최근에는 종자 전처리 과정으로서 초음파 처리 과정을 통하여 발아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초음파와 같은 높은 대역의 에너지를 부여하는 경우, 종실 내부에 생리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초음파는 저주파에 비하여 그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음파 수단을 대체하여, 농가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그 제어도 용이한 저주파 수단을 이용하여 종자의 발아 활력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새싹보리 재배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을 도 1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새싹보리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리 종자를 깨끗한 물에 세척한 후 25℃의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단계; 상기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를 수분 퍼텐셜이 조정된 20℃의 무기염류 수용액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가 완료된 보리 종자를 5분동안 물로 무기염류를 세척하고, 이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보리 종자를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보리 종자에 저주파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저주파 진동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저주파 진동이 완료된 보리 종자를 25℃ 대기조건에서 침지상태를 유지하여 2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보리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1차 수분 흡수단계(S110)는, 상기 종자 발아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자 발아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사과정에 필요한 1차적인 수분을 흡수하는 단계이다. 종피에 존재하는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종자를 물로 세척한 후 육묘용 트레이와 페이퍼 타월을 사용하여 보리 종자를 배치하고, 25℃의 물에 24시간 침지하여 수분을 흡수하였다.
일반적으로 보리 종자의 발아를 위하여 수분을 흡수하는 과정은 2일 내지 4일 정도의 기간동안 침지하는 것도 무리가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1차 수분 흡수단계(S110) 이후 진행될 무기염류 수용액 침지과정 및 저주파 진동과정을 고려하여 24시간 동안 1차 수분 흡수과정을 진행하였다.
무기염류 수용액 침지단계(S120)는, 화학적으로 불활성이고 물에 잘 용해되는 물질을 물과 혼합하여 수분퍼텐셜을 낮게 한 후 종자와 혼합하여 일정 온도와 기간 동안 처리하는 과정이다. 종자 발아과정중 생리적인 활성 및 발아(Phase of physiological activation or germination) 과정을 지속하여 발아 대상 전체 종자의 균일한 발아력을 확보하고, 종자내부 생리활성 상태를 높이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상기 수분 퍼텐셜은, -0.5 내지 -1.5 MPa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무기염류 수용액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LE GLYCOL), 염화나트륨(NaCl), 질산칼륨(KNO3), 인산칼륨(K3PO4), 인산칼륨(KH2PO4), 황산마그네슘(MgSO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선택되어지는 무기염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LE GLYCOL)은, 분자량이 6000 내지 8000 범위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수분 흡수단계(S110)를 통하여 수분흡수가 완료된 보리 종자를 타월, 흡습지 등을 통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 퍼텐셜이 조정된 20℃의 무기염류 수용액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과정을 설명하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0(PEG 6000, Sigma사)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무기염류 수용액을 제조하는데, 수분 퍼텐셜의 조정을 위하여, PEG 6000 273g을 증류수 1L에 용해하여 -1.0 MPa 퍼텐셜로 조정이 가능하고, 또한, PEG 6000 342g을 증류수 1L에 용해하여 -1.5 MPa 퍼텐셜로 조정이 가능하다.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에 대하여 종자 내부 대사활성을 유지하면서 더이상의 수분 흡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수분 퍼텐셜이 조정된 무기염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바, -0.5 내지 -1.5 MPa 범위의 수분 퍼텐셜을 갖는 무기염류 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를 고장액 환경에 침지하여 일정한 수분 함량을 유지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무기염류 수용액의 제조를 위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LE GLYCOL), 염화나트륨(NaCl), 질산칼륨(KNO3), 인산칼륨(K3PO4), 인산칼륨(KH2PO4), 황산마그네슘(MgSO4) 등의 용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바, 시중에서 손쉽게 구입가능한 염화나트륨(NaCl)을 이용하여 수분 퍼텐셜을 조정하고,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세척 및 물기 제거단계(S130) 및 건조단계(S140)는, 무기염료 침지단계를 완료한 보리 종자에서 잔류하는 무기염류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이후 진행된 저주파 진동단계를 위하여 종자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과도한 수분제거는 종자내부 대사활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무기염류 용액으로 침지가 완료된 보리 종자를 5분동안 물로 무기염류를 세척하고, 이후 물기를 제거하고, 24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한다.
저주파 진동단계(S150)는, 종자에 기계적인 자극을 부여하여 생리활성을 높이는 과정이다. 또한, 기계적 진동을 통하여 종실과 종피간의 부착력을 약화시키고, 종피의 수분 침투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래 초음파 처리 과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저주파 진동과정을 창안하였는바, 이를 통하여 종실 내부의 생리활성 억제를 방지하고, 손쉽게 종자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보리 종자에 대한 저주파 진동 부여를 위하여,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진동장치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진동장치는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부 플레이트 상부에는 종자를 수납할 수 있는 저장조 또는 호퍼가 부착되고, 저장조 상부에는 덮개가 구성된다.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는 이격하여 설치되고, 그 이격된 공간 사이에는 음파 엑추에이터 및 탄성수단이 배치된다. 또한, 음파 엑추에이터의 주파수 제어를 위한 제어수단이 함께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음파의 주파수 대역범위는 20 Hz 에서 20 kHz 범위에 해당하고, 초음파의 주파스 대역범위는 20 kHz 내지 2 MHz 의 범위를 초과한다. 본 발명은 고에너지 부여에 의한 종자 생리활성 저해현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서 상기 저주파 진동수단은 음파 진동으로서 주파수 범위가 10 ㎐ 내지 1000㎐ 의 범위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된 보리 종자를 저주파 진동수단의 저장조에 적정량을 투입하고, 6시간 동안 저주파 진동을 부여한다. 저주파 진동단계를 통하여, 종실 자체의 수분 흡수력을 증대시키며, 아울러 종실과 종피의 부착력을 약화시켜 유근 등의 출현을 용이하게 하여 발아력을 향상시킨다.
2차 수분흡수 및 발아 생육단계(S160)는, 저주파 진동단계가 완료된 보리 종자에 대하여 본 발아과정 진행을 위한 2차 수분흡수 및 발아 생육을 진행한다. 축적된 대사활성 능력 및 수분 흡수력을 토대로 하여 보리 종자의 발아력은 극대화된다.
하부 방향으로 유근의 출현을 통하여 수분 흡수량이 증대되며, 상부 방향으로 어린 잎이 출현하여 광합성을 진행하게 된다. 발아 및 생육 조건과 관련하여, 25℃ 대기조건에서 침지상태를 유지하여 단계를 진행한다. 자연광원 또는 인공광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절한 수분양 및 수광량을 유지하며 보리 종자의 발아 및 생육을 관리한다. 어린 잎이 출현한 이후 초장이 12cm 내지 15cm 범위에 이르면 새싹 보리를 수확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5)

  1. 보리 종자를 깨끗한 물에 세척한 후 25℃의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하여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는 단계;
    상기 1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한 보리 종자를 수분 퍼텐셜이 조정된 20℃의 무기염류 수용액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가 완료된 보리 종자를 5분동안 물로 무기염류를 세척하고, 이후 물기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물기가 제거된 보리 종자를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보리 종자에 저주파 진동수단을 이용하여 6시간 동안 저주파 진동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저주파 진동이 완료된 보리 종자를 25℃ 대기조건에서 침지상태를 유지하여 2차적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발아 및 생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보리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류 수용액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LE GLYCOL), 염화나트륨(NaCl), 질산칼륨(KNO3), 인산칼륨(K3PO4), 인산칼륨(KH2PO4), 황산마그네슘(MgSO4)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하나 선택되어지는 무기염류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LE GLYCOL)은,
    분자량이 6000 내지 8000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퍼텐셜은,
    -0.5 내지 -1.5 MPa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진동수단은,
    음파 진동으로서 주파수 범위가 10 ㎐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보리의 재배방법.
KR1020210033145A 2021-03-15 2021-03-15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KR20220128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45A KR20220128707A (ko) 2021-03-15 2021-03-15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145A KR20220128707A (ko) 2021-03-15 2021-03-15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707A true KR20220128707A (ko) 2022-09-22

Family

ID=8344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145A KR20220128707A (ko) 2021-03-15 2021-03-15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87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02273A (en) Treatments of vegetable matter
KR102105738B1 (ko) 종자 프라이밍을 위한 개선된 방법
Sabongari et al. Effects of soaking duration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omato (Lycopersicum esculentum Mill)
CN109479689B (zh) 一种芸薹属蔬菜芽苗中褪黑素高效富集方法
US20140352210A1 (en) Ultrasonically enhanced seed germination system
CN108739370A (zh) 一种利用成熟莲胚进行快繁的方法
JP2015524250A5 (ko)
JP2015524250A (ja) 超音波強化種子発芽システム
AU2014410412B2 (en) Improved method for seed priming
KR101893753B1 (ko) 빌레나무의 실생번식 방법
WO2017117604A1 (en) Ultrasonically enhanced seed germ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seed after planting in soil
CN104429968A (zh) 一种战骨的组织培养方法
KR20220128707A (ko) 새싹보리를 재배하는 방법
CN109526298B (zh) 一种百香果种子处理方法及其播种繁殖方法
CN106550623A (zh) 一种黄芪种子的优质育苗方法
CN107820771A (zh) 一种薄壳山核桃砧木苗的培育方法
CN106612710A (zh) 一种广玉兰种子催芽方法
RU2708829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миниклубней картофеля
KR101383319B1 (ko) 고농도 산소수를 이용한 아이스플랜트 씨앗의 발아법
US2736643A (en) Application of hormones to the production of edible bean sprouts
JPH01168601A (ja) ワサビ種子保存法
RU2291606C2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сахарной кукурузы на зерно
SU1087098A1 (ru) Способ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 н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RU2246813C2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озимой пшеницы
Omran Effect of mechanical scarification, chilling, and gibberellic acid on germination of Leucaena leucocephala s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