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336A -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336A
KR20220128336A KR1020227020127A KR20227020127A KR20220128336A KR 20220128336 A KR20220128336 A KR 20220128336A KR 1020227020127 A KR1020227020127 A KR 1020227020127A KR 20227020127 A KR20227020127 A KR 20227020127A KR 20220128336 A KR20220128336 A KR 20220128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ewage
vacuum sewage
valve
control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리 로니섹
Original Assignee
아코 알만 에스에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코 알만 에스에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아코 알만 에스에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20128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30Relating to industrial water supply, e.g. used for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진공 오수 장치(100)에 있어서, 진공 변기 형태의 오수 수집 용기(102)와, 진공 오수 피팅(202)과, 오수 수집 용기(102)와 진공 오수 피팅(202) 사이에 연결된 오수 밸브(204)와,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와, 제어 유닛(106)을 가지며, 제어 유닛(106)은, 목표 상태에 대한 사양을 포함하는 메시지(902)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고, 목표 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제어된 방식으로 오수(wastewater)를 배출하고 모으기 위해 매우 다양한 유형의 오수 장치, 예를 들어 진공 변기(vacuum toilet), 다운파이프 변기(downpipe toilet) 또는 수세식 변기(flush toilet)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배출될 물질(예를 들어, 오수)의 배출이 중력 또는 중력 압력에 의해 구동되는 수세식 변기 또는 다운파이프 변기와는 달리, 진공 변기에서는 배출될 물질을 배출하는 부압이 인가된다. 다운파이프 변기는 낮은 물 소비량으로 작동될 수 있지만, 항상 매우 큰 낙하 높이를 필요로 하고, 빠르게 더러워지며, 일반적으로 단지 높은 위생 표준을 보장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수세식 변기는 위생적이지만, 보다 많은 물을 필요로 한다.
진공 변기는 위생적이고, 기존 수세식 변기에 비해 물 소비량을 감소시키고, 필요한 낙하 높이를 감소시키며(또는 불필요하게 함), 그렇지 않으면 중력이 작용해야 한다. 따라서, 진공 변기는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그러한 진공 변기는 예를 들어, 낙하 높이가 거의 또는 전혀 이용될 수 없는 작은 크기의 자율적인 응용 분야 또는 물이 단지 거의 소비되지 않아야 하는 응용 분야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응용 분야의 예로는, 예를 들어, 선박, 항공기 또는 기차와 같은 운송수단, 또는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시설, 예를 들어 병원 또는 군사 시설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변기 또는 진공 오수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른 응용 분야, 예를 들어 쇼핑 센터 또는 아파트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는 것으로 명백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저수량이 적은 영역에서, 이것은 예를 들어 물 부족으로 인해 수세식 변기가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물 절약적이고 위생적인 변기의 보다 양호한 구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수많은 진공 변기의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거나, 유지보수하거나, 유지보수 작업을 계획하는 데 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진공 변기의 보다 큰 복잡성 및 진공의 사용 때문이며, 이는 거의 항상 비전문가에 의한 고장 수리(troubleshooting)를 배제시킨다. 따라서, 유지보수 또는 고장 수리를 수행하기 위해 흔히 고비용의 기술자가 필요하게 된다. 진공 변기는 기술자가 도착할 때까지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지속시간(duration)의 감소 및 고장의 빈발은 진공 변기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의 결함 인식 및/또는 활성화가 용이해진다는 점에서, 진공 오수 장치 또는 다수의 진공 오수 장치의 그룹의 작동을 용이하게 하는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결함 원인에 대한 하나 또는 각각의 진공 변기의 진단은 원격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휴대 전화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명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가능한 결함 원인을 제거하는 대응책이 원격으로 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원격 제어식 진공 변기는 변기가 분리되거나 제거될 필요 없이 일부 유지보수 작업이 원격으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유지보수 작업은 서비스 시간을 절약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를 개략적인 측면도 또는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5 및 도 6은 각각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표 형식의 오버뷰를 도시하고;
도 7 및 도 9는 각각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개략적인 통신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하며;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개략적인 흐름도로 도시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그 일부를 형성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되며, 도면에는 본 발명이 수행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가 예시를 위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설명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상측", "하측", "전방", "후방", "전면", "후면" 등과 같은 방향 용어가 사용된다.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수의 상이한 배향으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용어는 예시를 위해 사용되며, 결코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고 구조적 또는 논리적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은, 달리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설명의 범위에서, 용어 "연결된", "부착된" 및 "결합된"은 직접 및 간접적인 연결(예를 들어, 옴 및/또는 전기 전도성, 예를 들어 전기 전도성 연결)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인 부착, 및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결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는 적절한 경우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어 "결합된" 또는 "결합하는"은 (예를 들어, 기계적, 정수학적(hydrostatic) 및/또는 전기적), 예를 들어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연결 및/또는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호작용(예를 들어, 신호)이 전달될 수 있는 상호작용 체인을 따라, 다수의 요소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결합된 2개의 요소는 서로 상호작용, 예를 들어 기계적, 정수학적 및/또는 전기적 상호작용을 교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된"은 예를 들어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에 의한 기계적(예를 들어, 물리적)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합은 기계적 상호작용(예를 들어, 힘, 토크 등)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다양한 단계 및 세부사항이 설명된다. 설명된 내용(예를 들어, 방법의 개별 단계)은 하드웨어(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드 회로(hard-wired circuit)) 및/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코드 세그먼트 또는 전체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코드 세그먼트(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갖고 프로세서에서 그리고/또는 프로세서를 갖는 회로에 의해 실행되거나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도 지칭됨)이 제공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또는 회로)는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장치 또는 고정식 컴퓨팅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일관된 그룹 내부에서 중앙에 배열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분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코드 세그먼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동일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거나, 그 일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분산될 수 있다.
방법의 정보 처리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제어 유닛으로도 지칭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장치의 구성요소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용어 "제어 장치"(제어 유닛으로도 지칭됨)는, 예를 들어 저장 매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회로 및/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는, 로직(logic)을 구현하는 임의의 유형의 엔티티(entity)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코드 세그먼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엔티티의 작동(예를 들어, 그 작동 지점), 예를 들어 작동 기능을 위한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는 엔티티(예를 들어, 장치 또는 프로세스)의 의도된 영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엔티티의 현재 상태(실제 상태로도 지칭됨)는 여기서는 사양(목표 상태로도 지칭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조절(regulation)은 오작동으로 인한 엔티티의 상태 변화가 또한 상쇄되는 제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제어기는 순방향 제어 경로를 명확하게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입력 변수(예를 들어, 사양)를 출력 변수로 변환하는 시퀀스 제어기를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경로는 또한 조절기가 구현되도록 제어 루프의 일부일 수 있다. 순방향만의 시퀀스 제어기와는 대조적으로, 조절기는 제어 루프(피드백)에 의해 수행되는 입력 변수에 대한 출력 변수의 점진적인 영향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제어기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절기가 사용될 수 있거나, 제어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엔티티의 상태(작업 지점 또는 작동 지점으로도 지칭됨)는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에 의해 규정될 수 있으며, 작동 파라미터의 실제 값은 엔티티의 실제 상태에 대응하고, 작동 파라미터의 목표 값(가이드 값(guide value)으로도 지칭됨)은 엔티티의 목표 상태에 대응한다. 조절기에서, 실제 상태(예를 들어, 측정에 기초하여 확인됨)는 목표 상태와 비교되고,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는 엔티티의 목표 상태로부터의 실제 상태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최종 제어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엔티티(예를 들어, 장치 또는 프로세스)의 상태는 예를 들어, 엔티티의 변경 가능한 파라미터(작동 파라미터로도 지칭됨)에 의해 포괄되는 공간(상태 공간으로도 지칭됨)에서의 소정 지점(작업 지점 또는 작동 지점으로도 지칭됨)으로서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엔티티의 상태는 엔티티의 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의 각 값의 함수이다.
제어기에서, 예를 들어 실제 상태는 엔티티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이후에, 조작 변수로도 지칭됨)가 예를 들어 최종 제어 요소에 의해 변경되는 것에 영향을 받는다. 조절기에서, 실제 상태는 목표 상태와 비교되고, 엔티티는 목표 상태로부터의 실제 상태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최종 제어 요소를 사용하여) 대응하는 조작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실제 상태는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이후에, 제어 변수로도 지칭됨)의 (예를 들어, 측정 요소에 의한) 측정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용어 "최종 제어 요소"(액추에이터로도 지칭됨)는 최종 제어 요소의 활성화가 일어나서 실제 상태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최종 제어 요소는 제어 장치에 의해 출력된 명령(소위 활성화)을 기계적 이동 또는 압력 또는 온도와 같은 물리적 변수의 변경으로 변환할 수 있다. 최종 제어 요소, 예를 들어 전기기계적 컨버터(electromechanical converter)는 예를 들어 활성화에 응답하여 전기 에너지를 (예를 들어, 이동에 의한)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종 제어 요소의 예는 밸브(또는 다른 유체-기계적 스위치), 펌프, (예를 들어, 구성요소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한) 전기 스위치를 포함한다.
용어 "프로세서"는 데이터 또는 신호의 처리를 허용하는 임의의 유형의 엔티티로서 이해될 수 있다. 데이터 또는 신호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즉, 하나 이상)의 특정 기능에 따라 핸들링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혼합 신호 회로, 로직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집적 회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거나, 이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각각의 기능의 구현의 임의의 다른 유형은 또한 프로세서 또는 로직 회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원에 상세하게 설명된 방법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은 프로세서에 의해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특정 기능을 통해 실행(예를 들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유사한 방식으로, 방법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방법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코드 세그먼트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진공 오수 장치의 다수의 유체 라인은, 유체 시스템이 형성되도록, 예를 들어 밸브, 시일, 커플링, 용기 등에 의해 서로 유체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용기는 메인 용기(오수 수집 용기로도 지칭됨)로서 구성된다.
진공 오수 장치는 또한 하나 이상의 피팅(fitting)(작동 피팅으로도 지칭됨), 예를 들어 진공 오수 피팅, 제어 가스 피팅 및/또는 급수 피팅을 가질 수 있다. 피팅은, 예를 들어 나사 또는 플랜지에 의해, 그와 매칭되는 상대 피팅과 결합될 수 있다. 피팅은 연결부를 외부에 대해 밀봉할 수 있는 시일 구조체(예를 들어, 시일을 수용하기 위한 홈 및/또는 시일면)를 가질 수 있다. 진공 오수 피팅은 예를 들어 외부에 대해 진공-기밀(vacuum-tight) 밀봉된,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진공 오수 피팅은 진공-기밀 연결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는 본원에서 중공 본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용기는 용기 본체를 가질 수 있으며, 용기 본체의 내부(공동(cavity)으로도 지칭됨)는 개구(용기 입구로도 지칭됨)에 의해 노출된다. 용기는 커버(용기 커버로도 지칭됨)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으며, 커버는 예를 들어 피봇 베어링(pivot bearing)에 의해 용기 본체에 결합된다. 피봇 베어링은 커버에 다수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커버는 이러한 위치들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함께 결합될 때(즉,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용기 본체와 커버는 내부를 원주방향으로 획정할 수 있다. 즉, 커버는 폐쇄 위치에서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커버의 개방 위치에서, 내부는 개구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용기 본체는 다수의 측면(예를 들어, 적어도 5개의 측면)에서 내부를 획정하는 하나 이상의 용기 벽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내부는 개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용기는 공동에 의해 용기 입구에 유체적으로 결합된 출구(용기 출구로도 지칭됨)를 가질 수 있다.
메인 용기는 명확하게는 공기 또는 주변으로 개방된 유체 시스템의 단부일 수 있으며, 여기서 오수(예를 들어, 배출될 대변(feces)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함)가 부압에 의해 메인 용기로부터 인출되기 전에 수집 및 축적된다. 따라서, 메인 용기는 예를 들어 내부에 의해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3개의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메인 용기의 예는 변기 보울(toilet bowl)(간략한 형태로 보울로도 지칭됨), 소변기(urinal), 샤워 트레이(shower tray), 욕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변기 보울 또는 소변기의 경우에, 본원에 제공된 양태는 그 작동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변기 보울로 언급된다. 그러나, 설명된 사항은 다른 오수 수집 용기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공된 유체 시스템은 메인 용기를 작동 피팅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거나, 대안적으로 유체적 연결을 해제(즉,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연결의 이러한 해제 또는 설정은, 예를 들어 상호연결된 밸브에 의해, 가역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작동 피팅의 예는 메인 용기로부터 인출된 오수를 (예를 들어 오수 시스템 내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진공 오수 피팅; 메인 용기에 공급된 물(급수로도 지칭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급수 피팅; 용기로부터 인출된 가스(예를 들어, 취기물질(odorant)을 가짐)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배기 피팅; 및/또는 유체-기계적 밸브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가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어 가스 피팅을 가질 수 있다. 급수는 메인 용기에서 용기 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다른 물질(예를 들어, 대변과 같은 고형물)과 혼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오수가 형성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가스는 배기 인터페이스에 의해 인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밸브는 밸브가 연결된 유체 시스템의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들이 유체(가스 및/또는 액체를 가짐)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밸브는 또한 유체의 교환이 차단되도록 유체적 연결이 해제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연결의 설정 및/또는 연결의 해제는 밸브를 활성화하거나 활성화에 의해 (예를 들어, 교대로) 스위칭하여서 수행할 수 있다. 연결은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설정될 수 있고,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역적으로, 이산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예를 들어, 그 사이의 중간 상태를 취함)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 사이를 스위칭하는 것(위치설정 프로세스로도 지칭됨)이 가능하다. 밸브가 개방 상태에 있는 지속시간은 개방 지속시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밸브가 폐쇄 상태에 있는 지속시간은 폐쇄 지속시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밸브의 활성화는 예를 들어 밸브의 제어 입력부에 공급될 수 있는 전기 제어 신호 및/또는 유체-기계적 제어 신호(예를 들어, 압력 변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체(예를 들어, 가스 및/또는 액체를 포함하거나 그로 형성됨)는 유체-기계적 제어 신호의 캐리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기계적 제어 신호(예를 들어, 압력 변화)는 캐리어로서 가스를 사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기 제어 신호는 유체-기계적 제어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유체-기계적 제어 신호의 캐리어로서의 가스의 경우에, 전기공압적 제어 메커니즘으로도 지칭됨).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유체-기계적 제어 신호의 캐리어로서의 가스가 이후에 언급된다. 설명된 사항은 유체-기계적 제어 신호의 캐리어로서 액체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기 구성요소(예를 들어, 전기 작동식 밸브)에 의한 공압 구성요소(예를 들어, 공압 작동식 밸브)의 제어는 전기공압적 제어 메커니즘으로 이해될 수 있다. 공압 구성요소의 위치설정 프로세스(명백하게는 상태 변경)를 수행하는 공압 제어 수단으로서 압력차가 공압 구성요소에 인가될 수 있다. 위치설정 프로세스를 역전시키기 위해, 압력차가 변경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차를 해제하기 위해, 위치설정 프로세스를 역전시키는 압력 균등화가 수행될 수 있다. 공압 구성요소(예를 들어, 밸브)의 위치설정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압력차 값은 스위칭 압력(switching pressure)으로도 지칭된다. 스위칭 압력은 기준 압력, 예를 들어 제어 압력 및/또는 대기압과 관련될 수 있다.
스위칭 압력 또는 압력 균등화의 인가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밸브, 즉 전기 신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밸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밸브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전기 제어 신호를 하나 또는 각각의 밸브에 공급하는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오직 공압 제어 메커니즘과는 대조적으로, 전기공압식 제어 메커니즘은, 특히 전자 회로,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장치, 보다 적은 반응 시간 및/또는 보다 작은 구조적 형태를 사용하여 훨씬 더 복잡한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 작동식 밸브(전기 밸브로도 지칭됨)는 전기자(예를 들어, 플랩(flap), 슬라이드(slide) 등을 가짐)와, 제어 입력부를 갖는 전기기계적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기계적 액추에이터는 전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전기자에 기계적 이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체적 연결의 단면 축소 또는 단면 확대가 수행되게 된다. 전기기계적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석 또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와 전기자 사이의 기계적 이동을 전달하는 자기장이 생성된다.
유체-기계적 밸브(예를 들어, 공압 밸브)는 전기자(예를 들어, 플랩, 슬라이드 등을 가짐) 및 제어 입력부, 예를 들어 멤브레인(membrane), 피스톤 등을 포함하는 유체-기계적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기계적 액추에이터는 유체-기계적 압력 변화를 기계적 이동(또는 그 변화)으로 변환하고, 기계적 이동을 전기자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체 연결부의 단면 축소 또는 단면 확대가 수행되게 된다.
센서(검출기로도 지칭됨)는 센서 유형, 예를 들어 물리적 또는 화학적 특성 및/또는 재료 상태에 대응하는 그 주변의 특성을 정성적으로 또는 정량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된 변환기(transducer)로서 이해될 수 있다. 측정된 변수는 센서에 의한 측정에 적용되는 해당 물리적 변수이다. 측정될 센서 주변의 복잡성에 따라, 센서는 단지 측정된 변수의 2개의 상태만을 구별할 수 있거나(측정 스위치(measuring switch)로도 지칭됨), 측정된 변수의 2개 초과의 상태를 구별할 수 있거나, 측정된 변수를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 스위치(센서의 일부임, 간략히 스위치로도 지칭됨)는 예를 들어 측정된 변수가 기준치를 충족하는지(예를 들어, 임계 값을 초과하거나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짐),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하는지 여부만을 구별할 수 있다. 측정 스위치의 일 예는 측정된 변수로서의 압력이 부압인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이다. 측정 스위치의 다른 예는, 예를 들어 센서가 물과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서, 측정된 변수로서의 충전 레벨(레벨로도 지칭됨)이 센서의 위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충전 레벨 센서이다. 정량적으로 검출된 측정된 변수의 일 예는 예를 들어 유체 유량(예를 들어, 통과 유량)이며, 그 실제 상태는 센서에 의해 실제 값으로 출력될 수 있다. 측정 스위치를 갖는 충전 레벨 센서의 예는 진동 포크 충전 레벨 스위치(oscillating fork fill level switch)(진동 포크를 포함함); 리미트 스위치 레벨 미터(limit switch level meter)(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함); 커패시턴스 스위치 충전 레벨 센서(capacitance switch fill level sensor)(커패시턴스 스위치를 포함함); 플로트 스위치 충전 레벨 스위치(float switch fill level switch)(플로트 스위치를 포함함)를 갖는다. 측정 스위치의 예는 광학 레벨 미터; 충전 레벨 전극; 레이더 레벨 미터; 용량성 레벨 미터; 초음파 레벨 미터를 포함한다.
센서는 대응하는 기반구조(infrastructure)(예를 들어, 프로세서, 저장 매체 및/또는 버스 시스템 등을 포함함)를 갖는 측정 체인의 일부일 수 있다. 측정 체인은 대응하는 센서(예를 들어, 물 센서, 압력 센서 및/또는 작동 센서)를 활성화시키고, 입력 변수로서 검출된 측정 변수를 처리하고, 이에 기초하여 검출 시점에서의 입력 변수의 상태를 나타내는 출력 변수로서 전기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 체인은 예를 들어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범위에 따라 구분하여, 로컬 네트워크(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AN), 무선 LAN(WLAN) 또는 개인 영역 통신망(PAN), 예를 들어 무선 PAN(WPAN), 예를 들어 블루투스 네트워크) 또는 비로컬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시권 통신망(MAN), 광역 통신망(WAN), 세계적 통신망(CAN))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로 형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전송 유형에 따라 구분하여, 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무선 네트워크로도 지칭됨),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포함하거나, 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3세대(3G), 4세대(4G), 5세대(5G) 또는 LTE(3.9G로도 지칭됨)의 모바일 무선 표준에 따라, 예를 들어 셀룰러 라디오 네트워크(예를 들어, 애드혹 모드(ad-hoc mode)에서 IEEE 802.11 유형의 WLAN, 블루투스 네트워크, 또는 다른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서로 연결된 다양한 유형의 다수의 서브네트워크를 가질 수 있다.
정보 아이템의 전달(정보 전달)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네트워크 CP)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정보 전달은 네트워크 CP에 따라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적어도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적어도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CP는 명확하게는 둘 이상의 당사자들 사이에서 정보 전달을 실행하는 합의를 지칭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로, 네트워크 CP는 정보 전달의 구문(syntax), 의미(semantics) 및 동기화를 설정하는 규칙 세트로서 규정될 수 있다.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임의로 선택될 수 있고, OSI(open system interconnect;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기준 모델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그러나, 그럴 필요는 없음). 각각의 프로토콜 계층에서 임의의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WLAN 또는 다른 라디오 기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의 WLAN을 통한 정보 아이템의 전송은 WLAN 통신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정보를 갖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발신자 측에서는, 메시지가 적어도 생성되고 또한 구성에 따라 송신될 수 있다. 그러면, 수신자 측에서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이벤트에 대한 빈도라는 용어는 이벤트의 발생 횟수에 관한 사양, 따라서 다수의 이벤트에 걸친 카운팅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빈도는 절대 횟수(예를 들어, "5회") 또는 기간과 관련된 횟수("시간당 5회")로서 표시될 수 있다. 기간과 관련된 횟수는, 예를 들어 이벤트가 반드시 정기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경우라도, 빈도(명확하게는 기간에 대해 평균된 빈도)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100)를 개략적인 측면도 또는 단면도로 도시한다. 진공 오수 장치(100)는 오수 수집 용기(102)와, 진공 오수 피팅(202)과, 오수 수집 용기(102)와 진공 오수 피팅(202) 사이에 연결된 오수 밸브(204)를 포함한다. 진공 오수 장치(100)는 또한 적어도 하나(즉, 하나 이상)의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를 갖는다.
오수 밸브(204)는 약 2 ㎝(센티미터) 초과, 예를 들어 약 3 ㎝ 초과, 예를 들어 약 4 ㎝ 초과, 예를 들어 약 5 ㎝ 초과, 예를 들어 약 6 ㎝ 초과, 예를 들어 약 7 ㎝ 초과, 예를 들어 약 10 ㎝ 초과의 개방 상태의 내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각각의)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는 일반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의 실제 상태를 변경하도록(예를 들어 이를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는 진공 오수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설정 가능한 작동 파라미터(간략화를 위해 작동 파라미터로도 지칭됨)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진공 오수 장치(100)는 네트워크 CP에 따라 메시지(902)를 수신(153)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902)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가 제어 장치(106)에 의해 활성화(151)되거나, 작동 파라미터가 설정되고, 예를 들어 다수의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가 활성화(151)된다. 제어 장치(106)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902)를 수신(153)하는 것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의 활성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6)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902)를 수신(153)하는 것이 적어도 하나의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의 활성화를 트리거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은, 예를 들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작동 기능을 실행하여서, 특정 목표 상태가 취해져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명령은 작동 기능의 저장된 작동 파라미터가 업데이트됨을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령은 작동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진공 오수 장치(100) 외부로부터 지시(명령)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작동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 자체의 제어 장치(106)에 의해(예를 들어, 자율적으로), 예를 들어 작동 기능과 연관된 이벤트가 확인되는 것 및/또는 실제 상태가 작동 기능과 연관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것에 응답하여(즉, 자동으로) 트리거(개시)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그 중에서도, 메시지(902)를 통해 작동 기능을 명령하는 것이 언급된다. 설명된 사항은 작동 기능이 진공 오수 장치(100) 자체의 제어 장치(106)에 의해(예를 들어, 자율적으로) 개시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설정 가능한 작동 파라미터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 오수 수집 용기(102)에 공급되는 물의 유입량(물 유입량으로도 지칭됨),
- 오수 밸브(204)의 제어 입력부 압력(예를 들어, 스위칭 압력 및/또는 부압 사이에서 교번함),
- 압력차(예를 들어, 밸브를 가로질러 하강함),
- 오수 수집 용기(102)의 충전 레벨.
물 유입량은 예를 들어 다수의 플러싱 프로세스(flushing process)와 관련될 수 있고(예를 들어, 다수의 플러싱 프로세스에 대해 합산됨), 그리고/또는 플러싱 프로세스 내에서의 (예를 들어, 속도, 즉 단위 시간당 물 유입량으로서) 소정 시점과 관련될 수 있다(순시 값으로도 지칭됨).
다른 작동 파라미터는 제어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작동 파라미터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의 위치설정 프로세스를 위한 시간 지정으로서의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
- 하나 이상의 결함 상태의 기준 압력, 및/또는
- 하나 이상의 결함 상태의 기준치(예를 들어, 임계 값).
위치설정 프로세스에 관한 시간 지정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다른 위치설정 프로세스 또는 검출된 이벤트와 관련하여) 위치설정 프로세스가 시작 및/또는 종료하는 시기, 위치설정 프로세스가 지속되는 지속시간, 위치설정 프로세스의 결과가 유지되는 지속시간(예를 들어, 개방 지속시간 또는 폐쇄 지속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된 지속시간은 예를 들어, 2개의 바로 연이은 위치설정 프로세스를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최종 제어 요소(216, 206a, 206b)는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함께, 연이어서(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활성화(151)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그 중에서도, 밸브 형태의 최종 제어 요소가 언급된다. 밸브는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기능에 따라 오수 밸브, 제어 밸브, 급수 밸브 등으로 지칭된다. 그러나, 설명된 사항은 최종 제어 요소 또는 다른 유형의 밸브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200)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100)를 개략적인 측면도 또는 단면도로 도시한다. 진공 오수 장치(100)는 용기 본체로서 보울(102)을 가질 수 있다. 변기(102)는 내부(102h)와, 이를 노출하는 용기 입구(102o)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는 용기 입구(102o)를 교대로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커버(102d)를 가질 수 있다.
진공 오수 장치(100)는 출구측에서 보울(102)(즉, 보울(102)의 오수 출구(104))에 결합된 공압 오수 밸브(204)를 가질 수 있다. 오수 밸브(204)는, 예를 들어 오수 라인(2021)에 의해, 보울(102)과 오수 피팅(20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오수 밸브(204), 오수 출구(104), 오수 라인(2021), 및/또는 오수 피팅(202)은 예를 들어 약 1 ㎝(센티미터)초과, 예를 들어 약 2 ㎝ 초과, 예를 들어 약 3 ㎝ 초과, 예를 들어 약 4 ㎝ 초과, 예를 들어 약 5 ㎝ 초과, 예를 들어 약 6 ㎝ 초과, 예를 들어 약 7 ㎝ 초과, 예를 들어 약 10 ㎝ 초과의 직경을 갖는 피팅(예를 들어, 플랜지)을 가질 수 있다.
내부(102h)는 예를 들어, 약 5 L(리터) 내지 약 100 L 범위, 예를 들어 약 5 L 내지 약 50 L 범위, 예를 들어 20 L 미만의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진공 오수 장치(100)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연결 라인에 의해, 오수 피팅(202)(예를 들어, 오수 라인(2021))과 오수 밸브(204)(예를 들어, 그 제어 피팅(204s)) 사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제어 밸브(206a)를 가질 수 있다. 정확히 하나의 전기 제어 밸브(206a)가 사용되는 경우, 전기 제어 밸브(206a)는 삼방향 밸브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제어 가스 입구(208)에 결합될 수 있다. 삼방향 밸브는 필요한 밸브의 수를 감소시킨다.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206a)에 의해, 오수 밸브(204)는 오수 피팅(202)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수 피팅(202)의 압력이 오수 밸브(204)(즉, 그 제어 입력부(204s))에 인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오수 밸브(204)는 내부(102h)를 오수 피팅(202)에 유체적으로 연결하고, 즉 오수 밸브(204)는 개방 상태가 된다.
오수 피팅(202)의 압력(배기 압력으로도 지칭됨)은 일반적으로 부압(간략한 형태로 진공으로도 지칭됨), 즉 보울(102)에 작용하는 주변 압력(간략한 형태로 대기압으로도 지칭됨)보다 낮은 압력일 수 있다. 지구 대기의 중력 압력은 지구의 중력에 의해 유발되는 대기압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배기 압력은 예를 들어 오수 피팅(202)에 결합된 펌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206a)에 의해, 오수 밸브(204)(예를 들어, 그 제어 피팅(204s))는 제어 가스 입구(208)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 가스의 압력이 오수 밸브(204)에 인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오수 밸브(204)는 내부(102h)와 오수 피팅(202) 사이의 유체적 연결을 해제하고, 즉 폐쇄 상태가 된다. 제어 가스의 압력(제어 압력으로도 지칭됨)은 예를 들어 대기압 또는 대기압 초과의 압력(과압으로도 지칭됨)일 수 있다. 제어 가스는 예를 들어 대기 공기를 포함할 수 있거나 그로 형성될 수 있다.
대기압이 사용되는 경우, 제어 가스 입구(208)는 대기에 노출된 라인 단부(208)와, 선택적으로 스로틀(throttle)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과압이 사용되는 경우, 제어 가스 입구(208)는 제어 가스 피팅(208)을 가질 수 있다. 과압은 예를 들어 제어 가스 피팅(208)에 결합된 압축기에 의해 제공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압력으로서 과압이 사용되는지 대기압이 사용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어 가스 입구(208)에 대해 설명된 사항은 제어 가스 피팅(208)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대기압은 과압 및/또는 부압과 약 0.1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2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3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4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5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6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7 bar 이상만큼 상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과압은 부압과 약 0.1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2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3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4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5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6 bar 이상, 예를 들어 약 0.7 bar 이상만큼 상이할 수 있다. 차이가 클수록, 내부(102h)로부터의 오수의 인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진공 오수 장치(100)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연결 라인에 의해, 급수 피팅(212)(예를 들어, 급수 라인(2121))과 보울(102)의 하나 이상의 급수 개구(226) 사이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전기 급수 밸브(216)를 가질 수 있다. 급수 개구(226)는 내부(102h)가 급수 피팅(212)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때 급수가 내부(102h)로 유동하는 지점일 수 있다.
진공 오수 장치(100)는 또한 전기 밸브(216, 206a)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106)를 가질 수 있다. 활성화는, 작동 기능에 따라, 예를 들어 목표 상태가 비워진 용기(102)를 나타내는 경우 작동 기능으로서 비움 시퀀스(emptying sequence)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비움 시퀀스는 내부(102h)(예를 들어, 하나 또는 각각의 급수 개구(226))가 급수 피팅(212)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오수 밸브(204)가 폐쇄 상태가 되는(즉, 오수 밸브(204)의 제어 피팅(204s)이 제어 가스 입구(208)에 유체적으로 연결됨) 제 1 단계(간략한 형태로 플러싱 프로세스로도 지칭됨)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216)의 개방 지속시간(플러싱 지속시간으로도 지칭됨)이 예를 들어 작동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움 시퀀스는 오수 밸브(204)가 개방 상태가 되고(즉, 오수 밸브(204)의 제어 피팅(204s)이 오수 피팅(202)에 유체적으로 연결됨), 그리고/또는 급수 피팅(212)과 내부(102h)(예를 들어, 하나 또는 각각의 급수 개구(226)) 사이의 유체적 연결이 해제되는 제 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오수 밸브(204)의 개방 지속시간이 예를 들어 작동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움 시퀀스는 오수 피팅(202)이 폐쇄 상태가 되고, 그리고/또는 급수 피팅(212)과 내부(102h)(예를 들어, 하나 또는 각각의 급수 개구(226)) 사이의 유체적 연결이 해제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는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작동 기능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활성화를 위해, 대응하는 전기 제어 신호가 활성화될 전기 밸브(216, 206a)의 제어 입력부(SV1, SV3, SV2)에 공급될 수 있다.
제 1 단계 또는 플러싱 프로세스가 생략되는 경우, 비움 시퀀스 대신에 비상 비움 시퀀스가 작동 기능(비상 비움(emergency emptying)으로도 지칭됨)으로서 제공된다.
제 2 단계 및 제 3 단계가 생략되는 경우, 비움 시퀀스 대신에 플러싱 프로세스가 작동 기능(변기 플러싱(toilet flushing)으로도 지칭됨)으로서 제공된다.
작동 기능에 따른 활성화는 예를 들어 목표 상태가 취해져야 하는 경우(또는 실제 상태가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실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 진공 오수 장치(100)는 제어 장치(106)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센서(S1, S2, S3, S4, 30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의 예는 작동 센서(302), 물 센서(S4, S3), 및/또는 압력 센서(S1, S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제 1 물 센서(S4)(예를 들어, 측정 스위치)는 예를 들어 측정된 변수로서 내부의 물 충전 레벨, 즉 내부(102h)에 있는 오수의 양에 관한 사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이후에는 충전 레벨 센서로도 지칭됨). 이를 위해, 하나 또는 각각의 충전 레벨 센서는 예를 들어 내부(102h)에 결합될(예를 들어, 인접할) 수 있다. 물 충전 레벨은 예를 들어 질량, 체적 또는 레벨 높이, 또는 이를 나타내는 사양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2 물 센서(S3)는, 예를 들어 내부(102h)로의 물 유입량, 예를 들어 그 유입 속도, 즉 내부(102h)로 공급되는 급수의 양 또는 속도에 관한 사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이후에는 유입량 센서 또는 관통 유량 센서로도 지칭됨). 이를 위해, 하나 또는 각각의 유입량 센서는 예를 들어 급수 피팅(예를 들어, 급수 밸브(216))과 내부(102h) 사이의 유체 라인에 결합될 수 있다. 유입 속도는 예를 들어 표준 체적 유량 또는 질량 체적 유량, 또는 이를 나타내는 사양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압력 센서(S1)(예를 들어, 측정 스위치)는 측정된 변수로서 배기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 또는 각각의 제 1 압력 센서(S1)는 예를 들어 오수 피팅(202)과 제어 밸브(206a) 사이의 유체 라인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2 압력 센서(S2)(예를 들어, 측정 스위치)는 측정된 변수로서 오수 밸브(204)의 제어 입력부(204s)의 압력(제어 입력부 압력으로도 지칭됨), 즉 제어 입력부(204s) 내에 지배적인 압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 또는 각각의 제 2 압력 센서(S2)는 예를 들어 제어 입력부(204s)와 제어 밸브(206a) 사이의 유체 라인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작동 센서(302)는 측정된 변수로서 사용자에 의한 작동, 즉 사용자의 터치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움 시퀀스는, 예를 들어 작동 센서(302)의 작동이 검출되었을 때, 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작동 센서의 작동은 목표 상태를 비워진 용기(102)로 업데이트한다. 작동 센서(302)는 예를 들어 전기 또는 물리적 스위치(버튼으로도 지칭됨), 예를 들어 압력 스위치, 및/또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예를 들어 목표 상태로부터의 실제 상태의 편차를 확인하거나, 대응하는 명령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다른 작동 기능이 개시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하나 이상의 대응책이 또한 예를 들어 작동 기능으로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일 예에서, 진공 변기(100)의 플러싱(변기 플러시로도 지칭됨)은 (SV1에서) 제어 장치(106) 및 양방향 밸브(216)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가 플러시 버튼(302)을 누르는 경우, 제어 장치(106)는 사전지정된, 예를 들어 저장된 시간(공급 시간으로도 지칭됨) 동안 급수 밸브(216)를 개방하고 변기 보울을 플러싱한다. 공급 시간의 경과 후에, 급수 밸브(216)는 폐쇄되고, 변기 플러시를 정지시킨다.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의 용기(102)는 예를 들어 커버와 유사하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커버와는 대조적으로 용기 입구(102o)를 노출시키고 그리고/또는 그것을 형성하는 개구(시트 개구(seat opening)로도 지칭됨)를 갖는 시트(seat)(224)를 가질 수 있다. 시트(224)는 대안적으로 용기(102)의 모놀리식 구성요소(monolithic component)일 수 있다. 시트는 예를 들어 시트 개구를 둘러싸는 인체공학적 형상의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시트(224)는 스위치 또는 단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비데(bidet)(도시되지 않음)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비데는 유입 피팅(212)에 결합될 수 있고, 시트 개구 및/또는 내부(102h) 내로 워터제트(waterjet)를 방출하는 작동 기능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응하는 밸브는 유입 피팅(212)과 비데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어 장치(106)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비데는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비데 최종 제어 요소로도 지칭됨)에 의해 활성화 및/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비데에 의해 급수가 공급되는 시간(즉, 비데 최종 제어 요소가 켜져 있는 시간)이 작동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다수의 양방향 밸브가 제어 밸브(206a, 206b)로 사용된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0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300)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100)를 개략적인 측면도 또는 단면도로 도시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개별 및/또는 중첩 제어 신호에 의해, 오수 밸브(204)의 보다 신속한 스위칭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제어 밸브(206a)는 제어 가스 입구(208)와 오수 밸브(20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제어 밸브(206b)는 오수 피팅(202)과 오수 밸브(20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진공 변기(100)의 비움은 제어 장치(106) 및 다수의 양방향 밸브(SV2, SV3)에 의해 제어된다. 사용자가 플러시 버튼(302)을 누르면, 제어 장치(106)는 사전지정된, 예를 들어 저장된 시간(비움 지속시간으로도 지칭됨) 동안 제 1 제어 밸브(206a)를 개방하고, 진공은 오수 밸브(204)(출구 밸브로도 지칭됨)에 도달하고, 오수 밸브(204)를 개방한다. 비움 지속시간의 경과 후에, 제 1 제어 밸브(206a)는 폐쇄되고, 제 2 제어 밸브(206b)는 개방된다. 다음에, 이러한 밸브는 주변 압력을 오수 밸브(204)에 인가하고, 따라서 오수 밸브(204)를 폐쇄한다.
2개의 양방향 밸브(SV2 및 SV3) 대신에, 삼방향 밸브(도 2 참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양방향 밸브(206a)는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그 후방의 스로틀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제어 가스 입구(208)가 스로틀(208d)(제어 가스 스로틀로도 지칭됨), 예를 들어 스로틀 밸브를 가질 수 있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00 또는 300)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400)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100)를 개략적인 측면도 또는 단면도로 도시한다. 제어 가스 스로틀(208d)은 유동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가스 스로틀(208d)은 예를 들어 제 1 제어 밸브(206)가 생략될 수 있게 한다.
제어 가스 스로틀(208d)은 다수의 양방향 밸브(SV2, SV3)(도 3 참조) 또는 삼방향 밸브(SV2)(도 2 참조)의 존재 하에서도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의 다양한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장치가 이하에서 언급된다. 제어 장치는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 또는 진공 오수 장치(106)의 외부에 있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구현된 제어 장치일 수 있으며, 후자의 제어 장치는 메시지를 통해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에 지시(명령으로도 지칭됨)하도록 구성된다. 후자의 제어 장치는 명확하게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와 통신하고 원격으로 제어, 진단 및/또는 모니터링(원격 제어, 원격 진단 또는 원격 모니터링으로도 지칭됨)을 구현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확인된 실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에 의해 진공 오수 장치(100)의 오작동(장애로도 지칭됨)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오작동과 연관된 대응책이 수행되어 오작동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오작동의 확인을 표 형식의 오버뷰(tabular overview)(500)로 도시한다.
표 형식의 오버뷰(500)에서, 오작동 1 내지 10의 예가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서 그에 기초하여 각각의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는(즉, 오작동과 연관된) 센서(들)가 "Y"로 표시된다. 진공 오수 장치(100)의 확인된 실제 상태가 목표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그에 기초하여(즉, 센서에 의해), 센서와 연관된 고려되는 하나 이상의 오작동(예를 들어, 결함 원인)이 확인될 수 있다. 실제 오작동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소위 추가 사양에 의해 고려되는 오작동들(즉, 이들은 서로 구별될 수 있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준 파라미터(예를 들어, 기준 시간, 기준치, 임계 값, 및/또는 기준 압력)는 제어 장치(106)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902)에 따라 선택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저장된 작동 파라미터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작동을 확인하기 위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오작동과 연관된 기준치는 작동 파라미터 또는 측정된 변수가 작동 준비 상태(operational readiness)의 사양을 충족하지 않거나 거의 충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 예로서, 오작동과 연관된 임계 값이 초과되거나 충족하지 않으면, 기준치가 충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 언급된다. 설명된 사항은 각각의 오작동과 연관된 기준치가 충족되는 시기를 규정하는 다른 조건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 오작동("진공 공급 결함")은 배기 압력이 예를 들어 오수 밸브를 스위칭하고 그리고/또는 오수를 배출하기에 부적절한 것을 명확하게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압력과 기준 압력의 차이가 임계 값(압력차 임계 값으로도 지칭됨)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에 제 1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다.
배기 압력과 기준 압력 사이의 차이가 사전지정된, 예를 들어 저장된 기간(기준 기간으로도 지칭됨)에 걸친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확인되는 경우에 제 1 오작동이 선택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기준 기간은 예를 들어 비움 시퀀스의 지속시간보다 길 수 있다. 기준 기간의 경과는 명확하게는 타이머를 구현할 수 있다.
제 2 오작동("진공 제어 결함")은 부압이 예를 들어 오수 밸브를 스위칭하기 위한 제어 입력부 압력으로서 부적절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입력부 압력과 기준 압력의 차이가 압력차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와, 이것이 오수 밸브(204)의 제어 입력부(204s)가 오수 피팅(202)에 유체적으로 연결될 때도 그렇다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확인되는 경우에 제 2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다. 제 2 오작동은 예를 들어 제 2 제어 밸브(206b)(제공되는 경우)가 손상된 것(예를 들어, 결함이 있는 것) 및/또는 제 1 제어 밸브(206a) 및 오수 밸브(204) 사이에 누출이 존재하는 것이 원인일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오작동에 대한 압력차 임계 값은 예를 들어 오수 밸브(204)의 스위칭 압력 이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및/또는 제 2 오작동에 대한 기준 압력은 대기압 또는 제어 압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오작동에 대한 기준 압력이 배기 압력인 경우, 제 1 제어 밸브(206a)보다 하강하는 압력차는, 예를 들어 다수의 압력 센서(S1, S2)에 의해, (제 1 제어 밸브(206a)가 개방 상태인 경우) 차이로서 확인된다. 그러면, 대응하는(명확하게는 더 낮은) 압력차 임계 값이 초과되는 경우(예를 들어, 배기 압력의 10%), 기준치가 충족될 수 있다.
제 3 오작동("제 2 제어 밸브의 결함")은 제 2 제어 밸브(206b)(존재하는 경우)가 손상된 것(예를 들어, 결함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오작동과 유사하게, 제어 입력부 압력과 기준 압력 사이의 차이가 검출될 수 있다. 제 2 오작동과 대조적으로, 제 3 오작동의 경우에,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제어 밸브(206b)의 스위칭 시의 차이의 변화가 (명백하게 낮은)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결함 상태와 제 2 결함 상태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 밸브(206b)의 스위칭이 오수 밸브(204)의 제어 입력부(204s)에서 필요한 압력 변화를 유발하는지 여부가 명확하게 점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 밸브(206b)의 작동 준비 상태(즉, 스위칭 기능)의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제 4 오작동("충전 레벨 미달")은 충전 레벨이 예를 들어 완전한 비움에 적절하지 않은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내부(102h)의 충전 레벨이 충전 레벨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와, 이것이 플러싱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도 그렇다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확인되는 경우에 제 4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다. 충전 레벨 임계 값은 예를 들어 제 1 물 센서(S4)의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102h)에 남아있는 물의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충전 레벨의 제어 및/또는 조절이 구현될 수 있다.
제 5 오작동("급수 밸브의 결함")은 급수 밸브(216)(존재하는 경우)의 스위칭이 손상된 것(예를 들어, 결함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유입량의 변화가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와, 이것이 급수 밸브(216)의 스위칭 시에도 그렇다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확인되는 경우에 제 5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밸브(216)의 작동 준비 상태(즉, 스위칭 기능)의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제 6 오작동("급수 밸브의 누출")은 급수 밸브(216)(존재하는 경우)가 누출(예를 들어, 결함)이 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 6 오작동은 물 유입량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와, 이것이 급수 밸브(216)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즉, 명확하게 유체적 연결이 차단되어야 하는 동안)에도 그렇다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확인되는 경우에 제 6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급수 밸브(216)의 누출량의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제 7 오작동("비데의 누출")은 비데(워시렛(washlet)으로도 지칭됨)가 손상된 것(예를 들어, 결함이 있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물 유입량이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와, 이것이 비데가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작동되는 동안 또는 비데가 폐쇄되고 그리고/또는 작동된 후에도 그렇다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확인되는 경우에 제 7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데의 누출량의 점검이 수행될 수 있다.
제 8 오작동, 제 9 오작동 및/또는 제 10 오작동은 충전 레벨이 초과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102h)의 충전 레벨이 충전 레벨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충전 레벨 초과로도 지칭됨), 예를 들어 급수 밸브(216)가 폐쇄된 경우에 제 8, 제 9 및/또는 제 10 오작동이 확인될 수 있다.
제 8 오작동("급수 밸브의 결함")은, 충전 레벨이 비상 비움(명확하게는, 예를 들어 변기의 막힘을 풀기 위한, 플러싱 프로세스가 없는 비움 시퀀스)을 수행할 때 감소하고, 그리고/또는 비상 비움이 수행된 후에 반복적으로 초과되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추가로 확인되는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
제 9 오작동("막힘")은, 비상 비움을 수행한 후에 급수의 공급량이 비상 비움을 수행하기 전의 충전 레벨에 도달하는 임계 값 미만으로 떨어진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추가로 확인되는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2)의 내용물이 완전히 드레인되지 않거나 너무 적게 드레인된다는 것이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이전 충전 레벨에 도달하기 위해 약간의 물만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임계 값은 예를 들어 충전 레벨 센서의 충전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의 용기(102)의 체적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0 오작동("비움 메커니즘의 결함")은, 비상 비움을 수행할 때 및/또는 비상 비움이 수행된 후에 (예를 들어, 중단 없이) 충전 레벨이 기준치를 충족하는 것이 (예를 들어, 추가 사양으로서) 추가로 확인되는 경우에 확인될 수 있다. 오수 밸브(204)의 스위칭이 손상된 것(예를 들어, 결함이 있는 것), 제 1 제어 밸브(206a)가 손상된 것(예를 들어, 결함 또는 누출이 있는 것), 오수 밸브(204)와 제 1 제어 밸브(206a) 사이에 누출이 존재하는 것, 및/또는 오수 피팅(202)과 제 1 제어 밸브(206a) 사이에 누출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 비움 메커니즘이 손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오작동이 확인되었는지 여부 또는 어떤 오작동이 확인되었는지에 응답하여 작동 기능으로서 하나 이상의 대응책을 수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오작동이 확인되었는지 여부 또는 어떤 오작동이 확인되었는지에 응답하여 작동 기능으로서 진공 오수 장치(100)를 알람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시지(902)는 제어 장치(106)에 의해 네트워크 CP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메시지(902)는 예를 들어, 확인된 실제 상태, 확인된 오작동, 활성화된 알람 상태 및/또는 수행된 하나 이상의 대응책에 관한 사양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902)는 예를 들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수신기(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 어드레싱되어 이러한 수신기에 의해 또한 수신될 수 있다. 메시지(902)의 생성은 예를 들어 확인된 실제 상태 및/또는 확인된 오작동에 응답하여 제어 장치(106)에 의해 예를 들어 독립적으로(예를 들어, 자율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장치(106)에 의한 메시지(902)의 생성은 대응하는 사양(들)을 제공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에 응답하여 개시될 수 있다(제어 장치의 판독으로도 지칭됨).
전술한 메커니즘은 가능한 오작동의 확인, 추가 사양의 확인 및/또는 실제 오작동의 확인을 포함하는 진단을 작동 기능으로서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예를 들어 제어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다수의 대응책을 표 형식의 오버뷰(600)로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오작동이 확인되었는지 여부 또는 어떤 오작동이 확인되었는지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 이상의 대응책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메시지(902)는 네트워크 CP에 따라 제어 장치(106)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제어 장치(106)는 예를 들어 실제 상태 및/또는 오작동에 응답하여 및/또는 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명령에 의해) 수행될 대응책을 명령한다. 이것은 실제 상태 및/또는 오작동의 확인이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에 의해 확인된 실제 상태 및/또는 오작동에 응답하여 및/또는 그에 기초하여, 대응책이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에 의해 독립적으로(예를 들어, 자율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후자의 경우가 언급된다. 설명된 사항은 대응책이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명령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 1, 제 2, 제 3, 제 5, 제 6, 제 7, 제 8, 제 9, 및/또는 제 10 오작동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여, 진공 오수 장치(100)는 알람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알람 상태의 활성화로도 지칭됨). 제 1 오작동을 확인하는 것에 응답하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는 예를 들어 기준 기간의 경과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 7 오작동에 응답하여, 비데의 비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전 레벨이 더욱 증가하는 것, 즉 보다 많은 물이 공급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예를 들어 누출의 경우에, 알람 상태의 활성화가 수행될 수 있다.
제 4 오작동에 응답하여, 내부(102h)와 급수 피팅(212)의 유체적 연결은 예를 들어 (플러싱 프로세스와 유사하게) 급수 밸브(216)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가 내부(102h)에 공급될 수 있다(재충전으로도 지칭됨). 공급되는 급수의 양은 예를 들어 검출된 충전 레벨에 기초하여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다.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 6, 제 7, 제 8, 제 9 및/또는 제 10 오작동에 대해 비상 비움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비상 비움은 플러싱 프로세스 수행 없이 내부(102h)를 오수 피팅(202)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건식 비움으로도 지칭됨).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 8, 제 9 및/또는 제 10 오작동에 대해 비데의 비활성화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의 물 소비량에 관한 사양(소비량 사양으로도 지칭됨)은 예를 들어 플러싱 프로세스마다, 복수의 플러싱 프로세스 동안, 및/또는 사전지정된 기간(예를 들어, 며칠, 몇 주 또는 몇 달)에 걸쳐 확인될 수 있다. 소비량 사양은 유입량 센서(S3)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은 소비량 사양에 관한 사양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CP에 따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시스템(700)을 개략적인 통신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다. 용어 "시스템"은 상호작용하는 엔티티의 세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호작용하는 엔티티들의 세트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즉, 하나 이상)의 물리적 구성요소,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CP,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저장 매체에 저장됨)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구성요소의 예는 제어 장치(106),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604, 606),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각각의 컴퓨팅 장치(604)(수신기 장치로도 지칭됨)는 선택적으로 시스템(700)에 의해, 예를 들어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등록되거나 등록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604, 606)의 예는 컴퓨팅 시스템(606)(예를 들어, 서버, 컴퓨터 등), 모바일 무선 장치(604)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무선 장치는 휴대 전화, 예를 들어 피처폰 또는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페이저(pager), 태블릿, 랩톱, 스마트워치, 또는 이러한 장치 유형으로 구성된 혼합 형태일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606) 및/또는 제어 장치(106)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대한 유선 연결을 통해, 예를 들어 이더넷을 통해 그리고/또는 RS-485(물리적 인터페이스에 대한 산업 표준)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어 장치(106) 및/또는 모바일 무선 장치(604)는 네트워크(602)에 대한 무선 연결(무선 연결로도 지칭됨)에 의해, 예를 들어 WLAN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700)은 네트워크(602)에 대한 연결(네트워크 연결로도 지칭됨), 예를 들어 인터넷 연결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602)에 의해, 시스템(700)의 물리적 구성요소는 통신을 위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즉 정보의 아이템을 교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시지, 및 그 생성 및 전송이 언급된다. 메시지는 네트워크 연결의 각 네트워크 CP에 따라 생성 및/또는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무선 통신용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CP(무선 네트워크 CP로도 지칭됨)는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장치(102)가 연결되는 셀룰러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LAN, GSM 네트워크, GPRS 네트워크, UMTS 네트워크 및/또는 LTE 네트워크에 따를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CP는 예를 들어 (OSI 모델에 따라) 네트워크 계층, 보안 계층 및/또는 비트 전송 계층의 세부사항을 규정할 수 있다. 메시지는 예를 들어 그 위에 있는 계층, 예를 들어 세션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전송, 송신 및/또는 수신될 수 있다.
보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는 인터넷 연결, 즉 시스템(700)이 인터넷(602)(컴퓨터 네트워크의 전세계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갖거나 그 일부인 것이 언급된다. 그러나, 설명된 사항은 다른 컨스텔레이션(constellation) 또는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시스템(700)은 모바일 무선 장치(604)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장치(604)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CP에 따라, 네트워크(602)와 무선으로(즉, 라디오를 통해) 통신(301)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CP에 따라 네트워크(602)와 모바일 무선 장치(604) 사이에서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다. 시스템(700)은 모바일 무선 장치(604)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컴퓨팅 시스템(606)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606)은 유선 네트워크 CP에 따라 네트워크(602)에 대한 통신 연결(303)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선 네트워크 CP에 따라, 네트워크(602)와 컴퓨팅 시스템(606) 사이에서 메시지가 교환될 수 있다.
시스템(700)은 네트워크(602)에 대한 통신 연결(305)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어 장치(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각각의 제어 장치(106)는 유선 네트워크 CP 또는 무선 네트워크 CP에 따라 네트워크(602)에 연결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각각의 제어 장치(106)는 선택적으로 시스템(700)에 의해, 예를 들어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등록되거나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진공 오수 장치(100)는 네트워크(602)에 대한 통신 연결(305)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어 장치(106)에 의해 시스템(700)에 등록(305)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각각의 컴퓨팅 장치(604, 606)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604, 606)에 설치되고(예를 들어, 운영 체제에서 비휘발성 방식으로 내장됨) 그리고/또는 이에 의해 실행되는 로컬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웹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른 컴퓨팅 시스템(304)에서 실행될 수 있고,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이 (예를 들어, 원격 액세스와 유사하게) 모바일 무선 장치(604)의 웹 브라우저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제어 장치(106)와 통신하고,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6)로 또는 제어 장치(106)로부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어 장치(106)를 판독하고, 그리고/또는 제어 장치(106)에 명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향에 따라, 메시지가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제어 장치(106)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제어 장치(106)로부터 송신된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604, 606)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이 어떻게 수행될지에 따라, 예를 들어 모바일 무선 장치(604) 및/또는 컴퓨팅 시스템(606)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시스템(7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장치(604)(예를 들어, 그 애플리케이션)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제어 유닛과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장치(604)는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606)의 저장 매체로부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가질 수 있다.
모바일 무선 장치(604)의 애플리케이션은 하기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된 진공 오수 장치(100)의 표시(예를 들어, 목록 표시), 명령 및/또는 판독;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예를 들어, 사용 준비, 알람 모드 활성화, 사용중 등)의 표시;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의 위치 설명의 표시; 선택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강도의 표시; 및/또는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의 마지막 사용의 시점(예를 들어, 날짜)의 표시.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무선 네트워크로도 지칭됨)에 등록된 각 진공 오수 장치(100)가 표시 및/또는 액세스될 수 있다(즉, 판독 및/또는 명령됨).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예를 들어,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시스템에 등록된 진공 오수 장치(100)는,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에 따라, 그룹화될 수 있도록 등록된 무선 네트워크와 연관되거나 연관될 수 있다. 모바일 무선 장치(604)가 또한 연결된 무선 네트워크에 등록된 진공 오수 장치(100)는 이하에서 간략한 형태로 가시적 진공 오수 장치(100)로 지칭된다.
컴퓨팅 장치(606)의 애플리케이션은 하기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시스템에 등록된 진공 오수 장치(100)의 표시(예를 들어, 목록 표시), 명령 및/또는 판독;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예를 들어, 사용 준비, 알람 모드 활성화, 준비중 등)의 표시; 선택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 강도의 표시; 및/또는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100)의 마지막 사용의 시점(예를 들어, 날짜)의 표시. 예를 들어, 시스템에 등록된 진공 오수 장치(100) 각각이 표시 및/또는 액세스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606) 및/또는 모바일 무선 장치(604)의 애플리케이션은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에 대한 액세스에 의해(즉, 원격 액세스를 통해) 하기의 하위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 진공 오수 장치(100)의 현재 구성을 판독 및/또는 변경하는 것;
- 진공 오수 장치(100)의 위치 설명(예를 들어, 캐빈 "xxx")을 판독 및/또는 변경하는 것;
- 용이한 배향을 위해 가시적 진공 오수 장치(100)의 목록에서 위치 설명을 볼 수 있는 것;
- 진공 오수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작동 기능(예를 들어, 플러싱 프로세스, 전체 비움 시퀀스 및/또는 비상 비움)을 명령(즉, 지시)하는 것;
- (예를 들어, 보다 양호한 유지보수 계획을 위해) 변기 사용 이력 및/또는 변기의 주요 구성요소의 사이클/플러시 횟수를 판독하는 것;
- 활성화된 알람 모드의 가능한 원인을 확인하는 것.
진공 오수 장치의 구성을 판독 및/또는 변경하는 것은 진공 오수 장치(100)의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판독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밸브(216)의 개방 지속시간(플러싱 지속시간으로도 지칭됨), 오수 밸브(204)의 개방 지속시간(비움 지속시간으로도 지칭됨), 하나 또는 각각의 오작동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준치, 및/또는 이에 대응하는 관련 대응책.
선택적으로, 플러싱 프로세스당 소비량 사양은 컴퓨팅 시스템(606) 및/또는 모바일 무선 장치(604)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드시 모바일 무선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컴퓨팅 시스템(606)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복수의 플러싱 프로세스 동안에 그리고/또는 사전지정된 기간에 걸쳐 소비량 사양이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6)(이후에는 진단으로도 지칭됨) 및/또는 컴퓨팅 장치(904)(이후에는 원격 진단으로도 지칭됨)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800)을 개략적인 흐름도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904)는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0)의 명령 및/또는 원격 진단이 수행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간략한 형태로 제어 장치로도 지칭됨)를 구현할 수 있다.
방법(800)은, 801에서, 진공 오수 장치의 센서에 의해 진공 오수 장치의 목표 상태로부터 진공 오수 장치의 실제 상태의 편차(상태 편차로도 지칭됨)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오수 장치의 다수의 오작동(명확하게 고려됨)은 센서와 연관될 수 있고 센서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다수의 결함 원인은 명확하게 센서의 유사한 측정 값을 유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실제 결함 원인을 명료하게 결론짓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하기의 오작동들 중 2개 이상이 제 1 물 센서(S4)와 연관될 수 있다: "급수 밸브의 결함", "막힘" 및/또는 "비움 메커니즘의 결함". 예를 들어, 하기의 오작동들 중 2개 이상이 제 2 물 센서(S3)와 연관될 수 있다: "충전 레벨 미달", "급수 밸브의 결함", "급수 밸브의 누출" 및/또는 "비데의 누출". 예를 들어, 하기의 오작동들 중 2개 이상이 제 1 압력 센서(S1)와 연관될 수 있다: "진공 공급 결함", "진공 제어 결함" 및/또는 "제 2 제어 밸브의 결함". 예를 들어, 하기의 오작동이 제 2 압력 센서(S2)와 연관될 수 있다: "진공 공급 결함" 및 "진공 제어 결함".
방법(800)은, 803에서, 진공 오수 장치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사양(추가 사양으로도 지칭됨)에 기초하여 다수의 오작동 중 하나의 오작동(실제 오작동으로도 지칭됨)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사양은, 확인된 검출 상태가 명료하도록, 확인된 상태 편차에 대해 고려되는 결함 원인의 수를, 예를 들어 1로 명확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방법(800)은, 805에서, 확인된 오작동을 나타내는 결함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함 메시지의 출력은 예를 들어 알람 상태의 활성화를 수행하는 것, 및/또는 메시지를 통해 이를 명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함 메시지의 출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100) 및/또는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결함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사양은 예를 들어 실제 오작동과 연관된, 예를 들어 측정 값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추가 사양은, 예를 들어 실제 상태(예를 들어, 작동 파라미터의 실제 값)가 진공 오수 장치(100)의 다른 센서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검출된다는 점에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측정 값이 조합되어 실제 오작동에 대한 보다 양호한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압력 센서(S2)에 의해 진공 공급 결함과 진공 제어 결함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의 최종 제어 요소의 활성화가 추가 사양을 확인하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최종 제어 요소의 활성화에 대한 반응은 진공 오수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레벨 초과 시에 비상 비움이 수행될 수 있다. 비상 비움에 응답하여 충전 레벨 초과가 제거되지 않으면, 막힘이 존재할 수 있다. 비상 비움에 응답하여 급수 레벨 초과가 잠시 동안만 제거되면, 급수에서의 누출이 존재할 수 있다. 급수의 공급에 응답하여 충전 레벨 초과가 제거되지 않으면, 비움 메커니즘에 결함이 존재할 수 있다(오수 밸브가 영구적으로 개방될 수 있음). 급수의 공급에 응답하여 충전 레벨 초과가 잠시 동안만 제거되면, 오수 밸브(204)의 누출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결함 상태는 유사한 방식으로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900)의 시스템(700)을 개략적인 통신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다.
방법(900)은 컴퓨팅 장치(904)(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606) 및/또는 모바일 무선 장치(604))와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 사이에서 네트워크 CP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시지(902)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CP는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CP, 예를 들어 WLAN-CP 또는 LTE CP를 가질 수 있다.
하기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은 대안적으로 개별적으로(예를 들어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구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하에서 예로서 설명되는 하기의 양태들 각각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양태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제공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진공 오수 장치(100)(예를 들어, 진공 변기)의 원격 제어된 양방향 통신이 컴퓨팅 장치(904), 예를 들어 휴대 전화(604), 태블릿(604) 또는 컴퓨터(606)와 수행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4)는 원격 제어 장치를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은 컴퓨팅 장치(904)에 의한 진공 오수 장치(100)의 원격 제어/구성, 및/또는 설치된 센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진공 스위치 또는 압력 센서, 적어도 하나의 유량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수위 스위치 또는 수위 센서에 기초하는 진공 오수 장치(100)(또는 그 구성요소 및 작동 기능)의 기능(작동 준비 상태로도 지칭됨)의 원격 모니터링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6) 및/또는 컴퓨팅 장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원격 모니터링은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의 결과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제어 장치(106)에 의해 저장된 작동 파라미터(예를 들어, 작동 기능)를 업데이트하거나 작동 기능의 수행을 개시하는(원격 개시로도 지칭됨) 명령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진공 오수 장치(100)가 원격으로 제어 및/또는 구성될 수 있게 한다. 작동 기능의 수행은 예를 들어 작동 기능에 따라 진공 오수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최종 제어 요소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는 업데이트될 작동 파라미터에 대한 사양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작동 파라미터, 예를 들어 비움 시퀀스의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비움 파라미터로도 지칭됨)의 원격 구성이 수행될 수 있다. 비움 파라미터의 예는 플러싱 지속시간(또는 제 1 단계의 지속시간), 비움 지속시간(제 2 단계의 지속시간), 용기(102) 내의 잔류 물의 양(제 3 단계 이후의 충전 레벨), 및/또는 재충전될 물의 양을 포함한다. 원격 구성의 결과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하나 또는 각각의 진공 오수 장치(100)의 원격 오버뷰가 제공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어, 표시됨). 원격 오버뷰는 예를 들어, 등록된 진공 오수 장치(100) 하나 또는 각각의 등록된 진공 오수 장치(100)(예를 들어, 연결된 변기)의 목록, 이들의 위치, 이들의 작동 준비 상태(예를 들어, 작동 준비 또는 알람 모드) 및/또는 이들의 마지막 액세스(예를 들어, 날짜, 하루중 시간 및/또는 선택적으로 서비스 담당자의 이름의 지정)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오버뷰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902)는 (예를 들어, 시스템에 등록하기 위한) 등록 식별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양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마지막 액세스의 시간 지정(및 선택적으로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원격 오버뷰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다른 사양이 또한 메시지(902)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마지막 액세스의 시간 지정은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100)의 하나 이상의 최종 제어 요소(예를 들어, 오수 밸브)가 작동된 시점을 지정할 수 있다. 시간 지정에 대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빈도가 또한 지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세스가 수행되는 빈도(예를 들어, 기간당 빈도 또는 기간에 걸쳐 합산된 빈도)가 지정될 수 있다.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를 나타내는 이러한 사양은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100)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 하나 이상의 측정된 변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 측정 값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검출된 측정 변수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측정된 변수는 예를 들어, 오수 수집 용기(102)의 충전 레벨(충전 레벨 센서(S4)에 의해 검출됨); 오수 수집 용기(102)에 공급된 물 유입량, 예를 들어 그 속도 및/또는 총량(유입량 센서(S3)에 의해 검출됨); 오수 밸브(204)의 제어 입력부(204s)에 인가된 제 1 압력(제 2 압력 센서(S2)에 의해 검출됨), 오수 피팅(202)에 인가된 제 2 압력(제 1 압력 센서(S1)에 의해 검출됨); 제 1 압력과 제 2 압력 사이의 차이(제 1 및 제 2 압력 센서(S1, S2)에 의해 검출됨); 제 1 제어 밸브(206, 206a)를 가로지르는 압력 강하(제 1 및 제 2 압력 센서(S1, S2)에 의해 검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100)가 막힌 것이 확인된 경우) 변기 플러싱 및/또는 비상 비움의 원격 개시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변기 플러싱 또는 비상 비움을 개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개시의 결과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물 소비량의 원격 모니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902)는 예를 들어 다중 플러싱 프로세스에 걸친 합계 및/또는 순시 값(예를 들어, 속도, 즉, 단위 시간당 물 유입량)으로서 물 유입량의 사양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소비량은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원격 모니터링의 결과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구성요소 통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는 구성요소 통계의 하기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싱 프로세스(플러시)의 횟수, 및/또는 개별 최종 제어 요소(예를 들어, 오수 밸브, 밸브 등)의 작동 횟수. 이것은 유지보수 또는 그 계획을 용이하게 한다. 구성요소 통계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4)에 의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압력 밸브로도 지칭됨)에서의 누출과 같은 가능한 누출의 원격 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예를 들어, 제 1 제어 밸브(206a))의 가능한 오작동의 원격 진단이, 예를 들어 압력 센서 또는 압력 스위치(S1 및 S2)에 의해 부압(예를 들어, 부분 진공)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누출 및/또는 오작동(또는 다른 장애)의 확인에 응답하여, 알람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진단의 결과는 선택적으로 컴퓨팅 장치(904)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4)에 의해, 급수 밸브(216)의 가능한 오작동의 원격 진단이, 예를 들어 유량 센서(S3)에 의한 물의 양의 모니터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급수 밸브(216)의 오작동(또는 다른 장애)의 확인에 응답하여, 알람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4)에 의해, 급수 밸브(216)의 가능한 누출의 원격 진단이, 예를 들어 유량 센서(S3)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급수 밸브(216)의 누출(또는 다른 장애)의 검출에 응답하여, 알람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시지(902)는 비상 배출을 개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용기(102)의 오버플로(overflow)를 방지한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비데의 비활성화의 트리거(개시로도 지칭됨)(및 선택적으로 비상 배출의 트리거)는, 예를 들어 유량 센서(S3)에 의한 충전 레벨 초과의 검출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충전 레벨 초과(또는 다른 장애)의 검출에 응답하여, 알람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904)에 의해, 급수 밸브(216)의 가능한 누출의 원격 진단이 충전 레벨 센서(S4)(예를 들어, 수위 센서 또는 물 스위치를 포함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급수 밸브(216)의 누출(또는 다른 장애)의 검출에 응답하여, 알람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902)는 비상 배출을 개시하는 명령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용기(102)의 오버플로를 방지한다.
컴퓨팅 장치(904)에 의해, 가능한 폐색(막힘, 예를 들어 변기 막힘으로도 지칭됨)의 원격 진단이 충전 레벨 센서(S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급수 밸브(216)의 폐색(또는 다른 장애)의 검출에 응답하여, 알람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902)는 비상 배출을 개시하는 명령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용기(102)의 오버플로를 방지한다.
메시지(902)의 교환에 의해, 비데 비활성화의 트리거(개시로도 지칭됨)(및 선택적으로 비상 배출의 트리거)가, 예를 들어 충전 레벨 초과의 검출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충전 레벨 초과(또는 다른 장애)의 검출에 응답하여, 알람 상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106)로부터 수신된 메시지(902)는 알람 상태의 활성화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사항과 관련된 다양한 예시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예시 1은 진공 오수 장치이며, 진공 오수 장치는 오수 수집 용기와, 진공 오수 피팅과, 오수 수집 용기와 진공 오수 피팅 사이에 연결된 (예를 들어 유체-기계적) 오수 밸브와, 진공 오수 장치의 실제 상태(예를 들어, 실제 작동 지점)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와,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목표 상태(예를 들어, 목표 작동 지점)에 대한 사양(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트리거되는 것에 응답하여) 목표 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시 2는 예시 1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진공 오수 장치는 실제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실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양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중 하나 또는 각각의 센서는 스위치(측정 스위치)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스위치는 측정된 변수의 다수의 상태(예를 들어, 단지 2개의 상태 및/또는 단지 별개의 상태)를 구별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센서는 충전 레벨 스위치(예를 들어, 플로트 스위치 또는 커패시턴스 스위치)를 갖는다.
예시 3은 예시 1 또는 2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실제 상태는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센서는 하기의 작동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오수 수집 용기의 충전 레벨; 오수 수집 용기에 공급되는 물 유입량, 예를 들어 그 속도 및/또는 총량; 오수 밸브의 제어 입력부에 인가되는 제 1 압력(예를 들어, 제 1 부압); 오수 피팅에 인가되는 제 2 압력(예를 들어, 제 2 부압); 제 1 압력(예를 들어, 제 1 부압)과 제 2 압력(예를 들어, 제 2 부압) 사이의 차이; 및/또는 최종 제어 요소를 가로지르는 압력 강하(예를 들어, 부압).
예시 4는 예시 1 내지 3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는 오수 밸브(예를 들어, 그 제어 입력부)와 진공 오수 피팅 사이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목표 상태에 따라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 1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예시 5는 예시 1 내지 4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진공 오수 장치는 제어 가스 입구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는 오수 밸브(예를 들어, 그 제어 입력부)와 제어 가스 입구 사이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목표 상태에 따라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 2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제어 가스 입구는 대기에 노출된 공기 입구를 갖는다.
예시 6은 예시 1 내지 5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진공 오수 장치는 급수 피팅을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는 오수 수집 용기와 급수 피팅 사이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목표 상태에 따라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되는 제 3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예시 7은 예시 1 내지 6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진공 오수 장치는 급수 피팅 및 비데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최종 제어 요소는 비데를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 제 4 최종 제어 요소를 갖고, 예를 들어 제 4 최종 제어 요소는 급수 피팅과 비데 사이에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목표 상태에 따라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된다.
예시 8은 예시 1 내지 7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제어 장치는 저장된 파라미터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제어 장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추가 메시지에 따라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다.
예시 9는 예시 8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의 2개의 위치설정 프로세스(예를 들어, 바로 연이은 위치설정 프로세스)를 서로 분리하는 시간순 지속시간(chronological duration)(예를 들어, 개방 지속시간 및/또는 폐쇄 지속시간)을 나타내고, 예를 들어, 시간순 지속시간은 플러싱 지속시간 또는 비움 지속시간을 포함한다.
예시 10은 예시 1 내지 9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제어 장치는 하기의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진공 오수 장치의 위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가 활성화된 빈도; 진공 오수 장치의 작동 준비 상태; 진공 오수 장치의 알람 상태; 오수 밸브의 작동(예를 들어, 마지막 발생 작동)에 관한 시간 지정; 및/또는 오수 밸브가 작동된 빈도.
예시 11은 예시 1 내지 10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무선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로도 지칭됨)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유선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로도 지칭됨)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이더넷)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
예시 12는 예시 1 내지 11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의 활성화는 하기의 작동 기능들 중 하나를 트리거한다: 플러싱 프로세스; 비상 비움; 비움 시퀀스.
예시 13은 예시 1 내지 12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의 활성화는 하기의 작동 기능들 중 하나를 트리거한다: 대응책; 비데의 비활성화; 알람 상태의 활성화.
예시 14는 예시 1 내지 13 중 하나에 따른 진공 오수 장치이며, 진공 오수 장치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예시 18 내지 20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시 15는 예시 1 내지 14 중 하나 또는 예시 22에 따른 하나 이상의 진공 오수 장치와, 적어도 하나(즉,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며, 하나 또는 각각의 컴퓨팅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컴퓨팅 장치는 예시 18 내지 20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컴퓨팅 장치는 진공 오수 장치의 오작동이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의 실제 상태에 기초하여) 확인된 경우에 진공 오수 장치를 알람 상태로 설정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진공 오수 장치 각각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등록된다.
예시 16은 예시 15에 따른 시스템이며,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로부터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하기의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진공 오수 장치의 물 소비량; 진공 오수 장치의 실제 상태(예를 들어, 작동 준비 상태 및/또는 실제 작동 지점); 진공 오수 장치의 확인된 오작동.
예시 17은 예시 15 또는 16에 따른 시스템이며, 컴퓨팅 장치는 하기의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컴퓨팅 장치는 하기의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진공 오수 장치의 위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가 활성화된 빈도(예를 들어, 활성화의 빈도 및/또는 횟수를 포함함); 진공 오수 장치의 작동 준비 상태; 오수 밸브의 작동(예를 들어, 마지막 발생 작동)에 관한 시간 지정; 진공 오수 장치의 마지막 발생 유지보수에 관한 시간 지정; 및/또는 오수 밸브가 작동된 빈도(예를 들어, 작동의 빈도 및/또는 횟수를 포함함).
예시 18은 진공 오수 장치(예를 들어, 예시 1 내지 17의 진공 오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진공 오수 장치의 오작동을 확인하는 것과, 확인된 오작동을 나타내는 결함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결함 메시지의 출력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된(송신 및/또는 수신된) 메시지에 의해 진공 오수 장치를 알람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오작동은 예를 들어 막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의 누출(누설로도 지칭됨) 및/또는 오수 밸브의 막힘.
예시 19는 예시 18에 따른 방법이며, 오작동의 확인은,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의 다수의 (예를 들어, 저장된) 오작동과 연관된 진공 오수 장치의 센서에 의해 진공 오수 장치의 목표 상태(예를 들어, 목표 작동 지점)로부터 진공 오수 장치의 실제 상태(예를 들어, 실제 작동 지점)의 편차를 확인하는 것과, 진공 오수 장치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사양(추가 사양으로도 지칭됨)에 기초하여 다수의 오작동 중 하나의 오작동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고, 사양은 선택적으로 오작동과 연관되어 있다.
예시 20은 예시 19에 따른 방법이며, 사양은 저장되고, 그리고/또는 사양은 진공 오수 장치의 추가 센서에 의해, 및/또는 예를 들어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의 기능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진공 오수 장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의 활성화에 의해 확인된다.
예시 21은 예시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이며,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의 제어 장치이거나, 진공 오수 장치의 외부에 있는 제어 장치(예를 들어, 외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제공됨)이다.
예시 22는 진공 오수 장치이며, 진공 오수 장치는 오수 수집 용기와, 진공 오수 피팅과, 오수 수집 용기와 진공 오수 피팅 사이에 연결된 (예를 들어, 유체-기계적) 오수 밸브와, 하나 이상의 센서와, 예시 21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진공 오수 장치는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피팅 및/또는 급수 피팅, 및/또는 진공 오수 장치의 실제 상태(예를 들어, 실제 작동 지점)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를 더 포함한다.
예시 23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예시 18 내지 20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코드 세그먼트이다.
예시 24는 예시 23에 따른 코드 세그먼트를 갖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이다.
예시 25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유닛이며, 원격 제어 유닛은 진공 오수 장치에 어드레싱되고 진공 오수 장치의 목표 상태(예를 들어, 목표 작동 지점)에 대한 사양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고, 메시지에 의해 진공 오수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예를 들어, 진공 오수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에 의해 간접적으로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고, 원격 제어는 선택적으로, 진공 오수 장치의 확인된 실제 상태 또는 원격 제어 유닛에의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행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선택적으로, 예시 18 내지 20 중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진공 오수 장치는 예시 1 내지 17 또는 예시 22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된다.

Claims (22)

  1. 진공 오수 장치(100)에 있어서,
    오수 수집 용기(102)와,
    진공 오수 피팅(202)과,
    상기 오수 수집 용기(102)와 상기 진공 오수 피팅(202) 사이에 연결된 오수 밸브(204)와,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와,
    제어 유닛(106)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106)은,
    목표 상태에 대한 사양을 포함하는 메시지(902)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하고,
    상기 목표 상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진공 오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S1 내지 S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106)은 상기 실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양을 포함하는 메시지(902)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진공 오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진공 오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상기 오수 수집 용기(102)의 충전 레벨,
    상기 오수 수집 용기(102)로 공급되는 물 유입량,
    상기 오수 밸브(204)의 제어 입력부에 인가되는 제 1 압력,
    상기 오수 피팅에 인가되는 제 2 압력,
    상기 제 1 압력과 상기 제 2 압력 사이의 차이, 및/또는
    상기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를 가로지르는 압력 강하
    의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진공 오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는 상기 오수 밸브(204)와 상기 진공 오수 피팅(202) 사이에 연결된 제 1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진공 오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어 가스 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는 상기 오수 밸브(204)와 상기 제어 가스 입구 사이에 연결된 제 2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진공 오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가스 입구는 대기에 노출된 공기 입구를 갖는
    진공 오수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수 피팅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는 상기 오수 수집 용기(102)와 상기 급수 피팅 사이에 연결된 제 3 전기기계적 최종 제어 요소를 포함하는
    진공 오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06)은,
    저장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된 추가 메시지(902)에 따라 상기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진공 오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의 2개의 위치설정 프로세스를 서로 분리하는 시간순 지속시간을 나타내는
    진공 오수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의 활성화는,
    플러싱 프로세스,
    비상 비움, 또는
    비움 시퀀스
    의 작동 기능들 중 하나를 트리거하는
    진공 오수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06)은,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위치,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작동 준비 상태, 및/또는
    상기 오수 밸브(204)의 작동에 관한 시간 지정
    의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메시지(902)를 상기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진공 오수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 및/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진공 오수 장치.
  14. 시스템(700)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진공 오수 장치(100)와,
    상기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메시지(902)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 장치(902, 606, 604)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오작동을 확인(801, 803)하고,
    확인된 오작동을 나타내는 결함 메시지를 출력(805)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은 상기 오수 밸브(204)의 막힘 또는 상기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의 누출을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물 소비량,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 및/또는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확인된 오작동
    의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스템.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상기 진공 오수 장치의 위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가 활성화된 빈도,
    상기 진공 오수 장치의 작동 준비 상태,
    상기 오수 밸브의 마지막 발생 작동에 관한 시간 지정,
    상기 진공 오수 장치의 마지막 발생 유지보수에 관한 시간 지정, 및/또는
    상기 오수 밸브가 작동된 빈도
    의 사양들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스템.
  19. 진공 오수 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800)에 있어서,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다수의 오작동과 연관된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센서(S1 내지 S4)에 의해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목표 상태로부터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실제 상태의 편차를 확인하는 것(801)과,
    상기 다수의 오작동 중 하나의 오작동을, 상기 오작동과 연관된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사양에 기초하여 확인하는 것(803)과,
    확인된 오작동을 나타내는 결함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805)을 포함하는
    진공 오수 장치의 작동 방법.
  20. 제 19 항에 기재된 방법(8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106, 904).
  21.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9 항에 기재된 방법(800)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코드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
  2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유닛에 있어서,
    진공 오수 장치(100)에 어드레싱되고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목표 상태에 대한 사양을 포함하는 메시지(902)를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에 의해 상기 진공 오수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최종 제어 요소(206a, 206b, 216)를 원격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원격 제어 유닛.
KR1020227020127A 2019-11-15 2020-11-13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 KR20220128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007946.9 2019-11-15
DE102019007946.9A DE102019007946A1 (de) 2019-11-15 2019-11-15 Vakuum-Abwasservorrichtung und Verfahren
PCT/EP2020/082078 WO2021094550A1 (de) 2019-11-15 2020-11-13 Vakuum-abwasservorrichtung und 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336A true KR20220128336A (ko) 2022-09-20

Family

ID=7347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127A KR20220128336A (ko) 2019-11-15 2020-11-13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20403640A1 (ko)
EP (1) EP4058643A1 (ko)
JP (1) JP2023503262A (ko)
KR (1) KR20220128336A (ko)
CN (1) CN114729537A (ko)
DE (1) DE102019007946A1 (ko)
WO (1) WO20210945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46B1 (ko) * 2023-06-21 2024-04-02 인터모빌리티(주) 철도차량을 위한 자동화 오물스테이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9791B2 (en) 2021-12-09 2024-04-16 B/E Aerospa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point level sensing of waste tank
IT202200010643A1 (it) * 2022-05-23 2023-11-23 Ricerca Realizzazione & Distribuzione S R L Apparato sanitario sottovuoto e sistema di monitoraggio per monitorare almeno un apparato sanitario sottovuot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3434C (en) * 1989-03-30 2000-05-30 Shinji Shibata Flush water supply system for toilet stool
EP0415432B1 (en) * 1989-09-01 1993-03-31 Toto Ltd. Water closet flushing apparatus
CN1244740C (zh) * 2001-12-26 2006-03-08 北京中联环洁通节水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红外感应冲厕控制方法及洁具冲水系统
US7814582B2 (en) * 2003-12-31 2010-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overflow or wetness conditions in a washroom
EP1752589A1 (en) * 2005-08-12 2007-02-14 Glova GmbH A vacuum toilet
DE102007040324A1 (de) * 2007-08-24 2009-02-26 Henkel Ag & Co. Kgaa WC-Spüler mit spülwasserunabhängiger Wirkstoffabgabe
DE102009021969A1 (de) * 2009-05-19 2010-11-25 Airbus Deutschland Gmbh Toilettenmonument mit einer Aufnahme für eine mobile Sanitäreinheit
DE202009010176U1 (de) * 2009-07-27 2009-12-03 Evac Gmbh Vakuumtoilette und Steuereinheit zum Steuern eines Betriebs einer Vakuumtoilette
DE202013008298U1 (de) * 2013-09-20 2014-12-22 Evac Gmbh Vakuumtoilette mit wechselseitiger Quetschventilschließung
CN107205591A (zh) * 2014-12-19 2017-09-26 捷普电子电路有限公司 用于连接、监控和控制生物垃圾容器的装置、系统和方法
US10378676B2 (en) * 2015-12-15 2019-08-13 Sdb Ip Holding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a timing of a flush valve
FI127077B (en) * 2016-04-19 2017-10-31 Evac Oy A method for checking a vacuum waste system and a vacuum waste system
DE102018006919A1 (de) * 2018-08-31 2020-03-05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akuum-Abwasservorrichtung, Verfahren und elektronische Steuereinheit zur Steuerung einer Vakuum-Abwasser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46B1 (ko) * 2023-06-21 2024-04-02 인터모빌리티(주) 철도차량을 위한 자동화 오물스테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8643A1 (de) 2022-09-21
JP2023503262A (ja) 2023-01-27
CN114729537A (zh) 2022-07-08
WO2021094550A1 (de) 2021-05-20
US20220403640A1 (en) 2022-12-22
DE102019007946A1 (de)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28336A (ko) 진공 오수 장치 및 방법
CN106641738B (zh) 管路滴漏监控方法、控制单元、装置及系统
JP2017199421A (ja) 所定のエラー状態を有するフィールド制御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方法
US9828757B2 (en)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a vacuum sewer system
EP1752589A1 (en) A vacuum toilet
CN102216537A (zh) 智能冲洗系统
EP340846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vacuum sewage system for a building or for a marine vessel
JP6973986B2 (ja) 用水管理システム
EP2640184B2 (en) A milking system,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milking system
JP4187432B2 (ja) 機器監視システム
CN112639230B (zh) 真空污水装置、用于控制真空污水装置的方法和电子控制单元
JP5806377B2 (ja) 流量制御システム
CN114616376A (zh) 小便器系统、具有小便器系统的耗水器系统以及操作小便器系统的方法
CN210214900U (zh) 一种自动加投水处理药剂的装置
JP7063587B2 (ja) 自動分析装置における給水方法及び給水装置
WO2007131512A1 (en) A vacuum toilet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thereof
JP5476656B2 (ja) 排尿情報測定装置
CN218818535U (zh) 阀门及供水管道
JP6854957B2 (ja) 用水管理装置
CN111963701B (zh) 一种基于远程控制仪表阀门及其实现方法
JP4654785B2 (ja) トイレシステム
CN206521783U (zh) 医疗用水双路传送装置
CN111527271A (zh) 电子控制的冲洗系统
JP2007270584A (ja) 生体情報測定便器
JP2006097239A (ja) 排尿情報測定大便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