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263A - mold assembly for making concrete dome house and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ld assembly for making concrete dome house and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263A
KR20220128263A KR1020210191037A KR20210191037A KR20220128263A KR 20220128263 A KR20220128263 A KR 20220128263A KR 1020210191037 A KR1020210191037 A KR 1020210191037A KR 20210191037 A KR20210191037 A KR 20210191037A KR 20220128263 A KR20220128263 A KR 20220128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einforcing bar
heat
dome hou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14034B1 (en
Inventor
김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글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글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글룸
Publication of KR2022012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0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4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structures of spherical, spheroid or similar shape, or for cupola structures of circular or polygonal horizontal or vertical section; Inflat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and a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and a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wherein a dome house can be manufactured by one single concrete pouring process to be easy to construct,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has excellent heating performance as heat can be generated from a wall. The formwork assembly comprises an inner formwork, an outer formwork, a connection panel, a first rebar unit, a second rebar unit, and a heating unit.

Description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돔 하우스{mold assembly for making concrete dome house and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Formwork assembly for making a concrete dome house and a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mold assembly for making concrete dome house and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돔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으로 돔 하우스를 제작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벽체에서 발열이 가능하여 난방 효과가 우수한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돔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and a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It relates to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with excellent heating effect and a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기존의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은 기둥과 골조를 토대로 벽체와 지붕 등을 설치하여 건축물을 축조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 건축물 축조방법은 필히 기둥과 골조가 갖추어져야 하므로 건축물을 축조하는데 따른 시간소모는 물론 비용이 고가일 수밖에 없다.In general, buildings such as existing houses are constructed by installing walls and roofs based on pillars and frames. This existing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inevitably requires pillars and frames, so it is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to construct.

최근 소득의 증가에 따라 레저와 휴식을 위한 팬션하우스나 캠핑하우스의 이용층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른 휴식처의 수요가 늘어나고, 주말농장이나 귀농인이 증가하는 추세로 농막이나 임시거처의 용도와, 자연재난에 대한 임시 피난처나 대피소등으로 활용될 보다 저렴하고 설치가 쉽고 안전한 주거형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As the number of people using pension houses or camping houses for leisure and rest increases with the recent increase in income, the demand for resting places increase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ore affordable, easy-to-install and safe housing type that will be used as a temporary shelter or shelter.

이와 같은 요구성에 따라 기둥이나 골조 없이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하우스가 제안되고 있다.According to such requirements, a prefabricated house that can be easily constructed without columns or frames has been prop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3489호에는 조립식 돔 하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3489 discloses a prefabricated dome house.

상기 조립식 돔 하우스는 천장 부분이 개방된 돔 형상의 둘레 방향을 일정 간격으로 등분한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는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방습재와 단열을 위한 보온재가 삽입되는 다수 개의 단위 패널과, 돔 형상의 천장 부분을 덮을 수 있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천장 패널을 포함하고, 단위 패널의 일단에는 인접하는 단위패널과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플렌지가 구비되어 인접하는 단위 패널이 볼트와 너트로 조립되고, 단위 패널들이 결합 플렌지를 통해 결합되면 천장 부분이 개방된 돔의 둘레벽이 형성되고, 이 개방된 천장 부분에 천장패널이 결합되어 돔 형상의 거주 공간이 구축된 구조를 갖는다.The prefabricated dome house has a shap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a dome shape with an open ceiling is di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unit panels into which moisture-proof materials for absorbing moisture and insulation for insulation are inserted, and a dome-shaped It includes a ceiling panel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at can cover the ceiling portion, and a coupling flang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unit panel to be mutually coupled to an adjacent unit panel, so that the adjacent unit panel is assembled with a bolt and a nut, and the unit panel When they are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flange,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ome with the open ceiling portion is formed, and the ceiling panel is coupled to the open ceiling portion to form a dome-shaped living space.

하지만, 상기 조립식 돔 하우스는 패널들을 조립하여 제작하므로 조립시간이 길어 시공기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패널들의 연결부위에 누수의 위험이 있다. 또한, 구조적 강도 및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prefabricated dome house is manufactured by assembling the panels, there is a risk of water leakage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panel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period due to the long assembly ti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ructural strength and durability are weak.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3489호: 조립식 돔 하우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123489: Prefab Dome Hous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으로 돔 하우스를 제작할 수 있어서 시공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벽체에서 발열이 가능하여 난방 효과가 우수한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돔 하우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since a dome house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concrete pouring process, construction is easy,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heat generation from the wall is possible, so a formwork assembly for making a concrete dome house with excellent heating effect and a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는 천장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반구형 돔 형상의 내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을 바깥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반구형 돔 형상의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거푸집과 연결되는 연결패널과; 상기 내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 사이에 형성된 타설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거푸집과 이격되는 제 1철근부와; 상기 타설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철근부와 상기 외부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철근부와; 상기 제 1철근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철근부로 열을 전도시키는 히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거푸집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의 단위내부플레이트들의 양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시키며, 상기 외부거푸집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의 단위외부플레이트들의 양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단위외부플레이트는 상기 단위내부플레이트와 모양은 동일하고 크기는 다르며, 상기 히팅부는 발포패널과, 상기 발포패널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셀들이 형성된 축열시트와, 상기 셀들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변화에 의해 잠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상변화물질과, 상기 축열시트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세라믹패널과, 상기 세라믹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온수관과, 상기 세라믹패널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거푸집을 한바퀴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온수관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제 1철근부를 통해 열을 전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철근부와 접촉하는 방열판을 구비한다.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emispherical dome-shaped inner formwork having a circular opening in the ceiling; a hemispherical dome-shaped outer formwork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formwork from the outside; a connection panel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formwork and connected to the outer formwork; a first reinforcing bar installed in a cas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formwork and the outer formwork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ormwork; a second reinforcing bar installed in the pouring space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external formwork; and a heat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to conduct hea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wherein the inner formwork has both edges of unit inner plat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that gradually narrow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s formed by combining with each other, the outer formwork is formed by combining both edges of the unit outer plat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that gradually narrow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and the unit outer plate is formed with the unit inner plate and The shape is the same and the size is different, and the heating unit includes a foam panel, a heat storage sheet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cells formed therein, and the cells are filled inside and absorb latent heat by a phase change or A phase change material to be emitted, a ceramic panel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sheet, a hot water pipe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and the inner mol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It is formed to surround one round and is provided with a heat sink in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so as to receive heat from the hot water pipe and conduct heat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bar.

그리고 상기 히팅부는 상기 방열판을 상기 세라믹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방열판에 형성된 타공홀을 통해 상기 세라믹패널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싱과, 상기 고정부싱의 하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싱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고정부싱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하부에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고정부싱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측면홀들과, 상기 측면홀들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싱의 외측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싱의 내측을 향하는 타측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스파이크부재와,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파이크부재의 타측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상기 고정부싱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를 구비한다.And the he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heat sink to the ceramic panel, the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ramic panel through the perforated hole formed in the heat sink, the lower part is open and a screw threa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ormed fixing bushing, a screw portion that enters the interior of the fixing bush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ushing and is screwed to the fixing bushing, a head formed under the screw portion, and formed to penetrate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bushing and a plurality of side ho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each inserted into the side holes, one end facing the outside of the fixing bushing is sharply formed,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inside of the fixing bushing is formed with an inclined spike member; , a push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rew part to contact the other end of the spike member when the screw part moves upward to push the spike member outward of the fixing bushing.

상기 단위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단위외부플레이트는 금속판에 절단라인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절단라인을 따라 상기 금속판을 절단하여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얻은 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부를 호형으로 절단한 다음 일정한 곡률로 절곡하여 각각 형성시킨다.The unit inner plate and the unit outer plate form a cut line on the metal plate, then cut the metal plate along the cut line to obtain a plurality of base plates, then cut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in an arc shape, and then bend it with a certain curvature to form each.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돔 하우스는 상기의 거푸집 조립체의 타설공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성형시킨다. And the concrete dome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molded by injecting concrete into the pouring space of the formwork assembl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으로 돔 하우스를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돔 하우스의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work assembly capable of manufacturing a dome house in one concrete pouring process.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dome house is simple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로 만들어진 돔 하우스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므로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하다. In addition, since the dome house made of the formwor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concrete,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strength.

또한, 본 발명은 돔 하우스의 벽체 내부에 온수관이 매립되므로 벽체에서 발열이 가능하여 난방 및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t water pipe is embedded in the wall of the dome house, heat can be generated in the wall, so that the heating and insulation effect are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로 제작한 콘크리트 성형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된 외부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외부 거푸집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된 내부 거푸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이 적용된 거푸집 조립체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되는 히팅부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되는 히팅부의 요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른 거푸집 조립체에 적용되는 히팅부의 고정수단을 발췌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고정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crete molded body manufactured with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rnal formwork applied to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for making the external formwork of Figure 2 in order,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formwork applied to the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main part of the formwork assembly to which FIG. 7 is appli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main part of the heating part applied to the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from the main part of the heating part applied to the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means of a heating unit applied to a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of FIG. 11 are combi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10)는 돔 형상의 내부거푸집(20)과, 내부거푸집(20)을 바깥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돔 형상의 외부거푸집(30)과, 내부거푸집(20)과 외부거푸집(30) 사이에 형성된 타설공간에 설치되며 내부거푸집(20)과 이격되는 제 1철근부(40)와, 타설공간에 설치되며 제 1철근부(40)와 외부거푸집(30)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철근부(50)를 구비한다. 1 to 6 , the formwork assembly 10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me-shaped inner formwork 20 and a dome-shaped outer formwork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formwork 20 from the outside. (30), the first reinforcing bar part 40 installed in the pouring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formwork 20 and the outer formwork 30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ormwork 2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part installed in the pouring space (40)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50) installed between the external formwork (30).

내부거푸집(20)은 반구형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내부거푸집(20)은 천장 부분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formwork 20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dome shape. The inner formwork 20 is formed with a circular opening in the ceiling portion.

내부거푸집(2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거푸집(20)은 금속 소재의 단위내부플레이트들(21)의 양 가장자리를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formwork 20 is made of metal. The inner formwork 20 may be formed by bonding both edges of the unit inner plates 21 made of a metal material to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단위내부플레이트(21)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단위내부플레이트(21)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휘어져 곡면을 이룬다. 단위내부플레이트(21)의 상단부는 호형으로 절단되어 있다. The unit inner plate 21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unit inner plate 21 is bent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to form a curved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unit inner plate 21 is cut in an arc shape.

내부거푸집(20)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단위내부플레이트들(21)은 모두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부거푸집(20)의 제작이 용이하며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A plurality of unit inner plates 21 for making the inner mold 20 are all made of the same shape and size. Therefor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inner formwork 20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내부거푸집(20)의 외측면에는 출입구와 측면개구, 천장개구 형성을 위해 출입구리브(23)와 창문리브(25), 상부리브(29)가 각각 설치된다. 출입구리브(23)와 창문리브(25), 상부리브(29)의 내측에는 콘트리트가 채워지지 않는다. 그리고 내부거푸집(20)의 하단에는 외부거푸집(30)과 결합되는 연결패널(27)이 설치된다. An entrance rib 23 , a window rib 25 , and an upper rib 29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old 20 to form an entrance, a side opening, and a ceiling opening. The inside of the doorway rib 23, the window rib 25, and the upper rib 29 is not filled with concrete. An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formwork 20, a connection panel 27 coupled to the outer formwork 30 is installed.

외부거푸집(30) 역시 내부거푸집(20)과 같이 반구형의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외부거푸집(30)은 천장 부분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The outer formwork 30 is also formed in a hemispherical dome shape like the inner formwork 20 . The outer formwork 30 is formed with a circular opening in the ceiling portion.

외부거푸집(3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부거푸집(30)은 금속 소재의 단위외부플레이트들(31)의 양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mold 30 is made of metal. The outer formwork 30 may be formed by bonding both edges of the unit outer plates 31 made of a metal material to each other.

단위외부플레이트(31)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단위외부플레이트(31)는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휘어져 곡면을 이룬다. 단위외부플레이트(31)의 상단부는 호형으로 절단되어 있다. The unit outer plate 31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unit outer plate 31 is bent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to form a curved surface. The upper end of the unit outer plate 31 is cut in an arc shape.

외부거푸집(30)을 만들기 위한 다수의 단위외부플레이트들(31)은 모두 동일한 모양과 크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거푸집(30)의 제작이 용이하며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A plurality of unit outer plates 31 for making the outer formwork 30 are all made of the same shape and size. Therefore,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outer formwork 30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단위외부플레이트(31)는 단위내부플레이트(21)와 모양은 동일하나 크기는 더 크다. The unit outer plate 31 has the same shape as the unit inner plate 21 but has a larger size.

단위외부플레이트(31)를 만들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A process for making the unit outer plate 31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먼저, 일정한 두께의 사각 금속판(1)을 준비한다. 그리고 한장의 금속판(1)에 도 4의 (b)와 같은 절단라인(2)을 형성한 다음 절단라인(2)을 따라 금속판을 절단하여 도 4의 (c)와 같이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3)를 얻는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단부를 도 4의 (d)와 같이 호형으로 절단한 다음 일정한 곡률로 절곡하여 도 4의 (e)와 같은 단위외부플레이트(31)를 얻을 수 있다. First, a rectangular metal plate 1 having a constant thickness is prepared. Then, a cutting line 2 as shown in Fig. 4 (b) is formed on one sheet of metal plate 1, and then the metal plate is cut along the cutting line 2, and a plurality of base plates 3 as shown in Fig. 4 (c). ) to get And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3 is cut in an arc shape as shown in Fig. 4 (d) and then bent to a certain curvature to obtain the unit outer plate 31 as shown in Fig. 4 (e).

단위내부플레이트(21) 역시 상술한 단위외부플레이트(31)의 제작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다만, 단위내부플레이트(21)는 단위외부플레이트(31) 보다 크기가 작다. The unit inner plate 21 is also manufactured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above-described unit outer plate 31 . However, the unit inner plate 21 is smaller than the unit outer plate 31 .

외부거푸집(30)은 콘크리트 타설 후 해체가 용이하도록 2개의 부위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된 부위는 플랜지(35)에 의해 결합된다. The outer formwork 30 may be formed by being divided into two parts to facilitate dismantling after pouring concrete. In this case, the divided portion is coupled by a flange (35).

외부거푸집(30)과 내부거푸집(20) 사이의 빈 공간이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타설공간이다. 외부거푸집(30)과 내부거푸집(20) 사이의 타설공간에는 제 1철근부(40)와 제 2철근부(50)가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거푸집(30)에는 콘크리트를 타설공간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The empty space between the outer formwork 30 and the inner formwork 20 is a pouring space filled with concrete. A first reinforcing bar portion 40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portion 50 are installed in the pouring space between the outer formwork 30 and the inner formwork 20 . Although not shown, an injection hole is formed in the external formwork 30 to inject concrete into the pouring space, of course.

제 1철근부(40)는 내부거푸집(20)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1철근부(40)는 세로방향의 철근(41)과 가로방향의 철근을 교차하여 형성된다. 외부거푸집(30)과 내부거푸집(20)의 사이를 일정하기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7)에 제 1철근부(4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별도의 제 1철근부고정부재를 내부거푸집(20)의 외측면에 설치한 후 제 1철근부(40)를 제 1철근고정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bar portion 4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ormwork 20 .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is formed by crossing the reinforcing bars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ba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reinforcing bar portion 40 may be fixed to the gap maintaining member 7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outer formwork 30 and the inner formwork 20 . Unlike this, after installing a separate first reinforcing bar fixing memb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ormwork 20,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fixing member.

제 2철근부(50)는 제 1철근부(40)와 외부거푸집(30) 사이에 설치된다. 제 2철근부(50)는 외부거푸집(30)과 이격된다. 제 2철근부(50)는 세로방향의 철근(51)과 가로방향(53)의 철근을 교차하여 형성된다. 간격유지부재(7)에 제 2철근부(50)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별도의 제 2철근부고정부재를 외부거푸집(30)의 내측면에 설치한 후 제 2철근부(50)를 제 2철근고정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second reinforcing bar 5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and the external formwork 30 . The second reinforcing bar 5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ormwork 30 . The second reinforcing bar 50 is formed by crossing the reinforcing bars 5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ba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53). The second reinforcing bar 50 may be fixed to the gap maintaining member 7 . Alternatively, after installing a separate second reinforcing bar fixing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formwork 30, the second reinforcing bar 50 may be fix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fixing member.

외부거푸집(30)과 내부거푸집(20)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외부거푸집(30)과 내부거푸집(20)을 제거하면 도 1과 같은 콘크리트 성형체(60)를 만들 수 있다. 콘크리트 성형체(60)의 천장에 형성된 천장개구(61)에는 창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출입구(63)와 측면개구(65)에는 출입문과 창문을 설치하여 돔 하우스를 완성할 수 있다.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outer formwork 30 and the inner formwork 20 and cured, the outer formwork 30 and the inner formwork 20 are removed to make the concrete molded body 60 as shown in FIG. 1 . A window may be installed in the ceiling opening 61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concrete compact 60 . In addition, the dome house can be completed by installing an entrance door and a window at the entrance 63 and the side opening 65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번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으로 돔 하우스를 제작할 수 있는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거푸집 조립체를 사용할 경우 돔 하우스의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푸집 조립체로 만들어진 돔 하우스는 콘크리트로 제작하므로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mwork assembly capable of manufacturing a dome house in one concrete pouring process. When such a formwork assembly is used, the construction of the dome house is simple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shortened. In addition, since the dome house made of the formwor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concrete, it has excellent durability and strength.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예로 히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unit as another exampl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히팅부(70)는 제 1철근부(40)에 결합되어 제 1철근부(40)로 열을 전도시키는 역할을 한다. 7 and 8 , the heating unit 70 is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and serves to conduct hea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

히팅부(70)는 제 1철근부(40)와 제 2철근부(50) 사이에 위치하며 내부거푸집(20)을 둘러싸는 발포패널(71)과, 발포패널(71)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온수관(73)과, 발포패널(71)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온수관(73)과 접촉되며 제 1철근부(40)에 고정되는 방열판(75)을 구비한다. The heating unit 7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portion 4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portion 50 an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 panel 71 surrounding the inner formwork 20 and the foam panel 71 . A hot water pipe 7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 heat sink 75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 panel 71 to contact the hot water pipe 73 and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are provided.

방열판(75)은 내부거푸집(20)을 한바퀴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방열판(75)은 상하로 이격되어 2개 부위에 설치된다. 방열판(75)은 제 1철근부(40)의 바깥에 고정되어 제 1철근부(40)와 직접 접촉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방열판(75)은 제 1철근부(40)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와이어나 고정도구에 의해 제 1철근부(4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heat sink 75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mold 20 once. The heat sink 75 is vertically spaced apart and installed in two parts. The heat dissipation plate 75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 Although not shown, the heat sink 75 may be welded to and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or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by a wire or a fixing tool.

방열판(75)은 온수관(73)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넓게 확산시켜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판(75)에서 열이 방출되면 제 1철근부(40)를 통해 열이 상하 좌우 사방으로 전도되어 내부거푸집을 열이 감싸면서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heat sink 75 receives heat from the hot water pipe 73 and spreads it widely to discharge heat. When heat is released from the heat sink 75, heat is conducted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heat surrounds the inner formwork, thereby enhancing the heating effect.

방열판(75)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가령, 방열판(75)은 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 sink 75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heat sink 75 may be formed of a copper plate.

발포패널(71)은 방열판(75)에 결합되어 내부거푸집(20)을 한바퀴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발포패널(71)은 방열판(75)의 바깥면에 결합된다. The foam panel 71 is coupled to the heat sink 75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mold 20 once. The foam panel 71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sink 75 .

발포패널(71)은 단열이 우수한 발포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수지로 발포폴리프로필렌(EPP)를 이용할 수 있다. The foam panel 71 is preferably formed of a foamed resin having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Expanded polypropylene (EPP) may be used as the foaming resin.

발포내널(71)의 내측면에는 온수관(73)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다. 삽입홈은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온수관(73)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온수관(73)는 보일러의 배관과 연결된다. 보일러에서 가열된 물은 온스관(73)를 따라 이동하여 순환하면서 방열판(75)으로 열을 방출한다.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hot water pipe 73 is inserte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ing nanal 71 . The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a zigzag pattern. The hot water pipe 73 is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hot water pipe 73 is connected to the pipe of the boiler. The water heated in the boiler moves along the ounce tube 73 and circulates to radiate heat to the heat sink 75 .

온수관(73)은 단면이 원형보다는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형의 온수관(73)의 경우 한 면이 모두 방열판(75)과 접촉하므로 방열판(75)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향상된다. 이에 따라 전도에 의한 열전달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hot water pipe 73 preferably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rather than a circular one. In the case of the rectangular hot water pipe 73 , since one side is all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75 ,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sink 75 is greatly improv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ect by conduction.

상술한 히팅부(70)는 돔 하우스의 벽체 내부에 매립된다. 따라서 돔 하우스의 벽체에서 발열이 가능하여 돔 하우스의 난방 및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The above-described heating unit 70 is embedded in the wall of the dome house. Therefore, heat can be generated from the walls of the dome house, so the heating and insulation effect of the dome house is excellent.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75)에는 일정 간격으로 사각의 인입홈들이 형성되고, 발포패널(71)의 내측면에는 인입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77)가 형성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 9 , rectangular inlet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eat sink 75 , and coupling protrusions 77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 panel 71 .

그리고 결합돌기(77)의 단부에는 접착튜브(80)가 설치된다. 접착튜브(80)는 압착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고무로 형성된다. 접착튜브(80)의 내부에는 바인더(81)가 충진된다. 바인더(81)로서 액상 또는 페이스트 상태의 통상적인 고분자 바인더 또는 실링용 실리콘 수지가 이용될 수 있다. And an adhesive tube 8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77 . The adhesive tube 80 is formed of rubber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deformed by compression. The inside of the adhesive tube 80 is filled with a binder 81 . As the binder 81 , a conventional polymer binder in a liquid or paste state or a silicone resin for sealing may be used.

접착튜브(80)의 측면에는 일자로 베어낸 토출슬릿(83)이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형성된다. 접착튜브(80)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므로 평상시에 토출슬릿(83)은 막혀있다. 결합돌기(77)를 인입홈에 끼워넣게 되면 접착튜브(80)가 방열판(75)에 압착되고, 접착튜브(80)가 압착되면 찌그러지면서 토출슬릿(83)이 벌어진다. 이에 따라 접착튜브(80) 내부에 충진된 바인더(81)가 토출슬릿(73)을 통해 유출되고, 유출되는 바인더(81)는 결합돌기(77)와 방열판(75) 사이의 틈새를 메우면서 경화된다. 이에 따라 발포패널(71)과 방열판(75)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One or two or more discharge slits 83 cut in a straight line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adhesive tube 80 . Since the adhesive tube 8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discharge slit 83 is normally close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77 is inserted into the inlet groove, the adhesive tube 80 is pressed against the heat sink 75 , and when the adhesive tube 80 is compressed, the discharge slit 83 is opened while being crushed. Accordingly, the binder 81 filled in the adhesive tube 80 flows out through the discharge slit 73 , and the discharged binder 81 is cured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77 and the heat sink 75 . do. Accordingly, the foam panel 71 and the heat sink 75 may be firmly coupled.

히팅부의 또 다른 예를 도 10에 도시하고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heating unit is shown in FIG. 10 .

도 10을 참조하면, 히팅부(90)는 발포패널(71)과, 발포패널(71)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셀들(92)이 형성된 축열시트(91)와, 셀들(92)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변화에 의해 잠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상변화물질(93)과, 축열시트(9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세라믹패널(95)과, 세라믹패널(95)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온수관(73)과, 세라믹패널(95)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내부거푸집을 한바퀴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온수관(73)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제 1철근부를 통해 열을 전도시킬 수 있도록 제 1철근부와 접촉하는 방열판(75)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10 , the heating unit 90 includes a foam panel 71 , a heat storage sheet 91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foam panel 71 and having a plurality of cells 92 therein, and cells 92 . ), a phase change material 93 that is filled in and absorbs or emits latent heat due to a phase change, a ceramic panel 95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sheet 91, and an inn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95 . The hot water pipe 73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A heat sink 75 in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provided so as to be inverted.

도 10에 도시된 히팅부는 도 8의 히팅부와 비교시 발포패널(71)과 방열판(75) 사이에 축열시트(91)와 세라믹패널(95)이 더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The heating part shown in FIG. 10 is different from the heating part of FIG. 8 in that the heat storage sheet 91 and the ceramic panel 95 ar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oam panel 71 and the heat sink 75 .

도 10에 도시된 히팅부(9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The configuration of the heating unit 90 shown in FIG.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방열판(75)은 내부거푸집을 한바퀴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방열판(7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철근부(40)의 바깥에 고정되어 제 1철근부(40)와 직접 접촉된다. 방열판(75)은 제 1철근부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와이어나 고정도구에 의해 제 1철근부에 고정될 수 있다. The heat sink 75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formwork once. As shown in FIG. 8 , the heat sink 75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40 . The heat sink 75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by welding, or may be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by a wire or a fixing tool.

방열판(75)은 온수관(73)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넓게 확산시켜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판(75)에서 열이 방출되면 제 1철근부를 통해 열이 상하 좌우 사방으로 전도되어 내부거푸집을 열이 감싸면서 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heat sink 75 receives heat from the hot water pipe 73 and spreads it widely to discharge heat. When heat is released from the heat sink 75, heat is conducted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bar in all directions, up, down, left and right, and the heat surrounds the inner formwork, thereby enhancing the heating effect.

방열판(75)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가령, 방열판(75)은 동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 sink 75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heat sink 75 may be formed of a copper plate.

세라믹패널(95)은 방열판(75)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세라믹패널(95)의 내측면에 방열판(75)이 위치한다. The ceramic panel 95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sink 75 . Accordingly, the heat sink 75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95 .

세라믹패널(95)은 다공성 구조인 펄라이트와 같은 세라믹 재료를 무기 바인더에 혼합한 후 판상으로 성형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무기 바인더로 황토반죽이나 시멘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패널(95)은 가벼우면서 강도가 우수하고 단열성이 좋다. The ceramic panel 95 may be formed by mixing a ceramic material such as pearlite having a porous structure with an inorganic binder and then molding the ceramic material into a plate shape. As the inorganic binder, loess dough or cement can be used. The ceramic panel 95 is light, has excellent strength, and has good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세라믹패널(95)의 내측면에는 온수관(73)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다. 온수관(73)은 플렉시블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된다. 온수관(73)은 보일러의 배관과 연결된다. 보일러에서 가열된 물은 온스관(73)를 따라 이동하여 순환하면서 방열판(75)으로 열을 방출한다.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hot water pipe 73 is inserted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95 . The hot water pipe 73 is formed of a flexible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hot water pipe 73 is connected to the pipe of the boiler. The water heated in the boiler moves along the ounce tube 73 and circulates to radiate heat to the heat sink 75 .

온수관(73)은 단면이 사각형이다. 사각형의 온수관(73)의 경우 한 면이 모두 방열판(75)과 접촉하므로 방열판(75)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향상된다. 이에 따라 전도에 의한 열전달효과를 높일 수 있다. The hot water pipe 73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case of the rectangular hot water pipe 73 , since one side is all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75 ,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sink 75 is greatly improv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transfer effect by conduction.

축열시트(91)는 세라믹패널(95)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축열시트(91)의 내측면에 세라믹패널(95)이 위치한다. The heat storage sheet 91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95 . Accordingly, the ceramic panel 95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sheet 91 .

축열시트(91)는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축열시트(91)는 내부에 다수의 셀들(92)이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셀(92)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셀(92)의 내부에는 상변화물질(93)이 충진된다. The heat storage sheet 9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heat storage sheet 91 has a plurality of cells 92 formed therei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ell 92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The cell 92 is filled with a phase change material 93 .

상변화물질(PCM;Phase Change Material)은 고체 또는 액체로의 상변화 과정을 통하여 많은 양의 열에너지(잠열)를 축적하거나 저장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이다. 상변화물질은 고체상태와 액체상태 사이의 상변화시 등온상태에서 잠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이러한 상변화에 의해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상변화물질은 잠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축열물질보다 더 많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변화물질은 상변화 온도, 즉 용융점 이상으로 상승하면 열을 흡수하여 저장하고, 용융점 이하로 내려가면 저장된 열을 방출한다. A phase change material (PCM) is a material that accumulates a large amount of thermal energy (latent heat) or releases stored thermal energy through a phase change process into a solid or liquid. A phase change material absorbs or releases latent heat in an isothermal state during a phase change between a solid state and a liquid state. Since the phase change material that stores thermal energy by such a phase change absorbs or releases latent heat, it can store a larger amount of thermal energy than a general thermal storage material. The phase change material absorbs and stores heat when it rises above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that is, the melting point, and releases the stored heat when it goes below the melting point.

여름철에 실외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상변화물질(93)이 상변화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변화되고, 이때 상변화에 필요한 잠열을 흡수하므로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In summer, when the phase change material 93 rises above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by heat transferred from the outdoors, it undergoes a phase change, and at this time, it absorbs the latent heat required for the phase change, effectively blocking the transfer of external heat to the inside.

상변화물질로 잠열이 큰 통상적인 유기물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용융점(상변화 온도)을 가지는 상변화물질을 이용한다. 이러한 상변화물질로 노나데칸(n-nonadecane) 또는 에이코산(eicosane)을 이용할 수 있다. A typical organic material having a large latent heat may be used as the phase change material. Preferably, a phase change material having a melting point (phase change temperature) of 30 to 40°C is used. As such a phase change material, nonadecane or eicosane may be used.

발포패널(71)은 축열시트(9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발포패널(71)의 내측면에 축열시트(91)가 위치한다. 발포패널(71)은 단열이 우수한 발포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수지로 발포폴리프로필렌(EPP)를 이용할 수 있다. The foam panel 71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sheet 91 . Accordingly, the heat storage sheet 91 is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 panel 71 . The foam panel 71 is preferably formed of a foamed resin having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Expanded polypropylene (EPP) may be used as the foaming resin.

상술한 히팅부(90)는 제 1철근부와 제 2철근부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내부거푸집과 외부거푸집 사이의 타설공간에 콘트리트를 주입한 후 양생하여 돔 하우스를 제작하게 되면 히팅부는 돔 하우스의 벽체 내부에 매립된다. 따라서 돔 하우스의 벽체에서 발열이 가능하여 돔 하우스의 난방 및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The above-described heating unit 9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Therefore, when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formwork and the outer formwork and cured to produce a dome house, the heating part is embedded in the wall of the dome house. Therefore, heat can be generated from the walls of the dome house, so the heating and insulation effect of the dome house is excellent.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 고정수단이 히팅부에 더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fix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in the heating unit.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수단(100)은 방열판(75)을 세라믹패널(95)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공성 구조인 세라믹패널(95)을 금속 소재의 방열판(75)에 접착이 어려우므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세라믹패널(95)에 방열판(75)을 고정시킨다. 11 and 12 , the fixing means 100 serves to fix the heat sink 75 to the ceramic panel 95 . Since it is difficult to adhere the ceramic panel 95 having a porous structure to the heat sink 75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heat sink 75 is fixed to the ceramic panel 95 using a fixing means.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수단(100)은 방열판(75)에 형성된 타공홀(76)을 통해 세라믹패널(85)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싱(101)과, 고정부싱(101)의 하부를 통해 고정부싱(101)의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부싱(10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105)와, 나사부(105)의 하부에 형성된 헤드부(107)와, 고정부싱(10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측면홀들(102)과, 측면홀들(102)에 각각 삽입되는 스파이크부재(111)와, 나사부(105)의 상부에 형성되어 나사부(105)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스파이크부재(111)를 고정부싱(101)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109)를 구비한다. 11 and 12, the fixing means 1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ramic panel 85 through the perforated hole 76 formed in the heat sink 75,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bushing 101, the screw part 105 that enters the inside of the fixing bushing 101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bushing 101 and is screwed to the fixing bushing 101, and the head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crew part 105 107, the side holes 102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bushing 101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spike member 111 inserted into the side holes 102, respectively, and the screw part I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105 and includes a push part 109 for pushing the spike member 111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ushing 101 when the screw part 105 moves upward.

고정부싱(101)이 장착되기 위해서 방열판(75)에 원형의 타공홀(76)이 형성된다. 그리고 세라믹패널(95)에는 원형의 삽입홀이 형성된다. 고정부싱(101)은 타공홀(76)을 통해 삽입홀에 삽입되어 세라믹패널(95)에 끼워진다. 세라믹패널(95)에 형성된 삽입홀은 온수관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 circular perforated hole 76 is formed in the heat sink 75 in order to mount the fixing bushing 101 . And a circular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eramic panel 95 . The fixing bushing 10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hrough the perforated hole 76 and inserted into the ceramic panel 95 .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ramic panel 95 may be located between the hot water pipes.

고정부싱(101)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싱(101)은 삽입홈(15)에 삽입된다. 고정부싱(101)의 내측 상부에는 축소경부(103)가 형성된다. 축소경부(103)는 고정부싱(10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싱(101)의 내경을 축소시킨다. 축소경부(103)에 의해 고정부싱(101)의 상부측 내경은 줄어드나 측면의 두께는 커진다. The fixing bushing 101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n empty inside. The fixing bushing 10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5 . A reduced diameter portion 103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ushing 101 .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03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fixing bushing 101 to reduc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bushing 101 .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ushing 101 is reduced by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03, but the thickness of the side is increased.

고정부싱(10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산은 축소경부(103)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고정부싱(101)의 하부에는 플랜지(104)가 형성된다. 플랜지(104)는 방열판(75)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bushing 101 . The thread is not formed in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103 . A flange 104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ushing 101 . The flange 10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ink 75 .

나사부(105)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나사부(105)는 고정부싱(10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부싱(101)과 나사결합된다. 나사부(105)의 하부에는 헤드부(107)가 형성된다. The threaded portion 105 is threa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crew portion 105 is inserted into the fixing bushing 101 to be screwed with the fixing bushing 101 . A head portion 107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105 .

측면홀(102)은 고정부싱(101)의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측면홀(102)은 축소경부(51)에 형성된다. 측면홀(102)은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된다. 이와 달리 측면홀은 2개 또는 3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ide hole 102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bushing 10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ide hole 102 is formed in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51 . Four side holes 102 ar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Unlike this, of course, two or three side holes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스파이크부재(111)는 측면홀(102)에 삽입된다. 스파이크부재(111)의 외경은 측면홀(102)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스파이크부재(111)는 측면홀(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The spike member 111 is inserted into the side hole 102 . The outer diameter of the spike member 111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ide hole 102 . Accordingly, the spike member 111 is movab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ide hole 102 .

스파이크부재(111)의 일측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된다. 뾰족한 단부는 고정부싱(101)의 외측을 향한다. 스파이크부재(111)의 타측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경사면(111a)을 이룬다. 경사진 타측 단부는 고정부싱(101)의 내측을 향한다. One end of the spike member 111 is sharply formed. The pointed end faces the outside of the fixing bushing 101 . The other end of the spike member 111 is formed to be inclined to form the inclined surface 111a. The other end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xing bushing (101).

푸쉬부(109)는 나사부(105)의 상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푸쉬부(109)는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푸쉬부(109)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푸쉬부(109)의 측면 경사각도와 스파이크부재(111)의 경사면(111a)의 경사방향과 경사각도는 동일하다. The push part 109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screw part 105 . The push unit 109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as it goes upward. Accordingly, the side surface of the push unit 109 is formed to be inclined. The side inclination angle of the push part 109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11a of the spike member 111 are the same.

공구를 이용하여 헤드부(107)를 회전시키면 나사부(105)가 점차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푸쉬부(109)가 스파이크부재들(111) 사이로 삽입된다. 푸쉬부(109)가 스파이크부재들(111) 사이로 삽입되면 푸쉬부(107)의 측면과 스파이크부재(111)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한다. 푸쉬부(107)가 계속 상방으로 이동하면 푸쉬부(107)에 의해 스파이크부재(111)는 고정부싱(101)의 외측방향으로 밀린다. 이에 따라 스파이크부재(111)의 뾰족한 단부가 고정부싱(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세라믹패널(95)에 박힌다. When the head portion 107 is rotated using a tool, the screw portion 105 is gradually moved upward and the push portion 109 is inserted between the spike members 111 . When the push part 109 is inserted between the spike members 111 , the side surface of the push part 107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pike member 111 contact each other. When the push unit 107 continues to move upward, the spike member 111 is pushed outwardly of the fixing bushing 101 by the push unit 107 . Accordingly, the pointed end of the spike member 111 is embedded in the ceramic panel 95 whi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bushing 101 .

이와 같이 고정수단(100)을 이용하여 방열판(75)과 세라믹패널(95)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eat sink 75 and the ceramic panel 95 can be firmly fixed by using the fixing means 100 .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거푸집 조립체 20: 내부거푸집
30: 외부거푸집 40: 제 1철근부
50: 제 2철근부 60: 콘크리트 성형체
70: 히팅부
10: formwork assembly 20: inner formwork
30: external form 40: first reinforcing bar
50: second reinforcing bar 60: concrete molded body
70: heating unit

Claims (4)

천장에 원형의 개구가 형성된 반구형 돔 형상의 내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을 바깥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반구형 돔 형상의 외부거푸집과;
상기 내부거푸집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거푸집과 연결되는 연결패널과;
상기 내부거푸집과 상기 외부거푸집 사이에 형성된 타설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거푸집과 이격되는 제 1철근부와;
상기 타설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철근부와 상기 외부거푸집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철근부와;
상기 제 1철근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철근부로 열을 전도시키는 히팅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거푸집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의 단위내부플레이트들의 양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시키며,
상기 외부거푸집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동일한 모양과 크기의 단위외부플레이트들의 양 가장자리를 서로 결합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단위외부플레이트는 상기 단위내부플레이트와 모양은 동일하고 크기는 다르며,
상기 히팅부는 발포패널과, 상기 발포패널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다수의 셀들이 형성된 축열시트와, 상기 셀들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변화에 의해 잠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는 상변화물질과, 상기 축열시트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세라믹패널과, 상기 세라믹패널의 내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온수관과, 상기 세라믹패널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거푸집을 한바퀴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온수관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상기 제 1철근부를 통해 열을 전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철근부와 접촉하는 방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
a hemispherical dome-shaped inner formwork having a circular opening in the ceiling;
a hemispherical dome-shaped outer formwork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formwork from the outside;
a connection panel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formwork and connected to the outer formwork;
a first reinforcing bar installed in a cas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formwork and the outer formwork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formwork;
a second reinforcing bar installed in the pouring space and install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external formwork;
and a heat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to conduct heat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inner formwork is formed by combining both edges of unit inner plat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that gradually narrow in width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outer formwork is formed by combining both edges of unit outer plates of the same shape and size that gradually narrow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unit outer plate has the same shape and different size as the unit inner plate,
The heating unit includes a foam panel, a heat storage sheet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am panel and having a plurality of cells formed therein, a phase change material filled in the cells and absorbing or emitting latent heat by a phase change, A ceramic panel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storage sheet, a hot water pipe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and a hot water pip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eramic panel to surround the inner mold once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comprising a heat sink in contact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to receive heat from and to conduct heat through the first reinforcing ba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방열판을 상기 세라믹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방열판에 형성된 타공홀을 통해 상기 세라믹패널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싱과, 상기 고정부싱의 하부를 통해 상기 고정부싱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고정부싱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하부에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고정부싱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측면홀들과, 상기 측면홀들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싱의 외측을 향하는 일측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싱의 내측을 향하는 타측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스파이크부재와,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파이크부재의 타측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스파이크부재를 상기 고정부싱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푸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heat sink to the ceramic panel,
The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ceramic panel through a perforated hole formed in the heat sink, a fixing bushing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a threa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xing bushing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bushing. A screw portion screwed to the fixing bushing, a head portion formed under the screw portion, side hole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bushing, a plurality of which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inserted into the side holes, respectively, One end of the fixing bushing facing outward is formed to be sharp, and the other end facing the inside of the fixing bushing is formed with an inclined spike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spike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crew part and moves upward when the screw part moves upward.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 part for pushing the spike member outward of the fixing bushing in contact with the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내부플레이트 및 상기 단위외부플레이트는 금속판에 절단라인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절단라인을 따라 상기 금속판을 절단하여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를 얻은 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부를 호형으로 절단한 다음 일정한 곡률로 절곡하여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돔 하우스 제작용 거푸집 조립체.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it inner plate and the unit outer plate form a cut line in a metal plate, and then cut the metal plate along the cut line to obtain a plurality of base plates, and then cut the upper end of the base plate in an arc shape. and then bent to a certain curvature to form a formwork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dome hous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formed.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거푸집 조립체의 타설공간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성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돔 하우스. [Claim 4] The concrete dome 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lded by injecting concrete into the space of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210191037A 2021-03-12 2021-12-29 mold assembly for making concrete dome house and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KR1026140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89 2021-03-12
KR20210032589 2021-03-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263A true KR20220128263A (en) 2022-09-20
KR102614034B1 KR102614034B1 (en) 2023-12-14

Family

ID=8344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037A KR102614034B1 (en) 2021-03-12 2021-12-29 mold assembly for making concrete dome house and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403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792A (en) * 1996-09-18 1998-04-07 Junichi Igarashi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
KR20150119829A (en) * 2015-10-08 2015-10-26 (주)상호종합건설 Integral do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60123489A (en) 2015-04-16 2016-10-26 최희환 Prefabricated dome house
KR20180072267A (en) * 2016-12-21 2018-06-29 이홍복 A mold panel of assembly for building
KR20190021775A (en) * 2017-08-23 2019-03-06 신상철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ed concrete structure and insulated concrete structure
KR20190075438A (en) * 2017-12-21 2019-07-01 (유)선일건설 prefabricated circular roof and prefabricated hous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792A (en) * 1996-09-18 1998-04-07 Junichi Igarashi Construction method for building structure
KR20160123489A (en) 2015-04-16 2016-10-26 최희환 Prefabricated dome house
KR20150119829A (en) * 2015-10-08 2015-10-26 (주)상호종합건설 Integral dom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80072267A (en) * 2016-12-21 2018-06-29 이홍복 A mold panel of assembly for building
KR20190021775A (en) * 2017-08-23 2019-03-06 신상철 Construction method of insulated concrete structure and insulated concrete structure
KR20190075438A (en) * 2017-12-21 2019-07-01 (유)선일건설 prefabricated circular roof and prefabricated hous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034B1 (en)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2548B1 (en) Modular elements, network, supporting structure, construction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reof
KR101731493B1 (en) Insulation and bearing panel and its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method
KR20220128263A (en) mold assembly for making concrete dome house and concrete dome house using the same
RU2519314C1 (en) Leave-in-place form
KR100708252B1 (en) Fixing device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construction
KR200387296Y1 (en) the bottom-panel for piping of heating
KR101311880B1 (en)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70234009A1 (en) A building wa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e
CN205171730U (en) Building structure and outer wall body thereof
KR10126465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Wall having Middle Insulation Structure
JP2002339469A (en) Precast concrete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339260Y1 (en) Heating System Using the Enhanced Thermally Conductive Plastic Panel
CN211499258U (en) Prefabricated heat preservation side fascia
KR101788212B1 (en) Blocking Thermal Bridge Insulation
JP2010037893A (en) Heat insulating panel for wall
CN211622049U (en) Heat preservation board and heat preservation wall
US11142908B2 (en) Wall with pre-bent tubing
CN214657898U (en) Composite heat-insulating template
KR20130051177A (en) Door frame for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KR200271617Y1 (en) a floor-heat panel using hot-water
CN215290712U (en) Building outer wall insulation structure
KR20210076325A (en) Small prefabricated water tank.
CN218176253U (en) High-efficient thermal-insulated outer wall exterior sheathing
JP7290804B2 (en) Heat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96695B1 (en) Prefabricated red clay-hot water panel flo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