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030A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030A
KR20220128030A KR1020210032573A KR20210032573A KR20220128030A KR 20220128030 A KR20220128030 A KR 20220128030A KR 1020210032573 A KR1020210032573 A KR 1020210032573A KR 20210032573 A KR20210032573 A KR 20210032573A KR 20220128030 A KR20220128030 A KR 2022012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ntainer
cosmetic
main body
layer
form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309B1 (ko
Inventor
안보라미
Original Assignee
안보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보라미 filed Critical 안보라미
Priority to KR102021003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3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6Degradable
    • B32B2307/7163Biodegrad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Packag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팩 재질의 본체와 교체가능한 펌프헤드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유팩 재질의 본체와 교체가능한 펌프헤드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다양한 화장품 용기에 담겨 판매되고 있으며, 특히 샴푸나 스킨로션 등 많은 화장품용기의 헤드부는 펌프형으로 이루어져 펌핑만으로 간단하게 화장품 용액을 덜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을 담을 용기 본체부는 보통 소정의 강도를 가진 플라스틱이나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운반이나 사용 과정에서 떨어뜨리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체소재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펌프형 헤드를 결합시켜 사용하는 화장품에 있어서, 사용 종료 후 분리 배출하는 과정에서 합성수지나 플라스틱, 유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구성을 각각 분리하여 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대부분은 합성수지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들이 버려지면서 많은 환경오염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중에서 천연소재와 플라스틱을 결합시킨 바이오플라스틱이 환경을 지키는 신소재로써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기존 플라스틱 소재의 대체재로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 화장품 용기에 대해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다거나 사용된 화장품용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에 대한 일 실시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96315호에서는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를 개시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화장재료가 내장되는 리필케이스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필용 화장품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활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경우에 있어서, 여러번에 걸쳐 재활용하는 용기를 사용하더라도 소재 자체가 친환경소재가 아닌 만큼 폐기시에 환경오염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강도를 가진 용기본체의 크기가 상당하여 이러한 화장품용기가 쌓이게 되면 상당히 큰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폐기 자체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96315호(2016.08.16 공개)
우유팩 소재를 활용한 화장품용기 본체에 교체 가능한 펌프형 헤드가 결합된 화장품 용기 및 고형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목적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상기 본체부는,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과 종이층 및 인쇄층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필름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하이드록시 알카토에이트(Polyhdyroxy alkanoate, 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 buryrate, PHB),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Polyhydroxy valerate, PHV),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 카프로 락톤(Poly capro lactone, PCL), 폴리에스터 우레탄(Polyester urethane, PEU),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알리파틱 폴리에스터(Aliphatic polyester, AP),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셀룰로오스 디 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 CDA), 풀루란(Pullulan), 전분계 플라스틱(Starch blends)(Thermoplasticstarch, TPS) 중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를 수직방향으로 축소시키기 위하여, 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는,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며,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토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를 압축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는,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에 생분해필름이 코팅됨으로써 쉽게 분해가 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환경적인 소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부를 쉽게 압축시키도록 접힘부가 형성되어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우유팩 소재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있어서, 화장품 용기 본체가 접히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에 있어서, 화장품 용기 본체가 접히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2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20)가 결합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화장품 용기 본체부(10)는 내부에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소정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형이나 뿔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부압력으로부터 쉽게 파손되거나 찢기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펌프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가압하면 본체부(10) 내에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펌프압에 의해 토출되는 토출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상기 토출부(20)는 펌프형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체부(10) 내부의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면 그 어떤 구성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10) 상부에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토출부(20)가 본체부(10)에 결합되는 결합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는 토출부(20)와 본체부(10)가 연결되는 부분에 따라 단순 끼움결합되거나 나사결합 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는, 폴리에틸렌(11, 13)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2)과, 상기 기재층(12)의 일면에 형성되는 종이층(14) 및 상기 종이층(14)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체부(1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소재는 종이층(14)이 기초가 된다. 상기 종이층(14)의 상부면에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15)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인쇄층(15)의 외측면에 화장품 용액의 기초정보 등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으 내측면은 폴리에틸렌(11, 13)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2)의 양측은 폴리에틸렌으로 코팅되며, 상기 기재층(12)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본체부(10)에 의하여 종이라는 친환경소재를 사용함과 동시에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12)에 의하여 쉽게 분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재층(12)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층(12)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기재층(12)을 중심으로 양측에 코팅된 폴리에틸렌(11, 13)과 종이층(14) 및 인쇄층(15)이 접착층에 의해 상호 접착되어 외형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필름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하이드록시 알카토에이트(Polyhdyroxy alkanoate, 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 buryrate, PHB),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Polyhydroxy valerate, PHV),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 카프로 락톤(Poly capro lactone, PCL), 폴리에스터 우레탄(Polyester urethane, PEU),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알리파틱 폴리에스터(Aliphatic polyester, AP),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셀룰로오스 디 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 CDA), 풀루란(Pullulan), 전분계 플라스틱(Starch blends)(Thermoplasticstarch, TPS) 중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분해필름은 분해 과정에서 쉽게 분해될 수 있는 성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특히 생분해필름에 적용되는 생분해수지는 전술한 PLA, PHA 등과 같은 소재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친환경적 요소를 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0)를 수직방향으로 축소시키기 위하여,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품 용기를 반복 사용한 후에 폐기해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져 쉽게 접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10)를 보다 쉽게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힘부(40)는 종이 재질의 팩 형상을 가진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형태는 고정된 것이 아니고 본체부(10)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그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40)는, 본체부(10)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41)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41)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10)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체부(10)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접힘부(4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팩 모양의 본체부(10)의 수직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이 형성되며 외측면으로부터 본체부(10)의 축방향을 향해 인입되어 본체부(10)가 압축될 수 있도록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복수개의 제1접힘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힘부(41)는 본체부(10)의 모서리를 가압하게 되면 제1접힘부(41) 라인을 따라 접히면서 본체부(10)의 수직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힘부(43)를 중심으로 상하부에서 제1접힘부(41)에 의해서 접게 되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어 본체부(10)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2접힘부(43)를 둘레를 따라 가압하여 압축시켜 본체부(10)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 상부에 형성되며,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토출되는 토출부(20) 및 상기 본체부(10)를 압축하기 위하여, 본체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힘부(40)는, 본체부(10)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41)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41)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43)를 포함한다.
전술한 화장품용기 본체부(10)에 결합 설치되는 토출부(20)는 펌프형으로 이루어져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가압하면 본체부(10) 내에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펌프압에 의해 토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화장품이 액상이 아닌 크림과 같이 고형 내용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펌프압에 의해 토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형 내용물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액이 담긴 본체부(10)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체부(10)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본체부(10)가 압축되면서 내용물이 토출부(20)로 토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접힘부(41)와 제2접힘부(43)를 갖는 본체부(10)의 외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가압하게 되면 접힘선을 따라 용기가 접히면서 부피가 압축되고, 부피가 압축되는 만큼 토출압이 더해져 내장된 고형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자가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후 폐기할 경우에도 접힘선(40)을 따라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폐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부
11, 13 : 폴리에틸렌
12 : 기재층
14 : 종이층
15 : 인쇄층
20 : 토출부
30 : 결합부
40 : 접힘부
41 : 제1접힘부
43 : 제2접힘부

Claims (8)

  1.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며, 화장품 용액을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가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생분해필름으로 이루어진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종이층 및
    상기 종이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소재의 인쇄층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종이층 및 인쇄층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필름은,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폴리하이드록시 알카토에이트(Polyhdyroxy alkanoate, PHA),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 buryrate, PHB),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Polyhydroxy valerate, PHV),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PBAT), 폴리부틸렌 숙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 카프로 락톤(Poly capro lactone, PCL), 폴리에스터 우레탄(Polyester urethane, PEU), 폴리글리코릭산(Polyglycolic acid, PGA), 알리파틱 폴리에스터(Aliphatic polyester, AP),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셀룰로오스 디 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 CDA), 풀루란(Pullulan), 전분계 플라스틱(Starch blends)(Thermoplasticstarch, TPS) 중 하나 이상의 생분해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수직방향으로 축소시키기 위하여, 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화장품 용액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공간이 형성되며, 종이 재질의 팩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부에 형성되며, 내장된 화장품 용액이 토출되는 토출부; 및
    상기 본체부를 압축하기 위하여, 본체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접힘부;
    를 포함하는 화장품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는,
    본체부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며, 외측면에서 교차되는 접힘선을 갖는 제1접힘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1접힘부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1020210032573A 2021-03-12 2021-03-12 화장품 용기 KR102570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73A KR102570309B1 (ko) 2021-03-12 2021-03-12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73A KR102570309B1 (ko) 2021-03-12 2021-03-12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030A true KR20220128030A (ko) 2022-09-20
KR102570309B1 KR102570309B1 (ko) 2023-08-24

Family

ID=8344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573A KR102570309B1 (ko) 2021-03-12 2021-03-12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3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986A (ko) * 2002-03-06 2002-04-17 이정민 액체배출용 디스펜서에 사용되는 배출구의 구조
KR20160096315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오아시스바이오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
JP2019214411A (ja) * 2018-06-13 2019-12-19 株式会社 資生堂 垂直圧潰可能な容器及び多重容器
KR102083124B1 (ko) * 2019-07-17 2020-02-28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고차단성 친환경 포장재에 적용되기 위한 적층필름
KR102141711B1 (ko) * 2019-09-30 2020-08-05 제이에셀 주식회사 친환경 마스크팩 파우치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파우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986A (ko) * 2002-03-06 2002-04-17 이정민 액체배출용 디스펜서에 사용되는 배출구의 구조
KR20160096315A (ko) 2015-02-05 2016-08-16 주식회사 오아시스바이오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화장품 케이스
JP2019214411A (ja) * 2018-06-13 2019-12-19 株式会社 資生堂 垂直圧潰可能な容器及び多重容器
KR102083124B1 (ko) * 2019-07-17 2020-02-28 동원시스템즈 주식회사 고차단성 친환경 포장재에 적용되기 위한 적층필름
KR102141711B1 (ko) * 2019-09-30 2020-08-05 제이에셀 주식회사 친환경 마스크팩 파우치용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309B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722B1 (ko) 접힌 티슈 제품의 리필 카트리지
US5469691A (en) Process for recycling a shipping container
US11827437B2 (en) Container
JPH10218193A (ja) 液用可撓容器
EP0585093A2 (e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pace efficient battery package
KR102570309B1 (ko) 화장품 용기
US6390332B2 (en) Liquid container
CN111465561A (zh) 具有集成保护特征的容器
KR102402080B1 (ko) 상부면 및 하부면의 형성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케이스
JP4148082B2 (ja) 複合容器
JP4493875B2 (ja) 複合材料製容器
US12006117B2 (en) Container
JP2022102285A (ja) 張り子状容器
EP4302638A1 (en) Container for contents
JP7410566B2 (ja) 容器
JP2002283391A (ja) 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容器
JP2023163996A (ja) 容器ホルダー
KR102056815B1 (ko) 보관 및 재사용 가능한 캡 형 파우치
US20230294895A1 (en) Plastic-free trapped tray packaging
JP2015217942A (ja) 箱容器
KR20230002280U (ko) 공간을 나눌 수 있는 포장 상자
JP2023173318A (ja) 複合容器
JP7135273B2 (ja) 液体用紙容器
JP4421044B2 (ja) 超薄肉容器
KR200338879Y1 (ko) 직육면체형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