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975A -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975A
KR20220127975A KR1020210032439A KR20210032439A KR20220127975A KR 20220127975 A KR20220127975 A KR 20220127975A KR 1020210032439 A KR1020210032439 A KR 1020210032439A KR 20210032439 A KR20210032439 A KR 20210032439A KR 20220127975 A KR20220127975 A KR 20220127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information
waveform
generating
sim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780B1 (ko
Inventor
홍천한
신원석
권순재
이상석
이경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스템
Priority to KR1020210032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78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with simulated flight- or engine-generated force being applied to aircraft occupa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12Motion systems for aircraft simul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46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the aircraft being a helico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1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정보와,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2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고, 제 1 진동 정보 및 제 2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기반으로 음향 신호를 생성하여,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A METHOD FOR REPRODUCING VIBRATION OF TARGET BASED ON SOUND WAVE}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파를 기반으로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뮬레이션 (simulation) 이란 소정 시스템의 기능을 다른 수단을 활용하여 모의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간 축 상에서 모델을 시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험·분석·훈련을 위한 기술이 존재하고, 시뮬레이션에는 현실 시스템이 포함되기도 하며, 실제 또는 개념적 세계가 모델에 의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관련하여, 항공기 또는 헬기와 같은 비행체에 대한 시뮬레이터가 가장 선도적으로 발전해오고 있다. 비행체 시뮬레이터의 분류는 훈련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으나 비행 시뮬레이터의 인증기준에 따라 크게 충실도가 높은 순으로 FFS (Full Flight Simulator), FTD (Flight Training Devices), ATD (Advanced Aviation Training Devices, FAA규정) 혹은 FNPT (Flight Navigation and Procedures Trainer, EASA 규정) 으로 분류될 수 있다.
FFS (Full Flight Simulator, 모의 비행 장치) 는 실제 항공기에서 행하는 대부분의 훈련을 수행할 목적으로 제작되므로 조종석 계기, 창밖 시계 영상, 조종 입력에 따른 움직임 등에 의해 비행의 느낌을 충실히 재현해 낼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제작된다. FFS는 실제 항공기의 조종석 및 항공역학적인 데이터가 정확히 반영되어 시뮬레이션 되어야 하며, 다양하고 효율적인 훈련을 진행하기 위한 시나리오와 훈련결과가 분석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FTD (Flight Training Device, 비행훈련장치)는 창 밖 시계 영상이나 조종입력에 따른 움직임이 없거나 제한된 형태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주로 계기비행절차 등 특화된 일부의 기술을 훈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FTD는 비행의 충실한 재현 보다는 비행 학습 절차 등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자가용 비행기 조종사를 주로 양성하는 소규모 비행 학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보다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모사 대상을 재현하기 위해서, 시뮬레이터는 훈련자의 좌석의 배향 및/또는 운동을 제어하는 모션 시스템과, 가상 현실, 모사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모션 시스템으로 재현할 수 있는 모사 대상의 움직임에는 한계가 있으며, 예를 들어 모사 대상의 작은 진동은 종래의 모션 시스템의 제어를 통해 모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840591 호 ("음파 진동형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 주식회사 티에스메디텍)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사 대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진동 요소들에 의한 진동에 대한 정보를 진폭 및 주파수를 기반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모사 대상의 진동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음파를 생성하여 우퍼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할 수 있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1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정보와, 상기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2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진동 정보 및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기반으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사 대상의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에 더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진동 정보 또는 상기 제 2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모사 대상 비행체의 메인 로터; 모사 대상 비행체의 테일 로터;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무장 설치를 위한 모터; 또는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기총 발사;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 1 진동 정보 및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진동 정보의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와 상기 제 2 진동 정보의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생성된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형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은, 주기를 가지는 사각파, 정현파, 톱니형파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사 대상의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는, 상기 모사 대상의 소정 객체와의 충돌에 따른 진동; 또는 상기 모사 대상의 착륙에 따른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진동 파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은, 상기 모사 대상의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진동 파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의 음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모사하는 음향 모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모사 신호에 더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생성된 상기 음향 신호는 진동 발생 장치로 출력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우퍼; 샤프트; 스프링; 및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미리 결정된 범위의 변위를 제공하도록 하는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자중 보상용 스프링이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의 좌석에 내장되거나; 상기 시뮬레이터의 좌석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진동 전달 샤프트를 기반으로 상기 좌석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사 대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진동 요소들에 의한 진동에 대한 정보를 진폭 및 주파수를 기반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모사 대상의 진동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음파를 생성하여 우퍼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 요소들 각각에 따른 진동을 재현함으로써 시뮬레이터의 훈련자로 하여금 보다 현실감 있는 훈련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의 예시적인 모사 대상인 헬기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비행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재현 장치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절차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진동 정보 취득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재현 장치의 배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항공기 또는 헬기와 같은 비행체에 대한 시뮬레이터가 선도적으로 발전해오고 있으며, 보다 실제 상황과 유사하게 모사 대상을 재현하기 위해서, 시뮬레이터는 훈련자의 좌석의 배향 및/또는 운동을 제어하는 모션 시스템과, 가상 현실 영상, 모사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모션 시스템으로 재현할 수 있는 모사 대상의 움직임에는 한계가 있으며, 예를 들어 모사 대상의 작은 진동은 종래의 모션 시스템의 제어를 통해 모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사 대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진동 요소들에 의한 진동에 대한 정보를 진폭 및 주파수를 기반으로 송수신함으로써 실시간으로 모사 대상의 진동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음파를 생성하여 예를 들어 우퍼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음파”는 예를 들어 우퍼를 포함하는 진동 재현 장치에 의해 생성된 진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음향 신호”는 진동 재현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입력되는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의 예시적인 모사 대상인 헬기를 나타낸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모사 대상은 헬기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이 될 수 있는 임의의 객체에 따른 진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 모사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이 될 수 있는 헬기 (10) 는 복수의 진동 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헬기의 조종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프로펠러 및/또는 로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경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비교적 낮은 주기의 진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빠른 주기의 진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파수 또는 주기의 진동을 경함하게 된다.
예를 들어, 메인 로터인 제 1 로터 (11) 및/또는 제 2 로터 (12) 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헬기의 조종석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헬기 (10) 의 후미에 배치되는 테일 로터 (13) 의 회전에 따른 진동 역시 탑승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로터의 회전에 따른 진동은 헬기의 규모 및/또는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헬기의 경우 대략 6Hz 정도의 주파수로 로터가 회전할 수 있으며, 소형 헬기의 경우 20 Hz 내지 40 Hz 의 주파수로 로터가 회전할 수도 있다. 한편, 헬기 (10) 에는 예를 들어 로터의 회전을 위한 엔진 (14) 이 구비될 수 있다. 엔진 (14) 은 예를 들어 3000 rpm 의 속도로 회전할 수 있으며, 역시 헬기의 규모 및/또는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이상 예를 들어 살핀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이 될 수 있는 헬기는 복수의 진동 발생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헬기의 착륙이나 헬기가 소정 객체와 충돌함에 따른 진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시뮬레이터를 통해 헬기를 모사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진동을 더욱 현실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시뮬레이터에는 좌석 진동 장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인 헬기나 항공기의 떨림을 모의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비행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의 좌석 (20) 은 모션 플레이트 (23)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모션 플레이트 (23) 는 예를 들어 모션 플랫폼에 의해 모사 대상의 배향이나 움직임, 각도와 같은 상태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션 플랫폼은 6 자유도의 움직임을 좌석 (20) 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터는 스크린 (25) 을 구비하여, 모사 대상의 좌석에서 보여지는 시야를 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 (25) 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가상 현실 (VR) 영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모사 대상이 발생시키는 음향 역시 예를 들어 스피커 (27) 와 같은 음향 설비를 통해 시뮬레이터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항공기나 헬기의 엔진음이나 로터 회전음과 같이 보다 현실감있는 현장음을 모사 음향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동 재현 장치 (21) 를 통해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진동 재현 장치 (21) 는 시뮬레이터의 좌석 (20) 의 시트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음향 신호가 출력되면, 진동 재현 장치 (21) 에 구비된 예를 들어 우퍼를 진동시킴으로써 좌석 (20) 에 착석한 시뮬레이터 사용자에게 모사 대상에 착석한 것과 유사한 진동을 경험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 에는 진동 재현 장치 (21) 가 상하 방향의 진동을 시뮬레이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진동 재현 장치의 배치는 도 2 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하 방향 진동의 제공에 한정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진동 재현 장치는 상하 방향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복수 방향의 진동을 시뮬레이터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진동 재현 장치의 설치 위치나 방향에 따라 다양한 진동 형상의 모의가 가능하다. 서로 상이한 설치 위치나 배향을 가지는 복수의 진동 재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의 진동 재현 장치들 각각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에 의해 각각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재현 장치를 나타낸다. 도 3 에 도시된 진동 재현 장치 (21) 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은 음파를 기반으로 진동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또는 설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 재현 장치 (21) 는 우퍼 (217), 가이드 (213), 스프링 (215) 및 상부 플레이트 (211) 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213) 는 상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프링 (215) 는 발생하는 진동을 플레이트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스프링은, 진동 발생 장치가 미리 결정된 범위의 변위를 제공하도록 하는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자중 보상용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중 보상용 스프링 (71) 이 하나 이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우퍼 (21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에 의해 출력된 음향 신호를 기반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상부 플레이트 (211) 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진동 재현 장치는 단지 하나의 예시적인 것이며, 진동 재현 장치의 구현에 따른 형상 구조에 따라 앰프, 스프링,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의 수량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절차에 대한 개념을 도시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은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헬기와 같이,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진동을 음파를 기반으로 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복수의 진동은 예를 들어 중첩되는 것에 의해 엔진의 잔진동과 로터의 회전 주파수에 상응하는 진동을 재현할 수 있다. 즉 다양한 원인에 따른 복수의 진동들이 중첩되어 음향 신호가 생성될 수 있고, 음향 신호가 엠프로 전달되는 것에 의해 진동이 재현되어 좌석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절차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뮬레이터는 주 제어기 (HOST, 410) 를 구비할 수 있다. 주 제어기 (410) 는 시뮬레이터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션 플랫폼의 제어나 스크린에 표시될 영상의 제어, 현장음 모사 음향의 제공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 재현을 위한 진동 정보 또는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 역시 주 제어기 (410) 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주 제어기 (410) 는 예를 들어 로터 또는 엔진 진동과 같은 고주파의 진동을 재현하도록 하기 위한 진동 정보 (411) 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 정보 (411) 는 예를 들어 5 Hz 이상의 고주파 진동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주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요소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 1 진동 정보, 제 2 진동 정보, 제 3 진동 정보 내지는 제 X 진동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진동 정보는 해당하는 진동에 대한 진폭 (Amplitude) 및 주파수 (Frequency) 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주파 진동에 대한 진동 정보는 진동 파형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아니라, 진폭 및 주파수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여 제공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진동 전달 소프트웨어 또는 해당 소프트웨어가 구동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상기 진폭 및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주기를 가지는 파형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주기를 가지는 파형은 예를 들어 사각파, 정현파, 톱니형파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진동 전달 SW (430) 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수행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모두 의미할 수 있다.
근래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이 발전하기는 하였으며, RS-232 또는 UDP 와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20 내지 30 Hz, 나아가 40 Hz 정도의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의 신호를 실시간으로 송신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주 제어기 (410) 는 진폭과 주파수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진동 정보 (411) 를 제공하여 진동 전달 SW (430) 와 정보를 송수신하고 진동 전달 SW (430) 에 구비된 이퀄라이저 (431) 가 해당하는 진폭과 주파수를 가지는 주기를 가지는 파형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진동과 관련된 진동 파형을 생성함에 있어서는, 모의 장치가 진동하는 것임을 고려하여 진동 장치의 고유 진동을 고려하여 튜닝하도록 할 수 있다. 진폭과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진동 정보가 제공되는 진동 요소는,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로터 중 적어도 하나, 테일 로터, 복수의 기어 중 적어도 하나, 헬기 무장 준비를 위한 추가 모터, 기총 발사에 따른 진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4 를 참조하면, 주 제어기 (410) 는 예를 들어 착륙이나 소정 객체와의 충돌에 따른 Impulse 파와 같이, 비정기적인 진동에 대한 정보 (413) 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정보 (413) 는 예를 들어 5 Hz 미만의 저주파 진동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과 같은 비정기적 진동은 충격파일 수 있고, 충격파는 진폭과 주파수 정보가 아니라 진동 파형 정보인 신호 자체를 송신하도록 할 수 있다. UDP 통신은 일반적으로 60Hz 로 통신할 수 있으며, 충격파에 대한 신호 정도는 충분히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4 를 참조하면, 진동 전달 SW (430) 에 구비되는 이퀄라이저 (431) 는 주 제어기 (410) 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진동 정보 (411) 를 기반으로 주기를 가지는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이퀄라이저 (431) 는 복수의 진폭,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중첩된 하나의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이퀄라이저 (431) 는 복수의 진폭 및 주파수 정보에 상응하는 생성 파형을 매칭하는 미리 생성된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을 구비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룩-업 테이블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주 제어기 (410) 가 미처 생성하지 못하는 진동에 대한 보완으로서 진동 전달 SW (430) 가 임의의 진동 성분 (433) 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임의의 진동 성분 (433) 은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의 구동에 따른 대략 3000 rpm 이상의 정현파 잔진동의 경우, 주 제어기가 진동 정보를 생성하기에는 다소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시뮬레이터의 착석자 입장에서는 현장의 진동을 보다 실감적으로 재현될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잔진동의 경우에는 진동 전달 SW (430) 가 자체적으로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 (433) 을 생성하도록 하여 보완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 (433) 의 생성에 대한 온/오프는 진동 정보 (411) 에 다른 진동 파형의 존재 여부에 따라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측면에 따르면, 진동 정보 (411) 에 따른 파형의 진폭 또는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 (433) 이 생성 및/또는 부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4 를 참조하면, 진동 정보 기반의 파형, 저주파 관련 진동 파형,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이 통합 (435) 될 수 있고, 통합된 파형은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437) 를 기반으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엠프 (440) 로 전달되어 진동을 발생 (450) 시키고 좌석의 진동이 발생 (460) 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 측면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장음의 재현을 위한 음향 모사 신호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을 위해서도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구동음과 같은 현장음의 재현을 위한 음향 모사 신호가 AUX 를 통해 진동 발생을 위한 음향 신호에 부가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진동 전달 SW (430) 의 AUX (439) 를 통해 음향 모사 신호가 부가될 수도 있고, 또는 엠프 (440) 에 직접 입력되는 AUX (441) 신호를 통해 음향 모사 신호가 진동 발생을 위한 음향 신호에 부가될 수도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6 은 도 5 의 진동 정보 취득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은 먼저 진동 정보를 취득 (단계 510) 하여, 취득된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재현을 위한 음향 신호를 생성 (단계 520) 할 수 있다. 이후 생성된 음향 신호를 출력 (단계 530) 함으로써 음파를 기반으로 진동을 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여 진동 정보의 취득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진동 정보는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주 제어기 (410) 로부터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1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정보와, 상기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2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 (단계 511)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폭 및 주파수 기반의 진동 정보는 앞서 도 4 를 통해 살핀 바와 같은 진동 정보 (411) 일 수 있다. 진동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진동 정보 및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 (단계 513) 할 수 있다.
앞서 도 4 를 기반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 1 진동 정보 또는 상기 제 2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모사 대상 비행체의 메인 로터, 모사 대상 비행체의 테일 로터,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무장 설치를 위한 모터, 또는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기총 발사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진동 정보 및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 (단계 513) 하는 것은, 상기 제 1 진동 정보의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와 상기 제 2 진동 정보의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생성된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형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은, 주기를 가지는 파형일 수 있고, 사각파, 정현파, 톱니형 파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시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사 대상의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를 수신 (단계 515) 할 수 있다. 모사 대상의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는, 모사 대상의 소정 객체와의 충돌에 따른 진동, 또는 모사 대상의 착륙에 따른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진동 파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 을 참조하면,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을 생성 (단계 517) 할 수 있다.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은, 모사 대상의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진동 파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시 도 6 을 참조하면,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의 음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모사하는 음향 모사 신호를 수신 (단계 519) 할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향 신호의 생성 (단계 520) 은, 앞서 살핀 바와 같은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 또는 음향 모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생성된 음향 신호는 예를 들어 앰프로 출력되어, 음파를 기반으로 진동을 재현하도록 할 수 있고, 보다 실감도 있는 시뮬레이터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의 배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앞서 도 2 에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 (21) 는 시뮬레이터 좌석 (20) 의 시트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발생 장치 (21) 는, 시뮬레이터의 좌석 (20) 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진동 전달 샤프트 (73, 75) 를 기반으로 좌석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20) 의 하부에는 하중 보상 스프링 (71) 이 예를 들어 2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상수는 예를 들어 좌석 이동장치 무게의 1/4 / 변형 량 (2 cm) 로 설정될 수있다. 자중 보상용 스프링 (71) 은, 진동 변위 크기를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스프링 상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동 전달 샤프트 (73, 75) 는 Cyclic 링키지 간섭을 해결하기 위해 2중 커넥팅 로드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기반 진동 재현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 (800) 은 플래시 스토리지 (810) , 프로세서 (820), RAM (830), 입출력 장치 (840) 및 전원 장치 (85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 스토리지 (810) 는 메모리 장치 (811) 및 메모리 컨트롤러 (812)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컴퓨팅 시스템 (800) 은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포트 (port) 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 (800) 은 퍼스널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 (820) 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 (task) 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820)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 (820) 는 어드레스 버스 (address bus), 제어 버스 (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 (data bus) 등과 같은 버스 (860) 를 통하여 RAM (830), 입출력 장치 (840) 및 플래시 스토리지 (810) 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820) 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RAM (830) 는 컴퓨팅 시스템 (800) 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램 (DRAM), 모바일 디램, 에스램 (SRAM), 피램 (PRAM), 에프램 (FRAM), 엠램 (MRAM), 알램 (RRAM) 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RAM (830)으로 이용될 수 있다.
입출력 장치 (840) 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프린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장치 (850) 는 컴퓨팅 시스템 (800) 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 특징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조합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특징들은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저장 디바이스 내의 저장장치 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서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특징들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설명된 실시예들의 함수들을 수행하기 위한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설명된 특징들은,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수신하기 위해, 및 데이터 저장 시스템으로 데이터 및 지시어들을 전송하기 위해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소정 결과에 대해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시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 된 또는 해석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 중 어느 형태로 쓰여지고, 모듈, 소자, 서브루틴(subroutine), 또는 다른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을 위해 적합한 다른 유닛으로서, 또는 독립 조작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포함하는 어느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지시어들의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를 들어, 범용 및 특수 용도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모두, 및 단독 프로세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터의 다중 프로세서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설명된 특징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지시어들 및 데이터를 구현하기 적합한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쉬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바이스들, 광자기 디스크들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모든 형태들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ASIC들(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내에서 통합되거나 또는 ASIC들에 의해 추가되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일련의 기능 블록들을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들의 조합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구현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들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서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난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1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진동 정보와, 상기 모사 대상에 구비된 제 2 진동 요소의 진동에 대한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진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진동 정보 및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기반으로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사 대상의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에 더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에 더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정보 또는 상기 제 2 진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모사 대상 비행체의 메인 로터;
    모사 대상 비행체의 테일 로터;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복수의 기어 중 어느 하나;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무장 설치를 위한 모터; 또는
    모사 대상 비행체에 구비된 기총 발사;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정보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동 정보 및 상기 제 2 진동 정보를 기반으로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진동 정보의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와 상기 제 2 진동 정보의 진폭 정보 및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미리 생성된 룩-업 테이블 (Look-Up Table, LUT) 에서 적어도 하나의 진동 파형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기반으로 상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요소 기반 진동 파형은,
    주기를 가지는 사각파, 정현파, 톱니형파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인,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사 대상의 비정기적 진동에 대한 진동 파형 정보는,
    상기 모사 대상의 소정 객체와의 충돌에 따른 진동; 또는
    상기 모사 대상의 착륙에 따른 진동;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진동 파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미리 설정한 임계값 이상의 주파수를 가지는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실감도 부가 진동 파형은,
    상기 모사 대상의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을 모사하기 위한 진동 파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사 대상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의 음향들 중 적어도 하나를 모사하는 음향 모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향 모사 신호에 더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음향 신호는 진동 발생 장치로 출력되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우퍼; 샤프트; 스프링; 및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진동 발생 장치가 미리 결정된 범위의 변위를 제공하도록 하는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자중 보상용 스프링이고,
    상기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터의 좌석에 내장되거나; 상기 시뮬레이터의 좌석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진동 전달 샤프트를 기반으로 상기 좌석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KR1020210032439A 2021-03-12 2021-03-12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KR10251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39A KR102513780B1 (ko) 2021-03-12 2021-03-12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439A KR102513780B1 (ko) 2021-03-12 2021-03-12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975A true KR20220127975A (ko) 2022-09-20
KR102513780B1 KR102513780B1 (ko) 2023-03-24

Family

ID=83446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439A KR102513780B1 (ko) 2021-03-12 2021-03-12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7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810A (ja) * 2001-04-11 2002-10-25 Honda Motor Co Ltd ドライビングシミュレータ
WO2005066918A1 (ja) * 2003-12-26 2005-07-21 Seijiro Tomit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のデータ授受方法
KR100840591B1 (ko) 2007-02-22 2008-06-23 주식회사 티에스메디텍 음파 진동형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
JP2008145714A (ja) * 2006-12-08 2008-06-26 Sega Corp シミュレータ制御情報作成方法、及び、シミュレータ制御情報作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作成された制御情報により駆動されるシミュレータ
KR20190139467A (ko) * 2018-06-08 2019-12-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행체 진동 시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1810A (ja) * 2001-04-11 2002-10-25 Honda Motor Co Ltd ドライビングシミュレータ
WO2005066918A1 (ja) * 2003-12-26 2005-07-21 Seijiro Tomit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のデータ授受方法
JP2008145714A (ja) * 2006-12-08 2008-06-26 Sega Corp シミュレータ制御情報作成方法、及び、シミュレータ制御情報作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作成された制御情報により駆動されるシミュレータ
KR100840591B1 (ko) 2007-02-22 2008-06-23 주식회사 티에스메디텍 음파 진동형 운동 기능을 갖는 의자
KR20190139467A (ko) * 2018-06-08 2019-12-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행체 진동 시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780B1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lerton Principles of flight simulation
Perry The flightgear flight simulator
US20230245585A1 (en) Virtual reality with virtualization in trainers and test environments
US20110207091A1 (en) Compact multi-aircraft configurable flight simulator
CN104050333B (zh) 航空电子系统分布式实时综合仿真系统
EP2439718A1 (en) Vehicle simulation system and procedure integrated training
Casas et al. A particle swarm approach for tuning washout algorithms in vehicle simulators
Advani et al. Dynamic interface modelling and simulation-a unique challenge
KR102513780B1 (ko) 음파를 기반으로 시뮬레이터의 모사 대상의 진동을 재현하기 위한 방법
Kammer et al. Simulating LEGO mindstorms robots to facilitate teaching computer programming to school students
Stratmann et al. Mobile bridge-A portable design simulator for ship bridge interfaces
Cameron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st-effective flight simulator technologies
Zeltzer et al. Training the officer of the deck
RU97112759A (ru)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тренировочного поле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Aygun et al. Implementation Study of Parachute Training Simulator
Kemper et al. Simulator Design for Flying and Handling Qualities Instruction
Ouellette et al. Modeling the OH-6A using FlightLab and helicopter simulator considerations
US20230360553A1 (en) Method for creating a modified flight simulation program for a flight simulation system, and the flight simulation system executing the modified flight simulation program
CN112835543B (zh) 一种工程图的展示方法及装置
Morabito Targeted fidelity: Cutting cost by increasing focus
Gabbai The art of flight simulation
RU2280287C1 (ru) Комплексный тренажер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RU38511U1 (ru) Авиационный тренажер
JP2505112Y2 (ja) フライトシミュレ―タ装置
Lopes et al. Simulation and haptic devices in engineering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