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853A - 액화 가스 수송 탱크를 위한 이중 접근 해치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 수송 탱크를 위한 이중 접근 해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853A
KR20220127853A KR1020227027532A KR20227027532A KR20220127853A KR 20220127853 A KR20220127853 A KR 20220127853A KR 1020227027532 A KR1020227027532 A KR 1020227027532A KR 20227027532 A KR20227027532 A KR 20227027532A KR 20220127853 A KR20220127853 A KR 20220127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uct
plug
tan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줄리앙 쿠토
에두아르 듀클로이
Original Assignee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filed Critical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Publication of KR20220127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57Polygon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2Size large (>1000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79Manholes or access openings for human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1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 F17C2260/033Dealing with losses due to heat transfer by enhancing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6Avoiding lea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F17C2270/0107Wall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 가스의 저장 및/또는 수송을 위한 탱크의 벽(1)과 관련되며, 벽(1)은 벽의 두께 방향(E)으로 벽(1)을 통과하는 덕트(2)와, 덕트(2)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폐쇄 장치(3)를 포함하며, 폐쇄 장치(3)는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치(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 가스 수송 탱크를 위한 이중 접근 해치
본 발명은 저장 탱크, 특히 액화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의 분야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검사 및/또는 유지보수 작업들을 위해 그러한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게 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다.
액화 가스 수송 선박은 일반적으로 액화 가스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탱크를 획정하는 이중벽 구조를 갖는다. "액화 가스"는 표준 압력 및 온도 조건 하에서 증기 상태로 있고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액체 상태로 된 임의의 대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탱크는 일반적으로 개구부에 의해 여러 위치에서 중단되는 상부 벽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부는 예를 들어 터릿(turret) 또는 굴뚝 형태의 돌출 구조일 수 있으며, 기체 돔(gas dome), 액체 돔(liquid dome) 또는 맨홀(manhole)로 지칭되는 구조에 대응할 수 있다. 제 1 터릿은 화물을 핸들링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 즉 충전 라인, 비상 펌핑 라인, 오프로딩 펌프(offloading line)에 연결된 오프로딩 라인, 스프레이 펌프(spray pump)에 연결된 스프레이 라인 및 공급 라인을 위한 진입 지점의 역할을 한다. 제 2 터릿은 증기 수집 파이프를 위한 진입 지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탱크는 액화 가스를 오프로딩하기 위한 수중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수중 펌프를 유지보수 및/또는 검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부 벽에 개구부가 제공된다. 오프로딩 펌프에 전용인 개구부와 별도로 다른 개구부가 탱크 유지보수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후자의 개구부는 탱크 구조체의 교체 부품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치수설정된다.
탱크 상부 벽의 여러 위치에 있는 이러한 개구부의 제 1 단점은 멤브레인(membrane)이 횡단하는 다수의 용접 지점에서 누출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다수의 개구부의 제 2 단점은 생성된 열교 현상(thermal bridge)의 결과로서 탱크의 단열이 감소한다는 것이며, 이는 탱크에 수용된 액화 가스의 보다 큰 증발을 유발하고 최종적으로 그러한 탱크가 구비된 선박의 수송 능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다수의 개구부의 제 3 단점은 개구부의 존재가, 특히 다양한 단열 층,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금속 부품의 배열 및 이러한 개구부에 의해 생성되는 기계적 제약과 관련하여, 그러한 탱크의 설계 및 제조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화 가스를 수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위한 새로운 유형의 벽을 제안함으로써 전술한 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하고 더욱이 다른 이점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화 가스를 수송 및/또는 저장하기 위해 탱크의 벽에 생성된 개구부의 수를 합리화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화 가스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탱크의 벽을 제공한다. 벽은 벽의 두께 방향으로 벽을 통과하는 덕트와, 덕트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폐쇄 장치를 포함한다. 폐쇄 장치는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탱크의 상부 벽에 있고 탱크의 동일한 내부 용적부로 모두 개방되는 2개의 개구부를 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부 벽의 2개의 별도 위치에서 밀봉 멤브레인 및 단열 배리어의 중단부(interruption)를 갖는 대신에, 이제는 유일한 중단부가 단일 위치에 있다. 따라서, 벽의 밀봉과 또한 이러한 동일한 벽의 단열이 향상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장치는 해치, 커버, 제 2 덕트, 제 1 플러그 및/또는 제 2 플러그와 같은 복수의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이다. 그러한 요소들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는 벽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형 단면은 정사각형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3 m 내지 1.7 m, 바람직하게는 1.4 m 내지 1.5 m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는 벽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단면은 1.3 m 내지 1.7 m, 바람직하게는 1.4 m 내지 1.5 m의 직경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는 탱크의 외부 환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 1 마우스와, 탱크의 내부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 2 마우스를 포함하며, 폐쇄 장치는 제 1 마우스를 폐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및 해치는 각각 별도의 평면에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의 연장 평면은 해치의 연장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장치의 연장 평면 및 커버의 연장 평면은 벽의 두께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는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게 하는 구멍을 갖고, 해치는 상기 구멍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해치는 커버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커버 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는 제 1 덕트이고, 폐쇄 장치는 제 1 덕트의 내부면에 인접하여 그리고 벽의 두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러그와, 제 1 덕트의 내부에서 그리고 벽의 두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러그를 포함하며, 제 1 플러그 및 제 2 플러그는 제 2 덕트에 의해 분리된다. 여기서 그리고 하기의 모든 설명에서, 플러그는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덕트 내로 삽입함으로써 덕트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이동 가능한 요소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덕트의 내부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러그와 해치는 서로 고정된다. 여기서, 제 2 플러그와 해치는 해치의 추출 또는 틸팅이 이러한 이동에 따라 제 2 플러그를 운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러그는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러그는 해치에 의해,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로드에 의해 해치에 연결된 패널에 의해 획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제 2 플러그는 하우징에 배열된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단열 재료는 예를 들어 벽의 두께 방향으로 해치와 패널 사이에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러그는 단열 재료 및 패널을 포함하며, 단열 재료는 해치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패널은 단열 재료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재료는 벽의 두께 방향으로 측정된 제 2 덕트의 길이와 최대한으로 동일한, 벽의 두께 방향을 따라 측정된 길이에 걸쳐 제 2 덕트 내에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재료는 두께 방향을 따라 측정된 제 2 덕트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제 2 플러그는 개구부가 없는 영역에서의 탱크의 벽과 적어도 동등한 단열 능력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재료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유리 섬유에 의해 강화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재료는 폴리에틸렌 발포체 또는 폴리프로필렌 발포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재료는 미네랄 울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네랄 울은 유리솜, 암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은 탱크 내부로 연장되는 제 2 덕트의 자유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은 벽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은 합판 패널, 복합 패널 또는 금속 패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러그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덕트의 내부면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1 플러그는 제 1 덕트의 내부면에 의해 제한된 공간을 충전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러그와 커버는 서로 고정된다. 이것은 커버가 제거됨과 동시에 제 1 플러그를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러그는 제 2 덕트 주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자립형 단열 패널을 포함한다. 여기서, 자립형 단열 패널은 제 1 덕트의 내부면으로부터 제 2 덕트까지, 즉 제 2 덕트를 둘러싸는 제 2 덕트의 외부면까지 연장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러그는 자립형 단열 패널과 커버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자립형 단열 패널은 접착제에 의해 커버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매스틱이다. 유리하게는, 매스틱은 선체의 평탄도 결함(flatness defect)을 보상하고, 그에 따라 제 1 플러그와 단열 패널을 수직축(Z)을 따라 동일한 높이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립형 단열 패널은 경질 폴리우레탄의 단열 블록 및 경질 폴리우레탄의 단열 블록이 안착되는 합판 패널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합판 패널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금속 패널 또는 복합 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자립형 단열 패널은 합판 패널로 형성되고 미네랄 울, 예를 들어 유리솜 및/또는 암면으로 충전된 상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립형 단열 패널은 제 1 덕트의 내부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 1 덕트의 내부면과 자립형 단열 패널 사이에는 공간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립형 단열 패널은 제 2 덕트와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덕트와 자립형 단열 패널 사이에는 공간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러그는 미네랄 울, 예를 들어 유리솜 및/또는 암면을 포함한다. 미네랄 울은 자립형 단열 패널들 사이의 가능한 공간을 충전하고 그리고/또는 제 2 덕트 자체와, 제 2 덕트를 둘러싸는 자립형 단열 패널 또는 패널들 사이의 공간을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립형 단열 패널은 탱크 내부로 연장되는 제 2 덕트의 자유 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덕트의 단면의 표면적은 제 1 덕트의 단면의 표면적보다 작고, 단면은 벽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덕트의 단면은 제 1 덕트의 단면에 내접되고, 단면은 벽의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본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덕트는 벽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볼 때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덕트의 원형 단면은 0.8 m 내지 1.2 m, 보다 상세하게는 0.9 m 내지 1.1 m의 직경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덕트는 벽의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서 볼 때, 삼각형 단면 또는 사각형 단면, 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덕트는 제 2 덕트를 폐쇄하기 위해 해치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해치는 제 2 덕트를 덮도록 플랜지 상에 지지된다. 다시 말해서, 해치는 제 2 덕트의 외부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하도록 커버 상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덕트는 탱크 내부에 있는 자유 단부를 포함하며, 자유 단부는 벽의 연장 평면에 평행한 확장 평면에서 연장되고, 연장 평면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는 제 1 개구부에서 제 2 덕트를 둘러싸고 있다. 다시 말해서, 플랜지는 제 1 개구부의 윤곽에 걸쳐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와 제 2 덕트는 서로 고정 연결된다. 커버와 제 2 덕트는, 예를 들어 서로 용접되고, 그리고/또는 복수의 볼트로 클램핑함으로써 서로 유지된다. 용접은, 예를 들어 제 2 덕트의 내부면과 반대측에 있는 제 2 덕트의 외부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 2 덕트는 커버가 갖는 구멍을 통해 커버를 통과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덕트의 상부 부분은 커버로부터 벽의 두께 방향으로 탱크의 외부를 향해 돌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쇄 장치는 제 2 덕트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커버로부터 벽의 두께 방향으로 탱크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보강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은,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 및 탱크의 내부에 존재하는 액화 가스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며, 밀봉 멤브레인은 벽의 두께 방향으로 제 1 덕트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한다. 다시 말해서, 탱크의 초기 제조 동안이든 또는 밀봉 멤브레인의 절단이 필요한 작업 후에든, 밀봉 멤브레인의 일부가 제 1 덕트를 차단한다.
따라서, 벽의 두께 방향은 밀봉 멤브레인의 전개 평면에 수직인 방향인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밀봉 멤브레인은 제 2 덕트의 일부를 통과하는 절개부(cutout)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 배리어는 1차 단열 배리어이고, 밀봉 멤브레인은 탱크 내부의 액화 가스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1차 밀봉 멤브레인이며, 벽은 2차 단열 배리어 및 2차 밀봉 멤브레인을 포함하고, 2차 밀봉 멤브레인은 2차 단열 배리어에 대해 안착되고,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밀봉 멤브레인에 대해 안착되며, 1차 밀봉 멤브레인은 1차 단열 배리어에 대해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 밀봉 멤브레인은 주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벽을 포함하는 액화 가스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탱크를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 가스는 극저온 유체이다. 이러한 액화 가스는 액화 천연 가스, 액화 석유 가스, 액체 에탄, 액체 프로판, 액체 아르곤, 액체 암모니아 및 액체 수소로부터 선택된다.
폐쇄 장치는 폐쇄 위치에서 설명되었지만,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 2 플러그 및/또는 제 1 플러그 및/또는 해치는 탱크 외부에 있으며, 해치는 예를 들어 피봇부(pivot)에서 틸팅되거나, 또는 폐쇄 장치 및 따라서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는 벽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커버가 탱크 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장비를 통과시키거나 사람이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도록,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 즉 탱크 외부로부터 탱크의 내부에 진입하기 위해 제 2 플러그를 제거하는 단계와, 폐쇄 장치 주위의 밀봉 멤브레인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폐쇄 장치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최초 단계 동안보다 큰 장비가 탱크 외부로부터 탱크의 내부로 도입되는 것, 예를 들어 탱크의 1차 또는 2차 층의 코너 패널이 도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해치의 치수에 따라, 해치는 맨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 1 덕트의 치수에 따라, 제 1 덕트는 장비 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부터 얻어진 제 1 덕트를 폐쇄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폐쇄 방법은 제 1 덕트 상에 폐쇄 장치를 재배치하는 단계와, 폐쇄 패널을 밀봉 멤브레인에 용접하는 단계와, 해치를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한편으로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공된 복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탱크의 벽의 외부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벽의 사시도에서 평면 YZ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벽의 분해도이다.
도면은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상세한 방식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물론 적절한 경우에 본 발명을 더 잘 규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우선 주목해야 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하고 그리고/또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서는 종축(X)의 방향, 횡축(Y)의 방향 및 수직축(Z)의 방향이 삼면체(X, Y, Z)에 의해 표현되어 있다. 수평면은 수직축에 수직인 평면이고 종축(X)의 방향 및 횡축(Y)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되고, 종방향 평면은 횡축에 수직인 평면이고 종축(X)의 방향 및 수직축(Z)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되며, 횡방향 평면은 종축에 수직인 평면이고 횡축(Y)의 방향 및 수직축(Z)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종축(X)의 방향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종방향과 평행하다.
도면은 액화 가스를 수송하기 위한 선박의 이중 선체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지지 구조체(bearing structure)의 맥락에서 하기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한 지지 구조체는 특히, 예를 들어 프리즘 형상의 다면체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지지 구조체는 하부 벽, 측방 벽 및 상부 벽을 포함하는 종방향 벽을 포함한다. 종방향 벽은 선박의 종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종방향 벽은 선박의 종방향에 수직인 횡방향 벽에 의해 선박의 종방향으로 중단된다. 종방향 벽과 횡방향 벽은 에지에서 만난다.
지지 구조체의 각 벽은 각각의 탱크 벽을 지지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지지 구조체의 상부 벽에 의해 지지된 탱크의 벽(1)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1)은 액화 석유 가스와 같은 탱크에 저장된 유체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밀봉 멤브레인(8)을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thermally insulating barrier)(7)를 포함한다.
단열 배리어(7)는 단열 재료의 병치 패널 형태를 취하는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이들 패널은 발포 또는 셀룰러(cellular) 합성 수지 또는 다른 천연 또는 합성 단열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단열 배리어(7)는 미네랄 울(mineral wool), 예를 들어 유리솜(glass wool) 또는 암면(rockwool)과 같은 충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재료는 병치 패널들 사이에 삽입되도록 의도된다. 이들 패널은 또한 합판 패널(plywood panel)을 포함한다. 수지는 제 1 측면에 접착되고, 밀봉 멤브레인(8)은 제 1 측면과 반대측에 있는 제 2 측면에 나사결합 및/또는 용접된다. 도시되지 않은 일 실시예에서, 이들 패널은 합판 패널을 대체하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 금속 패널 또는 복합 패널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벽(1)은 제 1 덕트(2)에 의해 하나의 위치에서 중단된다. 다시 말해서, 제 1 덕트(2)는 벽(1)의 두께 방향(E)으로 벽(1)을 통해 연장된다. 따라서, 벽의 두께 방향(E)은 밀봉 멤브레인(8)의 전개 평면에 수직인 방향인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여기서, 두께 방향(E)은 수직축(Z)과 평행하다.
제 1 덕트(2)는 평면 패널, 단일 코너 패널 또는 이중 코너 패널과 같은 단열 배리어(7)의 교체 부품을 통과시키도록 의도된다.
제 1 덕트(2)는 수직축(Z)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제 1 덕트(2)는 수직축(Z)을 따라 전개되는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직통체(right cylinder)의 형상을 갖는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47 m이다. 여기서 및 하기에서, 용어 통체(cylinder)는 모선들이 평행한 선직면(regulated surface), 즉 평행한 직선으로 구성된 공간의 면을 나타낸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통체의 단면은 예를 들어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덕트(2)는 탱크의 외부 환경으로 개방되는 제 1 마우스(mouth)(5) 및 탱크의 내부로 개방되는 제 2 마우스(6)를 갖는다. 제 1 마우스(5)와 제 2 마우스(6) 사이에서, 제 1 덕트(2)는 내부면(70)을 포함한다.
제 1 마우스(5) 위에는 지지 플랜지(30)가 얹혀져 있다. 지지 플랜지(30)는 제 1 마우스(5)의 윤곽으로부터 탱크의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지지 플랜지(30)는 제 1 마우스(5)의 윤곽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지지 플랜지(30)는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정사각형 윤곽을 갖는다.
지지 플랜지(30)는 플랜지 전체 주위에 균일하게 배열된 스테이(stay)(3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스테이(31)는 벽(1)의 외부면(9)으로부터 연장되고, 플랜지를 지지하고 지지 플랜지(3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 플랜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플랜지(30) 아래에 끼워맞춰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제 2 마우스(6)는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61)에 의해 차단되고, 이러한 부분(61)은 제 1 덕트(2) 내에서 연장되는 제 2 덕트(12)와 접촉한다.
이러한 부분(61)은 벽(1)의 두께 방향(E)에 수직인 평면 상으로의 제 1 덕트(2)의 투영부에 대응하는 표면, 및 그 표면과 적어도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부분(61)은 벽(1)의 두께 방향(E)에 수직인 평면 상으로의 투영부에서 볼 때, 후술하는 제 1 플러그(10)의 표면적과 적어도 동일한 표면적을 갖는다. 또한, 1차 밀봉 멤브레인(6)의 부분(61)은 벽(1)의 두께 방향(E)에 수직인 평면 상으로의 투영부에서 볼 때, 제 1 플러그(10)의 형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61)은 제 1 덕트(2) 내에서 연장되는 제 2 덕트(12)와 접촉할 때까지 연장되고, 다음에 밀봉 멤브레인(8)은 제 2 마우스(6)와 부분적으로 대면하고, 따라서 제 2 마우스(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전체적으로 가로막는다.
다시 말해서, 밀봉 멤브레인(8)은 제 2 마우스(6)와 부분적으로 대면하고, 따라서 제 2 마우스(6)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전체적으로 가로막는다.
제 1 마우스(5)와 제 2 마우스(6) 사이에서, 제 1 덕트(2)의 내부면(70)은 예를 들어 단열 배리어(7)의 적어도 하나의 단열 요소(71)에 의해 획정된다. 이러한 단열 요소(71)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멜라민으로 제조된 유리솜 또는 가요성 발포 패널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덕트(2)는 벽(1)의 두께 방향(E)으로 벽(1)을 통과한다. 제 1 덕트(2)의 벽은 지지 플랜지(30), 단열 배리어(7)의 단열 요소(71) 및 밀봉 멤브레인(8)에 의해 벽(1)의 두께 방향(E)으로 경계지어진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벽(1)은 제 1 덕트(2)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장치(3)를 포함한다. 폐쇄 장치(3)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11), 제 1 플러그(10) 및 제 2 덕트(12)를 포함한다.
커버(11)는 지지 플랜지(30) 상에 안착함으로써 제 1 마우스(5)를 폐쇄한다. 따라서, 커버(11)는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지지 플랜지(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커버(11)는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물론, 그러한 단면 형상은 예시일 뿐이며, 커버는 제 1 덕트의 단면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커버(11)는 수직축(Z)에 수직인 연장 평면에서 연장된다. 커버(11)는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게 하는 구멍(17)을 갖는다. 구멍(17)은 커버(11)가 제 2 덕트(12)에 의해 횡단될 수 있게 한다. 커버(11)와 제 2 덕트(12)는 용접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하나의 부재를 형성한다. 용접은 제 2 덕트(12)의 외부면에서 그 둘레부, 즉 윤곽을 따라 수행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커버(11)와 제 2 덕트(12)는 볼트를 사용하여 클램핑함으로써 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2 덕트(12)는 탱크로부터 액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액화 가스의 액체상 또는 기체상을 추출하기 위한 펌프와 같은 장비를 통과시키도록 의도된다.
제 2 덕트(12)는 직경이 0.9 m 내지 1.2 m인 원형의 중공 단면을 갖는 직통체의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제 2 덕트(12)는 벽의 두께 방향(E)에 수직인 평면에서 볼 때, 삼각형 또는 사각형, 예를 들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 2 덕트(12)의 상부 부분은 커버(11)의 상부면으로부터 탱크의 두께 방향(E)으로 탱크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 2 덕트(12)의 상부 부분은 제 1 개구부(15)를 포함한다. 연결 플랜지(40)는 제 1 개구부(15)의 윤곽 위로 둘레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연결 플랜지(40)는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단면을 갖는다.
여기서, 제 2 덕트(12)는 제 1 덕트(2)에 의해 한정된 용적부에서 연장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 2 덕트(12)는 제 1 덕트(2)에 내접된다. 따라서,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제 1 개구부(15)의 윤곽은 제 1 마우스(5)의 윤곽에 내접되고, 제 2 개구부(16)의 윤곽은 제 2 마우스(6)의 윤곽에 내접된다.
한편, 제 1 개구부(15)의 표면적은 벽(1)의 두께 방향(E)에 수직인 평면에서 볼 때 제 1 마우스(5)의 표면적보다 작고, 제 2 개구부(16)의 표면적은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제 2 마우스(6)의 표면적보다 작다.
폐쇄 장치(3)는 제 2 덕트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배열되고 덮개(11)의 상부면으로부터 탱크의 두께 방향(E)으로 탱크의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재(41)를 포함한다. 보강재(41)는 제 2 덕트(12)의 상부 부분 주위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각각의 보강재(41)는 보강재(41)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거 링(42)을 포함한다. 이들 제거 링(42)은 예를 들어 크레인(crane)에 의한 폐쇄 장치(3)의 핸들링을 허용한다.
제 2 덕트(12)는 커버(11)의 하부면으로부터 수직축(Z)을 따라 탱크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제 2 덕트(12)의 하부 부분의 자유 단부는 탱크의 내부로 개방되는 제 2 개구부(1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2 덕트(12)는 제 1 개구부(15)와 제 2 개구부(16) 사이의 통로를 획정한다.
제 1 플러그(10)는 제 2 덕트(12) 주위에 배열되고 커버(11)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2 덕트(12)의 하부 부분의 자유 단부 근방으로 연장된다. 제 1 플러그(10)는 제 1 플러그(10)의 추출이 제 2 덕트(12)의 추출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제 2 덕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러그(10)는 지지 플랜지(30)를 위치설정하기 위해 하부면의 주변부를 자유롭게 하면서 커버(11)의 하부면에 체결된다. 따라서, 커버(11)가 제거될 때, 제 1 플러그(10)도 또한 제거된다. 제 1 플러그(10)는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 1 덕트의 내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제 1 플러그(10)는, 예를 들어 벽(1)의 두께 방향(E)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제 1 플러그(10)는 자립형 단열 패널(thermally insulating self-supporting panel)(13)을 포함한다. 따라서, 자립형 단열 패널(13)은 제 2 덕트(12)에 의해 횡단된다. 자립형 단열 패널(13)의 하부면은 수직축(Z)의 방향에서 볼 때 제 2 덕트(12)의 하부 부분의 자유 단부에 근접하여 있다.
자립형 단열 패널(13)은 경질 폴리우레탄의 단열 블록과, 경질 폴리우레탄의 단열 블록이 안착되는 합판 패널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합판 패널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금속 패널 또는 복합 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경질 폴리우레탄의 단열 블록은 2개의 합판 패널들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자립형 단열 패널(13)은 합판 패널, 예를 들어 강철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금속 패널 또는 복합 패널에 의해 형성되고 미네랄 울, 예를 들어 유리솜 및/또는 암면으로 충전된 상자를 포함한다.
제 1 플러그(10)는 자립형 단열 패널(13)과 커버(11)의 하부면 사이에 배열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접착제는 수직축(Z)을 따른 조정과, 커버(11)에 대한 자립형 단열 패널(13)의 체결을 허용한다. 접착제는 예를 들어 매스틱(mastic)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플러그(10)는 또한 제 2 덕트(12)와 자립형 단열 패널(13) 사이에 배열된 미네랄 울(14), 예를 들어 유리솜 및/또는 암면을 포함한다. 미네랄 울(14)은 제 2 덕트(12)와 자립형 단열 패널(13) 사이에서 단열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폐쇄 장치(3)는 제 2 덕트(2)의 제 1 개구부(15)를 폐쇄하고 따라서 커버(11)의 개구부(17)를 폐쇄하기 위한 해치(hatch)(4)를 더 포함한다. 해치(4)는 상기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수직축(Z)에 직교하는 연장 평면, 즉 벽(1)의 두께 방향(E)에 수직인 연장 평면에서 연장된다. 해치(4)의 연장 평면은 커버(11)의 연장 평면에 평행하고 그와는 분리되어 있다.
해치(4)의 상부면 상에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4개의 크로스-스트럿(cross-strut)(50)이 배열되어 있다. 크로스-스트럿(50)은 해치(4)의 강성을 증가시켜서 해치(4)의 팽윤(bulging)을 방지하고 해치(4)를 편평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2개 중 1개의 크로스-스트럿은 승강 링(lifting ring)(51)을 포함한다. 승강 링(51)은 크로스-스트럿(50)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축(Z)을 따라 탱크의 외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들 승강 링(51)은 예를 들어 크레인에 의해 해치(4)를 핸들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치(4)의 상부면과 반대측에 있는 해치(4)의 하부면은 연결 플랜지(40)와 협력하여 제 2 덕트(12)의 제 1 개구부(15)를 폐쇄한다. 해치(4)는 커버(11)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커버(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폐쇄 장치(3)는 또한 제 2 플러그(20)를 포함한다. 제 2 플러그(20)는 제 2 덕트(12)의 내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2 플러그(20)는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원형 단면의 직통체이고, 이러한 단면은 예를 들어 8100 ㎠일 수 있다.
제 2 플러그(20)는 해치(4)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해치(4)의 하부면의 주변부는 연결 플랜지(40)에 대해 자유롭게 남겨진다. 따라서, 해치(4)가 벽(1)으로부터 제거될 때, 제 2 플러그(20)도 또한 제거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러그(20)는 하우징(24)을 포함한다. 하우징(24)은 해치(4)에 의해, 그리고 복수의 로드(23), 특히 4개의 로드(23)에 의해 해치(4)에 연결된 합판 패널(22)에 의해 수직축(Z)을 따라 획정된다. 합판 패널(22)은 수직축(Z)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 단면을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합판 패널(22)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금속 패널 또는 복합 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하우징(24)에는 단열 재료(25)가 배열된다. 단열 재료(25)는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유리 섬유로 강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열 재료(25)는 미네랄 울, 예를 들어 유리솜 및/또는 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덕트(2)는 커버(11)에 의해 폐쇄된다. 커버(11)의 하부면의 주변부는 지지 플랜지(30) 상에 배열된다. 지지 플랜지(30) 상에 커버(11)를 유지하기 위해, 볼트(도시되지 않음)가 지지 플랜지(30)의 둘레부에 걸쳐 배열되어 클램핑에 의해 이러한 지지 플랜지(30)에 대해 커버(11)를 유지한다.
제 1 플러그(10)가 커버(11)에 고정되기 때문에, 제 1 플러그(10)는 제 1 덕트(2)에 배열되고 이를 차단한다. 제 1 플러그(10)는 커버(11)의 하부면으로부터 제 1 덕트(2)의 제 2 마우스(6)까지 연장된다. 또한, 제 1 플러그(10)는 제 1 덕트(2)의 내부면으로부터 제 2 덕트(12)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덕트(12)를 둘러싸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플러그(10)는, 자립형 단열 패널(13)을 통해, 제 1 덕트(2)의 내부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 1 덕트(2)의 내부면과 제 1 플러그(10)의 자립형 단열 패널(13) 사이에는 공간이 없다.
제 1 플러그(10)와 대면하는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은 제 1 플러그(10)의 자립형 단열 패널(13)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그러면,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61)은 제 2 덕트(12)의 하부 부분과 대향한다. 제 2 덕트(12)의 일부는 멤브레인 부분(61)에 대해 수직축(Z)을 따라 탱크 내부로 돌출하고, 이러한 멤브레인 부분(61)은, 예를 들어 앵글 철재(angle iron)의 부착에 의해, 제 2 덕트(12)에 고정된다.
제 2 덕트(12)를 폐쇄하기 위해, 해치(4)의 하부면의 주변부는 연결 플랜지(40) 상에 배열된다. 해치(4)는 해치(4)를 연결 플랜지(40)에 대해 가압된 상태로 유지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연결 플랜지(40)와 로킹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플러그(20)는 제 2 덕트(12)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합판 또는 금속 패널(22)은 제 2 덕트(12)의 제 2 개구부(16)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결과적으로, 단열 재료(25)는 벽(1)의 두께 방향(E)을 따라 측정된 제 2 덕트(12)의 하부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제 2 플러그(20)는 제 2 덕트(12)에 의해 제 1 플러그(10)로부터 분리된다.
도 2 및 도 3의 참조 번호 60은, 도입될 부품이 제 2 덕트(12)를 통과하기에 너무 부피가 크다고 가정할 때, 제 1 플러그(10)를 추출하기 위해서 밀봉 멤브레인(8)을 절단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밀봉 멤브레인(8)의 절단선을 나타낸다. 이러한 마크는, 제 1 플러그(10)가 수반된 커버(11)를 재배치한 후에 제 1 덕트(2)를 폐쇄할 때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61)이 밀봉 멤브레인(8)의 나머지 부분에 다시 용접되는 경우에 볼 수 있다.
단일 밀봉 멤브레인을 갖는 탱크를 생성하기 위한 전술한 기술은 예를 들어 육상 설비 또는 메탄 운반선 등과 같은 부유식 장치에서 액화 천연 가스(LNG)를 위한 이중 멤브레인 탱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유형의 저장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을 사용하는 탱크는 극저온 유체를 수송하도록 의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탱크는 또한 운반선의 설비를 위한 연료로서 사용되는 극저온 유체를 수용하는 저장조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밀봉 멤브레인(8)은 1차 밀봉 멤브레인이고, 단열 배리어(7)는 1차 단열 배리어이며, 지지 구조체의 벽과 1차 단열 배리어 사이에는 2차 단열 배리어 및 2차 밀봉 멤브레인이 추가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2차 밀봉 멤브레인은 2차 단열 배리어에 대해 안착되고, 1차 단열 배리어는 2차 밀봉 멤브레인에 대해 안착되며, 1차 밀봉 멤브레인은 1차 단열 배리어에 대해 안착된다. 1차 밀봉 멤브레인(8)은 주름부(corrugation)를 포함하고, 따라서 주름형 밀봉 멤브레인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은 복수의 단열 배리어 및 중첩된 밀봉 멤브레인을 갖는 탱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해치(4)의 치수에 따라, 해치(4)는 맨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 1 덕트(2)의 치수에 따라, 제 1 덕트(2)는 장비 홀(equipment hole)로도 지칭될 수 있다.
석유 가스 외에도, 액화 가스는 액화 천연 가스, 액체 에탄, 액체 프로판, 액체 아르곤, 액체 암모니아 및 액체 수소일 수 있다. 이들 유체는 극저온 유체이다.
이제, 내용물이 비어 있고 도 1 내지 도 3에 설명 및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상부 벽을 포함하는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상기 방법은 연결 플랜지(40)에 대해 해치(4)를 유지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푸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크레인은 승강 링(51)에 의해 해치(4)를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치(4)와 제 2 플러그(20)가 서로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해치(4)의 제거는 제 2 플러그(20)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제 2 덕트(12)에 의해 형성된 통로가 해제된다. 따라서, 탱크 외부로부터 탱크 내부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형 장비, 오프로딩 펌프를 통과시키거나, 사람이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덕트(12)를 다시 폐쇄하기 위해, 해치(4) 및 제 2플러그(20)가 크레인을 사용하여 초기 위치로 재배치되고, 볼트가 다시 나사결합되어 해치(4)를 연결 플랜지(40)에 체결된 상태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탱크 내부의 1차 또는 2차 밀봉 멤브레인을 구성하는 부품을 변경하기 위해 보다 대형 장비를 통과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방법은 밀봉 멤브레인(8)을 분리하여 제 1 플러그(10)의 자립형 단열 패널(13)의 합판 패널로부터 밀봉 멤브레인(8)을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절단선(60)에서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61)을 절단하고 탱크의 내부 용적부로 개방되는 제 2 덕트(12)의 자유 단부에 대해 이러한 부분(61)을 분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에는 지지 플랜지(30) 상에 폐쇄 장치(3)의 커버(11)를 유지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푸는 것이 후행되거나 선행된다. 다음에, 크레인은 제거 링(41)에 의해 커버(11)를 들어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11)와 제 1 플러그(10)가 서로 고정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커버(11)의 제거는 제 1 플러그(10) 및 따라서 폐쇄 장치 전체를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벽(1)의 제 1 덕트(2)는 완전히 해제되고, 밀봉 멤브레인(8)을 구성하는 벌크 부분(bulky part)을 도입하거나 추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탱크 내부에서 수행된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제 1 덕트(2)를 다시 폐쇄하기 위해, 폐쇄 장치(3)는 커버(11)가 지지 플랜지(3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제 1 덕트(2)에 다시 배치된다. 커버(11)를 지지 플랜지(30)에 로킹하기 위해 볼트가 사용된다. 다음으로,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61)은 밀봉 멤브레인(8)의 나머지 부분에 재용접된다. 대안적으로, 밀봉 멤브레인(8)의 부분(61)과 유사한 수리 부품을 형성하는 폐쇄 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폐쇄 패널은 복수의 사전조립된 부재 또는 탱크 내로 도입되자마자 조립되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2 플러그(20)가 수반된 해치(4)가 연결 플랜지(40) 상에 위치되고 볼트에 의해 연결 플랜지(4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주제를 형성하는 벽은 설명된 형상, 치수 및 위치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지 않는다. 벽은 예를 들어 측방향 탱크 벽 또는 횡방향 탱크 벽일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물론, 본 발명은 방금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수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5)

  1. 액화 가스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탱크의 벽(1)에 있어서,
    상기 벽(1)의 두께 방향(E)으로 상기 벽(1)을 통과하는 덕트(2)와, 상기 덕트(2)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폐쇄 장치(3)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 장치(3)는 상기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치(4)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2)는 상기 탱크의 외부 환경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 1 마우스(5)와, 상기 탱크의 내부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 2 마우스(6)를 포함하고, 상기 폐쇄 장치(3)는 상기 제 1 마우스(5)를 폐쇄하는 커버(11)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11)는 상기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게 하는 구멍(17)을 가지며, 상기 해치(4)는 상기 구멍(17)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 및 상기 해치(4)는 각각 별도의 평면에서 연장되는
    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2)는 제 1 덕트이고, 상기 폐쇄 장치(3)는 상기 제 1 덕트(2)의 내부면에 인접하여 그리고 상기 벽(1)의 두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 1 플러그(10)와, 상기 제 1 덕트(2)의 내부에서 그리고 상기 벽(1)의 두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제 2 플러그(2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러그(10) 및 상기 제 2 플러그(20)는 제 2 덕트(12)에 의해 분리되는
    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덕트(12)의 내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벽.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20)와 상기 해치(4)는 서로 고정되는
    벽.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20)는 상기 벽(1)의 두께 방향(E)으로 측정된 상기 제 2 덕트의 길이와 최대한으로 동일한, 상기 벽(1)의 두께 방향(E)을 따라 측정된 길이에 걸쳐 상기 제 2 덕트(12) 내에서 연장되는 단열 재료(25)를 포함하는
    벽.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러그(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덕트(2)의 내부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벽.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러그(10)와 상기 커버(11)는 서로 고정되는
    벽.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러그(10)는 상기 제 2 덕트(12) 주위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자립형 단열 패널(13)을 포함하는
    벽.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와 상기 제 2 덕트(12)는 서로 고정 연결되는
    벽.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덕트(12)는 상기 커버(11)의 구멍(17)을 통해 상기 커버(11)를 통과하는
    벽.
  12.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덕트(12)의 상부 부분은 상기 커버(11)로부터 상기 벽(1)의 두께 방향(E)으로 상기 탱크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벽.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1)은, 두께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열 배리어(7), 및 상기 탱크의 내부에 존재하는 액화 가스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 멤브레인(8)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멤브레인(8)은 상기 벽(1)의 두께 방향(E)으로 상기 덕트(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면하는
    벽.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벽(1)을 포함하는
    액화 가스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탱크.
  15. 제 13 항과 조합하여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벽(1)을 포함하는 액화 가스를 저장 및/또는 수송하기 위한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탱크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 상기 제 2 플러그(20)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폐쇄 장치(3) 주위의 상기 밀봉 멤브레인(8)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폐쇄 장치(3)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27532A 2020-01-13 2021-01-13 액화 가스 수송 탱크를 위한 이중 접근 해치 KR202201278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2000268A FR3106190B1 (fr) 2020-01-13 2020-01-13 Double trappe d’accès pour une cuve de transport de gaz liquéfié
FRFR2000268 2020-01-13
PCT/FR2021/050053 WO2021144531A1 (fr) 2020-01-13 2021-01-13 Double trappe d'accès pour une cuve de transport de gaz liquéfi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853A true KR20220127853A (ko) 2022-09-20

Family

ID=7045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532A KR20220127853A (ko) 2020-01-13 2021-01-13 액화 가스 수송 탱크를 위한 이중 접근 해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510861A (ko)
KR (1) KR20220127853A (ko)
CN (1) CN115244329A (ko)
FR (1) FR3106190B1 (ko)
WO (1) WO20211445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52604A (fr) * 1964-04-13 1966-04-15 Technigaz Ouverture et dispositif d'obturation sur paroi de cuves souples étanches soumises à des contractions et des dilatations d'origine thermique
GB1112136A (en) * 1965-08-23 1968-05-01 Linde A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for liquefied gases
IT1012693B (it) * 1974-05-21 1977-03-10 Coster Tecnologie Speciali Spa Valvola per contenituri di aerosol
US6938654B2 (en) * 2002-03-19 2005-09-0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onitoring of ultra-high purity product storage tanks during transportation
FR3023257B1 (fr) * 2014-07-04 2017-12-2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disposee dans une double coque flottante
KR101690921B1 (ko) * 2015-06-12 2016-12-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KR101763638B1 (ko) * 2015-09-04 2017-08-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KR20170036178A (ko) * 2015-09-23 2017-04-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창
US10610351B2 (en) * 2016-03-08 2020-04-07 Picocyl Gas canist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FR3052843B1 (fr) * 2016-06-15 2018-07-06 Gaztransport Et Technigaz Structure de dome gaz pour une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FR3080832B1 (fr) * 2018-05-02 2020-10-3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equipee d'une tour de chargement/dechar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10861A (ja) 2023-03-15
FR3106190A1 (fr) 2021-07-16
WO2021144531A1 (fr) 2021-07-22
CN115244329A (zh) 2022-10-25
FR3106190B1 (fr)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941B1 (ko) 부유식 이중 선체에 배치된 실링 및 단열 탱크
US4519415A (en) Liquid storage tank with emergency product removal apparatus
CN107270115B (zh) 一种用于制造罐壁的隔热边缘块
CN109073158B (zh) 热隔离密封罐
US9976701B2 (en) Tank
KR20200118169A (ko) 액화 가스를 저장하고 운송하기 위한 시설
WO2015188276A1 (en) Ship for gas storage and transport
CN113226913A (zh) 船舶
KR101419821B1 (ko) 이중구조의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
US3766876A (en) Container for liquefied gases at cryogenic temperatures
KR20100110172A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그 건조방법
KR20220125329A (ko) 액화가스 저장시설
KR20120034391A (ko) 액화가스 운반 및 저장용 탱크
KR20220127853A (ko) 액화 가스 수송 탱크를 위한 이중 접근 해치
KR101372867B1 (ko) 이중구조의 액화천연가스 저장용기
US20220299164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compressed fluids
KR20230009428A (ko) 추가적인 해치가 갖추어진 개구를 구비하는, 액화 가스를 위한 저장 탱크의 리퀴드 돔
KR101764231B1 (ko) 선박 및 선박의 연료 탱크 설치 방법
KR20220062405A (ko) 밀폐 단열된 탱크
RU2799152C1 (ru) Хранилище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судно, включающее хранилище, сист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холодного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на судне и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на
KR101337639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1차 방벽용 보강 부재의 결합 구조물
RU2817469C1 (ru) Хранилище для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KR200469781Y1 (ko) Lng 저장탱크 유지보수용 발판구조체
RU2794401C1 (ru) Хранилище сжиженного газа, судно, включающее хранилище, система перекачки холодного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на судне и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 или разгрузки судна
RU2810174C2 (ru)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й герметичный резервуа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