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619A -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619A
KR20220127619A KR1020210032134A KR20210032134A KR20220127619A KR 20220127619 A KR20220127619 A KR 20220127619A KR 1020210032134 A KR1020210032134 A KR 1020210032134A KR 20210032134 A KR20210032134 A KR 20210032134A KR 20220127619 A KR20220127619 A KR 20220127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dynamic
analysis
ground
evalu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5390B1 (ko
Inventor
이용희
김학성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39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7/00Tracing profiles
    • G01C7/02Tracing profiles of lan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4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23Dune restoration or creation; Cliff stabilisation

Abstract

사면 동적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사면 동적안정성 평가방법은 지반동적특성 곡선 선정 및 모형화가 수행되는 단계; 지진동의 시간이력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지반동적특성 및 상기 시간이력에 기반하여 동적해석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동적해석을 기반으로 시간에 따른 사면 동적안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Evaluation method for dynamic stability of slope}
본 발명은 지진동 시간이력에 대한 사면 동적안정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면의 지진시 동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유사정적 해석방법, 강성블록 해석방법, 동적해석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사정적 해석방법은 문헌에서 제안된 지진계수(seismic coefficient)를 통해 시간에 따라 일정한 수평방향 등가 지진관성력을 산정한 후, 이를 사면 토체에 적용하여 정적 해석과 동일하게 한계평형해석(limit quilibrium method)을 수행하므로 해석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설계기준에서는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서, 사면 파괴면 상에서의 저항력과 활동력의 비로 정의되는 사면 안전계수(factor of safety)를 도입하여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진에 대한 동적 사면 안정성 평가 시에 있어서도 사면 안전계수가 도출되어야 한다.
사면의 동적 안정성 평가를 위한 유사정적 해석방법은 가속도 시간이력 전체를 고려하여 해석하는 동적 해석방법에 비해 정확도가 낮고, 사면의 기하학적 형상과 하부 지반구조에 의한 지진 시 지반 증폭효과의 설명이 불가능하다. 또한, 한계평형해석을 활용하기 때문에 지반의 응력-변형관계의 설명이 불가능하며, 지진 시 지반의 강도특성에 대한 주기적인 운동하중의 영향을 설명할 수가 없다. 아울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면의 안전계수 평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962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진 시 사면의 동적 안전율을 평가에 신뢰성 있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반에 대한 지진 하중의 주기적인 운동 영향을 완전히 고려하고 있으며, 유사정적 해석방법에 비해 보다 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면에서의 지진에 의한 지반의 증폭특성을 고려하며, 지진에 의한 지반의 응력-변형관계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은 운동하중의 영향을 설명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면의 안전계수를 평가할 수 있는 진보된 해석기술로서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은, 사면 동해석 수행을 위하여 지반동적특성 곡선을 선정하여 모형화하는 단계; 상기 사면 동해석 수행을 위하여 상기 지진동 시간이력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형화 및 상기 시간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면 동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면 동해석 수행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면 동적 안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형화가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시간이력이 생성되는 단계는,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모형화가 수행되는 단계에 있어서, 지진시 지반의 응답을 예측하기 위하여 지반의 강도를 보정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에 대한 곡선맞춤(curve fitting)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적해석은 지반의 강도를 보정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에 대한 상기 곡선맞춤의 시행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이력은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 동해석은 등가선형 해석방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 동해석은 비선형 해석방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 동적 안절율은 응력해석법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면 동적 안전율은 강도감소법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시 사면의 동적 안전율을 평가에 신뢰성 있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반에 대한 지진 하중의 주기적인 운동 영향을 완전히 고려하고 있으며, 유사정적 해석방법에 비해 보다 정확한 결과가 도출될 수 있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면에서의 지진에 의한 지반의 증폭특성을 고려하며, 지진에 의한 지반의 응력-변형관계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진 등과 같은 운동하중의 영향을 설명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사면의 안전계수를 평가할 수 있는 진보된 해석기술로서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에 따른 모형화된 지반동적특성 곡선의 예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지진동 시간이력의 예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지반 동해석 수행 및 사면 동적 안전율 계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S100)은 지반동적특선 곡선 선정 및 모형화 단계(S110), 지진동 시간 이력 생성 단계(S120), 사면 동해석 수행 단계(S130), 사면 동적 안전율 계산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반 동해석 수행을 위해서는 지반의 정규화 전단탄성계수(G/Gmax)와 감쇠비(damping ratio)가 입력자료로서 반드시 필요하다. 상기한 두 가지 지반 동적특성은 지반의 전단 변형율(shear strain)에 의존적이므로, 일반적으로 전단 변형율에 따른 곡선의 형태로 표현되며, 이를 지반동적특성 곡선이라 한다.
지반동적특성 곡선은 지반 구성물질의 종류 및 성상에 따라 서로 다른 관계를 보이므로 부지 고유의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각 사면 부지에 대하여 해당 부지의 지반조건에 적합한 지반동적특성 곡선을 선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반동적특성 곡선의 기본적인 형상은 해당 부지 시료에 대한 비틂전단 시험 등 동적 실내실험 결과를 활용하여 선정하거나, 기존의 문헌을 참고하여 선정될 수 있다.
선정된 지반동적특성 곡선을 실제 지반 동해석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치적으로 표현되어야 하므로, 적절한 수식에 따른 모형화(모델링)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반 동해석을 위한 지반동적특성 곡선의 모형화 방법으로는 기 존재하는 방식을 적용 또는 응용할 수 있다.
지반의 강도 보정이 가능하되, 큰 변형율에 대해 적용을 위해서 일반 2차/쌍곡선(general quadratic/hyperbolic; GQ/H) 모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모형화된 지반동적특성 곡선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모형화된 지반동적특성 곡선의 예시로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가 도시되며, 도 3은 감쇠비에 대해 도시된다.
S110은 모형화수단을 기반으로 사면 동해석 수행을 위하여 지반동적특성 곡선을 선정하여 모형화할 수 있다. 상기 S110은 지진시 지반의 응답을 예측하기 위하여 지반의 강도를 보정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에 대한 곡선맞춤(curve fitting)이 수행될 수 있다.
S120은 시간이력생성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사면 동해석 수행을 위하여 지진동 시간이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적해석은 지반의 강도를 보정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에 대한 상기 곡선맞춤의 시행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동적해석은 상기 시간이력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간이력은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110과 상기 S120은 상호간에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지반 동해석 수행을 위해서는 입력 지진동이 정의되어야 한다. 사면을 비롯한 구조물의 내진해석에 활용되는 지진동은 관련 규제기준에 따른 설계 응답스펙트럼의 형태로 주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지진동 시간이력(스펙트럼이 아닌 시간에 따른 지진파형)에 대한 사면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입력 지진동으로서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지진동 시간이력이 요구된다. (응답스펙트럼: 주어진 지진동에 대하여 단자유도계(single degree of freedom system; SDOF system)의 최대 응답을 주파수에 따라 나타낸 스펙트럼으로, 지진동에 따른 구조물 응답특성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어 지진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진동의 표현방법임.)
설계 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지진동 시간이력을 생성하는 방법은 기존 방식을 적용 및 응용할 수 있다. 도 4은 설계 응답스펙트럼의 예시이며 도 5는 이에 상응하도록 생성된 지진동 시간이력(가속도, 속도, 변위 등)의 예시이다.
사면 안정성 평가의 목적에 따라서, 별도의 지진동 시간이력 생성 없이, 국내외 지진관측망에서 실제로 계측된 지진동 시간이력(지진파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적절한 지진동 시간이력을 발췌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S130은 사면동해석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모형화 및 상기 시간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면 동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지반(사면) 동해석 수행은 지진동에 의한 지진 하중을 정적인 하중으로 치환하여 계산하는 유사정적해석과 달리, 지진동에 대한 지반의 응답을 직접 해석하는 방법이다. 지반 동해석의 수행 결과로 시간에 따른 지반(사면)의 위치별 응력 및 변위가 도출되며, 이는 다음 단계에서 시간에 따른 사면 동적 안정성 분석을 위해 활용된다.
지반 동해석 방법으로는 등가선형 해석(equivalent-linear analysis) 또는 비선형 해석(non-linear analysis)이 활용될 수 있다. 등가선형 해석 방법은 지반동적특성 곡선을 선형적 관계로 단순화하고, 주파수 영역(frequency-domain) 해석을 통해 지반 응답의 근사해를 찾는 방법이다.
등가선형 해석의 경우 저비용이며 고속으로 수행되며, 보통의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 비선형 해석의 경우 고비용이며 저속으로 수행되며, 높은 정밀도를 가질 수 있다.
비선형 해석 방법은 지반동적특성 곡선의 비선형적인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는 시간 영역(time-domain) 해석을 통하여 지반 응답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등가선형 해석 방법은 연산량이 적기 때문에 해석시간이 짧다는 것이 장점이나, 큰 지진동에서 특히 크게 나타나는 지반의 비선형적 거동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비선형 해석 방법은 지반의 비선형적 거동특성을 반영하여 지진동 크기와 관계없이 정밀한 해석이 가능하나, 연산량이 많기 때문에 긴 해석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해석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합한 해석방법을 선택하여 2차원 지반 동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지반 동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반의 수치모형을 작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반을 수치모형화 할 수 있는 공간적 범위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지반 수치모형 작성 시에는 반드시 인공적인 경계가 포함된다.
수치모형의 측면 및 하부 경계가 적절히 처리되지 않는다면 실제 지진시 지반의 거동과 동떨어진 결과를 얻게 된다. 가령, 단순히 견고하게 고정된 경계면을 사용하여 지반 수치모형을 작성하는 경우, 경계면에서 지진파가 반사되는 등 실제 지반과 다른 지진응답을 나타낼 수 있다.
수치모형의 경계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학계 및 산업계에 알려진 바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지반 수치모형의 경계로부터 무한히 연장된 지반을 모사하기 위한 전달경계(transmitting boundary) 요소 등의 경계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S140은 안전율계산수단을 기반으로 상기 사면 동해석 수행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면 동적 안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지반 동해석 수행의 결과로서 시간에 따른 사면의 위치별 응력 및 변위가 도출되며, 이를 통하여 지진 시 시간에 따른 사면의 안전율을 평가할 수 있다. (사면 안전율: 사면의 활동파괴면 상에서 활동력에 대한 저항력의 비율로 정의되며, 사면 안정성 평가의 척도로서 활용할 수 있다.)
즉, 지진동 시간이력에 대응되는 사면 안전율의 시간이력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할 경우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등가정적해석 방법에 대비하여, 지진시 사면의 안정성을 훨씬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주어진 지진동 시간이력에 대하여 사면 붕괴 시점을 예측할 수 있는 등 더욱 폭넓은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수치해석적 방법을 활용한 사면의 안전율 평가 방법으로는 응력해석법과 강도강소법이 활용될 수 있다. 응력해석법은 미리 정의된 가상의 사면 활동파괴면에 대하여 안전율을 계산하는 방법이며, 상대적으로 해석시간이 빠르지만 사면 활동파괴면을 사전에 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응력해석법의 경우 저비용이며 고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파괴면에 대한 정의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강도감소법의 경우 고비용이며 저속으로 수행될 수 있다. 파괴면에 대한 정의는 불필요 할 수 있다.
강도강소법은 주어진 응력 분포 하에서 지반의 강도를 감소시키면서 해가 수렴되지 않는 시점을 파괴시점으로 간주하여 그 때의 강도 감소율을 사면 안전율로 정하는 방법으로, 활동 파괴면을 사전에 정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긴 해석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평가 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 지진 시 시간에 따른 사면 안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지반 동해석 수행 및 사면 동적 안전율 계산수행과정의 예시이다. 보다 상세하게 지반 동해석 수행 및 사면 동적 안전율 계산의 예시로서 도 6은 사면 수치모델 작성 및 입력 지진동 선정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사면 동해석 수행을 통한 시간에 따른 응력 분포 해석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은 응력해석법에 따른 시간에 따른 사면 안전율 계산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시간에 따른 사면 동적 안전율 결과에 관한 도면이다.
결국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시 보다 정확한 지반의 응답을 예측하기 위하여 지반의 강도를 보정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에 대한 곡선맞춤(curve fitting)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지반 동적해석)의 입력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해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지반 수치모형의 측면 및 하부 경계조건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실제 지진 시 사면 동적거동을 효과적으로 모사하기 위해 전달경계(transmitting boundary) 요소 또는 해석경계면에서 지진파의 반사를 최소화하는 기법을 활용하여 지반에 대한 주기적 운동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사면의 등가선형 해석(equivalent-linear analysis) 또는 비선형 해석(non-linear analysis)을 실시하여 지진 시간이력에 대한 사면의 응력분포를 산출하고, 전단탄성계수 감소곡선을 활용하여 동적 전단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시간에 따른 사면의 응력분포에 대하여 각 시간간격(time-step) 별 강도감소법(strength reduction method)을 활용하여 안전계수를 계산함에 있어 기존의 강도감소법과는 달리 해석 시스템 전체가 아닌 사면부 인근의 결과만을 활용하여 사면의 안전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아울러 비선형시간이력해석결과를 이용하여 각 지진 시각에서의 응력상태를 평가하고 지반강도와의 비를 계산함으로써 사면의 안전계수를 구함에 있어 지진 시간이력에 대한 사면의 동적 안전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
안전계수를 구함에 있어 미리 정의된 파괴면이 아닌 다수의 중심점과 반지름 또는 다수의 중심점과 다수의 접선을 활용함으로써 임의의 파괴면을 대상으로 최소의 안전계수를 구하며, 각 지진 시각에서의 최소 안전계수에 해당하는 파괴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일한 파괴면을 미리 결정하여 지진 시간이력에 대하여 사면의 안전계수를 구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사면 동해석 수행을 위하여 지반동적특성 곡선을 선정하여 모형화하는 단계;
    상기 사면 동해석 수행을 위하여 지진동 시간이력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형화 및 상기 시간이력을 기반으로 상기 사면 동해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사면 동해석 수행의 결과를 기반으로 사면 동적 안절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화가 수행되는 단계와 상기 시간이력이 생성되는 단계는,
    순차적 또는 비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사면 동적안정성 평가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모형화가 수행되는 단계에 있어서,
    지진시 지반의 응답을 예측하기 위하여 지반의 강도를 보정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에 대한 곡선맞춤(curve fitting)이 수행되는, 사면 동적안정성 평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해석은 지반의 강도를 보정한 정규화 전단탄성계수 및 감쇠비에 대한 상기 곡선맞춤의 시행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사면 동적안정성 평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 동적 안전율은 응력해석법 또는 강도감소법을 기반으로 도출되는,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KR1020210032134A 2021-03-11 2021-03-11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KR102545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134A KR102545390B1 (ko) 2021-03-11 2021-03-11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134A KR102545390B1 (ko) 2021-03-11 2021-03-11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619A true KR20220127619A (ko) 2022-09-20
KR102545390B1 KR102545390B1 (ko) 2023-06-20

Family

ID=8344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134A KR102545390B1 (ko) 2021-03-11 2021-03-11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3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940B1 (ko) * 2001-04-12 2003-07-16 최준성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의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위한 복합기법
KR100470788B1 (ko) * 2002-01-04 2005-03-09 한국수자원공사 동적 점탄-점소성 구성모델을 이용한 다층지반의 지진응답해석방법
KR101279627B1 (ko) 2012-12-07 2013-06-27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사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토 옹벽 시공 공법
KR101488134B1 (ko) * 2014-03-04 2015-02-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의 동적 변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6359A (ko) * 2014-11-10 2016-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Gis 기반 실시간 지진피해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940B1 (ko) * 2001-04-12 2003-07-16 최준성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의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위한 복합기법
KR100470788B1 (ko) * 2002-01-04 2005-03-09 한국수자원공사 동적 점탄-점소성 구성모델을 이용한 다층지반의 지진응답해석방법
KR101279627B1 (ko) 2012-12-07 2013-06-27 주식회사 한국 지오텍 사면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보강토 옹벽 시공 공법
KR101488134B1 (ko) * 2014-03-04 2015-02-04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의 동적 변위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6359A (ko) * 2014-11-10 2016-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Gis 기반 실시간 지진피해 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390B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thman et al. Finite-element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plates subjected to repeated impact loads
Shao et al. Real-time hybrid simulation with online model updating: methodology and implementation
KR101935558B1 (ko) 건축물 지진 피해 예측 및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Law et al. Crack identification in beam from dynamic responses
Kiureghian et al. Nonlinear stochastic dynamic analysis for performance‐based earthquake engineering
JP6001740B1 (ja) 構造物の伝達関数の高精度評価・地震応答予測・劣化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Lu et al. Studies on damping behavior of vertically mixed structures with upper steel and lower concrete substructures
JP3837099B2 (ja) 構造物の損傷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Snoj et al. The importance of ambient and forced vibration measurements for the results of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buildings obtained by using a simplified non-linear procedure: case study of an old masonry building
Hübler et al. Experimentally supported consideration of operating point dependent soil properties in coupled dynamics of offshore wind turbines
Mordini et al. The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a powerful tool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JP2019060884A (ja) 建物耐震性評価システム及び建物耐震性評価方法
Thompson et al. Simulation and analysis of dynamically loaded reinforcement systems
Kolakowski et al. Damage identification by the dynamic virtual distortion method
Liu et al. Measurement and modelling of the vibration induced by working equipment on an offshore platform
KR20220127619A (ko) 사면 동적 안정성 평가방법
Hou et al. Estimation of virtual masses for structural damage identification
Zhu et al. A two-step approach for structural damage localization and quantification using static and dynamic response data
Bernal et al. Instability inducing potential of near fault ground motions
Yahyaabadi et al. Development of an improved intensity measure in order to reduce the variability in seismic demands under near-fault ground motions
JP3847264B2 (ja) 地震応答解析方法
Stensløkken Study of the effect of added soil mass on earthquake response of subsea structures on closed caisson foundations
Aktas et al. Computer-Aided Mold Design Algorithm for Precast Concrete Elements.
Cruz Evaluation of damping ratios inferred from the seismic response of buildings
Middleton et al. Simplified methods for estimating the response of floors to a footf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