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541A -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 Google Patents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541A
KR20220127541A KR1020210031939A KR20210031939A KR20220127541A KR 20220127541 A KR20220127541 A KR 20220127541A KR 1020210031939 A KR1020210031939 A KR 1020210031939A KR 20210031939 A KR20210031939 A KR 20210031939A KR 20220127541 A KR20220127541 A KR 20220127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reinforcing
presen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희
정문희
정장희
Original Assignee
정성희
정문희
정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희, 정문희, 정장희 filed Critical 정성희
Priority to KR1020210031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7541A/ko
Publication of KR2022012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5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96Shear brac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골-데크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구조용 형강에서 웨브와 플랜지에 보강용 철판을 형성하여 굽힘모멘트에 의한 전단능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to prevent sagging in the steel-deck plate method}
본 발명은 철골-데크플레이트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보 중앙부에 철판을 덧붙여 단면성능을 개선함으로써, 내구성을 증대시켜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주차장 구조물 등을 비롯한 각종 철골-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는 철골 구조물의 프레임은 적정한 거리를 두고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층고를 형성하는 수평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은 양쪽 단부가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보강 구조물에 의해 설치되는 구조의 일례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518446호에 개시되었다. 이 기술은 모멘트 발생 크기를 고려하여 특수 구조 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과 시공방법 및 철골 구조물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철골 구조물은 H빔으로 되는 기둥에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보와, 상기 보가 고정되는 상기 기둥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기둥과 평행하거나 상기 보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장방형의 구조보강 부재와, 상기 구조보강 부재의 하부를 지지 고정하면서 상기 기둥에 고정되는 제1 서브 구조보강 부재 및 상기 보가 고정되는 측의 기둥 일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형의 제2 서브 구조보강 부재를 포함하여 구조물의 하중을 지탱하는 철골 구조물의 수직 기둥에서 발생하는 모멘트를 고려하여 보와 기둥의 부재력이 큰 영역을 보강하게 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일례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2357호에 소개되었다. 이 기술은 보와 기둥의 연결 방법으로, H형강을 사선으로 절단하여 2개의 보강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재 중 하나를 길이가 짧은 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보와 기둥이 만나는 지점의 하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또한 ㄷ자 형강을 일정 크기로 절단한 보강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재를 양끝부분이 위로 오게 하여 보와 기둥이 만나는 지점의 하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와 기둥의 연결 방법에 의해 보와 기둥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기둥에 고정되는 보, 즉,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수평 프레임이 수직 프레임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시공작업 현장에서 용접, 또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됨에 따라, 수평 프레임의 하중이 접촉면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강부재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굽힘 모우먼트가 커지게 되어 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보강 구조들은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보강구조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는 것으로, 수평 프레임(수평 보)의 중앙 부위에서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구조는 될 수 없는 것이다.
처짐은 구조물의 특정위치의 변형 전후에 하중이 작용하는 연직방향으로 이동한 거리를 말하며, 보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작용하는 곳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처짐에 의한 처짐각은 변형 후 처짐곡선 위에서 그은 접선의 각을 말하는데, 보의 양쪽 끝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최대휨모멘트가 재하되는 지점에서 제일 작게 나타난다.
이렇게 처짐각이 크게 나타나는 보의 양쪽 단부는 그만큼 많은 전단응력을 받게 되므로 종래의 철골구조물에서는 보의 단부쪽에 보강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철골구조물에서 수평보의 중앙에서의 처짐을 방지하지 않는다면 수직 프레임과 고정되는 단부에서 전단응력이 크게 발생되므로 철골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해서는 보의 중앙 부위에서의 처짐이 우선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철골 구조물에서 수평 보는 하중에 의한 처짐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데, 처짐에 의한 변형량은 보의 중앙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게 되고, 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수평보에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 구조가 고려되어야 한다.
보통 철골구조의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구조설계시 슬래브가 양생된 이후의 구조적 안정성은 설계에서 고려하지만 양생되기전 슬래브 하중은 구조검토가 되지 못한다.
따라서 정모멘트에 의한 처짐이 가장 많은 보의 중앙에서 처짐이 발생되게 되며, 설령 양생되기 전의 슬래브 하중까지 감안하여 처짐을 고려하게 되면 철골 부재량이 늘어나 경제성을 잃게 된다.
이에 보통 보에 잭 서포트, 동바리 등의 가시설 기둥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시까지 거치시켜 양생 과정 중의 하중을 견디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시설은 여러 층이 있는 고층 건물의 경우 상하층 동시 타설을 불가능하게 하며, 부가적으로 가시설 설치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가시설 설치로 인하여 슬래브 양생시까지 후속공정의 진행을 어렵게 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게 되며,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 고정되는 부위에 양호한 품질의 용접결과물을 얻기 위해서는 주파수와 전압이 안정된 전기가 공급되어야 하며, 용접장비 및 전류공급을 위한 배전설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시공작업 현장은 각종 건축자재와 건축장비 들이 혼재하게 되므로 용접장비와 배전설비를 추가로 설치하게 되면, 공사기간이 연장될 수 있고, 시공현장이 매우 혼잡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자칫 전기감전 사고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KR 10-1518446 B1 (2015. 05. 15) KR 10-2018-0062357 A1 (2018. 06. 08)
철골구조물에서 수평보의 중앙에서의 처짐을 방지하지 않는다면 수직 프레임과 고정되는 단부에서 전단응력이 크게 발생되므로 철골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해서는 보의 중앙 부위에서의 처짐이 우선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철골-테크플레이트에서 시공 중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잭 서포트, 동바리와 같은 가시설에 의해 설치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설치구조상 후속공정의 진행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이 발생하는 보 중앙부에 철판을 덧붙여 단면성능을 개선함으로써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철골-데크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구조용 형강에 있어서, 형강의 웨브과 플랜지에 일정 크기의 보강용 철판을 부착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용 철판은 웨브과 플랜지의 양쪽면에 대칭으로 부착되거나,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용 철판은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용 철판은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철골보의 중앙부 등 처짐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에 보강용 철판을 덧붙여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덧붙임 철판을 통해 보 자체의 단면능력이 향상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처짐이 최소화된다.
필요한 부분에만 보강이 이루어지게 되어 강재량을 줄일 수 있다.
잭서포트 등 가시설 기둥을 설치한 후 타설하는 방법은 두 개 이상 층의 동시타설이 불가능하지만 이 보강구조를 통해 여러층을 동시 타설 가능하게 한다.
철골 설치 후 따로 가시설 공정이 생략된다.
가시설 설치시 발생되는 가시설과 후속공정간의 간섭이 없으며, 가시설로 인한 작업자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의 철골 구조물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H형강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H형강의 단면도로서,
(a)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
(b)는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U형강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U형강의 단면도로서,
(a)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
(b)는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TU형강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TU형강의 단면도로서,
(a)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
(b)는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
도 8은 철골구조물의 휨모멘트 선도로,
(a)는 일반 구조의 휨모멘트 선도
(b)는 본 발명의 보강구조의 휨모멘트 선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의 철골 구조물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철골 구조물은 수직 프레임(10), 지지대(20) 및 보 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수직 프레임(10)은 웨브(100)의 좌우측에 플랜지(110, 120)가 형성되는 H형강이 사용되며, 지면에 입설되어 수평보 프레임(30)이 고정된다.
수직 프레임(10)은 보 프레임(30)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대(20)가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20)에 보 프레임(30)이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H형강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H형강의 단면도로서, (a)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이고, (b)는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철골-데크플레이트에 사용되는 수평보 프레임은 통상 H형강이 사용된다.
수평보 프레임(30)은 웨브(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플랜지(310)와 하부플랜지(320)가 형성된다.
통상 양쪽 수직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보 프레임(30)에 의해 구조물의 층고를 형성한다.
층고를 이루는 철골 구조물은 좌우 상하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그에 따른 반력뿐만이 아니라 좌우 회전에 다른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 모멘트의 작용으로 보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처짐이 발생하므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처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웨브(300)의 양쪽에는 대칭상의 보강용 철판(330, 331)이 수평보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랜지(310)의 윗면에는 또 하나의 보강용 철판(332)이 수평보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아랫면에는 웨브(30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보강용 철판(333, 334)이 수평보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플랜지(320)의 윗면에는 웨브(30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보강용 철판(335, 336)이 수평보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아랫면에는 또 다른 하나의 보강용 철판(337)이 수평보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보강용 철판(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은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고,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34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보강용 철판(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은 공장에서 수평보 프레임(30)에 부착된 상태로 시공현장에 공급된다.
도시된 보강용 철판(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면서 각각 하나의 부재로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정사각형, 원형, 반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보 프레임(30)의 웨브(300)와 상부플랜지(310) 및 하부플랜지(3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리벳팅(도시되지 아니함)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수평보 프레임(30)의 높이가 커질수록 보의 굽힘 모멘트가 커지며, 수직 프레임(10)과 고정되는 단부에서 전단응력 또한 커지게 되므로, 구조물의 안전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결국, 수평보 프레임(30)에서 전단응력을 극복하며 자립할 수 있도록 정격설계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보의 높이는 굽힘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재하로 작용하여 구조물을 전단응력을 가중시키는 하중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평보 프레임(30)의 웨브(300)와 상부플랜지(310) 및 하부플랜지(320)를 보강용 철판(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으로 보강하여 수평보 프레임(30)의 자중이 굽힘모멘트로 작용하면서 수직프레임(10)과 고정되는 양쪽 단부에서 과도한 전단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철골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서,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U형강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U형강의 단면도로서, (a)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이고, (b)는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U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보 프레임(40)은 수평면(40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하나의 보강용 철판(430, 431)이 형성된다.
또한 좌측 수직면(410)의 양쪽에 각각 다른 하나의 보강용 철판(432, 434)형성되고, 우측 수직면(420)에도 각각 다른 하나의 보강용 철판(434, 435)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용 철판(430, 431, 432, 433, 434, 435) 또한 용접이나 볼트와 너트와 체결구()로 고정될 수 있으며, 리벳팅(도시되지 아니함)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또한 U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보 프레임(40)에서 수평면(400)과 좌우측 수직면(410, 320)을 보강용 철판(430, 431, 432, 433, 434, 435)으로 보강하여 수평보 프레임(40)의 자중이 굽힘모멘트로 작용하면서 수직프레임(10)과 고정되는 양쪽 단부에서 과도한 전단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철골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강용 철판(430, 431, 432, 433, 434, 435)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U형강 수평보 프레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정사각형, 원형, 반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보 프레임(30)의 웨브(300)와 상부플랜지(310) 및 하부플랜지(3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TU형강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TU형강의 단면도로서, (a)는 용접으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이고, (b)는 볼트로 고정되는 구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TU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보 프레임(50)은 웨브(500)의 양쪽에 대칭상으로 보강용 철판(530, 531)이 수평보 프레임(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플랜지(510)의 윗면에는 또 하나의 보강용 철판(532)이 수평보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아랫면에는 웨브(50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보강용 철판(533, 534)이 수평보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플랜지(520)의 윗면에는 웨브(50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보강용 철판(535, 536)이 수평보 프레임(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아랫면에는 또 다른 하나의 보강용 철판(537, 538)이 수평보 프레임(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보강용 철판(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은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고,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구(34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또한 TU형강으로 이루어지는 수평보 프레임(50)에서
수평보 프레임(50)의 웨브(500)와 상부플랜지(510) 및 하부플랜지(520)를 보강용 철판(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으로 보강하여 수평보 프레임(50)의 자중이 굽힘모멘트로 작용하면서 수직프레임(10)과 고정되는 양쪽 단부에서 과도한 전단응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철골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보강용 철판(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U형강 수평보 프레임(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정사각형, 원형, 반원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보 프레임(50)의 웨브(500)와 상부플랜지(510) 및 하부플랜지(5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철골구조물의 휨모멘트 선도로로서, (a)는 일반 구조의 휨모멘트 선도이고, (b)는 본 발명의 보강구조의 휨모멘트 선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반 구조의 철골구조물보다 본 발명의 보강용 철판이 형성되는 구조에서 휨모멘트와 전단응력이 작게 나타나게 됨을 알 수 있다.
10 수직프레임
20:: 지지대
30: 수평보 프레임
300: 웨브
310: 상부플랜지
320: 하부플랜지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보강용 철판
340: 체결구
40: 수평보 프레임
400: 수평면
410: 좌측 수직면
420: 우측 수직면
430, 431, 432, 433, 434, 435: 보강용 철판
50: 수평보 프레임
500: 웨브
510; 상플랜지
520: 하부플랜지
530,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보강용 철판

Claims (4)

  1. 철골-데크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구조용 형강에 있어서,
    형강의 웨브과 플랜지에 일정 크기의 보강용 철판을 부착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철판은 웨브과 플랜지의 양쪽면에 대칭으로 부착되거나,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철판은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용 철판은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KR1020210031939A 2021-03-11 2021-03-11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KR202201275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939A KR20220127541A (ko) 2021-03-11 2021-03-11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939A KR20220127541A (ko) 2021-03-11 2021-03-11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541A true KR20220127541A (ko) 2022-09-20

Family

ID=8344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939A KR20220127541A (ko) 2021-03-11 2021-03-11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754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446B1 (ko) 2013-12-02 2015-05-15 컨베스트 주식회사 모멘트 발생크기를 고려한 특수구조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구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골구조물
KR20180062357A (ko) 2016-11-30 2018-06-08 토닉스틸(주) 보와 기둥의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446B1 (ko) 2013-12-02 2015-05-15 컨베스트 주식회사 모멘트 발생크기를 고려한 특수구조보강재를 부착한 보와 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구비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과 철골구조물
KR20180062357A (ko) 2016-11-30 2018-06-08 토닉스틸(주) 보와 기둥의 연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057B1 (ko) 합성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US20130205707A1 (en)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Hav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cluding a Steel Frame
KR100989586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182084B1 (ko) 가받침에 의해 도입된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를 갖는 라멘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거더의 제작방법과 압축응력 증대 구조계의 가받침이 우각부의 힌지구조 및 강결구조가 되게 시공하는 라멘교 시공방법
KR100555249B1 (ko) 강성보강과 단면강성을 증대시킨 등단면의 압연강재 i형강재빔과 변단면의 강판제작 i형 강재빔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101321267B1 (ko) 단면 강성증대와 복공판의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한 강재 거더를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2292294B1 (ko) 공용중 교량 거더의 휨저항 성능 향상을 위한 강박스 거더 내부 보강방법
JP2021032078A (ja) 鋼製筋違内蔵型の交換可能な高エネルギー散逸プレハブ式プレストレスト耐震壁
CN113175091A (zh) 一种全装配式预应力框架索系组合结构
KR100755946B1 (ko) 합성가설교량
KR100896173B1 (ko) 장지간 빔, 이를 포함하는 무주 구조물, 무주 주차 구조물 및 장지간 빔의 제조방법 및 무주 구조물 시공방법
KR101203815B1 (ko) 프리스트레싱 강판을 이용한 거더 보강방법
KR100923564B1 (ko)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CN103835400B (zh) 一种预应力钢板剪力墙
CN109137757B (zh) 一种大跨度波形钢腹板箱梁抗屈曲结构及施工方法
KR101605011B1 (ko) 교량 하부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20220127541A (ko) 철골-데크플레이트 공법에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
KR102066355B1 (ko) 측면 좌굴을 최소화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CN103821258B (zh) 一种带拉力支撑的钢板剪力墙
KR101351806B1 (ko) 종·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의 시공방법
KR101415981B1 (ko) 부재별 연결구조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20127543A (ko) 강판성형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의 보강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90044763A (ko) 단면 하부에 강재가 집중 배치되는 와이드 더블 합성거더의 일방향 구조
KR20220102953A (ko) 무주공간을 위한 장지간 철골조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