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071A - Dual surge tank - Google Patents

Dual surge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7071A
KR20220127071A KR1020210031631A KR20210031631A KR20220127071A KR 20220127071 A KR20220127071 A KR 20220127071A KR 1020210031631 A KR1020210031631 A KR 1020210031631A KR 20210031631 A KR20210031631 A KR 20210031631A KR 20220127071 A KR20220127071 A KR 20220127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urge
coolant
surge tank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계현
이영재
Original Assignee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filed Critical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Priority to KR102021003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7071A/en
Priority to CN202210234006.XA priority patent/CN115075933B/en
Publication of KR20220127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0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9Expansion reservoi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8Deaer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dual surge tank. The dual surge tan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rge tank units and stores a cooling water therei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provided dual surge tank can accurately detect a cooling water amount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a slope when a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is located or parked on the slope. The dual surge tank comprises: the surge tank unit (100); a cooling water supplying tube (200); a cooling water discharging tube (300); and a cooling water level sensor unit (600).

Description

듀얼 서지 탱크{Dual surge tank}Dual surge tank

본 발명은 서지 탱크를 복수개로 구성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서지 탱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surge tank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al surge tank.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과 같은 건설중장비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설기계로서, 특히, 상기 굴삭기는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In general,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such as an excavator is a construction machine used to mine soil or rock, and in particular, the excavator is a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 road and sewer construction, river remodeling and repair work, tunnel and subway construction, earth and stone collection work, It is manufactured to perform various works such as forest clearing work and soil loading work.

일 예로 작업조건에 따라 버킷을 이용한 굴삭, 덤프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버켓 위치에 브레이커를 설치하여 암반굴삭, 건축물 파괴작업, 건축 폐기물 수거작업 등의 복합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complex work such as excavating and dumping using a bucket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and installing a breaker at the position of the bucket, such as rock excavation, building destruction work, and construction waste collection work.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1)에 대해 운전실(Cab)이 구비된 상부 회전체(2)가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탑재되며, 상기 상부 회전체(2)의 일측에 연결된 붐 실린더(4)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붐(3)이 장착된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FIG. 1, in the conventional excavator, an upper rotating body 2 having a cab with respect to the lower traveling body 1 is rotatably mount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upper rotating body 2 The boom (3) operated by the drive of the boom cylinder (4)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s mounted.

상기 붐(3)은 강재로 제작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실의 전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붐(3)의 연장된 단부에는 아암(6)이 연결되고, 상기 아암(6)의 작동을 위해 아암 실린더(5)가 구비된다.The boom 3 is made of steel and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ront of the cab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n arm 6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boom 3, and the arm ( An arm cylinder 5 is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6).

그리고 상기 아암(6)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측에 버킷 실린더(7)가 구비되며, 상기 버킷 실린더(7)에 의해 기구적인 링크운동이 이루어지는 레버(8)의 단부에 버킷(9)이 설치된다.And the arm 6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 bucket cylinder 7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a bucket 9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lever 8 through which a mechanical link movement is made by the bucket cylinder 7 . this is installed

상기 버킷(9)은 끝단부에 버킷 투스가 설치되고, 상기 버킷 투스는 상기 버킷(9)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다양한 굴삭 작업을 실시할 때 보다 작업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bucket 9 has a bucket tooth installed at the end thereof, and the bucket toot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bucket 9,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when performing various excavation operations.

상기 굴삭기에는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를 공급하여 안정적이 온도로 작동되도록 하기위해 쿨링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쿨링모듈은 엔진의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엔진의 손상 및 엔진 출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엔진의 온도가 일정 이하로 저하되게 되면서 열효율 저하로 인한 연료소비가 증가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excavator is provided with a cooling module to supply coolant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engine and to operate at a stable temperature. It serves to prevent the phenomenon from being significantly lowered and to prevent an increase in fuel consumption due to a decrease in thermal efficiency as the temperature of the engine is lowered below a certain level.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전술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를 저장 및 공급하는 서지 탱크(Surge tank)(10)가 1개로 구성되어 있어 엔진 냉각을 위한 냉각수량이 부족할 경우 추가적으로 서지 탱크를 개발해야 되므로 이로 인한 설계 및 금형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Referring to FIG. 2 attached, in the related art, one surge tank 10 for storing and supplying coolant to prevent overheating of the engine is composed of one, so that when the amount of coolant for engine cooling is insufficient, additionally Sinc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surge tank, a problem was caused in that design and mold costs were increased due to this.

그러나 상기 서지 탱크(1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제작을 위한 금형 비용과, 단가도 함께 상승하게 되고, 냉각수에 포함된 기포가 안정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냉각수에 다량 포함된 상태로 엔진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엔진의 냉각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However, since the surge tank 10 is made of plastic, the cost of the mold for manufacturing and the unit price also increase, and the bubbles included in the coolant are not stably separated but are supplied to the engine in a state included in the coolant in a large amoun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was not stably maintained.

또한 서지 탱크(10)는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수위 확인에 따른 시인성이 저하되고, 경사로에서 굴삭기가 작업이 이루어질 때 서지 탱크(10)가 기울어지면서 냉각수의 수면 높이가 일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정확한 높이가 감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In addition, in the surge tank 10, the visibility is reduced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level of the coolant stored therein, and when the excavator works on the slope, the surge tank 10 is tilted and the water level of the coolant is tilted in one direction to the correct heigh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detected.

따라서 종래의 단일 서지 탱크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응안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a countermeasure for supplement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a conventional single surge tank is requir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9960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0799607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서지 탱크 유닛을 복수개로 구성하고, 건설중장비가 경사지에서 작업하거나 주차시에 경사 방향과 상관 없이 냉각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엔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안정적인 공급과, 기포 제거 성능이 향상된 듀얼 서지 탱크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 a plurality of surge tank units, and when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works on a slope or when parking, it accurately detects the amount of cooling water regardless of the slope direction to provide stable supply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engine and bubble removal performance. We would like to provide an improved dual surge tank.

본 실시 예는 건설중장비가 경사지에서 냉각수 부족으로 오감지하지 않고, 제1,2 서지 탱크의 냉각수 수위가 모두 로우 레벨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만 냉각수 부족으로 판단할 수 있어 잔여 냉각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does not erroneously detect the lack of coolant on the slope, and only when the coolant level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both drops below the low level,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olant is insufficient, so that the remaining coolant amount can be accurately detected. have.

또한 본 실시 예는 엔진으로 냉각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냉각수에 포함된 기포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듀얼 서지 탱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dual surge tank capable of stably supplying coolant to the engine and easily removing air bubbles included in the coolant.

본 실시 예에 의한 듀얼 서지 탱크는 내부에 냉각수가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지지 플레이트(5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된 1,2 서지 탱크(110, 120)를 포함하는 서지 탱크 유닛(100);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냉각수를 각각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냉각수 공급 튜브(200);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 저장된 냉각수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냉각수 배출 튜브(300); 및 상기 서지 탱크 유닛(100)의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1,2 서지 탱크(110, 120)의 하면에서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된 냉각수 레벨 센서부(600)를 포함한다.The dual surge tan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1 and 2 surge tanks 110 and 120 in which the coolant is stored independently, and installed facing each other in different directions based on the state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50 surge tank unit 100; a cooling water supply tube 2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a coolant discharge tube 300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supply the coolant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the engine; and a coolant level sensor unit 600 installed facing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detect the amount of coolant stored in the surge tank unit 100 .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오버 플로우(Over flow)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400);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공기 빼기 부(500)를 더 포함한다.a drain tube 4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for discharging the coolant overflow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the air bleeder 5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re connected to the air venting unit 500 to discharge air bubbl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ant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the outside. include more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 튜브(400)와 연결되는 제1,2 드레인 배출구(113, 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드레인 배출구(113, 123)는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13 and 123 connected to the drain tube 400, and the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 113 and 123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while facing different directions.

상기 냉각수 공급 튜브(2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1 공급 튜브(210);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2 공급 튜브(220); 상기 제1,2 공급 튜브(210, 220)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3 공급 튜브(230)를 포함한다. The cooling water supply tube 200 includes a first supply tube 21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a second supply tube 22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and a third supply tube 230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and 220 .

상기 제1,2 공급 튜브(210, 2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출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1 연결 엘보(e1)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공급 튜브(230)는 상기 유출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입관에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and 2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on elbow e1 having both ends of an outlet pipe extending straight through, and the third supply tube 2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It is vertically crossed and connected to an inlet pipe extending outward.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는 일단이 하면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기 냉각수 배출 튜브(300)와 연결된 제1,2 배출구(112, 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출 튜브(300)는 상기 제1 배출구(112)와 연결된 제1 배출 튜브(310); 상기 제2 배출구(122)와 연결된 제2 배출 튜브(320); 상기 제1,2 배출 튜브(310, 32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제3 배출 튜브(330)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end connected to the coolant discharge tube 300 after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 1 and 2 further comprising outlets 112 and 122, wherein the coolant outlet tube 300 includes: a first outlet tube 310 connected to the first outlet 112; a second discharge tube 320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122; and a third discharge tube 330 provided to supply the coolant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tubes 310 and 320 to the engine.

제1 내지 제2 배출 튜브(310, 320)는 동일 직경 및 동일 길이로 형성된다.The first to second discharge tubes 310 and 32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nd the same length.

상기 드레인 튜브(400)는 상기 제1 드레인 배출구(11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의 측면과 후방을 경유하여 연장된 제1 드레인 튜브(410); 상기 제2 드레인 배출구(12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드레인 튜브(410)의 연장된 단부를 향해 연장된 제2 드레인 튜브(420);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30)를 통해 이동된 냉각수를 외측으로 드레인 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3 드레인 튜브(430)를 포함한다.The drain tube 400 includes a first drain tube 4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outlet 11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side and rear of the first surge tank 110 ; a second drain tube 4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outlet 12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drain tube 410 ; and a third drain tube 430 provided to drain the coolant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30 to the outside.

상기 제3 드레인 튜브(430)는 상기 유입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출관과 연결된다.The third drain tube 4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extending outwardly crossing the inlet pipe perpendicularly.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입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3 연결 엘보(e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공기 빼기 부(5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1 공기 빼기 튜브(510); 상기 제2 서지 탱크(120)와 연결된 제2 공기 빼기 튜브(520);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입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4 연결 엘보(e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는 상기 유입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출관에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third connection elbow e2 having both ends of an inlet pipe extending straight through, and the air vent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 110) and a first air bleed tube connected to (510); a second air bleed tube 520 connected to the second surge tank 120; and a third air bleed tube 530 provided so that the air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ng tubes 510 and 520 is discharged, and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ng tubes 510 and 520 are straight pipes. Each of the fourth connection elbows e3 having both ends of the inlet pipe extending to .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위치를 제1 지점(P1)으로 하고, 상기 제3 연결 엘보(e2)와 연결된 위치를 제2 지점(P2)라 할 때, 상기 제2 지점(P2)은 상기 제1 지점(P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1,2 지점(P1, P2)간에 소정의 높이로 높이 차(H)가 유지되어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에 잔존하는 공기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air bleed tubes 510 and 520 have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s a first point P1, and a position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elbow e2. is a second point P2, the second point P2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point P1, and the heigh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P1 and P2 is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H) is maintained and the air remaining in the first and second air extraction tubes (510, 520)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120).

상기 냉각수 레벨 센서부(6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의 하측에서 일측 단부에 설치된 제1 레벨 센서(610); 상기 제2 서지 탱크(120)의 하측에서 타측 단부에 설치된 제2 레벨 센서(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레벨 센서(610, 620)는 서로 간에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lant level sensor unit 600 includes a first level sensor 610 installed at one 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rge tank 110; and a second level sensor 620 installed at the other 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rge tank 120 ,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610 and 620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본 실시 예들은 건설중장비가 경사지에서 작업하거나 경사지에 주차된 경우에도 냉각수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감지 오류로 인한 불필요한 점검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s can accurately detect the amount of cooling water even when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works on a slope or is parked on a slop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inspection due to a detection error.

본 실시 예들은 엔진으로 냉각수를 항시 일정하게 공급하여 엔진의 냉각 효율 향상과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the cooling water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of the engine may be improved by constantly supplying the coolant to the engin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엔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기포를 안정적으로 제거한후에 공급이 가능하여 상기 엔진으로 순수한 냉각수만을 공급할 수 있고, 냉각수의 레벨을 정확하게 감지 및 판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only the pure coolant to the engine by stably removing air bubbles included in the coolant supplied to the engine, and to accurately detect and determine the level of the coolan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냉각수량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용량 부족에 의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amount of coolant is insufficient does not occur, so that overheating of the engine due to insufficient capacity can be prevented.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서지 탱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내지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듀얼 서지 탱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공기 빼기 튜브의 설치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냉각수 레벨 선서부가 설치된 듀얼 서지 탱크를 도시한 도면.
1 is a side view showing a typical excava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urge tank.
3 to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ual surge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ir bleed tub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6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dual surge tank in which a coolant level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Various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can be made,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듀얼 서지 탱크는 내부에 냉각수가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된 제1,2 서지 탱크(110, 120)를 통해 경사지에서 냉각수량을 오감지하지 않고, 정확하게 감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지 탱크 유닛(100)의 냉각수량 부족 현상과, 기포 제거 문제 및 엔진의 안정적인 냉각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3 to 6, in the dual surg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oling water is stored therein independently, an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re installed facing different directions. ),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and use the amount of cooling water on a slope without misdetecting i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insufficient cooling water amount of the surge tank unit 100, the bubble removal problem, and the stable cooling of the engine.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실시 예는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이루어진 서지 탱크 유닛(100)이 구비된다.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는 동일 크기 및 동일량의 냉각수가 저장되어 엔진으로 공급된다.In this embodiment having such characteristics, the surge tank unit 100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have the same size and the same amount of coolant stored therein and supplied to the engine.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는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일정한 수면이 유지되도록 내부에 격벽(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냉각수의 이동을 위한 냉각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굴삭기와 같이 작업 간에 흔들림이 다수 회 발생되는 장비에 설치된 경우에도 냉각수의 수면 안정성을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A partition wall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of the coolant stored therein, and a coolant hole (not shown) for movement of the coolant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Therefore, even when installed in equipment that shakes frequently between operations, such as an excavator, the water surface stability of the coolant can be maintained as constant as possible.

본 실시 예는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냉각수를 각각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냉각수 공급 튜브(200)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 저장된 냉각수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냉각수 배출 튜브(300)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오버 플로우(Over flow)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400)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공기 빼기 부(500) 및 상기 서지 탱크 유닛(100)의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1,2 서지 탱크(110, 120)의 하면에서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된 냉각수 레벨 센서부(600)(도 6 내지 도 7 참조)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cooling water supply tube 2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A coolant discharge tube 300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supply the coolant stored in the surge tanks 110 and 120 to the engine, an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 120) and the drain tube 4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n order to discharge the coolant overflowing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 stored inside the air venting unit 500 and the surge tank unit 1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n order to discharge the bubbl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tored coolant to the outside. A coolant level sensor unit 600 (refer to FIGS. 6 to 7 ) installed while facing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detect the amount of coolant is included.

일 예로 제1 서지 탱크(110)는 전방을 바라보며 설치되고, 제2 서지 탱크(120)는 후방을 바라보며 설치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의 하측에서 일측 단부에 제1 레벨 센서(61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서지 탱크(120)의 하측에서 타측 단부에 제2 레벨 센서(620)가 설치된다.For example, the first surge tank 110 is installed facing the front, the second surge tank 120 is installed facing the rear, as shown in FIG. 7 , one 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rge tank 110 . The first level sensor 610 is installed, and the second level sensor 62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rge tank 120 .

참고로 제1,2 레벨 센서(610, 620)의 설치 위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610 and 62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는 하면이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5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측 모서리 위치에 구비된 제1,2 지지 브라켓(111, 121)과, 일단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하면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기 냉각수 배출 튜브(300)와 연결된 제1,2 배출구(112, 122)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 튜브(400)와 연결되는 제1,2 드레인 배출구(113, 123)를 포함한다.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nclude first and second support brackets 111 and 121 provided at lower edge positions so as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0 on which the lower surface is seated, and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First and second outlet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connected to the coolant discharge tube 300 after the other ends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112 and 122 and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13 and 123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connected to the drain tube 400 .

상기 제1,2 지지 브라켓(111, 121)은 지지 플레이트(50)에 제1 볼트를 매개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50)는 엔진 룸에 구비된 서포트 멤버(80)에 고정되므로 제1,2 서지 탱크(110, 120)가 지지 플레이트(50)에서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brackets 111 and 121 are fixed to the support plate 50 via a first bolt, and the support plate 50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80 provided in the engine room, so that the first ,2 The surge tanks 110 and 120 are stably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support plate 50 and maintained.

상기 제1,2 배출구(112, 122)는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하면 중앙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하면을 따라 일측 단부로 연장되어 상기 냉각수 배출 튜브(300)와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outlets 112 and 122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 one en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oling water discharge tube 300 and Connected.

상기 제1,2 드레인 배출구(113, 123)는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일체 형성되며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된다.The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13 and 123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are manufactur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상기 제1,2 드레인 배출구(113, 123)는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데, 이와 같이 설치되는 이유는 후술할 제1,2 레벨 센서(610, 620)가 경사지에서 정확한 냉각수량을 감지하기 위해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 냉각수 부족으로 오감지하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The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13 and 123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while facing different directions. The sensors 610 and 620 are installed facing different directions instead of being installed at the same position in order to detect the correct amount of coolant on a slope, so as to prevent erroneous detection due to insufficient coolant in a normal state.

상기 냉각수 공급 튜브(2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1 공급 튜브(210)와,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2 공급 튜브(220)와, 상기 제1,2 공급 튜브(210, 220)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3 공급 튜브(230)를 포함한다. The coolant supply tube 200 includes a first supply tube 21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 a second supply tube 22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 and the first, and a third supply tube 230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second supply tubes 210 and 220 .

상기 제1,2 공급 튜브(210, 2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출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1 연결 엘보(e1)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공급 튜브(230)는 상기 유출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입관에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and 2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on elbow e1 having both ends of an outlet pipe extending straight through, and the third supply tube 230 is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It is vertically crossed and connected to an inlet pipe extending outward.

상기 제1 연결 엘보(e1)는 외형이 T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공급 튜브(230)와 유입관을 통해 냉각수가 공급된 후에 유출관과 연결된 제1,2 공급 튜브(210, 220)로 각각 분기되어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내부로 냉각수의 공급을 위해 구비된다. The first connection elbow e1 has an outer shape of a T-shape, and after cool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third supply tube 230 and the inlet pipe,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and 220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 respectively, and are provided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

본 실시 예는 상기 제1 연결 엘보(e1)를 통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공급되는 냉각수량을 제1,2 서지 탱크(110, 120)를 향해 각각 동일량이 공급되도록 분기 시킬 수 있어 특정 서지 탱크로 냉각수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현상을 예방하고 항시 일정하게 공급하여 제1 서지 탱크(110) 또는 제2 서지 탱크(120) 중의 어느 하나의 서지 탱크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량의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 엘보(e1)는 항시 일정량의 냉각수를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공급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am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elbow e1 is supplied towar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It can branch to prevent the excessive supply of cooling water to a specific surge tank, and to constantly supply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tored in any one of the surge tanks of the first surge tank 110 or the second surge tank 120 at all times. difference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elbow e1 may always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cool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

상기 제1,2 공급 튜브(210, 220)는 제1,2 서지 탱크(110, 12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측과 연결되므로 냉각수의 저장 용량이 최대 저장용량에 근접하지 않는 이상 항시 안정적인 냉각수 공급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and 220 ar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whe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re viewed from the side, so that the cooling water is always stable unles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oling water approaches the maximum storage capacity. supply is made

상기 제1 내지 제2 공급 튜브(210, 220)는 모두 동일 직경을 갖고 동일 길이로 연장되므로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공급되는 냉각수량이 특정 서지 탱크 내부로 불균일하게 공급되지 않고 동일 냉각수량이 공급된다.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and 220 all have the same diameter and extend to the same length,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s not uniformly supplied into a specific surge tank. and the same amount of cooling water is supplied.

상기 제1 연결 엘보(e1)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50)에서 도면 기준으로 상측으로 절곡된 제1 연장 플레이트에 클램프를 통해 고정되며 상기 제1 연결 엘보(e1) 위치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제1,2 공급 튜브(210, 220)의 위치 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되므로 냉각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제1 연결 엘보(e1)에서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를 향해 항시 일 방향으로 공급된다. The first connection elbow (e1) is fixed to the first extension plate bent upward from the support plate 50 based on the drawing through a clamp,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nection elbow (e1) is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in the first connection elbow (e1) by gravity because the cooling water is locat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220) connected to (110, 120). , 120) is always supplied in one direction.

이 경우 냉각수가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공급될 때 공급 안정성과 공급량이 일정 해진다.In this case, when the coolant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he supply stability and the supply amount become constant.

상기 냉각수 배출 튜브(300)는 상기 제1 배출구(112)와 연결된 제1 배출 튜브(310)와, 상기 제2 배출구(122)와 연결된 제2 배출 튜브(320)와, 상기 제1,2 배출 튜브(310, 32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제3 배출 튜브(330)를 포함한다.The coolant discharge tube 300 includes a first discharge tube 310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12 , a second discharge tube 320 connected to the second discharge port 122 , and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s. and a third discharge tube 330 provided to supply the coolant introduced through the tubes 310 and 320 to the engine.

상기 제1 내지 제3 배출 튜브(310, 320, 330)는 전술한 냉각수 공급 튜브(200)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굵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엔진으로 다량의 냉각수가 항시 일정하게 공급되어 엔진의 안정적인 열교환을 도모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to third discharge tubes 310, 320, and 330 ar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at of the aforementioned coolant supply tube 200, a large amount of coolan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engine to ensure stable heat exchange of the engine. can be promoted

상기 제1 배출 튜브(310)는 제1 서지 탱크(110)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고, 상기 제2 배출 튜브(320)는 제2 서지 탱크(120)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후에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중간 위치에서 제3 배출 튜브(330)를 매개로 연결된다.The first discharge tube 310 extends from the first surge tank 11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second discharge tube 320 extends from the second surge tank 120 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120) are connected via the third discharge tube (330) at an intermediate position.

본 실시 예는 상기 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각각 냉각수를 공급 받아 냉각수 배출 튜브(300)를 통해 공급할 수 있어 다량의 냉각수가 항시 엔진으로 공급되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cool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supplied through the cooling water discharge tube 300, so that a large amount of coolant is always supplied to the engine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엔진은 고온의 작업 조건에서 냉각수를 통한 열교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만 과열 또는 오작동이 방지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 배출 튜브(300)를 통해 냉각수가 안정적으로 공급될 경우 엔진의 작동 효율도 향상된다. In the engine, heat exchange through the coolant must be stably performed under high temperature working conditions to prevent overheating or malfunction. As described above, when coolant is stably supplied through the coolant discharge tube 300,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engine is also improved.

엔진은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부터 각각 균일한 유량으로 냉각수를 공급받게 되고,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는 냉각수량의 변화가 각각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수위가 일정하게 변화된다. 따라서 제1,2 서지 탱크(110, 120)는 급격한 냉각수량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The engine is supplied with coolant at a uniform flow rate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maintain the same change in the amount of coolant, so that the water level is change constantly.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re constantly maintained without a sudden deviation in the amount of cooling water.

제1 내지 제2 배출 튜브(310, 320)는 동일 직경 및 동일 길이로 형성되므로 동일량의 냉각수가 유입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tubes 310 and 32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nd the same length, the same amount of coolant is introduced.

상기 드레인 튜브(400)는 상기 제1 드레인 배출구(11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의 측면과 후방을 경유하여 연장된 제1 드레인 튜브(410)와, 상기 제2 드레인 배출구(12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드레인 튜브(410)의 연장된 단부를 향해 연장된 제2 드레인 튜브(420)와,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30)를 통해 이동된 냉각수를 외측으로 드레인 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3 드레인 튜브(430)를 포함한다.The drain tube 400 includes a first drain tube 4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outlet 11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side and rear of the first surge tank 110 , and the A second drain tube 4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outlet 12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drain tube 410 , 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 and a third drain tube 430 provided to drain the coolant moved through the 430 to the outside.

제1,2 드레인 튜브(410, 420)는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 변화로 인한 팽창이 발생될 경우 소정량의 냉각수를 엔진 룸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이를 통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변형 및 팽창을 예방한다.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20 are provided to discharge a predetermined amount of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engine room when expansion occurs due to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t is provided to prevent deformation and expans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hrough this.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20)는 동일 직경 및 동일 길이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배출된 냉각수의 배출량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배출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2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nd the same length, the amount of coolant discharg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s also discharg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이 경우 제1 서지 탱크(110) 또는 제2 서지 탱크(120) 중의 어느 하나의 서지 탱크에서 드레인 되는 드레인 냉각수 량이 불균일 해지지 않고 동일량이 각각 제1,2 드레인 튜브(410, 420)를 통해 외부로 드레인 됨으로써 냉각수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드레인 량이 일정해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amount of drain coolant drained from either the surge tank of the first surge tank 110 or the second surge tank 120 does not become non-uniform, and the same amou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20, respectively. By draining, the amount of drain due to volume expansion of the coolant becomes constant.

상기 제3 드레인 튜브(430)는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20)를 통해 이동된 냉각수를 공급 받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연장된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The third drain tube 430 is provided to receive the cooling water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20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and an extended leng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입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3 연결 엘보(e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드레인 튜브(430)는 상기 유입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출관과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third connection elbow e2 having both ends of the inlet pipe extending straight through, and the third drain tube 430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It crosses vertically and is connected to an outlet pipe extending outward.

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빼기 부(5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1 공기 빼기 튜브(510)와, 상기 제2 서지 탱크(120)와 연결된 제2 공기 빼기 튜브(520)와,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를 포함한다.The air evacuating unit 5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air bleed tube 51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and a second air bleed tube 520 connected to the second surge tank 120 . and a third air evacuating tube 530 provided to discharge the air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ng tubes 510 and 520 .

공기 빼기 부(500)는 냉각수의 부피 변화 및 온도 변화로 인해 발생된 기포를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측면 상측과 연결된다.The air evacuation unit 500 is provided to discharge bubbles generated due to a change in the volume and temperature of the coolant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de.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모두 동일 직경을 갖고 동일 길이로 연장되므로 제1,2 서지 탱크(110, 120)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를 향해 각각 동일하게 공급된 후에 후술할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로 이동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ng tubes 510 and 520 all have the same diameter and extend to the same length, the bubbles generat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re remo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ng tubes ( After being equally supplied toward 510 and 520 , they are moved to a third air evacuation tube 530 to be described later.

이 경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생성된 기포의 배출 성능이 향상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포함된 기포량을 제1,2 서지 탱크(110, 120) 내부에서 각각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performance of bubbles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s improved, so that the amount of bubbles contained in the coolant supplied to the engine is reduc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can

따라서 엔진은 기포가 제거된 냉각수를 공급받아 열교환을 통한 냉각을 실시할 수 있어 엔진의 안정적인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the engine can be supplied with the cooling water from which bubbles are removed and cooled through heat exchange, so that the stable operation of the engine can be promoted.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입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4 연결 엘보(e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는 상기 유입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출관에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ng tubes 510 and 5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ourth connecting elbow e3 having both ends of an inlet pipe extending straight through, and the third air evacuating tube 530 is connected to the inlet pipe. It is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extending outwardly crossed perpendicular to the.

제4 연결 엘보(e3)는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를 통해 이동된 기포가 각각 유입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50)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제3 연결 플레이트에 설치된 지지 부재에 의해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The fourth connecting elbow (e3) is provided so that the air bubbles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bleed tubes (510, 520) are respectively introduced, and the support installed on the third connecting plate bent upward from the support plate (50). It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by the member.

상기 제4 연결 엘보(e3)는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와 연결된 위치에 클램프가 구비되어 서로 간에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클램프에서 상기 제3 연결 플레이트(56)에 결합되어 제4 연결 엘보(e3) 및 제1 내지 3 공기 빼기 튜브(510, 520, 530)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The fourth connecting elbow e3 is provided with a clamp at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ir bleed tubes 510 and 52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member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plate 56 in the clamp. ) to enable stable positioning of the fourth connecting elbow (e3) and the first to third air bleed tubes (510, 520, 530).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위치를 제1 지점(P1)으로 하고, 상기 제4 연결 엘보(e3)와 연결된 위치를 제2 지점(P2)라 할 때, 상기 제2 지점(P2)은 상기 제1 지점(P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1,2 지점(P1, P2)간에 소정의 높이로 높이 차(H)가 유지되어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에 잔존하는 공기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이동이 이루어진다.5,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on tubes 510 and 5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s a first point P1, and , when a position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ion elbow e3 is referred to as a second point P2, the second point P2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point P1, and the first and second The height difference H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points P1 and P2, so that the air remaining in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on tubes 510 and 520 flows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movement is made

이와 같이 높이 차(H)가 유지되는 이유는 굴삭기의 엔진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에 잔존하는 냉각수에 의해 기포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를 향해 이동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why the height difference (H) is maintained is that when the engine of the excavator is turned off,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coolant remaining in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on tubes (510, 520)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120) to induce it to move toward.

이 경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제1,2 지점(P1, P2)의 높이 차(H)가 항시 유지되므로 냉각수의 수위도 각각 균일하게 유지시키고, 기포만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기포 이동성능이 향상된다.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difference 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P1 and P2 is always maintained in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on tubes 510 and 520, the water level of the coolant is also uniformly maintained, and only the air bubbles are maintained in the third air Sinc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traction tube 530, the bubble movement performance is improved.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냉각수 레벨 센서부(600)는 건설중장비가 경사지에서 작업을 실시하거나,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에서 정확한 냉각수량이 감지되도록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의 하측에서 일측 단부에 제1 레벨 센서(61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서지 탱크(120)의 하측에서 타측 단부에 제2 레벨 센서(620)가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6 attached, the coolant level sensor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surge tank 110 is configured to detect an accurate coolant amount in a state in which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works on a slope, or is parked or stopped. ), a first level sensor 610 is installed at one end at the lower side, and a second level sensor 620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rge tank 120 .

예를 들면 건설중장비가 도 1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경사진 경사지에서 작업할 때 제1 레벨 센서(610)는 냉각수량이 부족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레벨 센서(610)와 반대편 위치에 설치된 제2 레벨 센서(620)를 통해서는 정상으로 냉각수량이 감지되므로 상기 냉각수량은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works on a slope inclined toward the front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first level sensor 610 may detect that the amount of cooling water is insufficient, but is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level sensor 610 . Since the amount of cooling water is normally detected through the installed second level sensor 620 , the amount of cooling water may be determined to be normal.

따라서 작업자가 경사지에서 작업하거나 주차된 이후에 탑승할 경우 냉각수량을 오판하지 않고 정확하게 판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n operator works on a slope or rides after being parke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amount of coolant and use it without misjudgment.

상기 제1,2 레벨 센서(610, 620)는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하측면에 서 서로 간에 직렬로 연결된다.The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610, 620)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120).

제1,2 레벨 센서(610, 620)는 냉각수량을 감지하기 위해 각각 하네스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어 있으며 직렬로 연결될 경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내부 수위가 로우 레벨(Low level) 이하일 경우에만 경고 표시가 알람 형태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610 and 620 each have a harness extended as shown in the drawing in order to detect the amount of coolant, and when connected in series, the internal water level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is low. The warning display is configured to operate in the form of an alarm only when it is below the level (Low level).

특히 굴삭기가 경사지에서 작업을 실시할 경우 제1,2 서지 탱크(110, 120)가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되면서 냉각수가 제1 레벨 센서(610)가 설치된 방향으로만 이동되거나, 제2 레벨 센서(620)가 설치된 방향으로만 이동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레벨 센서에서만 감지 신호가 입력되므로 결과적으로 냉각수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In particular, when the excavator works on a slope,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re inclined at a specific angle and the coolant moves onl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evel sensor 610 is installed, or the second level sensor 620 ) is moved only in the installed direction, th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only one level sensor, so it is not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cooling water is insufficient as a result.

만약 제1 레벨 센서(610) 또는 제2 레벨 센서(620)에서 각각 수신된 신호 데이터가 모두 로우 레벨(Low level)일 경우에는 냉각수량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므로 정확하게 냉각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If the signal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level sensor 610 or the second level sensor 620 are all low level,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ant amount is insufficient, so that the coolant amount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냉각수의 센싱 오류로 인한 경고 오류가 발생되지 않아 작업자가 안심하고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warning error due to a sensing error of the coolant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does not occur, so that the operator can work with confidenc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such as, and it will be said that it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서지 탱크 유닛
110, 120 : 제1,2 서지 탱크
200 : 냉각수 공급 튜브
210, 220, 230 : 제1,2,3 공급 튜브
300 : 냉각수 배출 튜브
310, 320, 330 : 제1,2 3 배출 튜브
400 : 드레인 튜브
410, 420, 430 : 제1,2,3 드레인 튜브
500 : 공기 빼기 부
510, 520, 530 : 제1,2,3 공기 빼기 튜브
600 : 냉각수 레벨 센서부
610, 620 : 제1,2 레벨 센서
100: surge tank unit
110, 120: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200: coolant supply tube
210, 220, 230: first, second, and third supply tubes
300: coolant drain tube
310, 320, 330: first and second discharge tubes
400: drain tube
410, 420, 430: first, second, third drain tube
500: air bleed part
510, 520, 530: first, second, third air bleed tube
600: coolant level sensor unit
610, 620: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Claims (12)

내부에 냉각수가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지지 플레이트(5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된 1,2 서지 탱크(110, 120)를 포함하는 서지 탱크 유닛(100);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냉각수를 각각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냉각수 공급 튜브(200);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 저장된 냉각수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냉각수 배출 튜브(300); 및
상기 서지 탱크 유닛(100)의 내부에 저장된 냉각수량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1,2 서지 탱크(110, 120)의 하면에서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설치된 냉각수 레벨 센서부(600)를 포함하는 듀얼 서지 탱크.
a surge tank unit 100 including 1 and 2 surge tanks 110 and 120 in which coolant is stored independently, respectively, and installed facing different directions based on a state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50;
a cooling water supply tube 2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supply cool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respectively;
a coolant discharge tube 300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supply the coolant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the engine; and
Dual surge including a coolant level sensor unit 600 installed facing different directions from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detect the amount of coolant stored inside the surge tank unit 100 Tan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서 오버 플로우(Over flow)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드레인 튜브(400);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된 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공기 빼기 부(500)를 더 포함하는 듀얼 서지 탱크.
The method of claim 1,
a drain tube 4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for discharging the coolant overflow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the air bleeder 500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re connected to the air venting unit 500 to discharge air bubbles generat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coolant stor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to the outside. Dual surge tanks including mor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 튜브(400)와 연결되는 제1,2 드레인 배출구(113, 123)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드레인 배출구(113, 123)는 각기 서로 다른 방향을 바라보며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외측으로 연장된 듀얼 서지 탱크.
3. The method of claim 2,
I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13 and 123 connected to the drain tube 400,
The first and second drain outlets 113 and 123 extend outwardly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while facing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공급 튜브(2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1 공급 튜브(210);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2 공급 튜브(220);
상기 제1,2 공급 튜브(210, 220)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3 공급 튜브(230)를 포함하는 듀얼 서지 탱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water supply tube 200 includes a first supply tube 21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a second supply tube 22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A dual surge tank including a third supply tube (230) for supplying cooling water to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22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공급 튜브(210, 2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출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1 연결 엘보(e1)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공급 튜브(230)는 상기 유출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입관에 연결된 듀얼 서지 탱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supply tubes (210, 2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on elbow (e1) having both ends of the outlet pipe extending in a straight pipe,
The third supply tube 230 is a dual surge tank connected to the inlet pipe extending outwardly crossed perpendicular to the outlet pip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에는 일단이 하면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의 외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기 냉각수 배출 튜브(300)와 연결된 제1,2 배출구(112, 12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배출 튜브(300)는 상기 제1 배출구(112)와 연결된 제1 배출 튜브(310);
상기 제2 배출구(122)와 연결된 제2 배출 튜브(320);
상기 제1,2 배출 튜브(310, 320)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제3 배출 튜브(330)를 포함하는 듀얼 서지 탱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end connected to the coolant discharge tube 300 after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 1,2 outlets (112, 122) further comprising,
The cooling water discharge tube 300 includes a first discharge tube 310 connected to the first discharge port 112;
a second discharge tube 320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122;
A dual surge tank including a third discharge tube (330) provided to supply the coolant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tubes (310, 320) to the engine.
제6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2 배출 튜브(310, 320)는 동일 직경 및 동일 길이로 형성된 듀얼 서지 탱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tubes 310 and 320 are dual surge tanks formed with the same diameter and the same length.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튜브(400)는 상기 제1 드레인 배출구(11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의 측면과 후방을 경유하여 연장된 제1 드레인 튜브(410);
상기 제2 드레인 배출구(12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드레인 튜브(410)의 연장된 단부를 향해 연장된 제2 드레인 튜브(420);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30)를 통해 이동된 냉각수를 외측으로 드레인 시키기 위해 구비된 제3 드레인 튜브(430)를 포함하는 듀얼 서지 탱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ain tube 400 includes a first drain tube 4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drain outlet 11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side and rear of the first surge tank 110 ;
a second drain tube 4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drain outlet 123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drain tube 410 ;
A dual surge tank including a third drain tube (430) provided to drain the coolant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430) to the outsid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드레인 튜브(430)는 상기 유입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출관과 연결된 듀얼 서지 탱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drain tube 430 is a dual surge tank connected to the outlet pipe extending outwardly crossed perpendicular to the inlet pip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드레인 튜브(410, 4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입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3 연결 엘보(e2)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공기 빼기 부(5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와 연결된 제1 공기 빼기 튜브(510);
상기 제2 서지 탱크(120)와 연결된 제2 공기 빼기 튜브(520);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를 통해 이동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직관으로 연장된 유입관의 양측 단부를 갖는 제4 연결 엘보(e3)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3 공기 빼기 튜브(530)는 상기 유입관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유출관에 연결된 듀얼 서지 탱크.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nd second drain tubes 410 and 4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third connecting elbow e2 having both ends of the inlet pipe extending in a straight pipe,
The air evacuation unit 500 includes a first air bleed tube 510 connected to the first surge tank 110;
a second air bleed tube 520 connected to the second surge tank 120;
and a third air bleed tube 530 provided so that the air mov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bleed tubes 510 and 520 is discharged,
The first and second air evacuation tubes 510 and 5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fourth connecting elbow e3 having both ends of the inlet pipe extending in a straight pipe,
The third air bleed tube 530 is a dual surge tank connected to an outlet pipe extending outwardly crossing the inlet pipe perpendicularly.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는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와 연결된 위치를 제1 지점(P1)으로 하고,
상기 제3 연결 엘보(e2)와 연결된 위치를 제2 지점(P2)라 할 때,
상기 제2 지점(P2)은 상기 제1 지점(P1)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제1,2 지점(P1, P2)간에 소정의 높이로 높이 차(H)가 유지되어 상기 제1,2 공기 빼기 튜브(510, 520)에 잔존하는 공기가 상기 제1,2 서지 탱크(110, 120)로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서지 탱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and second air bleed tubes 510 and 5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and 120 as a first point P1,
When a position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elbow (e2) is referred to as a second point (P2),
The second point P2 is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rst point P1, and a height difference H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oints P1 and P2, so that the first, 2 Dual sur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remaining in the air bleed tube (510, 520) is moved to the first and second surge tanks (110, 1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레벨 센서부(600)는 상기 제1 서지 탱크(110)의 하측에서 일측 단부에 설치된 제1 레벨 센서(610);
상기 제2 서지 탱크(120)의 하측에서 타측 단부에 설치된 제2 레벨 센서(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레벨 센서(610, 620)는 서로 간에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서지 탱크.
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ant level sensor unit 600 includes a first level sensor 610 installed at one 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rge tank 110;
and a second level sensor 620 installed at the other 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rge tank 120,
The first and second level sensors (610, 620) are dual surge tank,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KR1020210031631A 2021-03-10 2021-03-10 Dual surge tank KR2022012707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31A KR20220127071A (en) 2021-03-10 2021-03-10 Dual surge tank
CN202210234006.XA CN115075933B (en) 2021-03-10 2022-03-10 Double pressure regulating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631A KR20220127071A (en) 2021-03-10 2021-03-10 Dual surge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071A true KR20220127071A (en) 2022-09-19

Family

ID=8346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631A KR20220127071A (en) 2021-03-10 2021-03-10 Dual surge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707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07B1 (en) 2002-03-21 2008-01-30 한라공조주식회사 Reservoir tank of cooling device for automobi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07B1 (en) 2002-03-21 2008-01-30 한라공조주식회사 Reservoir tank of cooling device for automob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88383A (en) construction machine
US11964555B2 (en) Work vehicle
KR20220127071A (en) Dual surge tank
KR20220127072A (en) Dual surge tank
JP5995149B2 (en) Leak detection device
CN115075933B (en) Double pressure regulating tank
JP5222200B2 (en) Tunnel cooling system
KR20010093194A (en) Swing type construction machinery
JP2007247200A (en) Muddy water shielding device
JP2007315506A (en) Lubricating device, pump transmission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CN202970886U (en) Heat exchanger with expansion tank and machine using the same
KR20080063999A (en) Fuel delivery system for auxiliary power unit
WO2009041925A1 (en) Barrier system in a vehicle fuel tank
CN112252454A (en) System and method for dredging pipeline and double-wheel slot milling machine
KR200163714Y1 (en) Sludge dredge apparatus
JPH11241973A (en) Oil leakage detecting device for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
JP3920823B2 (en) Working machine
JP3526290B2 (en) Water level sensor for muddy shield machine and muddy shield machine equipped with it
CN216999920U (en) Radiator for engineering machinery
JP7280122B2 (en) Plastic fluidity evaluation device and shield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CN213296473U (en) Mud pump discharge pipe of trailing suction dredger
KR20220085588A (en) Excavators
CN216306111U (en) Heavy engineering equipment
JP5196585B2 (en) High water pressure pipe roof construction machine
WO2023021845A1 (en) Construction mach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