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668A -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668A
KR20220125668A KR1020210194388A KR20210194388A KR20220125668A KR 20220125668 A KR20220125668 A KR 20220125668A KR 1020210194388 A KR1020210194388 A KR 1020210194388A KR 20210194388 A KR20210194388 A KR 20210194388A KR 20220125668 A KR20220125668 A KR 2022012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fingerprint
display panel
electronic device
a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강종식
엄규동
신동헌
전남현
여운보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0287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186574A1/ko
Publication of KR2022012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01L27/322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지문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AOR(AMOLED off ratio) 및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설정하고, 및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는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ENSOR MODUL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용 전자 장치는 그 기능 및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출시되고 있으며, 넓은 시인성 확보와 조작의 편의성을 위한 대화면 터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표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의 아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투과한 빛을 수신하는 광학식 센서일 수 있다.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지문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성능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또는 영상의 온-오프 듀티비(예: AOR(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ff ratio))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된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동작시 영상의 휘도 또는 영상의 온-오프 듀티비(예: AOR(AMOLED off ratio))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지문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AOR(AMOLED off ratio) 및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설정하고, 및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지문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방법은,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AOR(AMOLED off ratio) 및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의 온-오프 듀티비(예: AOR(AMOLED off ratio))를 최소 설정 값으로 조정하되, 디스플레이의 온-오프 듀티비를 선형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지문 센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디스플레이의 깜박임이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방법은,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안에, 지문 센서와 중첩되는 지문 영역의 데이터를 보상함으로써, 지문 영역과 지문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간의 수명 편차(또는 번인 편차)를 줄이고, 상기 수명 편차로 인하여 상기 지문 영역의 경계부가 육안으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개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다른 양태, 특징 및 이점은 관련하여 첨부된 도면 및 해당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모바일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지문 센서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a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오프 듀티비(예: AOR(AMOLED off ratio))가 0 %인 경우를 설명한 예시이다.
도 7b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온-오프 듀티비(예: AOR(AMOLED off ratio))가 50 %인 경우를 설명한 예시이다.
도 8은 휘도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AOR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밝기 설정 값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는 비교예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AOR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설명한 비교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AOR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4는 지문 영역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지문 영역 및 주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지문 영역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해 설정하는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지문 영역의 번인을 보상한 이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에 대한 주변 영역의 휘도에 따른 케이스 분류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의 누적 사용 시간에 기반하여 타겟 휘도를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20은 지문 영역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헬스 케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 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60)의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60)는 디스플레이(21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C)(DDI)(230)를 포함할 수 있다. DDI(230)는 인터페이스 모듈(231), 메모리(233)(예: 버퍼 메모리(350)), 이미지 처리 모듈(235), 또는 맵핑 모듈(237)을 포함할 수 있다. DDI(230)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230)는 터치 회로(250)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31)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230)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233)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235)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237)은 이미지 처리 모듈(135)를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10)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정보(예: 텍스트, 이미지, 또는 아이콘)가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는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250)는 터치 센서(251)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2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2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210)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253)는 감지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 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250)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253))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230), 또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는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디스플레이 모듈(160)의 일부(예: 디스플레이(210) 또는 DDI(230)) 또는 터치 회로(250)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210)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251) 또는 센서 모듈(176)은 디스플레이(210)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3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DDI(230), 소스 출력부(341), 디스플레이 패널(330), EM(emission) 드라이버(또는, 발광 드라이버)(321), 스캔 드라이버(322), 조도 센서(311), 또는 지문 센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0)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에서 정의된 디스플레이(210) 표준인 커맨드 모드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0)의 프로세서(120)는, MIPI에서 정의된 호스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DDI(230)는 특정 주파수로 TE(tearing effect) 신호를 출력하고, 프로세서(120)는 TE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데이터를 DDI(230)로 전송할 수 있다. DDI(2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210)의 특성(예: 해상도)에 따라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소스 출력부(34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3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230)는 소스 출력부(341)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패널(330)로 공급하는 타이밍에 기반하여 EM 드라이버(321) 및 스캔 드라이버(32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캔 드라이버(32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스캔 신호(SCAN)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소스 출력부(341)로부터 출력된 영상 데이터를 각 픽셀(331)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M 드라이버(32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발광(emission) 신호(EM)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각 픽셀(331)이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지정된 계조의 빛을 발광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픽셀(331)을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2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온-오프 듀티비(이하, AOR(AMOLED off ratio) 이라 함)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제어 신호(AC)를 EM 드라이버(321)에게 공급할 수 있다. EM 드라이버(321)는 제 1 제어 신호(AC)에 기반하여 발광 신호(EM)가 출력되는 타이밍을 조정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230)는,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조정하기 위한 제 2 제어 신호(RC)를 스캔 드라이버(322)에게 공급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322)는 제 2 제어 신호(RC)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리프레쉬 레이트(예: 스캔 신호(SCAN)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센서(31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도 센서(31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제 1 부분 영역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부분 영역을 통과한 빛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외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도 센서(311)의 성능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도 센서(311)의 성능은 디스플레이(2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영향을 적게 받을수록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조도 센서(311)의 성능은, 디스플레이(210)가 한 프레임 내에서 꺼져있는 비율, 즉 AOR이 클수록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31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센서(312)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제 2 부분 영역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부분 영역을 통과한 빛을 수신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지문에 관련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센서(312)의 성능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센서(312)의 성능은 디스플레이(21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유지 기간이 길수록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센서(312)의 성능은, 디스플레이(210)가 한 프레임 내에서 꺼져있는 비율, 즉 AOR이 작을수록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 또는 DDI(230)는 조도 센서(311)의 성능 및 지문 센서(312)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도 센서(311) 및 지문 센서(312) 각각이 동작하는 기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 또는 DDI(230)는 조도 센서(311) 및/또는 지문 센서(312)가 활성화되는 것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모바일 전자 장치(400))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의 후면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는, 제 1 면(또는 전면)(310A), 제 2 면(또는 후면)(310B), 및 제 1 면(410A) 및 제 2 면(410B)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410C)을 포함하는 하우징(4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제 1 면(410A), 제 2 면(410B) 및 측면(4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4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4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2 면(410B)은 실질적으로 불투명한 후면 플레이트(41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플레이트(411)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410C)은, 전면 플레이트(402) 및 후면 플레이트(411)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418)(또는 "측면 부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411) 및 측면 베젤 구조(4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402)는, 상기 제 1 면(4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제 1 영역(410D)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플레이트(411)는, 상기 제 2 면(410B)으로부터 상기 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 연장된 제 2 영역(410E)을 긴 엣지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402) 또는 후면 플레이트(411)가 상기 제 1 영역(410D) 또는 제 2 영역(410E)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면 플레이트(402)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제 2 면(410B)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평면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400)의 측면에서 볼 때, 측면 베젤 구조(418)는, 상기와 같은 제 1 영역(410D) 또는 제 2 영역(410E)이 포함되지 않는 측면 쪽에서는 제 1 두께 (또는 폭)을 가지고, 상기 제 1 영역(410D) 또는 제 2 영역(410E)을 포함한 측면 쪽에서는 상기 제 1 두께보다 얇은 제 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401), 입력 장치(403), 음향 출력 장치(407, 414), 센서 모듈(404, 419), 카메라 모듈(405, 412), 키 입력 장치(417), 인디케이터(미도시 됨), 및 커넥터(40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400)는,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417), 또는 인디케이터)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4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면(410A), 및 상기 측면(410C)의 제 1 영역(410D)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402)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401)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모듈(404, 419)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키 입력 장치(41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영역(410D), 및/또는 상기 제 2 영역(410E)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장치(403)는, 마이크(403)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403)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마이크(40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407, 414)는 스피커들(407, 4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들(407, 414)은, 외부 스피커(407) 및 통화용 리시버(414)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마이크(403), 스피커들(407, 414) 및 커넥터(408)는 전자 장치(400)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4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을 통하여 외부 환경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하우징(410)에 형성된 홀은 마이크(403) 및 스피커들(407, 414)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음향 출력 장치(407, 414)는 하우징(410)에 형성된 홀이 배제된 채, 동작되는 스피커(예: 피에조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404, 419)은, 전자 장치(4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404, 419)은,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조도 센서(예: 도 3의 조도 센서(311)), 초음파 센서, 홍채 인식 센서, HBM(heart rate monitoring) 센서, 또는 거리 검출 센서(TOF 센서 또는 RiDAR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전자 장치(400)는 도시하지 않은 지문 센서(312)(예: 도 3의 지문 센서(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312)는 하우징(410)의 제 1 면(410A)(예: 홈 키 버튼), 제 2 면(410B)의 일부 영역, 및/또는 디스플레이(40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예: 모션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조도 센서(311)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405, 412)은, 전자 장치(400)의 제 1 면(410A)에 배치된 제 1 카메라 모듈(405), 및 제 2 면(410B)에 배치된 제 2 카메라 모듈(412), 및/또는 플래시(413)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카메라 모듈들(405, 412)은,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 및/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플래시(413)는,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렌즈들 (광각 렌즈, 초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 및 이미지 센서들이 상기 전자 장치(400)의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키 입력 장치(417)는, 하우징(410)의 측면(410C)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400)는 상기 언급된 키 입력 장치(417)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포함되지 않은 키 입력 장치(417)는 디스플레이(401) 상에 소프트 키 등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키 입력 장치(417)는 디스플레이(401)에 포함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하우징(410)의 제 1 면(410A)에 배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상태 정보를 광 형태(예: 발광 소자)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발광 소자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405)의 동작과 연동되는 광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예를 들어, LED, IR LED 및/또는 제논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홀(408)은, 외부 전자 장치(400)와 전력 및/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1 커넥터 홀(408),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400)와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제 2 커넥터 홀(또는 이어폰 잭)(미도시 됨)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들(405, 412) 중 일부 카메라 모듈(405), 센서 모듈(404, 419)들 중 일부 센서 모듈(404), 또는 인디케이터는 디스플레이(401)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405), 센서 모듈(404) 또는 인디케이터는 전자 장치(400)의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401)의, 전면 플레이트(402)까지 천공된 관통홀을 통해 외부 환경과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일부 센서 모듈(404)은 전자 장치(400)의 내부 공간에서 전면 플레이트(402)를 통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일부 센서 모듈(404)과 대면하는 디스플레이(401)의 일부 영역은 관통홀이 불필요할 수도 있다.
도 6은 지문 센서(312) 및 조도 센서(311)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600)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6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지문 센서(예: 도 3의 지문 센서(312)), 조도 센서(예: 도 3의 조도 센서(311)), DDI(예: 도 2의 DDI(230)),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10)), 또는 LUT(look-up table)(611)를 포함하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DDI(230)에 포함되어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 또는 DDI(230)는 조도 센서(311)의 성능 및 지문 센서(312)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도 센서(311) 및 지문 센서(312) 각각이 동작하는 기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조정하기 위하여 EM 드라이버(321)(예: 도 3의 EM 드라이버(321))에게 공급되는 제 1 제어 신호(예: 도 3의 제 1 제어 신호)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 및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에 매핑되는 AOR 값을 포함하는 LUT(611)를 참조할 수 있고, 상기 LUT(611)는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은,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고, 조도 센서(311)를 통한 조도 센싱 값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DDI(230)는, LUT(6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DDI(2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지문 센서(312)의 동작 여부에 관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기반하여DDI(230)는 LUT(611)를 참조하고, LUT(611)에 기반하여 AOR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조도 센서(311)의 성능이 AOR의 영향을 받는 것을 고려하여, 지문 센서(312)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에 상대적으로 높은 AOR 값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조도 센서(311)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지문 센서(312)가 동작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값이 약 100 nit 내지 약 420 nit 인 구간에서 AOR 값을 지정된 최대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600)는, 조도 센서(311)를 통해 획득되는 조도 센싱 값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을 향상시킴으로써, 조도 센싱 값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자동 밝기 조정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조도 센싱 값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자동 밝기 조정 기능은, 전자 장치(600)가 조도 센싱 값에 비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값을 증가시키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조도 센서(311)로부터 획득되는 조도 센싱 값들이 특정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갖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조도 센서(311)로부터 획득되는 조도 센싱 값들이 특정 범위 이상의 편차를 갖는 경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조도 센서(311)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600)는, 자동 밝기 조정 동작 중에 조도 센서(311)의 성능 저하로 인해 전자 장치(600)의 외부 조도를 부정확하게 감지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AOR 값이 최대 값으로 조정되는 동안에 조도 센서(311)를 통해 외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감지된 외부 조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600)는 조도 센서(311)의 센싱 정확도를 높이고,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지문 센서(312)의 운용과 관련한 지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call)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312)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일 영역에 터치 입력 감지되거나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일 실행되는 경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됨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API가 호출되면 현재 AOR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가 AOR 값을 조정하는 것은, 프로세서(120)가 메모리(130)에 저장된 LUT(611)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DDI(230)가 DDI(230)에 포함된 LUT(611)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600)의 동작 시나리오를 구분하면 표 1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동작의 주체 전자 장치(600)의 이전 상태
케이스 1 프로세서(120) 잠금 상태(예: idle 상태)
케이스 2 프로세서(120)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 중인 상태
케이스 3 DDI(230) 잠금 상태(예: idle 상태)
케이스 4 DDI(230)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 중인 상태
표 1의 케이스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60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비활성화된 잠금 상태(예: idle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지정된 잠금 화면 또는 AOD(always on display) 기능에 따른 특정 오브젝트(예: 시계, 또는 달력)만을 표시하는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잠금 상태에서 지문 센서(312)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적어도 일부분인 지문 영역(예: 도 15의 지문 영역(15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IC를 통해 상기 지문 영역(15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API를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API를 호출한 이후에,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현재 AOR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AOR이 조정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312)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와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표 1의 케이스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6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 중인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6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을 요청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은행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보안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API를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API를 호출한 이후에,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현재 AOR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AOR이 조정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312)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와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표 1 의 케이스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잠금 상태에서 지문 센서(312)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적어도 일부분인 지문 영역(15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터치 IC를 통해 상기 지문 영역(15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API를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API를 호출한 이후에,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312)의 동작에 관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DDI(2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2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AOR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AOR이 조정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312)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와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표 1의 케이스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6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을 요청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은행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보안 인증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실행 화면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지문 API를 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API를 호출한 이후에,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312)의 동작에 관한 정보(또는 데이터)를 DDI(23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2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AOR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AOR이 조정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312)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에 대응하는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와 저장된 인증 정보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온-오프 듀티비(예: AOR(AMOLED off ratio))가 0 %인 경우를 설명한 예시이다.
도 7b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온-오프 듀티비(예: AOR(AMOLED off ratio))가 50 %인 경우를 설명한 예시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AOR은 1 프레임의 기간 중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시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1 프레임 전체 기간 동안에 영상을 출력하는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AOR은 0%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1/2 프레임 기간 동안 영상을 출력하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나머지 1/2 프레임 기간 동안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면 AOR은 5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AOR이 조정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출력 휘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휘도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출력 휘도가 N1이라고 가정할 때, 도 7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출력 휘도가 N1의 2배인 N2로 설정되면, AOR이 도 7a와 같은 0%로부터 도 7b와 같은 50%로 조정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휘도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휘도 설정 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은,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화면의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움직이는 터치 드래그 입력에 기반하여 표시될 수 있고, 가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휘도 스크롤 바(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휘도 스크롤 바(810)에 포함된 핸들러(811)를 가로 방향으로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을 높이거나 또는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핸들러(811)를 우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을 증가시키고, 핸들러(811)를 좌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핸들러(811)가 우측 방향 끝까지 이동하게 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 가능한 최대 밝기인 제 1 기준 휘도(예: 도 11의 K1)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조도 센서(예: 도 3의 조도 센서(311))를 통해 야외 환경에 대응하는 조도 값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핸들러(811)가 우측 방향 끝까지 이동하게 되면, 휘도 설정 값을 제 1 기준 휘도(예: 도 11의 K1)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조정하는 HBM(high brightness mod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HBM 상태에서, 조도 센서(311)를 통해 획득한 조도 센싱 값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을 제 1 기준 휘도(예: 도 11의 K1)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조정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HBM 상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을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전자 장치(101)가 조도 센서(311)를 통해 획득한 조도 센싱 값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을 제 1 기준 휘도(예: 도 11의 K1)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조정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예: 도 3의 지문 센서(312))가 동작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HBM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지문 센서(312)의 SNR(signal to noise ratio)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0에서 가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에서 1021에 대응하는 제 1 구간(1021)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밝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도 11의 일반 밝기 구간(1110)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0에서 1022에 대응하는 제 2 구간(1022)은 AOR이 선형적으로 조정되는 도 11의 HBM 구간(1120)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0에서 1023에 대응하는 제 3 구간(1023)은 AOR이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으로 유지되는 도 11의 HBM 구간(1120)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밝기 설정 값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에서, 가로축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 설정 값을 나타내고, 세로 축은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1에서 1110에 대응하는 일반 밝기 구간(1110)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밝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1에서 1120에 대응하는 HBM 구간(1120)은 HBM 상태에 대응하는 구간이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밝기 설정을 조정할 수 없는 구간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동작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적어도 일부 동작들의 이전 또는 이후에는 본 개시에서 다른 도면(예: 도 15)을 참조하여 언급한 적어도 일부 동작들이 추가 삽입 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동작들은 프로세서(1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는, 실행시에, 프로세서(120)가 도 9에 도시된 적어도 일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동작 9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은,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비활성화된 잠금 상태(예: idle 상태)일 때 지문 센서(예: 도 3의 지문 센서(312))와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적어도 일부분인 지문 영역(예: 도 15의 지문 영역(151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는 것은,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현재 AOR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현재 휘도 설정 값이 미리 설정된 구간들 중에서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구간들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간(1021), 제 2 구간(1022), 또는 제 3 구간(10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간(1021)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도 8의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구간으로서,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예: 도 10의 K1)보다 작은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기준 휘도(예: 도 10의 K1)는, 약 420 nit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제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구간(1022)은, HBM 상태에 대응하는 구간으로서,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예: 도 10의 K1)보다 크거나 같고, 제 2 기준 휘도(예: 도 10의 K2)보다 작은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기준 휘도(예: 도 10의 K2)는, 약 500 nit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제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구간(1023)은, HBM 상태에 대응하는 구간으로서, 휘도 설정 값이 제 2 기준 휘도(예: 도 10의 K2)보다 크거나 같은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3 구간(1023)은 휘도 설정 값이 약 500 nit 내지 약 800 nit까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구간(1021)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휘도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있는 구간이고,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휘도 설정 값을 상기 제 1 구간(1021)에 대응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구간(1022) 및/또는 제 3 구간(1023)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휘도 설정 값을 조정할 수 없는 구간이고, 전자 장치(101)가 자동으로 휘도 설정 값을 조정하는 구간일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AOR을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휘도 설정 값이 제 1 구간(1021) 또는 제 2 구간(1022)에 속한 경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휘도 설정 값이 제 3 구간(1023)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예시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휘도 설정 값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밝기를 조작할 수 있는 제 1 기준 휘도보다 작은 제 1 구간(1021)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예: P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휘도 설정 값이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조작할 수 있는 제 1 기준 휘도보다 작은 제 1 구간(1021)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예: 도 10의 P1)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휘도 설정 값이 제 1 구간(1021)에 속한 경우, 휘도 설정 값을 제 1 구간(1021)으로부터 HBM 상태에 대응하는 제 2 구간(1022)으로 변경하고, 휘도 설정 값이 증가함에 따라 AOR을 지정된 최대 값(예: 도 10의 P1)으로부터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까지 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HBM 상태에 대응하는 HBM 구간(1120)에서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함에 따라 HBM 구간(1120) 및 일반 밝기 구간(1110)의 전환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급격한 휘도 변경에 따른 화면 깜박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 밝기 구간(1110)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밝기 설정 값을 조작할 수 있는 구간이고, 지정된 하이 값(H)보다 작거나 같은 밝기 설정 값을 갖는 구간일 수 있다. HBM 구간(1120)은 HBM 상태에 대응하는 구간이고, 지정된 하이 값(H)보다 큰 밝기의 설정 값을 갖는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HBM 상태에 대응하는 HBM 구간(1120)에서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함에 따라 HBM 구간(1120) 및 일반 밝기 구간(1110)의 경계 구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급격한 휘도 변경에 따른 화면 깜박임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일반 밝기 구간(111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K0(예: 약 2 nit) 내지 K1(예: 약 420 nit) 사이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HBM 구간(1120)에서 K1(예: 약 420 nit) 내지 K2(예: 약 800 nit) 사이의 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휘도 설정 값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밝기를 조작할 수 없는 제 2 구간(1022)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예: P1)과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 사이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K1)보다 크거나 같고, 제 2 기준 휘도(K2)보다 작은 제 2 구간(1022)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예: P1)과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고, AOR을 휘도 설정 값에 반비례하도록 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휘도 설정 값이 제 2 구간(1022)에 속한 경우, 휘도 설정 값이 증가함에 따라 AOR을 지정된 최대 값(예: 도 10의 P1)으로부터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까지 선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 2 구간(1022)에서, 휘도 설정 값이 증가할수록 AOR을 낮추고, 휘도 설정 값이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에 수렴할수록 AOR을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에 수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휘도 설정 값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를 통해 조작할 수 없는 제 3 구간(1023)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휘도 설정 값이 제 2 기준 휘도(K2)보다 크거나 같은 제 3 구간(1023)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휘도 설정 값이 제 3 구간(1023)에 속한 경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조정된 AOR에 기반한 지정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지문 센서(312)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1)가 획득하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는, AOR이 지정된 최소 값(예: 도 10의 P2)으로 조정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출력된 빛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312)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인증을 수행한 이후에는,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조도에 따라 휘도 설정 값을 제 1 구간 내지 제 3 구간(예: 도 10의 1021, 1022, 1023) 중 어느 하나의 구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 따른 전자 장치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조정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2에서 가로축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2에서 1210에 대응하는 구간은 일반 밝기 구간(1210)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2에서 1220에 대응하는 구간은 HBM 구간(1220)에 대응하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서 설명한 비교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의 AOR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3에서, 가로축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 설정 값을 나타내고, 세로 축은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에서 1310에 대응하는 일반 밝기 구간(1310)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밝기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3에서 1320에 대응하는 HBM 구간(1320)은 HBM 상태에 대응하는 구간이고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을 통해 밝기 설정을 조정할 수 없는 구간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밝기 구간(1210)에 대응하는 구간 1210에서 AOR을 지정된 값 P1으로 설정 및 유지하고, HBM 구간(1220)에 대응하는 구간 1220에서 AOR을 지정된 값 P1보다 작은 P2로 설정 및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밝기 구간(1210) 및 HBM 구간(1220)의 경계에 해당되는, 구간 1210 및 구간 1220의 경계에서 AOR을 비선형적이고, 불연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일반 밝기 구간(1210)으로부터 HBM 구간(1220)으로 전환되면, AOR을 P1으로부터 P2로 급격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밝기 구간(1310) 및 HBM 구간(1320)의 경계에 해당되는, 구간 1310 및 구간 1320의 경계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가 불연속적으로 급변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깜박임이 시인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HBM 구간(122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단일의 감마를 사용하는데, 상기 단일의 감마는 최대 밝기(예: 약 800 nit)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교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같이, 구간 1210 및 구간 1220의 경계에서 AOR을 비선형적이고, 불연속적으로 조정할 경우 사용자로부터 깜박임이 시인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도 10 및 도 11을 결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깜박임이 시인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지문 영역(1510)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의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전자 장치(14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 도 3의 전자 장치(300), 도 4 및 도 5의 전자 장치(400), 또는 도 6의 전자 장치(600)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의 지문 영역(1510) 및 주변 영역(152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도 16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가 지문 영역(1510)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해 설정하는 마스크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가 지문 영역(1510)의 번인을 보상한 이후의 이미지를 나타낸 예시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7을 결부하여, 지문 영역(1510)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프로세서(120)가 휘도 설정부(1410),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DDI(230)가 번인 보상부(1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시 영역 중에서 지문 센서(예: 도 3의 지문 센서(31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영역을 "지문 영역(15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시 영역 중에서 상기 지문 영역(1510)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지문 영역(1510)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이내에 배치되는 일부 영역을 "주변 영역(15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변 영역(1520)은 지문 영역(151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의 15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5의 151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시 영역 중에서 지문 센서(31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영역을 "지문 영역(1510)"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5의 152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지문 영역(15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주변 영역(1520)"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5의 1530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표시 영역을 통해 표시되는 지정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이미지는, 전자 장치(1400)의 기본 설정 또는 사용자 설정에 기반한 배경 이미지, 잠금 화면,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휘도 설정부(1410)는 조도 센서(예: 도 3의 조도 센서(311))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400)의 외부의 조도를 획득한 것을 기반으로 화면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설정부(1410)는 외부의 조도가 낮은 어두운 환경에서는 화면을 어둡게 설정하고, 외부의 조도가 높은 밝은 환경에서는 화면을 밝게 설정함으로써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휘도 설정부(1410)는, 외부의 조도에 기반한 휘도 설정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휘도 설정부(1410)로부터 외부의 조도에 기반한 휘도 설정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예: 랜더링)하는 이미지 생성부(미도시)로부터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DDI(230)로부터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휘도 설정 값 및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변환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결정된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영역(151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계조가 약 255 계조인 경우, 지문 영역(1510)의 휘도는 약 800 nit일 수 있다.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예를 들어, 상기 약 255 계조에 약 35 계조에 해당된 변환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를 약 255 계조로부터 약 220 계조로 낮추고, 약 578 nit의 휘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식 지문 센서(312)는 약 500nit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330) 광원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지문 센서(312)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을 최소 값(예: 도 10의 P2, 약 2 %)으로 설정하고,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를 최대 HBM 상태(예: HBM max state)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광원으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지문 영역(1510), 및 상기 지문 영역(1510)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1520)의 휘도차로 인한 번인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변환 오프셋을 설정하고, 설정된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계조 및 휘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30) 광원으로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지문 영역(1510), 및 상기 지문 영역(1510)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1520)의 휘도차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지문 영역(1510)에 대응하는 픽셀(331)들의 특성(예: 수명 특성)과 주변 영역(1520)에 대응하는 픽셀(331)들의 특성(예: 수명 특성) 간의 편차가 증가하고, 번인 편차로 인한 화질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 및 주변 영역(1520) 간의 휘도차를 줄이도록 변환 오프셋을 지문 영역(1510)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400)는, 지문 영역(1510)에 대응하는 픽셀(331)들의 특성(예: 수명 특성)과 주변 영역(1520)에 대응하는 픽셀(331)들의 특성(예: 수명 특성) 간의 편차로 인한 화질 불량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0)가,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계조)를 조정하는 것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DDI(230)로부터 지문 영역(151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영역(1520)의 평균 휘도(또는 평균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데이터 및 현재 휘도 설정값을 기반으로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고,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평균 계조)가 변경된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프레임 이미지는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변경되고, 지문 영역(15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휘도가 현재 설정된 휘도 설정 값에 대응하는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40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최대 HBM 상태(예: HBM max state)로 구동하는 동안에,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낮추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하고, 지문 영역(15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최대 HBM 상태(예: HBM max state)에 대응하는 휘도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낮추도록 프레임 이미지의 계조를 직접적으로 낮추거나, 또는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지문 영역(1510)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프레임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에 대응하는 계조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가 약 255 계조인 경우, 지문 영역(1510)의 각 픽셀(331)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계조값을 직접적으로 변환함으로써,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를 약 255 계조로부터 약 220 계조로 낮추고, 약 578 nit의 휘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프레임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16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영역(1510)에 대응하도록 설정되고 변환 오프셋에 대응하는 이미지 처리가 수행되는 변환 영역(1610), 및 상기 변환 영역(1610)을 제외한 마스크 영역(1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가 약 255 계조인 경우, 상기 마스크(1600)의 변환 영역(1610)을 통한 마스크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를 약 255 계조로부터 약 220 계조로 낮추고, 약 578 nit의 휘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20)에 의해 변환된 프레임 이미지(1700)는 지문 영역(1710)(예: 도 15의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변경되고, 지문 영역(17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720)의 휘도가 현재 설정된 휘도 설정 값에 대응하는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 처리는 지문 영역(15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 제 1 마스크 처리를 수행하고, 휘도를 낮추기 위해 지문 영역(1510)을 포함한 전체 영역에 제 2 마스크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마스크 처리는 지문 영역(1510)을 포함하되, 전체 영역보다 작은 영역에 대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0)가,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계조)를 조정하는 것은, DDI(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DI(2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DI(230)는, 상기 정보의 수신에 기반하여,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고,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평균 계조)가 변경된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된 프레임 이미지는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변경되고, 지문 영역(15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휘도가 현재 설정된 휘도 설정 값에 대응하는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DI(23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낮추도록 프레임 이미지의 계조를 직접적으로 낮추거나, 또는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지문 영역(1510)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프레임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DI(230)는,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에 대응하는 계조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DI(230)는,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가 약 255 계조인 경우, 지문 영역(1510)의 각 픽셀(331)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계조값을 직접적으로 변환함으로써,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를 약 255 계조로부터 약 220 계조로 낮추고, 약 578 nit의 휘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DI(230)는,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프레임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스크(16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영역(1510)에 대응하도록 설정되고 변환 오프셋에 대응하는 이미지 처리가 수행되는 변환 영역(1610), 및 상기 변환 영역(1610)을 제외한 마스크 영역(16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DI(230)는,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가 약 255 계조인 경우, 상기 마스크(1600)의 변환 영역(1610)을 통한 마스크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를 약 255 계조로부터 약 220 계조로 낮추고, 약 578 nit의 휘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DI(230)에 의해 변환된 프레임 이미지(1700)는 지문 영역(1710)(예: 도 15의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변경되고, 지문 영역(17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720)의 휘도가 현재 설정된 휘도 설정 값에 대응하는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는,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는, 프레임 이미지를 분석하는 것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번인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사용 시간,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수명 특성을 고려한 번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는 결정된 번인 정보를 DDI(230)로 전송할 수 있다. DDI(230)의 번인 보상부(1450)는, 프로세서(120)의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로부터 번인 정보를 입력받고, 번인 정보에 기반한 보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보상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각 픽셀(331)별 수명 특성의 편차로 인한 번인 편차를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DDI(230)는 번인 보상부(1450)에 의해 생성된 보상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부터 입력된 프레임 이미지에 적용하여 최종 프레임 이미지(예: 도 17의 프레임 이미지(1700))를 생성하고, 최종 프레임 이미지(1700)를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표시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에 대한 주변 영역(1520)의 휘도에 따른 케이스 분류를 나타낸 예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 및 주변 영역(1520)의 휘도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 및 주변 영역(1520)의 휘도에 따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케이스들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8의 C1은,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는 제 3 기준 휘도(R3)보다 작거나 같고, 주변 영역(1520) 휘도는 제 4 기준 휘도(R4)보다 큰 제 1 케이스(C1)(예: 제 1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의 C2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는 제 3 기준 휘도(R3)크고, 주변 영역(1520) 휘도는 제 4 기준 휘도(R4)보다 큰 제 2 케이스(C2) (예: 제 2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의 C3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는 제 3 기준 휘도(R3)보다 작거나 같고, 주변 영역(1520) 휘도는 제 4 기준 휘도(R4)보다 작거나 같은 제 3 케이스(C3) (예: 제 3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8의 C4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는 제 3 기준 휘도(R3)보다 크고, 주변 영역(1520) 휘도는 제 4 기준 휘도(R4)보다 작거나 같은 제 4 케이스(C4) (예: 제 4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가 상기 케이스들 중에서 어느 케이스에 속하는지 결정하고, 해당 케이스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가 제 2 케이스(C2)에 해당되는 경우, 지문 영역(1510)이 최대 HBM 상태(예: HBM max state)에 대응하는 휘도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가 제 1 케이스(C1) 또는 제 4 케이스(C4)에 해당되는 경우, 지문 영역(1510)이 지정된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휘도는 약 300 nit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가 제 3 케이스(C3)에 해당되는 경우, 지문 영역(1510)이 상기 제 1 휘도보다 낮은 제 2 휘도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휘도는 약 100 nit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국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가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누적 사용 시간에 기반하여 타겟 휘도를 설정하는 파라미터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9에서 가로축은 지문 센서(예: 도 3의 지문 센서(312))의 누적 사용 시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지문 영역(1510)은, 지문 센서(312)를 이용한 지문 인증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수명이 감소하고, 번인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지문 인증의 횟수가 많은 전자 장치(101)의 지문 영역(1510)의 휘도는, 상대적으로 지문 인증의 횟수가 적은 전자 장치(101)의 지문 영역(1510)의 휘도보다 어두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지문 센서(312)를 이용한 지문 인증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번인 보상을 위한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예: 도 14의 이미지 데이터 누적부(1430)) 또는 번인 보상부(1450)(예: 도 14의 번인 보상부(1450))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조정된 이미지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누적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결정된 보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변경함으로써, 번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0는 지문 영역(1510)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전자 장치(101)의 흐름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동작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적어도 일부 동작들의 이전 또는 이후에는 본 개시에서 다른 도면(예: 도 9)을 참조하여 언급한 적어도 일부 동작들이 추가 삽입 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동작들은 프로세서(1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는, 실행시에, 프로세서(120)가 도 20에 도시된 적어도 일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동작 201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현재 휘도 설정 값 및 주변 영역(1520) 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휘도 설정부(1410)로부터 외부의 조도에 기반한 휘도 설정 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예: 랜더링)하는 이미지 생성부(미도시)로부터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DDI(230)로부터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동작 202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현재 휘도 설정 값 및 주변 영역(1520) 휘도에 기반하여 변환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휘도 설정 값 및 주변 영역(152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하기 위한 변환 오프셋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03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의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결정된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영역(1510)을 통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의 평균 계조가 약 255 계조인 경우, 지문 영역(1510)의 휘도는 약 800 nit일 수 있다. 지문 영역 데이터 보상부(1420)는, 예를 들어, 상기 약 255 계조에 약 35 계조에 해당된 변환 오프셋을 적용함으로써,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를 약 255 계조로부터 약 220 계조로 낮추고, 약 578 nit의 휘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계조)를 조정하는 것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DDI(230)로부터 지문 영역(1510)의 주변에 위치한 주변 영역(1520)의 평균 휘도(또는 평균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데이터 및 현재 휘도 설정값을 기반으로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고,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평균 계조)가 변경된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계조)를 조정하는 것은, DDI(2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DI(23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지문 인증 기능의 실행 및 현재 휘도 설정 값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DI(230)는, 상기 정보의 수신에 기반하여,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고, 변환 오프셋을 기반으로 지문 영역(1510)의 휘도(또는 평균 계조)가 변경된 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는 것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낮추도록 프레임 이미지의 계조를 직접적으로 낮추거나, 또는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지문 영역(1510)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프레임 이미지에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3의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 및 주변 영역(1520)의 휘도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 및 주변 영역(1520)의 휘도에 따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케이스들로 분류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상태가 어느 케이스에 속하는지에 기반하여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동작 2040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조정된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가 약 255 계조인 경우, 지문 영역(1510)의 각 픽셀(331)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계조값을 직접적으로 변환하거나, 마스크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지문 영역(1510)의 평균 계조를 약 255 계조로부터 약 220 계조로 낮추고, 약 578 nit의 휘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조정되는 동안, 지문 센서(예: 도 3의 지문 센서(312))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센싱하고, 지문 인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33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지문 센서(312),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 및 상기 지문 센서(312)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센서(312)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AMOLED off ratio) 및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설정하고, 및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312)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작은 제 1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으로부터 상기 최소 값까지 선형적으로 낮추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크고 제 2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2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선형적으로 낮추되, 상기 제 2 기준 휘도는 상기 제 1 기준 휘도보다 크고, 및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2 기준 휘도보다 큰 제 3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구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 설정을 조정하는 일반 밝기 구간이고, 상기 제 2 구간 및 상기 제 3 구간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를 설정을 조정할 수 없는 구간이고, 상기 전자 장치(101)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HBM(high brightness mode) 구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330)(330)을 통해 출력된 빛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상기 지문 센서(312)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는 지문 영역(1510) 및 상기 지문 영역(15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를 확인하고, 상기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조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312)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픽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계조 값을 직접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공급되는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상기 지문 영역(1510)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통해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조정된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1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2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최대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3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상기 제 1 휘도보다 낮은 제 2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4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상기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지문 센서(312)를 포함한 전자 장치(101)의 방법은, 상기 지문 센서(312)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AOR(AMOLED off ratio) 및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312)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작은 제 1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으로부터 상기 최소 값까지 선형적으로 낮추는 동작,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크고 제 2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2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선형적으로 낮추되, 상기 제 2 기준 휘도는 상기 제 1 기준 휘도보다 큰 동작, 및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2 기준 휘도보다 큰 제 3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구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 설정을 조정하는 일반 밝기 구간이고, 상기 제 2 구간 및 상기 제 3 구간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를 설정을 조정할 수 없는 구간이고, 상기 전자 장치(101)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HBM(high brightness mode) 구간인, 방법.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330)(330)을 통해 출력된 빛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은, 상기 지문 센서(312)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는 지문 영역(1510) 및 상기 지문 영역(15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이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조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312)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픽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계조 값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에 공급되는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상기 지문 영역(1510)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통해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를 낮추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가 조정된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1510)의 휘도 설정 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1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2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최대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3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상기 제 1 휘도보다 낮은 제 2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330)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4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1510)이 상기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지문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AOR(AMOLED off ratio) 및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고,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설정하고, 및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작은 제 1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으로부터 상기 최소 값까지 선형적으로 낮추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크고 제 2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2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선형적으로 낮추되, 상기 제 2 기준 휘도는 상기 제 1 기준 휘도보다 크고, 및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2 기준 휘도보다 큰 제 3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 설정을 조정하는 일반 밝기 구간이고,
    상기 제 2 구간 및 상기 제 3 구간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를 설정을 조정할 수 없는 구간이고, 상기 전자 장치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HBM(high brightness mode) 구간인,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출력된 빛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지문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는 지문 영역 및 상기 지문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를 확인하고,
    상기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고,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가 조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의 픽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계조 값을 직접적으로 낮추는,
    전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되는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상기 지문 영역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통해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를 낮추는,
    전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가 조정된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고,
    상기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 설정 값을 변경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1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2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최대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3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상기 제 1 휘도보다 낮은 제 2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4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상기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도록 배치된 지문 센서를 포함한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하는 지문 인증 기능을 실행하는 동작,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AOR(AMOLED off ratio) 및 휘도 설정 값을 확인하는 동작,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속한 구간에 따라 상기 AOR을 선형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AOR을 지정된 최소 값으로 설정하는 동작, 및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작은 제 1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지정된 최대 값으로부터 상기 최소 값까지 선형적으로 낮추는 동작,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1 기준 휘도보다 크고 제 2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2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선형적으로 낮추되, 상기 제 2 기준 휘도는 상기 제 1 기준 휘도보다 큰 동작, 및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휘도 설정 값이 제 2 기준 휘도보다 큰 제 3 구간에 속한 경우, 상기 AOR을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 설정을 조정하는 일반 밝기 구간이고,
    상기 제 2 구간 및 상기 제 3 구간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를 설정을 조정할 수 없는 구간이고, 상기 전자 장치가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HBM(high brightness mode) 구간인,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OR이 상기 최소 값으로 유지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패널(330)을 통해 출력된 빛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됨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지문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과 중첩되는 지문 영역 및 상기 지문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휘도 설정 값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변환 오프셋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를 조정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가 조정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지문 센서를 이용해 지문 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의 픽셀들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계조 값을 낮추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오프셋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되는 프레임 이미지 중에서 상기 지문 영역에만 적용되는 마스크 처리를 통해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를 낮추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가 조정된 상기 이미지의 데이터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동작, 및
    상기 누적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번인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데이터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 및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에 기반하여, 상기 지문 영역의 휘도 설정 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인증 기능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1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큰 제 2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최대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3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상기 제 1 휘도보다 낮은 제 2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휘도가 제 3 기준 휘도 보다 크고, 상기 주변 영역의 휘도가 제 4 기준 휘도보다 작거나 같은 제 4 상태이면, 상기 지문 영역이 상기 제 1 휘도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210194388A 2021-03-05 2021-12-31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25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02871 WO2022186574A1 (ko) 2021-03-05 2022-02-28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520 2021-03-05
KR20210029520 2021-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668A true KR20220125668A (ko) 2022-09-14

Family

ID=83279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388A KR20220125668A (ko) 2021-03-05 2021-12-31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56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274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열화 보상 방법
KR20220050021A (ko) 화면의 크기가 가변적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의 열화를 보상하는 방법
US2023033506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riving plurality of display areas of display at different driving frequencies
US1170506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edicting residual image of display and compensating for residual image of the display
US11842670B2 (en) Electronic device for dynamically adjusting refresh rate of display
KR20220017296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25668A (ko)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001314A (ko) 가변 리프레시 레이트를 갖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11306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7180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74930A (ko) 광학 센서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5990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열화 보상 방법
US20240105142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identifying brightness level according to on pixel ratio
KR20230007144A (ko) 주사율에 따라 감마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2029302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435067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refresh rate
US2024002329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rmal diffusion member
WO2022186574A1 (ko) 센서 모듈의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27024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70610A (ko) 서로 다른 발광 신호들에 기반하여 서로 다른 표시 영역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방법
KR20240067194A (ko) 구동 주파수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40019661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11665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픽셀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
KR20230168560A (ko)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40043039A (ko) Opr에 따라 밝기 레벨을 식별하는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