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506A -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506A
KR20220125506A KR1020210029433A KR20210029433A KR20220125506A KR 20220125506 A KR20220125506 A KR 20220125506A KR 1020210029433 A KR1020210029433 A KR 1020210029433A KR 20210029433 A KR20210029433 A KR 20210029433A KR 20220125506 A KR20220125506 A KR 20220125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ity
strain
okbl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092B1 (ko
Inventor
옥민
김정욱
민경곤
이성은
강민정
김현성
이선주
김소현
심소연
Original Assignee
파이토지노믹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토지노믹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이토지노믹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09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23V2200/3204Probiotics, living bacteria to be ingested for action in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33Curvatus
    • A23Y2220/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strain having antioxidant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skin whitening activity, skin anti-wrinkle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cancer activity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다양한 식품의 발효에 관여하여 독특한 풍미를 부여할 뿐 아니라,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여 식품의 저장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유산균이 생성하는 항균성 물질로는 젖산 등의 유기산 이외에 디아세틸 및 박테리오신 등이 알려져 있다.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섭취되어 장에 도달하였을 때에 장내 환경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균주를 말하는 것으로, 건조 세포나 발효산물 형태로 사람이나 동물에 공급되어 장내 균총을 개선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이며 주로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균주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발효유, 과립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유산균을 비롯한 균주들이 프로바이오틱스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장까지 도달하여 증식 및 정착해야 하고 독성이 없으며 비병원성이어야 한다. 최근에는 기본적인 유산균의 특성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용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균주가 분리, 동정되어 보고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0996577호에서는 '혈중 콜레스테롤 강하와 비만 억제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에이취와이76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801764호에서는 '양모 촉진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WIKIM55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배추 김치로부터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기탁번호 : KCCM12903P)를 분리하였고, 상기 분리된 균주의 우수한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starter)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는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이 우수하므로 항균용 조성물,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 프로바이오틱, 암의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활용 가능하므로, 관련 산업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0.05% BHT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합성 항산화제인 뷰틸레이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이고, L.FE 및 L.PL은 비교군으로 사용한 균주로, 각각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이며, L.CU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균주이다. *은 0.05% BHT에 비해 L.CU의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의 폴리페놀(A) 및 플라보노이드(B) 함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DW는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증류수이고, L.FE 및 L.PL은 비교군으로 사용한 균주로, 각각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이며, L.CU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균주이다. *, ***은 DW에 비해 L.FE, L.PL 또는 L.CU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01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0.1% Arbutin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티로시나아제 저해제이고, MRSB는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MRS 배지이고, L.FE는 비교군으로 사용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이며, L.CU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균주이다. ***은 MRSB에 비해 0.1% Arbutin 또는 L.CU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01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0.1% Ursolic acid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엘라스타아제 저해제이고, MRSB는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MRS 배지이고, L.FE 및 L.PL은 비교군으로 사용한 균주로, 각각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이며, L.CU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균주이다. ***은 0.1% MRSB에 비해 0.1% Ursolic acid, L.FE, L.PL 또는 L.CU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01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의 항염 활성을 분석한 것으로, A는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이고, B는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MRSB는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MRS 배지이고, LPS는 lipopolysaccharide이고, 0.1% IDM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이고, L.FE 및 L.PL은 비교군으로 사용한 균주로, 각각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이며, L.CU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균주이다. *, ***은 LPS에 비해 MRS, L.FE 또는 L.CU의 NO 생성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01이다. ##, ###은 0.1% IDM에 비해 L.FE 또는 L.PL의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1, ###은 p<0.001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의 항암 활성을 분석한 것으로, A는 피부암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고, B는 유방암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이다. DW는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증류수이고, L.FE는 비교군으로 사용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이며, L.CU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균주이다. *, ***은 DW에 비해 L.FE 또는 L.CU의 암세포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은 p<0.05, ***은 p<0.00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배추 김치로부터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최종 선별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는 상기 최종 선별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로 명명하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 2020년 12월 22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CM12903P).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는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고, 대장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으며,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있고, 산화질소 및 리폭시게나아제 저해능이 있고, 피부암 및 유방암 세포 사멸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항균용 조성물에서, 상기 그람 음성균은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항균(antimicrobial)"의 의미는 어떤 농도에서 미생물의 성장 또는 생존을 감소, 방지, 억제, 또는 제거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세균과 같은 미생물의 생육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진 조성물로서, 항미생물제를 총칭하는 의미인 항생제와 같은 의미일 수 있고, 항균 효과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모든 형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의약품, 의약외품, 식품 첨가제 또는 사료 첨가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상기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의 농축액 그 자체일 수 있고, 제형화에 필요한 부형제나 희석제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 이외의 다른 항균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항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 또는 상기 균주의 배양액의 농축액의 함량은 사용목적 및 사용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1 ~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10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10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양액"은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균주를 제거한 여액(원심분리한 상등액) 등의 배양액 자체로부터 파생되는 가공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으며, 특별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starter)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starter)"란 발효식품 제조를 위해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제제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발효식품 제조 시에 첨가함으로써 발효된 식품에서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 또는 우점종으로 생장할 수 있는 미생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를 사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하여, 식품의 품질을 일정하게 조절하거나, 특정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스타터 균주로 이용함으로써,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이 있는 발효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식품은 전통 김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통상적인 약학적 담체 및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성물은 통상적인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생균제 형태로 제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암은 피부암 또는 유방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는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 활성 및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이 우수하므로,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 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김치 시료를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후 1% 수크로즈, 1% 효모 추출물 및 0.15% NaH2PO4를 포함하는 LB 배지에 접종하고 배지가 든 플라스크를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고체 배지에 도말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선별하여 순수 분리하였다. 선별 균주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을 분석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로 판명되었으며, 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로 명명하고 한국미생물보존센터(KCCM)에 2020년 12월 22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 KCCM12903P).
실시예 2. 균주의 특성 분석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를 MRS 액체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초음파 분해(sonication)하여 3,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취하여 균주 시료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균주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당도와 pH를 각각 측정하였다. 당도는 총 가용성 고형물(total soluble solids, Brix) 함량을 당도계(Hand refractormeter, Germany)로 측정하여 나타내었고, pH는 pH 미터기(SevenCompactTM pH/Ion S220, Switzerland)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KCCM12790P)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CM12792P) 균주를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비교군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pH 및 당도
샘플 pH 당도
비교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 4.31 4.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PL) 3.77 4.9
실험군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4.30 5.7
실시예 3. 항산화 활성 분석
(1)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분석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항산화 활성은 Blois 등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에탄올 100 ㎖에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16 ㎎을 녹인 후 증류수 100 ㎖을 혼합하여 와트만 필터 종이(Whatman filter paper) NO.2에 여과시켜 반응 용액을 만들었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은 OKBL-L.CU 1 균주 시료(실시예 2의 상층액) 0.4 ㎖에 상기 DPPH 반응 용액 4.6 ㎖을 넣어 잘 혼합한 후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켜 분광광도계(Hitachi U-2900, Japan)로 52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아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이때 활성 비교를 위하여 항산화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BHT(Butylated hydroxytoluene)를 0.05% 농도로 첨가하여 시료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1-(A/B)×100]
A : 528 nm에서 시료 첨가된 DPPH 용액의 흡광도
B : 528 nm에서 시료 무첨가 DPPH 용액의 흡광도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one-way ANOVA 검정에 의한 평균치와 표준 오차(mean±SE)로 표시하였고, 각 실험군 간의 유의성 검증은 던칸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양성 대조군(0.05% BHT)과 유사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PL) 균주보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2)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폴리페놀(polyphenol)은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 중 하나로, 활성산소에 노출되어 손상되는 DNA를 보호하고 세포 구성 단백질 및 효소를 보호한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식물 유래 폴리페놀 계열의 화합물로, 항산화, 항염, 항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총 페놀성 화합물 측정 어세이(Total phenolic compounds measuring assay) 및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측정 어세이(Total flavonoids compounds measuring assay)를 이용하여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시료(실시예 2의 상층액)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PL) 균주보다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항균 활성 분석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항균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장출혈성 대장균인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E.coli) O157:H7(ATCC 43894)를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아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E.coli를 LB(Luria-Bertani) 액체 배지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 200 ㎕를 LB 고체 배지에 도말하고 멸균된 10 ㎜ 페이퍼 디스크를 고체 배지위에 올려놓았다. 이후,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시료(실시예 2의 상층액)를 상기 페이퍼 디스크에 처리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페이퍼 디스크 주변의 억제환(clear zone)을 관찰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를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E.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표 2).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항균 활성
MRS 배지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E.coli - ++ +++
(-: 활성 없음, ++: 억제환 15~20 mm, +++: 억제환 21 mm 이상)
실시예 5. 피부 미백 활성 분석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피부 미백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n vitro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1.5 ㎖ 플라스틱 큐벳(plastic cuvette)에 2.5 mM L-DOPA(3,4-dihydroxyphenylalanine) 0.3㎖, 본 발명의 균주 시료(실시예 2의 상층액) 0.1 ㎖ 및 0.1 M 인산완충용액(pH 6.8)을 혼합하여 25℃에서 반응시켰다. 이후, 1,380 units/㎖ 머쉬룸 티로시나아제(Sigma, USA) 0.05 ㎖을 넣고 25℃에서 2분간 반응시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식에 대입하여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산출하였다. 대조구는 시료가 들어있지 않는 시료 용해 용액을 사용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티로시나아제 저해제로 알려진 0.1% 알부틴(Arbutin)을 사용하였다.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균주를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100-[(A-B)/A]×100
A : 시료가 들어있지 않은 반응액의 0.5~1분 사이의 흡광도 차이
B : 시료가 들어있는 반응액의 0.5~1분 사이의 흡광도 차이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비교군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 균주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함으로써,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가 피부 미백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3).
실시예 6. 피부 주름개선 활성 분석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피부 주름개선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에 특이적인 기질인 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 1,300 ㎕에 본 발명의 균주 시료(실시예 2의 상층액) 100 ㎕, 0.12 M Tris-HCl(pH 8.0) 100 ㎕를 혼합하여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엘라스타아제를 20초 간격으로 100 ㎕씩 분주하여 실온에 10분 반응시킨 뒤, 20초 간격으로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식에 대입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산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엘라스타아제 저해제로 알려진 0.1% 우르솔산(Ursolic acid)을 사용하였고,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비교군으로 이용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1-(A/B)]×100
A : 시료 처리군의 흡광도
B : 시료 무처리군의 흡광도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비교군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PL) 균주와 유사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가 피부 주름개선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도 4).
실시예 7. 항염 활성 분석
(1) NO 생성 억제율 측정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항염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PS(lipopolysaccharide)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10% FBS 및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을 첨가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의 조건으로 배양하여 이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RAW 264.7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1x104 세포/웰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본 발명의 균주 시료(실시예 2의 상층액)를 10%로 전처리한 다음 LPS(1 ㎍/㎖)를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세포 배양액 100 ㎕를 취하여 그리스 시약(1% 설폰산, 0.1% N-1-나프틸 에틸렌 디아민이염산염, 2.5% 인산)과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54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비교군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보다 LPS에 의한 NO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2) 리폭시게나아제 저해 활성 측정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는 정상적인 세포에서는 활성이 미비하지만, 염증이 유발되면 류코트리엔(leukotrienes) 물질의 증가로 인해 활성이 증가한다. OD600=1.0의 균주 배양액 100 ㎕에 200 mM 보레이트 완충액(borate buffer, pH 9.0) 1 ㎖을 넣은 후, 기질인 리놀렌산(linoleic acid, 0.6 mM/㎖ in ethanol) 2 ㎖을 추가하여 혼합한 후 234 nm에서 보정값을 측정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물에 10,000 unit/㎖의 리폭시게나아제 100 ㎕를 넣고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2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은 인도메타신(indomethacin, IDM)을 0.1%(w/v)로 에탄올에 녹여서 사용하였다. 리폭시게나아제 억제 활성(%)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산출되었다.
리폭시게나아제 억제 활성(%)={1-(b'-b)/(a'-a)}×100
a: 효소 무첨가군
a': 효소 첨가군
b: 효소 무첨가 및 시료 첨가군
b': 효소 및 시료 첨가군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비교군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PL) 균주보다 리폭시게나아제 억제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B).
실시예 8. 항암 활성 분석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의 항암 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피부암세포(SK-MEL-2) 및 유방암세포(McF7)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각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x104 세포/㎖로 분주하여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본 발명의 균주 시료(실시예 2의 상층액)를 각 웰의 총 부피의 10%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CCK-8 키트를 각 웰의 총 부피의 10%로 분주하여 2시간 배양한 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식에 대입하여 세포생존율(%)을 산출하였다.
세포생존율(%)={(시료 처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그 결과,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는 비교군인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FE) 균주보다 암세포 사멸 유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KCCM12903P 20201222
<110> OKBIOLAND Co., Ltd. <120> 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strain having antioxidant activity, antimicrobial activity, skin whitening activity, skin anti-wrinkle activit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cancer activity and uses thereof <130> PN21002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456 <212> DNA <213> Lactobacillus curvatus <400> 1 ggtcagcggg caatctgcag tcgacgcact ctcgttgatt gagaagcttg cttctgattg 60 ataacatttg agtgagtggc ggacgggtga gtaacacgtg ggtaacctgc cctaaagtgg 120 gggataacat ttggaaacag atgctaatac cgcataaaac ctagcaccgc atggtgcaag 180 gttgaaagat ggtttcggct atcactttag gatggacccg cggtgcatta gttagttggt 240 gaggtaaagg ctcaccaaga ccgtgatgca tagccgacct gagagggtaa tcggccacac 300 tgggactgag acacggccca gactcctacg ggaggcagca gtagggaatc ttccacaatg 360 gacgaaagtc tgatggagca acgccgcgtg agtgaagaag gttttcggat cgtaaaactc 420 tgttgttgga gaagaacgta tttgatagta actgatcagg tagtgacggt atccaaccag 480 aaagccacgg ctaactacgt gccagcagcc gcggtaatac gtaggtggca agcgttgtcc 540 ggatttattg ggcgtaaagc gagcgcaggc ggtttcttaa gtctgatgtg aaagccttcg 600 gctcaaccga agaagtgcat cggaaactgg gaaacttgag tgcagaagag gacagtggaa 660 ctccatgtgt agcggtgaaa tgcgtagata tatggaagaa caccagtggc gaaggcggct 720 gtctggtctg taactgacgc tgaggctcga aagcatgggt agcaaacagg attagatacc 780 ctggtagtcc atgccgtaaa cgatgagtgc taggtgttgg agggtttccg cccttcagtg 840 ccgcagctaa cgcattaagc actccgcctg gggagtacga ccgcaaggtt gaaactcaaa 900 ggaattgacg ggggcccgca caagcggtgg agcatgtggt ttaattcgaa gcaacgcgaa 960 gaaccttacc aggtcttgac atcctttgac cactctagag atagagcttt cccttcgggg 1020 acaaagtgac aggtggtgca tggttgtcgt cagctcgtgt cgtgagatgt tgggttaagt 1080 cccgcaacga gcgcaaccct tattactagt tgccagcatt tagttgggca ctctagtgag 1140 actgccggtg acaaaccgga ggaaggtggg gacgacgtca aatcatcatg ccccttatga 1200 cctgggctac acacgtgcta caatggatgg tacaacgagt cgcgagaccg cgaggtttag 1260 ctaatctctt aaaaccattc tcagttcgga ttgtaggctg caactcgcct acatgaagcc 1320 ggaatcgcta gtaatcgcgg atcagcatgc cgcggtgaat acgttcccgg gccttgtaca 1380 caccgcccgt cacaccatga gagtttgtaa cacccaaagc cggtgaggaa cttcgggagc 1440 cgcctcaagt gtcagg 1456

Claims (8)

  1.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기탁번호가 KCCM12903P인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은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3.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그람 음성균은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용 조성물.
  5.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효식품 제조용 스타터(starter) 조성물.
  6.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 조성물.
  7.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1항의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Lactobacillus curvatus) OKBL-L.CU 1 균주, 이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또는 그의 건조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029433A 2021-03-05 2021-03-05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48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33A KR102548092B1 (ko) 2021-03-05 2021-03-05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433A KR102548092B1 (ko) 2021-03-05 2021-03-05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06A true KR20220125506A (ko) 2022-09-14
KR102548092B1 KR102548092B1 (ko) 2023-06-27

Family

ID=8327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433A KR102548092B1 (ko) 2021-03-05 2021-03-05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50B1 (ko) * 2023-07-27 2024-01-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신규 라티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m21f011 균주 및 이의용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199A (ko) * 2015-01-05 2016-07-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KR20170068238A (ko) * 2015-12-09 2017-06-19 (주)일성산업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20180113419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루버 핀 형상의 열전도 매개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90105293A (ko) * 2018-03-05 2019-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199A (ko) * 2015-01-05 2016-07-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KR20170068238A (ko) * 2015-12-09 2017-06-19 (주)일성산업 일회용 비닐장갑 제조장치
KR20180113419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루버 핀 형상의 열전도 매개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90105293A (ko) * 2018-03-05 2019-09-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50B1 (ko) * 2023-07-27 2024-01-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신규 라티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 m21f011 균주 및 이의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092B1 (ko)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da-Chodak The inhibitory effect of polyphenols on human gut microbiota
Hashemi et al. Improving bioactive properties of peach juice using Lactobacillus strains fermentation: Antagonistic and anti-adhesion effects,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properties, and Maillard reaction inhibition
JP5162212B2 (ja) 新規乳酸菌、乳酸菌組成物及び植物エキス、並びに、植物エキス及び低分子ポリフェノールの製造方法
KR101915463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또는 조성물
Sirilun et al. Lactic acid bacteria mediated fermented soybean as a potent nutraceutical candidate
KR10196824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ami-110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34371B1 (ko)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신균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nt 11 및 이의 용도
KR102424598B1 (ko)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okbl-l.p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20136107A (ko)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알로에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이용한 알로에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제조방법
KR20190002036A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위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이의 용도
KR102548092B1 (ko) 항산화 활성, 항균 활성, 피부 미백 활성, 피부 주름개선 활성, 항염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커바터스 okbl-l.cu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74116A (ko) 산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9695A (ko) 해방풍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47810B1 (ko) 락토바실러스 속 sdcm 1003 및 sdcm 1105의 혼합 균주, 그 배양액,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120264A (ko)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활용한 밤 발효 퓨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KR101961149B1 (ko)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ami-11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11656B1 (ko) 항염 활성, 피부 미백 활성,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혈전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okbl-l.pl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00067075A (ko) 흰점박이꽃무지 추출물의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88964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하비넨시스 및 이의 용도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90072923A (ko) 식용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활성 증진 기능성 음료 및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25678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20140108822A (ko)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KR101768817B1 (ko) 캐모마일꽃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면역 증진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