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351A - 다분형 하우징 시일,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 Google Patents

다분형 하우징 시일,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351A
KR20220125351A KR1020227027879A KR20227027879A KR20220125351A KR 20220125351 A KR20220125351 A KR 20220125351A KR 1020227027879 A KR1020227027879 A KR 1020227027879A KR 20227027879 A KR20227027879 A KR 20227027879A KR 20220125351 A KR20220125351 A KR 20220125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trip
adhesive
housing
housing member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즈 닉 아킨
킴 엘센바흐
리 왕
빌헬름 바츠케
Original Assignee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filed Critical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Publication of KR2022012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8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the packing being mechanically expanded against the sealing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용 갭을 커버링하는,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20)을 포함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에 관한 것이다.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20)은 두 개의 밀봉 갭(10, 20)을 통해 접촉하고, 제1 및 제2 접착 접착 스트립이 압축되는 경우, 이들은 제1 및 제2 밀봉 갭을 밀봉하고, 하우징의 내부와 하우징의 외부 사이의 유체 소통을 막는다. 본 발명은 또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분형 하우징 시일,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본 발명은 다분형 하우징 시일(multipartite housing seal)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공간 사이를 밀봉하고 이의 유체 소통을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가정 및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는 시일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밀봉을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된 것은 다분형 시일이 본질적으로 폐쇄되지 않고 대신 무한히 긴 밀봉 스트립으로 이루어진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다.
시일은, 예를 들어, 빌딩 건설 및 차량 건설과 같은 당업계의 상이한 분야의 수많은 구성에 필요하다. 이들 목적에 사용되는 밀봉 부재는 2개의 구성요소가 연결될 때 거의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것과 같은 갭을 밀봉하여, 종종 습기 및 공기에 의한 침투에 대항함으로써, 예를 들어, 부식에 대항하는 것과 같이, 이러한 공기 및 습기 유입에 의해 초래되는 손상으로부터 시일 뒤에 위치하는 부품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생산되는 종류의 기계적 연결은 일반적으로 충분한 밀봉을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생성된 연결부의 상응하는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실리콘 실란트가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실란트는 매우 신뢰성 있게 가공될 수 있지만, 경화에 특정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종종 가공 어려움을 야기한다. 유사한 상황은, 예를 들어, 에폭사이드 또는 폴리우레탄을 기반으로 하는 것들과 같은 다른 구조용 접착제 및 실란트로 발생한다.
사용된 실란트는 또한 우수한 난연 성질 및 다시 사용될 가능성으로 주목할 만한 실리콘 포움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을 자동 작동으로 처리하는 것은 어렵고, 또한 비교적 고가이다.
부틸 실란트는 확립되어 있고 저렴하지만, 이들의 계량 측면에서 제어하기 어렵고 우수한 노화 저항성이 부족하다. 또한, 압력이 비교적 높을 때, 이들은 종종 갭 밖으로 스퀴징된다.
천연 고무 및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같은 탄성 실란트는 시도되고 시험된 밀봉 성질을 제공하며 또한 매우 온도-안정적이다. 그러나, 이들은 자가-접착성이 아니기 때문에, 이들은 관리하기가 상당히 어렵고; 또한, 이들은 가요성이 아니므로, 해당 밀봉 부재는 밀봉될 갭에 정확히 맞아야 한다.
폴리우레탄 포움은 우수한 압축 특징을 나타내고 자동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또한, 적소 포움 적용이 가능하다. 단점은 해당 포움의 치수의 변동이며, 이들 물질은 또한 특정 세정 제품에 노출될 때 부식 및 분해되기 쉽다.
EPDM 포움에 의해 유사한 성질 프로파일이 나타나는데, 이는 또한 이들의 불규칙한 표면 구성으로 인해 제한된 밀봉 효과만을 달성한다.
EP 3 346 518 A1호에는 배터리 모듈 하우징의 커버 및/또는 터브에 적용되는 시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밀봉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밀봉 물질을 오목한 곳에 두게 된다. 시일은 "적소형 포움 개스킷"(FIPFG)이며, 여기서 액체 포움은 하우징의 커버 또는 터브에 적용된다. 이러한 적용은 발포된 또는 액체-적용된 실란트에 대해 발생하는 상기 언급된 단점을 갖는다.
DE 9 106 710 U1호에는 다분형 플랫 시일로서, 통상적인 밀봉 물질의 다수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플랫 시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은 접촉점에서 형태-맞춤을 달성하기 위해 상보적으로 수행되는 구불구불한 절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의 단점은 플랫 시일이 구성되는 부분이 생산 및 가공하기에 비용이 많이 들고 불편하다는 것이다. 적용 작동이 또한 이러한 부분들이 서로 일치하게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비용이 많이 들고 불편하다. 기재된 다분형 플랫 시일은 적용 정밀도에 대한 매우 엄격한 요건으로 인해 자동 적용에 거의 적합하지 않거나 전혀 적합하지 않다.
DE 20 2018 105 005 U1호에는 금속 인서트 및 위치결정 핀을 갖는 다분형 플랫 시일이 개시되어 있다. 금속 인서트는 그 위에 사출 성형된 엘라스토머 시일을 위한 "위치결정 레일(positioning rail)"의 역할을 한다. 위치결정 레일은 서로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큰 다이컷을 생산할 필요 없이 더 큰 시일이 조립될 수 있다. 기재된 밀봉 접근법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구성되기 때문에 생산 및 사용이 매우 복잡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부분은 연속적인 물질이 아니며, 대신에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밀봉 형상에 맞게 구성되는 금속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조적 구성요소들 사이 연결부의 신뢰성 있는 밀봉을 위해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고 처리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용하기 용이하고, 공기 및 수분에 대해 높은 밀봉 효과를 가지며, 또한 밀봉된 개구를 복잡하지 않게 다시 개방하고 이를 다시 페쇄할 수 있게 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밀봉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적용은 배터리 모듈의 영역에 있다. 모듈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함유하는데, 이는 외부로부터의 기계적 노출 뿐만 아니라 습기의 영향에 대항하여 하우징에서 보호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 상,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터브 사이에 실란트에 의해 밀봉되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실란트의 사용은 상기 기재된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실란트에 대해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자동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 양태에서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탄성 접착 스트립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을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하우징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다분형 하우징 시일로서,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이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고,
- 제1 접착 스트립이 제1 전면 및 제1 에지 면을 갖는 제1 단부 부분, 및 제2 전면 및 제2 에지 면을 갖는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데,
o 제1 전면 및 제2 전면이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적용 갭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o 제1 및 제2 에지 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에 놓여 있고,
o 제1 접착 스트립이 폐쇄 순환으로 적용 갭을 제외하고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 제2 접착 스트립이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데,
o 제2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이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과 접촉하고 제1 밀봉 갭을 형성하고,
o 제2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이 제1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과 접촉하고 제2 밀봉 갭을 형성하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제2 접착 스트립의 제3 에지 면이 적용 갭을 가리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가 힘(F)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제1 탄성 접착 스트립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은 압축되고, 이들은 에지 면의 방향으로 팽창하고, 이에 대한 영향으로, 제2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과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제1 밀봉 갭을 밀봉하고, 제2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과 제1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제2 밀봉 갭을 밀봉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와 하우징 외부 사이의 유체 소통을 방지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밀봉은 이제, 접착 스트립으로 한 길이까지 분리되고, 하우징 부재에 자동 방식 및 특정 배열로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100% 자동 적용 및 밀봉을 가능하게 하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열에 의해, 복수의 탄성 접착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수밀성 및 부식 시험을 견디는 폐쇄 링을 연속적인 탄성 접착 테이프, 즉, 다이컷 플랫 시일이 아니라 접착 테이프 롤로부터 풀려서 제거되는 접착 스트립으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은 하우징 시일이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시트로부터 다이컷된 플랫 시일 또는 밀봉 링과 같이 본질적으로 폐쇄된 시일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시일은 어떠한 갭 또는 중단도 갖지 않지만, 대신에 본질적으로 폐쇄된 순환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한히 길고 본질적으로 폐쇄되지 않은 두 탄성 접착 스트립은, 예를 들어, 습기가 하우징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밀봉 효과에 의해 하우징의 폐쇄가 달성되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밀봉 플랜지와 같은 하우징 부재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의 제1 접착 스트립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순환을 형성한다. 순환은 임의의 원하는 프로파일 또는 컨투어(contour)를 나타낼 수 있다. 순환은 적용 갭에 의해 중단되기 때문에 폐쇄되지 않는다. 제1 접착 스트립의 순환은 바람직하게는 평면에 위치하는데, 즉, 제1 접착 스트립은 평면에 놓이는 하우징 부재에 적용, 즉, 접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밀봉 물질은 접착 테이프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탄성 접착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 테이프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미터에 따른 생성물과 같은 고정된 길이로, 또는 코어 상에 권취된 롤(아르키메데스 나선) 또는 코일 형태의 연속 프로덕트로 제공된다.
이하 접착 스트립이 언급되는 경우, 항상 탄성 접착 스트립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착 테이프는 2차원적으로 연장된 필름 또는 필름 부분, 연장된 길이 및 제한된 폭을 갖는 테이프, 테이프 부분 등, 및 마지막으로 또한 다이컷과 같은 모든 시트형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착 테이프는 한 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전형적으로 수 10 m 내지 30 000 m의 진행 길이를 갖는다. 접착 테이프 롤 또는 접착 테이프 코일에 대한 통상적인 폭은 10, 15, 19, 25 및 30 mm이다. 그러나, 다른 진행 길이 및 접착 테이프 폭이 또한 존재하며, 본 발명의 교시로부터 배제되지 않는다. 접착 테이프는 롤의 형태일 수 있고, 다시 말해서 그 자체에 권취된 아르키메데스 나선의 형태일 수 있거나, 스풀 부재 상에 권취되었을 수 있다.
접착 테이프는 표면적으로 연장된 상부면 및 상부면에 대향하는 하부면을 갖는다. 상부면 및 하부면은 접착 테이프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d)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배열되고, 각각은 폭(b)를 갖는다. 접착 테이프의 에지에는 상부면 및 하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 에지 면이 있다. 에지 면의 가상 수직성은 모 롤로부터 다수의 접착 테이프를 분리하는 고정밀 제조 라인에서 모 롤로부터 접착 테이프를 생산한 결과인데, 즉, 모 롤은, 예를 들어, 롤 나이프에 의해 싱귤레이팅된다. 제조 라인의 또 다른 효과는 접착 테이프의 에지 면이 사실상 평면이어서, 접착 테이프의 종방향에서 균일하게 평평하고, 접착 테이프의 폭(b)가 전형적으로 두께(d)보다 크거나 동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에지 면은 높은 표면 품질을 가지며 접착 테이프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대해 이의 기하학적 배열이 정확하다. 종방향은 접착 테이프가 감겨지거나 풀리는 접착 테이프의 방향을 나타낸다. 접착 테이프는 종방향으로 가장 긴 범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착 스트립은 접착 테이프로부터 제거된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일반적인 표현 "접착 스트립"은 2차원적으로 연장된 필름 또는 필름 부분, 연장된 길이 및 제한된 폭을 갖는 테이프, 테이프 부분, 다이컷(diecut) 등과 같이, 한면 또는 양면에 자가-접착적으로 제공된 모든 시트형 구조, 및 또한 상응하는 다층 배열을 포함한다. 전술한 접착 테이프의 기하학적 구조 및 성질은 또한 접착 스트립에 유효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착 스트립이 접착 테이프의 단지 제거된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 스트립의 길이는 항상 접착 테이프의 길이보다 짧다.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이의 제거의 결과로서, 접착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2개의 절단 에지를 갖는다. 절단된 에지는 접착 스트립의 전면을 형성한다. 이들은 전형적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배열을 갖는다. 그러나, 접착제 스트립은 작업자 또는 기계에 의해 사용 중일 때만 종종 제거되기 때문에, 여기서 전면이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비해 높은 표면 품질 및 정확한 기하학적 배열을 가질 것으로 추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배열이 접착 테이프 스트립의 잘 정의된 에지 면만이 서로 접촉하여 밀봉 갭을 형성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술적 효과를 정교하게 고려한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배열, 특히 밀봉을 위한 제2 접착 스트립의 사용은 이에 따라 밀봉 갭을 형성하고 이를 밀봉하는 적용 위치에서 발생하는 절단 에지의 사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또한 자동 적용 작동에서, 접착 스트립의 전면이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하우징 부재에 무한히 가깝게 또는 심지어 접촉하여 적용될 수 없다는 사실을 또한 인지한다. 자동 접착 테이프 어플리케이터, 바람직하게는 로봇-안내식 접착 테이프 어플리케이터는 이들의 전면을 통해 서로 접촉하는 연속 부분으로부터 접착 테이프의 적용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크게 방해하는 제한을 받는다. 본 발명의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적용 갭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적용 문제를 피하고; 이에 따라 전면은 접촉되지 않는다. 접착 스트립은 정의된 적용 갭(IA)가 생성되도록 하우징 부재에 적용된다. 그 결과, 특히, 제1 접착 스트립의 전면의 표면 품질 및 이들의 정확한 기하학적 배열은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밀봉 효과의 달성과 관련하여 무시할 수 있게 된다.
적용 갭의 추가 효과는 단부 부분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예를 들어,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단부 부분의 하부면이 제1 접착 스트립의 제2 단부 부분의 상부면과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적용 헤드에 의한 부정확한 적용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누출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수동으로 또는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에 의해 제1 및 제2 전면이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제1 밀봉 스트립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은 전혀 없다. 이러한 경우에 밀봉 효과를 또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면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 이는 전술한 이점으로 이어진다.
"탄성"은 힘에 노출 시 이의 기하학적 형상을 변화시키고, 노출력이 떨어질 때, 힘 노출 전에 존재하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접착 스트립 또는 접착 테이프의 성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탄성"은 접착 스트립의 부분에서의 선형-탄성 거동 뿐만 아니라 접착 스트립의 부분에서의 비선형 탄성 거동을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접착 스트립이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용어 "탄성"은 또한 점탄성 거동을 포괄한다.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가 힘(F)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제1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은 압축, 즉, 변형되고, 에지 면의 방향으로 팽창하고, 다시 말해서 접착 스트립의 종방향에 대해 횡단한다. 이러한 경우 힘은 표면적으로 작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과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의 전체 접촉 면적에 걸쳐 등분포되고, 다시 말해서,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걸쳐 균일하게, 예를 들어, 국부적이지 않게 분포된다.
에지 면의 방향으로의 접착 스트립의 팽창의 결과로서,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에지 면은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 밀봉 갭을 밀봉한다. 그러한 경우, 하우징 내부와 하우징 외부 사이의 유체 소통이 확실히 막아진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폐쇄되지 않고, 대신에 스트립 형태의 두 유한한 접착 스트립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밀봉 갭은 밀봉의 약한 부분이다. 밝혀진 바와 같이, 접착 스트립의 배열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한편으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밀봉에, 다른 한편으로는 자동 적용의 작동 신뢰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접착 스트립의 성질 및 이들의 층 구성은 또한 이러한 사용에 맞춰져야 한다.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은 감압 접착제를 포함하며, 감압 접착제는 가해지는 압력이 비교적 약할 때에도 거의 모든 기재에 대한 영구 결합을 허용하는 접착제이다. 실온에서, 감압 접착제는 영구적인 점착성을 가지며, 따라서 충분히 낮은 점도 및 높은 접촉-점착성을 가지며, 따라서 가해지는 압력이 낮을 때에도 각각의 결합 기재의 표면을 습윤시킨다. 접착제의 결합력은 이의 접착 성질로부터 얻어지고, 재분리력은 이의 응집 성질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접착제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아크릴레이트에 기반한 접착제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접착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이외에,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학적 또는 기계적 안정화제, 착색 안료, 섬유, 과립, 인광 물질, 의약 활성을 갖는 물질 또는 의약 제품, 자성 또는 자화성 입자와 같은 물질, 또는 접착제의 성질을 컨디셔닝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용어 "접착제"는 또한 감압 접착제를 포괄한다.
"감압 접착제"는 당업자의 일반적인 이해에 따라, 실온에서 경화된 건조 필름이 영구적으로 점착성이고 접착된 상태로 남아 있고, 약하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여러 기재에 결합될 수 있는 점탄성 접착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 하우징 부재들 중 하나의 한 면에서 접착된다는 사실의 결과로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 적용된 부위에 유지된다. 특히, 이는 자가-접착성이 없는 밀봉 링, 밀봉 코드 또는 플랫 시일의 경우에서와 같이 떨어지지 않는다. 얻어지는 취급 이점 뿐만 아니라, 이는 하우징의 개방 및 하우징 부재의 서로로부터 분리에도 불구하고, 재폐쇄 시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배열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밀봉 효과가 회복되는 것을 보장한다.
접착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캐리어 및 그 위에 적용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로 구성된다. 그러나, 캐리어가 없는 접착 테이프가 또한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은 캐리어-비함유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캐리어는 접착제 자체에 의해 형성된다.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접착 스트립의 배열은 하우징을 밀봉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간단하고, 신뢰성 있고, 정밀한 적용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하우징의 개별 하우징 부재의 용이한 분해 및 재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가능한 유리한 전개는 제2 접착 스트립의 종방향이
- 제1 단부 부분의 종향향과 평행하게 진행되고,
- 제2 단부 부분의 종방향에 평행하게 진행되도록
제2 접착 스트립이 제1 접착 스트립에 대향하여 배열된다는 것이다.
제1 단부 부분의 종방향에 대한 제2 접착 스트립의 평행한 배열에 의해, 제2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 및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이 또한 평행한 배열로 존재한다. 따라서, 접촉하고 밀봉 갭을 형성하는 에지 면은 서로 평평하게 놓여 배열된다. 그 결과, 밀봉 시 접착 스트립의 팽창의 결과로 접촉하는 에지 면에 작용하는 힘이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밀봉 갭은 특히 균일한 방식으로 밀봉된다.
이는 또한 제1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과 제2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에 대해 유사하게 적용된다.
접착 테이프의 종방향은 접착 테이프가 전형적으로 풀리는 방향을 지칭한다. 이러한 방향은, 일반적으로 말해서, 접착 테이프의 긴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부분 또는 절단 형상이 접착 영역의 폭보다 짧은 접착 테이프 부분 또는 접착 테이프 절단 형상의 경우, 접착 테이프의 종방향은 부분 또는 절단 형상의 더 짧은 정도에 의해 정의된다. 다이컷 또는 라벨은 또한 부분 또는 절단 형태에 대해서 포함되어야 한다.
평행한 배열의 결과로서, 특히, 에지 면들은 동일 평면에 있는 배열에 있고, 이는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가 힘(F)로 서로에 대해 가압될 때 제1 및 제2 밀봉 갭에서 더 우수한 밀봉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접착 스트립의 적용을 단순화하는데, 그 이유는 적용 작동 동안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이 접촉하는 에지 면의 영역에서 곡률 또는 곡선을 나타내지 않고 선형으로만 이동되기 때문이다. 이의 또 다른 효과는 적용 작동이 더 간단하고 더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고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밀봉 효과가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이 접촉하는 에지 면의 영역에서 곡선을 나타내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배열로도 제1 및 제2 밀봉 갭의 충분한 밀봉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접착 스트립의 구성 또는 층 순서는 복수의 변형예를 포함한다. 탄성 접착 스트립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접착 스트립들은 폴리머 포움 층 및 감압 접착제 층을 포함한다. 폴리머 포움 층의 코팅되지 않은 면은 감압 접착제 층보다 더 약한 박리 접착력을 갖는다. 폴리머 포움 층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가능한 유리한 전개는 제1 및/또는 제2 접착 스트립이 폴리머 포움 층을 포함하고, 폴리머 포움 층의 제1 면이 감압 접착제 층을 갖는 것이다.
폴리머 포움 층,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머 포움 층의 매트릭스 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 모노머, 및 또한, 임의로, 추가로,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 가능한 폴리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모노머 기준이 적어도 50 wt% 정도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구성된 폴리머이고, 여기서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는 해당 폴리머의 전체 모노머 기준으로 적어도 비례하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wt%의 정도로 포함된다.
폴리머 포움 층은 각 경우에 폴리머 포움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총 40 내지 99.9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총 60 내지 98 wt%, 더욱 특히 총 75 내지 95 wt%, 예를 들어, 총 80 내지 90 wt%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단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2개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가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또한 이어지는 본 설명에서, 복수의 표현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이의 의미에 "전체"라는 표현과 마찬가지로, 단일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와 2개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둘 모두의 존재를 포함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 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이다. 블록 코폴리머에서 폴리머 또는 폴리머 블록의 유리 전이 온도는 본 발명에서 동적 주사 열량측정법(DSC)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기술을 위해, 약 5 mg의 미처리된 폴리머 샘플을 알루미늄 도가니(부피 25 μl)에 칭량하고, 천공된 뚜껑으로 닫았다. 측정은 Netzsch로부터의 DSC 204 F1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불활성화를 위해, 절차는 질소 하에 수행하였다. 샘플을 먼저 -150℃로 냉각시킨 다음, 10 K/분의 가열 속도로 +150℃까지 가열하고, -150℃까지 다시 냉각시킨다. 후속 제2 가열 곡선을 10 K/분으로 다시 실행하고, 열용량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유리 전이는 써모그램에서의 단계로 인식하였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비례적으로 공중합된 작용성 모노머,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폭사이드 기와의 반응성으로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모노머를 포함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비례적으로 공중합된 작용성 모노머,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폭사이드 기와의 반응성으로 공유 결합을 형성하는 모노머는 카르복실산 기, 설폰산 기, 포스폰산 기, 하이드록실 기, 산 무수물 기, 에폭사이드 기 및 아미노 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더욱 특히, 이는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산 기를 함유한다. 매우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비례적으로 공중합된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포함한다. 언급된 모든 기는 에폭사이드 기와 반응성을 나타내므로,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도입되는 에폭사이드와의 열 가교에 유리하게 적합하게 한다.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사이드(들)에 의해 및/또는 에폭사이드 기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물질에 의해 가교된다. 에폭사이드 기를 함유하는 물질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작용성 에폭사이드, 즉, 적어도 2개의 에폭사이드 기를 갖는 물질이고; 상응하여, 대체로, 작용기를 갖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빌딩 블록의 간접적인 연결이 존재한다. 에폭사이드 기를 함유하는 물질은 방향족 화합물과 지방족 화합물 둘 모두일 수 있다.
감압 접착제 층은 각 경우에 감압 접착제 층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나 이상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wt%, 더욱 특히 적어도 95 wt%, 예를 들어, 적어도 97 wt%의 정도로 포함한다.
외부 감압 접착제 층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특히 하기로 구성된 모노머 조성에서 이의 기원을 가진다:
70 내지 95 wt%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더욱 특히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1 내지 15 wt%의 아크릴산; 및
0 내지 15 wt%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외부 감압 접착제 층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열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유적으로 및/또는 배위적으로 가교된다. 바람직한 공유 가교제는 에폭시 화합물이고; 바람직한 배위 가교제는 알루미늄 킬레이트이다.
외부 감압 접착제 층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는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2,00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1,500,000 g/mol, 더욱 특히 200,000 내지 1,200,000 g/mol이다. 본 명세서에서 평균 분자량 Mw에 대한 수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에 기초한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가능한 유리한 전개는 폴리머 포움 층 자체가 감압 접착제,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인 감압 접착제,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인 감압 접착제인 것이다. 성질 및 포뮬레이션과 관련하여, 이러한 점에서 폴리머 포움 층,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머 포움 층의 매트릭스 물질에 관한 선행 관찰이 참조될 수 있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결과적으로 아크릴레이트-기반 감압 접착제가 갖는 밀봉의 이점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은 점탄성 성질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은,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제1 및 제2 에지 면의 접촉 시, 제2 접착 스트립의 제1 및 제2 에지 면 상으로 유동한다. 표면의 강한 습윤과 동일시될 수 있는 점탄성 물질에 대해 공지된 유동 중 거동은 밀봉 갭에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밀봉 효과를 개선한다. 또한,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은 -20℃ 내지 + 120℃의 온도 범위에서 매우 우수한 온도 안정성을 가지며,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은 심지어 단기간에 걸쳐 220℃까지의 온도를 견딘다. 또한, 이러한 감압 접착제는 탁월한 저온 충격 내성을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자동차 구성 분야에서 수많은 적용에 매우 중요하다.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의 한 가지 특히 중요한 성질은 이들이 1000% 이상의 파단 신율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는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이 파단 없이 특히 큰 정도까지 신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질은 본 발명의 다분형 하우징 시일에 특히 유리하다. 높은 인열 강도는 또한 유사하지 않은 물질의 열 팽창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밀봉될 하우징 부재는 매우 상이한 열팽창 계수를 갖는 상이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는 ABS 물질(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 및 알루미늄의 하우징 터브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 물질은 알루미늄과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더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갖는다. 또한,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은 탁월한 내노화성, 내습성 및 내화학성을 나타내며, 이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신뢰성 및 수명에 특히 유리하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가능한 유리한 전개는 제1 및/또는 제2 접착 스트립이 추가 감압 접착제 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폴리머 포움 층의 제2 면이 적용된 추가 감압 접착제 층을 지지하고, 제2 면이 제1 면에 대향하는 것이다. 추가 감압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는 감압 접착제 층의 전술한 포뮬레이션 중 하나에 상응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포움 층의 제2 면에 적용된 추가 접착제 층의 박리 접착력은 폴리머 포움 층의 제1 면에 적용된 감압 접착제 층의 박리 접착력보다 약하다. 다시 말해서, 폴리머 포움 층의 한 면은 약하게 접착성이다. 이는 약한 접착성 층의 접착력이 탄성 접착 스트립이 적용되는, 즉, 하우징 부재에 접착되는 층의 접착력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는 폴리머 포움 층에 적용되고 단지 약한 접착 성질을 갖는 감압 접착제 층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또는 제2 하우징 부재는 이후 추가의 접착 층에 더 강하게 부착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의 밀봉 효과를 개선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폴리머 포움 층의 제2 면이 추가의 접착제 층을 갖는다는 사실은 하우징 부재와 폴리머 포움 층 사이에, 즉, 예를 들어,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 상에서 밀봉 효과를 개선한다. 여기서 이는 제1 및 제2 밀봉 갭이 아니라, 하우징 부재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상기 갭에 수직으로 배열된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지칭한다. 이러한 한 면이 약하게 접착성인 경우, 하우징 부재와 접착 스트립 사이의 접촉면(접착 스트립의 상부면, 하부면)에서도 유체 소통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추가의 접착제 층의 약한 접착 형태를 통해, 하우징 부재가 분할되어 서로 분리될 때 더 큰 박리 접착력을 갖는 감압 접착제 층과 접촉하는 하우징 부재 상에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 완전히 남아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착 스트립의 한 면이 충분히 낮은 박리 접착력을 갖는 경우,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는 조립된 후 공정에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지도 않게 하면서 다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 다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하고 시일의 추가 적용 또는 배열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시간을 절약한다. 이 때문에, 하우징에 위치한 구성요소의 수리, 교체 또는 수정을 수행하기 위해 문제 없이 하우징을 다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가능한 유리한 전개는, 제1 면에 대향하는 폴리머 포움 층의 제2 면이 열가소성 필름을 갖거나, 열가소성 필름이 추가 감압 접착제 층 상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열가소성 필름은 매우 최소의 접착 성질을 갖거나 전혀 갖지 않으므로, 폴리머 포움 층의 제2 면 상에 열가소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착 스트립의 임의의 가능한 있는 구성에서, 제2 또는 제1 하우징 부재는 잔여물 없이 분리될 수 있고 부착력이 없을 수 있다. 접착 스트립의 한 면이 매우 낮은 박리 접착력을 갖거나 전혀 갖지 않는 경우(비-접착성),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는 이들이 조립된 후,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 파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손상되지도 않게 하면서 다시 분할될 수 있다. 이어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이 다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지속 가능하고 시일의 추가 적용 또는 배열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시간을 절약한다. 결과적으로, 하우징에 위치한 구성요소의 수리, 교체 또는 수정을 수행하기 위해 문제 없이 하우징을 다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열가소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E-O 또는 TPO), 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POP);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엘라스토머(TPE-S 또는 TPS), 보다 구체적으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E-U 또는 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코폴리에스테르(TPE-E 또는 TPC); 열가소성 코폴리아미드(TPE-A 또는 TPA); 및 열가소성 가황물 및 또한 가교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TPE-V 또는 TPV)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필름은 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TPE-O 또는 TPO), 보다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및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POP); 열가소성 폴리스티렌 엘라스토머(TPE-S 또는 TPS), 보다 구체적으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TPE-U 또는 TPU);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및 코폴리에스테르(TPE-E 또는 TPC); 열가소성 코폴리아미드(TPE-A 또는 TPA); 및 열가소성 가황물 및 또한 가교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TPE-V 또는 TPV)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폴리머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 스트립 및 제2 접착 스트립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d), 특히, 0.1 mm +/- 0.02 mm 내지 8.0 mm +/- 0.2 mm의 두께(d),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 +/- 0.2 mm 내지 3.0 mm +/- 0.2 mm의 두께(d)를 갖는다.
제1 및 제2 밀봉 스트립의 동일한 두께(d)에 의해서, 제1 및 제2 밀봉 갭을 형성하는 에지 면은 동일한 크기, 또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이고, 이에 따라 에지 면은 결국 이들의 상부면에서, 즉,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 상에, 및 이들의 하부면 상에서, 즉, 접착 스트립의 하부면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경우에, 에지 또는 갭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밀봉 갭의 밀봉, 및 하우징 부재와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 사이에서의 밀봉을 개선한다.
두께(d)가 0.1 mm 미만인 경우, 접착 스트립은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서 함께 가압될 때 너무 크게 압축될 수 있고, 인열되어, 하우징 시일이 더 이상 밀봉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두께(d)가 8.0 mm 초과인 경우, 이는 접착 스트립이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서 함께 가압될 때 매우 크게 팽창하고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서 팽윤될 수 있는 경우일 수 있다.
따라서, 1.5 mm 내지 3.0 mm의 두께(d)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두께를 갖는 접착 스트립은 함께 가압될 때 힘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지만, 또한 하우징 부재 사이에서 팽윤되지 않는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유리하게는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인 제2 접착 스트립에 의해 유리하게 전개될 수 있다.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은 다이컷팅 작업에 의해 특정 기하학적 형상이 되는 접착 스트립을 지칭한다. 기하학적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배열에 맞춰 조정된다. 특히, 제1 접착 스트립 및 다이컷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에지 면은 접선으로 접촉하여, 제1 및 제2 밀봉 갭이 형성된다. 다이컷의 성질 및 바람직한 층 구성은 접착 스트립에 대해 상기 기재된 성질 및 층 구성에 상응한다.
다이컷은 복잡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특히, 접착 테이프 롤로부터 제거되는 접착 스트립으로 가능한 종류의 다른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다이컷의 사용을 통해,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폐쇄된 외부 컨투어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폐쇄된 외부 컨투어는 이후 또한 하우징 부재와 함께 최종 에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가 힘(F)으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제1 접착 스트립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두께(d)는 10%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만큼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충분한 팽창을 달성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밀봉 갭이 밀봉된다. 두께(d) 및 힘(F)의 감소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있다.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에 작용하는 힘(F)가 클수록,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두께(d)는 더 크게 감소한다. 두께(d)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로 감소된다.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크고 접착 스트립의 충분한 팽창이 발생하여 제1 및 제2 밀봉 갭이 밀봉되기 때문에 적어도 10%의 감소가 달성된다.
그러나, 두께의 감소는 또한 너무 크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이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서 함께 가압될 때 매우 크게 팽창할 수 있고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서 팽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접착 스트립이 손상될 수 있다. 특히, 과도한 압축, 즉, 두께(d)의 감소는 하나의 감압 접착제 층으로부터 폴리머 포움 층의 박리, 또는 이에 따른 누출 가능성이 있으면서 열가소성 필름으로부터 폴리머 포움 층의 박리에 이를 수 있다.
30% 내지 50%의 두께(d)의 감소는 아크릴레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발포된 폴리머 포움 층을 포함하는 접착 스트립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우수한 밀봉 효과가 보장되고 접착 스트립의 손상이 방지된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유리하게는 제2 접착 스트립의 길이(l)가 적어도 적용 갭의 길이(lA)에 제1 접착 스트립의 폭(b)의 2배를 더한 값에 이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적용 갭의 길이(lA)에 제1 접착 스트립의 폭(b)의 5배를 더한 값에 이르는 것으로 전개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하는 에지 면이 신뢰성 있는 밀봉을 보장하는 크기로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 사이에 생성된다.
목적은 이의 제2 양태에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은
a) 제1 하우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에 의해 제1 탄성 접착 스트립을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제1의 미리 결정된 컨투어를 따라 적용하되,
제1 컨투어를 이동하는 동시에 접착 스트립 롤로부터 접착 스트립 물질을 풀고 프레싱-온(pressing-on)하고,
적용 헤드에 의해 이동된 제1 컨투어의 단부에서 접착 스트립 물질을 제거하고,
제1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을 적용 갭이 존재하도록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증착시킴으로써 적용하는 단계로서,
제1의 제거된 밀봉 스트립 물질의 제1 전면 및 제1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의 제2 전면이 서로 대향하여 적용 헤드에 의해 배열되고 적용 갭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단계, 및
c)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제2의 미리 결정된 컨투어를 따라 로봇-안내식 적용에 의해 제2 탄성 접착 스트립을 적용하되,
제2 컨투어를 이동하는 동시에 접착 스트립 롤로부터 접착 스트립 물질을 풀고 접착 스트립 물질을 프레싱-온하고,
적용 헤드에 의해 이동된 제2 컨투어의 단부에서 접착 스트립 물질을 제거하고,
제2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을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증착시킴으로써 적용하는 단계로서,
제2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은 로봇-안내식 적용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적용되고,
이에 따라, 제2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은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에지 면과 접촉하고 제1 밀봉 갭을 형성하고,
제2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은 제1 접착 스트립의 제2 에지 면과 접촉하고 제2 밀봉 갭을 형성하고,
제2 접착 스트립의 제3 에지 면은 적용 갭을 가리는 단계를 포함한다.
첫째로, 다분형 하우징 배열의 접착 스트립의 특정 배열은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에 의한 자동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로,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에 의한 연속 프로덕트의 적용은 하우징 시일이 다분형 형태로 설계된다는 사실에 의해서만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시일의 배열은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에 의한 이의 적용과 관련하여 특정 이점을 갖는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은 상기 문맥에 나타낸 특성 및 이점을 가지므로, 이러한 점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용어 "컨투어"는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에 대한 미리 결정된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로봇은 임의의 다축, 적어도 이축 로봇이다. 가장 간단하게는, 이는 플로터 또는 갠트리 로봇이다. 그러나, SCARA 또는 5-축 및 다축 산업용 로봇은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 용어 "로봇"에 포괄된다.
적용 헤드는 접착 테이프가 롤로부터 풀릴 수 있고 접착 테이프의 풀린 부분이 제거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적용 헤드는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방법은 유리하게는 먼저 제1 접착 스트립이 제1 하우징 부재에 적용된 다음 제2 접착 스트립이 제1 하우징 부재에 적용됨으로써 전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먼저 제1 접착 스트립에 의해 적용 갭이 형성된다. 그 다음, 제2 접착 스트립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 부분의 에지 면, 및 밀봉되는 적용 갭 상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는 적용 갭의 정확한 위치 및/또는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를 제2 접착 스트립이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과 거의 동일한 정도로 접촉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밀봉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그러나, 방법은 또한 먼저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이 제1 하우징 부재에 적용된 후 제1 접착 스트립이 적용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본 방법의 가능한 유리한 전개는, 제2 접착 스트립의 에지 면의 일부와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또는 제2 에지 면의 일부가 접촉되도록 단계 c)에서 적용 전에 적용 헤드가 이동되는 것이다. 접착 스트립의 에지 면은 제2 접착 스트립이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배치되기 전에 이미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접착 스트립은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제2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이 증착될 때 제1 접착 스트립의 에지 면을 밀접하게 따를 수 있다. 그 결과, 밀봉 효과를 보다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적용하는 작동은 더욱 신뢰성 있게 되며, 누출 위험이 감소된다.
또한, 제2 접착 스트립이 증착될 때 "정확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의 배향 및 위치결정에 관한 요건이 감소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은 이들의 종방향으로 중첩되는, 다시 말해서,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간격을 가져서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증착 후 제1 접착 스트립과 제2 접착 스트립 사이에 갭 또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방법의 가능한 유리한 전개는 제2 접착 스트립이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의 형태로 제공되고 적용 헤드가 이러한 다이컷을 제1 하우징 부재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의 에지 면이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및 제2 에지 면과 접촉하게 되고 제1 및 제2 밀봉 갭이 형성되고,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의 제3 에지 면이 적용 갭을 가리는 것이다.
다이컷의 사용과 관련된 특성 및 이점과 관련하여 상기 관찰이 참조될 수 있다.
시험 방법
분자량을 결정하기 위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본 명세서에서 분자량에 대한 수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측정에 기초한다. 정화 여과(샘플 농도 4 g/l)를 거친 100 μl의 샘플에 대해 결정이 이루어진다. 사용된 용리제는 0.1 부피%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갖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다. 측정은 25℃에서 이루어진다. 사용된 예비컬럼은 유형 PSS-SDV, 5 μ, 103 Å, ID 8.0 mm × 50 mm의 컬럼이다. 분리는 유형 PSS-SDV, 5 μ, 103 Å 및 또한 105 Å 및 106 Å, 각각 ID 8.0 mm × 300 mm (Polymer Standards Service로부터의 컬럼; 시차 굴절계 Shodex RI71을 사용한 검출)의 컬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유량은 분당 1.0 ml이다. 보정은 PMMA 표준에 대해 수행된다(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보정).
밀봉 시험:
본 발명의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1 정사각형 금속판(외부 치수 80 mm × 80 mm × 5 mm)에 부착시켰다. 여기서 접착 스트립은 정사각형 형태의 폐쇄된 정사각형 컨투어를 형성하도록 배열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 접착 스트립을 제1 접착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순환 외부에 배열하였다. 제2 접착 스트립은 폐쇄된 외부 컨투어가 형성되도록 적용 갭을 커버링하였다. 제1 접착 스트립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의 제1 및 제2 에지 면을 제2 접착 스트립의 제1 및 제2 에지 면과 접촉시켰다. 이어서, 물과의 접촉 시 뚜렷한 보라색으로 착색되는 페이스트(KMnO4)를 정사각형 내부에 적용하였다. 이후, 동일한 금속판을 구성물 위에 놓고 나사로 고정하였다. 나사는 접착 스트립으로 구성된 정사각형의 외부에 위치하였고; 따라서, 정사각형의 내부 또는 접착 스트립들 자체를 통과하지 않았다. 금속판 사이의 거리는 각각 1 mm 두께의 2개의 심에 의해 정확히 2 mm로 조정되었다. 이러한 구성물은 수-반응성 페이스트가 접착 스트립들 내의 폐쇄 공간(하우징 내부)에 있도록 보장하였다. 물의 임의의 침투는 색 변화로부터 분명해질 것이고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누출을 나타낼 것이다.
이후, 전체 샘플을 수조에 넣고, 이어서 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었다. 처음에 0.3 bar의 약간의 초대기압을 가하였고; 두 번째 시험에서, 3 bar의 초대기압으로 이후 30 m의 수주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수중에서 30 분 동안 오토클레이브에 저장한 후, 압력을 낮추고, 어셈블리를 제거하고, KMnO4의 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색 변화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투수성을 지시하고; 색 변화 없음은 물에 대한 밀봉을 지시한다(결과 "투수성 예/아니오").
결합된 기재의 재개방성(결합된 배터리 커버의 재개방 시뮬레이션):
접착 스트립의 보다 강하게 접착되는 면(접착 스트립의 하부면)을 사용하여, 적용 갭을 제외하고 모든 라운드에 1회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판 에지로부터 30 mm의 거리로 알루미늄 판(450 × 250 mm, 2.5 mm 두께)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경우, 5 mm의 길이(IA)를 갖는 적용 갭이 제공되었다. 동일한 치수를 갖는 추가 알루미늄 판(450 × 250 mm, 1 mm 두께)을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에 적용하였다. 금속판 사이의 거리를 각각 1 mm 두께의 2개의 심에 의해 정확히 2 mm로 조정하고, 접합부를 형성하였다. 이후, 나사 클램프를 사용하여 어셈블리를 함께 가압하였다. 이후 알루미늄 판을 판의 모서리에 이러한 목적으로 존재하는 구멍을 사용하여 함께 나사로 조였다.
생성된 어셈블리를 40℃ 및 100% 상대 습도의 컨디셔닝 챔버에 10일 동안 저장하였다. 제거 시, 이를 23℃ 및 50% 상대 습도에서 24h 동안 다시 컨디셔닝하였다.
이후, 나사 및 심을 제거하고, 시험기(Zwick)에 연결된 인장 벨트를 더 짧은 면 중 하나의 접합부에 삽입하였다. 상부 판(1 mm 두께)을 300 mm/분의 속도 및 90°의 각도로 다분형 하우징 시일로부터 잡아당겼고, 이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최대 힘을 기록하였다. 표 1은 3회 측정으로부터의 평균을 보고한 것이다.
하기 접착 테이프로부터 고정된 길이를 제거함으로써 접착 스트립을 제공하였다:
A - tesa® 61102(폐쇄-셀 EPDM 고무 포움, 한 면이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코팅됨, 총 두께 3200 μm; tesa)
B - tesa® ACXplus 70730 고저항(양면 아크릴레이트 발포 테이프, 양면이 감압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코팅됨, 총 두께 2900 μm; tesa),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한 면에 적층됨(Platilon® U04/PE, 30 μm; 바이엘)
C - tesa® ACXplus 70730 고저항, 감압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는 한 면에만 적용되어 아크릴레이트 포움이 한 면에 노출되었음(B 참조, 총 두께 2850 μm; tesa)
D - tesa® 92111 HiP - 높은 초기 성능, (자체 결합 3×, 총 두께 3300 μm; tesa); 한 면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적층됨(Platilon® U04/PE, 30 μm; Bayer)
E - tesa® ACXplus 70730 고저항(이중면 아크릴레이트 발포 테이프, 양면이 감압 아크릴레이트 접착제로 코팅됨, 총 두께 2900 μm; tesa); 비교예
표 1: 시험 결과
Figure pct00001
본 발명은 9개의 도면에서 다양한 예시적인 구현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이들은 다음을 보여준다:
도 1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개략도
도 2 a) - d)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거치는 섹션
도 3 접착 스트립의 측면 및 방향의 정의
도 4 접착 스트립의 측면 및 방향의 정의
도 5 제1 변형예에서 탄성 접착 스트립의 층 구성
도 6 제2 변형예에서 탄성 접착 스트립의 층 구성
도 7 제3 변형예에서 탄성 접착 스트립의 층 구성
도 8 a) - d)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배열의 변형예
도 9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갖는 하우징의 예시적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하우징 시일(100)의 배열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 접착 스트립(110)은 제1 하우징 부재(1)(미도시)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1 접착 스트립은 거의 폐쇄된 순환을 형성한다. 순환은 적용 갭(150)에 의해 중단되면서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다.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제1 및 제2 전면(112, 115)은 이들이 서로 대향하여 있지만 접촉하지 않아서 적용 갭(150)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적용 갭(150)의 결과로서,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미도시)에 의해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이 하우징 부재(1) 상에 더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측면에서, 적용 갭(150)은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3 에지 면(123)에 의해 커버링, 즉, 폐쇄된다.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110, 120)은 동일한 평면에 놓여 있다. 제1 단부 부분(111)에서, 제1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접착 스트립(120)은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제1 에지 면(113) 및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1 에지 면(121)을 통해 접촉하고, 제1 밀봉 갭(10)을 형성한다. 제2 단부 부분(114)에서, 제1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접착 스트립(120)은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제2 에지 면(116) 및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2 에지 면(122)을 통해 접촉하고, 제2 밀봉 갭(20)을 형성한다.
도 2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통한 두 섹션을 나타낸 것이다. 섹션들은 평면 AA'(도 2의 a) 및 b)) 및 평면 BB'(도 2의 c) 및 d))에 있다. 섹션 평면들의 위치는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서, 섹션은 제2 단부 부분(114)의 영역에서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20)을 통한 섹션 평면 AA'로 표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110, 120)은 감압 접착제 층(51)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1) 상에 접착된다. 도 2의 a)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 즉, 적용 헤드에 의한 적용 과정 후의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2 하우징 부재(2)는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버전에서 접착 스트립들의 상부면은 접착 스트립(110, 120)의 폴리머 포움 층(50)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10, 120)은 에지 면(116 및 122)에 의해 서로 접촉하거나, 이들 면은 적어도 대향하고 서로 부분적으로만 접촉하거나, 전혀 접촉하지 않는다. 제2 밀봉 갭(20)은 에지 면(116, 122)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 2)는 접착 스트립의 두께(d)만큼 서로 떨어져 있다.
제1 단부 부분(111)과 에지 면(113, 121) 및 또한 밀봉 갭(10)을 통한 섹션 평면은 상응하는 구성으로 상황이 동일하고 도 2의 a)의 도면이 이러한 섹션에 대해서도 유효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2의 b)는 도 2의 a)와 동일한 섹션 평면 AA'를 나타내며, 차이점은 힘(F)가 하우징 부재(1 및 2)에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10 및 120)은 압축되고, 하우징 부재(1 및 2)의 간격은 간격 d'로 감소된다(d > d'). 특히,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의 폴리머 포움 층(50)은 압축되고 이의 물질은 작아진다. 힘(F)에 대한 노출은 제1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10, 120)의 폴리머 포움 층(50)이 에지 면의 방향으로 팽창하게 한다. 이는 에지 면의 벌징으로 지시된다. 제1 및 제2 에지 면(116, 122)은 이러한 에지 면이 이미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팽창하거나 벌징하는 능력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 팽창은 대신에 제1 및 제2 에지 면(116, 122)에 힘 및 반대 힘이 작용하게 하여, 제1 및 제2 에지 면(116 및 122)을 서로에 대해 가압하고 이들이 밀봉 갭(20)을 밀봉하게 한다.
제1 단부 부분(111)과 에지 면(113, 121) 및 또한 밀봉 갭(10)을 통한 섹션 평면은 상응하는 구성으로 상황이 동일하고 도 2의 b)의 도면이 이러한 섹션에 대해서도 유효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2의 c)에서 섹션은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111, 114)을 통한 섹션 평면 BB'에서 도시된다. 제1 접착 스트립(110)은 감압 접착제 층(51)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1) 상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도 2의 c)는 적용 과정 후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욱이, 제2 하우징 부재(2)는 제1 탄성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접착 스트립의 이러한 버전에서 상부면은 접착 스트립의 폴리머 포움 층(50)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적용 갭(150)은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의 제1 및 제2 단부 부분(111, 114) 사이에 형성된다. 적용 갭은 길이(1A)를 갖는다.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 2)는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미도시)의 두께(d)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도 2의 d)는 도 2의 c)에서 동일한 섹션 평면 BB'를 나타낸 것이고, 차이점은 힘(F)가 하우징 요소(1 및 2) 상에 작용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이 압축되고, 하우징 부재(1 및 2) 사이의 거리는 거리(d')로 감소된다(d > d'). 특히,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의 폴리머 포움 층(50)은 압축되고, 이의 물질은 작아진다. 힘(F)로의 힘 노출의 결과로,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의 폴리머 포움 층(50)은 에지 면의 방향으로 팽창한다. 이는 적용 갭(150)에서 제1 전면(112) 및 제2 전면(115)의 벌징에 의해 지시된다. 전면은 마찬가지로 에지 면이다. 결과적으로, 적용 갭의 길이는 길이 1A'로 감소된다(1A > 1A'). 도 2의 d)에서, 제1 및 제2 전면(112 및 115)는 제1 접착 스트립의 압축 후에 접촉되지 않는다(1A ≠ 0). 그러나, 또한 제1 탄성 접착 스트립은 전면(112 및 115)이 접촉하여 제3 밀봉 갭을 형성하고 밀봉하는 정도까지 팽창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적용 갭(150)은 작아야 하고, 힘에 노출될 때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에 의해 경험되는 팽창에 대략적으로 상응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접착 스트립(110, 120, 130) 및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의 측면 및 방향이 도 3에 나타나 있다. 접착 스트립의 상부면(41)은 전면(42) 및 에지 면(43)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접착 스트립의 종방향은 접착 스트립의 길이(l)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착 스트립의 횡방향(31)에 수직이다. 에지 면(43)의 일부는 접착 스트립의 압축 시 탄성 접착 스트립이 횡방향의 방향으로 팽창할 때 밀봉 갭(10 및 20)(미도시)을 형성한다. 접착 스트립은 두께(d), 폭(b) 및 길이(l)을 갖는다.
도 4는 접착 스트립의 전면(42, 112, 115)의 전면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접착 스트립의 전면은 접착 테이프로부터의 제거에 의해 생성된다. 하부면(44)은 상부면(41)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도 5는 탄성 접착 스트립(110, 120, 130) 또는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의 제1 바람직한 층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폴리머 포움 층(50)은 하부면 상에 감압 접착제 층(51)을 갖는다. 폴리머 포움 층은 두께(k)를 갖고, 전체 접착 스트립 또는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은 두께(d)를 갖는다.
도 6은 탄성 접착 스트립(110, 120, 130) 또는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의 제2 바람직한 층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와 같이, 폴리머 포움 층(50)은 하부면 상에 감압 접착제 층(51)을 갖는다. 폴리머 포움 층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인 상부면에,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이 존재한다.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의 박리 접착력은 감압 접착제 층(51)의 박리 접착력보다 작다. 폴리머 포움 층(50)은 두께(k)를 갖고, 전체 접착 스트립(110, 120, 130) 또는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은 두께(d)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제2 변형예의 경우,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이 생성되고, 여기서 박리 접착력은 접착 스트립(110, 12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비대칭이다.
도 7은 탄성 접착 스트립(110, 120, 130) 또는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의 제3 바람직한 층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6에서와 같이, 폴리머 포움 층(50)은 하부면 상에 감압 접착제 층(51)을 갖는다. 폴리머 포움 층의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인 상부면에,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이 존재한다.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의 박리 접착력은 감압 접착제 층(51)의 박리 접착력보다 작거나, 같거나, 클 수 있다.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 상에 열가소성 필름(53)이 적용된다. 폴리머 포움 층은 두께(k)를 갖고, 전체 접착 스트립 또는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은 두께(d)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제3 변형예의 경우, 단면 비접착 성질을 갖는 하우징 시일(100)이 생성된다.
도 8의 a) 내지 d)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의 4개의 바람직한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제1 접착 스트립(110)의 프로파일은 예로서 선택되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적인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실제 프로파일, 즉, 제1 접착 스트립이 적용되는 컨투어는 임의의 원하는 다른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접착 스트립의 전면만이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될 것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a)에서 제2 접착 스트립은 제1 접착 스트립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내에 배열된다. 이는 제2 탄성 접착 스트립이 제3 에지 면(123)을 통해서만 하우징의 외부와 유체 소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열은 적용 갭(150)에 의해서만 중단되는 선형 주위 외부 에지가 존재하는 이점을 갖는다. 제2 접착 스트립(120)은, "내부로부터"(하우징 내부) 제1 접착 스트립(110)의 단부 부분의 이격된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적용 갭(150)을 밀봉한다. 힘(F)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 2)(미도시)에 작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밀봉 갭(10, 20)은 밀봉된다.
도 8의 b)는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제1 접착 스트립(110)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 외부에 배열되고 적용 갭(150)이 "외부로부터"(하우징 외부)를 밀봉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을 나타낸 것이다. 힘(F)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 2)(미도시)에 작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밀봉 갭(10, 20)은 밀봉된다.
도 8의 c)는 도 8의 a) 및 도 8의 b)로부터의 변형예의 조합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b)로부터 출발하여, 추가 탄성 접착 스트립(130)(제3 탄성 접착 스트립)은 제1 접착 스트립에 의해 형성된 순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E또한 마찬가지로 자동 방식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하우징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미도시). 여기서 제3 접착 스트립은 바람직하게는 제2 접착 스트립의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갖는다.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의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두 개의 추가 밀봉 갭, 즉, 제3 밀봉 갭(11) 및 제 4 밀봉 갭(21)이 형성되고, 적용 갭이 추가적으로 또한 "내부로부터"(하우징 내부) 밀봉한다는 것이다. 힘(F)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 2)(미도시)에 작용하는 경우, 제1, 제2, 제3 및 제4 밀봉 갭(10, 20, 11, 21)은 밀봉된다. 밀봉은 추가 밀봉 갭(11, 21)의 결과로 더욱 신뢰성 있게 될 수 있다.
도 8의 d)는 도 8의 b) 또는 도 8의 c)와 대조적으로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에 의해 형성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을 나타낸 것이다. 형상화는 순전히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은 제1 접착 스트립(110)에 의해 형성된 순환 외부에 배열되며, 적용 갭(150)은 "외부로부터"(하우징 외부) 다이컷(150)에 의해 밀봉된다. 제1 및 제2 밀봉 갭(10, 20)은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 및 2) 상의 힘(F)의 작용으로 밀봉된다. 다이컷의 이점은 미리 결정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이컷은 정밀 절단 가공 기계로 제작되므로 에지 면이 균일하게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우수한 밀봉 효과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배열은, 또한 적용 갭(150)에 의해 중단되지 않는 선형의 주위 외부 에지가 존재하는 이점을 갖는다(도 1 비교).
도 9는 예로서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의 사용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10 및 120)은 제1 하우징 부재(1) 상에 적용된다. 여기서, 제1 하우징 부재(1)는 하우징 터브이다. 제2 하우징 부재(2)는, 예를 들어, 나사, 걸쇠 또는 리벳과 같은 연결 부재(3)에 의해 하우징 터브에 연결되어,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에서 힘(F)가 작용하고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110, 120)이 압축되는 커버이다. 이러한 종류의 하우징은,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용 보호 하우징일 수 있다.
참조 부호 목록
1 제1 하우징 부재
2 제2 하우징 부재
3 연결 부재
10 제1 밀봉 갭
11 제3 밀봉 갭
20 제2 밀봉 갭
21 제4 밀봉 갭
30 종방향
31 횡방향
41 상부면
42 전면
43 에지 면
44 하부면
50 폴리머 포움 층
51 감압 접착제 층
52 추가 감압 접착제 층(약하게 접착하는 층)
53 열가소성 필름
100 다분형 하우징 시일
110 제1 탄성 접착 스트립
111 제1 단부 부분
112 제1 전면
113 제1 에지 면(제1 접착 스트립)
114 제2 단부 부분
115 제2 전면
116 제2 에지 면(제1 접착 스트립)
120 제2 탄성 접착 스트립
121 제1 에지 면(제2 접착 스트립)
122 제2 에지 면(제2 접착 스트립)
123 제3 에지 면(제2 접착 스트립)
130 제3 탄성 접착 스트립
140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
150 적용 갭

Claims (16)

  1.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20, 130)을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하우징 내부를 밀봉하기 위한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로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10, 120, 130)이 제1 하우징 부재와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고,
    - 상기 제1 접착 스트립(110)이 제1 전면(112) 및 제1 에지 면(113)을 갖는 제1 단부 부분(111), 및 제2 전면(115) 및 제2 에지 면(116)을 갖는 제2 단부 부분(11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데,
    o 상기 제1 전면(112) 및 상기 제2 전면(115)이 서로 대향하여 배열되고, 적용 갭(150)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o 상기 제1 및 제2 에지 면(113, 116)이 실질적으로 평면에 놓여 있고,
    o 상기 제1 접착 스트립(110)이 폐쇄 순환으로 상기 적용 갭(150)을 제외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 130)이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데,
    o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1 에지 면(121)이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상기 제1 에지 면(113)과 접촉하고 제1 밀봉 갭(10)을 형성하고,
    o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2 에지 면(112)이 상기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상기 제2 에지 면(116)과 접촉하고 제2 밀봉 갭(20)을 형성하고,
    o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3 에지 면(123)이 상기 적용 갭(150)을 가리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2 하우징 부재가 힘(F)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 및 상기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20)은 압축되고, 이들은 상기 에지 면(113, 121, 116, 122)의 방향으로 팽창하고, 이에 대한 영향으로,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상기 제1 에지 면(121)과 상기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상기 제1 에지 면(113)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제1 밀봉 갭(10)을 밀봉하고,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상기 제2 에지 면(122)과 상기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상기 제2 에지 면(116)이 서로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제2 밀봉 갭(20)을 밀봉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부와 상기 하우징 외부 사이의 유체 소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접착 스트립(120)은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종방향이
    - 제1 단부 부분(111)의 종방향(30)과 평행하게 진행되고,
    - 제2 단부 부분(114)의 종방향(30)과 평행하게 진행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제1 접착 스트립(110)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접착 스트립(110, 120)이 폴리머 포움 층(50)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머 포움 층(50)의 제1 면(44)이 감압 접착제 층(5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4. 제3항에 있어서, 폴리머 포움 층(50) 자체가 감압 접착제,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레이트-기반 폴리머 포움인 감압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접착 스트립(110, 120)이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을 포함하고, 폴리머 포움 층(50)의 제2 면(41)이 상기 적용되는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을 지지하고, 상기 제2 면(41)이 제1 면(44)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면(44)에 대향하는 폴리머 포움 층(50)의 제2 면(41)이 열가소성 필름(53)을 갖거나, 추가 감압 접착제 층(52)이 적용된 열가소성 필름(53)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d)를 갖고, 더욱 특히, 0.1 mm +/- 0.02 mm 내지 8.0 mm +/- 0.2 mm의 두께(d)를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mm +/- 0.2 mm 내지 3.0 mm +/- 0.2 mm의 두께(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접착 스트립(110) 및/또는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접착 테이프이고, 더욱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접착 스트립이 실질적으로 자가 접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더욱 특히 실질적으로 아크릴레이트-기반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1) 및 제2 하우징 부재(2)가 힘(F)로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경우, 제1 접착 스트립(110) 및 제2 접착 스트립(120)의 두께(d)가 10% 내지 60% 감소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접착 스트립(120)의 길이(l)가 적어도 적용 갭(150)의 길이(lA)에 제1 접착 스트립(110)의 폭(b)의 2배를 더한 값에 이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적용 갭(150)의 길이(lA)에 제1 접착 스트립의 폭(b)의 5배를 더한 값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12. - 제1 하우징 부재(1),
    - 제2 하우징 부재(2), 및
    -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상기 제2 하우징 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
    을 포함하는, 하우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분형 하우징 시일(100)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제1 하우징 부재(1)를 제공하는 단계,
    b) 로봇-안내식 적용 헤드에 의해 제1 탄성 접착 스트립(110)을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 상에 제1의 미리 결정된 컨투어(contour)를 따라 적용하되,
    - 상기 제1 컨투어를 이동하는 동시에 접착 스트립 롤로부터 접착 스트립 물질을 풀고 프레싱-온(pressing-on)하고,
    - 상기 적용 헤드에 의해 상기 이동된 제1 컨투어의 단부에서 상기 접착 스트립 물질을 제거하고,
    - 제거된 상기 제1 접착 스트립 물질을 적용 갭(150)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증착시킴으로써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의 제거된 밀봉 스트립 물질의 제1 전면(112) 및 상기 제1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의 제2 전면(115)이 서로 대향하여 상기 적용 헤드에 의해 배열되고 상기 적용 갭(15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 상에 제2의 미리 결정된 컨투어를 따라 상기 로봇-안내식 적용에 의해 제2 탄성 접착 스트립(120)을 적용하되,
    - 상기 제2 컨투어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접착 스트립 롤로부터 상기 접착 스트립 물질을 풀고 상기 접착 스트립 물질을 프레싱-온하고,
    - 상기 적용 헤드에 의해 상기 이동된 제2 컨투어의 단부에서 상기 접착 스트립 물질을 제거하고,
    - 상기 제2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을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 상에 증착시킴으로써 적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의 제거된 접착 스트립 물질이 상기 로봇-안내식 적용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 상에 적용되고, 이에 따라,
    -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1 에지 면(121)이 상기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제1 에지 면(113)과 접촉하고 제1 밀봉 갭(10)을 형성하고,
    -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2 에지 면(122)이 상기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제2 에지 면(116)과 접촉하고 제2 밀봉 갭(20)을 형성하고,
    - 상기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제3 에지 면(123)이 상기 적용 갭(150)을 가리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 접착 스트립(110)이 제1 하우징 부재(1)에 적용된 후,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제1 하우징 부재(1)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단계 c)에서 적용 전 적용 헤드가 제2 접착 스트립(120)의 에지 면(121, 122)의 일부와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제1 또는 제2 에지 면(113, 116)의 일부가 접촉되도록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접착 스트립(120)이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의 형태로 제공되고 적용 헤드가 이러한 다이컷(140)을 제1 하우징 부재(1)에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의 에지 면(121, 122)이 제1 접착 스트립(110)의 제1 및 제2 에지 면(113, 116)과 접촉하게 되고 제1 및 제2 밀봉 갭(10, 20)이 형성되고, 상기 자가 접착 탄성 다이컷(140)의 제3 에지 면(123)이 적용 갭(150)을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7027879A 2020-01-15 2021-01-13 다분형 하우징 시일,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KR20220125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200450.1 2020-01-15
DE102020200450.1A DE102020200450B4 (de) 2020-01-15 2020-01-15 Mehrteilige Gehäusedichtung,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Applizieren einer mehrteiligen Gehäusedichtung sowie Gehäuse umfassend eine mehrteilige Gehäusedichtung
PCT/EP2021/050583 WO2021144305A1 (de) 2020-01-15 2021-01-13 Mehrteilige gehäusedichtung, verfahren zum automatisierten applizieren einer mehrteiligen gehäusedichtung sowie gehäuse umfassend eine mehrteilige gehäused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351A true KR20220125351A (ko) 2022-09-14

Family

ID=7418727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880A KR20220125352A (ko) 2020-01-15 2021-01-13 하우징 시일,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KR1020227027879A KR20220125351A (ko) 2020-01-15 2021-01-13 다분형 하우징 시일,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880A KR20220125352A (ko) 2020-01-15 2021-01-13 하우징 시일,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13551B2 (ko)
EP (2) EP4090866A1 (ko)
KR (2) KR20220125352A (ko)
CN (2) CN114945763A (ko)
DE (1) DE102020200450B4 (ko)
WO (2) WO2021144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05238B3 (de) 2023-03-03 2024-03-28 Tesa Se Applikationsvorrichtung für die Applikation von bahnförmigen Klebeelement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06710U1 (ko) 1991-05-31 1991-11-21 Eilenburger Chemie-Werk Gmbh, O-7280 Eilenburg, De
DE10108673A1 (de) * 2001-02-23 2002-10-02 Elringklinger Ag Mehrteilige Flachdichtung
DE10308375A1 (de) * 2002-03-04 2003-09-18 Luk Automobiltech Gmbh & Co Kg Pumpe
WO2009028419A1 (ja) * 2007-08-24 2009-03-05 Sekisui Chemical Co., Ltd. シール材
DE102010038429A1 (de) 2010-07-26 2012-01-26 Tesa Se Haftklebrige Dichtung
US20120326391A1 (en) * 2011-06-27 2012-12-27 Tetsuya Hirose Gasket
CN104228246A (zh) * 2013-06-13 2014-12-24 美国圣戈班性能塑料公司 基于聚氨酯分散液的泡棉密封垫片和粘合胶带
WO2016024939A1 (en) * 2014-08-11 2016-02-18 Schlumberger Canada Limited Co-molded seal element
EP3346518B1 (en) 2017-01-06 2019-07-24 Samsung SDI Co., Ltd.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housing gasket
DE102017109688A1 (de) * 2017-05-05 2018-11-08 tremco illbruck GmbH Folienband mit feuchtevariabler Polymerfolie
DE202018105005U1 (de) 2018-04-30 2019-07-31 Reinz-Dichtungs-Gmbh Gehäuseinteg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4306A1 (de) 2021-07-22
US11913551B2 (en) 2024-02-27
US20230111496A1 (en) 2023-04-13
EP4090865A1 (de) 2022-11-23
US20230041058A1 (en) 2023-02-09
CN114981573A (zh) 2022-08-30
KR20220125352A (ko) 2022-09-14
WO2021144305A1 (de) 2021-07-22
DE102020200450B4 (de) 2021-08-19
EP4090866A1 (de) 2022-11-23
DE102020200450A1 (de) 2021-07-15
CN114945763A (zh)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822B2 (en) Self-adhesive article with foam support
ES2713433T3 (es) Artículo autoadhesivo de soporte de espuma
US9683138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agnetic disk drive
US7087279B2 (en) Adhesives and release liners with pyramidal structures
KR102004172B1 (ko) 이방 점착성 시트
KR102307400B1 (ko) 표면에 다이컷을 적용하는 방법 및 또한 이를 위한 시험 방법
JPH09104850A (ja) 自動車塗膜保護用シート
US9347215B2 (en) Flashing and waterproofing membrane
KR20220125351A (ko) 다분형 하우징 시일, 다분형 하우징 시일의 자동 적용을 위한 방법, 및 다분형 하우징 시일을 포함하는 하우징
US4828635A (en) Laminated, thermal insulation panel
KR101927085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용 박리 필름
US12000483B2 (en) Multi-part housing seal, method for the automated application of a multi-part housing seal, and housing comprising a multi-part housing seal
EP3467063A1 (en) Adhesive sheet and article
EP2258781A1 (en) Adhesive sheet, and adhesive sheet with peel-off sheet using the same
US20210079270A1 (en) Sheet body, electronic part case, method for testing moisture permeation of sheet body, method for measuring moisture permeability and moisture permeation testing device for sheet body
JP2006010417A (ja) 表面被膜の接合強度試験方法及び表面被膜の接合強度試験キット
CA1293917C (en) Laminated, thermal insulation panel
JPH0728944U (ja) 両面粘着シート
JPH0971755A (ja) 発泡体積層マーキングフィルム
JPH09324154A (ja) 防湿粘着テープ
JPH11159016A (ja) 止水材及びその止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