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565A -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565A
KR20220124565A KR1020210028397A KR20210028397A KR20220124565A KR 20220124565 A KR20220124565 A KR 20220124565A KR 1020210028397 A KR1020210028397 A KR 1020210028397A KR 20210028397 A KR20210028397 A KR 20210028397A KR 20220124565 A KR20220124565 A KR 2022012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ipe
ring
pipe
piping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정
홍창의
Original Assignee
홍성정
홍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정, 홍창의 filed Critical 홍성정
Priority to KR102021002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4565A/ko
Publication of KR2022012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565A/ko
Priority to KR2020230001624U priority patent/KR202300017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2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여 배관을 구성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관 연결구조에서 연결포트에 플랜지가 서로 맞닿는 구조로 어댑터가 장착되어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어댑터의 플랜지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연결포트의 플랜지에 볼트 체결되게 하고, 어댑터는 플랜지의 일측으로 원통형 슬리브가 돌출된 상태에서 그 내경에는 금속 파이프가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 안착홈을 형성하고, 금속 파이프가 어댑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조임 고정하기 위한 실링부재 및 조임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금속 파이프와 어댑터 간의 실링을 위한 오링과, 금속 파이프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금속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링과, 오링을 압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조임캡은 금속 파이프가 관통될 수 있는 가압판과 나선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조임캡이 어댑터의 원통형 슬리브와 조임 고정이 이루지면서 금속 파이프의 배관연결이 간단하게 조임방식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기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Pipe connection structure for piping}
본 발명은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여 배관을 구성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선 조립부가 형성되지 않은 플랜지 타입의 조립포트에도 금속 파이프를 간단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수도관이나 소방시설 등 일반 시설은 물론, 다양한 산업시설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파이프를 연결하여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유체나 기체 등을 이송하기 위하여 배관이 설치된다.
배관용 파이프로는 주철이나 강관, 합성수지관 등 다양항 종류의 파이프가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금속 파이프는 열이나 압력에 의한 수축 변형이 거의 없기 때문에 정밀하고 내구성이 필요한 장소에 주로 설치된다.
그런데 변형이 거의 없는 이러한 금속의 장점은, 다른 한편으로 배관의 연결구조가 매우 까다롭고 실링이 어렵다는 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두 개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방식으로 소켓 방식으로 끼워 연결하거나, 또는 전용 조인트를 세트로 구성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펌프 등의 장치본체에 형성되는 포트는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가 플랜지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등에 의한 방식으로 연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클램프 방식은 고정이 견고하지 못할 뿐더러 특히 고압인 경우에는 연결부위에서 수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방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를 맞닿게 조립한 후에 금속 파이프를 용접하는 방식도 많이 사용되지만, 이는 배관 연결이 매우 까다롭고 준비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떨어지며, 작업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한번 배관을 연결한 상태에서는 부속 교체가 불가능하거나 거의 어렵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트가 플랜지로 구성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금속 파이프의 연결이 순차적인 조립만으로도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조립된 이후에는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면서 실링이 긴밀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배관 연결구조에서 연결포트에 플랜지가 서로 맞닿는 구조로 어댑터가 장착되어 금속 파이프를 연결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 어댑터의 플랜지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연결포트의 플랜지에 볼트 체결되게 하고, 어댑터는 플랜지의 일측으로 원통형 슬리브가 돌출된 상태에서 그 내경에는 금속 파이프가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 안착홈을 형성하고, 금속 파이프가 어댑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조임 고정하기 위한 실링부재 및 조임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금속 파이프와 어댑터 간의 실링을 위한 오링과, 금속 파이프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금속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링과, 오링을 압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조임캡은 금속 파이프가 관통될 수 있는 가압판과 나선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체결부를 형성하여 조임캡이 어댑터의 원통형 슬리브와 조임 고정이 이루지면서 금속 파이프의 배관연결이 간단하게 조임방식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기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의하면, 볼트 조립 및 분해에 의하여 어댑터 연결부위의 분리결합이 이루어지고, 순차적인 끼움 구조와 조임캡을 이용하여 조이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간편하게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금속 파이프의 이음새가 다중 구조로 실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조임캡을 분리하여 간편하게 교체하거나 점검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 방식의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도 2는 종래의 용접 방식의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포트와 어댑터 연결구조도 도 6은 도 5의 어댑터 상세 구조도 도 7은 도 5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는 소방시설 등의 배관시설에서 펌프와 같은 장치본체(A)의 포트가 플랜지로 구성되는 경우에 금속 파이프를 배관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포트(100)의 플랜지(120)에 어댑터(200)를 장착하고 그 어댑터에 금속 파이프(300)가 실링부재(400)의 순차적인 조립으로 기밀이 유지되면서도 조임캡(500)으로 금속 파이프(300)를 간단하게 조립하고, 조립된 이후에는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면서 실링이 긴밀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포트(100)는 펌프 등의 장치본체(A)의 인렛 또는 아웃렛 포트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연결포트(100)에는 배관시설을 구축하기 위하여 금속 파이프(300)와 연통하게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포트(100)에는 금속 파이프(300)의 조립을 위하여 어댑터(200)가 조립될 수 있다.
연결포트(100)와 어댑터(20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플랜지(120,220)가 서로 맞닿는 구조로 형성되어 체결 조립이 이루어지며, 플랜지(120,220)에는 각각 체결공(122,222)이 형성되어 볼트 조임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포트(100) 측의 플랜지(120)와 어댑터(200)의 플랜지(220) 사이에는 실링패드(150)가 위치되어 볼트 조임된 상태에서 누수가 방지되고, 서로 마주보게 플랜지(120,220)가 가압 고정되어 유로가 연통되며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 어댑터(200)는 플랜지(220)의 일측, 즉 연결포트(100)의 플랜지(120)와 마주보는 방향의 타측 방향으로 원통형 슬리브(240)가 돌출 형성되어 금속 파이프(300)가 원통형 슬리브(240)에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원통형 슬리브(240)의 내경에는 금속 파이프(300)가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 안착홈(242)이 형성되며, 금속 파이프(300)에는 금속 파이프(300)가 어댑터(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실링부재(400)가 더 구비된다.
실링부재(400)는 금속 파이프(300)와 어댑터(200) 간의 실링을 위한 오링(420)과, 금속 파이프(30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금속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링(440)과, 오링을 압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링(4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 슬리브(240)의 내경에는 오링(420)과 가이드링(46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파이프 안착홈(242)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실링부재 안착홈(244)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안착홈(242,244)이 이단 구조로 형성되어 금속 파이프(300)와 실링부재(400)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링(420)은 금속 파이프(300)의 외경에 끼워져 조립되는 것으로서, 금속 파이프(300)를 원통형 슬리브(240)에 삽입한 상태에서 오링(420)이 실링부재 안착홈(244)의 내벽과 밀착되면서 금속 파이프 연결부위에서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 파이프(300)의 외주연에는 금속 파이프(300)가 조임캡(500)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금속 파이프(300)의 외주연에 돌출되게 스토퍼링(440)이 장착된다.
즉, 상기 조임캡(500)은 금속 파이프(300)가 관통될 수 있는 가압판(520)과 나선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체결부(540)가 형성되어 조임캡(500)이 어댑터(200)의 원통형 슬리브(240)와 조임 고정되어 금속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연결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금속 파이프(300)에 장착된 스토퍼링(440)이 조임캡(500)의 가압판(520) 내면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금속 파이프(300)를 어댑터(2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조임캡(50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금속 파이프(300)가 연결포트(100) 및 어댑터(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파이프(300)에 장착되는 스토퍼링(440)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파이프(300)의 외경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원형의 일측이 갈라진 C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금속 파이프(300) 외면의 둘레영역에는 내입되게 링크홈(340)을 형성하여 스토퍼링(440)의 축방향 이동을 차단하고 정위치에 조립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링(440)은 상기와 같이 C형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토퍼링(440)을 벌려서 금속 파이프(300)에 끼운 후 링크홈(340)에 맞물려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스토퍼링(440)이 금속 파이프(300)의 링크홈(3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토퍼링(440)의 위주연이 금속 파이프의 외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장착되게 함으로써 조임캡(500)을 이용하여 조임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된 상태에서 금속 파이프(30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크홈(340)은 ∪자형과 같이 양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스토퍼링(44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정위치 고정되고, 스토퍼링(440)이 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링(420)과 스토퍼링(440)의 사이에는 가이드링(460)이 장착되어 조임캡(500)을 이용하여 금속 파이프(300)를 어댑터(200)에 조여 고정할 때 스토퍼링(440)이 밀려들어가는 방향으로 오링(420)을 가압하여 오링의 신축성 또는 탄성으로 인해 압축되면서 유체가 이음매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링(460)은 환형 구조로 이루어져 스토퍼링(440)이 C형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오링(420) 전체를 균일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오링(420) 외주연이 실링부재 안착홈(244)의 내벽에 밀착될 때 압박되는 힘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지 않고 오링 전체가 균일한 압력으로 실링부재 안착홈(244)에 밀착되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링(460)은 스토퍼링(440)과 오링(420)이 접하는 측벽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방향은 오링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심축방향으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오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밀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링(440)이 삽입된 후 스토퍼링(440)의 측벽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가이드링(460), 상기 가이드링(460)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오링(42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오링(420)과 스토퍼링(440) 사이에 가이드링(460)이 위치되어 조임캡(500)에 의한 조임 고정시 오링(420)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오링과 가이드링이 실링부재 안착홈(244)의 단턱과 측벽에 가압되면서 조임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며,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고정과 향상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파이프(300)의 선단에는 금속 파이프(300)를 삽입할 때 금속 파이프(300)의 선단에 접촉되되 금속 파이프(300)의 선단과 실링부재 안착홈(244)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조임캡(500)의 조임에 의하여 금속 파이프(300)의 선단에 압착 고정되는 격막(4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100: 연결포트 120: 플랜지 122: 체결공 200: 어댑터 220: 플랜지 222: 체결공 240: 원통형 슬리브 242: 파이프 안착홈 244: 실링부재 안착홈 300: 금속 파이프 340: 링크홈 400: 실링부재 420: 오링 440: 스토퍼링 460: 가이드링 480: 격막 500: 조임캡 520: 가압판 540: 체결부

Claims (3)

  1. 배관 연결구조에서 연결포트(100)에 플랜지(120,220)가 서로 맞닿는 구조로 어댑터(200)가 장착되어 금속 파이프(300)를 연결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에 있어서,상기 연결포트(100)와 어댑터(200)의 플랜지(120,220)에 각각 체결공(122,222)이 형성되어 볼트 체결되고,상기 어댑터(200)는 플랜지(220)의 일측으로 원통형 슬리브(240)가 돌출 형성되되, 원통형 슬리브(240)의 내경에는 금속 파이프(300)가 일정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 안착홈(242)이 형성되고,상기 금속 파이프(300)가 어댑터(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조임 고정하기 위한 실링부재(400) 및 조임캡(500)을 더 포함하고,상기 실링부재(400)는 금속 파이프(300)와 어댑터(200) 간의 실링을 위한 오링(420)과, 금속 파이프(300)의 외주연에 장착되어 금속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링(440)과, 오링을 압착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링(460)을 포함하며,상기 조임캡(500)은 금속 파이프(300)가 관통될 수 있는 가압판(520)과 나선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체결부(540)가 형성되어 조임캡(500)이 어댑터(200)의 원통형 슬리브(240)와 조임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440)과 가이드링(460)과 오링(420)을 순차적으로 끼워 조립이 이루어지고, 오링(420)과 스토퍼링(440) 사이에 가이드링(460)이 위치되어 조임캡(500)에 의한 조임 고정시 오링(420)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링(440)은 원형의 일측이 갈라진 C형으로 이루어지되 금속 파이프(300)의 외면에는 내입되게 링크홈(340)이 형성되어 스토퍼링(440)이 정위치 조립된 상태에서 스토퍼링(440)의 외주연이 금속 파이프의 외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장착되어 조임캡(500)에 의하여 조임 고정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게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KR1020210028397A 2021-03-03 2021-03-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KR20220124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97A KR20220124565A (ko) 2021-03-03 2021-03-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KR2020230001624U KR20230001770U (ko) 2021-03-03 2023-08-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97A KR20220124565A (ko) 2021-03-03 2021-03-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624U Division KR20230001770U (ko) 2021-03-03 2023-08-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565A true KR20220124565A (ko) 2022-09-14

Family

ID=832787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397A KR20220124565A (ko) 2021-03-03 2021-03-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KR2020230001624U KR20230001770U (ko) 2021-03-03 2023-08-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1624U KR20230001770U (ko) 2021-03-03 2023-08-03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245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609B1 (ko) * 2023-03-07 2024-01-15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소방 배관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609B1 (ko) * 2023-03-07 2024-01-15 (주)정안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소방 배관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770U (ko)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9571B2 (en) Captured element coupling
US10900596B2 (en) Spherical flange joint
US9631746B2 (en) Coupling with tongue and groove
US9410655B2 (en) Pipe sealing tool with external and internal clamp
EP2792916B1 (en) Seal structure and flow-path connection part
US4693502A (en) Pipe connection
US4480861A (en) Pipe joint and apparatus therefor
JPH04312286A (ja) 高圧流体用継手
JPH09269089A (ja) 改良連結器
KR20220124565A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구조
JP3162992U (ja) 管継手のガスケット
US4000921A (en) Tubular clamping and sealing coupler
JP2007139001A (ja) 圧接継手およびこれを用いた水道配管機器の取付けユニット
KR100764877B1 (ko) 탄성튜브 시일시스템
JP4542364B2 (ja) 管接続構造及び挿口管部への管内作業機の取付け方法
US7549678B2 (en) Systems for actuating a pipe connection
JP2000230681A (ja) 薄肉ステンレス鋼管と継手の接続構造
KR20170141424A (ko) 파이프 조인트의 고무링구조
JPH09317961A (ja) 管継手および管状体保持金具
KR20160128012A (ko) 내부 압력에 의한 기밀 증가형 가스켓 및 그를 위한 플랜지 배관
US11946576B2 (en) Pipe adapter
JP3223242U (ja) 管継手用部材
CN214119286U (zh) 管路连接结构
JP5976408B2 (ja) 下水管用止水プラグおよび接続容器
CN219062709U (zh) 一种管道密封圈及管道密封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