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435A -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435A
KR20220124435A KR1020210028031A KR20210028031A KR20220124435A KR 20220124435 A KR20220124435 A KR 20220124435A KR 1020210028031 A KR1020210028031 A KR 1020210028031A KR 20210028031 A KR20210028031 A KR 20210028031A KR 20220124435 A KR20220124435 A KR 20220124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deo conference
conference room
participan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793B1 (ko
Inventor
송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터치
Priority to KR1020210028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management of multicast group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화상회의 참여자들을 소그룹으로 묶어 소그룹 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각 참여자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를 통해 특정 참여자가 입력하는 내용을 타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ARTICIPANTS IN VIDEO CONFERENCING SERVICE IN SMALL GROUPS}
본 발명은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화상회의 참여자들을 소그룹으로 묶어 소그룹 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각 참여자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를 통해 특정 참여자가 입력하는 내용을 타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회의 혹은 화상채팅의 진행 방식은 크게 참여자의 화상 참여 방식 또는 청중 참여 방식으로 나뉜다.
화상 참여 방식은 화상회의 혹은 화상채팅의 개설자가 개설한 방에 다수의 참여자들이 입장하여, 서로의 단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화상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는 방식으로써, 참여자 간 발언, 전체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단체 채팅, 특정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1:1 채팅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다만, 화상 참여 방식은 개설자가 개설한 방에 직접 입장한 참여자들에 한해 화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중계가 불가하며, 참여자들의 단말에 문제가 생겨 중계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할 방안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청중 참여 방식은 회상회의 혹은 화상채팅의 개설자가 개설한 방(혹은 채널)에 접속하는 불특정 다수의 참여자 전체를 중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화상 참여 방식에 비해 중계 대상의 제한이 없다는 이점과 전체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단체 채팅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다만, 청중 참여 방식의 경우 개설자에 한해 자신의 카메라를 통해 화면을 송출하게 되고, 그 외 참여자들은 해당 송출되는 화면을 일방적으로 확인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참여자 간 화상 커뮤니케이션이나 화상을 통한 발언이 불가하고, 특정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1:1 채팅이 불가하며, 마찬가지로 참여자들의 단말에 문제가 생겨 중계 오류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할 방안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화상회의의 참여자는 그 수가 다수이기 때문에 운영자 입장에서는 다수의 참여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참여자들을 소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소그룹 별로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다수의 화상회의 참여자들을 소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소그룹 별로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미흡하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점 및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8702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화상회의 참여자들을 소그룹으로 묶어 소그룹 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각 참여자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를 통해 특정 참여자가 입력하는 내용을 타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은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과 연결되며, 각 단말의 접속이 가능한 제1 화상회의방을 생성 및 제공하는 제1 화상회의방 제공부 및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중에서,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참여자 단말이 상기 제1 화상회의방 내에 별도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화상회의방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선택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이 소그룹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소그룹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통해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화면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에게는, 상기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비디오 신호만을 각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각 참여자 단말 별 화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화상회의방 별로 각 참여자 단말의 화면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그룹 관리부는 상기 운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참여자 단말에 대한 제2 화상회의방 변경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참여자 단말이 상기 제2 화상회의방 변경 요청에 상응하는 제2 화상회의방으로 접속되도록 접속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그룹 관리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특정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참여자 단말 중에서 특정 참여자 단말에 대한 그룹장 지정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참여자 단말에게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대한 소그룹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 또는 상기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에 있어서, 특정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캡쳐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동일한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에 상응하는 데이터 버퍼를 개별적으로 생성 후, 각 데이터 버퍼 별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방법은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과 연결된 제1 화상회의방 제공부를 통해, 각 단말의 접속이 가능한 제1 화상회의방을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 소그룹 관리부를 통해,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중에서,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참여자 단말이 상기 제1 화상회의방 내에 별도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화상회의방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선택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이 소그룹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단계, 신호 전송부를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통해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화면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 또는 상기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에 있어서, 특정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해당 특정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캡쳐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동일한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화상회의 참여자들을 소그룹으로 묶어 소그룹 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운영자는 자신의 단말에 표시된 다수의 참여자 중에서 소그룹으로 묶길 원하는 참여자를 선택하거나 드래그하는 등의 간편하고 간단한 동작 만으로도 다수의 참여자들을 소그룹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운영자는 다수의 소그룹 별 화상회의에 자유롭게 입장 및 퇴장할 수 있으며, 소그룹 참여자를 다른 소그룹으로 쉽고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소그룹 별로 운영자의 권한을 대행할 그룹장을 지정할 수 있어, 소그룹의 수가 많아지더라도 분산된 그룹장들의 소그룹 관리를 통해 전체 소그룹의 통합 관리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 참여자 단말 간 실시간 화면 공유를 통해 특정 참여자가 입력하는 내용을 타 참여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및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회의 참여자들 간에 자유롭게 메모 내용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참여자 단말이 다수의 소그룹으로 분류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전송부(130)를 통해, 운영자 단말 및 참여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디오 신호가 화면으로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제2 화상회의방에 분류될 참여자 단말이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 및 제2 화상회의방으로 분류된 참여자 단말의 화면이 각 제2 화상회의방 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운영자 단말 및 참여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디오 신호가 화면으로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전송부(130)를 통해 단말 간 화면이 공유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화면 공유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가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100)은 크게 제1 화상회의방 제공부(110), 소그룹 관리부(120) 및 신호 전송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화상회의방 제공부(110)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들과 화상회의 혹은 화상채팅이 가능한 제1 화상회의방이 생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제1 화상회의방이라 함은 다수의 단말(운영자 단말 및 참여자 단말을 모두 포함)이 서로의 단말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 및 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얼굴을 보며 화상회의 혹은 화상채팅을 진행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하는데, 특히 제1 화상회의방은 운영자 단말 및 다수의 참여자 단말들이 모두 하나의 방에 접속된 대그룹의 회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화상회의방에서, 신호 전송부(130)는 운영자 단말 및 각 참여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통해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각각 화면과 음성으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제1 화상회의방 내에서는 운영자와 전체 참여자 간의 다자간 화상회의 혹은 다자간 화상채팅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운영자 단말과 전체 참여자 단말의 각 화면에는, 운영자와 전체 참여자들의 얼굴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음성 신호)는 운영자 단말과 전체 참여자 단말의 각 스피커 장치를 통해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모두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1 화상회의방에서는 전체 단말을 대상으로 화상회의가 진행되기 때문에, 특정 참여자들을 별도로 분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서는 소그룹 관리부(120)를 통해 다수의 참여자들을 하나 이상의 소그룹으로 분류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되도록 한다.
소그룹 관리부(120)는 앞서 살펴본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참여자 단말을 다수의 소그룹으로 세분화시켜 분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참여자 단말이 다수의 소그룹으로 분류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소그룹 관리부(120)는 운영자 단말에게 다수의 참여자 단말들을 소그룹으로 분류하여 별도의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S201).
다음으로, 운영자는 별도의 제2 화상회의방으로 분류하기 원하는 참여자 단말들을 자신의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하게 되고(S202), 소그룹 관리부(120)에서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참여자 단말들을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될 참여자 단말로써 분류하게 된다(S203).
여기에서, 제2 화상회의방이라 함은 앞서 살펴본 제1 화상회의방과 동일한 성격을 가지되, 제1 화상회의방 내에서 다시 생성되는 소그룹의 회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들은 크게 보면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화상회의방에 귀속된 상태가 된다. 즉,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들은 제1 화상회의방을 나가거나 접속이 해제되는 것이 아닌, 제1 화상회의방과 제2 화상회의방의 접속 상태가 동시에 이루지는 것이다. 다만, 참여자 단말의 접속 위치가 세부적으로는 제2 화상회의방에 귀속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소그룹 관리부(120)에서는 제2 화상회의방을 생성함과 동시에, 앞서 분류된 참여자 단말들을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한다(S204). 이때,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의 경우, 신호 전송부(130)에서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입장)하였음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팝업창 혹은 레이어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하는 참여자들은 자신이 현재 제2 화상회의방으로 분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소그룹 관리부(120)는 운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참여자 단말의 제2 화상회의방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그룹 관리부(120)는 운용자 단말에게 각 참여자 단말 별 제2 화상회의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운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참여자 단말에 대한 제2 화상회의방 변경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참여자 단말의 제2 화상회의방을 다른 제2 화상회의방으로 변경시켜 자동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A 참여자 단말이 현재 '언어영역 스터디 그룹 회의방'이라고 하는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상태에서 운영자 단말에게 자신을 '수리영역 스터디 그룹 회의방'으로 이동시켜달라고 요청한 경우, 운영자 단말은 A 참여자 단말의 제2 화상회의방을 '언어영역 스터디 그룹 회의방'에서 '수리영역 스터디 그룹 회의방'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요청을 소그룹 관리부(120)로 전송하게 되고, 소그룹 관리부(120)에서는 이러한 요청을 확인한 후 A 참여자 단말이 '수리영역 스터디 그룹 회의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언어영역 스터디 그룹 회의방'에 대한 접속 상태는 해제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소그룹 관리부(120)는 생성된 다수의 제2 화상회의방 별로, 각각의 제2 화상회의방에 포함된 참여자 단말 중에서 특정 참여자 단말에게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대한 소그룹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그룹 관리부(120)는 운영자 단말에게, 각각의 제2 화상회의방 별로 제2 화상회의방에 대한 참여자 관리와 같은 소그룹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그룹장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운영자 단말로부터 특정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참여자 단말 중 특정 참여자 단말에 대한 그룹장 지정 요청이 수신될 경우, 소그룹 관리부(120)는 해당 특정된 참여자 단말에게 해당 제2 화상회의방을 관리할 수 있는 소그룹 관리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점은, 제2 화상회의방의 개수가 많아 운영자가 모든 제2 화상회의방을 관리할 수 없을 경우, 각각의 제2 화상회의방을 각 그룹장들이 독립적으로 관리할 있기 때문에 효율성에 있어 매우 이점이 될 수 있다.
도 1로 돌아와서, 신호 전송부(130)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각 단말의 카메라 장치 및 마이크 장치를 통해 각각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화상회의에 참여중인 타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통해 각각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화면과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카메라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라 함은 각 단말의 사용자의 얼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실시간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고, 단말의 마이크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라 함은 각 단말의 사용자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실시간 음성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전송부(130)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통해, 운영자 및 참여자들은 서로의 얼굴을 확인하면서 서로의 음성을 주고받으며 다자간 화상회의나 화상채팅을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신호 전송부(13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전송부(130)를 통해, 운영자 단말 및 참여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디오 신호가 화면으로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제2 화상회의방에 분류될 참여자 단말이 선택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 및 제2 화상회의방으로 분류된 참여자 단말의 화면이 각 제2 화상회의방 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운영자 단말 및 참여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디오 신호가 화면으로 출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살펴보면, 신호 전송부(130)를 통해 전송되는 비디오 신호는 도 3과 같이 화상회의에 참여한 운영자 단말 및 참여자 단말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3의 화면은 운영자 단말과 참여자 단말 모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현재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운영자 단말 및 참여자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서, 별도의 제2 화상회의방이 생성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운영자 단말에 대한 화면 및 전체 참여자 단말에 대한 화면이 하나의 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도 4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제2 화상회의방에 분류될 참여자 단말이 선택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제2 화상회의방 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지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운영자는 자신의 운영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각 참여자의 화면을 확인한 후 소분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참여자 단말을 선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선택 시 신호 전송부(130)는 해당 선택되는 참여자 단말의 화면에 대해 선택이 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 별도의 색상이 표시되도록 하며, 선택된 참여자 단말들을 토대로 제2 화상회의방이 생성되는 경우 신호 전송부(130)는 해당 제2 화상회의방으로 분류되는 참여자 단말들의 화면을 다른 색상으로 구분지어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소그룹 A'에 해당하는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의 화면은 노란색으로 구분되고, '소그룹 B'에 해당하는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의 화면은 붉은색으로 구분되며, '소그룹 C'에 해당하는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은 푸른색으로 구분되고, '소그룹 D'에 해당하는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참여자 단말은 녹색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화면은 운영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자는 현재 어떠한 소그룹에 어떠한 참여자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경우, 도 5에서의 과정을 통해 제2 화상회의방에 자동으로 접속된 참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화면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화면 상에는 운영자 단말에 대한 화면도 함께 표시될 수 있고,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모든 참여자 단말의 화면도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화면은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되는 각 참여자 단말의 화면 상에 팝업창 또는 별도의 추가 레이어창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신호 전송부(120)는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 참여자 단말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는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중인 단말의 화면에서도 표시되도록 하지만,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 참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참여자 단말을 통해서만 출력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중인 단말의 사용자들이 각각의 제2 화상회의방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들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신호 전송부(130)는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거나, 또는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특정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화면 상태로 공유하여 다른 단말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당 내용의 편집도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신호 전송부(130)를 통해 단말 간 화면이 공유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화면 공유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가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살펴보면, 예를 들어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이라 가정하고 살펴볼 경우(S701),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참여자 단말 중 특정 참여자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이 수신되면(S702), 해당 참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화면 공유 영역(혹은 메모 영역)에 메모 입력 기능 혹은 이미지 편집 기능이 활성화되고 해당 화면 공유 영역에 메모 입력이 진행된다(S703). 신호 전송부(130)에서는 해당 화면 공유 영역에 입력되는 메모의 입력 순서를 시간별로 세분화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캡쳐하게 되고, 캡쳐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게 된다(S704). 이때, 신호 전송부(130)는 각 단말 별로 상응하는 데이터 버퍼를 개별적으로 생성하게 되며, 각 데이터 버퍼 별로 해당 이미지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데이터 버퍼에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해당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각의 단말에 표시된 화면 공유 영역에 출력되게 되고(S705), 각각의 단말을 사용중인 참여자 및 운영자는 해당 화면 공유 영역에 출력된 내용을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앞 단계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각 단말 별로 화면 공유 영역에 대한 메모 입력 기능 혹은 이미지 편집 기능이 활성화되면서 해당 내용에 메모를 입력되거나 이미지 편집이 진행된다(S706). 신호 전송부(130)에서는 각 단말의 화면 공유 영역에 입력되는 메모의 입력 순서를 시간별로 세분화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캡쳐하게 되고, 캡쳐되는 내용을 실시간으로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게 되고(S707), 마찬가지로 이터 버퍼에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는 해당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각의 단말에 표시된 화면 공유 영역에 다시 출력되는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S708).
도 8을 살펴보면, 도 8은 화상회의방에 접속한 각 단말의 화면 공유가 진행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운영자(예를 들어, 강사 등)의 얼굴이 표시되는 영역과, 참여자(예를 들어, 학생 등)의 얼굴이 표시되는 영역과, 화면 공유 영역(예를 들어, 메모, 필기, 이미지 편집이 가능한 영역)이 표시된다.
화면 공유 영역에 입력되는 메모 내용은 실시간으로 신호 전송부(130)의 데이터 버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신호 전송부(130)는 데이터 버퍼에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다른 단말의 화면 공유 영역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화상회의방에 접속한 각 단말의 사용자들은 마치 동일한 메모를 서로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르면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화상회의 참여자들을 소그룹으로 묶어 소그룹 별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특히 운영자는 자신의 단말에 표시된 다수의 참여자 중에서 소그룹으로 묶길 원하는 참여자를 선택하거나 드래그하는 등의 간편하고 간단한 동작 만으로도 다수의 참여자들을 소그룹화할 수 있어 다수의 참여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과 함께, 각 참여자들 간의 실시간 화면 공유를 통해 모든 참여자들이 마치 동일한 메모를 서로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있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상회의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110: 제1 화상회의방 제공부
120: 소그룹 관리부
130: 신호 전송부

Claims (9)

  1.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과 연결되며, 각 단말의 접속이 가능한 제1 화상회의방을 생성 및 제공하는 제1 화상회의방 제공부; 및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중에서,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참여자 단말이 상기 제1 화상회의방 내에 별도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화상회의방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선택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이 소그룹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소그룹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통해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화면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에게는, 상기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제외한 비디오 신호만을 각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운영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각 참여자 단말 별 화면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화상회의방 별로 각 참여자 단말의 화면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분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그룹 관리부는,
    상기 운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참여자 단말에 대한 제2 화상회의방 변경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참여자 단말이 상기 제2 화상회의방 변경 요청에 상응하는 제2 화상회의방으로 접속되도록 접속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그룹 관리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로부터 특정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다수의 참여자 단말 중에서 특정 참여자 단말에 대한 그룹장 지정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참여자 단말에게 해당 제2 화상회의방에 대한 소그룹 관리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 또는 상기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에 있어서,
    특정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특정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캡쳐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동일한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에 상응하는 데이터 버퍼를 개별적으로 생성 후, 각 데이터 버퍼 별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9.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과 연결된 제1 화상회의방 제공부를 통해, 각 단말의 접속이 가능한 제1 화상회의방을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
    소그룹 관리부를 통해,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중에서, 상기 운영자 단말을 통해 선택되는 참여자 단말이 상기 제1 화상회의방 내에 별도로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화상회의방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선택된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이 소그룹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단계;
    신호 전송부를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참여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를 통해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가 화면 및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 또는 상기 제2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단말들 간의 화상회의가 진행되는 상황에 있어서, 특정 단말로부터 화면 공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해당 특정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내용을 실시간 스트리밍 방식으로 캡쳐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동일한 화상회의방에 접속된 각 단말에 전송하여 각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방법.
KR1020210028031A 2021-03-03 2021-03-03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491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31A KR102491793B1 (ko) 2021-03-03 2021-03-03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031A KR102491793B1 (ko) 2021-03-03 2021-03-03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35A true KR20220124435A (ko) 2022-09-14
KR102491793B1 KR102491793B1 (ko) 2023-01-26

Family

ID=83279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031A KR102491793B1 (ko) 2021-03-03 2021-03-03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35B1 (ko) * 2023-07-07 2024-05-03 스테이지랩스 주식회사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864A (ko) * 1999-07-05 2001-02-05 허성재 유알엘 동기화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다중 인스턴스 관리 시스템
KR20090009646A (ko) * 2007-07-20 2009-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그룹토론서비스를 지원하는 원격교육시스템의 제어장치,교육장치, 학습장치, 제어방법, 교육방법 및 학습방법
KR20110040046A (ko) * 2009-10-13 2011-04-20 쉐어쉐어주식회사 트래픽이 절감된 화상통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49434A (ko) * 2011-11-04 2013-05-14 두산동아 주식회사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동영상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1668702B1 (ko) 2010-07-13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회의 장치 및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864A (ko) * 1999-07-05 2001-02-05 허성재 유알엘 동기화 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다중 인스턴스 관리 시스템
KR20090009646A (ko) * 2007-07-20 2009-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그룹토론서비스를 지원하는 원격교육시스템의 제어장치,교육장치, 학습장치, 제어방법, 교육방법 및 학습방법
KR20110040046A (ko) * 2009-10-13 2011-04-20 쉐어쉐어주식회사 트래픽이 절감된 화상통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668702B1 (ko) 2010-07-13 201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회의 장치 및 화상회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49434A (ko) * 2011-11-04 2013-05-14 두산동아 주식회사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동영상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135B1 (ko) * 2023-07-07 2024-05-03 스테이지랩스 주식회사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793B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6662B2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video conferences
DE69434762T2 (de) Anrufdetektion und Anrufbearbeitung in einem Multimedia Kollaborationssystem
CN102638672B (zh) 用于多流多站点远程呈现会议系统的自动视频布局
US9571793B2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resource distribution among a plurality of server applications
US8860776B2 (en) Conference terminal, conference server, conference system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6950119B2 (en) Videoconference system, terminal equipment included therein and data delivery method
KR100434625B1 (ko) 더 쉬운 프로시저들을 갖는 복수의 그룹들로 전체 그룹을분할할 수 있는 멀티캐스트 시스템
US9210200B1 (en)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connecting users to operating nodes
US7657614B2 (en) Multiple participant, time-shifted dialogue management
EP3131257B1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use in an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CN113411538B (zh) 视频会话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491793B1 (ko) 화상회의 서비스 내 참여자의 소그룹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N111601069B (zh) 智能会议系统
JP2001308855A (ja) 多地点間音声通信方法、多地点間音声通信方法で用いられるクライアント・サーバ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とサーバ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7202887A (ja) 分散会議システム
KR101687901B1 (ko)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들 사이의 판서 공유 방법 및 그 장치
WO2021073313A1 (zh) 会议控制及与会方法、装置、服务器、终端及存储介质
JP2003101981A (ja) 電子共同作業システム及び共同作業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KR102505404B1 (ko) 원격 화상회의 다중 레이저 포인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23244076A1 (ko) 큐시트를 이용해 이벤트를 진행하는 메타버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030050506A (ko)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가상 학술회의 시스템
WO2023244073A1 (ko) 다채널 구조 및 채널 동기화를 위한 메타버스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4768578B2 (ja) テレビ会議システム、及び、テレビ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
KR100419139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 멀티캐스트 실시간 가상 학술 회의시스템을 위한 세션 제어 방식
Rowe Webcast and Distributed Collaboration Control Auto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