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151A -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151A
KR20220123151A KR1020227029484A KR20227029484A KR20220123151A KR 20220123151 A KR20220123151 A KR 20220123151A KR 1020227029484 A KR1020227029484 A KR 1020227029484A KR 20227029484 A KR20227029484 A KR 20227029484A KR 20220123151 A KR20220123151 A KR 20220123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component
outsole
mold
sole structur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9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6219B1 (ko
Inventor
피덴치오 2세 캄포스
프레데릭 제이 도잔
자채리 엠 엘더
에릭 엘 플리스
사무엘 하인츠만
트로이 씨 린드너
멜라니 엔 모트버그
벤자민 제이 몬필스
리 디 페이튼
에릭 에스 쉰들러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070,082 external-priority patent/US9981437B2/en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2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29C51/105Twin sheet thermoforming, i.e. deforming two parallel opposing sheets or foils at the same time by using one common mould cavity and without welding them together during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2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5Auxiliary operations during the thermoform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having inserts or reinforcements ; Handling of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2049/2086Means for verifying or keeping the position of the insert, e.g. sensors, or attachment on moul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4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100, 3100) 물품(131, 570)용 밑창 구조체(130, 3130, 3131, 3132)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를 에워싸는 폴리머 블래더 요소(3140, 3150)를 포함하는 중창, 폴리머 블래더 요소(3140, 3150)의 저부(1064, 1237, 764) 및 측면(3078, 3079)에 고정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 및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0, 3072)를 포함한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는 제1 기부(3083, 4008), 및 제1 기부(3083, 4008)와 일체형인 벽(3085, 3092, 4010)을 포함한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0, 3072)는 제1 기부(3083, 4008)에 고정된 제2 기부(3090, 4012), 및 제2 기부(3090, 4012)와 일체형이고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의 벽(3085, 3092, 4010)의 외부면(3094, 4016, 4017)에 고정된 벽(3085, 3092, 4010)을 포함한다. 제1 기부(3083, 4008)는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 3191)를 갖는 제1 부분(3082)을 갖는다. 제2 기부(3090, 4012)는 트레드 요소(3135, 3191)를 갖지 않는 제1 기부(3083, 4008)의 제2 부분(3084, 620)에 고정된다. 제조 방법은 블래더 요소(3040, 3050, 3140, 3150) 및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를 열성형하는 것, 및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0, 3072)를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ARTICLE OF FOOTWEAR WITH FIRST AND SECOND OUTSOLE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3월 15일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5/070,082호를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하고, 이 미국 출원은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밑창 구조체(sole structure)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는 통상적으로 지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발을 이격하도록 착용자의 발 아래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운동화는 특히 때때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밑창 구조체 내에 폴리우레탄 발포체, 고무, 또는 다른 탄성 재료를 이용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도면 및 설명을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실제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대신에 실시예의 원리를 예시할 때 강조가 부여되어 있다. 더욱이,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상이한 도면 전체에 걸쳐 대응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공성형된(co-molded) 물품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공성형된 물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폐쇄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폐쇄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몰드의 일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폐쇄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폐쇄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부분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폐쇄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신발류 갑피(upper)에 부착된 전족부(forefoot) 밑창 구조체 및 뒤꿈치(heel)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신발류 갑피에 부착된 도 14의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블래더(bladder) 요소의 하부면(lower surface)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4의 전족부 밑창 구조체의 제1 겉창(outsole) 구성요소의 하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상부면(upper surface)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라인 19-19에서 취한 도 18의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4의 밑창 구조체의 뒤꿈치 블래더 요소의 하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4의 뒤꿈치 밑창 구조체의 제1 겉창 구성요소의 하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상부면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14의 라인 23-23에서 취한 도 14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14의 라인 24-24에서 취한 도 14의 밑창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17의 제1 겉창 구성요소용 사출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26은 도 22의 제1 겉창 구성요소용 사출 몰드의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14의 밑창 구조체의 몇몇 구성요소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개방 열성형 몰드의 단면 분해도이고;
도 28은 몰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27의 몰드 및 구성요소의 단면도이다.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를 에워싸는 폴리머 블래더 요소를 갖는 중창(midsole), 제1 겉창 구성요소,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겉창 구성요소는 폴리머 블래더 요소의 하면(bottom surface)에 그리고 측면에 고정된다. 제1 겉창 구성요소는 제1 기부, 및 제1 기부와 일체형인 벽을 포함한다.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제1 기부에 고정된 제2 기부, 및 제2 기부와 일체형이고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의 외부면에 고정된 벽을 포함한다. 제1 기부는 제1 기부의 하면의 제1 부분에서 돌출하는 일체형 트레드 요소(tread element)를 갖지만, 하면의 제2 부분은 어떠한 트레드 요소도 갖지 않는다.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은 하면의 제2 부분에 인접한 외부면을 갖는다. 제2 겉창 구성요소의 제2 기부는 제1 기부의 하면의 제2 부분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1 트레드 요소는 제2 기부와 간섭하지 않는다. 더욱이, 밑창 구조체의 지면 결합면은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일체형 트레드 요소를 포함하고, 제2 겉창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블래더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구역에 아치형 관형부를 갖는다. 블래더 요소의 측면은 아치형 관형부에서 블래더 요소의 내부 만곡벽에 있다. 이 구성에서,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예로서 전족부 구역의 발등굽힘(dorsiflexion) 중에, 블래더 요소의 내부 만곡벽을 지지하여 보강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는 제1 재료이고,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제1 재료와는 상이한 제2 재료이다. 예를 들어, 제1 겉창 구성요소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일 수도 있고, 제2 겉창 구성요소는 고무일 수도 있다. 제2 재료는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완충 응답을 조절하기 위해 지면 결합면 및 보강 지지부에 내구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의 외부면은 제1 겉창 구성요소의 하면의 제2 부분에 인접한 리세스를 갖는다. 제2 겉창 구성요소의 벽은 리세스 내의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의 외부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 겉창 구성요소의 벽은 따라서 리세스 내에 포개넣어지는(nested) 데, 이는 층간박리를 유발할 수 있는 힘으로부터 제2 겉창 구성요소의 벽을 보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겉창 구성요소의 벽은 제1 두께를 갖고, 리세스는 제1 깊이를 갖고, 제1 두께는 제1 깊이보다 커서 제2 겉창 구성요소가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외측으로 돌출하게 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은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외부벽이고, 제2 겉창 구성요소의 벽은 제2 겉창 구성요소의 외부벽이다. 제1 겉창 구성요소는 제1 기부와 일체형인 내부벽을 갖고, 리세스는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외부벽을 따라 단지 부분적으로 위로, 기부의 하면을 따라, 그리고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내부벽을 따라 위로 연장한다.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제2 기부와 일체형이고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내부벽의 외부면에 고정된 내부벽을 포함한다. 제2 겉창 구성요소의 내부벽은 제2 겉창 구성요소의 외부벽보다 제1 겉창 구성요소를 따라 상향으로 더 멀리 연장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폴리머 블래더 요소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가 밑창 구조체의 외주부에서 아치형 부분을 갖는 U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제1 겉창 구성요소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의 아치형 부분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을 갖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의 U 형상에 대응하는 U 형상을 갖는다.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지면 결합면 내에 포함된 트레드 요소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제2 겉창 구성요소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일체형 제2 트레드 요소를 갖는다. 제1 트레드 요소 및 제2 트레드 요소는 밑창 구조체의 지면 결합면을 설정한다.
신발류 물품은 갑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중창, 제1 겉창 구성요소,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는 갑피의 전족부 구역에 고정된 전족부 밑창 구조체로서 구성될 수도 있고,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뒤꿈치 구역에 고정된 뒤꿈치 밑창 구조체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뒤꿈치 밑창 구조체는 전족부 밑창 구조체의 폴리머 블래더 요소의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개별 유체 충전된 내부 캐비티를 에워싸는 폴리머 블래더 요소를 갖는 중창, 뒤꿈치 밑창 구조체의 블래더 요소의 하면에 고정된 제1 겉창 구성요소, 및 뒤꿈치 밑창 구조체의 제1 겉창 구성요소에 고정된 제2 겉창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은 예비성형된(preformed) 제1 겉창 구성요소를 열성형 몰드 내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비성형된 제1 겉창 구성요소는 기부의 하면의 제1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체형 트레드 요소를 갖는 기부를 갖고, 하면의 제2 부분은 어떠한 트레드 요소도 갖지 않는다. 제1 겉창 구성요소는 기부와 일체형이고 하면의 제2 부분에 인접한 벽을 또한 갖는다. 방법은 제1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열성형 몰드 내에 폴리머 재료를 배치하는 것, 및 제1 폴리머 시트, 제2 폴리머 시트, 및 제1 겉창 구성요소를 몰드 캐비티 내에 에워싸도록 열성형 몰드를 폐쇄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폴리머 시트와 제2 폴리머 시트 사이에 내부 캐비티를 갖고, 제1 폴리머 시트를 열성형 몰드의 제1 몰드면에 합치하고 제2 폴리머 시트를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상부면에 그리고 열성형 몰드의 제2 몰드면에 합치하기 위해 진공이 인가된다.
폴리머 재료의 제1 부분은 제1 폴리머 시트일 수도 있고, 폴리머 재료의 제2 부분은 제2 폴리머 시트일 수도 있다. 방법은 내부 캐비티를 에워싸도록 제1 폴리머 시트를 제2 폴리머 시트에 열접합하는 것, 제2 폴리머 시트의 하부면을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상부면에 열접합하는 것, 및 열접합된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 및 제1 겉창 구성요소를 사전결정된 냉각 기간 후에 유닛으로서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겉창 구성요소가 제1 겉창 구성요소의 하면의 제2 부분 상에 위치설정되고, 제1 겉창 구성요소에 접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겉창 구성요소를 위치설정하는 것은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벽의 외부면 내의 리세스 내에 제2 겉창 구성요소를 포개넣음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리세스 내에 제2 겉창 구성요소를 포개넣는 것은 리세스의 상부 영역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립(lip)을 따라 제2 겉창 구성요소의 상부 에지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벽은 외부벽일 수도 있고, 제1 겉창 구성요소는 기부와 일체형인 내부벽을 포함할 수도 있고, 리세스는 기부의 하면을 따라, 외부벽을 따라 부분적으로 위로, 그리고 외부벽보다 내부벽을 따라 더 위로 연장할 수도 있다.
방법은 제1 폴리머 시트의 상부면에 전족부 갑피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폴리머 시트, 제1 겉창 구성요소,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전족부 밑창 구조체로서 구성되고 전족부 갑피의 전족부 구역에 고정될 수도 있고, 방법은 뒤꿈치 밑창 구조체의 전방 에지가 전족부 밑창 구조체의 후방 에지에 인접한 상태로 전족부 갑피의 뒤꿈치 구역에 뒤꿈치 밑창 구조체를 고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몰드면은 위치설정 마커를 가질 수도 있고, 제1 겉창 구성요소를 열성형 몰드 내에 배치하는 것은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사전결정된 부분을 위치설정 마커에 배치하여, 이에 의해 열성형 몰드 내에서 사전결정된 위치에 제1 겉창 구성요소를 배향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교시의 상기 특징 및 장점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할 때 본 발명의 교시를 수행하기 위한 모드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즉시 명백하다.
단수 표현,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시하도록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문맥상 명백히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복수의 이러한 아이템이 존재할 수도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예를 들어, 양 또는 조건)의 모든 수치값은, 문맥상 명시적으로 또는 명백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약"이 수치값 앞에 실제로 나타나건 나타나지 않건간에,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언급된 수치값이 몇몇 약간의 부정확성(값의 정확성에 대한 약간의 근사치를 가짐; 대략적으로 또는 적당하게 값에 근접함; 거의)을 허용한다. "약"에 의해 제공된 부정확성이 이 일반적인 의미로 당 기술 분야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으면, "약"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이러한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는 적어도 변형을 지시한다. 게다가, 범위의 개시는 범위 내의 모든 값 및 다른 분할된 범위를 특정하게 개시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언급된 참고 문헌은 본 명세서에 그대로 합체되어 있다.
용어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은 포함적인 것이고, 따라서 언급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할 때 변경될 수도 있고, 부가의 또는 대안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은 연계된 열거된 아이템의 임의의 하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 임의의 하나"는 언급된 아이템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여, 언급된 아이템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중 임의의 하나"는 언급된 청구항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여, 첨부된 청구범위의 언급된 청구항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위", "아래", "상향", "하향", "상", "하" 등과 같은 용어들이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한 한정을 표현하지 않고 도면에 대해 설명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서, 성형된(shaped) 물품은 신발류 물품의 완충층 및 겉창일 수도 있다. 도 1은 이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공성형된 물품을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의 단면도이다. 신발류 물품(100)은 갑피(120) 및 밑창 구조체(130)를 갖는다. 갑피(120)는 착용자의 발을 위한 편안하고 견고한 덮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발은 신발류 물품(100) 내에 발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거나 발과 신발류 물품(100)을 다른 방식으로 합체하도록(unite) 갑피(12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밑창 구조체(130)는 갑피(120)의 하부 영역에 고정되고, 발과 지면 사이로 연장하여 예를 들어 지면 반력을 감쇠하고(즉, 발을 완충함), 접지력(traction)을 제공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발의 모션에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밑창 구조체(130)는 발 아래에 위치되어 발을 지지한다.
갑피(120)는 실질적으로 통상의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갑피(120)의 대부분은 발을 견고하고 편안하게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동(void)을 형성하도록 함께 스티칭되거나(stitched) 또는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다양한 재료 요소(예를 들어, 직물, 발포체, 가죽 및 합성 가죽)를 구비한다. 재료 요소는 예를 들어, 내구성, 공기 투과성, 내마모성, 가요성, 및 편안함의 특성을 선택적으로 부여하도록 선택되어 갑피(12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갑피(120) 내의 공동은 발을 수용하도록 성형된다. 따라서, ,발이 공동 내에 위치될 때, 갑피(120)는 발의 외측면(lateral side)을 따라, 발의 내측면(medial side)을 따라, 발 위로, 뒤꿈치 주위로, 그리고 발 아래로 연장한다. 신발끈(122)이 설포(tongue)(123) 위로 연장한다. 신발끈(122) 및 설포(123)에 의해 제공된 조절 기능은 내부 공동의 치수를 수정하여, 이에 의해 내부 공동 내에 발을 고정하고 내부 공동으로부터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상의 방식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깔창(sockliner)(125)이 신발류 물품(100)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갑피(120)의 다른 구성은 (a) 전족부 구역에 위치설정되고 내마모성 재료로 형성된 발가락 가드(toe guard), (b)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뒤꿈치 구역에 위치된 힐카운터(heel counter), 및 (c) 로고, 상표, 및 취급 주의사항 및 재료 정보를 갖는 플래카드 중 하나 이상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설명의 다양한 양태가 주로 밑창 구조체(130)에 관한 것이면, 갑피(120)는 전술된 일반적인 구성 또는 실제로 임의의 다른 통상의 또는 비통상의 갑피의 일반적인 구성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갑피(120)의 구조는 상당히 다양할 수도 있다.
밑창 구조체(130)는 유체 충전 챔버(140)에 부착된 겉창(160)을 포함한다. 겉창(160)은 그와 연계된 지면 결합 돌기(135)를 갖는다.
도 2는 탱크(220)와 연계된 정상부(top)(210)를 갖는 탱크형 물품(200)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탱크(220)는 그로부터 연장하는 돌기(235)를 갖는 케이스(23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 2, 도 5, 도 6, 도 12 및 도 13, 및 첨부 설명은 이 대안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1의 밑창 구조체(130)와 같은 밑창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그 위에 돌기(135)를 갖는 겉창(160)과 유체 충전 챔버(140)를 공성형하기 위한 몰드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겉창(160)은 몰드 내에 조립된 다수의 예비성형된 물체 또는 요소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겉창(160)은 유체 충전 챔버(140) 상의 에지(14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몰딩된(molded) 구조체(131)는 유체 충전 챔버(140)의 에지의 상당한 부분을 감싸는 겉창(160)을 갖는 물품의 실시예이다. 구성요소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들 구성요소는 몰드 내에서 형상을 생성하는 것을 돕기 위해 연화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구조체(131)를 위한 몰드(30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충전 챔버(140)는 몰드 내에 존재하는 겉창(160)과 공성형된다. 접착제가 또한 적절한 표면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공성형된 물품은 하부 몰드부 내로 겉창 요소를 배치하고, 이어서 겉창 요소의 정상부에 유체 충전 챔버(140)를 형성할 것인 층을 배치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몰드부를 갖는 2-부분 몰드에서 제조될 수도 있다. 몰드는 이어서 상부 및 하부 몰드부가 서로 맞접하도록(abut) 폐쇄된다. 몰드는 몰드를 폐쇄하는 것이 챔버의 형성을 야기하도록 성형된다. 압력 하의 유체가 이어서 챔버 내로 도입되어, 챔버의 팽창이 챔버의 상부면을 상부 몰드부의 이면측과 합치 관계가 되게 가압하고, 또한 챔버의 하부 부분을 아래의 외부 요소와 합치 관계가 되게 가압하게 된다. 에너지가 열, 무선 주파수 등으로서 몰드에 인가될 수도 있어, 챔버가 팽창되어 물품을 몰드면 및 겉창 요소에 대해 압박하는 상태로 제1 및 제2 요소를 함께 공성형한다. 폴리머의 층과 같은 제2 요소부가 완성된 제품을 위한 전구체로서 몰드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전구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공성형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몰드 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팽창의 준비가 된 완전하게 예비성형된 챔버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양한 제조 프로세스가 밑창 구조체(131)를 제조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조 프로세스에서 이용될 수도 있는 몰드(300)는 제1 몰드부(310) 및 제2 몰드부(32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몰드(300)는 유체 충전 챔버 상부면(141) 및 유체 충전 챔버 하부면(142)을 각각 생성하는 폴리머층인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으로부터 유체 충전 챔버(140)를 제조하는 데 이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몰드(300)는 (a) 유체 충전 챔버(140)의 에지(143), 플랜지(146), 및 챔버 사이의 도관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을 성형함으로써, 그리고 (b) 플랜지(146) 및 웨브 영역(1147)과 대응하는 영역에서 제1 폴리머층(410)과 제2 폴리머층(420)을 결합함으로써 제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한다.
몰드(300)의 다양한 표면 또는 다른 영역이 이제 제조 프로세스의 설명에 사용을 위해 정의될 것이다. 제1 몰드부(310)는 공성형된 물품의 상면(top surface)을 성형하는 제1 몰드부 표면(350)을 포함한다. 겉창(160)과 제1 요소, 및 유체 충전 챔버(140)와 같은 제2 요소의 다양한 부분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2 몰드부(320)는 제2 몰드부(320) 내의 슬롯(325)과 밀접 결합하여 돌기(135)를 수용하기 위해 성형된다. 겉창(160)은 이어서 몰드 내에 배치된다. 겉창(160)은 언더컷(undercut)(335) 내에 끼워진다. 다음에, 물품이 몰딩될 때, 제1 요소 전구체 또는 제1 폴리머층(410)은 물품의 상면이 되도록 하는 장소에 투입되고 제2 요소 전구체 또는 제2 폴리머층(420)은 여기서 유체 충전 챔버인 제2 요소의 하면 또는 하부면(142)을 생성한다.
제1 몰드부(310) 및 제2 몰드부(320)가 서로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을 제1 몰드부(310) 및 제2 몰드부(320)의 표면에 대해 견인하여, 이에 의해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을 성형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a)제1 몰드부(310)와 제1 폴리머층(410) 사이 및 (b) 제2 몰드부(320)와 제2 폴리머층(420)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소기될(evacuated)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공기는 제1 몰드부(310) 및 제2 몰드부(320) 내의 다양한 진공 포트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제1 폴리머층(410)이 제1 몰드부(310)의 표면과 접촉하게 견인되고, 제2 폴리머층(420)이 제2 몰드부(320)의 표면과 접촉하게 견인된다. 다른 예로서, 유체는 제1 폴리머층(410)과 제2 폴리머층(420) 사이의 영역 내로 주입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제1 폴리머층(410)과 제2 폴리머층(420) 사이의 압력을 상승시킨다. 이 프로세스의 준비 스테이지 중에, 주입 니들이 제1 폴리머층(410)과 제2 폴리머층(420)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가스, 액체, 또는 겔,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유체가 이어서 주입 니들로부터 토출될 수도 있어,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이 몰드(300)의 표면에 결합하게 된다. 이들 기술의 각각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1 몰드부(310) 및 제2 몰드부(320)가 서로를 향해 계속 이동함에 따라,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이 제1 몰드부(310)와 제2 몰드부(320) 사이에 협지된다(pinched). 더 구체적으로,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은 협지면(330)과 협지 에지(360) 사이에 압축된다. 유체 충전 챔버(140)를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의 과잉 부분을 분리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것에 추가하여,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의 협지는 플랜지(146)의 영역에서 제1 폴리머층(410)과 제2 폴리머층(420)을 접합하거나 결합하는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의 협지 후에,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몰드부(310) 및 제2 몰드(320)는 서로를 향해 폐쇄 구성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속행된다. 몰드가 폐쇄됨에 따라, 협지면(330)은 제2 시임-형성면(370)의 부분에 대해 접촉하여 슬라이드한다. 협지면(330)과 제2 시임-형성면(370) 사이의 접촉은 유체 충전 챔버(140)를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의 과잉 부분을 효과적으로 절단한다.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을 형성하는 재료는 압밀되거나(compact) 또는 다른 방식으로 집합되어(collect) 플랜지(146)를 형성한다. 플랜지(146)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제1 폴리머층(410) 및 제2 폴리머층(420)은 (a) 유체 충전 챔버(140)를 생성하도록 성형되고, (b) 웨브 영역(1147)을 생성하도록 압축되어 결합된다.
유체 충전 챔버(140)의 제조가 완료될 때, 몰드(300)는 개방된다. 유체는 이어서 유체 충전 챔버(140) 내로 주입되어 전족부 구성요소 유체 충전 챔버를 압축하여, 이에 의해 구조체(131)의 제조를 완료한다. 프로세스의 최종 단계로서, 구조체(131)는 신발류 물품(100)의 밑창 구조체 내로 합체될 수도 있다.
공성형된 물품은 다수의 용도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탱크 또는 다른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탱크 또는 다른 용기의 몰딩을 도시하고 있다. 몰드(600)는 몰드면(650)을 갖는 제1 몰드부(610)를 포함한다. 제2 몰드부(620)는 제1 요소(560) 상에 돌기(535)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슬롯(625)을 포함한다. 제2 폴리머층(520) 및 제1 폴리머층(510)은 개방 몰드 내의 위치에 있다. 제1 요소(560)가 몰드 내로 삽입된 후에, 제2 폴리머층(520)이 제1 요소(560)와 접촉하여 탱크의 층을 형성할 것이다. 제1 폴리머층(510)은 탱크의 상부면을 형성할 것이다.
도 6은 몰드 내에 탱크 또는 물품(570)을 형성하도록 폐쇄된 몰드(60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몰드부(610)의 표면(650)은 물품의 상층(top layer)(506)의 상부면(572)을 성형한다. 밀봉된 탱크가 탱크의 주연부 주위로 연장할 수도 있는 플랜지(546)에 폴리머층을 융착 또는 접착함으로써 제조될 수도 있다. 제1 요소(560) 상의 돌기(535)는 몰드의 제2 부분(620) 내의 슬롯(625) 내에 밀접하게 끼워진다.
전술된 방법 및 몰드는 부분을 만족스럽게 성형하는 반면에,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몰드로부터 공성형된 물품을 추출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공성형된 물품이 충분히 가요성이고 탄성인 한, 물품은 언더컷 몰드로부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약간 변형될 수도 있다. 그러나, 몰드 내로 물품을 연장하는 슬롯 및 다른 특징부 내의 공성형된 물품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돌기는 몰드로부터 물품을 제거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물품 상의 돌기와 몰드의 표면 사이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몰드 내에 물품을 공성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공성형된 물품은 예비성형된 물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비성형된 물품은 본질적으로 그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요소는 몰드 내에 배치된 예비성형된 요소일 수도 있고, 여기서 내부면은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는 슬롯 및 다른 특징부에 의해 본질적으로 방해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요소는 돌기와 몰드 사이에 최소 간섭 또는 접촉을 갖고 몰드 내에 배치된다. 요소는 몰드 내에 배치될 때 본질적으로 그 형상을 유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기의 기부 또는 단부면은 몰드의 표면에 접촉할 수도 있지만, 돌기의 측면은 본질적으로 몰드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 방식으로, 공성형된 물품은 몰드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는 공성형된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제1 요소와 제2 요소를 공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도 7, 도 8 및 도 9는 신발류 물품의 밑창 구조체를 공성형하기 위한 이 방법의 스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몰드(700)는 제1 몰드부(710) 및 제2 몰드부(720)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몰드부(710) 상의 형상(750)은 공성형된 물품의 상면(74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요소(760)는 상면(761), 에지면(762) 및 상면(761)에 대향하는 기부(737)를 갖는 돌기(735)를 가질 수도 있다. 에지면(762)은 상면(761)으로부터 이격하여 임의의 거리로 연장할 수도 있다. 제1 요소(760)는 하면(794)을 또한 가질 수도 있다. 제2 요소(765)는 에지(743), 상부면(741), 및 하부면(764)을 가질 수도 있다.
임의의 적합한 폴리머 재료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겉창일 것인 제1 요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각각의 특징부는 단일층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이러한 특징부는 재료의 단일층 또는 다수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열성형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밑창 구조체를 위해 이용될 수도 있는 폴리머 재료의 예는 폴리우레탄, 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라텍스,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매크로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및 다른 폴리머 재료,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은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캄포스 2세(Campos II) 등의 미국 특허 제9,420,848호에서 발견될 수도 있다.
겉창은 통상적으로 임의의 내구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통상적으로, 겉창 재료는 인성, 내구성, 내마멸 및 내마모성, 가요성, 및 미끄럼 저항성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폴리우레탄 재료는 지면 접촉을 위해 충분히 내구성이다.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엘라스토머 재료는 Bayer로부터 입수가능한 Bayer Texin®285를 포함한다. BASF로부터 입수가능한 Elastollan® SP9339, Elastollan® SP9324, 및 Elastollan® C705가 또한 적합하다. 직접 지면 접촉을 위해 충분히 내구성이 아닐 수도 있는 폴리우레탄 및 다른 폴리머가 몇몇 실시예에서 겉창의 부분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무 겉창이 겉창 상에 접착되거나 접합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겉창 재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실시예에서, 지면 결합 러그가 겉창의 부분으로서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고, 또는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겉창에 접착될 수도 있다. 겉창은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텍스처링된(textured) 지면 결합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요소(760)는 겉창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따르면, 겉창(760)은 돌기(735)의 기부(737)가 제2 몰드부(720)의 표면(780)과 접촉한 상태로 제2 몰드부(720) 내에 위치된다. 제2 몰드부(720)의 표면(780)은 기부(737) 이외에 돌기(735)의 상당한 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성형된다. 돌기(735)는 지면 결합부인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고, 그 단부는 지면에 결합하는 기부(737)이다. 도 7 및 도 8에 특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겉창(760)은 에지(762)가 제2 몰드부(720)의 에지(862)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약간의 원호 또는 곡선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요소와의 몰딩 전에 모든 기부(737)가 표면(780)에 동시에 접촉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제2 요소, 즉 유체 충전 챔버용 전구체가 몰드 내에 배치되고, 몰드가 폐쇄된다. 제1 폴리머층(810)은 제2 요소(765)의 상면(74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폴리머층(820)은 제2 요소(765)의 에지(743) 및 제2 요소 또는 유체 충전 챔버(765)의 하부면 또는 저부(76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폴리머층(810) 및 제2 폴리머층(820)의 각각은 초기에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격 또는 개방 구성에 있는 제1 몰드부(710)와 제2 몰드부(720) 사이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제1 폴리머층(810)은 제1 몰드부(710)에 인접하여 또는 더 근접하여 위치설정되고, 제2 폴리머층(820)은 제2 몰드부(720)에 인접하여 또는 더 근접하여 위치설정된다. 셔틀 프레임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제1 폴리머층(810) 및 제2 폴리머층(820)을 적절하게 위치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제조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제1 폴리머층(810)과 제2 폴리머층(820) 중 하나 또는 모두는 성형 및 접합을 용이하게 하는 온도로 가열된다. 예로서, 다양한 복사 가열기(radiant heater)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가능하게는 제1 몰드부(710)와 제2 몰드부(720) 사이에 위치되기 전에, 제1 폴리머층(810)과 제2 폴리머층(820)을 가열하는 데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몰드(700)는 제조 프로세스의 이후의 부분에서 몰드(700)와 제1 폴리머층(810)과 제2 폴리머층(820) 사이의 접촉이 온도를 성형 및 접합을 용이하게 하는 레벨로 상승시키도록 가열될 수도 있다.
일단 제1 폴리머층(810) 및 제2 폴리머층(820)이 적절하게 위치설정되면, 제1 몰드부(710) 및 제2 몰드부(720)는 서로를 향해 병진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이동하고 제1 폴리머층(810) 및 제2 폴리머층(820) 상에 폐쇄되기 시작한다. 압력 하의 유체가 유체 충전 챔버(765) 내로 도입될 수도 있어, 유체 충전 챔버(765)의 상부면(741)을 제1 몰드부(710)의 형상(750)에 합치하고, 유체 충전 챔버 또는 제2 요소(765)의 하부면(764)을 제1 요소(760)의 상면(761)의 형상에 합치하고, 유체 충전 챔버(765)의 에지(743)를 제1 요소(760)의 에지면(762) 또는 제2 몰드부(720)의 에지(862)에 합치한다.
유체 충전 챔버(765) 내로 유체의 주입시에, 제2 폴리머층(820)은 겉창(760)의 상면(761), 겉창(760)의 에지(762), 및 제2 몰드부(720)의 에지(862)를 향해 압박될 수도 있다. 유체 충전 챔버(765) 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겉창 상면(761) 상의 압력은 제2 몰드부(720)의 표면(780)을 향해 돌기(735) 상에 기부(737)를 압박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유체 충전 챔버(765) 내의 압력은 유체 충전 챔버(765)의 에지(743)를 겉창(760)의 에지(762)를 향해 압박할 수도 있고, 제2 몰드부의 에지(862)를 향해 이들 양 에지를 압박할 수도 있다. 에지(743)는 또한 제2 몰드부(720)의 에지(862)와 접촉하게 압박될 수도 있는 데, 여기서 겉창(760)의 에지(762)는 그와 접촉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도 8 및 도 9에서 특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겉창(760)의 하면(794)은 통상적으로 유체 충전 챔버가 완전히 몰딩된 후에도 제2 몰드부(720)의 하면(780)에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겉창(760)은 적소에 유지되지만, 탈형(demolding)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이러한 돌기 상에 힘을 인가하는 몰드로부터의 탈형보다 적은 힘으로 수행된다. 유체 충전 챔버(765) 내의 유체 압력은 밑창 구조체가 탈형된 후에 조정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공성형된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제1 요소와 제2 요소를 공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는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의 제조에 있어서 공성형된 물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몰드(1100)는 제1 몰드부(1110) 및 제2 몰드부(1120)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몰드부(1110) 상의 형상(1150)은 공성형된 물품의 상면(1041)을 형성할 수도 있다.
겉창(1060)은 상면(1061), 에지면(1062) 및 상면(1061)에 대향하는 기부(1037)를 갖는 돌기(1035)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요소(1065)는 에지(1043), 상부면(1041), 및 하부면(1064)을 가질 수도 있다. 임의의 적합한 폴리머 재료가 도 7, 도 8 및 도 9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밑창 구조체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와 같은,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요소(1060)는 겉창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따르면, 겉창(1060)은 돌기(1035)의 기부(1037)가 제2 몰드부(1120)의 표면(1180)과 접촉한 상태로 제2 몰드부(1120) 내에 위치된다. 제2 몰드부(1120)의 표면(1180)은 기부(1037) 이외에 돌기(1035)의 상당한 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성형된다. 돌기(1035)는 지면 결합부인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고, 그 단부는 지면에 결합하는 기부(1037)이다. 도 10에 특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겉창(1060)은 에지(1062)가 제2 몰드부(1120)의 에지(1162)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약간의 원호 또는 곡선을 가질 수도 있다. 겉창(1060)은 밑창 구조체에 부가의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는 플랜지(106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요소, 즉 유체 충전 챔버용 전구체가 몰드 내에 배치되고, 몰드가 폐쇄된다. 제1 폴리머층(1010)은 제2 요소(1065)의 상면(104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2 폴리머층(1020)은 제2 요소 또는 유체 충전 챔버(1065)의 에지(1043) 및 하부면 또는 저부(1064)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폴리머층(1010) 및 제2 폴리머층(1020)의 각각은 초기에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격 또는 개방 구성에 있는 제1 몰드부(1110)와 제2 몰드부(1120)의 각각 사이에 위치된다. 폴리머층들은 도 7, 도 8 및 도 9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배치되고 가열된다.
압력 하의 유체가 이를 형성할 때 유체 충전 챔버(1065) 내로 도입될 수도 있어, 유체 충전 챔버(1065)의 상부면(1041)을 제1 몰드부의 형상(1150)에 합치하고, 유체 충전 챔버 또는 제2 요소(1065)의 하부면(1064)을 제1 요소 또는 겉창(1060)의 상면(1061)의 형상에 합치하고, 유체 충전 챔버(1065)의 에지(1043)를 겉창(1060)의 에지면(1062) 또는 제2 몰드부(1120)의 에지(1162)에 합치한다.
유체 충전 챔버(1065) 내로 유체의 주입시에, 제2 폴리머층(1020)은 겉창(1060)의 상면(1061), 겉창(1060)의 에지(1062), 및 제2 몰드부(1120)의 에지(1162)를 향해 압박될 수도 있다. 유체 충전 챔버(1165) 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겉창 상면(1061) 상의 압력은 제2 몰드부(1120)의 표면(1080)을 향해 돌기(1035) 상에 기부(1037)를 압박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유체 충전 챔버(1065) 내의 압력은 유체 충전 챔버(1065)의 에지(1043)를 겉창(1060)의 에지(1062)를 향해 압박할 수도 있고, 제2 몰드부의 에지(1162)를 향해 이들 양 에지를 압박할 수도 있다. 에지(1043)는 또한 제2 몰드부(1120)의 에지(1162)와 접촉하게 압박될 수도 있는 데, 여기서 겉창(1060)의 에지(1062)는 그와 접촉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도 11에서 특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겉창(1060)의 하면(1094)은 통상적으로 유체 충전 챔버가 완전히 몰딩된 후에도 제2 몰드부(1120)의 하면(1180)에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겉창(1060)은 몰딩 중에 적소에 유지되지만, 탈형은 이러한 돌기 상에 힘을 인가하는 몰드로부터의 탈형보다 적은 힘으로 수행된다. 유체 충전 챔버(1065) 내의 유체 압력은 밑창 구조체가 탈형된 후에 조정될 수도 있다. 유체 충전 챔버(1065) 내의 유체 압력은 밑창 구조체가 탈형된 후에 조정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열가소성 폴리머와 같은 임의의 몰딩가능한 시트 재료로부터 몰딩될 수도 있다. 실시예는 또한 임의의 기능을 가질 수도 있고, 몰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실시예는 물체의 하층이 몰드 내에 삽입된 후에, 압력이 고정된 물체, 고정된 물체의 또는 몰드의 에지를 접촉하기 위해 층을 압박할 것이고, 고정된 물체를 몰드를 향해 압박할 것이도록 몰드의 압축을 수용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성형된 물품의 형상은 용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푸트부들(feet)을 갖는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는 케이스(1260)로서 특징화될 수도 있는 제1 요소(1260)일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요소 또는 케이스(1260)는 제2 몰드부(132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260)는 푸트부 또는 돌기(1235)를 가질 수도 있는 데, 푸트부는 저부(1237)를 갖는다. 제2 몰드부(1320)는 하면(12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면(1280)은 푸트부(1235)의 각각의 저부(1237)에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케이스(1260)는 약간의 원호를 포함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푸트부(1235)의 각각의 저부(1237)가 하면(1280)에 접촉하는지 여부는 푸트부(1235)의 배열 및 제2 몰드부(1320) 내에 배치될 때 케이스(1260)가 원호를 가질 수도 있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호가 물체 에지(1262) 내에 나타날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체 에지(1262)는 몰드 에지(1362)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물체 에지(1262)는 이러한 원호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몰드를 폐쇄하기 전에 몰드(1300) 내의 제1 몰드부(1310)와 제2 몰드부(1320) 사이의 제1 및 제2 폴리머 웨브의 배치는 도 7, 도 8 및 도 9에 관하여 설명된 방법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폴리머층으로부터 제조된 박스 정상부(1206)가 플랜지(1246)에서 박스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제2 폴리머층(1208)에 접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박스 정상부(1206)의 상면은 박스면(1212)을 형성하도록 표면(1350)에 의해 성형된다.
유체가 제2 폴리머층(1208) 및 박스 정상부(1206)에 의해 형성된 체적 내로 주입될 수도 있다. 유체는 가스, 액체, 또는 겔일 수도 있다. 박스(1265) 내로 유체의 주입은 제2 폴리머층(1208)을 케이스(1260)의 상면(1246), 케이스(1260)의 에지(1262), 및 제2 몰드부(1320)의 에지(1362)를 향해 압박할 수도 있다. 박스(1265) 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1 요소 하면(1264) 상의 압력은 제2 몰드부(1320)의 표면(1280)을 향해 돌기(1235) 상에 기부(1237)를 압박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케이스(1260) 내의 압력은 제2 폴리머층의 에지(1243)를 케이스(1260)의 에지(1262)를 향해 압박할 수도 있고, 제2 몰드부(1320)의 에지(1362)를 향해 이들 양 에지를 압박할 수도 있다. 에지(1243)는 또한 제2 몰드부(1320)의 에지(1362)와 접촉하게 압박될 수도 있는 데, 여기서 케이스(1260)의 에지(1262)는 그와 접촉하는 것이 배제되지 않는다.
도 13에서 특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1260)의 하면(1294)은 통상적으로 케이스가 완전히 몰딩된 후에도 제2 몰드부(1320)의 하면(1390)에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케이스(1260)는 적소에 유지되지만, 탈형은 이러한 돌기(1235) 상에 힘을 인가하는 몰드로부터의 탈형보다 적은 힘으로 수행된다. 박스(1265) 내의 유체 압력은 공성형된 물품이 탈형된 후에 조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물품을 포함한다. 이들 물품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밑창 구조체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해 신발류 물품용 갑피에 부착될 수도 있다. 신발류 물품용 갑피는 재료 요소의 임의의 적합한 조성물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 요소는 예를 들어, 직물, 발포체, 가죽, 및 합성 가죽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초과의 재료가 갑피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밑창 구조체는 접착, 재봉, 또는 스티칭에 의해, 또는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방식에 의해 갑피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5에 또한 도시된 갑피(3120) 또는 도 1의 갑피(120)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3130)를 갖는 신발류 물품(3100)을 도시하고 있다. 밑창 구조체(3130)는 갑피(3120)의 하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또는 스트로벨(strobel), 신발틀 보드(lasting board), 또는 발포체층이 갑피(312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밑창 구조체(3130)는 스트로벨, 신발틀 보드, 또는 발포체층의 하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밑창 구조체(3130)는 발 아래에 위치되어 발을 지지한다. 밑창 구조체(3130)의 1차 요소는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 및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이다. 밑창 구조체(3130)는 전족부 구역(3134), 중족부 구역(3133), 및 뒤꿈치 구역(3136)을 갖고, 내측면(3137)으로부터 외측면(3138)으로 연장한다.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는 전족부 중창을 포함하는 데, 이 중창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폴리머 블래더 요소(3140)이고, 전족부 구성요소, 전족부 블래더 요소, 또는 유체 충전 챔버라 또한 칭한다. 폴리머 블래더 요소(3140)는 도 16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다. 폴리머 블래더 요소(3150)는 도 20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다. 블래더 요소(3140)는 도 15 및 도 16에 지시되어 있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를 에워싼다. 유사하게,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는 뒤꿈치 중창을 포함하는 데, 이 중창은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폴리머 블래더 요소(3150)이고, 뒤꿈치 구성요소, 뒤꿈치 블래더 요소, 또는 유체 충전 챔버라 또한 칭한다. 블래더 요소(3150)는 도 15 및 도 20에 지시되어 있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52)를 에워싼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도 15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 14의 저면도의 겉창 구성요소와 갑피(3120) 사이에 있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서로 유체 연통하지 않는다. 블래더 요소(3140)는 도 16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가 채널(3143)에 의해 상호접속되고 서로 유체 연통하는 대응 관형부(3142A, 3142B, 3142C, 3142D, 3142E)를 갖도록 아치형 형상(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U형)을 갖는 다수의 관형부를 갖는다. 블래더 요소(3150)는 도 20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52)가 채널(3153)에 의해 상호접속되고 서로 유체 연통하는 다수의 부분(3152A, 3152B, 3152C, 3152D, 3152E)을 갖도록 U 형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상호접속된 부분을 갖는다. 폴리머 블래더 요소(3140)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의 아치형 부분이 밑창 구조체(3131)의 전족부 구역(3134) 내의 외주부에 있도록 구성된다. 블래더 요소(3140)는 도 16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의 전족부 구역에 아치형 관형부(3149)를 갖는다. 아치형 관형부(3149)는 아치형 관형부(3149)의 외부벽보다 더 급격한 곡률을 갖는 내부 만곡벽(3151)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내부 만곡벽(3151)은 U형 아치형 관형부(3149)의 내부에 있다.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제1 벽이 고정되는 블래더 요소(3140)의 측면(3079)은 내부 만곡벽(3151)에 있다. 제2 벽(3099)은 따라서 전족부 구역의 굴곡시에 아치형 관형부에서 블래더 요소(3140)의 내부 만곡벽(3151) 및 제3 벽(3087)의 모두를 지지하고 보강할 수 있다. 이 지지 및 보강은 제2 벽(3087)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벽(3087) 상의 응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도 24 및 도 27에 도시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시트(3144, 3146)(제1 및 제2 시트, 제1 및 제2 층, 또는 상부 및 하부층이라 또한 칭함)로부터 각각 열성형될 수도 있고, 또는 대안에서, 블로우 성형될(blow-molded) 수도 있다. 시트는 TPU 및 가스 배리어 재료의 교번적인 층을 가질 수도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 3152) 내에 유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유체"는 공기,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 또는 다른 가스를 비롯하는, 가스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유체 충전"은 "가스 충전"을 포함한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를 위해 사용된 다양한 재료는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도 있고 또는 염색된 컬러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공기, 질소, 또는 다른 가스와 같은 가스인 유체를 포함하여, 사전결정된 압력에서 유체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다양한 폴리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열가소성 우레탄(TPU) 재료, 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및/또는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더욱이, 일 실시예에서,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상이한 재료의 층을 갖는 하나 이상의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층을 포함하고 본 명세서에서 배리어층, 가스 배리어 폴리머, 또는 가스 배리어층이라 또한 칭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층과 교번하는 하나 이상의 제1 층을 갖고 얇은 필름으로부터 형성된 라미네이트 멤브레인일 수도 있다. 제2 층은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봉크(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82,0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내에 수용된 압축된 유체에 불투과성인 에틸렌 및 비닐 알코올의 코폴리머(EVOH)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층은 폴리머 시트의 외부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즉, 최외측 제1 층은 블래더 요소(3140 또는 3150)의 외부면일 수도 있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는 또한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첼(Mitchell) 등의 미국 특허 제5,713,141호 및 제5,952,0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교번적인 층을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층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리그라인드 재료(regrind material)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시트는 또한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봉크(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82,025호 및 제6,127,0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2 층과 같은 가스 배리어 폴리머 재료 및 제1 층과 같은 엘라스토머 재료의 교번적인 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마이크로층 멤브레인일 수도 있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를 위한 부가의 적합한 재료는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루디(Rudy)의 미국 특허 제4,183,156호 및 제4,219,9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를 위한 다른 적합한 재료는 루디(Rudy)의 미국 특허 제4,936,029호 및 제5,042,1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정질 재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필름, 및 봉크(Bonk) 등의 미국 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및 제6,321,4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이들 미국 특허는 본 명세서에 그대로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블래더 요소(3140, 3150)를 위한 재료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인장 강도, 신장 특성, 피로 특성, 동적 계수, 및 손실 탄젠트와 같은 엔지니어링 특성이 고려될 수 있다. 블래더 요소(3140 또는 3150)가 시트로부터 형성될 때, 블래더 요소(3140 또는 315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시트의 두께는 이들 특징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 및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는 가스, 액체, 또는 겔일 수도 있는 유체를 에워싸는 폴리머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걷기 및 달리기 중에, 예를 들어,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 및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는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수도 있어, 이에 의해 지면 반력을 감쇠한다. 즉, 열성형 후에,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 및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는 팽창되고, 일반적으로 유체로 압축되어 발을 완충한다. 도 14는 밀봉 전에 유체가 그를 통해 내부 캐비티(3142, 3152) 내로 도입되는 밀봉된 팽창부(3155)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구성에서, 밑창 구조체(3130)는 예를 들어, 갑피(3120)와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 및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 중 하나 또는 모두 사이에서 연장하는 발포체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발포체 요소는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 및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의 하부 영역에서 만입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구성에서,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는 힘을 더 감쇠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는 발의 모션에 영향을 미치는 플레이트, 부가의 실시예에서, 조절기(moderator), 신발틀 요소, 또는 모션 제어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는 힘을 더 감쇠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는 발의 모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이러한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블래더 요소(3140)에 고정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및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에 고정된 다수의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를 또한 포함한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는 도 17 및 도 18에 격리되어 도시되어 있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는 도 14의 제1 겉창 구성요소에 고정된다.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70) 및 제1 겉창 구성요소(3070)에 고정된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를 포함한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70)에 고정된다. 도 15는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2)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에서, 블래더 요소(3140, 3150)에 고정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를 도시하고 있다.
신발류 물품의 마모면(즉, 지면 결합면)을 제공하는 것에 추가하여,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3060) 및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3070)는 밑창 구조체(3130)의 다양한 특성 및 특징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두께, 가요성, 겉창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 및 특징, 및 신장율과 같은 겉창의 특성 및 특징은 밑창 구조체(3130)의 완충 응답, 압축성, 가요성, 및 다른 특성 및 특징을 수정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조절하도록 변동되거나 선택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는 제1 재료이고,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제1 재료와는 상이한 제2 재료이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각각의 블래더 요소(3140, 3150)에 열접합되기 전에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이들의 원하는 형상 및 구성을 갖고 예비성형되는 사출 성형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구성요소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2)는 고무이고 이들의 원하는 형상으로 예비성형되고, 이어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또는 3070)에 고정된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는 단일의 단일체형 단일편 구성요소이고,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는 단일의 단일체형 단일편 구성요소이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2)의 각각은 또한 단일의 단일체형 단일편 구성요소이다.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3060)는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는 중족부 구역 내로 연장할 수도 있다.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3060)는 또한 중족부 구역에서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의 하부 영역에 고정될 수도 있다.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3070)는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의 하부 영역에 고정된다.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 및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3070)의 모두는 중족부 구역 내로 연장할 수도 있다.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3060) 및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3070)는 내마모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내마모성 재료는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효과를 제공하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도 있다. 내마모성 재료는 예로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 3091)를 포함함으로써, 접지력을 부여하도록 지면 결합면 상에서 텍스처링될 수도 있다.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 및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의 임의의 또는 모든 구성요소는 반투명하거나 투명할 수도 있고, 미관적인 매력을 위해 착색되거나 패터닝될 수도 있다.
도 14, 도 17 및 도 18은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내의 가스 탈기(escape) 개구(2069)를 또한 도시하고 있고, 도 14, 도 21 및 도 22는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70) 내의 가스 탈기 개구(2079)를 도시하고 있는 데, 이들 중 단지 몇몇만이 도면 부호로 지시되어 있다. 이들 가스 탈기 개구는 제조 중에 블래더 요소와 대응 겉창 구성요소 사이에 포획된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탈기할 수 있게 한다. 겉창 구성요소의 내부면은 포획된 가스를 축적하고 포집된 가스를 가스 탈기 개구로 유도할 수도 있는 방식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상호연결 홈(2071)이 사출 성형 중에 겉창 구성요소(3060)의 내부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몰딩 후에 재료의 제거에 의해 표면 내에 제거될 수도 있다. 가스 탈기 개구(2069)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홈(2071)의 저부 내에 있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는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 탈기 개구(2079)에 포집된 가스를 유도하는 홈(2071)을 내부면 상에 또한 갖는다. 가스 탈기 개구(2079)는 홈(3071)과 유체 연통한다.
겉창의 보강부(예를 들어, 리브와 같은 구조적 요소의 포함), 구멍, 겉창의 벽의 높이, 중첩하는 겉창의 벽 및 블래더 요소의 벽(또한 블래더 요소의 에지라 칭함)의 수 및 장소, 또는 겉창의 다른 특징부가 모두 밑창 구조체의 응답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적어도 도 14 내지 도 28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전족부 블래더 요소 또는 뒤꿈치 블래더 요소의 측벽과 또는 아래에 놓인 겉창 구성요소의 측벽과 겉창 구성요소의 벽의 중첩은 최종적인 밑창 구조체의 탄성 응답 및 완충 응답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안내에 따라, 유체 충전 블래더 요소의 특성 및 특징과 조합하여 겉창의 이들 및 다른 특성 및 특징은 원하는 완충 응답을 제공하도록 선택되고 구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28에 도시되어 있고 도 25 내지 도 28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의 구성은 각각의 블래더 요소(3140, 3150)를 지지하고,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또는 3072)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내의 리세스(4050) 내에, 또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70) 내의 리세스(4150) 내에 수용되어 부분적으로 포개넣어지게 할 수 있다. 리세스(4050, 4150)는 조립 중에 위치설정 안내를 제공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2)를 착용 중에 층간박리로부터 보호한다. 더욱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 및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2)의 모두는, 밑창 구조체의 지면 결합면을 설정하여[도 24에서 지면(G)에 접촉함], 트레드 요소(3135, 3091)의 상이한 형상, 크기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3060, 3062)에 대해 상이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접지 특성이 트레드 요소(3135, 3091)의 장소에 제공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트레드 요소(3135, 3091)를 각각 갖는다. 트레드 요소(3135, 3091)는 접지력을 부여하는 돌출부, 리지, 또는 지면 결합 러그 또는 섹션일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트레드 요소(3135)는 상이한 크기 및 직사각형 및 사다리꼴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트레드 요소(3091)는 일반적으로 트레드 요소(3135)보다 크다. 겉창 구성요소(3060, 3062, 3070, 3072)를 위해 사용된 재료에 따라,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2)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에 대해 증가된 접지력, 또는 감소된 접지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의 트레드 요소(3135)는 도 17 및 도 20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일체형 부분이고(즉,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사출 성형에 의해 기부 및 벽과 함께 형성됨),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또는 3072)의 트레드 요소(3091)는 마찬가지로 단일편의 단일체형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또는 3072)의 일체형 부분이다. 이 방식의 겉창 구성요소의 구성은 제조를 간단화하고, 착용 중에 겉창 구성요소의 기부로부터 트레드 요소의 분리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17 및 도 18은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부착 전에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 및 도 22는 제2 겉창 구성요소(3072)의 부착 전에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블래더 요소(3140)의 하면(3080)에 그리고 블래더 요소(3140)의 측면(3078, 3079)에 부착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도시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는 블래더 요소(3140)의 하면(3080)에 부착된 제1 기부(3083), 블래더 요소(3140)의 측면(3078)에 고정된 제1 기부(3083)와 일체형인 제1 벽(3085), 및 제1 기부(3083)와 일체형이고 블래더 요소(3140)의 측면(3079)에 부착된 제2 벽(3087)을 갖는다. 도 23 및 도 24 및 도 14의 단면도의 장소에 의해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벽(3085) 및 제2 벽(3087)은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의 아치형 부분에 있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제2 벽(3092)은 아치형 부분에 있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는 제1 겉창 구성요소의 하면(3081)의 사전결정된 부분에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를 갖고, 반면에 다른 부분은 트레드 요소가 없다. 도 24는 제1 블래더 요소(3140)에 부착되고 기부(3083)의 하면(3081)의 제1 부분(3082)에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를 갖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기부(3083)를 도시하고 있다. 기부(3083)의 하면(3081)의 제2 부분(3084)은 어떠한 트레드 요소(3135)갖지 않는다. 블래더 요소(3140)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다른 부분은 기부(3083) 및 기부(3083)와 일체형인 벽(3085, 3087)을 또한 갖고, 기부(3083)의 제1 부분(3082)은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를 갖고 제2 부분(3084)은 어떠한 트레드 요소도 갖지 않는다. 트레드가 없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특히,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자신의 일체형 트레드 요소(들)를 갖는 제2 겉창 구성요소(3062)가 제2 부분(3084)에 부착되기 때문에, 트레드 요소(3135)를 갖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트레드가 없는 요소는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부착과 간섭할 것이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는 제2 기부(3090)를 갖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일체형 트레드 요소(3091)를 포함한다. 제2 기부(3090)는 제1 기부(3083)의 하면(3081)의 제2 부분(3084)에 고정된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는 제2 기부(3090)와 일체형인 제2 벽(3092)을 포함한다. 제2 벽(3092)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제1 벽(3085)의 외부면(3094)에 고정된다. 외부면(3094)은 하면(3081)의 제2 부분(3084)에 인접한다. 이 구성에서, 밑창 구조체(3131)의 지면 결합면(3098)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 및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일체형 트레드 요소(3091)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도 21 및 도 22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는 예로서 제1 영역(4004)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3070)의 하면(4002)의 사전결정된 부분에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를 갖고, 어떠한 트레드 요소도 갖지 않는 제2 영역(4006)을 갖는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는 제1 기부(4008) 및 제2 영역(4006)에 인접한 제1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일체형 제1 벽(4010)을 갖는다. 제1 벽(4010)은 외부벽이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는 제1 기부(4008)와 일체형인, 내부벽(4011)이라 칭하는 제2 벽을 또한 갖는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는 제1 기부(4008)에 고정된 제2 기부(4012)를 갖는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는 제2 기부(4012)와 일체형이고 제1 벽(4010)의 외부면(4016)에 고정된 제2 벽(4014)(즉, 외부벽)을 갖는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는 도 14, 도 15 및 도 21에서 자명한 바와 같이, 제2 기부(4012)와 일체형이고 제2 벽(4011)의 외부면(4017)에 고정된 내부벽(4015)을 갖는다.
도 23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의 아치형 부분의 외주부에 제1 벽(3085)을 갖는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의 아치형 형상에 대응하는 아치형 형상을 갖는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제2 벽(3092)은 또한 아치형 부분에 있다. 제1 벽(3085) 및 제2 벽(3092)은 따라서 외부벽이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제2 벽(3087)은 아치형 부분의 내부 곡선에 위치된 내부벽이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내부벽(3099)은 또한 아치형 부분의 내부 곡선에 있다.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의 외부벽 및 내부벽에 의해 블래더 요소의 관형 아치형 부분을 지지하는 것은, 블래더 요소(3140) 상에 기하학적 제약부로서 작용하는 지지를 제공하고, 강성을 제공하여, 블래더 요소(3140)의 완충 응답을 조절한다.
겉창 구성요소(3060, 3062, 3070, 3072)의 보강부(예를 들어, 리브와 같은 구조적 요소의 포함), 구멍, 겉창 구성요소(3060, 3062, 3070, 3072)의 벽(3085, 3087, 3092, 3099)의 높이, 겉창 구성요소(3060, 3062, 3070, 3072)의 벽 및 블래더 요소(3140, 3150)의 중첩하는 벽(또한 블래더 요소의 에지라 칭함)의 수 및 장소, 또는 겉창 구성요소(3060, 3062, 3070, 3072)의 다른 특징부는 모두 밑창 구조체(3131, 3132)의 응답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적어도 도 15 내지 도 24에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각각의 기부 부분(4008)으로부터 이격하여 전족부 블래더 요소(3140)의 측면(3078, 3079) 또는 뒤꿈치 블래더 요소(3150)의 측면을 따라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의 벽(3085, 3087, 4010, 4011)의 중첩부, 및 각각의 기부 부분으로부터 이격하여 그리고 각각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3070)의 벽(3085, 3087, 4010, 4011)을 따라 위로 제2 겉창 구성요소(3062, 3072)의 벽(3092, 3099, 4014)의 중첩부는 최종적인 밑창 구조체(3131, 3132)의 탄성 응답 및 완충 응답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안내에 따라, 유체 충전 블래더 요소(3140, 3150)의 특성 및 특징과 조합하여 겉창 구성요소(3060, 3062, 3070, 3072)의 이들 및 다른 특성 및 특징은 원하는 완충 응답을 제공하도록 선택되고 구성될 수 있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및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 상에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를 배치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리고 착용 중에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로부터 제2 겉창 구성요소(3062)가 분리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함께 끼워지도록 협동적으로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24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제1 벽(3085)의 외부면(3094)은 리세스(4050)를 갖는다.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가 열성형될 때, 리세스(4050)는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하면(3081)의 제2 부분(3084)에 인접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리세스(4050)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가 사출 성형되는 사출 몰드(5010)의 형상에 기인하여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사출 몰드(5010)는 몰드면(5016, 5018)을 각각 갖는 상부 및 하부 몰드(5012, 5014)를 가질 수도 있다. TPU 재료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몰드면(5016, 5018)의 윤곽으로 몰딩하는 데 있어서 포트(5020)를 통해 사출된다. 하부 몰드(5014) 내의 돌출부(5022)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내측면의 제1 벽(3085) 내에 리세스(4050)를 생성한다. 유사한 돌출부(5022)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외측면의 제1 벽(3085) 내에 리세스(4050)를 생성한다. 몰드면(5018)은 트레드 요소(3135)를 생성하는 리세스(5026)를 또한 갖는다. 부가적으로, 몰드면(5016, 5018)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제2 벽(3087)(즉, 내부벽)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제1 벽(3085)(즉, 외부벽)보다 큰 높이를 갖고 벽(3085, 3087)의 상단부(4070, 4072)가 테이퍼지도록 성형된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제2 벽(3092)은 리세스(4050) 내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제1 벽(3085)의 외부면에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꿈치 밑창 구조체(3132)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70) 및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는 동일한 방식으로 협동적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벽(3092)은 제1 두께(T1)를 갖고, 리세스(4050)는 제1 깊이(D1)를 갖는다. 제1 두께(T1)는 제1 깊이(D1)보다 커서, 제2 겉창 구성요소(3062)가 제1 벽(3085)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외향으로 돌출하게 된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상부 에지(4060)는 리세스(4050) 내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립(4062)에 맞접되거나 또는 바로 아래에 있다. 립(4062)은 사용 중에 직접 인가된 힘으로부터 상부 에지(4060)를 보호하여,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층간박리 또는 다른 전위(dislocation)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23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제2 벽(3099)(즉, 내부벽)은 제2 겉창 구성요소의 제1 벽(3092)(즉, 외부벽)보다 멀리 제2 겉창 구성요소의 제2 기부(309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내부벽(3099)에서 블래더 요소(3040)를 위한 지지는 압축 및 변형 중에 블래더 요소(3040)의 내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블래더 요소(3050)의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는, 외부벽보다 더 멀리 제1 겉창 구성요소(3070)의 내부벽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하는 내부벽을 갖고, 유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리세스(4050)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내부벽(3087)의 하면을 가로질러 그리고 외부면을 따라 위로 연장한다. 이에 따라,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내부벽(3099)의 두께(T2)의 단지 일부만이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내부벽(3087)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대안적으로, 리세스(4050)는 내부벽(3087)이 리세스 없이 구성될 수도 있도록 하면에서 종료할 수도 있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외부벽(3085) 및 내부벽(3087)의 모두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테이퍼진 상단부(4070, 4072)를 가져, 블래더 요소(3140)로부터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층간박리를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는 제1 벽(4010)에서 테이퍼진 상단부(4073)를 갖고 유사하게 구성된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70)의 상단부(4074)는 도 14 및 도 22에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래더 요소(3050)의 하부 폴리머 시트(3146)의 관형부의 내부벽을 따라 관형부에 인접한 하부 폴리머 시트(3146)의 하부면으로 위로 계속되어, 블래더 요소(3150)의 내부벽에 대해 최대 지지를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밑창 구조체(3131) 및/또는 밑창 구조체(3132)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비성형된 제1 겉창 구성요소(3160)를 열성형 몰드(6012, 6014) 내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7에서, 열성형 몰드는 상부 몰드(6012) 및 하부 몰드(6014)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5 및 도 26에 관하여 설명되고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는, 기부의 하면(3081)의 제1 부분(3082)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체형 트레드 요소(3135)를 갖고 기부(3083)를 갖고, 어떠한 트레드 요소도 갖지 않는 하면(3081)의 제2 부분(3084)을 갖고, 그리고 기부(3083)와 일체형이고 하면의 제2 부분(3084)에 인접한 벽(3085)을 갖고 예비성형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예비성형된"이라는 것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가 열성형 프로세스 전에[즉, 열성형 몰드(6012, 6014) 내에 배치 전에] 특징부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하부 몰드(6014)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배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설정 마커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몰드면(6018)은 위치설정 마커(6024)를 갖고,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하부 몰드(6014) 내에 배치하는 것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사전결정된 부분을 위치설정 마커(6024)에 배치하여, 이에 의해 열성형 몰드(6014) 내에서 사전결정된 위치에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배향하는 것을 포함한다. 위치설정 마커(6024)는 제2 몰드면(6018) 내의 캐비티이고,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사전결정된 부분은 트레드 요소(3135) 중 하나이다. 다른 대안적인 위치설정 마커가 위치설정 마커(6024) 대신에 또는 추가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방법은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갖는 열성형 몰드(6012, 6014) 내에 폴리머 재료를 배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폴리머 재료는 완성된 신발류 물품 내의 이들의 상대 위치에 기인하여 상부 폴리머 시트 및 하부 폴리머 시트라 또한 칭하는 제1 폴리머 시트(3144) 및 제2 폴리머 시트(3146)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폴리머 재료는 프리폼(예를 들어, 시트 형태가 아닌 폴리머 재료)일 수도 있다.
열성형 몰드(6012, 6014)는 이어서 도 2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몰드(6012, 6014)를 함께 배치하여 폴리머 재료[즉, 시트(3144, 3146)의 에워싸인 부분 및 상부 몰드(6012)의 몰드면(6026)과 하부 몰드(6014)의 몰드면(6018) 사이에 형성된 몰드 캐비티(6028) 내의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에워쌈으로써 폐쇄된다. 방법은 이어서, 폴리머 재료의 제1 부분[즉, 제1 시트(3144)의 에워싸인 부분]을 열성형 몰드의 제1 몰드면[즉, 표면(6026)]에 합치하고 폴리머 재료의 제2 부분[즉, 제2 시트(3146)의 에워싸인 부분의 하면(3080)]을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상부면(3088)에 그리고 제1 시트(3144)와 제2 시트(3146) 사이에 내부 캐비티(3142)를 갖는 제2 몰드면(6018)에 합치하기 위해 진공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합된 열성형 및 진공 성형 프로세스에 의해 시트(3144, 3146)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28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립(4062)은 몰드면(6018)에 대해 압축될 때 명백하지 않다. 내부 캐비티(3142)는 열성형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즉, 열성형 몰드(6012, 6014)로부터 블래더 요소(3140) 및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제거 후에] 팽창될 수도 있다. 간극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하면과 몰드면(6018) 사이에 존재하여 열성형 후에 밑창면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폴리머 재료가 제1 및 제2 폴리머 시트(3144, 3146)인 실시예에서, 방법은 이어서 내부 캐비티(3142)를 에워싸도록 제1 폴리머 시트(3144)를 제2 폴리머 시트(3146)에 열접합하는 것, 및 제2 폴리머 시트(3146)의 하부면(3080)을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상부면(3088)에 열접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폴리머 시트(3144, 3146)는 협지면(6030)과 시임-형성면(6070) 사이에 형성된 주연 플랜지(3148) 주위에서 그리고 유체 충전 내부 캐비티(3142)의 부분들 사이의 웨브 영역(3147)에서 서로 열접합된다. 몰드(6012, 6014)가 폐쇄됨에 따라, 협지면(6030)은 제2 시임-형성면(6070)의 부분에 대해 접촉하여 슬라이드한다. 협지면(6030)과 제2 시임-형성면(6070) 사이의 접촉은 블래더 요소(3140)를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제1 및 제2 폴리머 시트(3144, 3146)의 과잉 부분(6810, 6820)을 효과적으로 절단한다. 제1 폴리머 시트(3144) 및 제2 폴리머 시트(3146)를 형성하는 재료는 압밀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집합되어 플랜지(3148)를 형성한다. 플랜지(3148)를 형성하는 것에 추가하여, 제1 폴리머 시트(3144) 및 제2 폴리머 시트(3146)는 (a) 블래더 요소(3140)를 생성하도록 성형되고, (b) 웨브 영역(3147)을 생성하도록 압축되어 결합된다.
열성형된 시트(3144, 3146)는 냉각되도록 허용되고, 이어서 몰드(6012, 6014)는 상부 및 하부 몰드(6012, 6014)를 분리함으로써 개방되고, 열접합된 상부 및 하부 폴리머 시트(3144, 3146) 및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는 사전결정된 냉각 기간 후에 유닛으로서 몰드(6012, 6014)로부터 제거된다. 몰드(6012, 6014)가 다수의 밑창 구조체(3131, 3132)를 동시에 몰딩하도록 구성되면, 부가의 트리밍이 플랜지(3148) 주위에 또는 인접한 밑창 구조체 사이에 필요할 수도 있다. 부착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를 갖는 블래더 요소(3140)는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열성형 후에 그리고 부착 전에 팽창될 수도 있고, 또는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부착 후에 팽창될 수도 있다.
제1 겉창 구성요소(3060)가 블래더 요소(3140)에 부착된 후에,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하면(3080)의 제2 부분(3084) 상에 위치설정된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를 위치설정하는 것은 리세스(4050) 내에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를 포개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포개넣음은 도 15의 겉창 구성요소(3062) 중 하나에 관하여 지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세스(4050)의 상부 영역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립(4062)에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상부 에지(4060)를 맞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의 상부 에지(4060)는 도 15,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세스(4050) 내에서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의 립(4062)에 맞접된다. 제2 겉창 구성요소(3062)는 제1 겉창 구성요소(3060)에 접착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류 갑피(3120)는 이어서 제1 폴리머 시트(3144)의 상부면(4041)에 고정된다. 도 15에서, 플랜지(3148)는 밑창 구조체(3130)의 외측면에 도시되어 있고, 갑피(3120)의 하부 외측면에 접착된다.
방법은 전족부 밑창 구조체(3131)에 관하여 설명되었다. 방법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를 사출 성형하는 것, 블래더 요소(3150)를 진공/열성형하고 열성형 몰드 내에서 블래더 요소(3150)에 제1 겉창 구성요소(3070)를 열접합하는 것,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겉창 구성요소(3072)를 제1 겉창 구성요소(3070)에 부착하는 것, 및 이어서 뒤꿈치 밑창 구조체의 전방 에지(3110)가 전족부 밑창 구조체의 후방 에지(3112)에 인접한 상태로 뒤꿈치 밑창 구조체(3132)를 갑피(3120)의 뒤꿈치 구역에 고정하는 것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교시의 다수의 양태를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모드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이들 교시가 관련되는 분야의 숙련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있는 본 발명의 교시를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양태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모든 요지는 한정적으로서가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0: 신발류 물품 120: 갑피
122: 신발끈 123: 설포
130: 밑창 구조체 135: 지면 결합 돌기
140: 유체 충전 챔버 160: 겉창
300: 몰드 310: 제1 몰드
320: 제2 몰드부 410: 제1 폴리머층

Claims (16)

  1. 신발류 물품용 밑창 구조체로서,
    유체-충전 내부 캐비티를 에워싸는 블래더 요소를 포함하는 중창; 및
    상기 블래더 요소에 부착된 내부면을 갖는 겉창 구성요소로서, 겉창 구성요소의 상기 내부면 상의 상호연결 홈을 포함하는 겉창 구성요소
    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구성요소는 제1 겉창 구성요소이고,
    상기 제1 겉창 구성요소의 하면에 부착된 제2 겉창 구성요소
    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사출 성형 중에 상기 겉창 구성요소의 상기 내부면 상에 형성되거나 몰딩 후에 재료의 제거에 의해 상기 내부면에 구비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구성요소는 상기 홈과 유체 연통하는 가스 탈기 개구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탈기 개구는 상기 겉창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겉창 구성요소의 내부면으로부터 외부면으로 연장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구성요소는 제1 겉창 구성요소이고,
    상기 가스 탈기 개구 위에서 상기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상기 외부면에 고정된 제2 겉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겉창 구성요소는 일체형 트레드 요소를 갖고, 상기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일체형 트레드 요소를 갖는 것인 밑창 구조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탈기 개구는 상기 홈의 저부에 있는 것인 밑창 구조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선형인 것인 밑창 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크로스 해치 패턴(crosshatched pattern)으로 배열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구성요소는 전족부 겉창 구성요소인 것인 밑창 구조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구성요소는 뒤꿈치 겉창 구성요소인 것인 밑창 구조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래더 요소는 유체-충전 내부 캐비티를 에워싸는 폴리머 블래더 요소인 것인 밑창 구조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블래더 요소는 상기 밑창 구조체의 외주부로부터 안쪽으로 호를 이루는 아치형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치형 부분은 상기 외주부에 외부 만곡벽 및 상기 외부 만곡벽의 안쪽에 내부 만곡벽을 가지며;
    상기 겉창 구성요소는 블래더 요소의 상기 아치형 부분의 하면에 고정된 제1 기부, 상기 제1 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블래더 요소의 아치형 부분의 외부 만곡벽에 고정된 외부 만곡벽, 및 상기 제1 기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블래더 요소의 아치형 부분의 내부 만곡벽에 고정된 내부 만곡벽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겉창 구성요소는 제1 겉창 구성요소이고,
    상기 밑창 구조체는 제2 겉창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겉창 구성요소는 상기 제1 기부에 고정된 제2 기부, 상기 제1 겉창 구성요소의 외부 만곡벽에 고정된 외부 만곡벽, 및 상기 제1 겉창 구성요소의 내부 만곡벽에 고정된 내부 만곡벽을 포함하는 것인 밑창 구조체.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밑창 구조체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227029484A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486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70,082 2016-03-15
US15/070,082 US9981437B2 (en) 2013-02-21 2016-03-15 Article of footwear with first and second outsole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KR1020227000540A KR102438339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PCT/US2017/022116 WO2017160730A1 (en) 2016-03-15 2017-03-13 Article of footwear with first and second outsole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540A Division KR102438339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151A true KR20220123151A (ko) 2022-09-05
KR102486219B1 KR102486219B1 (ko) 2023-01-09

Family

ID=5838798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540A KR102438339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07021375A KR102283245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27029484A KR102486219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187028880A KR102140735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17022350A KR102350866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0540A KR102438339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07021375A KR102283245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880A KR102140735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217022350A KR102350866B1 (ko) 2016-03-15 2017-03-13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3) EP3797630B1 (ko)
JP (1) JP3221315U (ko)
KR (5) KR102438339B1 (ko)
CN (6) CN110507028B (ko)
DE (1) DE212017000087U1 (ko)
WO (1) WO2017160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37945B (zh) 2017-12-14 2021-09-0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用於鞋類物品之鞋底結構(二)
CN109822955A (zh) * 2019-03-21 2019-05-31 东莞市佳栓实业有限公司 一种反重力平衡按摩式缓冲对流气囊垫及其生产工艺
WO2020243398A1 (en) * 2019-05-30 2020-12-03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210195996A1 (en) * 2019-12-30 2021-07-01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CN115697121A (zh) * 2020-07-13 2023-02-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用于向前动量的鞋底夹层突起和弧形轮廓的鞋底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0276A1 (en) * 2013-02-21 2014-08-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hamber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 System
US20150272271A1 (en) * 2013-02-21 2015-10-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Fluid-Filled Chamber And An Outsole, The Sole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A (en) 1848-08-15 Machinery for
US3974578A (en) * 1975-07-23 1976-08-17 Oettinger Peter E Tennis shoe toe cup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FR2633810B1 (fr) * 1988-07-11 1990-09-28 Patrick International Procede et moule pour fabriquer par vulcanisation une semelle d'usure de chaussure en au moins deux couches sensiblement horizontales de couleurs differentes ´ semelle ainsi obtenue
US4936029A (en)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KR940007399Y1 (ko) * 1991-11-01 1994-10-20 권주환 신발바닥창
US5367791A (en) * 1993-02-04 1994-11-29 Asahi, Inc. Shoe sole
US6453577B1 (en) * 1996-02-09 2002-09-24 Reebok International Ltd. Support and cushio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US6266897B1 (en) * 1994-10-21 2001-07-31 Adidas International B.V. Ground-contacting systems having 3D deformation elements for use in footwear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CA2222097C (en) 1995-06-07 2009-03-24 Nike International Ltd.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6009637A (en) * 1998-03-02 2000-01-04 Pavone; Luigi Alessio Helium footwear sole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684532B2 (en) * 2001-11-21 2004-02-03 Nike, Inc. Footwear with removable foot-supporting member
US7131218B2 (en) * 2004-02-23 2006-11-07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incorporating a foam tensile member
US6754982B2 (en) * 2001-11-30 2004-06-29 Wolverine World Wide, Inc. Shoe cushion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040143995A1 (en) * 2003-01-23 2004-07-29 Mcclelland Larry W. Direct attach footwear construction
US7141131B2 (en) * 2003-12-23 2006-11-28 Nike, Inc. Method of making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7562469B2 (en) * 2003-12-23 2009-07-21 Nike, Inc. Footwear with fluid-filled bladder and a reinforcing structure
US7197840B2 (en) * 2005-02-25 2007-04-03 Wolverine World Wide, Inc. Footwear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070039209A1 (en) * 2005-08-22 2007-02-22 Fila Luxembourg S.A.R.L.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ustomized shoe
US7752772B2 (en) * 2006-01-24 2010-07-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US7644517B2 (en) * 2006-06-16 2010-01-12 Nike, Inc. Modular article of footwear
US9192211B2 (en) * 2007-08-30 2015-11-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elements having different compressibilities
US8572867B2 (en) * 2008-01-16 2013-11-05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reinforcing element
US9987814B2 (en) * 2013-02-21 2018-06-05 Nike, Inc. Method of co-molding
US9144268B2 (en) * 2010-11-02 2015-09-29 Nike, Inc. Strand-wound bladder
US10010136B2 (en) * 2011-03-16 2018-07-03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chambers
US20120311887A1 (en) * 2011-06-10 2012-12-13 Peter Wong Therapeutic Shoe Sol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179733B2 (en) * 2011-12-23 2015-11-1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elevated plate sole structure
US10034517B2 (en) * 2011-12-29 2018-07-3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10806214B2 (en) * 2013-03-08 2020-10-20 Nike, Inc. Footwear fluid-filled chamber having central tensile feature
CN104106870A (zh) * 2013-04-22 2014-10-22 苏恒贤 适合水中活动的鞋
US20150040436A1 (en) * 2013-08-09 2015-02-12 Wolverine World Wide, Inc. Article of footwear
US10076156B2 (en) * 2014-08-27 2018-09-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oil-shedding performance
WO2016144648A1 (en) * 2015-03-09 2016-09-15 Nike Innovate C.V. Method of co-mo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30276A1 (en) * 2013-02-21 2014-08-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hamber System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Chamber System
US20150272271A1 (en) * 2013-02-21 2015-10-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Fluid-Filled Chamber And An Outsole, The Sole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71261A (zh) 2021-06-18
CN110477507B (zh) 2022-01-28
CN108882779A (zh) 2018-11-23
KR102350866B1 (ko) 2022-01-14
JP3221315U (ja) 2019-05-23
CN110477507A (zh) 2019-11-22
CN110507028B (zh) 2024-05-24
KR20180121592A (ko) 2018-11-07
EP3429391B1 (en) 2020-11-25
KR102140735B1 (ko) 2020-08-03
KR102486219B1 (ko) 2023-01-09
EP3429391A1 (en) 2019-01-23
EP3797630B1 (en) 2022-08-03
KR102438339B1 (ko) 2022-08-30
KR20200091946A (ko) 2020-07-31
DE212017000087U1 (de) 2018-10-18
WO2017160730A1 (en) 2017-09-21
CN114451624A (zh) 2022-05-10
CN108882779B (zh) 2021-12-28
KR102283245B1 (ko) 2021-07-29
CN114403546A (zh) 2022-04-29
CN110507028A (zh) 2019-11-29
KR20220005656A (ko) 2022-01-13
EP4111899A1 (en) 2023-01-04
EP3797630A1 (en) 2021-03-31
KR20210092330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42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first and second outsole compone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KR102438339B1 (ko) 제1 및 제2 겉창 구성요소를 갖는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US1197462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bonded to cushion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KR102204726B1 (ko) 신발류 물품 및 신발류 물품의 제조 방법
KR101843999B1 (ko) 밑창 플레이트 조립체 및 제조 방법
US20150272271A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Including a Fluid-Filled Chamber And An Outsole, The Sole 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WO2016144649A1 (en) A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fluid-filled chamber and an outsol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EP3267828B1 (en) Method of co-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