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086A -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086A
KR20220122086A KR1020210026268A KR20210026268A KR20220122086A KR 20220122086 A KR20220122086 A KR 20220122086A KR 1020210026268 A KR1020210026268 A KR 1020210026268A KR 20210026268 A KR20210026268 A KR 20210026268A KR 20220122086 A KR20220122086 A KR 20220122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knee
frame
posture
kne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908B1 (ko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9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61B6/0421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with immobil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87Motor-assisted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nipulator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피검자의 자세를 제공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KNEE JOINT ASSISTANT DEVICE FOR RADIOGRAPHIC}
본 발명은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피검자의 자세를 제공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임상에서 무릎관절통을 포함한 각종 무릎 관련 질환에 대한 병변 유무를 관찰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사선을 이용한 일반 방사선 검사, MRI 검사, 골주사 검사, 관절액 검사, 관절경 진단을 이용하는 검사 등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 중, 비용적인 측면과 검사 효율성을 고려해 저렴하고 피검자의 신체에 부담이 적은 일반 방사선 검사가 주로 이용된다.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는 체중 부하 검사 기법의 하나인 Rosenberg Method(이하, 로젠버그 법이라 한다)를 토대로 이루어진다.
로젠버그 법은 무릎 관절에 하중을 주어 경골대퇴골의 관절 사이에 관절염 유무를 확인하는 기법으로, 통상, 피검자를 방사선 검출기와 발생기 사이에서 무릎을 일정 각도로 구부리게 한 뒤 검사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로젠버그 법은 피검자의 무릎을 구부리는 정도, 방사선의 방향 등을 결정하는 기준이 모두 방사선사의 경험을 토대로 결정되기 때문에 객관성 문제로, 의학적 진단 가치 및 신뢰도를 보장하기 힘들었으며 이에, 정확한 무릎 병변 진단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로젠버그 법으로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피검자가 무릎을 구부린 엉거주춤한 상태에서 방사선 촬영을 위해 소정 시간 버티고 있어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들 뿐 아니라 피검자가 자세 유지가 버거워 몸이 흔들리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면 방사선 촬영이 이뤄질 수 없고 방사선 촬영이 이뤄진다 해도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무릎 관절을 검사하는 피검자의 대부분은 무릎 통증을 수반하므로, 이러한 자세가 피검자에게는 부담이 되거나, 자의적으로 이러한 자세를 취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피검자의 무릎을 소정 각도로 기울이게 하는 절곡형 판상의 보조기구가 사용되기도 하나, 피검자마다 신장, 체형이 상이하고 그에 따라 맞춤으로 검사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상기 보조기구는 획일화된 각도로 고정된 기구로써 피검자마다의 각기 다른 촬영 조건에 부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보조기구는 단지 무릎을 구부린 상태를 기댈 수 있는 거치의 기능에 한정될 뿐 정작 피검자에 맞춰 정확한 방사선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것에는 불가한 실상이므로, 피검자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각기 다른 피검자의 체형에 맞춰 정확한 무릎 관절의 방사선 촬영을 할 수 있는 촬영 보조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10-142531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제공하고, 아울러, 피검자의 체형, 신체조건, 질환 상태 등에 따라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와 무릎 관절이 거치되는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편의를 보장하며, 나아가, 정확한 검사를 통해 무릎관절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신뢰도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무릎 자세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사선 발생기와 방사선 검출기 사이에서 기립한 상태의 피검자의 무릎 관절부위를 일정 각도로 고정 지지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있어서, 일정 각도로 굽혀진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지지프레임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가동프레임을 위치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고정대; 상기 가이드홀에 접속되어 가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대; 및 내각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져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 부위를 수용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대와 가동대에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의 전방에는 하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동대는, 내부로 상기 가동프레임을 수용하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가동브라켓; 및 상기 가동브라켓과 가동프레임의 가이드홀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며 전방에는 상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상기 상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상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상판이 결합되는 상부암; 및 일단에 상기 하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하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하판이 결합되는 하부암;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타단은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하중 부하 자세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제공하고, 아울러, 피검자의 체형, 신체조건, 질환 상태 등에 따라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와 무릎 관절이 거치되는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편의를 보장하며, 나아가, 정확한 검사를 통해 무릎관절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신뢰도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거치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가동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가동대와 지지프레임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가동프레임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가동대의 하방이동에 따라 거치대의 내각이 조절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가이드실린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y), 좌우(x), 전후(z)를 나누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본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이하, 무릎 자세 보조기라 함)은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를 하기 위해 피검자의 무릎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방사선 발생기(R2)와 방사선 검출기(R1) 사이에서 기립한 상태의 피검자의 무릎 관절부위를 일정 각도로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무릎 자세 보조기 전방으로 방사선 검출기(R1)가, 후방으로 방사선 발생기(R2)가 위치하고, 피검자는 무릎 자세 보조기의 후방에서 기립한 상태로 방사선 촬영을 위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자세 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거치부(100) 및 지지프레임부(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먼저, 지지프레임부(200)는 해부학적인 무릎 관절의 높이를 고려하여 촬영실 지면에 상기 거치부(100)를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히. 거치부(100)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부(200)는 좌우로 일정 거리 평행 이격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거치부(100)의 좌우 양 측을 각각 지지한다.
각각의 지지프레임부(200)는 지지프레임부(20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210), 상기 고정프레임(210)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홀(221)이 형성되는 가동프레임(220) 및 상기 고정프레임(210) 상에 가동프레임(220)을 위치고정하는 고정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정프레임(210)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가동프레임(220)의 하단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10)의 하단에는 무릎 자세 보조기가 지면에서 전도되지 않도록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지지다리(211)가 분기 형성되어 지면과의 지지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지지다리의 하면에는 지면에 흡착되기 위한 흡착판이 형성되어 지지다리(211)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210)에는 나사산을 가지는 고정구(2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30)가 상기 고정구(21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되어 고정프레임(210)에 수용된 가동프레임(220)의 외면을 압입할 수 있다.
가동프레임(220)은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내부 공간과 상보적인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210)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전, 후 면에 각각 상기 가이드홀(221)이 관통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홀(221)은 가동프레임(22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후술 될 가동대(120)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며, 특히, 상기 가이드홀(221)에는 후술 될 가동대(120)의 세부 구성 중 가이드실린더(122)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가동프레임(220)은 고정프레임(210)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210)의 내부 또한 이와 상보적인 각진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부재(230)는 상기 고정구(212)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프레임(210)을 관통해 고정프레임(210) 내부로 삽입된 가동프레임(220)의 표면을 압입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볼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부재(230)를 고정구(212)에 가동프레임(220) 방향으로 깊게 삽입할 경우, 고정구(212)에 삽입된 고정부재(230)의 단부가 고정프레임(210)에 삽입된 가동프레임(220)의 외면을 보다 강하게 압입하여 가동프레임(220)의 위치가 구속되고, 반대로, 고정부재(230)를 가동프레임(220)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고정구(212)에서 풀어줄 경우 고정부재(230)의 단부가 가동프레임(220)에서 이격되어 가동프레임(220)의 구속이 풀리고, 이에, 가동프레임(220)이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가동프레임(220)은 거치부(100)를 지지한 채로 상기 고정프레임(2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프레임(220)의 높낮이 조절으로 거치부(100)의 상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거치부(100)는 일정 각도로 굽혀진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가 거치되는 부위로, 피검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무릎 관절 부위의 상대 높이도 피검자들마다 각기 다른바, 가동프레임(220)의 상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거치부(100)의 상대 높낮이가 피검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조절 가능하게 된다.
즉, 다양한 연령대 및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가진 피검자의 일반 방사선 검사시, 무릎 관절의 위치에 대응해 거치부(100)의 상하 높낮이를 보다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피검자의 무릎 부위를 최적의 위치에서 보조하여, 피검자가 보다 편히 검사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거치부(100)는 검사 목적 등에 따라 피검자의 무릎 관절이 설정된 각도로 자연스럽게 굽혀질 수 있도록 유도하여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별다른 어려움 없이 방사선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지토록 할 수 있다.
피검자가 거치부(100)의 후방에 기립한 상태에서 거치부(100)에서 향해 무릎 관절을 미세하게 굽혀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를 거치부(100)에 밀착하게 되면 설정된 거치부(100)의 내각 각도(θ)에 맞게 무릎 관절이 자연스럽게 굽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자세 보조기의 경우 피검자를 별도 의자에 앉히거나 또는 침대에 뉘여 방사선 검사를 위한 자세를 취하도록 보조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방사선 검출기(R1) 후방에 선 상태에서도 무릎 관절에 부하가 가해지는 자세를 간편하게 취할 수 있도록 피검자를 보조하는 것이다.
즉, 피검자가 휠체어를 탄다거나, 특별한 사정, 예컨대, 거동에 제한이 있어 의료용 침대나 의자에 쉽게 오르내릴 수 없는 케이스의 방사선 검사에 있어 보다 효용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피검자가 의자에 앉거나 침대에 누워 무릎 관절을 검사하게 될 경우, 무릎 관절에 피검자의 체중 부하가 실리지 못하게 되는 관계로, 정확한 영상을 얻는데 한계가 있다.
아울러, 무릎 관절 보조기에 부수적으로 수반되는 의자나 침대 등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점유공간을 보다 작게 차지하고, 구조가 대폭 간소화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전방위란 무릎 관절의 전방 부위를 의미하며, 여기에, 슬개골과 같은 골조직도 포함된다.
이에, 거치부(100)에 피검자의 무릎 관절을 굽혀 거치하게 되면 슬개골이 거치부(100)에 밀착 고정되므로, 가동관절인 슬개골의 위치고정에 보다 탁월하여, 전체적인 무릎 관절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방사선 영상의 노이즈 발생을 줄여 정확한 진단을 위한 자료로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1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프레임(220)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고정대(110), 가이드홀(221)에 접속되어 가동프레임(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대(120) 및 내각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져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 부위를 수용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대(110)와 가동대(120)에 볼조인트 방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거치대(130)는 중앙 부분이 방사선 검출기(R1)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자 형태로 이루어져 후방으로 내각을 형성하고, 이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을 수용한다.
거치대(130)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반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어 내각의 각도조절을 가능케 하며 통상의 로젠버그 법에 있어 수평선에 대해 대퇴부가 이루는 각을 45°로, 수평선에 대해 하퇴부가 이루는 각을 45°도로 유도해야 하는바, 내각은 대략 90°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이러한 내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내각의 조절을 위한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거치대(130)의 상단은 가동대(120)에, 하단에 고정대(110)에 각각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고정대(110)의 경우 가동프레임(220) 상에 위치고정되고, 가동대(120)의 경우 가동프레임(220)에서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가동대(120)를 상하로 움지일 경우, 이와 연동해 거치대(130)의 상단이 상하로 위치이동하면서 거치대(130)의 중앙이 접히거나 또는 전개되며 거치대(130)의 내각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치대(130)의 양 단이 각각 고정대(110)와 가동대(120)에 볼조인트 방식으 연결 구성되므로, 내각이 변화함에 따라 거치대(130)의 양 단 위치이동을 탄력적으로 수용 가능한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고정대(110)는 가동프레임(220)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전방에는 거치대(130)의 하단이 연결되는 하부볼삽입구(11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가동대(120)는 전술한 고정대(110)와 달리, 가동프레임(220)에서 상하로 가이드될 수 있으며, 가동프레임(220)의 특정 높이에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동시에, 거치대(130)의 상단을 견인하여 거치대(13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써 거치대(130)의 내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동대(120)는 내부로 상기 가동프레임(220)을 수용하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가동브라켓(121) 및 상기 가동브라켓(121)과 가동프레임(220)의 가이드홀(221)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며 전방에는 상부볼삽입구(122a)가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가동브라켓(121)은 가동프레임(220)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후면에는 가이드실린더(122)의 일부가 통과되는 통과홀(121a)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가동브라켓(121)이 가동프레임(22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 상기 통과홀(121a)과 가이드홀(221)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서로 연통된 지점으로 가이드실린더(122)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실린더(122)의 후단은 가동브라켓(121)의 후방으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으며, 이 노출부위를 검사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가동대(120)를 상하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가이드실린더(122)의 전방에 형성된 상부볼삽입구(122a)는 가동브라켓(121)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여기로 거치대(130)의 상단,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 될 상부볼(131a)이 연결된다.
한편, 거치대(130)는 일단에 상기 상부볼삽입구(122a)에 접속되는 상부볼(131a)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상판(132)이 결합되는 상부암(131) 및 일단에 상기 하부볼삽입구(111)에 접속되는 하부볼(133a)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하판(134)이 결합되는 하부암(133)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암(131)과 하부암(133)은 상판(132)과 하판(134)을 각각 가동대(120)와 고정대(110)에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한 쌍의 지지프레임부(200)에 대응하여 각각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상판(132)의 좌우 양 측에 상부암(131)이, 하판(134)의 좌우 양 측에 하부암(133)이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암(131)의 일단에 형성된 상부볼(131a)은 가이드실린더(122)의 상부볼삽입구(122a)에, 하부암(133)의 일단에 형성된 하부볼(133a)은 고정대(110)의 하부볼삽입구(111)에 각각 볼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판(132)과 하판(134)은 평평한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판(132)에는 피검자의 대퇴부가, 하판(134)에는 하퇴부가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판(132)과 하판(134)의 일단은 서로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지고, 타단은 힌지핀(135)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판(132)과 하판(134)의 타단에는 각각 상부힌지대(132a)와 하부힌지대(13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핀(135)이 상기 상부힌지대(132a)와 하부힌지대(134a)에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판(132)과 하판(134)이 힌지핀(135)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서로 접철 가능한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판(132)과 하판(134) 사이에는 상판(132)과 하판(134) 사이의 내각을 측정하는 각도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볼(131a)과 하부볼(133a)은 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볼(131a)과 하부볼(133a)이 각각 접속되는 상부볼삽입구(122a)와 하부볼삽입구(111)는 상부볼(131a)과 하부볼(133a)이 구름될 수 있도록 구 형태와 상보적인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대(120)의 상하 높낮이 조절에 의해 상부암(131) 및 하부암(133)의 각도변화가 수반되면 상부암(131)과 하부암(133)의 일단이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지점,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볼(131a)은 상부볼삽입구(122a)에서, 하부볼(133a)은 하부볼삽입구(111)에서 각각 구름되어 상부암(131)과 하부암(133)의 각도변화를 탄력적으로 수용 가능한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정리하면, 가동대(120)를 고정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부로 이동시게 되면 상판(132)과 하판(134)이 힌지핀(13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여 전개되면서 내각의 각도(θ)가 커지게 되며, 반대로, 가동대(120)를 고정대(110)와 근접 위치하도록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판(132)과 하판(134)이 힌지핀(135)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하여 접혀지면서 내각의 각도(θ)가 작아지게 된다.
한편, 가동대(120)는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지만, 가동프레임(220)의 특정 높이에서 반드시 위치구속이 이루어져야 거치대(130)에 피검자의 무릎 관절이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실린더(122)는 전방으로 상기 상부볼삽입구(122a)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홀(121a)에 삽입되지 아니하고, 가동브라켓(121)의 전면에 걸림 지지되는 헤드(122b), 상기 헤드(122b)에서 상기 통과홀(121a)과 가이드홀(221)을 관통해 연장되는 바디(122c) 및 상기 바디(122c)에서 가동브라켓(12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을 구비한 스크류핸들(122d)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로 노출된 스크류핸들(122d)에는 상기 가동브라켓(121)의 후면에 접하는 플랜지(122g)가 형성된 너트부재(122e)가 체결될 수 있다.
즉, 검사자는 내각 조절을 위해 후방으로 노출된 스크류핸들(122d)을 손으로 파지한 뒤, 가동대(120)를 상하로 이동시켜 내각의 각도(θ)를 결정하고, 특정 높이에서 가동대(120)의 위치고정을 위해 너트부재(122e)를 스크류핸들(122d)에 체결하게 되면 너트부재(122e)가 헤드(122b)를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면서 너트부재(122e)의 플랜지(122g)가 가동브라켓(121)의 후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동시에, 가이드실린더(122) 자체가 너트부재(122e) 방향으로 견인되므로 헤드(122b)가 가동브라켓(121)의 전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즉, 헤드(122b)와 너트부재(122e)가 각각 가동브라켓(121)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압박하게 되어 가동대(120)가 가동프레임(220) 상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히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122b)에는 상부볼삽입구(122a)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절개된 상부절개구(122f)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절개구(122f)는 상부볼삽입구(122a)에서 하방을 향해 일정 부분 절개 형성되어 상부암(13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가동대(120)가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경우 가동대(120)와 고정대(110)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고, 상부암(131)과 하부암(133) 사이의 내각 각도(θ)도 이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2점쇄선과 같이 상부암(131)의 기울기가 가파르게 형성되어 상부암(131)의 일단이 헤드(122b)에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때, 상부암(131)이 상부절개구(122f)에 삽입되도록 하도록 함으로써 상부암(131)이 헤드(122b)에 간섭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일하게, 고정대(110)에는 하부볼삽입구(111)에서부터 외곽을 향해 절개된 하부절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절개구(112)는 하부볼삽입구(111)에서 상방을 향해 일정 부분 절개 형성되어 하부암(133)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하부절개구(112)의 작용 효과는 전술한 상부절개구(122f)와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자세 보조기는 피검자의 의지 또는 검사자의 경험을 토대로 한 감에 의존할 필요 없이, 피검자의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를 항상 일률적이고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로젠버그 법을 토대로 한 무릎 관절의 일반 방사선 검사에 최적화된 자세를 제공하고, 아울러, 피검자의 체형 및 신체조건, 질환 상태에 따라 무릎 관절의 굽힘 정도와 무릎 관절이 거치되는 위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편의를 보장하며, 나아가, 정확한 검사를 통해 무릎관절증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거치부
200: 지지프레임부
110: 고정대
120: 가동대
130: 거치대
210: 고정프레임
220: 가동프레임
111: 하부볼삽입구
121: 가동브라켓
122: 가이드실린더
221: 가이드홀

Claims (5)

  1. 방사선 발생기와 방사선 검출기 사이에서 기립한 상태의 피검자의 무릎 관절부위를 일정 각도로 고정 지지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에 있어서,
    일정 각도로 굽혀진 무릎 관절의 전방위 부위가 거치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지지프레임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가동프레임을 위치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가동프레임의 하부 외측에 장착되는 고정대;
    상기 가이드홀에 접속되어 가동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위치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대; 및
    내각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져 내각 부위로 무릎 관절 부위를 수용하며 양 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대와 가동대에 연결 설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전방에는 하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가동대는,
    내부로 상기 가동프레임을 수용하는 중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가동브라켓; 및
    상기 가동브라켓과 가동프레임의 가이드홀을 상호 관통해 체결되며 전방에는 상부볼삽입구가 함몰 형성되는 가이드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일단에 상기 상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상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상판이 결합되는 상부암; 및
    일단에 상기 하부볼삽입구에 접속되는 하부볼이 형성되며 타측으로 하판이 결합되는 하부암;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의 타단은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KR1020210026268A 2021-02-26 2021-02-26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KR102497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68A KR102497908B1 (ko) 2021-02-26 2021-02-26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268A KR102497908B1 (ko) 2021-02-26 2021-02-26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086A true KR20220122086A (ko) 2022-09-02
KR102497908B1 KR102497908B1 (ko) 2023-02-09

Family

ID=8328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268A KR102497908B1 (ko) 2021-02-26 2021-02-26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786B1 (ko) 2023-02-17 2023-12-1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과간와 후전축방향 방사선 촬영용 지지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587A (ja) * 2001-02-28 2002-09-10 Takazono Sangyo Co Ltd 医療用下腿保持装置
JP2011101662A (ja) * 2009-11-10 2011-05-26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膝関節撮像用架台
JP2013255536A (ja) * 2012-06-11 2013-12-26 Konica Minolta Inc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101425316B1 (ko) 2013-03-06 2014-08-0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뼈 x선 촬영 보조장치
JP2017006398A (ja) * 2015-06-23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X線タルボ撮影装置
KR20200104539A (ko) * 2019-02-27 2020-09-0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3587A (ja) * 2001-02-28 2002-09-10 Takazono Sangyo Co Ltd 医療用下腿保持装置
JP2011101662A (ja) * 2009-11-10 2011-05-26 Osakafu Keisatsu Kyokai Osaka Keisatsu Byoin 膝関節撮像用架台
JP2013255536A (ja) * 2012-06-11 2013-12-26 Konica Minolta Inc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101425316B1 (ko) 2013-03-06 2014-08-01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릎뼈 x선 촬영 보조장치
JP2017006398A (ja) * 2015-06-23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X線タルボ撮影装置
KR20200104539A (ko) * 2019-02-27 2020-09-04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슬개골 영상 진단을 위한 방사선 촬영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촬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786B1 (ko) 2023-02-17 2023-12-1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과간와 후전축방향 방사선 촬영용 지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7908B1 (ko)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41488B1 (en) Device for fixating a medical instrument.
US8840570B2 (en) Multi-section limb and ligament evalu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using same
JP4409806B2 (ja) 医療現像用下肢圧迫装置
US7908690B2 (en) Supine patient support for medical imaging
KR101569284B1 (ko) 의료영상검사용 신체부위고정장치
US11484254B2 (en) Floating patella sensor, knee stabilizer with same and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with same
US20140081181A1 (en) Robotic knee testing (rkt) device having decoupled drive capability and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the same
KR102497908B1 (ko) 방사선 촬영용 무릎 자세 보조기
JP4378552B1 (ja) 超音波プローブ支持装置
US7103930B1 (en) Device for the calibration and standardization of hip rotation
EP3484361A1 (en) Device for the examination of limb joints
WO2020184864A1 (ko) 다중 자세 교정이 가능한 복합 척추검사 보조장치
JP4374470B1 (ja) 超音波プローブ用の膝用音響整合器
JP2005168881A (ja) 被検者支持装置
US20130006243A1 (en) Pelvic support, base support having such a pelvic support and method to distract at least one lower extremity
WO2008141447A1 (en) Supine patient support for medical imaging
JP4495692B2 (ja) 生体固定装置
KR200450657Y1 (ko) 무릎관절 이완 측정용 의자
US20180333096A1 (en) Thigh Immobilizer for a Robotic Knee Testing Apparatus
KR20200010944A (ko) 엑스레이 촬영용 스트레스 검사장치
CN216535332U (zh) 下肢膝关节应力位x线拍片辅助装置
CN221711989U (zh) Pet/ct检查用辅助支撑装置
CN213551867U (zh) 一种影像科用婴幼儿胸透固定辅助装置
CN215914659U (zh) 一种x线检查固定器
KR102618235B1 (ko) 엑스레이 촬영용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