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057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057A
KR20220121057A KR1020210024985A KR20210024985A KR20220121057A KR 20220121057 A KR20220121057 A KR 20220121057A KR 1020210024985 A KR1020210024985 A KR 1020210024985A KR 20210024985 A KR20210024985 A KR 20210024985A KR 20220121057 A KR20220121057 A KR 20220121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nit
flow
wat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동현
이만석
윤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057A/ko
Priority to AU2022225883A priority patent/AU2022225883A1/en
Priority to PCT/KR2022/002653 priority patent/WO2022182127A1/en
Priority to EP22158396.6A priority patent/EP4050144A1/en
Priority to CN202410906311.8A priority patent/CN118773901A/zh
Priority to TW111106870A priority patent/TWI809734B/zh
Priority to US17/679,812 priority patent/US20220267944A1/en
Priority to CN202410906313.7A priority patent/CN118756478A/zh
Priority to CN202210172165.1A priority patent/CN114960146B/zh
Publication of KR2022012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수증기제거부로부터 응축수가 유입되며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부에 저장되는 상기 응축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수부 및 상기 집수부와 상기 저수부를 연결시켜 상기 집수부의 물을 상기 저수부로 안내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저수부를 연결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며, 다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관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캐비닛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를 세탁하는 세탁기, 건조하는 건조기, 및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실행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건조기의 경우 의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응축시켜 제거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부와 집수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와 집수부와 저수탱크를 연결하며 응축수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집수부에서 저장된 응축수는 배수관을 통하여 저수탱크로 이동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저수탱크를 인출하여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내부에는 드럼, 열교환기, 열풍유로부, 집수부 및 저수부 등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배수관 또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건조기는 배수관 전체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면 드럼, 열교환기, 열풍유로부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가 복잡해 질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캐비닛 내부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조기의 필요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건조기는 저수탱크가 구비되는 경우에 저수탱크에 저장되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저수부의 물을 집수부로 안내할 수 있는 리턴관을 포함할 수 있고, 리턴관 전체가 캐비닛 내부에 배치되면 드럼, 열교환기, 열풍유로부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가 복잡해 질 수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턴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캐비닛 내부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조기의 필요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수관의 일부가 리어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턴관의 일부가 리어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로 노출된 배수관을 덮도록 구비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로 노출된 리턴관을 덮도록 구비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집수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저수부와 외부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는 배수관의 일부가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배수관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리어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이 방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리턴관의 일부가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리턴관 중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리어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이 방지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리어플레이트,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에서 토출되는 상기 열풍으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하는 수증기제거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증기제거부로부터 응축수가 유입되며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부에 저장되는 상기 응축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수부 및 상기 집수부와 상기 저수부를 연결시켜 상기 집수부의 물을 상기 저수부로 안내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저수부를 연결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며, 다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며 다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는 리턴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로 연장되는 집수배수관과, 상기 집수배수관에서 상기 덕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배수노출관과, 상기 배수노출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와 연결되는 저수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리턴관은 상기 저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저수리턴관과, 상기 저수리턴관에서 상기 덕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턴노출관과, 상기 리턴노출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는 집수리턴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집수연결홀 및 상기 집수연결홀과 이격되어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저수연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배수관 및 상기 집수리턴관은 상기 집수연결홀을 관통하고, 상기 저수배수관 및 상기 저수리턴관은 상기 저수연결홀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리 덕트부의 외측에서 상기 덕트부를 둘러싸며 후방으로 함몰되는 리어커버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리어커버결합부보다 후방으로 더 함몰되며, 상기 집수연결홀 및 상기 저수연결홀은 상기 리어커버결합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덕트부 및 상기 리어커버결합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리어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배수노출관 및 상기 리턴노출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수노출관 및 상기 리턴노출관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노출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노출관을 유동하는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리어커버의 일측이 관통되어 상기 외부배출관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커버관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커버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개폐부는 상기 커버관통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개폐본체부 및 상기 개폐본체부를 상기 리어커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개폐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는 상기 드럼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저수부는 상기 드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집수배수관과 연결되며 상기 집수부의 상기 물을 상기 저수부로 운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배수관은 일부가 상기 저수부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저수부의 상부로 상기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부는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을 마주하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고 전방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열풍공급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로부터 상기 열풍을 공급받는 드럼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유입부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와 상기 열풍공급부를 연결시키며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유동부로 안내하는 팬덕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유동부에서 상기 열풍공급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팬덕트부가 배치되는 유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상기 유동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결합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드럼의 전면과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팬덕트부와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열풍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유로부는 상기 캐비닛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부 및 상기 저수부는 상기 일측면 보다 상기 타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되며, 상기 집수연결홀 및 상기 저수연결홀은 상기 일측면 보다 상기 타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결합부는 상기 유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동커버결합부 및 상기 유동커버결합부에서 상기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유동커버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연결홀 및 상기 저수연결홀은 상기 유동커버연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증기제거부를 세척하도록 구비되는 세척부 및 상기 집수배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에서 유입되는 상기 물을 상기 세척부 또는 상기 저수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수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캐비닛 내부에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턴관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캐비닛 내부의 공간 활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수관과 리턴관이 덕트부의 내부공간과 간섭이 방지되며 덕트부와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저수부와 외부배출관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외부로 집수부의 응축수를 배출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와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와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가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의 리어커버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리어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리어커버의 구동부리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과 도 14에 따른 리어커버가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부, 배수관, 및 리턴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과 리턴관을 덮도록 구비되는 리어커버와 커버개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에 연결된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와 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은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410), 양측면을 각각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141),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45) 및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147)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 측면플레이트(141), 상부플레이트(145) 및 하부플레이트(147)가 서로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0)은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후방에 리어플레이트(420)가 결합되어 내부가 차폐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캐비닛(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3을 참조하면, 리어플레이트(420)는 후방에 후술할 리어커버(430)가 결합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가 캐비닛(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리어커버(430) 및 리어플레이트(420)가 함께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캐비닛(100)은 내부가 리어플레이트(420)로 인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음에 따라, 내부에 드럼(200), 열풍공급부(900) 및 집수부(170)등이 배치될 수 있고 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된 구성들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 및 리어플레이트(420)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캐비닛(1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의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패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패널(11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의 전면에 결합되어 프론트플레이트(410)와 프론트플레이트(410)에 결합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방패널(11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함께 캐비닛(100)의 전면을 이룰 수 있다. 전방패널(11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전방패널(110)과 프론트플레이트(410)가 별개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전방패널(110)에는 후술하는 드럼(200)에 연통하도록 구비된 투입구(111) 및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11)를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방패널(110)에는 컨트롤패널(117)이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117)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18),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등의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부(1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명령은 일련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건조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17)에는 건조코스 또는 건조옵션을 수행하는 명령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118)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전력공급 요청부, 다수의 코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코스를 선택 가능하게 하는 코스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개시를 요청하는 실행 요청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119)는 텍스트(text) 및 도형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음성신호 및 음향의 출력이 가능한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수분을 별도로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부(7)는 전방패널(110)의 일측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저수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탱크는 후술하는 배수펌프에서 전달받은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수탱크를 캐비닛(100)에서 인출하여 응축수를 제거한 뒤, 다시 캐비닛(1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하수구 등이 설치되지 않는 장소에도 얼마든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저수부(7)는 도어(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저수탱크를 전방패널(110)에서 인출할 때 허리를 상대적으로 적게 굽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순환되는 순환유로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패널(110)에는 필터부재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필터장착홀(11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100)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M)와,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200) 내부에 물이 투입될 필요가 없고, 드럼(200) 내부에 응축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드럼(200)은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관통홀이 생략될 수 있다.
구동부(M)는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드럼(200)과 직접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M)는 DD(Direct Drive unit)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M)는 벨트와 풀리 등의 구성을 생략하여 드럼(200)을 직접 회전시킴으로써, 드럼(200)의 회전 방향 또는 드럼(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DD타입 세탁기인 경우에는 구동부(M)는 드럼(200)을 수용하는 터브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드럼(200)은 구동부(M)와 결합되어 터브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행정을 집중적으로 수행하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드럼(200)을 수용하기 위해 캐비닛(100)에 고정되는 터브(tub)가 생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 또는 구동부(M)를 캐비닛(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0)는 상술한 프론트플레이트(410) 및 리어플레이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드럼(2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드럼(200)의 전방과 후방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의 간격은 드럼(20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드럼(200)의 길이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드럼(200)은 전면이 개방되는 드럼투입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투입구(211)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전방패널(110)에 구비되는 투입구(111)와 연통될 수 있다. 구동부(M)는 드럼투입구(211)가 드럼(200)의 전면에 구비됨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에 설치되어 드럼(2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드럼(200)의 후면과 마주하는 영역에 구동부(M)가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부(M)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통해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드럼(20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드럼(20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200)의 전면은 프론트플레이트(410)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드럼(200)의 후면은 리어플레이트(420)에 이격되되 리어플레이트(420)에 장착되는 구동부(M)에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리어플레이트(4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드럼(200)이 지지부(400)에 접촉되거나 마찰되는 영역이 최소화되고 불필요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물론, 드럼(200)은 프론트플레이트(410)와 리어플레이트(420)에 모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을 기준으로 드럼(200)의 전면을 통해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는 드럼(200)의 외부를 거쳐 다시 드럼(200)의 후면을 통해 유입되는 순환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는 드럼 외부에 구비되어 드럼(200) 내부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도록 구비되고, 순환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열풍공급부(900)는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 내부에서 토출된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951)와, 증발기(951)를 경유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952)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는 응축기(952)를 경유한 공기를 드럼(200) 내부로 다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200) 내부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열풍공급부(900)에 의해 온도 및 수증기포함량 등이 변화하며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지속적인 순환을 통해 드럼(200)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드럼(200) 내부에 위치된 공기는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열풍일 수 있다. 즉, 열풍공급부(900)에 의해 성질이 변화하며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는 열풍이라고 할 수 있다. 공기와 열풍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드럼(200)은 열풍공급부(9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드럼(200)의 드럼투입구(211)가 캐비닛(100)의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럼(200) 내부에 위치한 의류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복수의 열교환기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열풍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열교환기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94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결합되어 간접적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구동부(M)에 직접 결합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의 드럼이 전방과 후방이 개방되어 구비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후방이 차폐되어 구동부(M)와 직접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드럼(200)은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210)와, 드럼바디(210)의 후방에 결합되어 드럼(200)의 후면을 형성하는 드럼후면(2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드럼후면(220)은 드럼(200)의 후면을 의미할 수 있다.
드럼후면(220)은 드럼바디(210)의 후방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구동부(M)의 드럼회전축(65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드럼후면(220)은 구동부(M)와 연결되어 드럼회전축(650)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드럼바디(2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드럼바디(210) 중 전방에는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투입구(211)가 형성되고 후방은 드럼후면(220)으로 차폐될 수 있다.
도 2는 부싱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부싱부(300)는 드럼후면(220)에 결합되거나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M)의 드럼회전축(650)은 부싱부(300)에 결합되며, 드럼후면(220)은 부싱부(300)를 통해 드럼회전축(650)과 결합될 수 있다. 드럼회전축(650)은 드럼후면(220)의 후방에 부싱부(300)를 통해 결합되거나 부싱부(300)를 통해 드럼후면(220)을 관통하여 전단이 드럼(200)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럼회전축(650)이 드럼(200) 내부를 관통하는 경우, 드럼회전축(650)의 전단은 드럼회전축(650)의 축방향으로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고정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드럼(200) 내부에는 드럼회전축(650)과 의류의 접촉을 방지하며, 열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캡이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벨트 등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드럼후면(220)이 구동부(M)에 직접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M)가 회전 방향을 바꾸거나 회전가속도가 크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드럼(200)은 즉각적으로 이를 반영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드럼바디(210)의 전방 또는 드럼투입구(211)를 수용하는 투입연통홀(412)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연통홀(412)의 외주면에는 드럼바디(210)를 수용하는 가스켓(413)이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413)은 드럼바디(210)의 드럼투입구(2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드럼투입구(211)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413)은 드럼바디(210)와 프론트플레이트(410) 사이로 드럼(200) 내부의 열풍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413)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가스켓(413)의 내주면에 추가로 결합되어 드럼바디(210)의 드럼투입구(211)에서 의류 또는 열풍이 프론트플레이트(410)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스켓(413) 또는 투입연통홀(412)의 내주면에는 드럼바디(210)와 연통하여 드럼바디(210)에 투입된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덕트연통홀(419)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내부에 덕트연통홀(419)과 열풍공급부(900)를 연결하는 프론트유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연통홀(419)은 드럼바디(210)에서 배출되는 열풍을 열풍공급부(9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프론트유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에서 토출된 이물질 또는 린트 등이 열풍공급부(900)에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드럼바디(210)의 외주면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휠(415)이 설치될 수 있다. 전방휠(415)은 드럼바디(210)의 투입구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투입연통홀(41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방휠(415)은 드럼바디(21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드럼(20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410)는 프론트탱크지지홀(414)을 포함할 수 있고 저수부(7)의 저수탱크가 프론트탱크지지홀(414)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프론트탱크지지홀(414)은 전방패널(110)에서 저수부(7)가 배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론트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프론트탱크지지홀(4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리어탱크지지홀(421)을 포함할 수 있다. 저수탱크는 프론트탱크지지홀(411)과 리어탱크지지홀(421)에 함께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리어탱크지지홀(421)은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으로 열풍을 순환시키는 순환유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드럼(200) 외부에서 순환할 수 있는 열풍유로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풍유로부(920)는 드럼(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덕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열풍유로부(920)는 덕트연통홀(419)과 연통하여 드럼(200)의 열풍이 공급되는 공급덕트(921)와, 공급덕트(921)에서 공급된 열풍이 이동하는 이동덕트(922)와, 이동덕트(922)를 통과한 열풍이 배출되는 배출덕트(92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덕트(921)는 프론트플레이트(410)의 덕트연통홀(419)에 연통되어 프론트플레이트(410) 내부에 설치된 프론트유로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동덕트(922)는 공급덕트(921)의 말단에서 드럼(20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배출덕트(923)는 이동덕트(92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열풍공급부(900)는 열풍을 냉각하여 열풍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고 수증기가 제거된 열풍을 다시 가열할 수 있는 히트펌프(95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950)는 이동덕트(922) 내부에 설치되어 열풍을 냉각시켜 열풍에 함유된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는 증발기(951)와, 증발기(951)보다 하류 또는 배출덕트(923)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되며 열풍을 다시 가열하는 응축기(952)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950)는 응축기(952)를 통과한 냉매를 냉각하여 증발기(951)로 다시 안내하는 팽창밸브와, 증발기(951)를 통과한 냉매를 가압 및 가열하여 응축기(952)에 공급하는 압축기(9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953)는 이동덕트(922)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열풍공급부(900)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열교환기는 증발기(951)와 응축기(952)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으로 열풍을 순환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송풍부(9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960)는 열풍유로부(9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송풍부(960)는 배출덕트(923)의 후방에 연결되며, 배출덕트(923)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열풍을 가속하여 드럼(200)의 후방으로 안내할 수 있다.
송풍부(960)는 열풍과 접촉하여 열풍을 가속하는 송풍팬(961)과 배출덕트(923)와 연결되며 내부에 송풍팬(961)이 배치되는 송풍팬하우징(963)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하우징(963)은 일측이 개방되어 배출덕트(923)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개방되어 드럼(200) 후방으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처럼 송풍팬하우징(963)은 전방이 개방되어 배출덕트(923)와 연결될 수 있고, 상방이 개방되어 드럼(200) 후방으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960)는 송풍팬하우징(963)에 결합되는 송풍팬구동부(9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구동부(965)는 송풍팬하우징(963)의 후방에 결합되며 송풍팬(961)과 연결되어 송풍팬(961)이 회전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플레이트와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구동부(M)가 리어플레이트(420)에 구비됨에 따라 공간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열풍공급부(900)와 다른 구성들이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집수부(170)와 구동부(M)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집수부(170)와 구동부(M)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될 수 있는 구성이면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열풍유로부(920), 열풍유로부(920)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기(951)와 응축기(952) 및 열풍유로부(920) 외부에 배치되는 압축기(953) 및 열풍유로부(920)와 연결되는 송풍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내부에 열풍이 유동하는 열풍유로부(920)와 송풍부(960)가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 및 송풍부(960)와 이격되어 집수부(170)와 구동부(M)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구동부(M)가 리어플레이트(420)에 배치되어 구동부(M)가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공간활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는 구동부(M)가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부(M)가 배치되는 자리를 활용하여 기존 구성요소의 크기를 크게할 수 있으며, 기존 구성요소의 배치관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집수부(170)는 구동부(M)가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부(M)가 배치되는 자리에 구비되거나 구동부(M)가 배치되는 자리까지 확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집수부(170)는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구동부(M)가 배치되는 경우보다 크게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부(170)는 측방향을 따라 증발기(951)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953)는 응축기(952)와 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풍유로부(920)는 프론트플레이트(410)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캐비닛(100)의 측면플레이트(141) 중 어느 하나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는 열풍유로부(920)가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열풍유로부(920)가 제2측면플레이트(1413)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열풍유로부(920)가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집수부(170) 및 압축기(953)는 열풍유로부(9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가 전후방으로 연장되고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됨에 따라 제2측면플레이트(1413)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951) 및 응축기(952)는 열풍유로부(920)의 내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집수부(170)는 증발기(95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증발기(951)에서 응축수가 유입되는 거리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953)는 응축기(952)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952)로 공급되는 거리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4에는 드럼(200)의 전방에서 열풍이 토출됨에 따라 증발기(951)가 응축기(952)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집수부(170)가 압축기(953)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제한해석 되는 것은 아니며, 드럼(200)에서 열풍이 토출되는 방향에 따라 증발기(951)와 응축기(952)는 배치가 바뀔 수 있으며, 이와 대응하여 집수부(170)와 압축기(9530의 배치도 바뀔 수 있다.
한편,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420)는 덕트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부(423)는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420)가 드럼(2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드럼(200)과 멀어지도록 함몰 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다.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덕트부(423)는 내부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는 유동공간(V)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만큼 유동공간(V)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공간(V)은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유입된 열풍이 유동하며, 드럼(200)의 후방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공간(V)은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지속적으로 열풍이 공급됨에 따라 유동공간(V) 전체로 열풍이 확산될 수 있다. 덕트부(423)는 유동공간(V)의 전체로 확산된 열풍이 개방된 전방면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열풍이 유입되는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부(423)는 유동공간(V)을 통해 열풍이 드럼(200) 내부로 효율적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덕트부(423)는 열풍공급부(900)와 덕트부(423)를 연결하는 팬덕트부(85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열풍공급부(900)와 덕트부(423)를 연통시켜 열풍공급부(900)의 열풍을 덕트부(423)로 제공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일부가 유동공간(V)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고, 덕트부(423)와 접하여 덕트부(423)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팬덕트부(850)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나아가, 덕트부(423)는 내부에 열풍공급부(900)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900)의 일부는 덕트부(423)가 리어플레이트(420)에 구비됨에 따라 후방측 단부 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술한 송풍부(960)의 일부일 수 있다. 송풍부(960)는 일부가 유동공간(V)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고, 덕트부(423)와 접하여 덕트부(423)로부터 지지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리어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리어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리어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5(c)는 리어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423)는 유동부(42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열풍공급부(900)에서 유입된 열풍을 드럼(200)의 드럼후면(220)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드럼후면(220)을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부(4231)는 내부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는 제1유동공간(V1)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고, 상술한 유동공간(V)은 제1유동공간(V1)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팬덕트부(850)에서 유입된 열풍이 제1유동공간(V1)에 유동하며, 마주하는 드럼후면(220)을 통해 제1유동공간(V1)에서 유동하는 열풍을 드럼(2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환형이란 연장된 형태가 폐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환형은 폐곡선에 의해 감싸지는 폐단면이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제1유동공간(V1)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유동외주부(4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유동부(4231)가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부(4231)의 외주면에 해당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열풍이 유동하는 제1유동공간(V1)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유동내주부(4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유동부(4231)가 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부(4231)의 내주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유동부(4231)는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를 연결하는 유동함몰면(4232)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드럼후면(220)을 마주하는 일면에 해당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부(4231)의 반경방을 기준으로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외주부(4231a)보다 내측에 위치되며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곡면이거나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도 있으며,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c)에는 도 5(a) 및 도 5(b)의 리어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c)를 참조하여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보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동외주부(4231a)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외주부(4231a)의 내측에 위치되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를 함께 참조하면,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의 경계부위가 라운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는 후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도 있고,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도 5에는,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가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가까워지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유동함몰면(4232)은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와 연결되는 부분이 라운드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전방에서 바라보면, 유동외주부(4231a) 및 유동내주부(4231b)는 전반적으로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외주부(4231a)의 직경을 D1으로하고 유동내주부(4231b)의 직경을 D2라고 하면, D1이 D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유동함몰면(4232)은 외경이 D1이며, 내경이 D2인 환형의 면일 수 있다. 유동부(4231)는 전체적인 형상이 도넛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리어플레이트(420)는 후면에서 유동내주부(4231b)의 내측에 구동부(M)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는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구동부(M)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와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a)는 팬덕트부가 결합된 리어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팬덕트부가 결합된 리어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부(423)는 팬덕트부(850)가 배치될 수 있는 유입부(4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팬덕트부(850)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유동부(4231)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가 배치될 수 있고, 팬덕트부(85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유동부(4231)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가 팬덕트부(850)로부터 유입부(4233)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만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팬덕트부(850)가 유입부(4233)에 배치되며 유동부(4231)에 바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해석 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드럼(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유동부(4231)는 드럼후면(220)을 마주할 수 있으며, 팬덕트부(850)는 열풍공급부(900)에서 유동부(4231)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덕트부(850)는 적어도 일부가 유동부(4231)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유동부(42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의 측방향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팬덕트부(850)와 멀어지도록 함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다.
유입부(4233)는 내부에 제2유동공간(V2)이 형성될 수 있고, 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제2유동공간(V2)은 상술한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과 동일할 수 있으며, 제1유동공간(V1)과 연통되어 함께 상술한 유동공간(V)을 형성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적어도 일부가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즉, 팬덕트부(850)는 후술할 유입둘레부(4233a)에 지지될 수 있으며, 후술할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되어 지지력 및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유입둘레부(4233a)와 유입함몰면(4234)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와 더불어 열풍공급부(900)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연장되어 팬덕트부(850)가 삽입 배치되고, 팬덕트부(850)로부터 열풍공급부(900)를 향하여 더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4233)는 열풍공급부(900)와 유동부(4231) 사이에 배치되는 팬덕트부(850)의 설치공간뿐만 아니라 열풍공급부(900)의 설치공간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는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구비될 수 있고,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할수록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제1측면플레이트(1411)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이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를 마주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와 멀어지도록 함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은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일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상술한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은 상기 팬덕트부(850)로부터 추가적으로 연장되어 열풍공급부(900)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구비됨에 따라, 열풍공급부(900)의 후방측 단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열풍공급부(900)의 후방측 단부는 상술한 송풍부(960)일 수 있다. 송풍부(960)가 제2유동공간(V2)에 배치됨에 따라 제한된 캐비닛(1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부(960)의 전방에 위치된 열풍유로부(920)의 길이는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을 활용하기 전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고, 열풍유로부(920)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951) 및 응축기(952)의 크기 또한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4)는 제2유동공간(V2)에 송풍부(960)의 송풍팬구동부(965) 및 송풍팬하우징(963)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는 송풍팬구동부(965)는 일부가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풍팬구동부(965)의 전체가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고, 송풍팬구동부(965)와 송풍팬하우징(963) 전체가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유동공간(V2)은 열풍유로부(920)의 후방측 단부가 더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부(4233)는 팬덕트부(850) 및 열풍공급부(900)에 지지력 및 결합력을 제공하는 유입둘레부(4233a)와 유입함몰면(42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유동공간(V2)은 제1유동공간(V1)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일 수 있고,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에서 연장되어 제2유동공간(V2)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는 함께 덕트부(423)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에서 열풍공급부(9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 하측을 경유하여 유동외주부(4231a)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과 타측 사이가 개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이 연통될 수 있고, 하나의 유동공간(V)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부(4231a)는 완전한 원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 아닌 일부가 개방된 원의 형태, 즉 호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유동외주부(4231a)와 연속된 둘레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둘레부(4233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외주부(4231a)는 호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유입함몰면(4232)은 유동부(4231)의 유동함몰면(4232)으로부터 연장되어 유입둘레부(4233a)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유입둘레부(4233a)는 유입함몰면(4232)의 둘레의 일부를 둘러싸고,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둘레부(4233a)를 제외한 영역에서 유동함몰면(4232)과 연결될 수 있다.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둘레부(4233a) 사이를 차폐하여 제2유동공간(V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유입함몰면(4234)은 유입부(4233)의 함몰면을 의미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와 연결되는 일측 및 타측 사이가 개방되어 유입함몰면(4234)과 유동함몰면(4232)이 연결될 수 있고, 유입함몰면(4234) 및 유동함몰면(4232)은 연속된 일면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바와 같이,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유동부(4231)의 하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캐비닛(100)의 측방향 일측에 편향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의 측방향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4233)는 유동부(4231)에서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해 연장되며, 나아가, 제1측면플레이트(1411)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은 타측보다 제1측면플레이트(1411)보다 멀리 위치되며,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와 함께 'q자 형상'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고, 유입함몰면(4234)은 유동함몰면(4232)과 함께 'q자 형상'의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부(850) 및 송풍팬구동부(965)는 유입함몰면(4234)과 결합될 수 있다.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리벳결합, 끼워맞춤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850) 및 송풍팬구동부(965)는 유입둘레부(4233a)와 접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는 유입둘레부(4233a)와 유입함몰면(4234)을 통해 팬덕트부(850)와 송풍팬구동부(965)에 강한 결합력 및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입둘레부(4233a)는 유동외주부(4231a)와 연결되는 부분,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연결되는 부분 및 유입함몰면(4234)과 연결되는 부분이 라운드 지도록 구비될 수 있어 사용자가 접촉되더라도 부상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다시 참조하면, 유동부(4231) 및 유입부(4233)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유입함몰면(4234)은 유동함몰면(4232)과 연속된 덕트부(423)의 일면을 형성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와 동일한 깊이의 연속된 덕트부(423)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유동부(4231) 및 유입부(4233)는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제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는 덕트부(423)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덕트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는 덕트부(423)가 별도로 구비되어 부착되는 경우 덕트부(423)와 리어플레이트(420)가 결합되는 부분의 틈새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의 제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유입부(4233)와 유동부(4231)가 일체로 제작되고 리어플레이트(420)와 덕트부(423)가 일체로 제작됨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는 누설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후면(220)은 드럼(200)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는 드럼차폐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후면(220)은 유동부(4231)를 마주하며, 유동부(4231)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아 드럼(200) 내부로 열풍을 안내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부(4231)의 개방된 전방면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부(4231)의 개방된 전방면을 차폐할 수 있다. 즉, 드럼차폐부(221)는 제1유동공간(V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유동공간(V1)을 차폐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함몰면(4232)을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유동함몰면(4232)과 사이에 열풍이 유동할 수 있다. 드럼차폐부(221)는 유동부(42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유동부(4231)로부터 더 용이하게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드럼차폐부(221)는 도넛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차폐부(221)는 열풍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드럼유입부(221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유입부(2213)는 드럼차폐부(221)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홀로 구비되거나 메쉬(MESH) 형태의 그물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유입부(221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드럼차폐부(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차폐부(221)는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강리브(2211) 및 원주리브(2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2211)는 드럼차폐부(2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드럼유입부(22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원주리브(2215)는 보강리브(2211)의 내측과 드럼유입부(2213)의 내측에 구비되는 원주리브(2215)를 포함할 수 있다. 원주리브(2215)는 환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보강리브(2211)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강리브(2211) 및 원주리브(2215)는 드럼유입부(2213)가 드럼차폐부(221)에서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거나 드럼차폐부(221)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드럼후면(220)은 일부가 후술할 장착수용부(4251)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드럼후면(220)은 장착수용부(4251)와 대응되게 구비되는 드럼수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후면(220)은 드럼차폐부(221)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함몰되는 드럼수용부(223)를 포함할 수 있고, 드럼수용부(223)는 내부에 장착수용부(4251)가 수용될 수 있다.
드럼수용부(223)는 장착수용부(4251)가 삽입되어 장착홀(4255)을 관통한 구동부(M)의 드럼회전축(650)과 결합이 용이하며, 드럼차폐부(221)가 상대적으로 유동부(4231)와 가깝게 배치되도록하여 유동부(4231)의 개방된 전방면을 차폐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 장착수용부(4251)에 대한 내용은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어플레이트, 팬덕트부 및 구동부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 외부로 열풍의 누설을 방지하는 실링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전방면이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 제1유동공간(V1)을 유동하는 열풍이 유동외주부(4231a)와 드럼후면(220)과의 사이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450)는 제1유동공간(V1)을 유동하는 열풍은 유동내주부(4231b)와 드럼후면(220)과의 사이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외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1실링부(4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드럼후면(220)의 드럼차폐부(221)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드럼차폐부(221)와 유동부(42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유동외주부(4231a)가 원형으로 구비되면, 내측 및 외측이 모두 원형으로 구비되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동외주부(4231a)의 직경이 D1이라면 제1실링부(451)의 외경은 D1보다 크게 구비 될 수 있고, 내경은 D1과 같거나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드럼차폐부(221)의 외곽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내주면이 드럼유입부(2213) 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실링부(451)의 두께는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은 드럼유입부(2213)에 구비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므로 제1실링부(451)가 드럼유입부(2213)의 외측에서 드럼유입부(2213)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드럼(200) 외부로의 누설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451)는 두께가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측 돌출깊이보다 크게 구비되어 드럼유입부(2213)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기 전 드럼(200) 외부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제1실링부(451)는 드럼차폐부(221)와 리어플레이트(420) 전면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누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실링부(450)는 유동부(4231)의 내측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제2실링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드럼후면(220)의 드럼차폐부(22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차폐부(221)와 유동부(423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유동내주부(4231b)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유동내주부(4231b)가 원형으로 구비되면, 내측 및 외측이 모두 원형으로 구비되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유동내주부(4231b)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유동내주부(4231b)의 직경이 D2라면 제2실링부(452)의 외경은 D2와 같거나 작게 구비 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차폐부(221)의 내곽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실링부(452)는 원주리브(2215)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후면(220)에 연결되는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내주면이 드럼유입부(2213) 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의 두께는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200)은 드럼유입부(2213)에 구비되는 다수의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열풍이 유입되므로 제2실링부(452)가 드럼유입부(2213)의 내측에서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구동부(M)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링부(451)는 두께가 드럼유입부(2213)의 후방측 돌출 깊이보다 크게 구비되어 드럼유입부(2213)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기 전 구동부(M)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M)는 회전에 의해 열이 발생되고 유동부(4231)의 열풍이 유입된다면 더 가열되어 고장이 발생될 수 있다. 구동부(M)는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M)측으로 열풍이 유입된다면 드럼(200) 외부로 누설될 수 있다. 제2실링부(452)는 드럼차폐부(221)와 리어플레이트(420) 전면 모두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누설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드럼(200)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회전하므로 실링부(450)에는 드럼후면(220)에 의해 지속적인 마찰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실링부(450)는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 마찰열에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드럼후면(220)과 유동부(4231) 사이를 실링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리어플레이트와 리어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0(a)는 구동부가 결합된 리어플레이트의 배면도이고, 도 10(b)는 리어커버가 결합된 리어플레이트의 배면도이다.
도 9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리어플레이트(420)를 덮도록 구비되는 리어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성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바와 같이,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M)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결합되어 덕트부(423)와 구동부(M)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덕트부(423)와 구동부(M)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리어커버(430)는 사용자가 덕트부(423)나 구동부(M)에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덕트부(423) 및 구동부(M)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커버(430)는 드럼후면(220)으로 열풍을 안내하는 덕트부(423)를 외부로부터 차폐시켜 덕트부(423)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이 외부와 열교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조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적어도 일부가 덕트부(4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M)는 덕트부(423)의 내측에 위치되며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리어커버(430)가 덕트부(423)와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덕트부(423)를 덮는다면 구동부(M)도 함께 덮일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 및 구동부(M)를 제외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라 단열이 필요하거나 보호가 필요한 구성들만 덮도록 구비될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작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 중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구성요소들이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리어플레이트(420)는 상술한 리어탱크지지홀(421)을 통해 저수탱크가 삽입될 수 있다. 저수탱크는 리어탱크지지홀(421)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와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의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의 리어커버결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리어커버결합부의 정면도이며, 도 11(b)는 리어커버결합부의 배면도이다. 도 11(c)는 리어플레이트의 결합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420)는 리어커버(430)가 결합되는 리어커버결합부(427)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리어커버(430) 내측으로 삽입되어 리어커버(430)가 결합됨으로써, 리어커버(43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덕트부(423)의 외측에서 덕트부(423)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11에는 덕트부 전체를 둘러싸는 리어커버결합부가 도시되어 있다.
덕트부(423)는 리어커버결합부(427)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덕트부(423)의 외측둘레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420)는 덕트부(423)가 리어커버결합부(427)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덕트부(423)와 단차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리어플레이트(420)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리어커버(430)가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결합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둘레를 형성하는 리어결합둘레부(427a)와 리어결합둘레부(427a)에서 연장되며 덕트부(423)와 연결되는 리어결합함몰면(427d)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결합함몰면(427d)은 덕트부(423)의 유동함몰면(4232)과 유입함몰면(4234)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리어결합함몰면(427d)에는 상술한 제1실링부(45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의 경계영역에는 후술할 팬덕트수용부(4271)가 구비될 수 있다.
리어결합둘레부(427a)는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와 적어도 일부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결합둘레부(427a)는 전체가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일부가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리어결합둘레부(427a)는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반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특정부분에서 유동외주부(4231a) 또는 유입둘레부(4233a)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리어결합둘레부(427a)가 특정부분에서 유동외주부(4231a) 또는 유입둘레부(4233a)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됨에 따라,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와 리어결합둘레부(427a)를 연결하는 리어결합함몰면(427d)은 확장될 수 있다.
리어결합함몰면(427d)은 확장된 영역에 후술할 배수관(891) 및 리턴관(893)의 설치될 수 있어 공간활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덕트부(423)를 덮도록 구비되는 덕트커버(431)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커버(4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덕트부(423)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커버(431)는 덕트부(423)의 둘레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덕트커버둘레부(431a)와 덕트커버둘레부(431a)에서 연장되는 커버차폐부(431b)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차폐부(431b)는 덕트커버(431)의 내부를 차폐할 수 있다.
덕트커버둘레부(431a)는 내주면이 덕트부(423)의 유동외주부(4231a)와 유입둘레부(4233a)를 마주할 수 있고, 커버차페부(431b)는 덕트부(423)의 유동함몰면(4232)과 유입함몰면(4233)을 마주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리어커버(430)는 덕트커버(431)로만 이루어져 덕트커버둘레부(431a)의 단부가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접하여 덕트부(423) 및 구동부(M)만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커버(430)는 덕트커버(431)로만 이루어져 덕트커버둘레부(431a)가 리어결합둘레부(427a)를 둘러싸며, 리어결합둘레부(427a)의 외측에 위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접하여 덕트부(423) 및 구동부(M)와 함께 리어커버결합부(427)까지 덮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리어커버(430)의 형상은 제작여건,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배치되는 구성과의 배치관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리어커버결합부(427)를 덮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커버(4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커버(433)는 덕트커버(431)와 연결되며 덕트커버(431)와 함께 리어커버(430) 내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덕트부(423)가 리어커버결합부(427)보다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더 돌출됨에 따라, 덕트커버(431)는 결합부커버(433)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덕트커버(431)와 결합부커버(433)는 돌출되는 정도가 달리 구비되어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는 덕트커버(431)와 결합부커버(433)에 의해 구조적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커버(433)는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둘레를 감싸는 결합커버둘레부(433a)와 결합커버둘레부(433a)에서 연장되며 덕트커버둘레부(431a)와 연결되는 커버연장부(433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내주면이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리어결합둘레부(427a)를 마주할 수 있고, 커버연장부(433b)는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리어결합함몰면(427d)을 마주할 수 있다.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커버연장부(433b)를 통해 덕트커버둘레부(431a)와 연결되거나 직접 덕트커버둘레부(431a)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덕트커버둘레부(431a)와 일체로 구비되어 덕트부(423)와 리어커버결합부(427)를 함께 둘러쌀 수도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덕트커버(431)는 적어도 일부가 덕트부(423)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덕트커버(431)는 전체가 덕트부(423)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덕트부(423)를 덮거나 일부가 덕트부(423)와 대응되게 구비되어 덕트부(423)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커버둘레부(431a)는 유동외주부(4231a) 및 유입둘레부(4233a)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전반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특정부분에서 유동외주부(4231a) 또는 유입둘레부(4233a)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덕트커버둘레부(431a)가 특정부분에서 유동외주부(4231a) 또는 유입둘레부(4233a)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됨에 따라, 덕트커버둘레부(431a)를 연결하는 커버차폐부(431b)는 확장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덕트커버(431)의 내부에 덕트커버둘레부(431a)의 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만큼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커버(433)의 내부에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만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430)는 덕트커버(431)의 전방측에 상기 덕트커버둘레부(431a)의 연장된 길이에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연장된 길이를 더한 만큼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덕트커버(431)는 결합부커버(433)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내부에 더 큰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리어커버결합부(427)의 후면에 배치되는 상기 별도의 구성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예컨대, 커버차폐부(431b)는 유동함몰면(4232)을 마주하는 일면에서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리어결합함몰면(427d)과 사이에 후술할 외부배출관(895)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외부배출관(895)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개폐부(439)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리어커버(430)와 외부배출관(895) 및 커버개폐부(439)의 관계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4 및 도 11(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결합부(427)는 송풍부(96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결합부(427)는 유입부(4233)와 함께 송풍부(96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송풍부(960)를 지지할 수 있다. 송풍부(960)는 송풍팬하우징(963)이 송풍팬구동부(965)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송풍팬하우징(963)의 너비는 유입부(4233)의 너비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유입부(4233)에 수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리어커버결합부(427)는 유입부(4233)의 외측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음에 따라, 유입부(4233)의 너비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송풍팬하우징(96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리어결합둘레부(427a)는 송풍팬하우징(963)과 접촉되어 송풍팬하우징(963)을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송풍부(960) 전체를 송풍팬구동부(965)의 진동에도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리어결합함몰면(427d)은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송풍팬하우징(963)과 결합될 수 있음에 따라, 송풍팬(961) 전체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결합부(427)는 송풍부(960)를 마주하는 부분이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결합부(427)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송풍부(960) 및 하부플레이트(147)가 더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결합부(427)의 외측에 위치된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과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어결합둘레부(427a)는 리어결합둘레부(427a)와 연결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송풍부(960)의 송풍팬하우징(963)과 하부플레이트(147)가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내부에 위치된다면 리어결합둘레부(427a)에 의해 접촉되어 배치가 어렵거나 배치를 위해 상기 경사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리어결합둘레부(427a)는 송풍부(960) 및 하부플레이트(147)를 마주하는 부분이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해 개방되어 리어결합함몰면(427d)이 리어플레이트(420)의 하단까지 연속된 일면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리어결합둘레부(427a)는 연속된 폐곡선이 아니라 하단부가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리어결합함몰면(427d)은 하측이 리어결합둘레부(427a)에 둘러싸이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커버결합부(427)는 유동부(4231)와 대응되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와 유동커버결합부(4278)에 연결되며 유입부(4233)와 대응되는 유입커버결합부(427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커버결합부(4278)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의 둘레를 형성하며,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는 유동결합둘레부(4278a)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커버결합부(4274)는 유동결합둘레부(4278a)와 연결되며 유입둘레부(4233a)와 대응되는 유입결합둘레부(427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입결합둘레부(4274a)는 제1유동연결부(4235)와 대응되는 제1유동결합연결부(4278b)에서 일측이 연장될 수 있고, 제2유동연결부(4236)와 대응되는 제2유동결합연결부(4278c)에서 타측이 연장될 수 있다.
유입결합둘레부(4274a)는 제1유동결합연결부(4278b)와 연결되는 일측이 외부와 맞닿을 수 있으며, 제2유동결합연결부(4278c)와 연결되는 타측이 외부와 맞닿을 수 있다.
유입결합둘레부(4274a)는 제1유동결합연결부(4278b)에서 제2유동결합연결부(4278c)까지 연속된 폐곡선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고, 유입함몰면(4234)과 대응되는 유입결합함몰면(4274b)은 리어플레이트(420)의 하단까지 연속될 수 있어 외부와 맞닿을 수 있다. 상술한 리어결합함몰면(427d)은 유입결합함몰면(4274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커버결합부(427)가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해 개방됨으로써, 의류처리장치(10)의 제작과정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하부플레이트(147)에 결합시키더라도 리어커버결합부(427) 내부에 송풍팬하우징(963) 및 하부플레이트(147)의 위치공간이 충분이 확보될 수 있고, 결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420)를 하부플레이트(147)에 접촉시키면서 하부플레이트(147)와 접하는 부분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부플레이트(145), 측면플레이트(141)와 결합시킬 수 있고, 리어커버결합부(427)는 리어결합둘레부(427a)의 개방된 하단부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47) 및 송풍팬하우징(963)과 접촉이 방지될 수 있어, 리어플레이트(420)는 용이하게 하부플레이트(147), 상부플레이트(145) 및 측면플레이트(141)와 결합되어 캐비닛(10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둘레 중 리어커버결합부(427)의 유입결합함몰면(4274b)을 마주하는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결합둘레부(4274a)와 유입결합함몰면(4274b)이 리어플레이트(42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유입결합둘레부(4274a)를 둘러싸는 결합부커버(433)의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유입결합둘레부(4274a)의 일부 또는 전체를 둘러 쌀 수 있다.
결합커버둘레부(433a)가 유입결합둘레부(4274a)의 일부를 감싸는 경우,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하단에서 소정간격 이격되는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고, 하단부가 개방됨에 따라 유입결합함몰면(4274b)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유입결합함몰면과(4274b)가 접촉이 방지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는 용이하게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커버둘레부(433a)가 유입결합둘레부(4274a)의 전체를 감싸는 경우,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유입결합함몰면(4274b)은 전체가 외부로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하단부가 개방되어 하부플레이트(147)와 접촉이 방지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결합커버둘레부(433a)는 유입결합둘레부(4274a)가 개방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는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입결합함몰면(4274b)과 접촉이 방지될 수 있어 리어플레이트(420)와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커버(433)는 유입결합함몰면(4274b)을 마주하는 결합커버결합면(433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커버결합면(4331)은 덕트커버(431)의 덕트커버둘레부(431a)와 결합커버둘레부(433a)를 연결하는 커버연장부(433b)이거나 덕트커버둘레부(431a) 또는 결합커버둘레부(433a)에서 연장되는 별도의 일면일 수 있다.
결합커버결합면(4331)은 유입결합함몰면(4274b)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유입결합함몰면(4274b)과 접촉될 수 있으며, 유입결합함몰면(4274b)과 접촉되어 리어커버(430)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와 결합되는 후크결합부(434)와 커버체결부(434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커버(430)는 리어커버(43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며 리어플레이트(420)와 후크결합되는 후크결합부(434)를 포함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는 후크결합부(434)와 대응되는 위치에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후크수용부(427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결합부(434)는 후크수용부(4273)에 삽입되며, 단부가 후크수용부(4273)에 걸리도록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체결부(429)와 후크수용부(4273)가 구비되는 위치는 제작여건, 제작방법, 리어플레이트(420)의 형상, 리어커버(43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커버체결부(4341)와 후크결합부(434)가 구비되는 위치도 제작여건, 제작방법, 리어플레이트(420)의 형상, 리어커버(43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후크결합부(434)는 상술한 결합부커버(433)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후크수용부(4273)도 후크결합부(434)와 대응되도록 리어커버결합부(427)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결합부(434)는 결합커버결합면(4331)에 구비되는 제1후크결합부(434a)를 포함할 수 있고, 후크수용부(4273)는 결합커버결합면(4331)을 마주하는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구비되는 제1후크수용부(427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후크결합부(434a)는 제1후크수용부(4273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결합커버결합면(4331)은 결합부커버(433) 중 단면적이 일정 이상 확보되어 제1후크결합부(434a)가 구비되는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후크결합부(434)는 결합커버둘레부(433a)에 구비되는 제2후크결합부(434b)를 포함할 수 있고, 후크수용부(4723)는 리어결합함몰면(427d) 외측에 위치되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제2후크수용부(427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후크결합부(434b)는 제2후크수용부(4273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어커버(430)는 리어커버(43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커버체결부(434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체결부(4341)는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둘레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을 마주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리어플레이트(420)와 결합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는 커버체결부(43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체결부(429)를 포함할 수 있고, 플레이트체결부(429)는 커버체결부(4341)와 함께 상기 별도의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리어커버(430)와 리어플레이트(4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플레이트체결부(429)는 커버체결부(4341)와 볼팅결합될 수 있다.
정리하면, 리어커버(430)는 용접 및 접착 결합 등을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와 고정될 수 있으나, 제작 여건 등에 따라 후크결합부(434)를 통한 후크결합이나 커버체결부(4341)를 통한 볼팅결합 등의 비교적 간단한 결합방식을 이용하여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될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후크결합 또는 볼팅결합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고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될 수 있고, 후크결합과 볼팅결합 모두를 이용하여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420)는 리어커버(430)와 결합을 지지하는 결합지지부(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지지부(424)는 리어커버(430)의 단부를 수용하여 리어커버(430)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결합지지부(424)는 리어커버(430)의 결합커버둘레부(433a)를 수용하여 리어커버(430)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결합지지부(424)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 함몰되어 구비되거나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리어결합둘레부(427a)와 리어플레이트(420)의 측면플레이트(141)와 결합되는 플레이트결합부 사이에 상대적으로 함몰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플레이트(420)는 양측단부에 측면플레이트(141)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리어플레이트(4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플레이트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지지부(424)는 플레이트결합부와 리어플레이트(4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리어결합둘레부(427a)와 사이에 형성되어 리어커버(430)의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즉, 결합지지부(424)는 플레이트결합부와 플레이트결합부를 마주하는 리어결합둘레부(427a)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리어플레이트(4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420)의 길이방향이란 하부플레이트(147)에서 상부플레이트(145)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결합지지부(424)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측면플레이트(1411)와 인접한 부근 및 제2측면플레이트(1413)와 인접한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지지부(424)는 결합커버둘레부(433a)를 수용하여 결합커버둘레부(433a)가 리어결합둘레부(427a)와 플레이트결합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리어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구동부리브(43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리어커버(430)의 일면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리브(435)는 리어커버(430)의 전면에서 구동부(M)의 외주와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구동부(M)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리어커버(430)의 전면 중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일 수 있고, 리어커버(430)의 전면은 커버차폐부(431b)와 동일할 수 있다.
즉, 구동부리브(435)는 리어커버(430)의 일면을 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전후방으로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고, 리어커버(43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b)를 함께 참조하면, 구동부리브(435)는 덕트부(423)와 구동부(M)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M)가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되더라도 진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덕트부(423)는 리어플레이트(420)와 일체로 구비되어 구동부(M)의 진동 및 드럼(200)의 진동에 의해 함께 진동될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덕트부(423)와 구동부(M)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덕트부(423)와 구동부(M)와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덕트부(423) 및 구동부(M)와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M)가 덕트부(423)의 유동내주부(4231b)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리브(435)는 유동내주부(4231b)와 구동부(M)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외주면이 유동내주부(4231b)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내주면이 구동부(M)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구동부리브(435)는 덕트부(423) 및 구동부(M)와 불필요한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내주부(4231b) 와 구동부(M)의 외주면은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리브(435)는 환형으로 구비되어 유동내주부(4231b)와 구동부(M)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리어커버(430)의 일면에서 구동부(M)와 멀어지도록 함몰되는 커버수용부(436)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수용부(436)는 구동부(M)와 리어커버(43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커버연장부(433b)는 커버수용부(436) 및 구동부리브(43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수용부(436)는 구동부(M)를 마주하는 리어커버(430)의 일면에서 함몰될 수 있고, 구동부(M)를 마주하는 리어커버(430)의 일면은 리어커버(430)의 전면일 수 있다.
또한, 커버수용부(436)는 구동부리브(435)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리브(435)의 내주면과 연결될 수 있다. 커버수용부(436)는 구동부리브(435)의 외측에 위치되는 리어커버(430)의 일면보다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정리하면, 구동부(M)가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배치되는 진동체 일 수 있고, 커버수용부(436)는 구동부(M)와 멀어지도록 함몰되어 구동부(M)와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a)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플레이트(420)는 구동부(M)가 결합되어 안착되는 장착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425)는 유동부(423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고, 유동부(4231)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부(425)는 구동부(M)가 결합되는 장착수용부(4251) 및 장착수용부(4251)를 둘러싸며 유동내주부(4231b)와 연결되는 장착둘레부(425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부(425)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고, 장착둘레부(4253)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어, 구동부(M)가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수용부(4251)는 구동부(M)가 결합되는 장착면(4251a)과 장착면(4251a)을 관통하는 장착홀(4255)을 포함할 수 있고, 장착홀(4255)은 구동부(M)가 관통하여 드럼후면(220)과 연결될 수 있다. 장착면(4251a)과 장착홀(4255)은 구동부(M)가 드럼후면(220)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하며, 구동부(M)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장착홀(4255)은 장착면(4251a)의 중앙에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장착면(4251a)은 장착홀(4255)에 의해 환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둘레부(4253)는 장착수용부(4251)와 유동내주부(4231b)를 연결하며, 장착수용부(4251)에 결합되는 구동부(M)와 유동내주부(4231b) 사이에 이격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면(4251a)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장착둘레부(4253)와 연결되는 장착연결부(4257)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연결부(4257)는 구동부(M)의 외주면을 마주할 수 있고, 구동부(M)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연결부(4257)는 장착면(4251a)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장착연결부(4257)는 구동부(M)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구동부(M)와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장착면(4251a)을 기준으로 장착부(425)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장착연결부(4257)가 연결될 수 있고, 장착연결부(4257)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장착둘레부(4253)가 연결될 수 있으며, 장착둘레부(4253)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유동내주부(4231b)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면(4251a)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장착지지부(4251d, 4251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장착면(4251a)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장착면(4251a)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동부(M)의 결합을 지지하는 브라켓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어 장착면(4251a)의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장착면(4251a)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면(4251a)이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장착지지부(4251d, 4251e)도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스테이터(510)의 터미널(미도시)이 위치될 수 있도록 일정구간을 제외하고 돌출될 수 있다. 즉, 장착지지부(4251d, 4251e)는 일측이 개방된 환형일 수 있고, 호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착지지부(4251d, 4251e)에서 돌출되지 않은 영역에 터미널이 위치됨으로써 구동부(M)의 안정적인 결합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장착수용부(4251)는 장착연결부(4257)에 구비되는 전선지지부(4251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선지지부(4251c)는 장착면(4251a) 중 터미널이 위치되며 장착지지부(4251d, 4251e)가 구비되지 않는 영역을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전선을 다른 구성과 간섭을 방지시키며 터미널에 안내할 수 있다.
전선지지부(4251c)는 장착연결부(4257)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전선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소정길이 이상 확보될 수 있어 전선을 더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선지지부(4251c)는 리어플레이트(42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1에는 전선지지부(4251c)가 별도로 제작되어 리어플레이트(420)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리어커버의 구동부리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리어커버의 구동부리브의 전방측 사시도이며, 도 13(b)에는 구동부리브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a)는 리어커버의 구동부리브의 후방측 사시도이며, 도 14(b)에는 구동부리브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리브의 돌출된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9 및 12에는 구동부리브의 돌출된 길이가 구동부의 전체길이보다 짧게 구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 및 도 14에는 구동부리브의 돌출된 길이가 구동부의 전체 길이와 대응되어 구동부가 전체적으로 구동부리브에 의해 감싸지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구동부리브(435)는 돌출된 길이가 구동부(M)와 대응될 수 있고,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동부(M)를 보호할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커버차폐부(431b)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장착부(425)를 마주할 수 있으며, 구동부(M)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리브(435)는 단부가 장착둘레부(4253)를 마주하며, 내주면이 구동부(M)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구동부(M)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구동부리브(435)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단부가 장착둘레부(4253)에 접촉되어 리어커버(430) 전체를 지지할 수 있고, 리어커버(430)와 구동부(M)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M)는 직접 회전하여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바, 리어커버(430)에 접촉되는 경우 심각한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우선적으로 장착둘레부(4253)와 접촉되어 구동부(M)와 리어커버(430)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단부가 외부에 충격이 없더라도 장착둘레부(4253)와 접촉되게 구비되거나 단부가 장착둘레부(4253)와 이격되며 외부에 충격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 장착둘레부(4253)와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는 구동부리브(435)는 단부가 외부에 충격이 없더라도 장착둘레부(4253)와 접촉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해석 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5는 도 13과 도 14에 따른 리어커버가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리브(435)는 구동부(M)와 덕트부(423)의 유동부(4231)를 구획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M)는 회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열이 발생되며, 유동부(4231)는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유동부(4231)는 외부로 열의 방출이 방지되는 것이 건조효율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고, 구동부(M)는 외부로부터 열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이 원활한 작동을 위해 유리할 수 있다.
즉, 구동부리브(435)는 구동부(M)와 유동부(4231)를 구획시켜 유동부(4231)에서 방출될 수 있는 열이 구동부(M)로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리브(435)는 단부가 장착둘레부(4253)의 후방에 위치되어 유동부(4231)와 구동부(M)를 구획시킬 수 있다.
즉, 리어커버(430)는 내부에 덕트부(423)와 구동부(M)가 배치될 수 있는 배치공간(F)이 형성될 수 있고, 구동부리브(435)는 단부가 장착둘레부(4253)에 접촉되어 배치공간(F)을 유동부(4231)가 배치되는 제1배치공간(F1)과 구동부(M)가 배치되는 제2배치공간(F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1배치공간(F1)은 구동부리브(435)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배치공간(F2)은 구동부리브(435)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배치공간(F1)은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 리어커버(430)의 덕트커버둘레부(431a), 리어커버(430)의 커버차폐부(431b) 및 구동부리브(435)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제2배치공간(F2)은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 리어커버(430)의 커버차폐부(431b) 및 구동부리브(435)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리브(435)가 제1배치공간(F1) 및 제2배치공간(F2)을 구획함으로써 상기 제1배치공간(F1) 및 제2배치공간(F2) 사이의 열교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리브(435)는 방열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공간(G)은 구동부(M)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구동부리브(435)는 내부에 방열공간(G)이 형성될 수 있고, 후방면이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리브(435)는 방열공간(G)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리브내주부(4353)와 방열공간(G)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리브외주부(4351)를 포함할 수 있고, 리브내주부(4353)와 리브외주부(4351)의 사이에 방열공간(G)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내주부(4353)는 구동부리브(435)의 내주면일 수 있고, 리브외주부(4351)는 구동부리브(435)의 외주면일 수 있다.
리브내주부(4353)는 구동부(M)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리어커버(430)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거나 직경이 일정하게 연장될 수 있다.
리브외주부(4353)는 덕트부(423)와 접촉이 방지되도록 리어커버(430)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연장되거나 직경이 일정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는 리브내주부(4353)가 리어커버(430)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되며, 리브외주부(4351)가 리어커버(430)에서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일정하게 연장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덕트부(423)와 구동부(M)의 배치관계 등을 통해 리브내주부(4353) 및 리브외주부(4351)의 직경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방열공간(G)은 구동부리브(435)를 통해 제1배치공간(F1) 및 제2배치공간(F2)과 구획될 수 있다. 방열공간(G)은 리브외주부(4351)를 통해 제1배치공간(F1)과 구획될 수 있으며, 리브내주부(4353)를 통해 제2배치공간(F2)과 구획될 수 있다.
방열공간(G)은 구동부(M)를 마주하는 리브내주부(4353)를 통해 구동부(M)가 배치되는 제2배치공간(F2)과 외부의 열교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리브(435)는 장착부(425)와 방열공간(G)을 연통시키는 리브슬릿부(4355)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슬릿부(4355)는 리브내주부(4353)에 구비되어 제2배치공간(F2)과 방열공간(G)을 연통시킬 수 있고, 구동부(M)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슬릿부(4355)는 리브외주부(4351)에는 형성되지 않아 제1배치공간(F1)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슬릿부(4355)는 구동부리브(435)의 돌출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리브내주부(4353)의 둘레를 따라 이격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2배치공간(F2)과 방열공간(G)이 연통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외부와의 열교환이 더 활발히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는 리브슬릿부(4355)가 슬릿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브슬릿부(4355)는 구동부리브(435)의 형태, 구동부(M)와 리브내주부(4353)의 이격거리 및 구동부(M)의 열 발생 정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브슬릿부(4355)는 리브내주부(4353)의 둘레를 따라 동일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어, 제2배치공간(F2)과 외부의 연통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구동부리브(435) 전체의 구조적 강성이 감소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장착부(42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방열홀(436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방열홀(4361)은 제2배치공간(F2)과 외부를 연통시켜 구동부(M)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열홀(4361)은 리브내주부(4353)와 연결되는 커버수용부(436)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리브슬릿부(4355)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방열홀(4361)은 방열공간(G)을 통하지 않고 직접 외부와 제2배치공간(F2)을 연통시켜 제2배치공간(F2)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2배치공간(F2)과 외부의 연통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방열홀(4361)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수용부(436)는 커버수용부(436)의 일면에서 구동부(M)로부터 멀어지도록 함몰되는 커버함몰부(436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함몰부(4363)는 구동부(M) 중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커버수용부(436)의 전면에서 상기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멀어지도록 함몰되어 구동부(M)와 접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부(M)는 장착부(425)의 장착수용부(4251)를 관통하여 드럼후면(220)과 결합되는 구동회전축(MS)을 포함할 수 있고, 구동회전축(MS)은 드럼후면(220)과 결합되는 일단에서 커버수용부(436)를 마주하는 타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동회전축(MS)은 후술할 감속기(600)의 드럼회전축(650)과 모터부(500)의 구동축(5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전축(MS)의 타단이 커버수용부(436)를 마주할 수 있고, 상기 타단이 구동부(M)의 다른 부분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음에 따라, 커버함몰부(4363)는 구동회전축(MS)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함몰되어 구동회전축(MS)과 접촉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5에는 구동회전축(MS)이 구동부(M)의 중앙에 구비되며, 커버함몰부(4363)는 이에 대응하여 커버수용부(436)의 중앙에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수용부(436)는 커버함몰부(4363)를 제외한 영역에 방열홀(436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수용부(436)는 커버함몰부(4363)를 둘러싸는 커버방열부(436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방열홀(4361)은 커버방열부(4365)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방열부(4365)는 구동부리브(435)의 리브내주부(4353)와 연결될 수 있고, 커버함몰부(4363)가 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커버함몰부(4363) 보다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거나 커버수용부(436)의 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M)는 커버방열부(4365)를 마주하는 일면에 구동부(M)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고, 방열홀(4361)은 커버방열부(4365)에 구비되어 구동부(M)의 열을 외부로 더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방열홀(436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고, 커버방열부(4365)의 반경방향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구비될 수 있어 구동부(M)의 열을 더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커버방열부(4365)는 일정 부분에 방열홀(4361)의 형성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방열홀(4361)에 의한 구조적 강성의 감소가 최소화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 및 도 14에는 커버함몰부(4363)는 커버수용부(436)의 중앙에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커버방열부(4365)는 커버함몰부(4363)를 둘러싸며 리브내주부(4353)와 연결되는 환형으로 도시되어 있고, 방열홀(4361)은 커버방열부(4365)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방열홀(4361)은 커버방열부(4365)에 전체적으로 균형있게 이격 배치되어 커버수용부(436) 전체의 구조적 강성이 감소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부, 배수관 및 리턴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집수부(170)의 응축수를 저수부(7)로 안내하는 배수부(8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는 드럼(200)에서 토출되는 열풍으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하는 증발기(951), 증발기(951)에서 형성되는 응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집수부(170), 집수부(170)에 저장되는 응축수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저수부(7)를 포함할 수 있고, 집수부(170)와 저수부(7)를 연결시켜 집수부(170)의 응축수를 저수부(7)로 안내하는 배수부(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951)는 수증기를 제거하는 수증기제거부를 의미할 수 있다.
배수부(890)는 집수부(170)와 저수부(7)를 연결하는 배수관(891)과 집수부(170)의 응축수가 저수부(7)까지 유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89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관(891)은 배수펌프(897)에 의해 운반되는 집수부(170)의 응축수가 저수부(7)까지 안내되는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배수관(891)은 고무호스나 파이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집수부(170)의 물은 응축수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891)은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관(891)은 집수부(170)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외부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며, 다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저수부(7)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수부(170)가 하부플레이트(147)에 구비될 수 있고, 저수부(7)는 상부플레이트(145)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배수관(891)은 집수부(170)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하부플레이트(147)와 가까운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상부플레이트(14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다시 리어플레이트(420)의 상부플레이트(145)와 가까운 타측을 관통하여 저수부(7)와 연결될 수 있다.
집수부(170)와 저수부(7)가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배수관(891)은 일부가 리어플레이트(420)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어, 캐비닛(100) 내부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증대될 수 있다.
예컨대, 배수관(89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됨에 따라, 드럼(200)은 배수관(891)이 캐비닛(100) 내부에만 구비되는 경우보다 크기가 확장될 수 있어 의류수용능력이 증대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캐비닛(100) 내부에 드럼(200)을 최대 크기로 만들고 여유공간이 부족한 캐비닛(100) 내부에서 배수관(891)의 일부를 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캐비닛(100) 내부공간 활용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수관(891)은 집수부(170)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집수배수관(8911)과 집수배수관(8911)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는 배수노출관(8913)과 배수노출관(8913)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저수부(7)와 연결되는 저수배수관(8915)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배수관(8911), 배수노출관(8913) 및 저수배수관(8915)은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되어 하나의 관을 이룰 수 있다. 즉, 배수관(891)은 집수배수관(8911), 배수노출관(8913) 및 저수배수관(89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집수배수관(8911), 배수노출관(8913) 및 저수배수관(8915)이 함께 배수관(891)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배수관(891)은 집수배수관(8911), 배수노출관(8913) 및 저수배수관(8915)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수관(891)은 집수부(170)를 기준으로 집수배수관(8911), 배수노출관(8913) 및 저수배수관(8915)이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집수부(170)의 물은 집수배수관(8911), 배수노출관(8913) 및 배수노출관(8931)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저수부(7)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배수노출관(8913)은 덕트부(423)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며 덕트부(423)의 외주면 또는 리어커버(43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어, 덕트부(423)의 외주면 또는 리어커버(430)의 내주면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수노출관(8913)은 덕트부(423)의 유동외주부(4231a)와 결합커버둘레부(433a) 사이에서 유동외주부(4231a)와 결합커버둘레부(433a)와 모두에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배수부(890)의 배수펌프(897)는 집수부(170)의 물을 저수부(7)로 운반할 수 있고, 배수관(891)의 저수배수관(8915)은 저수부(7)와 연결되는 부분이 저수부(7)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저수부(7)의 상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어 배수펌프(897)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저수부(7)의 물이 저수배수관(8915)을 통해 집수부(17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6에는 저수배수관(8915)이 캐비닛(100) 내부에서 상부플레이트(145)를 향하여 연장되고 일부가 상부플레이트(145)와 나란한게 연장되며 다시 저수부(7)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하방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저수부(7)에 저장된 물을 집수부(170)로 안내하는 리턴관(893)을 포함할 수 있다.
리턴관(893)은 저수부(7)에 저장된 물이 일정높이 이상 채워지는 경우, 저수부(7)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부(7)에 저장된 물을 집수부(17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리턴관(893)은 일종의 오버플로우관일 수 있다.
리턴관(893)은 배수관(891)과 마찬가지로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캐비닛(100) 내부에 활용될 수 있는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리턴관(893)은 저수부(7)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외부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다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집수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수부(170)가 하부플레이트(147)에 구비될 수 있고, 저수부(7)는 상부플레이트(145)에 구비될 수 있으므로, 리턴관(893)은 저수부(7)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상부플레이트(145)와 가까운 타측을 관통하여 외부에서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다시 리어플레이트(420)의 하부플레이트(147)와 가까운 일측을 관통하여 집수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턴관(893)은 저수부(7)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저수리턴관(8935)과 저수리턴관(8935)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턴노출관(8933)과 리턴노출관(8933)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집수부(170)와 연결되는 집수리턴관(8931)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리턴관(8931), 리턴노출관(8933) 및 저수리턴관(8935)은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되어 하나의 관을 이룰 수 있다. 즉, 리턴관(893)은 집수리턴관(8931), 리턴노출관(8933) 및 저수리턴관(893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집수리턴관(8931), 리턴노출관(8933) 및 저수리턴관(8935)이 함께 리턴관(893)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리턴관(893)은 저수리턴관(8935), 리턴노출관(8933) 및 집수리턴관(8931)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리턴관(893)은 저수부(7)를 기준으로 저수리턴관(8935), 리턴노출관(8933) 및 집수리턴관(8931)이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저수부(7)의 물은 저수리턴관(8935), 리턴노출관(8933) 및 집수리턴관(8931)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집수부(170)로 안내될 수 있다.
예컨대, 리턴노출관(8933)은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연장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에 환형으로 구비되는 유동부(4231)와 간섭이 방지될 수 있으며, 유동부(4231)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양측면까지 더 확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턴노출관(8933)은 배수노출관(8913)과 함께 덕트부(423)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턴노출관(8933) 및 배수노출관(8913)중 어느 하나가 유동외주부(4231a)와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결합커버둘레부(433a)에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어, 리턴노출관(8933) 및 배수노출관(8913)은 유동외주부(4231a)와 결합커버둘레부(433a)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유동외주부(4231a)와 결합커버둘레부(433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배수노출관(8913)에는 후술할 외부배출관(895)이 구비될 수 있고, 배수노출관(8913)은 외부배출관(895)이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도록 결합커버둘레부(433a)에 접하고 리턴노출관(8933)은 이에 대응하여 유동외주부(4231a)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891)과 리턴관(893)은 함께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플레이트(42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집수연결홀(4277)과 집수연결홀(4277)과 이격되어 리어플레이트(420)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저수연결홀(4725)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연결홀(4277)은 집수배수관(8911)과 집수리턴관(8931)이 함께 관통하여 집수부(170)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저수연결홀(4725)은 저수배수관(8915)과 저수리턴관(8935)이 함께 관통하여 저수부(7)에서 외부로 연장될 수 있어, 배수노출관(8913)과 리턴노출관(8933)이 접촉되어 함께 덕트부(423)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집수연결홀(4277)은 집수배수관(8911)과 집수리턴관(8931)이 접하도록 함께 지지할 수 있으며, 저수연결홀(4725)은 저수배수관(8915)과 저수리턴관(8935)이 접하도록 함께 지지할 수 있다.
즉, 집수배수관(8911)과 집수리턴관(8931)은 상호간 접촉되며 집수연결홀(4277)의 내측과 함께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고, 저수배수관(8915)과 저수리턴관(8935)도 상호간 접촉되며 저수연결홀(4725)의 내측과 함께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관(891)과 리턴관(893)은 외부에 배수노출관(8913)과 리턴노출관(8933)이 구비되더라도 리어플레이트(420)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는 집수배수관(8911)과 집수리턴관(8931)이 각각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는 홀이 별도로 형성되는 것보다 집수배수관(8911)과 집수리턴관(8931)이 함께 집수연결홀(4277)을 관통하는 것이 제조적 측면에서 편리하며, 리어플레이트(420)의 불필요한 관통부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저수배수관(8915)과 저수리턴관(8935)도 함께 저수연결홀(4725)을 관통하는 것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11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725)은 리어커버결합부(427)에 구비될 수 있다.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725)이 리어커버결합부(427)를 관통하여 덕트부(423)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275)을 관통하는 배수관(891) 및 리턴관(893)은 내부에 열풍이 유동하는 덕트부(423)와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커버결합부(427)는 집수연결홀(4277) 및 저수연결홀(4725)이 구비되는 유동커버연장부(4279)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커버결합부(427)는 유동부(42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와 유동커버결합부(4278)에서 유동부(4231)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유동커버연장부(4279)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부(4231)가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동커버결합부(4278)는 환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유동커버연장부(4279)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에서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집수연결홀(4277) 및 저수연결홀(4725)이 유동커버연장부(4279)에 구비됨에 따라 유동부(4231)와 최대한 이격될 수 있고,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275)을 관통하는 배수관(891) 및 리턴관(893)은 내부에 열풍이 유동하는 유동부(4231)와 간섭이 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유동커버연장부(4279)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에서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하여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집수연장부(4279a)와 유동커버결합부(4278)에서 상부플레이트(145)를 향하여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저수연장부(4279b)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연장부(4279a)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의 하부플레이트(147)와 가까운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 있고, 저수연장부(4279b)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의 상부플레이트(145)와 가까운 타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집수연결홀(4277)은 집수연장부(4279a)에 구비되어 유동부(4231)와 최대한 이격되며 집수부(170)와 가까워지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저수연결홀(4725)은 저수연장부(4279b)에 구비되어 유동부(4231)와 최대한 이격되며 저수부(7)와 가까워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수연결홀(4277)은 집수부(170)와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고, 집수배수관(8911)과 집수리턴관(8913)은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될 수 있어 제조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으며 캐비닛(100)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배치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저수연결홀(4275)은 저수부(7)와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고, 저수배수관(8915)과 저수리턴관(8935)은 전체적인 길이가 감소될 수 있어 제조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으며 캐비닛(100)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배치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725)은 캐비닛(10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900)의 열풍유로부(920)는 캐비닛(1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고, 집수부(170)와 저수부(7)는 캐비닛(10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725)은 캐비닛(100)의 양측면 중 타측면에 가깝게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0)의 일측면은 제1측면플레이트(1411)일 수 있고, 캐비닛(100)의 타측면은 제2측면플레이트(1413)일 수 있다.
즉,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725)은 캐비닛(100)의 측면플레이트(141) 중 제2측면플레이트(1413)에 가깝게 배치되어 집수부(170)와 저수부(7)를 연결하는 배수관(891)과 리턴관(893)의 연결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배수관(891)과 리턴관(893)이 열풍유로부(920)와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유동커버연장부(4279)는 다른 관점에서 보면, 유동커버결합부(4278)에서 제2측면플레이트(141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집수연장부(4279a)와 저수연장부(4279b)는 유동커버결합부(4278)에서 모두 제2측면플레이트(1413)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집수연장부(4279a)에 구비되는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장부(4279b)에 구비되는 저수연결홀(4725)은 모두 제2측면플레이트(1413)와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집수연장부(4279a)와 저수연장부(4279b)는 리어플레이트(420)의 제2측면플레이트(1413)와 결합되는 측면플레이트결합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유동커버결합부(4278)와 함께 상술한 측면플레이트결합부와 사이에 결합지지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집수연장부(4279a)와 저수연장부(4279b)는 결합지지부(424)의 형성길이를 증대시켜 리어커버(430)에 더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과 리턴관을 덮도록 구비되는 리어커버와 커버개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891)은 집수부(17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외부배출관(895)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배출관(895)은 외부에 노출되는 배수관(891)의 배수노출관(8913)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배출관(895)이 배수관(891)의 배수노출관(8915)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저수부(7)로 안내된 집수부(170)의 물을 직접 저수탱크를 인출하여 배출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외부배출관(895)에 의해 집수부(170)의 물이 사용자의 별도의 작업 없이 직접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배출관(895)은 배수펌프(897)에 의해 운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집수연결홀(4277)과 가깝게 위치되는 배수노출관(8913)에 구비될 수 있고, 배수펌프(897)는 외부배출관(895)에 집수부(170)의 물을 안내하는 거리가 최소화되어 불필요한 배수펌프(897)의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외부배출관(895)은 별도의 호스 등을 통해 하수구에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호스 등이 용이하게 배치되고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이 배수노출관(8915)과 연결되며 타단이 측면플레이트(141)를 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는 배수노출관(8913)이 제1측면플레이트(1411)보다 제2측면플레이트(1413)와 가까운 위치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고, 외부배출관(895)은 제2측면플레이트(1413)에 인접하고 타단이 제2측면플레이트(1413)를 향하여 연장되어 배수노출관(8913)을 유동하는 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외부배출관(895)은 배수노출관(8913)과 일체로 구비되어 배수노출관(8913)에서 분지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배수노출관(8913)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배출관(895)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출관지지부재(895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지지부재(8951)는 리어커버결합부(427)의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구비될 수 있고, 내주면을 외부배출관(895)이 관통하여 외부배출관(895)을 지지할 수 있다.
배출관지지부재(8951)는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접촉되어 외부배출관(895)을 지지하는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와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결합되어 외부배출관(895)을 지지하는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는 단부가 리어결합함몰면(427d)과 접촉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음에 따라 외부배출관(895)을 더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외부배출관(895)이 관통하며 외부배출관(895)과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외부배출관(895)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는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고정되어 외부배출관(895)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는 판을 구부려 내측에 외부배출관(895)이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판의 겹쳐져 있는 양단을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는 리어결합함몰면(427d)에 결합되어 외부배출관(895)에 강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와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는 상호간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의 사이에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가 배치될 수 있고,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는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 될 수 있다.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와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는 상호간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제1배출관지지부재(8951a)의 후방측 돌출 부분을 통해 제2배출관지지부재(8951b)가 진동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배수관(891)과 리턴관(893)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430)는 외부로 노출되는 배수노출관(8913)과 리턴노출관(8933)을 덮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배수노출관(8913)과 리턴노출관(893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어커버(430)는 배수노출관(8913)의 적어도 일부와 리턴노출관(8933)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430)는 배수노출관(8913)의 일부와 리턴노출관(8933)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되거나 배수노출관(8913)의 전부와 리턴노출관(8933)의 전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는 리어커버(430)가 배수노출관(8913)의 전부와 리턴노출관(8933)의 전부를 덮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어커버(430)가 배수노출관(8913)의 전부와 리턴노출관(8933)의 전부를 덮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리어커버(430)는 덕트커버(431)가 배수노출관(8913)의 집수연결홀(4277)을 향하는 일측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덕트커버둘레부(431a)는 전반적으로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고, 배수노출관(8913)의 상기 일측을 향하여 유동외주부(4231a)와 멀어지도록 확장될 수 있으며, 결합부커버(433)보다 상대적으로 내부에 큰 공간이 형성되는 덕트커버(431)가 집수연결홀(4277) 인근을 덮을 수 있다.
예컨대, 덕트커버둘레부(431a)는 유동부(4231)와 대응하여 전반적으로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하측에서 유동부(423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측면플레이트(1413)와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하여 확장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덕트커버(431)는 집수연결홀(4277)이 구비되는 상술한 집수연장부(4279a)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노출관(8913)의 일측에는 외부배출관(89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배출관(895)에는 외부배출관(895)을 지지하는 배출관지지부재(8951)가 구비될 수 있고, 덕트커버(431)는 집수연결홀(4277), 배수노출관(8913)의 일측, 외부배출관(895) 및 배출관지지부재(8951)등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또한, 리어커버(430)는 결합부커버(433)가 배수노출관(8913)의 집수연결홀(4277)을 향하는 타측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덕트커버둘레부(431a)는 전반적으로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고, 배수노출관(8913)의 상기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지 않으며 커버연장부(433b)가 덕트커버둘레부(431a)와 결합커버둘레부(433a)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덕트커버(431)보다 상대적으로 내부에 공간이 작게 형성되는 결합부커버(433)가 배수노출관(8913)의 상기 타측을 덮을 수 있다. 배수노출관(8913)의 타측에는 일측과 달리 별도의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 결합부커버(433)만으로 배수노출관(8913)의 상기 타측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예컨대, 덕트커버둘레부(431a)는 상측이 유동부(4231)와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결합부커버(433)는 저수연결홀(4275)이 구비되는 상술한 저수연장부(4279b)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다만, 덕트커버(431)가 집수연결홀(4277) 부근을 덮고 결합부커버(433)가 저수연결홀(4275) 부근을 덮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집수연결홀(4277) 부근에 배치되는 구성과 저수연결홀(4275) 부근에 배치되는 구성들을 고려하여 덕트커버(431) 또는 결합부커버(433)가 선택적으로 집수연결홀(4277)과 저수연결홀(4275)을 덮을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성들의 부피를 고려하여 덕트커버(431)와 결합부커버(433)가 구비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에 위치되는 구성들을 용이하게 덮을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배수노출관(8913)을 유동하는 물을 외부배출관(895)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되는 커버관통부(437)룰 포함할 수 있다.
커버관통부(437)는 리어커버(430)의 일측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의 일측은 외부배출관(895)을 마주하는 영역일 수 있다.
커버관통부(437)는 관통된 부분을 통해 외부배출관(895)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외부배출관(895)의 타단이 호스 등을 통해 외부에 위치되는 하수구와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덕트커버(431)가 외부배출관(895)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고, 커버관통부(437)는 리어커버(430)의 덕트커버(431)와 결합부커버(433)를 함께 관통하여 형성되어 보다 넓은 관통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커버관통부(437)는 배출관지지부재(859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되어 배출관지지부재(8591)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커버관통부(437)가 덕트커버(431)의 커버차폐부(431b)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커버차폐부(431b)의 커버관통부(437)를 향하는 단부에 후술할 커버개폐부(439)의 개폐힌지부(4393)가 구비될 수 있으므로, 개폐힌지부(4393)는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는 커버관통부(437)는 덕트커버둘레부(431a), 커버차폐부(431b), 결합커버둘레부(433a) 및 커버연장부(430b)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커버관통부(437)의 관통면적과 외부배출관(895)과 외부에 위치된 하수구를 연결하는 호스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며, 커버관통부(437)의 형상은 제작여건 및 다른 구성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430)는 커버관통부(437)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커버개폐부(439)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개폐부(439)는 커버관통부(437)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개폐본체부(4391)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본체부(4391)는 커버관통부(43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리어커버(430)에 결합되어 리어커버(430)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즉, 개폐본체부(4391)는 덕트커버(431)의 일부와 결합부커버(433)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본체부(4391)는 커버차폐부(431b)의 일부, 덕트커버둘레부(431a)의 일부, 커버연장부(433b)의 일부 및 결합커버둘레부(433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전체적인 형상이 단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폐본체부(4391)는 커버관통부(437)를 차폐하여 외부배출관(895)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리어커버(430)의 일부를 이룰 수 있어 미관상 통일감을 줄 수 있다.
또한, 개폐본체부(4391)는 덕트커버(431) 및 결합부커버(433)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커버관통부(437)를 개폐시 덕트커버(431) 및 결합부커버(433)와 접촉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커버개폐부(439)는 개폐본체부(4391)가 커버관통부(43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개폐힌지부(49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힌지부(4933)는 리어커버(430)와 개폐본체부(4391)를 연결하며, 개폐본체부(4391)가 커버관통부(437)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힌지부(4933)는 커버차폐부(431b) 와 개폐본체부(4391)의 커버차폐부(431b)를 이루는 부분을 연결할 수 있다.
개폐힌지부(4933)는 개폐본체부(4391)를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커버관통부(437)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즉, 커버개폐부(439)는 외부배출관(895)을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외부배출관(895)을 통해 외부로 집수부(170)의 물을 배출하는 경우 커버관통부(437)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저수부(7)를 통해 외부로 집수부(170)의 물을 배출하는 경우 커버관통부(437)를 차폐할 수 있다.
커버개폐부(439)가 개폐힌지부(4933)를 통해 개폐본체부(4391)를 회동하여 커버관통부(437)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개폐본체부(439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방식은 슬라이딩 방식등과 같은 별도의 다른 방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개폐부(439)는 개폐본체부(4391)를 리어커버(430) 또는 리어플레이트(420)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개폐후크부(439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후크부(4395)는 개폐본체부(4391)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 또는 리어커버(430)에 후크결합되어 개폐본체부(4391)를 리어플레이트(420) 또는 리어커버(43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 또는 리어커버(430)에는 개폐후크부(4395)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폐후크부(4395)를 수용할 수 있는 개폐후크수용부(428)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개폐후크부(4395)는 개폐본체부(4391)의 결합부커버(433)의 일부를 이루는 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420)의 후면을 마주할 수 있다. 또한, 리어플레이트(420)는 개폐후크부(4395)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개폐후크수용부(428)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후크부(4395)는 개폐후크수용부(428)에 삽입되어 개폐본체부(4391)가 커버관통부(437)를 차폐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개폐후크수용부(428)에 분리되어 개폐본체부(4391)가 커버관통부(437)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개폐후크부(4395)와 개폐후크수용부(428)는 후크결합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결합방식을 통해 외부배출관(895)을 사용하지 않을 시 개폐본체부(4391)가 커버관통부(497)를 차폐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배출관(895)을 사용할 시 개폐본체부(4391)가 커버관통부(497)를 개방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891)은 집수부(170)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세척부(940) 또는 배수노출관(891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유로전환밸브(89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전환밸브(894)는 집수배수관(8911) 상에 구비될 수 있고, 집수배수관(8911)은 유로전환밸브(894)와 집수부(170)를 연결하는 제1집수배수관(8911a)과 유로전환밸브(894)와 배수노출관(8913)을 연결하는 제2집수배수관(8911b)을 포함할 수 있다.
집수부(17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집수부(170)의 물은 제1집수배수관(8911a), 유로전환밸브(894) 및 제2집수배수관(8911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수노출관(8913)으로 안내될 수 있고, 배수노출관(8913)으로 안내되는 물은 외부배출관(895) 또는 저수부(7)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집수부(170)의 물을 세척에 이용하는 경우, 집수부(170)의 물은 제1집수배수관(8911a), 유로전환밸브(894) 및 세척부(940)의 세척유로로 안내될 수 있고, 세척유로로 안내된 물은 증발기(951)로 유입되어 증발기(951)를 세척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894)는 집수부(170)의 물을 세척부(940) 또는 배수노출관(8913)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어 집수부(170)의 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공급부에 연결된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8(a)는 팬덕트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8(b)는 팬덕트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8(c)는 팬덕트부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8(d)는 팬덕트부가 분리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열풍공급부(900)에서 덕트부(423)로 열풍을 공급하는 팬덕트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부(850)는 팬덕트부(850)의 외관을 형성하는 팬덕트본체부(851)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열풍공급부(900)와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개방되어 열풍공급부(900)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송풍부(960)의 송풍팬하우징(963)에 결합되어 송풍팬하우징(963)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컨대, 송풍팬하우징(963)은 열풍유로부(920)와 연결되어 열풍이 유입될 수 있고, 개방된 상면을 통해 유입된 열풍을 토출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송풍팬하우징(963)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팬덕트본체부(851)는 송풍팬하우징(963)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되는 팬덕트유입부(8511)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8(c)에는 팬덕트유입부(8511)가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팬덕트유입홀(8511a)을 포함할 수 있고, 팬덕트유입홀(8511a)은 송풍팬하우징(963)의 외부로 열풍을 토출하기 위한 홀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덕트유입홀(8511a)은 송풍팬하우징(963)의 내부에서 열풍을 공급받을 수 있다.
팬덕트유입부(8511)는 송풍팬하우징(963)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강한 결합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팬덕트유입부(8511)와 송풍팬하우징(963) 사이로 열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팬덕트본체부(851)는 송풍팬하우징(963)과 결합되기 위해 외주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연결체결부(851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체결부(8511b)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송풍팬하우징(963)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유입부(8511)에 인접한 팬덕트본체부(851)의 외주면에 또는 팬덕트유입부(8511)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외주면이나 팬덕트유입부(8511)에서 돌출될 수 있고 단부에 체결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본체부(851)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송풍팬하우징(963)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체결부(8511b)는 팬덕트부(850) 전체가 송풍팬하우징(963)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부(850)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는 팬덕트지지리브(854)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지지리브(854)는 유입함몰면(4234)에 지지되기 위해 팬덕트본체부(851)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팬덕트지지리브(854)는 팬덕트본체부(851)의 후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지지리브(854)는 유입함몰면(4234)을 향해 돌출되고 팬덕트본체부(8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는 팬덕트본체부(8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너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팬덕트지지리브(854)는 팬덕트본체부(851) 후면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팬덕트부(850)의 구조적 강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부(850)가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되는 경우, 팬덕트지지리브(854)는 유입함몰면(4234)에 접촉되어 팬덕트부(850)의 지지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팬덕트본체부(851)는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지지리브연결부(854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연결부(8541)는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를 서로 연결시켜,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가 일체로 진동을 흡수하거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8(b)에는 지지리브연결부(8541)는 복수 개의 팬덕트지지리브(854)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되고, 지지리브연결부(8541)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본체부(851)는 유입함몰면(4234)과 팬덕트본체부(851)의 결합을 위한 지지결합부(854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결합부(8543)는 팬덕트지지리브(854) 또는 지지리브연결부(8541)에 구비되며 일정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지지결합부(8543)는 팬덕트부(850)를 유입함몰면(4234)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8(b)에는 지지결합부(8543)가 팬덕트지지리브(854)와 지지리브연결부(8541)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해석 되어서는 아니되고, 지지결합부(8543)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지지리브(854)가 유입함몰면(4234)에 접촉되는 경우, 팬덕트지지리브(854) 및 지지리브연결부(8541)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은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고,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지지리브(854) 내부와 팬덕트지지리브(854) 외부를 연통시키는 지지리브연결홀(854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리브연결홀(8542)은 팬덕트지지리브(854) 또는 지지리브연결부(854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와 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0(a)는 덕트부에 결합된 팬덕트부를 상측에서 나타낸 것이고, 도 20(b)는 덕트부에 결합된 팬덕트부를 전방에서 나타낸 것이다.
도 20(a)를 참조하면, 팬덕트본체부(851)는 열풍공급부(900)로부터 공급받은 열풍을 유동부(4231)로 안내하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이 열풍공급부(900)와 연결되며, 타단이 유입부(4233) 또는 유동부(4231)와 연결될 수 있고, 팬덕트유출부(8515)는 팬덕트본체부(851)의 타단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의 제1유동공간(V1) 또는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의 유동함몰면(4232)과 유입부(4233)의 유입함몰면(4234)에 결합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후면이 일정면적 이상 유입함몰면(4234) 또는 유동함몰면(4232)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유동함몰면(4232) 또는 유입함몰면(4234)에 의해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외주부(4231a)는 유입둘레부(4233a)가 연결되는 일측 및 타측 사이가 개방되어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은 연통될 수 있으며, 호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동외주부(4231a)의 일측은 제1유동연결부(4235)로 설명하고, 유동외주부(4231a)의 타측은 제2유동연결부(4236)로 설명한다.
즉, 제1유동연결부(4235)는 제2유동연결부(4236)보다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서 멀리 위치되며, 캐비닛(100)의 하부플레이트(147)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의 경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유동함몰면(4232)과 유입함몰면(4234)의 경계에 접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의 경계에 배치되어 팬덕트부(850)의 내부를 유동하는 열풍을 유동부(4231)로 바로 안내할 수 있어 유동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열풍의 유동거리를 최소화함에 따라 열풍의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를 구획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외주부(4231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유동부(4231)의 일부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유동외주부(4231a)와 함께 원의 형상을 이루어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를 구획할 수 있다.
즉, 팬덕트유출부(8515)의 길이는 제1유동연결부(4235)와 제2유동연결부(4236)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양측면이 상술한 유동외주부(4231a)의 제1유동연결부(4235) 및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부(8515)는 일측면이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할 수 있고, 타측면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를 통해 유동부(4231)로 유입된 열풍은 유입부(4233)로 유동하는 것이 최대한 방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팬덕트유출부(8515)와 함께 유동부(4231)와 유입부(4233)를 구획하는 팬덕트차폐부(8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팬덕트유출부(8515)에 대해 설명하면, 팬덕트유출부(8515)는 폭이 유동외주부(4231a)의 개방된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는 폭이 유동외주부(4231a)의 개방된 폭보다 작게 구비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부(960)는 내부에 송풍팬(961)이 배치되고 열풍의 유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팬덕트유출부(8515)보다 폭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고, 유입부(4233)의 제2유동공간(V2)에는 송풍부(960)와 팬덕트유출부(8515)가 함께 배치됨에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의 폭은 유동외주부(4231a)의 제1유동연결부(4235)와 제2유동연결부(4236)사이의 폭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부(960)의 일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팬덕트유입부(8511)가 결합될 수 있고, 팬덕트유출부(8515)의 개방된 면적이 너무 크게 구비된다면 열풍의 유속이 급감하는 등 유동부(4231)로 공급되는 열풍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상술한 이유 외에도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팬덕트유출부(8515)가 유동부(4231) 및 유입부(4233)의 경계 중 일부를 차폐하고, 팬덕트차폐부(853)가 상기 경계 중 팬덕트유출부(8515)에 의해 차폐되지 못한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즉,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에서 유동외주부(423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유동부(4231a)의 일부를 이룰 수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이 유동외주부(4231a)와 이격될 수 있고,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서 상술한 제1유동연결부(4235) 또는 제2유동연결부(423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 및 유동외주부(4231)와 함께 원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양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즉,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어느 하나가 제1유동연결부(4235)나 제2유동연결부(4236) 접하게 구비될 수 있고, 팬덕트차폐부(853)는 나머지 하나에서 제1유동연결부(4235)나 제2유동연결부(4236)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은 양측면 중 제1측면플레이트(1411)에 더 가깝게 구비되는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b)에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이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하며,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타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덕트유출부(8515)의 타측면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하게 구비될 수 있고,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측면에서 연장되어 제1유동연결부(4235)에 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차폐부(8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만 연장되어 제작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850)는 팬덕트유출부(8515)와 팬덕트유입부(8511)를 연결하는 팬덕트연장부(8513)를 포함할 수 있고, 팬덕트연장부(8513)는 팬덕트유출부(8515)가 제1유동연결부(4235) 또는 제2유동연결부(4236)에 접함에 따라 일부가 유입둘레부(4233a)에 접할 수 있다. 즉, 팬덕트부(850)는 팬덕트연장부(8513)가 유입둘레부(4233a)에 접함에 따라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열풍공급부(900)에서 공급받은 열풍을 유동부(4231a)로 토출하기 위해 팬덕트유출부(8515)에 구비되는 팬덕트유출홀(8515a)을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홀(8515a)은 팬덕트유출부(8515)에서 제1유동공간(V1)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유출홀(8515a)은 유동내주부(4231b)를 마주하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유출부(8515)가 단독 또는 팬덕트차폐부(853)와 함께 제1유동공간(V1)과 제2유동공간(V2)을 구획할 수 있고, 팬덕트유출홀(8515a)은 유동내주부(4231a)를 마주함에 따라 팬덕트유출홀(8515a)을 통과하는 열풍이 직접 드럼후면(220)의 드럼차폐부(221)를 향하지 않고 제1유동공간(V1)을 향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홀(8515a)은 팬덕트유출홀(8515a)을 통과하는 열풍이 유동부(4231) 전체로 확산되어 유동부(4231)를 마주하는 드럼차폐부(221)를 통해 균일하게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팬덕트부(850)를 통해 유동부(4231)로 공급되는 열풍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팬덕트부(850)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은 덕트부(423)의 유동부(4231) 내에서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방향(C1)이란 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타방향(C2)이란 반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2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리어플레이트(420)와 결합되는 팬덕트결합부(855)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팬덕트결합부(855)를 통해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될 수 있다.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차폐부(853)에 구비되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와 팬덕트유출부(8515)에 구비되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팬덕트결합부(8553)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일단부가 팬덕트유출부(8515)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팬덕트결합부(8553)는 일단부가 팬덕트유출부(8515)보다 타방향(C2)으로 더 연장되며 유동외주부(4231a)의 외측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팬덕트결합부(8555)는 팬덕트차폐부(85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유동외주부(4231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타단부가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외측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제2팬덕트결합부(8555)는 타단부가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일방향(C1)으로 더 연장되며 유동외주부(4231a)의 외측에서 리어플레이트(420)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1팬덕트결합부(8553) 및 제2팬덕트결합부(8555)는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리어플레이트(420)에 결합됨으로써 강한 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팬덕트결합부(8553)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팬덕트결합부(855)는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고,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이루는 호의 길이가 팬덕트차폐부(853)와 팬덕트유출부(8515)가 이루는 호의 길이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420)는 팬덕트결합부(855)와 결합되는 팬덕트수용부(4271)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수용부(4271)는 팬덕트결합부(855)의 양단부와 결합될 수 있고, 제1팬덕트결합부(8553)와 결합되는 제1팬덕트수용부(4271a)와 제2팬덕트결합부(8555)와 결합되는 제2팬덕트수용부(42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덕트수용부(4271a)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일방향(C1)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팬덕트수용부(4271b)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의 팬덕트유출부(8515) 보다 타방향(C2)으로 더 돌출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결합부(855)는 양단부가 팬덕트수용부(4271)에 수용되어 강한 지지력을 받을 수 있고, 팬덕트부(850) 전체가 팬덕트수용부(4271)에 의해 더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제1실링부(451)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결합가이더(85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유출부(8515)가 유동부(4231)의 외측 둘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1실링부(451)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팬덕트유출부(8515)를 포함하는 유동부(4231)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결합가이더(8551)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1결합가이더(8551a)와 팬덕트차폐부(853)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결합가이더(8551b)를 포함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의 전방에 제1팬덕트결합부(8553)가 구비될 수 있고, 제1결합가이더(8551a)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는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제1실링부(451)의 둘레와 대응되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가 복수의 리브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리브는 이격되어 사이에 제1실링부(451)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는 제1실링부(451)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제1실링부(45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는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체에 연장될 수 있고, 제1실링부(451)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제1실링부(451)를 더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팬덕트차폐부(853)의 전방에 제2팬덕트결합부(8555)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결합가이더(8551b)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가이더(8551b)는 제2팬덕트결합부(8555)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제1실링부(451)의 둘레와 대응되게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결합가이더(8551b)가 복수의 리브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리브는 이격되어 사이에 제1실링부(451)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는 제1실링부(451)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제1실링부(451)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브는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팬덕트결합부(8553)의 전체에 연장될 수 있고, 제1실링부(451)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제1실링부(451)를 더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는 제2결합가이더(8551b)와 연결되어 함께 제1실링부(45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결합가이더(8551a) 및 제2결합가이더(8551b)는 연결되어 제1실링부(451)를 더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유출부(8515) 및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유동부(4231)의 중심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유출부(8515)와 팬덕트차폐부(853)보다 유동부(4231)의 중심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팬덕트결합부(855)는 팬덕트유출부(8515) 및 팬덕트차폐부(853) 보다 단면적이 증가되어 팬덕트결합부(855)의 전면에 결합가이더(8551)가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8(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복수의 분할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팬덕트부(850)는 복수의 분할체가 결합되어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덕트부(850)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나 형상이 복잡하고 내부에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제작편의를 위하여 복수의 분할체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체의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리벳결합, 끼워맞춤 결합, 접착 및 용접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팬덕트부(850)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팬덕트부(850)의 일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팬덕트부(850)의 나머지 형상을 형성할 수 있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가 결합된다면 팬덕트부(850)의 형상이 완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리어플레이트(420)를 마주하며, 상술한 팬덕트유입부(8511)의 일부,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부, 팬덕트유출부(8513)의 일부 및 팬덕트차폐부(853)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드럼후면(220)을 마주하며, 상술한 팬덕트유입부(8511)의 일부, 팬덕트본체부(851)의 일부, 팬덕트유출부(8513)의 일부, 팬덕트차폐부(853)의 일부, 팬덕트결합부(855) 및 결합가이더(855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팬덕트부(850)의 중앙에서 상부플레이트(145)에서 하부플레이트(147)를 향하는 방향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팬덕트부(85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팬덕트부(850)의 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팬덕트부(850)를 분할 형상은 팬덕트부(850)의 전체의 형상, 제작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와 별도의 결합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1팬덕트결합부(850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일면에 구비되는 제2팬덕트결합부(850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팬덕트결합부(8501a)와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3)는 함께 팬덕트본체부(851)를 형성할 수 있고, 제1팬덕트결합부(8501a) 및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팬덕트본체부(851)의 양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팬덕트결합부(8502a)가 제1팬덕트결합부(8501a)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설명한다.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는 일종의 후크결합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제1팬덕트결합부(8501a)가 제2팬덕트결합부(8502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팬덕트결합부(8501a)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의 양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고, 제2팬덕트결합부(8502a)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팬덕트결합홀(8501c)이 구비될 수 있다.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팬덕트결합홀(8501c)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팬덕트결합홀(8501c)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팬덕트결합부(8501a) 및 제2팬덕트결합부(8502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는 상호간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팬덕트형성부(8501)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와 함께 팬덕트부(850)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팬덕트유입부(8511), 팬덕트본체부(851) 및 팬덕트유출부(8515)는 모두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팬덕트부(850)는 결합 과정이나 제작과정에서 외력이 작용하면 파손되거나 형상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따.
지지부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가 팬덕트부(850)의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에 구비되는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에 구비되는 제2팬덕트지지부(85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각각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에서 돌출되어 단부가 접하도록 구비되어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에 지지력을 제공항 수 있다.
예컨대,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팬덕트유출부(851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팬덕트지지부(8501b)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형성하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의 일면에서 제2팬덕트지지부(8502)를 향해 돌출되며,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형성하는 제2팬덕트형성부(8502)의 일면에서 제1팬덕트지지부(8502)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팬덕트유출부(8515)의 내부에서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1팬덕트지지부(8501b)와 제2팬덕트지지부(8502b)는 별도의 체결부재가 함께 관통하여 제1팬덕트형성부(8501)와 제2팬덕트형성부(8502)를 고정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별도의 체결부재는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와 더불어 리어플레이트(420)를 관통함으로써, 제1팬덕트형성부(8501) 및 제2팬덕트형성부(8502)간의 결합력은 물론 리어플레이트(420)와 팬덕트부(850)의 결합력 또한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18(a)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덕트부(850)는 드럼(200)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0) 내부의 효율적인 공간활용을 위해 팬덕트부(850)는 드럼(200)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본체부(851)는 일단을 형성하는 팬덕트유입부(8511)가 열풍공급부(900)의 송풍부(960)에 연결되고 타단을 형성하는 팬덕트유출부(8515)가 리어플레이트(420)의 덕트부(423)에 연결될 수 있다.
송풍부(960)가 드럼(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덕트부(423)는 드럼(200)의 후방에 드럼(200)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음에 따라, 이를 연결하는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유입부(8511)에서 팬덕트유출부(8515)까지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9를 참조하면, 팬덕트본체부(851)는 팬덕트유입부(8511)에서 팬덕트유출부(8515)까지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팬덕트부(850)가 후방으로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된다면 수직 상방 연장된 경우 대비하여 드럼과의 간섭이 감소될 수 있어 드럼의 설계적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200)은 후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고, 크기가 더 크게 구비되어 의류의 수용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부(4231) 내부로 열풍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부(850)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은 덕트부(423)의 유동부(4231) 내에서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일방향(C1)이란 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타방향(C2)이란 반시계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유동내주부(4231b)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마주하는 부분이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는 일방향(C1) 또는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열풍의 집중을 방지하고, 드럼(200)내부로 열풍이 균형있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20(b)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유동내주부(4231b)는 유동내주본체부(4231d) 및 유동내주안내부(4231e)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내주본체부(4231d)는 원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유동내주안내부(4231e)는 유동내주본체부(4231d)에서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부(4231b)는 전체적인 형상이 물방울 형상 또는 유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유동내주안내부(4231e)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하며 호가 중첩되어 연장될 수 있고, 호의 길이는 팬덕트유출부(8515)를 향할수록 감소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팬덕트유출부(8515)에서 토출되는 열풍은 유동내주안내부(4231e)에 의해 일방향(C1) 및 타방향(C2)으로 갈라져 제1유동공간(V1) 전체에 균형있게 열풍이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b)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부(4231)는 드럼후면(220)으로 더 효율적으로 열풍을 안내하기 위한 유동가이더(4231c)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함몰면(423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제1유동공간(V1)의 열풍이 유동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외주부(4231a)와 유동내주부(4231b) 사이를 잇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동가이더(4231c)는 제1유동공간(V1)으로 유입된 열풍의 유동방향을 드럼후면(220)을 향하여 변화시키며 열풍의 유속을 감소시켜 드럼(200) 내부로 열풍이 효율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함몰면(4232)에서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높이가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원주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높이가 증가되는 경사구간,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높이가 일정한 일정구간 및 유동부(4231)의 원주방향을 따라 팬덕트유출부(8515)로부터 멀어질수록 전방을 향해 돌출된 높이가 감소하는 감소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는 전체적으로 돌출높이가 변화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제1유동공간(V1)을 유동하는 열풍이 유동가이더(4231c)에 의해 유속 및 유동방향이 변경이 발생되어 효율적으로 드럼후면(220)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컨대, 유동가이더(4231c)는 팬덕트부(850)를 기준으로 일방향(C1)을 따라 유동함몰면(4232)에서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동가이더(4231c)는 드럼후면(220)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일정높이까지 돌출된 후 일방향(C1)을 따라 일정높이가 유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유동가이더(4231c)는 일정높이가 유지되도록 연장되고 일방향(C1)을 따라 돌출높이가 다시 감소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b)를 다시 참조하면, 유동가이더(4231c)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가이더(4231c)가 2개인 유동부가 도시되어 있다.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는 팬덕트부(850)와 가장 멀리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는 유동부(4231)의 중심을 기준으로 팬덕트부(850)의 반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는 팬덕트부(850)와 하나의 유동가이더(4231c)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일방향(C1) 또는 타방향(C2)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유동가이더(4231c)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유동공간(V1)의 부피, 드럼후면(220)의 크기 및 열풍의 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캐비닛 200: 드럼
220: 드럼후면 221: 드럼차폐부
223: 드럼수용부 410: 프론트플레이트
420: 리어플레이트 421: 리어탱크지지홀
423: 덕트부 4231: 유동부
4231a: 유동외주부 4231b: 유동내주부
4231c: 유동부가이더 4233: 유입부
4234: 유입함몰면 425: 장착부
4251: 장착수용부 4253: 장착둘레부
4255: 장착홀 4257: 장착연결부
427: 리어커버결합부 427a: 리어결합둘레부
427b: 유동커버결합부 427c: 유동커버연장부
4275: 저수연결홀 4277: 집수연결홀
430: 리어커버 431: 덕트커버
433: 결합부커버 435: 구동부리브
4351: 리브외주부 4353: 리브내주부
4355: 리브슬릿부 436: 커버수용부
4361: 방열홀 4363: 커버함몰부
437: 커버관통부 438: 커버개폐부
450: 실링부 451: 제1실링부
452: 제2실링부 M: 구동부
500: 모터부 600: 감속기
850: 팬덕트부 851: 팬덕트본체부
853: 팬덕트차폐부 855: 팬덕트결합부
8551: 결합가이더 891: 배수관
8911: 집수배수관 8913: 배수노출관
8915: 저수배수관 893: 리턴관
8931: 집수리턴관 8933: 리턴노출관
8935: 저수리턴관 895: 외부배출관
900: 열풍공급부 920: 열풍유로부
950: 히트펌프 961: 송풍팬
963: 송풍팬하우징 965: 송풍팬구동부

Claims (15)

  1. 전방에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형성하며,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드럼 내부로 안내하는 덕트부를 포함하는 리어플레이트;
    상기 열풍공급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에서 토출되는 상기 열풍으로부터 수증기를 제거하는 수증기제거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증기제거부로부터 응축수가 유입되며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집수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상기 집수부에 저장되는 상기 응축수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저수부; 및
    상기 집수부와 상기 저수부를 연결시켜 상기 집수부의 물을 상기 저수부로 안내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집수부와 상기 저수부를 연결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며, 다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와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면을 따라 연장되며 다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는 리턴관;을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집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로 연장되는 집수배수관과, 상기 집수배수관에서 상기 덕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배수노출관과, 상기 배수노출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저수부와 연결되는 저수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리턴관은 상기 저수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저수리턴관과, 상기 저수리턴관에서 상기 덕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리턴노출관과, 상기 리턴노출관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는 집수리턴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집수연결홀 및 상기 집수연결홀과 이격되어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저수연결홀을 포함하며,
    상기 집수배수관 및 상기 집수리턴관은 상기 집수연결홀을 관통하고, 상기 저수배수관 및 상기 저수리턴관은 상기 저수연결홀을 관통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리 덕트부의 외측에서 상기 덕트부를 둘러싸며 후방으로 함몰되는 리어커버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리어커버결합부보다 후방으로 더 함몰되며, 상기 집수연결홀 및 상기 저수연결홀은 상기 리어커버결합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결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덕트부 및 상기 리어커버결합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리어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배수노출관 및 상기 리턴노출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배수노출관 및 상기 리턴노출관을 덮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배수노출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노출관을 유동하는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부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리어커버의 일측이 관통되어 상기 외부배출관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관통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커버관통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커버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개폐부는,
    상기 커버관통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개폐본체부; 및
    상기 개폐본체부를 상기 리어커버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개폐힌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드럼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저수부는 상기 드럼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집수배수관과 연결되며 상기 집수부의 상기 물을 상기 저수부로 운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수배수관은 일부가 상기 저수부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저수부의 상부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환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드럼을 마주하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일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고 전방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열풍공급부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유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유동부로부터 상기 열풍을 공급받는 드럼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부 내부를 유동하는 상기 열풍이 상기 드럼유입부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와 상기 열풍공급부를 연결시키며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열풍을 상기 유동부로 안내하는 팬덕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덕트부는,
    상기 유동부에서 상기 열풍공급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팬덕트부가 배치되는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상기 유동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결합되며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풍공급부는,
    일단이 상기 드럼의 전면과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팬덕트부와 연통되며 내부에 상기 열풍이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열풍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유로부는 상기 캐비닛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 및 상기 저수부는 상기 일측면 보다 상기 타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되며, 상기 집수연결홀 및 상기 저수연결홀은 상기 일측면 보다 상기 타측면에 더 가깝게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결합부는,
    상기 유동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유동커버결합부; 및
    상기 유동커버결합부에서 상기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유동커버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연결홀 및 상기 저수연결홀은 상기 유동커버연장부에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증기제거부를 세척하도록 구비되는 세척부; 및
    상기 집수배수관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펌프에서 유입되는 상기 물을 상기 세척부 또는 상기 저수부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24985A 2021-02-24 2021-02-24 의류처리장치 KR20220121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85A KR20220121057A (ko) 2021-02-24 2021-02-24 의류처리장치
AU2022225883A AU2022225883A1 (en) 2021-02-24 2022-02-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22/002653 WO2022182127A1 (en) 2021-02-24 2022-02-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2158396.6A EP4050144A1 (en) 2021-02-24 2022-02-24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410906311.8A CN118773901A (zh) 2021-02-24 2022-02-24 衣物处理装置
TW111106870A TWI809734B (zh) 2021-02-24 2022-02-24 衣物處理裝置
US17/679,812 US20220267944A1 (en) 2021-02-24 2022-02-24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410906313.7A CN118756478A (zh) 2021-02-24 2022-02-24 衣物处理装置
CN202210172165.1A CN114960146B (zh) 2021-02-24 2022-02-24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985A KR20220121057A (ko) 2021-02-24 2021-02-2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57A true KR20220121057A (ko) 2022-08-31

Family

ID=8306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985A KR20220121057A (ko) 2021-02-24 2021-02-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10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794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908534B (zh) 衣物处理装置
CN114908532B (zh) 衣物处理装置
TW202237935A (zh) 衣物處理裝置
KR202201210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1056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27556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5015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960148B (zh) 衣物处理装置
US2022029036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908538B (zh) 衣物处理装置
US2022029036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2012642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2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16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7049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20114271A (ko) 의류처리장치
CN114941223A (zh) 衣物处理装置
CN118087193A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