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011A -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011A
KR20220121011A KR1020210024886A KR20210024886A KR20220121011A KR 20220121011 A KR20220121011 A KR 20220121011A KR 1020210024886 A KR1020210024886 A KR 1020210024886A KR 20210024886 A KR20210024886 A KR 20210024886A KR 20220121011 A KR20220121011 A KR 20220121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ing unit
water
removal device
outer circumferential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326B1 (ko
Inventor
이충환
Original Assignee
이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환 filed Critical 이충환
Priority to KR102021002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326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8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with rotary or vibrato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tact with sorbent bodies, e.g. absorbent mould; by admixture with sorbent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2Vehicle bodies, e.g. after being pai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는,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핸들링부; 상기 핸들링부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핸들링부 외주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핸들감쌈부; 및 상기 핸들감쌈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핸들감쌈부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가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할 수 있는 친수성 소재로 구성된 물기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흡수된 물기를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로부터 손쉬운 방법으로 외부로 배출한 후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어,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Car Wash Water Removal Device Having Flexible Structure}
본 발명은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세차한 후 차량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할 경우에는, 수건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거나, 세차용 봉 걸레를 이용하여 세차 후 차량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용 봉 걸레는 차량의 세차 후 차량 외면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는 것으로, 일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봉과, 손잡이부의 타측인 봉의 둘레에 부착 고정되는 원통형의 닦음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봉 걸레를 사용하여 세차 후 차량 외관에 묻어 있는 물기를 닦아 제거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봉의 손잡이부 잡은 상태에서 원통형의 닦음부재를 차량 외관에 반복하여 밀착 이동시키는 과정을 통해 차량 외관의 물기를 닦아 제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세차용 봉 걸레를 사용하여 세차 후 차량 외관의 물을 닦을 경우에는, 원통형의 닦음부재의 접촉 면적이 작아 봉 걸레의 닦는 횟수가 늘어남으로써 세차 후 차량 외관의 묻어 있는 물기의 닦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원형 롤 타월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원형 롤 타월장치는, 일측에 손잡이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타월 연결부(12)가 형성되어, 타월 연결부(12)에 롤 타월(2)를 감아 세차 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원형 롤 타월장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롤 타월(2)에 흡수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원형 롤 타월장치로부터 롤 타월(2)를 재차 분리한 후 짜내고, 다시 원형 롤 타월장치에 말아 장착해야 하며, 이로 인해 세차 후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7116호 (등록일자: 2019년07월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흡수된 물기를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로부터 손쉬운 방법으로 외부로 배출한 후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어,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는,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핸들링부; 상기 핸들링부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핸들링부 외주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핸들감쌈부; 및 상기 핸들감쌈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핸들감쌈부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가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할 수 있는 친수성 소재로 구성된 물기흡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부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이고, 물과의 접촉면에 분리막을 형성하는 소수성 수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부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요철 구조 또는 굴곡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 구조 또는 굴곡 구조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감쌈부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원사를 망사형 구조로 직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감쌈부는, 상기 핸들링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구조이고, 핸들링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부재의 외부면에는, 다수의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핸들링부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물기흡수부를 핸들링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구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부는, 상기 핸들링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의 만입홈;을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만입홈은, 핸들링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고, 사용자는 상기 만입홈을 이용하여 핸들링부의 외주면을 잡아 비틀어 짜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기흡수부는, 상기 핸들감쌈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핸들외주면 접촉부; 및 상기 핸들감쌈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도출된 돌기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외주면 접촉부와 돌기구조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기흡수부는, 핸들감쌈부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핸들감쌈부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가 방사형태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첩구조가 핸들감쌈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기흡수부의 절첩구조 내측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기흡수부의 절첩구조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는, 핸들감쌈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기흡수부의 절첩구조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는, 핸들감쌈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나선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핸들링부, 핸들감쌈부, 물기흡수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흡수된 물기를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로부터 손쉬운 방법으로 외부로 배출한 후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어,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핸들감쌈부, 나성형 구조의 만입홈을 구비함으로써, 만입홈을 이용하여 핸들링부의 외주면을 잡아 비틀어 짜는 동작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물기흡수부에 흡수된 물을 외부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핸들감쌈부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가 방사형태로 형성된 돌기구조를 형성하는 절첩구조를 포함하고, 절첩구조 내부에 소정 부피를 가지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와의 접촉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물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에 따르면, 물기흡수부의 절첩구조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를 핸들감쌈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된 구조로 형성하고,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돌기구조를 핸들감쌈부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나선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와의 접촉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물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나선형 구조를 따라 비틀어 짜는 동작을 손쉽게 수행하여 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물기 제거장치를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의 물기흡수부와 핸들링부를 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의 핸들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의 핸들링부와 핸들감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선 절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선 절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의 물기흡수부와 핸들링부를 서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핸들링부(110), 핸들감쌈부(120), 물기흡수부(130)를 구비함으로써,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빠른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흡수된 물기를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로부터 손쉬운 방법으로 외부로 배출한 후 빠르게 재사용할 수 있어,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부(110)는,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핸들감쌈부(120)는, 핸들링부(11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핸들링부(110) 외주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감쌈부(120)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원사를 망사형 구조로 직조한 것일 수 있다. 핸들감쌈부(120)는, 사용자의 손에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마찰력을 형성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물기흡수부(130)는,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핸들감쌈부(120)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132)가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할 수 있는 친수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기흡수부(130)는, 습식타올의 주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는 PVA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PVA소재로 구성된 물기흡수부(130)는, 친수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물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 손쉽게 비틀어져 흡수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유연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기흡수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핸들외주면 접촉부(131) 및 돌기구조(13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물기흡수부(130)의 핸들외주면 접촉부(131)는,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이다. 또한, 물기흡수부(130)의 돌기구조(132)는,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도출된 구조이다. 이때, 핸들외주면 접촉부(131)와 돌기구조(132)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물기흡수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핸들감쌈부(120)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132)가 방사형태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첩구조(133)가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물기흡수부(130)의 절첩구조(133) 내측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S)이 형성되어 있어,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흡수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소정 크기의 공간(S)은, 차량 외부면과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댐핑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물기 제거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기와 함께 잔존할 수 있는 입자성 이물질에 의해 차량 외주면에 선형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기흡수부(130)의 절첩구조(133)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132)는, 핸들감쌈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물기흡수부(130)의 절첩구조(133)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132)는,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나선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물기흡수부(130)의 표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고, 확장된 표면적만큼 물기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선형 구조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물기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물기 제거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기와 함께 잔존할 수 있는 입자성 이물질에 의해 차량 외주면에 선형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구조(133)와 공간(S)을 생략하고, 핸들외주면 접촉부(131)와 돌기구조(132)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돌기구조(132)를 핸들감쌈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돌기구조(132)를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나선형 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도 4의 B-B'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의 핸들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7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부(11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이고, 물과의 접촉면에 분리막을 형성하는 소수성 수지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부(110)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요철 구조(111) 또는 굴곡 구조(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 구조(111) 또는 굴곡 구조(112)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만입홈(113)이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만입홈(11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나선형 구조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만입홈(113)을 이용하여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을 잡아 비틀어 짜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핸들링부(110)이 외주면에 장착되는 물기흡수부(130)에 흡수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만입홈(113)을 이용하여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100) 전체를 손쉽게 비틀어 짜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기흡수부(130)의 절첩구조(133)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132)를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된 구조로 형성하고, 연속된 구조로 형성된 돌기구조(132)를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나선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와의 접촉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물기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나선형 구조를 따라 비틀어 짜는 동작을 손쉽게 수행하여 물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세차 후 차량 외부면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함에 있어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의 핸들링부와 핸들감쌈부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의 C-C'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감쌈부(120)는,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구조일 수 있다. 이때, 핸들감쌈부(120)는, 핸들링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의 외부면에는, 다수의 요철구조(122)가 형성되어 있어, 물기흡수부(130)가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링부재는, 핸들링부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물기흡수부를 핸들링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구조(123)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구조(123)를 포함하는 링부재(121)를 이용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기흡수부(130)를 핸들링부(11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물기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100)를 들었다 놨다 하며 작업하지 않고 차량의 외부면을 따라 물기흡수부(130)를 자연스럽게 회전시켜 물기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손쉽게 물기 제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물기 제거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외부면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기와 함께 잔존할 수 있는 입자성 이물질에 의해 차량 외주면에 선형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110: 핸들링부
111: 요철 구조
112: 굴곡 구조
113: 만입홈
120: 핸들감쌈부
121: 링부재
122: 요철구조
123: 베어링구조
130: 물기흡수부
131: 핸들외주면 접촉부
132: 돌기구조
133: 절첩구조
S: 절첩구조에 의해 형성된 공간

Claims (5)

  1. 일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구조이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핸들링부(110);
    상기 핸들링부(11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핸들링부(110) 외주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고,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구성된 핸들감쌈부(120); 및
    상기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분해조립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핸들감쌈부(120)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132)가 방사형태로 형성되며, 물기를 흡수할 수 있는 친수성 소재로 구성된 물기흡수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부(110)는, 사용자의 손에 파지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는 원통형 구조이고, 물과의 접촉면에 분리막을 형성하는 소수성 수지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핸들링부(110)는,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만입홈(113)이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핸들링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는 만입홈(113); 및
    상기 핸들링부(110)의 외부면 중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 구조(111)와 굴곡 구조(112);
    을 포함하고,
    사용자는 상기 만입홈(113)을 이용하여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을 잡아 비틀어 짜는 동작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감쌈부(120)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원사를 망사형 구조로 직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감쌈부(120)는,
    상기 핸들링부(110)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구조이고, 핸들링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의 외부면에는, 다수의 요철구조(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링부재는, 핸들링부 외부면을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는 물기흡수부를 핸들링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 구조(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기흡수부(130)는,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핸들감쌈부(120)로부터 다수의 돌기구조(132)가 방사형태로 형성되도록 다수의 절첩구조(133)가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각도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조이고,
    상기 물기흡수부(130)의 절첩구조(133) 내측에는 소정 크기의 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물기흡수부(130)의 절첩구조(133)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132)는, 핸들감쌈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된 구조이며,
    상기 물기흡수부(130)의 절첩구조(133)에 의해 형성된 돌기구조(132)는, 핸들감쌈부(1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KR1020210024886A 2021-02-24 2021-02-24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KR102443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86A KR102443326B1 (ko) 2021-02-24 2021-02-24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86A KR102443326B1 (ko) 2021-02-24 2021-02-24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011A true KR20220121011A (ko) 2022-08-31
KR102443326B1 KR102443326B1 (ko) 2022-09-15

Family

ID=8306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886A KR102443326B1 (ko) 2021-02-24 2021-02-24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91B1 (ko) 2023-07-28 2024-01-10 주식회사 미니덕트 인공지능 기반 소비자 선호도를 고려한 굿즈 노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60Y1 (ko) * 2001-11-07 2002-01-24 윤봉학 자동차용 전동식 먼지털이개
JP4976205B2 (ja) * 2006-08-16 2012-07-18 楊雅▲青▼ 清掃用品の捻り固定具
JP2016141162A (ja) * 2015-01-29 2016-08-08 株式会社本荘興産 水滴拭き取り具
KR102007116B1 (ko) 2018-01-12 2019-08-05 김진만 다용도 세차용 원형 롤 타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860Y1 (ko) * 2001-11-07 2002-01-24 윤봉학 자동차용 전동식 먼지털이개
JP4976205B2 (ja) * 2006-08-16 2012-07-18 楊雅▲青▼ 清掃用品の捻り固定具
JP2016141162A (ja) * 2015-01-29 2016-08-08 株式会社本荘興産 水滴拭き取り具
KR102007116B1 (ko) 2018-01-12 2019-08-05 김진만 다용도 세차용 원형 롤 타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491B1 (ko) 2023-07-28 2024-01-10 주식회사 미니덕트 인공지능 기반 소비자 선호도를 고려한 굿즈 노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326B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326B1 (ko) 유연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차용 물기 제거장치
US7370383B1 (en) Brush device
US6880197B2 (en) Disposable toilet cleaning device with extendable handle
CA2965933C (en) Descal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JP3190298U (ja) 絞り機能付きモップ装置
KR101626539B1 (ko) 무빙 와이퍼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US9345383B2 (en) Tape cleaner
US20070266509A1 (en) Device for Cleaning a Hollow Vessel
KR200460689Y1 (ko) 망드럼 세척기구
KR20080006393U (ko) 세척용 브러시
JP5372089B2 (ja) 傘用水滴除去具
JP4820605B2 (ja) 球状体の拭き取り装置
WO20180483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al of earwax and particulates
TWI548466B (zh) 黏著式清潔器
EP3558181A1 (en) Hygiene stick for personal care
KR102062181B1 (ko) 세척용 솔
EP3167747A1 (en) Filament holder
KR101580307B1 (ko) 세척티슈가 마련된 세척유닛
KR102650278B1 (ko) 먼지제거기
JP6842746B2 (ja) 洗浄具
RU213708U1 (ru) Одноразовый ершик
JP3232437U7 (ja) 石鹸ケース
JP4448108B2 (ja) 人工乳首洗浄具
JP4931470B2 (ja) 哺乳瓶洗浄具
US2450606A (en) Egg clea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