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751A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751A
KR20220120751A KR1020210023488A KR20210023488A KR20220120751A KR 20220120751 A KR20220120751 A KR 20220120751A KR 1020210023488 A KR1020210023488 A KR 1020210023488A KR 20210023488 A KR20210023488 A KR 20210023488A KR 20220120751 A KR20220120751 A KR 20220120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health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락
홍성준
박병준
김병연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21002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751A/ko
Priority to PCT/KR2022/002378 priority patent/WO2022177330A1/ko
Publication of KR20220120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Abstract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에서,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통신망, 데이터 서부, 모니터링부 및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자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통신망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달된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호출하여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들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UNTACT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HEALT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에게 장착 또는 부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건강 상태 및 위치 상태 정보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비대면 건강관리 및 관련 정보의 통계화 관리가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인 건강진단이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ICT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 스스로 병원에 방문하지 않으면서도 가정에서 직접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헬스케어 관련 장치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스로 건강을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손목형 밴드 타입이나 다양한 형태의 건강 확인 장치 등이 스마트 폰 등과 결합하여 제품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8719호에서는 매트릭스에 연계되어 사용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등과 같은 감염병이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확산됨에 따라, 격리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격리된 의료기관이나 관리기관에서 원격으로 모니터링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격리 공간에서 벗어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점검 등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8719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에게 장착 또는 부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건강 상태 및 위치 상태 정보를 동시에 모니터링하여, 비대면 건강관리 및 관련 정보의 통계화 관리가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통신망, 데이터 서부, 모니터링부 및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자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통신망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달된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호출하여 외부로 표시한다.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들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위치정보에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착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손목에 장착되는 밴드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착용자의 가슴에 부착되는 패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망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망은, 착용자가 실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전달하는 댁내 통신망, 및 착용자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전달하는 댁외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댁내 통신망이 사용되는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 RSSI 분석을 통해 착용자의 실내 위치 좌표가 도출되고, 상기 댁외 통신망이 사용되는 경우, GPS 신호를 수신받아 착용자의 실외 위치 좌표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 착용자의 과거 건강상태 이력 및 현재 건강상태 정보, 및 개별 착용자의 과거 위치 이력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착용자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상기 통신망 상태 정보, 및 착용자의 위치이탈 여부 정보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하거나, 기관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하거나, 연령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하거나, 위험군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방법은, 착용자에게 장착 또는 부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버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모니터링부로 호출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호출되어 모니터부에서 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들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용자들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착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위치정보에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착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에서, 착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 RSSI 분석을 통해 착용자의 실내 위치 좌표를 도출하여 전달하고, 착용자가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GPS 신호를 수신받아 착용자의 실외 위치 좌표를 도출하여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이격된 데이터 서버로 제공하고,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상태를 알림하는 것은 물론, 특히, 착용자의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격리된 착용자가 관리지침을 준수하는 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 RSSI 분석을 통해 실내 위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실외에 있는 경우 GPS 신호를 통해 실외 위치 좌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착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즉각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수 있다.
또한, 통계데이터를 별도로 구축함으로써, 지역별로 관리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 관리주체인 관리 기관별로 관리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코로나 19 등과 같은 감염병이 확산되는 상황에서의 착용자들에 대한 모니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연령별 착용자들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 및 위험군별 착용자들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도 일괄적으로 통계화할 수 있어, 상기 감염병이 확산되는 상황에서의 착용자들에 대한 모니터링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며, 고 위험군에 대한 별도 관리 시스템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버로 전달 및 저장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니터링부 및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확인되는 정보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모니터링부 및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확인되는 정보가 관리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을 표시한 이미지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버로 전달 및 저장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의 모니터링부 및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확인되는 정보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이하, 건강관리 시스템이라 함)(1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댁내 통신망(210) 및 댁외 통신망(220)을 포함하는 통신망(200), 데이터 서버(300), 모니터링부(400), 데이터 생성부(500) 및 알림부(6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건강관리 시스템(10)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에 대하여 동시에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강관리방법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가 착용자(1)에게 장착 또는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착용자(1)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10).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그 종류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착용자(1)의 손목에 장착되는 밴드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용자(1)의 가슴에 부착되는 패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그 자체에서 상기 통신망(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집되는 정보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통신망(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는, 상기 착용자(1)의 생체신호를 센서 등을 통해 획득하는데, 상기 획득되는 생체신호로는, 체온, 산소포화도, 맥박, 혈압, 심전도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생체신호는 온도 센서, PPG 센서, ECG 센서 등의 센서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는,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으나, 상기 착용자(1)의 위치신호도 획득하며, 이를 위해, 위치 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 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정보, 즉 생체신호에 관한 정보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망(20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300)로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서버(300)는 이렇게 전달된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20).
한편, 이 경우 상기 통신망(200)을 통한 정보 전달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통신망(200)을 통한 정보 전달의 경우, 상기 착용자(1)가 가정이나 건물의 내부와 같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집된 정보는 상기 댁내 통신망(210)을 통해 전달되며, 상기 착용자(1)가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집된 정보는 상기 댁외 통신망(220)을 통해 전달된다.
우선, 상기 착용자(1)가 실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정보는 상기 댁내 통신망(2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단계 S21). 다만, 이 경우, 상기 댁내 통신망(210)을 통한 통신 수신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라면(단계 S22), 상기 착용자(1)는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댁외 통신망(22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단계 S25).
이와 달리, 상기 댁내 통신망(210)을 통한 통신 수신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라면(단계 S22), 상기 착용자(1)는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댁내 게이트웨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분석을 수행하여(단계 S23),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착용자(1)의 실내 위치 좌표를 감지하게 된다(단계 S24).
그리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정보와 함께, 상기 착용자의 실내 위치 좌표에 대한 감지 결과를, 상기 댁내 통신망(21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댁내 통신망(210)은 예를 들어, Private Lorawan, WiFi, Bluetooth, 비콘 등 건물 등의 내부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와 게이트웨이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로 상기 생체신호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착용자(1)가 실외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거나, 상기 댁내 통신망(210)을 통한 통신 수신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단계 S22),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정보는 상기 댁외 통신망(22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단계 S25).
다만, 이 경우, 상기 댁외 통신망(220)을 통한 통신 수신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라면(단계 S26), 상기 착용자(1)는 실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댁내 통신망(210)을 통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고, 이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달리, 상기 댁외 통신망(220)을 통한 통신 수신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라면(단계 S26), 상기 착용자(1)는 실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GPS 신호를 수신 받아(단계 S27), 상기 실외에 위치하는 착용자(1)의 실외 위치 좌표를 감지하게 된다(단계 S28).
그리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에서 수집된 정보와 함께, 상기 착용자의 실외 위치 좌표에 대한 감지 결과를, 상기 댁외 통신망(22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서버로 전달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댁외 통신망(220)은 예를 들어, Lorawan, LTE CatM1 등에 접속되며, Lorawan의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를 거쳐 생체신호 및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LTE CatM1의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를 거치지 않고 바로 생체신호 및 위치 정보를 상기 데이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 서버(300)로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가 전달되어 저장된 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상기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호출하여 표시한다(단계 S30).
이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400)에서 외부로 표시하는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착용자 정보 제공부(410) 및 하드웨어 정보 제공부(420)를 포함하여, 외부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자 정보 제공부(410)는 상기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 착용자들에 대하여, 과거의 건강 상태 이력에 관한 정보(411), 현재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412), 과거의 위치 변화의 이력에 관한 정보(411), 및 현재의 위치에 관한 정보(413) 등을 외부로 표시한다.
나아가, 상기 착용자 정보 제공부(410)는 상기 건강 상태 및 위치 정보에 대한 과거 및 현재의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 또는 동선 추적 결과에 대한 정보 등의 추가 분석 정보(414)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 정보 제공부(420)는 상기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상태에 관한 정보(421), 상기 통신망(200)의 상태에 관한 정보(422), 및 상기 착용자(1)의 위치이탈에 대한 감지 정보(423) 등을 외부로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상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이 정상상태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며, 상기 통신망(200)의 상태는 상기 통신망의 동작이 정상상태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하드웨어 정보 제공부(420)에서는, 기 설정된 착용자가 위치하여야 하는 위치 정보와, 상기 데이터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 즉 착용자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착용자(1)가 과거나 현재 위치하여야 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이탈에 대한 감지 정보(423)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모니터링부(400)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착용자(1)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착용자(1)의 위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40).
한편, 상기 알림부(600)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부(40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1)의 건강 상태 또는 위치정보에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착용자(1)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한다(단계 S50).
즉, 상기 착용자 정보 제공부(410)에서는 착용자(1)의 현재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412)를 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착용자(1)의 체온이 기준 체온보다 높거나,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보다 높거나 또는 낮거나, 산소포화도가 기준 산소포화도보다 낮은 등, 착용자(1)의 생체 정보가 기준 생체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 상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알림부(600)에서는 상기 건강 상태의 이상 상태를 알린다.
또한, 상기 하드웨어 정보 제공부(420)에서, 해당 착용자(1)가 과거나 현재 위치하여야 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이탈에 대한 감지 정보(423)를 외부로 표시하는데, 이렇게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착용자(1)가 위치이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이탈에 대하여 착용자(1) 또는 관리자(미도시)에게 알림한다.
그리하여, 착용자(1)와 원격으로 위치하는 관리센터 또는 관리자 등이 착용자(1)의 건강 상태나 위치이탈 여부를 확인하여 필요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상 상태를 알리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데이터 생성부(500)에서는, 다수의 착용자들에 대한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통계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60).
즉,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생성부(500)는, 복수의 착용자들에 대한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가 수집되어 저장된 것을 바탕으로, 지역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할 수 있고(510), 관리하는 주체인 기관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할 수 있고(520), 연령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할 수 있으며(530), 나아가 위험군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할 수 있다(540).
그리하여, 이와 같이, 지역별, 기관별, 연령별 또는 위험군별 착용자들에 대한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통계화함으로써, 유사 집단별 착용자들의 현재 상태, 과거로부터의 상태 변화 등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추가로 분석 및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염병에 대한 예방이나 즉각적인 처방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모니터링부 및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확인되는 정보가 관리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을 표시한 이미지들이다.
도 5a에는 상기 착용자 건강상태 정보(412)가 각각의 착용자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착용자들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들의 상태정보(421)에 대하여도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착용자의 체온, 심박수, 산소 포화도와 같은 현재의 생체 정보(412) 및 현재의 위치 정보(413)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착용자에 대하여 과거의 생체 정보에 대한 이력(411)과 함께, 위치 정보, 즉 실내 및 실외에 위치하는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위치 변동에 관한 정보(411)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착용자에 대한 상기 과거 이력 정보(411) 및 건강상태 정보(412)를 바탕으로, 생체신호에 대한 분석 결과로서 심전도 흐름에 관한 정보(414)가 추가 분석 정보로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생성부(500)를 통해 통계화된 데이터도 상기 모니터링부(4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지역에 위치하는 착용자들의 생체 상태, 즉 지역별 정상 체온과 고온 체온 착용자들의 수에 대한 분포 결과도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이격된 데이터 서버로 제공하고,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이상상태를 알림하는 것은 물론, 특히, 착용자의 위치가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확인할 수 있어, 격리된 착용자가 관리지침을 준수하는 가의 여부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 RSSI 분석을 통해 실내 위치 좌표 정보를 획득하고, 실외에 있는 경우 GPS 신호를 통해 실외 위치 좌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착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즉각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수 있다.
또한, 통계데이터를 별도로 구축함으로써, 지역별로 관리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 관리주체인 관리 기관별로 관리되는 착용자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코로나 19 등과 같은 감염병이 확산되는 상황에서의 착용자들에 대한 모니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연령별 착용자들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 및 위험군별 착용자들의 건강상태 및 위치 정보도 일괄적으로 통계화할 수 있어, 상기 감염병이 확산되는 상황에서의 착용자들에 대한 모니터링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며, 고 위험군에 대한 별도 관리 시스템을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1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200 : 통신망
300 : 데이터 서버 400 : 모니터링부
500 : 데이터 생성부 600 : 알림부

Claims (11)

  1. 착용자에 장착 또는 부착되어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하는 통신망;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달된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서버;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호출하여 외부로 표시하는 모니터링 부; 및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들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위치정보에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착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손목에 장착되는 밴드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착용자의 가슴에 부착되는 패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통신망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착용자가 실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전달하는 댁내 통신망; 및
    착용자가 실외에 위치한 경우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전달하는 댁외 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통신망이 사용되는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 RSSI 분석을 통해 착용자의 실내 위치 좌표가 도출되고,
    상기 댁외 통신망이 사용되는 경우, GPS 신호를 수신받아 착용자의 실외 위치 좌표가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 착용자의 과거 건강상태 이력 및 현재 건강상태 정보, 및 개별 착용자의 과거 위치 이력 및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착용자 정보 제공부; 및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 상기 통신망 상태 정보, 및 착용자의 위치이탈 여부 정보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 및 상기 모니터링부에 표시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하거나, 기관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하거나, 연령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하거나, 위험군별 착용자 상태를 통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9. 착용자에게 장착 또는 부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착용자의 생체신호 및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수집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버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서버에 저장된 정보를 모니터링부로 호출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호출되어 모니터부에서 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착용자들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착용자들의 건강 상태 및 위치정보를 통합하여 통계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건강 상태 또는 위치정보에 이상 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착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알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관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에서,
    착용자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댁내 게이트웨이 RSSI 분석을 통해 착용자의 실내 위치 좌표를 도출하여 전달하고,
    착용자가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GPS 신호를 수신받아 착용자의 실외 위치 좌표를 도출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방법.
KR1020210023488A 2021-02-22 2021-02-2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KR202201207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88A KR20220120751A (ko) 2021-02-22 2021-02-2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PCT/KR2022/002378 WO2022177330A1 (ko) 2021-02-22 2022-02-17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488A KR20220120751A (ko) 2021-02-22 2021-02-2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751A true KR20220120751A (ko) 2022-08-31

Family

ID=8293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488A KR20220120751A (ko) 2021-02-22 2021-02-22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0751A (ko)
WO (1) WO20221773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19B1 (ko) 2020-01-10 2020-07-02 주식회사 피플멀티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5859B1 (ko) * 2014-12-12 202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서버
KR102396291B1 (ko) * 2015-04-06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105573B2 (en) * 2015-06-30 2018-10-23 Lg Electronics Inc.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795761B1 (ko) * 2015-10-13 2017-11-08 김태평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하여 환자를 통제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 모니터링 서버, 컴퓨터 프로그램
KR20190007634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스카이랩스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719B1 (ko) 2020-01-10 2020-07-02 주식회사 피플멀티 스마트 헬스케어 매트리스를 이용한 건강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330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9583B2 (en)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ystem for use with a medical device
US10478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ubjects in potential physiological distress
US20230190100A1 (en) Enhanced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physiological monitoring, prognosis, and triage
US8827905B2 (en) Patient initiated on-demand remote medical service with integrated knowledge base and computer assisted diagnosing characteristics
JP5438725B2 (ja) リアルタイム生理学的監視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037477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of cardiac rhythm disorders
US20160262636A1 (en) Health-abnormal condition alarm system using multi bio-signal
KR101584090B1 (ko) 미러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30902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생체 신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Leijdekkers et al. Personal heart monitoring system using smart phones to detect life threatening arrhythmias
EP3079088A1 (en) User behavior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US20140089007A1 (en) Device to user association in physiological sensor systems
Manirabona et al. Investigation on healthcare monitoring systems: Innovative services and applications
CN106264500A (zh) 一种远程医疗方法与系统
Depolli PCARD platform for mHealth monitoring
US20240108290A1 (en) Wearable device for measuring multiple biosignals, and artificial-intelligence-base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Pavitra et al. To identify the accessibility and performance of smart healthcare systems in IoT-based environments
KR101783603B1 (ko)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Hussain et al. A wireless device for patient ECG monitoring and motion activity recording for medical applications
KR2022012075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대면 건강관리 방법
JP2014092945A (ja) 身体状況判定システム及び身体状況判定方法
JP2014092946A (ja) 個人情報公開システム及び個人情報公開方法
US20160321846A1 (en) Security access system using a body area network
KR20120072464A (ko)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5444383A (zh) 智能健康监测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