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461A -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 Google Patents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461A
KR20220120461A KR1020220012213A KR20220012213A KR20220120461A KR 20220120461 A KR20220120461 A KR 20220120461A KR 1020220012213 A KR1020220012213 A KR 1020220012213A KR 20220012213 A KR20220012213 A KR 20220012213A KR 20220120461 A KR20220120461 A KR 20220120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ion column
reboiler
vapor
distillation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스오 유아사
쇼타 야마시타
아이코 나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사사꾸라
Publication of KR2022012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B01D3/322Reboiler spec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28Evaporating with vapour compression
    • B01D1/284Speci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mpressed vapour
    • B01D1/2856The compressed vapour is used for heating a reboiler or a heat exchanger outside an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리보일러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으며, 증류탑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도 아닌 증류 장치를 제공한다.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1)에 있어서, 증류탑(2)과,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저류되는 저류액을 가열 증발시키는 리보일러(3)와, 리보일러(3)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하여 증류탑(2)으로 보내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압축 승온하여 리보일러(3)의 가열원으로 하는 제2 증기 압축 장치(42)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DISTILLATION APPARATUS INCLUDING DISTILLATION COLUMN}
본 발명은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류탑과, 증류탑의 탑 저부에 저류(貯留)되는 저류액을 가열하는 리보일러(reboiler)를 구비한 증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로서는, 증류탑의 탑 저부에 저류되는 저류액을 취출하여 리보일러에서 그 대부분을 증발시켜 증류탑 내의 분류 증기로 하도록 한 장치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의 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개 제2017-192868호 공보
상기 종래예와 같은 증류 장치에서는, 리보일러(또는 리보일러로서 사용되는 증발기)에 있어서, 농축액의 용제 농도를 상승시켜 감에 따라, 비점(沸点)이 상승해 가고, 일정 이상으로 상승하면, 이 리보일러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면, 법정 점검이 필요하게 되거나, 압력 용기를 제조하는데 인가(認可) 공장이 필요하게 되거나 하게 된다. 그래서, 리보일러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계(系) 내의 압력을 낮추는 방법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증기의 비용적(比容積)(m3/kg)이 커져 증류탑에 있어서의 증기의 유속이 올라가므로, 증류탑의 지름(몸통 지름)이 커지고, 그 만큼 이니셜 코스트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생각해 내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리보일러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고, 증류탑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도 아닌 증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는, 증류탑과, 상기 증류탑의 탑 저부에 저류되는 저류액을 가열 증발시키는 리보일러와, 상기 리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하여 상기 증류탑으로 보내는 제1 증기 압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제1 증기 압축 장치에서 압축하는 것에 의해, 리보일러의 압력(및 순환액 온도)을 낮출 수 있고, 따라서 리보일러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리보일러의 압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리보일러의 내압 설계의 조건을 낮출 수 있으므로(예를 들면, 리보일러의 판두께 등을 작게 할 수 있음 등), 리보일러 자체의 코스트 다운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도 얻어진다.
또한, 제1 증기 압축 장치에서 압축하는 것에 의해, 증기의 비용적이 증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증류탑에 있어서의 증기의 유속이 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증류탑의 지름(몸통 지름)이 커지는 것도 아니며, 따라서 코스트의 증대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로서, 상기 저류액을 상기 리보일러로 공급하는 저류액 공급 관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로서,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압축 승온하여 리보일러의 가열원으로 하는 제2 증기 압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리보일러의 가열원으로서 재이용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어, 그 만큼 증류 장치의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로서, 상기 리보일러는, 적어도, 공급되는 저류액을 증발 농축하는 1차 농축부와, 상기 1차 농축부에서 농축된 저류액을 더 증발 농축하는 2차 농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1차 농축부에서 농축된 저류액은 저농도(비점이 낮음)이며, 2차 농축부에서 농축된 저류액은 고농도(비점이 높음)가 된다. 그 때문에, 리보일러가 1개뿐인 구성(리보일러가 분할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비해, 1차 농축부에서는 저농도로 처리할 수 있고, 처리할 액체의 비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리보일러의 유효 전열(傳熱) 온도차를 크게 취하고, 또한 전열 계수도 좋게 되므로, 리보일러의 전열 면적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농도의 증발 증기가 증류탑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증류탑으로의 증기 중 용제(溶劑) 농도가 작아져, 환류비(還流比)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증류탑 사이즈를 작게 재검토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환류수(還流水)는 증류 장치 내에서 재차 증발하게 되기 때문에, 증발 부하가 된다. 그 때문에, 리보일러가 1개뿐인 구성에 비해 본 구성에서는 증발 부하를 작게 할 수 있어, 소비 동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7-192868호 공보 참조)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로서, 상기 제1 증기 압축 장치는, 상기 리보일러의 2차 농축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하여 상기 증류탑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보일러가 1차 농축부와 2차 농축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의 경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농축부에서 농축된 저류액이 고농도(비점이 높음)가 되기 때문에, 2차 농축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본 발명에 따른 제1 증기 압축 장치에서 압축하도록 하면, 리보일러가 1개뿐인 구성의 경우보다도,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더 발휘되게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로서, 상기 리보일러는 1개의 수평관식 증발 보일러로서, 이 수평관식 증발 보일러를 칸막이에 의해서 2분할하고, 이 2분할된 증발 보일러의 각 분할 부분을 상기 1차 농축부와 상기 2차 농축부로서 구성하고, 상기 1차 농축부 및 상기 2차 농축부는,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가 통과하는 전열관군(傳熱管群)과, 상기 저류액을 상기 전열관군의 외표면을 향해서 산포(散布)하는 산포기를 구비하며, 상기 1차 농축부 및 상기 2차 농축부의 일방의 측면에는,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가 도입되는 입구측의 공통 헤더가 상기 각 전열관군의 일방의 단부를 외측에서 둘러싸서 마련되어 있고, 상기 1차 농축부 및 상기 2차 농축부의 타방의 측면에는, 상기 입구측의 공통 헤더로부터 도입된 증기가 상기 전열관군을 통과할 때에 전열관군의 외표면으로 산포된 저류액과 열교환되어 생성된 응축액이 저류되는 출구측의 공통 헤더가, 상기 각 전열관군의 타방의 단부를 외측에서 둘러싸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증발 보일러를 2분할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2개의 증발 보일러를 이용하는 구성에 비해 장치의 소형화나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로서, 상기 리보일러로 공급된 증기가 열교환되어 생성된 응축수를, 환류수로서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보일러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증류탑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도 아니며, 따라서 코스트의 증대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예에 따른 증류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류 장치(1)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증류 장치(1)로서, 물보다 비점이 높은 고비점 유기 용제(溶劑) 함유 배수(排水)를 증류 처리하여, 회수액과 처리수로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증류 장치를 들어 설명한다. 물보다 비점이 높은 고비점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NMP(N-메틸-2-피롤리돈(Pyrrolidon)), DMSO(디메틸 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에틸렌 글리콜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 고비점 알코올계 세정제(계면 활성제를 포함함) 등을 들 수 있다.
증류 장치(1)는 증류탑(2)과,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저류되는 저류액을 가열 증발시키는 리보일러(3)와, 리보일러(3)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하여 증류탑(2)으로 보내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는 1개의 증기 압축기로 구성되어 있다. 증류탑(2)에는, 다단(多段)의 것을 이용해도 되며, 또한,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단이 아닌 것을 이용해도 된다. 즉, 증류탑(2)에는, 선반단탑이나 충전탑을 이용할 수 있다.
리보일러(증발기)(3)는 수평관형의 증발 보일러(10)로 이루어지며, 산포기(11) 및 간접식 가열기(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증발 보일러(10)는 수평관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박막류하(薄膜流下)(세로 튜브)식 등의 증발 보일러를 이용해도 된다.
간접식 가열기(12)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평 전열관으로 이루어지는 전열관군(傳熱管群)(13)과, 좌우 한 쌍의 헤더(14, 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증발 보일러(10)의 저부는 처리액이 저류되는 저류부로 되어 있다. 또한, 원액은 원액 공급관(22)을 통해 증발 보일러(10)의 저부로 공급된다.
증발 보일러(10)는 원액 또는 농축액의 순환 유로(h1)(관(70)과 관(71)으로 구성)를 가진다. 순환 유로(h1)에는, 순환 펌프(P1) 및 산포기(11)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 펌프(P1)는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 펌프(P1)는, 관(70)을 통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저류하는 원액(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을 포함함)을 산포기(11)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꿔말하면, 관(70)이,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저류하는 저류액을 리보일러(3)로 공급하는 저류액 공급 관로로 되어 있다. 또한, 관(70)은 도중에서 분기(分岐)한 분기관(83)을 가지고 있으며, 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의 일부가 회수되어, 분기관(83)을 통하여, 회수액으로서 계(系) 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산포기(11)는 원액(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을 포함함)을 전열관군(13)의 상방으로부터 전열관군(13)을 향해서 산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증발 보일러(10)의 저부는 증류탑(2)의 탑 저부에 관(71)을 매개로 하여 접속되어 있고, 저류액은 증발 보일러(10)의 저부를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로 되돌려지고, 저류실(44)에 저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열기(12)에 있어서의 헤더(14)의 저부는, 관(74)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산포기(20)에 접속되어 있다. 관(74)에는 펌프(P2)가 배치되어 있고, 펌프(P2)의 구동에 의해 헤더(14) 내에 저류되어 있는 응축수는 환류수(還流水)로서 산포기(20)로부터 산포되도록 되어 있다. 관(74)은 도중에서 분기한 분기관(75)을 가지고 있고, 헤더(14) 내에 저류되어 있는 응축수의 일부는 분기관(75)을 매개로 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는 관(79)을 매개로 하여 가열기(12)의 헤더(15)에 접속되어 있고,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가 헤더(15)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증발 보일러(10)의 상부(하류측)는, 관(72)을 매개로 하여 제1 증기 압축 장치(4)의 입구측에 접속되고, 제1 증기 압축 장치(4)의 출구측은 관(84)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열관군(13)의 외측에서 박막 증발한 증기가, 제1 증기 압축 장치(4)에서 압축되어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증기 압축 장치(4)로서는, 터보형 증기 압축기, 루트(root)형 증기 압축기, 혹은 그 외의 증기 압축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증류 장치(1)의 처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순환 펌프(P1)의 구동에 의해, 탑 저부의 저류실(44)에 저류되는 순환액(원액 및 농축수를 포함함)은 관(70)을 통해 산포기(11)로 공급되고, 산포기(11)로부터 전열관군(13)을 향해 산포된다. 산포기(11)에서 산포된 순환액은, 전열관군(13)의 표면에서 박막 증발하여, 증기가 발생한다. 이 증기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에서 압축되어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고, 증류탑(2) 내를 상승한다.
한편, 헤더(14) 내에 저류되어 있는 응축수는, 펌프(P2)의 구동에 의해 환류수로서 산포기(20)로부터 산포되어, 증류탑(2) 내를 흘러 내려간다. 그리고, 증류탑(2) 내부의 각 단(段)에 있어서, 증류탑(2) 내를 상승하는 증기와 증류탑(2) 내를 흘러 내려가는 처리수(응축수)가 기액(氣液) 접촉하는 것에 의해, 비점이 다른 성분이 분리되어, 탑 저부에는 고비점 성분의 농축된 액체가 흘러내림 저류실(44)에 저류되고, 탑 꼭대기부에서는 대부분이 저비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증기가 취출된다. 탑 꼭대기부로부터 취출된 증기는 헤더(15)로 보내진다.
헤더(15)로 진입한 증기는, 전열관군(13)의 내측으로 안내되고, 전열관군(13)의 외측으로 산포된 순환액을 박막 증발시킨다. 박막 증발에 의해 발생한 증기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에서 압축되고 나서 다시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어 증류탑(2) 내를 상승하고, 탑 꼭대기부로부터 증류탑(2) 내를 하강하는 처리수(응축수)와 기액 접촉이 행해지며, 이 결과, 하강액(下降液) 중의 고비점 성분 농도는 증가하고, 상승 증기 중의 고비점 성분 농도는 감소한다. 한편, 박막 증발하지 않았던 잔여의 순환액은, 증발 보일러(10)의 저부로부터 관(71)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어, 탑 저부의 저류실(44)에 저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지는 것에 의해, 순환액은 농축된다.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리보일러(3)에서 발생한 증기를 제1 증기 압축 장치(4)에서 압축하므로, 리보일러(3)의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리보일러(3)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리보일러(3)의 압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리보일러(3)의 내압 설계의 조건을 낮출 수 있으므로(예를 들면, 리보일러(3)의 판두께 등을 작게 할 수 있음 등), 리보일러(3) 자체의 코스트 다운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도 얻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증기 압축 장치(4)에서 압축하는 것에 의해, 증기의 비용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증류탑(2)에 있어서의 증기의 유속이 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증류탑(2)의 지름(몸통 지름)이 커지는 것도 아니며, 따라서 코스트의 증대도 억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부위 내지 부재와 마찬가지의 부위 내지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생략한다.
(실시 형태 2)
도 2는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의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리보일러(3)가 1개의 증발 보일러(10)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리보일러(3L)가 2분할되어, 제1 증발 보일러(1차 농축부에 상당)(10A)와 제2 증발 보일러(2차 농축부에 상당)(10B)를 구비함과 아울러, 제2 증발 보일러(10B)에서 증발 농축되는 저류액 농도가, 제1 증발 보일러(10A)에서 증발 농축되는 저류액 농도보다도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증발 농축 처리되는 저류액의 농도차에 따라서 증발 농축부의 분담을 나누어, 저농도인 경우는 제1 증발 보일러(10A)가 처리하고, 고농도인 경우는 제2 증발 보일러(10B)가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액은 제1 증발 보일러(1차 농축부에 상당)(10A)에 투입된다. 한편, 제2 증발 보일러(2차 농축부에 상당)(10B)에는, 제1 증발 보일러(10A)에서 농축된 액체가 투입된다.
이와 같이 리보일러(3L)를 분할하는 구성에 의해서, 단일의 경우(분할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비점이 낮아지는 분(分)만큼 유효 전열(傳熱) 온도차를 크게 취할 수 있고, 또한 전열 효율도 좋게 되므로, 리보일러(증발기)의 전열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전열 면적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 증발 보일러(10A)와 제2 증발 보일러(10B)는, 모두 수평관형(水平管型) 증발 보일러로서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제1 증발 보일러(10A)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발 보일러(1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제2 증발 보일러(10B)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증발 보일러(10A)와 제2 증발 보일러(10B)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위내지 부재에는, 동일한 숫자에 A 및 B를 붙여서 참조 부호로 한다.
제1 증발 보일러(10A)와 제2 증발 보일러(10B)는, 산포기(11A, 11B), 및 간접식 가열기(12A, 1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증발 보일러(10A)와 제2 증발 보일러(10B)로서도, 수평관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박막류하(薄膜流下)(세로 튜브) 식 등의 증발 보일러를 이용해도 된다.
간접식 가열기(12A, 12B)는 하나 또는 복수의 수평 전열관으로 이루어지는 전열관군(傳熱管群)(13A, 13B)과, 좌우 한 쌍의 헤더(14A, 15A; 14B, 15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증발 보일러(10A, 10B)의 저부는 처리액이 저류되는 저류부로 되어 있다. 또한, 원액은 원액 공급관(22)을 통해 제1 증발 보일러(10A)의 저부로 공급된다.
제2 증발 보일러(10B)는 원액 또는 농축액의 순환 유로(h2)를 가진다. 순환 유로(h2)에는, 순환 펌프(P3) 및 산포기(11B)가 배치되어 있다. 순환 펌프(P3)는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 펌프(P3)는, 순환 유로(h2)를 통해서,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저부에 저류하는 저류액(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을 산포기(11B)로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산포기(11B)는 저류액(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을 전열관군(13B)의 상방으로부터 전열관군(13B)을 향해서 산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증발 보일러(10A)의 순환 유로(h1)에 있어서의 관(70)은 도중에서 분기(分岐)한 분기관(73)을 가지고 있으며, 증류탑(2)의 탑 저부로부터 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을, 분기관(73)을 통해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저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꿔말하면, 분기관(73)도, 관(70)과 마찬가지로,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저류하는 저류액을 리보일러(3L)로 공급하는 저류액 공급 관로로 되어 있다.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상부는, 관(76)을 매개로 하여 제1 증기 압축 장치(41)의 입구측에 접속되고, 제1 증기 압축 장치(41)의 출구측은 관(85)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열관군(13B)의 외측에서 박막 증발한 증기가, 제1 증기 압축 장치(41)에서 압축되어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증기 압축 장치(41)로서는, 터보형 증기 압축기, 루트형 증기 압축기, 혹은 그 외의 증기 압축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헤더(14B)의 저부는 관(77)을 매개로 하여 헤더(15A)의 저부와 접속되어 있고, 헤더(14B) 내에 저류되어 있는 응축수는, 헤더(15A), 전열관군(13A)을 통해서, 헤더(14A)로 공급되어 저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순환 유로(h2)는 도중에서 분기한 분기관(78)을 가지고 있고, 순환 펌프(P3)는 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의 일부를 회수하여, 분기관(78)을 통해, 회수액으로서 계(系) 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는 관(79)을 매개로 하여 제2 증기 압축 장치(42)의 입구측에 접속되고, 제2 증기 압축 장치(42)의 출구측은 관(80)을 매개로 하여 가열기(12A)의 헤더(15A)에 접속되어 있다. 관(80)은 도중에서 분기한 분기관(81)을 구비하고 있고, 제2 증기 압축 장치(42)의 출구측은, 분기관(81)에 의해서 가열기(12B)의 헤더(15B)에도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증기 압축 장치(42)는 터보형 증기 압축기, 루트형 증기 압축기, 혹은 그 외의 증기 압축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의 처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증발 보일러(10A)의 처리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 1에 따른 증발 보일러(10)의 처리 동작과 마찬가지이며, 이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취출된 증기는 제2 증기 압축 장치(42)로 안내된다. 제2 증기 압축 장치(42)에서는, 공급된 증기를 압축 승온하여, 리보일러(3L)의 열원으로 한다. 즉, 제2 증기 압축 장치(42)로 안내된 증기는, 제2 증기 압축 장치(42)에서 단열 압축되어 온도 및 압력이 상승한 후에 헤더(15A, 15B)로 보내진다.
헤더(15A)로 진입한 증기는, 전열관군(13A)의 내측으로 안내되고, 전열관군(13A)의 외측으로 산포된 순환액을 박막 증발시킨다. 박막 증발에 의해 발생한 증기는 다시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어 증류탑(2) 내를 상승하고, 탑 꼭대기부로부터 증류탑(2) 내를 하강하는 처리수(응축수)와 기액 접촉이 행해지며, 이 결과, 하강액(下降液) 중의 고비점 성분 농도는 증가하고, 상승 증기 중의 고비점 성분 농도는 감소한다. 한편, 박막 증발하지 않은 잔여의 순환액은, 증발 보일러(10A)의 저부로부터 관(71)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어, 탑 저부의 저류실(44)에 저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지는 것에 의해, 순환액은 농축되고, 이 농축된 농축액은, 분기관(73)을 통해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저부로 공급된다.
제2 증발 보일러(10B)에서는, 순환 펌프(P3)의 구동에 의해,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저부에 저류하는 순환액(원액이 농축된 농축액)이, 순환 유로(h2)를 통해 산포기(11B)로 공급되고, 산포기(11B)로부터 전열관군(13B)을 향해 산포된다. 한편, 제2 증기 압축 장치(42)에서 압축된 증기는, 헤더(15B)로 진입하여, 전열관군(13B)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산포기(11B)에서 산포된 순환액은, 전열관군(13B)의 표면에서 박막 증발하여, 증기가 발생한다. 이 증기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1)에서 압축되고 나서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어, 증류탑(2) 내를 상승한다. 한편, 박막 증발하지 않은 잔여의 순환액은, 다시 순환 유로(h2)를 통해 산포기(11B)로부터 산포되어, 박막 증발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일련의 처리가 반복해서 행해지는 것에 의해, 순환액은 농축되어, 관(78)으로부터 회수액(농축액)으로서 계(系) 외로 배출된다.
또 한편, 헤더(14B) 내에 저류되어 있는 응축수는, 관(77), 헤더(15A)를 통해 헤더(14A)로 안내되고, 펌프(P2)의 구동에 의해 환류수로서 산포기(20)로부터 산포되어, 증류탑(2) 내를 흘러 내려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증발 보일러(10A)에서 농축된 저류액은 저농도(비점이 낮음)이고, 제2 증발 보일러(10B)에서 농축된 저류액은 고농도(비점이 높음)로 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 2는, 리보일러가 1개뿐인 구성(리보일러가 분할되어 있지 않은 구성)에 비해, 제1 증발 보일러(1차 농축부에 상당)(10A)에서는 저농도로 처리할 수 있고, 처리할 액체의 비점이 낮아지기 때문에, 리보일러의 유효 전열 온도차를 크게 취할 수 있고, 또한 전열 계수도 좋게 되므로, 리보일러의 전열 면적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저농도의 증발 증기가 증류탑(2)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환류비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환류수는 증류 장치 내에서 재차 증발하게 되기 때문에, 증발 부하가 된다. 그 때문에, 증발 부하를 작게 할 수 있어, 소비 동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는,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압축 승온하여 리보일러(3L)의 가열원으로 하는 제2 증기 압축 장치(4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해당 증기를 리보일러(3L)의 가열원으로서 재이용할 수 있어, 그 만큼 증류 장치(1L)가 에너지 절약화되어 있다.
또한,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농축부에 상당하는 제2 증발 보일러(10B)에서 농축된 저류액이 고농도(비점이 높음)로 되고, 이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상부에 제1 증기 압축 장치(41)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리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제1 증기 압축 장치(41)에서 압축한다고 하는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한 효과가 한층 더 발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의 구성에 있어서, 가령 비교를 위한 일례(비교예)로서, 제1 증기 압축 장치(41)를 마련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류탑(2)에 있어서의 압력(진공도)을 V2, 제1 증발 보일러(10A)에 있어서의 압력을 V10A, 제2 증발 보일러(10B)에 있어서의 압력을 V10B, 제1 증발 보일러(10A)에 있어서의 순환액 온도를 T10A, 제2 증발 보일러(10B)에 있어서의 순환액 온도를 T10B로 한 경우를 상정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본 비교예에 따른 증류 장치에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해서 순환액(농축액)을 농축하여 용제 농도를 상승시켜 가면, 제1 증발 보일러(10A)에 있어서의 순환액 온도는 저온(예를 들면 T10A=87.0℃)에 머물지만, 이것에 대해, 제2 증발 보일러(10B)에 있어서는, 비점이 상승해 가고, 일정 이상(예를 들면 T10B=100℃)까지 상승하면, 제2 증발 보일러(10B)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게 된다. 그래서, 제2 증발 보일러(10B)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계 내의 압력(진공도)을 낮추는 방법도 생각된다. 본 비교예의 경우이면, V2, V10A, V10B 등으로서 측정되는 계 내의 압력(진공도)을 예를 들면 (V2=V10A=V10B=) 57.8kPa로부터 47.4kPa로 낮추는 것에 의해, 제2 증발 보일러(10B)가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증기의 비용적(m3/kg)이 커진다. 본 비교예의 경우, 가령 증류탑(2)을 통과하는 증기량을 1kg/h로 했을 경우, 57.8kPa을 비용적으로 환산하면 2.83m3/kg으로 되지만, 이것을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는 47.4kPa까지 낮추면, 비용적이 2.83m3/kg으로부터 3.41m3/kg으로 증가해 버린다. 그 결과, 증류탑(2)에 있어서의 증기의 유속이 올라가므로, 증류탑(2)의 지름(몸통 지름)이 커지고, 그 만큼 이니셜 코스트가 증대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에 있어서는,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상부에 제1 증기 압축 장치(41)를 접속하여, 제2 증발 보일러(10B)에서 발생한 증기를, 제1 증기 압축 장치(41)에서 압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압력 V10B(및 순환액 온도 T10B)만을 예를 들면 47.4kPa(95.0℃)까지 낮추어, 이것에 의해 제2 증발 보일러(10B)를 압력 용기에 해당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그 한편, 제1 증기 압축 장치(41)의 출구측에 있어서의 압력 V41은 예를 들면 원래의 계 내의 압력과 같은 (V2=V10A=) 57.8kPa까지 올릴 수도 있으므로, 증기의 비용적을 증대시키는 것도 아니며, 따라서 증류탑(2)의 지름(몸통 지름)이 커지는 것도 아니다.
(실시 형태 3)
도 3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류 장치(1M)의 전체 구성도, 도 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류 장치(1M)의 사시도, 도 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류 장치(1M)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4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부터 본 증발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 5는 도 4의 화살표 B의 방향으로부터 본 증발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3과 도 5 모두, 증발기(증발 보일러)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면 이해의 용이화를 도모하기 위해, 각각의 도면에 있어서 증발기의 보는 방향을 바꾸어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증발기에 관한 배관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도 5를 참조하여 개략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증발 보일러(10A, 10B)는 좌우 한 쌍의 헤더(14A, 15A; 14B, 15B)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도 3~도 5에 나타내는 증류 장치(1M)와 같이 공통 헤더(14C, 15C)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증발기(증발 보일러)(100)는 칸막이(101)에 의해서 저농도 증발부(102A)(1차 농축부, 제1 증발 보일러(10A)에 상당)와 고농도 증발부(102B)(2차 농축부, 제2 증발 보일러(10B)에 상당)로 2분할되어 있다. 저농도 증발부(102A)와 고농도 증발부(102B)의 일방의 측면에는 공통 헤더(14C)가 마련되고, 저농도 증발부(102A)와 고농도 증발부(102B)의 타방의 측면에는 공통 헤더(15C)가 마련되어 있다. 공통 헤더(14C)는 가열 증기가 공급되는 입구측의 공통 헤더이며, 공통 헤더(15C)는 가열 증기가 전열관군을 통과할 때에 전열관군의 외측으로 산포된 순환액과 열교환되어 생성된 응축액이 저류되는 출구측의 공통 헤더이다. 또한, 도 3, 도 4에 있어서 80A는 제2 증기 압축 장치(42)로부터의 가열 증기를 공통 헤더(14C)로 안내하는 관이며, 도 2의 관(80, 81)을 대신하여 이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증류 장치(1M)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차 농축부(고농도 증발부(102B))의 상부가, 관(76)을 매개로 하여 제1 증기 압축 장치(41)의 입구측에 접속되고, 제1 증기 압축 장치(41)의 출구측은 관(85)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는 관(79)을 매개로 하여 제2 증기 압축 장치(42)의 입구측에 접속되고, 제2 증기 압축 장치(42)의 출구측은 관(80A)을 매개로 하여 공통 헤더(14C)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3~도 5에 나타내는 증류 장치(1M)에서는, 1개의 증발기를 2분할하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어, 2개의 증발기를 이용하는 실시 형태 2에 비해 장치의 소형화나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증발기를 2분할함과 아울러, 헤더도 2분할하도록 구성하면, 예를 들면, 후에도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증기 압축 장치로서 1차 압축기와 2차 압축기를 사용하여, 증발 보일러(10A)에는 1차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증기를, 증발 보일러(10B)에는 2차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증기(1차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증기를 더 압축한 증기)를 공급하는 구성의 증류 장치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의 사항)
(1)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제2 증기 압축 장치(42)는 1개의 압축기로 구성되어 있고, 제2 증기 압축 장치(42)에서 압축된 증기를 제1 증발 보일러(10A) 및 제2 증발 보일러(10B)에 각각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 3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증기 압축 장치로서,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압축하는 1차 압축기와, 1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더 압축하는 2차 압축기를 구비하고, 2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분기하여 관을 매개로 하여 제2 증발 보일러(10B)에 도입함과 아울러, 1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분기하여 관을 매개로 하여 제1 증발 보일러(10A)에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의 경우, 증류 장치의 동작은, 1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2차 압축기에서 더 압축하고, 이 압축 증기를 제2 증발 보일러(10B)에 도입하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2 증발 보일러(10B)로 공급되는 증기만을 2차 압축기에 의해 더 압축하여 승온하는 것에 의해, 제1 증발 보일러(10A) 및 제2 증발 보일러(10B)의 각 저류액 농도에 따른 필요 최소한의 열량으로, 각각 저류액의 증발 농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소비 동력이 저감되어, 에너지 절약화를 달성할 수 있다.
(2)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1개의 증발 보일러를,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2개의 증발 보일러를, 각각 구비하고 있었지만, 3개 이상의 증발 보일러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리보일러가 3분할되어 제1 증발 보일러, 제2 증발 보일러 및 제3 증발 보일러를 구비하는 경우에,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압축하는 1차 압축기와, 1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더 압축하는 2차 압축기와, 2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더 압축하는 3차 압축기를 구비하고, 3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관을 매개로 하여 제3 증발 보일러에 도입함과 아울러, 2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분기하여 관을 매개로 하여 제2 증발 보일러에 도입하고, 1차 압축기에서 압축된 증기를 분기하여 관을 매개로 하여 제1 증발 보일러에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경우, 제1 증기 압축 장치는, 제1 증발 보일러, 제2 증발 보일러 및 제3 증발 보일러 중 어느 것에 마련해도 되지만, 제3 증발 보일러에 마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 상기 실시 형태 1~3에서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 41)가 1개의 증기 압축기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2개 이상의 증기 압축기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또한 이 경우, 이들 복수의 증기 압축기를 직렬로 접속해도 병렬로 접속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제2 증기 압축 장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4)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를 마련하고 제2 증기 압축 장치는 마련하지 않으며, 상기 실시 형태 2 및 3에서는, 제1 증기 압축 장치(41) 및 제2 증기 압축 장치(42) 모두 마련하고 있었지만,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 1에서 제2 증기 압축 장치를 마련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 2 및 3에서는, 2차 농축부에 상당하는 제2 증발 보일러(10B) 및 고농도 증발부(102B)의 상부에 각각 제1 증기 압축 장치(41)를 마련하고 있었지만, 이것과 함께, 1차 농축부의 상부에 제1 증기 압축 장치를 마련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제2 증발 보일러(10B)에 있어서의 전열관군(13B)의 외측에서 박막 증발한 증기는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증류 장치(1N)와 같이, 제1 증발 보일러(10A)의 저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증발 보일러(10A)에 있어서, 저부로 공급되는 고농도 발생 증기와, 산포기(11A)로부터 산포되는 저농도 순환액이 기액 접촉하여, 저농도 순환액이 증발하여 저농도 발생 증기가 생성되어 증발 농축이 행해진다. 관(72)으로부터는, 저농도 발생 증기와 기액 접촉 후의 고농도 발생 증기가 유출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제2 증발 보일러(10B)에서 생성된 고농도 발생 증기를, 제1 증발 보일러(10A)에 있어서 저농도 순환액과 기액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고농도 발생 증기 중의 용제 농도를 저하시켜 증류탑으로의 증기 중 용제 농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 따른 증류 장치(1N)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 형태 2에 따른 증류 장치(1L)와 마찬가지로, 증류탑(2)의 탑 꼭대기부는 관(79)을 매개로 하여 제2 증기 압축 장치(42)의 입구측에 접속되고, 제2 증기 압축 장치(42)의 출구측은 관(80)을 매개로 하여 가열기(12A)의 헤더(15A)에 접속되어 있지만, 한편, 제2 증발 보일러(10B)의 상부는, 관(82)을 매개로 하여 제1 증기 압축 장치(401)의 입구측에 접속되고, 제1 증기 압축 장치(401)의 출구측은 관(86)을 매개로 하여 제1 증발 보일러(10A)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증발 보일러(10A)의 저부로 공급되는 고농도 발생 증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농도 순환액과 기액 접촉한 후, 관(72)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된다. 즉, 제2 증발 보일러(10B)에 있어서의 전열관군(13B)의 외측에서 박막 증발한 증기가, 제1 증기 압축 장치(401)에서 압축되고, 관(86), 제1 증발 보일러(10A) 및 관(72)을 매개로 하여, 증류탑(2)의 탑 저부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리보일러를 3개 이상으로 분할한 3개 이상의 증발 보일러를 구비한 증류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7)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원액은 리보일러에 투입되고,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저농도 리보일러에 투입되었지만, 원액을 증류탑의 탑 저부, 증류탑의 탑 중단부(中段部), 및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 중 어느 것으로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증류탑과, 증류탑의 탑 저부에 저류되는 저류액을 가열하는 리보일러를 구비한 증류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증류 장치 2:증류탑
3:리보일러(수평관식 열교환기) 4, 41:제1 증기 압축 장치
42:제2 증기 압축 장치

Claims (7)

  1. 증류탑과,
    상기 증류탑의 탑 저부에 저류(貯留)되는 저류액을 가열 증발시키는 리보일러(reboiler)와,
    상기 리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하여 상기 증류탑으로 보내는 제1 증기 압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액을 상기 리보일러로 공급하는 저류액 공급 관로를 구비하고 있는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를 압축 승온하여 리보일러의 가열원으로 하는 제2 증기 압축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보일러는, 적어도, 공급되는 저류액을 증발 농축하는 1차 농축부와, 상기 1차 농축부에서 농축된 저류액을 더 증발 농축하는 2차 농축부를 구비하고 있는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 압축 장치는, 상기 리보일러의 2차 농축부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축하여 상기 증류탑으로 보내도록 구성된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리보일러는 1개의 수평관식 증발 보일러로서, 이 수평관식 증발 보일러를 칸막이에 의해서 2분할하고, 이 2분할된 증발 보일러의 각 분할 부분을 상기 1차 농축부와 상기 2차 농축부로서 구성하며,
    상기 1차 농축부 및 상기 2차 농축부는,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가 통과하는 전열관군(傳熱管群)과, 상기 저류액을 상기 전열관군의 외표면을 향해서 산포하는 산포기를 구비하고,
    상기 1차 농축부 및 상기 2차 농축부의 일방의 측면에는,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부터 공급되는 증기가 도입되는 입구측의 공통 헤더가 상기 각 전열관군의 일방의 단부를 외측에서 둘러싸서 마련되어 있고, 상기 1차 농축부 및 상기 2차 농축부의 타방의 측면에는, 상기 입구측의 공통 헤더로부터 도입된 증기가 상기 전열관군을 통과할 때에 전열관군의 외표면으로 산포된 저류액과 열교환되어 생성된 응축액이 저류되는 출구측의 공통 헤더가, 상기 각 전열관군의 타방의 단부를 외측에서 둘러싸서 마련되어 있는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보일러로 공급된 증기가 열교환되어 생성된 응축수를, 환류수(還流水)로서 상기 증류탑의 탑 꼭대기부로 되돌리도록 구성된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KR1020220012213A 2021-02-22 2022-01-27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KR20220120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26342 2021-02-22
JP2021026342A JP2022128038A (ja) 2021-02-22 2021-02-22 蒸留塔を備えた蒸留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461A true KR20220120461A (ko) 2022-08-30

Family

ID=8297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213A KR20220120461A (ko) 2021-02-22 2022-01-27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2128038A (ko)
KR (1) KR20220120461A (ko)
CN (1) CN114949895A (ko)
TW (1) TW20223513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2868A (ja) 2016-04-18 2017-10-26 株式会社ササクラ 蒸留塔を備えた蒸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92868A (ja) 2016-04-18 2017-10-26 株式会社ササクラ 蒸留塔を備えた蒸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35138A (zh) 2022-09-16
JP2022128038A (ja) 2022-09-01
CN114949895A (zh)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6216B1 (en) Distilling apparatus
KR102308392B1 (ko)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EA004968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снения воды путем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го мгновенного испарения
JP2011050860A (ja) 含水有機物の無水化方法
US3856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distillate
US3155600A (en) Multi-stage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tilling sea water
JP2014205580A (ja) 苛性ソーダ水溶液の蒸発濃縮設備
US3468761A (en) Staged vapor-liquid operated ejector arrangement for multi-stage evaporator system
CN113398609A (zh) 蒸汽循环供热蒸发设备
CN109173309A (zh) 一种mvr热浓缩循环蒸发系统
KR20220120461A (ko) 증류탑을 구비한 증류 장치
TWI815464B (zh) 用於處理凝結水的分離塔及其方法
ES2203462T3 (es) Procedimiento para la concentracion de acido diluido.
US4364794A (en) Liquid concentration apparatus
JP7378129B2 (ja) 低沸点物質の分離装置及び分離方法
JPH0549802A (ja) 凹凸表面型プレート熱交換器による水平式蒸発装置効用缶
RU2115737C1 (ru) Многокорпусная выпарная установка
US4265701A (en) Liquid concentration method
CN110420471A (zh) 一种用于液体蒸发的节能蒸发系统
CN216062019U (zh) 蒸汽循环供热蒸发设备
US3486987A (en) Multi-stage distillation with direct contact water-immiscible liquid and serially connected ejectors
US2838108A (en) Multiple effect vacuum evaporator
JP6595855B2 (ja) 蒸留塔を備えた蒸留装置
CN103058301A (zh) 卧式闪蒸罐及低温多效蒸馏海水淡化系统
CN216785765U (zh) 一种高效循环浓缩的热交换蒸发工业污水处理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