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418A -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418A
KR20220120418A KR1020210097536A KR20210097536A KR20220120418A KR 20220120418 A KR20220120418 A KR 20220120418A KR 1020210097536 A KR1020210097536 A KR 1020210097536A KR 20210097536 A KR20210097536 A KR 20210097536A KR 20220120418 A KR20220120418 A KR 20220120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proofing
concrete
powder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윤
윤세근
Original Assignee
유앤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앤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앤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418A/ko
Publication of KR20220120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6Aluminous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02Portland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2Aluminous cements
    • C04B7/323Calcium aluminosulfate cements, e.g. cements hydrating into ettringi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5Water proofers or repel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482Coating or impregnation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와 동일한 성분인 무기질계 조성물을 이용하여 신, 구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표면에 발생되는 미세균열, 균열에 의한 파손, 누수현상, 철근 부식의 내구성 저하 요인을 억제하여 물의 침입을 막고 열화원인이 되는, 탄산가스, 염화이온, 침입을 사전에 막아 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보수 계면에서의 층 분리를 억제하여 부착강도를 높여 보수, 보강 및 방수 효과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 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투수성 및 흡수성을 감소시켜 방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를 방지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의 부식 방지와 자외선의 열화까지 억제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Method of Waterproofing Construction Using Composition of Re-fluidized Silicate Powder-type Penetrating Waterproofing Agent}
본 발명은 콘크리트와 동일한 성분인 무기질계 조성물을 이용하여 신, 구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표면에 발생되는 미세균열, 균열에 의한 파손, 누수현상, 철근 부식의 내구성 저하 요인을 억제하여 물의 침입을 막고 열화원인이 되는, 탄산가스, 염화이온, 침입을 사전에 막아 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보수 계면에서의 층 분리를 억제하여 부착강도를 높여 보수, 보강 및 방수 효과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 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투수성 및 흡수성을 감소시켜 방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를 방지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의 부식 방지와 자외선의 열화까지 억제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간이 흐르면서 필연적으로 내구성이 저하하게 된다, 즉 온도, 습도의 환경 변화 때문에 수축, 팽창의 반복으로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구조체에 균열, 외장재 박리, 콘크리트 내부 철근의 부식 등이 건물의 내구성 저하를 가속화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기적인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표면에 방수 및 열화 억제성 물질을 도포하여 콘크리트 내부로의 열화 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는 방수 및 열화 억제 물질로서 종래에는 에폭시계열 및 우레탄계열인 유기질계열의 방수제가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유기질계열의 방수제는 자외선 등의 외부 환경 조건에 취약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내구 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또한, 유기질계열의 코팅제는 콘크리트를 밀봉(SEALING)하는 소수성 물질로 콘크리트 숨 쉼을 억제하기 때문에 계면에서의 부식, 탄성 계수 및 수축 팽창이 콘크리트와 달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박리되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 실제 사용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제까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관리에 대한 인식이 콘크리트가 부식된 후 서둘러서 보수 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로 되어왔다. 이러한 인식은 잘못된 관례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처음부터 보호되지 않으면 그 수명을 유지할 수 없고, 부식이 진행 중인 콘크리트도 현시점에서 재생 보강해 주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시멘트를 이용한 규산질계 분말 침투성 도포방수공법을 도입하여 사용해오고 있으며, 이 시멘트를 이용한 침투성 도포방수공법은 투수 흡수에 대한 저항 성능을 가진 침투성 도포방수제를 시멘트에 혼합하여 만든 방수 시멘트 모르타르 또는 방수시멘트 페이스트를 콘크리트 구조체 도포면에 시공하면 상기 침투성 도포방수제가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해 들어가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 및 유리석회와 연쇄화학반응을 시작하여 불용성 방수결정체를 생성하게 되고, 상기 결정체들은 계속해서 반응하면서 콘크리트 내부의 모세관 공극을 채워주면서, 밀실한 방수층을 형성하여 구조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방수 공법인 것이다.
그러므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고 재생 보강하여 주는 공법이 최근 신공법으로 널리 인식 보급되고 있으며, 이 내약품성이 우수한 재료로 콘크리트 표면에 침투시키고 피복하는 공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042282(2011.06.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콘크리트와 동일한 성분인 무기질계 조성물을 이용하여 신, 구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표면에 발생되는 미세균열, 균열에 의한 파손, 누수현상, 철근 부식의 내구성 저하 요인을 억제하여 물의 침입을 막고 열화원인이 되는, 탄산가스, 염화이온, 침입을 사전에 막아 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수 계면에서의 층 분리를 억제하여 부착강도를 높여 보수, 보강 및 방수 효과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 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수성 및 흡수성을 감소시켜 방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의 부식 방지와 자외선의 열화까지 억제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전 처리하는 콘크리트 바탕면 정리단계(S1)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누수부위를 지수제로 시공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지수제 처리단계(S2)와; 방수 시공할 콘크리트 바탕면에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을 뿌려준 후에 도포하는 콘크리트면에 물을 뿌리는 살수작업 단계(S3)와;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를 도포하기 전에 물을 뿌려준 바탕면을 손으로 만져서 물이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콘크리트 바탕면을 건조시키는 단계(S4)와;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에 물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얻은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S5);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5)에서, 1회 도포한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가 손가락으로 눌러 묻어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 2회 도포하는 프리믹스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2단계(S6); 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 상기 바탕면에 부착된 먼지, 레이던스, 거푸집 박리제, 기름, 페인트로 방수층이 박리될 수 있는 이물질들은 완전히 제거하고, 돌출부위는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평탄하게 제거하며, 약한 부위, 들뜬 부위는 사전에 철저히 확인하여 폭과 깊이가 최소한 2㎝ 이상이 되도록 파취하여 표면을 깨끗이 손질하고, 보수모르타르제로 씰링 및 보수하여 평탄하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지수제 처리는 국부적인 누수 부위가 있을 때 실시하는 것으로서, 누수가 되는 부위를 깊이와 폭을 2㎝이상을 V나 U형으로 컷팅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여 지수준비를 충분히 실시한 다음 지수제를 필요한 양만큼 용기에 넣고 컷팅된 표면에 채우면서 손이나 도구로 눌러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3)에서, 상기 방수 시공할 콘크리트 바탕면에 도포하는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에 물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탕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프리미스분말 슬러리가 푸석푸석하게 되어 방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바탕면에 물을 뿌려준 후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S5)에서, 상기 프리믹스 분말 50kg에 대하여 첨가될 물의 양을 10~12ℓ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첫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와 동일한 성분인 무기질계 조성물을 이용하여 신, 구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동에 따른 표면에 발생되는 미세균열, 균열에 의한 파손, 누수현상, 철근 부식의 내구성 저하 요인을 억제하여 물의 침입을 막고 열화원인이 되는, 탄산가스, 염화이온, 침입을 사전에 막아 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보수 계면에서의 층 분리를 억제하여 부착강도를 높여 보수, 보강 및 방수 효과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 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투수성 및 흡수성을 감소시켜 방수성을 부여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철근의 부식 방지와 자외선의 열화까지 억제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은 시멘트 광물계 결합재 8 내지 60 중량부와, 석영사 30 내지 90 중량부와, 재유화형 분말수지 2 내지 10 중량부와 기타 소량의 첨가제를 혼합한 방수제를 1재형으로 구성하여 프리믹스(premix)로 포장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멘트 광물계 결합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80 중량부와, 칼슘 알루미네이트 시멘트(CAC) 15 중량부와, 팽창성 칼슘 설퍼알루미네이트(CSA) 시멘트 5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방수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리카흄 1~3 중량부, 포졸라나 1~2 중량부, 소포제 0.1~0.3 중량부, 유동화제 0.01~0.04 중량부, 친수성 보강재 0.1~0.3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첨가제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상기 실리카흄은 실리콘, 페로실리콘, 실리콘 메탈을 생산할 때 발생되는 부산물로서, 건식법으로 만들어진 실리카 미립자의 한 종류. 4염화규소, 클로로실란 등을 수소와 산소의 분위기에서 고온 연소시켜 만드는 실리카 미립자를 총칭하며, 가스형태로 포집된 비정질 산화실리콘(sio2)인 것이며, 상기 실리카흄은 강도 및 내구성 증진 등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졸라나는 천연석(화산암)이나 인공적 슬래그인 포졸라나를 수화석회 분말과 함께 제분시켜 만든 수경성 시멘트이며, 이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의 강도를 높이고 내구성 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무기 탄화물에 액체 탄화수소와 폴리글리콜을 혼합한 파우더 형상으로, 모르타르 내의 공기량 조절 및 기포감소, 강도증진, 표면의 기포 제거 및 제품의 표면 개선, 품질의 안정성 확보 등의 역할을 하며, 모르타르 내의 안정적인 미세한 공기는 작업성을 좋게 하고, 균열 형성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화재는 나프탈렌계 분말 고유동화제로, 결합제 및 미세한 모래 등에 강력한 분산효과를 나타내며, 표면활성 특성이 있어서 물질의 표면에 흡착되고, 입자 사이에 윤활막을 형성하여 각 성분들 사이의 상호 부착력을 저감시켜서 개선된 유동특성과 큰 감수효과로 초기 및 종결 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키면서 강도의 증가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 유동화재를 과량으로 많이 사용하면 낮은 온도 조건에서 급격한 지연현상의 발생으로 응결지연,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친수성 섬유보강재는 아르보셀계 단섬유로 수산기(OH)를 갖고 있는 친수성 천연섬유로 다양한 분야의 친환경 건축자재에 적용되고 있으며, 상기 아르보셀계 단섬유는 도포시 처짐을 방지하고, 모르타르 건조시 수축 팽창에 의한 크랙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단섬유는 도포 특징 및 혼합성을 고려할 때 단섬유의 길이가 30~250㎛, 단섬유의 두께는 15~30㎛, 체적당 질량은 150~250g/ℓ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영사는 입도 0.05~3mm의 석영사를 사용하고, 석영사는 5호(표준체; 20~30메쉬) 46~64 중량부, 6호사(표준체; 30~60메쉬) 25~45 중량부, 7호사(표준체; 60~80메쉬) 9~11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유화형 분말수지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분말 수지를 사용하며, 이 수지는 접착력과 내마모성과 유동성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방수성을 확실하게 부여하여 물의 흡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방수모르타르 조성물에 물과 혼합한 후 콘크리트면에 방수모르타르를 도포했을 때, 접착력 증진은 물론 내마모성, 충격강도, 방수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며, 균질한 분산 특성을 나타나는 것이다.
상술한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는 콘크리트의 공극에 표면부터 저면까지 깊게 침투된 상태에서 겔화되어 불용성 결정물이 콘크리트 공극사이를 채우게 되므로 우수한 수밀성을 가지고, 내균열성 및 내잔갈림성을 부여하여 내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내화학성, 내오염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은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전 처리하는 콘크리트 바탕면 정리단계(S1)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누수부위를 지수제로 시공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지수제 처리단계(S2)와; 방수 시공할 콘크리트 바탕 면에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을 뿌려준 후에 도포하는 콘크리트면에 물을 뿌리는 살수작업 단계(S3)와;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를 도포하기 전에 물을 뿌려준 바탕면을 손으로 만져서 물이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콘크리트 바탕면을 건조시키는 단계(S4)와;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에 물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얻은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S5); 을 구비하며, 상기 단계(S5)에서, 1회 도포한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가 손가락으로 눌러 묻어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 2회 도포하는 프리믹스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2단계(S6); 을 더 구비한다.
상기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방수 시공하는 방법을 구성하는 기술적 단계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는, 콘크리트 바탕면 정리단계(S1)로서,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전 처리하여 콘크리트 바탕면을 정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탕면에 부착된 먼지, 레이던스, 거푸집 박리제, 기름, 페인트 등 방수층이 박리될 수 있는 이물질들은 완전히 제거한다. 또한, 돌출부위는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평탄하게 제거하고, 약한 부위, 들뜬 부위 등은 사전에 철저히 확인하여 폭과 깊이가 최소한 2㎝ 이상이 되도록 파취하여 표면을 깨끗이 손질하고, 보수모르타르제로 씰링 및 보수하여 평탄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두 번째로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지수제 처리단계(S2)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누수부위를 지수제로 시공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지수제를 처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수제 처리단계는 일반적으로 국부적인 누수 부위가 있으면 실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누수가 되는 부위를 깊이와 폭을 2㎝이상, V나 U형으로 컷팅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여 지수준비를 충분히 실시한다. 이후, 지수제를 필요한 양만큼 용기에 넣고, 예를 들면 V 컷한 홈의 규격이 2㎝× 2㎝× 1m인 경우 0.6~0.7kg을 용기에 넣고, 깨끗한 물을 용적비율로 약30% 첨가하여 반죽해 컷팅된 표면에 채우면서 손이나 도구로 눌러서 처리한다.
세 번째로는, 콘크리트면에 물을 뿌리는 살수작업 단계(S3)로서, 방수 시공할 콘크리트 바탕 면에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을 뿌려준 후에 도포하는 콘크리트면에 물을 뿌리는 살수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방수 시공할 콘크리트 바탕면에 도포하는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에 물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탕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프리미스분말 슬러리가 푸석푸석하게 되어 방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바탕면에 물을 뿌려준 후에 도포하여야 한다.
네 번째로는, 콘크리트 바탕면을 건조시키는 단계(S4)로서,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를 도포하기 전에 물을 뿌려준 바탕면을 손으로 만져서 물이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콘크리트 바탕면을 건조시킨 다음 프리믹스분말 슬러리를 도포하면 되는 것이다.
다섯 번째로는,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S5)로서,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에 물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얻은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리믹스 분말 50kg에 대하여 첨가될 물의 양을 10~12ℓ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것이 적절하며, 바탕면 1㎡당 1.5~2.0kg의 프리믹스 슬러리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데, 도포할 때는 쇠흙손을 사용하는데 롤러 또는 방수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포할 방수용 프리믹스 슬러리의 점도가 높거나 두껍게 도포할 때는 쇠흙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도가 낫거나 여러 번 도포할 때는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섯 번째로는, 프리믹스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2단계(S6)로서, 프리믹스 슬러리를 도포하는 것은 1회 도포하는 것으로 시공할 수도 있지만, 2회 도포해 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1회 도포한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가 손가락으로 눌러 묻어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 2회 도포하는 것이 적절하고, 1회 도포한 후 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시공할 때는 2회 도포 전에 1회 도포면에 물 뿌리기 작업을 한 후에 2회 도포를 해주어야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대상이 광범위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시공을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을 전 처리하는 콘크리트 바탕면 정리단계(S1)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의 누수부위를 지수제로 시공하여 누수를 차단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지수제 처리단계(S2)와;
    방수 시공할 콘크리트 바탕 면에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물을 뿌려준 후에 도포하는 콘크리트면에 물을 뿌리는 살수작업 단계(S3)와;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를 도포하기 전에 물을 뿌려준 바탕면을 손으로 만져서 물이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키는 콘크리트 바탕면을 건조시키는 단계(S4)와;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에 물을 투입하여 교반하여 얻은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단계(S5);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에서, 1회 도포한 방수용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가 손가락으로 눌러 묻어나지 않는 상태가 되었을 때 2회 도포하는 프리믹스 슬러리 방수제를 도포하는 2단계(S6); 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에서, 상기 바탕면에 부착된 먼지, 레이던스, 거푸집 박리제, 기름, 페인트로 방수층이 박리될 수 있는 이물질들은 완전히 제거하고, 돌출부위는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평탄하게 제거하며, 약한 부위, 들뜬 부위는 사전에 철저히 확인하여 폭과 깊이가 최소한 2㎝ 이상이 되도록 파취하여 표면을 깨끗이 손질하고, 보수모르타르제로 씰링 및 보수하여 평탄하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에서, 상기 지수제 처리는 국부적인 누수 부위가 있을 때 실시하는 것으로서, 누수가 되는 부위를 깊이와 폭을 2㎝이상을 V나 U형으로 컷팅하고,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여 지수준비를 충분히 실시한 다음 지수제를 필요한 양만큼 용기에 넣고 컷팅된 표면에 채우면서 손이나 도구로 눌러서 처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기 단계(S3)에서, 상기 방수 시공할 콘크리트 바탕면에 도포하는 프리믹스 분말 슬러리에 물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탕면이 건조한 상태에서 프리미스분말 슬러리가 푸석푸석하게 되어 방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바탕면에 물을 뿌려준 후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5)에서, 상기 프리믹스 분말 50kg에 대하여 첨가될 물의 양을 10~12ℓ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0210097536A 2021-02-22 2021-07-26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20220120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536A KR20220120418A (ko) 2021-02-22 2021-07-26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033 2021-02-22
KR1020210097536A KR20220120418A (ko) 2021-02-22 2021-07-26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033 Division 2021-02-22 2021-0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418A true KR20220120418A (ko) 2022-08-30

Family

ID=83114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536A KR20220120418A (ko) 2021-02-22 2021-07-26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41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282B1 (ko) 2010-07-07 2011-06-17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282B1 (ko) 2010-07-07 2011-06-17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30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 공법
KR101681596B1 (ko) 내화학성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KR101724062B1 (ko)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심층 미세 균열 억제 및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JP2532904B2 (ja) 優れた彩色適性を有する軽量の目地材
KR101141347B1 (ko) 환경 친화적인 지오폴리머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철근부식 및 염해, 중성화 억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KR101712378B1 (ko) 알칼리 회복 방청 및 무기계 폴리머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방법
KR1019113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환경친화형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133782B1 (ko) 고분자 융합 신소재와 탄소 나노튜브 단면 보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를 위한 표면 처리 공법과 그 콘크리트 구조물
KR100788021B1 (ko) 콘크리트 침투형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공법
KR102251021B1 (ko)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균열저감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 공법
KR101213063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단면을 복구하는 보수방법
KR102144656B1 (ko) 입체섬유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공법
KR10102188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아연도보강망과, 무기계 침투성 몰탈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0863978B1 (ko) 중성화 및 염해 복합열화 방지기능을 갖는 무기계 방수방식재
KR102167716B1 (ko) 상하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처리방법
KR102266502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공법
KR102261573B1 (ko) 콘크리트 보수 보강공법
KR102403274B1 (ko) 탄소 저감형 친환경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상기 모르타르 조성물과 바잘트 격자망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1351382B1 (ko) 자기치유 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916306B1 (ko)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 개질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공법
KR102072787B1 (ko) 세라믹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사 시공방법
KR101647018B1 (ko) 염분제거용 약액을 이용한 콘크리트 손상부 보수공법
KR102336590B1 (ko) 콘크리트 단면보수 보강공법
WO2020004434A1 (ja) コンクリートの改質方法および改質材
KR20220120418A (ko) 재유화형 규산질계 분말형 침투성 방수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