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08A -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108A
KR20220120108A KR1020210023796A KR20210023796A KR20220120108A KR 20220120108 A KR20220120108 A KR 20220120108A KR 1020210023796 A KR1020210023796 A KR 1020210023796A KR 20210023796 A KR20210023796 A KR 20210023796A KR 20220120108 A KR20220120108 A KR 20220120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user
operation uni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진혁
이은조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3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108A/ko
Publication of KR20220120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G05D2201/021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 충전시스템에서 충전 도중에 충전 예약이 발생하면 현재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 단말로 다음 이용자를 위한 충전 관련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고, 다수의 전기차의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차를 충전하며, 전기차의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며, 충전 중 충전 요청이 발생하면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기,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현재 충전하는 전기차의 소유주인 제1 사용자가 휴대한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 단말로 충전대기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충전 운영부,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며,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충전 종료 메시지를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및 충전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자동차 충전시스템에서 충전 도중에 충전 예약이 발생하면 현재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 단말로 다음 이용자를 위한 충전 관련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고, 다수의 전기차의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환경 친화적인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아파트, 집합건물 등에서도 전기차를 사용하는 입주민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아파트, 집합건물 내의 전기차 충전시설에 대한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기차 충전기 설치에 대한 입주민 전체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고 있어, 충전소 설치 및 이용에 대한 입주민, 외부 사용자와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전기 자동차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충전 인프라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가정용 충전설비를 비롯하여 언제 어디서나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많은 충전소가 설치되어야 한다.
충전소에서 전기 자동차를 충전해야 하는 경우 기존의 주유소나 가스충전소와는 달리 긴 충전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차량에서 대기하는 고객의 지루함과 불만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적은 충전기로 다수의 전기 자동차를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운영시스템이 요구된다.
한편,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기는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에게 충전상태 및 충전량에 대해 별도의 안내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의 현재 충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별도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앱(app)이 설치된 단말을 이용하여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 또한 충전기 운영 효율을 저해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전기차 충전 방식은, 현재 충전하고 있는 전기차의 충전이 종료되어도 현재 충전하는 차량의 소유자가 와서 충전을 종료해야만 다음 사용자가 충전을 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충전을 대기하는 사용자는 이전 사용자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에 대하여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복수의 충전 포트를 간소화하여 전기 자동차와의 단순 인터페이스 역할만을 수행하게 하고, 멀티 충전소를 통하여 복수의 충전 포트를 제어 및 관리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전기 자동차를 간편하고 동시에 충전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어떠한 전기차 충전기라도 동일한 충전기뿐만 아니라 다른 기종의 충전기가 유사 환경변수를 가질 경우에는 충전기의 설치에 대한 사전 환경변수 데이터베이스가 미리 조사되어 있기 때문에 후발적으로 설치되는 어떠한 충전기라도 선행된 충전기의 환경ㆍ관리ㆍ운영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유지보수 및 운영에 매우 편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급속히 성장하는 전기차 인프라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도모해준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전기차 충전기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충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또한, <특허문헌 4> 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충전 건이 연결된 전기차에 충전이 완료가 되면 전기차 충전기와 연동하는 IoT 모듈을 이용하여 완충된 소유자의 단말기로 완충 메시지를 전송한 후 멀리 떨어진 예약자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차 소유자의 단말기로 이전 사용자의 충전완료 정보 및 충전 가능 상태를 안내해 줄 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기와 연동하는 IoT 모듈을 이용하여 전기차 소유자의 단말기, 관제 센터, 관리자, 담당자 단말기에서 전기차의 충전 상태(10%, 30%, 50% 등)를 감시하고, 예상 충전 완료시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에 편의성은 제공하나, 현재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에게 충전 대기 예약자가 존재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줄 수 없어, 현재 충전기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의 충전 완료 시점에서 신속하게 자신의 차량의 충전을 종료 처리해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기차의 충전이 종료되면 원격에서 충전 종료 승인 메시지를 자신의 차량에 전송해줄 수 없으며, 아울러 충전이 종료된 차량으로 자율주행 이동 가능한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이 종료되면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이 이동하여 다음 대기자가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것도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현재 충전하고 있는 전기차의 충전이 종료되어도 현재 충전하는 차량의 소유자가 와서 충전을 종료해야만 다음 사용자가 충전을 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충전을 대기하는 사용자는 이전 사용자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2899(2015.04.10. 등록)(멀티 충전기 운영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98101(2020.08.20. 공개)(전기차 충전기 운영 최적화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01705(2020.08.28. 공개)(충전 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67320(2020.10.13. 등록)(전기차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 운영 시 발생하는 문제점과 충전 종료 후에도 사용자가 와서 충전 종료를 처리해야만 다음 충전 대기자가 충전을 할 수 있다는 비효율성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 충전시스템에서 충전 도중에 충전 예약이 발생하면 현재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 단말로 다음 이용자를 위한 충전 관련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고, 다수의 전기차의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은,
충전 대상 전기차를 충전하며, 전기차의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며, 충전 중 충전 요청이 발생하면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상기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기;
상기 전기차 충전기와 연동하며,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현재 충전하는 전기차의 소유주인 제1 사용자가 휴대한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충전대기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충전 운영부;
상기 충전 운영부를 통해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며,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충전 종료 메시지를 상기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을 요청하며, 상기 충전 운영부를 통해 제1 사용자의 갱신된 충전 완료시간을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충전 운영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중지 명령을 전송하고, 제1 사용자의 충전 완료 시간을 갱신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1 사용자의 갱신된 충전 완료시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충전 목표량 미달 시 상기 충전 운영부에서 전송된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며,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상기 충전 운영부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충전 운영부에서 전송된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화면 및 알림을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통보해주고, 충전 진행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충전중지 승인 메시지를 자신의 차량인 제1 사용자 전기차로 전송하며, 자율주행 이동 가능한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전기차로 전송하여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시스템에서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전 상태 및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도중에 충전 예약이 발생하면 현재 전기차를 충전하는 사용자 단말로 다음 이용자를 위한 충전 관련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여, 대기자가 있음을 알려주어 충전 종료 시 효율적으로 차량 이동이 이루어지거나 충전 종료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이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충전기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기차에 충전종료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여, 자신이 차량에 직접가지 않고서도 다른 전기차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2 사용자의 충전 대기 불편함을 개선해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율주행 이동 가능 메시지를 전기차에 전송하여, 충전이 종료된 전기차가 자율주행을 통해 스스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 운영효율의 향상도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의 충전 운영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전기차 충전기(10), 충전 운영부(20), 제1 사용자 전기차(30), 제1 사용자 단말(40) 및 제2 사용자 단말(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10)는 제1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충전 요청이 발생하면 충전 건에 접속된 충전 대상 전기차(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전기차)를 충전하며, 전기차의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충전 운영부(20)에 전송하며, 충전 중 충전 요청이 발생하면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운영부(2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기차 충전기(10)는 충전 운영부(20)와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40)(50)들과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데이터의 생성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충전 운영부(20)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와 연동하여 전기차 충전기(10)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10)로부터 획득한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현재 충전하는 전기차의 소유주인 제1 사용자가 휴대한 제1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하며,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40)로 충전대기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충전 운영부(20)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데이터 처리를 위한 퍼스널컴퓨터(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운영부(2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충전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에 충전중지 명령을 전송하고, 제1 사용자의 충전 완료 시간을 갱신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50)에 제1 사용자의 갱신된 충전 완료시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역할도 한다.
제1 사용자 전기차(30)는 제1 사용자의 차량으로서, 제1 사용자가 휴대한 제1 사용자 단말(40)과 통신을 통해 충전중지 승인 메시지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사용자 전기차(30)도 통신 모듈과 충전 제어를 위한 충전 제어 모듈이 구비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1 사용자 단말(40)은 상기 충전 운영부(20)를 통해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며,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충전 종료 메시지를 상기 충전 운영부(20)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사용자 단말(40)은 제1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이다. 문자 수신 및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 수신 데이터 처리 및 알림 메시지 생성과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용자 단말(40)은 충전 목표량 미달 시 상기 충전 운영부(20)에서 전송된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며,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상기 충전 운영부(20)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해줄 수 있다.
아울러 제1 사용자 단말(40)은 상기 충전 운영부(20)에서 전송된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화면 및 알람을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통보해주고, 충전 진행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40)은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충전중지 승인 메시지를 자신의 차량인 제1 사용자 전기차(30)로 전송하며, 자율주행 이동 가능한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전기차(30)로 전송하여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사용자 단말(50)은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에 충전을 요청하며, 상기 충전 운영부(20)를 통해 제1 사용자의 갱신된 충전 완료시간을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사용자 단말(50)은 제2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이다. 문자 수신 및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 수신 데이터 처리 및 알림 메시지 생성과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전기차를 충전하고자 하는 사용자인 제1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이 제1 사용자 전기차(30)를 전기차 충전기(10)의 충전 건과 연결하고, 제1 사용자 단말(40)에 설치된 충전 앱을 이용하여 전기차 충전기(10)에 충전을 요청한다(S101).
상기 전기차 충전기(10)는 제1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충전 요청이 발생하면 충전 건에 접속된 충전 대상 전기차(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전기차)(30)의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충전 운영부(20)에 전송하며(S102), 제1 사용자 전기차(30)를 충전한다.
아울러 충전 운영부(20)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와 연동하여 전기차 충전기(10)의 충전을 제어하며, 상기 전기차 충전기(10)로부터 획득한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현재 충전하는 전기차의 소유주인 제1 사용자가 휴대한 제1 사용자 단말(40)로 전송한다(도 1의 ①, S103).
이로써 제1 사용자 단말(40)을 휴대한 제1 사용자는 자신의 차량의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별도의 앱을 설치할 필요 없이 문자 메시지 형태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기(10)는 제1 사용자 전기차(30)를 충전하는 도중에 제2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충전 요청이 발생하면(S104),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충전 운영부(20)에 전송한다(S105).
상기 충전 운영부(20)는 상기 전기차 충전기(10)를 통해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40)로 충전대기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어, 다른 대기자가 예약되었음을 제1 사용자에게 알린다(S106).
상기 제1 사용자 단말(40)은 상기 충전 운영부(20)를 통해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면, 화면 및 알람을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통보해준다(도 1의 ②). 이어, 충전 진행 유무를 확인한다. 여기서 충전 진행 유무를 확인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표출 시, 충전을 종료할 것인지 아니면 계속 진행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 사항을 아이콘 형태로 제시하여, 사용자가 취사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40)을 통해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전에 자신이 설정한 충전 목표량을 확인하여, 충전 목표량의 미달 시 상기 충전 운영부(20)에서 전송된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다(S107). 여기서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 차단 기능이 있어, 이를 통해 간단하게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는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상태에서, 사전에 자신이 설정한 충전 목표량에 도달한 상태이면, 충전을 진행하지 않고 충전을 종료할 수 있다(S108). 이 경우, 충전 운영부(20)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해줄 수 있다(도 1의 ③, S109). 아울러 제1 사용자 단말(40)은 충전 목표량 도달 후 충전 종료 메시지를 충전 운영부(20)에 전송할 때, 충전중지 승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자신의 차량인 제1 사용자 전기차(30)로 전송한다(도 1의 ⑤, S111). 이로써 제1 사용자 전기차(30)도 사용자가 충전 중지를 승인한 것으로 인지하고, 전기차 충전기(10)와 충전 종료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충전 운영부(2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충전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기차 충전기(10)에 충전중지 명령을 전송하고(도 1의 ④, S110), 제1 사용자의 충전 완료 시간을 갱신한다. 즉, 이전의 제1 사용자의 충전 완료 시간은 완전충전 등을 고려하여 설정한 것이나, 제1 사용자가 충전을 종료했으므로, 현재 시점으로 제1 사용자의 충전 완료 시간을 갱신한다(S112).
이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50)에 제1 사용자의 갱신된 충전 완료시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어(S113), 제2 사용자가 충전을 준비하도록 한다(도 1의 ⑥).
아울러 제1 사용자 단말(40)은 제1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자율주행 이동 가능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한 자율주행 이동 가능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전기차(30)로 전송한다(S114)(도 1의 ⑦).
자율주행 이동 가능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사용자 전기차(30)는 수신한 자율주행 이동 가능 메시지에 따라 자율주행 이동 기능을 통해 차량을 자율주행하여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는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전기차(30)에 오기 이전에 전기차 충전기(10)의 충전 위치를 이동하여, 다음 충전 대기차량이 충전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차량에 올 때까지 대기할 필요가 없이 바로 자신의 차량의 충전을 시작할 수 있어, 전체적인 충전 시간도 단축하면서, 충전 대기에 따른 불편함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전기차 충전기 20: 충전 운영부
30: 제1 사용자 전기차 40: 제1 사용자 단말
50: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5)

  1. 전기차를 충전하며, 전기차의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며, 충전 중 충전 요청이 발생하면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상기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는 전기차 충전기;
    상기 전기차 충전기와 연동하며,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현재 충전하는 전기차의 소유주인 제1 사용자가 휴대한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충전대기 예약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충전 운영부;
    상기 충전 운영부를 통해 충전 상태 및 충전량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며,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충전 종료 메시지를 상기 충전 운영부에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을 요청하며, 상기 충전 운영부를 통해 제1 사용자의 갱신된 충전 완료시간을 알림 메시지 형태로 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충전 운영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충전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전기차 충전기에 충전중지 명령을 전송하고, 제1 사용자의 충전 완료 시간을 갱신한 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1 사용자의 갱신된 충전 완료시간 알림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충전 목표량 미달 시 상기 충전 운영부에서 전송된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하며,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상기 충전 운영부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충전 운영부에서 전송된 충전대기 예약정보를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면, 화면 및 알림을 통해 제1 사용자에게 충전대기 예약정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통보해주고, 충전 진행 유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충전 목표량 도달 시 충전중지 승인 메시지를 자신의 차량인 제1 사용자 전기차로 전송하며, 자율주행 이동 가능한 메시지를 상기 제1 사용자 전기차로 전송하여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KR1020210023796A 2021-02-23 2021-02-23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KR20220120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96A KR20220120108A (ko) 2021-02-23 2021-02-23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96A KR20220120108A (ko) 2021-02-23 2021-02-23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108A true KR20220120108A (ko) 2022-08-30

Family

ID=8311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796A KR20220120108A (ko) 2021-02-23 2021-02-23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1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3045A (zh) * 2023-09-01 2023-10-03 南京特拉利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车辆充电桩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899B1 (ko) 2013-10-17 2015-04-17 피에스텍주식회사 멀티 충전기 운영 시스템
KR20200098101A (ko) 2019-02-11 2020-08-20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 운영 최적화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200101705A (ko) 2019-02-20 2020-08-28 임석인 충전 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2167320B1 (ko) 2020-02-28 2020-10-19 (주)유비웍스 전기차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899B1 (ko) 2013-10-17 2015-04-17 피에스텍주식회사 멀티 충전기 운영 시스템
KR20200098101A (ko) 2019-02-11 2020-08-20 (주)이카플러그 전기차 충전기 운영 최적화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20200101705A (ko) 2019-02-20 2020-08-28 임석인 충전 알림서비스의 제공방법
KR102167320B1 (ko) 2020-02-28 2020-10-19 (주)유비웍스 전기차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43045A (zh) * 2023-09-01 2023-10-03 南京特拉利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车辆充电桩管理方法及系统
CN116843045B (zh) * 2023-09-01 2023-11-14 南京特拉利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车辆充电桩管理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2851B1 (ko) 전기자동차의 주차 위치정보를 이용한 무인 충전 시스템 및 방법
CN103095941B (zh) 智能适配器及应用该智能适配器的远程遥控系统
KR102222981B1 (ko)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배분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3516034B (zh) 与内置电缆式充电控制装置附接的附加通信设备及其操作方法
CN103116334B (zh) 家电设备的控制方法、控制系统及空调器系统
KR101233820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차등충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05142A (ko) 충전 스테이션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9849722B (zh) 基于云端优化匹配的电动汽车社区自动充电集群系统
CN202443574U (zh) 移动终端控制家电的系统及外接设备
WO2019052038A1 (zh) 为电动汽车充电的移动充电系统及方法
US8798834B2 (en) Movable component for a network system
US20120296481A1 (en) Power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power control system
KR20140109568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예약 서비스 방법
CN105620303A (zh) 一种新能源汽车智能引导充电系统
JP5890474B2 (ja) ケーブル設置型充電制御装置に取り付けられるアドオン通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CN107571755B (zh) 一种架空轨道式移动充电系统及方法
KR101828593B1 (ko) 사용자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모바일충전기의 충전시스템
KR20150066020A (ko)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210079170A (ko) 전기차용 충전기의 전력공급방법
KR20220120108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운영시스템
JP2021072682A (ja) 報知制御装置、移動体、電力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CN107369976A (zh) 无线网络共享插座管理系统及其控制装置
CN103295389A (zh) 移动终端控制家电的方法、系统及外接设备
US20120238259A1 (en) Electrical apparatus control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wireless terminal
WO2024041241A1 (zh) 车辆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