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020A -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020A
KR20150066020A KR1020130151004A KR20130151004A KR20150066020A KR 20150066020 A KR20150066020 A KR 20150066020A KR 1020130151004 A KR1020130151004 A KR 1020130151004A KR 20130151004 A KR20130151004 A KR 20130151004A KR 20150066020 A KR20150066020 A KR 2015006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charging
cloud server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식
이경중
노선희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5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6020A/ko
Publication of KR2015006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기술로서, 전기자동차가 충전 스테이션에 접속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충전 스테이션을 제어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한 스마트 단말이 클라우드 서버와 양방향 통신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간접 제어하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에 공간적인 제약 없이 전기자동차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동하면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그 충전 관리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lectromobile charg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cloud server using smart terminal,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 for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가 충전 스테이션에 접속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서버가 충전 스테이션을 제어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한 스마트 단말이 클라우드 서버와 양방향 통신으로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간접 제어하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연료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인 연료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수단으로서 전세계의 자동차 회사들이 그 연구 개발과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는 기존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와 달리 아직 충전을 위한 인프라가 정착되지 않은 단계이며, 특히 충전 스테이션에 접속하여 충전할 때 기존 화석 연료 주입에 소요되는 시간에 비해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충전을 시작하여 충전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운전자는 전기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충전 계기판이나 충전 스테이션의 화면을 통해 충전 상태를 확인하면서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1.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충전 관리 방법(특허출원 10-2009-0100793호)
2. 선납형 스마트 미터를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특허출원 10-2011-008564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에 공간적인 제약 없이 이동하면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온/오프 제어와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여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에 전송하고, 외부의 충전 명령에 따라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스테이션; 충전 스테이션이 전송한 차량 정보를 기초하여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충전 요청을 받아 충전 스테이션에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며 클라우드 서버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충전 상태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정보, 충전 진행 시간, 잔여 주행 거리, 현재 충전량, 현재 충전 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에 대해 스마트 단말로부터 열람 요청을 받으면 해당 부가정보를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는,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로부터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결제 인증부; 충전 스테이션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정상 동작하는 충전 스테이션의 정보를 스마트 단말에 알리는 스테이지 관리부; 충전 스테이션이 전송하는 차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전기자동차의 전력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 관리부; 충전 스테이션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온오프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충전 제어부;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완료 후, 충전 관리부로부터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를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클라우드 서버는 서버 연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버 연동부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부가정보 요청을 받으면, 결제 인증부로부터 인증 내역을 전송받아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충전 스테이션이 전송하는 차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한 후, 스마트 단말의 열람 요청시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 내역 관리부;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정비 내역 열람 요청시 정비 관련 제휴사 서버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정비 내역을 업로드하여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정비 내역 관리부; 스마트 단말로부터 전기자동차의 보험료 납부 내역 열람 요청시 보험 관련 제휴사 서버로부터 전기자동차의 보험료 납부 내역을 업로드하여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차량 보험 관리부; 스마트 단말이 입력하는 일정 정보를 저장해 두고, 스마트 단말로부터 일정 정보 열람 요청시 스마트 단말에 일정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일정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은, (a) 충전 스테이션이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충전 스테이션이 수집한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스마트 단말이 클라우드 서버에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d) 클라우드 서버가 충전 스테이션에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충전 스테이션이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e) 충전 스테이션이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f) 스마트 단말이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c-1) 클라우드 서버가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c-2) 스마트 단말이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 전송을 하면 클라우드 서버가 스마트 단말에 충전 진행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3) 스마트 단말이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c-3)에서 스마트 단말이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을 설정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g) 충전 스테이션이 설정된 충전량의 충전을 완료하면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h) 충전 스테이션이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에 따른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j)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요금 정보에 대한 결제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k)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결제제휴사 서버에 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스마트 단말에 결제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c-3)에서 스마트 단말이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을 설정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g) 충전 스테이션이 설정된 충전량의 충전을 완료하면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h) 충전 스테이션이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i) 클라우드 서버가 스마트 단말에 전기자동차의 충전량과 누적 충전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g) 스마트 단말이 전기자동차의 충전 종료를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가 충전 스테이션에 종료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 스테이션이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h) 충전 스테이션이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i) 클라우드 서버가 스마트 단말에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에 따른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j) 스마트 단말이 클라우드 서버에 요금 정보에 대한 결제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k) 클라우드 서버가 결제제휴사 서버에 결제를 요청한 후, 스마트 단말에 결제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g) 스마트 단말이 전기자동차의 충전 종료를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가 충전 스테이션에 종료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 스테이션이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h) 충전 스테이션이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i) 클라우드 서버가 스마트 단말에 전기자동차의 충전량과 누적 충전량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은,
(1)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에 공간적인 제약 없이 전기자동차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동하면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에 공간적인 제약 없이 전기자동차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동하면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전기자동차의 충전 온/오프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3) 전기자동차의 충전 중에 공간적인 제약 없이 전기자동차로부터 멀리 떨어져 이동하면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해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 클라우드 서버, 스마트 단말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연동부의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 클라우드 서버, 스마트 단말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은 충전 스테이션(100), 클라우드 서버(200), 스마트 단말(300)로 구성된다.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충전 대기 상태에서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로부터 충전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에 따라 전기자동차를 충전한다.
충전 스테이션(100)은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어 클라우드 서버(200)에 의해 각각 제어되며, 클라우드 서버(200)와 양방향 통신으로 전기자동차의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충전 상태 정보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정보, 충전 진행 시간, 잔여 주행 거리, 현재 충전량, 현재 충전 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가 전송한 차량 정보를 기초하여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300)에 충전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충전 요청을 받으면 충전 스테이션(100)에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부가정보에 대한 열람 요청을 받으면 부가정보의 해당 제휴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부가정보를 요청하고, 해당 제휴사 서버로부터 요청한 부가정보를 수신한 후, 열람 요청한 스마트 단말(300)에 제공한다.
스마트 단말(300)은 클라우드 서버(200)에 해당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고 충전이 개시되면, 클라우드 서버(200)가 전송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설치한다.
스마트 단말(300)은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도 클라우드 서버(200)에 목적하는 부가정보 열람을 요청한 후, 해당 부가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결제 인증부(210), 스테이지 관리부(220), 충전 관리부(230), 충전 제어부(240), 결제부(250), 서버 연동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제 인증부(210)는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300)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스테이지 관리부(220)는 복수의 위치에 설치된 충전 스테이션(100) 중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정상 동작하는 충전 스테이션(100)의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알린다.
충전 관리부(230)는 충전 스테이션(100)가 전송하는 차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전기자동차의 전력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한다.
충전 제어부(240)는 충전 스테이션(100)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온오프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간접으로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결제부(250)는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 완료 후, 충전 관리부(230)로부터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예: 충전량)를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서버 연동부(260)는 스마트 단말(300)이 요청한 부가정보에 대해 외부 제휴사 서버와 접속하여 해당 제휴사 서버로부터 수신한 해당 부가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제공한다.
제어부(270)는 결제 인증부(210), 스테이지 관리부(220), 충전 관리부(230), 충전 제어부(240), 결제부(250), 서버 연동부(26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버 연동부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 연동부(260)는 사용자 인증부(261), 충전 내역 관리부(262), 정비 내역 관리부(263), 차량 보험 관리부(264), 사용자 일정 관리부(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인증부(261)는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부가정보 요청을 받으면, 결제 인증부(210)로부터 인증 내역을 전송받아 스마트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예: 휴대폰 번호, 주민등록 번호)을 수행한다.
충전 내역 관리부(262)는 충전 스테이션(100)가 전송하는 차량 정보,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한 후, 스마트 단말(300)의 열람 요청시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한다.
정비 내역 관리부(263)는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정비 내역 열람 요청시 정비 관련 제휴사 서버로부터 전기자동차의 정비 내역을 업로드하여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한다.
차량 보험 관리부(264)는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전기자동차의 보험료 납부 내역 열람 요청시 보험 관련 제휴사 서버로부터 전기자동차의 보험료 납부 내역을 업로드하여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한다.
사용자 일정 관리부(265)는 스마트 단말(300)이 입력하는 일정 정보를 저장해 두고, 스마트 단말(300)로부터 일정 정보 열람 요청시 스마트 단말(300)에 일정 정보를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300)은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인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단말(300)에 설치되어 클라우드 서버(200)와의 양방향 통신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정보 확인 및 부가정보의 요청 및 열람이 가능하도록 한다.
스마트 단말(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정보 수집부(310), 충전 제어부(320), 디스플레이부(330), 클라우드 접속부(340), 결제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부 수집부(310)는 클라우드 서버(200)를 통해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충전 제어부(320)는 전기자동차가 충전 스테이션(100)에 접속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서버(200)의 충전 제어부(240)에 충전 요청 및 충전 종료 요청을 수행하여 간접으로 충전 스테이션(100)의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30)는 정보 수집부(310)를 통해 수집한 차량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의 표시, 클라우드 접속부(340)를 통해 수집한 부가정보의 표시가 가능하게 한다.
클라우드 접속부(340)는 클라우드 서버(200)에 부가정보 열람을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200)가 해당 제휴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전송한 부가정보를 수집한다.
결제부(350)는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 완료 후, 클라우드 서버(200)의 결제부(250)로부터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예: 충전량)를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0 : 충전할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300)을 휴대한 사용자는 충전 관리 시스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 단말(300)은 해당 전기자동차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200)에 미리 가입자로 등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S120 : 전기자동차를 충전 스테이션(100)에 접속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이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어서 수집한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대기를 알린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300)은 클라우드 서버(200)에 해당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전기자동차를 접속한 후에 충전을 요청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요청한 스마트 단말(300)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이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300)에 충전 진행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서,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충전량을 설정하여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이 개시된다.
S130, S140 : 충전이 개시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정보, 충전 진행 시간, 잔여 주행 거리, 현재 충전량, 현재 충전 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은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S150 : 한편,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부가정보 열람을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
S160, S170 :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중에 스마트 단말(300)에서 미리 설정한 충전량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해당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고 충전 종료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에 따른 요금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면, 스마트 단말(300)은 요금 정보에 대한 결제 확인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200)는 결제제휴 서버에 결제를 요청한 후, 결제제휴 서버와의 정보 처리에 따른 결제 처리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여 충전 관리를 완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210 : 충전할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300)을 휴대한 사용자는 충전 관리 시스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 단말(300)은 해당 전기자동차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200)에 미리 가입자로 등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S220 : 전기자동차를 충전 스테이션(100)에 접속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이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어서 수집한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대기를 알린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300)은 클라우드 서버(200)에 해당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전기자동차를 접속한 후에 충전을 요청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요청한 스마트 단말(300)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이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300)에 충전 진행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서,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충전량을 설정하여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이 개시된다.
S230, S240 : 충전이 개시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정보, 충전 진행 시간, 잔여 주행 거리, 현재 충전량, 현재 충전 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은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S250 : 한편,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부가정보 열람을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
S260, S270 : 충전 스테이션(100)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는 중에 스마트 단말(300)에서 미리 설정한 충전량에 대한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해당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고 충전 종료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현재 충전한 충전량과 기 누적된 충전량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300)은 정기로 누적 충전량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누적된 충전량에 대해 정기로 결제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300)과 연동하는 신용카드결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310 : 충전할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300)을 휴대한 사용자는 충전 관리 시스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 단말(300)은 해당 전기자동차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200)에 미리 가입자로 등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S320 : 전기자동차를 충전 스테이션(100)에 접속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이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어서 수집한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대기를 알린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300)은 클라우드 서버(200)에 해당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전기자동차를 접속한 후에 충전을 요청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요청한 스마트 단말(300)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이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300)에 충전 진행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서,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이 개시된다.
S330, S340 : 충전이 개시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정보, 충전 진행 시간, 잔여 주행 거리, 현재 충전량, 현재 충전 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은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S350 : 한편,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부가정보 열람을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
S360 :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충전 종료 요청을 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충전의 종료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종료하고, 충전 스테이션(100)은 충전 종료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가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에 따른 요금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면, 스마트 단말(300)은 요금 정보에 대한 결제 확인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200)는 결제제휴 서버에 결제를 요청한 후, 결제제휴 서버와의 정보 처리에 따른 결제 처리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여 충전 관리를 완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410 : 충전할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300)을 휴대한 사용자는 충전 관리 시스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스마트 단말(300)은 해당 전기자동차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200)에 미리 가입자로 등록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S420 : 전기자동차를 충전 스테이션(100)에 접속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이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고, 이어서 수집한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 대기를 알린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300)은 클라우드 서버(200)에 해당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전기자동차를 접속한 후에 충전을 요청한다.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요청한 스마트 단말(300)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이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스마트 단말(300)에 충전 진행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어서,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충전 스테이션(100)의 충전이 개시된다.
S430, S440 : 충전이 개시되면, 충전 스테이션(100)은 전기자동차에 대한 배터리 정보, 충전 진행 시간, 잔여 주행 거리, 현재 충전량, 현재 충전 요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충전 상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신한 충전 상태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300)은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S450 : 한편,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부가정보 열람을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하여 표시한다.
S460 :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진행되는 중에 스마트 단말(300)이 클라우드 서버(200)에 충전 종료 요청을 하면,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에 충전의 종료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종료하고, 충전 스테이션(100)은 충전 종료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어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충전 스테이션(100)을 통해 현재 충전한 충전량과 기 누적된 충전량 정보를 스마트 단말(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300)은 정기로 누적 충전량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누적된 충전량에 대해 정기로 결제하는 경우에는 스마트 단말(300)과 연동하는 신용카드결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 충전 스테이션
200 : 클라우드 서버
210 : 결제 인증부
220 : 스테이지 관리부
230 : 충전 관리부
240 : 충전 제어부
250 : 결제부
260 : 서버 연동부
261 : 사용자 인증부
262 : 충전 내역 관리부
263 : 정비 내역 관리부
264 : 차량 보험 관리부
265 : 사용자 일정 관리부
300 : 스마트 단말
310 : 정보 수집부
320 : 충전 제어부
330 : 디스플레이부
340 : 클라우드 접속부
350 : 결제부

Claims (9)

  1.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여 외부에 전송하고, 외부의 충전 명령에 따라 상기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스테이션(100);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전송한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스마트 단말로부터 충전 요청을 받아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200);
    상기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전송하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전력 사용 패턴, 충전 일시, 충전 장소, 충전량, 정비 내역, 보험료 납부 내역, 정비 일정 계획, 보험료 납부 일정 계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정보에 대해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열람 요청을 받으면 해당 부가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결제 인증부(210);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고장 여부를 확인하고 정상 동작하는 충전 스테이션의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알리는 스테이지 관리부(220);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전송하는 차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전기자동차의 전력사용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한 내용을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 관리부(230);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온오프시키는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는 충전 제어부(240);
    상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완료 후, 상기 충전 관리부로부터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2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200)는,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부가정보 요청을 받으면, 상기 결제 인증부로부터 인증 내역을 전송받아 상기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261);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전송하는 상기 차량 정보 및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저장한 후, 상기 스마트 단말의 열람 요청시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충전 내역 관리부(262);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정비 내역 열람 요청시 정비 관련 제휴사 서버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정비 내역을 업로드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정비 내역 관리부(263);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보험료 납부 내역 열람 요청시 보험 관련 제휴사 서버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보험료 납부 내역을 업로드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차량 보험 관리부(264);
    상기 스마트 단말이 입력하는 일정 정보를 저장해 두고,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일정 정보 열람 요청시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일정 정보를 전송하는 사용자 일정 관리부(265);
    를 구비하는 서버 연동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시스템.
  5. (a) 충전 스테이션이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e)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한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c-1)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c-2)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 전송을 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에 충전 진행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c-3)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c-3)에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을 설정하여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g)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설정된 충전량의 충전을 완료하면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h)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에 따른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j)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요금 정보에 대한 결제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k)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결제제휴사 서버에 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스마트 단말에 결제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g)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종료를 요청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종료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충전을 종료하는 단계;
    (h)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량에 따른 요금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j)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요금 정보에 대한 결제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k)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결제제휴사 서버에 결제를 요청한 후, 상기 스마트 단말에 결제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9. (a) 충전 스테이션이 전기자동차의 접속을 식별하면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차량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전기자동차에 대응하는 상기 스마트 단말에 결제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인증번호에 대한 응답 전송을 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스마트 단말에 충전 진행 여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충전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충전 스테이션에 충전 명령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h) 상기 충전 스테이션이 상기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면, 상기 클라우드 서버가 수신한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i) 상기 스마트 단말이 상기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기 위한 전기자동차 충전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151004A 2013-12-05 2013-12-05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0660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004A KR20150066020A (ko) 2013-12-05 2013-12-05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004A KR20150066020A (ko) 2013-12-05 2013-12-05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020A true KR20150066020A (ko) 2015-06-16

Family

ID=5351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004A KR20150066020A (ko) 2013-12-05 2013-12-05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6020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08277A (zh) * 2016-09-23 2016-12-07 芜湖雪影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桩控制系统
CN106532863A (zh) * 2016-12-28 2017-03-22 深圳市盛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离网停止充电的方法以及系统
CN106657403A (zh) * 2017-02-22 2017-05-10 北京南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移式设备综合调配系统
KR20170073836A (ko) * 2015-12-18 2017-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제어시스템 및 장치
CN106910284A (zh) * 2017-02-24 2017-06-30 武汉浩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saas云平台的充电桩管理系统
CN108182759A (zh) * 2017-12-16 2018-06-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无卡支付全自助充电客户端、服务器及方法
KR20190081210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클라우드 기반의 운전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 통합 플랫폼 시스템
CN110458332A (zh) * 2019-07-18 2019-11-15 天津大学 一种基于负荷空间转移的电动汽车快速充电需求调度方法
US20210158460A1 (en) * 2018-07-27 2021-05-27 Neutron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KR20210145563A (ko) * 2020-05-25 2021-12-02 대영채비(주) 충전 전 충전시퀀스 수행을 통한 차량정보획득 및 결제 전 진단수행방법
KR102339035B1 (ko) * 2021-07-23 2021-12-14 주식회사 엠디엠 스마트 충전 스테이션 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457A (ko) * 2015-12-18 2023-06-1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방법
KR20170073836A (ko) * 2015-12-18 2017-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자동차 충전제어시스템 및 장치
CN106208277A (zh) * 2016-09-23 2016-12-07 芜湖雪影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车充电桩控制系统
CN106532863A (zh) * 2016-12-28 2017-03-22 深圳市盛弘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桩离网停止充电的方法以及系统
CN106657403A (zh) * 2017-02-22 2017-05-10 北京南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便移式设备综合调配系统
CN106910284A (zh) * 2017-02-24 2017-06-30 武汉浩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saas云平台的充电桩管理系统
CN108182759A (zh) * 2017-12-16 2018-06-19 深圳供电局有限公司 一种无卡支付全自助充电客户端、服务器及方法
KR20190081210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퀀텀솔루션 클라우드 기반의 운전자 맞춤형 전기자동차 충전 통합 플랫폼 시스템
US20210158460A1 (en) * 2018-07-27 2021-05-27 Neutron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US11900487B2 (en) * 2018-07-27 2024-02-13 Neutron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of processing vehicle charging information
CN110458332A (zh) * 2019-07-18 2019-11-15 天津大学 一种基于负荷空间转移的电动汽车快速充电需求调度方法
KR20210145563A (ko) * 2020-05-25 2021-12-02 대영채비(주) 충전 전 충전시퀀스 수행을 통한 차량정보획득 및 결제 전 진단수행방법
KR102339035B1 (ko) * 2021-07-23 2021-12-14 주식회사 엠디엠 스마트 충전 스테이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6020A (ko) 클라우드 서버 기반의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20220032793A1 (en)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face to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CN206364145U (zh) 用于管理多个电池模块的电动车辆电源管理系统
US2013011992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470999B1 (ko) 충전 관리 서버 및 충전 관리 서버의 제어 방법
EP258733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communicating with a charging station
EP3053130B1 (en) Facilitating acces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network
US20140074523A1 (en) Reservation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KR101346079B1 (ko) 이동 가능한 충전 장치와 연동한 전기 자동차 운영 시스템
KR101439265B1 (ko)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그 충전 방법
US20210078433A1 (en) Charging management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EP3597475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parking structure
US10769555B2 (en) Performing ac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events
CN105574998A (zh) 基于云平台的充电桩费用结算方法
CN105303727A (zh) 一种充电桩的计费收费方法及系统
CN106297028B (zh) 一种电动汽车充电识别和结算系统及实现方法
WO2018081321A1 (en) Automated ev charging station identification process with mobile phones and other automation processes
CN205239173U (zh) 一种用于电动汽车充电的智能排队系统
CN104468657B (zh) 基于设备识别信息的设备启用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0910520A (zh) 信息的提示方法和装置、车载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1512899B1 (ko) 멀티 충전기 운영 시스템
CN112297929A (zh) 充电管理服务器及充电管理方法
CN207676425U (zh) 车载无线终端
KR20120076524A (ko) 전기차 충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7624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14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30

Effective date: 201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