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083A -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083A
KR20220120083A KR1020210023757A KR20210023757A KR20220120083A KR 20220120083 A KR20220120083 A KR 20220120083A KR 1020210023757 A KR1020210023757 A KR 1020210023757A KR 20210023757 A KR20210023757 A KR 20210023757A KR 20220120083 A KR20220120083 A KR 20220120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base
virtual real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영
김민웅
Original Assignee
(주)개선스포츠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개선스포츠,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개선스포츠
Priority to KR102021002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0083A/ko
Publication of KR2022012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1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 A63B22/002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n adjustable movement path of the support elements the inclination of the main axis of the movement path being adjustable, e.g. the inclination of an endless b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A63B22/024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 A63B22/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with speed variation electrically, e.g. D.C. motors with variable speed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드밀 장치와, 가상현실 장소와 관련된 영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영상정보를 시청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조건을 선택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선택편집메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편집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편집입력부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현실적인 운동감을 제공하고 보다 운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에 대한 만족감과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Virtual Reality Exercise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직접 편집 및 입력할 수 있는 가상투어 컨텐츠 영상화면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하중지지형 트레드밀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보다 현실적인 운동감을 제공하고 운동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트니스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운동기구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이 중 트레드밀은 사용자가 걷기와 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리드미컬하고, 좌우 대칭적이며, 큰 근육군을 사용하게 하여 운동의 효과가 탁월하여 스포츠센터, 헬스클럽, 병의원의 스포츠클리닉, 각종 학교와 체력 단련실 등에서 수요가 가장 많은 운동기구에 해당한다.
한편, 이러한 트레드밀 운동장치는, 회전무한궤도의 벨트 위에서 사용자가 걷거나 뛸 수 있도록 하는 운동장치로서, 이러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05840호의 접이식 트레드밀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트레드밀 장치는, 트레드밀을 이용한 걷기 또는 뛰기 운동 자체의 단조로움이나 심리적인 지루함 등으로 운동을 지속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트레드밀에서 TV나 영화 등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능은 운동에 대한 집중도를 저하시켜 운동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05840호
본 발명은, 실제 현장이나 투어장소의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제 해당 장소를 운동하고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의 단조로움, 지루함 등을 없앨 수 있으며, 실제 도로나 현장의 경사도와 도로상황에 대응하여 트레드밀 장치의 경사도 등을 작동제어함으로써 현실적인 운동감을 제공하고 보다 운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에 대한 만족감과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런닝밸트와,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런닝밸트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베이스가 경사지도록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장치와; 가상현실 장소와 관련된 영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시청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조건을 선택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선택편집메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편집메뉴에서 선택된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조건을 포함하는 편집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편집입력부와;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선택편집메뉴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편집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런닝밸트의 이동속도 및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선택편집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영상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런닝밸트와 결합되어 상기 런닝밸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사용자의 런닝 속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오르막경사 및 내리막경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 높이를 조절하고, 좌측경사 및 우측경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전방 하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전방좌측리프팅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방 하부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전방우측리프팅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 하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후방좌측리프팅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 하부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후방우측리프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 및 편집에 대한 상기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2D 또는 3D로 표시되고,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선택편집메뉴를 단독 또는 중첩시켜 표시되며, 운동 중 운동시간, 운동거리 및 상기 운동조건을 포함하는 운동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와, 사용자의 나이와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와, 상기 가상현실 장소들의 풍경정보와 해당 장소의 도로정보를 포함하는 현장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선택편집메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트레드밀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와의 정보를 송수신하고, 내부 또는 외부의 서버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서버통신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편집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현장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편집명령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장소에 대응하여 상기 런닝밸트의 이동속도 및 경사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은 실제 현장이나 투어장소의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실제 해당 장소를 운동하고 있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의 단조로움, 지루함 등을 없앨 수 있으며, 실제 도로나 현장의 경사도와 도로상황에 대응하여 트레드밀 장치의 경사도 등을 작동 제어함으로써 현실적인 운동감을 제공하고 보다 운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에 대한 만족감과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은, 사용자가 직접 편집 및 입력할 수 있는 가상현실 장소들을 운동코스로 선택하고, 이와 연동하여 오르막, 내리막, 좌우측 커브 및 운동속도에 맞추어 하중지지형 트레드밀 장치가 작동하게 하여, 가상현실 체험이 가능하고 보다 현실적인 운동감을 제공하여 운동에 대한 만족감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장소 선택 메뉴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운동조건 편집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선택편집메뉴 중 설정을 편집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서 운동 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은, 트레드밀 장치(100)와, 디스플레이부(200)와, 사용자 편집입력부(300)와, 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트레드밀 장치(100)는, 하중지지형으로 무한궤도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베이스와, 런닝밸트와,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부로 사용자가 걷기나 런닝을 할 수 있도록 설정 길이와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될 수 있으며, 런닝밸트 및 구동부가 연결되며 트레드밀 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런닝밸트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사용자가 걷기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며, 작동에 따라 상기 런닝밸트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베이스가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리프팅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런닝밸트와 결합되어 상기 런닝밸트를 회전시키고,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런닝밸트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걷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속도의 런닝을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런닝벨트 전후방 내측에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런닝벨트를 회전시키는 전후방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는, 회전축이 상기 전후방롤러와 축결합되어 상기 전후방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경사도를 조절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오르막경사 및 내리막경사에 의하여 베이스의 전후방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좌우측 커브 시 좌측경사 및 우측경사에 의하여 베이스의 좌우측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리프팅유닛은, 전방좌측리프팅수단과, 전방우측리프팅수단과, 후방좌측리프팅수단과, 후방우측리프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방좌측리프팅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전방 하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전방우측리프팅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전방 하부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좌측리프팅수단은, 베이스의 후방 하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며, 상기 후방우측리프팅수단은, 베이스의 후방 하부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오르막인 경우 전방좌측리프팅수단과 전방우측리프팅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베이스의 전방이 후방보다 지면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입력된 운동조건에 따라 작동범위가 조절되어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내리막인 경우 후방좌측리프팅수단과 후방우측리프팅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베이스의 후방이 전방보다 지면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입력된 운동조건에 따라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전술한 베이스의 전후방 경사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 경사도도 조절하여 다양한 경사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실감나는 체험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는, 우측경사인 경우 전방우측리프팅수단과 후방우측리프팅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베이스의 우측이 좌측보다 지면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좌측경사인 경우 전방좌측리프팅수단과 후방좌측리프팅수단이 작동되어 상기 베이스의 좌측이 우측보다 지면에 대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한 작동방법 외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 및 좌우측 경사를 만들 수 있다면 다양하게 작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는 전동엑추이터나 유압실린더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리프팅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드밀 장치(100)는,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에 전후방 영역별로 로드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은 베이스에서 사용자의 위치 및 보행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운동 시 감지되는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400)는 감지된 로드셀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서버는, 로드셀로부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값을 수신하여, 운동시작 시 사용자의 처음위치를 설정하고, 이후 운동 후 사용자가 처음위치에서 전방의 위치에 설정된 시간동안 위치할 경우 이동속도가 사용자의 컨디션이나 운동조건에 비하여 낮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선택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서버는 사용자가 처음위치에서 후방의 위치에 설정된 시간동안 위치할 경우 이동속도가 사용자의 컨디션이나 운동조건에 비하여 빠르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이동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선택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출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는, 로드셀로부터 베이스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의 사용자무게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중 편집명령 편집선택을 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한 로드셀 외 심전도센서를 더 구비하고, 이에 상기 서버는 상기한 로드셀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중 상태를 분석 및 파악하는 거 외 심전도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이에 대한 메뉴편집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레드밀 장치(100)는, 상기한 구성 외 사용자가 런닝벨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바 등 공지의 하중지지형 트레드밀 장치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가상현실 장소와 관련된 영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시청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조건을 선택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선택편집메뉴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수신하고, 출력되는 상기 영상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영상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전용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비롯하여 프로젝터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는, 상기 서버(400)로부터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 및 편집에 대한 상기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2D 또는 3D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선택편집메뉴를 단독 또는 중첩시켜 표시되며, 운동 중 운동시간, 운동거리 및 상기 운동조건을 포함하는 운동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6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출력되는 화면들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2는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출력되는 가상현실 장소 선택 메뉴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0)는 실제 투어 현장 환경을 바탕으로 선택메뉴를 출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다양한 장소들이 포함되어 출력된다. 이때, 하단에는 경사도, 속도, 심박수, 칼로리, 운동시간, 운동거리 등을 포함하는 운동조건 선택메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출력되는 운동조건 편집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운동 시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200)는, 운동 시 화면상으로 실제 현장사진을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실적이고 생동감있는 운동을 체험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하부에 운동조건 들이 출력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편집메뉴에서 선택된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조건을 포함하는 편집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하며, 입력키 또는 음성 등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300)는, 사용자가 편집 및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리모컨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서버(400)는, 상기 트레드밀 장치(100), 디스플레이부(200) 및 사용자 편집입력부(300)를 제어하며,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선택편집메뉴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300)에서 입력되는 상기 편집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런닝밸트의 이동속도 및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제어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선택편집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출력되도록 영상출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400)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서버통신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운동시스템을 작동 및 운영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저장하며, 사용자인식을 통한 사용자의 운동정보와, 사용자의 나이와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와, 가상현실 장소들의 풍경정보와 해당 장소의 도로정보를 포함하는 현장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선택편집메뉴 데이터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장소는, 명산, 공원, 바다, 강, 섬 등 세계 각 지역의 관광 명소와 트레킹 도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운동시 관관명소 등을 투어하는 가상현실 체험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와, 사용자정보를 누적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어부는 해당 사용자의 누적 운동량, 사용자의 체중, 운동량 등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으며, 운동조건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운동조건 등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서버통신부로부터 실제 특정 장소의 도로, 풍경, 지면상태 등의 자료(로드맵 등)를 상기 현장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실제 현장에서의 운동체험은 물론, 해당 현장의 실제 이동 시간을 계산하여 실제 이동 시의 이동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서버통신부는,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트레드밀 장치(100),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및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300)와의 정보를 송수신하고, 내부 또는 외부의 서버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선택편집메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편집메뉴에서 편집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통신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편집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현장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사용자정보로부터 이전 사용자의 선택편집메뉴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집명령 선택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전 편집명령에 의하여 운동한 정보들 중 미완료된 운동이 있을 시 이를 연속하여 완료할 수 있도록 이전 편집명령을 선택편집메뉴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명령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장소에 대응하여 상기 런닝밸트의 이동속도 및 경사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정보와 선택편집메뉴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고, 트레드밀 장치(100)에서 설정된 런닝벨트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재현속도를 갖는 영상출력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트레드밀 장치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사용자 편집입력부 400 : 서버

Claims (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과 하면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런닝밸트와,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런닝밸트를 회전 구동시키고 상기 베이스가 경사지도록 작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장치와;
    가상현실 장소와 관련된 영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상기 영상정보를 시청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조건을 선택 및 편집할 수 있도록 선택편집메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편집메뉴에서 선택된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조건을 포함하는 편집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편집입력부와;
    상기 가상현실 장소와 운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선택편집메뉴를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상기 편집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런닝밸트의 이동속도 및 상기 베이스의 경사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구동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선택편집메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영상출력신호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런닝밸트와 결합되어 상기 런닝밸트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런닝밸트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의 오르막경사 또는 내리막경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 높이를 조절하고, 좌측경사 또는 우측경사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의 좌우측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유닛은,
    오르막경사, 내리막경사, 좌측경사 및 우측경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의 전방 하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전방좌측리프팅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전방 하부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전방우측리프팅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 하부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후방좌측리프팅수단과,
    상기 베이스의 후방 하부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는 후방우측리프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 및 편집에 대한 상기 영상정보가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2D 또는 3D로 표시되고, 상기 영상정보와 상기 선택편집메뉴를 단독 또는 중첩시켜 표시되며, 운동 중 운동시간, 운동거리 및 상기 운동조건을 포함하는 운동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와, 사용자의 나이와 체중을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데이터와, 상기 가상현실 장소들의 풍경정보와 해당 장소의 도로정보를 포함하는 현장데이터와,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선택편집메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상기 트레드밀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사용자 편집입력부와의 정보를 송수신하고, 내부 또는 외부의 서버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장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서버통신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편집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현장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영상출력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편집명령에 의해 선택된 가상현실 장소에 대응하여 상기 런닝밸트의 이동속도 및 경사도를 산출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KR1020210023757A 2021-02-23 2021-02-23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KR20220120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57A KR20220120083A (ko) 2021-02-23 2021-02-23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757A KR20220120083A (ko) 2021-02-23 2021-02-23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083A true KR20220120083A (ko) 2022-08-30

Family

ID=8311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757A KR20220120083A (ko) 2021-02-23 2021-02-23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00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840A (ko)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스마트 스피커 및 상기 스마트 스피커의 모드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840A (ko) 2018-07-09 2020-01-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스마트 스피커 및 상기 스마트 스피커의 모드 전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1874B2 (en) Exercise system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TWI574718B (zh) 橫向傾斜跑步機底板
EP2739364B1 (en) Exercise system with display programming
EP223318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US64474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adjustment of exercise apparatus
US2009027022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KR101461202B1 (ko)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200125783A (ko)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US20120237911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active Exercise
EP2812873B1 (en) Indoor-outdoor exercise system
US20050075213A1 (en) Exercise device independent, variable display rate visual exercise system
KR20160090003A (ko) 실제 운행환경을 구현하는 자전거 운행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방법
EP2964349B1 (en) A training apparatus
JP2004121592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0478109B1 (ko) 인공지능형 런닝머신
KR20220120083A (ko) 가상현실 운동시스템
KR200328554Y1 (ko) 런닝머신
JP2002272890A (ja) 総合運動システムおよび総合運動方法
KR101953909B1 (ko) 사용자 참여형 가상의 사이클 경기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200330599Y1 (ko) 자동제어 기능을 갖는 러닝머신
KR102033513B1 (ko) Vr 컨텐츠 기반의 사용자 운동제공을 위한 좌식 시스템
WO2006038815A1 (en) A physical exercise apparatus interface system allowing selection from different simulation options and controlling the exercise apparatus
KR20010099433A (ko) 아바타를 이용한 가상현실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JP2020112889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312800B1 (ko) 리얼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운동기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