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783A -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5783A
KR20200125783A KR1020190048132A KR20190048132A KR20200125783A KR 20200125783 A KR20200125783 A KR 20200125783A KR 1020190048132 A KR1020190048132 A KR 1020190048132A KR 20190048132 A KR20190048132 A KR 20190048132A KR 20200125783 A KR20200125783 A KR 20200125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virtual reality
user
out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618B1 (ko
Inventor
최봉식
Original Assignee
최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식 filed Critical 최봉식
Priority to KR102019004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61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3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by performance parameters, e.g. distance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63B2071/068Input by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63B2230/015User's weigh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4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 A63B2230/75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상현실출력수단(100), 운동수단(200), 제어수단(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올레길, 명산, 공원, 바다, 강, 섬 등 지역의 관광 명소와 기타 하이킹 도로에 관한 영상을 보면서, 트레드밀 또는 헬스용 실내 자전거를 타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운동함에 있어 지루하지 않게, 장시간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Exercise equipment using virtual reality system}
본 발명은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올레길, 명산, 공원, 바다, 강, 섬 등 지역의 관광 명소와 기타 하이킹 도로에 관한 영상을 보면서, 트레드밀 또는 헬스용 실내 자전거를 타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이 점점 윤택해지고 편해지는 비례하여 신체활동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예컨대,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기인하여 현대인들은 컴퓨터 앞에서 생활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마우스 조작이나 키보드 조작과 같은 단순 반복적인 운동 외에는 운동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심장병, 고혈압, 뇌졸중, 당뇨병, 비만증, 암 등의 성인병 대부분은 이러한 운동부족이 원인이기 때문에, 신체기능의 약화를 방지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시간이 부족하거나 운동할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러한 현대인들의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짧은 시간에 운동효과를 볼 수 있는 실내 스포츠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실내 스포츠는 실외에서 운동을 수행하므로 발생되는 계절적, 시간적 제약에 상관없이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으며, 실내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의 증가에 따라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실내운동기구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트레드밀 또는 헬스용 실내 자전거는 가장 보편화된 실내 운동기구 중 하나로서, 일반 가정에도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실내 운동기구는 대부분 고정형이기 때문에 운동 시 매우 반복적이고 단조로워 장시간 운동할 수 있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기구의 특성상, 사용자가 혼자 운동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2인 이상이 함께 할 수 있는 다른 운동보다 운동을 통해 느끼느느 재미가 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쉽게 운동에 흥미를 잃을 수 있는 문제가 있어, 결국 목표로 설정한 운동량을 완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실내 운동을 할 수 있는, 종래의 운동기구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3867호의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사용자의 전방에 대한 위치 및 운동 자세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가상 공간 내에서의 영상 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사용자가 가상 공간 및 현실 공간에서 모두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운동기기를 제공하는 구동 본체부, 상기 사용자의 후방에 대한 위치 및 운동 자세 정보에 대한 영상정보와 거리정보의 수집이 이루어지는 VR 제공 본체부, 및 바닥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부와, 발판부의 외측 둘레면에 구성되며, 사용자의 운동 수행 시 발판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과, 사용자의 후방부에 구성되는 등 받침 프레임과, 상기 등받침 프레임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르르 감싸는 허리 보호대를 포함하는 운동 본체부, 상기 구동 본체부와 연동하여 사아기 구동 본체부, VR 제공 본체부 및 운동 본체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구동 본체부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 저장된 운동 자세 정보를 비교하여 자세 교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9579호의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이하, '선행기술 2'라 함.)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용자가 기승하는 안장, 상기 안장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안장이 상하 및 전후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가동축이 상하 및 전후 틸팅 운동을 하도록 상기 가동축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마동작구동부, 상기 안장의 전방에 연결되어 상기 승마동작구동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구동조작부 및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가상현실 영상화면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송출하는 영상화면 송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장에 기승한 이용자가 착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화면을 통해 실제로 승마를 하는 것과 같이 느끼도록 하는 가상현실 헤드셋을 포함으로서, 승마 운동의 현실감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본 발명과 대비하여,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에 있어 일부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존재하지만, 이는, 응당, 동일한 기술분야라면 오히려 반드시 필요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가상현실을 출력시키는 VR, VR을 통해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게 하는 운동 기구,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발명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렇게, 본 발명과 포괄적인 개념상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공통적으로 단순하게, VR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맞게 운동 기구가 움직이도록 하는 기술로, 운동에 대한 흥미를 더욱 유발시켜 꾸준히 사용자로 하여금 운동 습관을 들이기에는 기술적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가상현실 기반의 운동장치의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3867호 (2018.11.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9579호 (2018.12.10.)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장시간 운동 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적 요소, 예를 들어, 관광 명소와 하이킹 도로에서 하이킹을 하고 있는 느낌을 제공하여 장시간 운동에 따른 지루함을 해소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가상현실에 맞게 운동수단이 작동됨은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시간 주변정보가 가상현실에 적용되도록 하거나, 친구들과 가상현실상에서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의 흥미를 꾸준히 유발시킬 수 있는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광 명소와 하이킹 도로에 관련된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가상현실출력수단(100)과,
사용자가 탑승하여,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수단(200)과,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수단의 작동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날씨와 관계없이 국, 내외 관광 명소와 하이킹 도로의 가상체험과 운동을 병행함으로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상체험에서 명소를 보면서 스토리텔링과 영상에 맞는 효과음 및 음악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운동을 해도 지루하지 않고 즐겁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연령 및 체력, 운동능력에 맞게 빠르게 또는 천천히 걷는 것을 조절할 수 있어 맞춤형 체력증진 효과가 있다.
또한, 많은 시간과 경제적 부담을 갖고 장거리 해외여행을 출발하기 전 또는 여행 이후에 그곳을 배경으로 하는 스크린을 체험하여 명소에 대한 이해와 여행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시간 주변정보가 가상현실에 적용되도록 하거나, 친구들과 가상현실상에서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의 흥미를 꾸준히 유발시킬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올바른 운동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의 구성요소 중, 가상현실출력수단에 대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의 구성요소 중, 운동수단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의 구성요소 중, 제어수단의 구성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1)는,
관광 명소와 하이킹 도로에 관련된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가상현실출력수단(100);
사용자가 탑승하며,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수단(200);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수단(200)의 작동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인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1)는 사용자가 운동함에 있어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꾸준히 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건강이 증진, 유지되도록 도모한다.
또한, 동시에, 사용자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을 통해 출력되는 간접적인 새로운 환경에서 운동수단(200)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게 함으로서, 흥미있게 장시간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환경으로 인해 뇌가 자극되어, 운동의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한다.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은 관광 명소와 하이킹 도로에 관련된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구성으로서,사용자가 운동수단(200)에 탑승하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크린 형태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D) 형태인 HMD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은,
올레길, 명산, 공원, 바다, 강, 섬 등 지역의 관광 명소와 기타 하이킹 도로에 관한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영상저장부(110);
상기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평지, 오르막, 내리막, 음향효과 등)가 저장되는 특징정보저장부(120);
상기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선택부(130);
상기 영상선택부(130)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부(140);
상기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맞는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150);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음성입력부(160);
제어수단(300)이 제공한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영상출력부(140)에 출력되도록 하는 사용자고유정보출력부(170)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음향출력부(150)에서는 예를 들어, 영상에 맞는 자연의 소리(파도, 바람, 새소리, 종소리 등)가 출력되어 사용자의 귀를 자극하여 영상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고유정보출력부(170)는 제어수단(300)이 제공하는 사용자의 고유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심박수, 체중, 소모되고 있는 칼로리가 출력되어 자신의 상태 및 운동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운동수단(200)은 사용자가 탑승하며,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아래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운동수단(200)은,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부(210);
상기 탑승부(210)에 착석하거나 직립한 사용자가 신체를 움직여 운동하도록 하는 운동진행부(220);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에 대응된 제어수단(300)의 제어에 따라 작동 조건이 조절되도록 하는 운동조건대응부(230);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어, 사용자의 심박수, 체중을 획득하고 운동량에 따른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고, 획득되거나 계산된 심박수, 체중, 소모 칼로리를 사용자의 고유정보로 하여 제어수단(300)에 제공하는 사용자고유정보획득부(240)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운동수단(200)은 헬스용 실내 자전거(A) 또는 트레드밀(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헬스용 실내 자전거(A) 또는 트레드밀(B)의 운동 강도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예를 들어, 평지, 오르막, 내리막 등)에 따라 운동수단(200)의 운동조건대응부(230)를 통해 속도 및 기울기 등과 같은 작동 조건을 변화시켜, 운동수단(200)의 운동강도를 천천히 또는 빠르게 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몰입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상술한 헬스용 실내 자전거(A) 및 트레드밀(B)의 '작동 조건'이라 함은 예를 들어, 헬스용 실내 자전거(A)의 경우 페달의 회전 부하 및 경사도(오르막길, 내리막길에 대한 헬스용 실내 자전거(A)의 실제 기울기 변화)등을 의미하고, 트레드밀(B)의 경우 속도 및 경사도(오르막길, 내리막길에 대한 트레드밀(B)의 실제 기울기 변화)의 변화를 말한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수단(200)의 작동 조건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아래와 같은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상기 제어수단(300)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수단(200)의 작동 조건을 제어하는 운동수단조건제어부(310)와,
사용자의 고유정보와 운동 시점에 대한 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조건활용제어부(3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운동수단조건제어부(310)는,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를 가상현실출력수단(100)의 특징정보저장부(120)에서 추출하는 특징정보추출모듈(311);
추출된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에 따라 현재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에 맞도록 운동수단(200)의 운동 강도를 연산하는 운동강도연산모듈(312);
연산된 운동 강도에 따라 운동수단(200)의 운동조건대응부(230)가 운동수단의 작동 조건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운동수단제어모듈(3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조건활용제어부(320)는,
운동수단(200)으로부터 사용자의 고유정보인 심박수, 체중, 소모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심박수, 체중, 소모 칼로리 등의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 출력되는 영상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고유정보적용모듈(321);
사용자가 운동하는 시간 및 계절에 대한 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 출력되는 영상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운동시간정보적용모듈(3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실시예로 제어수단(300)은,
다른 사용자와 함께 가상현실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동행모드활성화부(330);와,
다른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1)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른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1)를 이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받은 시스템연동통신부(340);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동행모드활성화부(330)는,
시스템연동통신부(340)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속의 다른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1)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다른 사용자를 친구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친구등록모듈(331);
사용자가 운동할 시, 상기 친구등록모듈(331)을 통해 친구로 등록된 다른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실시간접속친구정보출력모듈(3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300)은 상술한 운동수단조건제어부(310), 사용자조건활용제어부(320), 동행모드활성화부(330), 시스템연동통신부(340)를 통해 가상현실출력수단(100) 및 운동수단(200)의 운동 강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같이 운동하는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가상현실상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장시간 운동에 집중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의 건강 증진 및 올바른 운동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모함은 물론, 다양한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요소로 인해 꾸준하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또한, 제어수단(300)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운동을 정지할 경우, 또는 시스템 오류에 의해 운동이 정지될 경우, 사용자가 선택했던 영상 정보가 저장되고, 사용자가 재차 운동 진행 시 저장된 영상이 정지 시점 이후부터 재생되도록 하여 운동을 이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연속진행제어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제 특정 관광 명소를 선택하여 운동하다가 운동을 중지했다면, 오늘, 어제 운동했던 특정 관광 명소에 대한 영상 정보를 정지 시점 이후부터 재생시켜 그대로 이어서 운동을 재차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100: 가상현실출력수단
200: 운동수단
300: 제어수단
A: 헬스용 실내 자전거 B: 트레드밀
D: 디스플레이

Claims (6)

  1.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1)에 있어서,
    관광 명소와 하이킹 도로에 관련된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가상현실출력수단(100);
    사용자가 탑승하여,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를 시청하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수단(200);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수단(200)의 작동 조건을 제어하고 운동에 관련된 사용자 고유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운동수단(200)은 헬스용 실내 자전거(A)로서,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수단(300)에 의해 작동 조건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운동수단(200)은 트레드밀(B)로서,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수단(300)에 의해 작동 조건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출력수단(100)은,
    올레길, 명산, 공원, 바다, 강, 섬 등 지역의 관광 명소와 기타 하이킹 도로에 관한 영상 정보가 저장되는 영상저장부(110);
    상기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되는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평지, 오르막, 내리막, 음향효과 등)가 저장되는 특징정보저장부(120);
    상기 영상저장부(110)에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선택부(130);
    상기 영상선택부(130)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영상출력부(140);
    상기 영상출력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맞는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150);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음성입력부(160);
    제어수단(300)이 제공한 운동에 관련된 사용자 고유정보가 영상출력부(140)에 출력되도록 하는 사용자고유정보출력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200)은,
    사용자가 착석하거나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부(210);
    상기 탑승부(210)에 착석하거나 직립한 사용자가 신체를 움직여 운동하도록 하는 운동진행부(220);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에 대응된 제어수단(300)의 제어에 따라 작동 조건이 조절되도록 하는 운동조건대응부(230);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되어, 사용자의 심박수, 체중을 획득하고 운동량에 따른 소모 칼로리를 계산하고, 획득되거나 계산된 심박수, 체중, 소모 칼로리를 운동에 관한 사용자 고유정보로 하여 제어수단(300)에 제공하는 사용자고유정보획득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300)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정보에 대응하여 운동수단(200)의 작동 조건을 제어하는 운동수단조건제어부(310)와,
    운동에 관한 사용자의 고유정보와 운동 시점에 대한 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조건활용제어부(3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운동수단조건제어부(310)는,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를 가상현실출력수단(100)의 특징정보저장부(120)에서 추출하는 특징정보추출모듈(311);
    추출된 영상의 화면별 특징정보에 따라 현재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에 맞도록 운동수단(200)의 운동 강도를 연산하는 운동강도연산모듈(312);
    연산된 운동 강도에 따라 운동수단(200)의 운동조건대응부(230)가 운동수단의 작동 조건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운동수단제어모듈(313)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사용자조건활용제어부(320)는,
    운동수단(200)으로부터 운동에 관한 사용자 고유정보인 심박수, 체중, 소모 칼로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심박수, 체중, 소모 칼로리 등의 사용자의 고유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 출력되는 영상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사용자고유정보적용모듈(321);
    사용자가 운동하는 시간 및 계절에 대한 정보가 가상현실출력수단(100)에 출력되는 영상에 믹싱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운동시간정보적용모듈(3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KR1020190048132A 2019-04-25 2019-04-25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KR10222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32A KR102224618B1 (ko) 2019-04-25 2019-04-25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132A KR102224618B1 (ko) 2019-04-25 2019-04-25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783A true KR20200125783A (ko) 2020-11-05
KR102224618B1 KR102224618B1 (ko) 2021-03-08

Family

ID=7324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132A KR102224618B1 (ko) 2019-04-25 2019-04-25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462B1 (ko) * 2021-03-18 2021-06-09 최석봉 워킹 운동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89889A1 (en) 2019-03-11 2020-09-17 Rom Technologies, Inc. Bendable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joint extension and flexion
US11541274B2 (en) 2019-03-11 2023-01-03 Rom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actuated pedal for an exercise or rehabilitation machine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433276B2 (en) 2019-05-10 2022-09-0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071597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701548B2 (en) 2019-10-07 2023-07-18 Rom Technologies, Inc. Computer-implemented questionnair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325005B2 (en) 2019-10-03 2022-05-10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achine learning to control an electromechanical device used for p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and/or exercise
US11282604B2 (en) 2019-10-03 2022-03-22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equipment for prediction of secondary disease
US11270795B2 (en) 2019-10-03 2022-03-08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physician-smart virtual conference rooms for use in a telehealth context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756666B2 (en) 2019-10-03 2023-09-12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enable communication detection between devices and performance of a preventative action
US11337648B2 (en) 2020-05-18 2022-05-24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ssign patients to cohorts and dynamically controlling a treatment apparatus based on the assignment during an adaptive telemedical session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20210142893A1 (en) 2019-10-03 2021-05-13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claims
US11069436B2 (en) 2019-10-03 2021-07-2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139060B2 (en) 2019-10-03 2021-10-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 immersive enhanced reality-driven exercise experience for a user
US11317975B2 (en) 2019-10-03 2022-05-03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atients via telemedicine using sensor data from rehabilitation or exercise equipment
US20210134432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ynamic treatment environments based on patient information
US20210134425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elemedicine-enabled hardware to optimize rehabilitative routines capable of enabling remote rehabilitative compliance
US11101028B2 (en) 2019-10-03 2021-08-24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075000B2 (en) 2019-10-03 2021-07-27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20210134458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to enable remote adjustment of a device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20210128080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Augmented reality placement of goniometer or other sensors
US11515021B2 (en) 2019-10-03 2022-11-29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to analytically optimize telehealth practice-based billing processes and revenue while enabling regulatory compliance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20210127974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Remote examination through augmented reality
US11282599B2 (en) 2019-10-03 2022-03-22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ement of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US20210134412A1 (en) 2019-10-03 2021-05-0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cal claims using biometric signatures
US11830601B2 (en) 2019-10-03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ardiac rehabilitation among eligible users
US11282608B2 (en) 2019-10-03 2022-03-22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recommendations to a healthcare provider in or near real-time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11515028B2 (en) 2019-10-03 2022-11-29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create optimal treatment plans based on monetary value amount generated and/or patient outcome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755A (ko) * 2002-02-28 2002-04-25 김웅태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KR20090129077A (ko) * 2008-06-12 2009-12-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가상 현실 운동 기구와 응용 서버
KR101923867B1 (ko) 2018-09-19 2018-11-29 김종범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
KR101929579B1 (ko) 2016-08-30 2018-12-14 피제이비 주식회사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755A (ko) * 2002-02-28 2002-04-25 김웅태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KR20090129077A (ko) * 2008-06-12 2009-12-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라인 가상 현실 운동 기구와 응용 서버
KR101929579B1 (ko) 2016-08-30 2018-12-14 피제이비 주식회사 가상현실 승마 운동 기구
KR101923867B1 (ko) 2018-09-19 2018-11-29 김종범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462B1 (ko) * 2021-03-18 2021-06-09 최석봉 워킹 운동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618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618B1 (ko) 가상현실 기반 운동장치
KR102224188B1 (ko)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가상현실용 헬스케어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573739B1 (ja) 室内用有酸素運動装置、運動システム
EP0682544B1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20100009809A1 (en) System for simulating a tour of or being in a remote location while exercising
US5690582A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5890995A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5785630A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Marshall et al. Expanding exertion gaming
US20130165195A1 (en) Competitive Race System
US11717722B2 (en) Collaborative exercise
US20090111670A1 (en) Walk simulation apparatus for exercise and virtual reality
US20130316827A1 (en) Curved Track Simulation Device
US20140274567A1 (en) Adaptable exercise system and method
Bentvelzen et al. Tailor My Zwift: How to Design for Amateur Sports in the Virtual World
Newsome et al. Swim smooth: the complete coaching system for swimmers and triathletes
Goater et al. The art of running faster
KR102476730B1 (ko)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스포츠 장치를 이용한 서킷 트레이닝 제공 방법
Kontio et al. “I Feel My Abs”: Exploring Non-standing VR Locomotion
Tahan et al. iGym—A RaspberryPi-smartphone hybrid system for better entertaining treadmill users
Knopf Stability Workouts on the Balance Board: Illustrated Step-by-Step Guide to Toning,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ve Techniques
KR20130000863U (ko) 스크린 승마 연습기구
Stach Heart rate balancing for multiplayer exergames
CN116271698A (zh) 一种交互式运动健康系统
Lappeteläinen Balance training with a mobile phone accelerometer: finding the baseline parameter set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