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741A - 백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741A
KR20220119741A KR1020227027320A KR20227027320A KR20220119741A KR 20220119741 A KR20220119741 A KR 20220119741A KR 1020227027320 A KR1020227027320 A KR 1020227027320A KR 20227027320 A KR20227027320 A KR 20227027320A KR 20220119741 A KR20220119741 A KR 20220119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g
holder member
strap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302B1 (ko
Inventor
가즈미 후지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롱티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롱티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롱티푸
Publication of KR2022011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자루체를 구비한 백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저감한다.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115)가 설치된 자루체(11)와, 손잡이(115)에 부착된 홀더부재(12)와, 자루체(11)의 바닥측과 홀더부재(12)를 연결하는 스트랩(13)을 구비하고, 홀더부재(12)는 스트랩(13)의 폭(W1)보다 긴 영역(W2)에 손잡이(115)로 접하고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자루체(袋體)를 구비한 백(bag)에 관한 것이다.
백은, 패션성(fashion 性)과 기능성을 겸비한 복식잡화(服飾雜貨)로서 인기가 있으며, 소위 보스턴백(Boston bag)이나 토트백(tote bag)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다. 특히,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백은,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진 상태에서는 양손을 구속하지 않으므로, 다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폭넓은 연령층에 이용되고 있다.
이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백을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서 사용하고 있으면, 그 손잡이가 어깨로부터 흘러내릴 수 있다. 그 흘러내림 방지책으로서, 본원 출원인은 지금까지 몇 개의 제안을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 참조). 본원 출원인의 이러한 제안에 의하여, 손잡이가 어깨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은 아닌가하는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고 백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제안을 채용한 백의 사용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특허문헌1 : 국제공개 공보W2015/019996 특허문헌2 : 국제공개W2018/97002
사용 용도가 확대되면, 백에 무거운 물건을 수납해서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 장면에서는, 손잡이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손잡이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는 본 발명의 백은,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자루체와,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홀더부재(holder 部材)와,
상기 자루체의 바닥측과 상기 홀더부재를 연결하는 스트랩(strap)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스트랩의 폭보다 긴 영역에서 상기 손잡이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백에 의하면, 상기 홀더부재가 상기 손잡이에 면(面)으로 접하게 되고, 점(点)으로 접하는 경우보다 1군데에 걸리는 힘이 작아져, 상기 손잡이가 변형되는 경우이어도 상기 손잡이는 넓은 범위에 걸쳐 변형되기 때문에, 1군데에 있어서 변형되는 것보다 변형의 정도가 작아져서, 상기 손잡이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스트랩의 폭보다 2배 이상 긴 영역에서 상기 손잡이에 접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손잡이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지고 상기 자루체의 수납부가 상기 사용자의 등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의 가슴측으로 상기 손잡이와 상기 자루체의 바닥측을 서로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수납부의 일부가 사용자의 등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상기 스트랩은, 상기 손잡이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쳐져서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손잡이가 걸쳐진 사용자의 어깨와는 반대측의 어깨가 존재하는 몸측을 향하여, 상기 자루체의 수납부 및 이 스트랩이 접속된 상기 홀더부재가 부착된 손잡이를 잡아당기고, 상기 수납부의 일부가 사용자의 등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의 위치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루체에 수납된 짐의 무게는, 상기 손잡이에 직접 걸리는 하방향(下方向)의 힘과, 상기 홀더부재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스트랩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분력(分力)된다. 백을 장착하고 움직이는 동안에, 상기 손잡이에 직접 걸리는 하방향의 힘과, 상기 손잡이가 상기 스트랩에 의해 당겨지는 힘이 가장 균형을 이룬 위치로 상기 홀더부재가 자연스럽게 위치되도록 되는 경우가 있으며, 상기 손잡이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홀더부재도 백의 디자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를 어깨에 걸지 않고 손에 드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부재를 떼어내면 전체적인 이미지가 조금 변경된 백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루체는 제1몸통과 제2몸통 사이에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몸통에 설치된 제1손잡이와, 상기 제2몸통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손잡이와 떨어진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를 1개로 묶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제1손잡이 및 상기 제2손잡이와 같은 2개의 손잡이를 1개로 묶을 수 있으면, 손잡이 전체로서의 강도가 높아지고, 상기 손잡이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이 보다 저감된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에 의해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가 1개로 묶어질 수 있으면, 어깨에 건 경우에 일방(一方)의 손잡이만 어깨로부터 흘러내리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감긴 것이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홀더부재에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한 양태이어도 좋다.
이 양태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상기 스트랩을 상기 홀더부재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에 의하면, 손잡이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도면1]제1실시형태의 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2]도1에 나타내는 백의 측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3]도1에 나타내는 백의 수납부를 등측에 고정하는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4]도1에 나타내는 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5]제2실시형태의 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6]도5에 나타내는 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7]제3실시형태의 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은 제1실시형태의 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백의 측면을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나타내는 백(1)은, 자루체(11)와, 홀더부재(12)와, 스트랩(13)을 구비하고 있다. 자루체(11)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몸통(111)과, 제2몸통(112)과, 바닥부(113)를 구비한다. 제1몸통(111)과 제2몸통(112)은, 나일론제이며 동일한 형상으로서 동일한 크기이다. 제1몸통(111)과 제2몸통(112)은, 상호 좌우양측끼리 꿰매어 합쳐져, 제1몸통(111)의 하단부와 제2몸통(112)의 하단부는 가죽제의 바닥부(113)로 결합되어 있다. 즉, 제1몸통(111)과 제2몸통(112) 사이에 수납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제1몸통(111)의 상부 테두리와 제2몸통(112)의 상부 테두리 사이가, 수납부(110)로 이어지는 개구(開口)가 된다. 이 개구는 패스너(fastener)나 버튼(buttone) 등의 잠금쇠에 의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2에는, 이 수납부(110)에 짐을 가득 채워 수납부(110)가 부풀어 커진 상태의 백(1)이 나타나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백(1)에서는, 스트랩(13)이 분리되어 있어, 도2에는 스트랩은 나타내지지 않고 있다. 제1몸통(111)에는 제1손잡이(116)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2몸통(112)에는 제2손잡이(117)가 부착되어 있다. 도1은 제1몸통(111)측에서 본 도면이며, 이 도1에는 제1손잡이(116)가 제1몸통(111)에 꿰매어진 솔기(st)가 나타나 있다. 이하,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를 총칭해서 간단하게 손잡이(115)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 손잡이(115)는 어깨에 거는 것이 가능한 길이의 것이며, 본 실시형태의 백(1)은 소위 토트백으로 불리는 것이다.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는, 도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떨어져 있지만, 실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홀더부재(12)에 의해 1개로 묶여진다. 홀더부재(12)는,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를 포갠 상태에서, 이들의 손잡이에 감긴 것이다. 도1에 나타내는 백(1)에서 홀더부재(12)는, 손잡이(115)의 우측(백(1) 자신으로부터 보면 좌측)의 붙임 부분에 부착되어 있지만, 도2에 나타내는 백(1)에서 홀더부재(12)는, 손잡이(115)의 제일 높은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홀더부재(12)는 손잡이(115)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도1에 나타내는 스트랩(13)은 장척(長尺)의 띠모양이다. 홀더부재(12)는, 스트랩(13)의 폭(W1)보다 긴 영역(W2)에서 손잡이(115)에 접하고 있다. 홀더부재(12)가 손잡이(115)에 접하고 있는 영역(W2)은, 스트랩(13)의 폭(W1)의 3배 이상이지만 2배 이상이어도 좋다.
자루체(11) 바닥측의 좌우부분 각각에는, 외향(外向)으로 D링(D-ring)(118)이 부착되어 있다. 즉, D링(118)은, 제1손잡이(116)의 부착부분의 하단부에 외향(外向)으로 부착되어 있다. 한편, 스트랩(13)의 일단(一端)에는 루프훅(loop hook)(13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루프훅(131)은 좌우 어느 일방(一方)의 D링(118)에 접속된다. 도1에서는, 루프훅(131)은 좌측(백(1)자신으로 보면 우측)의 D링(1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링(118)은 제1몸통(111)에 부착되어 있지만, 제2몸통(112)에는 부착되어 있지 않다. 도1에 나타내는 백(1)의 수납부(110)를 등측에서 고정하는 경우, 제1몸통(111)을 등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D링(118)과 루프훅(131)이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 보이지 않게 된다.
도1에 나타내는 스트랩(13)의 타단(他端), 즉, 루프훅(131)이 설치된 측과 반대측에는, 접속부(132)가 설치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접속부(132)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루프모양으로 되어 오목부와 볼록부를 눌러서 접속하는 스냅버튼(snap button)(훅크(hook))식이다. 홀더부재(12)에는 슬릿(slit)(121)이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32)는, 홀더부재(12)에 감겨지고, 이 슬릿(121)을 통하여 루프모양이 되어, 스냅버튼(1321)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홀더부재(12)에 접속하고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랩(13)은 자루체(11)의 바닥측과 홀더부재(12)를 연결하고 있다.
도3은, 도1에 나타내는 백(1)의 수납부(110)를 등측에 고정하는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a)는 사용자(H)를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고, 동일 도(b)는 사용자(H)를 배면(背面)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나타내는 백(1)은, 스트랩(13)을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115)를 어깨에 걸쳐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러면, 손잡이(115)가 어깨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이 거슬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납부(110)가 크게 흔들리는 것이 거슬리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경우에는, 스트랩(13)을 사용하여 손잡이(115)가 어깨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자(H)의 몸에 백(1)을 피트(fit)시켜 수납부(110)의 흔들림도 억제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H)는 좌우 어느 한쪽의 어깨에 손잡이를 건다. 이 도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홀더부재(12)에 의해 1개로 묶여진 손잡이(115)가 사용자(H)의 좌견(左肩)(LS)에 걸려져 있다. 손잡이(115)를 좌견(LS)에 거는 경우에는, 도1에 나타내는 백(1)과 같이, 스트랩(13)의 루프훅(131)은 백(1) 자신으로부터 보면 우측의 D링(118)에 접속해둔다. 한편, 스트랩(13)의 접속부(132)는 홀더부재(12)에 미접속의 상태로 한다. 또한, 홀더부재(12)는, 손잡이의 제일 높은 위치로부터 손잡이(115)의 우측(백(1) 자신으로부터 보면 좌측)의 붙임부분 사이에 위치시켜둔다. 즉, 손잡이(115)를 사용자(H)의 좌견(LS)에 건 경우에는, 홀더부재(12)가 정면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링(118)이 설치된 제1몸통(111)을 사용자(H)의 등(BK)측으로 향하고, 스트랩(13)을, 손잡이를 건 측과 반대측(이 예에서는 우측)의 겨드랑이 아래를 통하여 스트랩(13)의 접속부(132)가 정면측으로 오도록 스트랩(13)을 돌린다. 자루체(11)의 자세는, 조금 기울어진 자세(자루체(11) 자신으로부터 보면 우측의 바닥부가 우측으로 들어 올려진 기울어진 자세)가 된다. 사용자(H)를 뒤에서 보았을 경우, 제2몸통(112)이 보일뿐이며 D링(118)은 보이지 않다.
스트랩(13)의 접속부(132)를, 홀더부재(12)에 감아 걸고, 홀더부재(12)의 슬릿(121)을 통하여 루프모양으로 하여, 스냅버튼(1321)에 의해 고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백(1)의 수납부(110)가 등측에 고정된다. 스트랩(13)의 길이나, 혹은 홀더부재(12)의 위치에 의하여 손잡이(115)가 내측(이 예에서는 우측)으로 당겨지는 정도는 다르게 되지만, 손잡이(115)가 내측으로 당겨짐으로써, 손잡이(115)가 어깨로부터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자루체(11)는 기울어진 자세로 될수록 스트랩(13)에 의해 당겨지며, 수납부(110)가 크게 흔들리는 것도 억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백(1)에 의하면, 홀더부재(12)가 손잡이(115)에 면으로 접하게 되고, 점으로 접하는 경우보다 1군데에 걸리는 힘이 작아져, 손잡이(115)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손잡이(115)는 넓은 범위에 걸쳐 변형되기 때문에, 1군데에 있어서 변형되는 것보다 변형의 정도가 작아져서, 손잡이(115)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10)에 무거운 짐을 수납하여도, 손잡이(115)가 파손되는 것도 저감된다.
또한, 홀더부재(12)는 손잡이(115)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손잡이(115)에 대한 스트랩(13)의 접속위치를 무단계로 연속해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수납부(110)에 수납된 짐의 무게는, 손잡이(115)에 직접 걸리는 하방향의 힘과, 홀더부재(12)를 통하여 손잡이(115)가 스트랩(13)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분력된다. 홀더부재(12)를 상(上)의 위치에 부착한 상태로 스트랩(13)에 다소의 늘어짐을 주어서 백(1)의 수납부(110)를 등측에 고정하면, 사용자(H)가 움직이는 동안에, 손잡이(115)에 직접 걸리는 하방향의 힘과 손잡이(115)가 스트랩(13)에 의해 당겨지는 힘이 가장 균형을 이룬 위치로 홀더부재(12)가 내려가고, 손잡이(115)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을 보다 저감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홀더부재(12)를 가능한 한 하방으로 부착하여, 스트랩(13)중에서 가슴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내림으로써, 가슴의 둘레에 있는 림프선을 누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여성의 경우에는, 유방을 피할 수 있어, 백(1)을 장착하는 것에 대한 저항을 없앨 수 있다. 이들의 경우, 어깨에 건 손잡이(115)에 있어서, 제1몸통(111)측의 단부(端部)에 홀더부재(12)를 부착하면 좋고, 손잡이(115)는 긴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어깨에 건 손잡이(115)에 있어서, 제1몸통(111)측의 단부에 홀더부재(12)를 부착했을 경우, 가슴측을 지나는 스트랩(13)이 거의 수평(예를 들면 도면3(a)의 경우에는 145도 정도이지만, 160도 이상 180도 이하가 바람직하다)으로 되는 정도의 길이가 손잡이(115)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홀더부재(12)에 의하여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는 1개로 묶여져 손잡이 전체로서의 강도가 높아지고, 손잡이(115)가 변형되어 어깨로 파고들어가는 것이 보다 저감된다. 또한, 홀더부재(12)에 의해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가 1개로 묶여 있으면, 어깨에 건 경우에 일방의 손잡이만 어깨로부터 흘러내리는 일이 없어진다.
도4는, 도1에 나타내는 백(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1에 나타내는 백(1)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사항과 중복하는 사항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4(a)는, 변형예의 백(1)의 손잡이(115)를 좌견(LS)에 걸고, 등측에 수납부(110)를 고정한 사용자(H)를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스트랩(13)이 도1에 나타내는 스트랩과 다르다. 도4(a)에 나타나 있는 스트랩(13)에는, 길이조절부재(133)와 버클(buckle)(134)이 설치되어 있다. 길이조절부재(133)는, 직4각형의 프레임체(frame體)와, 프레임체의 단변(短邊)끼리를 접속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고정축과 출구축(出口軸)(1331)이 일체로 성형(成形)된 수지제(樹脂製)이다. 이하, 도4(a)에 나타나 있는 길이조절부재(133)의, 지면 전방측(紙面前方側)을 앞면이라고 하고, 지면 안측을 뒷면이라고 한다. 스트랩(13)을 구성하는 벨트체(13a)의 일단측(一端側)은 길이조절부재(133)의 고정축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측(他端側)은, 루프훅(131)의 부착링(131a)(도1 참조)을 통과한 후, 고정축에 앞면으로부터 감겨지고, 이어서 출구축(1331)에 뒷면으로부터 감겨져 있다. 그리고, 벨트체(belt 體)(13a)의 타단은 출구축(1331)을 거쳐서 버클(buckle)(134)에 고정되어 있다. 즉, 길이조절부재(133)의 고정축과 루프훅(131)의 부착링(131a)(도1 참조) 사이는 벨트체(13a)가 2겹 구조로 되어 있고, 고정축과 버클(134) 사이는 벨트체(13a)가 1겹 구조이다. 따라서, 길이조절부재(133)를 루프훅(131)측으로 이동시키면, 2겹 구조부분이 1겹 구조가 되어서 벨트체(13a)의 길이는 길어진다. 반대로, 길이조절부재(133)를 버클(134)측으로 이동시키면, 1겹 구조부분이 2겹 구조가 되어서 벨트체(13a)의 길이는 짧아진다.
도4(b)는 버클(134)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버클(134)은, 벨트체(13a)가 고정된 내측부(1341)와 접속부(132)가 고정된 외측부(1342)를 구비하는 연결부재이다. 내측부(1341)의 선단측(先端側)은 외측부(1342)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내측부(1341)의 선단(1341t)에는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부(1342)의 내측에 있어서, 내측부(1341)의 선단(1341t)과 대향하는 부분에도 자석이 배치되어 있다. 도4(b)에 나타나 있는 화살표와 같이, 내측부(1341)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외측부(1342)와 탈착이 가능하다. 특히, 연결 시에는 자력(磁力)에 의해 외측부(1342)와 내측부(1341)는 용이하게 연결된다.
도4(c)는, 도1에 나타내는 홀더부재(12)를 열린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의 홀더부재(12)도, 도1에 나타내는 백(1)에 있어서의 홀더부재와 동일하다. 홀더부재(12)는, 기부(基部)(12a)와, 볼록부(122)가 설치된 제1폴딩부(folding)(12b)와, 오목부(123)가 설치된 제2폴딩부(12c)를 구비한다. 또한, 제1폴딩부(12b)에 설치된 볼록부(122)는, 지면 안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오목부(123)와 볼록부(122)로 스냅버튼이 구성되어 있다. 기부(12a)에는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가 포개진 상태로 재치(載置)된다. 즉, 기부(12a)에는 손잡이(115)가 재치된다. 도4(c)에서는 손잡이(115)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폴딩부(12b)는 기부(12a)에 재치된 손잡이(115)에 겹칠 수 있는 부분이다. 따라서, 기부(12a)와 제1폴딩부(12b)가, 손잡이(115)를 에워사서, 손잡이(115)에 접하게 된다. 제2폴딩부(12c)는, 그 제1폴딩부(12b)에 겹쳐지는 부분이다. 제2폴딩부(12c)가 제1폴딩부(12b)에 겹쳐짐으로써, 오목부(123)와 볼록부(122)가 대향되어, 눌러서 오목부(123)와 볼록부(122)를 접속한다.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중 어느 일방의 손잡이에, 기부(12a)를 고정하여도 좋지만, 이 예에서, 홀더부재(12)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손잡이(115)로부터 분리되어 자유롭다. 홀더부재(12)도 백(1) 디자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손잡이(115)를 어깨에 거는 것이 아니라 손에 드는 경우에는, 홀더부재(12)를 떼어내면, 전체적인 이미지가 조금 변경된 백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부(12a)에 제1손잡이(116)와 제2손잡이(117)중 어느 일방의 손잡이만을 재치할 수도 있다. 다만, 손잡이가 하나로 묶이지 않고, 재치하지 않은 쪽의 손잡이는 재치한 쪽의 손잡이보다 외측(좌견에 건 경우에는 좌측)에 있는 경우에는, 어깨로부터 흘러내릴 우려가 있다.
도4(d)는 접속부(13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d)에 나타나 있는 접속부(132)의 일단(一端)(132t)은, 버클(134)의 외측부(134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4(d)에 나타나 있는 접속부(132)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볼록부(1321a)와 오목부(132lb)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4(d)에 나타나 있는 오목부(132lb)는, 지면 전방측을 향하여 오목하지만, 도4(d)에서는 오목한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한편, 도4(d)에 나타나 있는 볼록부(1321a)는, 지면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접속부(132)는, 홀더부재(12)에 감겨지고, 홀더부재(12)의 슬릿(121)을 통하여 루프모양이 되며, 볼록부(1321a)와 오목부(132lb)가 대향되어, 눌러서 볼록부(1321a)와 오목부(132lb)를 접속한다. 도4(d)에 나타나 있는 접속부(132)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로 스트랩(13)을 홀더부재(12)에 접속시킬 수 있다.
도5는 제2실시형태의 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도, 지금까지 설명한 백(1)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지금까지 설명한 사항과 중복하는 사항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내는 백(1)에 있어서의 제1몸통(111)에는, 제1손잡이(116)의 좌우 각각에 있어서의 부착부(附着部)의 외측에 패스너(111f)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패스너(111f)를 열면 수납부(110)로 연결된다. 이 패스너(111f)를, 도1에 나타내는 백(1)이나 도4에 나타내는 변형예의 백(1)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5에 나타내는 백(1)에서는, 스트랩(13)의 접속부(132)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도5에 나타내는 접속부(132)는, 훅부재(hook 部材)(1322)와 결합고리(1323)로 구성되어 있다. 훅부재(1322)는 결합턱(1322a)과 길이조절부(1322b)를 구비한다. 루프훅(131)의 부착링(131a)에 일단이 고정된 벨트체(13b)의 타단은, 이 길이조절부(1322b)의 축(도면에 나타내지 않다)에 감겨져 길이조절부(1322b)를 통과하여 길이조절부(1322b)로부터 연장되는 타단부(13b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벨트체(13b)의 부착링(131a)과 길이조절부(1322b) 사이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결합고리(1323)는, 홀더부재(12)에 감겨져, 홀더부재(12)의 슬릿(121)을 통하여 루프모양으로 되어 있고, 결합턱(1322a)이 삽입 가능한 만큼의 간극이 남겨져 있다. 도5에 나타내는 백(1)에서는, 결합턱(1322a)이 결합고리(1323)에 삽입되어, 결합턱(1322a)이 결합고리(1323)에 결합되어 있다.
도6은 도5에 나타내는 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5에 나타내는 백(1)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지금까지 설명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서는, 스트랩(13)이 도5에 나타내는 스트랩과 서로 다르다. 도6에 나타내는 스트랩(13)의 접속부(132)는, 루프훅(1324)과 부착링(13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내는 스트랩(13)에서는, 벨트체(13b)의 양단 각각에, 루프훅(131, 1324)과 부착링(131a, 132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홀더부재(12)에는, 슬릿 대신에 D링(124)이 설치되어 있다. 도6에 나타내는 접속부(132)를 구성하는 루프훅(1324)은, 이 D링(124)에 접속되어 있다.
도7은 제3실시형태의 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에 있어서도, 지금까지 설명한 백(1)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지금까지 설명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요소의 명칭과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에는, 지금까지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도7에 나타내는 백(1)의 스트랩(13)은,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 스트랩과 마찬가지로, 버클(134)이 설치되어 있다. 다만, 도4(a)에 나타나 있는 길이조절부재(133)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 길이조절부재(133)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스트랩(13)의 접속부(132)도 도4(d)에 나타나 있는 접속부와 동일한 구조이다.
도7에 나타내는 백(1)에서는, 홀더부재(12)가, 손잡이(115)에 있어서 어깨에 거는 부분을 거의 덮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 소위 커버모양(cover 模樣)이다. 이 커버모양의 홀더부재(12)는, 패스너(125)을 닫음으로써 손잡이(115)를 덮는다. 도7에 나타내는 홀더부재(12)에는, 손잡이(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권취부(捲取部)(126)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랩(13)의 접속부(132)는, 이 권취부126)를 통과함으로써 홀더부재(12)에 감겨지고, 스냅버튼(1321)에 의해 고정되어, 홀더부재(12)에 접속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내는 홀더부재(12)는, 지금까지 설명한 홀더부재보다 긴 영역에서 손잡이(115)에 접하고 있다. 한편, 손잡이(115)에 대한 스트랩(13)의 접속위치는, 지금까지의 홀더부재(12)를 사용한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변경이 가능했다. 즉, 임의의 위치로 할 수 있었다. 한편, 도7에 나타내는 홀더부재(12)에서, 접속위치는 미리 결정된 이산적(離散的)인 위치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손잡이(116)는 제1몸통(111)과 별개의 것이었지만, 제1손잡이(116)와 제1몸통(111)은 일체형이어도 좋다. 제2손잡이(117)도 제2몸통(112)과 별개의 것이었지만, 제2손잡이(117)와 제2몸통(112)도 일체형이어도 좋다. 또한, 바닥부(113)을 생략하고, 제1몸통(111)과 제2몸통(112)에 있어서의 상호의 바닥부 테두리끼리를 꿰매어도 좋다. 혹은, 제1몸통(111)과 제2몸통(112) 사이에 덧대기천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스트랩(13)의 일단(一端)은 자루체(11)의 바닥측에 접속되어 있지만, 자루체(11)의 바닥측으로는, 예를 들면, 제1몸통(111)의 하반부 부분이라면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트랩(13)은, 자루체(11)의 바닥측을 지나 일단은 바닥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다. 즉, 스트랩(13)은, 자루체(11)의 바닥측과 손잡이(115)를 연결하는 것이면 좋고, 스트랩(13)의 단부(端部)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나 변형예의 기재 각각에만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건이어도, 그 구성요건을 다른 실시형태나 다른 변형예에 적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패스너(111f)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제1몸통(111)에 패스너(111f)를 설치하여도 좋고, 길이조절부재(133)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스트랩(13)에 길이조절부재(133)를 설치하여도 좋고, 버클(134)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스트랩(13)에 버클(134)을 설치하여도 좋다.
최종적으로, 지금까지 설명한 것을 포함하여, 고품질의 백이거나 스타일쉬(stylish)한 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思想)을 이하에 부기한다.
(부기1)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자루체와,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홀더부재와,
상기 자루체의 바닥측과 상기 홀더부재를 연결하는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부기2)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자루체와,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홀더부재와,
상기 자루체의 바닥측과 상기 홀더부재를 연결하는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부기3)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자루체와,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홀더부재와,
상기 자루체의 바닥측과 상기 홀더부재를 연결하는 스트랩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체는, 제1몸통과 제2몸통 사이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몸통에 설치된 제1손잡이와, 상기 제2몸통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손잡이와 떨어진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를 1개로 묶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부기4)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 중 어느 일방의 손잡이에만 부착하는 것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3에 기재되어 있는 백.
부기1∼4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고품질의 백이거나 스타일쉬한 백을 제공할 수 있다.
1 백
11 자루체
110 수납부
111 제1몸통
112 제2몸통
113 바닥부
12 홀더부재
13 스트랩
115 손잡이
116 제1손잡이
117 제2손잡이
W1 폭
W2 영역

Claims (5)

  1. 어깨에 걸 수 있는 손잡이가 설치된 자루체(袋體)와,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홀더부재(holder 部材)와,
    상기 자루체의 바닥측과 상기 홀더부재를 연결하는 스트랩(strap)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스트랩의 폭보다 긴 영역에서 상기 손잡이에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bag).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체는, 제1몸통과 제2몸통 사이에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1몸통에 설치된 제1손잡이와, 상기 제2몸통에 설치되어 상기 제1손잡이와 떨어진 제2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를 1개로 묶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손잡이에 감긴 것이며,
    상기 스트랩은 상기 홀더부재에 감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KR1020227027320A 2020-02-26 2021-02-26 KR102594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30298A JP6970463B2 (ja) 2020-02-26 2020-02-26 バッグ
JPJP-P-2020-030298 2020-02-26
PCT/JP2021/007281 WO2021172497A1 (ja) 2020-02-26 2021-02-26 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741A true KR20220119741A (ko) 2022-08-30
KR102594302B1 KR102594302B1 (ko) 2023-10-25

Family

ID=7749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320A KR102594302B1 (ko) 2020-02-26 2021-02-26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70463B2 (ko)
KR (1) KR102594302B1 (ko)
WO (1) WO202117249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144U (ja) * 2000-03-16 2000-10-06 昇男 下田 バッグ
WO2015019996A1 (ja) * 2013-08-07 2015-02-12 株式会社クロンティップイノベーション バッグ
KR20150019996A (ko)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WO2018097002A1 (ja) * 2016-11-25 2018-05-31 株式会社クロンティップ ストラップおよびストラップを備えたバッグ
JP2018097002A (ja) 2012-04-18 2018-06-21 テルコム・ベンチャーズ・エルエルシー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ロケーション決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2382B1 (fr) * 1987-03-17 1989-06-30 Rabenjamina Martin Sac porte et plaque etroitement au corps au moyen d'une courroie passant par une epaule et d'une ceinture passant par le ventre, et disposant d'un systeme d'immobilisation de son contenu
US5045423A (en) 1990-06-01 1991-09-03 Xerox Corporation Toner and developer compositions with charge enhancing additiv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144U (ja) * 2000-03-16 2000-10-06 昇男 下田 バッグ
JP2018097002A (ja) 2012-04-18 2018-06-21 テルコム・ベンチャーズ・エルエルシー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ロケーション決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5019996A1 (ja) * 2013-08-07 2015-02-12 株式会社クロンティップイノベーション バッグ
KR20150019996A (ko)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WO2018097002A1 (ja) * 2016-11-25 2018-05-31 株式会社クロンティップ ストラップおよびストラップを備えた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32808A (ja) 2021-09-13
JP6970463B2 (ja) 2021-11-24
WO2021172497A1 (ja) 2021-09-02
KR102594302B1 (ko)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003B2 (en) Multi-purpose convertible backpack system—flipper bag
US8245825B2 (en) System for cinching a resilient luggage case
US5887770A (en) Convertible waist pack, day backpack and shoulder bag
US20170215537A1 (en) Luggage cover with carrying element
EP2775883B1 (en) Backpack and waist bag carrying system
JP3067634U (ja) 背負いバッグ
US20090255770A1 (en) Foldable carrying device
WO2010128979A2 (en) Bag, tote, and backpack with channel-anchored drawstrings
AU2007203375A1 (en) Bag with reinforced adjustable shoulder strap
US11589658B2 (en) Anti-theft carrying strap
US11363877B2 (en) Backpack system having a deployable frame
CN108272211B (zh) 兼用作背包的背囊型旅行包
EP1378187A1 (en) Extendable strap device and bag with the same
JP4941857B2 (ja) 肩掛けと背負いの両方の機能を有するバッグ
KR20220119741A (ko)
US8157139B2 (en) Backpack and method for securing a backpack in a closed position
US20030034369A1 (en) Backpack with display
US20100260441A1 (en) Collapsible Container
JP6811599B2 (ja) トートバッグ
JP2021112450A (ja) バッグ
JP3208659U (ja)
JP3205055U (ja) バッグ
CN104859581A (zh) 带构件以及包括带构件的座椅安全带设备
JP6426049B2 (ja) 背負バッグ
JP7298043B1 (ja) 防寒着兼用防災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