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731A -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 Google Patents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731A
KR20220119731A KR1020227026310A KR20227026310A KR20220119731A KR 20220119731 A KR20220119731 A KR 20220119731A KR 1020227026310 A KR1020227026310 A KR 1020227026310A KR 20227026310 A KR20227026310 A KR 20227026310A KR 20220119731 A KR20220119731 A KR 2022011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eg
human insulin
γglu
desb30 human
eicosandio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루 간
웨이 천
이닝 장
팡카이 슈에
링위 차이
지앙홍 니우
빈 무
Original Assignee
간 앤 리 파마슈티칼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간 앤 리 파마슈티칼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간 앤 리 파마슈티칼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1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6Glucag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575Hormones
    • C07K14/605Glucagons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GLP-1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신규한 GLP-1 유도체는 시장에 나와 있는 리라글루티드 및 세마글루타이드와 같은 GLP-1 유도체와 비교하여 비교할 만하거나 더 나은 효과, 효능 또는 효험, 더 길거나 비교할 만한 체내 작용 지속시간 또는 체내 반감기를 가지고 있고, 더 낫거나 비교할 만한 GLP-1 수용체 결합 친화도 및 더 낫거나 비교할 만한 DPP-IV 안정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본 발명은 치료용 펩타이드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규한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 제제, 장기 지속형 인슐린을 갖는 이의 약제학적 조성물, 및 상기 화합물, 약제학적 제제 및 약제학적 조성물의 의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GLP-1) 및 이의 유사체 및 유도체는 I형 및 II형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지만 높은 클리어런스로 인해 유효성이 제한된다. 체내에서 보다 더욱 긴 작용 지속시간을 갖는 GLP-1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일련의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GLP-1)의 구조를 변형시켰다. 예를 들어, WO99/43708에서는 C-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연결된 친유성 치환기를 갖는 GLP-1(7-35) 및 GLP-1(7-36)의 유도체를 개시한 바 있다. WO00/34331에서는 아실화된 GLP-1 유사체를 개시한 바 있다. WO00/69911에서는 환자에게 주사하기 위한 활성화된 인슐린 분비 촉진성 펩타이드를 개시한 바 있다.
현재 시판되는 GLP-1 약물에는 예를 들어 1일 2회 투여되는 천연 GLP-1 유사체인 엑세나타이드; 1일 1회 투여되는 리라글루타이드와 릭시세나타이드, 여기서 리라글루타이드는 헥사데칸산에 의해 변형된 GLP-1 화합물이고, 릭시세나타이드는 엑세나타이드의 구조를 변형시켜 얻은 새로운 분자이고; 및 일주일 1회 투여되는 세마글루타이드, 엑세나타이드LAR, 아비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및 PEG-록세나타이드가 포함된다. 이 약물들 중에서 엑세나타이드LAR은 폴리(유산-코-글리콜산) 매트릭스에 엑세나타이드를 마이크로캡슐화 방법으로 캡슐화하여 제조되며, 아비글루타이드는 2개의 변형된 GLP-1 펩타이드 쇄와 인간 알부민을 이량체 형태로 융합하여 형성된 재조합 융합 단백질이고; 둘라글루타이드는 변형된 GLP-1 이황화 결합에 의한 재조합 G4 면역글로불린의 Fc 단편에 융합시켜 얻고; PEG-록세나타이드는 엑세나타이드의 화학구조식에 기초하여 아미노산을 조작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로 변형시켜 형성되고; 세마글루타이드의 경우, 주 1회의 투여는 주로 GLP-1(7-37) 펩타이드의 위치 8에 있는 Ala를 비단백질성 아미노산 Aib로 대체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세마글루타이드에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이 존재하면 천연 아미노산에 비해 인간에게 다양한 아직 알려지지 않은 잠재적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으로, 당뇨병 환자에게 더 나은 약물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리라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및 세마글루타이드와 같은 시판되는 유사한 약물과 비교하여 더 나은 효능, 약물 효과 또는 효험, 감소된 잠재적 부작용 발생 위험, 더 나은 체중 감소 및 식이 억제 효과, 더 길거나 비교할 만한 작용 지속시간 또는 체내 반감기를 갖는 화합물을 개발할 필요가 여전히 존재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 세계적으로 II형 당뇨병을 걸린 인구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보다 쉽게 투여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약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인슐린과 GLP-1 펩타이드의 두 가지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화합물 제제는 매우 효과적인 치료제일 수 있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보다 더욱 나은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 더욱 긴 작용 지속시간, 더욱 나은 약물 효과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화합물 제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선행 기술의 결함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 또는 개선하거나 유용한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신규한 GLP-1 화합물(GLP-1 유도체로도 알려짐)이 제공된다. 신규한 GLP-1 화합물은 리라글루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및 세마글루타이드와 같은 시판되는 GLP-1 유도체에 비해 더 나은 효능, 약물 효과 또는 효험, 보다 감소된 잠재적 부작용 발생 위험, 더 나은 체중 감소 효과, 더 긴 작용 지속 기간 또는 체내 반감기, GLP-1 수용체에 대한 보다 낫거나 비교할 만한 결합 친화도, 및 더 낫거나 비교할 만한 DPP-IV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및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장기 지속형 인슐린의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복합 제제는 GLP-1 화합물 및 인슐린 화합물의 물리적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대신, 해당 복합 제제는 단일 제제보다 물리적 안정성이 더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복합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은 다른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의 복합 제제, 예를 들어 리라글루타이드 및 인슐린 데글루덱의 복합 제제와 비교하면 기대 이상이다. 이외, 복합 제제는 또한 단일 제제에 비해 GLP-1 화합물 및 아실화된 인슐린의 화학적 안정성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화합물 및 본 명세서에 제공된 GLP-1 화합물 및 인슐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제제는 모두 긴 약동학적(이하 PK로도 지칭됨) 프로파일을 이룰 수 있어, 당뇨병 환자의 피하 치료를 주 2회, 주 1회, 2주에 1회 또는 이보다 적게 진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식B의 GLP-1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아마이드 또는 에스터를 제공한다.
[Acy-(L1)r-(L2)q]-G1 (B),
여기서 G1은 각각 GLP-1(7-37)(서열 번호 1)의 위치 34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Arg, 및 위치 8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Ala 또는 Gly를 갖는 GLP-1 유사체이며, [Acy-(L1)r-(L2)q]는 상기 GLP-1 유사체의 위치 26에 있는 상기 Lys 잔기의 ε 아미노기에 연결된 치환기이고, 여기서
r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q는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Acy는 20개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 이산이며, 여기서 형식적으로 하이드록실기는 이미 지방 이산의 카복실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었고;
L1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γGlu, αGlu, βAsp, αAsp, γ-D-Glu, α-D-Glu, β-D-Asp 및 α-D-Asp;
L2는 중성적 및 알킬렌 글리콜이 함유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Acy, L1 및 L2는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및
식(B)에서 L1 및 L2의 발생 순서는 독립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G1은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Arg34]GLP-1-(7-37) 펩타이드, 바람직하게는 [Gly8, Arg34]GLP-1-(7-37) 펩티트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r은 1, 2, 3, 4, 5 또는 6이고; 바람직하게는, r은 1, 2, 3 또는 4이고; 바람직하게는, r은 1 또는 2이고; 바람직하게는, r은 1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q는 0, 1, 2, 3, 4, 5, 6, 7 또는 8이고; 바람직하게는, q는 0, 1, 2, 3 또는 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q는 0, 1 또는 2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Acy는 20개 내지 2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고; 바람직하게는, Acy는 20, 21 또는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며, 여기서 형식적으로 하이드록실기는 지방 이산의 카복실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L2는 -HN-(CH2)2-O-(CH2)2-O-CH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3-O-(CH2)4-O-(CH2)3-NH-CO-, -HN-(CH2)3-O-(CH2)4-O-(CH2)3-NH-CO-CH2-O-CH2-CO-, -HN-(CH2)3-O-(CH2)4-O-(CH2)3-NH-CO-(CH2)2-CO-, -HN-(CH2)2-O-(CH2)2-O-CH2-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2-O-(CH2)2-O-(CH2)2-NH-CO-(CH2)2-CO-, -HN-(CH2)2-O-(CH2)2-O-(CH2)2-NH-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3-O-(CH2)3-O-CH2-CO-, 또는 -HN-(CH2)4-O-(CH2)4-O-CH2-CO-이고; 바람직하게는, L2는 -HN-(CH2)2-O-(CH2)2-O-CH2-CO-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L1은 γGlu 및 βAsp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1은 γGlu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Acy는 HOOC-(CH2)18-CO-, HOOC-(CH2)19-CO-, HOOC-(CH2)20-CO-, HOOC-(CH2)21-CO- 또는 HOOC-(CH2)22-CO-이고; 바람직하게는, Acy는 HOOC-(CH2)18-CO-, HOOC-(CH2)20-CO- 또는 HOOC-(CH2)22-CO-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식(B)의 Acy, L1 및 L2는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L2의 C-말단은 GLP-1 유사체의 위치 26에서 Lys 잔기의 ε 아미노기에 연결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N26-[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및
N26-(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N26-[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및
N26-(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및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를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완충제, 보존제, 등장제, 안정화제 및 킬레이트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완충제, 보존제 및 등장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약제학적 제제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등장제, 보존제 및 완충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제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은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등장제는 염화나트륨, 프로필렌 글리콜,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글루코스 및 자일리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 등장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만니톨 또는 염화나트륨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보존제는 페놀, m-크레졸, 메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페녹시에탄올, 뷰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페닐에탄올 및 벤질 알코올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보존제는 페놀 또는 m-크레졸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시트레이트, 글리실글리신, 히스티딘, 글리신, 라이신, 아르기닌,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나트륨 및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레이트, 인산이수소나트륨 또는 인산수소이나트륨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제는 약 6.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9.5,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다.
한 실시양태에서, 약제학적 제제는 하기 성분을 포함한다.
약 0.1mM 내지 1.2mM, 바람직하게는 약 0.2mM 내지 1mM, 바람직하게는 약 0.3mM 내지 0.7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48mM 내지 0.6mM의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약 10mM 내지 1500mM, 바람직하게는 약 13mM 내지 800mM, 바람직하게는 약 65mM 내지 400mM, 바람직하게는 약 90mM 내지 240mM, 바람직하게는 약 150mM 내지 250mM, 바람직하게는 약 180mM 내지 2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3mM 내지 195mM의 등장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등장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만니톨 및 염화나트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약 1mM 내지 200mM, 바람직하게는 약 5mM 내지 150mM, 바람직하게는 약 10mM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약 20mM 내지 85mM, 바람직하게는 약 30mM 내지 75mM, 바람직하게는 약 45mM 내지 6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mM 내지 60mM의 보존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보존제는 페놀 및 m-크레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약 3mM 내지 35mM, 바람직하게는 약 5mM 내지 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mM 내지 1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mM 내지 10mM의 완충제; 여기서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레이트,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약제학적 제제는 약 6.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9.5,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제학적 제제는 약 0.3mM 내지 0.7mM, 바람직하게는 약 0.48mM 내지 0.6mM의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약 180mM 내지 200mM, 바람직하게는 약 183mM 내지 195mM의 프로필렌 글리콜; 약 45mM 내지 60mM, 바람직하게는 약 50mM 내지 60mM의 페놀; 약 5mM 내지 15mM의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7mM 내지 10mM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6.5 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3의 pH 값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약제학적 제제는 약 0.5mM의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 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약 184mM의 프로필렌 글리콜; 약 58.5mM의 페놀; 약 10mM의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6.5 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약 제제는 약 2.0mg/mL의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약 14mg/mL의 프로필렌 글리콜; 약 5.5mg/mL의 페놀; 약 1.42mg/mL의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6.5 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다.
제3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GLP-1 화합물 및 아실화된 인슐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아실화된 인슐린은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 desB30 인간 인슐린; 또는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PEG), desB30 인간 인슐린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아실화된 인슐린은, 인슐린 모체가 천연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라이신 잔기를 포함하고, 아실 모이어티는 라이신 잔기의 아미노기 또는 인슐린 모체의 N-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연결되는 인슐린이고, 여기서 아실 모이어티는 하기 식(A)로 표시되고:
III-(II)m-(I)n- (A), 여기서 m은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5 내지 20의 정수이고; I는 중성적 및 알킬렌 글리콜이 함유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II는 산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III은 20개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며, 여기서 형식적으로 하이드록실기는 이미 지방 이산의 카복실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었고; III, II 및 I은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식(A)에서 II 및 I의 발생 순서는 독립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n은 5 내지 15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9, 10, 11, 12, 13 또는 14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9, 10, 11 또는 12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9 또는 10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또는 9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또는 8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m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m은 1, 2, 3 또는 4이고; 바람직하게는, m은 1 또는 2이고; 바람직하게는 m은 1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III은 20개 내지 2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고; 바람직하게는, III은 20, 21 또는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며, 여기서 형식적으로 하이드록실기는 이미 지방 이산의 카복실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인슐린 모체는 하나의 라이신 잔기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I은 -HN-(CH2)2-O-(CH2)2-O-CH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3-O-(CH2)4-O-(CH2)3-NH-CO-, -HN-(CH2)3-O-(CH2)4-O-(CH2)3-NH-CO-CH2-O-CH2-CO-, -HN-(CH2)3-O-(CH2)4-O-(CH2)3-NH-CO-(CH2)2-CO-, -HN-(CH2)2-O-(CH2)2-O-CH2-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2-O-(CH2)2-O-(CH2)2-NH-CO-(CH2)2-CO-, -HN-(CH2)2-O-(CH2)2-O-(CH2)2-NH-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3-O-(CH2)3-O-CH2-CO-, 또는 -HN-(CH2)4-O-(CH2)4-O-CH2-CO-이고; 바람직하게는, I은 -HN-(CH2)2-O-(CH2)2-O-CH2-CO-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II는 하기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γGlu, αGlu, βAsp, αAsp, γ-D-Glu, α-D-Glu, β-D-Asp 및 α-D-Asp; 바람직하게는, II는 γGlu 및 βAsp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III은 HOOC-(CH2)18-CO-, HOOC-(CH2)19-CO-, HOOC-(CH2)20-CO-, HOOC-(CH2)21-CO- 또는 HOOC-(CH2)22-CO-이고; 바람직하게는, III은 HOOC-(CH2)18-CO-, HOOC-(CH2)20-CO- 또는 HOOC-(CH2)22-CO-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식(A)는 I의 C-말단을 통해 인슐린 모체의 라이신 잔기 또는 N-말단 아미노산 잔기의 아미노기에 연결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아실 모이어티는 인슐린 모체의 라이신 잔기의 ε 아미노기에 연결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인슐린 모체의 라이신 잔기는 위치 B29에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인슐린 모체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desB30 인간 인슐린(서열 번호 4 및 서열 번호 5, 각각 A쇄 및 B쇄를 나타냄); A14E, B16H, B25H, desB30 인간 인슐린(서열번호 6 및 서열번호 7, 각각 A쇄 및 B쇄를 나타냄); A14E, B16E, B25H, desB30 인간 인슐린(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9, 각각 A쇄 및 B쇄를 나타냄); 인간 인슐린(서열번호 10 및 서열번호 11, 각각 A쇄 및 B쇄를 나타냄); A21G 인간 인슐린(서열번호 12 및 서열번호 13, 각각 A쇄 및 B쇄를 나타냄); A21G, desB30 인간 인슐린(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 각각 A쇄 및 B쇄를 나타냄); 및 B28D 인간 인슐린(서열번호 16 및 서열번호 17, 각각 A쇄 및 B쇄를 나타냄).
한 실시양태에서, 아실화된 인슐린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6×OEG),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8×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및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24×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및 아실화된 인슐린로 이루어진 약제학적 조성물이 화합물의 물리적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대신, 복합 제제는 단일 제제보다 물리적 안정성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놀랍게 발견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복합 제제의 물리적 안정성은 다른 장기 지속형 인슐린 유도체, 예를 들어, 인슐린 데글루덱 및 리라글루타이드의 복합 제제와 비교하면 기대 이상이다. 이외, 복합 제제는 또한 단일 제제에 비해 아실화된 인슐린의 화학적 안정성의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제4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고혈당증,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제5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고혈당증,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의약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제6 양태에서, 본 발명은 고혈당증,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화합물,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질환은 예를 들어 고혈당증, 당뇨병 및 비만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는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표제 화합물, 리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 및 작용 지속시간을 보여준 것으로서, 여기서 세로축의 백분율은 투여 후 상응 시점 시의 혈당을 투여 전의 기준 혈당으로 나누어 얻은 각 모니터링 시점 시의 혈당 백분율을 의미한다(이하 동일).
도 1b는 도 1a와 일치하여,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표제 화합물, 리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2a는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세마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와 작용 지속시간을 보여준다.
도 2b는 도 2a와 일치하여,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세마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3a는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내지 4의 표제 화합물, 리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와 작용 지속시간을 보여준다.
도 3b는 도 3a와 일치하여,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내지 4의 표제 화합물, 리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4a는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3 내지 4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와 작용 지속시간을 보여준다.
도 4b는 도 4a와 일치하여,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표제 화합물 및 비교예 3 내지 4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용량이 100μg/kg 및 300μg/kg의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혈당 강하 효과 및 작용 지속시간을 보여준다.
도 5b는 도 5a와 일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투여 후 48시간에 ipGTT를 수행한 경우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준다.
도 6b는 도 6a와 일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1차 투여 후 48시간에 ipGTT를 수행한 경우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혈당 강하 효과의 ΔAUC를 보여준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준다.
도 7b는 도 7a와 돌일하게,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의 ΔAUC를 보여준다.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의 식이 섭취에 대한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조절 효과를 보여준다.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의 수분 섭취에 대한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조절 효과를 보여준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장기적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준다.
도 8b는 도 8a와 일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장기적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장기적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의 장기적 식이 섭취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조절 효과를 보여준다.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db/db 마우스의 장기적 수분 섭취에 대한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비교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비히클의 조절 효과를 보여준다.
도 9a는 Kkay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및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준다.
도 9b는 도 9a와 돌일하게, Kkay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및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9c는 Kkay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및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의 HbA1c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도 10a는 db/db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장기적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준다.
도 10b는 도 10a와 돌일하게. db/db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장기적 혈당 강하 효과의 ΔAUC를 보여준다.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을 주사하기 전, 3차, 5차 및 11차 주사 후의 db/db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의 임의의 혈당값을 보여준다.
도 10d는 1차 투여 후 48시간에 ipGTT를 수행한 경우, db/db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혈당 강하 효과를 보여준다.
도 10e는 도 10d는 1차 투여 후 48시간에 ipGTT를 수행한 경우, db/db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혈당 강하 효과의 AUC를 보여준다.
도 11a는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 또는 정상 마우스(정상 대조군)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장기적 체중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도 11b는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의 장기적 식이 섭취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조절 효과를 보여준다.
도 11c는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C57BL 암컷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난소주위 지방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도 11d는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C57BL 수컷 마우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둘라글루타이드 및 비히클(모델 대조군)의 부고환 지방 감소 효과를 보여준다.
정의
GLP-1 유사체 및 GLP-1 유도체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GLP-1 유사체" 또는 "GLP-1의 유사체"는 인간 글루카곤-유사 펩타이드-1(GLP-1(7-37))의 변이체인 펩타이드 또는 화합물을 지칭하며, 여기서 GLP-1(7-37)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대체되고/되거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되고/되거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추가된다. 구체적으로, GLP-1(7-37)의 서열은 서열 목록 중 서열 번호 1로 제시된다. 서열번호 1로 제시된 서열을 갖는 펩타이드는 또한 "천연" GLP-1 또는 "천연" GLP-1(7-37)로 지칭될 수 있다.
서열목록에서 서열번호 1의 첫 번째 아미노산 잔기(His)는 1번으로 넘버링된다. 그러나, 다음에서, 당업계의 확립된 관행에 따라, 히스티딘 잔기는 7번으로 넘버링되고 글리신으로 끝나는 하기 아미노산 잔기는 순차적으로 37번으로 넘버링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잔기 또는 위치에 대한 넘버링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언급된 GLP-1(7-37) 서열은 위치 7에서 His로 시작하여 위치 37에서 Gly로 끝나는 서열이다.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GLP-1(7-37)(서열 번호 1)의 위치 8 및 위치 34에 각각 상응하는 위치들에 Gly와 Arg를 갖는 GLP-1 유사체이고,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GLP-1(7-37)(서열 번호 1)의 위치 34에 상응하는 위치에 Arg를 갖는 GLP-1 유사체이다. 구체적으로,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와 [Arg34]GLP-1-(7-37)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 목록 중 서열 번호 2와 서열 번호 3으로 각각 제시된다.
GLP-1 펩타이드 또는 이의 유사체의 경우,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도체"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GLP-1 펩타이드 또는 유사체를 지칭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이미 펩타이드에 공유적으로 연결된다. 치환기는 또한 측쇄로 지칭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라이신 잔기를 갖는 아실화에 대해 언급하는 경우, 라이신 잔기의 ε-아미노기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식(B)의 GLP-1 유도체는 서로 상이한 입체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은 분자식 및 연결된 원자의 배열은 동일하지만 원자 공간의 3차원 방향에서만 상이하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된 유도체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형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사체에 대해 사용될 때 용어 "펩타이드"는 아미도(또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일련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펩타이드는 크게 또는 주로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예를 들어, 몰 질량의 적어도 50%, 60%, 70%, 80% 또는 90%).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아미노산은 아미노 및 카복실기를 함유하고, 선택적으로 측쇄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기를 포함하는 분자이다.
용어 "아미노산"은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천연 아미노산 및 표준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유전 코드에 의해 인코딩됨), 비단백질 생성 아미노산(단백질에서 발견되지 않음 및/또는 표준 유전 코드에 의해 인코딩되지 않음) 및 합성 아미노산을 망라한다. 비단백질 생성 아미노산은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 펩타이드에 통합될 수 있는 모이어티이지만, 단백질 생성 아미노산은 아니다. 합성 비단백질 생성 아미노산에는 화학적 합성에 의해 생성된 아미노산, 즉 D-알라닌 및 D-류신과 같이 유전암호에 의해 코딩되는 아미노산의 D-이성질체, Aib(α-아미노이소부티르산), Abu(α-아미노부티르산), 3-아미노메틸벤조산, o-아미노벤조산, 데아미노-히스티딘, 아미노산의 β 유사체(예를 들어: β-알라닌), D-히스티딘, 데아미노-히스티딘, 2-아미노-히스티딘, β-하이드록시-히스티딘 및 호모히스티딘을 포함한다.
유전자 코드에 의해 코딩되지 않는 아미노산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γ-카복시글루탐산, 오르니틴, D-알라닌, D-글루타민 및 포스포세린이다. 합성 아미노산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D-알라닌 및 D-류신과 같이 아미노산의 D-이성질체, Aib(α-아미노이소부티르산), β-알라닌 및 데스-아미노-히스티딘(이미다졸 프로피온산(Imp로 약칭됨)이라는 대체 이름을 갖는 desH)이다.
다음에서 광학 이성질체가 표시되지 않은 모든 아미노산은 L-이성질체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아마이드 또는 에스터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유사체 및 중간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아마이드 또는 에스터의 형태일 수 있다. 염은 염기성, 산성 또는 중성 염일 수 있다. 염기성 염은 물에서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고 산성 염은 하이드로늄 이온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도체의 염은 첨가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각각 음이온기 또는 양이온기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기는 펩타이드 모이어티 및/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도체의 측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도체의 음이온기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측쇄(존재하는 경우) 및 펩타이드 모이어티에서의 유리 카복실기를 포함한다. 펩타이드 모이어티는 전형적으로 C-말단에 유리 카복실산을 포함하는 음이온기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Asp 및 Glu와 같은 내부 산성 아미노산 잔기에 있는 유리 카복실기를 포함한다.
펩타이드 모이어티의 양이온기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N-말단의 유리 아미노기(존재하는 경우) 및 His, Arg 및 Lys와 같은 내부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에 있는 임의의 유리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도체의 에스터는, 예를 들어 유리 카복실산기와 알코올 또는 페놀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드록실기가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로 치환되는 것을 야기한다. 에스터의 형성은 펩타이드의 C-말단에 있는 유리 카복실기 및/또는 측쇄에 있는 임의의 유리 카복실기와 연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도체의 아마이드는 예를 들어 유리 카복실산기와 아민 또는 치환된 아민의 반응에 의해, 또는 유리 또는 치환된 아미노기와 카복실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마이드의 형성은 펩타이드의 C-말단에 있는 유리 카복실기, 측쇄에 있는 임의의 유리 카복실기, 펩타이드의 N-말단에 있는 유리 아미노기 및/또는 펩타이드 및/또는 측쇄에 있는 임의의 유리 또는 치환된 펩타이드 아미노와 연관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화합물 또는 GLP-1 유도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이들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아마이드의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의 C-말단에서 아마이드기를 갖는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펩타이드 또는 유도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에스터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GLP-1(7-37) 펩타이드 및 GLP-1 유사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도체의 GLP-1 펩타이드 모이어티(또는 이의 단편) 및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사체는 고전적인 펩타이드 합성(예컨대, t-Boc 또는 Fmoc 화학을 이용한 고상 펩타이드 합성) 또는 기타 잘 확립된 기술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Greene 및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1999], 문헌[Florencio Zaragoza "Organic Synthesis on Solid Phase", Wiley-VCH Verlag GmbH, 2000] 및 문헌[W.C.Chan 및 P.D.White, Ed.,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을 참조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온전한 GLP-1 유사체, 예를 들어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재조합에 의해, 즉 유사체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함유하고 펩타이드의 발현을 허용하는 조건 하에 적합한 영양 배지에서 펩타이드를 발현할 수 있는 숙주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펩타이드를 발현하기에 적합한 숙주 세포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및 포유동물 BHK 또는 CHO 세포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생산 공정의 이러한 완전 재조합 발효 단계는 예를 들어 생산 경제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다.
GPL-1 화합물의 주쇄를 함유하는 융합단백질 봉입체를 변성, 재생시켜 정확한 형태의 융합단백질을 얻은 후 효소분해, 침전조절, 원심분리와 같은 일련의 처리를 거쳐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은 GLP-1 화합물의 주쇄를 얻는다.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후 비교적 순도가 높은 GLP-1 화합물의 주쇄가 얻어진다.
용어 "부형제"는 유효 치료 성분 이외의 임의의 성분을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부형제는 비활성 물질, 비유효 물질 및/또는 비약학적 유효 물질일 수 있다.
부형제는 다양한 목적, 예를 들어 담체, 비히클, 희석제, 정제 보조제로서 및/또는 유효 물질의 투여 및/또는 흡수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이한 부형제를 갖는 약제학적 유효 성분의 제제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예: 제19판(1995) 및 이후의 임의 버전)]을 참조한다.
부형제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용매, 희석제, 완충제, 보존제, 등장제, 킬레이트제 및 안정화제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및 유사체는 GLP-1 활성을 갖는다. "GLP-1 활성을 가짐"은 GLP-1 수용체에 결합하고 신호 전달 경로를 유발하여 인슐린 분비 촉진 작용 또는 기타 생리학적 효과를 낳는 능력을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효능, 효험 및/또는 활성은 체외 효능, 즉 기능적 GLP-1 수용체 검정에서의 성능, 특히 클론된 인간 GLP-1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주에서 형성되도록 cAMP를 자극하는 능력을 지칭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도체는 체내에서 강력하고,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법에 의해 임의의 적합한 동물 모델 및 임상 시험에서 확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뇨병 db/db 마우스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섹션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혈당 강하 효과가 확인될 수 있는 적합한 동물 모델 중의 한 예시이다.
용어 "인슐린"은 인간 인슐린과 같은 천연 인슐린, 이의 인슐린 유사체 및 인슐린 유도체을 망라한다.
용어 "인슐린 유사체"는 천연 인슐린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결실 및/또는 교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에 대한 추가를 통해 천연 인슐린, 예를 들어 인간 인슐린의 구조로부터 형식적으로 유래될 수 있는 분자 구조를 갖는 폴리펩타이드를 망라한다. 바람직하게는, 치환을 위한 아미노산 잔기는 암호화 가능한 아미노산 잔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인슐린 유도체"는 화학적으로 변형된 천연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를 지칭하며, 변형은 예를 들어 인슐린 백본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측쇄를 도입하는 것, 인슐린 상의 아미노산 잔기의 원자단을 산화 또는 환원시키는 것, 유리 카복실기를 에스터기로 전환하거나 유리 아미노기 또는 하이드록실기를 아실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실화된 인슐린은 인슐린 유도체이다.
용어 "인슐린 모체"는 인슐린 유도체 또는 아실화된 인슐린(본 명세서에서는 모체 인슐린이라고도 칭함)의 인슐린 모이어티를 지칭하며,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아실기가 첨가되지 않은 아실화된 인슐린의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인슐린 모체는 인간 인슐린 또는 돼지 인슐린과 같은 천연 인슐린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모체 인슐린은 인슐린 유사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아미노산 잔기"는 수소 원자가 이미 아미노기로부터 제거되고/되거나 하이드록실기가 이미 카복실기로부터 제거되고/되거나 수소 원자가 이미 머캅토기로부터 제거된 아미노산을 망라한다. 모호하게, 아미노산 잔기는 아미노산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아미노산은 L-아미노산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렌 글리콜"은 올리고-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모이어티와 모노알킬렌 글리콜 모이어티을 포함한다. 모노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예를 들어 모노에틸렌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테트라메틸렌 및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을 기반으로 하는 쇄, 즉 반복 단위 -CH2CH2O-, -CH2CH2CH2O- 또는 -CH2CH2CH2CH2O-를 기반으로 하는 쇄를 포함한다. 알킬렌 글리콜 모이어티는 단분산(확실히 정의된 길이/분자량 지님) 및 다분산(확실히 정의되지 않은 길이/평균 분자량 지님)일 수 있다. 모노알킬렌 글리콜 모이어티는 각 말단에 상이한 원자단을 포함하는 -OCH2CH2O-, -OCH2CH2CH2O- 또는 -OCH2CH2CH2CH2O-를 포함한다.
용어 "지방산"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포화 또는 불포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 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지방산의 비제한적인 예시로는 예를 들어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에이코산산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지방 이산"은 적어도 2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포화 또는 불포화된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 디카복실산을 포함한다. 지방 이산의 비제한적 예시로는 헥산이산, 옥탄이산, 데칸이산, 도데칸이산, 테트라데칸이산, 헥사데칸이산, 헵타데칸이산, 옥타데칸이산, 에이코산이산, 도코산이산 및 테트라코산이산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인슐린 또는 GLP-1 화합물의 명명은 하기 원칙을 따른다: 인간 인슐린에 대한 돌연변이 및 변형(예를 들어, 아실화), 또는 천연 GLP-1(7-37)의 돌연변이 및 변형(예를 들어, 아실화)에 따라 명칭이 부여된다. 아실 모이어티의 명명은 IUPAC 명명법 및 다른 경우에는 펩타이드 명명법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하기 아실 모이어티는,
Figure pct00001
예를 들어, "에이코산디오일-γGlu-OEG-OEG", "에이코산 디오일-γGlu-2×OEG" 또는 "에이코산디오일-gGlu-2×OEG", "19-카복시노나데카노일-γGlu-2×OEG" 또는 "19-카복시노나 데카노일-γGlu-OEG-OEG"로 명명될 수 있고, 여기서 OEG는 원자단 -NH(CH2)2O(CH2)2OCH2CO-(즉, 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의 약칭이고 γGlu(또는 gGlu)는 L 배열로 된 아미노산 γ-글루탐산의 약칭이다. 대안적으로, 아실 모이어티는 IUPAC 명명법(OpenEye, IUPAC 형식)에 따라 명명될 수 있다. 이 명명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아실 모이어티는 하기 명칭으로 지칭된다. "[2-[2-[2-[2-[2-[2-[(4S)-4-카복시-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 또는 "[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인슐린(하기 서열/구조를 가짐)은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또는 "B29K(Nε-에이코산디오일-g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으로 지칭되며, 상기 인술린은 인간 인슐린의 위치 B29에 있는 아미노산 K는 위치 B29에 있는 라이신 잔기의 ε 질소(Nε 또는 N(ε)라고 함)에 있는 에이코산디오일-gGlu-2×OEG 잔기를 이용한 아실화에 의해 변형되었으며, 인간 인슐린의 위치 B30에 있는 아미노산 T가 이미 결실되었음을 나타낸다. 다른 예를 들어, 비교예 5의 인슐린(하기 서열/구조를 가짐)은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gGlu-2×OEG), desB30 인간 인슐린" 또는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 desB30 인간 인슐린"으로 지칭되며, 상기 인슐린은 인간 인슐린의 위치 A14에 있는 아미노산 Y가 이미 E로 돌연변이 되었으며, 인간 인슐린의 위치 B16에 있는 아미노산 Y가 H로 돌연변이 되었으며, 인간 인슐린의 위치 B25에 있는 아미노산 F가 이미 H로 돌연변이 되었으며, 인간 인슐린의 위치 B29에 있는 아미노산 K는 위치 B29에 있는 라이신 잔기의 ε 질소(Nε라고 칭함)에 있는 에이코산디오일-gGlu-2×OEG 잔기를 이용한 아실화에 의해 이미 변형되었으며, 인간 인슐린의 위치 B30에 있는 아미노산 T는 결실되었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nxPEG"는 -NH(CH2CH2O)nCH2CO-를 지칭하며, 여기서 n은 정수이다. 예를 들어, "12×PEG"는 원자단 -NH(CH2CH2O)12CH2CO-를 지칭한다.
인슐린은 췌장의 β 세포에서 분비되는 폴리펩타이드 호르몬으로 두 개의 폴리펩타이드 쇄, 즉 A쇄과 B쇄로 구성되며 2개의 쇄 간 이황화 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A쇄은 쇄 내 이황화 결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생물에서 인간 인슐린을 제조하는 세 가지 주요 방법이 있다. 그 중 두 가지 방법은 대장균(E.coli) 관여하는데, 하나는 세포질에서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것이고(문헌[Frank 등 (1981) in Peptides: Proceedings of the 7th American Peptide Chemistry Symposium (Rich & Gross, eds.), Pierce Chemical Co., Rockford, III, pp. 729-739]), 다른 하나는 신호 펩타이드가 주변 세포질 공간으로 분비되도록 하는 것이다(문헌[Chan 등 (1981) PNAS 78:5401-5404]). 세 번째 방법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를 통해 인슐린 전구체가 배지로 분비되도록 하는 것이다(문헌[Thim 등 (1986) PNAS 83:6766-6770]). 대장균 또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에서 인슐린 전구체를 발현하기 위한 다수의 방법들은 이미 선행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962,267호, WO95/16708, EP0055945, EP0163529, EP0347845 및 EP0741188을 참조.
벡터의 구성, 인슐린 유사체의 발현, 처리 및 정제는 당업자가 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슐린 유사체는 미국 특허 제6500645호에 개시된 잘 알려진 기술에 의해 적절한 숙주 세포에서 관심있는 인슐린 유사체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발현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슐린 유사체는 또한 하기 논문에 보고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Glendorf T, Sørensen AR, Nishimura E, Pettersson I, & Kjeldsen T: Importance of the Solvent-Exposed Residues of the Insulin B Chain α-Helix for Receptor Binding; Biochemistry, 2008, 47:4743-4751. 이 논문에서는 중복 확장 PCR을 사용하여 인슐린 인코딩 벡터에 돌연변이를 도입한다. 인슐린 유사체는 Ala-Ala-Lys 미니 C-펩타이드와 함께 프로인슐린 유사 융합 단백질로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균주 MT663에서 발현된다. 단일 쇄 전구체는 A. lyticus 엔도프로테아제를 사용하여 2쇄 desB30 유사체로 효소적으로 전환된다.
격리된 인슐린 유사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아실화 방법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아실화될 수 있고, 이러한 인슐린 유사체의 예시는 예를 들어 중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CN1029977C호, 제CN1043719A호 및 제CN1148984A호에 기재되어 있다.
인슐린 유사체의 폴리펩타이드를 인코딩하는 핵산 서열은 확립된 표준 방법, 예를 들어 문헌[Beaucage 등 (1981) Tetrahedron Letters 22:1859-1869] 또는 문헌[Matthes 등 (1984) EMBO Journal 3:801-80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예시에 의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예시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
약어
cAMP: 시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
BHK: 아기 햄스터 신장 세포;
DNA: 데옥시리보핵산;
Na2HPO4: 인산수소이나트륨;
NaOH: 수산화나트륨;
OEG: 아미노산 잔기 -NH(CH2)2O(CH2)2OCH2CO-;
Osu: 숙신이미딜-1-일옥시-2,5-디옥소-피롤리딘-1-일옥시;
OtBu: 옥시-tert-부틸;
HCl: 염화수소;
γGlu 또는 gGlu: γL-글루타모일;
NHS: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DCC: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AEEA: 2-(2-(2-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트산;
OH: 하이드록실;
Gly: 글리신;
Arg: 아르지닌;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HbA1c: 당화 헤모글로빈.
실시예 1.
표제 화합물: N26-[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화합물1)
Figure pct00003
1. N 26 -[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 S )-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의 제조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일반적인 단백질 재조합 발현법으로 제조되었다(자세한 내용은 문헌[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제4판), Michael R. Green, Cold Spring Harbor Press, 2012]를 참조).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5g, 1.48mmol)를 100mM Na2HPO4수용액(150mL)에 용해시키고 아세토나이트릴(100mL)을 첨가하였다. pH는 1N NaOH로 10 내지 12.5로 조정되었다.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1.59g, 1.63mmol)를 아세토나이트릴(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Gly8, Arg34]GLP-1-(7 -37) 펩타이드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pH 값은 10 내지 12.5로 유지되었다. 120분 후, 반응 혼합물을 물(150mL)에 첨가하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값을 5.0으로 조정하였다.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고 동결건조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0mL) 및 디클로로메탄(60mL)의 혼합 용액에 조생성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약 30mL로 농축시키고, 얼음처럼 차가운 n-헵탄(300mL)에 붓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를 통해 단리하고 n-헵탄으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진공에서 건조하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Resource Q, 42.5% 에탄올, pH 7.5에서 0.25% 내지 1.25% 암모늄 아세테이트 구배)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 물, TFA)로 정제했다. 정제된 분획을 합하고 1N HCl로 pH값을 5.2로 조절하고 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LC-MS(ESI): m/z = 1028.79[M+4H]4+
2.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의 제조
2.1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OSu
에이코산디오익산 모노-tert-부틸 에스터(20g, 50.17mmol) 및 NHS(5.77g, 50.17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400mL)에서 혼합하고, 트리에틸아민(13.95m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탁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DCC(11.39g, 55.19mmol)를 첨가하고 하루밧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OSu(24.12g, 수율 97%)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496.36(M+1)+
2.2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OSu(24.12g, 48.66mmol)를 디클로로메탄(2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고 H-Glu-OtBu(10.88g, 53.53mmol), 트리에틸아민(12.49mL) 및 물(25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시켜 맑은 용액을 얻은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10% 구연산 수용액(200mL)을 첨가하여 분액시켰다. 하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하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 --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27.27g, 수율 96%)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584.44(M+1)+
2.3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27.27g, 46.71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3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11.99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NHS(5.38g, 50.17mmol)를 첨가한 다음, DCC(10.60g, 51.38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Tert-부틸 메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에서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하룻밤 동안 진공에서 건조하여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25.76g, 수율 81%)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681.46(M+1)+
2.4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25.76g, 37.83mmol)를 디클로로메탄(2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고 2×AEEA(11.66g, 37.83mmol), 트리에틸아민(9.71mL) 및 물(25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시켜 맑은 용액을 얻은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10% 구연산 수용액(200mL)을 첨가하여 분액시켰다. 하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하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30.75g, 수율 93%)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874.59(M+1)+
2.5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30.75g, 35.18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3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9.03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NHS(4.05g, 35.18mmol)를 첨가한 다음, DCC(7.98g, 38.70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31.09g, 수율 91%)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971.61(M+1)+
실시예 2.
표제 화합물: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 37) 펩타이드(화합물 2)
Figure pct00004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실시예 1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992.52[M+4H]4+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EG-OSu)-OtBu는 실시예 1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826.54(M+1)+
실시예 3.
표제 화합물: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화합물 3)
Figure pct00005
N 26 -(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 S )-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실시예 1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956.25[M+4H]4+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는 실시예 1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681.46(M+1)+
실시예 4.
표제 화합물: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화합물 4)
Figure pct00006
N 26 -(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 S )-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는 실시예 1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959.75[M+4H]4+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는 실시예 1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681.46(M+1)+
비교예 1.
대조 화합물인 리라글루타이드는 특허 CN1232470A의 실시예 37에 따라 제조되었다.
비교예 2.
대조 화합물인 세마글루타이드는 특허 CN101133082A의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되었다.
비교예 3.
표제 화합물: N26-[2-(2-[2-(2-[2-(2-[4-(17-카복시헵타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Figure pct00007
N 26 -[2-(2-[2-(2-[2-(2-[4-(17-카복시헵타데카노일아미노)-4( S )-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는 실시예 1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021.78[M+4H]4+
비교예 4.
표제 화합물: N26-(17-카복시헵타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Figure pct00008
N 26 -(17-카복시헵타데카노일아미노)-4( S )-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실시예 1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949.24[M+4H]4+
중간체 tert -부틸 옥타데칸디오일-γGlu-(OSu)-OtBu를 실시예 1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653.43(M+1)+
실시예 5. db/db 마우스에 대한 약력학적 연구
본 연구는 당뇨병의 경우에 고혈당(BG)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조절 효과를 입증하려고 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GLP-1 유도체라고도 알려짐)의 표제 화합물은 II형 당뇨병(T2DM)이 있는 비만 마우스 모델(db/db 마우스)에 대한 단일 용량 연구에서 테스트되었다. GLP-1 유도체의 혈당강하제 효과를 100μg/kg의 용량에서 테스트하였다.
8주 내지 9주 된 수컷 db/db(BKS/Lepr) 마우스는 장벽 환경의 적절한 크기의 먹이 케이지에 수용되었고 표준 식이와 정제수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환경 조건은 40% 내지 60% 상대습도(RH)와 22°C 내지 24°C로 통제되었다. 1주 내지 2주의 적응 기간 지난 후 해당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했다.
당일 실험을 시작하기 전 오전 9시 30분경 마우스의 기준 혈당을 평가하고 체중을 쟀다. 마우스는 임의의 혈당 및 체중을 기준으로 비히클군 또는 처리군에 각각 분배되고 하기 처리를 받았다: 비히클 또는 GLP-1 유도체(100μg/kg)의 피하 주사, 여기서 비히클은 14mg/mL 프로필렌 글리콜, 5.5mg/mL 페놀 및 1.133mg/mL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함유하고, pH 값은 8.12이다.
GLP-1 유도체를 20μg/mL의 투여 농도로 비히클에 용해시키고, 투여 부피는 5mL/kg(즉, 50μL/10g 체중)이었다. 투여는 목 뒤쪽에 피하 주사(s.c.)로 1회 수행하였다. 상응하는 GLP-1 유도체는 오전 10시 30분경(시간 0)에 투여되었고, 처리 기간 동안 동물은 식이와 물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다. 마우스의 혈당은 투여 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평가하였다. 각 마우스의 꼬리를 알코올솜으로 깨끗이 닦고 일회용 채혈바늘을 사용하여 꼬리로부터 핏방울을 채취하여, 혈당계와 테스트 스트립(Roche)으로 측정하였다. 투여 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각 마우스의 식이 섭취량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각 모니터링 시점의 혈당 백분율은 투여 후 상응하는 시점의 혈당을 투여 전의 기준 혈당으로 나누었음으로써 얻었고; 각 GLP-1 유도체의 단일 용량을 대상으로 하여, 혈당 대 시간의 백분율의 용량-반응 곡선은 플롯팅되었고; 혈당에 대한 GLP-1 유도체의 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각각의 개별 용량-반응 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0시간부터 72시간까지의 혈당 대 시간의 백분율의 곡선 아래 면적(AUC0-72h)을 계산하였다. AUC는 시간 대 혈당 백분율 곡선 아래 면적이며, AUC 값이 작을수록 혈당 강하 효과가 더 낫고 약물 효과도 더 낫다.
도 1a 내지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놀랍게 개선된 약물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예를 들어, 실시예 1 내지 4의 표제 화합물은 리라글루타이드 및 비교예 3 내지 4의 화합물에 비해 db/db 마우스에 대한 혈당 강하 효과가 유의미하게 더 우수하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화합물은 세마글루타이드에 비해 혈당 강하 효과가 더 우수하다. 이외,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예를 들어 실시예 1 내지 4의 화합물의 유효 작용 지속시간은 리라글루타이드 및 비교예 3 내지 4의 화합물의 작용 지속시간보다 유의미하게 더 길고, 특히 db/db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2의 화합물의 혈당 강하 효과의 유효 지속시간은 세마글루타이드보다 더 길다.
실시예 6.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5)
Figure pct00009
1. des(B30) 인간 인슐린의 합성
Des(B30) 인간 인슐린은 중국 특허 CN1056618C의 실시예 10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2. 관심 있는 인슐린의 제조
DesB30 인간 인슐린(5g, 0.876mmol)을 100mM 수성 Na2HPO4용액(150mL)에 용해시키고 아세토나이트릴(100mL)을 첨가했다. pH 값은 1N NaOH로 10 내지 12.5로 조정되었다.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OSu)-OtBu(1.36g, 0.964mmol)를 아세토나이트릴(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인슐린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pH 값은 10 내지 12.5로 유지되었다. 120분 후, 반응 혼합물을 물(150mL)에 첨가하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값을 5.0으로 조정하였다.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고 동결건조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0mL) 및 디클로로메탄(60mL)의 혼합 용액에 조생성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약 30mL로 농축시키고, 얼음처럼 차가운 n-헵탄(300mL)에 붓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를 통해 단리하고 n-헵탄으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진공에서 건조하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Resource Q, 42.5% 에탄올, pH 7.5에서 0.25% 내지 1.25% 암모늄 아세테이트 구배)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 물, TFA)로 정제했다. 정제된 분획을 합하고 1N HCl로 pH 5.2로 조절하고 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5을 얻었다.
LC-MS(ESI): m/z = 1377.53[M+5H]5+
3.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OSu)-OtBu의 제조
3.1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OSu
에이코산디오익산 모노-tert-부틸 에스터(20g, 50.17mmol) 및 NHS(5.77g, 50.17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에서 혼합하고, 트리에틸아민(13.95m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탁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DCC(11.39g, 55.19mmol)를 첨가하고 하루밧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OSu(24.12g, 수율 97%)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496.36(M+1)+
3.2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OSu(24.12g, 48.66mmol)를 디클로로메탄(2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고 H-Glu-OtBu(10.88g, 53.53mmol), 트리에틸아민(12.49mL) 및 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시켜 맑은 용액을 얻은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10% 구연산 수용액(200mL)을 첨가하여 분액시켰다. 하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하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 --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27.27g, 수율 96%)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584.44(M+1)+
3.3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27.27g, 46.71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3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11.99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NHS(5.38g, 50.17mmol)를 첨가한 다음, DCC(10.60g, 51.38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Tert-부틸 메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에서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하룻밤 동안 진공에서 건조하여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25.76g, 수율 81%)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681.46(M+1)+
3.4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25.76g, 37.83mmol)를 디클로로메탄(2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고 2×AEEA(11.66g, 37.83mmol), 트리에틸아민(9.71mL) 및 물(25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시켜 맑은 용액을 얻은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10% 구연산 수용액(200mL)을 첨가하여 분액시켰다. 하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하부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30.75g, 수율 93%)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874.59(M+1)+
3.5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30.75g, 35.18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3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9.03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NHS(4.05g, 35.18mmol)를 첨가한 다음, DCC(7.98g, 38.70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31.09g, 수율 91%)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971.61(M+1)+
3.6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OH)-OtBu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31.09g, 32.01mmol)를 디클로로메탄(3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고 3×AEEA(14.52g, 32.01mmol), 트리에틸아민(8.90mL) 및 물(25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시켜 맑은 용액을 얻은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10% 구연산 수용액(200mL)을 첨가하여 분액시켰다. 하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하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OH)(38.99g, 수율 93%)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1309.81(M+1)+
3.7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OS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OH)-OtBu(38.99g, 29.77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4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8.28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NHS(3.43g, 29.77mmol)를 첨가한 다음, DCC(6.76g, 32.75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OSu)(38.11g, 수율 91%)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1406.83(M+1)+
실시예 7.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6)
Figure pct00010
화합물 2는 실시예 6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406.28[M+5H]5+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OSu)-OtBu는 실시예 6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1551.90(M+1)+
실시예 8.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7)
Figure pct00011
화합물 7은 실시예 6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464.30[M+5H]5+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OSu)-OtBu는 실시예 6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1814.02(M+1)+
실시예 9.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8)
Figure pct00012
화합물 8은 실시예 6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411.88[M+5H]5+
중간체 tert -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6×OEG-OSu)-OtBu는 실시예 6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1579.94(M+1)+
실시예 10.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9)
Figure pct00013
화합물 9는 실시예 6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469.91[M+5H]5+
중간체 tert -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8×OEG-OSu)-OtBu는 실시예 6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1870.08(M+1)+
실시예 11.
표제 화합물: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화합물10)
Figure pct00014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는 실시예 1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035.80[M+4H]4+
중간체 tert -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는 실시예 1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999.64(M+1)+
실시예 12. 체외 효능 또는 활성
해당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체외 효능 또는 활성을 테스트하려는 것이다.
GLP-1R을 발현하는 세포를 해동시키고, 25mL 세포 배양 플라스크에서의 ham's-F12 배지에 접종하고, 5% CO2에서 37°C에서 하룻밤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 당일,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화합물 10)과 리라글루타이드를 150μg/mL로 제형화하였고, 그런 다음 샘플을 750ng/mL, 150ng/mL, 30ng/mL, 6ng/mL, 1.2ng/mL, 0.24ng/mL, 0.048ng/mL, 0.0096ng/mL 및 0.00192ng/mL로 일정 구배로 희석하였다. 세포 밀도를 1×105개 세포/mL로 조절하고, 200μL의 세포와 200μL의 희석된 샘플을 각 웰에 첨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각 웰의 혼합 샘플 100μL를 각 샘플을 위한 설정된 3개의 복제 웰을 갖는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피펫팅하였다. 세포를 세포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고, 루시퍼라제 시약을 첨가하고 잘 혼합되도록 흔든 다음, 혼합물을 96-웰 플레이트에서 새로운 96-웰 백색 편평 바닥 플레이트로 옮겼다. 신호 값은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읽고 데이터는 GraphPad Prism 6으로 처리하여 EC50을 계산하였다. 체외 효능 실험은 상이한 날에 4번 반복되었다.
[표 1] 체외 효능
Figure pct00015
실험 결과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는 바람직한 체외 효험을 가지며, 이들의 체외 활성은 리라글루타이드와 유사하여 GLP-1 수용체의 효능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에 대한 약력학적 연구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혈당 조절 효과 및 체중 감소 효과를 입증하려는 것이다.
5주가 된 체중이 17g 내지 22g의 C57BL 마우스(반은 수컷, 반은 암컷)를 장벽 환경에서 적절한 크기의 먹이 케이지(박스당 3마리 내지 5마리)에 수용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군은 고지방 사료와 정제수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정상 대조군은 표준 식이와 정제수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고, 환경 조건은 40% 내지 60% RH 및 22°C 내지 24°C로 조절되었다. 섭식 10주 후, 정상 대조군 중 마우스의 체중에 비해 30% 내지 50% 초과하는 마우스를 약물 효과 평가를 위해 선택하였다.
당일 실험을 시작하기 전 -1/1시간(오전 9시 30분)에 마우스의 기준 혈당을 평가하고 체중을 쟀다.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군의 마우스는 임의의 혈당 및 체중을 기준으로 비히클군(즉, 모델 대조군) 또는 처리군에 각각 분배되고, 하기 처리를 받았다: 비히클의 피하 주사, 100μg/kg의 대조 화합물 세마글루타이드의 피하 주사, 또는 100μg/kg 및 300μg/kg의 본 발명의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의 피하 주사. 비히클은 14mg/mL 프로필렌 글리콜, 5.5mg/mL 페놀 및 1.133mg/mL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함유하고 pH 값은 7.4이다.
투여는 목 뒤쪽에 피하 투여(s.c., 5μL/g 체중)로 1회 수행하였다. 오전 10시 30분경(시간 0)에 GLP-1 유도체를 투여하고, 투여 후 3시간, 6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에 마우스의 혈당을 평가하였다. 한편, 마우스의 체중을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각 GLP-1 유도체의 단일 용량을 대상으로 하여, Δ 혈당-시간 곡선은 플롯팅되었다. Δ는 주어진 시간에서의 실제 혈당에서 기준선을 뺀 값을 지칭하며, 여기서 기준선은 시간 0에서의 혈당이다. 따라서 이러한 곡선에서 y = 0은 기준선을 나타낸다. 각각의 개별 용량-반응 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시간 0부터 모니터링 종료시점까지의 혈당-시간 곡선 아래 면적(ΔAUC)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ΔAUC 값이 작을수록 혈액 혈당 강하 효과가 더 낫고 약물 효과도 더 낫다.
복강내 포도당 내성 검사(ipGTT)는 첫 투여 후 48시간에 수행되었으며 단계는 하기와 같다: 공복 혈당을 확인하기 위해 표시된 시점(0분)에 꼬리 끝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다음, 포도당 용액(200mg/mL, 10mL/kg)을 복강내 투여하고, 그런 다음 혈당 부하 후 30분, 60분 및 120분에 혈당을 확인하였다.
각 마우스의 꼬리를 알코올솜으로 깨끗이 닦고 일회용 채혈바늘을 사용하여 꼬리로부터 핏방울을 채취하여, 혈당계(Roche)와 테스트 스트립으로 측정하였다.
각 GLP-1 유도체의 단일 용량을 대상으로 하여, 혈당 대 시간의 용량-반응 곡선 및 1일 체중 변화 대 시간의 용량-반응 곡선을 플롯팅하였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직관적, 정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개별 용량-반응 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시간 0부터 모니터링 종료시점까지의 상대적 혈당-시간 곡선 아래 면적(ΔAUC)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ΔAUC 값이 작을수록 혈당 강하 효과가 더 낫고 약물 효과도 더 낫다.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놀랍게 개선된 약물 효과를 갖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예를 들어, 실시예 11의 화합물 10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에 대한 혈당 강하 효과는 동일한 용량에서 시판되는 대조 화합물 세마글루타이드와 비교하면 유의미하게 상이하지 않으며, 도 5b 및 도 6b에서 정량화에 대해 알 수 있듯이, 심지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혈당 강하 효과조차도 세마글루타이드보다 약간 우수하다. 특히, 투여 72시간 후 동일한 용량의 화합물 10 군의 평균 혈당은 동일한 용량의 세마글루타이드 군보다 낮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혈당 강하 효과는 용량 의존적이며, 혈당 강하 효과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미하게 개선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실시예 11의 화합물 10이 비히클에 비해 유의미적 혈당 억제 효과가 있고, ipGTT 테스트에서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의 첫 투여 후 48시간에 ipGTT 테스트 후 동일한 용량에서 세마글루타이드에 비해 약간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도 5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예를 들어 실시예 11의 화합물 10이 세마글루타이드보다 더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갖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14. II형 당뇨병이 있는 db/db 마우스에 대한 약력학적 연구
본 연구는 당뇨병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혈당 조절 효과를 입증하려는 것이다.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 및 대조 화합물인 리라글루타이드의 혈당 강하 효과를 db/db 마우스에서 0.3nmol/kg, 1nmol/kg, 3nmol/kg, 10nmol/kg, 30nmol/kg 및 100nmol/kg의 상이한 용량으로 테스트하였고, ED50을 계산하였다.
8주 내지 9주 된 수컷 db/db(BKS/Lepr) 마우스는 장벽 환경의 적절한 크기의 먹이 케이지에 수용되었고 표준 식이와 정제수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환경 조건은 40% 내지 60% RH와 22°C 내지 24°C로 통제되었다. 1주 내지 2주의 적응 기간 지난 후 해당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했다.
당일 실험을 시작하기 전 오전 9시 마우스의 기준 혈당을 평가하고 체중을 쟀다. 당뇨병 마우스는 임의의 혈당 및 체중을 기준으로 비히클군 또는 처리군에 각각 분배되고 하기 처리를 받았다: 비히클의 피하 주사, 또는 0.3nmol/kg, 1nmol/kg, 3nmol/kg, 10nmol/kg, 30nmol/kg 및 100nmol/kg의 실시예 11의 화합물 또는 대조 화합물인 리라글루타이드의 피하 주사, 여기서 비히클은 14mg/mL 프로필렌 글리콜, 5.5mg/mL 페놀 및 1.133mg/mL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함유하고, pH 값은 7.4이다.
투여는 목 뒤쪽에 피하주사(s.c., 50μL/10g 체중)로 1회 수행하였다. 실시예 11의 화합물을 오전 10시경(시간 0)에 투여하고, 투여 후 1시간, 2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마우스의 혈당을 평가하였다.
각 마우스의 꼬리를 알코올솜으로 깨끗이 닦고 일회용 채혈바늘을 사용하여 꼬리로부터 핏방울을 채취하여, 혈당계(Roche)와 테스트 스트립으로 측정하였다.
각 GLP-1 유도체의 단일 용량을 대상으로 하여, Δ 혈당 대 시간의 용량-반응 곡선은 플롯팅되었다. Δ는 주어진 시간에서의 실제 혈당에서 기준선을 뺀 값을 지칭하며, 여기서 기준선은 시간 0에서의 혈당이다. 혈당에 대한 GLP-1 유도체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개별 용량-반응 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0시간부터 72시간까지의 Δ혈당(ΔAUC) 곡선 아래 면적을 계산하였고, ΔAUC에 대해 유효량 50%(ED50, 기준선과 최대 효과 사이의 반응의 절반을 생성하는 GLP-1 유도체의 용량)를 계산하였다. 얻어진 ED50 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다.
[표 2] db/db 마우스에서의 혈당에 대한 효과의 ED50
Figure pct00016
시험 결과에 의해, 화합물 10의 체내 혈당 강하 효과가 리라글루타이드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5. II형 당뇨병이 있는 db/db 마우스에 대한 약력학적 연구
본 연구는 혈당, 식이 섭취 및 물 섭취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조절 효과를 입증하려는 것이다.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 및 대조 화합물인 세마글루타이드는 II형 당뇨병이 있는 db/db 마우스에 대한 단일 용량 연구에서 테스트되었다.
8주 내지 9주 된 수컷 db/db(BKS/Lepr) 마우스는 장벽 환경의 적절한 크기의 먹이 케이지에 수용되었고 표준 식이와 정제수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환경 조건은 40% 내지 60% RH와 22°C 내지 24°C로 통제되었다. 1주 내지 2주의 적응 기간 지난 후 해당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했다.
당일 실험을 시작하기 전 오전 9시경 마우스의 기준 혈당을 평가하고 체중을 쟀다. 당뇨병 마우스는 임의의 혈당 및 체중을 기준으로 비히클군 또는 처리군에 각각 분배되고 하기 처리를 받았다: 비히클의 피하 주사, 또는 100μg/kg의 실시예 2의 화합물 또는 대조 화합물인 세마글루타이드의 피하 주사, 여기서 비히클은 14mg/mL 프로필렌 글리콜, 5.5mg/mL 페놀 및 1.133mg/mL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함유하고, pH 값은 7.4이다.
GLP-1 유도체를 20μg/mL의 투여 농도가 되도록 비히클에 용해시키고, 투여는 목 뒤쪽에 피하 주사(s.c., 50μL/10g 체중)로 1회 수행하였다. 실시예 2의 화합물을 오전 10시경(시간 0)에 투여하고, 투여 후 1시간, 2시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마우스의 혈당을 평가하였다. 각 마우스의 꼬리를 알코올솜으로 깨끗이 닦고 일회용 채혈바늘을 사용하여 꼬리로부터 핏방울을 채취하여, 혈당계(Roche)와 테스트 스트립으로 측정하였다. 한편, 마우스의 식이 섭취량과 물 섭취량을 매일 모니터링하였다.
각 GLP-1 유도체의 단일 용량을 대상으로 하여, 혈당 대 시간의 용량-반응 곡선, 식이 섭취 대 시간의 용량-반응 곡선 및 물 섭취 대 시간의 용량-반응 곡선은 플롯팅되었다. 혈당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개별 용량-반응 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시간 0부터 모니터링 종료시점까지의 혈당-시간 곡선 아래 면적(ΔAUC)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ΔAUC 값이 작을수록 혈당 강하 효과가 더 낫고 약물 효과도 더 낫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투여 후 놀랍게 개선된 혈당 강하 효과, 및 식이 섭취과 물 섭취에 대한 개선된 억제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이는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이 투여 후 동일한 용량으로의 세마글루타이드에 비해 db/db 마우스에 대한 더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추가로 입증한다. 이외, 실시예 2의 표제 화합물은 식이 섭취 및 물 섭취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 조절 효과가 세마글루타이드보다 더 우수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보다 더 나은 체중 감소 효과를 가짐을 시사한다.
실시예 16. II형 당뇨병이 있는 db/db 마우스에 대한 장기적 약력학 연구
본 연구는 II형 당뇨병이 있는 db/db 마우스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장기적 저혈당, 체중 감소 및 식이 조절 효과를 입증하려는 것이다.
실시예 11의 GLP-1 유도체 및 대조 화합물인 세마글루타이드는 II형 당뇨병이 있는 당뇨병 db/db 마우스에서 테스트되었다. 혈당 낮추기, 체중 낮추기, 식이 섭취 및 물 섭취 줄이기에 대한 GLP-1 유도체와 대조 화합물인 세마글루타이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00μg/kg 및 300μg/kg의 상이한 용량의 GLP-1 유도체와 100μg/kg의 세마글루티드를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8주 내지 9주 된 수컷 db/db(BKS/Lepr) 마우스는 장벽 환경의 적절한 크기의 먹이 케이지에 수용되었고 표준 식이와 정제수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환경 조건은 40% 내지 60% RH와 22°C 내지 24°C로 통제되었다. 1주 내지 2주의 적응 기간 지난 후 해당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했다.
당일 실험을 시작하기 전 오전 9시경 마우스의 기준 혈당을 평가하고 체중을 쟀다. 당뇨병 마우스는 임의의 혈당 및 체중을 기준으로 비히클군 또는 처리군에 각각 분배되고 하기 처리를 받았다: 비히클의 피하 주사, 또는 100μg/kg 및 300μg/kg의 GLP-1 유도체 또는 100μg/kg의 대조 화합물인 세마글루타이드의 피하 주사. 비히클은 14mg/mL 프로필렌 글리콜, 5.5mg/mL 페놀 및 1.133mg/mL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함유하고 pH 값은 7.4이다.
GLP-1 유도체는 0일, 3일, 7일, 10일, 13일, 16일, 19일, 22일, 25일 및 28일 오전 10시경(시간 0)에 목 뒤쪽에 피하 주사(s.c, 50μL/10g 체중)로 투여되었고, 각 투여 전과 마지막 투여 72시간 후에 마우스의 혈당을 평가하였다. 마우스의 체중, 식이 섭취량 및 물 섭취량은 0일 내지 17일에 매일 측정되었고, 마우스의 체중, 식이 섭취량 및 물 섭취량은 17일 이후 3일마다 모니터링되었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장기적 투여 후 놀랍게 개선된 혈당 강하 효과, 개선된 체중 감소 효과 및 식이 섭취와 물 섭취에 대한 억제 효과를 여전히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1의 화합물 10은 장기적 투여 후 동일한 용량의 세마글루타이드에 비해 db/db 마우스에 대한 혈당 강하 효과가 더 우수하다. 도 8c 내지 도 8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예를 들어 실시예 11의 표제 화합물이 동일한 용량의 세마글루타이드보다 더 나은 체중 감소 효과 및 식이 섭취와 수분 섭취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실시예 17. II형 당뇨병이 있는 Kkay 마우스에 대한 장기적 약력학 연구
본 연구는 II형 당뇨병이 있는 Kkay 마우스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혈당 강하 효과를 입증하려는 것이다.
실시예 11의 화합물 10, 실시예 2의 화합물 2 및 대조 화합물인 둘라글루타이드는 II형 당뇨병이 있는 Kkay 마우스에서 테스트되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및 대조 화합물인 둘라글루타이드의 혈당 강하 및 HbA1c-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100μg/kg 및 300μg/kg의 상이한 용량의 화합물 10 및 화합물 2, 및 600μg/kg의 용량의 둘라글루타이드를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12주 내지 14주 된 수컷 Kkay 마우스는 장벽 환경의 적절한 크기의 먹이 케이지에 수용되었고 표준 식이와 정제수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환경 조건은 40% 내지 60% RH와 22°C 내지 24°C로 통제되었다. 1주 내지 2주의 적응 기간 지난 후 해당 마우스를 실험에 사용했다.
당일 실험을 시작하기 전 오전 9시경 마우스의 기준 혈당을 평가하고 체중을 쟀다. 당뇨병 마우스는 임의의 혈당 및 체중을 기준으로 비히클군 또는 처리군에 각각 분배되고 하기 처리를 받았다: 비히클의 피하 주사, 또는 100μg/kg 및 300μg/kg의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또는 600μg/kg의 대조 화합물인 둘라글루타이드의 피하 주사. 비히클은 14mg/mL 프로필렌 글리콜, 5.5mg/mL 페놀 및 1.133mg/mL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함유하고 pH 값은 7.4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둘라글루타이드 또는 비히클을 2일에 한번씩, 연속 16회 오전 10시경(시간 0) 목 뒤쪽에 피하주사(s.c., 50μL/10g 체중)하였고, 마우스의 혈당을 첫 투여 후 3시간, 6시간, 1일 및 2일에 평가하였고, 마지막 투여 후 48시간에 EDTA 항응고 튜브에서 HbA1c가 검출되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투여 후 놀랍게 개선된 혈당 강하 효과를 가지며, 실시예 11 및 2의 표제 화합물이 둘라글루타이드에 비해 Kkay 마우스에 대한 유의미하게 더 우수한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9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둘라글루타이드에 비해 II형 당뇨병이 있는 Kkay 마우스에 대한 유의미하게 더 우수한 HbA1c 감소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실시예 18. 약동학
해당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의 체내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설명하려는 것이었다.
SD 래트의 약동학
총 32마리의 SD 래트를 화합물 10 저용량군, 화합물 10 중용량군, 화합물 10 고용량군(각각 15μg/kg, 90μg/kg 및 540μg/kg의 피하 투여) 및 화합물 10정맥 주사군(90μg/kg의 정맥 주사)으로 나누어 각 군에 8마리씩 래트(절반은 수컷, 절반은 암컷)가 있다. 화합물 10 저용량, 중용량 및 고용량 군의 마우스는 투여(0분) 전, 투여 후 1시간, 3시간, 5시간, 8시간, 12시간, 16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및 120시간 후에 혈액 샘플링을 받아 혈장 농도를 확인하였고, 화합물 10 정맥 주사군의 마우스는 투여(0분) 전, 투여 후 1분, 10분, 1시간, 3시간, 5시간, 8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및 120시간에 혈액 샘플링을 받아 혈장 농도를 확인하였다. 약리학적 매개변수인 Cmax, Tmax, T1/2, AUC0-t 및 MRT는 WinNonLin v6.4 소프트웨어의 비구획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SD 래트에서 피하 주사 후 화합물 10의 약동학적 매개변수
Figure pct00017
필리핀원숭이에서의 약동학
총 24마리의 필리핀원숭이를 화합물 10 저용량군, 화합물 10 중용량군, 화합물 10 고용량군(각각 10μg/kg, 60μg/kg 및 360μg/kg의 피하 투여) 및 화합물 10 정맥 주사군(60μg/kg의 정맥 주사)으로 나누어 각 군에 6마리씩의 필리핀원숭이(절반은 수컷 및 절반은 암컷)가 있다. 화합물 10 저용량, 중용량 및 고용량 군의 마우스는 투여(0분) 전, 투여 후 1시간, 3시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16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120시간, 168시간 및 240시간에 혈액 샘플링을 받아 혈장 농도를 확인하였고, 화합물 10 정맥 주사군의 마우스는 투여(0분) 전, 투여 후 1분, 10분, 1시간, 3시간, 6시간, 8시간, 10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120시간, 168시간 및 240시간 후에 혈액 샘플링을 받아 혈장 농도를 확인하였다. 약리학적 매개변수인 Cmax, Tmax, T1/2, AUC0-t 및 MRT는 WinNonLin v6.4 소프트웨어의 비구획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4] 필리핀원숭이에서 피하 주사 후 화합물 10의 약동학적 매개변수
Figure pct00018
상기 실험 결과에 의해, 본 발명의 GLP-1 유도체 화합물 10은 래트 및 필리핀원숭이 양자에서 모두 비교적 긴 반감기, 비교적 큰 AUC0-t 및 비교적 긴 MRT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는 용량 의존적이며,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의 약물 효과가 개선된다.
실시예 19.
본 실험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제제의 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GLP-1 유도체 제제
pH를 하기 표의 값으로 조절하기 위해, 화합물 10을 5.68mg/mL의 인산수소이나트륨 용액에 최종 농도가 8mg/mL로 되도록 용해시키고,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보조용액과 페놀을 함유하는 보조용액을 하기 표에 명시된 각 성분의 양에 따라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최종 농도가 2mg/mL의 GLP-1 화합물 용액을 얻었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제의 화학적 안정성은 37°C에서 0일에 비해 27일 보관 후 고분자량 단백질(HMWP) 양의 변화로 나타낼 수 있고, 또한 37°C에서 28일 보관 후 측정된 유연물질(related substance) 양의 변화로 나타낼 수 있다.
고분자량 단백질(HMWP) 확인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Waters TSKgel G2000SWXL(7.8mm×300mm, 5μm) 컬럼에서 고분자량 단백질(HMWP)의 함량을 확인하였다(컬럼 온도: 30°C, 샘플 셀 온도: 5°C, 이동상: 300mL의 이소프로판올, 400mL의 빙초산 및 300mL의 정제수, 유속: 0.5mL/분). 검출 파장은 276nm이고 샘플 부피는 25μL이다. 표 5는 37°C에서 보관 0일에 비해 27일에의 HMWP 양의 증가를 보여준다.
유연물질의 양 확인
GLP-1 유도체에서 관련 불순물의 함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Waters Kromasil 100-3.5-C8(4.6mm×250mm) 컬럼에서 확인하였다(컬럼 온도: 35°C, 샘플 셀 온도: 5°C, 용출 상의 유속: 1.0mL/분). 용출은 하기로 이루어진 이동상으로 수행되었다.
상 A: 90mM 인산이수소칼륨 및 10% 아세토니트릴(v/v), pH 2.4; 및
상 B: 75%(v/v) 아세토니트릴.
구배: 0분에서 5분까지 75%/25% A/B에서 55%/45% A/B로 선형 변화, 5분에서 12분까지 50%/50% A/B로의 선형 변화, 12분에서 42분까지 40%/60% A/B로 선형 변화, 42분에서 60분까지 10%/90% A/B로 선형 변화, 60분에서 61분까지 75%/25% A/B로 선형 변화, 및 61분에서 70분까지 85%/15% A/B의 등용매 구배.
검출 파장은 214nm, 유속은 1.0mL/분, 샘플 부피는 15μL였다. 표 5는 37°C에서 28일에 비해 0일에 유연물질의 양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표 5]
Figure pct00019
위의 표에서 모든 제제가 pH 6.5 내지 pH 8.4에서 양호한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며 pH 7.0 내지 pH 8.0에서 가장 양호한 화학적 안정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0.
본 실험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제제의 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표 6 및 표 7의 GLP-1 유도체 제제를 실시예 19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하기 표 6 및 표 7에 명시된 각 성분의 양에 따라 제형화하였다. 또한, HMWP 및 유연물질의 변화는 실시예 19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확인되었다. 하기 표 6 및 표 7은 상이한 배합을 갖는 GLP-1 유도체 제제에서 HMWP 및 유연물질 양의 변화를 보여준다.
[표 6]
Figure pct00020
[표 7]
Figure pct00021
위 표에서 GLP-1 유도체 제제 내 HMWP의 양과 유연물질의 양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느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상기 GLP-1 유도체 제제가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가짐을 시사한다.
비교예 5.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 desB30 인간 인슐린(대조 화합물 5)
Figure pct00022
1.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 desB30 인간 인슐린의 제조
A14E, B16H, B25H, desB30 인간 인슐린은 인슐린 유사체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자세한 내용은 문헌[Glendorf T, Sørensen AR, Nishimura E, Pettersson I, & Kjeldsen T: Importance of the Solvent-Exposed Residues of the Insulin B Chain α-Helix for Receptor Binding; Biochemistry, 2008, 47:4743-4751]을 참조). A14E, B16H, B25H, desB30 인간 인슐린(5g, 0.888mmol)을 100mM Na2HPO4수용액(150mL)에 용해시키고 아세토나이트릴(100mL)을 첨가하였다. pH는 1N NaOH로 10 내지 12.5로 조정되었다.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0.948g, 0.976mmol)를 아세토나이트릴(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인슐린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pH 값은 10 내지 12.5로 유지되었다. 120분 후, 반응 혼합물을 물(150mL)에 첨가하고, 1N 수성 HCl을 이용하여 pH 값을 5.0으로 조정하였다.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고 동결건조시켰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0mL) 및 디클로로메탄(60mL)의 혼합 용액에 동결건조된 조생성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약 30mL로 농축시키고, 얼음처럼 차가운 n-헵탄(300mL)에 붓고,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를 통해 단리하고 n-헵탄으로 2회 세척하였다. 얻어진 침전물을 진공에서 건조하고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Resource Q, 42.5% 에탄올, pH 7.5에서 0.25% 내지 1.25% 암모늄 아세테이트 구배) 및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아세토니트릴, 물, TFA)로 정제했다. 정제된 분획을 합하고 1N HCl로 pH값을 5.2로 조절하고 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대조 화합물 5를 얻었다.
LC-MS(ESI): m/z = 1063.6852[M+6H]6+
2. 중간체 tert -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의 제조: 실시예 1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함.
2.1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OSu
에이코산디오익산 모노-tert-부틸 에스터(20g, 50.17mmol) 및 NHS(5.77g, 50.17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에서 혼합하고, 트리에틸아민(13.95m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탁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DCC(11.39g, 55.19mmol)를 첨가하고 하루밧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OSu(24.12g, 수율 97%)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496.36(M+1)+
2.2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OSu(24.12g, 48.66mmol)를 디클로로메탄(2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고 H-Glu-OtBu(10.88g, 53.53mmol), 트리에틸아민(12.49mL) 및 물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시켜 맑은 용액을 얻은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10% 구연산 수용액(200mL)을 첨가하여 분액시켰다. 하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하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 --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27.27g, 수율 96%)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584.44(M+1)+
2.3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tBu(27.27g, 46.71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3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11.99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NHS(5.38g, 50.17mmol)를 첨가한 다음, DCC(10.60g, 51.38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Tert-부틸 메틸 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진공에서 여과하였다. 필터 케이크를 하룻밤 동안 진공에서 건조하여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25.76g, 수율 81%)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681.46(M+1)+
2.4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OSu)-OtBu(25.76g, 37.83mmol)를 디클로로메탄(250mL)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교반하고 2×AEEA(11.66g, 37.83mmol), 트리에틸아민(9.71mL) 및 물(25mL)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시켜 맑은 용액을 얻은 다음,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용액에 10% 구연산 수용액(200mL)을 첨가하여 분액시켰다. 하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하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였다.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30.75g, 수율 93%)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874.59(M+1)+
2.5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OtBu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H)-OtBu(30.75g, 35.18mmol)를 질소 분위기 하에 디클로로메탄(300mL)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9.03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고, NHS(4.05g, 35.18mmol)를 첨가한 다음, DCC(7.98g, 38.70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하룻밤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냉수 및 에틸 아세테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20분 동안 교반한 후 분액하였다. 상부 유기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척하고, 분액 후 상부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여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하에서 거의 건조될 때까지 농축하고 하룻밤 동안 진공하 건조하여 tert-뷰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OSu)(31.09g, 수율 91%)를 얻었다.
LC-MS(Scie×100API): m/z = 971.61(M+1)+
실시예 21.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1)
Figure pct00023
화합물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은 비교예 5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160.3997[M+6H]6+
중간체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OSu)-OtBu는 비교예 5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1551.90(M+1)+
실시예 22.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2)
Figure pct00024
화합물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은 비교예 5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165.0674[M+6H]6+
중간체 tert-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6×OEG-OSu)-OtBu는 비교예 5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1579.94(M+1)+
실시예 23.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3)
Figure pct00025
화합물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은 비교예 5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305.4716[M+6H]6+
중간체 tert-부틸 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OSu)-OtBu는 비교예 5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2423.35(M+1)+
실시예 24.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4)
Figure pct00026
화합물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은 비교예 5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310.1425[M+6H]6+
중간체 tert-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12×OEG-OSu)-OtBu는 비교예 5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2451.38(M+1)+
실시예 25. GLP-1 수용체 결합
해당 실시예는 체외 수용체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결합 친화도, 및 알부민의 존재가 결합에 잠재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테스트하려는 것이었다. 수용체 결합은 인간 GLP-1 수용체에 대한 GLP-1 유도체의 친화도를 측정한 것이다.
인간 GLP-1 수용체에 대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 및 대조 화합물의 결합 친화도는 하기와 같이 확인되었다: 이들의 수용체에서의 125I-GLP-1을 치환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알부민(HSA)에 대한 GLP-1 유도체의 결합을 확인하기 위해 저농도 알부민(0.005%(w/v)) 및 고농도 알부민(2%(w/v))을 사용하였다. 결합 친화도 IC50의 변화는 GLP-1 유도체가 알부민에 결합함으로써, 동물 모델에서 GLP-1 유도체의 잠재적으로 연장된 약동학 프로파일을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농도 HSA(0.005%(w/v))의 존재하에서 수용체 결합 테스트의 경우, 50μL의 검정 완충제를 검정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고농도 HSA(2%(w/v))의 존재하에 수용체 결합 테스트의 경우, 8%(w/v)의 알부민 스톡 용액 50μL를 검정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테스트 화합물을 pH 값 7.3에서 10mM Na2HPO4로 제형화하였고, 참조 대조군 GLP-1(7-37)을 초순수를 포함하는 1mM 스톡 용액으로서 제조하였다. 0.005% HSA의 존재 하에, 모든 테스트 화합물 및 참조 대조군을 검정 완충제를 이용하여 2μM로 희석한 다음, 모든 샘플을 총 10개의 농도 구배의 4배 연속 구배 희석액에서 희석하였다. 2% HSA의 존재 하에, 참조 대조군 GLP-1(7-37)을 2μM로 희석하고, 리라글루타이드를 20μM로 희석하고, 화합물 10 및 세마글루타이드를 800μM로 희석하였으며, 그 다음 모든 샘플을 총 10개 농도 구배의 4배 연속 구배에서 희석하였다. 상이한 농도의 25μL의 테스트 화합물 또는 참조 대조군을 각각 검정 플레이트의 적절한 웰에 첨가하였다. 세포막 단백질 분취액을 해동시키고 작업 농도(40μg/mL)로 희석하고 세포막 함유 용액 50μL를 검정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인큐베이션은 검정 플레이트의 각 웰에 600pM의 [125I]-GLP-1 25μL를 첨가함으로써 시작되었다. 검정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반응 용액을 세포 수집기를 사용하여 GF/C 필터 플레이트에 수집하고, 세척 완충제로 6회 세척하고, 50°C 하 건조 오븐 중 1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50μL의 신틸레이션 용액을 첨가하여 차단하고 Microbeta2를 사용하여 값을 읽었다. IC50 값은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의 비선형 회귀 분석에 의해 계산되었고 nM으로 보고되었다. 이는 각 테스트 화합물에 대해 적어도 3회 수행되었다. 보고된 값은 각 테스트 화합물에 대한 모든 측정값의 평균이다.
[표 8] GLP-1 수용체에 대한 결합 친화도
Figure pct00027
"비율"은 [(IC50/nM) 고농도 HSA]/[(IC50/nM) 저농도 HSA]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GLP-1 수용체에 대한 결합은 낮은 IC50 값에 상응하는 낮은 알부민 농도에서 일어나야 좋다. 높은 알부민 농도에서의 IC50 값은 알부민이 GLP-1 수용체에 대한 GLP-1 유도체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GLP-1 유도체는 또한 알부민에 결합하는데, 이는 종종 이들의 혈장 수명을 연장시키는 바람직한 영향이다. 따라서, 높은 알부민 농도에서의 IC50 값은 일반적으로 낮은 알부민 농도에서의 IC50 값보다 더 높으며, 이는 GLP-1 수용체 결합과 경쟁하는 알부민 결합으로 인해 GLP-1 수용체에 대한 결합이 감소됨을 상응한다.
따라서 높은 비율(IC50값(고농도 알부민)/IC50값(저농도 알부민))은 관심 유도체가 알부민과 잘 결합하고(따라서 긴 반감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음) GLP-1 수용체에도 잘 결합한다(높은 IC50 값(고농도 알부민), 낮은 IC50 값(저농도 알부민))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위 표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의 비율이 대조 화합물인 세마글루타이드, 리라글루타이드 및 GLP-1(7-37)의 비율보다 높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화합물이 더 긴 반감기를 갖고 GLP-1 수용체에 잘 결합함을 시사한다.
실시예 26. II형 당뇨병이 있는 db/db 마우스에 대한 장기적 약력학 연구
사용된 대조 화합물이 300μg/kg의 용량으로 투여된 둘라글루타이드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실험 절차에 의해 II형 당뇨병이 있는 db/db 마우스에 대해 장기적 약력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GLP-1 유도체는 0일, 3일, 6일, 9일, 12일, 15일, 18일, 21일, 24일, 27일 및 30일 오전 10시경(시간 0)에 목 뒤쪽에 피하 주사(s.c, 50μL/10g 체중)로 투여되었다. 마우스의 혈당을 최초 투여 후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평가하여 혈당-시간 곡선 아래 면적(ΔAUC)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마우스를 투여 전과 3회, 5회, 11회 투여 후 48시간에 6시간 동안 금식시켜 공복 혈당을 모니터링하였다. 복강내 포도당 내성 검사(ipGTT)는 첫 투여 후 48시간에 수행되었으며 단계는 하기와 같다: 공복 혈당을 확인하기 위해 표시된 시점(0분)에 꼬리 끝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한 다음, 포도당 용액(200mg/mL, 10mL/kg)을 복강내 투여하고, 그런 다음 혈당 부하 후 30분, 60분 및 120분에 혈당을 확인하였다. 각 마우스의 꼬리를 알코올솜으로 깨끗이 닦고 일회용 채혈바늘을 사용하여 꼬리로부터 핏방울을 채취하여, 혈당계(Roche)와 테스트 스트립으로 측정하였다. 혈당-시간 곡선을 플롯팅하고 곡선 아래 면적(AUC)을 계산하였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장기적 투여 후에도 놀랍게 개선된 혈당 강하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1의 화합물 10은 투여 후 둘라글루타이드에 비해 db/db 마우스에 대한 혈당 강하 효과가 더 우수하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 10은 장기적 투여 후 둘라글루타이드에 비해 db/db 마우스에 대한 혈당 강하 효과가 더 우수하다. 도 10d 내지 도 10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는 둘라글루타이드에 비해 혈당에 대한 억제 효과가 더 현저하고, 둘라글루타이드에 비해 혈당 강하 효과가 더 우수하다.
실시예 27.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에 대한 약력학적 연구
사용된 대조 화합물이 300μg/kg의 용량으로 투여된 둘라글루타이드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실험 절차에 의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C57BL 마우스에 대해 약력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투여는 3일에 1회, 총 11회 목 뒤쪽에 피하 투여(s.c., 5μL/g 체중)로 수행하였다. 오전 10시 30분경(시간 0)에 GLP-1 유도체를 투여하고, 투여 후 3시간, 6시간, 9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에 마우스의 혈당을 평가하였다. 한편, 마우스의 체중 및 식이 섭취를 3일마다 모니터링하였다. 피하 지방, 신장 주변 지방 및 생식기 주변 지방의 무게는 실험 종료 시 측정되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GLP-1 유도체가 놀랍게 개선된 체중 감소, 식이 조절 및 지방 감소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실시예 28.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5)
Figure pct00028
화합물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xOEG), desB30 인간 인슐린을 실시예 6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하였다.
LC-MS(ESI): m/z = 1585.98[M+5H]5+
중간체 tert -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12×OEG-OSu)-OtBu는 실시예 6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2451.38(M+1)+
실시예 29.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8×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6)
Figure pct00029
화합물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8×OEG), desB30 인간 인슐린은 비교예 5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247.47[M+7H]7+
중간체 tert-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18×OEG-OSu)-OtBu는 비교예 5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3320.83(M+1)+
실시예 30.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24×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7)
Figure pct00030
화합물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24×OEG), desB30 인간 인슐린은 비교예 5의 섹션 1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873.35[M+11H]11+
중간체 tert-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24×OEG-OSu)-OtBu는 비교예 5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4192.27(M+1)+
실시예 31.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O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8)
Figure pct00031
화합물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OEG), desB30 인간 인슐린을 실시예 6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하였다.
LC-MS(ESI): m/z = 1266.8122[M+5H]5+
중간체 tert -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OEG-OSu)-OtBu는 실시예 6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854.57(M+1)+
실시예 32.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PEG), desB30 인간 인슐린(화합물 19)
Figure pct00032
화합물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PEG), desB30 인간 인슐린은 실시예 6의 섹션 2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ESI): m/z = 1354.8667[M+5H]5+
중간체 tert -부틸 도코산디오일-γGlu-(12×PEG-OSu)-OtBu는 실시예 6의 섹션 3에 기재된 것과 유사한 절차에 의해 제조되었다.
LC-MS(Scie×100API): m/z = 1294.83(M+1)+
본 발명은 이미 이상 실시예에 의해 예시되었지만, 이상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 설명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기재된 실시예의 범위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외, 본 발명은 위에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고, 많은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의 동등물에 의해 정의된다.
<110> GAN & LEE PHARMACEUTICALS CO., LTD. <120> LONG-ACTING GLP-1 COMPOUNDS <130> IEC220271PCT <150> 201911397405.2 <151> 2019-12-30 <150> 202011053306.5 <151> 2020-09-29 <160> 17 <170> SIPOSequenceListing 1.0 <210> 1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 His Al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Lys Gly Arg Gly 20 25 30 <210> 2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2 His Gly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Arg Gly Arg Gly 20 25 30 <210> 3 <211> 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3 His Ala Glu Gly Thr Phe Thr Ser Asp Val Ser Ser Tyr Leu Glu Gly 1 5 10 15 Gln Ala Ala Lys Glu Phe Ile Ala Trp Leu Val Arg Gly Arg Gly 20 25 30 <210> 4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4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Tyr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Asn 20 <210> 5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5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Pro Lys 20 25 <210> 6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6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Glu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Asn 20 <210> 7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7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His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His Tyr Thr Pro Lys 20 25 <210> 8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8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Glu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Asn 20 <210> 9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9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Glu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His Tyr Thr Pro Lys 20 25 <210> 10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0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Tyr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Asn 20 <210> 11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1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Pro Lys Thr 20 25 30 <210> 12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2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Tyr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Gly 20 <210> 13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3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Pro Lys Thr 20 25 30 <210> 14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4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Tyr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Gly 20 <210> 15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5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Pro Lys 20 25 <210> 16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6 Gly Ile Val Glu Gln Cys Cys Thr Ser Ile Cys Ser Leu Tyr Gln Leu 1 5 10 15 Glu Asn Tyr Cys Asn 20 <210> 17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400> 17 Phe Val Asn Gln His Leu Cys Gly Ser His Leu Val Glu Ala Leu Tyr 1 5 10 15 Leu Val Cys Gly Glu Arg Gly Phe Phe Tyr Thr Asp Lys Thr 20 25 30

Claims (25)

  1. 식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아마이드 또는 에스터로서,
    [Acy-(L1)r-(L2)q]-G1 (B),
    여기서 G1은 각각 GLP-1(7-37)(서열 번호 1)의 위치 34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Arg, 및 위치 8에 상응하는 위치에 있는 Ala 또는 Gly를 갖는 GLP-1 유사체이며, [Acy-(L1)r-(L2)q]는 상기 GLP-1 유사체의 위치 26에 있는 상기 Lys 잔기의 ε 아미노기에 연결된 치환기이고, 여기서
    r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q는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Acy는 20개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 이산이며, 여기서 형식적으로 하이드록실기는 이미 상기 지방 이산의 카복실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었고;
    L1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γGlu, αGlu, βAsp, αAsp, γ-D-Glu, α-D-Glu, β-D-Asp 및 α-D-Asp;
    L2는 중성적 및 알킬렌 글리콜이 함유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Acy, L1 및 L2는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및
    상기 식(B)에서 L1 및 L2의 발생 순서는 독립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있는,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여기서,
    G1은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서열번호 2) 또는 [Arg34]GLP-1-(7-37) 펩타이드(서열번호 3), 바람직하게는 [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이고; 및/또는
    r은 1, 2, 3, 4, 5 또는 6이고; 바람직하게는, r은 1, 2, 3 또는 4이고; 바람직하게는, r은 1 또는 2이고; 바람직하게는, r은 1이고; 및/또는
    q는 0, 1, 2, 3, 4, 5, 6, 7 또는 8이고; 바람직하게는, q는 0, 1, 2, 3 또는 4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q는 0, 1 또는 2이고; 및/또는
    Acy는 20개 내지 2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고; 바람직하게는, Acy는 20, 21 또는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인,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여기서,
    L2는 -HN-(CH2)2-O-(CH2)2-O-CH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3-O-(CH2)4-O-(CH2)3-NH-CO-, -HN-(CH2)3-O-(CH2)4-O-(CH2)3-NH-CO-CH2-O-CH2-CO-, -HN-(CH2)3-O-(CH2)4-O-(CH2)3-NH-CO-(CH2)2-CO-, -HN-(CH2)2-O-(CH2)2-O-CH2-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2-O-(CH2)2-O-(CH2)2-NH-CO-(CH2)2-CO-, -HN-(CH2)2-O-(CH2)2-O-(CH2)2-NH-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3-O-(CH2)3-O-CH2-CO-, 또는 -HN-(CH2)4-O-(CH2)4-O-CH2-CO-이고; 바람직하게는, L2는 -HN-(CH2)2-O-(CH2)2-O-CH2-CO-이고; 및/또는
    L1은 γGlu 및 βAsp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L1은 γGlu이고; 및/또는
    Acy는 HOOC-(CH2)18-CO-, HOOC-(CH2)19-CO-, HOOC-(CH2)20-CO-, HOOC-(CH2)21-CO- 또는 HOOC-(CH2)22-CO-이고; 바람직하게는, Acy는 HOOC-(CH2)18-CO-, HOOC-(CH2)20-CO- 또는 HOOC-(CH2)22-CO-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B)에서 상기 Acy, L1 및 L2는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L2의 상기 C-말단은 상기 GLP-1 유사체의 위치 26에 있는 상기 Lys 잔기의 상기 ε 아미노기에 연결된,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26-[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3-카복시트리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0-카복시에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및
    N26-(22-카복시도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하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26-[2-(2-[2-(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N26-(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Arg34]GLP-1-(7-37) 펩타이드,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및
    N26-[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완충제, 보존제, 등장제, 안정화제 및 킬레이트제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완충제, 보존제 및 등장제인, 약제학적 제제.
  8.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장제는 염화나트륨, 프로필렌 글리콜, 만니톨, 소르비톨, 글리세롤, 글루코스 및 자일리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장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만니톨 또는 염화나트륨이고; 및/또는
    상기 보존제는 페놀, m-크레졸, 메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페녹시에탄올, 뷰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페닐에탄올 및 벤질 알코올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존제는 페놀 또는 m-크레졸이고; 및/또는
    상기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시트레이트, 글리실글리신, 히스티딘, 글리신, 라이신, 아르지닌, 인산이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나트륨 및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레이트, 인산이수소나트륨 또는 인산수소이나트륨인, 약제학적 제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약 6.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9.5,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 약제학적 제제.
  10. 약제학적 제제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약 0.1mM 내지 1.2mM, 바람직하게는 약 0.2mM 내지 1mM, 바람직하게는 약 0.3mM 내지 0.7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48mM 내지 0.6mM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약 10mM 내지 1500mM, 바람직하게는 약 13mM 내지 800mM, 바람직하게는 약 65mM 내지 400mM, 바람직하게는 약 90mM 내지 240mM, 바람직하게는 약 150mM 내지 250mM, 바람직하게는 약 180mM 내지 20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83mM 내지 195mM의 등장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장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만니톨 및 염화나트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약 1mM 내지 200mM, 바람직하게는 약 5mM 내지 150mM, 바람직하게는 약 10mM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약 20mM 내지 85mM, 바람직하게는 약 30mM 내지 75mM, 바람직하게는 약 45mM 내지 6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mM 내지 60mM의 보존제;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존제는 페놀 및 m-크레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약 3mM 내지 35mM, 바람직하게는 약 5mM 내지 2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mM 내지 1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mM 내지 10mM의 완충제; 여기서 상기 완충제는 아세트산나트륨, 시트레이트, 인산이수소나트륨 및 인산수소이나트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되고; 및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6.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9.5,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 약제학적 제제.
  11. 약제학적 제제로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0.3mM 내지 0.7mM, 바람직하게는 약 0.48mM 내지 0.6mM,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약 180mM 내지 200mM, 바람직하게는 약 183mM 내지 195mM의 프로필렌 글리콜;
    약 45mM 내지 60mM, 바람직하게는 약 50mM 내지 60mM의 페놀;
    약 5mM 내지 15mM 완충제, 바람직하게는 약 7mM 내지 10mM의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및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6.5 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3의 pH 값을 갖는, 약제학적 제제.
  12. 약제학적 제제로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0.5mM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약 184mM의 프로필렌 글리콜;
    약 58.5mM의 페놀;
    약 10mM의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및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6.5 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 약제학적 제제.
  13. 약제학적 제제로서,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2.0mg/mL N26-[2-(2-[2-(2-[2-(2-[4-(21-카복시헤네이코사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또는 N26[2-(2-[2-(4-[19-카복시노나데카노일아미노]-4(S)-카복시부타노일아미노)에톡시]에톡시)아세틸][Gly8, Arg34]GLP-1-(7-37) 펩타이드;
    약 14mg/mL의 프로필렌 글리콜;
    약 5.5mg/mL의 페놀;
    약 1.42mg/mL의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하고; 및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 6.5 내지 약 8.5,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8.1,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7.3 내지 약 8.1의 pH 값을 갖는, 약제학적 제제.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과 아실화된 인슐린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실화된 인슐린은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2×OEG), desB30 인간 인슐린; 또는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PEG), desB30 인간 인슐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실화된 인슐린은 인슐린 모체가 천연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라이신 잔기를 포함하고, 아실 모이어티는 상기 라이신 잔기의 아미노기 또는 상기 인슐린 모체의 N-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연결되는 아실화된 인슐린이며, 상기 아실 모이어티는 하기 식(A)로 표시되고:
    III-(II)m-(I)n- (A),
    여기서,
    m은 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5 내지 30(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의 정수이고;
    I은 중성적 및 알킬렌 글리콜이 함유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II는 산성 아미노산 잔기이고;
    III은 20개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 이산이며, 여기서 형식적으로 하이드록실기는 이미 상기 지방 이산의 카복실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었고;
    III, II 및 I은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및
    상기 식(A)에서 II 및 I의 발생 순서는 독립적으로 상호 교환될 수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여기서,
    n은 5 내지 15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9, 10, 11, 12, 13 또는 14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9, 10, 11 또는 12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9 또는 10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8 또는 9이고; 바람직하게는, n은 5, 6, 7 또는 8이고; 및/또는
    m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m은 1, 2, 3 또는 4이고; 바람직하게는, m은 1 또는 2이고; 바람직하게는 m은 1이고; 및/또는
    III은 20개 내지 2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고; 바람직하게는, III은 20개, 21개 또는 2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지방 이산이며, 여기서 형식적으로 하이드록실기는 이미 상기 지방 이산의 카복실기들 중 하나로부터 제거되었고; 및/또는
    상기 인슐린 모체는 하나의 라이신 잔기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여기서,
    I은 -HN-(CH2)2-O-(CH2)2-O-CH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O-(CH2)2-CO-, -HN-(CH2)3-O-(CH2)4-O-(CH2)3-NH-CO-, -HN-(CH2)3-O-(CH2)4-O-(CH2)3-NH-CO-CH2-O-CH2-CO-, -HN-(CH2)3-O-(CH2)4-O-(CH2)3-NH-CO-(CH2)2-CO-, -HN-(CH2)2-O-(CH2)2-O-CH2-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2-O-(CH2)2-O-(CH2)2-NH-CO-(CH2)2-CO-, -HN-(CH2)2-O-(CH2)2-O-(CH2)2-NH-CO-CH2-O-CH2-CO-, -HN-(CH2)3-O-(CH2)2-O-(CH2)2-O-(CH2)3-NH-CO-CH2-O-CH2-CO-, -HN-(CH2)3-O-(CH2)3-O-CH2-CO-, 또는 -HN-(CH2)4-O-(CH2)4-O-CH2-CO-이고; 바람직하게는, I은 -HN-(CH2)2-O-(CH2)2-O-CH2-CO-이고; 및/또는
    II는 하기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 잔기이고: γGlu, αGlu, βAsp, αAsp, γ-D-Glu, α-D-Glu, β-D-Asp 및 α-D-Asp; 및/또는
    III은 HOOC-(CH2)18-CO-, HOOC-(CH2)19-CO-, HOOC-(CH2)20-CO-, HOOC-(CH2)21-CO- 또는 HOOC-(CH2)22-CO-인, 약제학적 조성물.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여기서 식(A)는 I의 상기 C-말단을 통해 상기 라이신 잔기의 아미노기 또는 상기 인슐린 모체의 N-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연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 모이어티는 상기 인슐린 모체의 상기 라이신 잔기의 ε 아미노기에 연결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모체의 상기 라이신 잔기는 위치 B29에 있는, 약제학적 조성물.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린 모체는 하기 인슐린 또는 인슐린 유사체: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desB30 인간 인슐린; 인간 인슐린; A21G 인간 인슐린; A21G, desB30 인간 인슐린; 및 B28D 인간 인슐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실화된 인슐린은 하기 인슐린으로 선택되고: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6×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5×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8×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7×OEG-γGlu-γGlu),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βAspβAsp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Glu-α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αAsp-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E, B25H,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헤네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트리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테트라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8×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및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24×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실화된 인슐린은 하기 인슐린으로부터 선택되고: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eicosanedioyl-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7×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9×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1×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및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8×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실화된 인슐린은 하기 인슐린으로부터 선택되고: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5×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8×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및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실화된 인슐린은 하기 인슐린으로부터 선택되고: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6×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A14E, B16H, B25H, B29K(N(ε)-에이코산디오일-γGlu-10×OEG), desB30 인간 인슐린; 및 A14E, B16H, B25H, B29K(N(ε)-도코산디오일-γGlu-12×OEG), desB30 인간 인슐린인, 약제학적 조성물.
  22. 약제로서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23. 고혈당증,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
  24. 고혈당증,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의 있어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용도.
  25. 고혈당증,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제제 또는 제14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혈당증, 당뇨병 및/또는 비만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방법.
KR1020227026310A 2019-12-30 2020-12-29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KR20220119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97405.2 2019-12-30
CN201911397405 2019-12-30
CN202011053306 2020-09-29
CN202011053306.5 2020-09-29
PCT/CN2020/141057 WO2021136303A1 (zh) 2019-12-30 2020-12-29 长效glp-1化合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731A true KR20220119731A (ko) 2022-08-30

Family

ID=7668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6310A KR20220119731A (ko) 2019-12-30 2020-12-29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4086277A4 (ko)
JP (1) JP2023510218A (ko)
KR (1) KR20220119731A (ko)
CN (1) CN114901680A (ko)
AU (1) AU2020418207A1 (ko)
BR (1) BR112022013042A2 (ko)
CA (1) CA3166496A1 (ko)
MX (1) MX2022008139A (ko)
WO (1) WO2021136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9395A1 (en) 2021-01-20 2022-07-28 Viking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and liver disorders
TW202333773A (zh) * 2021-11-12 2023-09-01 大陸商福建盛迪醫藥有限公司 Glp-1受體和gip受體雙重激動劑的醫藥組成物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199391A (en) 1981-01-02 1985-12-13 Genentech Inc Chimeric polypeptides comprising a proinsulin sequence,and preparation by recombinant dna technique;production of human insulin
DK58285D0 (da) 1984-05-30 1985-02-08 Novo Industri As Peptider samt fremstilling og anvendelse deraf
PH25772A (en) 1985-08-30 1991-10-18 Novo Industri As Insulin analogu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DK336188D0 (da) 1988-06-20 1988-06-20 Nordisk Gentofte Propeptider
KR910700262A (ko) 1988-12-23 1991-03-14 안네 제케르 사람 인슐린 유사체
PT93057B (pt) 1989-02-09 1995-12-29 Lilly Co Eli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analogos da insulina
WO1995007931A1 (en) 1993-09-17 1995-03-23 Novo Nordisk A/S Acylated insulin
AU1272295A (en) 1993-12-17 1995-07-03 Novo Nordisk A/S Proinsulin-like compounds
US6500645B1 (en) 1994-06-17 2002-12-31 Novo Nordisk A/S N-terminally extended proteins expressed in yeast
KR0150565B1 (ko) 1995-02-15 1998-08-17 김정재 유전자 조환에 의한 사람 인슐린 전구체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인슐린의 제조방법
IL118127A0 (en) 1995-05-05 1996-09-12 Lilly Co Eli Single chain insulin with high bioactivity
CA2264243C (en) 1996-08-30 2004-10-05 Novo Nordisk A/S Glp-1 derivatives
AU3247799A (en) 1998-02-27 1999-09-15 Novo Nordisk A/S Glp-1 derivatives of glp-1 and exendin with protracted profile of action
TWI372629B (en) 2005-03-18 2012-09-21 Novo Nordisk As Acylated glp-1 compounds
WO2009022005A1 (en) * 2007-08-15 2009-02-19 Novo Nordisk A/S Insulin analogues with an acyl and alkylene glycol moiety
WO2009022006A1 (en) * 2007-08-15 2009-02-19 Novo Nordisk A/S Insulins with an acyl moiety comprising repeating units of alkylene glycol containing amino acids
WO2009030771A1 (en) * 2007-09-05 2009-03-12 Novo Nordisk A/S Peptides derivatized with a-b-c-d- and their therapeutical use
WO2009030774A1 (en) * 2007-09-05 2009-03-12 Novo Nordisk A/S Truncated glp-1 derivatives and their therapeutical use
CN102037008B (zh) * 2008-03-18 2016-08-31 诺沃-诺迪斯克有限公司 蛋白酶稳定化的、酰化胰岛素类似物
WO2017205191A1 (en) * 2016-05-24 2017-11-30 Merck Sharp & Dohme Corp. Insulin receptor partial agonists and glp-1 analogues
CN109248323B (zh) * 2017-07-14 2023-09-08 杭州先为达生物科技有限公司 酰化的glp-1衍生物
WO2019200594A1 (zh) * 2018-04-19 2019-10-24 杭州先为达生物科技有限公司 酰化的glp-1衍生物
MX2022008174A (es) * 2019-12-30 2022-08-02 Gan & Lee Pharmaceuticals Co Ltd Derivado de insulin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2013042A2 (pt) 2022-10-18
JP2023510218A (ja) 2023-03-13
MX2022008139A (es) 2022-10-03
WO2021136303A1 (zh) 2021-07-08
EP4086277A1 (en) 2022-11-09
CA3166496A1 (en) 2021-07-08
AU2020418207A1 (en) 2022-08-25
CN114901680A (zh) 2022-08-12
EP4086277A4 (en)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901681B (zh) 胰岛素衍生物
US8536122B2 (en) Acylated GLP-1 compounds
US9409966B2 (en) Glucagon-like peptide-1 derivatives and their pharmaceutical use
US9012398B2 (en) Acylated exendin-4 compounds
ES2548304T3 (es) Análogos de la insulina que contienen una fracción acilo y alquilenglicol
DK2254906T3 (en) Protease-stabilized acylated insulin analogues
US20080207507A1 (en) Extended Glp-1 Compounds
US20100261637A1 (en) Peptides derivatized with a-b-c-d- and their therapeutical use
RU2684456C2 (ru) 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инсули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медицине
US20100292133A1 (en) Truncated glp-1 derivaties and their therapeutical use
JP2007537142A (ja) アルブミン様物質に結合した新規のglp−1類似物
KR20220119731A (ko) 장기 지속형 glp-1 화합물
AU2022300061A1 (en) Acylated insulin-contain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N114901682B (zh) 胰岛素衍生物
WO2023143458A1 (zh) 酰化胰岛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