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66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664A
KR20220117664A KR1020210021299A KR20210021299A KR20220117664A KR 20220117664 A KR20220117664 A KR 20220117664A KR 1020210021299 A KR1020210021299 A KR 1020210021299A KR 20210021299 A KR20210021299 A KR 20210021299A KR 20220117664 A KR20220117664 A KR 20220117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space
dispenser
dishwash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병현
정창윤
김정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664A/ko
Priority to PCT/KR2022/000764 priority patent/WO2022177171A1/ko
Publication of KR2022011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압출하는 세척펌프; 상기 세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향해 개구된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암; 및 상기 분사암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제가 투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경로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세척조의 벽면을 향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가이드를 통해 디스펜서 내로 안내함으로써,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의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수용된 세척대상에 세척수 및 스팀을 분사하여, 세척대상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세척조 내에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암 및 세척수에 용해되는 세제가 수용되는 디스펜서가 배치된다.
분사암은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하고, 복수의 분사노즐 중 일부는 세척조의 벽면에 배치된 디스펜서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하지만,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이 세척대상이 아닌 디스펜서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세척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분사암이 회전 및 상하이동됨에 따라, 세척수가 세척대상과 디스펜서가 아닌 세척조의 벽면을 무의미하게 타격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소음을 발생시키고, 낭비되는 양이 과도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세제의 용해효율이 증가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낭비되는 세척수의 양이 줄어든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척효율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 디스펜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압출하는 세척펌프; 상기 세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향해 개구된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암; 및 상기 분사암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제가 투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경로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가이드에 의해 세제가 배치된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분사암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공간의 하측경계면은, 상기 분사암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및 상기 공간의 하측경계면은, 상기 분사암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가 경사진 각도는 상기 하측경계면이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공간의 하측경계면과 상기 가이드 사이의 폭은, 상기 공간의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커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분사암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상기 분사암의 상측에 안착된 세척대상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분사암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분사암의 외측단부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상기 세척조 내에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을 개방하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조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세척조의 벽면을 향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가이드를 통해 디스펜서 내로 안내함으로써,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가이드를 통해 세척수가 디스펜서 내에 배치된 세제로 분사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세제의 용해효율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분사암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세척대상 혹은 세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되도록 안내하여, 낭비되는 세척수의 양이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넷째,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방향을 조절하여 세제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세척효율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디스펜서의 커버에 가이드를 돌출시킴으로써, 디스펜서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종단면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식기세척기의 내부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7a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에 따른 분사암 및 디스펜서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사암과 디스펜서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우선 설명한다. 도 1은, 식기세척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식기세척기(1)는, 내부에 세척대상을 수용하는 세척조(100)(도 2참조)가 형성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식기세척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고, 사각기둥형일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방은 개구될 수 있고, 캐비닛(10)의 개구된 부위로 세척대상을 세척조(100)로 투입할 수 있다.
도어(20)는, 캐비닛(10)의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20)는 상기 개구된 부위를 폐쇄하여 세척조(100)를 밀폐시킬 수 있고,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하여 세척조(100)를 캐비닛(10)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20)의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바디(21)와; 도어바디(21)의 하측에 연결되는 하부도어(22)와; 도어바디(21)와 하부도어(22)를 연결하는 링크(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바디(21)는, 링크(23)를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바디(21)는, 링크(23)를 회전축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캐비닛(10)의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바디(2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시켰을 때, 세척조(100)의 세척공간(100S)은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하부도어(22)는,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도어(22)는, 도어바디(21)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도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링크(23)는, 하부도어(22)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될 수 있다. 링크(23)는, 도어바디(21)와 하부도어(22)를 연결할 수 있고, 도어바디(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도어(20)는, 하부도어(22)와 링크(23) 없이 단일의 도어바디(2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어(20)는, 도어(20)의 내측에 배치된 힌지(2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세척공간(100S)을 외부와 연통시키거나, 세척공간(100S)을 밀폐시킬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도어(20)의 상측에 연결되는 컨트롤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식기세척기(1)의 구동정보를 표시하고, 식기세척기(1)의 행정코스를 선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도어(20)에 연결되어, 도어(2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도어바디(21)와 연결되어 도어바디(21)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은, 전방으로 이동되어 캐비닛(10)의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컨트롤패널(3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구된 부위를 개방시켰을 때, 세척공간(100S)은 캐비닛(10)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1)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를 상하방향으로 절개하여 측방에서 투시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세척조(100)는, 세척대상이 수용되고, 세척수가 분사된다. 세척조(1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공간(100S)을 형성한다.
세척조(100)의 하측에는,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구동부(200)가 배치된다. 구동부(20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후술할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구조물들이 배치되는 구동공간(200S)을 형성한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상부랙(110)과, 상부랙(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대상이 안착되는 하부랙(120)이 배치될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상부랙(110) 및 하부랙(120)에 안착된 세척대상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가 배치될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랙(110, 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상일 수 있고, 랙(110, 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랙(110, 120)과 나란하게 배치된 두 종류의 프레임이 교차되어 형성된 십자가형상일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을 가질 수도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튜브(Tube)의 형상을 가지고 상부랙(110)의 하측 또는 하부랙(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튜브(150, 160, 170)는, 십자가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분사암"으로 이름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는, 하부랙(120)의 하측에 배치된 로어분사튜브(150)와; 상부랙(110)과 하부랙(120) 사이에 배치된 어퍼분사튜브(160)와; 상부랙(110)의 상측에 배치된 탑분사튜브(17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 및 어퍼분사튜브(160)는, "분사암"으로 이름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 각각은, 세척펌프(22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구동부(200)로부터 연장된 제 1분사관(130) 및 제 2분사관(1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분사관(130)은, 전환밸브(24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어퍼분사튜브(16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분사관(140)은, 전환밸브(24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고, 탑분사튜브(17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160)는 제 1분사관(130)과 연결되어, 제 1분사관(13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탑분사튜브(170)는 제 2분사관(140)과 연결되어, 제 2분사관(14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제 1분사관(130) 및 제 2분사관(140)을 각각 구비하지 않고, 단일의 제 2분사관(140)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어퍼분사튜브(160)와 탑분사튜브(170)는, 제 2분사관(140)에 각각 연결되어, 제 2분사관(14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전환밸브(240)를 통해 제 2분사관(140)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어퍼분사튜브(160)와 탑분사튜브(170)로 각각 분배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전환밸브(240)와 연결되어, 전환밸브(240)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세척조(100)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상하축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하부랙(120)의 하부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로어분사튜브(150)는, 복수개의 로어분사노즐(151)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분사노즐(151)은, 세척공간(100s)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하부랙(120)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분사암)(160)는, 세척조(100)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상하축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되어, 상부랙(110)의 하부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어퍼분사튜브(160)는, 복수개의 어퍼분사노즐(161)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분사노즐(161)은, 세척공간(100s)을 향해 개구될 수 있고, 상부랙(110) 및 디스펜서(300)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로어분사노즐(151)과 어퍼분사노즐(161)은, "분사노즐"로 이름될 수 있다.
탑분사튜브(170)는, 세척조(100)의 상측에 회전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고, 세척조(100) 내부를 향해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할 수 있다.
세척조(100) 내부에는, 세척조(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분사노즐(180)이 배치된다. 스팀분사노즐(180)은 도어(20)에 인접한 세척조(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80)은, 하부랙(12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팀분사노즐(180)은, 구동부(200)의 세척펌프(220)와 연결되어, 세척펌프(220)에서 발생된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세척공간(100S)은, 세척대상, 복수의 분사튜브(150, 160, 170) 및 스팀노즐(180)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고, 구동공간(200S)은, 세척공간(100S)의 하측에 형성된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세척공간(100S)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가 집수되는 섬프(210)와, 섬프(210)에 집수된 세척수를 세척조(100)를 향해 압출하는 세척펌프(220)와, 세척펌프(220)와 연결되어 세척펌프(220) 내에 유동하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230)와, 세척펌프(220)로부터 압출된 세척수를 분배하는 전환밸브(240)와, 섬프(210)에 집수된 세척수를 캐비닛(10) 외부로 압출하는 배수펌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210)는, 집수되는 세척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211)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210)는, 외부수원(미도시)과 급수관(213)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외부수원(미도시)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관(213)에는, 급수관(213) 내의 세척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급수밸브(214)가 배치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는, 펌프유입관(223)을 통해 섬프(210)와 연결될 수 있다. 섬프(210) 내부로 집수된 세척수는, 세척펌프(220)가 가동되면 펌프유입관(223)을 통해 세척펌프(220)로 유입될 수 있다.
히터(230)는, 세척펌프(220) 내로 유입된 세척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만들거나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히터(230)는, 세척펌프(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세척펌프(220)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세척펌프(220)에서 가열된 온수상태의 세척수는, 펌프토출관(234)을 통해 전환밸브(240)로 유입될 수 있다. 전환밸브(240)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사암(150), 제 1분배관(130) 및 제 2분배관(140)으로 분배될 수 있다. 전환밸브(240)는,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암(150), 제 1분배관(130) 및 제 2분배관(140)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세척펌프(220)에서 가열된 스팀상태의 세척수는, 스팀노즐유입관(183)을 통해 스팀노즐(180)로 유동할 수 있다. 스팀노즐(180)은, 스팀노즐유입관(183)을 통해 세척펌프(220)와 연결되어, 세척펌프(220)로부터 스팀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배수펌프(250)는, 캐비닛(10)의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254)과 연결될 수 있다. 섬프(210) 내부에 집수된 세척수는, 배수펌프(250)에 의해 압출되어, 배수관(254)을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분사암(160)은, 세척공간(100s)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암(160)은, 상하로 연장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배치되어 랙(110)에 안착된 세척대상 및 디스펜서(300)에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제가 투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디스펜서(30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300)는, 어퍼분사튜브(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300)는, 도어(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후술할 디스펜서(300)의 커버(330)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커버(330)의 상하이동을 제어할 수 있고, 디스펜서(300)에 형성된 공간(310s)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컨트롤러(260)는, 구동공간(200s)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디스펜서(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분사암(160)과 디스펜서(300)의 상대적 배치위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도어(20)가 개방된 세척조(100)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어퍼분사튜브(160)(분사암)는, 상부랙(110)과 하부랙(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암(160)의 분사노즐(161)은, 상측으로 개구될 수 있고, 상측에 배치된 상부랙(110)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암(160)은, 제 1분사관(13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제 2분사관(140)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제 2분사관(140)에는 서로 상하로 이격된 복수개의 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개의 상기 포트(미도시) 중, 분사암(160)이 삽입되는 상기 포트(미도시)를 변경함으로써, 분사암(16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세척조(100) 내에서 분사암(160)의 높낮이가 조절되면, 분사암(160)과 디스펜서(300) 간의 상대적 높낮이가 변할 수 있고, 분사암(160)과 디스펜서(300)가 상하방향에 대하여 이격된 각도가 변할 수 있다.
디스펜서(300)는, 도어(20)에 배치될 수 있고, 도어(2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20)의 높낮이는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펜서(300)는, 분사암(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분사암(160)의 상하이동에 따라 분사암(160)과의 이격된 간격 및 각도가 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펜서(3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공간(310s)이 폐쇄된 상태의 디스펜서(300)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공간(310s)이 개방된 상태의 디스펜서(300)를 나타낸 것이다.
디스펜서(300)는, 세제가 투입되는 공간(310s)을 형성하는 바디(310)와, 바디(310)의 후방에 배치되고 바디(310)를 도어(20)에 고정시키는 커넥터(320)와, 바디(310)에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공간(310s)을 개폐시키는 커버(330)와, 공간(310s)의 일측에 이격되는 린스통(340)과, 커버(330)가 이동되는 패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0)는, 커버(330)와 린스통(340)을 지지할 수 있다. 커버(330)와 린스통(340)은, 바디(3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간(310s)과 패스(350)는, 바디(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디(310)는, 커버(330)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1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311)는, 바디(3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상측으로 이동되는 커버(330)와 밀착될 수 있다.
커넥터(320)는, 바디(3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320)는, 바디(310)와 도어(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고, 바디(310)와 도어(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30)는,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패스(35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30)는, 상측으로 이동되어 공간(310s)을 개방하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공간(310s)을 폐쇄할 수 있다.
커버(330)는, 분사노즐(161)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경로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커버(330)로부터 돌출된 가이드(331)와, 커버(330)의 이동을 구속 및 구속해제시키는 버튼(332)과, 상측으로 이동되어 스토퍼(311)와 접촉되는 프로텍터(333)와, 컨트롤러(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버(3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33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31)는, 분사암(160)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331)는, 공간(310s)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버튼(332)은, 바디(310)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될 수 있다. 버튼(332)이 외력에 의해 눌러지면 커버(330)는 이동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고, 버튼(332)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커버(330)는 바디(31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332)을 눌러 커버(3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프로텍터(333)는, 커버(3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33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프로텍터(333)는 스토퍼(311)와 밀착되어 커버(330)가 스토퍼(311)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텍터(333)는 탄성재질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334)는, 컨트롤러(260) 및 버튼(332)과 연결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334)는, 외력에 의해 버튼(332)이 눌러지는 물리적인 방식에 의해 커버(33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334)는, 컨트롤러(26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한 전기적인 방식에 의해 커버(330)의 구속을 해제할 수도 있다. 커버(330)는, 사용자가 버튼(332)을 누르는 수동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고, 세척행정 중에 컨트롤러(260)에 의해 자동방식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세척행정이 진행되는 중에, 솔레노이드밸브(334)는, 컨트롤러(260)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커버(33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세척조(100) 내로 세제를 투입시킬 수 있다.
린스통(340)은, 커버(330)의 일측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린스통(34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내부에 린스를 저장할 수 있다.
패스(350)는, 바디(310)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패스(35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내측에 커버(330)가 삽입될 수 있다.
공간(310s)은, 바디(310)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310)는, 커버(330)가 부착되는 안착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면(3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패스(350)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공간(310s)은, 안착면(312)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공간(310s)은, 세제가 수납되는 영역을 규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3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뒤, 세제를 공간(310s)에 투입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디스펜서(300)의 세부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도로 디스펜서(300)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투시도이다.
가이드(331)는, 커버(330)의 하단부(330a)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331)는, 커버(330)의 하단부(330a)로부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커버(330)의 하측에 가이드단부(331a)를 형성할 수 있다.
바디(310)는, 내측에 공간(310s)을 형성하는 펜스(313)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313)는, 공간(310s)을 경계짓는 벽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펜스(313)는, 공간(310s)의 하측경계를 형성하는 하측경계면(313c)과, 공간(310s)의 내측경계를 형성하는 내측경계면(313d)과, 공간(310s)의 상측경계를 형성하는 상측경계면(313e)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경계면(313d)은, 세제 및 세척수가 투입되는 영역으로부터 내측에 이격될 수 있다. 내측경계면(313d)은, 가이드(331)와 마주볼 수 있다.
상측경계면(313e)은, 일단부가 커버(330)에 밀착될 수 있다. 커버(33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공간(310s)을 개방시키면, 커버(330)의 하단부(330a)는, 상측경계면(313e)에 맞닿을 수 있다.
하측경계면(313c)은, 공간(310s)의 내측으로 가면서 적어도 한 번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하측경계면(313c)은, 투입구하단(314)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1하측경계면(313a)과, 제 1하측경계면(313a)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 2하측경계면(313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측경계면(313c)은, 분사암(160)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하측경계면(313c)은,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 1하측경계면(313a)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는, 제 2하측경계면(313b)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하측경계면(313c)은, 공간(310s)의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각이 완만해질 수 있다.
가이드(331)가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θ1)는, 하측경계면(313c)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θ2)보다 클 수 있다.
가이드(331)와 하측경계면(313c) 사이의 폭은, 공간(310s)의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질 수 있다. 가이드단부(331a)와 투입구하단(314) 사이의 폭(w1)은, 커버(330)의 하단부(330a)와 투입구하단(314) 사이의 폭(w2)보다 좁을 수 있다. 공간(310s) 내로 투입된 세제는, 가이드(331)와 하측경계면(313c) 사이 폭의 변화로 인하여, 공간(310s) 외부로의 빠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300)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7a는 종래의 디스펜서(300')와 분사암(160a, 160b)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300)와 분사암(160c, 160d)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분사암(160a, 160b, 160c, 160d)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하측에 위치한 분사암(160a)을 제 1분사암(160a)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상측에 위치한 분사암(160b)을 제 2분사암(160b)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측에 위치한 분사암(160c)을 제 3분사암(160c)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측에 위치한 분사암(160d)을 제 4분사암(160d)으로 이름한다.
디스펜서(300, 300')는, 분사암(160a, 160b, 160c, 160d)의 외측단부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분사암(160a, 160b)은, 디스펜서(300')를 향하여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는, 디스펜서(300')가 분사암(160a, 160b)의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되어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분사암(160a, 160b)은, 제 1분사암(160a)과 제 2분사암(160b)이 모두 세제(D)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서, 디스펜서(300)를 향해 개구된 분사노즐(161a1, 161a2, 161b1, 161b2)이 복수개가 구비되어야 한다. 제 1분사암(160a)의 위치에서 제 2분사노즐(161a2)은 세제(D)로 세척수를 분사하지만 제 1분사노즐(161a1)은 도어(20)의 벽면을 타격하여 소음을 발생시키고, 제 2분사암(160b)의 위치에서 제 1분사노즐(161b1)은 세제(D)로 세척수를 분사하지만 제 2분사노즐(161b2)은 도어(20)의 벽면을 타격하여 소음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하이동되는 분사암(160a, 160b)이 세제(D)에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분사하기 위해서 분사노즐(161a1, 161a2, 161b1, 161b2)은 복수개가 구비되어야함과 동시에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펜서(300)는, 가이드(331)를 구비하여, 분사암(160c, 160d)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세제(D)를 향하여 안내한다.
세척수는, 분사암(160c, 160d)으로부터 상방으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는 도어(20)의 벽면을 타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분사암(160c, 160d)은, 제 3분사암(160c)과 제 4분사암(160d)이 모두 세제(D)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서, 분사노즐(161c, 161d)이 단수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고, 단수개의 분사노즐(161c, 161d)은 정상방으로 개구되어도 무방하다.
제 3분사암(160c)의 위치이든 제 4분사암(160d)의 위치이든 간에, 분사노즐(161c, 161d)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상방(A)으로 분사될 수 있다. 상방(A)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가이드(331)를 타격한 뒤, 가이드(331)를 따라 공간(310s)으로 이동되어 세제(D)에 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10: 캐비닛 20: 도어
30: 컨트롤패널 100: 세척조
160: 분사암 161: 분사노즐
200: 구동부 220: 세척펌프
260: 컨트롤러 300: 디스펜서
310: 바디 310s: 공간
320: 커넥터 330: 커버
331: 가이드

Claims (11)

  1.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세척조;
    세척수를 압출하는 세척펌프;
    상기 세척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향해 개구된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암; 및
    상기 분사암의 상측에 배치되고, 세제가 투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분사노즐을 통한 세척수의 분사경로와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도록 상기 커버로부터 돌출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분사암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식기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하측경계면은, 상기 분사암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식기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및 상기 공간의 하측경계면은 상기 분사암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가 경사진 각도는 상기 하측경계면이 경사진 각도보다 큰 식기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하측경계면과 상기 가이드 사이의 폭은, 상기 공간의 내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식기세척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커버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분사암을 향하여 돌출되는 식기세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상기 분사암의 상측에 안착된 세척대상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분사암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상기 공간으로 안내하는 식기세척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분사암의 외측단부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이격되는 식기세척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암은,
    상기 세척조 내에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배치되고,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을 개방하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간을 폐쇄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10021299A 2021-02-17 2021-02-17 식기세척기 KR20220117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99A KR20220117664A (ko) 2021-02-17 2021-02-17 식기세척기
PCT/KR2022/000764 WO2022177171A1 (ko) 2021-02-17 2022-01-1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99A KR20220117664A (ko) 2021-02-17 2021-02-17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64A true KR20220117664A (ko) 2022-08-24

Family

ID=8293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299A KR20220117664A (ko) 2021-02-17 2021-02-17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7664A (ko)
WO (1) WO202217717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4040A (ko) * 2004-11-11 2006-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3960062A1 (en) * 2015-06-18 2022-03-02 Eltek S.p.A. Washing agent dispenser for household washing machines, in particular dishwashers
KR102429096B1 (ko) * 2018-02-08 2022-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KR20200027161A (ko) * 2018-09-04 2020-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핀 코터의 보울 세척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스핀 코터의 보울 세척 장치
KR20200001120U (ko) * 2018-11-22 2020-06-01 경수 예 2단 힌지식 식기세척기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171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43281B1 (en) Feed system for a middle-level spray arm
KR101998571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KR102429096B1 (ko) 식기세척기와 그의 제어방법
KR20150109944A (ko) 식기세척기
KR20070120252A (ko) 식기 세척기
KR101592036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US9861257B2 (en) Detergent dispenser module for a dishwashing appliance
KR101645040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35952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히터부
KR20220117664A (ko) 식기세척기
KR20080010718A (ko) 식기 세척기
KR100607435B1 (ko) 식기 세척기
KR100387388B1 (ko) 식기 세척기
KR102561543B1 (ko) 식기세척기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493157B1 (ko) 식기세척기
KR20220056415A (ko) 식기 세척기
KR20220125562A (ko) 식기세척기
KR20130025263A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물 공급 장치
KR101054113B1 (ko) 식기 세척기의 전도방지구조
KR20170057088A (ko) 식기 세척기
JP3394695B2 (ja) 食器洗浄装置
KR20190097597A (ko) 식기세척기
JP7205759B2 (ja) 洗浄器
JP3138127B2 (ja) 食器洗い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