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651A -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651A
KR20220117651A KR1020210021268A KR20210021268A KR20220117651A KR 20220117651 A KR20220117651 A KR 20220117651A KR 1020210021268 A KR1020210021268 A KR 1020210021268A KR 20210021268 A KR20210021268 A KR 20210021268A KR 20220117651 A KR20220117651 A KR 2022011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giver
mobile platform
delivery
mobile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이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브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브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브리지
Priority to KR102021002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651A/ko
Publication of KR2022011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50/28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대면을 기반으로 요양자가 신청하는 건강 상품을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과금 결제 및 배송을 포함하여 원스톱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병원 및 요양시설 등에서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Mobile platform provision system for ordering and selling health produc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대면을 기반으로 요양자가 신청하는 건강 상품을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과금 결제 및 배송을 포함하여 원스톱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병원 및 요양시설 등에서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건강관련 상품들이 온라인 주문되어 판매되고 배송이 이루어질 뿐만아니라, 병원이나 약국 등에서 의약외품의 판매가 늘어나고 있다.
병원이나 요양병원에서 주로 환자를 포함한 병원 구성원이 구입하기 원하는 상품은 건강기능식품, 비타민제, 영양제, 일반식품, 화장품, 의약외품 등의 상품을 제때에 구입하여 사용하길 원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상기한 모든 제제품을 비치하여 공급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며, 최근에는 비대면 원격으로 주문하여 배송받는 시스템과 핸드폰에 의해 비용결제가 이루어지고 배달되는 시스템이 발달되고 있다.
예를들어, 선행특허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85876호 "자동화된 의료 제품 또는 서비스 전달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시스템 및/또는 방법은 대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검증 데이터세트와 적어도 하나의 입력을 비교하고, 검증 값을 생성하고, 대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입력을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검증 데이터세트와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입력을 비교하며, 출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성되며, 일 실시예로 키오스크를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일반 환자나 요양병원 관계자들이 건강상품을 구매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진행되는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들의 돌봄에 관한 문제가 부각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의해 노인들을 위한 병원 등의 요양시설과 여기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에 의한 요양보호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확산으로 비대면의 원격 주문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주로 환자나 노인과 같이 심신이 불편한 요양자를 위해 편리하게 병원 및 요양시설 등에서 건강 상품을 주문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 등의 모바일 단말 기반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36110(2014.10.08)호 "의료요양시스템 및 의료요양서비스 관리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85876호 "자동화된 의료 제품 또는 서비스 전달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대면을 기반으로 요양자가 신청하는 건강 상품을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과금 결제 및 배송을 포함하여 원스톱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병원 및 요양시설 등에서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이루어진 요양자 모바일단말 그룹(10g), 관리자 모바일단말(20), 키오스크단말(100), 네트워크(200), 복수의 업체 모바일단말(400)로 이루어진 업체 모바일단말 그룹(400g), 금융 서버(700)를 포함하는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키오스크단말(100)은, 배달전달모듈(133); 및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 출력에 따라 요양자로부터 확인 입력이 수행되면, 배달전달모듈(133)에 대한 요청을 통해 업체 모바일단말(400)로부터 키오스크단말(100)이 형성된 요양지 또는 병원 등의 주소지로 배달이 수행되도록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배달이 완료되어 각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가 입력됨에 따라 "판매대금"에서 미리 설정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지불수수료를 연산하여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하는 과금모듈(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과금모듈(132)은,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불하고 남은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자체의 서비스 금액에 대한 요양원 또는 병원 등의 요양시설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과금모듈(132)은,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에서 지불수수료와 자체의 서비스 금액을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해당하는 업체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수 있으며,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대한 단위 별로 상술한 과금에 해당하는 지불수수료와 자체의 서비스 금액을 감하는 과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키오스크단말(100)이,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 출력에 따라 요양자로부터 확인 입력이 수행되면, 배달전달모듈(133)에 대한 요청을 통해 업체 모바일단말(400)로부터 키오스크단말(100)이 형성된 요양지 또는 병원 등의 주소지로 배달이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제 1 단계; 및 키오스크단말(100)이, 요청에 따라 배달이 완료되어 각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가 입력됨에 따라 "판매대금"에서 가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격정보에 대한 합산을 통해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지불수수료를 연산하여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키오스크단말(100)이,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불하고 남은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자체의 서비스 금액에 대한 요양원 또는 병원 등의 요양시설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은, 비대면을 기반으로 요양자가 신청하는 건강 상품을 대한 접근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과금 결제 및 배송을 포함하여 원스톱으로 해결하도록 하여 병원 및 요양시설 등에서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모바일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 중 키오스크단말(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이루어진 요양자 모바일단말 그룹(10g), 관리자 모바일단말(20), 복수의 배송로봇(30)으로 이루어진 배송로봇 그룹(30g), 키오스크단말(100), 네트워크(200),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 복수의 업체 모바일단말(400)로 이루어진 업체 모바일단말 그룹(400g), 빅데이터 서버(500), 클라우드 서버(600), 그리고 금융 서버(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 중 키오스크단말(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오스크단말(100)은 센서모듈(110), 무선통신부(120b), MCU(130), 터치스크린(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하며, 통신모듈(120)은 근거리통신부(120a) 및 무선통신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MCU(130)는 중개모듈(131), 과금모듈(132) 및 배달전달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개모듈(131)은 관리자 모바일단말(20)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키오스크단위정보 전송 요청을 근거리통신부(120a)를 통해 수신함에 따라, 키오스크단말(100)의 기기식별번호와 하나의 키오스크단말(100)로 관리대상이 되는 요양자 정보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단위정보를 관리자 모바일단말(20)로부터 수신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하거나, 키오스크단말(100) 자체의 입력수단인 터치스크린(140)에 의해 관리대상이 되는 요양자 정보와 단말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키오스크단위정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200)를 통해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요양자 정보에는 요양자의 병원 및 요양시설 등의 호수(예, 101호)와 개인정보(성명, 보호자연락처 등),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단말식별번호(IMEI),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과 매칭하여 지정된 배송로봇(30)의 로봇ID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개모듈(131)은 키오스크단말(100) 상에서 센서모듈(110)에 포함된 인체 자동 인식 센서를 통해 센싱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인사말 또는 홍보 멘트를 추출하여 키오스크단말(100)의 화면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140)을 통해 자동 팝업 형식으로 출력하며, 팝업 형식으로 출력된 화면 상에서 게스트 선택 정보를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입력받은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중개모듈(131)은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게스트 선택 정보 제공를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부터 수신하도록 근거리통신부(120a)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게스트 선택 정보를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게스트 선택 정보는 데이터베이스(DB) 상에 저장된 각 키오스크단위정보에 대해서 중개모듈(131)이 생성하여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에게 제공한 케스트일련번호이거나, 키오스크단위정보 중 요양자 정보에 포함된 성명 또는 단말식별번호(IMEI)일 수 있다.
중개모듈(131)은 게스트 선택 정보에 대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의 제공에 따라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의해 제공된 건강 식품 정보 중 키오스크단말(100)과 매칭되는 것이 추출되면, 추출된 건강 식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한 뒤, 터치스크린(140)를 통한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출력을 제어하고, 각 요양자에 의한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를 입력받은 뒤, 입력받은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식품 정보는 건강 식품에 대한 업체정보, 성분 및 재료정보, 판매정가에 해당하는 가격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중개모듈(131)은 수신된 건강 식품 정보를 키오스크단말(100)의 회원으로 관리되는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하여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한 뒤,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부터 제공된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도록 근거리통신부(120a)를 제어한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게스트 선택 정보를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개모듈(131)은 확인을 위해 배송정보 입력 과정을 자체적인 터치스크린(140)을 통하거나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한 뒤, 요양자의 성명과 단말식별번호(IMEI)를 입력 또는 수신받은 뒤, 네트워크(200)를 통해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중개모듈(131)은 배송정보 입력 과정에 있어서, 병원명/도로명 주소로 간편 검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요양자에 의한 화면 터치 빈도를 최대한 줄이는 방식을 택할 수 있다.
이후, 중개모듈(131)은 각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식품 정보에서 가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격정보에 대한 합산을 통해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를 터치스크린(140)로 출력하거나 근거리통신부(120a)를 통해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중개모듈(131)은 키오스크단말(100) 상의 카드 단말기로 요양자의 카드 결제가 수행되거나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 상의 모바일 결제를 통해 카드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디지털 영수증을 생성하여 요양자 모바일단말(10) 및 관리자 모바일단말(20)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으며, 종이영수증은 발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중개모듈(131)이 제공하는 디지털 영수증은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단말식별번호(IMEI)로 등록된 모바일 메신저 상의 계정으로 제공하거나 단말식별번호(IMEI)에 해당하는 요양자 모바일단말(10)에 대한 문자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중개모듈(131)은 배송정보 입력시 획득하게 되는 요양자의 성명과 단말식별번호(IMEI)를 활용한 디지털 영수증을 메신저앱이나 문자앱을 통해 발행하는 것이다.
한편, 중개모듈(131)은 결제 방식에 있어서 카드 기반으로 운영하며 카드사별 할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중개모듈(131)은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 상에서 요양자에 의해 결제가 수행된 건강 상품을 제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대한 담당자 주문 확인 요청에 따라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로부터 담당자 주문 확인을 수신하여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 상에서 담장자 주문 확인 내역이 생성되는 경우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한 뒤, 터치스크린(140)상으로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를 출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을 건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수행한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도록 근거리통신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과금모듈(132)은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 출력에 따라 요양자로부터 확인 입력이 수행되면, 배달전달모듈(133)에 대한 요청을 통해 업체 모바일단말(400)로부터 키오스크단말(100)이 형성된 요양지 또는 병원 등의 주소지로 배달이 수행되도록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배달이 완료되어 각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가 입력됨에 따라 "판매대금", 즉 중개모듈(131)에 의해 연산된 건강 식품의 각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식품 정보에서 가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격정보에 대한 합산을 통해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지불수수료를 연산하여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과금모듈(132)은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불하고 남은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예, 3 내지5%)에 해당하는 자체의 서비스 금액에 대한 요양원 또는 병원 등의 요양시설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과금모듈(132)은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에서 지불수수료와 자체의 서비스 금액을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해당하는 업체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수 있으며,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대한 단위 별로 상술한 과금에 해당하는 지불수수료와 자체의 서비스 금액을 감하는 과금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제공 및 시설 유지를 위한 비지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과금모듈(132)은 후술하는 지인 검증 모듈에 의해 지인에 해당하는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이 제공한 매장 가격정보를 통해서도 중개모듈(131)이 결제를 수행되는 경우, 구매가 수행된 가격정보인 제 1 가격정보를 추출한 뒤, 추출된 가격정보에서 온라인 상의 업체 모바일단말(400)이 제공한 가격정보인 제 2 가격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차이값을 연산하여, 차이값이 음의 정수에 해당하는 경우 차이값에 비례하는 미리 설정된 지불수수료의 감소비율을 설정함으로써,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의한 업체 모바일단말(400)의 모집에 대한 귀책사유를 전가하며, 차이값이 양의 정수에 해당하는 경우 차이값에 비례하는 미리 설정된 지불수수료의 증가비율을 설정함으로써,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의한 좋은 가격을 제시하는 업체 모바일단말(400)의 모집에 대한 인센티브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배달전달모듈(133)은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 출력에 따라 요양자로부터 확인 입력이 수행되면,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의해 지정된 배달업체를 통해 키오스크단말(100)이 운영되는 주소지로의 배달이 수행되도록 하는 배송요청이 네트워크(200)를 통해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로 전송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달전달모듈(133)은 각 배송요청에 다른 키오스크단말(100)이 운영되는 주소지로의 배달이 수행이 완료되면, 각 요양자의 요양자 정보를 저장부(150)에서 추출하고, 추출된 요양자 정보에서 배송로봇(30)의 로봇ID을 추출하여 추출된 로봇ID에 대한 배달된 건강 식품에 대한 배송과 함께, 배송전에 업체 모바일단말(400)에서 제공한 각 배송택배의 형상정보 및 코드정보(바코드 또는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로봇ID에 해당하는 배송로봇(30)으로 전송하도록 근거리통신부(120a)를 제어함으로써, 각 배송로봇(30)에 의해 지정된 요양자 정보에 포함된 요양자의 병원 및 요양시설 등의 호수(예, 101호)로 배송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배달전달모듈(133)은 건강 식품이 실제의 의료품으로 투약 또는 침습이 필요로 하는 경우, 배송로봇(30)을 의사로봇 또는 간호사로봇으로 대체함으로써, 직접적인 투약 및 침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율주행 기반으로 제어와 함께 투약 또는 침습 과정에 대한 영상 자료를 배송로봇(30)으로부터 제공받아 네트워크(200)를 통해 배후자 모바일단말(미도시)로 제공하도록 근거리통신부(120a)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키오스크단말(100) 상에서 인체 자동 인식 센서를 통해 센싱정보가 수신되어 인사말 또는 홍보 멘트가 키오스크단말(100)의 화면에 자동 팝업 생성되는 경우, 키오스크단말(00)로부터 게스트 선택 정보를 수신하거나, 키오스크단말(100)로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게스트 선택 정보 제공이 수행시 키오스크단말(100)로부터 네트워크(200)를 통해 게스트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게스트 선택 정보에 대한 기존의 구매 이력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 상에서 추출한 뒤, 기존의 구매 이력 정보가 추출되는 경우 재구매 프로세스를 수행할수 있다.
즉,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게스트 선택 정보로 요양자의 단말식별번호(IMEI)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구매 이력 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상품을 추출하며, 추출된 건강 상품과 유사도에 따른 미리 설정된 유사도 내에 속하는 다른 건강 상품을 데이터베이스(DB)에서 연관 건강 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도에 대해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빅데이터 서버(500)로 유사도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서버(500)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나이대와 성별을 포함하는 각 파라미터 각각에 따라 하나의 건강 상품을 구매한 경우 연관하여 구매한 건강 상품의 분류를 저장한 DCS DB에 대해서 DCS DB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고, 요양단말(10)을 운영하는 요양자의 나이대와 요양자의 성별 등을 포함하는 각 파라미터에서 히팅이 되는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가장 히팅의 정량적 수치의 제 1 내지 제 m 유사도 단계(m은 2 이상의 자연수) 별 유사도를 분석함으로써, 유사도 단계의 정량적 수치의 크기가 작은 수치로 갈수록 높은 유사도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빅데이터 서버(500)에서 사용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결정 트리(DT, Decision Tree) 분류 알고리즘, 랜덤 포레스트 분류 알고리즘,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 알고리즘 중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예로, 빅데이터 서버(500)는 분산 파일 프로그램에 의해 DCS DB에 분산 저장된 수집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한 결과로 다수의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 정보를 복수의 머신러닝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학습하여 학습한 결과로 하나의 건강 상품에 대한 유사 단계를 분석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서버(500)는 상태 여부 판단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다수의 상호 보완적인 머신러닝 알고리즘들로 구성된 앙상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후,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구매 이력 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상품과 연관 건강 상품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키오스크단말(100)로 제공하한 뒤, 키오스크단말(100)을 통해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출력에 따른 각 요양자에 의한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키오스크단말(100)로 제공된 건강 식품 정보를 키오스크단말(100)의 회원으로 관리되는 선택정보를 제공한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하도록 키오스크단말(100)에 대한 제어를 통해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한 뒤,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부터 제공된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를 키오스크단말(1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확인을 위해 배송정보 입력 과정을 통해 요양자의 성명과 단말식별번호(IMEI)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키오스크단말(100)로 수신하거나,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구매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구매 이력 횟수과 결제 금액 각각에 다른 차등적인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와 구매 이력 횟수와 결제 금액에 대한 멀티플리케이션을 수행하여 연산된 정량적 수치에 따른 제 1 내지 제 n 단계(n은 2 이상의 자연수)별 할인쿠폰 금액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한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부터 액세스를 통해 단말식별번호(IMEI)에 대한 입력만으로도 요양자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여 결제 금액에 따른 포인트 적립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재구매를 위한 액세스의 경우에도 연관 건강 식품도 추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각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식품 정보에서 가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격정보에 대한 합산을 통해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키오스크단말(100)로 전송하여 키오스크단말(100)로 출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단말(100)에서 건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수행한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키오스크단말(100) 상의 카드 단말기로 요양자의 카드 결제가 수행되거나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 상의 모바일 결제를 통해 카드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할인쿠폰 금액을 차감한 상태에서 디지털 영수증을 생성하여 생성된 디지털 영수증을 키오스크단말(100) 또는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결제가 수행된 건강 상품을 제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대한 담당자 주문 확인 요청을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함으로써, 담당자 주문 확인을 수신하는 경우 담장자 주문 확인 내역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키오스크단말(100)로 전송하여 키오스크단말(100)로 출력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단말(100)에서 건강 상품에 대한 주문을 수행한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중개모듈(131) 및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의한 결제 금액과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는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단말식별번호를 메타데이터로 키오스크단위정보의 요양자 정보와 함께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600)로 전송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600) 상에서 PC 또는 모바일단말로 형성 가능한 관리자 모바일단말(20)에 의해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중개모듈(131) 및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키오스크단말(100)을 통한 건강 상품 결제 후 주문 취소 및 반품은 불가능하도록 설정하며, 각 요양자 모바일단말(10)에서 업체 모바일단말(400)에서 지정한 담당자 고객상담전화를 통해 개별 처리하도록 키오스크단말(100)을 네트워크(200)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지인 검증 모듈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지인 검증 모듈은 요양자 모바일단말(10)에 의해 제공된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한 선택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식품에 대해서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모바일 메신저과 연동을 통해 친구들에 의한 분석을 통해 친구 피드백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요양자 모바일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인 검증 모듈은 모바일 메신저을 통해 건강 식품 정보에 대해서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지인에 해당하는 다른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을 포함하는 친구단말에 의한 호응도 선택에 따라 친구 피드백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요양자 모바일단말(10)에 제공하거나, 건강 식품 정보에 해당하는 건강 식품을 사전에 사용해본 다른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을 포함하는 친구단말에 의한 친구 피드백 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요양자 모바일단말(10)에 제공함으로써, 심신이 불편한 요양자에 대한 구매시 신중을 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인 검증 모듈은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의 모바일 메신저과 친구로 등록된 다른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을 포함한 친구단말에 의한 상품코드 촬영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품코드 촬영에 따른 촬영정보, 다른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을 포함한 친구단말의 GPS 수신모듈로부터 획득된 위치정보, 위치정보가 획득된 시간정보를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한 뒤, 메신져 ID를 메타데이터로 촬영정보, 위치정보, 시간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할 수 있다.
지인 검증 모듈은 촬영정보로부터 상품코드에 대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한 뒤, 복호화된 상품코드 정보를 빅데이터 서버(500)로 전송을 통해 업체정보, 성분 및 재료정보, 가격정보에 해당하는 상품코드 분석 정보를 반환받을 수 있다.
지인 검증 모듈은 수신된 상품코드 분석 정보에 대해서 모바일메신져와 친구로 등록한 모바일단말(10)에 대한 공유 여부를 촬영을 수행한 다른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을 포함하는 친구단말에 대한 질의를 통해 긍정의 응답인 경우, 상품코드 분석 정보와 함께, 다른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을 포함하는 친구단말에 의해 제공된 현재의 건강 상품의 매장 가격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지인 검증 모듈은 상품코드 분석 정보와 동일한 건강 식품 정보가 매칭되는 건강 식품에 대해서 요양자 모바일단말(10)이 구매 요청시 구매 요청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품코드 분석 정보로부터 제공한 매장 가격정보를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제공하여 동일한 건강 상품에 대한 가격 비교가 수월하도록 함으로써, 합리적으로 요양자가 배송에 대한 편의 등을 고려하여 건강 상품에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키오스크단말(100)은 병원 및 요양시설 등에서 주로 요양자를 포함한 병원 구성원이 사용하며, 비타민, 영양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외에 투약 또는 침습이 필요로 하는 의료품, 그 밖의 일반식품, 화장품, 의약외품 등의 건강 상품을 비대면 및 원격으로 주문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2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700)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복수의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이루어진 요양자 모바일단말 그룹(10g), 관리자 모바일단말(20), 키오스크단말(100), 건강기능식품 판매서버(300), 복수의 업체 모바일단말(400)로 이루어진 업체단말 그룹(400g), 빅데이터 서버(500) 및 클라우드 서버(600), 금융 서버(7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10 : 요양자 모바일단말
10g : 요양자단말 그룹
20 : 관리자단말
30 : 배송로봇
30g : 배송로봇 그룹
100 : 키오스크단말
110 : 센서모듈
120 : 통신모듈
120a : 근거리통신부
120b : 무선통신부
130 : MCU
131 : 중개모듈
132 : 과금모듈
133 : 배달전달모듈
140 : 터치스크린
150 : 저장부
200 : 네트워크
300 :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
400 : 업체 모바일단말
400g : 업체 모바일단말 그룹
500 : 빅데이터 서버
600 : 클라우드 서버
700 : 금융 서버

Claims (5)

  1. 복수의 요양자 모바일단말(10)로 이루어진 요양자 모바일단말 그룹(10g), 관리자 모바일단말(20), 키오스크단말(100), 네트워크(200), 복수의 업체 모바일단말(400)로 이루어진 업체 모바일단말 그룹(400g), 금융 서버(700)를 포함하는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1)에 있어서, 키오스크단말(100)은,
    배달전달모듈(133); 및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 출력에 따라 요양자로부터 확인 입력이 수행되면, 배달전달모듈(133)에 대한 요청을 통해 업체 모바일단말(400)로부터 키오스크단말(100)이 형성된 요양지 또는 병원 등의 주소지로 배달이 수행되도록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배달이 완료되어 각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가 입력됨에 따라 "판매대금"에서 미리 설정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지불수수료를 연산하여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하는 과금모듈(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과금모듈(132)은,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불하고 남은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자체의 서비스 금액에 대한 요양원 또는 병원 등의 요양시설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과금모듈(132)은,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에서 지불수수료와 자체의 서비스 금액을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해당하는 업체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무선통신부(120b)를 제어할 수 수 있으며, 각 업체 모바일단말(400)에 대한 단위 별로 상술한 과금에 해당하는 지불수수료와 자체의 서비스 금액을 감하는 과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4. 키오스크단말(100)이,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담당자 주문 확인 내역 출력에 따라 요양자로부터 확인 입력이 수행되면, 배달전달모듈(133)에 대한 요청을 통해 업체 모바일단말(400)로부터 키오스크단말(100)이 형성된 요양지 또는 병원 등의 주소지로 배달이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제 1 단계; 및
    키오스크단말(100)이, 요청에 따라 배달이 완료되어 각 요양자 모바일 단말(10) 또는 터치스크린(140) 상에서 배송 완료 메시지가 입력됨에 따라 "판매대금"에서 가격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가격정보에 대한 합산을 통해 합산된 결제 금액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에 대한 미리 설정된 지불수수료를 연산하여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키오스크단말(100)이, 건강 상품 모바일 플랫폼 서버(300)를 운영하는 플랫폼 서비스 운영자의 계좌로 지불하고 남은 금액에서 미리 설정된 비율에 해당하는 자체의 서비스 금액에 대한 요양원 또는 병원 등의 요양시설의 계좌로 지급을 수행하도록 금융 서버(700)와 네트워크(2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3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210021268A 2021-02-17 2021-02-17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20117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68A KR20220117651A (ko) 2021-02-17 2021-02-17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68A KR20220117651A (ko) 2021-02-17 2021-02-17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51A true KR20220117651A (ko) 2022-08-24

Family

ID=8311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268A KR20220117651A (ko) 2021-02-17 2021-02-17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76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10A (ko)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방열핀을 이용한 제설용 히트 트레이싱 장치
KR20160085876A (ko) 2013-11-14 2016-07-18 엘화 엘엘씨 자동화된 의료 제품 또는 서비스 전달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110A (ko) 2013-05-20 2014-11-28 주식회사 디시원이엔지 방열핀을 이용한 제설용 히트 트레이싱 장치
KR20160085876A (ko) 2013-11-14 2016-07-18 엘화 엘엘씨 자동화된 의료 제품 또는 서비스 전달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352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ulating personalized skincare products
RU239266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тимулирования охраны здоровья в пункте продаж
CN106650261A (zh) 智能问诊方法、装置和系统
US1125757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purchase of a health-related product
JP2005115843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バ、端末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745261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CN115619454A (zh) 一种基于会员中台的会员管理系统和方法
US20170185987A1 (en) Product information print device and product information print system
JP2013225228A (ja) 共同購入装置、共同購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4008731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117420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rescription verification
JP2021179961A (ja) 遠隔診療及び服薬指導システム
JP5834774B2 (ja) 推奨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写真シール機
KR20220117651A (ko) 건강 상품 주문 및 판매를 위한 모바일 플랫폼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20129527A1 (ja) レシート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41207A1 (en) Method for notifying of expiry date of medicine an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220117650A (ko) 키오스크기반 병원 및 요양시설 건강 상품 판매 시스템
KR20230080879A (ko) 블록체인 기반 신체 활동 보상 시스템 및 방법
WO2017168487A1 (ja) 接客評価支援システムおよび接客評価支援方法
JP2021177305A (ja) 遠隔診療及び服薬指導システム
JP2002245150A (ja) 安否確認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220284427A1 (en) Evaluation system, evaluation method, program, server device, and terminal device
JP7382112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3058016A (ja) 医薬品販売システム、医薬品販売サーバ、医薬品販売方法、及び医薬品販売プログラム
US20140200912A1 (en) Rapid Medical Connection (RMC) related to Real Time Health Care service VIA an INTELLIGENT Short Message System (SMS) based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