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305A - 인간 il-13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 - Google Patents

인간 il-13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305A
KR20220117305A KR1020227024893A KR20227024893A KR20220117305A KR 20220117305 A KR20220117305 A KR 20220117305A KR 1020227024893 A KR1020227024893 A KR 1020227024893A KR 20227024893 A KR20227024893 A KR 20227024893A KR 20220117305 A KR20220117305 A KR 20220117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q
cdr
antigen
binding fra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죤 라이트우드
랄프 아담스
로저 토마스 팔프라만
Original Assignee
유씨비 바이오파마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씨비 바이오파마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유씨비 바이오파마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22011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4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cytokines, lymphokines or interferons
    • C07K16/244Interleukins [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5Fab or Fab'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6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62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non-natural combinations of immunoglobulin fragments comprising only variable region components
    • C07K2317/622Single chain antibody (scFv)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IL-13의 항원성 결정인자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항체 분자, 상기 항체 분자의 치료적 용도 및 상기 항체 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간 IL-13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
본 발명은 IL-13 항체 및 이의 단편, 예컨대, 이의 결합 단편, 이러한 항체 또는 단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특히 IL-13 관련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있어서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IL-13은 IL-4와 25% 서열 동일성을 공유하는 단일 쇄 사이토카인이다. 이것은 잔기 33 내지 36 및 87 내지 90에 걸쳐 있는 2개의 β 가닥과 함께, 잔기 10 내지 21(나선 A), 43 내지 52(나선 B), 61 내지 69(나선 C) 및 92 내지 110(나선 D)에 걸쳐 있는 4개의 나선의 이차 구조를 형성하는 대략 132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IL-13의 용액 구조를 풀어, IL-4에서도 관찰되는 예측된 위-위-아래-아래 4-나선-다발(up-up-down-down 4-helix-bundle) 입체구조를 밝혀내었다.
Th0 및 Th1 CD4+ T 세포, CD8+ T 세포, 및 여러 비-T 세포 집단, 예컨대, 비만 세포도 IL-13을 생성하지만, 인간 IL-13은 17 kDa 당단백질이고 Th2 계통의 활성화된 T 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IL-13의 기능은 인간 B 세포에서 IgE로의 면역글로불린 이소타입 전환, 및 인간 및 마우스 둘 다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의 억제를 포함한다.
IL-13은 그의 세포 표면 수용체인 IL-13R-알파1 및 IL-13R-알파2에 결합한다. IL-13R-알파1은 저친화성(KD 약 10 nM)으로 IL-13과 상호작용한 후, IL-4R-알파를 동원하여 고친화성(KD 약 0.4 nM) 신호전달 이종이량체성 수용체 복합체를 형성한다.
IL-4R/IL-13R-알파1 복합체는 B 세포, 단핵구/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호산구, 호염기구, 섬유모세포, 내피 세포, 기도 상피 세포 및 기도 평활근 세포와 같은 많은 세포 유형에서 발현된다. IL-13R-알파/IL-4R 수용체 복합체의 라이게이션은 신호 전달도입제 및 전사 활성화제 6(STAT6) 및 인슐린 수용체 기질 2(IRS2) 경로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전달도입 경로의 활성화를 야기한다.
IL-13R-알파2 쇄는 단독으로 IL-13에 대한 고친화성(KD 약 0.25 내지 0.4 nM)을 가진다. 이것은 IL-13 결합을 음성적으로 조절하는 미끼 수용체로서 작용하고, 대식세포 및 가능하게는 다른 세포 유형에서 AP-1 경로를 통해 TGF-β 합성 및 섬유증을 유도하는 신호전달 수용체로서도 작용한다.
IL-13은 많은 인간 장애의 발병기전과 연관되어 있고, 치료 전략은 IL-13 활성을 억제하거나 상쇄하도록 디자인되었다. 특히, IL-13에 결합하고 이를 중화시키는 항체는 IL-13 활성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모색되어 왔다. 그러나, IL-13, 특히 인간 IL-13에 결합할 수 있는 적합한 및/또는 개선된 항체, 특히 인간 IL-13을 중화시킬 수 있는 항체가 당분야에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인간 IL-13에 결합할 수 있고 고친화성으로 결합할 수 있고 인간 IL-13에 결합하고 이를 중화시킬 수 있는 결합 단백질, CDR 이식된 항체, 인간화된 항체 및 이들의 단편의 신규 패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간 IL-13에 결합하는 개선된 항체, 특히 IL-13의 생물학적 활성을 억제하는 중화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항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IL-13 관련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이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1. Ab650 인간화 정렬
디자인된 인간화된 서열과 함께, 래트 항체(공여자) V-영역 서열과 인간 생식세포주(수용자) V-영역 서열의 정렬.
(A) 경쇄 이식편 650:
650 = 래트 가변 경쇄 서열.
650gL8 = 수용자 프레임워크로서 IGKV1-39 인간 생식세포주를 사용하는 650 가변 경쇄의 인간화된 이식편.
CDR은 볼드체/밑줄로 표시되어 있다.
공여자 잔기는 볼드체/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고 강조되어 있다: I58 및 Y71.
(B) 중쇄 이식편 650:
650 = 래트 가변 중쇄 서열.
650gH9 = 수용자 프레임워크로서 IGHV1-69 인간 생식세포주를 사용하는 650 가변 중쇄의 인간화된 이식편.
CDR은 볼드체/밑줄로 표시되어 있다.
공여자 잔기는 볼드체/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고 강조되어 있다: A67, F69 및 V71.
도 2. 항-IL13 아미노산 및 DNA 서열.
항체 650의 CDR,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scFv 및 dsscFV 포맷을 코딩하는 아미노산 및 DNA 서열.
항체
본 개시내용의 문맥에서 사용할 항체는 전체 항체 및 이의 기능적 활성 단편, 즉 항원 결합 단편으로서도 지칭되는, IL-1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 결합 도메인을 함유하는 분자를 포함한다. 문맥이 달리 명시하지 않은 한, 항체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재된 특징은 항체 단편에도 적용된다.
"면역글로불린(Ig)"으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전체 항체는 일반적으로 온전한 또는 전체 길이 항체, 즉 어셈블링되어 특징적인 Y형 3차원 구조를 정의하는,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상호연결된 2개의 중쇄와 2개의 경쇄인 요소들을 포함하는 항체를 의미한다. 고전적인 천연 전체 항체는 하나의 항원 유형에 결합한다는 점에서 단일특이적이고, 2개의 독립적인 항원 결합 도메인을 가진다는 점에서 2가이다. 용어 "온전한 항체", "전체 길이 항체" 및 "전체 항체"는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Fc 영역을 포함하는, 천연 항체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단일특이적 2가 항체를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각각의 경쇄는 경쇄 가변 영역(본원에서 VL로서 약칭됨) 및 경쇄 불변 영역(CL)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중쇄는 중쇄 가변 영역(본원에서 VH로서 약칭됨), 및 Ig 클래스에 따라 3개의 불변 도메인 CH1, CH2 및 CH3, 또는 4개의 불변 도메인 CH1, CH2, CH3 및 CH4로 구성된 중쇄 불변 영역(CH)으로 구성된다. Ig 또는 항체의 "클래스"는 불변 영역의 유형을 지칭하고 IgA, IgD, IgE, IgG 및 IgM을 포함하며, 이들 중 몇 가지는 서브클래스, 예를 들어, IgG1, IgG2, IgG3, IgG4로 더 나뉠 수 있다. 항체의 불변 영역은 면역 시스템의 다양한 세포(예를 들어, 이펙터 세포) 및 고전적인 보체 시스템의 제1 성분(C1q)을 비롯한 숙주 조직 또는 인자와 면역글로불린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체의 VH 및 VL 영역은 프레임워크 영역(FR)으로서 지칭되는, 더 구조적으로 보존된 영역에 의해 산재되어 있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으로서 지칭되는, 항원의 인식을 결정하는 초가변성의 영역(또는 "초가변 영역")으로 더 세분화될 수 있다. 각각의 VH 및 VL은 아미노 말단부터 카르복시 말단까지 하기 순서로 배열된 3개의 CDR 및 4개의 FR로 구성된다: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CDR과 FR은 함께 가변 영역을 형성한다. 관례에 의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중쇄 가변 영역 내의 CDR은 CDR-H1, CDR-H2 및 CDR-H3으로서 지칭되고, 경쇄 가변 영역 내의 CDR은 CDR-L1, CDR-L2 및 CDR-L3으로서 지칭된다. 이들은 각각의 쇄의 N-말단부터 C-말단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넘버링된다.
CDR은 통상적으로 카바트 연구진(Kabat et al.)에 의해 고안된 시스템에 따라 넘버링된다. 이 시스템은 문헌[Kabat et al., 1991, in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USA](이하 "(상기) 문헌[Kabat et al.]")에 기재되어 있다. 달리 표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이 넘버링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카바트 잔기 표기는 항상 아미노산 잔기의 선형 넘버링에 직접 상응하지는 않는다. 실제 선형 아미노산 서열은 엄격한 카바트 넘버링에서의 선형 아미노산 서열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아미노산을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더 적거나 더 많은 아미노산은 프레임워크이든 아니면 상보성 결정 영역이든 관계없이 기본 가변 도메인 구조의 구조적 구성요소의 단축 또는 이러한 구성요소 내로의 삽입에 상응한다. 잔기의 정확한 카바트 넘버링은 항체의 서열에서 상동성 잔기를 "표준" 카바트 넘버링된 서열과 정렬함으로써 주어진 항체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중쇄 가변 도메인의 CDR은 카바트 넘버링 시스템에 따라 잔기 31 내지 35(CDR-H1), 잔기 50 내지 65(CDR-H2) 및 잔기 95 내지 102(CDR-H3)에 위치한다. 그러나, 초티아(Chothia)(Chothia, C. and Lesk, A.M. J. Mol. Biol., 196, 901-917 (1987))에 따르면, CDR-H1에 해당하는 루프는 잔기 26부터 잔기 32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달리 표시되어 있지 않은 한, 본원에서 사용된 'CDR-H1'은 카바트 넘버링 시스템과 초티아의 위상 루프 정의의 조합에 의해 기재된 바와 같이 잔기 26 내지 35를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경쇄 가변 도메인의 CDR은 카바트 넘버링 시스템에 따라 잔기 24 내지 34(CDR-L1), 잔기 50 내지 56(CDR-L2) 및 잔기 89 내지 97(CDR-L3)에 위치한다.
CDR 루프 이외에, 프레임워크 3(FR3)에 의해 형성된 네 번째 루프가 CDR-2(CDR-L2 또는 CDR-H2)와 CDR-3(CDR-L3 또는 CDR-H3) 사이에 존재한다. 카바트 넘버링 시스템은 프레임워크 3을 중쇄의 위치 66 내지 94 및 경쇄의 위치 57 내지 88로서 정의한다.
면역글로불린 패밀리의 상이한 구성원의 서열 정렬에 기반한 넘버링 체계가 제안되었고, 예를 들어, 문헌[Kabat et al., 1991] 및 문헌[Dondelinger et al., 2018, Frontiers in Immunology, Vol 9, article 2278]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불변 도메인(들)", "불변 영역"은 가변 영역의 외부에 있는 항체의 도메인(들)을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불변 도메인은 동일한 이소타입의 모든 항체에서 동일하나, 이소타입마다 상이하다. 전형적으로, 중쇄의 불변 영역은 3개 또는 4개의 불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CH1-힌지-CH2-CH3-임의로 CH4에 의해 N-말단부터 C-말단까지 형성된다.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항체 분자의 불변 도메인을, 항체 분자의 제안된 기능, 특히 요구될 수 있는 이펙터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변 도메인은 인간 IgA, IgD, IgE, IgG 또는 IgM 도메인일 수 있다. 특히, 항체 분자가 치료적 용도를 위한 것이고 항체 이펙터 기능이 요구될 때 인간 IgG 불변 도메인, 특히 IgG1 및 IgG3 이소타입의 인간 IgG 불변 도메인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체 분자가 치료적 목적을 위한 것이고 항체 이펙터 기능이 요구되지 않을 때 IgG2 및 IgG4 이소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불변 도메인들의 서열 변이체도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치 241의 세린(카바트 넘버링 시스템에 따라 넘버링됨)이 문헌[Angal et al., 1993. A single amino acid substitution abolishes the heterogeneity of chimeric mouse/human (IgG4) antibody as observed during SDS-PAGE analysis Mol Immunol 30, 105-108]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프롤린으로 바뀌어 있고 여기서 IgG4P로서 지칭된 IgG4 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Fc", "Fc 단편", 및 "Fc 영역"은 제1 불변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을 제외한 항체의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의 C-말단 영역을 지칭하기 위해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Fc는 IgA, IgD 및 IgG의 마지막 2개의 불변 도메인인 CH2 및 CH3, 또는 IgE 및 IgM의 마지막 3개의 불변 도메인, 및 이 도메인들의 N-말단에 있는 유연성 힌지를 지칭한다. 인간 IgG1 중쇄 Fc 영역은 본원에서 그의 카르복실-말단에서 잔기 C226을 포함하도록 정의되고, 이때 넘버링은 카바트에서와 같이 EU 지수에 따른다. 인간 IgG1의 문맥에서, Kabat에서와 같이 EU 지수에 따라, 하부 힌지는 위치 226 내지 236을 지칭하고, CH2 도메인은 위치 237 내지 340을 지칭하고, CH3 도메인은 위치 341 내지 447을 지칭한다. 다른 면역글로불린의 상응하는 Fc 영역은 서열 정렬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문맥에서, 존재하는 경우, 불변 영역 또는 Fc 영역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천연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 영역이 기능적 FcR 결합 도메인, 바람직하게는 기능적 FcRn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한,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형된 불변 영역 또는 Fc 영역은 개선된 기능 및/또는 약동학으로 이어진다. 변형은 Fc 단편의 특정 부분의 결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은 항체의 생물학적 성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아미노산 치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FcRn 결합을 증가시켜 생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돌연변이도 존재할 수 있다. 변형은 항체의 글리코실화 프로파일의 변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천연 Fc 단편은 위치 297의 아스파라긴 잔기(Asn297)에 결합된 N-글리칸이 2개의 중쇄 각각에 존재하는 CH2 도메인에서 글리코실화된다. 본 개시내용의 문맥에서, 항체를 당변형시킬 수 있고, 즉 특정 글리코실화 프로파일을 갖도록 조작할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개선된 성질, 예를 들어, 개선된 이펙터 기능 또는 개선된 혈청 반감기로 이어진다.
본원에 기재된 항체는 단리된다. "단리된" 항체는 그의 천연 환경의 구성요소로부터 (예를 들어, 정제 수단에 의해) 분리된 항체이다.
용어 "항체"는 1가, 즉 하나의 항원 결합 도메인만을 포함하는 항체(예를 들어, "절반 항체"로서도 지칭되는, 상호연결된 전체 길이 중쇄 및 전체 길이 경쇄를 포함하는 1-아암 항체), 및 다가 항체, 즉 하나 초과의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항체를 포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어 "항체"는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도 포괄한다.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단일 쇄 항체(예를 들어, scFv 및 dsscfv), Fab, Fab', F(ab')2, Fv, 단일 도메인 항체 또는 나노바디(예를 들어, VH 또는 VL, 또는 VHH 또는 VNAR)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다른 항체 단편은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1/117648호, 제WO2005/003169호, 제WO2005/003170호 및 제WO2005/003171호에 기재된 Fab 및 Fab' 단편을 포함한다.
이 항체 단편들을 생성하고 제조하는 방법은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문헌[Verma et al., 1998,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216, 165-181] 참조).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Fab 단편"은 경쇄의 VL(가변 경쇄) 도메인 및 불변 도메인(CL)을 포함하는 경쇄 단편, 및 중쇄의 VH(가변 중쇄) 도메인 및 제1 불변 도메인(CH1)을 포함하는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전형적인 "Fab' 단편"은 중쇄 및 경쇄 쌍을 포함하고, 이때 중쇄는 가변 영역 VH, 불변 도메인 CH1 및 천연 또는 변형된 힌지 영역을 포함하고, 경쇄는 가변 영역 VL 및 불변 도메인 CL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Fab'의 이량체는 F(ab')2를 생성하고, 이때 이량체화는 예를 들어, 힌지를 통한 이량체화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단일 도메인 항체"는 단일 단량체 가변 항체 도메인으로 구성된 항체 단편을 지칭한다. 단일 도메인 항체의 예는 VH 또는 VL 또는 VHH 또는 V-NAR을 포함한다.
"Fv"는 2개의 가변 도메인, 예를 들어, 협력 가변 도메인, 예컨대, 동족 쌍 또는 친화성 성숙 가변 도메인, 즉 VH 및 VL 쌍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단일 쇄 가변 단편" 또는 "scFv"는 VH 가변 도메인과 VL 가변 도메인 사이의 펩타이드 링커에 의해 안정화된 단일 쇄 가변 단편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설파이드 안정화 단일 쇄 가변 단편" 또는 "dsscFv"는 VH 가변 도메인과 VL 가변 도메인 사이의 펩타이드 링커에 의해 안정화되고 VH와 VL 사이의 도메인간 디설파이드 결합도 포함하는 단일 쇄 가변 단편을 지칭한다(예를 들어, 문헌[Weatherill et al., Protein Engineering, Design & Selection, 25 (321-329), 2012],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07109254호 참조).
한 실시양태에서, 가변 도메인 VH와 VL 또는 V1 또는 V2 사이의 디설파이드 결합은 하기 나열된 잔기들 중 2개의 잔기 사이에 있다(문맥이 달리 표시하지 않은 한, 하기 목록에서 카바트 넘버링이 사용됨). 카바트 넘버링이 언급될 때마다 관련 참고자료는 문헌[Kabat et al., 1991(5th edition, Bethesda, Md.), in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IH, USA]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디설파이드 결합은 하기 위치들, 및 분자에 위치한 가변 영역 쌍에서 이에 상응하는 위치 또는 위치들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위치에 있다:
· VH37 + VL95C(예를 들어, 문헌[Protein Science 6, 781-788 Zhu et al (1997)] 참조);
· VH44 + VL100(예를 들어, 문헌[Weatherill et al., Protein Engineering, Design & Selection, 25 (321-329), 2012] 참조);
· VH44 + VL105(예를 들어, 문헌[J Biochem. 118, 825-831 Luo et al (1995)] 참조);
· VH45 + VL87(예를 들어, 문헌[Protein Science 6, 781-788 Zhu et al (1997)] 참조);
· VH55 + VL101(예를 들어, 문헌[FEBS Letters 377 135-139 Young et al (1995)] 참조);
· VH100 + VL50(예를 들어, 문헌[Biochemistry 29 1362-1367 Glockshuber et al (1990)] 참조);
· VH100b + VL49(예를 들어, 문헌[Biochemistry 29 1362-1367 Glockshuber et al (1990)] 참조);
· VH98 + VL46(예를 들어, 문헌[Protein Science 6, 781-788 Zhu et al (1997)] 참조);
· VH101 + VL46(예를 들어, 문헌[Protein Science 6, 781-788 Zhu et al (1997)] 참조);
· VH105 + VL43(예를 들어, 문헌[Proc. Natl. Acad. Sci. USA Vol. 90 pp.7538-7542 Brinkmann et al (1993)]; 또는 문헌[Proteins 19, 35-47 Jung et al (1994)] 참조);
· VH106 + VL57(예를 들어, 문헌[FEBS Letters 377 135-139 Young et al (1995)] 참조).
한 실시양태에서, 디설파이드 결합은 위치 VH44와 VL100 사이에 형성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IL13 항체는 길항 항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길항 항체"는 예를 들어, IL-13과 IL-13 수용체의 결합을 차단하거나 이러한 결합을 감소시켜 상기 수용체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IL-13의 생물학적 신호전달 활성을 억제할 수 있거나 중화시킬 수 있는 항체를 기술한다.
IL-13 활성을 억제하는 항체는 몇 가지 가능한 작용 기작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빈(Bin) 1은 인간 IL-13에 결합하고 IL-13Rα1의 결합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IL-4R이 결합하는 것도 차단하는 항체를 나타낸다. 빈 1 항체는 IL-13과 IL-13Rα2의 결합도 방해할 수 있다. 빈 2는 IL-13Rα1에 결합할 수 있게 하되, 복합체 내로의 IL-4R의 동원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hIL-13에 결합하는 항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빈 1을 통해 작동하는 항체를 선택하였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IL13 항체는 인간 IL-13에 결합하고 IL-13Rα1의 결합을 방해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IL13 항체는 인간 IL-13에 결합하고 IL-13Rα2의 결합을 방해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IL13 항체는 인간 IL-13에 결합하고 IL-13Rα1 및 IL-13Rα2의 결합을 방해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IL13 항체는 <100 pM의 KD로 인간 IL-13에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항체는 단일클론, 인간화된, 전체 인간 또는 키메라 항체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일클론 항체는 당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 예컨대, 하이브리도마 기법(Kohler & Milstein, 1975, Nature, 256:495-497), 트리오마 기법, 인간 B-세포 하이브리도마 기법(Kozbor et al., 1983, Immunology Today, 4:72) 및 EBV-하이브리도마 기법(Cole et al.,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pp77-96, Alan R Liss, Inc., 1985)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항체는 예를 들어, 문헌[Babcook, J. et al., 1996, Proc. Natl. Acad. Sci. USA 93(15):7843-7848l];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92/02551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04/051268호; 및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04/106377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특정 항체의 생성을 위해 선택된 단일 림프구로부터 생성된 면역글로불린 가변 영역 cDNA를 클로닝하고 발현시킴으로써 단일 림프구 항체 방법의 이용을 통해 생성될 수도 있다.
항체에 대한 스크리닝은 IL-13에의 결합을 측정하는 어세이 및/또는 IL-13과 그의 수용체들 중 하나 이상의 수용체의 결합을 차단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어세이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결합 어세이의 예는 예를 들어, 플레이트에 고정된 IL-13의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고 IL-13에 결합된 항-IL-13 항체를 검출하기 위해 접합된 이차 항체를 사용하는 ELISA이다. 차단 어세이의 예는 IL-13R에 결합하는 IL-13 리간드 단백질의 차단을 측정하는 유세포분석 기반 어세이이다. 형광 표지부착된 이차 항체는 IL-13R에 결합하는 IL-13 리간드 단백질의 양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CDR-이식된 항체를 포함하는) 인간화된 항체는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상보성 결정 영역(CDR) 및 인간 면역글로불린 분자로부터의 프레임워크 영역을 가진 항체 분자이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585,089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91/09967호 참조). 전체 CDR보다는 오히려 CDR의 특이성 결정 잔기를 전달하는 것만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예를 들어, 문헌[Kashmiri et al., 2005, Methods, 36, 25-34] 참조). 인간화된 항체는 CDR의 기원이 되는 비-인간 종으로부터 유래한 하나 이상의 프레임워크 잔기를 임의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키메라 항체는 요소가 그의 기원이 되는 종의 특징을 유지하도록 2개의 상이한 종으로부터 유래한 요소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키메라 항체는 하나의 종,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토끼 등으로부터의 가변 영역, 및 인간과 같은 또 다른 종으로부터의 불변 영역을 포함할 것이다.
항체는 당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들을 이용함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고 문헌[Brinkman et al. (in J. Immunol. Methods, 1995, 182: 41-50)], 문헌[Ames et al. (J. Immunol. Methods, 1995, 184:177-186)], 문헌[Kettleborough et al. (Eur. J. Immunol. 1994, 24:952-958)], 문헌[Persic et al. (Gene, 1997 187 9-18)], 문헌[Burton et al. (Advances in Immunology, 1994, 57:191-280)];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90/02809호, 제WO91/10737호, 제WO92/01047호, 제WO92/18619호, 제WO93/11236호, 제WO95/15982호 및 제WO95/20401호; 및 미국 특허 제5,698,426호, 제5,223,409호, 제5,403,484호, 제5,580,717호, 제5,427,908호, 제5,750,753호, 제5,821,047호, 제5,571,698호, 제5,427,908호, 제5,516,637호, 제5,780,225호, 제5,658,727호, 제5,733,743호 및 제5,969,108호에 개시된 항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체 인간 항체는 중쇄 및 경쇄 둘 다의 가변 영역 및 불변 영역(존재하는 경우)이 모두 인간으로부터 유래하거나 인간으로부터 유래한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반드시 동일한 항체로부터 유래할 필요는 없는 항체이다. 전체 인간 항체의 예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0546073호, 미국 특허 제5,545,806호, 미국 특허 제5,569,825호, 미국 특허 제5,625,126호, 미국 특허 제5,633,425호, 미국 특허 제5,661,016호, 미국 특허 제5,770,429호, 유럽 특허 제0438474호 및 유럽 특허 제0463151호에 일반 용어로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술된 파지 디스플레이 방법에 의해 생성된 항체, 및 뮤린 면역글로불린 가변 및 임의로 불변 영역 유전자가 그들의 인간 대응물로 대체되어 있는 마우스에 의해 생성된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다중특이적 항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다중특이적 또는 다중-특이적 항체"는 적어도 2개의 결합 도메인, 즉 2개 이상의 결합 도메인,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결합 도메인을 가진 본원에 기재된 항체를 지칭하고, 이때 적어도 2개의 결합 도메인은 2개의 상이한 항원 또는 동일한 항원 상의 2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독립적으로 결합한다. 다중특이적 항체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특이성(항원)에 대해 1가이다. 본원에 기재된 다중특이적 항체는 1가 및 다가, 예를 들어, 2가, 3가, 4가 다중특이적 항체를 포괄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구축물은 이중특이적 항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이중특이적 또는 이중-특이적 항체"는 2개의 항원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를 지칭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2개의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고, 이때 하나의 결합 도메인은 항원 1에 결합하고 다른 결합 도메인은 항원 2에 결합한다. 즉, 각각의 결합 도메인은 각각의 항원에 대해 1가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4가 이중특이적 항체이다. 즉, 항체는 4개의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고, 이때 예를 들어, 2개의 결합 도메인은 항원 1에 결합하고 다른 2개의 결합 도메인은 항원 2에 결합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3가 이중특이적 항체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 구축물은 삼중특이적 항체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삼중특이적 또는 삼중-특이적 항체"는 3개의 항원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항체는 3개의 상이한 항원 또는 동일한 항원 상의 3개의 상이한 에피토프에 독립적으로 결합하는 3개의 항원 결합 도메인(3가)을 가진 항체이다. 즉, 각각의 결합 도메인은 각각의 항원에 대해 1가이다.
파라토프는 항원을 인식하고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의 영역이다. 본 발명의 항체는 다중파라토프 항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다중파라토프 항체"는 동일한 항원 또는 2개의 상이한 항원으로부터의 상이한 에피토프와 상호작용하는 2개 이상의 상이한 파라토프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항체를 지칭한다. 본원에 기재된 다중파라토프 항체는 이중파라토프, 삼중파라토프, 사중파라토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항원 결합 도메인"은 표적 항원과 특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항체의 부분을 지칭하고, 이 부분은 하나 이상의 가변 도메인의 일부 또는 전부, 예를 들어, 한 쌍의 가변 도메인 VH 및 VL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결합 도메인은 단일 도메인 항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결합 도메인은 1가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결합 도메인은 하나 이하의 VH 및 하나의 VL을 포함한다.
다양한 다중특이적 항체 포맷이 생성되었다. 다양한 분류가 제안되었으나, 다중특이적 IgG 항체 포맷은 예를 들어, 문헌[Spiess et al., Alternative molecular format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for bispecific antibodies. Mol Immunol. 67(2015):95-10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중특이적 IgG, 부착된 IgG, 다중특이적(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 단편, 다중특이적(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융합 단백질 및 다중특이적(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 접합체를 포함한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제조 기법은 크로스맙(CrossMab) 기술(Klein et al. Engineering therapeutic bispecific antibodies using CrossMab technology, Methods 154 (2019) 21-31), 놉스-인-홀스(Knobs-in-holes) 조작(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1996027011호 및 제WO1998050431호), 듀오바디(DuoBody) 기술(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1131746호), 아자이메트릭(Azymetric) 기술(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2058768호)을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추가 제조 기술은 예를 들어, 문헌[Godar et al., 2018, Therapeutic bispecific antibody formats: a patent applications review (1994-2017), Expert Opinion on Therapeutic Patents, 28:3, 251-276]에 기재되어 있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특히 크로스맙 항체, DAF(two-in-one), DAF(four-in-one), 듀타맙(DutaMab), DT-lgG, 놉스-인-홀스 공통 LC, 놉스-인-홀스 어셈블리, 전하 쌍, Fab-아암 교환, SEEDbody, 트리오맙(Triomab), LUZ-Y, Fcab, κλ-바디 및 오르토고날(orthogonal) Fab를 포함한다.
부착된 IgG는 고전적으로 추가 항원 결합 도메인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IgG의 중쇄 및/또는 경쇄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부착함으로써 조작된 전체 길이 IgG를 포함한다. 이러한 추가 항원 결합 단편의 예는 sdAb 항체(예를 들어, VH 또는 VL), Fv, scFv, dsscFv, Fab, scFav를 포함한다. 부착된 IgG 항체 포맷은 예를 들어, 문헌[Spiess et al., Alternative molecular format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for bispecific antibodies. Mol Immunol. 67(2015):95-10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특히 DVD-IgG, lgG(H)-scFv, scFv-(H)lgG, lgG(L)-scFv, scFv-(L)lgG, lgG(L,H)-Fv, lgG(H)-V, V(H)-lgG, lgC(L)-V, V(L)-lgG, KIH IgG-scFab, 2scFv-lgG, lgG-2scFv, scFv4-lg, 자이바디(Zybody) 및 DVI-IgG(four-in-one)를 포함한다.
다중특이적 항체 단편은 예를 들어, 문헌[Spiess et al., Alternative molecular format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for bispecific antibodies. Mol Immunol. 67(2015):95-10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나노바디, 나노바디-HAS, BiTE, 디아바디, DART, TandAb, sc디아바디, sc-디아바디-CH3, 디아바디-CH3, 트리플 바디, 미니항체; 미니바디, Tri Bi 미니바디, scFv-CH3 KIH, Fab-scFv, scFv-CH-CL-scFv, F(ab')2, F(ab')2-scFv2, scFv-KIH, Fab-scFv-Fc, 4가 HCAb, sc디아바디-Fc, 디아바디-Fc, 탠뎀(Tandem) scFv-Fc; 및 인트라바디(intrabody)를 포함한다.
다중특이적 융합 단백질은 독 앤 락(Dock and Lock), ImmTAC, HSAbody, sc디아바디-HAS, 및 탠뎀 scFv-독소를 포함한다.
다중특이적 항체 접합체는 IgG-lgG; Cov-X-Body; 및 scFv1-PEG-scFv2를 포함한다.
추가 다중특이적 항체 포맷은 예를 들어, 문헌[Brinkmann and Kontermann, The making of bispecific antibodies, mAbs, 9:2, 182-212 (2017)], 특히 도 2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어, 탠뎀 scFv, 트리플바디, Fab-VHH, taFv-Fc, scFv4-Ig, scFv2-Fcab, scFv4-IgG, 비바디(Bibody), 트리바디, 및 이들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99/3779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항체는 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09/040562호, 제WO2010/035012호, 제WO2011/030107호, 제WO2011/061492호, 제WO2011/061246호 및 WO2011/086091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부착된 IgG 및 부착된 Fab를 포함하고, 이때 전체 IgG 또는 Fab 단편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추가 항원 결합 도메인(예를 들어, 2개, 3개 또는 4개의 추가 항원 결합 도메인), 예를 들어, 단일 도메인 항체(예컨대, VH 또는 VL, 또는 VHH), scFv, dsscFv, dsFv를 상기 IgG 또는 Fab의 중쇄 및/또는 경쇄의 N-말단 및/또는 C-말단에 부착함으로써 조작된다. 특히, Fab-Fv 포맷은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09/040562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의 디설파이드 안정화 버전인 Fab-dsFv는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0/035012호에 기재되어 있다. dsFv가 Fv의 VL 또는 VH 도메인과 Fab의 LC 또는 HC의 C-말단 사이의 단일 링커를 통해 Fab에 연결되어 있는 단일 링커 Fab-dsFv는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4/096390호에 기재되어 있다. dsFv를 IgG의 중쇄 또는 경쇄의 C-말단에 부착함으로써 조작된 전체 길이 IgG1을 포함하는 부착된 IgG는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5/197789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또 다른 항체는 2개의 scFv 또는 dsscFv에 연결된 Fab를 포함하고, 이때 각각의 scFv 또는 dsscFv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표적에 결합한다(예를 들어, 하나의 scFv 또는 dsscFv는 치료 표적에 결합하고 하나의 scFv 또는 dsscFv는 예를 들어, 알부민에 결합함으로써 반감기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항체는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5/197772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단편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또 다른 항체는 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13/068571호 및 문헌[Dave et al., Mabs, 8(7) 1319-1335 (2016)]에 기재된 바와 같이 하나의 scFv 또는 dsscFv에만 연결된 Fab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DR-L1에 대해 서열번호 1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CDR, CDR-L2에 대해 서열번호 2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 또는 CDR-L3에 대해 서열번호 3으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DR-L1에 대해 서열번호 1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 CDR-L2에 대해 서열번호 2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 및 CDR-L3에 대해 서열번호 3으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DR-H1에 대해 서열번호 4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CDR, CDR-H2에 대해 서열번호 5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 또는 CDR-H3에 대해 서열번호 6으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DR-H1에 대해 서열번호 4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 CDR-H2에 대해 서열번호 5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 및 CDR-H3에 대해 서열번호 6으로 제공된 서열을 가진 CDR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체 분자는 각각 상보적 경쇄 또는 상보적 중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a) i. 서열번호 1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2를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3을 포함하는 CDR-L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 및
(b) i. 서열번호 4를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를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6을 포함하는 CDR-H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IL-13에 결합하고 IL-13 활성을 중화시키는 항체의 능력을 유의미하게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CDR에 대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치환, 추가 및/또는 결실을 만들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임의의 아미노산 치환, 추가 및/또는 결실의 효과는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방법, 특히 실시예에 예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IL-13 결합 및 IL-13/IL-13 수용체 상호작용의 억제를 측정함으로써,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시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CDR-L1(서열번호 1), CDR-L2(서열번호 2), CDR-L3(서열번호 3), CDR-H1(서열번호 4), CDR-H2(서열번호 5) 및 CDR-H3(서열번호 6)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CDR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항체를 제공하고, 이때 상기 CDR들 중 하나 이상의 CDR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또 다른 아미노산, 예를 들어, 이하 본원에서 정의된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CDR-L1(서열번호 1), CDR-L2(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 20), CDR-L3(서열번호 3), CDR-H1(서열번호 4), CDR-H2(서열번호 5) 및 CDR-H3(서열번호 6)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항체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이때 상기 CDR들 중 하나 이상의 CDR에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은 또 다른 아미노산, 예컨대, 이하 본원에서 정의된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동일성"은 정렬된 서열의 임의의 특정 위치에서 아미노산 잔기가 서열들 사이에 동일함을 표시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사성"은 정렬된 서열의 임의의 특정 위치에서 아미노산 잔기가 서열들 사이에 유사한 유형의 아미노산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류신은 이소류신 또는 발린으로 치환될 수 있다. 종종 서로 치환될 수 있는 다른 아미노산은 하기 아미노산들을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 페닐알라닌, 티로신 및 트립토판(방향족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
- 라이신, 아르기닌 및 히스티딘(염기성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
- 아스파르테이트 및 글루타메이트(산성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
- 아스파라긴 및 글루타민(아미드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 및
-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황 함유 측쇄를 가진 아미노산). 동일성 및 유사성의 정도는 용이하게 계산될 수 있다(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Lesk, A.M.,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88; Biocomputing. Informatics and Genome Projects, Smith, D.W.,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93; Computer Analysis of Sequence Data, Part 1, Griffin, A.M., and Griffin, H.G., eds., Humana Press, New Jersey, 1994; Sequence Analysis in Molecular Biology, von Heinje, G., Academic Press, 1987, Sequence Analysis Primer, Gribskov, M. and Devereux, J., eds., M Stockton Press, New York, 1991, the BLAST™ software available from NCBI (Altschul, S.F. et al., 1990, J. Mol. Biol. 215:403-410; Gish, W. & States, D.J. 1993, Nature Genet. 3:266-272. Madden, T.L. et al., 1996, Meth. Enzymol. 266:131-141; Altschul, S.F. et al., 1997, Nucleic Acids Res. 25:3389-3402; Zhang, J. & Madden, T.L. 1997, Genome Res. 7:649-656).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3개의 CDR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고, 이때 CDR-L1의 서열은 서열번호 1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고/하거나, CDR-L2는 서열번호 2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고/하거나, CDR-L3은 서열번호 3으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3개의 CDR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고, 이때 CDR-H1의 서열은 서열번호 4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고/하거나, CDR-H2는 서열번호 5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고/하거나, CDR-H3은 서열번호 6으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서열번호 13 또는 서열번호 17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서열번호 13 또는 서열번호 17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서열번호 14 또는 서열번호 18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서열번호 14 또는 서열번호 18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경쇄 가변 영역 및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3으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고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4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경쇄 가변 영역 및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3으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고/하거나,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4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열을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각각 서열번호 1/2/3/4/5/6을 포함하는 CDR-L1/CDR-L2/CDR-L3/CDR-H1/CDR-H2/CDR-H3 서열을 포함하고,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의 나머지 부분은 각각 서열번호 13 및 14 또는 서열번호 17 및 18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Fab, Fab', F(ab')2, Fv, dsFv, scFv 또는 dsscFv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단일 도메인 항체 또는 나노바디, 예를 들어, VH 또는 VL 또는 VHH 또는 VNAR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서열번호 21로 제공된 서열, 또는 서열번호 21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scFv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각각 서열번호 1/2/3/4/5/6으로 제공된 CDR-L1/CDR-L2/CDR-L3/CDR-H1/CDR-H2/CDR-H3 서열을 포함하는 scFv이고, 이 scFv의 나머지 부분은 서열번호 21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서열번호 23으로 제공된 서열, 또는 서열번호 23으로 제공된 서열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한 서열을 포함하는 dsscFv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는 각각 서열번호 1/2/3/4/5/6으로 제공된 CDR-L1/CDR-L2/CDR-L3/CDR-H1/CDR-H2/CDR-H3 서열을 포함하는 dsscFv이고, 이 dsscFv의 나머지 부분은 서열번호 23과 적어도 70%, 80%, 90%, 95% 또는 98%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중쇄 및 경쇄를 포함하고, 이때 중쇄는 CH1 도메인을 포함하고, 경쇄는 카파 또는 람다 CL 도메인을 포함한다.
항체 또는 단편과 같은 생물학적 분자는 산성 및/또는 염기성 작용기를 함유함으로써, 순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분자에 부여한다. 전체 "관찰된" 전하의 양은 물질의 절대 아미노산 서열, 3D 구조에서 하전된 기의 국소 환경, 및 분자의 환경 조건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등전점(pI)은 특정 분자 또는 표면이 순 전기 전하를 운반하지 않는 pH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항체 또는 단편은 적어도 7의 등전점(pI)을 가진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단편은 적어도 8, 예컨대, 8.5, 8.6, 8.7, 8.8 또는 9의 등전점을 가진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의 pI는 8이다.
본 발명의 IL-13 항체 및 단편은 적절한 등전점을 갖도록 조작될 수 있다. 이것은 더 강력한 성질, 특히 적합한 용해도 및/또는 안정성 프로파일을 가진 항체 및/또는 단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최초 확인된 항체의 등전점과 상이한 등전점을 갖도록 조작된 인간화된 IL-13 항체를 제공한다. 항체는 예를 들어, 아미노산 잔기를 대체함으로써, 예컨대, 산성 아미노산 잔기를 하나 이상의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로 대체함으로써 조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를 추가할 수 있거나 산성 아미노산 잔기를 제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자가 허용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pI 값을 가진 경우, 필요에 따라 산성 잔기를 도입하여 pH를 낮출 수 있다. 조작된 항체 또는 단편의 pI는 예를 들어, 8 이상, 예컨대, 8.5 또는 9일 수 있다. pI를 조작할 때, 항체 또는 단편의 바람직한 활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조작된 항체 또는 단편은 "비변형된" 항체 또는 단편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활성을 가진다.
** ExPASY http://www.expasy.ch/tools/pi_tool.html, 및 http://www.iut-arles.up.univ-mrs.fr/w3bb/d_abim/compo-p.html과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항체 또는 단편의 등전점을 예측할 수 있다.
에피토프
에피토프는 항체에 의해 결합되는 항원의 영역이다. 에피토프는 구조적 또는 기능적 에피토프로서 정의될 수 있다. 기능적 에피토프는 일반적으로 구조적 에피토프의 서브세트이고 상호작용의 친화성에 직접 기여하는 잔기를 가진다. 에피토프는 입체구조적 에피토프, 즉 비-선형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에피토프일 수도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에피토프는 분자의 화학적 활성 표면 기, 예컨대, 아미노산, 당 측쇄, 포스포릴 기 또는 설포닐 기인 결정인자를 포함할 수 있고, 특정 실시양태에서 특정 3차원 구조적 특징 및/또는 특정 전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당분야에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항체가 기준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거나 결합에 대해 기준 항체와 경쟁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 항체가 본 발명의 기준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기준 항체를 포화 조건 하에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에 결합시킨다. 그 다음, 단백질 또는 펩타드에 결합하는 시험 항체의 능력을 평가한다. 시험 항체가 기준 항체와의 포화 결합 후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에 결합할 수 있는 경우, 시험 항체는 기준 항체와 상이한 에피토프에 결합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시험 항체가 기준 항체와의 포화 결합 후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에 결합할 수 없는 경우, 시험 항체는 본 발명의 기준 항체에 의해 결합된 에피토프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항체가 결합에 대해 기준 항체와 경쟁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결합 방법을 두 배향으로 수행한다. 첫 번째 배향에서, 기준 항체를 포화 조건 하에 단백질/펩타이드에 결합시킨 후, 시험 항체와 단백질/펩타이드 분자의 결합을 평가한다. 두 번째 배향에서, 시험 항체를 포화 조건 하에 단백질/펩타이드에 결합시킨 후, 기준 항체와 단백질/펩타이드의 결합을 평가한다. 두 배향에서, 첫 번째(포화) 항체만이 단백질/펩타이드에 결합할 수 있는 경우, 시험 항체와 기준 항체는 단백질/펩타이드에의 결합에 대해 경쟁한다는 결론을 내린다. 숙련된 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결합에 대해 기준 항체와 경쟁하는 항체는 기준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반드시 결합할 필요는 없으나, 중첩되거나 인접한 에피토프에 결합함으로써 기준 항체의 결합을 입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두 항체는 각각이 다른 항체와 항원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억제(차단)하는 경우 동일하거나 중첩되는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즉, 1배, 5배, 10배, 20배 또는 100배 과량의 한 항체는 경쟁 결합 어세이에서 측정될 때 다른 항체의 결합을 적어도 50%, 75%, 90% 또는 심지어 99% 억제한다(예를 들어, 문헌[Junghans et al., Cancer Res, 1990:50:1495-1502] 참조). 대안적으로, 한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항원의 본질적으로 모든 아미노산 돌연변이가 다른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경우 두 항체는 동일한 에피토프를 가진다. 한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일부 아미노산 돌연변이가 다른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경우 두 항체는 중첩되는 에피토프를 가진다.
그 다음, 시험 항체의 관찰된 결합 결여가 실제로 기준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의 결합 때문인지 아니면 입체 차단(또는 또 다른 현상)이 관찰된 결합의 결여의 원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 일반적인 실험(예를 들어, 펩타이드 돌연변이 및 결합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종류의 실험은 ELISA, RIA, 표면 플라즈몬 공명, 유세포분석 또는 당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다른 정량적 또는 정성적 항체 결합 어세이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항체는 경쇄, 중쇄, 경쇄 가변 영역(LCVR), 중쇄 가변 영역(HCVR) 또는 CDR 서열의 관점에서 상기 정의된 항체와 IL-13에의 결합에 대해 경쟁할 수 있거나 이러한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특히, 항체는 서열번호 1/2/3/4/5/6의 CDR-L1/CDR-L2/CDR-L3/CDR-H1/CDR-H2/CDR-H3 서열 조합을 포함하는 항체와 IL-13에의 결합에 대해 경쟁할 수 있거나 이러한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항체는 서열번호 13/14 또는 17/18의 LCVR 및 HCVR 서열 쌍을 포함하는 항체와 IL-13에의 결합에 대해 경쟁할 수 있거나, 이러한 항체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항체는 서열번호 21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scFv, 또는 서열번호 23으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dsscFv와 IL-13에의 결합에 대해 경쟁할 수 있거나, 이러한 scFv 또는 dsscFv와 동일한 에피토프에 결합할 수 있다.
이펙터 분자
원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항체는 하나 이상의 이펙터 분자(들)에 접합될 수 있다. 이펙터 분자는 본 발명의 항체에 부착될 수 있는 단일 모이어티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단일 이펙터 분자 또는 2개 이상의 이러한 분자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펙터 분자에 연결된 항체 단편을 수득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이것은 항체 단편이 직접적으로 또는 커플링제를 통해 이펙터 분자에 연결되는 표준 화학적 또는 재조합 DNA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이펙터 분자를 항체에 접합시키는 기법은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문헌[Hellstrom et al., Controlled Drug Delivery, 2nd Ed., Robinson et al., eds., 1987, pp. 623-53]; 문헌[Thorpe et al., 1982, Immunol. Rev., 62:119-58]; 및 문헌[Dubowchik et al., 1999,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83, 67-123] 참조). 구체적인 화학적 절차는 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93/06231호, 제WO92/22583호, 제WO89/00195호, 제WO89/01476호 및 제WO03031581호에 기재된 절차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이펙터 분자가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인 경우, 예를 들어,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86/01533호 및 유럽 특허 제039274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재조합 DNA 절차를 이용하여 연결을 달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이펙터 분자는 예를 들어, 항신생물제, 약물, 독소, 생물학적 활성 단백질, 예를 들어, 효소, 다른 항체 또는 항체 단편, 합성 또는 천연 생성 중합체, 핵산 및 이의 단편, 예를 들어, DNA, RNA 및 이들의 단편, 방사성핵종, 특히 방사성요오드화물, 방사성동위원소, 킬레이팅된 금속, 나노입자 및 리포터 기, 예컨대, 형광 화합물, 또는 NMR 또는 ESR 분광법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펙터 분자의 예는 세포에 유해한(예를 들어, 세포를 사멸시키는) 임의의 작용제를 포함하는 세포독소 또는 세포독성 작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는 콤브레스타틴(combrestatin), 돌라스타틴(dolastatin), 에포틸론(epothilone), 스타우로스포린(staurosporin), 메이탄시노이드(maytansinoid), 스폰지스타틴(spongistatin), 리족신(rhizoxin), 할리콘드린(halichondrin), 로리딘(roridin), 헤미아스터린(hemiasterlin), 탁솔(taxol), 사이토칼라신(cytochalasin) B, 그라미시딘(gramicidin) D, 브롬화에티듐, 에메틴(emetine), 미토마이신(mitomycin),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테노포사이드(tenoposid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콜치신(colch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디히드록시 안쓰라신 디온(dihydroxy anthracin dione), 미톡산트론(mitoxantrone), 미쓰라마이신(mithramycin), 악티노마이신(actinomycin) D, 1-데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testosterone),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프로카인(procaine), 테트라카인(tetracaine), 리도카인(lidocaine),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및 퓨로마이신(puromycin) 및 이들의 유사체 또는 동족체를 포함한다.
이펙터 분자는 항대사물질(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6-머캡토푸린(mercaptopurine), 6-티오구아닌(thioguanine), 시타라빈(cytarabine), 5-플루오로우라실 데카바진(fluorouracil decarbazine)), 알킬화제(예를 들어, 메클로레타민(mechlorethamine), 티오에파 클로람부실(thioepa chlorambucil), 멜팔란(melphalan), 카무스틴(carmustine)(BSNU)), 로무스틴(lomustine)(CCNU), 사이클로토스파미드(cyclothosphamide), 부설판(busulfan), 디브로모만니톨(dibromomannitol), 스트렙토조토신(streptozotocin), 미토마이신(mitomycin) C 및 시스-디클로로디아민 백금(II)(DDP) 시스플라틴(cisplatin)), 안쓰라사이클린(anthracycline)(예를 들어, 다우노루비신(이전에 다우노마이신) 및 독소루비신), 항생제(예를 들어,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이전에 악티노마이신),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미쓰라마이신, 안쓰라마이신(anthramycin)(AMC), 칼리케아미신(calicheamicin) 또는 듀오카마이신(duocarmycin)) 및 항-유사분열제(예를 들어, 빈크리스틴 및 빈블라스틴)도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이펙터 분자는 111In 및 90Y, Lu177, 비스무쓰213, 캘리포르늄252, 이리듐192 및 텅스텐188/레늄188과 같은 킬레이팅된 방사성핵종; 또는 알킬포스포콜린(alkylphosphocholine), 토포이소머라제(topoisomerase) I 억제제, 탁소이드(taxoid) 및 수라민(suramin)과 같은,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이펙터 분자는 단백질, 펩타이드 및 효소를 포함한다. 관심 있는 효소는 단백질분해 효소, 하이드롤라제(hydrolase), 리아제(lyase), 이소머라제(isomerase), 트랜스퍼라제(transferase)를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관심 있는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및 펩타이드는 면역글로불린, 독소, 예컨대, 아브린(abrin), 리신(ricin) A, 슈도모나스 외독소, 또는 디프테리아 독소, 단백질, 예컨대, 인슐린, 종양 괴사 인자, α-인터페론, β-인터페론, 신경 성장 인자, 혈소판 유래 성장 인자 또는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혈전제 또는 항-혈관신생제, 예를 들어, 안지오스타틴 또는 엔도스타틴, 또는 생물학적 반응 변형제, 예컨대, 림포카인, 인터루킨-1(IL-1), 인터루킨-2(IL-2), 과립구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CSF), 신경 성장 인자(NGF) 또는 다른 성장 인자 및 면역글로불린을 포함하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이펙터 분자는 예를 들어, 진단에 유용한 검출 가능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가능한 물질의 예는 다양한 효소, 보결분자단, 형광 물질, 발광 물질, 생체발광 물질, 방사성핵종,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에 사용하기 위한) 양전자 방출 금속 및 비방사성 상자성 금속 이온을 포함한다. 진단제로서 사용될 항체에 접합될 수 있는 금속 이온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미국 특허 제4,741,900호를 참조한다. 적합한 효소는 호스라디쉬 퍼록시다제(horseradish peroxidase), 알칼리성 포스파타제, 베타-갈락토시다제 또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포함하고; 적합한 보결분자단은 스트렙타비딘, 아비딘 및 바이오틴을 포함하고; 적합한 형광 물질은 움벨리페론, 플루오레세인, 플루오레세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로다민, 디클로로트리아지닐아민 플루오레세인, 단실 클로라이드 및 파이코에리쓰린을 포함하고; 적합한 발광 물질은 루미놀을 포함하고; 적합한 생체발광 물질은 루시퍼라제, 루시페린 및 에쿠오린을 포함하고; 적합한 방사성핵종은 125I, 131I, 111In 및 99Tc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이펙터 분자는 생체내에서 항체의 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있거나, 항체의 면역원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있거나 상피 장벽을 가로질러 면역 시스템으로의 항체의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유형의 적합한 이펙터 분자의 예는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05/117984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중합체, 알부민, 알부민 결합 단백질 또는 알부민 결합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펙터 분자가 중합체인 경우, 이펙터 분자는 일반적으로 합성 또는 천연 생성 중합체, 예를 들어, 임의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폴리알킬렌, 폴리알케닐렌 또는 폴리옥시알킬렌 중합체 또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다당류, 예를 들어, 동종 또는 이종 다당류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합성 중합체에 존재할 수 있는 특정 임의적 치환기는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메틸 또는 메톡시 기를 포함한다.
합성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는 임의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이들의 유도체, 특히 임의로 치환된 폴리(에틸렌글리콜), 예컨대,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천연 생성 중합체는 락토스, 아밀로스, 덱스트란, 글리코겐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유도체"는 반응성 유도체, 예를 들어, 티올 선택적 반응성 기, 예컨대, 말레이미드 등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반응성 기는 직접적으로 또는 링커 분절을 통해 중합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기의 잔기는 일부 경우 항체 단편과 중합체 사이의 연결 기로서 생성물의 일부를 형성할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중합체의 크기는 원하는 대로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500 Da 내지 50000 Da, 예를 들어, 5000 내지 40000 Da, 예컨대, 20000 내지 40000 Da의 평균 분자량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중합체 크기는 특히 생성물의 의도된 용도, 예를 들어, 종양과 같은 특정 조직에 국한되거나 순환 반감기를 연장시키는 능력을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검토를 위해서는 문헌[Chapman, 2002,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54, 531-545] 참조). 따라서, 예를 들어, 생성물이 순환계를 떠나 조직으로 침투하기 위한 것인 경우, 예를 들어, 대략 5000 Da의 분자량을 가진 저분자량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생성물이 순환계에 남아 있는 적용의 경우, 예를 들어, 20000 Da 내지 40000 Da 범위 내의 분자량을 가진 고분자량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적합한 중합체는 폴리알킬렌 중합체,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특히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유도체, 특히 약 15000 Da 내지 약 40000 Da 범위 내의 분자량을 가진 중합체를 포함한다.
한 예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항체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모이어티에 부착된다. 한 특정 예에서, 상기 항체는 항체 단편이고 PEG 분자는 항체 단편에 위치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아미노산 측쇄 또는 말단 아미노산 작용기, 예를 들어, 임의의 유리 아미노, 이미노, 티올, 하이드록실 또는 카르복실 기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아미노산은 항체 단편에 천연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재조합 DNA 방법의 이용을 통해 단편 내로 조작될 수 있다(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219,996호; 미국 특허 제5,667,425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98/25971호 참조). 한 예에서, 본 발명의 항체 분자는 변형된 Fab 단편이고, 이때 변형은 이펙터 분자의 부착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그의 중쇄의 C-말단에 추가하는 것이다. 적합하게는, 추가 아미노산은 이펙터 분자에 부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시스테인 잔기를 함유하는 변형된 힌지 영역을 형성한다. 2개 이상의 PEG 분자를 부착하기 위해 다수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PEG 분자는 항체 단편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테인 잔기의 티올 기를 통해 공유결합될 수 있다. 변형된 항체 단편에 부착된 각각의 중합체 분자는 단편에 위치한 시스테인 잔기의 황 원자에 공유결합될 수 있다. 공유결합은 일반적으로 디설파이드 결합 또는 특히 황-탄소 결합일 것이다. 티올 기가 부착점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적절히 활성화된 이펙터 분자, 예를 들어, 티올 선택적 유도체, 예컨대, 말레이미드 및 시스테인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된 중합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중합체 변형 항체 단편의 제조에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활성화된 중합체는 α-할로카르복실산 또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요오도아세트아미드,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이미드, 비닐 설폰 또는 디설파이드와 같은 티올 반응성 기를 함유하는 임의의 중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출발 물질은 (예를 들어, 넥타(Nekta)(이전에 쉬어워터 폴리머스 인코포레이티드(Shearwater Polymers Inc.)(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될 수 있거나, 통상적인 화학적 절차를 이용함으로써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인 PEG 분자는 20K 메톡시-PEG-아민(넥타(이전에 쉬어워터); 랩 폴리머(Rapp Polymere); 및 선바이오(SunBio)로부터 입수될 수 있음) 및 M-PEG-SPA(넥타(이전에 쉬어워터)로부터 입수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는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0948544호 또는 제1090037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PEG화된, 즉 PEG(폴리(에틸렌글리콜))가 공유부착되어 있는 변형된 Fab 단편 또는 diFab이다(문헌["Poly(ethyleneglycol) Chemistry, Biotechnic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 1992, J. Milton Harris (ed), Plenum Press, New York, "Poly(ethyleneglycol) Chemistry and Biological Applications", 1997, J. Milton Harris and S. Zalipsky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and "Bioconjugation Protein Coupling Techniques for the Biomedical Sciences", 1998, M. Aslam and A. Dent, Grove Publishers, New York; Chapman, A. 2002,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2002, 54:531-545] 또한 참조). 한 예에서, PEG는 힌지 영역 내의 시스테인에 부착된다. 한 예에서, PEG 변형 Fab 단편은 변형된 힌지 영역 내의 단일 티올 기에 공유결합된 말레이미드 기를 가진다. 라이신 잔기는 말레이미드 기에 공유결합될 수 있고 대략 20,000 Da의 분자량을 가진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체는 라이신 잔기 상의 각각의 아민 기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Fab 단편에 부착된 PEG의 총 분자량은 대략 40,000 Da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인간 IL-13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길항 항체 분자를 제공하고, 이 분자는 이펙터 분자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스테인 잔기를 함유하는 변형된 힌지 영역을 그의 중쇄의 C-말단에서 가진 변형된 Fab' 단편이다. 적합하게는 이펙터 분자는 PEG이고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98/25971호 및 제WO2004072116호 또는 제WO2007/003898호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부착된다. 이펙터 분자는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2005/003169호, 제WO2005/003170호 및 제WO2005/003171호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항체 단편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단편은 이펙터 분자에 부착되지 않는다.
항체 생성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항체 분자의 중쇄 및/또는 경쇄(들)를 코딩하는 단리된 DNA 서열도 제공한다. 적합하게는, 상기 DNA 서열은 본 발명의 항체 분자의 중쇄 또는 경쇄를 코딩한다. 본 발명의 DNA 서열은 예를 들어, 화학적 처리에 의해 생성된 합성 DNA, cDNA, 게놈 DN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분자를 코딩하는 DNA 서열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체 중쇄 및 경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코딩하는 DNA 서열은 결정된 DNA 서열로부터 또는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기반으로 원하는 대로 합성될 수 있다.
수용자 프레임워크 서열을 코딩하는 DNA는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잘 이용될 수 있고 그의 공지된 아미노산 서열을 기반으로 용이하게 합성될 수 있다.
분자생물학의 표준 기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항체 분자를 코딩하는 DNA 서열을 제조할 수 있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합성 기법을 이용하여 원하는 DNA 서열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부위 지정 돌연변이유발 및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기법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적합한 서열의 예는 본원에서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8, 10, 15, 16, 19, 20, 22 또는 24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제공한다.
벡터를 구축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 형질감염 방법 및 배양 방법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헌["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999, F. M. Ausubel (ed), Wiley Interscience, New York and the Maniatis Manual produced by Cold Spring Harbor Publishing]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항체를 코딩하는 하나 이상의 DNA 서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클로닝 또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도 제공한다. 임의의 적합한 숙주 세포/벡터 시스템이 본 발명의 항체 분자를 코딩하는 DNA 서열의 발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세균, 예를 들어, 이. 콜라이(E. coli) 및 다른 미생물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거나, 진핵생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 숙주 세포 발현 시스템도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포유동물 숙주 세포는 CHO, 골수종 또는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항체 분자를 코딩하는 DNA로부터 단백질의 발현을 유발하기에 적합한 조건 하에 본 발명의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항체 분자를 단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분자의 제조 방법도 제공한다.
항체 분자는 중쇄 또는 경쇄 폴리펩타이드만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중쇄 또는 경쇄 폴리펩타이드 코딩 서열만이 숙주 세포를 형질감염시키는 데 사용될 필요가 있다. 중쇄 및 경쇄 둘 다를 포함하는 생성물의 제조를 위해, 세포주를 2개의 벡터, 즉 경쇄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제1 벡터 및 중쇄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제2 벡터로 형질감염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경쇄 및 중쇄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포함하는 단일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항체 및 단편은 숙주 세포로부터 우수한 수준으로 발현된다. 따라서, 상기 항체 및/또는 단편의 성질은 최적화되고 상업적 처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약학 조성물, 용량 및 용법
본 발명의 항체는 약학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멸균될 것이고 전형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보조제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 및/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생리학적으로 병용 가능한 임의의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균제, 항진균제, 등장화제 및 흡수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담체는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한 비경구,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피내, 안내, 복강내, 피하, 척추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 경로에 적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담체는 국소, 표피 또는 점막 투여 경로와 같은 비-비경구 투여에 적합할 수 있다. 담체는 경구 투여에 적합할 수 있다. 투여 경로에 따라, 조절제는 화합물을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산 및 다른 천연 조건의 작용으로부터 화합물을 보호하는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모 화합물의 원하는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하고 임의의 원하지 않는 독성 효과를 부여하지 않는 염을 지칭한다. 이러한 염의 예는 산 부가 염 및 염기 부가 염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수성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수성 담체의 예는 물, 완충된 물 및 식염수를 포함한다. 다른 담체의 예는 에탄올, 폴리올(예컨대,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식물성 오일, 에컨대, 올리브유, 및 주사 가능한 유기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올레에이트를 포함한다. 많은 경우, 등장화제, 예를 들어, 당, 다가알코올, 예를 들어, 만니톨, 소르비톨, 또는 염화나트륨을 조성물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치료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제조 및 저장 조건 하에 멸균되고 안정해야 한다. 상기 조성물은 용액, 미세유화액, 리포좀, 또는 높은 약물 농도에 적합한 다른 정렬된 구조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추가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조절제 및 사용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키트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추가 시약, 예컨대, 추가 치료제 또는 예방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절제 및/또는 항체, 또는 이의 제제 또는 조성물은 예방적 및/또는 치료적 치료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치료적 적용에서, 화합물은 병태 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치유하거나, 완화하거나 부분적으로 정지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장애 또는 병태를 이미 앓고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치료적 치료는 질환 증상의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거나, 무증상 기간의 빈도 또는 지속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에 적절한 양은 "치료 유효량"으로서 정의된다.
예방적 적용에서, 제제는 병태 또는 이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후속 효과를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장애 또는 병태의 위험을 가진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이를 달성하기에 적절한 양은 "예방 유효량"으로서 정의된다. 각각의 목적을 위한 유효량은 질환 또는 손상의 중증도 및 대상체의 체중과 일반적인 상태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투여를 위한 대상체는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일 수 있다. 용어 "비-인간 동물"은 모든 척추동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 및 비-포유동물, 예컨대, 비-인간 영장류, 양, 개, 고양이, 말, 소, 닭, 양서류, 파충류 등을 포함한다. 인간에게의 투여가 전형적이다.
당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투여 경로를 통해 본 발명의 항체/조절제 또는 약학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투여 경로 및/또는 방식은 원하는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위한 투여 경로의 예는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에 의한 정맥내, 근육내, 피내, 안내, 복강내, 피하, 척추 또는 다른 비경구 투여 경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어구 "비경구 투여"는 통상적으로 주사에 의한, 장 및 국소 투여 이외의 투여 방식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항체/조절제 또는 약학 조성물은 비-비경구 경로, 예컨대, 국소, 표피 또는 점막 투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조절제 또는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조절제 또는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용량은 숙련된 의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의 실제 용량 수준은 환자에게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특정 환자, 조성물 및 투여 방식에 대해 원하는 치료 반응을 달성하는 데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수득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선택된 용량 수준은 사용되는 구체적인 본 발명의 조성물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사용되는 구체적인 화합물의 배출 속도, 치료의 지속시간, 사용되는 구체적인 조성물과 조합되어 사용되는 다른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상태, 일반적인 건강 및 이전 병력, 및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요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약동학적 요인들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적합한 용량은 예를 들어, 치료될 환자의 약 0.01 ㎍/kg 내지 약 1000 mg/kg 체중, 전형적으로 약 0.1 ㎍/kg 내지 약 100 mg/kg 체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용량은 하루에 약 1 ㎍/kg 내지 약 10 mg/kg 체중 또는 하루에 약 10 ㎍/kg 내지 약 5 mg/kg 체중일 수 있다.
최적의 원하는 반응(예를 들어, 치료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용법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회 용량을 투여할 수 있거나, 시간에 따라 여러 분할된 용량을 투여할 수 있거나, 치료 상황의 긴급성에 의해 표시될 때 용량을 비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량 유닛 형태는 치료받는 대상체에 대한 단위 용량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유닛을 지칭하고; 각각의 유닛은 요구된 약학 담체와 함께, 원하는 치료 효과를 생성하도록 계산된 소정양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다.
투여는 일회 또는 다회 용량일 수 있다. 다회 용량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로를 통해 동일하거나 상이한 위치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량은 지속 방출 제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고, 이 경우 덜 빈번한 투여가 요구된다. 용량 및 빈도는 환자 내에서의 길항제의 반감기 및 원하는 치료의 지속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절제/항체 또는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다른 치료제와 공-투여될 수 있다.
2종 이상의 작용제의 조합 투여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둘 다를 단일 조성물로 함께 투여할 수 있거나, 조합 요법의 일부로서 별도의 조성물로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먼저, 다른 하나보다 나중에 또는 다른 하나와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치료 적응증
본 발명의 항체는 IL-13 활성과 관련된 임의의 병태,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IL-13 수용체를 통한 신호전달로부터 비롯된 임의의 병태를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IL-13 관련 질환은 유방, 결장, 직장, 폐, 인두, 하인두, 식도, 위, 췌장, 간, 담낭과 담관, 소장, 요로(신장, 방광 및 요로상피를 포함함), 여성 생식관(자궁경부, 자궁 및 난소뿐만 아니라 융모막암종 및 임신 영양막 질환도 포함함), 남성 생식관(전립선, 정낭, 고환 및 생식 세포 종양을 포함함), 내분비선(갑상선, 부신 및 뇌하수체를 포함함) 및 피부의 암종뿐만 아니라, 혈관종, 흑색종, 육종(뼈 및 연조직으로부터 발생하는 육종뿐만 아니라 카포시 육종도 포함함), 뇌, 신경, 눈 및 수막의 종양(성상세포종, 신경교종, 교모세포종, 망막모세포종, 신경종, 신경모세포종, 신경초종 및 수막종을 포함함), 백혈병과 같은 조혈 악성 종양으로부터 발생하는 고형 종양 및 림프종(호지킨 림프종 및 비호지킨 림프종 둘 다)도 포함하는 원발성 암 및 전이성 암,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소아 만성 관절염, 패혈성 관절염, 라임 관절염, 건선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척추관절병증, 전신성 홍반 루푸스, 궤양성 결장염, 염증성 장 질환, 인슐린 의존성 진성 당뇨병, 갑상선염, 알레르기 질환, 건선, 피부염 경피증, 이식편 대 숙주 질환, 장기 이식 거부, 장기 이식과 관련된 급성 또는 만성 면역 질환, 사르코이드증, 동맥경화증, 파종성 혈관내 응고, 가와사키병, 그레이브병, 신증후군, 만성 피로 증후군, 베게너 육아종증, 헤노흐-쇤라인(Henoch-Schoenlein) 자반병, 신장의 미시적 혈관염, 만성 활성 간염, 포도막염, 패혈성 쇼크, 독성 쇼크 증후군, 패혈증 증후군, 악액질, 감염성 질환, 기생충 질환,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급성 횡단 척수염, 헌팅톤 무도병,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졸중,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증, 용혈성 빈혈, 악성종양, 심부전, 애디슨병, 산발성 다선 결핍 I형 및 다선 결핍 II형, 슈미트 증후군, 성인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탈모증, 원형 탈모증, 관절병증, 라이터병, 건선성 관절병증, 궤양성 결장염 관절병증, 장병증성 활막염, 클라미디아, 예르시니아 및 살모넬라 관련 관절병증, 동맥경화성 질환/동맥경화증, 아토피성 알레르기, 자가면역 수포성 질환, 심상성 천포창, 낙엽성 천포창, 유사천포창, 선형 IgA 질환,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쿰스(Coombs) 양성 용혈성 빈혈, 후천성 악성 빈혈, 소아 악성 빈혈, 근육통성 뇌염/로얄 프리(Royal Free) 질환, 만성 점막피부 칸디다증, 거대 세포 동맥염, 원발성 경화 간염, 잠복성 자가면역 간염, 후천성 면역결핍 관련 질환, B형 간염, C형 간염, 공통 변이 면역결핍(공통 가변 저감마글로불린혈증), 확장성 심근병증, 여성 불임, 난소 부전, 조기 난소 부전, 섬유성 폐 질환, 잠복성 섬유화 폐포염, 염증 후 간질성 폐 질환, 간질성 폐렴, 결합 조직 질환 관련 간질성 폐 질환, 혼합 결합 조직 질환 관련 폐 질환, 전신 경화증 관련 간질성 폐 질환,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간질성 폐 질환, 전신 홍반 루푸스 관련 폐 질환, 피부근염/다발근염 관련 폐 질환, 쇼그렌병 관련 폐 질환, 강직 척추염 관련 폐 질환, 혈관염성 미만성 폐 질환, 혈우병 관련 폐 질환, 약물 유도 간질성 폐 질환, 섬유증, 방사선 섬유증, 폐쇄성 세기관지염, 만성 호산구성 폐렴, 림프구성 침윤 폐 질환, 감염 후 간질성 폐 질환, 통풍성 관절염, 자가면역 간염, 1형 자가면역 간염(고전적인 자가면역 또는 루푸스 간염), 2형 자가면역 간염(항-LKM 항체 간염), 자가면역 매개 저혈당증, 흑색 극세포증을 동반하는 B형 인슐린 내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 장기 이식과 관련된 급성 면역 질환, 장기 이식과 관련된 만성 면역 질환, 골관절염, 원발성 경화 담관염, 1형 건선, 2형 건선, 특발성 백혈구감소증, 자가면역 호중구감소증, 신 질환 NOS, 사구체신염, 신장의 미시적 혈관염, 라임병, 원판형 홍반 루푸스, 남성 불임 특발성 또는 NOS, 정자 자가면역, 다발성 경화증(모든 서브타입), 교감성 안염, 결합 조직 질환에 부차적인 폐 고혈압, 굿파스처 증후군, 결절성 다발동맥염의 폐 징후, 급성 류마티스열, 류마티스 척추염, 스틸병, 전신 경화증, 쇼그렌 증후군, 다카야스병/동맥염, 자가면역 혈소판감소증, 특발성 혈소판감소증,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종 자가면역 갑상선기능저하증(하시모토병), 위축성 자가면역 갑상선기능저하증, 원발성 점액수종, 수정체성 포도막염, 원발성 혈관염, 백반증 급성 간 질환, 만성 간 질환, 알코올성 간경변증, 알코올 유도 간 손상, 담즙울혈, 특이체질 간 질환, 약물 유도 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알레르기, B군 스트렙토코커스(GBS) 감염, 정신 장애, 우울증, 조현병, Th2형 및 Th1형 매개 질환, 급성 및 만성 통증, 상이한 형태의 통증, 암, 폐암, 유방암, 위암, 방광암, 결장암, 췌장암, 난소암, 전립선암, 직장암, 조혈 악성종양, 백혈병, 림프종, 아베탈리프로테미아(Abetalipoprotemia), 말단청색증, 급성 및 만성 기생충 또는 감염 과정, 급성 백혈병, 급성 림프모구성 백혈병(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급성 또는 만성 세균 감염, 급성 췌장염, 급성 신부전, 선암종, 공중 이소성 박동(aerial ectopic beat), AIDS 치매 합병증, 알코올 유도 간염, 알레르기 결막염, 알레르기 접촉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을 포함함), 비-알레르기 비염, 동종이식 거부, 알파-I-항트립신 결핍,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빈혈, 협심증, 전각 세포 변성, 항-cd3 요법, 항인지질 증후군, 항-수용체 과민성 반응, 대동맥 및 말초 동맥류, 대동맥 박리, 동맥 고혈압, 동맥경화증, 동정맥루, 운동실조, 심방 세동(지속성 또는 발작성), 심방 조동, 방실 차단, B 세포 림프종, 골 이식편 거부, 골수 이식(BMT) 거부, 다발 분지 차단, 버킷 림프종, 화상, 심부정맥, 심장 기절 증후군, 심장 종양, 심근병증, 심폐 우회 염증 반응, 연골 이식 거부, 소뇌 피질 변성, 소뇌 장애, 혼돈 또는 다초점 심방 빈맥, 화학요법 관련 장애,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 만성 알코올중독, 만성 염증성 병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만성 살리실레이트 중독, 대장 암종, 울혈성 심부전, 결막염, 접촉 피부염, 폐동맥류, 관상 동맥 질환, 크로이츠펠트야콥병, 배양 음성 패혈증, 낭포성 섬유증, 사이토카인 요법 관련 장애, 건투선수 치매, 탈수초 질환, 뎅기 출혈열, 피부염, 피부과적 병태, 당뇨병, 진성 당뇨병, 당뇨병성 동맥경화성 질환, 미만성 루이소체 질환, 확장성 울혈 심근병증, 기저신경절의 장애, 중년 다운증후군, CNS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에 의해 유도된 약물 유도 운동 장애, 약물 민감성, 습진, 뇌척수염, 심내막염, 내분비병증, 후두개염,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 홍색사지통증, 추체외로 및 소뇌 장애, 가족성 조혈식세포 림프조직구증, 태아 흉선 이식 거부,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기능적 말초 동맥 장애, 진균 패혈증, 가스 괴저, 위 궤양, 사구체 신염, 임의의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편 거부, 그람 음성 패혈증, 그람 양성 패혈증, 세포내 유기체로 인한 육아종, 모발 세포 백혈병, 할러보르덴-스파츠병, 하시모토 갑상선염, 건초열, 심장 이식 거부, 혈색소침착증, 혈액투석, 용혈성 요독 증후군/혈전용해성 혈소판감소성 자반병, 출혈, A형 간염, His 다발 부정맥, HIV 감염/HIV 신경병증, 호지킨병, 운동과다 운동 장애, 과민성 반응, 과민성 폐렴, 고혈압, 운동부족 운동 장애,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평가, 특발성 애디슨병, 특발성 폐 섬유증, 항체 매개 세포독성, 무력증, 유아 척수 근육 위축, 대동맥의 염증, 인플루엔자 a, 이온화 방사선 노출, 홍채모양체염/포도막염/시신경염, 허혈-재관류 손상, 허혈성 졸중,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소아 척수 근위축, 카포시 육종, 신장 이식 거부, 레지오넬라, 리슈만편모충증, 한센병, 피질척수 시스템의 병변, 지방부종, 간 이식 거부, 림프부종, 말라리아, 악성 림프종, 악성 조직구증, 악성 흑색종, 수막염, 수막구균혈증, 대사성/특발성, 편두통, 미토콘드리아 다중시스템 장애, 혼합 결합 조직 질환, 단일클론 감마병증, 다발성 골수종, 다발성 시스템 변성(Mencel Dejerine-Thomas Shi-Drager 및 Machado-Joseph), 세포내 마이코박테리움 아비움, 마이코박테리움 결핵, 골수이형성 증후군, 심근경색, 심근 허혈성 장애, 비인두 암종, 신생아 만성 폐 질환, 신염, 신증, 신경퇴행성 질환, 신경성 근위축증, 호중구감소성 발열, 비호지킨 림프종, 복부 대동맥 및 이의 분지의 폐쇄, 폐쇄성 동맥 장애, okt3 요법, 고환염/부고환염, 고환염/정관절제술 역전 시술, 장기비대, 골다공증, 췌장 이식 거부, 췌장 암종, 부신생물 증후군/악성종양의 고칼슘혈증, 부갑상선 이식 거부, 골반 염증성 질환, 연중 비염, 심낭 질환, 말초 동맥경화성 질환, 말초 혈관 장애, 복막염, 악성 빈혈, 주폐포자충 폐렴, 폐렴, POEMS 증후군(다발신경병증, 장기비대, 내분비병증, 단일클론 감마병증 및 피부 변화 증후군), 관류 후 증후군, 펌프 후 증후군, Ml 심장절개 후 증후군, 자간전증, 진행성 핵상 마비, 원발성 폐 고혈압, 방사선 요법, 레이노 현상 및 질환, 레이노병, 레프섬병, 규칙적인 좁은 QRS 빈맥, 신혈관 고혈압, 재관류 손상, 제한 심근병증, 육종, 노인성 무도병, 루이소체형의 노인성 치매, 혈청음성 관절병증, 쇼크, 겸상 세포 빈혈, 피부 동종이식편 거부, 피부 변화 증후군, 소장 이식 거부, 고형 종양, 특정 부정맥, 척추 운동실조, 척수소뇌 변성, 스트렙토코커스 근염, 소뇌의 구조적 병변, 아급성 경화 범뇌염, 실신, 심혈관 시스템의 매독, 전신 아나팔락시스, 전신 염증성 반응 증후군, 전신 발병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T-세포 또는 FAB ALL 모세혈관확장증, 폐쇄성 혈전혈관염, 혈소판감소증, 독성, 이식, 외상/출혈, III형 과민성 반응, IV형 과민성, 불안정한 협심증, 요독증, 요실금, 판막 심장 질환, 하지정맥류, 혈관염, 정맥 질환, 정맥 혈전증, 심실 세동, 바이러스 및 진균 감염, 활력 뇌염/무균성 수막염, 활력 관련 조혈식세포 증후군, 베르니케-코르사코프(Wernicke-Korsakoff) 증후군, 윌슨병, 임의의 장기 또는 조직의 이종이식편 거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급성 특발성 다발신경염, 급성 염증성 탈수초 다발신경근병증, 급성 허혈, 성인 스틸병, 아나필락시스, 항-인지질 항체 증후군, 재생불량성 빈혈, 아토피성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자가면역 피부염, 스트렙토코커스 감염과 관련된 자가면역 장애, 자가면역 장병증, 자가면역 청력 손실, 자가면역 림프증식성 증후군(ALPS), 자가면역 심근염, 자가면역 조기 난소 부전, 안검염, 기관지확장증, 수포성 유사천포창, 심혈관 질환, 치명적 항인지질 증후군, 셀리악병, 경부척추증, 만성 허혈, 반흔성 유사천포창,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위험을 가진 임상적으로 단리된 증후군(cis), 소아기 발병 정신 장애, 누낭염, 피부근염, 당뇨병성 망막병증, 디스크 탈출증, 디스크 탈출, 약물 유도 면역 용혈성 빈혈, 자궁내막증, 안구내막염, 상공막염, 다형성 홍반, 주요 다형성 홍반, 임신 유사천포창, 길랭-바레 증후군(GBS), 휴즈 증후군, 특발성 파킨슨병, 특발성 간질성 폐렴, IgE 매개 알레르기, 면역 용혈성 빈혈, 봉입체 근염, 감염성 안구 염증성 질환, 염증성 탈수초 질환, 염증성 심장 질환, 염증성 신장 질환, IPF/UIP, 홍채염, 각막염, 건성 각막결막염, 쿠스마울병(Kussmaul disease) 또는 쿠스마울-메니에르병(Kussmaul-Meier disease), 란드리 마비, 랑게르한스 세포 조직구증, 망상 혈반, 황반 변성, 미시적 다발혈관염, 베히테레프병(morbus bechterev), 운동 신경 장애, 점막 유사천포창, 다발성 장기 부전, 중증 근무력증, 골수이형성 증후군, 심근염, 신경근 장애, 신경병증, 비-A 비-B 간염, 시신경염, 골용해, 소관절 JRA, 말초 동맥 폐쇄 질환(PAOD), 말초 혈관 질환(PVD), 말초 동맥 질환(PAD), 정맥염, 결절성 다발동맥염(또는 결절 동맥주위염), 다발연골염, 소아마비, 다발관절 JRA, 다발내분비 결핍 증후군, 다발근염, 류마티스 다발근육통(PMR), 원발성 파킨슨병, 전립선염, 순수 적혈구 무형성증, 원발성 부신 기능부전, 재발성 시신경척수염, 재협착, 류마티스 심장 질환, 사포(sapho)(활막염, 여드름, 농포증, 과골증 및 골염), 이차 아밀로이드증, 쇼크 폐, 공막염, 좌골신경통, 이차 부신 기능부전, 실리콘 관련 결합 조직 질환, 스네돈-윌킨슨 피부병, 강직 척추염,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 측두 동맥염, 톡소플라스마성 망막염, 독성 표피 괴사용해, 횡단 척수염, TRAPS(종양 괴사 인자 수용체, 1형 알레르기 반응, II형 당뇨병, 두드러기, 일반 간질성 폐렴(UIP), 혈관염, 봄철 결막염, 바이러스성 망막염,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Vogt-Koyanagi-Harada) 증후군(VKH 증후군), 습성 황반 변성 또는 상처 치유, 아스피린 민감성 천식, 아토피성 천식, 만성 손 습진, 알레르기성 기관지폐 아스퍼길루스증, 복강 질환, 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결절성 동맥주위염 플러스 아토피), 호산구성 근육통 증후군, 과다호산구성 증후군, 간헐성 혈관부종을 포함하는 부종성 반응, 연충 감염, 사상충 피부염, 호산구 관련 위장 장애, 호산구성 식도염, 호산구성 위염, 호산구성 위장염, 호산구성 장염, 호산구성 결장염, 비강 미세용종증 및 용종증, 식품 알레르기, 아스피린 불내성 및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만성 천식, 크론병 및 심내막심근 섬유증, 암(예를 들어, 교모세포종(예컨대, 다형성 교모세포종), 비호지킨 림프종(NHL)), 섬유증, 염증성 장 질환, 폐 섬유증(특발성 폐 섬유증(IPF), 및 경화증에 부차적인 폐 섬유증을 포함함), COPD, 및 간 섬유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손 습진, 비강 미세용종증 또는 용종증, 식품 알레르기, 또는 호산구성 식도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항체 또는 약학 조성물은 요법에 의한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항체 또는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손 습진, 비강 미세용종증 또는 용종증, 식품 알레르기, 또는 호산구성 식도염을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손 습진, 비강 미세용종증 또는 용종증, 식품 알레르기, 또는 호산구성 식도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항체 또는 약학 조성물을, 이러한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의학적 적응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항체 또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치료 항-IL-13 항체 CA650의 생성 및 선택
정제된 인간 IL-13(Peprotech) 또는 인간 IL-13을 발현하는 래트 섬유모세포(배양 상청액에서 대략 1 ㎍/㎖를 발현함), 또는 일부 경우 이들의 조합으로 래트를 면역화하였다. 3회 내지 6회 주사 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PBMC, 비장, 골수 및 림프절을 채취하였다. 혈청을 ELISA에서 인간 IL-13에의 결합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HEK-293 IL-13R-STAT-6 리포터 세포 어세이(HEK-Blue 어세이, Invivogen)에서 hIL-13을 중화시키는 능력에 대해 모니터링하였다.
B 세포 배양을 설정하였고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Applied Biosystems) FMAT 어세이에서 비드 기반 어세이에서 hIL-13에 결합하는 상청액의 능력을 먼저 스크리닝하였다. 이것은 스트렙타비딘 비드 상에 코팅된 바이오티닐화된 인간 IL-13 및 염소 항-래트 Fc-Cy5 접합체를 표시 작용제로서 사용하는 균질한 어세이이었다. 그 다음, 이 어세이로부터의 양성을 HEK-293 IL-13R-STAT-6 리포터 세포 어세이(HEK-Blue 어세이, Invivogen) 내로 진행시켜, 중화제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중화 상청액을 비아코어(Biacore)에서 프로파일링하여 해리 속도를 추정하고 중화 작용 방식을 특징규명하였다. 중화를 빈 1 또는 빈 2로서 분류하였다. 빈 1은 인간 IL-13에 결합하고 IL-13Rα1의 결합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IL-4R이 결합하는 것도 차단하는 항체를 나타낸다. 빈 1 항체는 또한 IL-13과 IL-13Rα2의 결합도 방해할 수 있다. 빈 2는 IL-13Rα1에 결합할 수 있게 하되, 복합체 내로의 IL-4R의 동원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hIL-13에 결합하는 항체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빈 1을 통해 작동하는 항체를 선택하였다.
대략 7500개의 IL-13 특이적 양성이 총 27 x 100-플레이트 SLAM 실험으로부터 일차 FMAT 스크린에서 확인되었다. 800개의 웰은 HEK-Blue 어세이에서 중화를 입증하였다. 170개의 웰은 바람직한 비아코어 프로파일, 즉 해리 속도가 5x 10-4 s-1 미만인 빈 1 항체를 가졌다. 이 170개의 웰로부터의 가변 영역 클로닝을 시도하였고, 160개는 성공적으로 형광 초점을 제공하였다. 100개의 웰은 역전사(RT)-PCR 후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유전자 쌍을 생성하였다. 이 V-영역 유전자들을 마우스 IgG1 전체 길이 항체로서 클로닝하고 HEK-293 일시적 발현 시스템에서 재발현시켰다. 서열 분석은 항-인간 IL-13 항체의 27개의 독특한 패밀리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 후, 세포 기반 어세이에서 이 재조합 항체들을 재조합 hIL-13(이. 콜라이 유래 및 포유동물 유래), 재조합 변이체 hIL-13(R130Q)(이. 콜라이 유래), 천연 야생형 및 변이체 hIL-13(인간 공여자 유래) 및 사이노몰구스 IL-13(포유동물 유래)을 차단하는 그들의 능력에 대해 재시험하였다. 비아코어에서 변이체 인간 IL-13(R130Q) 및 사이노몰구스 IL-13에 결합하는 재조합 항체의 능력도 시험하였다. 이 특징규명 후, 본 발명자들의 기준, 즉 모든 인간 및 사이노몰구스 IL-13 제제에 대한 효능 및 친화성의 감소가 최소인 100 pM 미만의 항체를 충족하도록 항체 패밀리를 선택하였다.
인간화된 이식편의 중화 효능, 친화성 및 공여자 함량을 기반으로(하기 참조), 추가 진행을 위해 인간화된 CA650을 선택하였다.
실시예 2. 항체 CA650 인간화
래트 V-영역의 CDR을 인간 생식세포주 항체 V-영역 프레임워크에 이식함으로써 항체 650을 인간화하였다. 항체의 활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래트 V-영역의 많은 프레임워크 잔기들도 인간화된 서열에 보유하였다. 문헌[Adair et al. (1991)(Humanised antibodies. WO91/09967)]에 의해 요약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 잔기들을 선택하였다. 래트 항체(공여자) V-영역 서열과 인간 생식세포주(수용자) V-영역 서열의 정렬은 디자인된 인간화된 서열과 함께 표시되어 있다(도 1(A) 경쇄 이식편 650 및 도 1(B) 중쇄 이식편 650). 공여자로부터 수용자 서열로 이식된 CDR은 조합된 초티아/카바트 정의가 사용되는 CDR-H1을 제외하고 카바트(Kabat et al., 1987)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다(문헌[Adair et al., 1991 Humanised antibodies. WO91/09967] 참조).
엔텔레콘 게엠베하(Entelechon GmbH)에 의한 자동화된 합성 접근법으로 초기 V-영역 서열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디자인하고 구축하고,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지정 돌연변이유발로 변형시켜, 이식된 버전 gL8 및 gH9를 생성하였다. gL8 서열을, 인간 C-카파 불변 영역(Km3 동종형)을 코딩하는 DNA를 함유하는 UCB 셀텍 (Celltech) 인간 경쇄 발현 벡터 pVhCK 내로 서브클로닝하였다. gH9 서열을, 인간 중쇄 감마-1 CH1 불변 영역을 코딩하는 DNA를 함유하는 pVhg1Fab 내로 서브클로닝하였다.
인간 V-영역 IGKV1-39 플러스 JK2 J-영역(International Immunogenetics Information System®(IMGT), http://www.imgt.org)을 항체 650 경쇄 CDR에 대한 수용자로서 선택하였다. 이식편 gL8의 경쇄 프레임워크 잔기는 잔기 58 및 71(카바트에 따른 넘버링)을 제외하고 모두 인간 생식세포주 유전자로부터 유래하고, 이때 공여자 잔기 이소류신(I58) 및 티로신(Y71)은 각각 유지되었다. 잔기 I58 및 Y71의 유지는 인간화된 항체의 완전한 효능을 위해 필수적이었다.
인간 V-영역 IGHV1-69 플러스 JH4 J-영역(IMGT, http://www.imgt.org)을 항체 650의 중쇄 CDR에 대한 수용자로서 선택하였다. 이식편 gH9의 중쇄 프레임워크 잔기는 잔기 67, 69 및 71(카바트에 따른 넘버링)을 제외하고 모두 인간 생식세포주 유전자로부터 유래하고, 이때 공여자 잔기 알라닌(A67), 페닐알라닌(F69) 및 발린(V71)은 각각 유지되었다. 잔기 A67, F69 및 V71의 유지는 인간화된 항체의 완전한 효능을 위해 필수적이었다. 인간 프레임워크의 위치 1에 있는 글루타민 잔기를 글루탐산(E1)으로 대체하여, 균질한 생성물의 발현 및 정제를 제공하였다: 항체 및 항체 단편의 N-말단에서 피로글루타메이트로의 글루타민의 전환이 널리 보고되어 있다. 최종 선택된 가변 이식편 서열 gL8 및 gH9는 각각 도 1(A) 및 도 1(B)에 표시되어 있다.
항체 650의 CDR, 중쇄 및 경쇄 가변 영역, scFv 및 dsscFV 포맷을 코딩하는 아미노산 및 DNA 서열은 도 2에 표시되어 있다.
실시예 3. 항-IL13 항체의 생물학적 활성
항원 결합 및 IL-13 중화를 확인하였고, 데이터는 제시되지 않는다.
SEQUENCE LISTING <110> UCB Biopharma SRL <120> ANTIBODY WITH BINDING SPECIFICITY FOR HUMAN IL-13 <130> PF0209-WO-PCT <150> GB 1919062.8 <151> 2019-12-20 <160> 24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 Lys Ala Ser Gln Asn Ile Asn Glu Asn Leu Asp 1 5 10 <210> 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2 Tyr Thr Asp Ile Leu Gln Thr 1 5 <210> 3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3 Tyr Gln Tyr Tyr Ser Gly Tyr Thr 1 5 <210> 4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4 Gly Tyr Ser Phe Thr Ser Tyr Tyr Ile His 1 5 10 <210> 5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5 Arg Ile Gly Pro Gly Ser Gly Asp Ile Asn Tyr Asn Glu Lys Phe Lys 1 5 10 15 Gly <210> 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6 Phe His Tyr Asp Gly Ala Asp 1 5 <210> 7 <211> 10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7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Pro Val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Leu Ser Cys Lys Ala Ser Gln Asn Ile Asn Glu Asn 20 25 30 Leu Asp Trp Tyr His Gln Lys His Gly Glu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Asp Ile Leu Gln Thr Gly Ile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Tyr Gln Tyr Tyr Ser Gly Tyr Thr 85 90 95 Phe Gly Pro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8 <211> 3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8 gacatccaga tgacccagtc tcctccagtc ctgtctgcat ctgtgggaga cagagtcact 60 ctcagttgca aagcaagtca gaatattaat gagaacttag actggtatca tcaaaagcat 120 ggcgaagctc caaaactcct gatatattat acagacattt tgcaaacggg catcccatca 180 aggttcagtg gcagtggatc tggtacagat tacacactca ccatcagcag cctgcagcct 240 gaagatgttg ccacatatta ctgctatcag tattacagtg ggtacacgtt tggacctggg 300 accaagctgg aaataaaa 318 <210> 9 <211> 1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9 Gln Val Gln Leu Gln Gln Ser Gly Ala Glu Leu Val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Met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Ser Tyr 20 25 30 Tyr Ile His Trp Ile Lys Gln Arg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Arg Ile Gly Pro Gly Ser Gly Asp Ile Asn Tyr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Gly Lys Ala Thr Phe Thr Val Asp Lys Tyr Phe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n Leu Ser Ser Leu Ser Pro Glu Asp Thr Ala Val Phe Tyr Cys 85 90 95 Ala Arg Phe His Tyr Asp Gly Ala Asp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Ser 115 <210> 10 <211> 3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0 caggtacaac tgcagcagtc tggagctgag ttggtgaagc ctgggtcttc agtgaagatg 60 tcctgcaagg cttctggcta cagtttcacc agctactaca tacactggat aaagcagagg 120 cctggacagg gccttgagtg gattgggcgt attggtcctg gaagtggaga tattaattac 180 aatgagaagt tcaagggcaa ggccacattt actgtggaca aatatttcag cacagcctac 240 atgcaactca gcagcctgtc acctgaggac actgcggtct tttactgtgc aagatttcac 300 tatgatgggg ctgactgggg ccaaggcact ctggtcacag tctcgagc 348 <210> 11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1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Ser Ile Ser Ser Tyr 20 25 30 Leu Asn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Gln Gln Ser Tyr Ser Thr Pro Tyr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12 <211> 11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2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Gly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Ala Ile Ser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Gly Ile Ile Pro Ile Phe Gly Thr Ala Asn Tyr Ala Gln Lys Phe 50 55 60 Gln Gly Arg Val Thr Ile Thr Ala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Ty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100 105 110 Ser <210> 13 <211> 10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3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n Ile Asn Glu Asn 20 25 30 Leu Asp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Asp Ile Leu Gln Thr Gly Ile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Tyr Gln Tyr Tyr Ser Gly Tyr Thr 85 90 95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14 <211> 1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4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Ser Tyr 20 25 30 Tyr Il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Gly Pro Gly Ser Gly Asp Ile Asn Tyr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Ala Thr Phe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Phe His Tyr Asp Gly Ala Asp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Ser 115 <210> 15 <211> 3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5 gacatccaga tgacccagtc cccctcctcc ctgtccgcct ccgtgggcga cagggtgacc 60 atcacctgca aggcctccca gaacatcaac gagaacctgg actggtacca gcagaagccc 120 ggcaaggccc ccaagctgct gatctactac accgacatcc tgcagaccgg catcccctcc 180 aggttctccg gctccggctc cggcaccgac tacaccctga ccatctcctc cctgcagccc 240 gaggacttcg ccacctacta ctgctaccag tactactccg gctacacctt cggccagggc 300 accaagctgg agatcaag 318 <210> 16 <211> 3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6 gaggtgcagc tggtgcagtc cggcgccgag gtgaagaagc ccggctcctc cgtgaaggtg 60 tcctgcaagg cctccggcta ctccttcacc tcctactaca tccactgggt gaggcaggcc 120 cccggccagg gcctggagtg gatgggcagg atcggccccg gctccggcga catcaactac 180 aacgagaagt tcaagggcag ggccaccttc accgtggaca agtccacctc caccgcctac 240 atggagctgt cctccctgag gtccgaggac accgccgtgt actactgcgc caggttccac 300 tacgacggcg ccgactgggg ccagggcacc ctggtgaccg tctcgagc 348 <210> 17 <211> 10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7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Ala Ser Gln Asn Ile Asn Glu Asn 20 25 30 Leu Asp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Tyr Thr Asp Ile Leu Gln Thr Gly Ile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Tyr Gln Tyr Tyr Ser Gly Tyr Thr 85 90 95 Phe Gly Cys Gly Thr Lys Leu Glu Ile Lys 100 105 <210> 18 <211> 1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8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Ser Tyr 20 25 30 Tyr Il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Cys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Gly Pro Gly Ser Gly Asp Ile Asn Tyr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Ala Thr Phe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Phe His Tyr Asp Gly Ala Asp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Ser 115 <210> 19 <211> 3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19 gacatccaga tgacccagtc cccctcctcc ctgtccgcct ccgtgggcga cagggtgacc 60 atcacctgca aggcctccca gaacatcaac gagaacctgg actggtacca gcagaagccc 120 ggcaaggccc ccaagctgct gatctactac accgacatcc tgcagaccgg catcccctcc 180 aggttctccg gctccggctc cggcaccgac tacaccctga ccatctcctc cctgcagccc 240 gaggacttcg ccacctacta ctgctaccag tactactccg gctacacctt cggctgcggc 300 accaagctgg agatcaag 318 <210> 20 <211> 3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20 gaggtgcagc tggtgcagtc cggcgccgag gtgaagaagc ccggctcctc cgtgaaggtg 60 tcctgcaagg cctccggcta ctccttcacc tcctactaca tccactgggt gaggcaggcc 120 cccggccagt gcctggagtg gatgggcagg atcggccccg gctccggcga catcaactac 180 aacgagaagt tcaagggcag ggccaccttc accgtggaca agtccacctc caccgcctac 240 atggagctgt cctccctgag gtccgaggac accgccgtgt actactgcgc caggttccac 300 tacgacggcg ccgactgggg ccagggcacc ctggtgaccg tgtcctcc 348 <210> 21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21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Ser Tyr 20 25 30 Tyr Il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Gly Pro Gly Ser Gly Asp Ile Asn Tyr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Ala Thr Phe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Phe His Tyr Asp Gly Ala Asp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115 120 125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130 135 140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145 150 155 160 Ala Ser Gln Asn Ile Asn Glu Asn Leu Asp Trp Tyr Gln Gln Lys Pro 165 170 175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Tyr Tyr Thr Asp Ile Leu Gln Thr 180 185 190 Gly Ile Pro Se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195 200 205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210 215 220 Tyr Gln Tyr Tyr Ser Gly Tyr Thr Phe Gly Gln Gly Thr Lys Leu Glu 225 230 235 240 Ile Lys <210> 22 <211> 7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22 gaggtgcagc tggtgcagtc cggcgccgag gtgaagaagc ccggctcctc cgtgaaggtg 60 tcctgcaagg cctccggcta ctccttcacc tcctactaca tccactgggt gaggcaggcc 120 cccggccagg gcctggagtg gatgggcagg atcggccccg gctccggcga catcaactac 180 aacgagaagt tcaagggcag ggccaccttc accgtggaca agtccacctc caccgcctac 240 atggagctgt cctccctgag gtccgaggac accgccgtgt actactgcgc caggttccac 300 tacgacggcg ccgactgggg ccagggcacc ctggtgaccg tgtcctccgg aggtggcggt 360 tctggcggtg gcggttccgg tggcggtgga tcgggaggtg gcggttctga catccagatg 420 acccagtccc cctcctccct gtccgcctcc gtgggcgaca gggtgaccat cacctgcaag 480 gcctcccaga acatcaacga gaacctggac tggtaccagc agaagcccgg caaggccccc 540 aagctgctga tctactacac cgacatcctg cagaccggca tcccctccag gttctccggc 600 tccggctccg gcaccgacta caccctgacc atctcctccc tgcagcccga ggacttcgcc 660 acctactact gctaccagta ctactccggc tacaccttcg gccagggcac caagctggag 720 atcaag 726 <210> 23 <211> 24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23 Glu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Ser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Ser Phe Thr Ser Tyr 20 25 30 Tyr Il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Cys Leu Glu Trp Met 35 40 45 Gly Arg Ile Gly Pro Gly Ser Gly Asp Ile Asn Tyr Asn Glu Lys Phe 50 55 60 Lys Gly Arg Ala Thr Phe Thr Val Asp Lys Ser Thr Ser Thr Ala Tyr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Ala Arg Phe His Tyr Asp Gly Ala Asp Trp Gly Gln Gly Thr Leu Val 100 105 110 Thr Val Ser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Gly Gly 115 120 125 Gly Gly Ser Gly Gly Gly Gly Ser Asp Ile Gln Met Thr Gln Ser Pro 130 135 140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Asp Arg Val Thr Ile Thr Cys Lys 145 150 155 160 Ala Ser Gln Asn Ile Asn Glu Asn Leu Asp Trp Tyr Gln Gln Lys Pro 165 170 175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Tyr Tyr Thr Asp Ile Leu Gln Thr 180 185 190 Gly Ile Pro Ser Arg Phe Ser Gly Ser Gly Ser Gly Thr Asp Tyr Thr 195 200 205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Glu Asp Phe Ala Thr Tyr Tyr Cys 210 215 220 Tyr Gln Tyr Tyr Ser Gly Tyr Thr Phe Gly Cys Gly Thr Lys Leu Glu 225 230 235 240 Ile Lys <210> 24 <211> 72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combinant sequence <400> 24 gaggtgcagc tggtgcagtc cggcgccgag gtgaagaagc ccggctcctc cgtgaaggtg 60 tcctgcaagg cctccggcta ctccttcacc tcctactaca tccactgggt gaggcaggcc 120 cccggccagt gcctggagtg gatgggcagg atcggccccg gctccggcga catcaactac 180 aacgagaagt tcaagggcag ggccaccttc accgtggaca agtccacctc caccgcctac 240 atggagctgt cctccctgag gtccgaggac accgccgtgt actactgcgc caggttccac 300 tacgacggcg ccgactgggg ccagggcacc ctggtgaccg tgtcctccgg aggtggcggt 360 tctggcggtg gcggttccgg tggcggtgga tcgggaggtg gcggttctga catccagatg 420 acccagtccc cctcctccct gtccgcctcc gtgggcgaca gggtgaccat cacctgcaag 480 gcctcccaga acatcaacga gaacctggac tggtaccagc agaagcccgg caaggccccc 540 aagctgctga tctactacac cgacatcctg cagaccggca tcccctccag gttctccggc 600 tccggctccg gcaccgacta caccctgacc atctcctccc tgcagcccga ggacttcgcc 660 acctactact gctaccagta ctactccggc tacaccttcg gctgcggcac caagctggag 720 atcaag 726

Claims (18)

  1. (a) i. 서열번호 1을 포함하는 CDR-L1,
    ii. 서열번호 2를 포함하는 CDR-L2, 및
    iii. 서열번호 3을 포함하는 CDR-L3
    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 및
    (b) i. 서열번호 4를 포함하는 CDR-H1,
    ii. 서열번호 5를 포함하는 CDR-H2, 및
    iii. 서열번호 6을 포함하는 CDR-H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
    을 포함하는, 인간 IL-13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2. 제1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3 또는 서열번호 17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4 또는 서열번호 18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3으로 제공된 서열 또는 이와 적어도 9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고,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4로 제공된 서열 또는 이와 적어도 9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7로 제공된 서열 또는 이와 적어도 9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고,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8로 제공된 서열 또는 이와 적어도 95% 동일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CDR-L1/CDR-L2/CDR-L3/CDR-H1/CDR-H2/CDR-H3 서열은 서열번호 1/2/3/4/5/6을 포함하고,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의 나머지 부분은 각각 서열번호 13 및 14 또는 서열번호 17 및 18과 적어도 95% 동일한 것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는 키메라, 인간화된 또는 전체 인간 항체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체는 전체 길이 항체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원 결합 단편은 Fab, Fab', F(ab')2, Fv, dsFv, scFv 또는 dsscFv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10. 제9항에 있어서,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21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scFv 또는 서열번호 23으로 제공된 서열을 포함하는 dsscFv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단리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12. 제11항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운반하는 발현 벡터.
  13. 제12항에서 정의된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의 제조를 허용하는 조건 하에 제13항의 숙주 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제조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요법에 의한 인간 또는 동물 신체의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항체,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약학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손 습진, 비강 미세용종증 또는 용종증, 식품 알레르기 또는 호산구성 식도염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항체,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약학 조성물.
  18.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손 습진, 비강 미세용종증 또는 용종증, 식품 알레르기 또는 호산구성 식도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제15항에서 정의된 약학 조성물을, 이러한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치료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24893A 2019-12-20 2020-12-18 인간 il-13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 KR20220117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19062.8 2019-12-20
GBGB1919062.8A GB201919062D0 (en) 2019-12-20 2019-12-20 Antibody
PCT/EP2020/087053 WO2021123190A1 (en) 2019-12-20 2020-12-18 Antibody with binding specificity for human il-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305A true KR20220117305A (ko) 2022-08-23

Family

ID=6932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893A KR20220117305A (ko) 2019-12-20 2020-12-18 인간 il-13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230084464A1 (ko)
EP (1) EP4077382A1 (ko)
JP (1) JP2023507282A (ko)
KR (1) KR20220117305A (ko)
CN (1) CN114829398A (ko)
AU (1) AU2020406155A1 (ko)
BR (1) BR112022011619A2 (ko)
CA (1) CA3164231A1 (ko)
CL (1) CL2022001684A1 (ko)
CO (1) CO2022008268A2 (ko)
GB (1) GB201919062D0 (ko)
IL (1) IL293812A (ko)
MX (1) MX2022007117A (ko)
WO (1) WO20211231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900A (en) 1982-11-16 1988-05-03 Cytogen Corporation Antibody-metal ion complexes
GB8422238D0 (en) 1984-09-03 1984-10-10 Neuberger M S Chimeric proteins
DK336987D0 (da) 1987-07-01 1987-07-01 Novo Industri As Immobiliseringsmetode
GB8719042D0 (en) 1987-08-12 1987-09-16 Parker D Conjugate compounds
GB8720833D0 (en) 1987-09-04 1987-10-14 Celltech Ltd Recombinant dna product
US5223409A (en) 1988-09-02 1993-06-29 Protein Engineering Corp. Directed evolution of novel binding proteins
EP1892296A1 (en) 1988-09-02 2008-02-27 Dyax Corporation Generation and selection of recombinant varied binding proteins
GB8823869D0 (en) 1988-10-12 1988-11-16 Medical Res Council Production of antibodies
US5530101A (en) 1988-12-28 1996-06-25 Protein Design Labs, Inc. Humanized immunoglobulins
GB8907617D0 (en) 1989-04-05 1989-05-17 Celltech Ltd Drug delivery system
GB8928874D0 (en) 1989-12-21 1990-02-28 Celltech Ltd Humanised antibodies
WO1991010737A1 (en) 1990-01-11 1991-07-25 Molecular Affinities Corporation Production of antibodies using gene libraries
US5780225A (en) 1990-01-12 1998-07-14 Stratagene Method for generating libaries of antibody genes comprising amplification of diverse antibody DNAs and methods for using these libraries for the production of diverse antigen combining molecules
EP1690935A3 (en) 1990-01-12 2008-07-30 Abgenix, Inc. Generation of xenogeneic antibodies
US5427908A (en) 1990-05-01 1995-06-27 Affymax Technologies N.V. Recombinant library screening methods
GB9015198D0 (en) 1990-07-10 1990-08-29 Brien Caroline J O Binding substance
EP0542810A1 (en) 1990-08-02 1993-05-26 B.R. Centre Limited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proteins with a desired function
US5770429A (en) 1990-08-29 1998-06-23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33425A (en) 1990-08-29 1997-05-27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661016A (en) 1990-08-29 1997-08-26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capable of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of various isotypes
US5625126A (en) 1990-08-29 1997-04-29 Genpharm International, Inc. T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US5545806A (en) 1990-08-29 1996-08-13 Genpharm International, Inc. Ransgenic non-human animals for producing heterologous antibodies
DK0546073T3 (da) 1990-08-29 1998-02-02 Genpharm Int Frembringelse og anvendelse af transgene, ikke-humane dyr, der er i stand til at danne heterologe antistoffer
US5698426A (en) 1990-09-28 1997-12-16 Ixsys, Incorporated Surface expression libraries of heteromeric receptors
ATE164395T1 (de) 1990-12-03 1998-04-15 Genentech Inc Verfahren zur anreicherung von proteinvarianten mit geänderten bindungseigenschaften
CA2108147C (en) 1991-04-10 2009-01-06 Angray Kang Heterodimeric receptor libraries using phagemids
GB9112536D0 (en) 1991-06-11 1991-07-31 Celltech Ltd Chemical compounds
GB9120467D0 (en) 1991-09-26 1991-11-06 Celltech Ltd Anti-hmfg antibodie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WO1993011236A1 (en) 1991-12-02 1993-06-10 Medical Research Council Production of anti-self antibodies from antibody segment repertoires and displayed on phage
US5733743A (en) 1992-03-24 1998-03-31 Cambridge Antibody Technology Limited Methods for producing members of specific binding pairs
EP0733070A1 (en) 1993-12-08 1996-09-25 Genzyme Corporation Process for generating specific antibodies
DK0744958T3 (da) 1994-01-31 2003-10-20 Univ Boston Polyklonale antistofbiblioteker
FR2716640B1 (fr) 1994-02-28 1996-05-03 Procedes Machines Speciales Dispositif de centrage et de blocage d'une pièce en vue de son rodage à l'aide d'un rodoir à expansion.
US5516637A (en) 1994-06-10 1996-05-14 Dade International Inc. Method involving display of protein binding pairs on the surface of bacterial pili and bacteriophage
US5731168A (en) 1995-03-01 1998-03-24 Genentech, Inc. Method for making heteromultimeric polypeptides
JP2978435B2 (ja) 1996-01-24 1999-11-15 チッソ株式会社 アクリロキシプロピルシランの製造方法
GB9625640D0 (en) 1996-12-10 1997-01-29 Celltech Therapeutics Ltd Biological products
ES2246069T3 (es) 1997-05-02 2006-02-01 Genentech, Inc.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anticuerpos multiespecificos que tienen componentes comunes y multimericos.
DK1049787T3 (da) 1998-01-23 2005-04-04 Vlaams Interuniv Inst Biotech Antistofderivater med flere anvendelsesmuligheder
GB9812545D0 (en) 1998-06-10 1998-08-05 Celltech Therapeutics Ltd Biological products
US6908963B2 (en) 2001-10-09 2005-06-21 Nektar Therapeutics Al, Corporation Thioester polymer derivatives and method of modifying the N-terminus of a polypeptide therewith
ES2374068T3 (es) 2002-12-03 2012-02-13 Ucb Pharma, S.A. Ensayo para identificar células productoras de anticuerpos.
GB0303337D0 (en) 2003-02-13 2003-03-19 Celltech R&D Ltd Biological products
GB0312481D0 (en) 2003-05-30 2003-07-09 Celltech R&D Ltd Antibodies
GB0315457D0 (en) 2003-07-01 2003-08-06 Celltech R&D Ltd Biological products
PT1644412E (pt) 2003-07-01 2015-12-23 Ucb Biopharma Sprl Fragmentos de anticorpos fab modificados
GB0315450D0 (en) 2003-07-01 2003-08-06 Celltech R&D Ltd Biological products
GB0412181D0 (en) 2004-06-01 2004-06-30 Celltech R&D Ltd Biological products
GB0513852D0 (en) 2005-07-06 2005-08-10 Celltech R&D Ltd Biological products
JP5374359B2 (ja) 2006-03-17 2013-12-25 バイオジェン・アイデック・エムエイ・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安定化されたポリペプチド化合物
CN101842387B (zh) 2007-09-26 2014-05-07 Ucb医药有限公司 双特异性抗体融合物
WO2010035012A1 (en) 2008-09-26 2010-04-01 Ucb Pharma S.A. Biological products
ES2667258T3 (es) 2009-09-10 2018-05-10 Ucb Biopharma Sprl Anticuerpos multivalentes
GB0920127D0 (en) 2009-11-17 2009-12-30 Ucb Pharma Sa Antibodies
GB0920324D0 (en) 2009-11-19 2010-01-06 Ucb Pharma Sa Antibodies
GB201000467D0 (en) 2010-01-12 2010-02-24 Ucb Pharma Sa Antibodies
GB201005064D0 (en) 2010-03-25 2010-05-12 Ucb Pharma Sa Biological products
WO2011131746A2 (en) 2010-04-20 2011-10-27 Genmab A/S Heterodimeric antibody fc-containing proteins and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EP2635607B1 (en) 2010-11-05 2019-09-04 Zymeworks Inc. Stable heterodimeric antibody design with mutations in the fc domain
SI2776466T1 (sl) 2011-11-11 2017-12-29 Ucb Biopharma Sprl Protitelesa, ki se vežejo na albumin in njihovi vezavni fragmenti
CA2861610A1 (en) * 2011-12-30 2013-07-04 Abbvie Inc. Dual specific binding proteins directed against il-13 and/or il-17
GB201223276D0 (en) 2012-12-21 2013-02-06 Ucb Pharma Sa Antibodies and methods of producing same
MX2016010729A (es) * 2014-02-21 2016-10-26 Genentech Inc Anticuerpos biespecificos anti-il-13 / il-17 y sus usos.
GB201411320D0 (en) 2014-06-25 2014-08-06 Ucb Biopharma Sprl Antibody construct
GB201411420D0 (en) 2014-06-26 2014-08-13 Ucb Biopharma Sprl Antibody constr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7282A (ja) 2023-02-22
EP4077382A1 (en) 2022-10-26
CO2022008268A2 (es) 2022-06-21
US20230084464A1 (en) 2023-03-16
CN114829398A (zh) 2022-07-29
CA3164231A1 (en) 2021-06-24
MX2022007117A (es) 2022-07-11
AU2020406155A1 (en) 2022-08-04
CL2022001684A1 (es) 2023-05-26
IL293812A (en) 2022-08-01
GB201919062D0 (en) 2020-02-05
WO2021123190A1 (en) 2021-06-24
BR112022011619A2 (pt) 202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1252B2 (en) Molecules with specificity for CD79 and CD22
US11472879B2 (en) Antibody molecules which bind CD22
RU2747980C2 (ru) Молекулы со специфичностью к cd45 и cd79
US11692041B2 (en) Antibody molecules which bind CD45
EP2514764B1 (en) Antibody molecules which bind IL-17A and IL-17F
US10618957B2 (en) Antibody molecules which bind CD79
KR20220117305A (ko) 인간 il-13에 대한 결합 특이성을 가진 항체
CN108368168B (zh) 结合TNFα的抗体分子
US20230087378A1 (en) Multi-specific antibody with binding specificity for human il-13 and il-17
US20230374148A1 (en) Binding molecules that multimerise cd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