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265A -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265A
KR20220117265A KR1020227023669A KR20227023669A KR20220117265A KR 20220117265 A KR20220117265 A KR 20220117265A KR 1020227023669 A KR1020227023669 A KR 1020227023669A KR 20227023669 A KR20227023669 A KR 20227023669A KR 20220117265 A KR20220117265 A KR 20220117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suspension
reactor
rmc
reactor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귀도 프로부스트
데이비드 랑젠드리에스
Original Assignee
몰리메트 벨지엄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리메트 벨지엄 엔브이 filed Critical 몰리메트 벨지엄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22011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01G39/003Preparation involving a liquid-liquid extraction, an adsorption or an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01G3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00Extraction of metal compounds from ores or concentrates by wet processes
    • C22B3/02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20Obtaining niobium, tantalum or vanadium
    • C22B34/22Obtaining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34/00Obtaining refractory metals
    • C22B34/30Obtaining chromium, molybdenum or tungsten
    • C22B34/34Obtaining molybden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9/0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 C22B9/10General processes of refining or remelting of metals; Apparatus for electroslag or arc remelting of metals with refining or fluxing agents; Use of materials therefor, e.g. slagging or scorifying agents
    • C22B9/103Methods of introduction of solid or liquid refining or flux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RMC의 일부에 대해 제1 반응기에서 제1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처리는 RMC의 일부를 물-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은 10℃ 내지 100℃의 온도 및 2.1 내지 5.0의 제1 pH 값을 가지며;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에 대해 제2 반응기에서 제2 처리를 수행하고, 제2 처리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를 산 용액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는 < 70℃의 온도를 갖고, 여기서 제2 처리된 현탁액은 1.5 내지 제1 pH 값 사이의 제2 pH 값을 가지며; 및 반응기로부터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oasted molybdenum concentrate)(RMC) 및 이의 수득된 조성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RMC 처리 장치(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자연계에서 몰리브덴은 주로 몰리브덴의 광석인 몰리브덴광(molybdenite)(MoS2)의 형태로 발생한다. 몰리브덴이 사용되는 많은 응용 분야에서, 몰리브덴은 산화 몰리브덴으로 산화되어 주로 몰리브덴 및 촉매를 포함하는 합금 생산에 사용된다. 산화 몰리브덴으로의 몰리브덴광(MoS2)의 산화는 두 가지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첫 번째이자 가장 일반적인 산화 방법은 공기가 있는 배소로(roasting furnace)에서 몰리브덴 광석을 배소하는 것이다. 광석 또는 정광(concentrate),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MoS2) 정광은 상기 몰리브덴 함유 광석 또는 정광을 배소함으로써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 가공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 높은 순도의 산화 몰리브덴을 수득하는 두 번째 옵션은 습식 화학 경로를 통해 몰리브덴을 산화시키는 것이다. 여기에는 산성 환경에서의 작업이 포함되며, 몰리브덴은 가장 적게 용해되지만 불순물은 더 많이 용해되도록 조건이 조정된다. 습식 화학 경로를 통해, 몰리브덴광은 산화제로서 고농축 산소(O2) 분위기에서의 압력 하 및/또는 질산(HNO3)을 사용하여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산화된다. 이러한 반응은 또한 황산(H2SO4)의 존재 하에서 발생하며, 이는 선택적으로 첨가되지만 몰리브덴광의 산화 동안 형성되기도 한다. 몰리브덴 광석의 산화 방법으로서 습식 화학 경로의 단점은 농축 산소가 공기보다 훨씬 비싸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소비와 높은 비용이다. 더욱이, 사용된 몰리브덴광은 오토클레이브에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을 제거해야 하고, 오토클레이브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마 맥석(gangue)을 제한해야 하기 때문에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한 작업은 매우 섬세하다.
몰리브덴광 광석에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여전히 비소, 인, 철, 구리 및 칼륨과 같은 다양한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불순물은 사용된 산화 방법에 따라 생성된 산화 몰리브덴에서 다소 발견될 수도 있다.
특정 응용 분야에서는 배소 또는 습식 화학적 산화를 통해서만 수득될 수 있는 것보다 높은 순도의 산화 몰리브덴이 필요하다. 더 높은 순도의 산화 몰리브덴은 승화(sublimation)를 통해, 또는 산화 몰리브덴이 먼저 암모니아에 용해되어 몰리브덴 암모늄 염, 예를 들면(이에 한정되지 않음) 이몰리브덴산 암모늄(ammonium dimolybdate), 사몰리브덴산 암모늄(ammonium tetramolybdate) 또는 이들의 조성물을 생성하는 습식 화학적 경로를 통해 수득될 수 있다. 몰리브덴 암모늄 염을 가열하고 분해함으로써 고순도 산화 몰리브덴을 수득할 수 있다.
RMC를 몰리브덴 암모늄 염으로 전환할 때, 칼륨 농도가 최종 생성물의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칼륨의 존재가 중요한 요소이다. 칼륨은 몰리브덴 암모늄 염 용액에서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없으며, 몰리브덴 암모늄 염의 분해를 통해 수득된 고순도 산화 몰리브덴의 칼륨 농도는 이미 칼륨 함량이 낮은 RMC로 작업해야만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칼륨과 같은 암모니아에 용해될 수 있는 불순물을 RMC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왜냐하면, 불순물은 몰리브덴 암모늄 염 용액에서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US3848049는 온도가 10 내지 100℃인 온수와 RMC의 침출(leach)을 기술한다. 대안적으로, 온수를 사용하는 대신에, 침출 단계는 뜨거운 물, 바람직하게는 질산 중의 무기산 용액을 사용하며, 무기산의 농도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일 수 있다. 질산을 사용하면 질산염이 다른 불순물과 함께 침출 용액에 들어가게 된다. 질산염은 폐수에서 제거해야 하는 오염 물질이기 때문에 환경적인 이유로 질산의 사용을 피해야 한다. 따라서 US3848049의 단점은 질산을 무기산으로 사용하는 것이 환경에 위협이 되고 다른 무기산보다 비싸다는 것이다. 더욱이, US3848049에 기재된 침출 방법은 칼륨 및 기타 금속 양이온의 농도가 모두 급격히 감소되는 침출에 의한 정제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US5271911은 산 침출 처리에 의해 삼산화몰리브덴(molybdenum trioxide)으로부터 칼륨을 제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침출 용액은 무기산과 무기산의 암모늄염으로 구성된다. 사용되는 바람직한 무기산은 질산이다. US5271911에 기재된 침출 방법의 단점은 칼륨 및 기타 금속 양이온의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되는 침출에 의한 정제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더욱이, US5271911은 질산염이 폐수로 끝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비친화적인 질산 용액의 사용, 및 질산염으로서 폐수의 일부가 되는 경우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는 질산암모늄의 사용을 기술하고, 또한 질산암모늄은 건조 시 폭발 가능성이 있어 생산 공정에 대한 추가 안전이 필요하다.
US3932580은 열처리(RMC는 먼저 150 내지 250℃에서 소성(bake)되고, 300 내지 600℃에서 배소됨)를 하기 전에 먼저 황산과 RMC를 혼합하는 단계를 기술한다. 열처리는 먼저 RMC의 핸들링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열처리 후 및 후속 분쇄 단계 후, 수득된 생성물을 온수로 침출시킨다. 온수 침출은 50 내지 85℃의 온도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된다. US3932580에 따른 침출 방법의 단점은 열처리 및 펠릿화(pelletization) 단계가 필요하기 때문에 침출 방법이 에너지 및 노동 집약적이라는 점이다.
US4643884는 비교적 불순한 삼산화몰리브덴으로부터 칼륨을 제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삼산화몰리브덴은 50℃ 이상의 온도에서 필수적으로 질산과 질산암모늄으로 구성된 산성 침출 용액과 두 번 접촉된다. 모든 침출 단계 사이에, 삼산화몰리브덴이 침출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부분의 칼륨은 산 침출 단계에 의해 침출된다. 선택적으로, 제1 산 침출 단계 및 제2 산 침출 단계 사이에, 삼산화몰리브덴을 물로 침출시켜 임의의 잔류 불순물을 제거한다. US4643884에 기재된 방법의 단점은, 질산과 질산암모늄을 포함하는 용액을 사용하여 칼륨을 제거하는데, 이는 질산염으로 폐수의 일부가 되는 경우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고, 추가로 질산암모늄은 건조 시 잠재적으로 폭발성이 있어 생산 공정에 대한 추가 안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US4643884에 기재된 방법의 또 다른 단점은 여러 침출 단계가 필요하므로, 산업적 규모로 전 세계적으로 비효율적이며, 침출로부터 삼산화몰리브덴을 분리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분리 단계가 필요하여, 칼륨을 제거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와 노동 집약적인 방법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노동 집약도가 낮고, 비용이 저렴하고,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환경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더 안전한,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로부터 불순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개선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특히 종래 기술의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노동 집약도가 낮고, 비용도 저렴하여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환경과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더 안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제1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처리 반응 시간 동안 RMC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series)의 반응기에서 제1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처리가 RMC의 적어도 일부를 물-용액(water-solution) 또는 수성 용액(aqueous solution)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은 10℃ 내지 100℃의 온도를 갖고, 및 적어도 2.1,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8의 제1 pH 값을 갖고; b. 바람직하게 제2 처리 반응 시간 동안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에서 제2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는 제1 처리된 현탁액으로부터의 RMC 고형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산 용액(acid solution)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는 70℃ 미만의 온도를 갖고, 제2 처리된 현탁액은 1.5 내지 제1 pH 값 사이의 제2 pH 값을 갖고; 및 c. 제2 처리 반응 시간 후에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로부터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 특히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이점은 불순물이 덜 노동 집약적인 방식으로, 질산의 사용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환경적인 방식으로, 더 에너지 및 비용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점이다. 놀랍게도, 산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현탁액이 약 70℃ 미만의 온도 및 약 1.5 내지 약 2.3의 pH에서 첨가되는 경우, 칼륨 및 구리의 제거가 70℃ 초과의 온도 및 위에서 언급한 범위 밖의 pH가 사용되는 경우 보다 더 효율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RMC를 분쇄할 필요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RMC의 정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만큼,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만큼,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만큼,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만큼,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만큼,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만큼,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만큼 높은 구리 함량을 갖는 RMC 상에서 수행될 수 있고, 중량%는 RMC의 총 중량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산 용액은 염산 또는 황산, 또는 이들의 조합, 바람직하게는 황산을 포함한다. 이 실시양태의 이점은 황산 및 염산이 질산과 같은 기타 산보다 환경적으로 더 안전하다는 것이다. 염산은 황산 대신에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황산 및 황산 용액의 사용이 더 바람직하다. 염산보다 황산을 사용하는 이점은, 황산염이 염화물보다 폐수에서 제거하기 더 쉽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더 나은 선택이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산업 장비의 부식은 황산과 관련하여 최소화된다. 또한 황산을 사용하여 입증된 침출 효율은 염산을 사용할 때보다 높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산 용액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소정량의 물을 제1 반응기, 제1 시리즈의 반응기,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에 첨가하여,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가 70℃ 미만의 온도를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 실시양태의 이점에 더하여, 본 실시양태의 추가 이점은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의 온도가 자연 대류를 통한 냉각과 비교하여 원하는 온도로 더 쉽고 빠르게 감소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칼륨의 침출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기타 불순물의 침출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a에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은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의 온도를 갖는다. 이전 실시양태의 이점에 더하여, 본 실시양태의 추가적인 이점은 칼륨의 불순물이 60℃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빠르게 가용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단계 a에서의 반응기 및 단계 b에서의 반응기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반응기, 제1 시리즈의 반응기 및 제2 시리즈의 반응기는 동일하다. 본 실시양태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더 작은 규모로 수행될 수 있고, 더 적은 장비를 필요로 하므로 더 비용 효율적이고 덜 노동 집약적인 방법을 허용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2 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제1 처리된 현탁액으로부터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2 처리로 넘어가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는 RMC 케이크이다. 이전 실시양태의 이점에 더하여, 본 실시양태의 추가 이점은 용해된 K를 함유하는 여액을 제거함으로써 제2 처리 동안 더 낮은 pH에서 K를 침전시킬 위험이 제거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반응기로 이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반응기는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 및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실시양태는 RMC의 처리 및 침출(즉, 불순물 제거)을 위한 연속 공정을 적용하여, 제2 처리 단계가 제1 처리 단계를 완료한 후에만 수행될 수 있는 배치 공정과 비교하여 더 높은 침출 효율(즉, 더 짧은 기간에 더 많은 RMC를 처리할 수 있음)을 초래하게 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양태에 따르면, 더 많은 양의 RMC가 연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기 때문에, RMC로부터 불순물의 감소가 더 시간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송 단계가 오버플로(overflow)를 통해 수행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 및 후속 반응기는 제1 및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의 흐름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전 실시양태의 이점에 더하여, 본 실시양태의 추가의 이점은 오버플로 공정이 복잡한 제어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연적인 공정이어서, RMC로부터 불순물을 감소(농축)하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온도가 65℃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55℃ 미만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65℃ 이상의 온도에서 보다 RMC에서 칼륨의 불순물이 더 잘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왜냐하면 칼륨 제거 효율의 더 적은 감소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2 처리된 현탁액은 1.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9의 pH 값을 갖는다. 이전 실시양태의 이점에 더하여, 본 실시양태의 추가 이점은 칼륨 불순물이 현탁액으로부터 가장 적게 침전되고, 칼륨의 침출 효율이 실질적으로 감소하지 않고 기타 불순물이 RMC로부터 침출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1 처리 반응 시간은 총 반응 시간의 약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이고, 여기서 총 반응 시간은 제1 처리 반응 시간과 제2 처리 반응 시간의 합이다. 이전 실시양태의 이점에 더하여, 본 실시양태의 추가 이점은 칼륨 및 구리의 침출 효율이, 반응 시간이 약 20% 내지 80%가 아닐 경우 보다 더 높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2 처리된 현탁액은 약 2.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약 2.6의 액체 대 고체(L/S) 질량 비율을 갖는다. 이전 실시양태의 이점에 더하여, 본 실시양태의 이점은 철 및 구리의 불순물 제거가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2.0 보다 낮은 L/S 비는 그 중에서도 철 및 구리의 제거 효율을 감소시킨다. L/S 비를 3.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은 효율에 있어서 추가적인 상당한 개선을 제공하지 않고, 더 큰 반응기가 필요하다는 경제적인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RMC로부터 불순물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처리 반응 시간 동안 RMC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에서 제1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를 포함하고, 제1 처리는 RMC의 적어도 일부를 물-용액 또는 수성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은 10℃ 내지 100℃의 온도 및 제1 pH 값이 적어도 2.1, 바람직하게는 최대 5.0, 바람직하게는 최대 4.0, 바람직하게는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최대 2.8을 갖고; 제2 처리 반응 시간 동안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에서 제2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는 제1 처리된 현탁액으로부터의 RMC 고형물을 포함하고, 제2 처리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산 용액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는 70℃ 미만의 온도를 갖고, 제2 처리된 현탁액은 1.5 내지 제1 pH 값 사이의 제2 pH 값을 가지며; 및 제2 처리 반응 시간 후에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로부터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하도록 구성된 분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 실시양태의 이점은 불순물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시리즈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는 동일하다. 본 실시양태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더 작은 규모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로부터 후속 반응기로 이송하기 위한 장비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후속 반응기는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 및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실시양태의 이점은 방법이 중단 없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부터 불순물을 보다 시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오버플로 공정은 복잡한 제어 장비가 필요 없는 자연적인 공정으로, 비용 효율적인 공정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송 장비가 오버플로인 장치가 제공된다. 이 실시양태의 이점은 이 실시양태에서 이송을 위해 펌프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전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된 처리된 RMC 생성물에 관한 것으로, 처리된 RMC 생성물이, 처리된 RMC 생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864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240 중량% 미만의 칼륨 농도, 0.24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미만의 구리 농도, 50.0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56.47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58.67 중량% 초과의 몰리브덴의 농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득된 정제된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의 이점은 추가 정제 단계가 필요 없이 가용성 칼륨의 농도가 최소이어야 하는 특정 응용 분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RMC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지 않고 온전히 실시예로서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도 1"로 축약된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RMC의 불순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침출 효율을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로, 실시예 A는 산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이고, 실시예 B는 염산만 사용한 경우이고, 실시예 C는 본 발명에 따른 경우로서, 물을 사용한 제1 처리가 수행된 후 황산을 사용한 제2 처리가 수행된다.

"도 2"로 축약된 도면 2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에 산의 첨가의 시간에 따른 불순물의 침출 효율을 도시하며, 이 시간은 총 반응 시간의 백분율로 표시되며, 실시예 A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동안 산이 사용되지 않는 경우이다.
"도 3"으로 축약된 도면 3은 산 화합물을 첨가한 후 2차 처리된 현탁액의 온도에 따른 불순물의 침출 효율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로 축약된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RMC로부터 불순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의 단계를 도시하고; 및
"도 5"로 축약된 도면 5는 연속 공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출 장치를 도시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본 발명이 발생하거나 적용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양태의 제한적인 표현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구성하고 작동하는 데 필요한 기능 및 단계에 대해 명확하게 하려고 한다. 동일하거나 동등한 기능 및 구성요소가 다른 실시양태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이들 또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된 도면은 단지 개략적이며 제한적이지 않는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에서 용어 제1, 제2, 제3, 제4 등은 유사한 요소들 사이의 구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순위 또는 다른 방식으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적절한 상황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거나 도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인의 개시는 유사한 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 설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양태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일 실시양태(one embodiment)" 또는 "실시양태(an embodiment)" 또는 유사한 언어에 대한 언급은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일 실시양태에서", "실시양태에서"라는 문구의 출현 및 유사한 언어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모두 동일한 실시양태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이 인용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세부사항 없이 또는 다른 방법, 구성요소, 재료 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구조, 재료, 또는 동작은 본 발명의 양태를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 또는 "RMC"라는 용어로 언급될 경우, "REACH Molybdenum Consortium"(RMC Sub Id & Classif. 2015)에 의해 기술한 바와 같은 것으로 언급된다. RMC는 삼산화몰리브덴, 이산화몰리브덴 또는 기타 몰리브덴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시험에서 투입 물질로 사용된 RMC의 조성물은 다음 농도의 불순물을 포함한다: RM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칼륨 0.1292 중량%, 구리 0.45 중량%, 비소 0.0052 중량%, 인 0.0079 중량%. 본 발명에 따르면, RMC에서 구리의 농도는 또한 RM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4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 형성된 현탁액의 pH 및 온도는 표준 방법론 및 표준 기기에 따라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pH 값"이라는 용어가 언급될 경우,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자연 pH 값으로 간주될 수 있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pH 값이 언급될 수 있고, 현탁될 고체, 예를 들어 RMC를 물-용액 또는 수성 용액에 첨가하는 것만으로 달성되는 현탁액의 pH 값으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실시양태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또는 천연 pH 값은 2.1 이상,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8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제1 또는 천연 pH 값은 2.1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8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RMC로부터 불순물 감소"가 언급되는 경우, RMC로부터 불순물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침출 효율(leach efficiency)"이라는 용어가 언급되는 경우, 백분율로 표시되는 중량 비율인 본 발명에 따른 초기 RMC로부터 침출된 불순물의 최종 중량과 초기 RMC에서 불순물의 초기 중량 사이의 비율을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어 "RMC 케이크"가 언급되는 경우, 분리 수단에 의해 제1 처리된 현탁액으로부터 분리 후에 수득된 고체 형태의 정제된 RMC를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슬러리" 또는 "현탁액"이라는 용어가 언급되는 경우, 액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현탁된 고체의 혼합물을 언급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RMC의 주성분인 산화몰리브덴의 물에 대한 불용성으로 인해, 제1 처리된 현탁액 및 제2 처리된 현탁액은 불순물 및 산화몰리브덴이 현탁되어 슬러리가 형성되는 수계 현탁액이다. 따라서, 용어 "슬러리" 또는 "현탁액"을 사용하여 제1 또는 제2 처리된 현탁액을 언급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용어 "침출(leaching)"이 언급되는 경우, 액체에 용해시켜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추출하는 공정을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불순물"이라는 용어가 언급되는 경우, 물 및/또는 암모니아에 용해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화합물,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칼륨, 철, 인, 비소 및 구리의 화합물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양태에서 "액체 대 고체(L/S) 비율"이 언급되는 경우, 액체와 액체에 첨가되는 고체 물질 사이의 질량 비율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으로부터 불순물의 농도를 감소시켜 몰리브덴 산화물을 더 많이 포함하는 RMC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제1 처리 단계, 제2 처리 단계 및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처리 단계는 제1 처리 반응 시간 동안 RMC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1 반응기 또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에서 수행하여 제1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처리는 적어도 RMC의 일부를 물-용액 또는 수성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은 10℃ 내지 100℃의 온도를 갖는다. 제1 처리된 현탁액에서, 산화 몰리브덴 입자 및 기타 성분은 필수적으로 물에 불용성이기 때문에 현탁된다. 대부분의 산화 몰리브덴이 존재하기 때문에, 물-용액 또는 수성 용액을 RMC에 첨가한 후 슬러리가 수득되며, 산화 몰리브덴 등의 불용성 입자와 함께 제1 처리된 현탁액으로 현탁된다. 일반적으로, 제1 처리 단계 이전의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의 칼륨 수준은 RMC의 총 중량과 비교하여 평균 약 1600 중량ppm이고, 구리 수준은 평균 약 0.45 중량%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불순물의 농도가 더 높은 경우에도 RMC에서 불순물의 농도를 감소시킨다. 제1 처리 단계는 대부분의 칼륨을 침출할 목적으로 격렬한 교반 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처리 후, 물과 접촉하는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은 제1 pH 값이 2.1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8의 pH 값을 갖는 슬러리를 생성할 가능성이 높다. 불순물의 존재가 슬러리의 제1 pH 값을 2.1 미만으로 낮추는 상황에서, 슬러리의 제1 pH 값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이 되도록 증가된다. 물로 침출하면 구리, 철, 비소 및 인의 불순물 일부가 침출될 수도 있다. RMC 및 물을 포함하는 현탁액은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의 온도에서 교반 하에 유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처리된 현탁액은 10℃ 내지 100℃의 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더 높거나 더 낮은 온도는 칼륨을 침출하는 데 필요한 총 반응 시간에 영향을 미친다. 칼륨 불순물의 제거는 몰리브덴 암모늄 염으로의 전환과 같은 추가 공정 동안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러한 처리 전에 대부분의 칼륨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1 처리 단계 후, 제2 처리 단계가 진행된다. 제1 처리된 현탁액은 하나 이상의 반응기가 있는 경우 후속 반응기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처리 단계는 제2 처리 반응 시간 동안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에서 제2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처리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산 용액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는 70℃ 미만의 온도를 갖고, 제2 처리된 현탁액은 1.5 내지 2.3의 제2 pH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제2 처리된 현탁액은 1.8 내지 2.0의 제2 pH 값 및 바람직하게는 55℃ 미만의 온도를 갖는다. 놀랍게도, 산 용액이 슬러리에 첨가되어 제2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경우, 여기서 제2 처리된 현탁액은 70℃ 미만의 온도 및 약 1.5 내지 2.3의 제2 pH 값, 용액으로부터 더 적은 칼륨 침전물을 갖고, 따라서 더 높은 농도의 칼륨이 RMC로부터 침출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아마도 70℃ 이상의 온도 및 1.5 미만의 제2 pH 값에 대해, 자로사이트(jarosite) KFe3(OH)6(SO4)2 침전물이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2.3 보다 높은 제2 pH 값에서 기타 불순물, 특히 구리의 침출 효율이 감소한다. RMC, 물 및 산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교반 하에 유지하고, 원하는 침출 효율에 도달할 때까지 pH 및 온도를 모니터링한다. 그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후속적으로 제2 처리 반응 시간 후에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합한 분리 수단은 여과 및 경사분리(decantation)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 후 불순물로부터 분리된 RMC를 회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산 용액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가 70℃ 미만의 온도를 갖도록 소정량의 물이 제1 반응기, 제1 시리즈의 반응기, 제2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에 첨가된다.
소정량의 물을 첨가하면 더 에너지 집약적인 냉각 방법이 필요하지 않거나 자연 대류에 의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온도가 감소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필요 없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물의 양은 최신 기술의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의 조성물은 제1 처리된 현탁액과 동일한 조성물이다. 따라서, 이 실시양태에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취하는 것은 현탁액의 특정 중량 또는 부피 일부를 취하지만 달리 이의 조성물을 변경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제1 처리된 현탁액과 동일한 조성물을 갖는 현탁액이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하나의 일부는 제1 처리된 현탁액과 비교하여 동일하거나 증가된 고형 함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RMC로부터 물-용액 또는 수용성 불순물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2시간 초과, 바람직하게는 2.5시간 초과인 총 반응 시간으로 더 잘 수행된다. 총 반응 시간은 제1 처리 반응 시간과 제2 처리 반응 시간을 합한 것으로, 여과 시간은 포함하지 않는다. 총 반응 시간이 2시간 이상인 이점은, 구리와 철을 더 잘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염산은 황산 또는 황산의 수용액, 또는 이들의 조합 대신에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황산 또는 황산 용액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염산을 사용하는 경우, 반응기 건설을 위해 고급 재료 선택이 필요하다. 또한 염산의 사용은 더 낮은 침출 효율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칼륨, 철, 및 구리의 불순물의 침출 효율에 대한 막대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침출 효율은 Y축을 따라 백분율로 표시된다. 특정 불순물에 대한 침출 효율에 비례하는 높이로 분석된 각 불순물에 대한 직사각형 막대가 X축을 따라 분포되어 있다. 칼륨, 철 및 구리의 불순물에 대한 침출 효율은 세 가지 상이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표시된다: A, B 및 C. 실시예 A, B 및 C는 배치 공정(batch process)에 따라 수행되었다.
배치 실험
실시예 A
RMC 400g을 물 1050ml에 넣어 슬러리를 형성한다. 처음에 슬러리의 온도는 약 75℃로 설정되고 전체 반응 시간인 2.5시간 동안 유지된다. 2.5시간 후, 케이크를 여과하고, 1050ml의 물로 필터 상에서 세척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륨의 불순물은 대부분 침출되는 반면, 철과 구리의 불순물은 거의 침출되지 않는다.
실시예 B
RMC 400g을 물 1050ml에 넣어 슬러리를 형성한다. 처음에, 온도를 75℃로 설정하고, 전체 반응 시간 동안 변경하지 않으며, 또한 처음부터 슬러리에 염산 용액을 첨가하여 슬러리의 pH가 약 1.9가 되도록 한다. 상이한 농도의 염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2.5시간이다. 2.5시간 후, 케이크를 여과하고, 1050ml의 물로 필터 상에서 세척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륨 불순물의 대부분이 침출되는 반면, 실시예 A와 대조적으로, 실시예 B에서는 철 및 구리 불순물이 더 잘 침출된다.
실시예 C
400g의 RMC를 1050ml의 물에 넣어 슬러리를 형성하므로 액체 대 고체의 질량 비율(L/S)은 2.6:1이다. 물에 RMC를 첨가하면 자연적으로 형성된 슬러리의 제1 pH 값이 약 2.3으로 설정된다. 총 반응 시간은 2.5시간이다. 처음에, 온도는 약 75℃로 설정된다. 총 반응 시간의 40% 후, 그러므로 1시간 후, 온도를 약 55℃로 더 낮춘다. 더 낮은 온도에 도달하면, 황산 용액을 첨가하고, 제1 pH 값을 약 1.9의 제2 pH 값으로 더 낮추고, 반응을 1시간 반(1.5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둔다. 상이한 농도의 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물을 사용한 침출과 황산 첨가 후 사이에 여과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처리 반응 시간은 1시간인 반면, 제2 처리 반응 시간은 1시간 반(1.5시간)이다. 총 반응 시간이 끝나면, RMC 케이크를 여과하고 필터 상에서 1050ml의 물로 세척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륨, 철 및 구리에 대해 더 높은 침출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 B와 관련하여, 실시예 C에서 구리는 황산에 의해 더 잘 용해된다.
실시예 A, B 및 C에 대한 침출 효율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칼륨(침출 효율 90%) 및 구리(침출 효율 97%)의 불순물 모두에 대해 높은 침출 효율을 수득할 수 있다.
연속 흐름 실험
아래 표 2는 실시예 D1, D2 및 D3에 대한 불순물의 침출 효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D1, D2 및 D3의 경우, 동일한 RMC 투입물(input)이 사용되며, 투입물 RMC는 다음과 같은 불순물의 농도를 갖는다.
Figure pct00002
* 중량%[wt%]는 RM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반응기가 차례로 배치되고, RMC 슬러지(sludge)가 제1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첨가되고, 혼합물이 오버플로에 의해 하나의 반응기에서 다음 반응기로 이동하는 연속 흐름을 통해 RMC 내의 불순물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여기서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가 연속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실시예 D1, D2, D3은 연속 흐름 공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D1, D2 및 D3에 대한 평균 반응 시간은 2.5시간이다. 슬러리의 온도는 약 75℃로 설정되고, 전체 반응 시간 동안 유지된다.
실시예 D1
침출은 물 1050ml당 RMC 400g을 첨가하는 연속공정을 수행하여 수행된다. 침출은 물, 물-용액 또는 수성 용액만을 사용하여 발생한다.
실시예 D2
침출은 실시예 D1과 동일한 매개변수로 수행되지만, 물 대신 황산이 사용된다. pH 값은 1.9로 설정되었다.
실시예 D3
시리즈의 반응기 중 제1 반응기에 물 400ml당 RMC 400g을 첨가하며, 물의 온도는 75℃이다. 오버플로를 통해,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반응기의 물과 동일한 온도를 갖는 물-용액 또는 수성 용액을 포함하는 시리즈의 반응기 중 제2 반응기로 이송된다. 그 후, 물질은 오버플로를 통해 pH 값이 1.9이고 온도가 55℃인 산 용액(H2SO4)을 포함하는 시리즈의 3개의 반응기로 이송된다.
실시예 D1, D2 및 D3에 대한 침출 효율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D1, D2 및 D3에 대한 정제된 RMC의 불순물 농도를 아래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 중량%[wt%]는 RM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
도 2는 슬러리에 황산을 첨가한 시간에 대해서 Y축 상에 불순물의 침출 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이 시간을 전체 반응 시간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고, 이를 X-축에 나타내었다. 총 반응 시간은 2.5시간이다. "0%"에서의 시험은 반응 시작부터 산을 사용한 침출만 수행됨을 의미한다(실시예 E 참조). 도 2에는 산을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A의 결과도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 E
RMC 400g을 물 1050ml에 넣고, 온도를 75℃로 설정하고 유지한다. 처음부터 현탁액의 pH를 황산으로 1.9로 조정한다. 반응 시간은 2.5시간이다. 2.5시간 후, 케이크를 여과하고 1050ml의 물로 필터 상에서 세척한다.
황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첨가하기 전에, 본 발명의 정제 방법에 따라 RMC를 먼저 물과 접촉시킨 다음 황산 용액과 접촉시키면, 칼륨의 침출 효율이 증가하는 반면 구리 및 철의 침출 효율은 약간 감소한다. 제1 처리 반응 시간이 총 반응 시간의 약 35%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약 40%인 경우, 구리 및 철의 침출 효율을 많이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칼륨의 침출을 개선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도 3은 황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첨가한 후 슬러리의 온도에 따른 불순물의 침출 효율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3은 실시예 F1, F2, F3에 따라 수득된 침출 효율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F1, F2 및 F3에 대한 침출 효율을 아래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F1
RMC 400g을 물 1050ml에 넣어 슬러리를 형성한다. 반응 처음에, 온도는 75℃로 설정된다. 총 반응 시간(2.5시간)의 40%(1시간) 후, 온도를 55℃로 더 낮추고, 더 낮은 온도에 도달하면 pH를 1.9로 낮춘다(황산 사용). 반응 시간이 끝나면 케이크를 여과하고 1050ml의 물로 필터 상에서 세척한다.
실시예 F2
실시예 F2는 총 반응 시간의 40% 후에, 황산을 첨가하여 pH를 1.9로 조정하기 전에 온도를 65℃로 감소시킨다는 점에서 실시예 F1과 상이하다.
실시예 F3
실시예 F3은 총 반응 시간의 40% 후에, 온도가 감소하지 않고, 75℃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점에서 F1 및 F2와 상이하다.
도 3에서 황산 첨가 후 슬러리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칼륨의 침출 효율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놀랍게도,황산을 포함하는 용액을 70℃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미만의 온도에서 첨가하는 경우, 침출에 의한 K의 제거가 보다 효율적임을 발견하였다. 70℃ 이상의 온도 및 pH≤1.5에서, 자로사이트(KFe3(OH)6(SO4)2)가 실질적으로 침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칼륨의 침전과 침출 효율의 손실은 이미 55℃ 이상의 온도와 약 1.8 이하의 pH에서 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방법은 연속 공정으로서 유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의 정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 및 제2 시리즈의 반응기를 포함한다. 슬러리는 제1 침출 용기에 연속적으로 첨가되고, 슬러리는 오버플로에 의해 한 반응기에서 후속 반응기로 이송된다.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를 통해, 제1 시리즈의 반응기로부터 제거되고, 후속 반응기에 의해 수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후속 반응기는 제1 시리즈의 반응기 또는 제2 시리즈의 반응기로부터의 반응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MC의 정제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된 RMC를 수득하기 위한 공정은, 몰리브덴 광석을 가공하여 RMC(401)을 생산하는 단계, RMC(402)를 더 높은 온도에서 물과 접촉시켜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주로 K의 불순물의 제1 제거를 갖는 단계, 저온에서 RMC의 슬러리에 산 용액(403)을 첨가하는 단계, 및 정제된 RMC를 분리시키는(404) 단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RMC 처리 장치(500)의 예를 도시한다. 상이한 RMC 처리 장치(500)가 설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원하는 침출 효율을 수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수만큼 다양할 수 있는 반응기의 수를 변경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유동 공정 또는 배치 공정을 통해 RMC 내의 불순물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시리즈의 반응기 및 제2 시리즈의 반응기가 동일한 실시양태를 참조할 경우, 배치 공정이 참조된다.
단계 a의 반응기와 단계 b의 반응기가 동일한 실시양태를 참조할 경우, 배치 공정을 참조한다.
도 5는 제1 처리된 현탁액(510)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처리 반응 시간 동안 RMC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1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505)의 제1 시리즈(511), 및 제2 처리 반응 시간 동안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하나 이상의 반응기의 제2 시리즈에서 제2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반응기(506)의 제2 시리즈(512)를 포함하는 RMC 처리 장치(500)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시리즈(511) 및 제2 시리즈(512)는 각각 2개의 반응기를 포함하는데, 즉, 제1 시리즈(511)는 제1 반응기(505) 및 제2 반응기(506)를 포함하고, 제2 시리즈(512)는 제3 반응기(513) 및 제4 반응기(5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공정에서 반응기(505, 506, 513, 514)는 추가의 제1 처리, 예를 들어 제1 반응기(505)로부터 제2 반응기(506)로의 물질 이송, 제2 처리, 예를 들어, 제2 반응기로부터 제3 반응기(513)로의 물질의 이송, 또는 추가의 제2 처리, 예를 들어 제3 반응기(513)로부터 제4 반응기(514)로의 물질의 이송 중 어느 하나를 허용하도록 서로 이어지게 배치된다. 반응기의 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1 시리즈(511)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는 2개의 반응기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시리즈(512)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는 3개의 반응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양태는 제1 처리 반응 시간이 총 반응 시간의 40%이고, 제2 처리 반응 시간이 총 반응 시간의 60%인 RMC로부터 불순물(의 농도)을 감소하는 방법을 허용한다.
제1 시리즈(511) 및 제2 시리즈(512)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는 동일하지 않거나 상이한 바람직한 실시양태, 즉 연속 공정의 이점은, 출발 RMC 물질(502)이 연속 방식으로 또는 제1 처리 반응 시간보다 더 짧을 수 있는 특정 시간 간격으로 제1 반응기(505)에 첨가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RMC 물질이 배치 공정 구성과 비교하여 더 짧은 시간 규모로 처리될 수 있다는 점이다.
반응기, 예를 들어, 제1 반응기(505)로부터 후속 반응기, 예를 들어 제2 반응기(506)로 제1 처리된 현탁액(510)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의 적어도 일부의 이송은 이 장비에 제한되지 않고 오버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오버플로에 의해 물질을 이송하는 이점은 컴퓨터로 제어될 수 있는 이송 수단, 예를 들어 펌프를 사용하여 물질이 한 반응기에서 후속 반응기로 이송되는 장치와 비교하여 공정이 더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하나의 반응기로부터 후속 반응기로 제1 처리된 현탁액(510) 또는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의 적어도 일부의 이송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오버플로 수단 및 기타 이송 수단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500)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교반기(509)가 반응기(505, 506, 513, 514)에 배치되어 RMC 입자가 존재하는 제1 처리된 현탁액(510) 또는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을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특정 장치(500)에서, 소정량의 물(501) 및 RMC(502)는 제1 처리를 수행하고 제1 처리된 현탁액(510)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시리즈(511)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 중 제1 반응기(505)에 첨가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처리된 현탁액(510)의 적어도 일부는 이러한 유형의 이송에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오버플로(503)에 의해 후속 반응기(506)로 이송된다. 후속 반응기(506)로부터, 제1 처리된 용액(510)의 적어도 일부는 후속 반응기, 예를 들어 제2 처리를 위한 제2 시리즈(512)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응기 중 제1 반응기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통사의 기술자는, 제1 처리가 제2 시리즈(512)의 반응기들 중 하나 이상의 반응기로 이송(503)되기 전에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들 중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고, 처음으로 제1 처리 및 두번째로 제2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반응기가 현탁액의 흐름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2 처리는 또한 제2 시리즈(512)의 반응기들 중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처리 반응 시간 후, 제2 처리된 용액(507)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시리즈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513, 514), 바람직하게는 마지막 반응기(514)로부터 제거 또는 분리(504)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제2 시리즈(512)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 중 반응기(513, 514)는 산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1.5 내지 2.3,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1.9의 원하는 pH 값을 수득하기 위해, 제2 시리즈(512)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는 산 용액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508).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 산 용액이 첨가된다(508).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2개의 반응기(505, 506)는 물 기반 침출이 발생할 수 있는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에 속하는 반면 마지막 2개의 반응기(513, 514)는 산성 기반 침출이 발생할 수 있는 제 2 시리즈(512)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야 한다.
오버플로(503)의 공정은 복잡한 제어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공정으로 비용 효율적인 공정으로 이어진다. 제1 처리된 용액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처리된 용액의 적어도 일부의 분리는, 예를 들어 장치(500)로부터 제2 시리즈(512)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로부터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504)하기 위해서는 여과, 또는 경사분리 또는 현탁액(510, 507)으로부터 정제된 RMC의 현탁 입자를 분리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분리된(504) 제2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는 정제된 RMC를 포함하고, 처리된 RMC 생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864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240 중량% 미만의 칼륨, 0.24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미만의 구리, 및 50.0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56.47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58.67 중량% 초과의 몰리브덴의 농도를 함유하는 처리된 RMC 생성물로 지칭될 수 있다.
RMC 처리 장치(500)가 더 작아야 하는 경우, RMC 처리 장치(500)에서 제1 시리즈(511) 및 제2 시리즈(512)의 하나 이상의 반응기들은 동일하므로 단일 반응기가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RMC, 물 및 산 용액은 동일한 반응기에 첨가될 수 있으며, 후속 반응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특정 실시양태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감소된 공간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본 실시양태의 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더 작은 규모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순수한 몰리브덴 암모늄(ADM) 염 및 MoO3의 제조를 위한 정제된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정제된 RM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의해 수득된다.

Claims (14)

  1.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처리 반응 시간 동안 RMC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1 반응기(505) 또는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505, 506)에서 제1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처리가 RMC(501)의 적어도 일부를 물-용액(water-solution) 또는 수성 용액(aqueous solution)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은 10℃ 내지 100℃의 온도를 갖고, 적어도 2.1 내지 최대 5.0의 제1 pH 값을 갖는 것인, 제1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b. 제2 처리 반응 시간 동안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에 대해 제2 반응기(513) 또는 제2 시리즈(512)의 반응기(513, 514)에서 제2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일부는 제1 처리된 현탁액으로부터의 RMC 고형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처리는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의 적어도 일부를 산 용액(acid solution)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의 적어도 일부는 70℃ 미만의 온도를 갖고,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은 1.5 내지 제1 pH 값 사이의 제2 pH 값을 갖는 것인, 제2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c. 제2 처리 반응 시간 후에 제2 반응기(513) 또는 제2 시리즈(512)의 반응기(513, 514)로부터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의 적어도 일부를 분리(504)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RMC)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 용액이 염산 또는 황산, 또는 이들의 조합, 바람직하게는 황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의 적어도 일부를 산 용액에 첨가하여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소정량의 물을 제1 반응기(505) 또는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 또는 제2 반응기(513) 또는 제2 시리즈(512)의 반응기에 첨가하여,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의 적어도 일부가 70℃ 미만의 온도를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은 적어도 6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의 온도를 갖는 것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응기 및 상기 제2 반응기는 동일한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505, 506) 및 상기 제2 시리즈(512)의 반응기(507)가 동일한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으로부터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처리로 넘어가는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는 RMC 케이크인 것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처리된 현탁액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반응기(505) 또는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후속 반응기로 이송하는 단계(503)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후속 반응기는 제1 반응기(505) 또는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 및 제2 반응기(513) 또는 제2 시리즈(512)의 반응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단계(503)는 오버플로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제1 반응기(505) 또는 제1 시리즈(511)의 반응기 및 후속 반응기는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 및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의 적어도 일부의 흐름 방향(516)으로 배치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은 65℃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미만의 온도를 갖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처리된 현탁액(510, 515)의 제1 pH 값이 적어도 2.1 내지 최대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 내지 최대 3.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1 내지 최대 2.8인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의 제2 pH 값이 1.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9인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처리 반응 시간이 총 반응 시간의 2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6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고, 여기서 총 반응 시간은 제1 처리 반응 시간과 제2 처리 반응 시간의 합인 것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처리된 현탁액(507)은 2.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6의 액체 대 고체(L/S) 질량 비율을 갖는 것인, 방법.
KR1020227023669A 2019-12-17 2020-12-17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172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7039.7 2019-12-17
EP19217039 2019-12-17
PCT/EP2020/086667 WO2021122912A1 (en) 2019-12-17 2020-12-17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ducing impurities from a roasted molybdenum concentr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265A true KR20220117265A (ko) 2022-08-23

Family

ID=6894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669A KR20220117265A (ko) 2019-12-17 2020-12-17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26044A1 (ko)
EP (1) EP4077218A1 (ko)
KR (1) KR20220117265A (ko)
CN (1) CN114845956A (ko)
CA (1) CA3157756A1 (ko)
WO (1) WO20211229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4636A (fr) 1972-01-27 1973-05-16 American Metal Climax Inc Procede pour produite de l'oxyde de molybdene et du molybdate d'ammonium de haute purete
US3829550A (en) * 1972-09-25 1974-08-13 American Metal Climax Inc Process for making high purity molybdenum oxide and ammonium molybdate
US3932580A (en) * 1974-10-21 1976-01-13 Amax Inc. Process for purifying technical grade molybdenum oxide
US4643884A (en) 1985-02-08 1987-02-17 Gte Products Corporaton Purification of molybdenum trioxide
US4724128A (en) * 1987-07-20 1988-02-09 Gte Products Corporation Method for purifying molybdenum
US5271911A (en) 1992-10-30 1993-12-21 Gte Products Corporation Method for removing potassium from molybdenum trioxide
WO1999041417A2 (en) * 1998-02-11 1999-08-19 Qualchem, Inc. Method for producing high-purity molybdenum chemicals from molybdenum sulfides
CN102181633B (zh) * 2011-04-14 2013-01-02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副产浓硫酸的钼精矿常压氧化浸出工艺
CN104649322B (zh) * 2014-12-23 2016-04-20 金堆城钼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纯七钼酸铵的制备方法
CN105907992B (zh) * 2016-06-28 2018-08-31 西北有色金属研究院 一种加压氧化分离低品位钼精矿中钼、铜和铼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2912A1 (en) 2021-06-24
US20230026044A1 (en) 2023-01-26
EP4077218A1 (en) 2022-10-26
CN114845956A (zh) 2022-08-02
CA3157756A1 (en)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25386A1 (ja) スカンジウムの回収方法
JP6583445B2 (ja) 高純度酸化スカンジウムの製造方法
EP2753721B1 (en) Process for purifying zinc oxide
ES2941735T3 (es) Método de recuperación de hierro a partir de una solución de sulfato de zinc
US3458277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molybdenum values as high purity ammonium paramolybdate from impure molybdenum-bearing solution,with optional recovery of rhenium values if present
JP5644878B2 (ja) 固液分離処理方法、並びにニッケル酸化鉱石の湿式製錬方法
CN112210679A (zh) 氢氧化镍钴制备硫酸镍的方法
WO2018101039A1 (ja) イオン交換処理方法、スカンジウムの回収方法
KR20210065144A (ko) 고순도 수화 황산 니켈의 제조 방법
US7794677B2 (en) Reduction of copper content in the molybdenite concentrate
JP5692458B1 (ja) 固液分離処理方法、並びにニッケル酸化鉱石の湿式製錬方法
US5820844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purified MoO3 composition
CN108603247A (zh) 钪的回收方法
AU2017341012B2 (en) Hydrometallurgical method for refining nickel oxide ore
WO2018043704A1 (ja) 高純度酸化スカンジウムの製造方法
WO2018043183A1 (ja) スカンジウムの回収方法
KR20220117265A (ko) 배소된 몰리브덴 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833621B2 (ja) 銅含有輝水鉛鉱の前処理方法
RU2563015C2 (ru)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церия из нитратных растворов, содержащих сумму редкозем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JP2018177547A (ja) 粗硫酸ニッケル溶液の脱鉄方法
JP2017201056A (ja) 中和処理方法、及び中和終液の濁度低減方法
JP2006083457A (ja) 亜鉛浸出残渣等の処理方法
EP3808861A1 (en) An improved process for the recovery of zinc from zinc-bearing raw materials
JP2011195935A (ja) 白金族元素の分離回収方法
JP2019137903A (ja) 脱亜鉛処理方法、ニッケル酸化鉱石の湿式製錬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