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102A -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102A
KR20220117102A KR1020210070042A KR20210070042A KR20220117102A KR 20220117102 A KR20220117102 A KR 20220117102A KR 1020210070042 A KR1020210070042 A KR 1020210070042A KR 20210070042 A KR20210070042 A KR 20210070042A KR 20220117102 A KR20220117102 A KR 20220117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information
evacuation route
route guidance
d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539B1 (ko
Inventor
이태원
신용규
정경권
김항
백은선
국찬
Original Assignee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1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은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감지된 상태 감지 정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센서;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위험 인식 서버;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그룹별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대피로 유도 서버; 및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정보를 제공하여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OF EVACUATION ROU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된다.
건물 내부와 같은 실내 또는 실외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해 발생하는 연기 및 화염 또는 전기 차단으로 인해 암흑이 발생하여 사람들의 시야가 차단되는 상황에서 출구로의 대피가 어려워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화재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할 때, 위험 발생 지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하고, 사람들의 안전 대피를 유도하는 보다 체계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4382호 (2020. 07. 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재를 비롯한 위험상황 발생 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 대피자들이 대피 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여,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감지된 상태 감지 정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센서;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위험 인식 서버;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위험 인지 정보, 상기 대피자 정보 및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그룹별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대피로 유도 서버; 및 상기 대피 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대피 그룹 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이 제공된다.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까지의 복수의 스피커의 대피 알림음이 선행음 효과를 기초로 순차 지연 출력되어 상기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이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에 이르기까지 점차 높아지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피커가 상기 대피 그룹의 접근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스피커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스피커의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들이 그룹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대피 알림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대피 그룹별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대피 방향, 대피 경로 지도 내 현재 위치, 현재 위치 식별정보,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시간,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거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대피자 수 및 상기 대피자 위치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한 대피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대피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인원 기준 및 인접 거리 기준을 기초로 대피자들을 구분하여 상기 대피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위험 발생 지점, 상기 위험 확산 방향, 상기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상기 대피자 수 및 상기 대피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되,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위험 상태 심각 정도가 제1 기준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대피자의 수가 많은 대피 그룹 순서로 복수의 출구 중 가장 인접한 출구를 상기 도착점으로 지정하도록 상기 대피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출구 중 상기 위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가장 인접한 출구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이 복수의 위험 발생 지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위험 발생 지점, 상기 위함 상태의 심각 정보 및 상기 위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 대피 경로, 대피 시간, 대피 성공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에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위험 인지 정보, 상기 대피자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무선 통신을 상기 출력부의 상기 대피 알림음 및 상기 대피 알림 영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화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비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 및 비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비롯한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에 상기 상태 감지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위험 인지 정보 및 상기 대피자 정보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위험 인식 서버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각각의 식별정보 및 상태 감지 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하되,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이 복수인 경우, 상기 상태 감지 시각을 기초로 최초 위험 발생 지점 및 다음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실내 공기질 감지 센서, 이산화질소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센서, 적외선 센서, 열 감지 센서, 불꽃 감지 센서 및 화상 감지 센서를 비롯하여 해당 설치 영역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각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위험이 발생한 경우, 상기 상태 감지 정보 및 상기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위험 인지 정보, 상기 대피자 정보 및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그룹별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피 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대피로 유도 방법은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까지의 복수의 스피커의 대피 알림음이 선행음 효과를 기초로 순차 지연 출력되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이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에 이르기까지 점차 높아지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피커가 상기 대피 그룹의 접근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스피커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스피커의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로 유도 방법은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들이 그룹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대피 알림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대피 그룹별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대피 방향, 대피 경로 지도 내 현재 위치, 현재 위치 식별정보,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시간,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거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방법은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험 발생 지점, 상기 위험 확산 방향, 상기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상기 대피자 수 및 상기 대피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되,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과거 축적 데이터 및 감지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상태 감지 정보가 반영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화재를 비롯한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최적의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때문에, 위험 상황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피 경로에 대응되어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때문에, 대피자들의 대피를 용이하게 도울 수 있고, 이로 인해 대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를 이용하여 대피 알림음을 출력하기 때문에, 대피자들의 시야가 차단되는 상황에서도 대피 경로를 따라 대피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위험 인식 서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대피로 유도 서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유도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도 8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위험상황은 구체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상황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지 센서를 통해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유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감지 센서(100), 출력부(200, 300), 위험 인식 서버(400) 및 대피로 유도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감지 센서(100)는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여,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감지된 상태 감지 정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달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감지 센서(100)는 감지 센서 1(100a), 감지 센서 2(100b), 감지 센서 3(100c) 등과 같이 복수 개 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CO2 Sensor), 실내 공기질 감지 센서(Indoor Air Quality Sensor), 이산화질소 감지 센서(NO2 Sensor), 온도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smoke detector),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센서, 적외선 센서, 열 감지 센서, 불꽃 감지 센서 및 화상 감지 센서를 비롯하여 해당 설치 영역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험상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감지 센서 중 연기 감지 센서는 연기 혹은 연소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 광전관과 광원 사이의 연기의 농담에 따라서 광전관을 동작시키는 광전식, 연소 가스에 의해서 공기의 저항 변화를 이용한 이온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센서는 금속 나노 구조 배열의 플라즈모닉스 효과를 활용하여 극 미량의 VOCs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고민감도 나노 분광측정 기술로 대기 속에 대기오염물질, 산업환경에서 유해 VOCs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는 화재 감지 및 대피자를 감지하기 위해 실내 공간 또는 실외 공간에 분산 배치될 수 있고, 해당 위치 식별 등의 용도활용을 위해 각각의 식별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는 상태 감지 정보를 위험 인식 서버(400) 또는 대피로 유도 서버(500)로 전송할 때 자신의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는 상태 감지 시각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는 일회용 방식의 1차 전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여러 번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 등의 배터리를 적용할 수 있다.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에 충전식 저전력 방식의 배터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유선 레일을 통한 유선 전원 공급 방식을 적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에 적용되는 전원 공급 방식은 스피커(200) 및 디스플레이(3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위험 인식 서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위험 인식 서버(400)는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위험 인식 서버(400)는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410), 입출력 인터페이스(420), 디스플레이(430), 위험 인식부(440), 대피자 인식부(450), 데이터베이스(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4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 출력부(200, 300) 및 대피로 유도 서버(5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위험 인식 서버(400)는 대피로 유도 서버(500)를 비롯하여 타 구성과 인접하게 구현되는 경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종 제어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4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30)는 위험 인식 서버(40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위험 인식부(440)는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위험 인식부(440)는 상태 감지 정보, 복수의 감지센서(100a, 100b, 100c, ...) 각각의 식별정보 및 상태 감지 시각을 이용하여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하되, 위험 발생 지점이 복수인 경우, 상태 감지 시각을 기초로 최초 위험 발생 지점 및 다음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대피자 인식부(450)는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대피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위험 인시기부(440) 및 대피자 인식부(450)에서의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화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비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 및 비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비롯한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에 상기 상태 감지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460)는 복수의 감지센서(100a, 100b, 100c, ...)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감지 정보를 각각의 식별정보 또는 상태 감지 시각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460)는 위험 감지 서버(4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위험 인식부(440) 및 대피자 인식부(450)를 비롯하여 위험 인식 서버(4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대피로 유도 서버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유도 정보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대피로 유도 서버(500)는 상태 감지 정보, 상기 위험 인지 정보, 상기 대피자 정보 및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그룹별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 대피 경로, 대피 시간, 대피 성공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에 상태 감지 정보, 위험 인지 정보, 대피자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대피 안내 정보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상태 감지 정보는 불꽃, 온도,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화재 상황 감지뿐만 아니라 공기의 흐름 등의 환경 정보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특정 감지 센서(100)가 화염에 의해 손상되거나 오동작 하더라도 주변 다른 감지 센서를 통해 위험 발생 지점을 감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대피로 유도 서버(5800)는 무선 통신을 출력부(200, 300)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대피로 유도 서버(500)는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510), 입출력 인터페이스(520), 디스플레이(530), 대피 유도 처리부(540), 데이터베이스(550) 및 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5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 출력부(200, 300) 및 위험 인식 서버(4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대피로 유도 서버(500)는 위험 인식 서버(400)를 비롯하여 타 구성과 인접하게 구현되는 경우,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입출력 인터페이스(5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각종 제어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5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30)는 대피로 유도 서버(500)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참조번호 200의 출력부는 스피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스피커 1(200a), 스피커 2(200b), 스피커 3(200c) 등과 같이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의 대피 알림음이 선행음 효과(또는 하스 효과(Hass Effect))를 기초로 순차 지연 출력되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로부터 출력되는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Sound Pressure Level: SPL)이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에 이르기까지 점차 높아지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음압 레벨은 소리의 크기(강도)에 대해 객관적 측정 및 비교가 용이하도록 기준음압과의 로그 스케일에 의한 레벨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압 레벨이 높을수록 소리가 큰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스피커 1(200a)의 음압 레벨 보다는 스피커 2(200b)의 음압 레벨을 더 높게, 스피커 2(200b)의 음압 레벨 보다는 스피커 3(200c)의 음압 레벨을 더 높게 설정하여 대피자가 상대적으로 더 큰 소리를 따라 도착점을 향하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피커(예를 들어, 도 5의 스피커 1)가 대피 그룹(A)의 접근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스피커(스피커 1)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스피커(도 5의 스피커 2)의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기준치는 다음 스피커의 음압 레벨이 현재 스피커의 음압 레벨 보다 높게 설정되어 대피자를 도착점 방향으로 유도하도록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스피커별로 각각 생성된 식별정보 및 대피 경로 지도를 참고하여 스피커 각각에 대한 음압 레벨 또는 선행음 효과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참조번호 300의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1(300a), 디스플레이 2(300b), 디스플레이 3(300c) 등과 같이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형태라면 모두 가능하다 할 것이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300a, 300b, 300c, ...)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들이 그룹으로 형성된 경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대피 경로를 따라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대피 알림 영상을 출력하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a를 참고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300a, 300b, 300c, ...) 각각은 도착점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 이미지 또는 LED를 출력할 수 있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대피 그룹별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대피 방향, 대피 경로 지도 내 현재 위치, 현재 위치 식별정보, 도착점까지의 남은 시간, 도착점까지의 남은 거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300a, 300b, 300c, ...) 각각은 디스플레이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1, 디스플레이 2) 및 도착점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한 대피자들을 포함하여 대피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인원 기준 및 인접 거리 기준을 기초로 대피자들을 구분하여 대피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인접한 대피자들끼리 대피 그룹을 형성하되, 특정 그룹에 속한 대피자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이들을 대피시킬 때 출구에서 대피자들이 몰려 발생할 수 있는 대피 지연, 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각 그룹 설정 시 인원 제한 기준을 추가로 고려하는 것이다. 이렇게 인접하지만 서로 다른 그룹으로 결정된 경우,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대피자들 각각에 가장 인접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로 서로 다른 대피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되,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위험 상태 심각 정도가 제1 기준치와 일치하는 경우, 대피자의 수가 많은 대피 그룹 순서로 복수의 출구 중 가장 인접한 출구를 도착점으로 지정하도록 대피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치는 위험 상태 심각 정도가 상, 중 및 하로 구분되는 경우, 상에 해당하는 기준치로, 대피자들을 구조율을 높일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복수의 출구 중 위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가장 인접한 출구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획득된 결과를 바탕으로 위험 확산 방향을 고려한 안전한 출구 중 가장 인접한 출구를 도착점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대피 유도 처리부(540)는 위험 발생 지점이 복수의 위험 발생 지점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위험 발생 지점, 위함 상태의 심각 정보 및 위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50)는 위험 인식 서버(400)로부터 전달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와 복수의 감지센서(100a, 100b, 100c, ...)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감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대피로 유도 서버(500)가 상태 감지 정보를 위험 인식 서버(400)로부터 전달받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50)는 대피로 유도 서버(5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60)는 대피 유도 처리부(540)를 비롯하여 대피로 유도 서버(5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출력부(200, 300)는 대피 안내 정보에 따라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정보를 제공하여 대피 그룹 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부(200, 300)는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 복수의 디스플레이(300a, 300b, 300c,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 및 복수의 디스플레이(300a, 300b, 300c, ...) 각각은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대피로 유도 서버(500)로부터 대피로 유도 정보가 제공될 때 등의 상황에서 참조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위험 인식 서버(400)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2)는 대피로 유도 서버(5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출력 인터페이스(22)는 위험 인식 서버(400) 및 대피로 유도 서버(500)의 참조번호 420, 52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위험 인식 서버(400) 및 대피로 유도 서버(500)의 참조번호 410, 510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와 동일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전술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피로 유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과거 데이터를 기초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저장할 수 있다(S101).
구체적으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화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비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 및 비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비롯한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상술한 학습된 결과에 기초한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감지 센서(100)로부터 획득된 상태 감지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 대피 경로, 대피 시간, 대피 성공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상술한 학습된 결과에 상태 감지 정보, 위험 인지 정보, 대피자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대피 안내 정보를 도출하는 것일 수 있다.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로부터 각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03).
다음,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05).
확인 결과 위험이 발생한 경우,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07, S109).
다음,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상태 감지 정보, 위험 인지 정보, 대피자 정보 및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그룹별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111).
다음,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대피 안내 정보에 따라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113).
도 9는 도 8의 일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상술한 단계 S111 및 S113에 대한 상세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먼저,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로부터 수신한 상태 감지 정보와 함께 전송된 각각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S201). 이때,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최초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하기 위해, 상태 감지 시각을 활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복수의 감지 센서(100a, 100b, 100c, ...) 각각이 GPS 수신기(미도시)와 결합 구성되어, GPS 수신기를 통해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음,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상태 감지 정보, 위험 인지 정보, 대피자 정보 및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최적의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03, S205).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되,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은, 대피로 유도 정보 중 대피 알림음을 생성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205에서, 일 예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의 대피 알림음이 선행음 효과를 기초로 순차 지연 출력되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로부터 출력되는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이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에 이르기까지 점차 높아지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복수의 스피커(200a, 200b, 200c, ...)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피커(예를 들어, 도 5의 스피커 1)가 대피 그룹(도 5의 A)의 접근을 인지하는 경우, 대피 경로를 따라 제1 스피커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스피커(도 5의 스피커 2)의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은, 대피로 유도 정보 중 대피 알림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205에서, 일 예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300a, 300b, 300c, ...)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들이 그룹으로 형성된 경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대피 경로를 따라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대피 알림 영상을 출력하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다른 예로,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대피 그룹별로 복수의 디스플레이(300a, 300b, 300c, ...) 각각이 대피 방향, 대피 경로 지도 내 현재 위치, 현재 위치 식별정보, 도착점까지의 남은 시간, 도착점까지의 남은 거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대피로 유도 시스템(600)은 상술한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안내 정보에 따라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정보를 제공하여 대피 그룹 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S207).
상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험 인식 서버(400) 및 대피로 유도 서버(500)가 각각 별도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도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4: 입출력 장치
100, 100a, 100b, 100c: 감지 센서
200, 300: 출력부
200a, 200b, 200c: 스피커
300a, 300b, 300c, 430, 530: 디스플레이
400: 위험 인식 서버
500: 대피로 유도 서버
26, 410, 510: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22, 420, 520: 입출력 인터페이스
440: 위험 인식부
450: 대피자 인식부
460, 550: 데이터베이스
470, 560: 제어부

Claims (20)

  1.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하여, 기 설정된 영역 내에서 감지된 상태 감지 정보를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 센서;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위험 인식 서버;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위험 인지 정보, 상기 대피자 정보 및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그룹별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대피로 유도 서버; 및
    상기 대피 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대피 그룹 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까지의 복수의 스피커의 대피 알림음이 선행음 효과를 기초로 순차 지연 출력되어 상기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이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에 이르기까지 점차 높아지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피커가 상기 대피 그룹의 접근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스피커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스피커의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들이 그룹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대피 알림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대피 그룹별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대피 방향, 대피 경로 지도 내 현재 위치, 현재 위치 식별정보,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시간,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거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대피자 수 및 상기 대피자 위치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거리 이내로 인접한 대피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대피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인원 기준 및 인접 거리 기준을 기초로 대피자들을 구분하여 상기 대피 그룹을 형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위험 발생 지점, 상기 위험 확산 방향, 상기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상기 대피자 수 및 상기 대피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되,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위험 상태 심각 정도가 제1 기준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대피자의 수가 많은 대피 그룹 순서로 복수의 출구 중 가장 인접한 출구를 상기 도착점으로 지정하도록 상기 대피 경로를 설정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10. 청구항 9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출구 중 상기 위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가장 인접한 출구를 결정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11.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이 복수의 위험 발생 지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상기 복수의 위험 발생 지점, 상기 위함 상태의 심각 정보 및 상기 위험 확산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 대피 경로, 대피 시간, 대피 성공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에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위험 인지 정보, 상기 대피자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도출하는 것인 대피로 유도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로 유도 서버는, 무선 통신을 상기 출력부의 상기 대피 알림음 및 상기 대피 알림 영상의 출력을 제어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화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비위험 상황들의 이미지 데이터, 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 및 비위험 상황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비롯한 과거 축적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결과에 상기 상태 감지 정보를 적용함에 따라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위험 인지 정보 및 상기 대피자 정보를 도출하는 것인 대피로 유도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인식 서버는,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복수의 감지센서 각각의 식별정보 및 상태 감지 시각을 이용하여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하되, 상기 위험 발생 지점이 복수인 경우, 상기 상태 감지 시각을 기초로 최초 위험 발생 지점 및 다음 위험 발생 지점을 파악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감지 센서는,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 실내 공기질 감지 센서, 이산화질소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센서, 적외선 센서, 열 감지 센서, 불꽃 감지 센서 및 화상 감지 센서를 비롯하여 해당 설치 영역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시스템.
  17. 복수의 감지 센서로부터 각각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감지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상태 감지 정보 및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상황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 결과, 위험이 발생한 경우, 상기 상태 감지 정보 및 상기 위험 인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위험 발생 지점, 위험 확산 방향,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위험 인지 정보 및 대피자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감지 정보, 상기 위험 인지 정보, 상기 대피자 정보 및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기초로 대피 경로 및 대피로 유도 정보를 포함하는 대피 그룹별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피 안내 정보에 따라 상기 대피 경로의 출발점으로부터 도착점까지의 대피 알림음 및 대피 알림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피로 유도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까지의 복수의 스피커의 대피 알림음이 선행음 효과를 기초로 순차 지연 출력되어 대피자들의 대피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이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에 이르기까지 점차 높아지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어느 하나인 제1 스피커가 상기 대피 그룹의 접근을 인지하는 경우,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스피커 다음에 위치하는 제2 스피커의 상기 대피 알림음의 음압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들이 그룹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대피 그룹별로 각각의 상기 대피 경로를 따라 상기 출발점으로부터 상기 도착점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가 상기 대피 알림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대피 그룹별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각각이 대피 방향, 대피 경로 지도 내 현재 위치, 현재 위치 식별정보,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시간, 상기 도착점까지의 남은 거리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대피로 유도 정보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대피자 정보는 대피자 수 및 대피자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험 발생 지점, 상기 위험 확산 방향, 상기 위험 상태의 심각 정도, 상기 대피자 수 및 상기 대피자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대피로 생성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되, 각각에 설정된 가중치를 고려하여 상기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대피로 유도 방법.
KR1020210070042A 2021-02-15 2021-05-31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2535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653 2021-02-15
KR20210019653 2021-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102A true KR20220117102A (ko) 2022-08-23
KR102535539B1 KR102535539B1 (ko) 2023-05-26

Family

ID=8309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042A KR102535539B1 (ko) 2021-02-15 2021-05-31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5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726B1 (ko) * 2022-11-25 2023-07-06 주식회사 주빅스 고위험 산업현장의 위험이 발생한 위치 및 진행 방향을 신속히 감지하는 위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36062B1 (ko) * 2023-06-01 2024-02-14 (주)오에스엘이엔지 이동식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645624B1 (ko) * 2023-04-13 2024-03-11 (주) 텔로스 지능형 ai 재난 대피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218A (ko) * 2018-07-12 2020-02-06 주식회사동우유니온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84382A (ko) 2018-12-20 2020-07-13 신승렬 화재 대피 유도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00329A (ko) *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218A (ko) * 2018-07-12 2020-02-06 주식회사동우유니온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00084382A (ko) 2018-12-20 2020-07-13 신승렬 화재 대피 유도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00329A (ko) * 2019-02-18 2020-08-26 주식회사 윈미디텍 비상 유도 안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726B1 (ko) * 2022-11-25 2023-07-06 주식회사 주빅스 고위험 산업현장의 위험이 발생한 위치 및 진행 방향을 신속히 감지하는 위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45624B1 (ko) * 2023-04-13 2024-03-11 (주) 텔로스 지능형 ai 재난 대피 시스템
KR102636062B1 (ko) * 2023-06-01 2024-02-14 (주)오에스엘이엔지 이동식 화재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539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539B1 (ko) 대피로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1475134B1 (ko) 지능형 피난 유도 방법 및 장치
KR102101698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358776B1 (ko) 불꽃, 연기 및 영상 기반의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277968B1 (ko)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반의 ai를 이용한 조기 화재감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893040B1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501053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CN109564716A (zh) 用于检测紧急情况的装置、系统和方法
US10322302B2 (en) Intelligent disaster prevention and escape method and system
KR101640152B1 (ko)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783002B1 (ko) 건축물의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20110045893A (ko) 지능형 방향유도 제어 시스템
KR101831752B1 (ko) 화재 경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경보 방법
KR101915756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경로를 안내하는 화재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85550A (zh) 逃生指示方法、装置、控制系统和存储介质
US9607008B2 (en) Analysis engine control device
CN114501324A (zh) 一种火灾逃生指引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可读储存介质
CN109640490A (zh) 火灾逃生指示方法及系统
KR102121672B1 (ko) 최단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8315A (ko) 다중 이용 시설의 대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KR102014184B1 (ko) 대피로 통제 시스템
KR20200013277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대피로 안내 시스템
KR102418352B1 (ko) 화재 감지 및 대피 시스템
KR102263031B1 (ko) 화원의 파형증폭 불꽃감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