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231A -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231A
KR20220116231A KR1020227024078A KR20227024078A KR20220116231A KR 20220116231 A KR20220116231 A KR 20220116231A KR 1020227024078 A KR1020227024078 A KR 1020227024078A KR 20227024078 A KR20227024078 A KR 20227024078A KR 20220116231 A KR20220116231 A KR 20220116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link
links
information ind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히코 이노히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통신 장치(102) 혹은 통신 장치(103)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프레임을 상대 장치와 통신하고, 해당 무선 프레임의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에는, 해당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와 상대 장치의 사이에서,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다른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확립되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로서,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에 관한 정보의 송수신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미국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가 책정하고 있는 WLAN 통신 규격으로서, IEEE 802.11 시리즈가 알려져 있다. 또한, WLAN이란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약자이다. IEEE 802.11 시리즈 규격으로서는, IEEE 802.11a/b/g/n/ac/ax 규격 등의 규격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IEEE 802.11ax 규격에서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IEEE 802.11ax 규격에서는, OFDMA에 의한 무선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높은 피크 스루풋을 실현하고 있다.
IEEE에서는, 더한층의 스루풋의 향상이나 주파수 이용 효율의 개선을 위해서, IEEE 802.11 시리즈의 새로운 규격으로서, IEEE 802.11be 규격의 책정이 검토되고 있다. IEEE 802.11be 규격에서는, 한 대의 AP(Access Point)가 다른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한 대의 STA(Station)와 복수의 링크를 확립하고, 통신하는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50133호 공보
이와 같이 IEEE 802.11be 규격에서는, AP와 STA가 주파수 채널이 다른 복수의 링크를 확립하고, 병행하여 통신을 행하는 Multi-Link 통신이 검토되고 있다. Multi-Link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AP의 Multi-Link 통신의 능력 정보 등, AP와 STA의 사이에서 Multi-Link 통신에 관한 정보를 통신할 필요가 있다. 종래, Multi-Link 통신에 관한 정보를 적절하게 통신하기 위한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은 존재하지 않았다.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상대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다른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확립되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적절한 MAC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통신 장치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프레임을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되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와 상대 장치의 사이에서,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다른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확립되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로서,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의 다른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확립되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적절한 MAC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1은 통신 장치(102)가 속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장치(102)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통신 장치(102)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통신 장치(102)와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의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Multi-Link 통신을 실행할 때에, 통신 장치(103)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Multi-Link 통신을 실행할 때에, 통신 장치(102)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하는 구성은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102)가 참가하는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낸다. 통신 장치(102)는 네트워크(101)를 구축하는 역할을 갖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이다. 또한, 네트워크(101)는 무선 네트워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102)가 복수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경우, 각 네트워크의 BSSID는 모두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BSSID는 Basic Service Set Identifier의 약자로,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또한, 통신 장치(102)가 각 네트워크에 있어서 나타내는 SSID도 모두 공통인 것으로 한다. 또한, SSID는 Service Set Identifier의 약자로, 액세스 포인트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102)는 복수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라도, 하나의 SSID를 사용한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네트워크(101)에 참가하는 역할을 갖는 스테이션(Station, STA)이다. 각 통신 장치는, IEEE 802.11be(EHT) 규격에 대응하고 있으며, 네트워크(101)를 통해 IEEE 802.11be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IEEE는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약자이다. 또한, EHT는, Extremely High Throughput의 약자이다. 또한, EHT는, Extreme High Throughput의 약자로 해석해도 된다. 각 통신 장치는, 2.4㎓대, 5㎓대 및 6㎓대의 주파수대에 있어서 통신할 수 있다. 각 통신 장치가 사용하는 주파수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60㎓대와 같이, 다른 주파수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각 통신 장치는, 20㎒, 40㎒, 80㎒, 160㎒ 및 320㎒의 대역폭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2 및 103)는, IEEE 802.11be 규격에 준거한 OFDMA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복수의 유저의 신호를 다중하는, 멀티유저(MU, Multi User)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OFDMA 통신이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의 약자이다. OFDMA 통신에서는, 분할된 주파수대의 일부(RU, Resource Unit)가 각 STA에 각각 겹치지 않도록 할당되고, 각 STA에 할당된 반송파가 직교한다. 그 때문에, AP는 복수의 STA와 병행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2 및 103)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통해 Link를 확립하고, 통신하는 Multi-Link 통신을 실행한다. 여기서, 주파수 채널이란,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정의된 주파수 채널이며,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주파수 채널을 가리킨다.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서는, 2.4㎓대, 5㎓대 및 6㎓대의 각 주파수대에 복수의 주파수 채널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서는, 각 주파수 채널의 대역폭은 20㎒로서 정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주파수 채널과 본딩함으로써,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40㎒ 이상의 대역폭을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와 2.4㎓대의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1 Link(104)와, 5㎓대의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2 Link(105)를 확립하고, 양쪽의 Link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는,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1 Link(104)와 병행하여,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2 Link(105)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02)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통한 Link를 통신 장치(103)와 확립함으로써, 통신 장치(103)와의 통신에 있어서의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주파수대가 다른 Link를 복수 확립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는, 2.4㎓대에 있어서의 제1 Link(104)와, 5㎓대에 있어서의 제2 Link(105)에 추가하여, 6㎓대에 있어서의 제3 Link를 확립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동일한 주파수대에 포함되는 복수의 다른 채널을 통해 Link를 확립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2.4㎓대에 있어서의 1ch를 통한 제1 Link(104)와, 2.4㎓대에 있어서의 5ch를 통한 제2 Link(105)를 확립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주파수대가 동일한 Link와, 다른 Link가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는, 2.4㎓대에 있어서의 1ch를 통한 제1 Link(104)와, 2.4㎓대에 있어서의 5ch를 통한 제2 Link(105)에 추가하여, 5㎓대에 있어서의 36ch를 통한 제3 Link를 확립해도 된다.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와 주파수대가 다른 복수의 접속을 확립함으로써, 어떤 대역이 혼잡한 경우라도, 통신 장치(103)와 다른 쪽의 대역에서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장치(103)와의 통신에 있어서의 스루풋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통신 장치(102와 103)가 확립하는 복수의 Link는, 적어도 각각의 주파수 채널이 다르면 된다. 또한,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통신 장치(102와 103)가 확립하는 복수의 Link의 주파수 채널의 채널 간격은, 적어도 20㎒보다 크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102와 103)는 제1 Link(104)와 제2 Link(105)를 확립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3개 이상의 Link를 확립해도 된다.
통신 장치(102 및 103)는 Multi-Link 통신으로서, 3개의 모드의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가 Asynchronous Mode(Async Mode)이며, 이 모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각각의 Link를 통한 통신은, 비동기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Link를 통한 통신과, 제2 Link를 통한 통신은, 각각 독립된 타이밍에 실행된다. 그 때문에, 제1 Link도 제2 Link도, 다른 쪽의 Link가 통신을 행하는 타이밍에 관계되지 않는 타이밍에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Link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채널(채널)끼리의 채널 간격이 좁으면, 한쪽의 Link의 통신이 다른 쪽의 Link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Link끼리의 주파수 채널이 가까우면, 한쪽의 Link에서 행해지고 있는 통신을 다른 쪽의 Link가 캐리어 센스로 검지해 버리기 때문에, 한쪽의 Link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쪽의 Link의 통신을 실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Async Mode에서는, Link 간의 채널 간격은 넓어진다. 또 하나의 모드가 Synchronous Mode(Sync Mode)이며, 이 모드에서는,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은, 동기하여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Link와 제2 Link에서, 동일한 타이밍에 통신을 개시한다. 이 경우에, 각각의 Link를 통한 통신은 동시에 개시되기 때문에, 한쪽의 Link의 통신을 다른 쪽의 Link가 캐리어 센스할 일은 없으므로, 각각의 Link에서 사용되는 채널끼리의 채널 간격은 좁아도 된다. 또한, 또 하나의 모드가 Semi-Asynchronous Mode(Semi-Async Mode)이다. 이 모드에서는, 어느 한쪽의 Link를 통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다른 Link의 주파수 채널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 양쪽의 Link를 통한 통신을 동기하여 실행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제1 Link의 백 오프 카운터가 0이 된 경우에, 제2 Link의 주파수 채널이 비어 있는 경우, 제1 Link와 제2 Link를 통한 통신을 동일한 타이밍에 개시한다. 이 경우에, 제2 Link의 백 오프 카운터는 0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제1 Link의 백 오프 카운터가 0이 된 경우에, 제2 Link의 주파수 채널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Link를 통한 통신만을 개시하고, 제2 Link를 통한 통신은 개시하지 않는다. 본 모드에서는,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을 병행하여 행하는 경우, 각각의 Link를 통한 통신은 동시에 개시되기 때문에, 각각의 Link에서 사용되는 채널의 간격은 좁아도 된다. 통신 장치(102 및 103)는, 확립된 복수의 Link의 채널 간격에 기초하여, Multi-Link 통신에서 사용하는 모드를 선택해도 된다.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 통신 장치(102와 103) 중 적어도 한쪽은,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과,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는, 통신 장치(102와 103) 중 적어도 한쪽은,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만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치여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와 103) 중 적어도 한쪽은,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만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치여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와 103) 중 적어도 한쪽은, 복수의 Link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지만,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통신은 동시에는 실행할 수 없는 장치여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통신 장치는, Sync Mode 또는 Semi-Async Mode에는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 통신 장치(102와 103)는, 하나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의 Link를 통해 상대 장치에 송신한다. 또는 통신 장치(102와 103)는, 복수의 Link의 각각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한쪽의 Link를 통한 통신을, 다른 쪽의 Link를 통한 통신에 대한 백업의 통신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2)가,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1 Link와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2 Link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통신 장치(103)에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제1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여도, 제2 Link를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통신 장치(102와 103)는, 통신하는 프레임의 종류나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Link를 구분지어 사용해도 된다. 통신 장치(102)는, 예를 들어 매니지먼트 프레임은 제1 Link를 통해 송신하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제2 Link를 통해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매니지먼트 프레임이란, 구체적으로는 Beacon 프레임이나, Probe Request 프레임/Response 프레임, Association Request 프레임/Response 프레임을 가리킨다. 또한, 이들 프레임에 추가하여, Disassociation 프레임, Authentication 프레임이나, De-Authentication 프레임, Action 프레임도, 매니지먼트 프레임이라고 불린다. Beacon 프레임은, 네트워크의 정보를 통보하는 프레임이다. 또한, Probe Request 프레임이란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는 프레임이고, Probe Response 프레임은 그 응답이며,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프레임이다. Association Request 프레임이란, 접속을 요구하는 프레임이고, Association Response 프레임은 그 응답이며, 접속의 허가나 에러 등을 나타내는 프레임이다. Disassociation 프레임이란, 접속의 절단을 행하는 프레임이다. Authentication 프레임이란, 상대 장치를 인증하는 프레임이고, De-Authentication 프레임은 상대 장치의 인증을 중단하고, 접속의 절단을 행하는 프레임이다. Action 프레임이란, 상기 이외의 추가의 기능을 행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통신 장치(102 및 103)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매니지먼트 프레임을 송수신한다. 또는, 통신 장치(102)는, 예를 들어 촬상 화상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날짜나 촬상 시의 파라미터(조리개값이나 셔터 속도), 위치 정보 등의 메타 정보는 제1 Link를 통해 송신하고, 화소 정보는 제2 Link를 통해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 및 103)는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통신을 실행할 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02 및 103)는 복수의 안테나를 갖고, 한쪽이 각각의 안테나로부터 상이한 신호를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여 보낸다. 수신측은,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복수 스트림으로부터 도달한 모든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고, 각 스트림의 신호를 분리하고, 복호한다. 이와 같이, MIMO 통신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장치(102 및 103)는, MIMO 통신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동일한 시간에 보다 많은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2 및 103)는,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일부의 Link에 있어서 MIMO 통신을 실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 및 103)는, IEEE 802.11be 규격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추가하여, IEEE 802.11be 규격보다 이전의 규격인 레거시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레거시 규격이란, IEEE 802.11a/b/g/n/ac/ax 규격임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IEEE 802.11a/b/g/n/ac/ax/be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IEEE 802.11 시리즈 규격이라 칭한다. 또한,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추가하여, Bluetooth(등록 상표), NFC, UWB, Zigbee, MBOA 등의 다른 통신 규격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UWB는 Ultra Wide Band의 약자이며, MBOA는 Multi Band OFDM Alliance의 약자이다. 또한, OFDM은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의 약자이다. 또한, NFC는 Near Field Communication의 약자이다. UWB에는, 와이어리스 USB, 와이어리스 1394, Winet 등이 포함된다. 또한, 유선 LAN 등의 유선 통신의 통신 규격에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통신 장치(102)의 구체예로서는, 무선 LAN 라우터나 PC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장치(102)는, 다른 통신 장치와 Multi-Link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는, IEEE 802.11be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무선 칩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여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3)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카메라, 태블릿, 스마트폰, PC, 휴대 전화, 비디오 카메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장치(103)는, 다른 통신 장치와 Multi-Link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면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IEEE 802.11be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무선 칩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여도 된다. 또한, 도 1의 네트워크는 한 대의 AP와 한 대의 STA에 의해 구성되는 네트워크이지만, AP 및 STA의 대수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무선 칩 등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를 갖는다.
도 2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102)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다. 통신 장치(102)는, 기억부(201), 제어부(202), 기능부(203), 입력부(204), 출력부(205), 통신부(206) 및 안테나(207)를 갖는다.
기억부(201)는, ROM이나 RAM 등의 1 이상의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고, 후술하는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파라미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ROM은 Read Only Memory의,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의 각각의 약자이다. 또한, 기억부(201)로서, ROM, RAM 등의 메모리 외에,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불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DVD 등의 기억 매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201)가 복수의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202)는, 예를 들어 CPU나 MPU 등의 1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성되고, 기억부(201)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장치(102) 전체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억부(201)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과 OS(Operating System)의 협동에 의해, 통신 장치(102) 전체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2)는, 다른 통신 장치와의 통신에 있어서 송신하는 데이터나 신호(무선 프레임)를 생성한다. 또한,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MPU는, Micro Processing Unit의 약자이다. 또한, 제어부(202)가 멀티코어 등의 복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통신 장치(102) 전체를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202)는, 기능부(203)를 제어하여, 무선 통신이나, 촬상, 인쇄, 투영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기능부(203)는, 통신 장치(102)가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다.
입력부(204)는, 유저로부터의 각종 조작의 접수를 행한다. 출력부(205)는, 모니터 화면이나 스피커를 통해 유저에 대하여 각종 출력을 행한다. 여기서, 출력부(205)에 의한 출력이란, 모니터 화면상으로의 표시나, 스피커에 의한 음성 출력, 진동 출력 등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과 같이 입력부(204)와 출력부(205)의 양쪽을 하나의 모듈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력부(204) 및 출력부(205)는, 각각 통신 장치(102)와 일체여도 되고, 별체여도 된다.
통신부(206)는, IEEE 802.11be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통신부(206)는, IEEE 802.11be 규격에 추가하여, 다른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제어나, 유선 LAN 등의 유선 통신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통신부(206)는, 안테나(207)를 제어하여, 제어부(202)에 의해 생성된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 장치(102)가, IEEE 802.11be 규격에 추가하여, NFC 규격이나 Bluetooth 규격 등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이들 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가 복수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경우, 각각의 통신 규격에 대응한 통신부와 안테나를 개별로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통신 장치(102)는 통신부(206)를 통해 화상 데이터나 문서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통신 장치(103)와 통신한다. 또한, 안테나(207)는, 통신부(206)와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통신부(206)와 합쳐서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안테나(207)는, 2.4㎓대, 5㎓대 및 6㎓대에 있어서의 통신이 가능한 안테나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102)는 하나의 안테나를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주파수대마다 다른 안테나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는, 안테나를 복수 갖고 있는 경우, 각 안테나에 대응한 통신부(206)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와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
도 3에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102)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다. 통신 장치(102)는, Multi-Link 통신의 능력 정보 생성부(301), Multi-Link 통신의 운용 정보 결정부(302) 및 접속 처리부(304)로 구성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는, 이들에 추가하여, MAC(Media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 생성부(305)와 데이터 송수신부(306)로 구성된다.
능력 정보 생성부(301)는, 통신 장치(102)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생성하는 블록이다. 통신 장치(102)는, 자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을 다른 통신 장치에 통지하기 위한 능력 정보를 생성한다.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에서 설명한다. 또한, 능력 정보에 대해서는, 자 장치의 능력 정보를 다른 통신 장치에 통지해도 되며, 혹은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대 장치의 능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만이어도 된다.
운용 정보 결정부(302)는, 자 장치 및 상대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 장치와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결정하는 블록이다.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란, 통신 장치(102와 103) 사이의 Multi-Link 통신으로서 실행하는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채널이나 대역폭 등을 가리킨다. 또한,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에서 설명한다. 운용 정보에 대해서는, 결정한 운용 정보를 상대 장치에 통지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접속 처리부(304)는, 통신 장치(102)가 구축한 네트워크(101)에 STA인 통신 장치(103)를 참가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블록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처리부(304)는, 통신 장치(102)에, 통신 장치(103)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구인 Association Request에 대한 응답으로서, Association Response 프레임을 송신시킨다. 통신 장치(102)는, 자 장치가 확립하는 복수의 Link의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 처리부(304)를 갖는다.
MAC 프레임 생성부(305)는, 능력 정보 생성부(301)에서 생성된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나, 운용 정보 결정부(302)에서 결정된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생성하는 블록이다. MAC 프레임 생성부(305)에 의해 생성된 MAC 프레임은, Beacon, Probe Response 및Association Response 중 적어도 어느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이것에 추가하거나, 혹은 대신하여, 생성된 MAC 프레임은, Reassociation Response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MAC 프레임 생성부(305)가 생성하는 MAC 프레임에 포함되는 능력 정보나 운용 정보는, 후술하는 도 5에서 도시한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데이터 송수신부(306)는, 운용 정보 결정부(302)에 의해 결정된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운용 정보에 기초하여,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을 행하는 블록이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06)는, MAC 프레임 생성부(305)에 의해 생성된 MAC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프레임의 송신 및 상대 장치로부터의 무선 프레임의 수신을 행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와 마찬가지의 기능 구성을 갖지만, 이하의 점이 다르다.
통신 장치(103)는, 운용 정보 결정부(302)를 대신하여, 요구 정보 결정부(302)를 갖는다. 자 장치 및 상대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대 장치와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요구 정보를 결정하는 블록이다.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요구 정보란, 통신 장치(102와 103) 사이의 Multi-Link 통신으로서 실행하는 통신에서 사용할 것을 요구하는 주파수 채널이나 대역폭 등을 가리킨다. 또한,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요구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에서 설명한다. 요구 정보에 대해서는, 결정한 요구 정보를 상대 장치에 통지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
접속 처리부(304)는, 통신 장치(103)가 AP인 통신 장치(102)에 의해 구축된 네트워크(101)에 참가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블록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처리부(304)는, 통신 장치(103)에, 통신 장치(102)에 대하여 접속 요구인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시키고, 통신 장치(102)로부터 응답으로서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시킨다.
또한, MAC 프레임 생성부(305)는, 능력 정보 생성부(301)에서 생성된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나, 요구 정보 결정부(302)에서 결정된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생성하는 블록이다. MAC 프레임 생성부(305)에 의해 생성된 MAC 프레임은, Probe Request, Association Request 및 ReassociationRequest 중 적어도 어느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어 송신된다. MAC 프레임 생성부(305)가 생성하는 MAC 프레임에 포함되는 능력 정보나 요구 정보는, 후술하는 도 5에서 도시한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 4에는 통신 장치(102)와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실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를 나타내었다.
통신 장치(102 및 103)는, 내부적으로 복수의 Link의 각각에 대응하는 접속 처리부(304)를 갖고 있다. 통신 장치(102)의 AP1은 첫 번째 Link용, AP2는 두 번째 Link용의 접속 처리부(304)이다. 또한, 통신 장치(103)의 STA1은 첫 번째 Link용, STA2는 두 번째 Link용의 접속 처리부(304)를 나타내고 있다. STA1 및 AP1은 제1 주파수 채널(예를 들어 2.4㎓대의 1ch)을 통한 통신의 처리를 행한다. STA2 및 AP2는 제2 주파수 채널(예를 들어 5㎓대의 36ch)을 통한 통신의 처리를 행한다.
본 시퀀스의 처리는, 통신 장치(102 및 103)의 각각의 전원이 투입됨에 따라 개시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 및 103) 중 적어도 한쪽은, 유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Multi-Link 통신의 개시가 지시됨에 따라 개시해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 및 103) 중 적어도 한쪽은, 상대 장치와 통신하고 싶은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됨에 따라 개시해도 된다.
우선, 통신 장치(102)는, 제1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자 장치의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하는 Beacon을 송신함으로써, 해당 네트워크 정보를 주위의 STA로 통보한다(S401). 네트워크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2)가 비콘을 송신하는 송신 간격이나, 통신 장치(102)의 SSID이다. 이것에 추가하여, 통신 장치(102)는 후술하는 도 5에서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네트워크 정보로서 Beacon에 포함함으로써, 통신 장치(102)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통보해도 된다.
통신 장치(103)는, 제1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송신된 통신 장치(102)의 Beacon을 수신하면, 통신 장치(102)의 네트워크 정보를 문의하기 위해서, Probe Request를 제1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송신한다(S402). Probe Request에는, 통신 장치(103)의 SSID가 포함된다. 또한, 이것에 추가하여, 통신 장치(103)는 후술하는 도 5에서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Probe Request에 포함함으로써, 통신 장치(103)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통신 장치(102)는, Probe Request를 수신하면, 응답으로서 Probe Response를, 제1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통신 장치(103)에 송신한다(S403). 통신 장치(102)는, Beacon에 도 5에서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해당 Element를 Probe Response에 포함해서 송신한다. 또는, 통신 장치(102)는, 후술하는 도 5에서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포함되는 정보 중, 일부만을 Beacon에 포함하고, 나머지 정보 또는 모든 정보를 Probe Response에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S401 내지 S403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통신 장치(102와 103)는, 각각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에 접속 요구인 Association Request를 제1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송신한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3)는, 도 5에서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Association Request에 포함함으로써, 통신 장치(103)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통지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S401 또는 S403 중 적어도 한쪽에서 취득한 통신 장치(102)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S404에서 송신하는 능력 정보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2.4㎓대와 5㎓대에 있어서의 Link를 조합할 수 있는 경우라도, 통신 장치(102)가 2.4㎓대 내의 복수 Link에만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03)는, 본 스텝에서 송신하는 능력 정보로서, 2.4㎓대에 있어서의 복수 Link의 확립에 관한 능력 정보만을 송신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103)는 S402에 있어서 자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S402에서는 능력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본 스텝에서만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3)는, Association Request에, 도 5에서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함으로써, 능력 정보가 아니라, Multi-Link 통신을 행할 때에 요구하는 요구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통신 장치(103)가 요구하는 요구 정보는, 도 5의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되고, 다른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요구 정보의 상세는 후술하는 도 5에서 설명한다.
통신 장치(102)는, Association Request를 수신하면, 응답으로서 Association Response를, 제1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통신 장치(103)에 송신한다(S405). 여기서 송신되는 Association Response에는, 통신 장치(102)가 결정한, 통신 장치(103)와의 Multi-Link 통신을 행할 때의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가 포함된다. 또한, 운용 정보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와는 다른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또한, S404에 있어서 STA인 통신 장치(103)가 요구하는 운용 정보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 통신 장치(102)는 해당 요구에 대한 가부만을 포함하는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해도 된다.
Association Response에 포함된 운용 정보에 의한 Multi-Link 통신을 통신 장치(103)가 실행 가능한 경우, 통신 장치(102와 103)는,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Link를 확립하고,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S406). 또한,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가 송신한 운용 정보에,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Link의 운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통신 장치(102와 103)는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Link도 확립하고, 데이터 통신을 개시한다(S407).
또한 통신 장치(102)가 통신 장치(103)에 S404에서 요구된 요구 정보에 대하여, S405에서 허가를 나타낸 경우도 마찬가지로 S406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S404에서 통신 장치(103)가 송신한 요구 정보에,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Link에 관한 요구 정보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 S407의 처리가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송수신에 의해, 2개의 Link가 확립되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3개 이상의 Link가 확립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장치(102와 103)의 사이에, 아직 Link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Multi-Link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장치(102와 103)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Link에 추가하여, 새로운 Link를 확립함으로써, Multi-Link 통신을 개시해도 된다. 이 경우, STA인 통신 장치(103)는, AP인 통신 장치(102)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취득 완료한 경우, S404의 처리로부터 개시해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의 Multi-Link 통신에 관한 능력 정보를 취득 완료한 경우, 통신 장치(103)에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시키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S404의 처리로부터 개시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와 103)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복수의 Link에 추가하여, 새롭게 Link를 확립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도 4의 시퀀스는 S404로부터 개시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송수신에 의해,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통한 Link를 확립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 장치(102와 103)는, Multi-Link 통신을 실행하는 경우에, 하나의 주파수 채널을 통한 프레임의 송수신에 의해, 이미 확립되어 있는 복수의 주파수 채널을 통한 Link를 절단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가,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1 Link와,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제2 Link를 확립하고, Multi-Link 통신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 또는 103) 중 어느 한쪽이, Link의 절단 요구인 Disassociation을 제1 Link를 통해 상대 장치에 송신한 것으로 한다. 송신된 Disassociation에, 제2 Link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통신 장치(102와 103)는, 제1 Link뿐만 아니라, 제2 Link도 절단한다. 이와 같이, 통신 장치(102와 103)는, Disassociation의 송수신에 의해, Disassociation이 송수신된 Link뿐만 아니라, Disassociation에 포함되는 정보가 나타내는 다른 Link도 절단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는 동시에 3개 이상의 Link를 절단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는, Disassociation에, Disassociation이 송수신된 Link와 상이한 다른 Link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다른 Link만을 절단해도 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02와 103)는, Disassociation이 송수신된 Link는 절단하지 않는다.
이상,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 장치(102와 103)는, 어느 주파수 채널(혹은 Link)을 통한 프레임의 송수신에 의해, 다른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의 Link의 확립이나 절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는, 어느 주파수 채널(또는 Link)을 통한 프레임의 송수신에 의해, 복수의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의 Link의 확립 또는 절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의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Element의 명칭을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라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Multi-Link Element 등, 다른 명칭이어도 된다.
통신 장치(102 및 103)는, 도 5에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사용함으로써 자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상대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2)는 도 5에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사용함으로써 능력 정보에 추가하거나, 혹은 대신하여, Multi-Link 통신을 행할 때의 운용 정보를 상대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도 5에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사용함으로써 능력 정보에 추가하거나, 혹은 대신하여, Multi-Link 통신을 행할 때의 요구 정보를 상대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는, Element ID(501), Length(502) 및 ML(Multi-Link) Capabilities(5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Element ID(501)는, Information Element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된다. Length(502)는, Element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ML Capabilities(503)의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ML Capabilities(503)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 고유의 정보이며, Multi-Link 통신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ML Capabilities(503)에 포함되는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통신 장치(102 및 103)는, 도 5에서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Element ID(501)부터 순서대로 생성하고,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 및 103)는, 프레임 내의 모든 필드를 생성하고 나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2 및 103)는, Element ID(501), Length(502) 및 ML Capabilities(503)의 모두를 생성하고 나서 다른 통신 장치에 송신한다. 또는, 통신 장치(102 및 103)는, 필드의 생성과 병행하여 송신을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2 및 103)는, 예를 들어 생성된 Element ID(501)의 송신과 병행하여 Length(502)의 송신을 행해도 된다.
AP인 통신 장치(102)는, Beacon, Probe Response와 같은 무선 프레임에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부가하여 송신한다. 또한, 통신 장치(102)는, 이들 무선 프레임에 추가하여, Association Response나 Reassociation Response와 같은 무선 프레임에도 본 Element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부가할 수 있다. STA인 통신 장치(103)는, Probe Request, Association Request와 같은 무선 프레임에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부가하여 송신한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이들 무선 프레임에 추가하여, Reassociation Request에도 본 Element를 포함하는 MAC 프레임을 부가할 수 있다.
ML Capabilities(503)는, Common Info(511), Per Band Info(512) 및 Per Link Info(5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ommon Info(511)는, 모든 주파수대와 Link에 공통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Per Band Info(512)는, 특정한 주파수대에 포함되는 전체 Link에 공통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주파수대마다 나타내어지는 정보이다. Per Link Info(513)는, Link마다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Common Info(511)는, Primary Ch(521), Sync Mode Support(522), Async Mode Support(523) 및 Semi-Async Mode Support(5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ommon Info(511)는, Total Max Link Number(524), Band Combination Info(525) 및 Per Band Info Number(5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Common Info(511)는, Per Link Info Number(527) 및 Device Type(52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Primary CH(521)는, Multi-Link 통신에 관한 매니지먼트 프레임의 송수신을 행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Primary CH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Link의 접속이나 절단을 행할 때에 매니지먼트 프레임의 송수신을 행할 때에 이용되는 주파수 채널이다. 구체적으로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가 포함되는 Beacon 등의 송수신을 행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AP인 통신 장치(102)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한 Beacon을 송신할 때에 이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STA인 통신 장치(103)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가 포함되는 Beacon을 수신한(즉, 해당 Element를 포함한 Probe Request를 송신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서 Beacon이나 Probe Request/Response의 송수신을 행한 제1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가 Multi-Link 통신을 개시 후, 매니지먼트 프레임의 송수신을 행하는 주파수 채널이 변경된 경우, Primary CH(521)에는 변경에 따른 주파수 채널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Primary CH(521)에는, 해당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 운용 정보, 혹은 요구 정보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경우라도, 매니지먼트 프레임의 송수신이 행해지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Sync Mode Support(522)는, 해당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의 Sync Mode를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는 Sync Mode를 서포트하지 않고, 1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Sync Mode를 서포트함을 나타낸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Sync Mode Support(522)에 의해, Multi-Link 통신의 Sync Mode를 실행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통신에 있어서 Sync Mode를 실행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을 실행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본 필드에 1이 포함되는 경우, 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을 실행함을 나타낸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Sync Mode Support(522)에 의해, Multi-Link 통신의 Sync Mode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Sync Mode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의 실행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본 필드에 1이 포함되는 경우, 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의 실행을 요구함을 나타낸다.
Async Mode Support(523)는, 해당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의 Async Mode를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는 Async Mode를 서포트하지 않고, 본 필드에 1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Async Mode를 서포트함을 나타낸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Async Mode Support(523)에 의해, Multi-Link 통신의 Async Mode를 실행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에 있어서 Async Mode를 실행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을 실행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본 필드에 1이 포함되는 경우, 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을 실행함을 나타낸다. 또한, 해당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전술한 Sync Mode Support(522)에 의해, Sync Mode를 실행함이 나타내어진 경우에는, 본 필드에서는 Async Mode를 실행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Sync Mode Support(522)에 의해, Sync Mode를 실행하지 않음이 나타내어진 경우에는, Async Mode Support(523)에서는 Async Mode를 실행함을 나타내도록 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Async Mode Support(523)에 의해, Multi-Link 통신의 Async Mode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Async Mode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의 실행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본 필드에 1이 포함되는 경우, 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의 실행을 요구함을 나타낸다.
Semi-Async Mode Support(528)는, 해당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의 Semi-Async Mode를 서포트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는 Semi-Async Mode를 서포트하지 않고, 1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Semi-Async Mode를 서포트함을 나타낸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 의해, Multi-Link 통신의 Semi-Async Mode를 실행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가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통신에 있어서 Semi-Async Mode를 실행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Semi-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을 실행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본 필드에 1이 포함되는 경우, Semi-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을 실행함을 나타낸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 의해, Multi-Link 통신의 Semi-Async Mode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Semi-Async Mode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0이 포함되는 경우, Semi-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의 실행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본 필드에 1이 포함되는 경우, Semi-Async Mode에서의 Multi-Link 통신의 실행을 요구함을 나타낸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가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SyncMode와, Async Mode와, Semi-Async Mode 중 어느 것을 이용할지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들 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Sync Mode Support(522), Async Mode Support(523) 및 Semi-Async Mode Support(528)는 생략되어도 된다.
Total Max Link Number(524)는, 해당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최대의 Link 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또한, 최대의 Link 수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한 대의 상대 장치와의 사이에서 확립 가능한 Link의 최댓값이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값으로서 3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는 한 대의 상대 장치당 최대 3개까지 Link를 확립할 수 있음이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는, 한 대의 상대 장치와 3개의 Link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병행하여, 다른 상대 장치와 또한 복수의 Link를 유지해도 된다. 또는, 최대의 Link 수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상대 장치에 관계없이,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확립 가능한 Link의 최댓값을 나타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본 필드에 값으로서 3이 포함되어 있고,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상대 장치와 3개의 Link를 확립하고 있는 경우, 송신 장치는 상대 장치에 관계없이, 이 이상의 Link를 확립할 수는 없다. AP인 통신 장치(102) 및 STA인 통신 장치(103)는, 각각 자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동시에 유지할 수 있는 Link 수의 최댓값을 나타내는 정보를 본 필드에 포함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실제로 확립하는 Link 수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수가 나타내어진다. 또는, 통신 장치(103)와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확립할 수 있는 Link 수의 최댓값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Total Max Link Number(524)에는, 자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확립할 수 있는 Link 수의 최댓값과, 상대 장치가 확립할 수 있는 Link 수의 최댓값 중 어느 것인가 작은 값 이하의 값이 포함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확립을 요구하는 Link 수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통신 장치(102)에 확립을 요구하는 Link의 수가 나타내어진다. 또는, 통신 장치(102)와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확립할 수 있는 Link 수의 최댓값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 혹은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Band Combination Info(525)는, 해당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 시에 서포트하는 주파수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표 1에는, 본 필드의 각 비트로 나타내어지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표 1에서는, 비트마다 어느 주파수대 또는 어떠한 주파수대의 조합을 서포트할지를 나타내도록 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당의 비트에 0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비트가 나타내는 내용에서의 Multi-Link 통신에는 대응하지 않고, 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비트가 나타내는 내용에서의 Multi-Link 통신에 대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가 송신한 Band Combination Info(525)에 있어서, 비트 0에 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통신 장치(102)가 2.4㎓대에 있어서의 다른 채널에서의 Multi-Link 통신에 대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Band Combination Info(525)의 값이 0000111000인 경우, 통신 장치(102)는, 주파수대가 다른 복수의 Link를 사용한 Multi-Link 통신에 대응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는, 주파수대가 동일한 복수의 Link를 사용한 Multi-Link 통신에는 대응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한, Band Combination Info(525)의 모든 비트를 0으로 함으로써,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대응하지 않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현재 Multi-Link 통신을 실행할 수 없는 상태임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는, 각각 1개의 Link만의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주파수대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주파수대가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 및 103)는, 1개의 Link만의 통신에 있어서는, 2.4㎓, 5㎓ 및 6㎓ 모두를 서포트하지만,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는 5㎓와 6㎓만을 서포트해도 된다. 또한, Band Combination Info(525)의 각 비트와 그 내용의 대응 관계는, 표 1에 나타낸 것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Band Combination Info(525)의 비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주파수대의 조합, 혹은 다른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복수 Link 확립의 가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Figure pct00001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실제로 이용하는 주파수대를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주파수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가, 2.4㎓의 Link와 5㎓의 Link를 확립하는 경우, Band Combination Info(525)의 값은 00001000으로 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이용을 요구하는 주파수대를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통신 장치(102)에 Multi-Link 통신의 실행을 요구하는 주파수대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해당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나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라도, 본 필드에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주파수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Per Band Info Number(526)는, 후술하는 Per Band Info(512)에 포함되는 Per Band Info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Per Band Info(512)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주파수대마다 Per Band Info의 세트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Band Combination Info(525)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의 수와 동일한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후술하는 Per Band Info(512)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대의 정보를 공통의 Per Band Info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후술하는 Per Band Info(512)가 생략되는 경우, 본 필드도 생략된다.
Per Link Info Number(527)는, 후술하는 Per Link Info(513)에 포함되는 Per Link Info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Per Link Info(513)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Link마다 Per Link Info의 세트가 포함된다. 후술하는 Per Link Info(513)가 생략되는 경우, 본 필드도 생략된다.
Device Type(529)은, 해당 Element를 송신하는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어떠한 타입의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이하의 4개의 타입 중, 어느 타입의 장치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제1 타입의 장치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과,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2 타입의 장치란,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경우에,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송신만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제3 타입의 장치란,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을 행하는 경우에,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만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제4 타입의 장치란, 복수의 Link를 동시에 유지할 수 있지만, 어떤 Link를 통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Link를 통한 데이터의 통신은 동시에는 실행할 수 없는 장치이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Device Type(529)에 의해,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양쪽의 장치가 어느 타입의 장치로서 동작할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통신에 있어서 어느 타입의 장치로서 동작할지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운용 정보로서, 제2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송신된 경우, 통신 장치(102)는, 제1 타입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장치여도,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통신에 있어서는 제2 타입의 장치로서 동작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Device Type(529)에 의해,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어느 타입의 장치로서 동작할 것을 요구할지가 나타내어져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어느 타입의 장치로서 동작하고 싶은지가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본 필드에 제2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통신 장치(103)가, 통신 장치(102)와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제2 타입의 장치로서 동작할 것을 요구함을 나타낸다.
Per Band Info(512)는, Band ID(531), Supported Bandwidth(532), Supported CH(533) 및 Async Mode CH Distance(5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드이다. Per Band Info(512)는, 이들 필드에 추가하여, 또한 Max Link Number(535) 및 Supported Nss(5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er Band Info(512)의 세트는, 후술하는 Band ID(531)로 나타내어지는 주파수마다,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포함된다.
Band ID(531)는, 주파수대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표 2에는, Band ID(531)에 포함되는 값과, 그 값이 나타내는 내용과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Band ID(531)에 값으로서 0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본 Band ID(531)를 포함하는 Per Band Info(512)는 2.4㎓대에 있어서의 Multi-Link 통신의 Link에 공통의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게 된다. 또한, Band ID(531)에 포함되는 값과 그 나타내는 내용의 대응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Band ID(531)의 비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주파수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Figure pct00002
Supported Bandwidth(532)는,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해당 Element를 송신한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서포트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또한, 여기에서 나타내어지는 대역폭은,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데 있어서, 1개의 Link당 서포트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표 3에는, Supported Bandwidth(532)에 포함되는 값과, 그 값이 나타내는 내용과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Supported Bandwidth(532)에 값으로서 0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Band ID(531)가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대역폭은 20㎒임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Supported Bandwidth(532)의 값이 1 이상인 경우,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는, Multi-Link 통신의 Link를 확립할 때에, 그 값 이하의 대역폭 중 어느 것이나 서포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pported Bandwidth(532)의 값이 2인 경우, 송신 장치는, Link의 대역폭으로서, 20㎒, 40㎒ 및 80㎒ 모두 서포트한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는, 각각 1개의 Link만의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대역폭과,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대역폭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 및 103)는, 1개의 Link만의 통신에 있어서는, 5㎓에 있어서 대역폭으로서 80㎒를 서포트하지만,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는 대역폭으로서 20㎒를 서포트해도 된다. 또한, Supported Bandwidth(532)에 포함되는 값과 그 나타내는 내용과의 대응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Supported Bandwidth(532)의 비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주파수대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Figure pct00003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실제로 이용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가, 2.4㎓에 있어서 대역폭 40㎒의 Link를 확립하는 경우, Supported Bandwidth(532)의 값은 1이 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이용을 요구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통신 장치(102)에 요구하는 대역폭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해당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 또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라도, 본 필드에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Supported CH(533)는,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해당 Element를 송신한 통신 장치(102 또는 103)가 서포트하는 채널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또한, 여기에서 나타내어지는 채널은,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Multi-Link 통신을 서포트하는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표 4에는, Supported CH(533)의 각 비트와, 그 비트가 나타내는 채널과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어떤 비트에 값으로서 0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비트가 나타내는 채널에 대해서는 Element의 송신 장치는 서포트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고, 값으로서 1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비트가 나타내는 채널에 대하여 서포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Supported CH(533)에 값으로서 0000010010100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본 필드의 송신 장치는, 3ch, 5ch 및 8ch에 있어서의 Multi-Link 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통신 장치(102와 103)는, 각각 1개의 Link만의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채널과,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채널이 달라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 및 103)는, 1개의 Link만의 통신에 있어서는, 1 내지 13ch 모두를 서포트하지만,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는 1ch와 5ch와 같은 일부의 채널만을 서포트 해도 된다. 또한, Supported CH(533)의 각 비트와 그 내용과의 대응 관계는, 표 4에 나타낸 것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Supported CH(533)의 비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채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 4에서는, 2.4㎓에 있어서의 채널만을 예로서 나타내었지만, 비트수를 증가시킴으로써, 13비트 이후에 5㎓ 및 6㎓의 각 채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는, Band ID(531)에 있어서 5㎓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0비트부터 순서대로 5㎓의 각 채널을 작은 순으로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Band ID(531)에 6㎓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0비트부터 순서대로 6㎓의 각 채널을 작은 순으로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Figure pct00004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실제로 이용하는 채널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가, 2.4㎓에 있어서 1ch와 4ch의 Link를 확립하는 경우, Supported CH(533)의 값은 0000000001001이 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이용을 요구하는 채널을 나타내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통신 장치(102)에 Link의 확립을 요구하는 채널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해당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 또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라도, 본 필드에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채널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Async Mode CH Distance(534)는,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해당 Element를 송신한 송신 장치가, Async Mode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채널 간격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필드이다. Async Mode에서는, 각 Link의 통신이 비동기로 행해지기 때문에, 각각의 Link에서 사용되고 있는 채널이 가까우면, 통신이 간섭해 버릴 우려가 있다. Link 간의 채널이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으면, 각 Link의 신호를 적절하게 복호할 수 있는지는, 통신 장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본 필드를 사용하여 능력 정보를 통지한다. Async Mode CH Distance(534)에 예를 들어 값으로서 4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는, Async Mode에 있어서는 적어도 4ch 이상의 채널 간격을 필요로 하는 것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전술한 Async Mode Support(523)에 있어서, Async Mode를 서포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이 포함되어 있거나, 혹은 본 필드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Band ID(531)로 나타내어지는 주파수대마다, Async Mode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채널 간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각 주파수대에 공통의 정보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필드를 Common Info(511)에 포함해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의 Async Mode에 있어서 실제로 사용하는 채널의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어,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복수의 Link의 채널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의 Async Mode에 있어서 사용을 요구하는 채널의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상대 장치와의 Multi-Link 통신의 Async Mode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최소의 채널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해당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는, 통신 장치(102)가 능력 정보로서 나타낸 채널 간격과, 통신 장치(103)가 능력 정보로서 나타낸 채널 간격 중, 큰 쪽의 채널 간격 이상의 값이 포함된다. 또한, Async Mode Support(523)에, Async Mode를 실행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혹은 Async Mode Support(523)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본 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는,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통신 장치(102)와의 Async Mode에 있어서 요구하는 채널 간격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통신 장치(103)가 Async Mode의 실행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이 포함되어 있거나, 혹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 혹은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Max Link Number(535)는,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해당 Element를 송신한 송신 장치가 서포트하는 최대 Link 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또한, 전술한 Band Combination Info(525)에 있어서, 동일한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Link끼리의 Multi-Link 통신을 서포트한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는, 본 필드가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파수대마다 최대 Link 수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체 주파수대에 공통의 정보로서 최대 Link 수를 나타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필드가 Common Info(511)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Band ID(531)로 나타낸 주파수대에 있어서 실제로 이용하는 Link 수의 합계를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1 이상의 Link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가, 2.4㎓에 있어서 2개의 Link를 확립하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2가 포함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Band ID(531)로 나타낸 주파수대에 있어서 이용을 요구하는 Link 수의 합계를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통신 장치(102)에 확립을 요구하는 Link의 수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해당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 또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라도, 본 필드에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최대의 Link 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Supported Nss(536)는,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해당 Element를 송신한 송신 장치가 서포트하는 최대의 (공간) 스트림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또한, Nss는, Number Of Special Stream의 약자이다. 본 필드에서 나타내어지는 스트림수는, MIMO 통신에 있어서의 스트림수이다. 또한, Band ID(531)로 나타내어진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MIMO 통신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 또는 1이 포함되거나, 혹은 본 필드는 생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파수대마다 최대 스트림수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체 주파수대에 공통의 정보로서 최대 스트림수를 나타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필드가 Common Info(511)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Band ID(531)로 나타낸 주파수대에 있어서 실제로 이용하는 스트림수를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실제로 실행되는 MIMO 통신의 스트림수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와 103)가, 2.4㎓에 있어서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Link에 있어서, 스트림수 3의 MIMO 통신을 행하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3이 포함된다. 또한, MIMO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 또는 1이 포함되거나, 혹은 본 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 Band ID(531)로 나타낸 주파수대에 있어서 이용을 요구하는 스트림수를 나타내도 된다.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MIMO 통신에서 요구하는 스트림수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통신 장치(103)가 MIMO 통신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 또는 1이 포함되거나, 혹은 본 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해당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 또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라도, 본 필드에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MIMO 통신으로 서포트하는 최대의 스트림수를 나타내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Per Link Info(513)는, Link ID(541), Band ID(542), Bandwidth(543), CH(544) 및 Nss(545)의 각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필드이다.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Per Link Info(513)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채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 경우, Per Link Info(513)의 세트는, 해당 Element의 송신 장치가 Multi-Link 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채널(Link)의 수만큼 포함되게 된다. 또는, 해당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이며, 이미 Multi-Link 통신의 Link를 확립하고 있는 경우, Per Link Info(513)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Link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 경우, Per Link Info(513)의 세트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Link의 수만큼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가 Per Link Info(513)에 의해 정보를 나타내는 Link는, 통신 장치(103) 및 다른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한쪽과 확립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3)가 Per Link Info(513)에 의해 정보를 나타내는 Link는, 통신 장치(103) 및 다른 통신 장치의 적어도 한쪽과 확립되어 있는 것이다. 또는, 해당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Per Link Info(513)는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이며, AP인 통신 장치(102)가 해당 Element를 포함하는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Per Link Info(513)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 경우, Per Link Info(513)는, 본 association의 교환에 의해 확립되는 Link의 수만큼 포함되게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3)가 해당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함으로써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Per Link Info(513)는 통신 장치(103)가 확립을 요구하는 Link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이 경우, Per Link Info(513)는, 통신 장치(103)가 확립을 요구하는 Link의 수만큼 포함되게 된다.
Link ID(541)는, Link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Band ID(542)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가 속하는 주파수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본 필드는, Band ID(531)와 마찬가지로 나타내어진다.
Bandwidth(543)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본 필드는, Supported Bandwidth(532)와 마찬가지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대역폭을 나타낸다. 또한,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함으로써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이용되는 대역폭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함으로써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통신 장치(103)가 요구하는 대역폭이 나타내어진다.
CH(544)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의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본 필드에는, 채널을 나타내는 수가 그대로 포함되어도 된다. 또는, 표 4와 같이 채널이 나타내어져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채널을 나타낸다. 또한,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함으로써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이용되는 채널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STA인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함으로써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통신 장치(103)가 요구하는 채널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Nss(545)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의 MIMO 통신의 스트림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또한, MIMO 통신을 행하지 않는 경우, 본 필드에는 값으로서 0 또는 1이 포함되어 있거나, 혹은 본 필드는 생략되어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최대의 스트림수를 나타낸다. 또한, AP인 통신 장치(102)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함으로써 운용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이용되는 스트림수가 나타내어진다. 또한, 통신 장치(103)가 본 Element를 포함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함으로써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본 필드에서는, Link ID(541)로 나타내어진 Link에 있어서 통신 장치(103)가 요구하는 스트림수가 나타내어진다.
상기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한 MAC 프레임을 송수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02 및 103)는 Multi-Link 통신의 능력 정보, 운용 정보 및 요구 정보를 교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Multi-Link 통신의 능력 정보, 운용 정보 및 요구 정보를 동일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능력 정보와 운용 정보 또는 능력 정보와 요구 정보는, 각각 다른 Information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능력 정보는, Common Info(511) 및 Per Band Info(512)를 포함하는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또한, 운용 정보 및 요구 정보는, Common Info(511) 및 Per Link Info(513)를 포함하는 Element에 의해 나타내어져도 된다. 또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에, 일부의 필드에 대해서는 운용 정보 또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도 된다. 또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 의해 운용 정보 또는 요구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에, 일부의 필드에 대해서는 능력 정보를 나타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Primary CH(521), Supported CH(533) 및 CH(544)의 필드가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Multi-Link Capability Element에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Primary CH(521), Supported CH(533) 및 CH(5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되면 된다.
또한, 각 필드의 명칭이나, 필드수, 필드의 순번 등은, 도 5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어느 필드가 도 5에 도시한 필드의 임의의 필드보다 앞에 포함되어도 되고, 뒤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Common Info(511)에 포함되는 필드가, Per Band Info(512) 혹은 Per Link Info(513)에 포함되어도 된다. Per Band Info(512) 및 Per Link Info(513)에 포함되는 필드에 대해서도, 다른 쪽의 필드에 포함되어도 되고, Common Info(511)에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어느 필드가 생략되어도 된다.
도 6은, 통신 장치(103)가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기억부(201)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어부(202)가 읽어내고, 실행함으로써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통신 장치(103)의 전원이 투입됨에 따라 개시된다. 또는, 통신 장치(103)는, 유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Multi-Link 통신의 개시가 지시됨에 따라 개시해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됨에 따라 개시해도 된다.
우선 통신 장치(103)는, 상대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S601).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가 송신하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을 수신함으로써, 통신 장치(102)의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는,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가 송신하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Probe Response를 수신함으로써 본 스텝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본 스텝과 후술하는 S602는 순번이 교체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3)는, 자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통지한다(S602).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3)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한 Probe Request를 송신함으로써, 자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통지한다. 본 스텝보다 전에 상대 장치의 능력 정보를 취득한 경우, 상대 장치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자 장치가 통지하는 능력 정보를 결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의 능력을 넘지 않도록, 본 스텝에서 통지하는 능력 정보를 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3)가, 2.4㎓, 5㎓ 및 6㎓에 있어서의 Multi-Link 통신을 서포트하고 있고, 통신 장치(102)가 2.4㎓ 및 5㎓만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통신 장치(103)는, 본 스텝에서 2.4㎓와 5㎓에 있어서의 Multi-Link 통신을 서포트하고 있는 것을 능력 정보로서 통지한다. 또한, 통신 장치(103)는, 후술하는 S603에서 통신 장치(102)에 Multi-Link 통신에 관한 요구를 나타내는 요구 정보를 포함하는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는 경우, 본 스텝의 처리는 생략해도 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3)는, Multi-Link 통신의 요구 정보를 포함하는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한다(S603). 본 스텝에서 송신되는 요구 정보는, 통신 장치(103)가 실행을 요구하는 Multi-Link 통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스텝에 있어서, 통신 장치(103)는 요구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해도 된다.
통신 장치(103)는, AP인 통신 장치(102)로부터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S604). 통신 장치(103)는,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본 스텝에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다시 본 스텝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S603에서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본 스텝에서 "예"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통신 장치(103)는 유저에게 에러를 통지하고, 본 흐름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통신 장치(103)는,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한 경우, 본 스텝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S605의 처리를 행한다.
통신 장치(103)는, 통신 장치(102)와의 Multi-Link 통신을 개시한다(S605). S604에서 수신한 Association Response에 Multi-Link 통신의 운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운용 정보에 기초한 Multi-Link 통신을 개시한다. 또는, S603에서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있으며, 또한 S604에서 허가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포함하는 Association Response를 수신한 경우, S603에서 송신한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Multi-Link 통신을 개시한다. 통신 장치(103)는, S605의 처리를 행하면, 본 흐름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7은, 통신 장치(102)가 Multi-Link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기억부(201)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어부(202)가 읽어내고, 실행함으로써 실행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는, 통신 장치(102)의 전원이 투입됨에 따라 개시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는, 유저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Multi-Link 통신의 개시가 지시됨에 따라 개시해도 된다. 또는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데이터양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됨에 따라 개시해도 된다.
우선, 통신 장치(102)는, 자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통지한다(S701).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2)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을 송신함으로써, 자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통지한다. 또는,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로부터 Probe Response를 수신함에 따라서,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Probe Response를 송신함으로써 본 스텝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 본 스텝과 후술하는 S702는 순번이 교체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2)는, 상대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S702). 구체적으로는, 통신 장치(102)는,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Probe Request를 수신함으로써, 상대 장치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상대 장치로부터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Probe Request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본 스텝의 처리는 생략되어도 된다.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로부터 Probe Request를 수신하면, 응답으로서 Probe Response를 반송한다. 또한, 이 경우, Multi-Link Capability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을 송신하고 있는 경우, Probe Response에는 해당 Element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로부터 Association Request를 수신하였는지를 판정한다(S703). 통신 장치(102)는, Association Request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본 스텝에서 "아니오"라고 판정하고, 다시 본 스텝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S702에서 Probe Response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본 스텝에서 "예"라고 판정되지 않은 경우, 통신 장치(102)는 유저에게 에러를 통지하고, 본 흐름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통신 장치(102)는, Association Request를 수신한 경우, 본 스텝에서 "예"라고 판정하고, S704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통신 장치(102)는, Association Request에 대한 응답으로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S704). S703에서 통신 장치(103)로부터 요구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와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운용 정보를 포함해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는, Association Response에 어떠한 운용 정보를 포함할지를, 통신 장치(103)의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통신 장치(102)가 Association Response에 포함해서 송신하는 운용 정보는, 실제로 통신 장치(102와 103)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Multi-Link 통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S703에서 수신한 Association Request에 통신 장치(103)로부터의 요구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통신 장치(102)는 운용 정보를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에, 통신 장치(102)는, Association Response에 어떠한 운용 정보를 포함할지를, 수신한 Association Request에 통신 장치(103)로부터의 요구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또는, S703에서 통신 장치(103)로부터 요구 정보를 수신한 경우, 통신 장치(102)는 Multi-Link 통신을 허가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포함한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해도 된다.
통신 장치(102)는, 통신 장치(103)와의 Multi-Link 통신을 개시한다(S705). S704에서 송신한 Association Response에 Multi-Link 통신의 운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운용 정보에 기초한 Multi-Link 통신을 개시한다. 또는, S703에서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있으며, 또한 S704에서 허가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포함하는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한 경우, S703에서 수신한 요구 정보에 기초하는 Multi-Link 통신을 개시한다. 통신 장치(102)는, S705의 처리를 행하면, 본 흐름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장치(102 및 103)는, MAC 프레임에 Multi-Link 통신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를 나타내는 Element를 포함함으로써, 서로의 능력을 고려한 Multi-Link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통신 장치(103 및 102)의 흐름도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 예를 들어 소정의 컴파일러를 사용함으로써 각 스텝을 실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부터 FPGA상에 전용 회로를 생성하고, 이것을 이용하면 된다. FPGA란,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의 약자이다. 또한, FPGA와 마찬가지로 하여 Gate Array 회로를 형성하고, 하드웨어로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통해 시스템 또는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의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내고 실행하는 처리로도 실현 가능하다. 또한, 1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밝히기 위해서 이하의 청구항을 첨부한다.
본원은, 2019년 12월 24일에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9-233222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기재 내용의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30)

  1. 통신 장치이며,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프레임을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을 갖고,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되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와 상대 장치의 사이에서,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다른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확립되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로서,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Link에 있어서의 통신을 동기하여 실행하는 제1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Link에 있어서의 통신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제2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를 서포트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서포트하는 주파수 채널의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확립할 수 있는 Link 수의 최댓값을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다른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주파수 채널을 사용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Link를 확립하는 확립 수단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경우에,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한 상기 다른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주파수 채널을 사용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Link를 확립하는 확립 수단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Beacon 및 Probe Response 중 적어도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경우에,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Probe Reque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Link를 확립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5. 제1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확립하는 Link의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6. 제1항, 제14항,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Link에 있어서의 통신을 동기하여 실행하는 제1 모드를 실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7. 제1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Link에 있어서의 통신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제2 모드를 실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제1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9. 제1항 또는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MAC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주파수 채널을 사용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Link를 확립하는 확립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Association Respon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 사이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Link의 확립을 요구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2. 제1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요구하는 대역폭을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3. 제1항, 제21항,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Link에 있어서의 통신을 동기하여 실행하는 제1 모드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4. 제1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다른 통신 장치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Link에 있어서의 통신을 비동기로 실행하는 제2 모드의 실행을 요구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 실행을 요구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MAC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가 상기 제2 모드에서 요구하는 주파수 채널의 간격을 나타내는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6. 제1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을 생성하는 생성 수단을 더 갖고,
    상기 통신 수단은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7. 제1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무선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주파수 채널 중,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있어서 이용하는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무선 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한 상기 다른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진 상기 주파수 채널을 사용한 상기 다른 통신 장치와의 상기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Link를 확립하는 확립 수단
    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프레임은 Association Reque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9. 통신 방법이며,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프레임을 통신 장치와 다른 통신 장치가 통신하는 통신 공정을 갖고,
    상기 통신 공정에 있어서 통신되는 상기 무선 프레임의 MAC(Media Access Control) 프레임에는, 상기 무선 프레임을 송신한 장치와 상대 장치의 사이에서,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다른 주파수 채널에 있어서 확립되는 IEEE 802.11 시리즈 규격에 준거한 복수의 Link를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로서, 주파수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0. 컴퓨터를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장치의 각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227024078A 2019-12-24 2020-12-16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2201162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3222A JP7438747B2 (ja) 2019-12-24 2019-12-24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9-233222 2019-12-24
PCT/JP2020/046987 WO2021131974A1 (ja) 2019-12-24 2020-12-16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231A true KR20220116231A (ko) 2022-08-22

Family

ID=7657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078A KR20220116231A (ko) 2019-12-24 2020-12-16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30367A1 (ko)
EP (1) EP4084518A4 (ko)
JP (2) JP7438747B2 (ko)
KR (1) KR20220116231A (ko)
CN (1) CN114902763A (ko)
BR (1) BR112022012047A2 (ko)
TW (2) TW202339539A (ko)
WO (1) WO2021131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1500B (zh) * 2020-08-03 2020-12-01 成都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多链路场景下的漫游方法、多链路设备及存储介质
JP2023053802A (ja) * 2021-10-01 2023-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CN114760719B (zh) * 2021-10-11 2023-11-28 极米科技股份有限公司 发现和连接到软接入设备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0133A (ja) 2016-09-20 2018-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88291B (zh) * 2014-12-01 2020-06-09 株式会社东芝 无线通信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US10856203B2 (en) * 2017-01-19 2020-12-0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for link aggregation setup and reconfiguration
US10951287B2 (en) * 2018-05-30 2021-03-16 Qualcomm Incorporated Node-specific permutation of the order of transmission of positioning beacon beams
US11202286B2 (en) * 2018-07-11 2021-12-14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multi-link setup between a multi-link access point (AP) logical entity and a multi-link non-AP logical ent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0133A (ja) 2016-09-20 2018-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1974A1 (ja) 2021-07-01
BR112022012047A2 (pt) 2022-08-30
JP2021103805A (ja) 2021-07-15
JP2024056907A (ja) 2024-04-23
CN114902763A (zh) 2022-08-12
EP4084518A1 (en) 2022-11-02
TWI805977B (zh) 2023-06-21
TW202127946A (zh) 2021-07-16
TW202339539A (zh) 2023-10-01
EP4084518A4 (en) 2024-01-17
JP7438747B2 (ja) 2024-02-27
US20220330367A1 (en)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6231A (ko) 통신 장치, 통신 방법 및 기억 매체
US2023000771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2041802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20182126A (ja) 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アクセスポイントの制御方法
US2023020963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23042757A1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259857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095544A1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90358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424008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WO2022019131A1 (ja)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199622A1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2150563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51570A (ja)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74532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