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705A -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705A
KR20220115705A KR1020210018482A KR20210018482A KR20220115705A KR 20220115705 A KR20220115705 A KR 20220115705A KR 1020210018482 A KR1020210018482 A KR 1020210018482A KR 20210018482 A KR20210018482 A KR 20210018482A KR 20220115705 A KR20220115705 A KR 20220115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sub
protrusion
thickness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만
구민상
김상훈
김유리
최민훈
황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5705A/ko
Priority to US17/527,630 priority patent/US20220256018A1/en
Priority to CN202210039953.3A priority patent/CN114913768A/zh
Publication of KR20220115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 및 윈도우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부, 및 폴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비폴딩부와 제2 비폴딩부를 포함하고, 폴딩부는 베이스부,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제1 두께를 가지며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메인 돌출부들 및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며, 베이스부 상에서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를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 및 개선된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 가능한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폴딩 또는 벤딩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리지드 표시 장치와 달리, 접거나 말거나 휘는 등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어, 표시되는 화면 크기에 구애 받지 않고 휴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폴딩 또는 벤딩 동작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우수한 폴딩 특성을 갖는 윈도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폴딩 특성을 가지며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윈도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폴딩 특성을 가지며 외부 충격에 의한 내충격성이 개선된 윈도우를 포함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비폴딩부와 제2 비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메인 돌출부들; 및 상기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 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에 인접한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마주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평탄면; 및 상기 베이스면과 상기 평탄면 사이에 배치된 측면;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베이스면에서 상기 평탄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평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의 상기 평탄면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평탄면의 엣지를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한 상기 측면의 경사각은 0도 이상 60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하나의 서브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돌출부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 간격은 2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뾰족한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정의된 함몰부는 상기 서브 돌출부의 상기 상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서브 돌출부의 최대 폭은 1㎛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두께 및 상기 메인 돌출부의 두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1㎛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의 비율은 1:0.3 내지 1:0.8일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모두 동일한 형상이거나,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1㎛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은 이웃하는 제1 메인 돌출부와 제2 메인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서브 돌출부; 상기 제1 메인 돌출부와 상기 제1 서브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돌출부; 및 상기 제2 메인 돌출부와 상기 제1 서브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서브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돌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서브 돌출부와 상기 제3 서브 돌출부는 대칭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폴딩부의 폭은 π×r 이상이고, 상기 r은 상기 폴딩부의 곡률 반경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표시부, 및 상기 폴딩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비폴딩 표시부와 제2 비폴딩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표시부에 대응하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비폴딩부와 제2 비폴딩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표시 모듈 측으로 돌출되고,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메인 돌출부들; 및 상기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표시 모듈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윈도우 사이를 충전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가 폴딩될 때, 마주하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 사이의 거리가 마주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면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폴딩부 및 상기 제2 비폴딩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되며, 상기 폴딩부의 곡률 반경은 1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에 인접한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마주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평탄면; 및 상기 베이스면과 상기 평탄면 사이에 배치된 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면은 상기 표시 모듈에 인접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두께 및 상기 메인 돌출부의 두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폴딩부는 상기 표시 모듈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이웃하는 상기 메인 돌출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로 정의된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갖는 두 종류 이상의 패턴을 폴딩부에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을 가지며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표시 모듈 상부에 배치되고,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갖는 두 종류 이상의 패턴을 포함한 윈도우를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 및 우수한 기계적 물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c는 폴딩된 상태에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및,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ED)는 휴대폰,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또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등의 본 발명 명세서에서는 전자 장치(ED)가 휴대폰인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도 1a 및 이하 도면들에서는 제1 방향축(DR1) 내지 제4 방향축(DR4)을 도시하였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제1 내지 제4 방향축들(DR1, DR2, DR3, DR4)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방향축들(DR1, DR2, DR3, DR4)이 지시하는 방향은 제1 내지 제4 방향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제1 방향축(DR1) 및 제1 방향축(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표시면(FS)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표시면(FS)을 통해 이미지(IM)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FS)으로 제3 방향축(DR3) 방향을 향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구성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인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하고, 제4 방향축(DR4)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의 방향과 서로 대향(opposing)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전자 장치(ED)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손 등 신체의 일부에 의한 접촉은 물론 전자 장치(ED)와 근접하거나, 소정의 거리로 인접하여 인가되는 외부 입력(예를 들어, 호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힘, 압력, 온도, 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ED)의 표시면(FS)은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F-NAA)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영역(F-AA)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액티브 영역(F-AA)을 통해 이미지(IM)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티브 영역(F-AA)에서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에 인접한다. 주변 영역(F-NA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F-A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주변 영역(F-NA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F-NAA)은 액티브 영역(F-A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다양한 형상의 액티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ED)는 폴딩 영역(FA1)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폴딩 영역(FA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1b에서는 하나의 폴딩 영역(FA1)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ED)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ED)에는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폴딩축(FX1)은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축으로 제1 폴딩축(FX1)은 전자 장치(ED)의 단변 방향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제1 폴딩축(FX1)은 표시면(FS) 상에서 제1 방향축(DR1)을 따라 연장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폴딩 영역(FA1)을 사이에 두고 폴딩 영역(FA1)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2 방향(DR2)을 따라 폴딩 영역(FA1)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2 방향(DR2)을 따라 폴딩 영역(FA1)의 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E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제1 표시면(FS) 중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하는 일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는 타 영역이 서로 마주하는 인 폴딩(in-folding) 상태로 변형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폴딩 축들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표시면(FS)의 일부가 마주하도록 폴딩될 수 있으며, 폴딩축의 개수 및 이에 따른 비폴딩 영역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액티브 영역(F-AA)에는 전자 모듈 영역(EMA)이 포함될 수 있다. 전자 모듈 영역(EMA)에는 다양한 전자 모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모듈은 카메라,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및 열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모듈 영역(EMA)은 표시면(FS)을 통해 수신되는 외부 피사체를 감지하거나 표시면(FS)을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를 외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모듈은 복수의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모듈 영역(EMA)은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F-NAA)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모듈 영역(EMA)은 액티브 영역(F-AA)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배면(RS)에 배치된 전자 모듈 영역(EMA-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RS)에 배치된 전자 모듈 영역(EMA-B)에도 카메라, 스피커, 광 감지 센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가 폴딩된 상태에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폴딩된 상태에서 마주하는 윈도우(WM)의 상면 사이의 거리(DWM)가 마주하는 표시 모듈(DM)의 상면 사이의 거리(DDM)보다 가까운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에서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한 폴딩 영역(FA1)의 곡률 반경(R)은 약 1mm 이상일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인-폴딩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a)는 제1 방향축(DR1)과 나란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2b에서 제2 폴딩축(FX2)의 연장 방향이 전자 장치(ED-a)의 장변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a)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2) 및 폴딩 영역(FA2)에 인접한 비폴딩 영역들(NFA3, NFA4)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들(NFA3, NFA4)은 폴딩 영역(FA2)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2)은 소정의 곡률 및 곡률반경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3) 및 제2 비폴딩 영역(NFA4)은 서로 마주보고, 전자 장치(ED-a)는 표시면(F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ED-a)는 비폴딩된 상태에서 표시면(FS)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a)의 표시면(FS)은 액티브 영역(F-AA) 및 주변 영역(F-NA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ED-a)의 표시면(FS)은 전자 모듈 영역(EM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a)가 인-폴딩된 상태에서 배면(RS)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면(RS)은 영상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2 표시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배면(RS)에도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전자 모듈이 배치되는 전자 모듈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및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및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AP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하측에 배치된 하부 모듈(SM) 및 보호층(PF)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외측 전체를 커버하는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ED)는 표시 모듈(DM) 및 하부 모듈(SM) 등을 수납하는 하우징(HAU)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HAU)은 윈도우(WM)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HAU)은 폴딩 또는 벤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힌지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에서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또는 고분자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강화 처리된 강화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에서 윈도우(WM)와 표시 모듈(DM) 사이에 배치된 접착층(AP1)은 윈도우(WM)와 표시 모듈(DM) 사이를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층(AP1)의 윈도우(WM)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들 사이를 충전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층(AP1)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접착층(AP1)은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영역(DP-DA) 및 비표시 영역(DP-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P-DA)은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DP-NDA)은 표시 영역(DP-D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DP-ND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의 표시 영역(DP-DA)은 액티브 영역(F-AA, 도 1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미도시), 및 표시 패널(미도시) 상에 배치된 입력센서(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폴딩 표시부(FA-D) 및 비폴딩 표시부(NFA1-D, NFA2-D)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표시부(FA-D)는 폴딩 영역(FA1, 도 1a)에 대응하는 부분이고, 비폴딩 표시부(NFA1-D, NFA2-D)는 비폴딩 영역(NFA1, NFA2, 도 1a)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폴딩 표시부(FA-D)는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되거나 벤딩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제1 비폴딩 표시부(NFA1-D) 및 제2 비폴딩 표시부(NFA2-D)를 포함하고, 폴딩 표시부(FA-D)를 사이에 두고 제1 비폴딩 표시부(NFA1-D) 및 제2 비폴딩 표시부(NFA2-D)는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제1 비폴딩 표시부(NFA1-D) 및 제2 비폴딩 표시부(NFA2-D)는 폴딩 표시부(FA-D)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ED)에서 하부 모듈(SM)은 지지 부재(SPM) 및 충전부(SA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 부재(SPM)는 표시 모듈(DM)의 대부분 영역과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 부재(SPM)의 외측에 배치되고 표시 모듈(DM)의 외곽에 중첩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 부재(SPM)는 금속 재료 또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 쿠션층, 차폐층, 층간접합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 부재(SPM)는 표시 모듈(DM)을 지지하거나, 외부의 충격 및 힘에 의한 표시 모듈(DM)의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쿠션층은 스펀지, 발포폼,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같은 탄성 중합체(elastom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션층은 아크릴계 고분자, 우레탄계 고분자, 실리콘계 고분자, 및 이미드계 고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차폐층은 전자파 차폐층 또는 방열층일 수 있다. 또한, 차폐층은 접합층의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층간접합층은 접합수지층 또는 접착테이프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층간접합층은 지지 부재(SPM)에 포함된 부재들을 접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지지 부재(SPM)의 외곽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충전부(SAP)는 표시 모듈(DM)과 하우징(HAU)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SAP)는 보호층(PF)과 하우징(HAU)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보호층(PF)를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층(AP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합층(AP2)은 보호층(PF)과 하부 모듈(S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층(AP2)은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접합층(AP2)은 투과도가 80% 이하로 낮은 접착층일 수도 있다.
윈도우(WM)는 폴딩부(FP) 및 비폴딩부들(NFP1, NFP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부(FP)는 전자 장치(ED)의 폴딩 영역(FA1)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윈도우(WM)의 폴딩부(FP)는 표시 모듈(DM)의 폴딩 표시부(FA-D)에 대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윈도우(WM)의 폴딩부(FP)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폴딩축인 제1 폴딩축(FX1, 도 3)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비폴딩부(NFP1)와 제2 비폴딩부(NFP2)는 폴딩부(FP)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폴딩부(FP)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폴딩축(FX1, 도 3)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부분이고, 제1 비폴딩부(NFP1)와 제2 비폴딩부(NFP2)는 제1 방향(DR1)과 수직하는 제2 방향(DR2)으로 폴딩부(FP)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윈도우(WM)는 서로 마주하는 상면(WM-FS) 및 하면(WM-BS)을 포함하고, 표시 모듈(DM)에 인접한 윈도우(WM)의 하면(WM-BS)에서 상면(WM-FS)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들(HP)이 정의된 것일 수 있다. 윈도우 하면(WM-BS) 중 폴딩부(FP)에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한 함몰부들(HP)이 정의되어 함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일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HP)를 포함하고, 함몰부(HP)가 이루는 함몰 패턴은 제2 방향축(DR2)과 제3 방향축(DR3)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W"자 형태 또는 "M"자 형태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WM)의 폴딩부(FP)에는 서로 다른 높이의 돌출부들에 의해 정의된 복수 개의 트랜치들(trench)을 갖는 함몰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일 실시예의 윈도우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일 실시예의 윈도우의 "A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윈도우(WM)의 폴딩부(FP)는 베이스부(BP), 베이스부(BP)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메인 돌출부들(MP), 및 베이스부(BP) 상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SP)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메인 돌출부(MP)의 제1 두께(tMP)는 서브 돌출부(SP)의 제2 두께(tSP) 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SP)가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인접한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하나의 서브 돌출부(SP)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두 개의 인접한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두 개 이상의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SP)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돌출부들(MP) 및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SP)이 배치된 폴딩부(FP)의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의 폭(WFP)은 π×r 이상일 수 있다. 여기에서, r은 폴딩부의 곡률 반경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딩부(FP)의 곡률 반경은 1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폴딩부(FP)의 곡률 반경은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의 곡률 반경(R, 도 1c)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베이스부(W-BP)는 폴딩부(FP) 전체에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부분일 수 있다. 베이스부(W-BP)의 두께(tBP)는 1㎛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폴딩부(FP)에 소정의 두께로 유지되는 베이스부(W-BP)를 포함하여, 비폴딩부들(NFP1, NFP2)과 연결된 일체의 윈도우(WP)를 제공하고, 폴딩부(FP)에서 개선된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비폴딩부들(NFP1, NFP2)의 두께(tNP)는 1m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폴딩부들(NFP1, NFP2)의 두께(tNP)는 0.5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딩부(FP)에서의 베이스부(W-BP)의 두께(tBP) 및 메인 돌출부(MP)의 두께(tMP)의 합(tFP)은 1mm 이하일 수 있다. 베이스부(W-BP)의 두께(tBP) 및 메인 돌출부(MP)의 두께(tMP)의 합(tFP)은 비폴딩부들(NFP1, NFP2)의 두께(tNP)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폴딩부(FP)에서의 베이스부(W-BP)의 두께(tBP) 및 메인 돌출부(MP)의 두께(tMP)의 합은 비폴딩부들(NFP1, NFP2)의 두께(tNP)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폴딩부(FP)에서 비폴딩부들(NFP1, NFP2)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를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어, 폴딩부(FP)는 외부 충격에 대하여 강도가 개선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메인 돌출부들(MP) 각각은 베이스부(W-MP)에 인접한 베이스면(DS), 베이스면(DS)과 마주하고 베이스부(W-BP)와 평행한 평면인 평탄면(US), 및 베이스면(DS)과 평탄면(US) 사이에 배치된 측면(SS1, SS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메인 돌출부(MP)의 평탄면(US)의 연장 방향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메인 돌출부들(MP)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된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 메인 돌출부들(MP)의 평탄면(US)은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된 것일 수 있다.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의 이격 간격(AD)은 2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다. 메인 돌출부들 사이의 이격 간격(AD)을 20㎛ 이상 300㎛ 이하로 하여 폴딩부(FP) 내에 적절한 수의 메인 돌출부들(MP)을 배치함으로써, 폴딩부(FP)의 두께가 비폴딩부(NFP1, NFP2)의 두께 수준으로 유지되는 부분을 포함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폴딩부(FP)의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W-BP)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메인 돌출부들(MP) 각각의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은 베이스면(DS)에서 평탄면(US)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축(DR2) 및 제4 방향축(DR4)이 정의하는 단면 상에서, 베이스면(DS)에서의 폭(Wa)은 평탄면(US)에서의 폭(Wb)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메인 돌출부(MP)의 측면(SS1, SS2)의 경사각(θS1, θS2)은 0도 이상 60도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경사각(θS1, θS2)은 평탄면(US)의 엣지(EG1, EG2)를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IL-1, IL-2)과 측면(SS1, SS2)이 이루는 각으로 나타내었다. 일 실시예에서 양 측의 측면(SS1, SS2) 이루는 경사각(θS1, θS2)은 동일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메인 돌출부(MP)는 평탄면(US)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TL1, CTL2)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 측의 측면(SS1, SS2) 이루는 경사각(θS1, θS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메인 돌출부(MP)는 평탄면(US)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TL1, CTL2)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돌출부들(MP)의 배치 간격인 피치(pitch)(PTA)는 20㎛ 이상 30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치(PTA)는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MP)의 평탄면(US)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들(CTL1, CTL2)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MP)의 피치(PTA)는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의 이격 간격(AD)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 폴딩부(FP)는 메인 돌출부(MP)와 높이가 다른서브 돌출부(SP)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서브 돌출부(SP)는 베이스부(W-BP) 상에 배치되며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 돌출부(SP)의 두께(tSP)는 메인 돌출부의 두께(tMP) 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돌출부의 제1 두께(tMP)와 서브 돌출부의 제2 두께(tSP)의 비율은 1:0.3 내지 1:0.8 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비폴딩부들(NFP1, NFP2)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로 유지되는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의 서브 돌출부(SP)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폴딩부(FP)에서의 돌출부들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폴딩 시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폴딩부(FP)에서의 폴딩이 용이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서브 돌출부(SP)는 베이스부(W-BP)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뾰족한 상부(SP-US)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서브 돌출부(SP)의 제2 방향(DR2)으로의 폭은 베이스부(W-BP)에서 이격 될수록 감소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의 서브 돌출부(SP)의 최대폭(PTB)은 1㎛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 돌출부(SP)는 상부(SP-US)를 지나는 가상의 선(CTL)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브 돌출부(SP)는 상부(SP-US)를 지나는 가상의 선(CTL)에 대하여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 폴딩부(FP)에는 복수 개의 함몰부들(HP)이 정의될 수 있다. 함몰부(HP)는 윈도우(WM)의 일 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 부분으로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정의된 것일 수 있다. 함몰부(HP)는 이웃하는 메인 돌출부들(MP) 및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SP)로 정의된 부분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 등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정의된 함몰부(HP)는 서브 돌출부(SP)의 상부(SP-US)를 지나는 가상의 선(CTL)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 정의된 함몰부(HP)는 레이저 가공 또는 Ÿ‡에칭(Wet-etching)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윈도우(WM)의 폴딩부(FP)에 형성된 메인 돌출부(MP) 및 서브 돌출부(SP)는 레이저 가공 또는 Ÿ‡에칭(Wet-etching) 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폴딩부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돌출부들 중 일부는 윈도우(WM)의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여 폴딩 시 스트레스를 완화하면서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메인 돌출부들만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서브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여 폴딩부에서의 트랜치(trench) 부분이 증가되어 윈도우의 폴딩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두께가 비폴딩부의 두께로 유지되는 메인 돌출부들을 포함하지 않고 두께가 얇은 서브 돌출부들만을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한 내충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WM)는 서로 다른 높이의 메인 돌출부(MP) 및 서브 돌출부(SP)를 모두 포함하는 폴딩부(FP)를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폴딩부에서의 윈도우의 단면 형상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7 및 도 8은 도 6a의 "AA"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a, WM-b)는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WM-a)는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두 개의 서브 돌출부들(SP-a1, SP-a2)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윈도우(WM-b)는 이웃하는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MP1, MP2) 사이에 세 개의 서브 돌출부들(SP-b1, SP-b2, SP-b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윈도우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서브 돌출부들의 개수는 4 개 이상일 수 있다.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의 윈도우(WM-a, WM-b)에서 서브 돌출부들은 단면 상에서 모두 동일하거나,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서브 돌출부들(SP-a1, SP-a2)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격(AD)으로 이격된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서브 돌출부들(SP-a1, SP-a2)의 두께(tSP-a)는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제2 간격(AD-SP)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두 개의 서브 돌출부들(SP-a1, SP-a2)은 제2 방향축(DR2)과 제4 방향축(DR4)이 정의하는 단면 상에서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서브 돌출부들(SP-a1, SP-a2)은 메인 돌출부(MP)의 두께(tMP)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범위에서 서로 다른 두께와 형상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1 간격(AD)은 20㎛ 이상 300㎛ 이하이고, 제2 간격(AD-SP)은 1㎛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b 등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에서와 같이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하나의 서브 돌출부(SP)가 배치된 경우의 서브 돌출부의 두께(tSP)와 비교하여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SP-a1, SP-a2)이 배치된 경우의 서브 돌출부의 두께(tSP-a)가 더 작을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메인 돌출부들(MP) 사이에 배치된 서브 돌출부들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서브 돌출부의 두께가 작아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윈도우(WM-b)는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MP1, MP2) 사이에 세 개의 서브 돌출부들(SP-b1, SP-b2, SP-b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윈도우(WM-b)는 이웃하는 제1 메인 돌출부(MP1)와 제2 메인 돌출부(MP2) 사이에 배치된 제1 서브 돌출부(SP-b1), 제1 메인 돌출부(MP1)와 제1 서브 돌출부(SP-b1)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돌출부(SP-b2), 및 제2 메인 돌출부(MP2)와 제1 서브 돌출부(SP-b1) 사이에 배치된 제3 서브 돌출부(SP-b3)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브 돌출부(SP-b1)를 기준으로 제2 서브 돌출부(SP-b2)와 제3 서브 돌출부(SP-b3)는 서로 대칭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돌출부(SP-b2)와 제3 서브 돌출부(SP-b3)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돌출부(SP-b1)는 제2 서브 돌출부(SP-b2) 및 제3 서브 돌출부(SP-b3)와 비교하여 더 큰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 개의 서브 돌출부들(SP-b1, SP-b2, SP-b3)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모두가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서브 돌출부(SP-b1)와 제2 서브 돌출부(SP-b2)가 동일한 두께를 갖고 제3 서브 돌출부(SP-b3)가 이들과 다른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제1 메인 돌출부(MP1)와 제2 메인 돌출부(MP2) 사이에 배치된 서브 돌출부들(SP-b1, SP-b2, SP-b3)의 배치와 제2 메인 돌출부(MP2)와 제3 메인 돌출부(MP3) 사이에 배치된 서브 돌출부들(SP-b1, SP-b2, SP-b3)의 배치 형태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메인 돌출부(MP1)와 제2 메인 돌출부(MP2) 사이에 배치된 서브 돌출부들의 배치와 제2 메인 돌출부(MP2)와 제3 메인 돌출부(MP3) 사이에 배치된 서브 돌출부들의 배치는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두 개의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이 배치된 경우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서브 돌출부들의 개수, 서브 돌출부들의 배치 간격, 서브 돌출부들의 형상, 및 서브 돌출부들의 두께의 조합 등은 윈도우에서 요구되는 폴딩 특성 및 강도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메인 돌출부들 및,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 돌출부들 보다 작은 두께의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을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이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ED, ED-a)에서 윈도우(WM)는 도 7 및 도 8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윈도우(WM-a, WM-b)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표시 모듈 상측에 배치되며, 표시 모듈과 인접한 면의 폴딩부에 메인 돌출부들 및,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되고 메인 돌출부들 보다 작은 두께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포함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이 우수한 내충격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윈도우는 폴딩부에서 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메인 돌출부들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로 정의된 함몰부가 "W"자 또는 "M"자 형상의 함몰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여 양호한 폴딩 특성인 우수한 강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ED : 전자 장치 DM : 표시 모듈
WM, WM-a, WM-b : 윈도우 AP1 : 접착층
FP : 폴딩부 NFP1, NFP2 : 비폴딩부
MP : 메인 돌출부 SP : 서브 돌출부
HP : 함몰부

Claims (23)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비폴딩부와 제2 비폴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고,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메인 돌출부들; 및
    상기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 를 포함하는 윈도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에 인접한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마주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평탄면; 및
    상기 베이스면과 상기 평탄면 사이에 배치된 측면; 을 포함하는 윈도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베이스면에서 상기 평탄면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윈도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한 평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의 상기 평탄면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나란한 윈도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엣지를 지나는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한 상기 측면의 경사각은 0도 이상 60도 이하인 윈도우.
  6. 제 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하나의 서브 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메인 돌출부들의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 간격은 20㎛ 이상 300㎛ 이하인 윈도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뾰족한 상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8. 제 7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정의된 함몰부는 상기 서브 돌출부의 상기 상부를 지나는 가상의 선에 대하여 대칭되는 형상인 윈도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서브 돌출부의 최대 폭은 1㎛ 이상 100㎛ 이하인 윈도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두께 및 상기 메인 돌출부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윈도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1㎛ 이상 50㎛ 이하인 윈도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의 비율은 1:0.3 내지 1:0.8인 윈도우.
  13. 제 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모두 동일한 형상이거나, 적어도 하나가 나머지와 다른 형상을 갖는 윈도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 사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격 간격은 1㎛ 이상 100㎛ 이하인 윈도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서브 돌출부들은
    이웃하는 제1 메인 돌출부와 제2 메인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1 서브 돌출부;
    상기 제1 메인 돌출부와 상기 제1 서브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2 서브 돌출부; 및
    상기 제2 메인 돌출부와 상기 제1 서브 돌출부 사이에 배치된 제3 서브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돌출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서브 돌출부와 상기 제3 서브 돌출부는 대칭인 윈도우.
  16. 제 1항에 있어서,
    평면 상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폴딩부의 폭은 π×r 이상이고, 상기 r은 상기 폴딩부의 곡률 반경인 윈도우.
  17.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폴딩 표시부, 및 상기 폴딩 표시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제1 비폴딩 표시부와 제2 비폴딩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고, 상기 폴딩 표시부에 대응하는 폴딩부, 및 상기 폴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비폴딩부와 제2 비폴딩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폴딩부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표시 모듈 측으로 돌출되고, 제1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메인 돌출부들; 및
    상기 제1 두께 보다 작은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표시 모듈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메인 돌출부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과 상기 윈도우 사이를 충전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 및 상기 윈도우가 폴딩될 때,
    마주하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 사이의 거리가 마주하는 상기 표시 모듈의 상면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전자 장치.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폴딩부 및 상기 제2 비폴딩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되며,
    상기 폴딩부의 곡률 반경은 1mm 이상인 전자 장치.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하는 단면 상에서,
    상기 메인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에 인접한 베이스면;
    상기 베이스면과 마주하고, 상기 베이스부와 평행한 평탄면; 및
    상기 베이스면과 상기 평탄면 사이에 배치된 측면; 을 포함하고,
    상기 평탄면은 상기 표시 모듈에 인접한 전자 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비폴딩부의 두께는 상기 베이스부 두께 및 상기 메인 돌출부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전자 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표시 모듈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이웃하는 상기 메인 돌출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돌출부로 정의된 함몰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18482A 2021-02-09 2021-02-09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15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82A KR20220115705A (ko) 2021-02-09 2021-02-09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527,630 US20220256018A1 (en) 2021-02-09 2021-11-16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210039953.3A CN114913768A (zh) 2021-02-09 2022-01-14 窗和包括窗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482A KR20220115705A (ko) 2021-02-09 2021-02-09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705A true KR20220115705A (ko) 2022-08-18

Family

ID=8270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482A KR20220115705A (ko) 2021-02-09 2021-02-09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56018A1 (ko)
KR (1) KR20220115705A (ko)
CN (1) CN1149137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144A (ko) * 2021-05-20 2022-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윈도우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065B2 (en) * 2012-08-07 2016-08-16 Apple Inc. Flexible displays
US9203050B2 (en) * 2013-05-21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US10416721B2 (en) * 2014-07-08 2019-09-17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020462B1 (en) * 2015-07-30 2018-07-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KR20170021431A (ko) * 2015-08-17 2017-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366299B1 (ko) * 2015-08-31 2022-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지지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31129B2 (en) * 2016-09-28 2019-10-01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579750B1 (ko) * 2016-10-17 2023-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US10303218B2 (en) * 2017-02-01 2019-05-28 Apple Inc. Foldable cover and display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362096B1 (ko) * 2017-05-29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10459B1 (ko) * 2017-12-12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2238B1 (ko) * 2018-05-11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8842B1 (ko) * 2018-11-27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518021A (zh) * 2019-09-10 2019-1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和显示面板
KR102146730B1 (ko) * 2019-12-23 2020-08-24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56018A1 (en) 2022-08-11
CN114913768A (zh)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741B1 (ko)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US9342174B2 (en) Electronic device
EP4134781A1 (en) Support member,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230070431A1 (en)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3671703B1 (en) Foldable cover plate, foldable display module, and foldable terminal device
KR20230028335A (ko)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JP2022528088A (ja) ウィンドウの保護のためのコーティングを含む電子装置
CN214587755U (zh) 柔性显示模组及电子设备
EP414161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KR20220115705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98953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ducing damage to glass
KR20220003688A (ko) 표시 장치
CN212411470U (zh) 柔性盖板及柔性显示装置
KR2022007896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12104A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8932011B (zh) 视场角改变膜以及电子设备
KR20230063998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20820973U (zh) 柔性显示装置
JP4622821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のディスプレイ
CN220189162U (zh) 显示组件和电子设备
US20240134420A1 (en) Display module
US20230288956A1 (en) Display device
CN114842747B (zh) 柔性盖板、柔性显示屏以及电子设备
KR20230071840A (ko) 윈도우 및 그 윈도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076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