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654A - 종자 건조기 - Google Patents

종자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654A
KR20220115654A KR1020210017435A KR20210017435A KR20220115654A KR 20220115654 A KR20220115654 A KR 20220115654A KR 1020210017435 A KR1020210017435 A KR 1020210017435A KR 20210017435 A KR20210017435 A KR 20210017435A KR 20220115654 A KR20220115654 A KR 2022011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unit
seeds
receiving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481B1 (ko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신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농 filed Critical (주)신농
Priority to KR1020210017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6Grains, e.g. cereals, wheat, rice, co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종자 건조기가 개시된다. 종자 건조기는 내부에 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이 가능하며,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자 수용부; 상기 종자 수용부로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자 수용부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가 공급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종자 수용부 내에 수용된 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종자 건조기{APPARATUS FOR DRYING SEED}
본 발명은 종자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따뜻한 공기를 이용하여 종자의 수분을 건조하여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는 종자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자는 식물에서 나온 씨 또는 씨앗이다. 종자 코팅은 종자의 보호나 발아나 생육을 조장하기 위한 것으로, 종자의 표면을 흙, 비료, 농약 등으로 싸는 것이다. 그 목적은 종자를 성형, 정립시켜 파종을 용이하게 하고, 농약 등으로 생육촉진과 더불어 병충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이 밭작물의 파종 후에 조류로부터 피해를 경감하기 위하여 종자에 조류가 기피하는 소석고, 철분 등을 코팅한다.
코팅된 종자는 자연 건조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건조 상태에 따라 종자 발아율에 큰 차이를 나타내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등록공고(등록번호: 20-0485038)은 철분이 코팅된 종자의 산화 및 건조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도 1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내부에 일정 용적의 공간부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 내측 하부에 설치된 것으로, 일정 용량의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13)와, 물탱크의 물을 펌핑하는 모터펌프(14)와,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6)와, 송풍기(16)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7)를 포함하는 물 및 공기 공급실(12);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통공(24)이 관통 형성되고 산화 및 건조할 종자를 적재하고 양측이 케이스(10) 측면에 설치된 레일(11)에 슬라이딩되는 플레이트(23)와, 플레이트 상부에 설치되어 송수관(15)을 통해 공급된 물을 복수의 노즐(22)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관(21)과, 플레이트 하단에 설치되어 공기공급관(18)을 통해 공급된 공기를 플레이트(23)의 통공(24)으로 공급하는 에어챔버(25)를 포함하는 복수의 산화 및 건조실(20); 상기 모터펌프(14), 송풍기(16) 및 히터(17)의 작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 작동의 시작 및 종료와, 물과 공기의 공급 시간 및 주기,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설정하는 입력부(31)와, 상기 입력부(31)의 입력정보와 제어부(30)의 제어정보 및 현재 작동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2)를 포함하는 제어패널(3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산화 및 건조실(20) 내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34)와, 상기 물탱크(13) 내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35)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30)는 10~14시간 동안 모터펌프(14)를 작동시켜 송수관(15)을 통해 시간당 3리터의 물이 공급되어 노즐(22)에서 분무되도록 함과 더불어 송풍기(16)와 히터(17)를 작동시켜 공기공급관(18)을 거쳐 플레이트(23)의 통공(24)으로 10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산화과정과, 10~14시간 동안 송풍기(16)와 히터(17)를 작동시켜 공기공급관(18)을 거쳐 플레이트(23)의 통공(24)으로 10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통풍과정과, 24~36시간 동안 송풍기(16)와 히터(17)를 작동시켜 공기공급관(18)을 거쳐 플레이트(23)의 통공(24)으로 30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건조과정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철분이 코팅된 종자의 산화 및 건조 장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판 위에 코팅된 다량의 종자를 놓고 공기를 공급하여 종자를 건조하는 방식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판 위에 놓여 있는 다량의 종자를 혼합하는 기능이 없는 건조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종자가 판 위에 놓여 있는 위치 등에 따라 종자의 건조 상태가 다르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량의 종자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따뜻한 바람을 공급하여 다량의 종자가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하는 종자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는 내부에 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이 가능하며,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자 수용부; 상기 종자 수용부로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자 수용부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가 공급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종자 수용부 내에 수용된 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종자는 다량의 종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예로, 종자는 코팅된 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종자 수용부 내의 일 측면에서부터 돌출되어, 상기 종자 수용부 내의 하부쪽으로 „L여 있는 형상을 가지며, 하부쪽으로 „L여 있는 단부가 상기 종자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종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로, 상기 종자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종자 수용부의 종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자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종자는 상기 종자 수용부의 회전과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공기 공급부가 상기 종자 수용부 내로 공급하는 상기 공기에 의하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는 상기 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종자 수용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제1 속도 조절부;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제2 속도 조절부; 및 상기 종자 수용부의 회전 시간을 예약할 수 있고, 회전 시간을 예약한 때로부터 회전한 시간을 표시하며, 예약된 회전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 알람을 알려주는 시간 예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량의 종자가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량의 종자를 건조하여 다량의 종자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의 온도와 공기가 공급되는 시간 및 공기의 공급 속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종자의 건조 정도와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종자 수용부의 회전 및 종자 수용부 내에 형성된 돌출부를 통해 종자가 혼합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으로 종자를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혼합이 잘 이루어진 상태에서 종자가 건조되기 때문에 다량의 종자가 균일하게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알람을 통해 종자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종자가 과도하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자가 적절하게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돌출부의 단면이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종자가 돌출부를 타고 매끄럽게 이동함과 동시에 돌출부에 걸려 이동이 안되어 혼합되지 않는 종자가 없도록 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종자를 혼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수용부 및 공기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수용부와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수용부와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수용부 및 공기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수용부와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수용부와 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1000)는 종자 수용부(100), 공기 공급부(200), 히터부(300), 온도 측정부(400), 온도조절부(500), 제1 속도 조절부(600), 제2 속도 조절부(700) 및 시간 예약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종자 수용부(100)는 내부에 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이 가능하며,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종자 수용부(100)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종자 수용부(100)의 외주면에는 메쉬 구조의 그물망이 배치될 수 있고,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종자 수용부(10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종자 수용부(100)는 회전이 가능하며, 모터(30)의 동작에 의하여 체인(40)이 종자 수용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종자 수용부(100)는 정/역 방향으로 회전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종자 수용부(100)는 본체(20)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20)에는 개폐가 가능한 커버(10)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10)에는 투명창(12)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종자 수용부(100)의 내주면에는 종자 수용부(100)의 종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일 예로 돌출부는 종자 수용부(10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120)는 종자 수용부(100) 내에 수용된 종자가 서로 잘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돌출부(120)가 없는 경우에는 종자 수용부(100)가 회전하더라도 아래에 배치된 종자가 그 위에 배치된 종자와 서로 섞이지 않는다.
돌출부(120)는 그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삼각형의 꼭지점이 종자 수용부(100)의 중심 방향을 향해 바라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120)의 단면이 경사진 형태의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과 돌출부(120)에 의하여 종자 수용부(100) 내에 수용된 종자가 서로 혼합되게 되는데 종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종자가 매끄럽게 이동(회전)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돌출부(120)에 의하여 종자에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즉, 종자 수용부(100)가 회전하더라도 돌출부(120)에 걸려 이동하지 않는 종자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돌출부(120)의 단면이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여 종자 수용부(100) 회전시 종자가 돌출부(120)를 타고 매끄럽게 이동함과 동시에 돌출부(120)에 걸려 이동이 안되어 혼합되지 않는 종자가 없도록 함으로서 매우 효과적으로 종자를 혼합시킬 수 있다.
공기 공급부(200)는 종자 수용부(100)로 하부에 배치되고 종자 수용부(100)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 공급부(200)가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200)가 종자 수용부(100) 내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종자가 위로 올라갈 수 있고, 종자를 공기를 통해 건조함과 동시에 종자를 혼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종자 건조기(100)는 종자 수용부(100)의 내부에 수용된 종자는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과 돌출부(120) 및 공기 공급부(200)가 종자 수용부(100) 내로 공급하는 공기에 의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혼합될 수 있고, 종자가 혼합되면서 공기를 통해 건조되기 때문에 종자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건조될 수 있다.
히터부(300)는 공기 공급부(200)가 공급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400)는 종자 수용부(100) 내에 수용된 종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400)를 통해 측정된 온도를 확인하여 원하는 온도에서 종자가 건조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히터부(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를 가지는 공기기 종자 수용부(100)로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 측정부(400)는 종자 수용부(100) 내의 일 측면에서부터 돌출되어, 종자 수용부(100) 내의 하부쪽으로 „L여 있는 형상을 가지며, 하부쪽으로 „L여 있는 단부가 종자와 접촉함으로써 종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종자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온도 측정부(400)는 일 단부가 직접 종자와 접촉하여 종자의 온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자 건조기(1000)는 종자 건조기(100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온도조절부(500), 제1 속도 조절부(600), 제2 속도 조절부(700) 및 시간 예약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500)는 히터부(3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부(500)는 히터부(300)의 온도를 조절하여 공기 공급부(200)가 공급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속도 조절부(600)는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속도 조절부(600)를 통해 모터(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면 종자 수용부(100) 내의 종자를 혼합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속도 조절부(700)는 공기 공급부(200)의 공기 공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200)의 공기 공급 속도를 조절하면 종자의 건조 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공기 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도 함께 조절되기 때문에 종자 수용부(100)내의 종자를 혼합하는 정도도 조절이 가능하다.
시간 예약부(800)는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 시간을 예약할 수 있다. 시간 예약부(800)를 통해 종자 수용부(100)가 회전 시간을 예약하고 예약된 시간 만큼만 종자 수용부(100)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종자 건조기(100) 근처에 상주할 필요가 없이 편리하게 종자 건조 과정이 진행되로록 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예약부(800)는 종자 수용부(100)가 회전 시간을 예약한 때로부터 회전한 시간을 표시하며, 예약된 회전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 알람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시간 예약부(800)를 통해 종자 수용부(100)가 회전할 시간을 50분으로 예약한 경우에는 시간 예약부(800)는 예약된 시간 50분과 함께 회전 시간을 예약한 때로부터 회전한 시간을 함께 표시해 줄 수 있다.
시간 예약부(800)는 예약된 시간만큼 종자 수용부(100)가 회전하게 되면 알람을 주어 종자 수용부(100)의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일 예로 시간 예약부(800)는 음향 또는 시각적인 방법 중 하나 이상으로 회전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종자 건조기 100: 종자 수용부
200: 공기 공급부 300: 히터부
400: 온도 측정부 500: 온도조절부
600: 제1 속도 조절부 700: 제2 속도 조절부
800: 시간 예약부

Claims (4)

  1. 내부에 종자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이 가능하며,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종자 수용부;
    상기 종자 수용부로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종자 수용부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가 공급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종자 수용부 내에 수용된 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종자 건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종자 수용부 내의 일 측면에서부터 돌출되어, 상기 종자 수용부 내의 하부쪽으로 „L여 있는 형상을 가지며,
    하부쪽으로 „L여 있는 단부가 상기 종자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종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종자 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 수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종자 수용부의 종축방향을 따라 연장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자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종자는 상기 종자 수용부의 회전과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공기 공급부가 상기 종자 수용부 내로 공급하는 상기 공기에 의하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 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
    상기 종자 수용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제1 속도 조절부;
    상기 공기 공급부의 공기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제2 속도 조절부; 및
    상기 종자 수용부의 회전 시간을 예약할 수 있고, 회전 시간을 예약한 때로부터 회전한 시간을 표시하며, 예약된 회전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에 알람을 알려주는 시간 예약부를 더 포함하는, 종자 건조기.
KR1020210017435A 2021-02-08 2021-02-08 종자 건조기 KR102585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35A KR102585481B1 (ko) 2021-02-08 2021-02-08 종자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435A KR102585481B1 (ko) 2021-02-08 2021-02-08 종자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654A true KR20220115654A (ko) 2022-08-18
KR102585481B1 KR102585481B1 (ko) 2023-10-10

Family

ID=8311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435A KR102585481B1 (ko) 2021-02-08 2021-02-08 종자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54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306A (ja) * 1994-12-19 1996-07-02 Sumitomo Chem Co Ltd 種子または被覆造粒種子の乾燥方法及び該装置
KR20020085574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두산 발아현미 생산을 위한 공정 및 장치
KR100977997B1 (ko) * 2010-04-26 2010-08-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306A (ja) * 1994-12-19 1996-07-02 Sumitomo Chem Co Ltd 種子または被覆造粒種子の乾燥方法及び該装置
KR20020085574A (ko) * 2001-05-09 2002-11-16 주식회사 두산 발아현미 생산을 위한 공정 및 장치
KR100977997B1 (ko) * 2010-04-26 2010-08-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5481B1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7838B (zh) 种子发芽器及其稻谷发芽工艺
JP6604465B2 (ja) 水耕栽培装置
CN112584696B (zh) 谷物发芽装置
CN102812868A (zh) 多功能育种箱
KR102086737B1 (ko) 수경재배용 양액공급장치
KR20220115654A (ko) 종자 건조기
CN106613433A (zh) 一种植物种植容器、植物箱栽以及植物墙
KR102152328B1 (ko) 경작지 관리 시스템
CN204741725U (zh) 种子智能浸种槽
KR200317057Y1 (ko) 식물의 성장환경 제어장치를 갖는 화분
KR102524640B1 (ko) 종자 건조기
CN206024979U (zh) 一种手持式农药喷洒装置
CN112638148A (zh) 具有谷物种子消毒功能的发芽装置
CN208144104U (zh) 一种数控豆芽菜生长机
KR200485038Y1 (ko) 철분이 코팅된 종자의 산화 및 건조 장치
EP0352031A1 (en) Chamber for germination and cultivation of seeds and plants
RU178333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ращивания семян
CN207639170U (zh) 一种辣椒种植用施肥装置
CN112193632A (zh) 一种有机肥存储罐
CN215529856U (zh) 一种基于甜椒和辣椒栽培的浸种装置
KR200179086Y1 (ko) 트랙터용 비료 살포기
CN220755844U (zh) 一种香型优质稻控湿防虫育秧监测装置
KR20200023748A (ko) 컨베이어형 작물 재배장치의 자율 회전형 관수시스템
CN216218658U (zh) 一种农业用玉米种子拌药设备
JP2017123948A (ja) 炊飯用洗米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