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915A - 시술 중 실시간 판막 직경 측정을 위한 플렉스 센서 - Google Patents
시술 중 실시간 판막 직경 측정을 위한 플렉스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3915A KR20220113915A KR1020227006783A KR20227006783A KR20220113915A KR 20220113915 A KR20220113915 A KR 20220113915A KR 1020227006783 A KR1020227006783 A KR 1020227006783A KR 20227006783 A KR20227006783 A KR 20227006783A KR 20220113915 A KR20220113915 A KR 202201139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flex sensor
- flex
- inflation fluid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27—Devices for manipulating or deploying heart valves during implantation
- A61F2/243—Deployment by mechanical expansion
- A61F2/2433—Deployment by mechanical expansion using balloon cathe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12—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with soft flexible valve members, e.g. tissue valves shaped like natural valves
- A61F2/2418—Scaffolds therefor, e.g. support st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96—Devices for determining the dimensions of the prosthetic valve to be implanted, e.g. templates, siz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17—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ndle assemblie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ame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6—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61—Measuring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easuring dimensions, e.g. leng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2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220/009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connected by a hinged linkage mechanism, e.g. of the single-bar or multi-bar linkage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an inflatable pocket filled with fluid, e.g. liquid or ga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a diamet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96—Markers and sensors for detecting a position or changes of a position of an implant, e.g. RF sensors, ultrasound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전달 조립체는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로 구성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굽힘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은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 판막 팽창 직경을 측정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공 판막 팽창 직경의 실시간 추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flex sensor)를 갖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대동맥, 폐동맥, 승모 판막과 같은 자연 심장 판막은 심장으로부터 그리고 심장으로, 그리고 심실 사이에서 적절한 방향성 유동을 보장하여, 전체 심혈관계에 혈액을 공급하도록 기능한다. 다양한 판막 질환은 판막을 비효율적이 되게 할 수 있고 인공 판막으로 치환을 필요로 한다. 외과적 시술이 심장 판막을 복원하거나 치환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수술은 많은 임상적 합병증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카테터 위에 인공 심장 판막을 전달하고 이를 오기능 자연 판막 위에 이식하는 대안적인 덜 침습성 기술이 수년에 걸쳐 개발되어 왔다.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은 팽창을 위해 기계적인 작동 메커니즘에 의존하는 인공 판막의 부류이다. 작동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판막을 원하는 직경으로 팽창하기 위해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핸들을 통해 제어되는 판막 전달 시스템의 각각의 작동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작동/로킹 조립체를 포함한다. 조립체는 그 바람직하지 않는 재압축, 및 판막 작동/로킹 조립체로부터 전달 시스템의 작동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판막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로킹하여, 일단 판막이 원하는 이식 부위에 적절하게 위치되면 그 회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과 같은 인공 판막을 이식할 때, 과대 팽창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는 고리 파열의 위험을 완화시키면서, 판막의 팽창 직경과 주위 조직 사이의 불일치와 연관될 수도 있는 판막주위 누출 또는 판막을 가로지르는 다른 부적합한 혈류역학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환자의 해부학적 고려 사항에 의해 허용되는 최대 크기로 판막을 팽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적의 이식 크기를 보장하기 위해, 인공 판막의 직경은 이식 시술 중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은 인공 판막 이식 시술 동안 인공 판막의 반경방향 팽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 조립체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팽창 직경의 실시간 측정은 오기능 자연 판막의 부위와 같은, 지정된 이식 부위 내의 인공 판막의 적절한 이식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굽힘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은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2 단부는 핸들을 향해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센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샤프트를 통해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지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 및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센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에 국소적으로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고;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탈착 가능 샤프트가 센서 하우징에 커플링될 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주위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탈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은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를 통해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는 봉합사, 밴드, 튜브, 및/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커플링되는 지주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지주 구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그에 인가된 굴곡의 정도에 응답하여 그 전기 비저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는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섬유 브래그 격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 및 제2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2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세장형 부재는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할 때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와 커플링하고, 그로부터 견인시에 그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제1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및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인공 판막의 이동은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는 굽힘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은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2 단부는 핸들을 향해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센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샤프트를 통해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지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 및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센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에 국소적으로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고;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탈착 가능 샤프트가 센서 하우징에 커플링될 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주위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탈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은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를 통해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는 봉합사, 밴드, 튜브, 및/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커플링되는 지주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지주 구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그에 인가된 굴곡의 정도에 응답하여 그 전기 비저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는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섬유 브래그 격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 및 제2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2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세장형 부재는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할 때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와 커플링하고, 그로부터 견인시에 그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제1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및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인공 판막의 이동은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굽힘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2 단부는 핸들을 향해 연장하고,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센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샤프트를 통해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지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 및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센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에 국소적으로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고;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탈착 가능 샤프트가 센서 하우징에 커플링될 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주위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탈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은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를 통해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는 봉합사, 밴드, 튜브, 및/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대해 활주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커플링되는 지주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지주 구멍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그에 인가된 굴곡의 정도에 응답하여 그 전기 비저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는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고, 적어도 하나의 전송 라인은 광학 전도체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섬유 브래그 격자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광학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 및 제2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2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세장형 부재는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할 때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와 커플링하고, 그로부터 견인시에 그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제1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및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인공 판막의 이동은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직경 센서로서, 직경 센서의 출력은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에 응답하는, 직경 센서; 및 펌프 및 직경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직경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직경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센서는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되고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선형 변위 센서로서,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는, 선형 변위 센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싼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루프 형상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제1 벌룬 부분; 제2 벌룬 부분; 및 연결부로서,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연결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연결부의 제2 단부는 선형 변위 센서에 커플링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각각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1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에 대향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복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지주 중 제1 지주와 복수의 지주 중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센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인공 판막을 이미징하도록 구성된 이미저; 및 펌프 및 이미저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고, 인공 판막을 이미징하기 위한 이미저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공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도록 구성된 이미저; 및 펌프 및 이미저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가능 벌룬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기 위한 이미저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공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펌프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되고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선형 변위 센서로서,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선형 변위 센서를 포함하고,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싼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루프 형상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제1 벌룬 부분; 제2 벌룬 부분; 및 연결부로서,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연결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연결부의 제2 단부는 선형 변위 센서에 커플링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각각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1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에 대향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펌프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 및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가 제공되고, 전달 조립체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도록 구성된 이미저; 및 펌프 및 이미저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가능 벌룬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기 위한 이미저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공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는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인공 판막을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1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2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전달된 인공 판막의 이동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및 전달된 인공 판막을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굴곡 부분을 굽힌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1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2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전달된 인공 판막의 이동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로서,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는, 커플링 단계;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인공 판막을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이동 후에, 인공 판막으로부터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1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2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지주와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전달된 인공 판막의 이동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전달된 인공 판막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이동되게 하는, 펌핑 단계;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반경방향 직경 표시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된 선형 변위 센서에 응답하고,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병치 단계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을 이미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인공 판막의 이미징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의 이미징 단계는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이미징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가능 벌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의 이미징 단계는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인공 판막의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팽창 가능 벌룬의 전달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팽창 가능 벌룬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키는, 펌핑 단계;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된 선형 변위 센서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병치 단계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방향 직경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측정된 압력에 또한 응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팽창 가능 벌룬의 전달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팽창 가능 벌룬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키는, 펌핑 단계; 스트레인 게이지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 및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방향 직경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측정된 압력에 또한 응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팽창 가능 벌룬의 전달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팽창 가능 벌룬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키는, 펌핑 단계;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는 단계; 및 이미징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가능 벌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의 이미징 단계는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이미징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측정된 압력에 또한 응답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또한 응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상기 장점 중 일부, 모두를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추가 장점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즉시 명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태 및 실시예는 이하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의 경우에, 정의를 포함하여, 본 특허 명세서가 우선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단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되지 않으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이하의 실시예 및 그 양태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만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시스템, 도구 및 방법과 함께 설명되고 예시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술된 문제 중 하나 이상이 감소되거나 제거되고, 반면 다른 실시예는 다른 장점 또는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설명은 도면과 함께, 어떻게 몇몇 실시예가 실시될 수도 있는지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게 한다. 도면은 예시적인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보다 더 상세히 실시예의 구조적 상세를 나타내려는 어떠한 시도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몇몇 대상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면에서: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을 운반하는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부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유형의 다중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그 상이한 동작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유형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굽힘 감지 조립체를 갖춘 전달 조립체를 이용하는 상이한 스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일 지주에 커플링된 단일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 2개의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 단일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된 굽힘 감지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조립체를 갖춘 전달 조립체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과 플렉스 센서 사이의 탈착 가능한 커플링 메커니즘의 상이한 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스 센서로부터 연장하는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갖는 굽힘 감지 조립체의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하는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를 이용하는 상이한 스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의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의 전달 및 이식을 위한 전달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의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의 상이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선형 변위 센서에 커플링된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슬리브 내에 위치된 도 18a 및 도 18b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미저를 더 포함하는 도 16의 전달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팽창 가능 벌룬 상에 위치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의 프레임 상에 위치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갖는 팽창 가능 벌룬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이용하는, 인공 판막에 대한 다양한 전개 방법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펌프 팽창 가능 벌룬을 이용하는 인공 판막에 대한 다양한 전개 방법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을 운반하는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내부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유형의 다중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그 상이한 동작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유형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굽힘 감지 조립체를 갖춘 전달 조립체를 이용하는 상이한 스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일 지주에 커플링된 단일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 2개의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된 단일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된 굽힘 감지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조립체를 갖춘 전달 조립체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통신 채널과 플렉스 센서 사이의 탈착 가능한 커플링 메커니즘의 상이한 동작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스 센서로부터 연장하는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갖는 굽힘 감지 조립체의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하는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의 상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를 이용하는 상이한 스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의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의 전달 및 이식을 위한 전달 조립체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도 16의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의 상이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선형 변위 센서에 커플링된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슬리브 내에 위치된 도 18a 및 도 18b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제2 실시예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미저를 더 포함하는 도 16의 전달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팽창 가능 벌룬 상에 위치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의 프레임 상에 위치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도시하고 있다.
도 23은 특정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인 게이지를 갖는 팽창 가능 벌룬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이용하는, 인공 판막에 대한 다양한 전개 방법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a 및 도 25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펌프 팽창 가능 벌룬을 이용하는 인공 판막에 대한 다양한 전개 방법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가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위해, 특정 구성 및 상세가 본 개시내용의 상이한 양태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특정 상세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또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더욱이, 공지의 특징은 본 개시내용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되거나 간단화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특정 도면에 너무 많은 참조 번호와 리드 라인을 갖는 과도한 혼란을 회피하기 위해, 몇몇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도면을 통해 소개되고 해당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모든 후속 도면에서 명시적으로 식별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달 조립체(1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조립체(100)는 인공 판막(114) 및 전달 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판막(114)은 전달 장치(102) 상에 있거나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전달 장치는 그 근위 단부에 있는 핸들(110), 핸들(110)로부터 원위측으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노즈콘 샤프트(108), 노즈콘 샤프트(108)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 노즈콘(109), 노즈콘 샤프트(108) 위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106), 및 선택적으로 전달 샤프트(106) 위로 연장하는 외부 샤프트(104)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근위"는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사용 중일 때 핸들(110) 또는 핸들(110)의 조작자에 더 가까운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단부를 칭한다.
용어 "원위"는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사용 중일 때 핸들(110) 또는 핸들(110)의 조작자로부터 더 멀리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의 구성요소의 측면 또는 단부를 칭한다.
용어 "인공 판막"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반경방향 압축, 또는 크림핑 상태와 반경방향 팽창 상태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 가능 및 압축 가능한, 카테터를 통해 환자의 목표 부위에 전달 가능한 임의의 유형의 인공 판막을 칭한다. 따라서, 인공 판막(114)은 전달 중에 압축 상태로 전달 장치(102)에 의해 크림핑되거나 보유되고, 이어서 일단 인공 판막(114)이 이식 부위에 도달하면 팽창 상태로 팽창될 수 있다. 팽창 상태는 압축 상태와 완전 팽창 상태에 도달한 최대 직경 사이에서 판막이 팽창할 수도 있는 직경의 범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복수의 부분 팽창 상태는 반경방향 압축 또는 크림핑 상태와 최대 팽창 상태 사이의 임의의 팽창 직경과 관련될 수도 있다.
용어 "복수"는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하나 초과를 의미한다.
본 개시내용의 인공 판막(114)은 자연 대동맥 판막, 자연 승모 판막, 자연 폐동맥 판막, 및 자연 삼첨판 판막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인공 판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전달 조립체(100)는 전달 장치(102) 및 인공 판막(114)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전달 장치(102)는 스텐트 또는 이식편과 같은 인공 판막 이외의 다른 인공 디바이스의 이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카테터 전달 가능 인공 판막(114)은 다양한 팽창 메커니즘을 통해 인공 판막(114)을 팽창시킴으로써, 자연 해부학 구조에 대해 장착될 목표 부위를 향해, 반경방향 압축 또는 크림핑 상태에서 판막(114)을 운반하는 전달 조립체(100)를 통해 이식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은 일반적으로 인공 판막 내에서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원하는 이식 부위 내에서 인공 판막(114)을 팽창시키는 시술을 수반한다. 일단 판막이 충분히 팽창되면, 벌룬은 수축되고 전달 장치(102)와 함께 회수된다. 자기-팽창 가능 판막은, 외부 샤프트(104)의 원위부 또는 전달 샤프트(106)의 원위부로 또한 형성될 수도 있는 외부 유지 캡슐이 인공 판막에 대해 근위측으로 인출되자마자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형상 설정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은 팽창을 위해 기계적인 작동 메커니즘에 의존하는 인공 판막의 부류이다. 기계적 작동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인공 판막을 원하는 직경으로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 및 로킹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핸들(110)을 통해 제어되는, 전달 장치(102)의 각각의 작동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복수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를 포함한다. 팽창 및 로킹 조립체는 그 바람직하지 않은 재압축, 및 팽창 및 로킹 조립체로부터 작동 조립체의 분리를 방지하여, 일단 인공 판막이 원하는 이식 부위에 적절하게 위치되면 전달 장치(102)의 회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판막의 직경을 선택적으로 로킹할 수도 있다.
전달 조립체(100)는 예를 들어, 대동맥 고리에 대해 장착을 위해 인공 대동맥 판막을 전달하고, 승모판 고리에 대해 장착을 위해 인공 승모 판막을 전달하고, 또는 임의의 다른 자연 고리에 대해 장착을 위해 인공 판막을 전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전달 조립체(100)는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전달 및 이식을 위한 전달 장치(102a)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100a)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장치(102a)는 그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된 팽창 가능 벌룬(가려져 있음)을 갖는 벌룬 카테터(24)를 포함한다. 벌룬 팽창 가능 인공 판막(100a)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팽창 가능 벌룬 위에 크림핑 상태로 운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외부 샤프트(20)는 벌룬 카테터(24) 위로 동심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114)은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이고,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전달 조립체(100)는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전달 및 이식을 위한 전달 장치(102a)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100a)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장치(102a)는 핸들(110a)로부터 전달 샤프트(106a)를 통해 연장하는 복수의 작동 조립체(150)를 더 포함한다. 작동 조립체(150)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각각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에 그 원위 단부에서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액추에이터(151)(도 1에서는 가려져 있고,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볼 수 있음), 및 각각의 액추에이터(151) 주위에 배치된 슬리브(153)(도 3에 주석으로 표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액추에이터(151)는 그를 커버하는 슬리브(153)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계적 팽창 메커니즘을 통해 판막(114a)을 팽창시킴으로써, 자연 해부학 구조에 대해 장착될 목표 부위를 향해 반경방향 압축 또는 크림핑 상태에서 판막(114a)을 운반하는 전달 조립체(100a)를 통해 이식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노즈콘(109)은 노즈콘 샤프트(108)의 원위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노즈콘 샤프트(108)의 중앙 루멘 및 노즈콘(109)의 내부 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 있어, 전달 장치(102)가 환자의 혈관 구조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 위로 전진될 수 있게 된다.
외부 샤프트(104)의 원위 단부 부분은 인공 판막(114) 위로 연장되고 전달 장치(102)의 전달 구성에서 노즈콘(109)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샤프트(104)의 원위 단부 부분은 환자의 혈관 구조를 통한 전달을 위해 반경방향 압축 또는 크림핑 구성으로 인공 판막(114)을 수납하거나 수용하는 전달 캡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외부 샤프트(104) 및 전달 샤프트(106)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전달 샤프트(106)에 대한 외부 샤프트(104)의 근위측 배향 이동 또는 외부 샤프트(104)에 대한 전달 샤프트(106)의 원위측 배향 이동이 외부 샤프트(104)로부터 인공 판막을 노출할 수 있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인공 판막(114)은 전달 중에 외부 샤프트(104) 내에 수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장치(102)는 외부 샤프트(104)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노즈콘 샤프트(108), 전달 샤프트(106), 작동 조립체(150)의 구성요소, 및 존재할 때 - 외부 샤프트(104)의 근위 단부는 핸들(1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인공 판막(114)의 전달 중에, 핸들(110)은 환자의 혈관 구조를 통해, 노즈콘 샤프트(108), 전달 샤프트(106), 및/또는 외부 샤프트(104)와 같은 전달 장치(102)의 구성요소를 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작동 조립체(150)를 조작함으로써 인공 판막(114)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고, 예를 들어 일단 인공 판막이 이식 부위 상에 장착되면 이를 후퇴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판막(114)의 액추에이터 조립체(134)로부터 액추에이터(151)를 디커플링함으로써, 전달 장치(102)로부터 인공 판막(114)을 분리하도록 조작자(예를 들어, 임상의 또는 외과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용어 "및/또는"은 여기서 포괄적이고, "및" 뿐만 아니라 "또는"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달 샤프트(106) 및/또는 외부 샤프트(104)"는 전달 샤프트(106), 외부 샤프트(104), 및 외부 샤프트(104)와 전달 샤프트(106)를 포함하고; 이러한 "전달 샤프트(106) 및/또는 외부 샤프트(104)"는 다른 요소들도 마찬가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10)은, 전달 장치(102)의 상이한 구성요소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근위 및 원위 방향으로 전달 장치(102)의 축방향 이동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조정 및 활성화 메커니즘을 통해 인공 판막(114)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도록 구성된 조향 가능 또는 회전 가능 조정 노브, 레버, 슬라이더, 버튼(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다른 작동 메커니즘과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은 디스플레이(113a), LED 조명(113b), 스피커(도시되어 있지 않음) 등과 같은, 전달 장치(102)의 사용자 또는 조작자에게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 및/또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시각적 또는 청각적 정보 요소(112)를 더 포함한다.
도 2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팽창 상태에서 기계적 팽창 가능 인공 판막(114a)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에 커플링된 작동 조립체(150)를 갖는 도 2a의 인공 판막(114a)을 도시하고 있다. 첨판 또는 스커트와 같은 연성 구성요소는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노출시키기 위해 도 2a의 뷰로부터 생략되어 있다. 인공 판막(114)은 유입 단부(119)를 형성하는 유입 단부 부분(118), 및 유출 단부(117)를 형성하는 유출 단부 부분(116)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유출 단부(117)는 인공 판막(114)의 원위 단부이고, 유입 단부(119)는 인공 판막(114)의 근위 단부이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판막의 전달 접근법에 따라, 유출 단부는 인공 판막의 근위 단부일 수 있고, 유입 단부는 인공 판막의 원위 단부일 수 있다.
용어 "유출"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예를 들어 판막 종축(20)과 유출 단부(117) 사이에서 혈액이 판막(114)을 통해 그 외부로 유동하는 인공 판막의 영역을 칭한다.
용어 "유입"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예를 들어 유입 단부(119)와 판막 종축(20) 사이에서 혈액이 판막(114) 내로 유동하는 인공 판막의 영역을 칭한다.
판막(114)은 상호 연결된 지주(121)로 구성된 프레임(120)을 포함하고, 스테인리스 강, 코발트-크롬 합금(예를 들어, MP35N 합금), 또는 니티놀과 같은 니켈 티타늄 합금과 같은 다양한 적합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지주(121a)와 같은 지주(121)는 격자형 패턴으로 배열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지주(121a)는 판막(114a)이 팽창 위치에 있을 때, 판막 종축(20)에 대해 대각선으로, 또는 소정 각도로 오프셋되고,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위치된다. 지주(121a)는 판막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과 같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것들과는 다른 각도만큼 오프셋될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주(121)는 서로 피봇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주(121)의 단부 부분은 유출 단부(117)에서 정점(125)을 형성하고 유입 단부(119)에서 정점(126)을 형성한다. 지주(121)는 유출 정점(125)과 유입 정점(126) 사이에 형성된 부가의 접합부(124)에서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접합부(124)는 서로로부터 및/또는 각각의 지주(121)의 길이를 따라 정점(125, 126)으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될 수 있다.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의 프레임(120a)과 같은 프레임(120)은 정점(125, 126) 및 지주(121)의 접합부(124)의 영역에 개구 또는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힌지는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리벳 또는 핀과 같은 체결구를 통해 지주(121)의 구멍이 서로 중첩하는 장소에 포함될 수 있다. 힌지는 프레임(120)이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거나 압축될 때 지주(121)가 서로에 대해 피봇하게 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지주는 각각의 힌지를 통해 서로 커플링되지 않지만,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 팽창 또는 압축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하거나 굴곡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레임(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프레임(120b))은, 힌지 등의 부재시에 반경방향으로 접힘/팽창하는 능력을 보유하면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저 절단, 전주 도금 및/또는 물리 기상 증착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금속 튜브와 같은 재료의 단일 단편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지주 부분(122)은 동일한 지주(121)를 따라 2개의 연속적인 접합부(124) 사이, 또는 접합부(124)와 정점(125, 126) 사이와 같이, 인접한 접합부(124) 사이에 형성된다. 프레임(120)은 교차 지주 부분(122)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셀(127)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셀(127)의 형상, 및 그 경계를 형성하는 각각의 교차 지주 부분(122) 사이의 각도는 인공 판막(114)의 팽창 또는 압축 중에 변한다.
인공 판막(114)은 유입 단부로부터 유출 단부로 인공 판막(114)을 통한 혈액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첨판(129), 예를 들어 3개의 첨판을 갖는 첨판 조립체(128)를 더 포함한다. 자연 대동맥 판막과 유사한 삼첨판 배열로 접히도록 배열된 3개의 첨판(129)이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지만, 인공 판막(114)은 특정 용례에 따라, 자연 승모 판막과 유사한 이첨 배열로 접히도록 구성된 2개의 첨판, 또는 3개 초과의 첨판과 같은 임의의 다른 수의 첨판(129)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첨판(129)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730,118호, 제6,767,362호 및 제6,908,481호에 설명되어 있는 생물학적 재료(예를 들어, 소의 심막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의 심막), 생체 적합성 합성 재료,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로부터 유도된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첨판(129)은 맞교차부(130)를 통해 프레임(120)에 직접 커플링되고 또는 맞교차 기둥과 같이, 프레임(120)에 연결되거나 그 내부에 매립된 다른 구조적 요소에 부착될 수도 있다. 첨판이 그 프레임에 장착될 수도 있는 방식을 포함하여 인공 판막에 관한 추가의 상세는 미국 특허 제7,393,360호, 제7,510,575호, 제7,993,394호 및 제8,252,202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62/614,299호에 설명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114)은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내부 스커트(132)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스커트 또는 밀봉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스커트(132)는 예를 들어, 판막주위 누출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밀봉 부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프레임(120)의 내부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내부 스커트(132)는 또한 프레임(120)에 대한 첨판(129)을 위한 고정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예를 들어 판막 크림핑 중에 또는 인공 판막(114)의 작업 사이클 중에, 프레임(120)과의 접촉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손상에 대해 첨판(129)을 보호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인공 판막(114)은, 예를 들어 인공 판막(114)이 그에 대해 장착되는 자연 고리의 주위 조직과 프레임(120) 사이에 보유된 밀봉 부재로서 기능하여, 이에 의해 인공 판막(114)을 지나는 판막주위 누출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프레임(120)의 외부면 상에 장착된 외부 스커트(133)(예를 들어, 도 17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스커트(132) 및/또는 외부 스커트(133) 중 임의의 것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합성 재료(예를 들어, PET) 또는 자연 조직(예를 들어, 심막 조직)과 같은 다양한 적합한 생체 적합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막(114a)의 팽창을 용이하게 하고, 몇몇 경우에 판막을 팽창 상태로 로킹하여, 그 비의도적 재압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프레임(120a)의 내부면에 장착되고 그 주위에 균등하게 이격된 3개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이한 수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가 이용될 수도 있고,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는 그 외부면 주위에서 프레임(120a)에 장착될 수 있고, 액추에이터 조립체(134)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의 분해 사시도, 조립 사시도 및 측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는 제1 장소에서 프레임(120a)과 같은 판막(114a)의 구성요소에 고정된 외부 부재 루멘(139)을 형성하는 외부 부재(136), 및 제1 장소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2 장소에서 프레임(120a)과 같은 판막(114a)의 구성요소에 고정된 내부 부재(1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부재(144)는 내부 부재 근위 단부 부분(145) 및 내부 부재 원위 단부 부분(146) 사이에서 연장된다. 내부 부재(144)는 비첨단 접합부(124) 또는 정점(125, 126)에서 교차하는 지주(121)의 각각의 개구 또는 구멍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 부분(146)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핀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는, 그 원위 단부 부분(158)으로부터 연장하는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를 포함한다. 내부 부재(144)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복수의 래칫팅 치형부(148)를 갖는 선형 래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부재(144)는 그 외부면의 일부를 따라 복수의 래칫팅 치형부(148)를 더 포함한다.
외부 부재(136)는 그 루멘(139)의 근위 개구를 형성하는 외부 부재 근위 단부 부분(137), 및 그 루멘(139)의 원위 개구를 형성하는 외부 부재 원위 단부 부분(138)을 포함한다. 외부 부재(136)는 비첨단 접합부(124) 또는 정점(125, 126)에서 교차하는 지주(121)의 각각의 개구 또는 구멍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근위 단부 부분(137)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하는 핀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는, 그 근위 단부 부분(137)으로부터 연장하는 외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부재(136)는, 외부 부재(136)의 일 측벽에 부착되거나 그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부재 루멘(139) 내에 배치될 때 내부 부재(144)를 향해 내향으로 편향된, 치형부 또는 폴(143)을 그 대향 단부에 갖는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또는 외부 부재(144 또는 136) 각각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대응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는 래칫 메커니즘 또는 래칫 조립체를 포함하고, 폴(143)은 내부 부재(144)의 치형부(14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은 내부 부재(144)의 래칫팅 치형부(148)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로킹 치형부 형태의 폴(143)에서 종료하는 세장형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폴(143)은 치형부(148)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어, 폴(143)은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에 대해 일 방향(예시된 실시예에서 근위 방향)으로 내부 부재(144)의 활주 이동을 허용하고 폴(143)이 치형부(148) 중 하나와 맞물릴 때 반대 방향(예시된 실시예에서 원위 방향)으로 내부 부재(144)의 활주 이동을 저지한다.
도 3c를 다시 참조하면, 아암(142)은 폴(143)이 내부 부재(144)의 치형부(148) 중 하나와 맞물리는 위치(폴(143)의 맞물림 위치라 칭할 수 있음)에 탄성적으로 보유되도록 내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은 폴(143)을 통해 내부 부재(144)의 외부면의 대향 측면 위로 연장하여 접촉하는 외부 부재(136)의 가요성 또는 탄성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은, 외부 부재(136)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이후에 외부 부재(136)에 연결될 수 있는 판 스프링의 형태일 수 있다.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은, 정상 동작 하에서, 폴(143)이 내부 부재(144)의 래칫팅 치형부(148)와 맞물린 상태로 남아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내부 부재(144)의 외부면에 대해 편향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기계적 팽창 가능 인공 판막(114a)은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의 수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조립체(150), 및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작동 조립체(150)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 가능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공 판막(114)은 3개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102a)는 3개의 작동 조립체(150)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51) 및 슬리브(153)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공개 번호 제2018/0153689호, 제2018/0153689호 및 제2018/0325665호에 추가로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120a)을 반경방향으로 팽창 및 수축하기 위해 신축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1)는 예를 들어, 와이어, 케이블, 로드 또는 튜브일 수 있다. 슬리브(153)는 예를 들어, 이들이 굴곡 또는 좌굴 없이 프레임(120a) 또는 외부 부재(136)에 원위 방향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튜브 또는 외장일 수 있다.
내부 부재 근위 단부 부분(145)은 대응 액추에이터(152)의 원위 단부 부분(152)(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되어 있음)의 나사산 형성 부분을 수용하고 나사 결합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내부 부재 나사산 형성 보어(147)를 더 포함한다. 도 2b는 전달 장치(102a)의 액추에이터(151)(슬리브(153) 내에서 가려져 있음)에 연결된 그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갖는 팽창 상태의 판막(114a)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액추에이터(151)가 내부 부재(144) 내로 나사 결합될 때, 액추에이터(151)의 축방향 이동은 동일한 방향으로 내부 부재(144)의 축방향 이동을 야기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작동 조립체(150)는, 인공 판막(114a)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인공 판막(114a)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인공 판막(114a)을 팽창시키기 위해 작동 조립체(150)를 통한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의 작동을 나타내는 비바인딩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제1 장소에서 프레임(120a)에 고정된 외부 부재(136) 및 제2 장소에서 프레임(120a)에 고정된 내부 부재(144)를 갖는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장소는 유출 단부 부분(116)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2 장소는 유입 단부 부분(118)에 또는 그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부재(136)는 외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0)를 통해 유출 정점(125) 또는 유출 단부(117)에 원위측에 있는 최근위 비첨단 접합부(124a)에 고정되고, 내부 부재(144)는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를 통해 유입 정점(126) 또는 유입 단부(119)에 근위측에 있는 최원위 비첨단 접합부(124c)에 고정된다. 내부 부재(144)의 근위부는 외부 부재 원위 단부(138)의 원위 개구를 통해 외부 부재 루멘(139) 내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는 제1 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최근위 비첨단 접합부(124a)에, 그리고 제2 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최원위 비첨단 접합부(124c)에 고정된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위한 것이지만, 다른 구현예에서,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는 판막의 정점을 포함하는 다른 접합부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팽창 및 로킹 조립체는 제1 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외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0)를 통해 유출 정점(125)에, 그리고 제2 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를 통해, 셀의 동일한 열을 따라 대향 유입 정점(126)에 고정될 수 있다.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는 판막(114a)의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 도 4a에 도시되어 있고, 유출 및 유입 정점(125, 126)은 각각 축방향을 따라 서로로부터 비교적 이격되고, 내부 부재 근위 단부 부분(145)은 외부 부재 근위 단부 부분(137)에 대해 원위측에 위치된다.
도 4a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원위 단부 부분(152)은 내부 부재 나사산 형성 보어(147)와 나사 결합식으로 맞물린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원위 단부 부분(152)은 내부 부재 나사산 형성 보어(147)의 내부 나사산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외부 나사산을 포함한다.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부재는, 액추에이터 내에 형성된 원위 보어의 내부 나사산 내에 수용되어 맞물리도록 구성된(실시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외부 나사산이 제공된 근위 연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슬리브(153)는 액추에이터(151)를 둘러싸고 전달 장치(102a)의 핸들(110a)에 연결될 수도 있다. 슬리브(153) 및 외부 부재(136)는 슬리브(153)의 원위 립(154)이 외부 부재 근위 단부(137)에 맞접하거나 맞물릴 수 있어, 외부 부재(136)가 슬리브(153)를 넘어 근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도록 크기 설정된다.
프레임(120a), 및 따라서 판막(114a)을 반경방향으로 팽창하기 위해, 슬리브(153)는 외부 부재(136)에 대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1)는 이어서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근위측 배향 방향(14)으로 견인될 수 있다. 슬리브(153)는 제1 장소에서 프레임(120a)에 연결된 외부 부재(136)에 대해 유지되기 때문에, 프레임(120a)의 유출 단부(117)는 슬리브(153)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근위측 배향 방향(14)으로의 액추에이터(151)의 이동은 동일한 방향에서 내부 부재(144)의 이동을 야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프레임(120a)이 축방향으로 단축되고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게 한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는 원위 비첨단 접합부(124c)에서 상호 연결된 2개의 지주(121a)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반면 외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0)는 근위 비첨단 접합부(124a)에서 상호 연결된 2개의 지주(121a)의 구멍을 통해 연장된다. 이와 같이, 내부 부재(144)가 외부 부재 루멘(139) 내에서 축방향으로, 예를 들어 근위측 배향 방향(14)으로 이동될 때,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는 내부 부재(144)와 함께 이동하여, 이에 의해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데, 이는 이어서 프레임(120a)이 축방향으로 단축되고 반경방향으로 팽창되게 한다.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가 연결된 지주(121a)는 프레임(120a)이 팽창되거나 압축될 때 커플링 연장부(149)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한다. 이 방식으로, 내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9)는 이들 지주(121a) 사이에 피봇 가능 연결부를 형성하는 체결구로서 역할을 한다. 유사하게, 외부 부재 커플링 연장부(140)가 연결된 지주(121a)는 또한 프레임(120a)이 팽창되거나 압축될 때 커플링 연장부(140)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피봇한다. 이 방식으로, 외부 부재 커플링 체결 연장부(140)는 또한 이들 지주(121a) 사이에 피봇 가능 연결부를 형성하는 체결구로서 역할을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의 폴(143)이 래칫팅 치형부(148)와 맞물릴 때, 내부 부재(144)는 근위측 배향 방향(14)과 같은 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대향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는 폴(143)이 래칫팅 치형부(148)와 맞물리는 동안, 프레임(120a)이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지만 반경방향으로 압축될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인공 판막(114a)이 환자 내에 이식된 후, 프레임(120a)은 액추에이터(151)를 견인함으로써 원하는 직경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작동 메커니즘은 또한 인공 판막(114a)의 로킹 메커니즘으로서 역할을 한다.
일단 인공 판막(114a)의 원하는 직경이 도달되면, 액추에이터(151)는 도 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 부재(144)로부터 액추에이터(151)를 나사 풀림하기 위해, 예를 들어 회전 방향(16)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은 내부 부재 나사산 형성 보어(147)로부터 액추에이터(151)의 원위 나사산 형성 부분(152)을 맞물림 해제하여, 작동 조립체(150)가 견인 이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환자의 신체로부터 전달 장치(102a)와 함께 후퇴되어, 인공 판막(114a)을 환자 내에 이식된 상태로 남겨두는 역할을 한다. 경도관 대동맥 판막 이식의 경우 자연 대동맥 고리와 같은 환자의 자연 해부학 구조는 인공 판막을 압축하려고 노력하는 반경방향 힘을 인공 판막(114a)에 대해 인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스프링 편향된 아암(142)의 폴(143)과 내부 부재(144)의 래칫팅 치형부(148) 사이의 맞물림은 이러한 힘이 프레임(120a)을 압축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에 의해 프레임(120a)이 원하는 반경방향 팽창 상태에서 로킹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인공 판막(114a)은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의 작동시에, 도 4a에 도시되어 있는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반경방향으로 팽창 가능하고, 이러한 작동은 판막(114a)의 제2 장소를 제1 장소에 근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인공 판막(114a)은 또한 그에 부착된 대응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의 각각으로부터 작동 조립체(150)의 각각을 디커플링함으로써 전달 장치(102a)로부터 해제 가능하다.
프레임(120a)이 외부 부재(136)에 대해, 근위측 배향 방향(14)으로 내부 부재(144)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반경방향 외향으로 팽창하는 것으로 상기에 도시되어 있지만, 유사한 프레임 팽창이 내부 부재(144)에 대해 원위측 배향 방향으로 외부 부재(136)를 축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작동 조립체(150)와 내부 부재(144) 사이의 선택적인 가역적 부착 메커니즘으로서 역할을 하는 나사 결합 맞물림이 상기 실시예에서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이식 시술의 단부에서 환자의 신체로부터 전달 장치의 후퇴를 허용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그 사이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면서, 내부 부재(144)가 작동 조립체(150)에 의해 견인되거나 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다른 가역적 부착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의 원위 단부 부분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부재 보어는 액추에이터의 원위 단부 부분이 그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대응 자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10)은 전달 장치(102)의 상이한 구성요소의 축방향 및/또는 회전 가능 이동을 생성하기 위해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 가능한 조향 가능 또는 회전 가능 노브, 레버, 버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는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10a)은 조작자에 의해 회전될 때 액추에이터(151)를 견인하는 데 효과적인 수동으로 회전 가능한 제어 노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수동 제어 노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10) 내의 제어 메커니즘 및/또는 전달 장치(102)의 다른 구성요소는 전기식, 공압식 및/또는 유압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10)은 전달 장치(102)의 구성요소의 이동을 생성하기 위해, 예로서 핸들(110) 상의 버튼 또는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조작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전기 모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10a)은 작동 조립체(150)의 구성요소의 선형 이동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터, 및/또는 작동 내부 부재 나사산 형성 보어(147)로부터 액추에이터 원위 단부 부분(152)을 분리하기 위해 액추에이터(151)의 회전 이동을 생성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수동 또는 전기 제어 메커니즘은 모든 액추에이터(151)의 동시 선형 및/또는 회전 이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의 내부 및 외부 부재 사이에 래칫팅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특정 작동 메커니즘이 전술되었지만, 다른 메커니즘이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또는 다른 맞물림 메커니즘을 통해, 팽창 및 로킹 조립체의 내부 및 외부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을 촉진하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 및 그 전달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추가의 상세는 그 모두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9,827,093호,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19/0060057호, 제2018/0153689호 및 제2018/0344456호, 및 미국 특허 출원 제62/870,372호 및 제62/776,348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식 전에, 인공 판막(114)은 전달 장치(102) 상에 크림핑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 단계는 외부 샤프트(104)에 의해 또는 외부 캡슐(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압축된 판막(114)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자연 고리와 같은 이식 부위로 전달되면, 판막(114)은, 예를 들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 상기에 설명된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를 작동시킴으로써 고리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식 시술 동안, 인공 판막(114a)을 재위치시키기 위해 이를 제위치에서 재압축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될 수도 있다. 판막 재압축은, 예를 들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이 아직 로킹 상태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폴(143)이 치형부(148)와 맞물리기 전에 특정 거리를 따른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내부 부재(144)를 따라 충분한 평활한 길이(즉, 래칫팅 치형부(148)가 없음)를 제공함으로써 달성 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전달 조립체(100a)는 판막 압축을 가능하게 할 것인 가역적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치형부(148)로부터 폴(143)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해제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10)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160)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실시간으로 판막 팽창 직경을 나타내는 측정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111a)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11a)은 비한정적으로,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및/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1a)은 전기 또는 전기 광학 회로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장치(102)는 제어 유닛(111a)과 통신하는 굽힘 감지 조립체(156)를 더 포함한다.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a)은 인공 판막(114)의 적어도 하나의 지주(121)의 각도 변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판막(114)의 개방각과 같은 각도가 유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주(121)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한다. 개방각은 판막 직경의 실시간 표시를 제공하기 위해 판막 팽창 직경과 상관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커플링, 맞물림 및 부착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유사하게,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디커플링, 맞물림 해제, 및 탈착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이제, 굽힘 감지 조립체(156)를 갖춘 전달 조립체(100)를 이용하는 상이한 선택적인 스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한다. 첨판 조립체(128) 및 스커트(132)는 명확성을 위해 도 5a 내지 도 14e에 생략되어 있다. 도 5a는 이식 부위로의 전달 중에 외부 샤프트(104)의 원위부 내에서 압축 또는 크림핑 상태로 보유된 인공 판막(114)을 운반하는 전달 조립체(100)의 원위부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외부 샤프트(104)의 원위부는 크림핑된 인공 판막(114)을 커버하는 전달 캡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원하는 이식 부위에 도달시에, 외부 샤프트(104)는 후퇴되어 인공 판막(114)을 노출할 수 있다. 도 5a는 유입 단부 부분(118)과 같은 판막(114)의 원위부를 노출시키는 외부 샤프트(104)의 부분 후퇴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노출된(즉, 더 이상 외부 샤프트(104)에 의해 커버되지 않음) 인공 판막(114)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특정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과 같은 특정 인공 판막(114)은 캡슐 또는 외부 샤프트(104) 외부로 연장될 때 그 부분 팽창을 촉진하는 내부 탄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c는 예를 들어 그 부분 팽창 또는 완전 팽창 직경으로 더 팽창된 판막(114)을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를 포함한다. 플렉스 센서(170)는 플렉스 센서 근위 단부(172)와 플렉스 센서 원위 단부(173) 사이에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은 전기 및/또는 광학 출력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굽힘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그 전기 저항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굽힘에 응답하여 변하도록 전기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11a)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를 통해 유동하는 전류를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에서의 전압은 그 굽힘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제어 유닛(111a)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를 가로지르는 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에서의 전류는 그 굽힘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근위 단부(172)와 원위 단부(173) 사이에서 전송되는 광의 양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굽힘에 응답하여 변하도록 광학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이 원위 단부(173)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에서의(예를 들어, 근위 단부(172)에서의) 광량은 그 굽힘을 나타낸다.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핸들(110)로부터 통신 채널 원위 단부(161)까지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제어 유닛(111a)에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16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통신 채널"은 그를 통한 통신을 허용하는 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은 와이어와 같은 전도성 재료를 통한 전기 통신; 및/또는 예를 들어 광섬유를 통한 광학 통신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채널 원위 단부(161)는 인터페이스(164)에서 각각의 플렉스 센서 근위 단부(172)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각각의 통신 채널(160)은 핸들(110) 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164)에서 플렉스 센서(170)에 커플링될 때, 통신 채널(160)은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으로부터 제어 유닛(111a)을 향해 신호(전기 및/또는 광학 신호)를 전도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경우에, 통신 채널(160)은 플렉스 센서(17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채널(160)은 플렉스 센서(170)의 연속적인 연장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 채널(160) 및 플렉스 센서(170)는 인터페이스(164)에서 서로 부착된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160)은 플렉스 센서(170)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핸들(110)로부터 센서 샤프트 원위 단부(159)까지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센서 샤프트(158)를 더 포함하고, 통신 채널(160)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을 통해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160)은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몇몇 구성에서, 인터페이스(164)는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 내에 위치될 수도 있어, 플렉스 센서(170)의 근위부는 센서 샤프트(158) 내에 배치되고, 반면 플렉스 센서(170)의 잔여부는 센서 샤프트(158) 외부로 연장되게 된다. 몇몇 구성에서, 인터페이스(164)는 센서 샤프트 원위 단부(159)에 대해 원위측에 위치될 수도 있어, 통신 채널(160)의 원위부 및 플렉스 센서(170)의 전체 길이가 센서 샤프트(158) 외부로 연장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판막 팽창 또는 압축 중에 그 각도 이동 및/또는 각도 배향을 측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지주(121), 예를 들어 지주 부분(122)에 커플링된다. 적어도 하나의 지주(121), 더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주 부분(122)의 각도 이동 및/또는 각도 배향은 판막 종축(20) 또는 센서 샤프트 축(22)과 같은 축에 대해, 및/또는 다른 교차 지주(121) 또는 지주 부분(122), 액추에이터 외부 부재(136), 맞교차 기둥(예를 들어, 외부 부재(136) 또는 임의의 다른 맞교차 기둥), 프레임의 수직 부분 등과 같은 판막(114)의 다른 구조적 구성요소에 대해 측정될 수도 있다.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는 2개의 교차 지주(121), 더 구체적으로 2개의 교차 지주 부분(122)에 커플링된 2개의 플렉스 센서(170)를 포함하는 굽힘 감지 조립체(156)를 도시하고 있다. 이 구성은 몇몇 용례에 유리할 수도 있지만, 단일 플렉스 센서 또는 2개 초과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여, 임의의 다른 수의 플렉스 센서(170)가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플렉스 센서(170a) 및 제2 플렉스 센서(170b)는 접합부(124)에서 교차하는 제1 지주(121a)의 제1 지주 부분(122a) 및 제2 지주(121b)의 제2 지주 부분(122b)에 각각 커플링된다. 몇몇 용례에서, 교차 접합부는 유출 정점(125)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채널(160a)은 제1 플렉스 센서(170a)에 커플링되고, 제2 통신 채널(160b)은 제2 플렉스 센서(170b)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 채널(160a)은 단일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복수의 센서 샤프트(158)를 포함하여, 각각의 통신 채널(160)은 각각의 상이한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게 된다.
센서 샤프트 축(22)은 센서 샤프트 원위 단부(159)에서 개구의 평면에 직교하는 종축으로서 형성된다.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막(114)이 팽창할 때, 제1 각도(α1)가 제1 지주 부분(122a)과 센서 샤프트 축(22)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제1 각도(α2)가 제2 지주 부분(122b)과 센서 샤프트 축(22)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어, 제1 및 제2 각도(α1, α2) 각각의 합은 교차 접합부(124)에서 2개의 교차 지주(121a, 121b) 사이에 형성된 개방각(β)를 생성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는 각각의 지주(121)에(예를 들어, 각각의 지주 부분(122)에)에 커플링된 굴곡 부분(180), 및 교차 접합부(124)에 근위측에서 연장하는 비굴곡 부분(181)을 포함하고, 각각의 굴곡 부분(180)은 지주(121)와 함께(예를 들어, 지주 부분(122)을 따라), 비굴곡 부분(181)에 대해 굴곡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비굴곡 부분(181a) 및 제2 비굴곡 부분(181b)은, 이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도록 서로 정렬된다.
양 요소가 서로에 대해 5도 이하의 각도로 각형성되면, 하나의 요소는 다른 요소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고 한다.
통상적으로, 센서 샤프트 축(22)은 제1 비굴곡 부분(181)의 종축과 동일선상에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각도(α1)는 제1 굴곡 부분(180a)의 종축과 제1 비굴곡 부분(181a)의 종축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제1 각도(α2)는 제2 굴곡 부분(180b)의 종축과 제2 비굴곡 부분(181b)의 종축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어, 제1 및 제2 각도(α1, α2) 각각의 합이 제1 굴곡 부분(180a)의 종축과 제2 굴곡 부분(180)의 종축 사이에 형성된 개방각(β)을 생성하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샤프트 원위 단부(159)는 접합부(124)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인터페이스(164)는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 내에 배치되어, 판막 팽창시에, 센서 샤프트 원위 단부(159)가 굴곡 부분(180a, 180b)을 위한 받침점으로서 작용하게 되어, 인터페이스(164a, 164b)와 센서 샤프트 원위 단부(159a, 159b) 각각 사이의 비굴곡 부분(181a, 181b)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다.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188)는 봉합사, 밴드, 슬리브, 스냅 끼워맞춤 부재, 접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188)는, 플렉스 센서(170)의 자발적인 변위를 방지하고, 여전히 예를 들어 판막 팽창 또는 압축 중에 또는 판막(114)으로부터 플렉스 센서(170)를 후퇴시키기 위해 견인력의 인가 중에, 지주(121) 위의 그리고 그에 대한 플렉스 센서(170)의 축방향 이동 또는 활주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플렉스 센서(170)를 지주(121)에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비부착 커플링 부재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188)는 예를 들어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 플렉스 센서(170)를 지주(121)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착 커플링 부재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복수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하나 초과의 유형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적어도 하나의 부착 커플링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플렉스 센서(170)는 교차 접합부(124)의 부근과 같은 근위측 부착 지점에서 접착, 용접, 리벳팅 등에 의해, 그리고 부착 커플링 부재의 원위측에 있는 봉합사 루프, 튜브, 슬리브, 밴드, 레일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에 의해 지주(12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플렉스 센서(170)는 부착 지점에서 지주(121)에 부착될 수도 있고, 반면 플렉스 센서(170)의 잔여부는 플렉스 센서(170)가 판막 팽창 중에 과도하게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각이 변경함에 따라 지주(121) 위로 활주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단지 비부착 커플링 부재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플렉스 센서(170)는 그 사이의 자발적인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플렉스 센서(170)와 지주(121) 주위에 단단히 루프 형성된 복수의 이격된 봉합사 루프 또는 밴드를 통해 지주(121)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플렉스 센서(170)는 판막 팽창(또는 수축) 또는 플렉스 센서(170) 상에 커플링 부재(188)에 의해 인가된 마찰력을 초과하는 후퇴력의 인가 중에, 지주(121)에 대해 커플링 부재(188) 내에서 활주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하나 초과의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스 센서(17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 및 제1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의 원위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를 통해 지주(121)에 커플링되고, 제1 유형의 비부착 부재는, 제2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 내의 또는 그를 따른 이러한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높은 후퇴력의 인가시에, 지주(121)로부터 플렉스 센서(170)를 해제하거나 그에 대한 플렉스 센서(170)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플렉스 센서(170)는 교차 접합부(124)의 부근과 같은, 근위측 부착 지점에서 해제 가능한 스냅 끼워맞춤 부재의 형태의 제1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에 의해, 그리고 제1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의 원위측에 있는 봉합사 루프, 튜브, 슬리브, 밴드, 레일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에 의해 지주(12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플렉스 센서(170)는 스냅 끼워맞춤 커플링 부재에서 지주(121)에 대해 이동 불가능할 수도 있고, 반면 플렉스 센서(170)의 잔여부는 개방각이 변경됨에 따라 지주(121) 위로 활주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단 팽창이 완료되고 판막(114)으로부터 플렉스 센서(170)의 제거가 요구되면, 핸들(110)은 또한 판막 팽창 중에 인가되는 힘보다 더 큰 힘 크기로 센서(170)를 후퇴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고, 견인력은 플렉스 센서(170)가 지주(121)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스냅 끼워맞춤 부재(188)를 탈착하기에 충분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114)은 또한 인공 판막(114)으로부터 각각의 플렉스 센서 조립체(156)의 적어도 일부를 디커플링함으로써 전달 장치(102)로부터 해제 가능하다. 몇몇 용례에서, 각각의 플렉스 센서 조립체(156)의 적어도 일부를 디커플링한다는 것은, 그에 커플링된 상태로 남아 있는 플렉스 센서(170)를 갖고, 또는 그로부터 디커플링될 수도 있는 플렉스 센서(170) 없이, 적어도 통신 채널(160)이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판막(114)은 그것이 부착된 대응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각각의 통신 채널(160)을 디커플링함으로써 전달 장치(102)로부터 해제 가능하고, 반면 플렉스 센서(170)는 각각의 지주(121)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판막(114)은 또한, 예를 들어 플렉스 각각의 커플링 부재(188)에 의해 그에 인가된 마찰력을 극복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플렉스 센서(170)를 견인함으로써, 그것이 커플링된 지주(121)로부터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를 디커플링함으로써 전달 장치(102)로부터 해제 가능하다.
제어 유닛(111a)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114)의 직경을 연속적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은 디스플레이(113a) 및/또는 LED 조명(113b)과 같은 시각적 인터페이스(112)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디스플레이(113a)는 판막 현재 직경을 나타내는 수치 값, 뿐만 아니라 다른 아이콘, 문자 메시지 또는 그래픽 기호를 제시할 수도 있는 디지털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각적 인터페이스(112)는 사용자에게 현재 판막 직경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LED 조명(113b), 램프 또는 다른 시각적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은, 인공 판막(114)이 이식 시술 중에 팽창 및/또는 압축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시각적 인터페이스(112) 상에 인공 판막(114)의 직경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은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원시 신호 데이터 또는 계산된 데이터와 같은 선택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은 이식 시술 동안 메모리 내에 데이터를 로깅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은 메모리로부터 로깅된 데이터, 및/또는 실시간 데이터를 원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스 센서(170)는, 예를 들어 통신 채널(160)을 통해 제어 유닛(111a)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고, 제어 유닛(111a)이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을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a)은 굽힘의 크기 또는 정도와 같은 측정값을 유도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1a)은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전기적 및/또는 광학적 측정을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한다. 이들 측정값은 판막 팽창 직경 또는 직경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대리 인덱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은 자연 고리 내에서 판막 과대 팽창의 이벤트시에 조작자(예를 들어, 임상의)에게 경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개방각(β)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에 의해 측정된 굴곡의 정도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각(β)은 선택적으로 2개의 교차 지주(121)에 커플링된 적어도 2개의 플렉스 센서(170)로부터의 굽힘 측정값으로부터 유도된다. 개방각(β)은 판막 팽창 직경과 상관되고, 하나 이상의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다. 결과에 따라(예를 들어, 관련 임계값이 초과되면), 판막 과대 팽창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경보는 가청 경보, 시각 경보, 촉각 경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굴곡 및 굽힘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개방각과 판막 팽창 직경 사이의 공지된 관계가 제어 유닛(111a)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판막(114)의 팽창 직경의 수치 값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는 수학 공식, 그래프, 및/또는 테이블 중 임의의 것에 기초하여 개방각(β)으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직경의 시각적 표시가 디지털 스크린(113a)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고, 수치 값, 아이콘 또는 다른 그래픽 기호,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은 또한 미리 프로그래밍된 팽창/수축 알고리즘에 따라, 인공 판막(114a)을 팽창 및/또는 수축하기 위해, 작동 조립체(150) 및/또는 재압축 조립체(18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핸들(110a)은 판막(114a)을 점진적으로 팽창하도록 조작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이 스테이지에서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에 부착된 액추에이터(151)를 견인함으로써). 판막(114)의 팽창 중에,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판막 직경이 그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는 굽힘 신호를 제어 유닛(111a)에 제공한다. 데이터는 제어 유닛(111a)에 의해 해석될 수도 있고, 핸들(11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13a) 또는 LED 조명(113b)을 통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실시간 판막 팽창 직경을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된 해석 데이터는 임상의가 이식 시술의 다음 요구된 단계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보조하거나, 판막 직경을 자동으로 팽창 또는 조정하기 위해 제어 유닛(111a)에 의해 실행되는 알고리즘에 대한 입력 데이터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일단 판막(114)이 충분히 팽창되면, 핸들(110)은 또한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막(114a)으로부터 작동 조립체(150)를 해제하고, 그리고/또는 판막(114)으로부터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적어도 일부를 디커플링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a) 및/또는 시각적 인터페이스(112)는, 예를 들어 와이어/케이블을 사용하여,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그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전달 장치(102)로부터 분리된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부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 및/또는 시각적 인터페이스(112)는 핸들(110) 내에 통합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11a)의 프로세서 및 다른 전기 구성요소는 핸들(110)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시각적 인터페이스(112)는 이식 시술 중에 임상의에 의해 볼 수 있도록 핸들(110)의 외부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각도(α1)는 센서 샤프트 축(22)에 대한 제1 플렉스 센서(170a)의 굴곡 측정 신호로부터 유도되고, 제2 각도(α2)는 센서 샤프트 축(22)에 대한 제2 플렉스 센서(170b)의 굴곡 측정 신호로부터 유도되고, 센서 샤프트 축(22)은 판막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센서 샤프트 축(22)이 실제로 판막 팽창 중에 판막 종축(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된다면,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가 개방각(β)을 유도하기에 충분할 수도 있다고 주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렉스 센서(170a)와 같은 단일 플렉스 센서가 제1 각도(α1)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제1 각도는 이러한 경우에 제2 각도(α2)와 동일해야 하고, 따라서 제1 각도(α1)의 간단한 곱셈으로부터 개방각(β)의 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센서 샤프트 축(22)의 배향이 판막 팽창 전체에 걸쳐 예측 가능하거나 일정한 것이 보장될 수 없는 경우, 개방각(β)의 정확한 유도를 보장하기 위해, 굽힘 감지 조립체(156)가 하나 초과의 플렉스 센서(170a)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될 수도 있다. 도 6a는 단일 지주(121a)에 커플링된 단일 플렉스 센서(170a)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노즈콘(109) 및 노즈콘 샤프트(108)는 명확성을 위해 도 6a 내지 도 14e의 뷰로부터 생략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센서 샤프트 축(22)은 판막 종축(20)에 대해 비평행 배향(예를 들어, 각형성됨)으로, 또는 판막 종축(20)에 평행한 임의의 축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센서 샤프트 축(22)의 배향이 알려져 있고, 판막 팽창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면, 단일 플렉스 센서(170a)는 센서 샤프트 축(22)에 대한 단일 각도(α1)로부터 개방각(β)의 유도를 위해 여전히 충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센서 샤프트 축(22)이 결정될 수 없으면, 더 구체적으로, 센서 샤프트(158)의 배향, 따라서 센서 샤프트 축(22)의 배향이 판막 이식 시술 중에 변경을 받게 되면, 개방각(β)은 단일 각도(α1)로부터만으로는 정확하게 유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b는 제1 지주(121a)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170a), 및 교차하는 제2 지주(121b)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170b)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센서 샤프트 축(22)은 판막 종축(20)에 대해 비평행 배향(예를 들어, 각형성됨)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 개방각(β)은, 센서 샤프트(158) 및 센서 샤프트 축(22)의 상대적인 배향에 무관하게, 임의의 측정 시간 인스턴스에 동일하지 않은 각도(α1, α2)의 합으로부터 유도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유리하게는, 미리 결정된 각도 배향으로의 센서 샤프트(158)의 부착을 요구하지 않고, 개방각(β)의 연속적인 유도를 가능하게 한다.
도 7은 2개의 교차 지주(121a, 121c)에 커플링된 단일 플렉스 센서(170)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렉스 센서(170)는, 예를 들어 제1 지주 부분(122a)을 따라 교차 접합부(124c)까지 연장하는, 제1 지주(121a)에 커플링된 제1(예를 들어, 근위) 굴곡 부분(180a), 및 예를 들어 교차 접합부(124c)로부터 제2 지주 부분(122c)을 따라 연장하는, 제2 지주(121c)에 커플링된 제2(예를 들어, 원위) 굴곡 부분(180c)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개방각(γ)이 공통 교차 접합부(124c)에서 제1 지주(121a)와 제2 지주(121c) 사이에 형성된다. 팽창 중에, 플렉스 센서(170)는 교차 접합부(124c)에서 V-형상의 정점을 갖는 V-형상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개방각(γ)은 제1 굴곡 부분(180a)에 대한 제2 굴곡 부분(180c)의 굴곡으로부터 유도되고, 이어서 판막 팽창 직경과 상관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개방각(γ)은 예를 들어, 도 6b의 개방각(β)과 상이한 교차 지주(121) 사이에서 측정되지만, 다른 교차 지주(121)와 같은, 그와 교차하는 판막(114)의 다른 구조와 지주(121) 사이에서 측정된 임의의 각도는 판막 팽창 직경과 상관될 수 있는 판막 개방각으로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이아몬드형 셀(127)의 경우,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셀(127)의 임의의 접합부(124)에서의 각각의 각도는 셀(127)의 임의의 다른 각도를 쉽게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방각(β)을 언급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는, 개방각(γ)과 같은 판막(114)의 임의의 다른 개방각에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비굴곡 부분(181)은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 또는 그 임의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외부 부재(136))에 커플링되고, 반면 굴곡 부분(180)은 판막 팽창 또는 수축 중에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에 대해 피봇할 수도 있는 지주(121a)에 커플링된다.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에 대한 비굴곡 부분(181)의 커플링은 직접 커플링 또는 간접 커플링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커플링은,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리벳팅, 또는 다양한 유형의 커플링 부재(188)에 의한 외부 부재(136)에 대한 비굴곡 부분(181)의 직접 부착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간접 커플링은 외부 부재(136)에 대한 센서 샤프트(158)(예를 들어, 그 원위부)의 부착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고, 반면 비굴곡 부분(181)은 센서 샤프트(15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도 8은 단일 플렉스 센서(170a)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센서 샤프트(158)는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 예를 들어 외부 부재(136)에 커플링되고, 플렉스 센서(170a)는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와 교차하는 단일 지주(121a)에 커플링된다. 이 구성에서, 센서 샤프트 축(22)이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일반적으로 판막 종축(20)과 평행함)에 평행하게 배향되어 유지되기 때문에, 단일 플렉스 센서(170a)는 센서 샤프트 축(22)에 대해 단일 각도(α1)로부터 개방각(β)의 유도를 위해 충분할 수 있다.
이제,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 9a 내지 도 14e를 참조한다. 도 9a 내지 도 14e 전체에 걸쳐 도시되어 있는 모든 실시예는 2개의 교차 지주(121)에 커플링된 2개의 플렉스 센서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동일한 실시예는 실제로 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예시된 구성 중 임의의 하나에 따라 인공 판막(114)에 커플링된 단일 플렉스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플렉스 센서(170)는, 예를 들어 통신 채널(160)을 통해 제어 유닛(111a)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도 있고, 제어 유닛(111a)이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을 판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플렉스 센서(170)가 굽힘되는 것에 응답하여,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이 변경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은 광학 신호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광섬유 조립체(257)를 포함하고, 통신 채널은 광학 전도체(260)의 형태로 제공되고, 플렉스 센서는 광학 플렉스 센서(270)의 형태로 제공된다. 광섬유 센서의 이용은 그 경량, 소형 치수, 낮은 전력 소비, 높은 감도, 환경적 견고성 및 낮은 비용으로 인해 유리할 수도 있다.
도 9a는 2개의 광섬유 조립체(257)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제1 광섬유 조립체(257a)는 제1 지주(121a)에 커플링된 제1 광학 플렉스 센서(270a)를 포함하고, 제2 광섬유 조립체(257b)는 제2 지주(121b)에 커플링된 제2 광학 플렉스 센서(270b)를 포함한다. 판막(114a)의 예가 명확성을 위해 단지 2개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만이 있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수(예를 들어, 3개)의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가 고려된다. 도 9b는 도 9a의 영역 9B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전도체(260) 및 각각의 광학 플렉스 센서(27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광섬유 조립체(257)는 핸들(110)로부터 선택적으로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을 통해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까지 연장하는 광학 전도체(260), 및 광학 전도체(260)에 대해 원위측에 있고 각각의 지주(121)에(예를 들어, 지주 섹션(122)에) 커플링된 광학 플렉스 센서(270)를 포함한다. 각각의 광학 전도체(260)는 광학 전도체 클래딩(262)에 의해 둘러싸인 광학 전도체 코어(263)를 포함하고, 각각의 광학 플렉스 센서(270)는 광학 센서 클래딩(274)에 의해 둘러싸인 광학 센서 코어(276)를 포함한다. 광학 전도체(260) 및/또는 광학 플렉스 센서(270)의 각각은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부가적인 보호 버퍼로서 역할을 하는 주위 폴리머 버퍼 코팅(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클래딩(262, 274) 주위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전도체(260)의 외경은 광학 플렉스 센서(27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전도체 코어(263)의 외경은 광학 센서 코어(276)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특정 척도를 언급할 때 용어 '실질적으로 동일'은 측정값의 10% 이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의 직경이 제2 직경의 90% 내지 110% 경계 내에 있으면, 하나의 구성요소의 직경은 제2 구성요소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 및 도 9b에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광학 전도체(260)는 각각의 광학 플렉스 센서(270)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광학 전도체(260)는 각각의 광학 플렉스 센서(270)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광섬유 조립체(257)의 인터페이스(164)는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와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 사이에 광학 인터페이스(264)의 형태로 제공된다. 인터페이스(264)는 광학 전도체(260)와 광학 플렉스 센서(270) 사이에 탈착 가능한 광학 커플링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광학적으로 커플링될 때 신호가 그 사이에서 통신될 수도 있게 되고, 양자 모두는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가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로부터 탈착될 때 광학적으로 디커플링된다. 제2 광학 플렉스 센서(270)로부터 광학 전도체(260)의 디커플링은 핸들(11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광학 전도체(260)에 미리 정의된 임계 크기를 초과하는 견인력을 인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학 플렉스 센서(270)로부터 광학 전도체(260)의 디커플링은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과 함께 사용을 위해 구현될 때,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로부터 액추에이터(151)의 해제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전도체(260)와 광학 플렉스 센서(270) 사이의 광학 커플링은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와 접촉하는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의 배치에 의해 달성되고, 광학 디커플링은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로부터 이격하여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를 견인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광학 전도체(260)와 광학 플렉스 센서(270) 사이의 인터페이스(264)는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와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64)의 광학 커플링은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와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 사이의 물리적 접촉(PC) 연결부로서 실현되고, 광학 전도체 코어(263)와 광학 센서 코어(276)는 성능을 최적화하고 그 사이의 인터페이스(264)에서 광학 광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각각 정렬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커플링(264)은,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 및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가 평탄한, 바람직하게는 연마된 단부면을 포함할 때 평탄한 PC로서 실현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커플링(264)은,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 및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가 예를 들어 약 8도의 각도로 상보적인 각형성된 단부면을 포함할 때 각형성된 PC로서 실현된다(실시예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약'은 언급된 값으로부터 ±10% 범위를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264)는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와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를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하고 그 사이의 신호 통신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광학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이한 광섬유 구성요소 사이에 신호를 통신할 때, 심지어 약간의 오정렬도 신호 손실을 유도할 수도 있기 때문에, 광학 코어의 정렬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커넥터(264)는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 및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를 정렬하도록 구성된 정렬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9c는 광학 플렉스 센서(270)로부터 디커플링되는 광학 전도체(260)가 판막(114)으로부터 이격하여, 근위측 배향 방향(14)으로 작동 조립체(150)와 함께 견인되고, 반면 광학 플렉스 센서(270)는 판막(114)에, 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광학 신호는 통상적으로 광학 코어를 통과한다. 광학 신호를 광학 전도체 코어(263) 및 광학 센서 코어(276)로 제한하기 위해, 그 굴절률은 통상적으로 광학 전도체 클래딩(262) 및 광학 센서 클래딩(274) 각각의 굴절률보다 더 크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신호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 광학 전도체 코어(263) 및 광학 센서 코어(276)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광학 센서 코어(276)와 광학 센서 클래딩(274) 사이의 경계에 타격하는 광의 입사각이 변경되면, 비례하는 양의 광학 신호가 광학 플렉스 센서(270)의 외부를 통과하고 내부적으로 반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굽힘되거나 굴곡되는 광학 플렉스 센서(270)는 소정 정도의 광학 신호 손실을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광학 플렉스 센서(270)의 굴곡의 정도는 광학 전도체(260)를 통해 전송되는 광학 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 플렉스 센서(270)는 광학 센서 코어(276)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섬유 브래그 격자(FBG)(278)를 포함한다. 광학 센서 코어(276)로부터의 반사된 광은 광학 센서 코어(276)를 따라 각각의 FBG로부터 반사의 합이다. 각각의 FBG로부터의 각각의 반사는 별개의 주파수(FBG의 위치에 의해 결정됨)로 변조될 수도 있어, 반사 스펙트럼이 광학 센서 코어(276)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FBG의 시프트는 FBG의 장소에서 광학 센서 코어(276)의 스트레인에 비례하여, 변조된 광학 신호가 FBG의 축방향 장소에 적용된 굴곡의 정도에 비례하게 된다.
사용시에, 전달 조립체(100)는 교차 지주(121)에 커플링된 광학 플렉스 센서(270)를 갖는 크림핑 상태에서 원하는 이식 부위를 향해 인공 판막(114)을 전달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고, 반면 광학 전도체(260)는 광학 플렉스 센서(270)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된다.
일단 크림핑된 판막(114)이 원하는 이식 부위에 위치되면, 핸들(110)은 판막(114)을 점진적으로 팽창하도록 조작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경우, 이 스테이지에서 팽창 및 로킹 조립체(134)에 부착된 액추에이터(151)를 견인함으로써). 판막(114)의 팽창 중에,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조립체(257)는 지주(121)에 커플링된 광학 플렉스 센서(270)의 굽힘과 상관된 광학 신호의 형태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판막 직경이 유도될 수도 있다(예에서, 2개의 교차 지주(121)에 커플링된 2개의 광섬유 조립체(257)로부터 수신된 광학 신호에 따라). 데이터는 제어 유닛(111a)에 의해 해석될 수도 있고, 핸들(110)에 위치된 디스플레이(113a) 또는 LED 조명(113b)을 통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실시간 판막 팽창 직경을 포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된 해석 데이터는 임상의가 이식 시술의 다음 요구된 단계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일단 판막(114)이 충분히 팽창되면, 핸들(110)은 또한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상기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막(114)으로부터 작동 조립체(150)를 해제하고(판막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이면), 그리고/또는 상기에 상세히 설명되고 도 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학 플렉스 센서(270)로부터 광학 전도체(260)를 디커플링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인터페이스(264)가 교차 접합부(124)에 근위측에 위치되는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교차 접합부(124)는 유출 정점(125)이어서, 광학 전도체(260)로부터 탈착시에, 비굴곡 부분(181)이 유출 정점(125)으로부터 근위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 구성에서, 교차 접합부(124)는, 예를 들어 유출 정점(125)에 원위측에 있는 최근위 비첨단 접합부(124a)와 같은 비첨단 접합부일 수도 있어, 광학 전도체(260)로부터의 탈착시에, 비굴곡 부분(181)은 유출 단부(117)를 넘어 근위측으로 연장되지 않게 될 것이다.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광학 전도체(260)와 광학 플렉스 센서(270) 사이의 인터페이스(264)는 그 단부면 사이의 단순한 접점으로서 상기에 예시되었지만, 다른 인터페이스가 탈착 가능한 광학 커플링을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64)는 최소 간섭으로, 광학 전도체(260) 코어(263)와 광학 센서 코어(276) 사이에서 광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학 전도체 원위 단부(261)는, 선택된 양의 견인력 또는 대안적으로 회전력의 인가가 접착 결합을 파괴하고 광학 전도체(260)가 인출되어 광학 플렉스 센서(270)로부터 광학적으로 디커플링되게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광학 센서 근위 단부(272)에 접착되거나 융착될 수도 있다.
광섬유 조립체(257)는 각각의 광학 전도체(260)와 각각의 광학 플렉스 센서(270) 사이에 탈착 가능한 인터페이스(264)를 갖고 상기에서 도 9c와 관련하여 설명되고 예시되었지만, 대안 실시예에서 광섬유 조립체(257)는 비탈착 가능 인터페이스(264)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광학 전도체(260)는 이하에 도 11a 내지 도 14e와 관련하여 설명될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 따라, 판막(114)으로부터 이격하여 광학 플렉스 센서(270)와 함께 견인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은 전기 신호이다. 전기 신호는 전류, 전압, 저항 또는 그 변화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스 센서(170)는 그 저항이 플렉스 센서(170)의 굴곡의 함수로서 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신 채널(160)은, 그 원위 단부(161)가 플렉스 센서(170)와 인터페이스(164)에서 전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있는 전기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64)는 플렉스 센서(170)의 단부 단자(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대한 전기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통신 채널(160)은 구리, 알루미늄, 은, 금, 및 텐탈륨/백금, MP35N 등과 같은 다양한 합금과 같은 다양한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절연체(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각각의 통신 채널(160)을 둘러쌀 수 있다. 절연체는 전기 절연 폴리머와 같은 다양한 전기 절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160)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70)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160)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핸들(110) 내의 근위 전원(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160)은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및/또는 플렉스 센서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전도성 통신 채널(160)은 플렉스 센서(170)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신 채널(160)은 이식 부위로 인공 판막(114)이 전달 중에, 그리고 이식 시술 중에 플렉스 센서(170)에 커플링될 수도 있고, 이식 시술이 완료된 후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디커플링되거나 해제될 수도 있어, 통신 채널(160)이 환자의 신체로부터 전달 장치(102)의 잔여부와 함께 후퇴되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공 판막(114)은 비동작 모드에서 그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를 갖고, 환자의 신체에 이식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제, 통신 채널(160)과 플렉스 센서(170) 사이의 탈착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의 비바인딩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렉스 센서 조립체(156)는 지주(121)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374), 및 핸들(110)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358)를 더 포함하는데, 대응 통신 채널(160)의 적어도 일부가 샤프트의 루멘을 통해 연장하고 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판막(114)은 명확성을 위해 단지 2개의 액추에이터 조립체(134)만을 갖고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수(예를 들어, 3개)의 액추에이터 조립체(134)가 고려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센서 하우징(37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유되고,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등에 의해 센서 하우징(374)에 국소적으로 부착된다. 센서 하우징(374)에는 플렉스 센서(170)를 수용하기 위한 루멘, 보어, 또는 임의의 다른 채널이 제공될 수도 있다. 센서 하우징(374)은, 예를 들어 접착, 용접 또는 부착 커플링 부재(188)에 의해 각각의 지주(12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센서 하우징(374)은 적어도 하나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지주(121)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플렉스 센서(170)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국소적으로 부착"은, 플렉스 센서가 플렉스 센서(170)의 국소 지점 또는 영역(예를 들어, 그 근위 영역)에서 각각의 센서 하우징(374)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반면 그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원위부)은 판막 팽창 또는 압축 중에, 각각의 지주(121)에 대한 플렉스 센서(170)의 적어도 일부의 축방향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센서 하우징(170)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160)은 탈착 가능 샤프트(358)의 루멘을 통해 연장되고, 탈착 가능 샤프트(358)는 센서 하우징(374)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통신 채널(160)은 또한 센서 하우징(374) 내로 연장될 수도 있고, 플렉스 센서(170)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탈착 가능 샤프트(358)는, 탈착 가능 샤프트(358)가 센서 하우징(374)에 커플링될 때, 그를 통해 연장하는 통신 채널(160) 및 플렉스 센서(170)와의 인터페이스(164)를 주위 유동(예를 들어, 혈액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그 루멘 또는 보어 내에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의 전체 길이를 수용하는 슬리브 또는 튜브의 형태로 제공되는 센서 하우징(374)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각각의 센서 하우징(374)은 짧은 너트형 부재(도시되어 있지 않음)로서 제공될 수도 있고,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가 그 중앙 보어를 통해 연장하고, 반면 플렉스 센서(170)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하우징(374)으로부터 이격하여 원위측으로 더 멀리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 원위 단부(161)는 인터페이스(364)에서 플렉스 센서 근위 단부(172)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유사하게,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단부(359)(도 10c 참조)는 센서 하우징 근위 단부(375)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하우징 근위 단부(375)는 나사산 형성 보어(도 10c 참조)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단부(359)는 센서 하우징 나사산 형성 보어(375)와 나사 결합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외부 나사산을 포함한다.
도 10a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통신 채널 원위 단부(161a) 및 제2 통신 채널 원위 단부(161b)는 각각 제1 플렉스 센서 근위 단부(172a) 및 제2 플렉스 센서 근위 단부(172b)에 커플링되고, 제1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359a) 및 제2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359b)는 제1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375a) 및 제2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375b) 각각에 커플링된다(예를 들어, 나사 결합됨). 이 상태에서, 전력이 통신 채널(160a, 160b)을 통해 플렉스 센서(170a, 170b)에 각각 공급될 수도 있고, 신호가 통신 채널(160a, 160b)을 통해 플렉스 센서(170a, 170b)로부터 그리고 플렉스 센서에 각각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0b는 각각 플렉스 센서(170a, 170b)로부터 통신 채널(160a, 160b)의 맞물림 해제 중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통신 채널(160)은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를 넘는 근위 방향(14)으로의 견인력의 인가가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통신 채널(160)을 맞물림 해제할 수도 있도록 각각의 센서(170)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통신 채널(160)을 맞물림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수동으로 인가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통신 채널(160)을 맞물림 해제하는 데 요구되는 힘은 핸들(110)에서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인가될 수도 있다.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채널(160)이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디커플링되는 동안, 탈착 가능 샤프트(358)는 센서 하우징(374)에 커플링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에 의해 혈액 유동의 주위 환경으로부터 통신 채널(160)을 격리시킨다. 이는 주위 혈액 유동 또는 다른 조직을 그 전류에 노출시키는 위험을 회피하면서 통신 채널(160)이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탈착되고 견인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단 통신 채널(160)이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탈착되고 그로부터 견인 이격되면, 탈착 가능 샤프트(358)는 센서 하우징(374)으로부터 탈착되도록, 예를 들어 그 대칭축 주위의 방향(16)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채널(160)은 센서 하우징(374)으로부터 탈착 가능 샤프트(358)를 맞물림 해제하기 전에 충분한 거리를 따라 견인되어, 일단 탈착 가능 샤프트(358)가 탈착되면, 통신 채널(160)은 탈착 가능 샤프트(358)의 루멘을 통해 유동하는 혈액 유동에 노출될 수 없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탈착 가능 샤프트(358)는 센서 샤프트(158)의 루멘을 통해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탈착 가능 샤프트(358)는 부가의 전용 센서 샤프트(158) 없이, 전달 샤프트(106)의 루멘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0c는 도 10b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와 비교하여, 플렉스 센서(170)로부터 통신 채널(160)의 맞물림 해제의 더 진행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c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는, 그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후, 센서 하우징(374)으로부터 이격하여, 근위 방향(14)으로 탈착 가능 샤프트(358)를 더 견인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메커니즘은 통신 채널(160)이 탈착 가능 샤프트(358)와 함께, 플렉스 센서(170) 및 센서 하우징(374)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이러한 맞물림 해제 중에 통신 채널(160)을 통해 유동하는 전류로의 자연 조직 또는 혈액 유동의 노출의 위험 없이, 이식 시술의 종료시에 환자의 신체로부터 후퇴되게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되어 있고 전술된 탈착 가능 커플링 메커니즘은 전기 전도성 통신 채널(160) 및 플렉스 센서(170)와 함께 이용될 때 유리한 것으로서 설명되지만, 동일한 메커니즘이 각각 광학 전도체(260) 및 광학 플렉스 센서(270)와 같은 광학 구성요소에 대해 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인공 판막(114)으로부터 완전히 탈착 가능하여, 일단 판막이 완전히 전개되어 적소에 장착되면 전달 장치(102) 회수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지주(121)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교차 지주(121)에 커플링된 2개의 플렉스 센서(17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는 단일 플렉스 센서(176)(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에 따라), 또는 2개 초과의 플렉스 센서에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특정 도면에 너무 많은 참조 번호와 리드 라인을 갖는 과도한 혼란을 회피하기 위해, 번호는 도 11a 및 도 11b의 단지 몇몇 구성요소에만, 예를 들어 - 단지 제1 플렉스 센서(170a), 제1 통신 채널(160a) 등에만 할당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는 예를 들어 봉합사 루프 또는 밴드(188)의 형태의 비부착 커플링 부재인 복수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지주(121)에 커플링된다. 봉합사 또는 밴드(188)는 플렉스 센서(170) 및 각각의 지주(121) 주위에 단단히 랩핑되고, 커플링 부재(188)와 플렉스 센서(170) 및/또는 지주(121) 사이의 촉진 마찰력에 의해 지주(121) 위에 제자리에 플렉스 센서(170)를 보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커플링 부재(188)는 플렉스 센서(170)의 적어도 일부가 이것이 커플링된 지주(121)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판막 팽창 중에 플렉스 센서(170)가 과신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대부분의 경우, 교차 접합부(124)와 인접 접합부, 예를 들어 - 동일한 지주(121)를 따른 원위 접합부 사이에서, 지주 부분(122)에 플렉스 센서(170)를 커플링하는 것이 충분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렉스 센서(170)는 센서 원위부(182)를 포함하는데, 이는 크림핑 상태와 완전 팽창 상태 사이에서, 전체 판막 직경 범위 동안 최원위 커플링 부재(188)를 넘어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센서 원위부(182)의 최소 길이는 판막 완전 팽창 상태에서, 최원위 커플링 부재(188)를 넘어 연장하는 플렉스 센서(170)의 최단 원위부로서 정의될 수도 있다. 실시예의 몇몇 변형예에서, 센서 원위부(182)의 최소 길이는 판막(114)의 크림핑 상태로부터 완전 팽창 상태로의 전이 중에, 플렉스 센서(170)가 최원위 커플링 부재(188)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택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원위부(182)는 이것이 부착되어 있는 지주(121)의 축방향으로부터 이격하여 측면으로 유연하게 만곡될 수도 있어, 이것이 커플링되어 있는 지주(121)에 대한 플렉스 센서(170)의 자발적 변위를 방지하는 부가의 보유력을 제공한다. 센서 원위부(182)의 가요성은, 예를 들어 판막 팽창 중에 힘이 인가될 때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플렉스 센서 원위 단부(173)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를 더 포함한다.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는 와이어, 케이블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의 최소 길이는 판막(114)의 크림핑 상태로부터 완전 팽창 상태로의 전이 중에 최원위 커플링 부재(188)를 넘어 연장하는 그 적어도 일부를 갖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는 이것이 부착되어 있는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 지주(121)의 축방향으로부터 이격하여 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될 수도 있어, 이것이 커플링되어 있는 지주(121)에 대한 플렉스 센서(170)의 자발적 변위를 방지하는 부가의 보유력을 제공한다. 원위 연장부(184)의 탄성 및 가요성은, 예를 들어 판막 팽창 중에 축방향 힘이 인가될 때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쉽게 미끄러지는 것을 허용한다.
일단 인공 판막(114)의 원하는 직경이 도달하면,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근위측 배향 방향으로 견인될 수도 있고, 그에 인가된 견인력은 플렉스 센서(170)를 지주(121)에 커플링하기 위해 커플링 부재(188)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력 또는 임의의 다른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하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판막(112)으로부터 굽힘 감지 조립체(156)를 디커플링하기 위한 견인력은 수동으로 인가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판막(114)으로부터 굽힘 감지 조립체(156)를 디커플링하기 위한 견인력은 핸들(110)에서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인가될 수도 있다.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후퇴 중에, 플렉스 센서(170)는 원위 연장부(184)와 함께, 예를 들어 봉합사 루프 또는 밴드(188)를 통해 각각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견인된다.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가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만곡되면, 이러한 곡선은 도 1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위 연장부(184)가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견인될 때 쉽게 직선화될 수도 있다. 도 11b는 작동 조립체(150)가 판막(114a)으로부터 탈착되고 이격되어 있고, 반면에 굽힘 감지 조립체(156)(예를 들어,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의 적어도 일부는 탈착 프로세스에 있고 커플링 부재(188) 중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여전히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다.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디커플링은 작동 조립체(150)(예를 들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경우)의 탈착 전, 중 또는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10a)은 바람직하게는 핸들(110a)의 조작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동작 가능한 단일 노브를 통해, 작동 조립체(150) 및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모두의 동시 탈착 및 후퇴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메커니즘(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스 센서(170)는 가요성 센서 기판(176), 및 가변 저항 소자(178)를 포함한다. 가요성 센서 기판은 플렉스 센서 근위 단부(172)와 플렉스 센서 원위 단부(173) 사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도 있고, 반면 가변 저항 소자(178)는 플렉스 센서 근위 단부(172)와 플렉스 센서 원위 단부(173)에 근위측에 있을 수도 있는 위치 사이에서 플렉스 센서(170)의 부분을 따라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원위부(182)는 가요성 센서 기판(176)의 일부를 포함하지만, 가변 저항 소자(178)가 없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178)는 가요성 센서 기판(176)에 부착되거나 매립된다. 예를 들어, 가요성 센서 기판(176)은 실리콘 또는 고무 케이싱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가변 저항 소자(178)는 체액으로부터 이를 밀봉함으로써, 혈관계 내부의 부식 환경으로부터 이를 보호하도록 기판 케이싱(176) 내에 몰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178)는, 인터페이스(164)에서 대응 통신 채널(16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구성된 단자 또는 다른 전기 커넥터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110)에서의 처리 유닛은 통신 채널(160)을 통해 그리고 인터페이스(164)의 단자를 통해 전달된 전압을 플렉스 센서(170)의 가변 저항 소자(178)에 인가하고 전기 저항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굽힘각(예를 들어, α1, α2, γ)의 정도와 저항(또는 대안적으로, 광학 신호) 사이의 관계는 제어 유닛(111a)에 포함된 소프트웨어에서 전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센서 기판(176)은 폴리머 시트 또는 세장형 스트립의 형태로 제공되고, 폴리아미드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178)는 그에 인가된 굴곡의 정도에 응답하여 그 전기 비저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다른 유형의 가요성 전위차계의 형태로 제공된다. 비저항의 변화는 판막 직경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 유닛(111a)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전압의 대응 변화를 생성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센서 기판(176)의 일부를 따라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의 형태의 가변 저항 소자(178)를 포함하는 플렉스 센서(17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교차 지주(121)에 커플링된 2개의 플렉스 센서(17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는 단일 플렉스 센서(170)(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에 따라), 또는 2개 초과의 플렉스 센서에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특정 도면에 너무 많은 참조 번호와 리드 라인을 갖는 과도한 혼란을 회피하기 위해, 번호는 도 12a 및 도 12b의 단지 몇몇 구성요소에만, 예를 들어 - 단지 제1 플렉스 센서(170a), 제1 통신 채널(160a) 등에만 할당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178)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굽힘 하에서 저항 변화를 유리하게 증가시킬 수도 있는 사행형 구조가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188)는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렉스 센서(170)가 그를 통해 후방 및 전방으로 활주할 수도 있는 관형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78)를 갖는 플렉스 센서(170)와 조합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관형 커플링 부재(188)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플렉스 센서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조합하여 채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후퇴 중에, 플렉스 센서(170)는 예를 들어 관형 부재(188)를 통해 각각의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견인된다. 센서 원위부(182)가 자연적으로 만곡되면, 도 1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곡선은 센서 원위부(182)가 관형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견인됨에 따라 쉽게 직선화될 수도 있다. 도 12b는 작동 조립체(150)가 판막(114a)으로부터 탈착되고 이격되어 있고, 반면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센서 원위부(182))는 디커플링 프로세스에 있고 관형 부재(188)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여전히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디커플링은 작동 조립체(150)(예를 들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경우에)의 탈착 전, 중 또는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178)는 전도성 재료층의 형태로 제공되고, 가요성 센서 기판(176)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되고, 그에 인가된 굽힘의 정도에 따라 그 저항을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전도성 재료층은 바인더와 조합하여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 저항 소자(178)는 전도성 잉크의 형태로 제공된다. 가변 저항 소자(178)의 재료는 가요성 센서 기판(176) 상에 스프레이, 압연, 실크 스크린, 브러싱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인쇄될 수도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센서 기판(176)의 일부 위에 배치된 전도성 재료층의 형태의 가변 저항 소자(178)를 포함하는 플렉스 센서(17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교차 지주(121)에 커플링된 2개의 플렉스 센서(17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시예는 단일 플렉스 센서(170)(예를 들어, 도 6a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에 따라), 또는 2개 초과의 플렉스 센서에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특정 도면에 너무 많은 참조 번호와 리드 라인을 갖는 과도한 혼란을 회피하기 위해, 번호는 도 13a 및 도 13b의 단지 몇몇 구성요소에만, 예를 들어 - 단지 제2 플렉스 센서(170b), 제2 통신 채널(160b) 등에만 할당된다.
전도성 재료층(178)은 도 1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64)에서 각각의 통신 채널(160)에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부재(188)는 인공 판막(114)의 구성요소와 일체로 형성된 기하학적 특징부로서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감지 조립체(156)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지주(121)는 적어도 하나의 지주 구멍(123), 바람직하게는 플렉스 센서(170)가 커플링될 수도 있는 각각의 지주(121)를 따라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지주 구멍(123)이 제공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플렉스 센서(170)는, 예를 들어 교차 접합부(124)의 부근의 근위 위치에서, 하나의 지주 구멍(123) 내로, 그리고 동일한 지주(121)를 따라 제공된 후속 접합부 외부로 연장될 수도 있다.
몇몇 용례에서, 지주 구멍(123)은 관통 구멍이고, 플렉스 센서(170)가 지주(121)의 일 측으로부터 다른 측으로 각각의 구멍을 통해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플렉스 센서(170)의 적어도 일부가 지주(121)의 내부면(즉, 반경방향 내향을 향하는 표면)을 따라 배치되게 되고, 플렉스 센서(170)의 적어도 일부는 지주(121)의 외부면(즉, 반경방향 외향을 향하는 표면)을 따라 배치되게 된다.
몇몇 용례에서, 지주(121)는 2개의 지주 구멍(123)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 채널(번호가 부여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이러한 용례에서, 플렉스 센서(170)는 하나의 지주 구멍(123)을 통해 지주 채널 내로 삽입되고, 다른 지주 구멍을 통해 채널로부터 빠져나갈 수도 있어, 플렉스 센서(170)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 지주 채널 내에 배치되게 된다.
전도성 재료층(178)을 갖는 플렉스 센서(170)와 조합하여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지주 구멍(123)을 갖는 지주(121)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플렉스 센서의 임의의 다른 실시예와 조합하여 채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후퇴 중에, 플렉스 센서(170)는 각각의 지주 구멍(123)을 통해 견인된다. 센서 원위부(182)가 자연적으로 만곡되면, 이러한 곡선은 센서 원위부(182)가 지주 구멍(123)을 통해 견인됨에 따라 쉽게 직선화될 수도 있다. 도 13b는 작동 조립체(150)가 판막(114)으로부터 탈착되고 이격되어 있고, 반면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센서 원위부(182))는 디커플링 프로세스에 있고 지주 구멍(12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여전히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디커플링은 작동 조립체(150)(예를 들어,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의 경우에)의 탈착 전, 중 또는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핸들(110)로부터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까지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적어도 2개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를 서로 커플링하고, 근위측 배향 방향(14)으로 견인될 때 그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를 더 포함한다.
도 14a 내지 도 14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를 이용하는 상이한 스테이지를 도시하고 있다.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각각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가 원위 루프(18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1a 및 도 11b와 관련하여 설명된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와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한 2개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를 포함한다.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a)의 제1 원위 루프(185a)는 양자 모두를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에 의해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184b)의 제2 원위 루프(185b)와 각각 맞물릴 수도 있다.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는 가요성 스트링, 봉합사, 와이어, 케이블 등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고, 전달 샤프트(106)를 통해, 센서 샤프트(158)를 통해, 및/또는 다른 전용 샤프트(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4a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스테이지에서,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는 서로 정렬될 수도 있는 제1 원위 루프(185a) 및 제2 원위 루프(185b)의 각각에 의해 윤곽 형성된 개방 공간을 통해 연장된다.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는 핸들(110)로부터 원위 루프(185)까지 원위측으로 연장되고, 그로부터 근위측으로 연장하는 가요성 부재 단부 부분(187)을 갖고, 루프(185)를 통해 굴곡될 수도 있다.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후퇴를 개시하기 위해,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는 도 1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근위측 배향 방향으로 견인될 수도 있어, 루프(185)로부터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가요성 부재 단부 부분(187) 위의 굴곡부가 더 짧아지게 된다. 핸들(110)은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를 견인하기 위한 제어 가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단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가 완전히 인출되면, 제1 원위 루프(185a) 및 제2 원위 루프(185b)는 더 이상 서로 커플링되지 않아, 플렉스 센서(170)가 원위 연장부(184)와 함께 후퇴되게 한다. 가요성 세장형 부재(186)를 갖춘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임의의 이전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부재(188)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4e는 인공 판막(114)으로부터 탈착되고 이격된 작동 아암 조립체(150) 및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모두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루프(185)는 탄성적으로 루프형 구성을 형성하도록 원위 연장부(184)의 단부 부분을 미리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 개방 단부형 루프이고, 반면 원위 연장부(184)의 단부는 자유 단부형으로 유지된다(즉, 그 다른 영역에 연결되지 않음). 원위 연장부(184)가 봉합사 루프 또는 밴드(188)와 같은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견인되기 때문에, 개방 단부형 원위 루프(185)(도 14a 내지 도 14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는 쉽게 직선화될 수도 있다. 대안 실시예에 따르면, 원위 루프(185)는 봉합사 루프 또는 밴드(188)와 같은 커플링 부재(188)를 통해 견인되는 동안 수축되는 것이 가능할만큼 충분히 가요성인 폐쇄 단부형 루프(도시되어 있지 않음)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달 조립체 및 방법에 의해 부여되는 장점은, 이들이 연속적인 실시간 직경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여, 이에 의해 자연 해부학 구조 내의 판막 팽창에 대한 가치 있는 피드백을 임상의에게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 가치 있는 정보는 조직(예를 들어, 고리)에 대한 잠재적 외상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다. 임상의는 인공 판막(114)이 자연 고리에 가장 양호하게 적합하는 직경으로 팽창될 때까지, 필요에 따라 인공 판막(114)의 직경을 연속적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판막(114)을 주위 조직에 대해 제자리에 고정하기에 충분한 직경은 판막주위 누출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고, 자연 고리 파열의 위험을 회피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인공 판막(114)을 과대 팽창하지 않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인공 판막(114)은 자연 대동맥 판막, 자연 승모 판막, 자연 폐동맥 판막, 및 자연 삼첨판 판막 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임의의 인공 판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에 설명된 전달 조립체(100)는 굽힘 감지 메커니즘(156)을 갖춘 전달 장치(102) 및 인공 판막(114)을 포함하지만,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굽힘 감지 메커니즘(156)을 갖춘 전달 장치(102)는 스텐트 또는 이식편과 같은 인공 판막 이외의 다른 인공 디바이스의 이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14e 전체에 걸쳐 설명되고 예시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굽힘 감지 조립체(156)는 벌룬 팽창 가능 판막 또는 자기-팽창 가능 판막과 같은, 다른 판막 유형과 조합하여 유사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벌룬-팽창형 판막 및 자기-팽창 가능 판막은 통상적으로 판막 팽창의 제한된 제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짧은 시간 기간 동안(예를 들어, 파열시에) 부풀거나 팽창된다. 대조적으로, 기계적 팽창 메커니즘(예를 들어 - 도 4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이 판막 팽창의 속도 및 정도에 대한 고도의 제어를 제공하여, 임상의가 굽힘 감지 조립체(156)에 의해 제공되는 실시간 피드백에 응답하여 팽창 직경을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기계적 팽창 가능 판막(114a)과 조합하여 굽힘 감지 조립체(156)의 이용이 유리하다.
최근,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8/002831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능적 크기 범위 내에서 팽창될 수 있는 벌룬 팽창 가능 판막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인공 판막의 이식을 위해, 의사는 통상적으로 충전 체적의 범위로부터 선택된 인공 판막 직경에 대응하는 팽창 유체의 적절한 체적을 선택한다. 종래의 팽창 주사기를 사용하여, 요구된 체적이 주사기 상에 제공된 체적 표시기 중 하나와 대응하지 않으면, 의사가 원하는 크기로 인공 판막을 팽창하기 위해 요구되는 팽창 유체의 정확한 양을 주사기 내로 흡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벌룬이 종방향으로 신장할 뿐만 아니라 대각선으로 팽창될 수도 있어, 알려진 유체 팽창량에만 기초하여 반경방향 팽창을 예측하는 것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팽창 유체의 양은 특정 팽창 직경과 반드시 상관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판막 팽창 메커니즘은 여기에서 더 제어된 팽창 방법을 허용하도록 수정된다.
부가적으로, 벌룬 팽창 가능 판막과 함께 사용을 위해, 도 5a 내지 도 14e와 관련하여 전술된 임의의 굽힘 감지 조립체를 활용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팽창 메커니즘은 벌룬이 점진적이고 제어 가능한 방식으로 팽창 및/또는 수축되게 하기 위해 수정되어, 이에 의해 임상의가 측정된 팽창 직경에 따라 벌룬 팽창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도 15는 벌룬 팽창 가능 판막(114b)의 프레임(120b)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120b)은 각형성된 지주 부분(122b(1)) 및 수직 지주 부분(122b(2))을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지주(121b)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주(121b)는 프레임 팽창 또는 압축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피봇 가능하거나 굴곡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b)은, 힌지 등의 부재시에 반경방향으로 접힘/팽창하는 능력을 보유하면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저 절단, 전주 도금 및/또는 물리 기상 증착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금속 튜브와 같은 재료의 단일 단편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벌룬 팽창 가능 판막(114b)의 전달 및 이식을 위한 전달 장치(102b)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100b)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장치(102b)는 그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된 팽창 가능 벌룬(105)(예를 들어, 도 17b에 팽창 상태로 도시되어 있음)을 갖는 벌룬 카테터(107)를 포함한다. 벌룬 팽창 가능 인공 판막(114b)은 도 1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팽창 가능 벌룬(105) 위로 크림핑 상태로 운반될 수 있다. 전달 장치(102b)는 몇몇 경우에, 벌룬 카테터(107) 위로 동심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전달 샤프트(106b) 및/또는 외부 샤프트(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장치(102b)는 부가적으로 노즈콘 샤프트(108)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 노즈콘(109)을 포함할 수 있고, 팽창 가능 벌룬(105)의 원위 단부는 노즈콘(109)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벌룬 카테터(107)의 근위 단부, 및 존재할 때 - 전달 샤프트(106b) 및/또는 외부 샤프트(104b)는 핸들(110b)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인공 판막(114b)의 전달 중에, 핸들(110b)은 환자의 혈관 구조를 통해, 노즈콘 샤프트(108), 벌룬 카테터(107), 전달 샤프트(106b) 및/또는 외부 샤프트(104b)와 같은 전달 장치(102b)의 구성요소를 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고, 뿐만 아니라 일단 인공 판막(114b)이 이식 부위에 장착되면 인공 판막(114b)을 팽창시키고 벌룬을 수축시키고 전달 장치(102b)를 후퇴시키기 위해, 벌룬 카테터(107) 상에 장착된 벌룬(105)을 팽창시키도록 조작자(예를 들어, 임상의 또는 외과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조립체(100b)는 팽창 유체 시스템(200)을 더 포함한다. 팽창 유체 시스템(200)은 팽창 유체(212)의 미리 결정된 체적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조(210); 근위 단부(222)와 원위 단부(224) 사이에 형성된 유체 유동 채널(220); 및 펌프(23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단부(224)는 벌룬(105)의 입구 포트(225)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벌룬(105)의 입구 포트(225)는 그 근위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팽창 유체(212)는 액체일 수 있고, 식염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유체 연통"은 유체가 서로 유체 연통하는 구성요소 사이를 유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체 연통은 각각의 구성요소의 개구 사이의 직접 연결을 통해 또는 그 사이에 연결된 부가의 구성요소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230)는 저장조(210) 및 유체 유동 채널(220)의 근위 단부(222)의 모두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펌프(230)의 제어 입력은 제어 유닛(111b)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1b)은 팽창 유체 시스템(200) 내에, 핸들(110b) 내에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구성요소 중 일부는 팽창 유체 시스템(200) 내에 위치되고, 구성요소 중 일부는 핸들(110b) 내에 위치되고 그리고/또는 구성요소 중 일부는 다른 적합한 장소에 위치된다.
제어 유닛(111b)은 비한정적으로,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프로그램 가능 논리 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및/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원시 신호 데이터 또는 계산된 데이터와 같은 선택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이식 시술 동안 메모리 내에 데이터를 로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메모리로부터 로깅된 데이터, 및/또는 실시간 데이터를 원격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계(236) 및/또는 압력 센서(238)가 제공된다. 유량계(236)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펌프(230)와 저장조(210) 사이에 커플링될 수 있다. 압력 센서(238)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펌프(230)와 벌룬(105) 사이에 커플링될 수 있다. 압력 센서(238)가 펌프(230) 부근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결코 한정이 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고, 압력 센서(238)는 벌룬(105) 내를 포함하여, 유체 경로를 따른 임의의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유량계(236) 및 압력 센서(238)의 각각은 제어 유닛(111b)과 통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1b)은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조정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팽창 유체(212)의 유동의 조정은 벌룬(105) 내로 유동하는 유량 및/또는 팽창 유체(212)의 양의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1b)의 유동 조정은 벌룬(105) 내로 주입될 팽창 유체(212)의 양과 같은, 사용자 입력에 응답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유닛(111b)의 유동 조정은 유량계(236) 및/또는 압력 센서(238)에 응답할 수 있어, 팽창 유체(212)의 유동이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 내에 유지되게 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유닛(111b)의 유동 조정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판막 및/또는 벌룬에 커플링된 부가의 센서에 응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또한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역전시켜, 이에 의해 벌룬(105)으로부터 팽창 유체(212)의 일부 또는 모두를 제거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센서(238)는 벌룬(105) 내로 유동하는 팽창 유체(212)의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 센서(238)는 동작 및/또는 압력 측정을 위한 전용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압력 센서(238)는 제어 유닛(111b)과 협력하여 동작될 수 있다. 측정은 팽창 유체(212)가 벌룬(105) 내로 유동하는 동안 및/또는 제어 유닛(111b)이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중단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1b)은 팽창 유체(212)의 측정된 압력을 미리 결정된 최대 압력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비교의 결과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2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된 압력이 미리 결정된 최대 압력 임계값보다 더 큰 것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b)은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중단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하고 그리고/또는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역전시켜 이에 의해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측정된 압력은 사용자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될 수 있고 제어 유닛(111b)은 각각의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측정된 압력을 미리 결정된 최소 압력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최소 압력 임계값은 미리 결정된 최대 압력 임계값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1b)은 비교의 결과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23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된 압력이 미리 결정된 최소 압력 임계값보다 더 작은 것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b)은 팽창 유체(212)의 유량 및/또는 벌룬(105) 내로 유동하는 팽창 유체(212)의 양을 증가시켜, 이에 의해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주위 조직에 대한 판막(114b)의 팽창은 판막의 팽창 직경과 주위 조직 사이의 불일치와 연관된 다양한 위험을 제기할 수도 있다. 하나의 합병증은 판막 과대 팽창과 관련되는데, 이는 주위 해부학 구조에 과도한 반경방향 힘을 인가할 수도 있어, 조직에 잠재적인 손상 또는 심지어 고리 파열을 야기한다. 다른 한편으로, 판막 과소 팽창은 대동맥 판막이나 승모 판막 역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부적절한 팽창은 또한, 혈전 형성의 증가된 위험과 연관될 수도 있는 증가된 압력 구배 또는 직경 불일치로부터 발생하는 유동 교란과 같은, 판막(114b)을 가로지르는 부적절한 혈류역학 성능을 야기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제어 유닛(111b)은 압력 센서(238)와 협력하여, 주위 조직에 대한 반경방향 힘에 직접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팽창 유체(212)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고, 원하는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압력을 유지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판막(114b)의 과대 팽창 또는 과소 팽창으로 인해 각각 발생하는 고리 파열, 열등한 혈류역학 성능 및 판막 역류의 유해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7a는 신체 내로 전달을 위한 크림핑 구성으로 벌룬 카테터(107) 상에 장착된 판막(114b)을 도시하고 있다. 벌룬 카테터(107)는 환자의 신체 내에서 판막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가능 벌룬(105)을 포함하고, 크림핑된 판막(114b)은 전달 중에 수축된 벌룬(105) 위에 위치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장치(102b)는 전달 조립체(100b)의 샤프트(예를 들어, 외부 샤프트(104b))를 통한 판막(114b)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푸셔(103)를 더 포함한다.
도 17b는 인공 판막(114b)이 반경방향으로 팽창하여 주위 해부학 구조와 접촉하게 하는(예를 들어, 대동맥 판막 치환 시술의 경우, 대동맥 고리와 접촉함) 팽창 상태에서의 벌룬(105)을 도시하고 있다. 벌룬 카테터(107)는 푸셔(103) 및 판막(114b)을 통해 돌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몇몇 경우에, 프레임(120b)은 재료 내의 임의의 반동을 고려하기 위해 약간 과대 팽창될 수도 있다. 푸셔(103)는, 예를 들어 환자의 혈관 구조를 통한 이러한 전달 중에 전체 크림프 프로파일을 감소시키기 위해, 크림핑된 벌룬이 이식 부위로 전달 중에 벌룬에 근위측에 위치되는 구성에서 벌룬(105) 위로 프레임(120)을 미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단 판막(114b)이 완전히 팽창되면, 벌룬(105)은 수축되어 전달 장치(102b)의 잔여부와 함께 제거된다. 프레임(120b)은 소성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그 팽창 상태를 보유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벌룬(105)은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역전시켜 이에 의해 팽창 유체(212)의 벌룬(105)을 비우도록 펌프(230)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111b)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유닛(111b)은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벌룬(105) 내로부터 팽창 유체(212)의 일부만을 제거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직경 센서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직경 센서의 출력은 팽창 가능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에 응답한다. 제어 유닛(111b)은 적어도 하나의 직경 센서와 통신하고,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팽창 가능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는 초기 반경방향 직경과 현재 반경방향 직경 사이의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초기 반경방향 직경"은 미리 결정된 시간에 팽창 가능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현재 반경방향 직경"은 초기 반경방향 직경과의 비교를 수행하기 위해 측정된 팽창 가능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는 복수의 측정에 걸친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직경 센서는 이하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 및 선형 변위 센서; 및/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가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는 프레임(120b)의 적어도 하나의 지주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한 쌍의 플렉스 센서(170)가 제공되고, 한 쌍의 플렉스 센서(170) 중 제1 플렉스 센서는 프레임(120b)의 제1 지주에 커플링되고, 한 쌍의 플렉스 센서(170) 중 제2 플렉스 센서는 프레임(120b)의 제2 지주에 커플링되고, 제1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1b)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가 얼마나 많이 굽힘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170)의 출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정보로부터, 제어 유닛(111b)은 적어도 하나의 지주의 개방각을 결정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팽창될 때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을 또한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벌룬(105)의 외부면(240)과 병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근위측 또는 원위측 힘이 정상 사용 중에 그에 인가될 때 부재들이 축방향으로 굴곡, 좌굴, 또는 신장 또는 압축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봉합사, 스트링, 와이어 및/또는 다른 가요성, 비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a는 팽창 상태의 벌룬(105)을 도시하고 있고, 루프 형상의 벌룬 부분(252) 및 연결부(254)를 포함하는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250)를 추가로 도시하고 있다. 예시 및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인공 판막(114b)은 도 18a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벌룬(105) 주위에 위치될 것이다. 벌룬 부분(252)은 벌룬(105)의 외부면(240)을 둘러싸고 연결부(254)는 벌룬 부분(252)으로부터 연장되고 도 18b에 도시되어 있는 선형 변위 센서(260)의 입력에 커플링된다. 선형 변위 센서(260)의 출력은 제어 유닛(111b)과 통신한다. 선형 변위 센서에 대한 연결부(254)의 커플링은 직접적일 필요는 없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54)는 케이블(256)에 연결되고, 케이블(256)은 선형 변위 센서(260)의 입력에 연결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256)은 선형 변위 센서(26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형 변위 센서(26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튜브(264) 내에 변압기 코어(262)를 포함할 수 있는 선형 가변 차동 변압기(LVDT) 센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튜브는 LVDT의 코일(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지지할 수 있다. 케이블(256) 또는 연결부(254)는 코어(262) 또는 튜브(264)에 커플링되어, 코어(262)와 튜브(264) 사이의 상대 모션을 발생할 수 있다. 코어(262)는 또한 제어 유닛(111b)(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전기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선형 변위 센서(26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전위차계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선형 변위 센서(260)는 그 동작을 위한 그리고/또는 그에 인가된 상대 모션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전용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어 유닛(111b)은 선형 변위 센서(260)를 동작하고 그리고/또는 그에 인가된 상대 모션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연결부(254)는 케이블(256)의 단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선형 변위 센서(260)는 팽창 유체 시스템(200) 내에, 핸들(110b) 내에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장소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9는 팽창 상태에서의 벌룬(105)을 도시하고 있고, 여기서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250)의 벌룬 부분(252)은 벌룬(105)의 외부면(240)을 둘러싼다. 예시 및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인공 판막(114b)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벌룬(105) 주위에 위치될 것이다. 벌룬 부분(252)은 예시된 원주방향 슬리브(270)와 같은, 독립형 슬리브일 수 있는 슬리브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원주방향 슬리브(270)는 벌룬(105)의 외부면(240) 주위에 배치될 수 있고 접착, 봉합 또는 다른 적합한 부착 메커니즘에 의해 그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주방향 슬리브(270)는 벌룬(105)의 외부면(240)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원주방향 슬리브(270)는 벌룬(105)에 관련하여 벌룬 부분(252)의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벌룬 부분(252)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0은 벌룬(105)의 외부면(240)과 병치된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280)를 갖는 팽창 상태에서의 벌룬(105)을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280)는: 제1 벌룬 부분(282); 제2 벌룬 부분(284); 및 연결부(286)를 포함한다. 제1 벌룬 부분(282) 및 제2 벌룬 부분(284)의 각각은 연결부(286)로부터 연장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벌룬 부분(282) 및/또는 제2 벌룬 부분(284)은 슬리브(270)와 같은 슬리브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286)는 로드(256)(도 20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벌룬 부분(282) 및 제2 벌룬 부분(284)의 각각은 각각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벌룬 부분(284)의 연장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1 벌룬 부분(282)의 연장 방향에 대향한다. 특히, 노즈콘(109)을 향해 볼 때, 제1 벌룬 부분(282)은 일반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벌룬(105)의 외부면(240) 둘레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벌룬 부분(284)은 일반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벌룬(105)의 외부면(240) 둘레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벌룬 부분(282) 및 제2 벌룬 부분(284)의 각각은 각각의 원위 단부(288)를 나타낸다. 각각의 원위 단부(288)는 예로서 그에 접착됨으로써 벌룬(105)의 외부면(240)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286)는 제1 벌룬 부분(282)을 제2 벌룬 부분(284)에 연결하는 단일 요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부(286)는 한 쌍의 요소를 포함하고, 한 쌍의 요소의 각각은 제1 벌룬 부분(282) 및 제2 벌룬 부분(284)의 각각에 연결된다.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250)의 연결부(254)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부(286)는 선형 변위 센서(26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벌룬(105)이 팽창함에 따라,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벌룬의 반경방향 팽창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병진되고 그 결과 각각의 연결부가 선형으로 병진된다. 예를 들어, 벌룬(105)의 팽창은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250)의 벌룬 부분(252)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연결부(254)가 선형으로 견인된다. 다른 예에서, 벌룬(105)의 팽창은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280)의 제1 벌룬 부분(282) 및 제2 벌룬 부분(284)을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 연결부(286)가 선형으로 견인된다.
연결부(286)에 의해 경험되는 선형 병진의 양, 즉, 얼마나 많이 연결부(286)가 선형으로 병진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b)은 얼마나 많이 벌룬(105)이 팽창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연결부의 선형 병진량은 각각의 벌룬 부분/들의 반경방향 병진량과 미리 결정된 관계를 나타내고, 이에 의해 제어 유닛(111b)은 벌룬(105)이 반경방향으로 팽창된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반경방향 팽창량을 이용하여, 제어 유닛(111b)은 이어서 얼마나 많이 프레임(120b)이 팽창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1b)은 또한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1b)은 이어서 결정된 정보를 허용된 최대 팽창 및/또는 허용된 최대 반경방향 직경과 같은 미리 결정된 파라미터에 비교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정보는 선형 변위 센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b)은 이어서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조정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결정된 팽창량 및/또는 결정된 반경방향 직경이 각각의 최대값에 도달했을 때 벌룬(105) 내로의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정지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 유닛(111b)은 결정된 팽창량 및/또는 결정된 반경방향 직경이 각각의 최대값에 접근함에 따라 팽창 유체(212)의 유량을 늦추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전달 조립체(100b)의 부분으로서 이미저(29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미저(290)는 제어 유닛(111b)과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저(290)는 x-선 이미저를 포함할 수 있다. x-선 이미저는 정적 이미저 및/또는 형광 투시법 이미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저(290)는 판막(114b)의 임의의 관련 부분을 이미징할 수 있다. 획득된 이미지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b)은 프레임(120b) 및/또는 벌룬(105)이 팽창된 양; 및/또는 프레임(120b) 및/또는 벌룬(105)의 반경방향 직경을 결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벌룬(105)의 반경방향 직경 및 벌룬(105)의 팽창량은 각각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을 나타낸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저(290)는 통상적으로 높은 방사선 흡수 계수를 나타내는 재료로 구성된 프레임(120b)을 직접 이미징할 수 있다. 이미지는 프레임(120b)의 팽창량 및/또는 반경방향 직경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 유닛(111b) 및/또는 부가의 컴퓨터에 의해 분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가 프레임(120b) 및/또는 벌룬(105)의 미리 결정된 장소에 퇴적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은 반드시 방사선 불투과성일 필요는 없는 비금속(예를 들어, 폴리머)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경우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가 그에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갖고 퇴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는 벌룬(105)의 외부면(240) 상에 및/또는 벌룬(105)의 내부 내에 퇴적될 수 있다.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가 프레임(120b) 상에 퇴적되는 실시예에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는 미리 결정된 지주(121b)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밴드가 프레임(120b) 및/또는 벌룬(105)을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프레임(120b) 및/또는 벌룬(105)의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장소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이미저(29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는 이어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 밴드/들 및/또는 코팅을 식별하고, 그로부터 프레임(120b) 및/또는 벌룬(105)의 팽창량 및/또는 반경방향 직경을 결정하기 위해 분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120b) 및/또는 벌룬(105)의 팽창량은 인접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 사이의 거리의 변화를 식별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이 팽창됨에 따라, 인접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92)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도 23은 벌룬(105)의 외부면(240)과 병치된 스트레인 게이지(300)를 갖는 팽창 상태에서의 벌룬(105)을 도시하고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세장형일 수 있고, 또한 벌룬(105)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세장형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길이는 외부면(240)의 원주보다 짧을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제어 유닛(111b)(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은 통신 채널(160)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후퇴 가능한 통신 채널(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동작은 제어 유닛(111b)과 협력하여 수행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전자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는데, 즉 그 전기적 특성이 그에 인가된 스트레인에 응답하여 변화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광학적 스트레인 게이지일 수 있는데, 즉 그 광학적 특성이 그에 인가된 스트레인에 응답하여 변화한다.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한정이 아니라 예시로서 벌룬(150)을 에워싸는 것으로 도 25에 도시되어 있고, 원주방향에서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길이는 벌룬(105)의 둘레보다 상당히 더 짧지만, 원주방향에서 벌룬의 외부면 위에 병치될 때, 그 팽창(또는 수축) 중에 벌룬의 직경의 증가의 상당한 표시를 제공하기에 충분히 길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길이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벌룬(105)의 외부면에 접착되거나 봉합된다.
벌룬(105)이 팽창됨에 따라,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출력은 그에 인가된 스트레인에 응답하여, 즉 벌룬(105)에 인가된 스트레인에 응답하여 변경된다. 따라서,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출력은 벌룬(105)의 직경의 표시를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벌룬(105)의 직경은 프레임(120b)의 직경의 표시를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제어 유닛(111b)은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의 부풀음/팽창량을 결정하기 위해 스트레인 게이지(300)의 출력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다. 상기에는 스트레인 게이지(300)가 벌룬(105)과 병치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결코 한정이 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르면,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프레임(120b)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임(120b)의 직경은 직접 측정될 수 있다.
상기에는 단일 스트레인 게이지(300)가 제공되는 예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결코 한정이 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고, 복수의 스트레인 게이지(3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트레인 게이지(300)는 각각의 원주방향 단면에 걸쳐 벌룬(105)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의 결정된 팽창량 및/또는 반경방향 직경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b)은 벌룬(105) 내로 그리고/또는 외로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조정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펌프(230)는 벌룬(105)이 제어 가능하게 팽창되게 하여, 이에 의해 벌룬 팽창 가능 판막(114b)의 더 정확한 전개를 제공한다. 부가의 선형 변위 센서(260) 및/또는 이미저(290)는 제어 유닛(111b)과 조합하여, 벌룬 팽창 가능 판막(114b)의 전개에 추가의 정확도를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111b)은 압력 센서(238)와 협력하여, 주위 조직 상의 반경방향 힘과 직접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팽창 유체(212)의 압력을 모니터링하고, 원하는 미리 결정된 범위 내에서 압력을 유지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벌룬(105) 및/또는 프레임(120b)의 반경방향 직경 및 압력의 모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11b)은 압력의 변화를 직경의 변화에 비교할 수 있다. 유사한 직경의 증가 없이 압력이 상승하면, 이는 벌룬(105)이 그 최대(또는 거의 최대) 팽창 가능한 파라미터에 도달하는 동안 조직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고 있고 더 이상 팽창되어서는 안된다는 표시일 수 있다. 유사하게, 압력의 증가 없이 직경이 증가하면, 이는 벌룬(105)이 아직 최대 팽창 가능한 파라미터에 도달하지 않았고 따라서 안전하게 더 팽창되어야 할 수도 있다는 표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11b)은 압력의 증가와 직경의 증가 사이의 차이의 미리 결정된 함수를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미리 결정된 함수는 압력 및 직경의 증가 값; 및/또는 그 절대값으로부터 플롯팅된 곡선의 도함수일 수 있다.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111b)은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조정하도록, 예를 들어 벌룬(105) 내로의 팽창 유체(212)의 유동을 중단하도록 펌프(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응력-스트레인 곡선은 응력과 스트레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통상적으로 재료에 점진적으로 부하(즉, 힘)를 인가하고 인가된 부하의 결과로서 그에 야기된 변형을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는 것이 재료 과학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특정 재료는 스트레인이 초기에 재료에 인가된 응력의 증가에 비례하는 비율로 증가하는(선형 탄성 영역) 거동을 나타낸다. 특정 임계점(즉, 항복 강도) 후에, 응력 증가는 재료가 소성 변형을 경험하게 하고 그리고/또는 파괴(예를 들어, 파단)를 겪게 할 수 있다.
동맥 및 고리 조직(예를 들어, 자연 심장 판막에서)은 응력-스트레인 곡선에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유사한 거동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조직, 및 더 구체적으로 고리로의 반경방향 팽창력(즉, 응력)의 초기 인가시에, 고리 직경은 그에 인가된 반경방향 힘의 증가에 비례하는 비율로 증가할 수 있다(탄성 영역). 특정 임계 직경에 도달한 후, 조직은 그 생리학적 한계를 넘어 팽창되거나 신장되고, 따라서 그에 대한 반경방향 힘의 인가를 증가시키는 것은 조직이 비가역적 소성 변형을 지속하고 그리고/또는 임계 손상(예를 들어, 파열)을 겪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내의 오기능 자연 판막의 부위와 같은, 원하는 이식 부위 내에서, 인공 판막 또는 벌룬의 팽창 직경 및 이에 의해 주위 조직에 인가된 반경방향 힘의 모두를 나타내는 측정값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막 또는 벌룬의 팽창 직경과 이에 의해 주위 조직에 인가된 힘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임계 팽창 직경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고, 임계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은 그에 증가하는 반경방향 힘을 인가할 것인데, 이는 주위 조직의 임계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임계 직경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따라서 가능한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임계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직경으로 판막을 팽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는 인공 판막을 팽창하도록 구성된 벌룬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결코 한정이 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스텐트를 팽창하도록 배열된 팽창 가능 벌룬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은 판막 성형술 시술, 벌룬 팽창 전(pre-ballooning) 시술 및 벌룬 팽창 후(post-ballooning) 시술 동안과 같이, 팽창 가능 판막, 또는 다른 스텐트 없이 사용되도록 구성된 팽창 가능 벌룬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111b)은 벌룬(105)의 팽창된 반경방향 직경 및/또는 팽창 유체(212)의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23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4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을 위한 전달 방법(1000)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방법(1000)은 단계 101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인공 판막의 복수의 교차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한 쌍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플렉스 센서의 각각은 복수의 지주의 쌍 중 각각의 하나에 커플링된다. 복수의 지주의 쌍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전달 방법(1000)은 단계 10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단계 1010의 인공 판막이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대동맥을 통해 결함이 있는 심장 판막(예를 들어, 자연 대동맥 판막)과 같은 목표 이식 부위로 전달된다. 전달 방법(1000)은 단계 10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단계 1020의 전달된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된다. 반경방향 압축 구성에서, 전달된 판막은 최소 반경방향 직경을 갖도록 크림핑될 수 있다. 반경방향 팽창 구성은 전달된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이동은 판막의 지주에 인가된 선형 힘에 의해 및/또는 전달된 판막의 프레임 내에 위치된 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달 방법(1000)은 단계 10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40에서, 단계 1010의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지주의 개방각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측정되고,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은 측정된 개방각에 응답하여 결정된다.
도 24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을 위한 전달 방법(1100)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방법(1100)은 단계 111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인공 판막의 복수의 교차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한 쌍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플렉스 센서의 각각은 복수의 지주의 쌍 중 각각의 하나에 커플링된다. 복수의 지주의 쌍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전달 방법(1100)은 단계 11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단계 1110의 인공 판막이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대동맥을 통해 결함이 있는 심장 판막과 같은 목표 이식 부위로, 경대퇴 접근법으로 전달된다. 전달 방법(1100)은 단계 11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단계 1020의 전달된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된다. 반경방향 압축 구성에서, 전달된 판막은 최소 반경방향 직경을 갖도록 크림핑될 수 있다. 반경방향 팽창 구성은 전달된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이동은 판막의 지주에 인가된 선형 힘에 의해 및/또는 전달된 판막의 프레임 내에 위치된 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이동 중에 판막의 반경방향 팽창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굴곡 부분을 굽힌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각각은, 팽창 중에 각각의 지주가 외향으로 개방될 때 각각의 플렉스 센서의 제1 부분이 굴곡하고 각각의 지주가 개방할 때 각각의 플렉스 센서의 제2 부분이 굴곡되지 않도록 판막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지주의 개방각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측정되고,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은 측정된 개방각에 응답하여 결정된다. 개방각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굴곡 부분과 비굴곡 부분 사이의 결정된 각도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4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인공 판막을 위한 전달 방법(1200)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방법(1200)은 단계 121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인공 판막의 복수의 교차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한 쌍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플렉스 센서의 각각은 복수의 지주의 쌍 중 각각의 하나에 커플링된다. 복수의 지주의 쌍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스 센서는 한 쌍의 전기 리드로 구성된 출력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채널은 한 쌍의 전기 리드에 커플링된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과 제어 유닛 사이에 전기 및/또는 광학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플렉스 센서 및 복수의 통신 채널이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통신 채널의 각각은 복수의 플렉스 센서 중 각각의 하나에 커플링된다.
전달 방법(1200)은 단계 12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단계 1210의 인공 판막이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대동맥을 통해 결함이 있는 심장 판막으로 전달된다. 전달 방법(1200)은 단계 12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단계 1220의 전달된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된다. 반경방향 압축 구성에서, 전달된 판막은 최소 반경방향 직경을 갖도록 크림핑될 수 있다. 반경방향 팽창 구성은 전달된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이동은 판막의 지주에 인가된 선형 힘에 의해 및/또는 전달된 판막의 프레임 내에 위치된 벌룬을 팽창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달 방법(1200)은 단계 1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240에서, 판막이 단계 1220의 팽창 구성으로 이동한 후에, 단계 1210의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판막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되고 판막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이 여전히 그에 커플링되어 있는 상태로, 판막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높은 견인력의 크기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 상에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지주의 개방각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측정되고,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은 측정된 개방각에 응답하여 결정된다. 개방각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굴곡 부분과 비굴곡 부분 사이의 결정된 각도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5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달 방법(2000)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방법(2000)은 단계 201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은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된다. 인공 판막은 대동맥을 통해 결함이 있는 심장 판막과 같은 목표 이식 부위로 전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000)은 단계 20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20에서, 팽창 유체는 단계 2010의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펌프에 의해 펌핑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킨다.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은 팽창 가능 인공 판막을 팽창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000)은 단계 20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30에서, 펌프는 팽창 가능 벌룬 외부로 팽창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펌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팽창 가능 벌룬 외부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것은 단계 2020의 제어 유닛에 응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것은 팽창 가능 인공 판막의 팽창 후에 수행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000)은 단계 20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40에서, 인공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가 결정될 수 있다. 인공 판막의 직경의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결정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표시는 선형 모션 센서가 반경방향 팽창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팽창의 양을 측정하도록,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되고 선형 모션 센서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팽창 가능 부재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표시는 인공 판막의 복수의 상호 연결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직경 표시는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는 이미저의 이미지에 응답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미저는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프레임 상에 위치된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팽창 가능 벌룬 외부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것은 팽창 가능 벌룬 및/또는 인공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의 결정에 응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의 직경의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직경의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 판막의 직경의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측정된 직경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공 판막의 직경의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다른 표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초기 반경방향 직경과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된 반경방향 직경 사이의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는 복수의 측정에 걸쳐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인공 판막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는 복수의 측정에 걸쳐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000)은 단계 20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50에서, 단계 2040의 결정된 반경방향 직경 표시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 내로 및/또는 외로의 단계 2020의 팽창 유체의 유동이 조정된다. 결정된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반경방향 직경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고, 팽창 유체의 유동은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 있다.
도 25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달 방법(2100)의 고레벨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방법(2100)은 단계 211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은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인공 판막은 대동맥을 통해 결함이 있는 심장 판막으로 전달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100)은 단계 2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20에서, 팽창 유체는 단계 2110의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펌프에 의해 펌핑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킨다.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은 팽창 가능 인공 판막을 팽창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펌프는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200)은 단계 2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30에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유동하는 단계 2120의 팽창 유체의 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압력은 팽창 유체 유동 내에 위치된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펌프와 팽창 가능 벌룬 사이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200)은 단계 2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35에서, 방법(2000)의 단계 2040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가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방법(2100)은 단계 2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40에서, 단계 2130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단계 2120의 팽창 유체의 유동이 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2130의 측정된 압력은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압력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고 팽창 유체의 유동은 비교의 결과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의 증가 및 직경의 증가의 미리 결정된 함수가 결정될 수 있고, 팽창 유체의 유동은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함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과 비교될 수 있고, 팽창 유체의 유동은 비교 결과에 응답하여 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함수는 압력 및 직경의 증가 값; 및/또는 그 절대값으로부터 플롯팅된 곡선의 도함수일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별개의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특정 특징은 또한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반대로, 간결함을 위해,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합한 하위 조합으로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설명된 실시예에서 적합한 바와 같이 제공될 수도 있다. 명시적으로 이와 같이 지정되지 않으면,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어떠한 특징도 그 실시예의 필수 특징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이 그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수많은 대안, 수정 및 변형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요소 및/또는 방법의 구성 및 배열의 상세에 그 적용에 있어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실시예가 실시될 수도 있고, 실시예는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모든 이러한 대안,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94)
- 전달 조립체이며,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굽힘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은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2 단부는 핸들을 향해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5항에 있어서,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센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는, 전달 조립체.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지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 및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센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에 국소적으로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고;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탈착 가능 샤프트가 센서 하우징에 커플링될 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주위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탈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큰, 전달 조립체.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은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광학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를 통해 지주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는 봉합사, 밴드, 튜브, 및/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대해 활주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커플링되는 지주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지주 구멍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그에 인가된 굴곡의 정도에 응답하여 그 전기 비저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 소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4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 소자는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인, 전달 조립체.
-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섬유 브래그 격자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 감지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2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되는, 전달 조립체.
-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 및
제2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2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세장형 부재는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할 때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와 커플링하고, 그로부터 견인시에 그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제1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및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인공 판막의 이동은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25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26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는 굽힘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유닛은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3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2 단부는 핸들을 향해 연장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32항에 있어서,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센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는, 전달 조립체. -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지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 및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센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에 국소적으로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고;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탈착 가능 샤프트가 센서 하우징에 커플링될 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주위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탈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3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큰, 전달 조립체.
-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은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이고,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광학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를 통해 지주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는 봉합사, 밴드, 튜브, 및/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대해 활주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커플링되는 지주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지주 구멍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그에 인가된 굴곡의 정도에 응답하여 그 전기 비저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41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 소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41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 소자는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인, 전달 조립체.
- 제4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섬유 브래그 격자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광학적으로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를 더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 감지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4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되는, 전달 조립체.
-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 및
제2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2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세장형 부재는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할 때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와 커플링하고, 그로부터 견인시에 그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제1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하는, 전달 조립체.
- 제28항, 제29항 또는 제32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및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인공 판막의 이동은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52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53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굽힘 감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2 단부는 핸들을 향해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5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56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된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를 작동할 때 반경방향 압축 상태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상태로 팽창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조립체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센서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센서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주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 및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고, 센서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하우징에 국소적으로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를 통해 연장되고;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탈착 가능 샤프트가 센서 하우징에 커플링될 때,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주위 유동으로부터 격리시키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탈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탈착 가능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큰, 전달 조립체.
- 제60항 또는 제61항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은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고, 탈착 가능 샤프트는 센서 하우징 근위 나사산 형성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탈착 가능 샤프트 원위 나사산 형성 단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를 통해 지주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6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는 봉합사, 밴드, 튜브, 및/또는 슬리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상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인가되는 마찰력을 초과하는 힘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부재에 대해 활주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커플링되는 지주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가 그를 통해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지주 구멍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그에 인가된 굴곡의 정도에 응답하여 그 전기 비저항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가변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66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 소자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66항에 있어서, 가변 저항 소자는 전도성 재료층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광학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광학 플렉스 센서이고, 적어도 하나의 전송 라인은 광학 전도체인, 전달 조립체.
- 제6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섬유 브래그 격자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광학 전도체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 플렉스 센서에 광학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굽힘 감지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7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측면으로 탄성적으로 만곡되는, 전달 조립체.
-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1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 및
제2 원위 루프를 포함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로서,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는 제2 플렉스 센서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포함하고,
굽힘 감지 조립체는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그리고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하는 가요성 세장형 부재를 더 포함하고,
가요성 세장형 부재는 제1 원위 루프 및 제2 원위 루프를 통해 연장할 때 제1 가요성 원위 연장부를 제2 가요성 원위 연장부와 커플링하고, 그로부터 견인시에 그 분리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제1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1 통신 채널, 및 제2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된 제2 통신 채널을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하는, 전달 조립체.
- 제55항, 제56항 또는 제59항 내지 제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및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을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의 인공 판막의 이동은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77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78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직경 센서로서, 직경 센서의 출력은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에 응답하는, 직경 센서; 및
펌프 및 직경 센서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직경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80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직경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81항에 있어서,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센서는: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되고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선형 변위 센서로서,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는, 선형 변위 센서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8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전달 조립체.
- 제8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루프 형상인, 전달 조립체.
- 제8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제1 벌룬 부분;
제2 벌룬 부분; 및
연결부로서,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연결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연결부의 제2 단부는 선형 변위 센서에 커플링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86항에 있어서,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각각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1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에 대향하는, 전달 조립체.
-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인공 판막은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는, 전달 조립체. - 제8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복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된 제1 플렉스 센서, 및 복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된 제2 플렉스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의 지주 중 제1 지주와 복수의 지주 중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하는, 전달 조립체. - 제88항 내지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의 제1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인공 판막으로부터 후퇴 가능한, 전달 조립체. - 제80항 내지 제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센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80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80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93항 또는 제94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제95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인공 판막을 이미징하도록 구성된 이미저; 및
펌프 및 이미저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97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고, 인공 판막을 이미징하기 위한 이미저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9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98항 또는 제9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공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97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97항 내지 제1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제103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인공 판막, 및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전달 장치는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도록 구성된 이미저; 및
펌프 및 이미저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의 팽창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은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05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 벌룬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기 위한 이미저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0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06항 또는 제10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공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05항 내지 제10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09항에 있어서,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05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05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11항 또는 제112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제113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및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펌프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되고 제어 유닛과 통신하는 선형 변위 센서로서,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선형 변위 센서를 포함하고,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15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15항에 있어서,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15항 내지 제1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전달 조립체.
- 제11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루프 형상인, 전달 조립체.
- 제115항 내지 제1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는:
제1 벌룬 부분;
제2 벌룬 부분; 및
연결부로서,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연결부의 제1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연결부의 제2 단부는 선형 변위 센서에 커플링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20항에 있어서, 제1 벌룬 부분 및 제2 벌룬 부분의 각각은 각각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은 일반적으로 제1 벌룬 부분의 연장 방향에 대향하는, 전달 조립체.
- 제115항 내지 제1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15항 내지 제1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22항 또는 제123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제124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및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펌프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 상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26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27항에 있어서,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26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26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29항 또는 제130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제131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전달 조립체이며,
핸들;
핸들로부터 원위측으로 연장하는 전달 샤프트;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미리 결정된 체적의 팽창 유체를 수납하는 저장조;
저장조와 유체 연통하는 펌프;
유체 유동 채널로서, 유체 유동 채널의 원위 단부는 팽창 가능 벌룬의 개구와 유체 연통하고 유체 유동 채널의 근위 단부는 펌프와 유체 연통하는, 유체 유동 채널;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도록 구성된 이미저; 및
펌프 및 이미저와 통신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펌프는 유체 유동 채널을 통해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의 유동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는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기 위해 펌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33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 벌룬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고,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기 위한 이미저의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3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코팅을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34항 또는 제13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는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공간을 나타내는 복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33항 내지 제1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이미저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37항에 있어서, 결정된 직경 표시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포함하는, 전달 조립체.
- 제133항 내지 제1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펌프는 팽창 유체의 발생된 유동을 조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전달 조립체. - 제133항 내지 제1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 및 결정된 직경 표시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는, 전달 조립체. - 제139항 또는 제140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팽창 유체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제141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는 유체 유동 채널 내에 위치되는, 전달 조립체.
-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인공 판막을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4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 제144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는, 방법.
- 제14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한, 방법. - 제14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되는, 방법.
- 제14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주로의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커플링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1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2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하는, 방법. - 제143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전달된 인공 판막의 이동을 야기하는, 방법.
-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인공 판막을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의 이동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비굴곡 부분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굴곡 부분을 굽히는, 방법. - 제15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50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는, 방법.
- 제15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한, 방법. - 제15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되는, 방법.
- 제15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주로의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커플링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1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2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하는, 방법. - 제150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전달된 인공 판막의 이동을 야기하는, 방법.
- 복수의 교차 지주를 포함하는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로서, 통신 채널이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는, 커플링 단계;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인공 판막을 반경방향 압축 구성과 반경방향 팽창 구성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단계; 및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이동 후에, 인공 판막으로부터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5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5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 제15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에 견인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견인력의 크기는 미리 결정된 임계 크기보다 더 크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견인력의 인가시에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로부터 탈착 가능한, 방법. - 제15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2개의 교차 지주에 커플링되는, 방법.
- 제15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지주로의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커플링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1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1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 중 제2 플렉스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지주 중 제2 지주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지주 및 제2 지주는 서로 교차하는, 방법. - 제157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전달된 인공 판막의 이동을 야기하는, 방법.
- 인공 판막의 전달 방법이며,
인공 판막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인공 판막 내에 위치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켜 이에 의해 전달된 인공 판막이 반경방향 압축 구성으로부터 반경방향 팽창 구성으로 이동되게 하는, 펌핑 단계;
인공 판막 및/또는 팽창 가능 벌룬의 반경방향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반경방향 직경 표시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4항에 있어서, 직경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4항에 있어서,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된 선형 변위 센서에 응답하고,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 제166항에 있어서, 병치 단계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6항에 있어서,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인공 판막의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방법.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는, 방법.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을 이미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인공 판막의 이미징에 응답하는, 방법. - 제170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의 이미징 단계는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팽창 가능 벌룬의 이미징에 응답하는, 방법. - 제172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 벌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의 이미징 단계는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를 인공 판막의 복수의 지주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반경방향 직경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는, 방법. - 제17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는 비굴곡 부분 및 비굴곡 부분에 대해 굽혀지도록 구성된 굴곡 부분을 포함하는, 방법.
- 제174항에 있어서, 인공 판막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을 후퇴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채널은 적어도 하나의 플렉스 센서에 커플링되는, 방법.
- 제164항 내지 제1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압력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64항 내지 제1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팽창 가능 벌룬의 전달 방법이며,
팽창 가능 벌룬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키는, 펌핑 단계;
벌룬의 팽창이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반경방향으로 병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에 커플링된 선형 변위 센서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병진 가능 부재의 반경방향 병진에 응답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 제179항에 있어서, 병치 단계는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을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80항 또는 제181항에 있어서, 선형 변위 센서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방법.
- 제181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직경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81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또한 응답하는, 방법. - 제179항 내지 제1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측정된 압력에 또한 응답하는, 방법. - 팽창 가능 벌룬의 전달 방법이며,
팽창 가능 벌룬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키는, 펌핑 단계;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팽창 가능 벌룬의 외부면과 병치하는 단계; 및
병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달 방법. - 제18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트레인 게이지의 출력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방법.
- 제186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직경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는 반경방향 직경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달 방법.
- 제187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방법. - 제185항 내지 제1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측정된 압력에 또한 응답하는, 전달 방법. - 팽창 가능 벌룬의 전달 방법이며,
팽창 가능 벌룬을 미리 결정된 해부학적 장소로 전달하는 단계;
전달된 팽창 가능 벌룬 내로 팽창 유체를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핑된 팽창 유체는 팽창 가능 벌룬을 팽창시키는, 펌핑 단계;
팽창 가능 벌룬을 이미징하는 단계; 및
이미징에 응답하여, 팽창 유체의 유동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90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 벌룬 상에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인공 판막의 이미징 단계는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이미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190항에 있어서, 이미징에 응답하여, 팽창 가능 벌룬의 직경의 표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은 결정된 직경 표시에 또한 응답하는, 방법.
- 제192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결정된 직경 표시 및 측정된 압력의 미리 결정된 함수에 또한 응답하는, 방법. - 제190항 내지 제1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팽창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팽창 유체의 유동의 조정 단계는 측정된 압력에 또한 응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962945010P | 2019-12-06 | 2019-12-06 | |
US62/945,010 | 2019-12-06 | ||
PCT/US2020/062989 WO2021113431A1 (en) | 2019-12-06 | 2020-12-03 | Flex sensors for measuring real-time valve diameter during proced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3915A true KR20220113915A (ko) | 2022-08-17 |
Family
ID=7400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06783A KR20220113915A (ko) | 2019-12-06 | 2020-12-03 | 시술 중 실시간 판막 직경 측정을 위한 플렉스 센서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80298A1 (ko) |
EP (1) | EP4069148A1 (ko) |
JP (1) | JP2023504328A (ko) |
KR (1) | KR20220113915A (ko) |
CN (2) | CN216394380U (ko) |
AU (1) | AU2020396962A1 (ko) |
CA (1) | CA3142895A1 (ko) |
CR (1) | CR20210649A (ko) |
WO (1) | WO2021113431A1 (ko) |
ZA (1) | ZA20210984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86844A1 (en) * | 2019-10-31 | 2021-05-06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Valves and delivery apparatuses equipped with optic fiber sensors |
WO2023018521A1 (en) * | 2021-08-11 | 2023-02-16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Mechanically-expandable prosthetic heart valve |
DE102021213563A1 (de) | 2021-11-30 | 2023-06-01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erfahren und Sensoreinrichtung zum Nachverfolgen eines flexiblen Bauteils |
WO2023224808A1 (en) * | 2022-05-18 | 2023-11-23 |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 Automated balloon inflation device for transcatheter heart valve implantation |
WO2024158595A1 (en) * | 2023-01-24 | 2024-08-02 | Medtronic, Inc. | Heart valve implant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850607A1 (en) | 1996-12-31 | 1998-07-01 | Cordis Corporation | Valve prosthesis for implantation in body channels |
US6454799B1 (en) | 2000-04-06 | 2002-09-24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Minimally-invasive heart valves and methods of use |
US6893460B2 (en) | 2001-10-11 | 2005-05-17 | Percutaneous Valve Technologies Inc. | Implantable prosthetic valve |
JP5386363B2 (ja) | 2007-05-17 | 2014-01-15 | Dic株式会社 | ネマチック液晶組成物及びバイステイブルネマチック液晶表示素子 |
HUE054943T2 (hu) | 2008-06-06 | 2021-10-28 | Edwards Lifesciences Corp | Kis profilú transzkatéteres szívbillentyû |
US9827093B2 (en) | 2011-10-21 | 2017-11-28 | Edwards Lifesciences Cardiaq Llc | Actively controllable stent, stent graft, heart valv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US9801721B2 (en) * | 2012-10-12 | 2017-10-31 | St. Jude Medical, Cardiology Division, Inc. | Sizing device and method of positioning a prosthetic heart valve |
US11096781B2 (en) | 2016-08-01 | 2021-08-24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Prosthetic heart valve |
US10603165B2 (en) | 2016-12-06 | 2020-03-31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Mechanically expanding heart valve and delivery apparatus therefor |
CN106618803B (zh) * | 2017-02-08 | 2018-10-02 | 上海纽脉太惟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人工心脏瓣膜输送装置 |
US11135056B2 (en) | 2017-05-15 | 2021-10-05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Devices and methods of commissure formation for prosthetic heart valve |
US10869759B2 (en) | 2017-06-05 | 2020-12-22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Mechanically expandable heart valve |
US10806573B2 (en) | 2017-08-22 | 2020-10-20 |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 Gear drive mechanism for heart valve delivery apparatus |
-
2020
- 2020-12-03 CN CN202022865087.2U patent/CN216394380U/zh active Active
- 2020-12-03 AU AU2020396962A patent/AU2020396962A1/en active Pending
- 2020-12-03 CN CN202080046075.7A patent/CN114025710A/zh active Pending
- 2020-12-03 EP EP20829109.6A patent/EP4069148A1/en active Pending
- 2020-12-03 KR KR1020227006783A patent/KR20220113915A/ko unknown
- 2020-12-03 CR CR20210649A patent/CR20210649A/es unknown
- 2020-12-03 WO PCT/US2020/062989 patent/WO2021113431A1/en unknown
- 2020-12-03 JP JP2021573904A patent/JP2023504328A/ja active Pending
- 2020-12-03 CA CA3142895A patent/CA3142895A1/en active Pending
-
2021
- 2021-12-01 ZA ZA2021/09844A patent/ZA202109844B/en unknown
-
2022
- 2022-05-27 US US17/826,751 patent/US20220280298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1113431A1 (en) | 2021-06-10 |
EP4069148A1 (en) | 2022-10-12 |
CA3142895A1 (en) | 2021-06-10 |
ZA202109844B (en) | 2023-06-28 |
CN114025710A (zh) | 2022-02-08 |
AU2020396962A1 (en) | 2021-12-23 |
US20220280298A1 (en) | 2022-09-08 |
CR20210649A (es) | 2022-06-02 |
CN216394380U (zh) | 2022-04-29 |
JP2023504328A (ja) | 2023-0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13915A (ko) | 시술 중 실시간 판막 직경 측정을 위한 플렉스 센서 | |
JP6987927B2 (ja) | 人工心臓弁用の送達システム | |
US10716663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valvuloplasty | |
EP3422998A1 (en) | Embolic protection basket apparatus | |
CN111163706B (zh) | 用于固定组织锚定件的装置和方法 | |
US20220331132A1 (en) | Devices and methods for prosthetic valve diameter estimation | |
JP7549613B2 (ja) | 弁および光ファイバセンサを搭載した送達装置 | |
CN217960421U (zh) | 用于人工心脏瓣膜的输送组件 | |
US20200261699A1 (en) | Electronic control of medical device deployment systems and methods | |
CN118785873A (zh) | 用于在递送系统中减小力的系统及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