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993A -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993A
KR20220112993A KR1020210016606A KR20210016606A KR20220112993A KR 20220112993 A KR20220112993 A KR 20220112993A KR 1020210016606 A KR1020210016606 A KR 1020210016606A KR 20210016606 A KR20210016606 A KR 20210016606A KR 20220112993 A KR20220112993 A KR 2022011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input
amount
function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819B1 (ko
Inventor
정혜린
Original Assignee
정혜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혜린 filed Critical 정혜린
Priority to KR1020210016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81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9Chlorine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소액을 사용한 공간만큼 봉지부재가 수축하여 밀폐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염소가스가 발생하여 염소액의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영하로 떨어지면 동결되는 염소를 공급하는 파이프와 모터 사이에 동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하여 염소를 회수하고, 정상적인 상황인 경우 회수한 값을 더한 염소를 공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딥러닝(AI) 정보 등을 통한 검진 기능을 기반으로 로드셀의 중량 정보에 의한 염소투입량, 농도, 가스량 등의 예측에 사용하여 염소 투입 기준을 충족하는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of small-scale water supply with AI self-test function}
본 발명은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소액을 사용한 공간만큼 봉지부재가 수축하여 밀폐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염소가스가 발생하여 염소액의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영하로 떨어지면 동결되는 염소를 공급하는 파이프와 모터 사이에 동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하여 염소를 회수하고, 정상적인 상황인 경우 회수한 값을 더한 염소를 공급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딥러닝(AI) 정보 등을 통한 검진 기능을 기반으로 로드셀의 중량 정보에 의한 염소투입량, 농도, 가스량 등의 예측에 사용하여 염소 투입 기준을 충족하는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을 상수 시스템은 소정의 취수원과, 송수된 원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수탱크와, 취수된 원수를 상기 취수원으로부터 상기 저수탱크로 송수하기 위하여 상기 취수원과 상기 저수탱크를 연결하는 송수관과,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개폐되는 정수위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저수탱크의 하부에 연결된 급수관을 통해 사용자 가정으로 급수된다.
상기와 같은 마을 상수 시스템에는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장치 뿐만 아니라 저수 탱크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에 따라 원수의 소독을 위한 염소용액을 투입하는 염소투입장치가 구비된다.
따라서, 마을 상수 시스템의 염소투입장치에서는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유량의 계측이 요구된다.
그러나, 마을 상수도의 경우 취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의 양이 변동이 많다. 예를 들면, 취수원이 계곡수인 경우 갈수기에 송수관으로는 물이 전체 관로를 차지하지 않고 송수관의 하부만 채워진 상태에서 유입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마을 상수 시스템에서 송수관에 통상의 유량계를 부착하여 그 유량을 감지하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마을 상수도의 경우 유량을 대략적으로 계측하더라도 활용이 가능하다. 그런데, 통상의 유량계는 마을 상수도에서 요구되는 정밀도보다 과도하게 정밀하여 그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염소 투입기의 무게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가 복잡하고 외부 상황에 대한 고려가 없이 정확한 소독량의 투입이 어려워 마을 상수 시스템의 유지관리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2033592호는 관로에 설치하여 원수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감지기; 관로에 설치하여 원수에 약품을 투입하는 약품투입기; 내부에 투입한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온도센서로 온도 검출하며 저장하는 약품탱크; 상기 약품탱크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상기 약품투입기에 공급하는 정량펌프;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의 유효 염소농도를 획득하는 유효 염소농도 획득 수단을 포함하고, 원수의 설정잔류염소농도를 위해 투입할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의 유량을 원수 유량 및 유효 염소농도에 따라 산정하여 상기 정량펌프로 투입되게 하며,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에서 발생하는 클로레이트 농도의 온도 상관성에 근거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의 사용한계시간이 설정되어 있어, 약품탱크에서 검출한 온도 변화에 따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유효사용시간을 산정하여 사용 한계 시간에 도달할 시에 알람하거나 또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의 투입을 차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한계시간은 온도별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수용액을 상기 약품탱크에 투입한 시점부터 온도 변화를 검출하여, 보관 시간 증가분 △t와 △t 동안의 평균 온도 T에 대응되는 사용한계시간 tmax 사이의 비율을 보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유효사용시간을 산정하고, 유효사용시간이 1이 될 시에 알람하는 지능형 염소 투입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시간 동안의 온도 평균치에 대응되는 시간-농도 상관 데이터를 적용하여 유효 염소농도를 결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외부 환경에 따라 데이터의 오류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계절에 따라 동파에 따른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장시간의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염소 농도를 관찰하여 데이터를 축적하여도 너무 방대한 데이터 때문에 용이하게 이용하기 어려웠다.
한국등록특허 제2033592호 한국등록특허 제0199691호 한국등록특허 제203359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6-0133288호 한국등록특허 제0856578호 한국등록특허 제1646744호 한국등록특허 제1739117호 한국등록특허 제1751037호 한국등록특허 제16401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플렉서블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를 사용하여 내부의 염소액의 양에 따라 팽창과 수축 변형되어 염소액을 사용한 공간만큼 밀폐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염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차단함과 동시에 물탱크에 공급되는 배관 호스에 남아 있는 염소액이 동결되어 계절에 따라 동파에 따른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염소 투입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소액의 투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기능을 가지며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염소 투입기를 이용하여 염소액이 전부 간이상수도 저장탱크로 배출될 때 까지 내부 가스가 생성되지 않아 로드셀에 올려진 염소 투입기의 무게 등의 정보를 정확히 측정하여 계절에 따른 정밀한 염소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소 투입기의 무게 등을 이용해 딥러닝(AI) 학습을 통한 검진 기능을 기반으로 로드셀의 중량 정보에 의한 염소투입량, 농도, 가스량 등의 예측도 가능한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렉서블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를 포함하는 염소투입기(100)의 염소 투입량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와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가 미리 입력된 일정 염소를 물 탱크(111)에 공급하기 위한 회전 자성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모터 회전수를 저장하다가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동파 방지를 위한 모터 회전수의 초기화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초기화 입력부(159)와 연결되어 특정 계절에 맞게 고정된 값을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해 초기화시키고 재투입 양을 조절하여 겨울 동파를 방지한다.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서버의 제어를 받아 물탱크(111)에 염소를 투입하는 염소투입부(503-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염소투입부의 제어를 받아 염소 투입량에 대응하여 모터(504)를 회전시킨다.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앱(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염소 측정기는 염소를 투입하는 염소투입부(503-4) 내에서 염소의 투입량을 회전량으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회전량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염소 투입기(100) 내의 염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저면 로드셀(300);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가 저면 로드셀(300)의 무게를 참고하여 현재 투입량과 회수한 염소 회수량을 더한 염소 최종량을 공급한다.
상기 원격제어서버(503)는 상기 DB의 정보와 기준 정보의 비교를 통해 잔존 염소의 양을 측정하고, 염소 가스 유발에 따른 농도 저하를 상호 유추하여 AI 자가 체크 기능을 갖고, 상기 AI 자가 체크 기능에 따라 계산된 현재 투입량과 회수한 염소 회수량을 더한 염소 최종량의 학습 결과에 의한 염소 농도치를 피드백하여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가 물탱크에 학습된 염소 회수량과 염소 최종량의 합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 리디렉션이 가능한 자동 호 분산기(ACD; Automatic call distributor)를 통해 서버(WORK STATION; 3)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고, 원격지 염소 투입기에 관련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에 자동 전달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로 이루어진 PBX(1); 상기 염소투입기(100)에 관련된 임베디드(Embedded)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RCS(2); 상기 PBX(1)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염소투입기(100)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분석하는 서버(3); 상기 염소 투입기(100)에서 염소 투입양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염소의 농도에 따른 결빙 온도를 계산한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 받는 염소 투입 초기화값 입력부(159); 상기 염소 투입기(100)로부터 염소를 전달받아 전송시키는 투입 파이프(503-4); 상기 투입 파이프(503-4)에 염소를 공급하는 모터(504);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염소 농도에 따른 결빙 온도를 계산한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설정하여 영하로 떨어지면 염소를 공급하는 파이프와 모터 사이에 남아 있는 약품을 회수하여 염소 공급 파이프 결빙으로 염소 공급이 중단되거나 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하고, 염소 공급 파이프 결빙으로 염소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기온으로 돌아오는 경우 회수한 값을 더한 염소를 공급하여 염소의 소독 효과에 저하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절에 따라 동파에 따른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봉지부재를 부드러운 파우치 재질로 제조하여 내부의 염소액의 양에 따라 팽창과 수축 변형되어 염소액을 사용한 공간만큼 밀폐된 상태로 수축되어 내부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가스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염소액의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고 로드셀을 적용하여 내부 공간의 공기 무게를 제외한 정확한 염소 투입기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또는 로드셀 또는 염소 투입기의 고장 여부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망을 통해 전달받아 앱을 통해 정상 상태로 유지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확한 염소 투입기의 무게 등을 이용해 딥러닝(AI) 학습을 통한 검진 기능을 기반으로 로드셀의 중량 정보에 의한 염소투입량, 농도, 가스량 등의 예측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입과 배출을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초기농도 유지가 가능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가 걸린 가이드부가 하우징의 대각선 모서리에 고정되는 상태와, 도 3c는 진공파우치의 염소액이 인출되면서 내부의 공간이 상측부부터 밀폐수축 되어 가스 공간이 생성되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 관리 시스템 중 염소 투입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 염소를 포함한 각종 장치를 앱을 통해 제어하고 사용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이용한 전체적인 상수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에 연결된 원격제어서버와 DB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서버의 세부적인 제어 기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딥러닝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딥러닝을 통한 구성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I 딥러닝을 통한 프로세싱 과정을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염소 투입 및 재투입을 위한 플렉서블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를 포함하는 염소투입기(100)는 물 탱크(111)에 공급하는 염소가 특정 설정된 온도에서 염소액이 배출되는 염소액 배출부재(230)에 남아 있는 염소 또는 기화된 염소에 의해 농도가 낮아진 염소액이 동결되어 연결되는 호스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호스에 남아 있는 염소를 강제로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는 염소투입기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어 염소액이 저장되고 염소액의 투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기능을 가지며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봉지부재(210); 상기 봉지부재(2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지부재(210) 내부로 염소액을 주입하기 위한 염소액 주입부재(220); 상기 봉재부재(210)의 내부에 주입된 염소액을 물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염소공급펌프와 연결되는 호스가 구비되어 염소액이 배출되는 염소액 배출부재(23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플렉서블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를 포함하는 염소투입기(100)의 염소 투입량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와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가 미리 입력된 일정 염소를 물 탱크(111)에 공급하기 위한 회전 자성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모터 회전수 등을 저장하다가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동파 방지를 위한 모터 회전수의 초기화값(보정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초기화 입력부(159) 등과 연결되어 특정 계절(예 : 겨울)에 맞게 고정된 값을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해 초기화시키고 염소 투입 및 재투입 양을 조절하여 겨울 동파를 방지한다.
상기 초기화 입력부(159)에 입력되는 초기화값은 특정 계절에 맞게 고정된 값을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해 초기화시키고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한 제어값으로 변환한 값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 온도(예 : 겨울철)에서 염소액이 배출되더라도 초기농도 유지가 가능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는 염소투입기 하우징(100) 내부에 수납되어 염소액이 저장되고 염소액의 투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기능을 가지며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봉지부재(210); 상기 봉지부재(2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지부재(210) 내부로 염소액을 주입하기 위한 염소액 주입부재(220); 상기 봉재부재(210)의 내부에 주입된 염소액을 물탱크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염소공급펌프와 연결되는 호스가 구비되어 염소액이 배출되는 염소액 배출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염소액 주입부재(220)는 파우치(200)에 염소액을 주입하기 위한 부재이고, 상기 염소액 배출부재(230)은 파우치(200)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수축되면서 배출되는 염소액을 안내하는 부재로서 봉지부재(210)에 주입부재(220)와 배출부재(230)를 각각 구성할 수 있으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입부재(220)와 배출부재(230)는 하부의 몸체부와 형상과 크기가 동일한 구조이므로 배출부재(230)의 캡부(234)를 열고 주둥이부(232b)를 통해 염소액을 주입하면 되므로 별도의 주입부재(220)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주입부재(220)의 캡부(224)와 상기 배출부재(230)의 몸체부(222, 232)는 형상과 크기가 같아 주입부재의 갭부(224)와 배출부재의 캡부(234)는 서로 바꾸어 결합이 가능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봉지부재(210)는 염소공급기의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납되며, 수납된 후 주입부재(220)를 통해 염소액을 주입하면 봉지부재(210)는 팽창하면서 내부에 염소액이 저장된다. 저장된 염소액은 하우징에 설치된 염소액 공급 펌프(504)에 의해 배출부재(230)를 통해 물탱크로 염소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봉지부재(210)는 얇은 비닐봉지와 같이 밀폐된 구조이므로 염소액이 주입되면 팽창하면서 하우징 내부의 벽면에 밀착되므로 하우징 내부의 벽면과 덮개가 지탱하여 주므로 염소액 저장된 봉지부재는 터지거나 찢어질 염려가 없이 안정된 장착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염소액 공급 펌프를 통해 염소액이 배출되면 봉지부재(210)도 염소액이 줄어든 만큼 같이 수축하여 밀폐구조를 가지므로 염소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종래의 염소액 저장탱크는 고정형 통으로 되어 있어 염소액이 배출되면 내부에 공간이 생기고, 시간이 경과하거나 기온상승 등으로 이 공간에서 염소가스가 발생하여 뚜껑을 통해 밖으로 누출되어 염소액의 염소농도가 저하되고 겨울철에 염소액이 얼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공기가 전혀 침투되지 않는 밀폐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염소 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여 겨울에 염소액이 어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파우치(200)를 설치하고 염소액을 주입하면 하우징(100) 내부의 사면에 저절로 밀착된 직사각형상의 파우치(200)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염소액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파우치의 모양이 상측부 부터 수축되면서 무게 중심을 잡아 안정적인 염소액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중심은 후술하는 저면 로드셀(300)을 추가하는 구성에서 정확한 염소 투입기 내의 염소 투입량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200)의 염소액이 줄어들면 상측면이 수축되면서도 하측부는 정상 모양을 유지하여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고, 외부 대기압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수축되지 않아 내부에 가스 등이 차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파우치(200)의 상측의 봉지부재(210)의 상부융착면에는 하우징 내부의 상부에 거치된 지지바(180)에 설치된 걸이부재(181)에 상기 봉지부재(210)의 상부가 고정되는 1개 또는 복수개의 걸이홀(212)이 형성된다.
상기의 걸이홀(212)은 걸이부재(181)에 의해 파우치(200)의 상부가 걸이부재(181)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 사면에 저절로 밀착된 직사각형상의 파우치(200)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염소액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파우치의 모양이 상측부 부터 밀폐 수축되면서 무게 중심을 잡아 안정적인 염소액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이부재(181)는 링, 고리, 집게, 케이블타이, 끈, 철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걸이구조는 지지바(180)에 쉽고 간단한 방법으로 봉지부재(210)를 걸어서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하는 걸고리로서, 상기 파우치(200)의 상단의 상부융착면(211a)에 형성되는 걸이홀(212)에 걸어서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를 사용하여 내부의 염소액의 양에 따라 팽창과 수축 변형되어 염소액을 사용한 공간만큼 밀폐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염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차단함과 동시에 물탱크에 공급되는 배관 호스에 남아 있는 염소액이 동결되어 계절에 따라 동파에 따른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염소 투입기(100); 상기 염소 투입기(100) 내부에서 염소 투입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농도가 저하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 받는 염소 투입 초기화값 입력부(159); 상기 염소 투입기(100)로부터 염소를 전달받아 전송시키는 투입 파이프(503-4); 상기 투입 파이프(503-4)에 염소를 공급하는 모터(504);로 구성되는 동파 방지 기능을 갖는 염소 투입기를 이용한 염소 투입 방법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스텝 모터(120-1)와 입력호스(120-2)와 배출호스(120-3)와 통신 모듈(120-4)과 전선배선(120-5) 등으로 구성된다.
일실시예로서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기온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투입되는 염소량을 감지하는 염소 측정기를 통해 염소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소 측정기는 회전량 감지 센서를 통해 염소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우치에 염소를 포함한 각종 장치를 앱을 통해 제어하기 위하여 도 5와 도 8과 같은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 경향 분석 기능, 경보 기능, 원격 제어 기능, 리포트 기능 등을 모바일화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저면 로드셀(300)을 통해 염소액이 줄어 드는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데, 이 때 중요한 구성이 파우치(200)의 흔들림에 따른 한쪽 쏠림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즉 하우징(100)의 내부에 파우치(200)를 설치하고 염소액을 주입하면 하우징(100) 내부의 사면에 저절로 밀착된 직사각형상의 파우치(200)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염소액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파우치의 모양이 상측부 부터 수축되면서 무게 중심을 잡아 적은 염소액이더라도 정확한 중량 측정이 가능하다.
이 때 로드셀(300)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무게 측정에 오차가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은 하측부에 균형을 정밀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식 로드셀을 사용하며, 스트레인 게이지는 물리적인 변화량(Strain)을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피 측정물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저항 센서이며, 금속 저항체를 당기면 길어지는 동시에 가늘어져 전기 저항값이 증가하고 반대로 압축되면 전기저항이 감소한다는 것으로 식으로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로드셀(300)은 감지부, 힘전달부(지지부), 및 커버(Cover)로 이루어지며, 감지부는 가해준 하중을 지지하며 변형을 일으키는 로드셀의 핵심부이며, 상기 감지부 재료는 탄성비례한도(항복응력)가 크고, 가공성, 내충격성,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좋고, 직선성이 좋으며, 크리프(creep),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작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지부 재료로는 Ni-Cr-Mo 강 (SNCM 2종, 5종, 8종, 9종), 공구강 (SKD), 경화 스테인레스 강(SUS 630), 알루미늄 합금 등을 사용한다.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로드셀을 사용할 수 있는 데, 상기 염소 투입기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염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상측부 로드셀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플렉서블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를 사용하여 내부의 염소액의 양에 따라 팽창과 수축 변형되어 염소액을 사용한 공간만큼 밀폐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염소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미리 차단함과 동시에 물탱크에 공급되는 배관 호스에 남아 있는 염소액이 동결되어 계절에 따라 동파에 따른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염소투입기(100)는 상기 초기화값과 염소 투입 및 재투입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값을 전달받거나 송신하기 위하여 PBX(1), RCS(2), WORK STATION(3), DATABASE(4) 등에 연결된다.
PBX(1)는 통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 리디렉션이 가능한 자동 호 분산기(ACD; Automatic call distributor)를 통해 서버(WORK STATION; 3)로 직접 전화를 걸고, 원격지 염소 투입기에 관련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에 자동 전달되어 저장되는 등의 기능을 포함하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로서 PBX(1)는 세부적으로 다수의 센서를 통해 염소투입기(100)의 현장 감시에 따른 특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해 호(call)를 발생시키는 현장 감시 제어부, 상기 현장감시 제어부를 통해 걸려오는 호를 수신하여 호 대기시키도록 컨트롤하고, 상기 호와 동시에 전달되는 발신자 번호와 전화 패드 번호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데이터 수신 서버에 전달하는 교환기, 상기 교환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외부 통신망과 물리적 전화 회선을 형성하는 호 전환용 전화기, 상기 교환기를 통해 상기 발신자 번호와 전화 패드 번호 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서버, 상기 발신자 번호와 누른 전화 패드 번호 정보를 전화 발신 시간 정보 또는 발신자 번호에 따른 장소 정보와 조합하여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RCS(2)는 임베디드(Embedded)된 SM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토콜을 변경하고, 사용자에게 높은 전달율을 보장하는 RCS-e(Rich Communication Service enhance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RCS(2)는 현장 감시에 따른 특정 데이터(염소투입기의 염소 투입 및 재투입양, 동파 방지를 위한 초기화값 등)를 전송할 수 있는 독자적인 메시징 서비스, 리치 미디어(Rich media)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WORK STATION(3)은 염소 투입을 위해 염소를 저장하는 염소 투입기(100)의 상세 정보, 투입 파이프(503-4)에 염소를 공급하는 모터(504) 등의 세부 설정을 저장하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 선택 스위치 메뉴를 포함하는 웹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된다.
상기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항목을 수정하면 상기 WORK STATION(3)은 이를 DATABASE(4)에 저장한다.
또한 WORK STATION(3)은 염소 투입기(100); 상기 염소 투입기(100) 내부에서 염소 투입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 받는 염소 투입 초기화값 입력부(159); 상기 염소 투입기(100)로부터 염소를 전달받아 전송시키는 투입 파이프(503-4); 상기 투입 파이프(503-4)에 염소를 공급하는 모터(504); 등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초기화값 등을 수정할 수 있다.
즉 염소 투입 및 재투입을 위한 염소투입기(1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염소 투입량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와 동파 방지를 위한 초기화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초기화 입력부(159) 등과 연결되어 특정 계절에 맞게 고정된 값을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해 초기화시키고 염소 투입 및 재투입 양을 조절하여 겨울 동파를 방지한다.
상기 초기화값은 특정 계절에 맞게 고정된 값을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해 초기화시키고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한 설정값으로 변환한 값이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 리디렉션이 가능한 자동 호 분산기(ACD; Automatic call distributor)를 통해 서버(WORK STATION; 3)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고, 원격지 염소 투입기에 관련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4)에 자동 전달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로 이루어진 PBX(1); 상기 염소투입기(100)에 관련된 임베디드(Embedded)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RCS(2); 상기 PBX(1)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염소투입기(100)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분석하는 서버(3); 상기 염소 투입기(100)에서 염소 투입양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염소의 농도에 따른 결빙 온도를 계산한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 받는 염소 투입 초기화값 입력부(159); 상기 염소 투입기(100)로부터 염소를 전달받아 전송시키는 투입 파이프(503-4); 상기 투입 파이프(503-4)에 염소를 공급하는 모터(50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염소 투입 초기화값 입력부를 통해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하여 상기 투입 파이프의 잔류 염소를 회수하여 영하로 떨어지면 동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모터(504)와 투입 파이프(503-4) 사이에 동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영하에서 정상적인 기온으로 돌아오는 경우 현재 투입량과 상기 회수한 회수량을 더한 염소를 공급하여 계절에 따라 동파에 따른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염소 투입기(100) 내의 잔존 염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저면 로드셀(300); 상기 로드셀(300)의 정보를 저장하는 DB(501); 상기 DB의 정보를 통해 잔존 염소의 양을 측정하고, 가스 유발에 따른 농도 저하를 상호 유추하여 자가 체크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서버(503);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서버(503)는 상기 DB(501)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03-1), 딥러닝부(503-2), 자가검진부(503-3), 염소투입부(503-4)를 포함한다.
상기 딥러닝부(503-2)는 로드셀의 정보와 염소투입량 정보의 오차에 적용되는 소정의 차등가중치에 기초하여, 딥러닝 모델(deep learning model)을 학습시킨다.
상기 자가검진부(503-3)는 저면 로드셀 또는 상측부 로드셀 또는 균형부재의 작동 상태와 고장 여부를 검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서 장시간의 염소 투입기에서 투입되는 염소 농도를 관찰하여 데이터를 축적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파 방지를 위한 모터 회전수의 초기화값과 복수의 염소 투입기 이미지와 로드셀 정보를 연계하여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딥러닝 알고리즘에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데이터 세트를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 과정을 거친 상기 데이터 세트를 입력으로 하고 염소 투입량 결과에 관한 항목을 출력으로 하는 학습을 통한 인공신경망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세트 중에서 동파 방지를 위한 모터 회전수의 초기화값 또는 실시간으로 계측된 로드셀(300)의 중량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방식으로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모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염소 투입기 또는 도 9의 좌측과 같은 파우치의 외부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카메라가 상기 저장 박스에 추가된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은 에이다부스트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약한 분류기들을 선형 결합하여 강한 분류기를 구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는 파우치(200) 외부의 형태 이미지 훈련영상(도 9)이며,
Figure pat00004
실제 파우치(200) 외부의 형태 이미지 영상으로 각각 +1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그리고
Figure pat00005
가중치 오차를 최소화하는 약한 분류기
Figure pat00006
를 생성하여 각 분류기에 대한 센서 데이터 가중치를 갱신한다.
Figure pat00007
는 모든 데이터
Figure pat00008
에 대하여 수식을 정규화한다.
Figure pat00009
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강한 분류기이다. 강한 분류기는 벡터
Figure pat00010
를 입력으로 받으며 훈련된 약한 분류기
Figure pat00011
의 합으로 센서 데이터 분류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알고리즘은 파우치(200) 외부의 형태 이미지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국부 이진 패턴 특징은 화소값을 이용하여 엣지, 점, 코너 등과 같은 파우치(200) 외부의 형태의 로컬 텍스처 특징을 표현하는 데 이용되며, 간단한 연산으로 높은 처리속도와 식별력 그리고 조명의 변화에 강인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센서 데이터의 국부 이진 패턴 특징은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되며 현재 위치의 화소값과 이웃 화소값의 차이를 0과 1의 값으로 표현한다.
Figure pat00012
상기 수학식 2에서 P와 R은 각각 쭈그러진 파우치(200) 외부의 형태 이미지의 인접 화소의 수와 파우치 내부의 반지름을 의미하며,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는 중심화소의 화소값 및 이웃화소의 화소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LBP(8, 1)인 경우 파우치(200) 외부의 형태 이미지의 중심 화소값을 기준으로 이웃화소 8개의 화소값을 비교하여 주변 화소값이 더 크면 1, 작으면 0을 할당하여 각 화소를 8비트 인코딩하여 얻을 수 있다.
상술한 AI 자가검진 기능들은 쭈그러진 파우치의 기울기의 방향을 나타내는 θ 및 기울기의 크기를 나타내는 Z 값 등에도 적용됨은 당연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저수탱크에 염소의 증발을 막기 위해 내부에 파우치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염소를 투입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우치에 담긴 염소를 포함한 물이 줄어들더라도 파우치와 함께 부피가 줄기 때문에 물과 파우치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아 염소 가스의 누수가 미미하고, 항상 일정한 염소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는 소독액(염소)이 저장되고 외압에 의해 수축되어서 저장된 소독액을 배출시키는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구성되어 저면 및 측면이 막혀 있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파우치는 합성수지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플렉시블하고 연성 의 내구성 있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필름, 수지 필름, 폴리머, 레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는 외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는 재질로서,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 박스에 소독액이 풀로 채워져 설치될 경우 사면에 밀착된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파우치처럼 수직으로 직립하기 위해 저면에 자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저장 박스 사면에 저절로 밀착된 직사각형상의 파우치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소독액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파우치의 모양이 상측부 부터 수축되면서 무게 중심을 잡아 안정적인 소독액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염소 공급 파이프 결빙으로 염소 공급이 중단되거나 파이프의 동파를 방지하고, 염소 공급 파이프 결빙으로 염소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기온으로 돌아오는 경우 무게 중심을 잡아 안정적인 소독액을 포함하는 파우치의 무게를 통해 회수한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이를 더한 염소를 공급하여 염소의 소독 효과에 저하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봉지부재(210)는 세라믹증착필름 또는 투명증착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라믹증착필름은 플라스틱 필름 위에 비결정질의 유리상 산화규소를 증착한 것으로, 플라스틱필름은 열안정성이 높고 기계적 강도가 강한 폴리에스테르필름(PET:polyethyleneterephthalate)을 사용한다. 조성적으로는 SiO, SiO2, SiO3, Si3O4 등의 혼합체이지만 중심은 Si2O3, Si3O4로서, 판유리, 유리병의 제조에 사용되는 소다유리류와 달리 금이 가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세라믹증착 필름의 특징은 수증기 투과도가 1~2g/㎡ㅇ24hr이고 산소 투과도가 2cc/㎡ㅇ24hr 이하로서 다른 투명필름에 비해 최고 수준의 가스차단성을 갖는다. 또한, 투명증착필름은 가스 베리어성, 방습성이 뛰어나 염소액을 수용하는 봉지부재의 재질로 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초기농도 유지가 가능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세라믹증착필름 또는 투명증착필름인 봉지시트를 재단하는 단계; 각 면이 만나는 수직모서리부와 하부 모서리부를 융착 접합하는 단계; 봉지시트 상부의 봉지시트 사이에 주입부재, 배출부재를 삽입할 부재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 모서리를 융착 접합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공간에 주입부재, 배출부재를 삽입 후 플랜지부와 시트지를 함께 가열하여 융착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봉지시트를 재단하는 단계에서 시트지는 1개의 필름지로 접어서 모서리부분을 융착 접합하거나, 각각 잘라진 4개의 시트지의 모서리 부분을 합지하여 열융착 접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모서리부 또는 하부 모서리부를 융착 접합시 상부 모서리부에 배출부재를 삽입할 부재삽입공간(213)을 성형한 후, 주입부재, 배출부재를 삽입 후 플랜지부와 시트지를 함께 가열하여 융착 접합한다. 상기 배출부재의 플랜지 양측에 시트지를 맞댄 후 열융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초기농도 유지가 가능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세라믹증착필름 또는 투명증착필름인 봉지시트를 재단하는 단계; 각 면이 만나는 수직모서리부와 하부 모서리부를 융착 접합하는 단계; 수직모서리부와 하부모서리부가 융착된 봉지시트 2개 중 1개를 내측으로 넣어 2중으로 구성하는 단계; 상기 내측 봉지시트와 외측봉지 시트의 상단을 일치시켜 융착하는 단계; 봉지시트 상부의 봉지시트 사이에 주입부재, 배출부재를 삽입할 부재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 모서리를 융착 접합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공간에 주입부재, 배출부재를 삽입 후 플랜지부와 시트지를 함께 가열하여 융착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조방법은 2중 구조를 갖는 파우치팩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 모서리를 융착 접합하는 단계에서 가스배출부(250) 및 가스센서부재(240)를 삽입할 공간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또한 상기 파우치(200)는 합성수지 재질이 바람직하지만, 플렉시블하고 연성 의 내구성 있는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필름, 수지 필름, 폴리머, 레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200)는 외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는 재질로서,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 박스(100)에 소독액이 풀(full)로 채워져 설치될 경우 사면에 밀착된 직사각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파우치처럼 수직으로 직립하기 위해 저면에 자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 필요가 없으며, 상기 저장 박스(100) 사면에 저절로 밀착된 직사각형상의 파우치(200)를 이용하여 배출되는 소독액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파우치의 모양이 상측부부터 수축되면서 무게 중심을 잡아 안정적인 소독액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저장 박스(100)의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저장 박스(100)의 모서리의 일 부분과 반대 방향의 타 부분이 가로질러 연결된 형태는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파우치 걸고리바가 걸리는 부분에 일정 반지름을 갖는 원호가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파우치(200)의 흔들림에 따른 한쪽 솔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파우치(200)의 저면부와 측면부 4면이 저장 박스(100)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중심을 잡아주는 파우치 걸고리바가 걸린 가이드부(110)가 저장 박스(100)에 대각선 방향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파우치(200)가 가이드부(110)로 인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독액의 유출에도 내부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여 내부 가스가 생성되지 않게 하였다.
만일 내부에서 가스가 발생하면 소독약 관리 상태가 나빠지고, 파우치의 직립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면 소독액의 관리가 용이해 지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염소 공급 파이프 결빙으로 염소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동파에 따른 유량의 산정에 오류가 발생하여 소독액의 주입량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없을 수 있다.

Claims (11)

  1. 플렉서블한 염소액 저장용 진공파우치를 포함하는 염소투입기(100)의 염소 투입량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와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가 미리 입력된 일정 염소를 물 탱크(111)에 공급하기 위한 회전 자성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모터 회전수를 저장하다가 특정 온도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동파 방지를 위한 모터 회전수의 초기화값을 입력하도록 하는 초기화 입력부(159)와 연결되어 특정 계절에 맞게 고정된 값을 겨울 동파 방지를 위해 초기화시키고 재투입 양을 조절하여 겨울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원격제어서버의 제어를 받아 물탱크(111)에 염소를 투입하는 염소투입부(503-4);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염소투입부의 제어를 받아 염소 투입량에 대응하여 모터(504)를 회전시키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앱(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측정기는 염소를 투입하는 염소투입부(503-4) 내에서 염소의 투입량을 회전량으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회전량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염소 투입기(100) 내의 염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저면 로드셀(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가 저면 로드셀(300)의 무게를 참고하여 현재 투입량과 회수한 염소 회수량을 더한 염소 최종량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B의 정보와 기준 정보의 비교를 통해 잔존 염소의 양을 측정하고, 염소 가스 유발에 따른 농도 저하를 염소 가스의 일정치에 대응하는 농도 저하 일정치로 환산하여 학습하는 AI 자가 체크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서버(503);를 더 포함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서버(503)는 AI 자가 체크 기능에 따라 계산된 현재 투입량과 회수한 염소 회수량을 더한 염소 최종량의 학습 결과에 의한 염소 농도치를 피드백하여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가 물탱크에 학습된 염소 회수량과 염소 최종량의 합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자동 리디렉션이 가능한 자동 호 분산기(ACD; Automatic call distributor)를 통해 서버(WORK STATION; 3)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고, 원격지 염소 투입기에 관련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에 자동 전달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로 이루어진 PBX(1);
    상기 염소투입기(100)에 관련된 임베디드(Embedded)된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RCS(2);
    상기 PBX(1)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염소투입기(100)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고 분석하는 서버(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투입기(100)에서 염소 투입양을 제어하는 염소 투입 제어부(154);
    상기 염소 투입 제어부(15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염소의 농도에 따른 결빙 온도를 계산한 동파 방지 초기화값을 입력 받는 염소 투입 초기화값 입력부(15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염소 투입기(100)로부터 염소를 전달받아 전송시키는 투입 파이프(503-4);
    상기 투입 파이프(503-4)에 염소를 공급하는 모터(50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KR1020210016606A 2021-02-05 2021-02-05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지능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KR102526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606A KR102526819B1 (ko) 2021-02-05 2021-02-05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지능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606A KR102526819B1 (ko) 2021-02-05 2021-02-05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지능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993A true KR20220112993A (ko) 2022-08-12
KR102526819B1 KR102526819B1 (ko) 2023-04-27

Family

ID=8280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606A KR102526819B1 (ko) 2021-02-05 2021-02-05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지능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819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9691B1 (ko) 1997-05-19 1999-06-15 김동진 6분력 로드셀
JP3218807B2 (ja) * 1992-11-20 2001-10-15 富士電機株式会社 上水道の塩素注入率制御装置
KR200290018Y1 (ko) * 2002-06-26 2002-09-27 박영종 약품 자동투입장치
KR20060133288A (ko) 2005-06-20 2006-12-26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간이 상수 시스템
KR100856578B1 (ko) 2007-11-14 2008-09-04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약품투입장치의 유량 감지기
KR101640170B1 (ko) 2016-02-16 2016-07-15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저수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646744B1 (ko) 2015-03-03 2016-08-08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여수 점검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KR101739117B1 (ko) 2015-03-03 2017-05-23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자가 진단이 가능한 저수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51037B1 (ko) 2015-03-03 2017-06-2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만수위 재조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KR101926661B1 (ko) * 2018-07-31 2018-12-07 (주)해인시스템 온도변화량에 따른 잔류 염소 유지 및 염소 투입량 조절 장치
KR102029265B1 (ko) * 2019-04-17 2019-10-08 (주)코반 인공지능 기반의 물탱크 안전 제어장치
KR102033592B1 (ko) 2018-11-09 2019-10-17 청정테크주식회사 지능형 염소 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상수도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807B2 (ja) * 1992-11-20 2001-10-15 富士電機株式会社 上水道の塩素注入率制御装置
KR100199691B1 (ko) 1997-05-19 1999-06-15 김동진 6분력 로드셀
KR200290018Y1 (ko) * 2002-06-26 2002-09-27 박영종 약품 자동투입장치
KR20060133288A (ko) 2005-06-20 2006-12-26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간이 상수 시스템
KR100856578B1 (ko) 2007-11-14 2008-09-04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기울기 센서를 이용한 약품투입장치의 유량 감지기
KR101646744B1 (ko) 2015-03-03 2016-08-08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여수 점검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KR101739117B1 (ko) 2015-03-03 2017-05-23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자가 진단이 가능한 저수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751037B1 (ko) 2015-03-03 2017-06-2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만수위 재조정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KR101640170B1 (ko) 2016-02-16 2016-07-15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저수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926661B1 (ko) * 2018-07-31 2018-12-07 (주)해인시스템 온도변화량에 따른 잔류 염소 유지 및 염소 투입량 조절 장치
KR102033592B1 (ko) 2018-11-09 2019-10-17 청정테크주식회사 지능형 염소 투입장치 및 이를 포함한 상수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29265B1 (ko) * 2019-04-17 2019-10-08 (주)코반 인공지능 기반의 물탱크 안전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819B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0927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flow velocity and flow rate of groundwater leaking from earth surface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same
TW500992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vel of liquids
KR20190047240A (ko) 지하 맨홀을 활용한 지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US20020076330A1 (en) Pneumatic pump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10298635A1 (en) Self dynamo smart flow utility meter and system for flow utility real-time flow usage monitoring and control, self error and leakages monitoring
CN107053853A (zh) 流体打印装置
CA2546993A1 (en) Fuel tank leve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5261276A (en) Fuel oil monitor system and method
US20080176115A1 (en) Residual capacity detection method and residual capacity detection system for fuel cell battery
JP4018544B2 (ja) バブルレベルメーター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205537607U (zh) 一种自动沉降观测仪
KR20220112993A (ko) 동파 방지 기능 및 이를 이용한 ai 자가 검진 기능을 갖는 시스템
US7471208B1 (en) Process for continuously monitoring a fluid storage system using synchronized sensors
CN209859756U (zh) 储油装置及变压器注油设备
WO2008039135A1 (en) An arrangement determining a liquid level within a container
KR101756211B1 (ko) 유지 관리 편리성과 시설물 효율성 증대를 위한 마을 상수도 통합 관리 시스템
CN104865955B (zh) 海洋油气水下设备调试方法
WO1998025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 detection
KR102440183B1 (ko)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CN208000158U (zh) 水中称重装置和水中称重系统
US20200333174A1 (en) Liquid Level Sensor
TWI273155B (en) System for monitoring water level of river and altitude of river bed
KR102566249B1 (ko) 밸브 이상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T1215471E (pt) Sistema de detecção do nível de líquido
CN212845299U (zh) 粮库固定式氮气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