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183B1 -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183B1
KR102440183B1 KR1020200171751A KR20200171751A KR102440183B1 KR 102440183 B1 KR102440183 B1 KR 102440183B1 KR 1020200171751 A KR1020200171751 A KR 1020200171751A KR 20200171751 A KR20200171751 A KR 20200171751A KR 102440183 B1 KR102440183 B1 KR 10244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rate
detection data
discharge flow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1834A (ko
Inventor
정효상
Original Assignee
정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효상 filed Critical 정효상
Priority to KR1020200171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18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2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by means of vertical pipe wel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심정(10)에 설치되어 펌핑동작하면서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을 가압하여 배수관(20)이 연결된 토출구(112)로 배출하는 심정펌프(110); 상기 배수관(20)에 설치되어 내부에 유동하는 물을 감지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토출유량 감지부(120); 상기 심정(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감지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수량 감지부(130); 조작 입력신호 또는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심정펌프(110)를 인버터 제어방식으로 구동제어하면서 토출유량을 조절하며, 수신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모듈(140); 상기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제어모듈(14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수신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각 제어모듈(140)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부(150); 및 상기 관리서버부(150)로부터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화면창(162)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단말(160);을 포함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SMART DEEPWATER PUMP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심정에 설치된 심정펌프를 구동제어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토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나 사용자가 심정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은 심정 내부에 설치되어 펌핑동작하면서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배수관으로 토출하는 심정펌프 및, 심정 외부에 설치되고 심정펌프와 케이블 연결되어 구동전원을 공급하면서 토출유량이 조절되도록 심정펌프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은 현재 심정으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을 확인하거나 심정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제어모듈에 표시되는 토출유량 게이지나 수위 게이지를 열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각 심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공서에서는 각 심정의 관리자를 통해 토출유량이나 저수량 등의 데이터를 확인하여 현황을 유지해야 하며 실시간으로 변동량을 체크하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00972호(2017.11.17), 취수용 펌프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심정에 설치된 심정펌프를 구동제어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토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나 사용자가 심정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정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하는 방식으로 심정펌프의 전령사용량, 주위습도 및 온도, 풍향 등의 부수적인 데이터를 함께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심정(10)에 설치되어 펌핑동작하면서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을 가압하여 배수관(20)이 연결된 토출구(112)로 배출하는 심정펌프(110); 상기 배수관(20)에 설치되어 내부에 유동하는 물을 감지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토출유량 감지부(120); 상기 심정(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감지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수량 감지부(130); 조작 입력신호 또는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심정펌프(110)를 인버터 제어방식으로 구동제어하면서 토출유량을 조절하며, 수신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모듈(140); 상기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제어모듈(14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수신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각 제어모듈(140)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부(150); 및 상기 관리서버부(150)로부터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화면창(162)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단말(160);을 포함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관리서버부(150)를 통해 제어모듈(140)로 심정펌프(110)의 설정상태 또는 동작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관리자단말(160)로부터 수신되는 조작 입력신호에 따라 심정펌프(110)가 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설정된 구역별로 복수 개의 제어모듈(140)이 그룹핑되어 로컬그룹(LG1~LG4)을 이루고, 상기 관리서버부(150)는, 각 로컬그룹(LG1~LG4) 내에 포함되어 각 제어모듈(140)로부터 출력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취합하는 로컬관리서버(151) 및, 각 로컬관리서버(151)와 신호연결되어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152)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중앙관리서버(152)에 접속되어 각 로컬그룹(LG1~LG4)별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심정펌프(110)에 장착되어 심정펌프(110)가 펌핑구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고장발생시 나타나는 진동감지상태를 기준으로 마련된 고장예측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감지데이터와 상기 고장예측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심정펌프(110)에 고장발생 가능을 예측하고 표시부(142) 및 관리자단말(160)로 알림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설정된 화재발생 가능장소 내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주변에 살수하는 스프링클러(182); 상기 배수관(20)과 각 스프링클러(182) 사이에 연결되어 살수를 위한 물을 이송하는 분기관(183); 및 각 분기관(183)마다 설치되어 제어모듈(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184);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정(10)의 현재 저수량을 판단하고, 현재 판단된 저수량값이 설정된 잉여기준 저수량값을 초과하면 설정된 살수시간에 각 스프링클러(182)에서 물이 살수되도록 상기 전자밸브(184)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는 심정(10)의 저부에 배치되어 수압변화에 따른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압센서이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의 수압 감지데이터별 저수량판단 기준치데이터가 저장되어 현재 수신된 수압 감지데이터를 기준으로 심정(10)에 저장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심정(10) 내에서 저수량 감지부(13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직립배치되어 상기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로 물이 흡입되면서 발생하는 측방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관체부(191)와, 상기 관체부(191)의 상부 중앙에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하향수류 차단판(193) 및, 상기 관체부(191)의 내벽(192)으로부터 관체부(19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 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내벽(192)을 따라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을 포함하는 수류차단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체부(191)는 상단의 높이(h1)가 상기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h1 > h2) 구비되고, 상기 제1하향수류 차단판(193) 및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의 단부에는 라운드진 형태로 상향 절곡되어 하향 수류가 상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절곡부(194,196)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류차단부(190)는, 상기 관체부(191) 내에서 최하단에 배치된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과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을 통과한 미세수류를 차단하는 미세수류 차단부(19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심정펌프(110)는 심정(10)에 설치되어 펌핑동작하면서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을 가압하여 배수관(20)이 연결된 토출구(112)로 배출하고, 토출유량 감지부(120)는 상기 배수관(20)에 설치되어 내부에 유동하는 물을 감지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며, 저수량 감지부(130)는 상기 심정(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감지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고, 제어모듈(140)은 조작 입력신호 또는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심정펌프(110)를 인버터 제어방식으로 구동제어하면서 토출유량을 조절하며 수신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관리서버부(150)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제어모듈(14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수신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각 제어모듈(140)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며, 관리자단말(160)은 상기 관리서버부(150)로부터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화면창(162)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심정에 설치된 심정펌프를 구동제어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토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나 사용자가 심정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둘째,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관리서버부(150)를 통해 제어모듈(140)로 심정펌프(110)의 설정상태 또는 동작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관리자단말(160)로부터 수신되는 조작 입력신호에 따라 심정펌프(110)가 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심정 위치로부터 이격된 원격지에 위치하더라도 심정펌프의 동작 및 설정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설정된 구역별로 복수 개의 제어모듈(140)이 그룹핑되어 로컬그룹(LG1~LG4)을 이루고, 상기 관리서버부(150)는, 각 로컬그룹(LG1~LG4) 내에 포함되어 각 제어모듈(140)로부터 출력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취합하는 로컬관리서버(151) 및, 각 로컬관리서버(151)와 신호연결되어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152)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중앙관리서버(152)에 접속되어 각 로컬그룹(LG1~LG4)별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심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공서에서 심정의 위치나 실시간 변동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기 심정펌프(110)에 장착되어 심정펌프(110)가 펌핑구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고장발생시 나타나는 진동감지상태를 기준으로 마련된 고장예측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감지데이터와 상기 고장예측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심정펌프(110)에 고장발생 가능을 예측하고 표시부(142) 및 관리자단말(160)로 알림동작함으로써, 심정펌프가 고장나기 전에 시간적 여유를 갖고 교체 및 정비가 가능하므로 관리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스프링클러(182)는 설정된 화재발생 가능장소 내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주변에 살수하고, 분기관(183)은 상기 배수관(20)과 각 스프링클러(182) 사이에 연결되어 살수를 위한 물을 이송하며, 전자밸브(184)는 각 분기관(183)마다 설치되어 제어모듈(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정(10)의 현재 저수량을 판단하고, 현재 판단된 저수량값이 설정된 잉여기준 저수량값을 초과하면 설정된 살수시간에 각 스프링클러(182)에서 물이 살수되도록 상기 전자밸브(184)를 구동제어함으로써, 건조한 시기에 화재발생 가능장소에 주기적으로 살수하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방화수 공급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는 심정(10)의 저부에 배치되어 수압변화에 따른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압센서이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의 수압 감지데이터별 저수량판단 기준치데이터가 저장되어 현재 수신된 수압 감지데이터를 기준으로 심정(10)에 저장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감지동작하는 종래의 센서로 수위를 감지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면 이물질이 감지부위(동작부위)에 끼이면서 감지오차가 발생하거나 미동작하게 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신뢰성있는 감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일곱째, 수류차단부(190)는, 상기 심정(10) 내에서 저수량 감지부(13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직립배치되어 상기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로 물이 흡입되면서 발생하는 측방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관체부(191)와, 상기 관체부(191)의 상부 중앙에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하향수류 차단판(193) 및, 상기 관체부(191)의 내벽(192)으로부터 관체부(19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 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내벽(192)을 따라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을 포함함으로써, 심정(10) 내에서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수압감지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감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관체부(191)는 상단의 높이(h1)가 상기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h1 > h2) 구비되어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로 물이 흡입되면서 측방수류가 발생하더라도 관체부(191)의 상단부에 수류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향수류 차단판(193) 및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의 단부에는 라운드진 형태로 상향 절곡된 가이드절곡부(194,196)가 각각 형성되어 하향 수류가 상향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저수량 감지부(130)에 하향 수류가 가해지는 것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아홉째, 상기 수류차단부(190)는, 상기 관체부(191) 내에서 최하단에 배치된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과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미세수류 차단부(197)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을 통과한 미세수류를 차단하여 하향수류에 의해 감지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정펌프와 제어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부가 각 제어모듈과 신호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부가 로컬관리서버와 중앙관리서버로 이루어진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정펌프의 고장예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을 통한 화재예방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류차단부가 심정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류차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하향수류 차단판 및 제2하향수류 차단판를 통해 하향 수류가 차단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하향수류 차단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은 심정(10)에 설치된 심정펌프(110)를 구동제어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토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나 사용자가 심정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정펌프(110), 토출유량 감지부(120), 저수량 감지부(130), 제어모듈(140), 관리서버부(150) 및 관리자단말(16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심정펌프(110)는 심정(10)에 저장된 물을 끌어 올려 외부로 공급하는데 필요한 수압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심정(10)에 설치되어 제어모듈(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펌핑동작하면서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을 가압하여 배수관(20)이 연결된 토출구(112)로 배출한다.
상기 토출유량 감지부(120)는 심정펌프(110)에 의해 배수관(20)으로 토출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배수관(20)에 설치되어 내부에 유동하는 물을 감지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모듈(140)로 출력한다. 이러한 토출유량 감지부(120)로 유량계(121)를 이용하거나 수압계(122)를 이용하거나 유량계(121)와 수압계(122)를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토출유량 감지부(120)는 제어모듈(140)과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으로 신호연결되어 감지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러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는 심정펌프(110)를 구동제어하는데 필요한 기초데이터로 이용된다.
또한, 상기 토출유량 감지부(120)는 토출되는 물의 유량변화에 따라 전압값이 구분되는 전기적 감지신호와 배수관(20)의 직경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토출유량값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적 감지신호의 전압값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는 토출유량값 데이터이거나 전압값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전압값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140)은 수신된 전압값 데이터와 배수관(20)의 직경값을 이용하여 토출유량값 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는 심정(10)에 저장된 물의 저수량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하는 감지수단으로서 상기 심정(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감지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모듈(14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는 저장된 물의 저수량에 따라 전압값이 구분되는 전기적 감지신호와 심정(10)의 직경값을 이용하여 산출된 저수량값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적 감지신호의 전압값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저수량 감지데이터는 저수량값 데이터이거나 전압값 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전압값 데이터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140)은 수신된 전압값 데이터와 심정(10)의 직경값을 이용하여 저수량값 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심정펌프(11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조작 입력신호 또는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심정펌프(110)를 인버터 제어방식으로 구동제어하면서 토출유량을 조절하며, 수신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부(150)측으로 전송한다. 상기 인터넷 제어방식은 심정펌프(110)에 구비되는 펌프모터(114, 도 5 참고)에 공급되는 인버터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바꿈으로써 가감속의 제어를 하는 방식으로 이를 통해 토출유량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관리서버부(150)는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제어모듈(14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수신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각 제어모듈(140)로 취합하여 저장한다.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관리서버부(150)로부터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화면창(16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심정펌프(110),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저수량 감지데이터, 제어모듈(140), 관리서버부(150) 및 관리자단말(160)의 조합된 구성을 통해 심정에 설치된 심정펌프를 구동제어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토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나 사용자가 심정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관리서버부(150)를 통해 제어모듈(140)로 심정펌프(110)의 설정상태 또는 동작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관리자단말(160)로부터 수신되는 조작 입력신호에 따라 심정펌프(110)가 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심정 위치로부터 이격된 원격지에 위치하더라도 심정펌프의 동작 및 설정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구역별로 복수 개의 제어모듈(140)이 그룹핑되어 로컬그룹(LG1~LG4)을 이루고, 상기 관리서버부(150)는, 각 로컬그룹(LG1~LG4) 내에 포함되어 각 제어모듈(140)로부터 출력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취합하는 로컬관리서버(151) 및, 각 로컬관리서버(151)와 신호연결되어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152)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중앙관리서버(152)에 접속되어 각 로컬그룹(LG1~LG4)별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심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관공서에서 심정의 위치나 실시간 변동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정펌프(110)에 장착되어 심정펌프(110)가 펌핑구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고장발생시 나타나는 진동감지상태를 기준으로 마련된 고장예측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감지데이터와 상기 고장예측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심정펌프(110)에 고장발생 가능을 예측하고 표시부(142) 및 관리자단말(160)로 알림동작함으로써, 심정펌프가 고장나기 전에 시간적 여유를 갖고 교체 및 정비가 가능하므로 관리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182)는 설정된 화재발생 가능장소 내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주변에 살수하고, 분기관(183)은 상기 배수관(20)과 각 스프링클러(182) 사이에 연결되어 살수를 위한 물을 이송하며, 전자밸브(184)는 각 분기관(183)마다 설치되어 제어모듈(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정(10)의 현재 저수량을 판단하고, 현재 판단된 저수량값이 설정된 잉여기준 저수량값을 초과하면 설정된 살수시간에 각 스프링클러(182)에서 물이 살수되도록 상기 전자밸브(184)를 구동제어함으로써, 건조한 시기에 화재발생 가능장소에 주기적으로 살수하여 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방화수 공급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는 심정(10)의 저부에 배치되어 수압변화에 따른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압센서이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의 수압 감지데이터별 저수량판단 기준치데이터가 저장되어 현재 수신된 수압 감지데이터를 기준으로 심정(10)에 저장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산출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감지동작하는 종래의 센서로 수위를 감지하는 것과 비교하여 보면 이물질이 감지부위(동작부위)에 끼이면서 감지오차가 발생하거나 미동작하게 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신뢰성있는 감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차단부(190)는, 상기 심정(10) 내에서 저수량 감지부(13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직립배치되어 상기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로 물이 흡입되면서 발생하는 측방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관체부(191)와, 상기 관체부(191)의 상부 중앙에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하향수류 차단판(193) 및, 상기 관체부(191)의 내벽(192)으로부터 관체부(19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 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내벽(192)을 따라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을 포함함으로써, 심정(10) 내에서 발생하는 수류에 의해 수압감지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감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체부(191)는 상단의 높이(h1)가 상기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의 높이(h2)보다 상대적으로 높도록(h1 > h2) 구비되어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로 물이 흡입되면서 측방수류가 발생하더라도 관체부(191)의 상단부에 수류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향수류 차단판(193) 및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의 단부에는 라운드진 형태로 상향 절곡된 가이드절곡부(194,196)가 각각 형성되어 하향 수류가 상향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저수량 감지부(130)에 하향 수류가 가해지는 것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수류차단부(190)는, 상기 관체부(191) 내에서 최하단에 배치된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과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 사이에 수평배치되고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져 미세수류 차단부(197)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을 통과한 미세수류를 차단하여 하향수류에 의해 감지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은 도 8에서와 같이 관체부(191)의 내벽(192)을 따라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되되 양측 위치에 교호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92)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심정 20...배수관
110...심정펌프 111...흡입구
112...토출구 120...토출유량 감지부
130...저수량 감지부 140...제어모듈
150....관리서버부 151...로컬관리서버
152...중앙관리서버 160...관리자단말
170...센서부 182...스프링클러
183...분기관 184...전자밸브
190...수류차단부 191...관체부
193...제1하향수류 차단판 195...제2하향수류 차단판
197...미세수류 차단부

Claims (7)

  1. 심정(10)에 설치되어 펌핑동작하면서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을 가압하여 배수관(20)이 연결된 토출구(112)로 배출하는 심정펌프(110); 상기 배수관(20)에 설치되어 내부에 유동하는 물을 감지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토출유량 감지부(120); 상기 심정(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저장된 물을 감지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출력하는 저수량 감지부(130); 조작 입력신호 또는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상기 심정펌프(110)를 인버터 제어방식으로 구동제어하면서 토출유량을 조절하며, 수신된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모듈(140); 상기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제어모듈(14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수신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각 제어모듈(140)별로 취합하여 저장하는 관리서버부(150); 상기 관리서버부(150)로부터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화면창(162)에 디스플레이하는 관리자단말(160); 설정된 화재발생 가능장소 내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을 주변에 살수하는 스프링클러(182); 상기 배수관(20)과 각 스프링클러(182) 사이에 연결되어 살수를 위한 물을 이송하는 분기관(183); 및 각 분기관(183)마다 설치되어 제어모듈(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184);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로부터 수신되는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이용하여 심정(10)의 현재 저수량을 판단하고, 현재 판단된 저수량값이 설정된 잉여기준 저수량값을 초과하면 설정된 살수시간에 각 스프링클러(182)에서 물이 살수되도록 상기 전자밸브(184)를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관리서버부(150)를 통해 제어모듈(140)로 심정펌프(110)의 설정상태 또는 동작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 입력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관리자단말(160)로부터 수신되는 조작 입력신호에 따라 심정펌프(110)가 동작하도록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정된 구역별로 복수 개의 제어모듈(140)이 그룹핑되어 로컬그룹(LG1~LG4)을 이루고,
    상기 관리서버부(150)는,
    각 로컬그룹(LG1~LG4) 내에 포함되어 각 제어모듈(140)로부터 출력되는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취합하는 로컬관리서버(151) 및,
    각 로컬관리서버(151)와 신호연결되어 취합된 각 제어모듈(140)별 토출유량 감지데이터 및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중앙관리서버(152)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단말(160)은 중앙관리서버(152)에 접속되어 각 로컬그룹(LG1~LG4)별 각 심정(10)의 토출유량 및 저수량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정펌프(110)에 장착되어 심정펌프(110)가 펌핑구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고장발생시 나타나는 진동감지상태를 기준으로 마련된 고장예측 기준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진동감지데이터와 상기 고장예측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심정펌프(110)에 고장발생 가능을 예측하고 표시부(142) 및 관리자단말(160)로 알림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량 감지부(130)는 심정(10)의 저부에 배치되어 수압변화에 따른 전기적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압센서이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저수량 감지부(130)의 수압 감지데이터별 저수량판단 기준치데이터가 저장되어 현재 수신된 수압 감지데이터를 기준으로 심정(10)에 저장된 저수량 감지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심정(10) 내에서 저수량 감지부(13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직립배치되어 상기 심정펌프(110)의 흡입구(111)로 물이 흡입되면서 발생하는 측방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관체부(191)와,
    상기 관체부(191)의 상부 중앙에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하향수류 차단판(193) 및,
    상기 관체부(191)의 내벽(192)으로부터 관체부(191)의 중앙을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수평배치되어 심정(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 수류가 저수량 감지부(130)에 가해지지 않도록 차단하며 상기 내벽(192)을 따라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배치되는 제2하향수류 차단판(195)을 포함하는 수류차단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KR1020200171751A 2020-12-09 2020-12-09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KR102440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51A KR102440183B1 (ko) 2020-12-09 2020-12-09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751A KR102440183B1 (ko) 2020-12-09 2020-12-09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834A KR20220081834A (ko) 2022-06-16
KR102440183B1 true KR102440183B1 (ko) 2022-09-05

Family

ID=8221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751A KR102440183B1 (ko) 2020-12-09 2020-12-09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6030B (zh) * 2023-08-11 2024-04-09 广州市白云泵业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智慧水务云平台的一体式水泵机组智能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571B1 (ko) * 2017-05-19 2017-11-03 주식회사 대은계전 태양광 전원장치를 이용한 배수지 수위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0106U (ko) * 2008-04-01 2009-10-07 황선호 인버터를 구비하는 지하수 양수장치
KR101800972B1 (ko) 2016-09-20 2017-11-23 주식회사 이피코 취수용 펌프 제어시스템
KR20190136427A (ko) * 2018-05-30 2019-12-10 (주) 리더스 지하수 관측 및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136801B1 (ko) * 2018-12-04 2020-07-23 (주)미래텍 물탱크의 수위조절 기능을 갖는 간이상수도 장치 및 간이상수도 통합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571B1 (ko) * 2017-05-19 2017-11-03 주식회사 대은계전 태양광 전원장치를 이용한 배수지 수위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1834A (ko) 202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5854C (en) Pump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adjusting operation of said pump
US4102394A (en) Control unit for oil wells
US5654504A (en) Downhole pump monitoring system
US200301065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water level in storage tank through wireless control process
US20070258827A1 (en) Sump pump system
US11873713B2 (en) Oil wel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40183B1 (ko) 스마트 심정펌프 제어시스템
CN105492772A (zh) 水增压器控制系统和方法
CN107000656A (zh) 具有监控装置的卫生单元
US9127678B2 (en) Fast-response pump monitoring and in-situ pump data recording system
US201101188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ll control
US20170218943A1 (en) Controller for pump system
JP6793484B2 (ja) ポンプ装置
CN108100982A (zh) 机车自动化卸油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110046147A (ko) 물탱크의 무선원격 수위조절장치
WO20010614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water level in storage tank through wireless control process
KR101737873B1 (ko) 연료 레벨을 산출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실시간 연료 레벨 모니터링 장치
US10648469B2 (en) Remote pump managing device
CN107675753B (zh) 一种泵房防淹系统及其防淹方法
CN207130869U (zh) 泵房溢水报警与保护系统
KR100418414B1 (ko) 무선 자동 수위 조절시스템의 수위 조절 자동화 방법
TW202016666A (zh) 潤滑注油系統監控方法
KR101737869B1 (ko) 발광 스틱을 이용하여 연료 레벨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실시간 연료 레벨 모니터링 장치
JPH07174593A (ja) タンク内水位による給水量測定方法
CN214143921U (zh) 一种供水设备管网检漏报警反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