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356A -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356A
KR20220112356A KR1020210015778A KR20210015778A KR20220112356A KR 20220112356 A KR20220112356 A KR 20220112356A KR 1020210015778 A KR1020210015778 A KR 1020210015778A KR 20210015778 A KR20210015778 A KR 20210015778A KR 20220112356 A KR20220112356 A KR 20220112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tland
house
artificial wetland
treat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388B1 (ko
Inventor
김이형
최혜선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5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3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외측 하우스; 상기 외측 하우스 내에 설치된 내측 하우스; 상기 내측 하우스와 상기 외측 하우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내측 하우스의 외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지하수를 배출하는 노즐; 및 상기 내측 하우스 내부에 형성되고, 피처리수를 정화하는 인공습지를 구비한 정화시설을 포함하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WATER TREATMENT SYSTEM UTILIZING CONSTRUCTED WETLANDS}
본 발명은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점오염원(point pollution source)과 비점오염원(non-point pollution source)로부터 유출된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여과형 처리시설과 생물학적 처리시설 등 다양한 처리시설이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처리시설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 다양한 구조물로 구성된 기계적 시설로서, 부유물질과 유기물, 그리고 인과 질소를 제거하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인공습지를 활용하는 자연기반해법 (nature based solutions, NBS) 기반의 수처리 시스템을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인공습지를 활용하는 자연기반해법 (nature based solutions, NBS) 기반의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외측 하우스; 상기 외측 하우스 내에 설치된 내측 하우스; 상기 내측 하우스와 상기 외측 하우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내측 하우스의 외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지하수를 배출하는 노즐; 및 상기 내측 하우스 내부에 형성되고, 피처리수를 정화하는 인공습지를 구비한 정화시설을 포함하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외측 하우스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시설은, 피처리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강지; 상기 침강지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를 정화하는 식물이 식재된 인공습지; 및 상기 인공습지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를 수용하고, 동물 및 식물이 서식하는 동식물서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습지는 지표흐름습지와 지하흐름형 습지를 포함하고, 상기 침강지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는 상기 지표흐름형 습지와 상기 지하흐름형 습지로 각각 분기되어 흐를 수 있다.
상기 침강지에는, 점오염원 유입부와 비점오염원 유입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하우스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노즐을 통한 지하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에 따르면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은 하천 수질 개선 및 녹조 발생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지하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의 정화시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인공습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지하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내측 하우스(100), 외측 하우스(200), 노즐(400), 정화시설(300)을 포함하고, 태양광패널(500), 온도센서(600),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는 두 층으로 이루어진 비닐 하우스를 구성한다. 즉, 내측 하우스(100)는 외측 하우스(200) 내에 설치되며, 외측 하우스(200)는 내측 하우스(100)를 둘러 싸도록 설치된다.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각각은 반원 형상의 입구를 가지고, 지면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각각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프레임에 씌워지는 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간의 간격은, 가장 높은 지점에서 지면으로 내려올수록 커질 수 있다. 지면에 가까운 위치에서의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간의 간격은 사람(A)이 지나다닐 수 있는 정도로 넓어 보행통로가 확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간의 간격은, 가장 높은 지점에서 지면으로 내려올수록 일정할 수 있고, 사람(A)의 보행통로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노즐(400)은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사이에 위치하여 내측 하우스(100)의 외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지하수(W)를 배출할 수 있다. 즉, 노즐(400)은 내측 하우스(100)의 상면에 지하수(W)를 뿌릴 수 있다. 내측 하우스(100)의 상면에 뿌려진 지하수(W)는 내측 하우스(100)의 외면을 따라 낙하하면서 내측 하우스(100)의 외면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노즐(400)은 외측 하우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하우스(200)의 프레임에 수관이 설치되고, 수관에 노즐(400)이 형성될 수 있다. 노즐(40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즐(400)은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사이에 설치된 수관에 형성될 수 있고, 수관은 내측 하우스(100)와 외측 하우스(200) 모두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지하수(W)는 지면으로부터 6 내지 7m 하에 위치할 수 있고, 지하수(W)의 온도는 13 내지 14℃일 수 있다. 내측 하우스(100) 외면에 배출되는 지하수(W)에 의하여, 내측 하우스(100) 내부 온도는 조절될 수 있다. 내측 하우스(100) 내부 온도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수(W)의 지하수(W)에 의해, 더운 여름철에 내측 하우스(100)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에 비해) 감소되고, 추운 겨울철에 내측 하우스(100) 내부의 온도가 (외부 온도에 비해) 상승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노즐(400)은 지하수라인(410)을 통해 지하수(W)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지하수라인(410)은 지하수(W)를 직접 펌핑할 수 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고, 일시적으로 지하수(W)가 보관되는 수탱크(450)와 연결될 수 있다. 수탱크(450)는 펌핑된 지하수(W)를 수용할 수 있다. 수탱수와 지하수(W) 사이에는 펌핑라인(420)이 구비될 수 있고, 지하수(W)는 펌핑라인(420)을 통해 수탱크(45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지하수라인(410)에는 밸브(430)가 형성되고, 밸브(430)가 개방되면 지하수라인(410)을 통해 노즐(400)로 지하수(W)로 공급되고, 밸브(430)가 폐쇄되면 지하수라인(410)으로 지하수(W)가 공급되지 않는다.
지하수(W)는 지하수라인(410)을 통해 이동한 후 노즐(400)에서 분사될 수 있다. 또는, 지하수(W)는 펌핑라인(420)을 통해 수탱크(450)에 수용된 후, 지하수라인(410)을 통해 이동하여 노즐(400)에서 분사될 수 있다.
노즐(400)을 통해 분사된 지하수(W)는 내측 하우스(10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내측 하우스(100) 외면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하우스(100)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지하수(W)는 지하(10)로 다시 흡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의 정화시설(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인공습지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정화시설(300)은 내측 하우스(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피처리수(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다. 정화시설(300)은 자연기반해법(nature based solutions, NBS)에 기반한 LID(Low-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 시설일 수 있다. 피처리수(오염수)는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일 수 있다. 정화시설(300)은 내측 하우스(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내측 하우스(100)의 내부 온도는 상술한 수막에 의해 일정 범위로 유지될 수 있는 바, 정화시설(300)은 정화에 유리한 생태환경이 유지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정화시설(300)은, 침강지(310), 인공습지(330, 340), 동식물서식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침강지(310)는 피처리수(오염수)의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곳이다. 침강지(310)는 오염원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피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와 같은 불순물을 침전시키기 위해 상류측에 형성될 수 잇다.
침강지(310)의 수심은 시간 경과에 따른 퇴적물의 청소를 빈번하게 하지 않으면서도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45㎝~90㎝의 수심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강지(310)에는 여과를 위한 스크린(311)이 설치될 수 있다. 피처리수에 함유된 불순물은 스크린(311)에 의해 걸러져 하측으로 침전될 수 있다.
침강지(310)에는 점오염원 유입부(B1)와 비점오염원 유입부(B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점오염원 유입부(B1)를 통해서 생활하수와 같은 점오염원이 침강지(310)로 유입되며, 비점오염원 유입부(B2)를 통해서 강우유출수, 농업배수와 같은 비점오염원이 침강지(3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농촌지역의 생활하수(점오염원)와 비점오염원을 동시에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비점오염원 유입부(B2)는 외측 하우스(200)의 외부에 설치된 우수집수시설과 연결될 수 있다. 우수집수시설에 집수된 우수는 비점오염원 유입부(B2)를 통해 침강지(310)로 유입될 수 있다.
인공습지는 전에는 육상환경이었던 곳을 하수의 오염물질 제거를 주목적으로 배수가 잘 되지 않는 토양으로 바꾸어 습지 동식물들이 서식하도록 개조한 것이다. 인공습지는 자연정화 능력이 있는 토양, 식물 또는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오염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조성된 습지로서 종래의 기계적인 수처리시설에 비하여 에너지 소모가 적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소요경비가 낮고 2차 오염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질정화기술은, 종래의 기계적 처리시설이 단순히 오수 및 폐수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 처리하는 데 그치고 있는 것에 비하여 자연환경 개선, 생태계 복원 등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인공습지는 지표흐름형(surface flow system) 습지(330)와 지하흐름형(subsurface flow system) 습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표흐름형 습지(330)는 유입수가 대부분 하부토양층 위로 흐르며, 하부 토양층(기질, substrate)은 주로 원래의 토양이다. 지하흐름형 습지(340)는 이론적으로는 유입수가 하부층(기질, substrate)으로 전부 흘러 표면에는 흐름을 볼 수 없는 시스템이다. 지하흐름형 습지(340)에서의 하부층은 전형적으로 여러 가지 크기의 자갈, 쇄석, 또는 토양으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표흐름형 습지(330)는 피처리수(M)가 수용되는 습지부(331)가 형성되고, 피처리수(M) 가 습지부(33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습지부(331)는 제방(33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습지부(331)의 수심은 20~60cm일 수 있다. 습지부(331)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피처리수(M)가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유입부(333)를 통해 피처리수(M)가 습지부(331)로 유입되고, 습지부(331)를 따라 흐르는 피처리수(M)는 유출부(334)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습지부(331)는 평면 상에서 S자 형을 이루며 구불구불하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습지부(331)에는 식물(P)이 식재될 수 있다. 식물(P)은 수생식물, 습지식물로서,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P)은 정수식물로서 식물의 하부만 피처리수(M)에 침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하흐름형 습지(340)는 피처리수(N)가 수용되는 습지부(341)가 형성되고, 피처리수(N)가 습지부(34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습지부(341)는 제방(34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습지부(341)의 하부층에는 굵은모래 또는 자갈이 깔려있고, 피처리수(N)는 굵은모래 또는 자갈을 통과하며 흐를 수 있다. 습지부(341)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피처리수(N)가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다.
유입부(343)를 통해 피처리수(N)가 습지부(341)로 유입되고, 습지부(341)를 따라 흐르는 피처리수(N)는 유출부(344)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습지부(341)는 평면 상에서 유입부(343)에서 유출부(344)까지 직선형, 일자형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습지부(341)에는 식물(P)이 식재될 수 있다. 식물(P)은 수생식물, 습지식물로서, 정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침수식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물(P)은 갈대, 줄, 애기부들, 사초속의 식물 등의 정수식물과 가래, 검정말과 같은 침수식물, 생이가래, 좀개구리밥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식물(P)은 0.5 내지 1.5m 간격으로 식재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침강지(310)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는 상기 지표흐름형 습지(330)와 상기 지하흐름형 습지(340)로 각각 분기되어 흐를 수 있다. 즉, 지표흐름형 습지(330)와 지하흐름형 습지(340)가 병렬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지하흐름형 습지(340)가 복수(예를 들어, 2곳)로 형성되고, 지하흐름형 습지(340) 사이에 지표흐름형 습지(330)가 개재될 수 있다.
지하흐름형 습지(340) 및 지표흐름형 습지(330)를 포함하는 인공습지는 전체적으로 길고 굴곡지게 형성되며, 물이 인공습지를 체류하는 시간이 증대될 수 있다. 인공습지의 수생식물은 피처리수 내의 질소, 인을 흡수하는 등의 기작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공습지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을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인 과정을 통하여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인공습지의 식생(식물)은 흐름을 방해하므로 유속이 감소하게 되어 토사(sediment)의 침전을 유도하며, 점토입자의 흡착현상 때문에 토사에 많은 오염물질(특히, 인)이 붙어 있어 이들이 함께 침전된다. 인공습지의 넓은 수표면에는 산소교환이 일어나고 활발한 광합성 작용으로 산소가 증가하여 유기물과 금속 이온을 산화시키게 된다.
또한, 인공습지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가 일어나게 된다. 피처리수 내 유기물과 산성광산배수에 포함된 금속이온의 제거나 변환은 미생물 즉, 조류, 균류, 원생동물, 박테리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공습지의 식물은 미생물에게 필요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물 속의 줄기나 잎은 유속을 감소시켜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침전을 용이하게 하여 물리적, 화학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동식물서식부(360)는 인공습지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를 수용하고 동물 및 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동식물서식부(360)는 아쿠아가든(aqua-garden)으로서, 어류와 식물이 함께 서식하는 곳일 수 있다. 또한, 동식물서식부(360)는 스마트팜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동식물서식부(360)에서 서식하는 동물은 척추동물 및 무척추동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어류를 포함할 수 있다. 동물은 미생물과 식물을 먹이로 하여 영양분과 에너지를 공급받으며, 물질들을 재이용할 수 있다.
동식물서식부(360)의 식물은 어류의 배설물 등을 양분으로서 흡수하여 생장할 수 있다. 동식물서식부(360)에 서식하는 식물은 재배, 수확되어 식용, 미용, 생활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식물서식부(360)에 서식하는 식물은 부레옥잠, 미나리 등일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침강지(310)와 인공습지 사이에는 여울(320)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인공습지와 동식물서식부(360) 사이에는 여울(350)이 개재될 수 있다. 여울은 바닥이 비교적 작은 경사를 이루어 물의 흐름을 증가시키는 부분이다. 여울(320, 350)은 피처리수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거품 발생을 유발하고, 피처리수 정화를 도울 수 있다.
동식물서식부(360)의 후단에는 둠벙(370)이 형성될 수 있다. 둠벙(370)은 물웅덩이이다. 둠벙(370)은 피처리수를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둠벙(370)에 수용된 피처리수는 외부로 배출(B3)될 수 있다. 피처리수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배출된 피처리수는 농업용수, 조경용수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정화시설(300)은 사람들을 위한 여가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공습지 주변으로 보행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태양광패널(500)은 외측 하우스(200)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500)은 외측 하우스(200)의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패널(500)은 태양의 고도를 고려하여 비스듬히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패널(500)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태양광패널(500)에서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는 축전부에 저장될 수 있다.
태양광패널(50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에너지는 지하수(W)를 펌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지하수(W)를 펌핑하는 펌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에너지원은 상기 전기에너지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즉, 지하수(W)를 펌핑하는 펌프는 태양광패널(500)(또는 축전부)와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태양광패널(500)은 친환경적인 에너지 생산 설비인 바, 태양광패널(500)은 자연친화적인 에너지 자립형 수처리 시스템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
온도센서(600)는 내측 하우스(100)에 결합되어 내측 하우스(100)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600)는 내측 하우스(100)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700)는 온도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노즐(400)을 통한 지하수(W)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지하수라인(410)에 결합된 밸브(43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센서(600)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700)는 밸브(430)를 개방하여 지하수(W)를 내측 하우스(100)로 분사하여 내측 하우스(100)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00)는 태양광패널(500)(또는 축전부)와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농촌 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소규모 마을하수처리 시설로 이용될 수 있다.
물환경 분야의 환경수질개선기초시설 설치사업 중에서 농어촌하수도 사업은 농어촌지역의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을 연계처리하는 자연기반해법(NBS) 기반의 본 발명의 내용을 통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효율은 증가시킬 수 있다. 비용효율적 농어촌하수도사업은 본 발명과 같이 NBS 기반 인공습지 조성 등을 통해 비용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다.
물환경 분야의 환경수질개선기초시설 설치사업 중에서 하수관거정비사업은 하수처리장이 도시 말단에 위치하는 상황에서는 하수재이용율 향상에 기여하지 못하기에 투자규모를 줄일 필요가 있다. 이렇게 절감된 예산을 도시비점오염원관리, 도시지역 분산형 하수처리장 조성 및 농업지역 점·비점 연계처리사업에 투자시 효과가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기존의 소규모 마을하수도는 대규모 시설에 비해 유입 하수의 유량 및 농도 특성변화가 크기 때문에 비용효율적 운전이 어려워 수질개선 미흡한 실정이다. 즉, 전문가가 아니면 운영이 어려운 시설로 조성되고 있으며, 운전을 위한 동력(전기시설)이 소요되는 시설로서, 유입수 성상의 차이로 인한 문제 발생 시 정상적 운영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시스템은 자연형시설 위주로 구성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지역주민은 사용의 주체임과 동시에 유지관리에 참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효율적 관리가 가능하고,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내측 하우스
200: 외측 하우스
300: 정화시설
400: 노즐
500: 태양광패널
600: 온도센서
700: 제어부

Claims (6)

  1. 외측 하우스;
    상기 외측 하우스 내에 설치된 내측 하우스;
    상기 내측 하우스와 상기 외측 하우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내측 하우스의 외면에 수막을 형성하도록 지하수를 배출하는 노즐; 및
    상기 내측 하우스 내부에 형성되고, 피처리수를 정화하는 인공습지를 구비한 정화시설을 포함하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하우스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하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시설은,
    피처리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침전시키는 침강지;
    상기 침강지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를 정화하는 식물이 식재된 인공습지; 및
    상기 인공습지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를 수용하고, 동물 및 식물이 서식하는 동식물서식부를 포함하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습지는 지표흐름습지와 지하흐름형 습지를 포함하고,
    상기 침강지로부터 배출된 피처리수는 상기 지표흐름형 습지와 상기 지하흐름형 습지로 각각 분기되어 흐르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지에는, 점오염원 유입부와 비점오염원 유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우스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 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노즐을 통한 지하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20210015778A 2021-02-04 2021-02-04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2519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778A KR102519388B1 (ko) 2021-02-04 2021-02-04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778A KR102519388B1 (ko) 2021-02-04 2021-02-04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356A true KR20220112356A (ko) 2022-08-11
KR102519388B1 KR102519388B1 (ko) 2023-04-06

Family

ID=8280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778A KR102519388B1 (ko) 2021-02-04 2021-02-04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3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72B1 (ko) * 2003-02-26 2004-08-21 변우일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KR101213067B1 (ko) * 2010-06-14 2012-12-18 주식회사 아썸 생태공학적 수처리 시스템
KR101315521B1 (ko) * 2012-03-26 2013-10-07 주식회사 세코지오 전기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수막재배용 금속침착 방지장치와 금속침착 방지방법
KR101972078B1 (ko) * 2017-11-07 2019-04-24 대한민국 수막 재배온실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72B1 (ko) * 2003-02-26 2004-08-21 변우일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KR101213067B1 (ko) * 2010-06-14 2012-12-18 주식회사 아썸 생태공학적 수처리 시스템
KR101315521B1 (ko) * 2012-03-26 2013-10-07 주식회사 세코지오 전기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수막재배용 금속침착 방지장치와 금속침착 방지방법
KR101972078B1 (ko) * 2017-11-07 2019-04-24 대한민국 수막 재배온실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388B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1698B2 (en) Hybrid artificial wetl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sewage treatment device using same, and natural nonpoint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purifying river and lake water
CN102351376B (zh) 一种河滩坡岸多塘湿地废污水处理方法及装置
KR20160104841A (ko) 표면흐름 및 침윤수직흐름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및 이에 사용되는 미디어 모듈
CN105731656B (zh) 一种用于农田尾水处理的富藻沟系统及处理方法
CN102234165A (zh) 一种使用人工湿地净化污水的系统和净化自来水厂污染源水的系统方法
CN112158958A (zh) 一种强化污染物去除的海绵城市建设用人工雨水湿地系统
CN108328744B (zh) 基于海绵生态体系的处理农田面源污染的三级生态水塘
El Sheikh et al.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in Palestine: A new technique to overcome water deficit
CN1923721A (zh) 一种城市地表径流生态处理方法
KR100444972B1 (ko)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KR100909352B1 (ko) 자연친화형 빗물 처리 활용 시스템
CN208732861U (zh) 一种农村生活污水处理设施
KR102519388B1 (ko) 인공습지를 활용한 수처리 시스템
CN101891348A (zh) 缺水城市污水处理系统及污、雨水的贮存及深度处理方法
CN112028387B (zh) 一种用于面源污染水治理的人工湿地修复方法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CN210419449U (zh) 用于园林景观水体的水量平衡及水质提升系统
Water et al. Environmental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sewer lines expansion and rehabilitation in the kaliti catchment
Wang et al. Agricultural waste treatment by water hyacinth aquaculture, wetland aquaculture, evapotranspiration, rapid rate land treatment, slow rate land treatment, and subsurface infiltration
RU57273U1 (ru)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до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13356325B (zh) 一种景观水域水生态环境综合治理方法
KR20200035535A (ko) 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단시스템
CN116062901B (zh) 一种氮磷深度处理的生态系统及其构建方法
CN202072577U (zh) 黑臭及富营养化水体生物生态修复治理系统
CN209702491U (zh) 景观综合雨水净化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