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082A - 고정 정착구 - Google Patents

고정 정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082A
KR20220112082A KR1020210015617A KR20210015617A KR20220112082A KR 20220112082 A KR20220112082 A KR 20220112082A KR 1020210015617 A KR1020210015617 A KR 1020210015617A KR 20210015617 A KR20210015617 A KR 20210015617A KR 20220112082 A KR20220112082 A KR 20220112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resent
anchorage
fix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연규
심별
Original Assignee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2082A/ko
Publication of KR2022011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정착구에 관한 것으로, 벽체를 프리스트레스로 보강을 하는 경우 이러한 고정단 단부의 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정착구는, 긴장재를 일측에서만 삽입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긴장재를 갖는 고정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착구는 중공부가 구비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개구부와, 상기 벽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와, 상기 수평 리브를 지지하는 수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부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 정착구{DEAD ANCHORING DEVICE}
본 발명은 고정 정착구에 관한 것으로, 벽체를 프리스트레스로 보강을 하는 경우 이러한 고정단 단부의 정착구에 관한 것이다.
긴장재가 압축응력을 받든, 받지 않던지 간에 매립형식의 고정단 정착구는 후방으로부터 고정장치에 접근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은 지표면으로부터 접근이 가능한, 매설된 고정장치의 경우에 직면하게 되거나 또는, 유체 기밀 또는 부식방지가 특히 완전하게 되어야 하는 경우 고정장치의 후측이 밀폐되어야 할 때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요건은 통상의 고정 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예를 들어 고정 원추체(cone)로 플레이트에 강연선을 부착하기 위해서 새로운 타입의 고정에 대한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056,284호는 오직 일측에서만 접근가능한 고정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개시된 고정장치의 단점은, 튜브에 삽입되는 각각의 긴장재들이 길이방향의 부착고정에 의해서만 장착되기 때문에 고정장치가 견딜 수 있는 인장 응력을 크게 제한하게 됨으로써 충분한 부착면적을 얻기 위하여 고정 길이가 매우 커야 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미국 특허 제 4,043,133호는 주변 지면에 길이방향의 부착에 의해서만 장착되는 긴장재 피복(sheath)을 제공한다. 상기 긴장재들은 피복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고정 플레이트가 중공부에 삽입되어 긴장재들이 그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식으로 고정 플레이트에 모두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된 피복을 통해 주변 지면의 긴장재들 단부까지 고정력의 전달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쐐기작용효과 없이 길이방향의 고정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정착구는, 긴장재를 일측에서만 삽입할 수 있는 정착구, 즉 긴장재들 각각의 인장 응력을 지지하도록 긴장재들이 고정 장착되되, 정착구의 수평 리브를 지지하는 수직 리브를 형성해서 정착구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 정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정착구는, 긴장재를 일측에서만 삽입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긴장재를 갖는 고정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착구는 중공부가 구비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개구부와, 상기 벽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와, 상기 수평 리브를 지지하는 수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부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정착구는, 긴장재를 일측에서만 삽입할 수 있는 정착구, 즉 긴장재들 각각의 인장 응력을 지지하도록 긴장재들이 고정 장착되되, 정착구의 수평 리브를 지지하는 수직 리브를 형성해서 정착구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의 일부를 절개해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정착구의 일부를 절개해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정착구는, 긴장재를 일측에서만 삽입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긴장재를 갖는 고정장치를 고정하는 고정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착구는 중공부가 구비된 벽체와, 상기 벽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개구부와, 상기 벽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와, 상기 수평 리브를 지지하는 수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부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벽체는 사각형,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의 테이퍼진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평 리브는 축 방향을 따라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수평 리브는 정착구가 고정 배치되는 주변 구조물로 고정력을 전달 및 분산시키게 된다.
이때, 벽체의 외측면에는 수평 리브를 지지하는 수직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리브가 형성되면 수평 리브를 통해 과도한 고정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수평 리브가 파손되지 않도록 보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직 리브를 통해 각각의 수평 리브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수직 리브는 수평 리브의 축 방향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상측과 하측에 모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직 리브의 외측면은 직선, 오목한 형상의 곡선, 볼록한 형상의 곡선 뿐만 아니라 수평 리브의 보강 또는 수평 리브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면 자유곡선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벽체의 타측 단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설치면과 평행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는 벽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벽체는 각각 별개로 형성한 후 볼트나 용접과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해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

  1. 긴장재를 일측에서만 삽입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긴장재를 갖는 고정 정착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착구는,
    공부가 구비된 벽체;
    상기 벽체의 일측 단부에 구비된 개구부;
    상기 벽체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 및
    상기 수평 리브를 지지하는 수직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 단부 개구부의 단면적은 상기 타측 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정착구.
KR1020210015617A 2021-02-03 2021-02-03 고정 정착구 KR20220112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17A KR20220112082A (ko) 2021-02-03 2021-02-03 고정 정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17A KR20220112082A (ko) 2021-02-03 2021-02-03 고정 정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82A true KR20220112082A (ko) 2022-08-10

Family

ID=82846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617A KR20220112082A (ko) 2021-02-03 2021-02-03 고정 정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20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8687B2 (ja) 安全ロープ用アンカー
CN102791939B (zh) 混凝土壁模板
ES2402046T3 (es) Conjunto de cuña y anclaje interno que utiliza el mismo
KR101713525B1 (ko) 마찰 지압형 영구앵커
US11761232B2 (en) Adjustable fence post coupler
SE500079C2 (sv) Vid påkörning eftergivlig stolpanordning med stolpfot
JP2007107374A (ja) ワイヤロープアンカー
KR10146858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정착지지체
KR100953995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다구형 내부정착체
KR20220112082A (ko) 고정 정착구
KR20100013880A (ko) 압축형 영구앵커
KR100903751B1 (ko)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200375568Y1 (ko) 마찰력 및 인장력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
KR101595306B1 (ko) 회전에 의한 기계식 정착형 어스 앵커 및 이의 시공 공법
KR200242474Y1 (ko) 인장재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용 정착체
KR102115707B1 (ko) 다축형 기초파일
ES2286374T3 (es) Estructura de base para un mecanismo agitador de motor sumergido con palas de rotor.
KR200492647Y1 (ko) 소일 네일링 공법용 강재 연결구
KR20110115687A (ko) 암거박스
KR200364631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1349259B1 (ko) 더블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JP4870004B2 (ja) 定着構造
KR200283335Y1 (ko) 그라운드 앵커용 내하체
KR101825018B1 (ko) 복합형 하중분산 앵커
KR20190007137A (ko) 선매립형 앵커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