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073A - 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073A
KR20220112073A KR1020210015604A KR20210015604A KR20220112073A KR 20220112073 A KR20220112073 A KR 20220112073A KR 1020210015604 A KR1020210015604 A KR 1020210015604A KR 20210015604 A KR20210015604 A KR 20210015604A KR 20220112073 A KR20220112073 A KR 20220112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support plate
discharge
supply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6529B1 (en
Inventor
은 식 신
Original Assignee
은 식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 식 신 filed Critical 은 식 신
Priority to KR1020210015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6529B1/en
Publication of KR2022011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6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65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2Applying preformed bands of continuous-ring form, e.g. 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Provided is an automatic paper band coupl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oupling a paper band. The automatic paper band coupling device, wherein the automatic paper band coupling device surrounds and couples a paper band connected in a ring form with the outer surface of a packaged article, includes: a conveyor module in which a supply conveyor and a discharge conveyor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part from each other; a paper band storage box in which a plurality of paper bands are overlapped and stored in a folded state and a discharge port is formed to face a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a support plate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 a movable suction nozzle led in and out vertically through the support plate and approaching the discharge port to adsorb the paper bands with negative pressure and pull the paper bands out to the support plate; a paper band discharge module including a moving insertion tube moving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ly conveyor and having an end inserted into the paper bands to expand the paper bands in a ring form; and a pressing module including a driving unit, and a pressing push bar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in a straight line to insert the packaged article into the paper bands on the support plate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Description

자동 띠지 결합장치{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포장물품 외면에 띠지를 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포장물품 둘레에 자동으로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upling a belt to the outer surface of a packaged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oupling a belt connected in a ring shape to a circumference of a packaged product.

다양한 물품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되고 유통되면서, 이들을 포장하는 방식도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되었다. 포장방식은 물품의 형상이나 재질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용용기나, 박스, 포장지 등을 사용하여 1차적으로 포장하게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통상 띠지(band paper)로 불리는 종이 띠를 둘러 2차로 포장하는 방식도 자주 사용된다.As various goods ar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in various ways, the way they are packaged has also changed in various forms. The packaging method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product, and accordingly, it is primarily packaged using a dedicated container, box, or wrapping paper. In addition to this, a method of secondary packaging around a paper strip commonly called band paper is also frequently used.

띠지는 종래 대부분 책 표지를 장식하거나 타월과 같은 물품 둘레에 둘러 형상을 유지시키는 등의 한정된 용도로 사용되었지만, 이제는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띠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물품을 포장하고 있다. 특히 물품 외면에 제품명이나 관련사항 등을 직접 인쇄하기 어려운 경우 띠지를 사용하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중에서 유통되는 계란 등은 용기 겉면이 띠지로 2차 포장되어 산지를 알려주거나 다양한 광고문구를 통해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다.Traditionally, most of the strips have been used for limited purposes, such as decorating a book cover or maintaining a shape around an article such as a towel, but now the articles are simply packaged using the strip in more diverse fields. In particular, when it is difficult to directly print the product name or related matters on the outside of the product, using a bandage can be very effective. For example, eggs distributed in the market are secondarily packaged with a strip of paper to inform consumers of the origin or to appeal to consumers through various advertisements.

그러나 띠지는 물품의 외면에 밀착하여 물품 둘레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비교적 섬세하게 포장되는 것이어서 기계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 대부분의 경우 수작업으로 띠지를 결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 공정의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부 띠지 결합 공정을 부분적으로 기계화한 사례도 있으나(예, 대한민국 특허10-1420577등), 실질적으로 수작업과 동일하게 제품을 돌려가며 띠지를 감는 등의 방식이어서 공정속도가 느린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계란과 같이 깨지거나 변형되기 쉬운 제품을 포장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보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However, since the belt is packaged relatively delicately in such a way that it closely adher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rticle and surrounds the article, there is a limit to working with a machine. That is, in most cases of the related art, the bandage is manually combin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ion process is reduced. There are cases in which some belt bonding processes have been partially mechanized (eg, Korean Patent 10-1420577, etc.),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speed was slow because it was a method such as winding the belt while turning the product in the same way as by hand. It had problems such as being unable to be used for packaging fragile or deformable products such as egg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newer technologies.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20577호, (2014. 07.1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420577, (2014. 07.1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포장물품 둘레에 자동으로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o provide an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for automatically coupling the belt connected in a ring shape around the packaging articl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는, 포장물품 외면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둘러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물품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모듈; 내부에 복수의 상기 띠지가 접힌 상태로 중첩하여 저장되며 상기 띠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 띠지저장박스; 상기 배출구 반대편의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상기 배출구에 접근하여 상기 띠지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상기 받침판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공급컨베이어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상기 띠지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을 포함하는 띠지배출모듈; 및 상기 컨베이어모듈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해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압밀대가 포함된 가압모듈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for enclosing a belt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a packaged product in a ring shape, wherein the supply conveyor for supplying the packaged product and the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packaged product are each other Conveyor module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part; a strip storage box in which a plurality of strips are stored overlapped in a folded state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trips are discharged faces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A support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opposite the outlet, and the support plat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late to enter and exit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late and approach the outlet A belt paper discharge module comprising: a movable suction nozzle for adsorbing the belt paper under negative pressure and withdrawing it to the support plate; and a driving unit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conveyo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moving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in a straight line to move the packaged goods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inside the strip on the support plate It includes a pressing module including a pressing push bar to be inserted into.

상기 가동흡착모듈은, 접혀있는 상기 띠지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여 비틀림을 발생시켜 상기 띠지를 펼칠 수 있다.The movable adsorption module may spread the belt by asymmetrically adsorbing the folded outer surface of the belt to generate torsion.

상기 받침판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흡착노즐에 흡착된 상기 띠지에 접촉하여 상기 띠지가 움직이는 반대편으로 상기 띠지를 밀어 세우는 가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to push the bel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vement of the belt in contact with the belt is adsorbed to the movable suction nozzle.

상기 받침판의 외측에서 상기 받침판 방향으로 왕복하며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의 측부를 눌러 상기 띠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측면가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side pressure unit that reciproc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and deforms the shape of the belt by pressing the side of the belt on the support plate.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컨베이어모듈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pair of driving gears arranged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conveyor module, and a chain hanging between the driving gears to orbitally move.

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체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The pressurizing rod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hain and periodically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상기 무빙삽입관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밀대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The moving insertion tube is formed with cut-outs cut in a straight line through both ends on one side, so that the pressurizing rod can move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through the cut-out portion.

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무빙삽입관을 빠져나오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감속될 수 있다.The pressurizing rod may be decelerated at least once before exiting the moving insertion tube.

상기 무빙삽입관은,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가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향하는 타단부보다 너비가 좁은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띠지 내측으로 안내하는 탄성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insertion tube, one end facing the belt is formed in an asymmetric shape that is narrower in width than the other end facing the supply conveyor, is elastically deformed at one end toward the belt, and guides the packaged goods to the inside of the belt An elastic blade may be formed.

상기 띠지배출모듈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The strip discharge module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disposed in parallel in a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상기 공급컨베이어 상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띠지배출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포장물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distribution module disposed on the supply conveyor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packaged goods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rip discharge modules.

상기 분배모듈은,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며 상기 포장물품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스윙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module may include a swing tube that swings about an axis and chang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ackaged article.

본 발명에 의하면, 포장물품(띠지로 포장되는 포장대상을 지칭함)을 띠지를 이용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특히 미리 고리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띠지를 접은 상태로 저장하였다가, 신속하게 펼쳐 포장물품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매우 빠르게 띠지를 포장물품 둘레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띠지 포장이 필요한 다양한 포장물품들을 포장할 수 있으며 대량으로 물품을 공급하며 연속적으로 포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간단한 동작으로 띠지를 정교하게 펼쳐 준비할 수 있고, 띠지가 결합된 포장물품은 결합 즉시 컨베이어로 배출할 수 있어 띠지 포장작업과 이송작업 전체가 유기적으로 진행되어 매우 효율적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ckaging article (referring to a packaging object to be packaged in a strip) can be packaged quickly and efficiently using the strip. In particular, the belt paper connected in a ring shape in advance is stored in a folded state, and then quickly unfolded to insert the packaging article, so that the belt paper can be combined around the packaging article very quickly.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ack a variety of packaged goods that require wrapping in a strip,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goods in large quantities and perform the packaging operation continuously. In addition, with a relatively simpl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the belt by elaborately unfolding it, and the packaged goods combined with the belt can be discharged to the conveyor immediately after they are combined.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테이블과 배출컨베이어를 제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내부구조 중 띠지배출모듈 부분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b는 띠지배출모듈과 측면가압유닛으로 접힌띠지를 펼쳐 결합을 준비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띠지배출모듈과 가압밀대로 포장물품을 펼쳐진 띠지에 결합하고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 전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bandage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by removing the table and the discharge conveyor of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band coupling device of Figure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art of the strip discharge module among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automatic belt strip coupling device shown in FIG. 2 . 7A to 8B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reparing for coupling by unfolding the folded strip with the strip discharge module and the side pressure unit. 9 and 10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packaged goods to the unfolded belt with a belt discharge module and a pressurizing mill and discharging it to the conveyor.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ntir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of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포장물품'은 띠지를 외면에 결합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대상을 의미하며 그러한 포장대상은 예를 들어,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계란포장용기 또는 그러한 용기로 포장된 계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띠지로 포장 가능한 다양한 포장물품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ackaging article' refers to a packaging object for packaging by bonding the strip to the outer surface, and such packaging object is, for example, not limited thereto, but includes an egg packaging container or eggs packaged in such a container. can d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packaging articles that can be packaged in a strip.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테이블과 배출컨베이어를 제거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by removing the table and discharge conveyor of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of FIG. 1, FIG. 3 is FIG.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of FIG. 1, and FIG. 5 is a plan view of th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띠지저장박스(21, 22)에 접혀 저장된 띠지(A)를 배출구(도 4의 20a참조)측에 배치된 띠지배출모듈(도 2의 31, 32참조)로 꺼내 펼칠 수 있게 형성된다(도 7a~도 8b참조). 이러한 동작은 띠지배출모듈(31, 32) 특유의 입체적 배치(도 6등 참조)로 인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되며 이를 통해 고리형상의 띠지(도 8b의 A참조)를 신속하게 포장물품에 결합할 수 있다. 띠지배출모듈(31, 32)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어 띠지(A) 포장이 완료됨과 동시에 물품을 컨베이어를 통해 다음공정으로 바로 제공할 수 있으며, 띠지(A)결합공정과 물품배출 공정이 가압모듈(51, 52)에 의해 한꺼번에 수행되므로 이러한 공정들이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모듈화한 구조로 이러한 공정이 진행되는 라인을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에 병렬로 구성할 수 있고 분배모듈(60)로 포장물품을 이들 라인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면서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1 to 5, the automatic bandage coupling device 1 removes the folded bandage (A) stored in the bandage storage boxes (21, 22) at the outlet (refer to 20a in FIG. 4)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ndage discharge module (Fig. 2, see 31, 32) to be taken out and unfolded (refer to FIGS. 7a to 8b). This operation proceeds quickly and efficiently due to the unique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see FIG. 6, etc.) of the strip discharge modules 31 and 32, and through this, the ring-shaped strip (refer to A of FIG. 8B) can be quickly combined with the packaged article. have. The strip discharge modules 31 and 32 ar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so that the packaging of the strip A is completed and the goods can be directly provided to the next process through the conveyor, Since the strip (A) bonding process and the article discharging process are performed simultaneously by the pressing modules 51 and 52, these processes can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interruption. In addition, with a modular structure, a line in which this process is performed can be configured in parallel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and the process can be performed while selectively supplying packaged goods to these lines with the distribution module 60 can operate more efficiently.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포장물품(도 10 및 도 11의 B참조) 외면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도 8b의 A참조)를 둘러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1)에 있어서, 포장물품(B)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110)와, 포장물품(B)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120)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모듈(도 1의 10참조), 내부에 복수의 띠지(A)가 접힌 상태로 중첩하여 저장되며 띠지(A)가 배출되는 배출구(도 4의 20a참조)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 띠지저장박스(21, 22), 배출구(20a) 반대편의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310)과,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배출구(20a)에 접근하여 띠지(A)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받침판(310)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320)과,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110)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띠지(A)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330)을 포함하는 띠지배출모듈(31, 32), 및 컨베이어모듈(10)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도 2의 510참조) 및 구동유닛(510)에 연결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포장물품(B)을 무빙삽입관(330)을 통해 받침판(310) 위의 띠지(A)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압밀대(520)가 포함된 가압모듈(51, 52)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h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1) is an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1) that surrounds and combines the belt strip (refer to A of FIG. 8B) connected in a 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ed product (see FIGS. 10 and 11 B), the packaging Conveyor module (refer to 10 in FIG. 1) in which the supply conveyor 110 for supplying the goods (B)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for discharging the packaged goods (B)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strips inside (A) is stored in a folded state, and the outlet (see 20a in FIG. 4) through which the strip (A) is discharged faces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the strip storage box 21 , 22), a support plate 310 dispos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utlet (20a) 310 and the support plate A movable suction nozzle 320 that penetrates through 310, enters and exits perpendicularly to the support plate 310, approaches the outlet 20a, adsorbs the belt paper A with negative pressure, and draws it out to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support plate 310. Belt discharge modules 31 and 32 including a moving insertion tube 330 that moves between and the supply conveyor 110 and extends in a ring shape by inserting the end into the belt paper A, and the conveyor module 10 side by side It is connected to the arranged driving unit (see 510 in FIG. 2 ) and the driving unit 510 and moves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a straight line to move the packaged product (B) into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 ) through the support plate 310, and includes a pressing module (51, 52) including a pressing pusher 520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elt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동 띠지 결합장치(1)는, 받침판(310)의 외측에서 받침판(310) 방향으로 왕복하여 받침판(310) 위의 띠지(A)의 측부를 눌러 띠지(A)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측면가압유닛(도 1의 41, 42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압모듈(51, 52)의 구동유닛(510)은, 컨베이어모듈(1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511, 512)와 구동기어(511, 512)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513)을 포함하고, 가압모듈(51, 52)의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띠지배출모듈(31, 32)의 무빙삽입관(330)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도 6의 330a참조)가 형성되어, 가압밀대(520)가 절개부(330a)를 통해 무빙삽입관(330)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가압밀대(520)를 이용하여 포장물품(B)을 띠지(A)에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띠지(A)가 결합된 상태로 포장물품(B)을 배출컨베이어(120)까지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1 reciprocates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presses the side of the belt paper (A) on the support plate 310 of the belt paper (A). It may further include a side pressure unit (refer to 41 and 42 in FIG. 1) for deforming the shape, and the driving unit 510 of the pressure modules 51 and 52 rotates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conveyor module 10 A pair of driving gears (511, 512) and a chain (513) for orbiting motion caught between the driving gears (511, 512) are provided, and the pressing pusher (520) of the pressing modules (51, 52) is, I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hain 513 and periodically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 In addition,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of the belt discharge modules 31 and 32 has a cutout (see 330a in FIG. 6 ) cut in a straight line through both ends on one side, and the pressurizing rod 520 is formed. It can move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through the cutout 330a. With this structure, the packing article (B) can be coupled to the belt paper (A) using the pressurizing rod 520, and the packaging product (B)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a state in which the belt paper (A) is coupled. can do it Hereinafter, the specific structure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컨베이어모듈(10)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가 나누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는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는 각각 단일 컨베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컨베이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외에 포장물품을 공급컨베이어(110) 등으로 도입하는 또 다른 컨베이어 등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컨베이어모듈(10)은 포장물품의 공급이 가능한 공급컨베이어(110)와 띠지가 결합된 포장물품의 배출이 가능한 배출컨베이어(120)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는 각각 적절한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복수의 띠지배출모듈(31, 32)을 배치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띠지저장박스(21, 22), 복수의 가압모듈(51, 52), 복수의 측면가압유닛(41, 42) 등을 배치하여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의 라인을 따라 공정이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후술하는 띠지배출모듈(31, 32), 띠지저장박스(21, 22), 측면가압유닛(41, 42), 및 가압모듈(51, 52)에 대한 설명은 각각에 대해 복수로 형성된 양쪽 모두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1 and 3 to 5 , the conveyor module 1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are divided.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may each be formed of a single conveyor or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nveyors.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arrange another conveyor for introducing the packaged goods to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like. Conveyor module 10 is form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limit in which the supply conveyor 110 capable of supplying packaged goods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capable of discharging packaged goods combined with a strip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may each have an appropriate width, and using this, a plurality of belt discharge modules 31 and 32 are plac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and , a plurality of belt storage boxes 21, 22, a plurality of pressure modules 51, 52, a plurality of side pressure units 41, 42, etc. corresponding thereto are disposed to process along a plurality of lines in one device can make this go ahead. Unless otherwise stated, descriptions of the belt paper discharge modules 31 and 32, the belt paper storage boxes 21 and 22, the side pressure units 41 and 42, and the pressure modules 51 and 52 to be described later are in each It can be equally applied to both sides formed in plurality.

즉, 본 실시예에서 띠지배출모듈(31, 32)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병렬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공급컨베이어(110) 상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띠지배출모듈(31, 32) 중 어느 하나로 포장물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배모듈(60)을 함께 형성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라인을 이용하여 포장물품에 띠지를 결합하는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분배모듈(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며 포장물품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스윙관(6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윙관(610)을 지지하는 지지판(620)과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30)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630)는 특정한 방식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기어, 캠, 정역모터 등 스윙관(610)의 주기적인 왕복운동(도 11참조)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양한 기계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그와 같이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포장물품의 공급과 관련된 내용은 후술하는 전체적인 동작 설명 시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strip discharge modules 31 and 32 are formed and arranged in parallel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orm the distribution module 60 disposed on the supply conveyor 110 to selectively supply the packaged goods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rip discharge modules 31 and 32 togeth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oceed with the process of bonding the strip to the packaging product using a plurality of lines. The distribution module 6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may include, for example, a swing pipe 610 that swings about an axis and chang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ackaged product, and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swing pipe 610 . It may be formed in a form including a 620 and a driving unit 630 providing a driving force. The driving unit 630 does not need to be limited in a specific way, and various mechanical structures that can make periodic reciprocating motions (see FIG. 11 ) of the swing tube 610 such as gears, cams, forward/reverse motors, etc. may be used. have. Therefore,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is only an example, it is not necessary to understand it as such. Contents related to the supply of the packaged good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overall operation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띠지저장박스(21, 22)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띠지(A)를 접힌상태로 중첩하여 저장한다. 띠지저장박스(21, 22)는 도 4와 같이 배출구(20a)를 가지며 배출구(20a)는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다. 즉 띠지저장박스(21, 22)는 후술하는 띠지배출모듈(31, 32)이 배치되는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으로 내부에 저장된 띠지(A)를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러한 한도 내에서 띠지저장박스(21, 22) 역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수직으로 배치된 타워 형태의 띠지저장박스(21, 22)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박스의 상단부는 개방하여 띠지(A)를 손쉽게 공급받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단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단부의 배출구(20a)를 향해 띠지(A)를 눌러주는 질량체 등을 띠지저장박스(21, 22) 안에 배치할 수도 있다. 띠지저장박스(21, 22)의 내부공간은 띠지(A)를 수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내부공간에 띠지(A)를 접힌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띠지저장박스(21, 22) 안에 저장되는 띠지(A)들은 납작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각각의 띠지(A)들은 펼치면 고리형태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도 8b등 참조). 띠지(A)는 예를 들어, 포장물품의 외주면 둘레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재단한 후 고리형태로 미리 연결시켜 준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포장물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쉽게 변형되도록 예를 들어, 포장물품의 모서리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에 접철선 등을 형성해 줄 수도 있다. 여러 가지 방식으로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A)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띠지저장박스(21, 22)가 형성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다른 규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대응하는 서로 다른 크기의 띠지(A)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서로 다른 크기의 띠지(A)를 서로 다른 크기의 포장물품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공정을 구성할 수도 있다. 띠지저장박스(21, 22)는 예를 들어, 테이블(200) 위에 얹힌 상태로 말단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belt storage boxes 21 and 22 overlap and store a plurality of belt papers (A) inside in a folded state. The belt storage boxes 21 and 22 have an outlet 20a as shown in FIG. 4 and the outlet 20a is formed to face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 That is, the belt storage boxes 21 and 22 are spaced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which the belt discharge modules 31 and 32 to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to discharge the belt paper (A) stored therein. is formed Within such a limit, the belt storage boxes 21 and 22 are also capable of being deformed in various various forms. Preferab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orm the storage boxes 21 and 22 in the form of a tower arranged vertically, and in such a case, the upper end of the box is opened so that the belt paper (A) can be easily supplied. If necessary, a mass for pressing the belt paper (A) toward the outlet (20a) of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open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belt paper storage boxes (21, 22). The inner space of the belt paper storage boxes (21, 22)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accommodate the belt paper (A), and can store the belt paper (A) in a folded state in such an inner space. That is, the belt papers (A) stored in the belt paper storage boxes (21, 22) can be stored in a flat manner. For example, the strip (A) can be prepared by cutting it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ed product and then connecting it in advance in the form of a ring. For example, a fold lin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packaged product. It is possible to form the band (A) connected in a ring shape in various ways. When a plurality of belt storage boxes 21 and 22 are formed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y may be formed in different sizes and may store the belt paper A of different siz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such a case, the process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combine the strips (A) of different sizes to packaging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he belt storage boxes 21 and 22 may be arranged so that the ends face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a state on the table 200, for example.

띠지배출모듈(31, 32)은 받침판(310)과, 가동흡착노즐(320), 및 무빙삽입관(330)이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띠지배출모듈(31, 32)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띠지저장박스(21, 22)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술한 띠지저장박스(21, 22)의 배출구(20a)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띠지배출모듈(31, 32) 역시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띠지배출모듈(31, 32)은 다음과 같은 세부구성을 포함한다. 띠지배출모듈(31, 32)은, 띠지저장박스(21, 22)의 배출구(20a) 반대편의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310)과,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배출구(20a)에 접근하여 띠지(A)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받침판(310)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320), 및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110)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띠지(A)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330)을 포함한다. 받침판(310)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에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높낮이를 맞추어 배치할 수 있다. 즉 받침판(310)은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공급컨베이어(110)로부터 전달된 포장물품을 저항없이 통과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받침판(310)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었다는 것은, 받침판(310)의 길이방향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를 연결하는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받침판(310)은 예를 들면, 상면이 공급컨베이어(110) 및 배출컨베이어(120)의 상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받침판(310)은 자동 띠지 결합장치(1)의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70) 상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strip discharge modules 31 and 32 are formed by three-dimensionally arranged support plates 310 , movable suction nozzles 320 , and moving insertion tubes 330 . The belt discharge modules 31 and 32 may be located under the belt paper storage boxes 21 and 22,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located adjacent to the outlet 20a of the belt paper storage boxes 21 and 22 described above. can A plurality of belt discharge modules 31 and 32 may also be formed, and each of the belt discharge modules 31 and 32 includes the following detailed configuration. The belt discharge module (31, 32),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 20a of the belt storage boxes (21, 22) ) and the support plate 310 disposed in the direction to connec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plate 310 to enter and exit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plate 310 and approach the outlet 20a to adsorb the belt paper A with negative pressure and the support plate 310 ), a movable suction nozzle 320, and a moving insertion tube 330 that moves between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supply conveyor 110 and expands in a ring shape by inserting the end into the belt paper (A). The support plate 3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parallel with them, and may be disposed to match the height. That is, the support plate 310 is arranged in a direction to connect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so that the packaged goods delivered from the supply conveyor 110 can pass therethrough without resistance. The fact that the support plate 310 is arranged in a direction to connect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means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is i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t may mean an arranged state, and the support plate 310 may be disposed such that,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is substantially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 The support plate 310 may be disposed in a fixed state on the frame 70 forming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1 .

가동흡착노즐(320)은 움직이며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노즐로서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즉 받침판(310)의 배열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가동구조가 복합되어 띠지배출모듈(31, 32)을 형성한다. 가동흡착노즐(320)은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띠지저장박스(21, 22)의 배출구(20a)에 접근하여 띠지(A)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받침판(310)까지 빼내게 된다. 또한, 무빙삽입관(330)은 받침판(310)과 인접하게 위치하되,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110)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받침판(310)으로 빼내진 띠지(A)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킨다. 이러한 받침판(310), 가동흡착노즐(320), 무빙삽입관(330)의 구조는 전술한 측면가압유닛(41, 42)과 함께 매우 입체적으로 띠지(A)를 가압하여 펼치는 배출구조를 형성한다. 이하, 띠지배출모듈(31, 32) 및 측면가압유닛(41, 42)의 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is a nozzle capable of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while moving, and is formed to be movable through the support plate 310 . That is, the movable structur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is combined to form the strip discharge modules 31 and 32 .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penetrates the support plate 310 and enters and exit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310, approaches the outlet 20a of the belt storage boxes 21 and 22 to adsorb the belt paper A with negative pressure, and the support plate up to (310). In addition,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support plate 310, but moves between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supply conveyor 110, and inserts the end into the strip (A) pulled out with the support plate 310 to insert the ring expand in the form.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late 310,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and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forms a discharge structure that presses and spreads the belt paper A in a very three-dimensional manner together with the side pressure units 41 and 42 described above. . Hereinafter, the structures of the strip discharge modules 31 and 32 and the side pressure units 41 and 4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자동 띠지 결합장치의 내부구조 중 띠지배출모듈 부분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복수의 띠지배출모듈 중 도 1의 우측에 위치한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part of the strip discharge module among the internal structures of the automatic belt strip coupling device shown in FIG. 2 . FIG. 6 shows a modul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1 among a plurality of strip discharge modules.

도 6을 참조하면, 받침판(310) 상에는 복수 개의 통공(310a)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받침판(310)은 공급컨베이어(도 3의 110참조)와 배출컨베이어(도 3의 120참조) 사이의 공간에 이들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통공(310a)은 가동흡착노즐(32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동흡착노즐(320)은 통공(310a)을 통해 도 6과 같이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입출될 수 있다.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이동하는 가동흡착노즐(320)의 말단에는 흡입구 등의 역할을 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띠지에 흡입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동흡착노즐(320)의 다른 측에는 펌프와 연결된 관로 등이 연결되어 가동흡착노즐(3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동흡착노즐(32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구동부(322)로부터 신축되는 승강부(321) 등에 하나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구동부(322)는 예를 들면 유압 등으로 피스톤을 신축시키는 액츄에이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승강부는 피스톤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도 신축되며 가동흡착노즐(32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0a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late 310 .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late 31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see 110 in FIG. 3) and the discharge conveyor (see 120 in FIG. 3)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m, and may b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through hole 310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movable suction nozzles 320, and for this reason,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passes through the support plate 310 as shown in FIG. can An opening serving as a suction port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moving through the support plate 310 , and suction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belt through the opening. Although not shown, a pipe connected to a pump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to adjust the pressure inside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 The movable suction nozzles 320 may be formed in plurality, and they may be connected to one or the like to operate by being connected to the elevating unit 321 that is expanded and contracted from the driving unit 322 . The driving unit 322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actuator that expands and contracts the piston by hydraulic pressure or the like, and the lift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piston or the lik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in this way, and in addition, the driving structure can be formed in various ways tha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and can drive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

받침판(310)은 평판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굴절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굴절된 부분은 특히, 띠지를 흡입하여 배출시킬 때 띠지를 세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받침판(310)의 일 측에 연결되어 가동흡착노즐(320)에 흡착된 띠지(도 8a의 A참조)에 접촉하여 띠지(A)가 움직이는 반대편으로 띠지(A)를 밀어 세우는 가압판(3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판(311)은 받침판(310)의 측부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받침판(310)의 끝단을 굴절시켜 받침판(310)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띠지(A)에 접촉하여 이를 반대편으로 밀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활용하여 그 밖의 또 다른 위치에 가압판(311)을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가압판(311)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 형성된 구조를 받침판(31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The support plate 310 may be formed in a flat plate structure, but may include a portion refracted to the outside as shown. The refracted portion may serve to stand up the belt, especially when the belt is sucked and discharged. That is, the pressure plate 311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belt paper (see A of FIG. 8A) adsorbed to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to push the belt paper A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vement. ) can be formed. The pressure plate 3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310 and, for exampl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upport plate 310 by bending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310 .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as such,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pressure plate 311 at another position by using various structures that can be pushed to the opposite side by contacting the strip (A). The pressure plate 311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and may be formed by coupling a separately formed structure to the support plate 310 .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the form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무빙삽입관(330)은 받침판(310)과 공급컨베이어(도 3의 110참조) 사이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이게 형성된다. 무빙삽입관(330)은 내부로 포장물품(도 10 및 도 11의 B참조)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받침판(310)으로 배출된 띠지(도 10의 A참조)를 향하는 말단과 반대편(즉, 공급컨베이어를 향하는 측) 말단이 서로 비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무빙삽입관(330)은 띠지(A)를 향하는 일단부가 공급컨베이어(110)를 향하는 타단부보다 너비가 좁은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띠지(A)를 향하는 일단부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포장물품(B)을 띠지(A) 내측으로 안내하는 탄성블레이드(330b)가 형성될 수 있다(도 10참조). 이러한 구조로 탄성블레이드(330b)가 형성된 끝단을 띠지(A)에 원활하게 삽입하여 띠지(A)를 고리형태로 확장시킬 수 있다. 탄성블레이드(330b) 반대편에는 외측으로 넓게 확장된 확장블레이드(330c)가 형성되어 포장물품(B)을 무빙삽입관(330) 내측으로 안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is formed to move as shown in FIG. 6 between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supply conveyor (see 110 in FIG. 3 ).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is formed in a size that can pass the packaged goods (refer to B of FIGS. 10 and 11) into the inside, and for example, the strip (refer to A of FIG. 10) discharged to the support plate 310. The facing end and the opposite end (ie, the side facing the supply conveyor) may be formed in asymmetrical shape with each other.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with one end facing the belt paper A having a narrower width than the other end facing the supply conveyor 110, elastically deformed at one end toward the belt paper A, and packaged goods An elastic blade (330b) for guiding (B) to the inside of the belt (A) may be formed (see FIG. 10). With this structure, the end on which the elastic blade 330b is formed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belt paper (A) to expand the belt paper (A) in a ring shape. On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blade (330b), an extended blade (330c) extended outwardly is formed to guide the packaging article (B) to the inside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특히, 무빙삽입관(330)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330a)가 형성되어 있어 가압모듈(도 1 내지 도 5의 51, 52참조)의 가압밀대(520)가 절개부(330a)를 통해 무빙삽입관(330)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에 결합되어 일직선 상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공급컨베이어(도 1의 110참조)와 배출컨베이어(도 1의 120참조)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포장물품(B)을 받침판(310) 위의 띠지(A) 내측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절개부(330a)의 구조를 통해 무빙삽입관(330)을 완전히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무빙삽입관(330)을 지나 받침판(310)의 위를 통과하며 띠지(A)가 결합된 포장물품(B)을 배출컨베이어(120)로 밀어내는 역할도 함께할 수 있다. 따라서 띠지(A) 결합공정과 띠지(A)가 결합된 물품을 배출하는 공정이 실질적인 시간지연 없이 연속적으로 진행됨으로써 매우 신속하게 포장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포장과 관련된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무빙삽입관(330)은 예를 들어, 신축되며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한 연결부(331) 등을 통해 구동부(33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332)는 다양한 방식으로 동작하는 선형 액츄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시 6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판(310)을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무빙삽입관(330)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일 뿐이므로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받침판(310)과 컨베이어 사이에서 무빙삽입관(330)을 움직일 수 있는 또 다른 다양한 구조를 활용하여 무빙삽입관(330)의 구동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is formed with cut-out portions 330a cut in a straight line through both ends on one side, so that the pressing pusher 520 of the pressing module (see 51 and 52 in FIGS. 1 to 5). ) may move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through the cutout 330a. The pressure mill 520 is coupled to the chain 513 and can travel in a straight line, and moves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refer to 110 in FIG. 1) and the discharge conveyor (refer to 120 in FIG. 1) in a straight lin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ackaging article (B) can be inserted into the bandage (A) on the support plate (310). The pressurizing rod 520 can move completely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cutout 330a, and passes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and passes over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bandage (A) It may also serve to push the packaged article (B) to which the is coupled to the discharge conveyor 120 . Therefore, the packaging operation can be made very quickly by continuously proceeding with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article to which the strip (A) is coupled and the strip (A) is combined without a substantial time delay. Specific operations related to packaging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332 through, for example, a connecting unit 331 that is expandable and slidable, etc., and the driving unit 332 may be configured using a linear actuator that operates in various ways. ca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that slid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opposite direction as shown in FIG. A driving structure of the moving inserting tube 330 may be formed by utilizing another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moving the moving inserting tube 330 between the support plate 310 and the conveyor.

측면가압유닛(42)은 도 6과 같이 받침판(310)의 외측에서 받침판(310) 방향으로 왕복하게 형성된다. 측면가압유닛(42)은 이를 통해 받침판(310) 위의 띠지(A)의 측부를 눌러 띠지(A)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도 8b참조). 구체적으로 측면가압유닛(42)은 띠지(A)의 측부를 가압하여 아직 완전히 고리형태로 펼쳐지지 않은 띠지(A)를 전체적으로 대칭형태가 되도록 변형시킬 수 있다. 잠시 도 1을 참조하면, 측면가압유닛(41, 42)은 예를 들어, 테이블(200)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받침판(31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하나의 배치형태에 불과하므로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받침판(310)의 외측에서 받침판(310) 방향으로 왕복이 가능한 적절한 위치에 또 다른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측면가압유닛(41, 42)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측면가압유닛(42)은 말단의 신축부(410)가 구동부(420)에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420)는 선형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액츄에이터 구조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410)가 도 6과 같이 받침판(310)을 향해 왕복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신축부(410)에는 받침판(310)위로 빼내진 띠지(A) 측부와 넓게 접촉하는 접촉날(41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접촉날(411)을 이용하여 띠지(A) 측부 전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접촉날(411)은 특별한 형상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말단이 일직선 상으로 가공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pressure unit 42 is formed to reciprocat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310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310 as shown in FIG. The side pressure unit 42 can press the side of the belt paper (A) on the support plate 310 through this to deform the shape of the belt paper (A) (see FIG. 8b ). Specifically, the side pressure unit 42 may press the side of the belt paper (A) to transform the belt paper (A), which has not yet been fully unfolded in a ring shape, to become a symmetrical shape as a whole. Briefly referring to FIG. 1 , the side pressure units 41 and 42 may be fixed on the table 200 , for example, and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close to the support plate 310 through this. However, since this is also only one arrangement,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as such, and the side pressure unit 41, 42) can be placed. 1 and 6, the side pressure unit 42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telescopic part 410 at the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20, and the driving unit 420 uses various actuator structures that operate linearly. can be formed b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in which the stretchable part 410 reciprocates toward the support plate 310 as shown in FIG. 6 . A contact blade 411 in wid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strip (A) pulled out over the support plate 310 may be formed in the stretchable part 410, and the pressure on the front side of the strip (A) using this contact blade 411 can be added The contact blade 411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a special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in which the ends are processed in a straight line.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가압모듈(51, 52)에 대해 설명한다. 가압모듈(51, 52)은 컨베이어모듈(10)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510) 및 구동유닛(510)에 연결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이는 가압밀대(520)를 포함한다. 가압밀대(520)는 이와 같이 움직이며 공급컨베이어(110)로 공급된 포장물품을 무빙삽입관(330)을 통해 받침판(310) 위의 띠지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말단이 상대적으로 넓게 확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포장물품과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밀대(520)의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한정하여 이해할 필요는 없다. 가압밀대(520)는 전술한 무빙삽입관(330)의 내측으로 진입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2 to 5, the pressing modules 51 and 52 will be described. The pressurizing modules 51 and 52 ar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510 and the driving unit 510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conveyor module 10 to move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n a straight line. It includes a pressure mill 520 . The pressurizing rod 520 can move in this way and insert the packaged goods supplied to the supply conveyor 110 into the belt on the support plate 310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 The pressurizing rod 520 may have a relatively wide distal end, and through this, it may be in smooth contact with the packaged product. However, since the shape of the pressurizing rod 520 may also be variously modified, it is not necessary to understand it limited to the form shown. The pressurizing rod 52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at can enter the inside of the above-described moving insertion tube 330 .

특히, 본 실시예에서 구동유닛(510)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컨베이어모듈(10)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511, 512)와, 구동기어(511, 512)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513)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즉,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관통하여 왕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기어(511, 5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모터(514)를 직접 연결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체인(513)과 체인(513)에 연결된 가압밀대(520)의 이동속도 등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에 연결된 채 무빙삽입관(330)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무빙삽입관(330)의 절개부(도 6의 330a참조)를 통해 원활하게 무빙삽입관(330)을 관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을 따라 왕복하면서, 무빙삽입관(330)의 내부와 무빙삽입관(330)의 전단에 배치된 받침판(310)의 위를 이동하며 포장물품을 띠지에 결합하고 띠지가 결합된 물품을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의 외측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컨베이어모듈(10)의 상면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구동기어(511, 512)의 간격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체인(513)이 직선 운동하는 구간을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과 중첩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8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띠지의 배출동작, 가압모듈(51, 52)을 이용하여 배출된 띠지와 포장물품을 결합하는 동작,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의 동작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unit 510 includes a pair of driving gears 511 and 512 arranged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conveyor module 10 as shown in FIGS. 2 and 5, and the driving gear 511 , 512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cluding a chain 513 for orbiting motion caught between, and accordingly, the pressure mill 5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hain 513 to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 can periodically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at is, the pressure mill 520 is connected to the chain 513 and rotates, and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pas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to reciprocate. As shown in FIG. 2 , a driving force may be provided by directly connecting the motor 514 to at least one of the driving gears 511 and 512 , and with this structure, the chain 513 and the pressure mill 520 connected to the chain 513 . ) can be adjusted as desired. In particular, by this structure, the pressurizing rod 520 passes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hain 513. At this time, through the incision (refer to 330a of FIG.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netrate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 Therefore, the pressure pusher 520 reciprocates along the chain 513 while moving the inside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and the support plate 310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to put the packaged goods on the belt.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erform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combined article and the belt-bonded article to the conveyor. The pressurizing rod 52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hain 51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module 10 . The distance between the driving gears 511 and 512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accordingly, a section in which the chain 513 linearly moves may be formed to overlap with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11 ,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belt,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discharged belt and the packaging article using the pressing modules 51 and 52, and the operation of the entire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do.

도 7a 내지 도 8b는 띠지배출모듈과 측면가압유닛으로 접힌띠지를 펼쳐 결합을 준비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띠지배출모듈과 가압밀대로 포장물품을 펼쳐진 띠지에 결합하고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11은 도 1의 자동 띠지 결합장치 전체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7A to 8B are operational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preparing the folded strip by unfolding the strip with the strip discharge module and the side pressure unit, and FIGS. 9 and 10 are the strip discharge module and the pressurizing unit to combine the packaged goods to the unfolded strip And it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o the conveyor, Figure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entir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of Figure 1.

앞서 설명한 구조적 특징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를 참조하면, 띠지(A)는 전술한 것처럼 접힌 상태로 띠지저장박스(21) 안에 저장되어 있다. 띠지저장박스(21)의 배출구(20a)는 띠지배출모듈(31)의 받침판(310)을 향하여 개방되며 받침판(310)은 이를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띠지(A)는 접힌 상태에서 받침판(31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받침판(310)에서 입출되는 가동흡착노즐(320)은 띠지(A)의 중앙이 아닌 일 측을 치우친 상태로 바라보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가동흡착노즐(320)이 배출구(20a)로 접근한다. 가동흡착노즐(320)은 받침판(310)을 관통하여 승강부(321) 등의 구동구조에 의해 받침판(310)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되며 띠지(A)를 흡착할 수 있다. 가동흡착노즐(320)의 끝단은 배출구(20a)로 노출된 띠지(A)의 외면을 흡착하여 고정시킨다. 띠지(A)를 흡착한 가동흡착노즐(320)은 도 8a와 같이 바로 받침판(310)을 향해 원위치로 이동하며 띠지(A)를 띠지저장박스(21)에서 빼내게 된다. 이때, 가동흡착노즐(320)은 띠지(A)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게 되며 따라서 흡착력이 작용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 사이의 불균형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되어 띠지(A)가 도시된 것처럼 펼쳐질 수 있다. 즉, 가동흡착노즐(320)은, 접혀있는 띠지(A)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여 비틀림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착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띠지(A)를 펼칠 수 있다. 배출구(20a) 역시 접혀있는 띠지(A) 전체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A detaile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structural feature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ure 7a, the strip (A) is stored in the storage box 21 in the folded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20a of the belt paper storage box 21 is opened toward the support plate 310 of the belt paper discharge module 31, and the support plate 310 is disposed to face it. As shown, the belt paper (A)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support plate 310 in the folded state, and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entering and leaving the support plate 310 is biased to one side rather than the center of the belt paper (A). can be arranged to look at.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ure 7b,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approaches the outlet (20a).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penetrates through the support plate 310 and protrudes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310 by a driving structure such as the lifting unit 321 and can adsorb the belt paper A. The end of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is fixed by adsorb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rip (A) exposed through the outlet (20a).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adsorbing the belt paper (A) moves to its original position directly toward the support plate 31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asymmetrically adsorbs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paper (A), and accordingly, the torsion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the portion on which the suction force acts and the portion on which the absorption force does not occur, so that the belt paper (A) is unfolded as shown. can That is,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asymmetrically adsorbs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d bandage (A) to generate torsion, so that the bandage (A) can be naturally unfolded in the adsorption process. The outlet (20a) may also be formed in a smaller area than the entire area of the folded bandage (A).

이때, 가동흡착노즐(320)에 흡착된 띠지(A)는 도 8a의 확대도와 같이 전술한 가압판(311)과 접촉하며 세워질 수 있다. 즉, 가동흡착노즐(320)에 흡착된 채 이동되면서 띠지(A)는 받침판(310)의 측부로 돌출된 가압판(311)에 지지되며 가압판(311)과 교차되는 부분은 가압판(311)을 따라 정렬되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들에 의해 가동흡착노즐(320)의 동작만으로 접힌 상태로 저장된 띠지(A)를 펼치면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된 띠지(A)는 도 8b와 같이 측면가압유닛(41, 42)에 의해 측부가 가압되어 보다 완전한 대칭형상으로 정렬된다. 측면가압유닛(41, 42)은 받침판(310) 외측에서 말단의 신축부(410)를 신장시켜 띠지(A)를 가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신축부(410)에서 돌출된 접촉날(411) 등의 접촉구조를 통해 받침판(310)에 위치한 띠지(A)의 측부 전체를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볼 때 상하 및/또는 좌우 대칭된 고리형상으로 띠지(A)를 변형시킬 수 있다. 측면가압유닛(41, 42)의 위치는 적절히 바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압위치를 원하는 대로 바꾸어 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strip (A) adsorbed to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may be erected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plate 311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8A . That is, while being moved while being adsorbed by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 the strip A is supported by the pressure plate 311 protruding to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310 , and the portion intersecting the pressure plate 311 is along the pressure plate 311 . will be sorted Due to these effects, only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can be discharged while unfolding the folded strip (A) stored in the folded state. The strip (A) discharged in this way is aligned in a more complete symmetrical shape by pressing the side by the side pressing units (41, 42), as shown in FIG. 8b. The side pressure units (41, 42) can press the belt (A) by extending the elastic part 410 at the end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310). As described above, through a contact structure such as a contact blade 411 protruding from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part 410, the entire side of the strip A located on the support plate 310 can be uniformly pressed, and through this, for example, As shown, the belt (A) can be transformed into a ring shape symmetrical up and down and/or left and right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positions of the side pressure units 41 and 42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through this, the pressure position can be changed as desired.

이와 같이 띠지(A)를 빼내어 받침판(310) 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연속하여 후속과정이 진행된다. 무빙삽입관(330)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판(310)을 향해 이동하여 말단을 펼쳐진 띠지(A)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띠지(A)는 무빙삽입관(330)에 대응하는 관 형상 또는 고리형상으로 확장된다. 도 9에 평면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전술한 도 6 등의 구조를 참조하면 무빙삽입관(330)의 입체적인 구조와 그를 통해 띠지(A)를 무빙삽입관(3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확장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무빙삽입관(330)은 절개부(330a)에 의해 일 측이 개방되어 있지만, 그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연결된 구조이며 따라서 띠지(A)에 삽입되어 띠지(A)를 고리형상으로 펼치고 확장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배출과정에서 띠지(A)가 일부 형태를 갖추지 못한 경우에도 무빙삽입관(330)이 삽입되면서 띠지(A)가 물품에 용이하게 결합 가능하게 변형될 수 있다. 무빙삽입관(330)은 전술한 탄성블레이드(330b)의 일부만을 띠지(A) 내측에 삽입할 수 있고 탄성블레이드(330b)는 말단이 띠지(A) 내측면에 위치하여 띠지(A) 내부의 공간과 무빙삽입관(330)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strip (A) can be removed and fixed on the support plate 310. Then, the subsequent process is continuously performed.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moves toward the support plate 310 as shown in FIG. 9 and inserts the distal end into the unfolded belt paper (A). Accordingly, the band (A) is expanded in a tubular or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Although shown in a planar form in FIG. 9 , 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FIG. 6 and the like described above,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and the bandage A through it can be expanded 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has one side open by the cutout 330a, but except for it, has a structure connect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and thus is inserted into the belt paper (A) to expand and expand the belt paper (A) in a ring shape. can do it Even when the bandage (A) does not have some shape in the above-described discharging process, as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is inserted, the bandage (A) may be deformed so as to be easily coupled to the article.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can insert only a part of the aforementioned elastic blade 330b inside the belt paper (A), and the elastic blade 330b has an end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paper (A) so that the inside of the belt paper (A) is inserted. The space and the inner space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may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무빙삽입관(330)이 삽입되면, 가압모듈(도 2의 51참조)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밀대(52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포장물품(B)을 띠지(A)에 결합한다. 가압밀대(520)는 체인(513)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주행할 수 있으며 도 10의 (a)와 같이 공급컨베이어(110)로 공급된 포장물품(B)의 말단을 밀어 도 10의 (b)와 같이 무빙삽입관(330)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포장물품(B)은 받침판(310)위의 띠지(A) 내측으로 삽입되어 띠지(A)와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가압밀대(520)는 전술한 절개부(도 6 및 도 7a의 330a참조)를 통해 체인(513)과 연결된 상태에서도 무빙삽입관(330)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압밀대(520)가 도 10의 (b)와 같이 무빙삽입관(330)의 말단까지 포장물품(B)을 밀어 받침판(310) 위의 띠지(A) 내측에 삽입할 수 있다. 띠지(A)는 전술한 것처럼 포장물품(B)의 외주면 둘레길이 등으로 맞추어 재단된 후 고리형태로 연결시킨 것일 수 있으므로 포장물품(B)이 띠지(A) 내측에 삽입되면 마찰 등에 의해서 알맞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탄성블레이드(330b)가 무빙삽입관(330)의 내부공간을 띠지(A) 내부의 공간과 연통시켜 띠지(A) 내측까지 포장물품(B)을 안내하므로 포장물품(B)은 띠지(A) 내측까지 매우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밀대(520)는 잠깐 동작을 멈출 수 있으며, 가동흡착노즐(320)은 제공하고 있던 흡입력을 제거할 수 있다.When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is inserted in this way, the pressing module (refer to 51 of FIG. 2) quickly combines the packaging product (B) with the belt paper (A) using the pressing pusher 520 as shown in FIG. 10 . do. The pressure pusher 520 can run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chain 513 and pushes the end of the packaged article (B) supplied to the supply conveyor 110 as shown in FIG. 10 (a) in FIG. 10 (b) It can be passed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as shown. Due to this, the packaging article (B) may be inserted into the belt paper (A) on the support plate (310) to be combined with the belt paper (A). In particular, since the pressure pusher 520 can move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even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hain 513 through the aforementioned cutout (see 330a in FIGS. 6 and 7A ), the pressure pusher 520 is As shown in (b) of FIG. 10 , the packaging article B is pushed to the end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and can be inserted inside the belt paper A on the support plate 310 . As described above, the strip (A) may be cut to fit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ackaged article (B) and then connected in a ring shape.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blade 330b communicates the inner space of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with the space inside the belt paper (A) to guide the packaging product (B) to the inside of the belt paper (A), the packaging product (B) is the belt paper (A) ) can reach the inner side very smoothly. In this state, the pressurizing rod 520 may temporarily stop its operation, and the movable suction nozzle 320 may remove the suction force it was providing.

즉, 가압밀대(520)는 무빙삽입관(330)을 빠져나오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감속될 수 있다. 가압밀대(520)의 동작은 체인(513)의 동작에 의해 조절되므로 전술한 모터 등의 구동구조를 이용하여 가압밀대(520)의 이동속도를 가감시킬 수 있다. 가압밀대(520)를 무빙삽입관(330) 내측에서 띠지(A)와 포장물품(B)이 결합되는 지점에 일차적으로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띠지(A)와 포장물품(B)간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도 10의 (c)와 같이 가압밀대(520)는 다시 가속되어 이동하며 띠지(A)가 결합된 포장물품(B)을 밀어낼 수 있으며 띠지(A)로 포장된 포장물품(B)은 배출컨베이어(120)를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pressure mill 520 may be decelerated at least once before exiting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 Since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pusher 520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chain 513 , the moving speed of the pressure pusher 52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driving structure such as a motor. The coupling between the belt paper (A) and the packaging product (B) is more stable in such a way that the pressurizing rod 520 is primarily stopped at the point where the belt paper (A) and the packaging product (B) are combined inside the moving insertion tube (330). can be made to be done with Thereafter, as shown in (c) of FIG. 10, the pressurizing rod 520 is accelerated again and can push the packaging article (B) to which the strip (A) is coupled, and the packaged article (B) packaged with the strip (A) is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riding on the discharge conveyor 120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힌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고리형태의 띠지(A)를 포장물품(B)의 둘레에 신속하게 결합하여 포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포장물품(B)은 공급컨베이어(110)를 통해 반복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급컨베이어(110)와 배출컨베이어(120) 사이의 공간에서 이러한 띠지(A)의 결합공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띠지(A)가 결합된 포장물품(B)은 배출컨베이어(120)를 따라 최종생산물로 배출되거나 다음공정으로 이송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처럼 띠지저장박스(21, 22), 가압모듈(51, 52), 측면가압유닛(41, 42), 및 그와 대응되는 띠지배출모듈(도 2의 31, 32참조)을 모두 복수로 형성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 양측에 쌍을 이루는 복수의 공정라인을 형성하여 띠지(A) 결합을 양 측에서 진행할 수 있다. 이때 공급컨베이어(110)에 형성된 분배모듈(60)을 이용하여 포장물품(B)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며 복수의 라인을 모두 가동하여 효율적으로 띠지(A) 포장을 진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양측 라인에서 서로 다른 규격의 띠지(A)를 결합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배모듈(60)은 내부가 빈 스윙관(610)등을 이용하여 포장물품(B)의 경로를 변경할 수 있으며 공급컨베이어(110) 위에 그에 대응하는 분배가이드(640)를 배치하여 포장물품(B)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스윙관(610) 말단 등에 경로를 개폐하여 포장물품(B)의 공급속도를 조절하는 스톱퍼(611)등을 설치하여 공정이 시간오차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물품(B)을 반복적으로 공급하고 공급되는 포장물품(B)에 띠지(A)를 자동으로 결합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ring-shaped belt paper (A) stored in the folded state can be quickly combined around the packaging article (B) and packaged. As shown in Figure 11, the packaging article (B) can be repeatedly supplied through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bonding process of this belt (A)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110 and the discharge conveyor 120 It can be iterative. The packaging article (B) to which the strip (A) is coupled may be discharged as a final product along the discharge conveyor 120 or transferred to the next process. As described above, all of the belt paper storage boxes 21 and 22, the pressure modules 51 and 52, the side pressure units 41 and 42, and their corresponding belt paper discharge modules (refer to 31 and 32 in FIG. 2) are plural. Through this, as shown, a plurality of process lines forming a pair on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formed so that the belt paper (A) bonding can be performed from both sides. At this time, by using the distribution module 60 formed in the supply conveyor 110, the packaging article (B)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left or right, and all the plurality of lines can be operated to efficiently pack the strip (A).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o combine the strips (A) of different standards on both sides of the line. The distribution module 60 can change the path of the packaged article (B) by using the swing pipe 610 with an empty interior, and arrange the corresponding distribution guide 640 on the supply conveyor 110 to arrange the packaged article (B) ) can be guided.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process to be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a time error by installing a stopper 611, etc. for controlling the supply speed of the packaged product (B) by opening and closing the path at the end of the swing pipe 610, etc., if necessary.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supply the packaged goods (B) and automatically combine the strips (A) to the supplied packaged goods (B) and discharge them.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자동 띠지 결합장치 10: 컨베이어모듈 21, 22: 띠지저장박스 20a: 배출구 31, 32: 띠지배출모듈 41, 42: 측면가압유닛 51, 52: 가압모듈 60: 분배모듈 70: 프레임 110: 공급컨베이어 120: 배출컨베이어 200: 테이블 310: 받침판 310a: 통공 311: 가압판 320: 가동흡착노즐 321: 승강부 322, 332, 420, 630: 구동부 330: 무빙삽입관 330a: 절개부 330b: 탄성블레이드 330c: 확장블레이드 331: 연결부 410: 신축부 411: 접촉날 510: 구동유닛 511, 512: 구동기어 513: 체인 514: 모터 520: 가압밀대 610: 스윙관 611: 스톱퍼 620: 지지판 640: 분배가이드 A: 띠지 B: 포장물품1: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10: Conveyor module 21, 22: paper storage box 20a: outlet 31, 32: strip discharge module 41, 42: side pressure unit 51, 52: pressurization module 60: distribution module 70: frame 110: supply conveyor 120: discharge conveyor 200: table 310: base plate 310a: through hole 311: platen 320: movable suction nozzle 321: elevator 322, 332, 420, 630: drive unit 330: moving tube 330a: cutout 330b: elastic blade 330c: Extended Blade 331: connection 410: stretch unit 411: contact blade 510: drive unit 511, 512: drive gear 513: chain 514: motor 520: pressure mill 610: swing tube 611: stopper 620: support plate 640: distribution guide A: belt B: Packaged goods

Claims (12)

포장물품 외면에 고리형태로 연결된 띠지를 둘러 결합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에 있어서,상기 포장물품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물품을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가 서로 떨어져 일직선 상으로 배열된 컨베이어모듈;내부에 복수의 상기 띠지가 접힌 상태로 중첩하여 저장되며 상기 띠지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바라보게 형성된 띠지저장박스;상기 배출구 반대편의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관통하여 상기 받침판에 대해 수직하게 입출되며 상기 배출구에 접근하여 상기 띠지를 음압으로 흡착하고 상기 받침판까지 빼내는 가동흡착노즐과, 상기 받침판과 상기 공급컨베이어 사이에서 움직이며 말단을 상기 띠지에 삽입하여 고리형태로 확장시키는 무빙삽입관을 포함하는 띠지배출모듈; 및상기 컨베이어모듈과 나란히 배치된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일직선 상으로 움직여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해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 내측으로 삽입하는 가압밀대가 포함된 가압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In th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for combining the belts connected in a 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aged goods, The supply conveyor for supplying the packaged goods and the discharge conveyor for discharging the packaged goods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part from each other; Inside; A plurality of strips are stored in a folded state and stored in a folded state, and the outlet from which the strips are discharged is formed to face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opposite the outlet A support plate disposed in a direction connecting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in a space of a belt discharge module including a suction nozzle and a moving insertion tube that moves between the support plate and the supply conveyor and expands in a ring shape by inserting an end into the belt paper; and a driving unit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conveyo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moving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in a straight line to move the packaged goods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inside the strip on the support plate Automatic bandage coupling device including a pressure module including a pressure pusher to be inserted into the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동흡착모듈은, 접혀있는 상기 띠지의 외면을 비대칭적으로 흡착하여 비틀림을 발생시켜 상기 띠지를 펼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movable adsorption module, an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for unfolding the belt by asymmetrically adsorb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d belt to generate torsion.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가동흡착노즐에 흡착된 상기 띠지에 접촉하여 상기 띠지가 움직이는 반대편으로 상기 띠지를 밀어 세우는 가압판을 더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plat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to push the belt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ovement in contact with the strip adsorbed to the movable suction nozzle. 제1항에 있어서,상기 받침판의 외측에서 상기 받침판 방향으로 왕복하며 상기 받침판 위의 상기 띠지의 측부를 눌러 상기 띠지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측면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Reciproc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support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th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ide pressure unit for pressing the side of the belt on the support plate to deform the shape of the belt. 제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컨베이어모듈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하게 배치된 한 쌍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 사이에 걸려 궤도운동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drive unit,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comprising a pair of drive gears arranged to rot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conveyor module, and a chain caught between the drive gears to move orbit. 제5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체인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을 주기적으로 통과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essure push rod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chain and periodically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제6항에 있어서,상기 무빙삽입관은, 일 측에 양단부를 관통하여 일직선 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밀대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무빙삽입관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6, The moving insertion tube, the cut-out in a straight line through both ends is formed on one side,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to move through the moving insertion tube through the cutout. 제7항에 있어서,상기 가압밀대는, 상기 무빙삽입관을 빠져나오기 전에 적어도 한 번 감속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essurizing rod is decelerated at least once before exiting the moving insertion tube. 제1항에 있어서,상기 무빙삽입관은,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가 상기 공급컨베이어를 향하는 타단부보다 너비가 좁은 비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띠지를 향하는 일단부에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띠지 내측으로 안내하는 탄성블레이드가 형성된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insertion tube, one end facing the belt is formed in an asymmetrical shape that is narrower in width than the other end facing the supply conveyor, elastically deformed at one end toward the belt, the packaging article An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having an elastic blade for guiding the belt to the inside. 제1항에 있어서,상기 띠지배출모듈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사이의 공간에 병렬로 배치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trip discharge module is formed in plurality, the automatic belt coupling device i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space between the supply conveyor and the discharge conveyor. 제10항에 있어서,상기 공급컨베이어 상에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띠지배출모듈 중 어느 하나로 상기 포장물품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배모듈을 더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Arranged on the supply conveyor,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istribution module for selectively supplying the packaged goods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the strip discharge module.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분배모듈은, 축을 중심으로 스윙하며 상기 포장물품의 진행방향을 변경하는 스윙관을 포함하는 자동 띠지 결합장치.According to claim 11, The distribution module, automatic belt binding device comprising a swing tube swinging about an axis and chang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packaged goods.
KR1020210015604A 2021-02-03 2021-02-03 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KR1024865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04A KR102486529B1 (en) 2021-02-03 2021-02-03 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604A KR102486529B1 (en) 2021-02-03 2021-02-03 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73A true KR20220112073A (en) 2022-08-10
KR102486529B1 KR102486529B1 (en) 2023-01-10

Family

ID=8284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604A KR102486529B1 (en) 2021-02-03 2021-02-03 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652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117A (en) * 2001-07-11 2003-01-21 Maki Mfg Co Ltd Arrangement controller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box packing device therewith
KR101420577B1 (en) 2013-11-01 2014-07-17 씨제이씨푸드 주식회사 Automatic bundle packing machine
KR101530542B1 (en) * 2015-01-30 2015-06-22 김학서 Multi-packaging apparatus for packaging at a time
KR101802281B1 (en) * 2017-03-15 2017-11-28 백경율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ing of liquid storage pou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117A (en) * 2001-07-11 2003-01-21 Maki Mfg Co Ltd Arrangement controller for agricultural products and box packing device therewith
KR101420577B1 (en) 2013-11-01 2014-07-17 씨제이씨푸드 주식회사 Automatic bundle packing machine
KR101530542B1 (en) * 2015-01-30 2015-06-22 김학서 Multi-packaging apparatus for packaging at a time
KR101802281B1 (en) * 2017-03-15 2017-11-28 백경율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ing of liquid storage pou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6529B1 (en)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7353B (en) Packing apparatus
US4874158A (en) Dispensing fold improvement for a clip separator
US8235201B2 (en) Flight bar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s for nestable collation of objects
US7197862B2 (en) Log bander apparatus and method
JP2019520238A (en) Corrugated blank folding station and machine for packing articles in corrugated boxes obtained from corrugated blanks
CN107848642B (en) Packaging machine
ES2480692T3 (en) Conveyor for an article handling unit, in particular for a folding unit for the production of containers of pourable food products
CN109476383A (en) Machine for closing the closing station of the carton of item formation and for article to be packaged in the carton interior obtained from cardboard blanks
US201101660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a carton from a carton blank
US10507944B2 (en) Machine and method for folding and adhesively bonding blanks for the production of folding boxes
JP5497305B2 (en) Method of folding paper for wrapping a group of cigarettes and wrapping unit
FI60166C (en)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CELLFACKVERK OCH ANLAEGGNING FOER GENOMFOERANDE AV FOERFARANDET
EP3197780B1 (en) Folding machine for folding flaps of a wrapper
DE3639982C2 (en)
EP160157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packs from at least two partial packs
KR20220112073A (en) Automatic band paper assembling apparatus
US3398660A (en) Machine for making frame blanks and for thereafter forming said blanks around an article
ITBO20060682A1 (en) EQUIPMENT FOR PACKAGING A PRODUCT.
CN104709523A (en) Connected bag folding mechanism
IT201800006936A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PACKAGING OF PRODUCTS
CN104118591B (en) Cube packing device
JP6886335B2 (en) Packing device, packing method
JP2005162329A (en) Packaging device
KR0127861B1 (en) Box manufacturing machine
KR102523333B1 (en) Paper cutting unit of multi-packing box fo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