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692A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692A
KR20220111692A KR1020227022848A KR20227022848A KR20220111692A KR 20220111692 A KR20220111692 A KR 20220111692A KR 1020227022848 A KR1020227022848 A KR 1020227022848A KR 20227022848 A KR20227022848 A KR 20227022848A KR 20220111692 A KR20220111692 A KR 20220111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helmet
bag
open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토 나카시마
다케시 무라카미
도루 후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지케이 가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지케이 가부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지케이 가부토
Publication of KR2022011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7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removable or adjustabl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8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with means to facilitate removal, e.g. after an acciden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제삼자가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벗길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헬멧(1)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장입 개구부(2)를 가짐과 아울러 사용자(U)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 셸(3)과, 모체 셸(3)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사용자(U)의 머리부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흡수체(4)와, 충격 흡수체(4)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충격 흡수체(4)와 머리부의 틈을 메우는 쿠션 패드(5)를 가지고 있고, 쿠션 패드(5)는 장입 개구부(2)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른 위치에 긴급탈출용 패드(12)를 가지고 있고, 긴급탈출용 패드(12)는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는 패드 주머니(15)와, 패드 주머니(15)의 내부에 수납되는 패드 본체(14)와, 장입 개구부(2)의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된 상태의 패드 주머니(15) 내로부터 패드 본체(14)를 취출 가능하게 하는 패드 취출부(16)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헬멧
본 발명은 오토바이 등에 승차할 때 사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헬멧, 특히 긴급시에 사용자 이외의 제삼자라도 용이하게 사용자 머리부로부터 벗길 수 있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오토바이에 승차할 때는 사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할 목적으로 헬멧의 장착을 의무화하고 있다. 또 모터 스포츠 등에서도, 크래시나 전도되거나 할 때 레이싱 드라이버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헬멧 등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헬멧에는 용도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의 것이 있는데,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머리부를 전체면에 걸쳐 덮을 수 있는 풀 페이스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일반적인 풀 페이스형의 헬멧은 머리부의 보호가 충분한 반면, 쓰고 벗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이전부터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것도 헬멧은 모체(帽體) 셸의 내측에는 발포 스티롤 등으로 형성된 충격 흡수체가 설치되고, 충격 흡수체의 내측에는 쿠션 패드가 배치되어 갖추어져 있다. 이 쿠션 패드는 사용자가 뒤집어쓰는 느낌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폰지 등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데, 풀 페이스형에서는 충격 흡수체와의 간격이 넓어지는 목 주변(턱밑)의 두께가 특히 두껍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턱끈을 푼 것만으로는 목 주변의 두꺼운 쿠션 패드가 벗기는 것을 방해하고, 사용자 스스로가 벗는 경우에도 벗기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이에 더해, 상기 서술한 풀 페이스형의 헬멧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교통사고나 레이싱 중의 액시던트 등에, 사용자 이외의 제삼자가 헬멧을 벗기는 케이스도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자신조차 벗기 어려운 풀 페이스형의 헬멧에 대하여, 제삼자가 신속하게 벗기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풀 페이스형의 헬멧을 벗기는 문제에 관하여, 이전부터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블록 형상 내장 패드(38b)를 캡 형상 머리부 보호체측에 부착하기 위한 요철 끼워맞춤 기구를 가지는 헬멧으로서, 이 요철 끼워맞춤 기구를 이용하여 블록 형상 내장 패드(38b)의 분리를 간단히 행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요철 끼워맞춤 기구는 내장 패드(38b)측의 수형 호크(56)와, 상기 머리부 보호체측의 암형 호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헬멧은, 인장 수단(83)을 가지는 패드 취출 부재(81)를 가지고 있고, 패드 취출 부재(81)에 설치되는 할입(割入)부(87)가 수형 호크(56a, 56c)와 암형 호크 사이에 끼어들어 요철 끼워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블록 형상 내장 패드(38b)의 분리를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개 2007-303007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헬멧은, 블록 형상 내장 패드(38b)를 분리하기 위해서, 복잡한 형상의 할입부(87)를 설치해야 되고, 또 수암형 호크 사이에 끼어들어가게 하기 위해서 인장 수단(83) 등으로 할입부(87)를 수암형 호크 사이에 대하여 정확하게 가이드할 필요도 있어, 패드를 분리하는 기구 자체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특허문헌 1의 헬멧은 복잡한 구조를 채용하기 때문에, 부품이나 조립 등의 제조 비용이 급등하기 쉽다는 문제를 갖추고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헬멧은, 할입부(87)가 수암형 호크 사이에 확실하게 가이드되지 않으면 패드의 분리가 곤란하게 된다. 가령 할입부(87)의 위치가 조금이라도 어긋나면, 수암형 호크의 요철 끼워맞춤을 해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헬멧의 확실한 분리라는 점에서는 충분한 성능을 갖추고 있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서술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풀 페이스형으로 되어 있지 않은 헬멧, 예를 들면 머리부의 피복 면적이 큰 오픈 페이스 헬멧이나 제트 헬멧에서도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제삼자가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사용자의 머리부로부터 벗길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헬멧은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헬멧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장입 개구부를 가짐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 셸과, 상기 모체 셸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사용자의 머리부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흡수체와, 상기 충격 흡수체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충격 흡수체와 머리부의 틈을 메우는 쿠션 패드를 가지는 헬멧으로서, 상기 쿠션 패드는 상기 장입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른 위치에 긴급탈출용 패드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는 패드 주머니와, 상기 패드 주머니의 내부에 수납되는 패드 본체와, 상기 장입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된 상태의 패드 주머니 내로부터 패드 본체를 취출 가능하게 하는 패드 취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상기 패드 주머니와 패드 본체 사이에, 상기 패드 본체를 패드 주머니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 취출부는, 상기 패드 주머니에 형성된 개구에 대하여, 당해 개구의 일방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갖추어진 제1 엘리먼트와, 상기 개구의 타방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갖추어짐과 아울러 제1 엘리먼트에 교합(咬合) 가능한 제2 엘리먼트와, 상기 제1 엘리먼트와 제2 엘리먼트를 걸고 빼기 자유롭게 교합시키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패드 취출부의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 본체는, 상기 패드 주머니의 상측에 수용되는 상부 패드와, 상기 패드 주머니에 있어서의 상부 패드보다 하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패드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하부 패드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상기 상부 패드를 패드 주머니의 내부에 고정한 채, 상기 하부 패드만이 패드 취출부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상기 패드 본체에 대하여 내외 방향으로 두께를 부가 가능한 두께 부가 패드와, 상기 두께 부가 패드를 패드 본체에 부착하는 부가 패드 부착부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헬멧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제삼자가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사용자의 머리부로부터 벗길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헬멧의 외주측을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헬멧의 내주측을 분해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헬멧의 우측에 설치되는 긴급탈출용 패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우측의 패드 주머니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우측의 패드 주머니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우측의 패드 주머니의 저면도이다.
도 7은 패드 본체(좌측)에 대한 두께 부가 패드의 착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헬멧을 사용자로부터 벗길 때의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헬멧(1)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은, 사용자(U)의 머리부를 거의 전역(목 주변과 양쪽 눈 전방을 제외한 사용자(U)의 머리부 전역)에 걸쳐 피복·보호하는 풀 페이스 타입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헬멧(1)은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장입 개구부(2)를 하측에 가지고 있고, 장입 개구부(2)(하방)로부터 사용자(U)의 머리부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헬멧(1)은 가장 외피에 배치되어 갖추어진 모체 셸(3)과, 모체 셸(3)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사용자(U)의 머리부에 대한 충격을 완화(흡수)하는 충격 흡수체(4)와, 충격 흡수체(4)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충격 흡수체(4)와 머리부의 틈을 메우는 쿠션 패드(5)를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은 원칙적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걸쳐 모체 셸(3), 충격 흡수체(4) 및 쿠션 패드(5)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에는, 우선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을 구성하는 모체 셸(3), 충격 흡수체(4) 및 쿠션 패드(5)에 대해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헬멧(1)을 착용한 사용자(U)로부터 본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을, 헬멧(1)을 설명할 때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또 사용자(U)의 머리부가 들어가는 헬멧(1)의 내측을 헬멧(1)을 설명할 때의 내주측이라고 하고, 헬멧(1)의 외측을 헬멧(1)을 설명할 때의 외주측이라고 한다. 이들 방향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도면 중에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모체 셸(3)은 상방을 향하여 팽출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목 주변과 양쪽 눈 전방을 제외한 사용자(U)의 머리부를 전역에 걸쳐 피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체 셸(3)은 ABS 등의 경질 수지 또는 경질 수지에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조합한 복합 재료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체 셸(3)은, 두정부(頭頂部)의 주위를 피복하는 두정 덮개부(3T), 후두부로부터 목덜미까지를 피복하는 후두 덮개부(3B), 머리부 좌측에 있어서 측두부로부터 볼부에 이르는 부분을 피복하는 좌측 볼 덮개부(3L) 및 머리부 우측에 있어서 측두부로부터 볼부에 이르는 부분을 피복하는 우측 볼 덮개부(3R)를 가지고 있다. 또 모체 셸(3)의 전측에는, 사용자(U)가 외측을 시인하기 위한 전방 개구창(6)이 모체 셸(3)의 좌전측으로부터 정면을 통과하여 우전측에 이르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방 개구창(6)은 모체 셸(3)의 외측에 부착된 실드(7)(바이저)로 적절하게 피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방 개구창(6)의 하측에는, 사용자(U)의 턱을 피복하는 턱 덮개부(3F)가 좌측 볼 덮개부(3L)와 우측 볼 덮개부(3R)를 걸치도록 또한 전방 개구창(6)의 하측 개구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갖추어져 있다.
모체 셸(3)의 하측에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장입 개구부(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입 개구부(2)는 사용자(U)의 머리부를 장입 가능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형으로 개구되어 있고, 또 머리부의 사이즈에 대응한 개구 치수(예를 들면 머리 둘레가 53cm~64cm의 범위에서, XS, S, M, L, XL, XXL의 6단계의 규격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장입 개구부(2)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모체 셸(3)의 단 가장자리에 사용자(U)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연질 PVC 수지 등의 에지 가드 부재(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모체 셸(3)에는 외기를 모체 셸(3)의 내측에 받아들이는 벤틸레이션부(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벤틸레이션부(9)는 전방 개구창(6)의 개구 가장자리의 하측과, 두정 덮개부(3T)의 전방의 각각에 개구되어 있다. 이들 벤틸레이션부(9)는 셔터 등에 의해 임의로 개구의 개폐가 자유롭게 되어 있고, 개구로부터 뻗는 모체 셸(3) 내측의 유로를 통하여 쿠션 패드(5)의 내측에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땀이 차는 것이나 실드(7)의 김 서림을 방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모체 셸(3)의 좌우 양측의 내주면에는 각각 턱끈(10)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 턱끈(10)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수지를 사용하여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긴급시에 과대한 힘이 가해져도 빠지지 않도록 리벳 등을 사용하여 강고하게 모체 셸(3)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충격 흡수체(4)는 상기 서술한 모체 셸(3)의 내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모체 셸(3)의 외부로부터 가해진 충격이 사용자(U)의 머리부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충격 흡수체(4)에는 충격흡수성이 우수한 발포 스티롤(EPS),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등이 사용되고 있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충격 흡수체(4)는 상기 서술한 모체 셸(3)의 내주면의 곡률에 맞추어 만곡된 판상 또는 괴상의 부재이며, 상기 서술한 모체 셸(3)의 각 부(상기 서술한 두정 덮개부(3T), 후두 덮개부(3B), 좌측 볼 덮개부(3L), 우측 볼 덮개부(3R) 및 턱 덮개부(3F))에 대응하여, 모체 셸(3)의 내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충격 흡수체(4)에는, 모체 셸(3)의 각 부 중 두정 덮개부(3T) 및 후두 덮개부(3B)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지는 상부 흡수체(4U)와, 좌측 볼 덮개부(3L), 우측 볼 덮개부(3R) 및 턱 덮개부(3F)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지는 하부 흡수체(4D)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서술한 충격 흡수체(4) 중, 하부 흡수체(4D)의 좌우 양단측에는 모체 셸(3)의 좌우 양측에 부착된 턱끈(10)을 충격 흡수체(4)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턱끈 안내 구멍(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흡수체(4D)의 좌우 양단측에는, 턱끈 안내 구멍(31)의 전방, 후방, 상방으로 다소 거리를 둔 위치에, 후술하는 패드 주머니(15)(긴급탈출용 패드(12))를 걸기 위한 걸림구(32)가 합계 3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헬멧(1)에서는, 이 걸림구(32)는 호크 버튼으로 되어 있는데, 호크 버튼 대신에 천 지퍼 등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충격 흡수체(4)의 내주측에는 사용자(U)의 머리부와 상기 서술한 충격 흡수체(4)와의 틈을 메우는 쿠션 패드(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쿠션 패드(5)는 사용자(U)의 머리부에 대한 충격 완화와 뒤집어쓸 때의 소프트한 느낌을 실현할 수 있도록, 또 땀 등을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머리부에 면하는 측(내주측)에 흡수성, 통기성이 우수한 합성섬유포를 첩합한 스폰지 소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쿠션 패드(5)는 상기 서술한 머리부와 충격 흡수체(4)의 틈이 머리부의 각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머리부의 부위에 따라 스폰지 소재의 두께나 배치가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헬멧(1)에 설치되는 쿠션 패드(5)에는, 상부 흡수체(4U)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진 두정 패드(5T)와, 하부 흡수체(4D)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진 좌측 볼 패드(5L) 및 우측 볼 패드(5R)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좌측 볼 패드(5L)와 우측 볼 패드(5R)는 좌우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갖추어져 있고, 사용자(U)의 입 전방에는 쿠션 패드(5)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사용자(U)의 원활한 호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인데, 본 발명의 헬멧(1)에 입 전방에 쿠션 패드(5)를 설치한 것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쿠션 패드(5) 중 두정 패드(5T)는, 상기 서술한 머리부와 충격 흡수체(4)의 틈이 좁고, 두발에 의한 보조적인 보호를 기대할 수 있는 부위인 점에서, 좌측 볼 패드(5L) 및 우측 볼 패드(5R)에 비해 비교적 얇은 스폰지 소재 등을 사용하여 얇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좌측 볼 패드(5L) 및 우측 볼 패드(5R)는 머리부와 충격 흡수체(4)의 틈이 넓고, 귀 등을 수용하는 스페이스의 확보나 턱끈(10)의 부착 구조를 설치할 필요도 있기 때문에, 두정 패드(5T)보다 비교적 두꺼운 스폰지 소재 등을 사용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즉, 긴급시에 제삼자가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헬멧(1)을 벗길 때는, 이와 같은 두꺼운 좌측 볼 패드(5L) 및 우측 볼 패드(5R)가 벗기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쿠션 패드(5)에서는, 상기 서술한 좌측 볼 패드(5L) 및 우측 볼 패드(5R)에, 내부에 수용된 패드 본체(14)를 끌어냄으로써 패드의 부피를 작게(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긴급시에 제삼자에 의해 헬멧(1)을 신속하게 벗길 수 있도록 하는 긴급탈출용 패드(12)를 각각 채용하고 있다. 즉, 이들 긴급탈출용 패드(12)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헬멧(1)의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헬멧(1)의 특징인 긴급탈출용 패드(12)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좌우의 긴급탈출용 패드(12)는, 모체 셸(3)의 좌우 어느 쪽에 배치되어 갖추어지는지에 따라 형상이나 배치가 좌우 반전하고 있다는 차이는 있지만, 구성이나 형상은 원칙적으로 동일하다. 그래서, 이후의 설명에서는 우측 볼 패드(5R)에 설치된 긴급탈출용 패드(12)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긴급탈출용 패드(12)를 설명한다.
도 3은 긴급탈출용 패드(12)를 우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긴급탈출용 패드(12)(우측 볼 패드(5R))는,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는 패드 주머니(15)와, 패드 주머니(15)의 내부에 수납되는 패드 본체(14)를 가지고 있다. 또 패드 주머니(15)에는 개구(1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15a)에는 모체 셸(3)의 내주측에 장착된 패드 주머니(15) 내로부터 패드 본체(14)를 취출 가능하게 하는 패드 취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패드 주머니(15)의 개구는,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패드 주머니(15)의 바닥면(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드 본체(14)와 패드 주머니(15) 사이에는, 패드 주머니(15)에 대하여 패드 본체(1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서술한 긴급탈출용 패드(12)를 구성하는 패드 주머니(15), 패드 본체(14), 패드 취출부(16) 및 연결 부재(17)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패드 주머니(15)는 패드 본체(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는 부재이며, 천제의 소재를 사용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패드 주머니(15)는 우측면시의 외형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중앙측 앞쪽 가까운 부분이 내외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패드 주머니(15)를 상기 서술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패드 주머니(15)의 중앙(의 관통 부분)을 통과시켜 턱끈(10)을 쿠션 패드(5)의 내주측으로 안내 가능하게 된다.
패드 주머니(15)는 내주측이 통기성이 우수한 합성섬유포로 되어 있어, 사용자(U)에게 땀이 차지 않아 느낌이 좋은 촉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패드 주머니(15)의 바닥측(하면)의 일부에는 합성피혁이 사용되어 있고, 합성피혁과 합성섬유포의 경계에 후술하는 패드 취출부(16)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15a)(바닥면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패드 주머니(15)는 외주측이 경질의 합성수지의 플레이트(외주 플레이트(18))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패드 주머니(15)의 외주면에는 ABS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외주 플레이트(18)가 배치되어 갖추어져 있다. 이 외주 플레이트(18)는 가늘고 긴 띠판 형상의 판 부재를, 상기 서술한 패드 주머니(15)의 외형 형상에 맞추어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외주 플레이트(18)를 구성하는 띠판 형상의 판 부재의 폭방향 중앙에는, 외주 플레이트(18)를 분단하는 절입(切入) 슬릿(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입 슬릿(19)은 외주 플레이트(18)와 마찬가지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굴곡된 궤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절입 슬릿(19)의 내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진 내측 플레이트(18I)와, 절입 슬릿(19)의 외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진 외측 플레이트(18O)로 외주 플레이트(18)를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내측 플레이트(18I) 또는 외측 플레이트(18O)의 어느 일방에는 걸림단(20)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플레이트(18I) 또는 외측 플레이트(18O)의 타방에는 걸림단(20)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피걸림부(21)가 형성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의 경우이면, 내측 플레이트(18I)에 걸림단(20)이 설치되고, 외측 플레이트(18O)에 피걸림부(21)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방의 플레이트의 걸림단(20)을 타방의 플레이트의 피걸림부(21)에 끼워넣어 걸면, 내측 플레이트(18I)와 외측 플레이트(18O)가 교합 상태로 고정되고, 절입 슬릿(19)의 개구를 폐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드 주머니(15)의 외주 플레이트(18)를 서로 걸고 빼기 자유로운 내측 플레이트(18I) 및 외측 플레이트(18O)로 구성하면, 절입 슬릿(19)을 통하여 패드 주머니(15)의 내부에 수용된 패드 본체(14)를 용이하게 넣고 뺄 수 있어, 패드 본체(14)의 부품 교환이나 청소 등을 수고롭지 않게 행할 수 있고, 헬멧(1)의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외주 플레이트(18)의 표면에는, 상기 서술한 걸림구(32)와 걸림 가능한 피걸림구(13)가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서술한 걸림구(32)는 충격 흡수체(4)의 하부 흡수체(4D)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있고, 피걸림구(13)는 외주 플레이트(18)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걸림구(32)에 대응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걸림구(32)를 피걸림구(13)에 거는 것으로, 패드 주머니(15)를 하부 흡수체(4D)(충격 흡수체(4))의 내주측에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패드 주머니(15)의 우측면 하측에는, 패드 주머니(15)의 하단이 모체 셸(3)의 하단과 동일평면이 되는 위치에, 패드 주머니(15)를 부착하기 위한 삽입 가이드판(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가이드판(22)은 얇은 합성수지의 판재로 형성되어 있고, 모체 셸(3)의 우측 볼 덮개부(3R)와 충격 흡수체(4)의 하부 흡수체(4D) 사이에 형성된 폭이 좁은 틈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삽입 가이드판(22)은 어느 정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PE나 PP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어, 모체 셸(3)의 내주면의 만곡에 맞추어 만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삽입 가이드판(22)을 상기 서술한 틈에 하방으로부터 끼워넣으면, 삽입 가이드판(22)을 틈에 끼워넣어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하단이 모체 셸(3)의 하단과 동일평면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갖추어지도록 패드 주머니(15)를 하부 흡수체(4D)(충격 흡수체(4))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이 삽입 가이드판(22)은 패드 주머니(15)의 부착 위치를 모체 셸(3)의 하단과 동일평면이 되는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드 본체(14)는 상기 서술한 패드 주머니(15)에 수용 가능한 부재이며, 머리부에 대한 충격을 완화 가능하도록 발포 우레탄 등의 탄성 부재로 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패드 본체(14)는 패드 주머니(15)의 상측에 수용되는 상부 패드(14U)와, 패드 주머니(15)의 하측에 수용되는 하부 패드(14D)를 가지고 있다. 이들 상부 패드(14U) 및 하부 패드(14D)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하로 조합한 상태로 패드 주머니(15)에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패드 본체(14)를 서로 분리 가능한 상부 패드(14U) 및 하부 패드(14D)로 구성하면, 상부 패드(14U)를 패드 주머니(15)의 내부에 고정한 채, 하부 패드(14D)만이 패드 취출부(16)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되어, 패드 주머니(15)의 내부로부터 패드 본체(14)를 취출하기 쉬워진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용자(U)의 귀나 턱끈(10)의 부착을 고려하여 패드 주머니(15)의 형상을 상기 서술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한 경우, 패드 본체(14)도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해버리면, 패드 본체(14)가 패드 주머니(15)에 물리적으로 간섭하여 취출이 어렵게 된다. 그러나, 패드 본체(14)를 상하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한 다음, 하부 패드(14D)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면, 복잡한 형상으로 패드 주머니(15)나 패드 본체(14)를 형성해도, 물리적으로 간섭하는 일 없이 패드 본체(14)의 취출을 간단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패드 본체(14)는 상하 방향 뿐만아니라 내외 방향으로도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패드 본체(14)는 패드 본체(14)에 대하여 내외 방향으로 두께를 부가 가능한 두께 부가 패드(23)와, 두께 부가 패드(23)를 패드 본체(14)에 부착하는 부가 패드 부착부(24)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두께 부가 패드(23)는 패드 본체(14)와 동일한 탄성 부재이며, 패드 본체(14)의 두께의 1/6~1/3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두께 부가 패드(23)의 표면에는 5개소에 걸쳐 부착 구멍(25)이 천공 형성되어 있어, 이 부착 구멍(25)을 이용하여 두께 부가 패드(23)는 패드 본체(14)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표면에 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서술한 부착 구멍(25)에는 부가 패드 부착부(24)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부가 패드 부착부(24)는 패드 본체(14)에 있어서의 외주측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이다. 이 부가 패드 부착부(24)는 부착 구멍(25)의 내경보다 다소 큰 외경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서술한 부가 패드 부착부(24)를 삽입통과시키면 부착 구멍(25)은 개구가 넓어지는 방향(개구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즉, 삽입통과 후에는 넓어진 부착 구멍(25)을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자연스레 발생하고, 이 복원력에 의해 부가 패드 부착부(24)가 부착 구멍(25)에 빠짐 방지 고정된다. 그 때문에 부가 패드 부착부(24)를 부착 구멍(25)에 삽입통과시키면, 패드 본체(14)의 외주측에 두께 부가 패드(23)를 빠지지 않도록 부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술한 두께 부가 패드(23)를 패드 본체(14)에 부착 가능하게 하면, 적절하게 두께 부가 패드(23)를 분리하거나 부착하거나 함으로써 패드 본체(14)의 두께를 미조정할 수 있어, 뒤집어쓰는 느낌이나 벗기 쉬움과 같은 헬멧(1)의 사용감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패드 취출부(16)는 상기 서술한 패드 주머니(15)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패드 주머니(15)의 내부로부터 패드 본체(14)를 취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패드 주머니(15)의 바닥면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뻗는 개구(15a)가 형성되어 있고, 패드 주머니(15)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이 패드 주머니(15)의 개구(15a)는 상기 서술한 패드 본체(14)보다 짧은 개구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패드 주머니(15)의 바닥면의 개구(15a)에 상기 서술한 패드 취출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패드 취출부(16)는 일반적으로 「파스너」라고 불리는 부재이며, 상기 서술한 바닥면의 개구(15a)의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된 제1 엘리먼트(26) 및 제2 엘리먼트(27)와, 양 엘리먼트(26, 27)를 걸고 빼기 자유롭게 교합되는 슬라이더(28)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바닥면의 개구(15a)에 있어서, 외주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제1 엘리먼트(26)가 설치되고, 내주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제2 엘리먼트(27)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엘리먼트(26) 및 제2 엘리먼트(27)는 각각의 톱니가 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슬라이더(28)는 개구(15a)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서술한 톱니끼리를 교합 상태로 하고, 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톱니끼리를 비교합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슬라이더(28)에는 이 슬라이더(28)를 집기 쉽도록 태그 부재(29)가 부착되어 있다. 또 바닥면의 개구(15a)의 전단에는 슬라이더(28)와 함께 태그 부재(29)를 수용하는 태그 포켓(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태그 포켓(30)은 상기 서술한 태그 부재(29)의 전단측 절반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부를 포켓에 끼워넣은 상태로 함으로써 잘못해서 슬라이더(28)가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 후단측만을 노출한 상태에서 슬라이더(28)를 태그 포켓(30)에 숨길 수 있으며, 긴급시에는 슬라이더(28)를 간단하게 끄집어낼 수 있어, 통상시와 긴급시 양쪽에서 사용감이 좋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태그 부재(29)를 슬라이더(28)에 설치하면, 긴급시에 미스없이 슬라이더(28)를 잡아끌 수 있고, 헬멧(1)을 확실하게 벗길 수 있게 된다. 또 태그 포켓(30)을 설치하여 태그 부재(29)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면, 통상 사용에서 잘못해서 태그 부재(29)를 걸려들게 하는 것과 같은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태그 부재(29)의 전단측을 태그 포켓(30)에 수용하고, 후단측만을 노출시키도록 구성하면, 노출된 태그 부재(29)의 후단측에 「긴급탈출용 패드(12)」의 존재를 알리는 표시 등을 설치할 수도 있어, 헬멧(1)의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연결 부재(17)는 패드 주머니(15)와 패드 본체(14) 사이에 설치된 끈형상의 부재이며, 패드 본체(14)를 패드 주머니(15)에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결 부재(17)의 일단은 바퀴형상으로 정리되어 있고, 상기 서술한 바퀴 중에 패드 본체(14)(하부 패드(14D))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연결 부재(17)의 일단은 하부 패드(14D)에 연결되어 있고, 또 연결 부재(17)의 타단은 상기 서술한 슬라이더(28)의 태그 부재(29)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연결 부재(17)를 설치하면, 패드 본체(14)의 끌어냄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패드 주머니(15)로부터 끌어낸 패드 본체(14)의 분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긴급탈출용 패드(12)를 갖춘 헬멧(1)에서는, 사고 등의 긴급사태가 생겼을 경우에, 제삼자라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헬멧(1)을 벗길 수 있다.
예를 들면 긴급사태가 생겨, 헬멧(1)을 착용한 사용자(U)가 의식을 잃은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신속하게 헬멧(1)을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벗겨, 구호 조치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헬멧(1)이 풀 페이스형인 경우, 종래의 헬멧이면 목 주변의 쿠션 패드가 방해가 되어, 헬멧을 벗기는 것에 매우 수고가 든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긴급탈출용 패드(12)를 갖춘 본 실시형태의 헬멧(1)에서는, 긴급탈출용 패드(12)로부터 패드 본체(14)를 취출하는 것만으로, 목 주변의 쿠션 패드(5)의 부피가 작아져, 간단하게 헬멧(1)을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패드 주머니(15)로부터 패드 본체(14)(하부 패드(14D))를 취출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U)의 목에 대한 부담도 적어진다. 또한 패드 본체(14)(하부 패드(14D))를 취출한 후의 패드 주머니(15)가 헬멧(1) 안에 남기 때문에, 헬멧(1)을 벗길 때 사용자(U)의 머리부를 보호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사용자(U)의 신체에 대한 배려가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헬멧(1)의 장입 개구부(2)에는 패드 주머니(15)가 모체 셸(3)의 하단 가장자리와 동일평면이 되도록 배치되어 갖추어져 있고, 이 패드 주머니(15)의 바닥면(하면)에는 개구(15a)가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닥면의 개구(15a)의 전단에 슬라이더(28)가 배치되어 갖추어져 있고, 패드 취출부(16)의 제1 엘리먼트(26) 및 제2 엘리먼트(27)는 교합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바닥면의 개구(15a)는 닫혀 있다.
헬멧(1)을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벗기는 경우에는, 우선 바닥면의 개구(15a)의 전단에 위치하는 슬라이더(28)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슬라이더(28)에는 태그 부재(29)가 설치되어 있고, 태그 부재(29)의 전단측은 태그 포켓(30)에 숨겨진 상태로 되어 있는데, 태그 부재(29)의 후단측은 태그 포켓(30)의 외측으로 나온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태그 부재(29)를 집고 간단하게 슬라이더(28)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슬라이더(28)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 엘리먼트(26)와 제2 엘리먼트(27)의 교합을 풀면서 슬라이더(28)가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슬라이더(28)의 후방 이동에 맞추어 바닥면의 개구(15a)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구 상태가 된다.
이윽고, 바닥면의 개구(15a)의 후단까지 슬라이더(28)가 이동하면, 바닥면의 개구(15a)가 완전히 개구된 것이 된다. 이 때, 끈형상의 연결 부재(17)는 슬라이더(28)에 의해 잡아당겨져, 바닥면의 개구의 근방(개구의 다소 상방)으로 끌려나간다. 즉, 상기 서술한 슬라이더(28)는 바닥면의 개구(15a)를 개방하는 기능 뿐만아니라, 끈형상의 연결 부재(17)를 개구의 가까이로 끌어내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개구(15a)로부터 조금 손끝을 넣는 것만으로 연결 부재(17)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패드 본체(14)를 간단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닥면의 개구(15a)는 패드 본체(14)보다 다소 짧은 개구 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는 이 개구(15a)로부터 긴 패드 본체(14)를 끌어낼 수는 없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패드 본체(14)는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짧은 개구에 맞추어 접어구부리거나 휘게 하거나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연결 부재(17)를 잡고 하방으로 끌어내리면, 패드 주머니(15)를 충격 흡수체(4)에 부착한 채 패드 본체(14)만을 개구보다 하방으로 끌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드 본체(14)가 취출된 긴급탈출용 패드(12)에서는, 내부로부터 패드 본체(14)가 뽑혀 있기 때문에, 부피를 상실한 패드 주머니(15)를 자유롭게 눌러 축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목 주변의 쿠션 패드(5)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어지고, 헬멧(1)을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용이하게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서술한 헬멧(1)에서는, 패드 취출부(16)의 태그 부재(29)를 잡고 슬라이드시키고, 계속해서 끈형상의 연결 부재(17)를 잡고 패드 본체(14)를 끌어내는 것만으로, 통상적이라면 벗기기가 곤란한 풀 페이스형의 헬멧(1)(또는 머리부의 피복 면적이 큰 오픈 페이스식이나 제트식의 헬멧)이라도, 신속하고 또한 간단하게 사용자(U)의 머리부로부터 벗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사고 등의 긴급사태에 있어서도, 사고 현장에 있는 사람이나 경찰, 소방 관계자 등의 제삼자에 의한 헬멧(1)의 벗김을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며 사용감이 좋은 헬멧(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특히, 금회 개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은 사항, 예를 들면 운전 조건이나 조업 조건, 각종 파라미터, 구성물의 치수, 중량, 체적 등은,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인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상정하는 것이 가능한 값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풀 페이스형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헬멧(1)을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헬멧(1)은 머리부의 피복 면적이 큰 오픈 페이스식이나 제트식이어도 된다.
1…헬멧
2…장입 개구부
3…모체 셸
3T…두정 덮개부
3B…후두 덮개부
3L…좌측 볼 덮개부
3R…우측 볼 덮개부
3F…턱 덮개부
4…충격 흡수체
4U…상부 흡수체
4D…하부 흡수체
5…쿠션 패드
5T…두정 패드
5L…좌측 볼 패드
5R…우측 볼 패드
6…전방 개구창
7…실드(바이저)
8…에지 가드 부재
9…벤틸레이션부
10…턱끈
12…긴급탈출용 패드
13…피걸림구
14…패드 본체
14U…상부 패드
14D…하부 패드
15…패드 주머니
15a…패드 주머니의 개구(바닥면의 개구)
16…패드 취출부
17…연결 부재
18…외주 플레이트
18I…내측 플레이트
18O…외측 플레이트
19…절입 슬릿
20…걸림단
21…피걸림부
22…삽입 가이드판
23…두께 부가 패드
24…부가 패드 부착부
25…부착 구멍
26…제1 엘리먼트
27…제2 엘리먼트
28…슬라이더
29…태그 부재
30…태그 포켓
31…턱끈 안내 구멍
32…걸림구
U…사용자

Claims (5)

  1.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장입 개구부를 가짐과 아울러 사용자의 머리부를 보호하는 모체 셸과, 상기 모체 셸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사용자의 머리부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는 충격 흡수체와, 상기 충격 흡수체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갖추어져 충격 흡수체와 머리부의 틈을 메우는 쿠션 패드를 가지는 헬멧으로서,
    상기 쿠션 패드는, 상기 장입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른 위치에 긴급탈출용 패드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내부가 공동으로 되어 있는 패드 주머니와, 상기 패드 주머니의 내부에 수납되는 패드 본체와, 상기 장입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된 상태의 패드 주머니 내로부터 패드 본체를 취출 가능하게 하는 패드 취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상기 패드 주머니와 패드 본체 사이에, 상기 패드 본체를 패드 주머니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취출부는, 상기 패드 주머니에 형성된 개구에 대하여, 당해 개구의 일방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갖추어진 제1 엘리먼트와, 상기 개구의 타방측의 개구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갖추어짐과 아울러 제1 엘리먼트에 교합 가능한 제2 엘리먼트와, 상기 제1 엘리먼트와 제2 엘리먼트를 걸고 빼기 자유롭게 교합시키는 슬라이더를 가지고 있고,
    상기 연결 부재가 상기 패드 취출부의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는,
    상기 패드 주머니의 상측에 수용되는 상부 패드와,
    상기 패드 주머니에 있어서의 상부 패드보다 하측에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상부 패드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하부 패드를 가지고 있고,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상기 상부 패드를 패드 주머니의 내부에 고정한 채, 상기 하부 패드만이 패드 취출부로부터 취출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탈출용 패드는, 상기 패드 본체에 대하여 내외 방향으로 두께를 부가 가능한 두께 부가 패드와, 상기 두께 부가 패드를 패드 본체에 부착하는 부가 패드 부착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1020227022848A 2019-12-16 2019-12-16 헬멧 KR20220111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9/049222 WO2021124412A1 (ja) 2019-12-16 2019-12-16 ヘルメ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692A true KR20220111692A (ko) 2022-08-09

Family

ID=7647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848A KR20220111692A (ko) 2019-12-16 2019-12-16 헬멧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041919A1 (ko)
EP (1) EP4079179A4 (ko)
JP (1) JP7438563B2 (ko)
KR (1) KR20220111692A (ko)
CN (1) CN114786516A (ko)
AU (1) AU2019478689A1 (ko)
WO (1) WO202112441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007A (ja) 2006-05-09 2007-11-22 Shoei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539Y1 (ko) * 2006-03-27 2006-06-12 최혁중 안전모용 완충부재 커버
KR20100101670A (ko) * 2007-12-24 2010-09-17 뉴트리컴 엘티디. 비상 시 제거가 신속하고 용이한 안전헬멧
JP4939586B2 (ja) * 2009-10-19 2012-05-30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オープンフェースヘルメット
JP5214672B2 (ja) 2010-07-23 2013-06-19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の頬パッド
JP2013019067A (ja) * 2011-07-08 2013-01-31 Arai Helmet Ltd ヘルメット
GB201402553D0 (en) * 2014-02-13 2014-04-02 Leatt Corp Helmet
JP3221426U (ja) * 2019-02-06 2019-05-30 株式会社UTSun 紛失防止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007A (ja) 2006-05-09 2007-11-22 Shoei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8563B2 (ja) 2024-02-27
JPWO2021124412A1 (ko) 2021-06-24
US20230041919A1 (en) 2023-02-09
EP4079179A4 (en) 2023-11-08
CN114786516A (zh) 2022-07-22
WO2021124412A1 (ja) 2021-06-24
EP4079179A1 (en) 2022-10-26
AU2019478689A1 (en)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4368B1 (en) Helmet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EP1933656B1 (en) Helmet
US6256797B1 (en) Helmet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JP6050748B2 (ja) 保護ヘルメットのための内装構造体
EP0474939B1 (en) Helmet
US5412810A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CN111820522A (zh) 多部件头盔构造
JP2013019067A (ja) ヘルメット
US20230157401A1 (en) Dual helmet
TW201114380A (en) Open face helmet
US11882893B2 (en) Impact attenuating helmet with inner and outer liner and securing attachment
US11470903B2 (en) Neck cover and helmet
EP3479714B1 (en) Protective helmet
JP7438563B2 (ja) ヘルメット
US20240008580A1 (en) Protective helmet
CN113993410B (zh) 防护头盔
WO2022085234A1 (ja) ヘルメット及びチークパッド
KR102441497B1 (ko) 헬멧
EP4369976A1 (en) Protective helmet
JP2022170123A (ja) 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