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492A -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492A
KR20220111492A KR1020210014805A KR20210014805A KR20220111492A KR 20220111492 A KR20220111492 A KR 20220111492A KR 1020210014805 A KR1020210014805 A KR 1020210014805A KR 20210014805 A KR20210014805 A KR 20210014805A KR 20220111492 A KR20220111492 A KR 20220111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ain body
plate
axis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942B1 (ko
Inventor
김광일
장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맥
Priority to KR102021001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9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쉽게 전개 또는 접철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은, 제1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 중심기어는 제1샤프트기어에 의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중심기어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따라 제2샤프트기어 의해 제2플레이트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여,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쉽게 전개 또는 접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 FOLDING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쉽게 전개 또는 접철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flexible display panel)은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이러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의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하지 않고 주로 저온 제조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이러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정전식 또는 감압식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제작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휴대용 폴더블디스플레이 장치 즉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터치 입력 가능한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단말기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한 쌍의 몸체가 서로 힌지 연결되는 부분에 플렉서블디스플레이 패널의 절첩 부분이 곡률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위와 같은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힌지모듈이 현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힌지모듈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접혀지는 힌지부분에서 두께가 두껍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 10-2018-0071900 공개특허 10-2017-002268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힌지모듈이 접혀졌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원호형상의 제1회전기어부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원호형상의 제2회전기어부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중심기어와; X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기어의 외주면 일측에 맞물려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려 연결되는 제1샤프트기어와; X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기어의 외주면 타측에 맞물려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전기어부에 맞물려 연결되는 제2샤프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중심기어를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샤프트기어는 X축을 회전하면서 상기 중심기어를 Z축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중심기어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샤프트기어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전기어부를 통해 맞물려 있는 상기 제2회전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플레이트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기어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1헬리컬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2헬리컬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중심기어는 평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1웜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2웜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기어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와 반대방향인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기어와 제2샤프트기어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샤프트기어와 제2샤프트기어는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서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서 각각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기어부에 맞물린다.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2회전기어부에 맞물린다.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기어, 제1샤프트기어 및 제2샤프트기어를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구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쉽게 전개하거나 접을 수 있으며, 힌지모듈이 접혔을 때 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이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서 메인바디와 커버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모듈의 측면 작동과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중심기어와 샤프트기어의 평면도.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와,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와, 중심기어(40)와, 제1샤프트기어(50)와, 제2샤프트기어(60)와, 커버부재(70)와, 스토퍼(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X축, Y축, Z축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면에는 상술한 구성들이 장착되기 위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 일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바디(10)에 삽입되는 반원형상의 제1홀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홀더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홀더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하부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제1회전기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원호형상의 상기 제1회전기어부(21)와 제1홀더부는 회전중심축이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회전시 상기 제1홀더부와 제1회전기어부(21)는 상기 메인바디(10) 내에서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 타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3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바디(10)에 삽입되는 반원형상의 제2홀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제2홀더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30)의 하부에 2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30)의 하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제2회전기어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원호형상의 상기 제2회전기어부(31)와 제2홀더부는 회전중심축이 서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플레이트(30)의 회전시 상기 제2홀더부와 제2회전기어부(31)는 상기 메인바디(10) 내에서 동일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서로 다른 회전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하게 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플레이트(20)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제2플레이트(30)의 회전중심축은 Y축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상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회전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전개되거나 접혀지게 된다.
상기 중심기어(40)는 상기 메인바디(10)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샤프트기어(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에서 X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바디(10)에서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1샤프트기어(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중심기어(40)의 외주면 일측에 맞물려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회전기어부(21)에 맞물려 연결된다.
상기 제2샤프트기어(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에서 X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바디(10)에서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2샤프트기어(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중심기어(40)의 외주면 타측에 맞물려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전기어부(31)에 맞물려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기어(40)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50)의 일단에는 제1헬리컬톱니(51)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40)와 맞물리고, 타단에는 제1평기어(52)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샤프트기어(5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제1평기어(52)는 상기 제1플레이트(20)에 형성된 제1회전기어부(21)에 맞물려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기어(60)의 일단에는 제2헬리컬톱니(61)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40)와 맞물리고, 타단에는 제2평기어(6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샤프트기어(6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제2평기어(62)는 상기 제2플레이트(30)에 형성된 제2회전기어부(31)에 맞물려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면에 배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기어(40), 제1샤프트기어(50) 및 제2샤프트기어(6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면에 장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힌지 모듈의 저면도로서 상기 커버부재(70)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상기 중심기어(40), 제1샤프트기어(50) 및 제2샤프트기어(60)는 상기 제1플레이트(20) 및 제2플레이트(30)와 반대방향인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면에 삽입 배치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 및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50) 및 제2샤프트기어(6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1샤프트기어(50) 및 제2샤프트기어(60)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제1평기어(52) 및 제2평기어(62)가 각각 상기 제1회전기어부(21) 및 제2회전기어부(31)와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0)에는 제1관통공(11)과 제2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평기어(52)와 제2평기어(62)는 각각 상기 제1관통공(11)과 제2관통공(12)을 통해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로 노출되게 된다.
상기 제1관통공(11)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50)의 타단에 형성된 제1평기어(52)는 상기 제1관통공(11)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1회전기어부(21)에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공(12)은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기어(60)의 타단에 형성된 제2평기어(62)는 상기 제2관통공(12)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기어부(31)에 맞물리게 된다.
한편, 상기 중심기어(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샤프트기어(50)의 일단에는 제1웜톱니(53)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40)와 맞물리며, 상기 제2샤프트기어(60)의 일단에는 제2웜톱니(63)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40)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7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기어(40), 제1샤프트기어(50) 및 제2샤프트기어(60)를 덮는다.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80)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을 참고하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상면에 결합되는 플렉서블디스플레이는 전개된 상태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렉서블디스플레이를 접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플레이트(20)를 상기 제2플레이트(3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홀더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홀더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회전기어부(2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기어부(2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관통공(11)을 통해 맞물려 있는 상기 제1평기어(5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평기어(5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샤프트기어(50) 전체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샤프트기어(5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헬리컬톱니(51)에 맞물려 있는 상기 중심기어(40)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중심기어(4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샤프트기어(50)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상기 제2샤프트기어(60)는 상기 중심기어(40)와 맞물려 있는 상기 제2헬리컬톱니(61)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전체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샤프트기어(6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평기어(62)도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평기어(62)는 상기 제2관통공(12)을 통해 상기 제2회전기어부(31)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회전기어부(31)는 상기 메인바디(10)에 대하여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회전기어부(3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2회전기어부(31)가 장착되어 있는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제1플레이트(20)가 배치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중심기어(40)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플레이트(20)만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제2플레이트(30)는 자동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20)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치되게 되며, 이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 사이에서 접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전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위와 같은 과정을 반대로 한다.
그러면,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는 상기 메인바디(10)에서 상기 중심기어(40)를 기준으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플레이트(20)와 제2플레이트(30)의 상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전개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구조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휴대단말기에 장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쉽게 전개하거나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메인바디, 11 : 제1관통공, 12 : 제2관통공,
20 : 제1플레이트, 21 : 제1회전기어부,
30 : 제2플레이트, 31 : 제2회전기어부,
40 : 중심기어,
50 : 제1샤프트기어, 51 : 제1헬리컬톱니, 52 : 제1평기어, 53 : 제1웜톱니,
60 : 제2샤프트기어, 61 : 제2헬리컬톱니, 62 : 제2평기어, 63 : 제2웜톱니,
70 : 커버부재,
80 : 스토퍼.

Claims (7)

  1.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원호형상의 제1회전기어부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타측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면에 원호형상의 제2회전기어부가 형성된 제2플레이트와;
    상기 메인바디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중심기어와;
    X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기어의 외주면 일측에 맞물려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려 연결되는 제1샤프트기어와;
    X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중심기어의 외주면 타측에 맞물려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회전기어부에 맞물려 연결되는 제2샤프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바디에서 상기 중심기어를 기준으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회전플레이트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려 있는 상기 제1샤프트기어는 X축을 회전하면서 상기 중심기어를 Z축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중심기어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샤프트기어는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2회전기어부를 통해 맞물려 있는 상기 제2회전기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2플레이트를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어는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1헬리컬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2헬리컬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중심기어는 평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1웜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일단에는 제2웜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는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기어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와 반대방향인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제1샤프트기어와 제2샤프트기어는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제1샤프트기어와 제2샤프트기어는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서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서 각각 상기 중심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리며,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메인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바디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제2회전기어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에는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제1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제1관통공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1회전기어부에 맞물리고,
    상기 제2샤프트기어의 타단은 상기 제2관통공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제2회전기어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기어, 제1샤프트기어 및 제2샤프트기어를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KR1020210014805A 2021-02-02 2021-02-02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KR10247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805A KR102479942B1 (ko) 2021-02-02 2021-02-02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805A KR102479942B1 (ko) 2021-02-02 2021-02-02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492A true KR20220111492A (ko) 2022-08-09
KR102479942B1 KR102479942B1 (ko) 2022-12-22

Family

ID=82844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805A KR102479942B1 (ko) 2021-02-02 2021-02-02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9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788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JP2012082958A (ja) * 2010-10-11 201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フォルダ型携帯端末のスナップヒンジ装置
KR20170022685A (ko) 2015-08-21 2017-03-02 (주) 프렉코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KR20180071900A (ko) 2016-12-19 2018-06-28 박현민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102152040B1 (ko) * 2020-04-07 2020-09-04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US20210011527A1 (en) * 2020-09-26 2021-01-14 Intel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0788A (ko) * 2001-06-27 2003-01-06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JP2012082958A (ja) * 2010-10-11 2012-04-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フォルダ型携帯端末のスナップヒンジ装置
KR20170022685A (ko) 2015-08-21 2017-03-02 (주) 프렉코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KR20180071900A (ko) 2016-12-19 2018-06-28 박현민 인폴딩과 아웃폴딩을 동시에 구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KR102152040B1 (ko) * 2020-04-07 2020-09-04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US20210011527A1 (en) * 2020-09-26 2021-01-14 Intel Corporatio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942B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305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KR102152040B1 (ko)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US11252833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 module thereof
US11281261B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2158620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TWI502310B (zh) 電子裝置之擴充座及其連接器機構
KR102257326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및 이것이 적용된 노트북
US20220377919A1 (en) Rotat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7485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개폐 힌지모듈
US11531380B2 (en) Electronic device
TW201927114A (zh) 折疊式電子裝置
TWM480237U (zh) 電子設備薄型化雙軸聯動樞軸器
KR102298726B1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CN113775638A (zh) 折叠构件及显示装置
CN213145080U (zh) 一种折叠机构及电子设备
KR20220111492A (ko) 휴대단말기용 폴딩 힌지 모듈
TWI748616B (zh) 顯示裝置
CN216623626U (zh) 柔性显示面板及电子装置
TWI585329B (zh) Mobile equipment tripod deflection control unit
CN113990202A (zh) 柔性显示面板及电子装置
JP2017083966A (ja) 電子機器
TWI531302B (zh) 鉸鏈結構
CN111726442B (zh) 可手动均匀翻转的柔性屏折叠机构及电子设备
KR20230055844A (ko) 휴대단말기용 폴더블 힌지모듈
JP5348691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及び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