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098A -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 Google Patents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098A
KR20220111098A KR1020210014310A KR20210014310A KR20220111098A KR 20220111098 A KR20220111098 A KR 20220111098A KR 1020210014310 A KR1020210014310 A KR 1020210014310A KR 20210014310 A KR20210014310 A KR 20210014310A KR 20220111098 A KR20220111098 A KR 2022011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p
stop plate
fixing
ba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9131B1 (ko
Inventor
권성욱
Original Assignee
권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성욱 filed Critical 권성욱
Priority to KR102021001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3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6Water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42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or part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갱폼의 고유부착물인 방수키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수판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판본체(11)와,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수키(2a)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편(12,13)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수키(2a)가 상기 상하측 고정편(12,13)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지수판을 상기 방수키(2a)에 끼워 고정할 수 있음으로, 지수판을 방수키(2a)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수판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지수판을 콘크리트에 수작업으로 매립함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누수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water proofing plate mounted on gang form system}
본 발명은 외벽갱폼의 고유부착물인 방수키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고층건물의 외벽과 슬라브를 시공할 때는, 외측의 외벽갱폼과 내측의 알루미늄거푸집을 이용하여, 하부층의 외벽과 슬라브를 먼저 시공하고, 시공된 외벽과 슬라브의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상부층의 외벽과 슬라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때, 하측에 시공된 슬라브와, 상측에 시공된 상부층의 외벽의 사이에는 접촉면, 즉, 조인트가 형성됨으로, 이러한 조인트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파트나 고층건물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층의 슬라브와 상부층의 외벽 사이에 지수판(1)을 설치하여 외부의 습기 및 우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상기 지수판(1)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상의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내외측면에는 여러개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벽갱폼과 내부 알루미늄거푸집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경화되기 전에 콘크리트의 상면에 상기 지수판(1)을 삽입하고, 그 상측에 상부층의 외벽을 시공함으로써, 지수판(1)의 상하단이 하부층의 슬라브와 상부층의 외벽에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수판(1)이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수판(1)의 상하단이 하부층의 슬라브와 상부층의 외벽에 적절한 높이만큼 매립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지수판(1)을 콘크리트에 삽입할 때는, 작업자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다리가 빠진채로 슬라브와 외벽의 경계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수판(1)을 콘크리트에 밀어 넣어야 함으로, 지수판(1)이 정밀한 높이로 설치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가 넘어지는 등의 안전문제와, 타설면 마감의 품질 저하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외벽갱폼(2)의 내측면 상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사각바 형태의 방수키(2a)가 구비된다.
상기 방수키(2a)는 타설될 콘크리트의 상면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의 상면이 상기 방수키(2a)의 측면 상단 높이만큼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된 건축물의 하부층의 슬라브와 상부층의 외벽의 사이에 단차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발생된 단차에 의해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1차로 방지된다.
등록특허 10-0975649호, 공개특허 10-2017-004142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벽갱폼의 고유부착물인 방수키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의 외벽갱폼(2)과 내측의 알루미늄거푸집(3)의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삽입고정되는 지수판에 있어서, 상기 외벽갱폼(2)의 내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의 방수키(2a)가 구비되며, 상기 지수판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판본체(11)와,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수키(2a)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편(12,13)을 포함하여, 상기 방수키(2a)가 상기 상하측 고정편(12,13)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지수판을 상기 방수키(2a)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돌기(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측 고정편(12)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하측 고정편(13)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이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수판은 연결부재(2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지수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관통공(21)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에 지수판의 단부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수키(2a)에 결합된 지수판이 방수키(2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A)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벽갱폼(2)의 외측에 위치되며 하단에는 고정나사(31)가 구비된 지지부(30)와, 상기 지지부(3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40)와, 상기 연장부(40)의 내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50)와, 상기 밀착부(50)에 구비되어 밀착부(50)가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정확히 밀착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50)의 외측면에는 상기 표시돌기(17)가 삽입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밀착부(50)의 내부에는 공간부(52)가 형성되고 밀착부(50)의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52)와 연통되는 관통공(5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1)에는 상기 공간부(52)와 연통되는 연통공(54)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수단(6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관통공(53)을 통해 밀착부(5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측면 하단에는 결합홈(61a)이 형성된 승강바(61)와, 상기 승강바(61)에 연결되어 승강바(61)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62)와, 중앙부에 결합된 힌지축(63a)에 의해 상기 공간부(52)의 내부에 상단이 전후방향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연통공(54)을 통해 삽입홈(51)의 내부로 돌출되는 가압돌부(63b)가 형성되고 상단 후측면에는 상기 결합홈(61a)에 결합되는 결합돌부(63c)가 형성된 고정바(63)와, 상기 고정바(63)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61a)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64)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바(61)가 하강되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61a)이 결합되어 승강바(6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표시돌기(17)가 상기 삽입홈(51)에 삽입되도록 고정부재(A)가 설치되면, 상기 표시돌기(17)에 의해 고정바(63)의 가압돌기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결합홈(61a)과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승강바(61)가 상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판본체(11)와,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수키(2a)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편(12,13)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수키(2a)가 상기 상하측 고정편(12,13)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지수판을 상기 방수키(2a)에 끼워 고정할 수 있음으로, 지수판을 방수키(2a)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수판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지수판을 콘크리트에 수작업으로 매립함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누수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수판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외벽갱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을 외벽갱폼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을 도시한 것으로, 외측의 외벽갱폼(2)과 내측의 알루미늄거푸집(3)의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삽입고정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외벽갱폼(2)의 내측면 상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사각바형태의 방수키(2a)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판본체(11)와,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수키(2a)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편(12,13)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본체(11)는 내외측의 두께가 얇고, 상하방향의 높이가 높은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과 하단에는 내외측의 폭이 넓은 상하측 고정부(14,15)가 형성되고, 외측면 상측에는 습기방지돌기(16)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측 고정부(14,15)는 판본체(11)의 상하단이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습기방지돌기(16)는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에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건축물 외부의 습기가 건축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상하측 고정편(12,13)은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 중앙부에서 상하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그 사이로 상기 방수키(2a)를 삽입하면, 상하측 고정편(12,13)이 방수키(2a)의 상하면에 밀착되어 지수판이 방수키(2a)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상측 고정편(12)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하측 고정편(13)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돌기(17)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돌기(17)의 상부면과 상기 상측 고정편(12)의 하부면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지수판을 외벽갱폼(2)에 결합하고, 외벽갱폼(2)과 알루미늄거푸집(3)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를 상기 표시돌기(17)의 높이까지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적절한 높이까지 타설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수판은 연결부재(2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지수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관통공(21)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외측 둘레부의 형상 역시, 상기 지수판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21)에 지수판의 단부를 삽입고정함으로써, 여러개의 지수판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즉, 지수판은 상기 연결부재(20)를 이용하여 옆으로 계속 연장하여 나갈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측 고정편(12,13)의 사이로 상기 방수키(2a)가 삽입되도록, 지수판을 외벽갱폼(2)에 설치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벽갱폼(2)과 알루미늄거푸집(3)의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지수판의 하단이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표시돌기(17)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타설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수판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판본체(11)와,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수키(2a)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편(12,13)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수키(2a)가 상기 상하측 고정편(12,13)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지수판을 상기 방수키(2a)에 끼워 고정할 수 있음으로, 지수판을 방수키(2a)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수판이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지수판을 콘크리트에 수작업으로 매립함에 따라 발생되는 시간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도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균일한 누수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돌기(17)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 작업자가 콘크리트를 타설할 높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작업자가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는 상기 외벽갱폼(2)에 구비된 방수키(2a)의 높이에 맞추어 타설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지수판이 상기 방수키(2a)에 결합됨으로, 방수키(2a)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표시돌기(17)가 형성됨으로, 작업자가 표시돌기(17)의 높이만큼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를 정확한 높이로 타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고정편(12)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하측 고정편(13)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된다.
따라서, 지수판이 방수키(2a)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수판이 설치된 층의 상부에 상부층을 시공하기 위하여, 상부에 외벽갱폼(2)과 알루미늄거푸집(3)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지수판의 상부로 타설된 콘크리트가 상기 상측 고정편(12)과 외벽갱폼(2) 사이의 틈을 통해 상하측 고정편(12,13) 사이의 공간으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방수키(2a)에 결합된 지수판은 고정부재(A)에 의해 상기 방수키(2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벽갱폼(2)의 외측에 위치되며 하단에는 고정나사(31)가 구비된 지지부(30)와, 상기 지지부(3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40)와, 상기 연장부(40)의 내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50)와, 상기 밀착부(50)에 구비되어 밀착부(50)가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정확히 밀착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30)와 연장부(40) 및 밀착부(50)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사각관체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나사(31)는 지지부(30)의 하단을 내외측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며 외측단에는 핸들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회전시켜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A)를 설치한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조이면, 고정나사(31)의 내측단이 상기 외벽갱폼(2)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부재(A)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밀착부(50)의 외측면에는 상기 표시돌기(17)가 삽입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밀착부(50)의 내부에는 공간부(52)가 형성되고 밀착부(50)의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52)와 연통되는 관통공(5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1)에는 상기 공간부(52)와 연통되는 연통공(5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밀착부(50)의 외측면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7)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1)은 상기 돌출부(57)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표시수단(6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관통공(53)을 통해 밀착부(5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측면 하단에는 결합홈(61a)이 형성된 승강바(61)와, 상기 승강바(61)에 연결되어 승강바(61)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62)와, 중앙부에 결합된 힌지축(63a)에 의해 상기 공간부(52)의 내부에 상단이 전후방향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연통공(54)을 통해 삽입홈(51)의 내부로 돌출되는 가압돌부(63b)가 형성되고 상단 후측면에는 상기 결합홈(61a)에 결합되는 결합돌부(63c)가 형성된 고정바(63)와, 상기 고정바(63)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61a)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64)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바(6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이 상기 공간부(52)의 내부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55)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53)을 통해 밀착부(50)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표시봉(61b)이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탄성부재(62)는 승강바(61)의 중간부에 연결되어 승강바(61)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64)는 상기 힌지축(63a)의 외측에 결합되어 고정바(63)의 상단을 내측으로 회동되도록 가압하는 토션스프링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재(A)를 이용하여 외벽갱폼(2)의 방수키(2a)에 결합된 지수판을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가 상기 표시봉(61b)을 하측으로 눌러 상기 승강바(61)를 하강시키면, 상기 고정바(63)에 형성된 결합돌부(63c)가 상기 결합홈(61a)에 결합되어, 승강바(6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지수판을 외벽갱폼(2)에 구비된 방수키(2a)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부(30)가 외벽갱폼(2)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밀착부(50)가 상기 지수판의 내에 위치되도록 고정부재(A)를 배치한 후, 상기 고정나사(31)를 조이면, 상기 밀착부(50)가 상기 지수판의 외측면에 밀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수판의 표시돌기(17)가 밀착부(50)의 삽입홈(51)에 삽입되면, 표시돌기(17)가 고정바(63)의 가압돌부(63b)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결합돌부(63c)와 결합홈(61a)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제1 탄성부재(62)의 탄성에 의해 승강바(61)가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봉(61b)이 밀착부(5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표시봉(61b)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고정부재(A)가 정확히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수판은, 상기 고정부재(A)에 의해 방수키(2a)에 고정됨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지수판이 콘크리트의 흐름에 쓸려서 방수키(2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A)에는 표시수단(60)이 구비되어, 상기 표시돌기(17)가 밀착부(50)의 삽입홈(51)에 삽입되면, 상기 승강바(61)의 표시봉(61b)이 밀착부(50)의 상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고정부재(A)가 정확히 결합되었는지를 작업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판본체 12, 13. 상하측 고정편
17. 표시돌기 20. 연결부재

Claims (5)

  1. 외측의 외벽갱폼(2)과 내측의 알루미늄거푸집(3)의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면에 삽입고정되는 지수판에 있어서,
    상기 외벽갱폼(2)의 내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의 방수키(2a)가 구비되며,
    상기 지수판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판본체(11)와,
    상기 판본체(11)의 외측면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방수키(2a)의 상하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상하측 고정편(12,13)을 포함하여,
    상기 방수키(2a)가 상기 상하측 고정편(12,13)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지수판을 상기 방수키(2a)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돌기(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고정편(12)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하측 고정편(13)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수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은 연결부재(2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지수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관통공(21)이 양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1)에 지수판의 단부를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키(2a)에 결합된 지수판이 방수키(2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재(A)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벽갱폼(2)의 외측에 위치되며 하단에는 고정나사(31)가 구비된 지지부(30)와,
    상기 지지부(3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40)와,
    상기 연장부(40)의 내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50)와,
    상기 밀착부(50)에 구비되어 밀착부(50)가 상기 판본체(11)의 내측면에 정확히 밀착되었는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50)의 외측면에는 상기 표시돌기(17)가 삽입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밀착부(50)의 내부에는 공간부(52)가 형성되고 밀착부(50)의 상단에는 상기 공간부(52)와 연통되는 관통공(5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51)에는 상기 공간부(52)와 연통되는 연통공(54)이 형성되며,
    상기 표시수단(6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단은 상기 관통공(53)을 통해 밀착부(5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외측면 하단에는 결합홈(61a)이 형성된 승강바(61)와,
    상기 승강바(61)에 연결되어 승강바(61)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62)와,
    중앙부에 결합된 힌지축(63a)에 의해 상기 공간부(52)의 내부에 상단이 전후방향을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연통공(54)을 통해 삽입홈(51)의 내부로 돌출되는 가압돌부(63b)가 형성되고 상단 후측면에는 상기 결합홈(61a)에 결합되는 결합돌부(63c)가 형성된 고정바(63)와,
    상기 고정바(63)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결합홈(61a)에 결합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64)를 포함하여,
    상기 승강바(61)가 하강되면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61a)이 결합되어 승강바(61)가 상승되지 않도록 고정되고, 상기 표시돌기(17)가 상기 삽입홈(51)에 삽입되도록 고정부재(A)가 설치되면, 상기 표시돌기(17)에 의해 고정바(63)의 가압돌기가 내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결합홈(61a)과 결합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승강바(61)가 상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KR1020210014310A 2021-02-01 2021-02-01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KR102549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310A KR102549131B1 (ko) 2021-02-01 2021-02-01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310A KR102549131B1 (ko) 2021-02-01 2021-02-01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98A true KR20220111098A (ko) 2022-08-09
KR102549131B1 KR102549131B1 (ko) 2023-06-28

Family

ID=8284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310A KR102549131B1 (ko) 2021-02-01 2021-02-01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1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936A (ja) * 1999-02-05 2000-08-15 Asahi Kenso:Kk 水平スリット施工部材
KR100975649B1 (ko) 2009-11-24 2010-08-17 권종현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KR101372749B1 (ko) * 2013-07-15 2014-03-11 (주)대한콜크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KR20170041423A (ko) 2015-10-07 2017-04-17 대룡공업주식회사 건축용 콘크리트벽 층간 지수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936A (ja) * 1999-02-05 2000-08-15 Asahi Kenso:Kk 水平スリット施工部材
KR100975649B1 (ko) 2009-11-24 2010-08-17 권종현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KR101372749B1 (ko) * 2013-07-15 2014-03-11 (주)대한콜크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KR20170041423A (ko) 2015-10-07 2017-04-17 대룡공업주식회사 건축용 콘크리트벽 층간 지수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131B1 (ko) 202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9250B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US20160289982A1 (en) Formwork element
KR20220111098A (ko) 갱폼 고정형 층간 조인트 지수판
AU2016256678A2 (en) Creation of Surface-Mounted Sills or Hobs on Cast-in-situ Concrete Building Slabs
KR101075982B1 (ko)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성이 강화된 종이슬리브
CN219528390U (zh) 一种叠合板夹紧装置和叠合板支撑体系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CN219638470U (zh) 一种预制混凝土封堵装置
KR20100033165A (ko) 슬라브용 단열 데크플레이트
KR200426060Y1 (ko) 거푸집의 콘크리트 누수방지장치
CN116695933A (zh) 叠合板夹紧装置和叠合板支撑体系
CN218779682U (zh) 一种防止水分渗透的室内门槛石防水结构
CN214785987U (zh) 整体式楼梯铝模板
KR200205896Y1 (ko) 건축용 거푸집의 하부지지장치
JPS63184665A (ja) 手摺支柱取付け用アンカーの埋設装置
CN220100229U (zh) 一种后浇带防积水结构
KR200186213Y1 (ko) 커튼월 고정장치
KR20180064801A (ko) 분리형 결합프레임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462355B1 (ko) 난간대 설치용 지지구
KR200234555Y1 (ko) 터널 라이닝용 거푸집
JPH0753629Y2 (ja) 埋設型防災具格納箱
KR200307609Y1 (ko) 거푸집용 스페이서
JPH10331179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連結方法及び連結用金具
KR20010009971A (ko) 커튼월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고정방법
KR200272732Y1 (ko) 옥상난간 방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