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942A -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942A
KR20220110942A KR1020210013966A KR20210013966A KR20220110942A KR 20220110942 A KR20220110942 A KR 20220110942A KR 1020210013966 A KR1020210013966 A KR 1020210013966A KR 20210013966 A KR20210013966 A KR 20210013966A KR 20220110942 A KR20220110942 A KR 20220110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air
extension tube
compartmen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병섭
Original Assignee
(주)오션오토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션오토파츠 filed Critical (주)오션오토파츠
Priority to KR1020210013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0942A/ko
Publication of KR20220110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12Air heaters with additional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난방장치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에 열기 배출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킨 후, 가열된 공기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열기 배출 통공을 통해 배출하는 무시동 히터와; 상기 무시동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시동 히터는, 외부로부터 점화를 위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점화 공기 유입부와;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연료 유입부와; 내부에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상기 연료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불꽃에 의해 연소시키는 버너부와; 상기 버너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 가스 배출부와; 상기 버너부 외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전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열기 방출팬과; 상기 열기 방출팬에 의해 이동된 열기를 배출시켜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열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USING HEATER WITHOUT ENGINE RUNNING}
본 발명은 통합 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는 시동을 걸고 일정 거리를 주행하게 되면 엔진의 뜨거워진 열기와 냉각수를 활용해 실내의 히터에서 온기를 전달하게 된다. 하지만 시동을 끈 후 히터에서는 찬바람만 나오게 된다.
따라서 겨울철 등 실외 온도가 낮은 경우에도 차량 내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시동을 끄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큰 낭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일명 무시동 히터가 제안된 바 있다.
무시동 히터는 말 그대로 시동을 걸지 않고도 사용 가능한 난방용 히터이며 에버스패커나 베바스토 등의 무시동 히터는 12V, 24V, 경유, 휘발유 등 다양한 방식의 제품을 제공하고 있고, 소, 중, 대형 트럭은 물론 버스, 캠핑카, 선박, 군용, 철도에 이르기까지 활용 범위도 넓고 다양하다.
무시동 공기 히터는 연소 과정을 통해 가열된 열 교환기에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따듯한 공기 난방을 제공하는데, 열교환기, 연소용 버너는 안전하고 배기가스 내 유해물질 발생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기존의 무시동 히터의 경우 차량에 고정식으로 장착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양한 활용에 제한이 있고, 또한 무시동 히터의 효율 역시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20-012044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무시동 히터의 활용성을 높이고 무시동 히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통합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난방장치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에 열기 배출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킨 후, 가열된 공기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열기 배출 통공을 통해 배출하는 무시동 히터와; 상기 무시동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시동 히터는, 외부로부터 점화를 위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점화 공기 유입부와;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연료 유입부와; 내부에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상기 연료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불꽃에 의해 연소시키는 버너부와; 상기 버너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 가스 배출부와; 상기 버너부 외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전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열기 방출팬과; 상기 열기 방출팬에 의해 이동된 열기를 배출시켜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열기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일측이 상기 열기 배출 통공과 결합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에 자바라 요철이 형성된 연장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관의 타측 끝단에는 온도감지 센서와 부분 히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장관 타측 끝단의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히터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관은 소정의 위치에서 제1 연장관과 제2 연장관으로 분기되고, 그 분기된 제1 연장관과 제2 연장관의 타측 끝단에는 모두 상기 온도감지 센서와 상기 부분 히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관의 상기 제2 연장관과 분기되는 내부 영역에는 배출량 조절판이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배치된 상기 제1 연장관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회동되도록 하는 모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연장관의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상기 제2 연장관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회동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시동 히터의 버너부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불꽃이 직접 닿는 내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을 감싸는 외부 격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 사이에는 상기 내부 격실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밀려나온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외부 격실 일측에는 상기 연소 가스 배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격실 안쪽 면에는 상기 내부 격실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돌출부가 해당 외부 격실 안쪽 면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간의 간격은 상부쪽보다는 하부쪽이 더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나 선박 등에서 무시동 상태에서도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주름관 형태의 연장관이 구비됨으로써, 통합 난방 장치 근처뿐만 아니라 조금 멀리 떨어진 장소에도 용이하게 공기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연장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엔진 등과 같은 특정 장치에 집중적으로 열기를 공급하여 겨울철 선박 엔진이 동결되어 시동이 잘 안켜지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장관 끝단에 온도 센서와 부분 히터를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동작시킴으로써, 연장관을 통과하면서 열기의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분기 방식으로 연장관이 구성된 경우에는 내부의 배출량 조절판을 회동시킴으로써 분기된 연장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를 일치시킬 수 있어서 서로 구별된 장소에 대해서 동일한 수준의 열기를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시동 히터 내부에 와류 형성을 위한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버너부 내의 열기가 고루 퍼지도록 하여 열 효율 및 버너부 수명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난방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합 난방 장치에서 외부 케이스로부터 무시동 히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무시동 히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무시동 히터 내에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버너부의 외부 격실 안쪽면에 와류 형성을 위한 돌출구조가 나사산 형태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해 버너부 외부 격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통합 난방 장치에 연장관이 추가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연장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연장관이 분기 형태의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연장관의 분기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상태에서 배출량 조절판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난방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도 2는 도 1의 통합 난방 장치(1)에서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안착된 무시동 히터(200)를 분리한 분리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난방 장치(1)는 외부 케이스(100), 무시동 히터(200),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외부 케이스(100)에는 무시동 히터(200)를 보호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연장관(400)이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외부 케이스(100) 전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무시동 히터(200)에 의해 생성된 가열된 공기의 배출 즉, 열기 배출을 위한 통공(111)이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0)의 전면판(110)에는 통공(111)이 형성되고,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안착되는 무시동 히터(200)의 열기 배출부(260)가 해당 통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무시동 히터(200)는 이처럼 외부 케이스(100) 내에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킨 후, 가열된 공기를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열기 배출 통공(111)을 통해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어부(300)는 무시동 히터(2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0)의 외관에 사용자 조작 버튼이 제어부(300)의 일부로써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무시동 히터(200)에 유입되는 연료량 또는, 공기량 조절하거나, 또는 무시동 히터(200)에 포함된 점화 플러그(231)의 점화 시점을 조절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무시동 히터(200) 내에 포함된 각종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무시동 히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제어부(300)와 무시동 히터(200) 간에는 필요한 통신선 또는 제어선이 연결될 수 있는데, 이처럼 무시동 히터(2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의 기능 및 그 연결은 공지된 것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무시동 히터(200)의 구조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시동 히터(200)는, 점화 공기 유입부(210), 연료 유입부(220), 버너부(230), 연소 가스 배출부(240), 열기 방출팬(250), 열기 배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점화 공기 유입부(210)는 외부로부터 점화를 위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구성된다.
외부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해 무시동 히터(200) 내부에는 공기 흡입팬(27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공기 흡입팬(270)에 의해 점화 공기 유입부(21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버너부(230) 내로 전달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버너부(230)의 후면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통공(미 도시함)이 형성될 수 있다.
연료 유입부(220)는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경유가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무시동 히터(2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연료는 통합 난방 장치(1)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합 난방 장치(1)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연료통으로부터 공급될 수도 있다.
버너부(230)는 연료 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된 연료와 점화 공기 유입부(2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섞인 상태에서 연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점화 플러그(231)를 포함하고, 점화 공기 유입부(210)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연료 유입부(220)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점화 플러그(231)의 불꽃에 의해 연소시킬 수 있다.
연소 가스 배출부(240)는 버너부(230)와 연결되고, 버너부(230)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버너부(230)에서 연소된 연소 가스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열기가 이동하는 경로와는 전혀 다른 경로인 연소 가스 배출부(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열기 방출팬(250)은 버너부(230) 외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전면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버너부(230) 내부에서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버너부(230) 자체가 가열이 되고, 이때 버너부(230) 외관과 맞닿는 공기들은 함께 가열되게 되는데, 열기 방출팬(250)은 이처럼 버너부(230) 외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전면부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버너부(230) 바깥쪽은 공기와 많이 맞닿도록 하기 위해 방열판과 같은 요철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열기 배출부(260)는 열기 방출팬(250)에 의해 이동된 열기를 배출시켜 전면부에 형성된 통공(111)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연료와 공기를 이용하여 연소시켜서 그 연소 가스는 외부로 배출시키고, 가열된 순수 공기만을 실내 등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도 4에 도시되었다.
도 4에서는 공기 및 연소 가스의 흐름을 도시하였다.
즉, 무시동 히터(200)는 외부로부터 점화를 위한 공기(11)를 유입시켜 버너부(230) 내부에 공급하고, 버너부(230)에서는 연료를 연소시킨 후 인체에 유해한 연소 가스(12)는 연소 가스 배출부(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즉, 버너부(230)는 크게 내부 격실(233)과 외부 격실(232)로 구분될 수 있는데, 내부 격실(233)은 점화 플러그(231)의 불꽃이 직접 닿는 영역이고, 외부 격실(232)은 이러한 내부 격실(233)을 감싸는 것이다.
이러한 외부 격실(232)과 내부 격실(233) 사이에는 내부 격실(233)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밀려나온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간(235)이 형성되고, 외부 격실(232) 일측에는 연소 가스 배출부(240)와 연결되어 외부 격실(232)과 내부 격실(233) 사이의 공간(235)을 이동한 연소 가스가 최종적으로 연소 가스 배출부(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버너부(230) 내의 연소 작용에 의해 버너부(230) 바깥쪽에 있는 공기들(14)은 가열되게 되는데, 무시동 히터(200)는 열기 방출팬(250)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13)를 지속적으로 밀어 넣고, 이러한 외부 공기(13)는 버너부(230) 바깥쪽 통로를 거치면서 가열된 공기(14)가 되고, 계속 이동하여(15) 열기 배출부(26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열기(15)와 사용자에게 유해한 연소 가스(12)의 배출 경로가 완전히 구분됨으로써, 유해 가스 없는 깨끗한 가열 공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무시동 히터(200)와 관련하여 상술한 설명에 따른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불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버너부(230)는 종래와 다른 독특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도 도시되었지만, 버너부(230)의 외부 격실(232) 안쪽 면에는 내부 공기의 와류를 형성시키는 돌출부(234)가 외부 격실(232) 안쪽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34)에 대한 보다 상세한 도면은 도 5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은 버너부(230) 중 외부 격실(232)에 대한 단면도인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격실(232) 안쪽면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돌출부(234)가 나선 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격실(233)에서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가열된 공기들이 밀려나오면서 내부 격실(233)과 외부 격실(23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이때 외부 격실(232) 하부의 끝쪽에 연결된 연소 가스 배출부(240)를 통해서는 연소 가스가 배출되게 됨), 이때 돌출부(234)의 영향으로 인해 해당 외부 격실(232)과 내부 격실(233) 사이의 공간 내에서 회전하며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격실(232) 내부는 골고루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외부 격실(232)은 열 발산을 위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데, 이때 외부 격실(232) 전체가 골고루 가열되지 않는 경우, 열발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금속재질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버너부(230)의 외부 격실(232)은 연소 가스 배출부(240)를 제외하고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해야 난방 공간에 유해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외부 격실(232)에서의 온도 차로 인해 균열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치명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격실(233)에서 발생된 열기가 회전을 하며 외부 격실(232)을 골고루 가열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이러한 중요한 기능이 외부 격실(232) 안쪽 면에 형성된, 예를 나사산처럼 연이어 형성된 돌출부(234)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외부 격실(232)과 내부 격실(233)은 모두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특히 외부 격실(232)과 내부 격실(233)간의 간격은 상부쪽보다는 하부쪽이 더 크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열되는 공기는 위쪽으로 상승하는 힘이 강하므로, 외부 격실(232)과 내부 격실(233) 간의 공간 영역이 상부쪽보다는 하부쪽이 더 크도록 하여 외부 격실(232)의 열 균형이 잘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난방 장치(1)는 연장관(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연장관(400)의 일측은 외부 케이스(100)의 열기 배출 통공(111) 또는 그 열기 배출 통공(11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무시동 히터(200)의 열기 배출부(260)와 결합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연장관(400)의 외부 표면에는 자바라 요철이 형성되어 휘는 등의 작업이 쉽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관(400)이 통합 난방 장치(1)에 장착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었다.
이러한 연장관(400)의 단면이 도 7에 도시되었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400)의 타측 끝단에는 온도감지 센서(402)와 부분 히터부(40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관(400) 끝단의 온도감지 센서(402)와 부분 히터부(401) 역시 앞서 설명한 제어부(300)와 통신라인 또는 제어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당연한 것이므로 그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연장관(400) 끝단의 온도감지 센서(402)는 연장관(400)을 통해 이동한 배출 열기가 연장관(400)을 최종적으로 빠져나갈때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300)는 이러한 연장관(400) 끝단의 온도감지 센서(402)로부터 수신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부분 히터부(4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긴 자바라 형태의 연장관(400)을 추가로 장착하여 자신이 원하는 공간 또는 위치에 열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연장관(400) 내부를 거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 떨어졌는지 여부를 온도감지 센서(402)로부터 수신된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 후에, 부분 히터(401)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연장관(4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인 단일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소정의 위치에서 분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가 도 8에 도시되었는데, 동 도면에는 연장관(400)이 소정의 위치에서 두 개의 부분 연장관(400) 즉, 제1 연장관(410)과 제2 연장관(420)로 분기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분기된 제1 연장관(410)과 제2 연장관(420)의 타측 끝단에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도감지 센서(412, 422)가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부분 히터부(411, 421)도 이러한 제1 연장관(410)과 제2 연장관(4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관(410)과 제2 연장관(420)이 분기되는 내부 영역에는 열기의 배출량 조절을 위한 배출량 조절판(43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가 도 9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관(410)이 제2 연장관(420)과 분기되는 내부 영역에는 배출량 조절판(430)이 회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배출량 조절판(430)이 분기되는 영역 중 제1 연장관(410)쪽에 배치되도록 하는 고정 구조들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정 구조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량 조절판(430)은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기 배출량 조절판(430)이 배치된 제1 연장관(410)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배출량 조절판(430)이 회동되도록 하는 모터부(431)와 이러한 모터부와의 연결 구조가 구성될 수 있다. 특정 회전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와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300)는 제1 연장관(410)의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412)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제2 연장관(420)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422)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응하여 배출량 조절판(430)이 회동하도록 모터부(4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제1 연장관(410)을 통해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와 제2 연장관(420)을 통해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를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1 연장관(41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고, 제2 연장관(4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 제1 연장관(410)을 거쳐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가 제2 연장관(420)을 거쳐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보다 더 높을 수 있는데, 이때 제어부(300)는 배출량 조절판(430)을 조금 닫히도록 모터부(431)를 제어할 수 있다.
무시동 히터(200)로부터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는 무시동 히터(200) 조작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연장관(410)을 통해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와 제2 연장관(420)을 통해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 간의 차이 역시 매번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는 제1 연장관(410)의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412)와 제2 연장관(420)의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422)로부터 직접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그 차이에 따라 배출량 조절판(430)의 여닫힘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참고로 배출량 조절판(430)이 회동하면서 제1 연장관(410)로 향하는 통로의 적어도 일정 부분을 닫히도록 또는 개방되도록 하는 과정이 도 10에 도시되었다.
제1 연장관(410)을 통해 방출되는 온도와 제2 연장관(420)을 통해 방출되는 온도가 다를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난방 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불만이 야기될 수 있는데, 이처럼 배출량 조절판(430)을 통한 제어를 통해 이러한 불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배출량 조절판(430)을 통해 제어를 하는 경우, 제1 연장관(410)과 제2 연장관(420) 끝단에는 온도감지 센서(412, 422)만 구비되면 되고, 부분 히터(411, 421)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반대로 부분 히터(411, 421)가 함께 구비된 경우에는 배출량 조절판(43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이때 제어부(300)는 부분 히터(411, 421)의 가동 여부를 제어하여 제1 연장관(410)을 통해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와 제2 연장관(420)을 통해 방출되는 열기의 온도가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정교한 제어를 위해서 부분 히터(411, 421)와 배출량 조절판(430)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제1 연장관(410)과 제2 연장관(420)을 통해 배출되는 열기의 온도가 일치되도록 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배출량 조절판(430)은 제1 연장관(410) 내부 통로를 도 9와 같이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 제1 연장관(410)을 통한 난방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경유와 같은 연료의 공급이 외부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는데, 통합 난방 장치(1)의 내부에 별도의 연료 탱크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점화 플러그(231)나 제어부(300), 더 나아가 각종 모터 구동 장치 등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 역시 통합 난방 장치(1)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난방 장치(1)를 휴대하는 것만으로도 상술한 바와 같은 난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 : 통합 난방 장치 100 : 외부 케이스
200 : 무시동 히터 300 : 제어부
400 : 연장관 111 : 열기 배출을 위한 통공
210 : 점화 공기 유입부 220 : 연료 유입부
230 : 버너부 240 : 연소 가스 배출부
250 : 열기 방출팬 260 : 열기 배출부
231 : 점화 플러그 232 : 외부 격실
233 : 내부 격실 234 : 돌출부

Claims (6)

  1. 전면의 적어도 일부에 열기 배출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 안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킨 후, 가열된 공기를 상기 외부 케이스의 열기 배출 통공을 통해 배출하는 무시동 히터와;
    상기 무시동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시동 히터는,
    외부로부터 점화를 위한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점화 공기 유입부와;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연료 유입부와;
    내부에 점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상기 연료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혼합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불꽃에 의해 연소시키는 버너부와;
    상기 버너부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소 가스 배출부와;
    상기 버너부 외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전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열기 방출팬과;
    상기 열기 방출팬에 의해 이동된 열기를 배출시켜 상기 전면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열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난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열기 배출 통공과 결합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외부에 자바라 요철이 형성된 연장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난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의 타측 끝단에는 온도감지 센서와 부분 히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장관 타측 끝단의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 히터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난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연장관은 소정의 위치에서 제1 연장관과 제2 연장관으로 분기되고, 그 분기된 제1 연장관과 제2 연장관의 타측 끝단에는 모두 상기 온도감지 센서와 상기 부분 히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관의 상기 제2 연장관과 분기되는 내부 영역에는 배출량 조절판이 회동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배치된 상기 제1 연장관 내부 또는 외부에는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회동되도록 하는 모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연장관의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와 상기 제2 연장관 끝단에 구비된 온도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량 조절판이 회동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난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시동 히터의 버너부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불꽃이 직접 닿는 내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을 감싸는 외부 격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 사이에는 상기 내부 격실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밀려나온 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외부 격실 일측에는 상기 연소 가스 배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외부 격실 안쪽 면에는 상기 내부 격실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돌출부가 해당 외부 격실 안쪽 면을 따라 이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난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외부 격실과 상기 내부 격실간의 간격은 상부쪽보다는 하부쪽이 더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난방 장치.
KR1020210013966A 2021-02-01 2021-02-01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KR20220110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66A KR20220110942A (ko) 2021-02-01 2021-02-01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3966A KR20220110942A (ko) 2021-02-01 2021-02-01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942A true KR20220110942A (ko) 2022-08-09

Family

ID=8284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3966A KR20220110942A (ko) 2021-02-01 2021-02-01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09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6461A (zh) * 2023-08-07 2023-11-07 京威汽车设备有限公司 加热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444A (ko) 2019-04-13 2020-10-21 서상길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444A (ko) 2019-04-13 2020-10-21 서상길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6461A (zh) * 2023-08-07 2023-11-07 京威汽车设备有限公司 加热器
CN117006461B (zh) * 2023-08-07 2024-04-23 京威汽车设备有限公司 加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44594A1 (zh) 甲醇加热器
US20150165871A1 (en) Vehicle heat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JP6052632B2 (ja) 可動加熱装置用の蒸発器バーナ
US20150233575A1 (en) Burner
US10549599B2 (en) Hybrid type heating system capable of supplying heat and hot water
JPS62657A (ja) 燃焼器
KR20220110942A (ko) 무시동 히터를 이용한 통합 난방장치
EP0323196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thermostatic chamber
US20210071909A1 (en) Portable Heater
EP2981990B1 (en) Portable air heating system
US6536680B2 (en) Combustor with non-combustion air introduction
JP2001221508A (ja) 温風送風機
RU2201553C2 (ru) Горелка для жидкотопливных аппаратов сжигания
US4862846A (en) Cooling water hea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584407B2 (ko)
CA2875413A1 (en) Vehicle heat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JP4616717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1103529A (ja) 温風発生装置
WO2003099595A1 (en) Heating system and exchanging device of dual heater
KR100271936B1 (ko) 화물자동차용 온수순환식 소형보일러
JPH0942659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1107051A (ja) 温風発生装置
DK177811B1 (en) Portable air heating system
JPS62292522A (ja) 車両用暖房装置
KR0133305Y1 (ko) 팬히터의 2차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