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837A -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0837A KR20220110837A KR1020227023849A KR20227023849A KR20220110837A KR 20220110837 A KR20220110837 A KR 20220110837A KR 1020227023849 A KR1020227023849 A KR 1020227023849A KR 20227023849 A KR20227023849 A KR 20227023849A KR 20220110837 A KR20220110837 A KR 202201108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electronic control
- sensing
- liquid
- patter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5—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brake fluid level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2—Determining control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e.g. by calculations involving measured or detected parame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1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absorption of a fluid; of a solid body in dependence upon reaction with a fluid, for detecting components in the flu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G01N27/30—Electrodes, e.g. test electrodes; Half-cel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회로기판 상의 타측에 형성되는 센서부; 및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자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제1전극부 및 상기 제1전극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이격된 제2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1감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2감지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어장치는 트랜지스터나 집적회로와 같은 전자회로를 통해 기계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기계 장치들이 광범위하게 전자화되면서, 기계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수많은 전자제어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제어장치는 유압실린더를 통하여 기계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동차의 주제동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유압식 브레이크를 이용한다.
자동차의 주제동 브레이크 시스템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전자제어장치가 이를 감지하고 실린더 밸브를 열거나 닫아서 브레이크 패드에 압력이 전달되는 경로를 만들고 모터를 이용하여 실린더 내 브레이크 오일의 유압이 각 브레이크 패드에 전달되도록 하여 제동력을 생성한다. 이 때 각 밸브 및 모터는 제동력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소모하게 된다.
자동차를 운행하는 기간이 길어지거나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실린더로부터 오일이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유출된 오일은 실린더에 연결되어 있는 튜브를 통해 실린더밸브 및 모터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런데, 자동차의 설계 시 구동계 설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내부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자동차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자제어장치는 최소화하여 설계된다. 예를 들면, 전자제어장치를 브레이크오일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블록의 일측에 결합하여 하나의 브레이크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
이 때, 전자제어장치 내부의 회로기판은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에 빈틈없이 고정되므로,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로 오일이 유입 시 회로기판으로 오일이 쉽게 흘러 들어갈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이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로 오일이 유입 시 오일은 중력에 영향으로 자중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의 중력 방향 하측에 축적이 됨으로써, 회로기판의 하단부에 예상하지 못한 단락을 초래하여 회로기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 오일 유입에 의해 전자제어부가 설치된 회로기판에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게 되면, 밸브나 모터의 오동작을 일으켜 제동력이 생성되지 않거나, 전자제어장치에 과열이 발생하여 차량의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운전자는 오일 유입에 의한 오동작 내지 과열을 미리 확인할 수 없어서, 자동차 운행을 유지하게 되고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브레이크 시스템 생산업체들은 실린더 개발을 통해 오일 유출을 방지하거나, 전자제어장치 하우징에 실링 처리를 하여 액체의 유입 자체를 방지하거나, 전자제어장치 내 회로기판을 방수 처리하거나, 액체 감지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액체 유입으로 인한 전기적 단락이 이루어 지는 경우에는, 퓨즈나 써머퓨즈를 통해 전원을 차단하고 있다.
다만, 기존의 방식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실린더에 크랙이 생기거나, 방수 처 및 실링 처리의 성능이 고장이 나는 경우, 오일 유입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또한, 액체 감지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는 방법은 자동차의 구동계 설계에 영향이 없도록 자동차 내부 공간을 설계해야 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전자제어장치 자체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고 별도 센서와 전자제어장치 연결을 위한 인터커넥션 설계도 필요하여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퓨즈는 액체 유입에 의한 전기적 단락으로 높은 전류 발생하여야 비로서 개방되고, 써머퓨즈는 지속적으로 높은 발열이 발생하여야 비로서 작동하므로, 퓨즈나 써머퓨즈가 전자제어장치의 오작동이나 화재의 위험을 적절한 시기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기계 장치를 제어 시 오일이나 수분이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환경에서도 별도의 기계장치 자체나 종래의 전자제어장치 하우징의 설계 변경 없이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고 전자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 장치 사용자에게 전자제어장치에 액체가 유입된 상황을 알려 사용자가 기계 장치 사용을 중단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계 오작동이나 과열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한 기계 장치의 영구적인 손상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 중 전자제어장치 내부의 회로에 오일유입으로 인한 예상하지 못한 전기적 단락이 발생되더라도 오작동이나 과열이 발생하기 전 운전자에게 위험상황을 통보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긴급한 경우 전원을 차단하여 오작동이나 과열로 인한 대형사고를 막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회로기판 상의 타측에 형성되는 센서부; 및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자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제1전극부 및 상기 제1전극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이격된 제2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1감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2감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패턴 및 상기 제2감지패턴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액체에 의하여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1계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계산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패턴은 상기 제1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패턴은 상기 제2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연결패턴 및 상기 제2연결패턴은 상기 회로기판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감지패턴 및 상기 제2감지패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전극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3감지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패턴, 상기 제2감지패턴 및 상기 제3감지패턴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3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2계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감지패턴은 상기 제3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감지패턴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패턴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감지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감지패턴은 교호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측정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측정한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전극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감지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감지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 중 일부와 서로 교호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2계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감지패턴은 상기 제3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전극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패턴; 상기 제3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감지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감지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감지패턴과 순서대로 교호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2계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제2계산부가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측정한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제2계산부가 측정한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는 서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둘레부 또는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제어부는 메인 전자제어유닛; 상기 메인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작동부를 제어하는 작동부 제어유닛;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작동부 제어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스위치;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부의 저항 변화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액체 유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작동부 제어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센서부가 자중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로기판은 자중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결합함으로써 맞닿는 테두리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작동부는 브레이크 오일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고, 상기 액체는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부터 누유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브레이크 오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브레이크 오일이 저장되는 리저버; 일측에 상기 리저버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오일이 이동하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블록; 및 상기 밸브 블록에 형성된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밸브 블록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밸브 블록이 배치되는 측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는, 전자제어장치 내부의 회로기판의 설계 변경을 통하여 별도의 기계장치 자체나 종래의 전자제어장치 하우징의 설계 변경 없이도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고 전자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는, 종래의 기계 장치 자체 설계의 변경이 없으므로 다양한 기계 장치에 호환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에 인쇄 또는 절연층의 음각만으로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어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는, 전자제어장치 하우징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는 방향에 따라 센서부의 위치와 수를 다르게 설계하여 하우징 내부로 액체 유입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는, 알람유닛을 통하여 액체가 전자제어장치 내부로 유입된 사실이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기계 장치 사용을 중단하여 기계 오작동이나 과열로 인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화재로 인한 기계 장치의 영구적인 손상을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사용되어 자동차 운행 중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가 구비된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의 센서부들을 병렬 연결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센서부들을 일렬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의 센서부들을 수직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액체유입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의 센서부들을 병렬 연결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센서부들을 일렬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의 센서부들을 수직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액체유입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가 회로기판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통전되는 경우, 전자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액체 감지 장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액체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의 액체 감지 장치가 설치되는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 뒤,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에 설치된 액체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가 구비된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가 구비된 브레이크 시스템(200)은 밸브 블록(210), 페달 시뮬레이터(220), 마스터 실린더(미도시), 모터(230), 펌프(240), 리저버(250) 및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100)를 포함한다.
이 때, 페달 시뮬레이터(220)는 사용자가 페달 시뮬레이터(220)의 일단에 연결된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을 밟으면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의 변위에 따른 반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페달 시뮬레이터(220)는 밸브 블록(210)에 형성된 챔버 내에 설치되는 반력 피스톤(미도시)과 반력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하며, 그의 길이방향 중심축이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이 때, 마스터 실린더(미도시)는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의 답력을 제동에 필요한 일정한 제동압력으로 전환시켜 휠 실린더(미도시)에 공급해주는 장치이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경우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의 압력실 내부의 작동 유체(브레이크 오일)가 페달 시뮬레이터(220)의 챔버로 공급되어 챔버 내의 반력 피스톤을 이동시키며 반력 스프링을 탄성 압축시키게 되고,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진 답력이 해제될 경우 반력 스프링의 탄성 반발력에 의하여 반력 피스톤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반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적절한 페달감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마스터 실린더(미도시)가 위치한 밸브 블록(210)의 한쪽 측면부에는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의 각 압력실로 공급되는 브레이크 오일이 저장되는 리저버(250)(Reservoir)가 결합된다.
밸브 블록(210)(Valve block)은 내부에 리저버(250), 마스터 실린더(미도시), 페달 시뮬레이터(220)와 각각 연결되는 유로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 상에는 리저버(250), 마스터 실린더(미도시) 및 페달 시뮬레이터(220)로 이동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흐름을 개폐하는 다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된다.
즉, 밸브 블록(210)에는 ABS(Anti-lock Braking System),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작동에 필요한 복수 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되어,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100)에서 입력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여 브레이크 오일의 흐름을 단속한다.
한편, 마스터 실린더(미도시) 및 페달 시뮬레이터(220)와는 별도로 밸브 블록(210)의 일측에는 모터(230)가 구비된다. 모터(230)에는 밸브 블록(2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펌프(240)가 연결되며, 펌프(240)는 모터(230)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추가적인 제동압력을 생성한다.
이러한 펌프(240)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100)에 설치되는 페달 변위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 브레이크 페달의 인입량과 속도에 따라 모터(230)를 통해 내부의 펌프 피스톤이 전후진 구동되며 휠(미도시)의 제동에 필요한 제동압력을 생성시킨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가 구비된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100)는 전자제어장치 하우징(150), 전자제어장치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전자제어장치 제어부는 전자제어장치 하우징(15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전자제어장치 제어부는 제1MCU(미도시)가 실장된 회로기판(3)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판상의 회로기판(3)에 제1MCU이 실장될 수 있다. 이 때, 회로기판(3)의 형상은 브레이크 시스템(200)이 수용되는 차량내 공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MCU는 마스터 실린더(미도시), 페달 시뮬레이터(220) 내부의 압력을 각각 감지하는 압력센서들(미도시)과 페달 변위 센서(미도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230)와 밸브 블록(210) 내부의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각각 제어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100)에는 밸브 블록(210) 내부의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를 위한 제어 코일과, 모터(230)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모터 포지션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 제어부가 구비된 회로기판(3)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액체 유입 감지를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전자제어장치 제어부를 포함한 브레이크 시스템 전자제어장치(100)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 제어부에 외부로부터 유체, 예를 들면 브레이크 오일이 유입되면 전자제어장치 제어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 하우징(150)은 밸브 블록(21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이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전체 크기를 작게 제조하여 차량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만, 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 하우징(150)이 밸브 블록(210)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밸브 블록(210)으로부터 유출되는 브레이크오일이 전자제어장치 하우징(1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브레이크 시스템(200)이 구비하는 액체 감지 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은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간략히 도시하였으며, 실제 형상이나 크기를 반영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제2전극부 및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제2 방향과 제1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 방향을 의미하며 회로기판의 형상이나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소자의 형상에 따라 제2 방향과 제1 방향의 각도는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2 방향과 제1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수직하다고 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방향과 제1 방향은 여러 실시예에 따라 각각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일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1)는, 하우징(2) 외부에 위치한 작동부(10)에 연결되어 작동부(10)를 제어하는 전자제어부(20)가 하우징(2) 내에 설치된 회로기판(3) 상의 일측에 장착되는 전자제어장치로서, 센서부(30)를 포함한다.
이 때, 하우징(2)은 제어 대상이 되는 작동부(10)가 구비된 기계 장치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하우징(2)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기판(3)을 고정시켜 보호한다. 제어 대상이 되는 작동부(10)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유압 실린더 밸브 또는 모터가 될 수 있다.
하우징(2)의 형태나 모양은 기계 장치, 예를 들면 자동차의 내부 구조에 따라 변형되어 설계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2)은 자동차의 구동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하여 최소화된 형태로 제작된다.
하우징(2)은 외부로부터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되는 먼지, 액체 등의 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회로기판(3)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하우징(2)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서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충격을 받지 않으므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2)은 전자제어장치가 고장이 나면 수리가 가능하도록 개방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조립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하우징(2)은 개방을 위한 개폐부(미도시)나 조립공간(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2)이 기계 장치 내부에 고정되는 배치나 방향은 특정한 배치나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하우징(2) 내부로 액체(6)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2)은 하우징(2) 내부로 유입이 예상되는 액체(6)의 유입 방향과 반대로 하우징(2)의 개방을 위한 개폐부(미도시)나 조립공간(미도시)이 위치하도록 기계 장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회로기판(3)은 하우징(2) 내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때 회로기판(3)은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의미하여 특정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로기판(3)이 하우징(2)의 내부에서 고정되는 형태나 방향은 특정한 형태나 방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하우징(2) 내부로 액체(6)가 유입되는 경우 액체(6)는 하우징(2)의 내면을 따라 자중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액체(6)와의 접촉으로 인한 단락으로 회로기판(3)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중 방향과 수직한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회로기판(3)에 인쇄된 도선에는 전자제어부(20)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전자제어부(20)는 전원(4)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서 작동할 수 있다면 회로기판(3) 상에 연결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하우징(2)에 유입된 액체(6)로부터 전자제어부(20)를 보호하기 위하여 하우징(2)의 개방을 위한 개폐부(미도시)나 조립공간(미도시)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에 전자제어부(20)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는 전원(4)으로부터 전자제어부(2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부(20)와 전원(4) 사이에 제1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때, 제1스위치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나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서 전원(4)으로부터 전자제어부(2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면 실시예에 제한은 없다.
이 때, 전자제어부(20)는 하우징(2)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면 제1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전원(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전자제어부(20)는 자기에게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전자제어부(2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전자제어부(20)는 작동부(10) 제어에 관여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부(20)는 액체(6)와의 접촉으로 인한 저항 변화를 감지하여 액체의 존부를 판별하는 후술하는 센서부(30)에 의하여 감지된 액체(6)에 의한 저항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전에 사용자에게 알람 유닛(미도시)을 통해 액체 유입을 알리고 추후 전원 차단 예정임을 미리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계 장치의 사용을 조기에 스스로 멈출 수 있으므로 기계 장치의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 장치의 영구적인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제어부(20)가 알람 유닛(미도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액체(6) 유입을 알리는 방법은, 계기판을 통하여 경고등을 점멸하는 등 시각적으로 알리는 방법이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울리는 등 청각적으로 알리는 방법일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의 전자제어부(20)는 메인 전자제어유닛(24), 작동부 제어유닛(26) 및 제2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전자제어유닛(24)은 작동부(1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작동부 제어유닛(26)에 보낼 수 있고, 작동부 제어유닛(26)은 신호를 받아서 작동부(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전자제어유닛(24)과 작동부 제어유닛(26)은 하나의 하드웨어 내에서 기능적으로 나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별개의 하드웨어로 나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작동부 제어유닛(26)은 작동부(10)를 제어하기 위해 고전력을 사용한다. 따라서 대부분 하우징(2)의 내부로 액체(6)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는 작동부 제어유닛(26)과 관련된 회로에 액체(6)의 유입으로 예상하지 못한 단락이 일어나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메인 전자제어유닛(24)이 센서부(30)의 저항 변화를 통하여 액체(6) 유입을 감지하면 제2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켜 전원(4)으로부터 작동부 제어유닛(26)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제2스위치(미도시)는 제1스위치(미도시)와 마찬가지로 전력용 반도체 소자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나 메인 전자제어유닛(24)이 제2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서 전원(4)으로부터 작동부 제어유닛(26)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면 실시예에 제한은 없다.
이에 따라, 작동부 제어유닛(26)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는 반면, 메인 전자제어유닛(24)으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면서도 다른 장치,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주는 알람 유닛(미도시)을 전자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메인 전자제어유닛(24)이 작동부 제어유닛(26)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더라도, 화재나 고장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도 3와 같이 메인 전자제어유닛(24)은 자기를 포함한 전자제어부(2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전자제어부(20)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면 전자제어부(20)는 장치 제어에 관여하지 않게 될 수 있다.
한편 전자제어부(20)에 공급되는 전력 차단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를 보내는 센서부(30)는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에 의하여 통전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이격된 채로 회로기판(3) 상에 형성된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를 구비한다.
이 때,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를 구비하는 센서부(30)는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6)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단락되어서 통전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전자제어부(20)로 보낸다. 이 때, 전자제어부(20)는 회로기판(3) 상에서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가 연결된 전자제어부(20)는 하우징(2) 내로 유입된 액체(6)가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 사이에 위치하여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가 통전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한편, 도 2 및 도 4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6) 유입을 감지하여 전자제어부(20)에 신호를 보내는 센서부(30)는 회로기판(3) 상에 배치된다.
이 때, 센서부(30)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회로기판(3)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의 자체 저항에 의하여 통전될 수 있다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부(30)의 형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센서부(30)는 회로기판 위에 후술할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인쇄하고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절연층(5)을 덮으면서 패턴위에는 절연층을 덮지 않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 위에 도체 패드와 절연층은 순서대로 층을 갖도록 배치하고 후술할 패턴에 따라 도체 패드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절연층을 패턴에 따라 음각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센서부(30)의 소재는 회로기판(3)에 인쇄되는 도선과 같은 재질일 수 있으며, 재질의 고유한 저항에 의한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리(Cu)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류가 흐르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물질이면 재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30)는 회로기판(3)의 하부의 둘레부 또는 모서리에 형성된다. 센서부(30)를 회로기판(3)의 둘레부 또는 모서리에 배치하는 것은 하우징(2) 내부로 액체(6)가 유입되어 회로기판(3)에 설치된 전자제어부(20)로 흘러가기 전에 센서부(30)가 액체(6)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하우징(2)은 결합되어 내부에 회로기판(3)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하면서 맞닿게 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된다. 이 때, 하우징(2)의 외부로부터 액체(6)가 유입되는 경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결합에 의하여 맞닿게 되는 테두리부를 통하여 액체(6)가 유입된다. 따라서, 센서부(30)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테두리부에 인접하도록 하우징(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6)는 중력에 의하여 자중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2) 내부의 하단부에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6)가 축적된다. 이 때, 액체(6)가 축적됨에 따라 액체(6)가 회로기판(3)의 하단부에 접촉됨으로써 예상하지 못한 단락이 발생하여, 회로기판(3)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센서부(30)가 먼저 축적된 액체(6)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센서부(30)는 회로기판(3) 상에서 자중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센서부(30)에 구비된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의 간격은 유입이 예상되는 액체(6)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유입이 예상되는 액체가 표면장력이 큰 액체인 경우에는 회로기판(3) 상에서 액체가 퍼지지 못하므로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 간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전극부(31)는 회로기판(3)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도 4의 Y축 방향을 따라 제1연결패턴(311)과 제1감지패턴(312)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Y축 방향을 제2 방향, X축 방향을 제1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이 때, 제1연결패턴(311)과 제2연결패턴(321)은 반드시 제2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되는 방향이 종국적으로 제2 방향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은 각각 제1연결패턴(311) 및 제2연결패턴(321)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전극부(33)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3전극부(33)는 제1연결패턴(311) 및 제2연결패턴(3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연결패턴(331)이 제2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3연결패턴(331)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제3감지패턴(332)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3감지패턴(332)은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과 함께,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제1전극부(31), 제2전극부(32) 및 제3전극부(33)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와 패턴의 형성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며, 제1전극부(31), 제2전극부(32) 및 제3전극부(33)를 통하여 액체(6)를 감지하는 원리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전극부(31)와 제2전극부(32)의 형상을 설명한 후 제2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빗살무늬 패턴으로 회로기판(3) 상에 형성된다. 이 때, 도 5에서는 X축 방향을 제2 방향, Y축 방향을 제1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빗살무늬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전극부(31)는, 임의로 설정된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패턴(311)과 제2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제1연결패턴(311)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을 포함한다. 제2전극부(32)는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패턴(321)과 제1 방향으로 제2연결패턴(321)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2감지패턴(322)을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은 교호하여 즉,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의 순서로 서로 번갈아 가며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이 때, 제1연결패턴(311) 및 제2연결패턴(321)은 도 5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 회로기판(3)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교호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은 회로기판(3)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한 간격(h1)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때 센서부(30)가 외부로부터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6)에 의한 저항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간격(h1)을 최소화하여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와 같이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의 방향을 회로의 모서리 또는 둘레부 측으로 연장 형성시키면 간격(h1)을 최소화하여 제작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때,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의 회로기판(3)의 둘레부 또는 모서리 측 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사각형 모양의 패턴만 외부로 드러내도록 직사각형 모양의 패턴 상단부까지 절연층(5)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의 유입을 감지하는 패턴의 단부 즉, 회로기판(3)의 둘레부 또는 모서리 측 단부에 직사각형 모양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의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빗살무늬 패턴으로 회로기판(3) 상에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빗살무늬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전극부(31)는, 임의로 설정된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패턴(311)과 제2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제1연결패턴(311)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을 포함한다. 제2전극부(32)는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패턴(321)과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2연결패턴(321)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2감지패턴(322)을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은 서로 번갈아 이웃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의 제1연결패턴(311) 및 제2연결패턴(3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와 달리 회로기판(3)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의 액체 감지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할 때 R0는 제1전극부(31)의 자체 저항이고, R11은 제2전극부(32)의 자체 저항이며, Rliquid는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의 자체 저항이고, R12는 R12에 분배된 전압을 통하여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에 의한 저항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제1계산부(21)에 연결되는 저항이다.
이 때, 도 7과 같이 R12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할 때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R12에는 C1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전압 측정 시 노이즈 제거를 위해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방식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하우징(2)의 내부로 액체(6)가 유입이 없는 경우, 제1계산부(21)는 R12에 걸리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제어부(20)는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반면에 하우징(2)의 내부로 자체 저항 Rliquid가 있는 액체(6)가 유입되는 경우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가 통전되면서, 제1계산부(21)는 전압분배원칙에 따라 R12에 걸린 V_1×R_12/(R_12+R_0+R_11+R_liquid ) 크기의 전압을 측정한다. 이에 따라 전자제어부(20)는 공급되는 전원(4)을 차단하게 된다.
이 때,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된 액체(6)의 양이나 액체(6')의 위치에 따라서 Rliquid값이 변하게 되므로 제1계산부(21)는 연속적인 전압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어부(20)는 전자제어장치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액체(6)의 유입량에 따른 액체(6)의 자체 저항 Rliquid를 기준으로 전원(4) 차단여부를 단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소형화된 집적회로로 설계된 경우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의 저항보다 유입된 액체(6)의 자체 저항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전압분배원칙에 따라 R12에 걸린 V_1×R_12/(R_12+R_0+R_11+R_liquid ) 크기의 전압이 0에 근접해지므로 제1계산부(21)가 전압의 변화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액체 감지 장치(1)가 소형화된 집적회로로 설계된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제1계산부(21)가 연속적인 전압 변화를 측정하지 않고 전압 변화 발생 여부만을 판단하기 위해 제3스위치(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액체(6)의 유입으로 전압분배원칙에 따라 R12에 V_1×R_12/(R_12+R_0+R_11+R_liquid ) 크기의 전압이 걸리게 되고, 제3스위치(50)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서 제1계산부(21)가 전압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3스위치(50)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즉, 제3스위치(50)가 하우징(2) 내로 유입된 액체(6)의 자체 저항 Rliquid에 의하여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가 제1계산부(21)로 흐르도록 하는 소자이면 실시예에 제한은 없다.
이 때, 도 8와 같이 R12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할 때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R12에는 C11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고, R13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할 때 노이즈가 제거되도록 R13는 C12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전압 측정 시 노이즈 제거를 위해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방식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는 제3연결패턴(331) 및 복수의 제3감지패턴(332)을 구비한 제3전극부(33) 및 제2계산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의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 내지 제3전극부의 다른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9과 같이 제3연결패턴(331)은 제1연결패턴(311) 및 제2연결패턴(321)과 평행하게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3감지패턴(332)은 선형으로 형성된 제3연결패턴(331)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때, 제1감지패턴(312), 제2감지패턴(322) 및 제3감지패턴(332)은 교호하여 즉, 순서대로 서로 번갈아 가며 반복적으로 배치된다.
이 때, 제1감지패턴(312) 및 제3감지패턴(332)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기 위하여 제1전극부(31) 및 제3전극부(33)는 제2계산부(22)에 연결된다. 제2계산부(22)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제어부(20)는 제1계산부(21)에서 측정된 값과 제2계산부(22)에서 측정된 값을 비교하여 액체(6)의 유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계산부(21)에서 저항 변화를 측정한 경우, 이러한 측정값이 제1계산부(21)에 오류가 발생하여 측정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전자제어부(20)는 제2계산부(22)에서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같은 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비로서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액체 감지 장치(1)의 액체(6) 유입 감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9과 같이 액체(6)가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를 통전시켜 제1계산부(21)에서 정상적으로 저항 변화를 감지하였더라도 제2계산부(22)에서 저항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전자제어부(20)는 유입된 액체(6)의 양이 전자제어장치에 손상을 입힐 정도의 양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전력차단을 보류할 수도 있다. 즉, 액체(6')가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와 제1전극부(31) 및 제3전극부(33)를 모두 통전시켜야 비로서 전자제어부(20)가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 때, 제3전극부(33)는 도 10과 같이 제2계산부(22)가 연속적인 저항 변화 값을 측정하도록 회로가 설계될 수 있고, 도 11과 같이 제3스위치(50) 및 제4스위치(52)를 구비하여 제2계산부(22)가 저항의 변화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회로가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제4스위치(52)도 제3스위치(50)와 같이 전력용 반도체 소자, 예를 들면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즉, 제4스위치(52)가, 하우징(2) 내로 유입된 액체(6)의 자체 저항 Rliquid에 의하여 제1전극부(31) 및 제3전극부(33)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면 전류가 제2계산부(22)로 흐르도록 하는 소자이면 실시예에 제한은 없다.
이 때, 도 10 및 도 11의 회로도에 따른 제2계산부(22)가 제1전극부(31) 및 제3전극부(33) 사이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는 원리는 제1계산부(21)가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 사이의 저항 변화를 감지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통하여 상술한 센서부(30)의 다양한 배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센서부들을 병렬 연결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센서부들을 일렬 배치한 평면도이며, 도 14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센서부들을 수직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제어부(20)는 제1계산부(21)를 구비하여,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 312', 312") 및 제2감지패턴(322, 322', 322") 사이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가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 312', 312") 및 제2감지패턴(322, 322', 322") 사이 통전에 의해 발생한 저항을 계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에서는 제1계산부(21)가 메인 전자제어유닛(24)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도 12을 참조하면, 제1계산부(21)에는 제1전극부(31) 및 제2전극부(32)를 한 쌍으로 구비하는 센서부(30) 한 쌍이 병렬로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계산부로도 여러 곳으로 유입되는 액체(6)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회로기판(3) 상의 여러 곳에 형성된 센서부(30)들은 한 쌍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서부(30)가 전자제어부(20)의 제1계산부(21)에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서부(30)가 회로기판(3)에 형성됨으로써,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가 특정 센서부(30)에서 감지되지 않더라도 다른 센서부(30)에서 감지하여 전자제어부(20)가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 이상의 센서부(30)가 외부에서 전자제어부(20) 방향으로 센서부(30)의 중심축(C)이 층별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6)가 전자제어부(20)로 단계적으로 도달함에 따라서 전자제어부(20)가 전력 차단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액체(6)를 감지하여 곧바로 전원(4)을 차단하게 되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계 장치가 예상치 못한 오작동을 일으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센서부(30)들이 형성된 경우,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가 전자제어부(20) 쪽으로 흘러 들어가는 방향에 따라 순서대로 위치한 센서부(30)들이 차례로 감지한 저항이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자제어부(20)가 단계적으로 알람유닛(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한 뒤 전원(4)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전자제어부(20)에 연결되는 센서부(30')들은 회로기판(3) 상에 일렬로 배치된다. 여기서 센서부(30')가 일렬로 배치된다는 것은 회로기판(3) 상에서 일 센서부(30')의 중심축(C')의 연장선이 다른 센서부(30')의 중심축(C')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부(30')들이 회로기판(3) 상에 일렬로 배치됨으로써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가 한쪽 모서리에서 다양한 경로로 유입되더라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하우징(2)이 조립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 경우에는 조립공간(미도시)의 길이만큼 모서리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 따르면, 전자제어부(20)에 연결되는 센서부(30")들은 회로기판(3)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센서부(30")가 수직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회로기판(3) 상에서 일 센서부(30")의 중심축(C')이 다른 센서부(30")의 중심축(C")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부(30")들을 회로기판(3) 상에 수직으로 배치함으로써 센서부(30")들을 일렬로 배치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가 다양한 경로로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하우징(2)이 조립 가능하며 각진 형태로 제작된 경우에 센서부(30)를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액체(6) 유입을 감지하는데 유리하다.
이 때, 전자제어부(20)에 병렬로 연결된 센서부(30)들은 전자제어부(20)의 제1계산부(21)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센서부(30)마다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계산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1계산부(21)에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여러 위치의 센서부(30)가 감지한 내용을 하나의 계산부가 처리할 수 있어서 전자제어부(20)의 제작 비용을 단축할 수 있으나, 하나의 제1계산부(21)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전원(4)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15을 통하여 제3전극부(33)를 추가하여 두 개의 센서부(30)를 이용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센서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의 제1전극부(31) 내지 제3전극부(33)가 회로기판에 배치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1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는 제2계산부(22)를 구비하고, 빗살무늬 패턴으로 형성되되 제1전극부(31)를 공유하는 제2전극부(32) 및 제3전극부(33)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1)에서는 제1계산부(21) 및 제2계산부(22)가 메인 전자제어유닛(24)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빗살무늬 패턴으로 형성되는 제1전극부(31) 내지 제3전극부(33)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전극부(31)는,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패턴(311)과 제1 방향으로 제1연결패턴(311)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을 포함한다. 제2전극부(32)는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2연결패턴(321)과 제1 방향으로 제2연결패턴(321)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2감지패턴(322)을 포함한다. 제3전극부(33)는 제2 방향으로 회로기판(3) 상에 선형으로 형성되는 제3연결패턴(331)과 제1 방향으로 제3연결패턴(331)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감지패턴(332)을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제1감지패턴(312) 중 일부와 제2감지패턴(322)은 교호하도록, 즉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 순서대로 서로 번갈아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감지패턴(312) 중 나머지와 제3감지패턴(332)은 제1감지패턴(312) 및 제2감지패턴(322)과 같이 교호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패턴은 센서부(30)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전극을 추가하여 센서부(30)를 하나 더 추가한 효과가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제1전극부(31)와 제2전극부(32)는 전자제어부(20)의 제1계산부(21)에 연결되며, 제1계산부(21)는 제1전극부(31)의 제1감지패턴(312)과 제2전극부(32)의 제2감지패턴(322) 사이에 액체(6)가 위치하여 통전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을 계산한다. 마찬가지로, 제1전극부(31)와 제3전극부(33)는 전자제어부(20)의 제2계산부(22)에 연결되며, 제2계산부(22)는 제1전극부(31)의 제1감지패턴(312)과 제3전극부(33)의 제3감지패턴(332) 사이에 액체(6)가 위치하여 통전됨으로써 발생하는 저항을 계산한다.
이하에서는 도 16을 통하여 전자제어부(20)의 하우징(2) 내부에 액체가 유입됨으로써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여 센서부(30)가 감지하는 것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의 액체유입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는, 회로기판(3)을 중력방향과 평행하게 하우징(2) 내부에 고정시키고, 센서부(30)를 회로기판(3)의 하부 모서리에 배치한다. 이 때, 센서부(30)를 반드시 한 개만 배치하여야 되는 것은 아니고, 두 개 이상의 센서부(30)를 층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액체가 직접적으로 스며드는 방향에 센서부(30)를 추가 배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유압실린더(미도시) 등에서 유출된 오일 또는 수분이 하우징(2)에 도달하게 되면 액체(6)가 하우징(2)의 개방을 위한 개폐부(미도시)나 조립공간(미도시)으로 스며들 듯이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도 16과 같이 하우징(2) 내부로 유입된 액체(6)가 중력을 받아 하우징(2) 하부에 누적되며, 액체(6)가 전자제어부(20)에 닿기 전에 센서부(30)가 액체(6)를 감지한다.
센서부(30)가 액체(6)를 감지하면 전자제어부(20)가 전원(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이 때, 센서부(30)가 두 개 이상 배치된 경우 전자제어부(20)로부터 멀리 설치된 센서부(30)가 액체 유입을 감지하면, 전자제어부(20)가 알람유닛(미도시)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이 후 전자제어부(20)에 근접한 센서부(30)가 액체 유입을 감지하면 비로소 전자제어부(20)가 전원(4)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액체 감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하우징 내부에 전자 부품이 설치된 경우 하우징 외부의 환경으로 인하여 하우징 내부로 액체가 유입되기 쉬운 상태에 놓인 하우징 내부의 전자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액체 감지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Claims (27)
-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 상의 일측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 외부에 위치한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를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회로기판 상의 타측에 형성되는 센서부; 및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자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제1전극부 및 상기 제1전극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이 이격된 제2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1감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2감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패턴 및 상기 제2감지패턴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액체에 의하여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1계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계산부에 의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패턴은 상기 제1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전극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패턴은 상기 제2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패턴 및 상기 제2연결패턴은 상기 회로기판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감지패턴 및 상기 제2감지패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의 제3감지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패턴, 상기 제2감지패턴 및 상기 제3감지패턴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3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2계산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감지패턴은 상기 제3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패턴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패턴은 복수 개로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감지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감지패턴은 교호하여 배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측정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측정한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감지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감지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 중 일부와 서로 교호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2계산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패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감지패턴은 상기 제3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부의 측부에 형성된 제3전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전극부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결패턴;
상기 제3연결패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제3감지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감지패턴은,
상기 복수의 제1감지패턴 및 상기 복수의 제2감지패턴과 순서대로 교호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계산하는 제2계산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측정하고, 상기 제2계산부가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을 측정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제1계산부가 측정한 상기 제1감지패턴과 상기 제2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거나, 상기 제2계산부가 측정한 상기 제3감지패턴과 상기 제1감지패턴 사이에 형성된 저항이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는 서로 일렬로 배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부 및 제2전극부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둘레부 또는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는,
상기 회로기판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메인 전자제어유닛;
상기 메인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작동부를 제어하는 작동부 제어유닛; 및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작동부 제어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2스위치; 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센서부의 저항 변화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내로 액체 유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제2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작동부 제어유닛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센서부가 자중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자중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센서부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이 결합함으로써 맞닿는 테두리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브레이크 오일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이고,
상기 액체는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으로부터 누유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브레이크 오일인,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상기 브레이크 오일이 저장되는 리저버;
일측에 상기 리저버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오일이 이동하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밸브 블록; 및
상기 밸브 블록에 형성된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밸브 블록의 타측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밸브 블록이 배치되는 측 상기 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11657 | 2020-09-02 | ||
KR20200111604 | 2020-09-02 | ||
KR1020200111657 | 2020-09-02 | ||
KR1020200111604 | 2020-09-02 | ||
PCT/KR2021/011897 WO2022050741A1 (ko) | 2020-09-02 | 2021-09-02 |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0837A true KR20220110837A (ko) | 2022-08-09 |
KR102682055B1 KR102682055B1 (ko) | 2024-07-05 |
Family
ID=8049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3849A KR102682055B1 (ko) | 2020-09-02 | 2021-09-02 | 전자제어장치의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액체 감지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73086A1 (ko) |
KR (1) | KR102682055B1 (ko) |
CN (1) | CN116323345A (ko) |
DE (1) | DE112021004564T5 (ko) |
WO (1) | WO2022050741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3761B1 (ko) * | 2015-09-16 | 2017-01-09 |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 상면 및 측면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
KR20170119593A (ko) * | 2016-04-19 | 2017-10-27 | 주식회사 만도 |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63774B2 (en) * | 1999-02-11 | 2002-04-02 | Honda Of America, Manufacturing,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brake leak detection |
KR20060053687A (ko) * | 2004-11-17 | 2006-05-22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브레이크 휠실린더 오일누유 감지장치 |
JP2015125140A (ja) * | 2013-12-27 | 2015-07-06 | 株式会社東芝 | 漏洩検出器の断線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断線診断方法 |
JP7257202B2 (ja) | 2019-03-19 | 2023-04-13 | 株式会社シマノ | 魚釣用電動リール、そのモード遷移制御方法、及びモード遷移制御プログラム |
-
2021
- 2021-09-02 KR KR1020227023849A patent/KR102682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9-02 WO PCT/KR2021/011897 patent/WO202205074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9-02 US US18/024,134 patent/US20230273086A1/en active Pending
- 2021-09-02 CN CN202180054286.XA patent/CN116323345A/zh active Pending
- 2021-09-02 DE DE112021004564.4T patent/DE112021004564T5/de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93761B1 (ko) * | 2015-09-16 | 2017-01-09 | 플로우닉스 주식회사 | 상면 및 측면 검출형 누설 감지 센서 |
KR20170119593A (ko) * | 2016-04-19 | 2017-10-27 | 주식회사 만도 |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323345A (zh) | 2023-06-23 |
WO2022050741A1 (ko) | 2022-03-10 |
KR102682055B1 (ko) | 2024-07-05 |
DE112021004564T5 (de) | 2023-07-13 |
US20230273086A1 (en) | 2023-08-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02063B2 (ja) | トラクション制御および/または運転力学制御用ブレーキスリップ制御および/または自動ブレーキ管理装置を有する自動車用液圧式ブレーキシステム | |
KR102102070B1 (ko) | 전기유압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부가 모듈, 및 상기 유형의 부가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어셈블리 시스템 | |
JP6217027B2 (ja) | ブレーキ装置 | |
US6382738B1 (en) | Pressure sensor assembly | |
EP3225481B1 (en) | Hydraulic pressure generating device | |
US20100038571A1 (en) | Valve control unit, particularly pilot control unit for a pressure modulator of a commercial vehicle | |
KR102203036B1 (ko) | 전기유압 자동차 제어 디바이스 | |
KR20200140754A (ko) |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장치 구조 | |
KR20220012201A (ko) | 배터리용 기구, 및 전기 차량 | |
JP2007230435A (ja) | ブレーキ装置 | |
JP6535370B2 (ja) | Absシステムのための圧力モジュレータ | |
US11435253B2 (en) | Stee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JP2018002146A (ja) | Absシステム用の圧力モジュレータ | |
KR20130138433A (ko) | 압력센서의 수분유입 차단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 | |
US20230273086A1 (en) | Device for sensing liquid flowing into housing of electronic control device | |
US20210146993A1 (en) | Method for Operating a Steering System, and Steering System | |
US6422658B1 (en) | Brake pedal sensor and electronic switch | |
KR20050003972A (ko) | 마스터 실린더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 비행기 장비용잠금 방지 브레이킹 시스템 모듈 | |
KR102486475B1 (ko) | 전자제어유닛의 액체유입 감지장치 및 액체유입 감지방법 | |
KR20230155819A (ko) | 시동 전 차량 이상검출장치 | |
JP2614250B2 (ja) | アンティロック・ブレーキ装置 | |
WO2016111866A1 (en) | Steering system water sensor | |
KR20210128045A (ko) | 액체 감지 장치 | |
KR100577035B1 (ko) | 압력 센서 유닛 | |
JP2004161086A (ja) | 車両用制御装置における誤接続防止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